KR101927906B1 - 도로 매설형 압전발전장치 - Google Patents

도로 매설형 압전발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7906B1
KR101927906B1 KR1020170101600A KR20170101600A KR101927906B1 KR 101927906 B1 KR101927906 B1 KR 101927906B1 KR 1020170101600 A KR1020170101600 A KR 1020170101600A KR 20170101600 A KR20170101600 A KR 20170101600A KR 101927906 B1 KR101927906 B1 KR 1019279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cement
lever
piezoelectric
piezoelectric body
l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1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행기
김광목
김진성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70101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79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79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79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18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electrical output from mechanical input, e.g. genera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1/00Road engineering aspects of Embedding pads or other sensitive devices in paving or other road surfaces, e.g. traffic detectors, vehicle-operated pressure-sensitive actuators, devices for monitoring atmospheric or road cond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lectrical Machinery Utilizing Piezoelectricity,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나 지반, 또는 구조물 내에 매설되며, 지렛대 방식으로 동작하는 외력 전달 구조물을 이용하여 압전체를 균일한 압력으로 가압함으로써 전력을 생성할 수 있는 도로 매설형 압전발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도로 매설형 압전발전장치는, 도로에 매설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나란하게 배열되어 차량의 하중을 받아 상하로 이동하는 복수의 변위판과;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며, 하측으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압전체를 구비한 발전부와; 상기 압전체의 상단에 설치되어 변위판으로부터 하중을 전달받는 연결부와; 일단이 상기 각각의 변위판과 연결되게 설치되며, 타단이 상기 연결부의 상단에 연결되어 상기 각각의 변위판의 변위를 독립적으로 상기 연결부로 전달하는 외력전달유닛과; 상기 압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압전체에 의해 생성된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축전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로 매설형 압전발전장치{Piezoelectric Power Generating Apparatus Laid Underground}
본 발명은 압전발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나 지반, 또는 구조물 내에 매설되며, 지렛대 방식으로 동작하는 외력 전달 구조물을 이용하여 압전체를 균일한 압력으로 가압함으로써 전력을 생성할 수 있는 도로 매설형 압전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은 태양광 발전, 열전소자의 지백(Zeeback) 효과를 이용하여 온도 차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얻는 열전 발전 및 압전체를 이용하여 주변의 진동이나 충격으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얻는 압전 발전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 중, 압전체를 이용한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은 압전체에 기계적 변형이 인가될 경우, 전기 에너지가 발생하는 효과를 이용하여 주위의 버려지는 힘, 압력, 진동 등의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주는 것을 말한다.
압전체를 이용한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은 다른 발전 방식 보다 작은 진동을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데 용이하다. 또한, 압전체를 이용한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은 태양광이 없는 어두운 곳이나 밤에도 발전을 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항상 진동이 있거나, 압력이나 힘이 작용하는 곳, 그리고 물의 흐름이 있거나 바람이 부는 곳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압전체를 이용한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을 차량이 빈번히 운행하는 도로에 적용하려는 시도가 진행 중에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11886호에는 도로에 매설되어 양단이 고정되고 하부에 공동(空洞)이 형성된 상판 저면에 압전막이 내장된 진동판이 설치되어 차륜하중(車輪荷重)에 의한 상판의 변형 및 복원과정에서 진동판의 진동을 유도함으로써 전력을 발생하는 도로 매설형 에너지 하베스터(energy harvester)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압전체를 이용한 도로 매설형 압전발전장치는 압전체의 변위가 작아서 에너지 변환 효율이 낮은 문제가 있다.
또한 다양한 차폭을 갖는 차량의 하중을 압전체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차량의 바퀴가 닿는 변위판의 면적이 넓어야 하지만, 이 경우 차량의 하중이 가해지는 위치에 따라 변위가 달라져 압전체를 통한 발전량이 달라지는 문제가 있다.
