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7612B1 - Nozzle Device - Google Patents
Nozzle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27612B1 KR101927612B1 KR1020170039391A KR20170039391A KR101927612B1 KR 101927612 B1 KR101927612 B1 KR 101927612B1 KR 1020170039391 A KR1020170039391 A KR 1020170039391A KR 20170039391 A KR20170039391 A KR 20170039391A KR 101927612 B1 KR101927612 B1 KR 10192761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luid
- passage
- tip
- nozzle body
- nozz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 B05B1/3405—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to produce swirl
- B05B1/341—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to produce swirl before discharg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in a swirl chamber upstream the spray outle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Landscapes
- Nozzles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과제) 간이화를 유지하며, 유체가 선회류로 되어 균일한 분사 분포 패턴을 형성 가능하게 한다.
(해결수단) 일단측에 토출구를 형성한 통형상의 노즐 본체(1)와 이 노즐 본체 내에 조립된 팁(2)을 구비하고, 노즐 본체의 내주면과 팁의 외주면의 사이에 형성되되 노즐 본체의 타단측에서 토출구 측으로 연장되는 유체통로(FP)를 가지며, 노즐 본체 내로 도입되는 유체를 유체통로(FP)에 의해서 선회류로 하여 토출구에서 분사하는 노즐장치(3)로서, 노즐 본체(1)는 토출구를 일단측에 가짐과 아울러 팁(2)을 내측에 설치하는 통형상부(10)와, 통형상부의 외주부에 형성된 구멍부(19) 및 외주부에 연결되어 유체를 구멍부에서 통형상부 내로 도입 가능하게 하는 접속부(17)를 가지고 있고, 팁(2)은 구멍부(19)에 대향하여 형성된 유체 분기부(28)와, 유체통로(FP)의 팁 측을 구획 형성함과 아울러 유체 분기부에서 좌우방향으로 나눠져 있는 대략 나선형상 내지는 원호형상의 2개의 통로홈(29a, 29b)을 가지고 있다.[PROBLEMS] To maintain simplification and to allow a fluid to form a swirling flow and to form a uniform spray distribution pattern.
(1) and a tip (2) assembled in the nozzle body, wherein the nozzle body (1) is provided between an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nozzle body and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ip, A nozzle device (3) having a fluid passage (FP) extending from the other end side to a discharge port side and injecting fluid introduced into a nozzle body as a swirling flow by a fluid passage (FP) A tubular portion 10 having a discharge port at one end and a tip 2 disposed on the inner side; a hole 19 formed in an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tubular portion; And the tip 2 has a fluid branching portion 28 formed so as to face the hole portion 19 and a fluid branching portion 28 partitioning the tip side of the fluid passage FP and forming a fluid branching portion A substantially helical shape or a circle It has two passage grooves (29a, 29b) of the contour.
Description