등록특허 제10-0911886호 등록특허 제10-1666997호 등록특허 제10-1053257호 등록특허 제10-1210431호 등록특허 제10-106066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지렛대 방식으로 동작하는 외력 전달 구조물을 이용하여 변위를 증폭시켜 압전체에 전달함으로써 압전체의 변위를 증대시키고, 차량의 다양한 차폭에 상관없이 대체로 균일한 변위를 압전체에 발생시켜 발전 효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도로 매설형 압전발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도로 매설형 압전발전장치는, 도로에 매설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나란하게 배열되어 차량의 하중을 받아 상하로 이동하는 복수의 변위판과;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며, 하측으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압전체를 구비한 발전부와; 상기 압전체의 상단에 설치되어 변위판으로부터 하중을 전달받는 연결부와; 일단이 상기 각각의 변위판과 연결되게 설치되며, 타단이 상기 연결부의 상단에 연결되어 상기 각각의 변위판의 변위를 독립적으로 상기 연결부로 전달하는 외력전달유닛과; 상기 압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압전체에 의해 생성된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축전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압전발전장치는, 차량의 하중에 의해 복수의 변위판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눌려지게 되면, 차량의 하중이 하중전달유닛을 통해 압전체로 전달되어 압전체가 하측으로 눌려지면서 전기에너지가 생성된다. 따라서 차량의 차폭이 달라지더라도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상기 복수의 변위판 중 측방의 변위판에 연결되는 하중전달유닛은 지렛대 구조를 가지므로 변위판의 하강 변위를 증폭하여 압전체로 전달할 수 있으므로 변위판의 변위가 작더라도 압전체의 변형량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고, 높은 효율로 전기에너지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매설형 압전발전장치가 도로에 매설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도로 매설형 압전발전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도 2에 도시된 압전발전장치의 작동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압전발전장치를 구성하는 발전부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압전발전장치를 구성하는 발전부의 평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압전발전장치의 작동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로 매설형 압전발전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매설형 압전발전장치는, 도로에 매설되는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의 상부에 나란하게 배열되어 차량의 하중을 받아 상하로 이동하는 복수의 변위판(20)과, 상기 케이스(10)에 대해 변위판(20)을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변위판(20)이 하강한 후 원래 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부재와, 상기 케이스(10) 내부에서 하측으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압전체(51)와, 상기 압전체(51)의 상단에 설치되어 변위판(20)으로부터 하중을 전달받는 연결부(60)와, 상기 변위판(20)의 변위를 상기 연결부(60)로 전달하여 변위를 발생시키는 외력전달유닛과, 상기 압전체(5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압전체(51)에 의해 생성된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축전지(70)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도로 매설형 압전발전장치는 차량의 양측 바퀴로부터 하중을 전달받아 전기에너지를 생성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10)와 변위판(20), 압전체(51), 연결부(60), 외력전달유닛, 축전지(70) 등이 도로의 양측에 간격을 두고 대칭되게 설치된다. 설명의 편의상 이하에서는 도로의 일측에 설치된 압전발전장치를 중심으로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한다.
상기 케이스(10)는 사각형의 함체로 되어 도로의 지면(地面) 아래에 매설된다. 상기 케이스(10)는 차량의 하중을 견딜 수 있는 강도를 지닌 금속이나 콘크리트 등의 고강도 소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변위판(20)은 차량의 하중을 견딜 수 있는 우수한 강도를 갖는 사각형의 금속 평판으로 이루어지며, 도로의 포장면(1)과 동일한 높이에 배치된다. 상기 케이스(10)의 상단부에는 3개의 변위판(20a, 20b)이 나란하게 배치된다. 상기 변위판(20a, 20b) 중 케이스(10)의 중앙에 배치된 변위판(20a)은 상기 압전체(51)의 연직 방향 상부에 배치되며, 이 변위판(20a)을 편의상 중앙 변위판(20a)이라 명하며, 이 중앙 변위판(20a)의 양측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2개의 변위판(20b)을 측방 변위판(20b)이라 명하여 설명한다.
상기 3개의 변위판(20a, 20b)은 도로의 포장면(1)을 통해 차량의 하중이 가해짐에 따라 탄성부재(30)를 하측으로 누르면서 일정 거리만큼 하강하고, 차량의 하중이 없어지면 탄성부재(30)의 탄성력에 의해 상승하여 원위치로 복귀한다. 상기 변위판(20a, 20b)은 차량의 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강도를 갖는데, 차량의 하중에 의해 하측으로 눌려지면 일정 정도 휨 변형이 발생하고, 차량의 하중이 없어지면 원상태로 복원되는 탄력성이 있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탄성부재(30)는 케이스(10)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각각의 변위판(20)을 탄력적으로 지탱하여 변위판(20)이 차량의 하중에 의해 하강한 후 다시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탄성부재(30)는 압축코일스프링이나 판스프링 등의 공지의 스프링을 적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으나, 이 실시예에서는 고무나 실리콘과 같이 유연하고 탄성력이 있는 수지 재질의 패드로 이루어진다.
상기 3개의 변위판(20)의 하강 변위는 상기 외력전달유닛에 의해 압전체(51) 상단의 연결부(60)로 전달되어 연결부(60)를 하측으로 가압하고, 상기 연결부(60)를 가압하는 힘이 압전체(51)에 전달되어 압전체(51)가 눌리면서 전기에너지가 생성된다.
도 3a와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외력전달유닛은 변위판(20)의 위치에 따라 운동 형태가 달라진다. 즉, 상기 3개의 변위판(20a, 20b) 중 중앙 변위판(20a)은 기다란 봉 형태로 된 제1하중전달부재(41)의 상단에 연결되고, 제1하중전달부재(41)의 하단이 상기 연결부(60)의 중앙부 상단에 연결되어, 중앙 변위판(20a)의 하강 변위가 제1하중전달부재(41)를 통해 연결부(60)로 바로 전달된다.
그리고, 상기 2개의 측방 변위판(20b)의 하강 변위는 지렛대 방식으로 동작하는 제2하중전달부재(42), 제1레버(44), 제2레버(45)를 통해 연결부(60)로 전달한다. 상기 제2하중전달부재(42), 제1레버(44), 제2레버(45)는 상기 발전부(50)를 중심으로 2개가 대칭되게 배치되어 2개의 측방 변위판(20b)의 변위를 연결부(60)에 독립적으로 전달된다.
상기 제2하중전달부재(42)는 기다란 봉 형태로 되어 상단이 상기 측방 변위판(20b)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1레버(44)는 상기 케이스(10)에 설치되는 제1레버받침부재(43) 상단의 받침힌지축(43a)을 중심으로 상하로 회전하도록 설치되며, 일단이 상기 제2하중전달부재(42)에 힌지핀(42a)을 매개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제2하중전달부재(42)에 의해 회전 운동한다. 상기 제1레버받침부재(43)는 제1레버(44)의 일측으로 치우쳐서 설치되는데, 제2하중전달부재(42)의 하강 변위를 증폭하여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2하중전달부재(42)의 하단부가 제1레버(44)와 연결된 지점, 즉 힌지핀(42a)에서부터 받침힌지축(43a) 사이의 거리와 상기 받침힌지축(43a)과 제2레버(42)와의 연결 지점까지의 거리의 비는 1:4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레버(45)는 상기 발전부(50)의 발전부케이싱(54)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제2레버받침부재(46)의 받침힌지축(46a)을 중심으로 상하로 회전하도록 설치되며, 일단이 상기 제1레버(44)의 일단부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연결부(60)에 연결되어 연결부(60)를 가압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제1레버(44)와 제2레버(45)가 연결되는 지점에는 제1레버(44)의 회전 운동을 제2레버(45)로 전달하는 연결핀(47)이 설치된다.
상기 연결부(60)는 상기 압전체(51)의 상부면을 덮도록 설치되는 가압판(61)과, 상기 가압판(61)의 상부면에 안착되며 상기 외력전달유닛과 연결되어 상하로 이동하면서 상기 가압판(61)을 누르는 연결프레임(62)을 포함한다.
상기 가압판(61)은 발전부(50)에 구성된 압전체(51)의 크기와 대체로 일치하는 크기를 갖는 사각형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연결프레임(62)은 상부 폭이 하부 폭보다 작은 사다리꼴 형태로 되어 외력전달유닛을 통해 전달되는 하중을 가압판(61)으로 균일하게 전달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연결프레임(62)의 중앙부는 상기 발전부(50)에 구성된 발전부케이싱(54)의 개방된 상부면을 통해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하중전달부재(41)의 하단부와, 제2레버(45)의 일단부와 연결된다. 상기 연결프레임(62)의 상단부 중앙은 상기 제1하중전달부재(41)의 하단부와 연결되고, 상단부 양측은 상기 제2레버(45)의 일단부에 연결된다. 상기 제2레버(45)의 일단부와 연결되는 연결프레임(62)의 상단부 양측에 좌우 측방향으로 긴 가이드홈(63)이 형성되고, 상기 제2레버(45)의 끝단부는 상기 가이드홈(63)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레버(45)의 끝단부에 상기 가이드홈(63)을 따라 구르면서 슬라이딩하는 롤러(48)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레버(45)의 끝단부와 상기 가이드홈(63) 사이에 자석(64)이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2레버(45) 중 어느 하나가 연결프레임(62)을 가압하여 연결프레임(62)이 하강할 때 다른 한 제2레버(45)는 가이드홈(63)에서 분리되고, 연결프레임(62)이 다시 상승하게 되면 가이드홈(63) 내측의 자석(64)에 의해 분리되어 있던 제2레버(45)가 다시 가이드홈(63) 내측에 연결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발전부(50)는 상부면에 개방된 사각박스 형태의 발전부케이싱(54)과, 상기 발전부케이싱(54) 내부에 설치되는 압전체(51)를 포함한다. 상기 압전체(51)는 하측으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탄력적으로 변형되면서 전기에너지를 생성하는 복수의 압전소자(52)(Piezoelectric Element)와, 상기 각각의 압전소자(52)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 적층되며 상기 축전지(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도성 금속 재질로 된 복수의 도전판(53)을 포함한다. 상기 압전소자(52)와 도전판(53)은 복수개가 상하로 적층된다. 상기 도전판(53)은 구리와 같이 전도성이 우수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압전소자(52)는 기계적 압력을 인가하면 전압이 발생하고, 전압을 인가하면 기계적 변형이 생기는 압전기 현상을 나타낸 압전 효과를 지닌 소자이다. 즉 외력을 가하면 전기 분극이 일어나서 전위차가 생기고, 반대로 전압을 가하면 변형이나 변형력이 생기는 성질을 가진 소자를 말한다. 상기 압전소자(52)는 공지의 세라믹 압전소자 등을 적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축전지(70)는 압전체(51)의 도전판(53)과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더불어,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은 외부의 전력수요처 또는 전기저장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작용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도로 매설형 압전발전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3개의 변위판(20) 중 중앙 변위판(20a)에 차량의 바퀴가 지나가게 되면 중앙 변위판(20a)이 탄성부재(30)를 가압하면서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중앙 변위판(20a)과 연결된 제1하중전달부재(41)가 하강하여 연결프레임(62)의 상단을 하측으로 가압하게 되고, 연결프레임(62) 하측의 가압판(61)을 통해 압전체(51)가 가압되면서 탄성 변형되어 압전소자(52)에서 전기에너지가 발생하게 되고, 축전지(70)에 전기에너지가 저장된다.
그리고, 도 3a와 도 3b,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차량의 바퀴가 2개의 측방 변위판(20b) 중 어느 하나를 지나가게 되면, 차량의 바퀴가 지나간 측방 변위판(20b)이 탄성부재(30)를 누르면서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측방 변위판(20b)이 하측으로 눌려져 이동함에 따라 제2하중전달부재(42)가 하측으로 이동하여 제1레버(44)의 일단부를 누르게 되고, 제1레버(42)가 받침힌지축(43a)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레버(42)의 다른 일단부가 상승하면서 제2레버(45)의 일단부를 들어올리게 되고, 제2레버(45)가 받침힌지축(46a)을 중심으로 하여 제2레버(45)의 롤러(48)가 하강하게 된다. 이 때, 상기 롤러(48)는 연결프레임(62)의 가이드홈(63)을 따라 구르면서 연결프레임(62)을 하측으로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연결프레임(62) 및 가압판(61)이 하측으로 눌려져 하강하게 되고, 압전체(51)가 하측으로 가압되면서 탄성 변형되어 압전소자(52)에서 전기에너지가 발생하게 되고, 축전지(70)에 전기에너지가 저장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도로 매설형 압전발전장치는 차량의 하중에 의해 3개의 변위판(20)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눌려지게 되면, 차량의 하중이 하중전달유닛을 통해 압전체(51)로 전달되어 압전체(51)가 하측으로 눌려지게 되고, 전기에너지가 생성된다. 따라서 차량의 차폭이 달라지더라도 전력을 생산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복수의 변위판(20) 중 측방의 변위판(20b)에 연결되는 하중전달유닛은 지렛대 구조를 가지므로 변위판(20b)의 하강 변위를 증폭하여 압전체(51)로 전달할 수 있으므로 변위판(20b)의 변위가 작더라도 압전체(51)의 변형량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고, 높은 효율로 전기에너지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에서 설명된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부가 및 변형이 가능할 것임은 당연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형태들 역시 아래에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10 : 케이스 20 : 변위판
20a : 중앙 변위판 20b : 측방 변위판
30 : 탄성부재 41 : 제1하중전달부재
42 : 제2하중전달부재 43 : 제1레버받침부재
44 : 제1레버 45 : 제2레버
46 : 제2레버받침부재 47 : 연결핀
48 : 롤러 50 : 발전부
51 : 압전체 52 : 압전소자
53 : 도전판 54 : 발전부케이싱
60 : 연결부 61 : 가압판
62 : 연결프레임 70 : 축전지

Claims (10)

  1. 도로에 매설되는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의 상부에 나란하게 배열되어 차량의 하중을 받아 상하로 이동하는 복수의 변위판(20)과;
    상기 케이스(10) 내부에 설치되며, 하측으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압전체(51)를 구비한 발전부(50)와;
    상기 압전체(51)의 상단에 설치되어 변위판(20)으로부터 하중을 전달받는 연결부(60)와;
    일단이 상기 각각의 변위판(20)과 연결되게 설치되며, 타단이 상기 연결부(60)의 상단에 연결되어 상기 각각의 변위판(20)의 변위를 독립적으로 상기 연결부(60)로 전달하는 외력전달유닛과;
    상기 압전체(5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압전체(51)에 의해 생성된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축전지(70);
    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60)는 상기 압전체(51)의 상부면을 덮도록 설치되는 가압판(61)과, 상측으로 뾰족한 형태로 되어 상기 가압판(61)의 상부면에 안착되며 상기 외력전달유닛과 연결되어 상하로 이동하면서 상기 가압판(61)을 누르는 연결프레임(62)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프레임(62)의 상단부에 가이드홈(63)이 형성되고, 상기 외력전달유닛의 끝단은 상기 가이드홈(63)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외력전달유닛의 끝단과 상기 가이드홈(63) 사이에 자석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매설형 압전발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에 대해 변위판(20)을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변위판(20)이 하강한 후 원래 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매설형 압전발전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력전달유닛은,
    상단이 상기 압전체(51)의 연직 방향 상부에 배치되는 변위판(20)에 연결되어 하단이 상기 연결프레임(62)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변위판(20)의 변위를 연결프레임(62)로 바로 전달하는 제1하중전달부재(41)와;
    상단이 상기 제1하중전달부재(41)가 연결된 변위판(20)의 측방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변위판(20)에 연결되는 제2하중전달부재(42)와;
    상기 케이스(10) 또는 상기 발전부(50)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제1레버받침부재(43)를 중심으로 상하로 회전하도록 설치되며 일단이 상기 제2하중전달부재(42)와 연결되게 설치된 제1레버(44)와;
    상기 케이스(10) 또는 상기 발전부(50)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제2레버받침부재(46)를 중심으로 상하로 회전하도록 설치되며 일단이 상기 제1레버(44)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연결프레임(62)의 가이드홈(63)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레버(45);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매설형 압전발전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중전달부재(41)가 연결되는 변위판(20)의 양측에 2개의 측방 변위판(20b)이 배치되고, 상기 압전체(51)의 양측에 상기 각각의 측방 변위판(20b)에 연결되는 제2하중전달부재(42)와 제1레버(44)와 제2레버(45)가 대칭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매설형 압전발전장치.
  6. 삭제
  7. 삭제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레버(45)의 끝단부에 상기 가이드홈(63)을 따라 구르면서 슬라이딩하는 롤러(48)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매설형 압전발전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체(51)는, 상부면이 개방되게 형성된 발전부케이싱(54) 내부에 적층되게 설치되어 전기에너지를 생성하는 복수의 압전소자(52)와, 상기 각각의 압전소자(52)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 적층되며 상기 축전지(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도성 금속 재질로 된 복수의 도전판(5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매설형 압전발전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차량의 양측 바퀴로부터 하중을 전달받아 전기에너지를 생성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10)와 변위판(20), 압전체(51), 연결부(60), 외력전달유닛, 축전지(70)는 도로의 양측에 간격을 두고 대칭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매설형 압전발전장치.
KR1020170101600A 2017-08-10 2017-08-10 도로 매설형 압전발전장치 KR1019279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1600A KR101927906B1 (ko) 2017-08-10 2017-08-10 도로 매설형 압전발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1600A KR101927906B1 (ko) 2017-08-10 2017-08-10 도로 매설형 압전발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7906B1 true KR101927906B1 (ko) 2018-12-12

Family

ID=64669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1600A KR101927906B1 (ko) 2017-08-10 2017-08-10 도로 매설형 압전발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790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5005B1 (ko) * 2019-10-22 2020-08-18 주식회사 테크인 압전 보도블록 장치
KR20200132122A (ko) * 2019-05-15 2020-11-25 김동완 에너지 발전부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도로 시스템
CN112865589A (zh) * 2021-01-30 2021-05-28 同济大学 一种基于杠杆原理及摩擦纳米发电的道路俘能装置
CN114427586A (zh) * 2022-01-20 2022-05-03 中南大学 一种基于碳中和概念的铁路路基动载俘能减振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9255B1 (ko) * 2008-11-06 2009-07-27 한국세라믹기술원 이동하중을 이용한 압전 발전기 및 이를 포함하는 발전기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9255B1 (ko) * 2008-11-06 2009-07-27 한국세라믹기술원 이동하중을 이용한 압전 발전기 및 이를 포함하는 발전기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2122A (ko) * 2019-05-15 2020-11-25 김동완 에너지 발전부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도로 시스템
KR102218591B1 (ko) * 2019-05-15 2021-02-19 김동완 에너지 발전부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도로 시스템
KR102145005B1 (ko) * 2019-10-22 2020-08-18 주식회사 테크인 압전 보도블록 장치
CN112865589A (zh) * 2021-01-30 2021-05-28 同济大学 一种基于杠杆原理及摩擦纳米发电的道路俘能装置
CN114427586A (zh) * 2022-01-20 2022-05-03 中南大学 一种基于碳中和概念的铁路路基动载俘能减振装置
CN114427586B (zh) * 2022-01-20 2022-10-14 中南大学 一种基于碳中和概念的铁路路基动载俘能减振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7906B1 (ko) 도로 매설형 압전발전장치
US874264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chanical energy harvesting using planar microfluidic device
CN107359808B (zh) 摩擦电发电机
US9178446B2 (en) Triboelectric generator
US20170324022A1 (en) Piezoelectric energy harvester
US8446072B2 (en) High-efficiency compact miniaturized energy harvesting and storage device
Wang et al. Development and application performance of road spring-type piezoelectric transducer for energy harvesting
US9006916B2 (en) Pressure-to-rotation converter and pressure-to-electric converting system
CN102468421B (zh) 压电发电模块
KR102214474B1 (ko) 이온성 탄성중합체를 이용한 정전 발전장치
CN101895232A (zh) 具有弹性元件连接的压电俘能器
KR101878332B1 (ko) 캔틸레버형 도로 압전발전장치
KR102020269B1 (ko) 변위 확대가 가능한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 모듈
CN107060262B (zh) 一种惯性式压电发电地板
KR101911631B1 (ko) 도로용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
KR101791793B1 (ko) 도로용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
JP4882065B2 (ja) 静電アクチュエータ
KR102145005B1 (ko) 압전 보도블록 장치
CN110061652B (zh) 一种宽频带静电微能量采集器、采集系统及其制备方法
CN104612913A (zh) 一种收集行人踏步能量的冲击式压电发电装置
KR102218591B1 (ko) 에너지 발전부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도로 시스템
KR101795752B1 (ko) 압전 발전 블럭
CN111146972A (zh) 基于折纸回弹机构的路面俘能装置
CN204627884U (zh) 一种收集行人踏步能量的冲击式压电发电装置
CN203933443U (zh) 一种边缘中心双向受力型发电路面压电换能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