본 발명은 유체를 분사하는 노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유체를 유체통로에서 선회류로 형성하는 구성에 매우 적합한 노즐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도 11(a)는 종래의 노즐장치로서 일본국 특허 제2582836호 공보에 개시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 노즐장치는 통(筒)형상의 노즐 본체(10)와 환형상 밀봉부재(20)와 노즐 선단(30)과 과류(過流)부여날개(40)로 이루어진다. 노즐 본체(10)에 있어서, 일단측에는 스프레이 유체원용의 접속수단(11, 12)이 형성되어 있다. 타단측의 원통 내에는 환형상 밀봉부재(20)가 내측에 배치되고, 그 앞측에 노즐 선단(30)이 과류부여날개(40)를 내측에 조립한 상태로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리고, 유체는 일단측 통로부분(14)에서 환형상 밀봉부재(20)의 내측 구멍을 통과하고, 노즐 선단(30)의 확대실(34)의 내주와 과류부여날개(40)의 외주의 사이에 형성되는 유체 유로를 통해서 선회류로 되고, 중간 유로(35)와 오리피스(36)를 통과하고, 부채형상의 출구단부(38)에서 원뿔형으로 분사된다. 이상의 노즐장치는 막힘에 대응 가능하도록 신속 분해식으로 한 것이지만, 노즐 본체(10), 환형상 밀봉부재(20), 노즐 선단(30), 과류부여날개(40)를 필수 부재로 하고 있기 때문에, 부재수가 많고 복잡하여 코스트 저감을 도모하기 어렵다. 그 대책의 예로서 도 11(b), 도 12(b), 도 13(b)의 각 노즐장치는 주된 부재가 2 부재 또는 3 부재로 되어 간이화되어 있다.11 (a) shows a conventional nozzle apparatu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No. 2582836. This nozzle device comprises a
도 11(b)는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것이다. 이 노즐장치는 일단측에 토출구(2)를 형성한 통형상의 노즐 본체(1)와, 노즐 본체의 통 내에 조립된 팁(코어, 선회부재)(7)을 구비하고, 노즐 본체(1)의 내주면과 팁(7)의 외주면의 사이에 형성되되 노즐 본체(1)의 타단측에서 토출구(2)로 향하여 연장되는 대략 나선형상의 유체통로(연통부)(9a, 9b)를 가지며, 노즐 본체 내로 도입되는 유체를 유체통로(9a, 9b)에 의해서 선회류로 하여 토출구(2)에서 분사한다. 부호 8a, 8b는 날개형상의 안내부재이다. 이 구조에서는 노즐 본체의 토출구측의 단면에 토출구에서 교차하는 2개의 홈(6a, 6b)을 형성함으로써, 유체가 토출구에서 분사되는 형상을 직사각형상 분무 패턴으로서 형성 가능하게 한다.Fig. 11 (b) is disclosed in
도 12의 노즐장치(1c)는 특허문헌 2에 개시된 것이다. 이 노즐장치(1c)는 도 1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단측에 오리피스가 형성되는 구멍부(66)를 가진 통형상 노즐 본체(스프레이 노즐)(60)와, 노즐 본체(60)에 연결되며 유입구(64)를 가진 접속 보디(61)와, 접속 보디(61) 내에 배치되어 유입구(64)로부터 이송되는 냉각수에 선회류를 부여하는 팁(베인)(62)을 구비하고 있다. 이 구조에서는, 유입구(64)로 유입된 냉각수가 팁(62)에 의해서 선회하면서 선류실(65)를 통하고, 구멍부(66)에서 집속되면서 도 1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타원형 오리피스를 통해서 전면 타원형의 분사 패턴을 형성한다.The
도 13의 노즐장치(9)는 특허문헌 3에 개시된 것이다. 이 노즐장치(9)는 도 1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물 분사부(34)를 형성하는 물 공급체(35)와, 물 분사부(34)에서 분사된 물을 방사선 형상으로 확산하는 원형상의 물 확산체(36)를 가지고 있다. 물 확산체(36)는 물 분사부(34)와 대향하는 상측벽이 오목곡면형상으로 설정되고, 또 물 공급체(35)의 내부 통수로(37)에 삽입되는 지지 기둥부(38)에 복수의 지지용 리브(39)가 형성되어 있다. 이 구조에서는 도 1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물 살포가 변기(1)의 내면의 외주부로 향해서 방사상으로 퍼져서 그 림부 직하로 뿌려지고, 내면 경사를 따라서 전면을 적시면서 하측으로 흐르게 된다.
The nozzle device 9 of Fig. 13 is disclosed in
이상의 간략화된 노즐장치는 도 11(a)의 구조에 비해서 코스트 저감을 도모하기 쉬운 것이지만 다음과 같은 관점에서 아직 만족할 수 없다.The simplified nozzle device described above is easier to reduce the cost than the structure of Fig. 11 (a), but it can not yet be satisfied from the following viewpoints.
(1) 도 11(b)의 구조에서는 노즐 본체(1)가 외주에 나사부(10)를 가지고 있고, 이 나사부(10)를 이용하여 급수 유닛인 유체를 공급하는 공급관에 접속된다. 도 12(b)의 구조에서는 접속 보디(61)의 외주부를 이용하여 급수 유닛인 유체를 공급하는 공급관에 접속된다. 도 13(b)의 구조에서는 물 공급체(35)의 상류측 부분을 이용하여 급수 유닛인 유체를 공급하는 공급관에 접속된다. 즉, 각 노즐장치는 유체를 장치 내로 도입하는 구성으로서, 장치의 축선상에 배치된 도입구에서 유체를 내부로 도입하기 위해서 주요부가 직선 형상이 된다. 이 때문에, 종래 구조에서는 예를 들면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노즐 케이스(8)에 컴팩트하게 수납하기 어렵고, 또 노즐 케이스(8)의 배치에 대한 설계 자유도가 결여되어 있다. 이것은, 예를 들면 도 12(b)의 접속 보디(61)에 접속부재를 L자형이 되도록 연결하고, 급수 유닛에서 유수를 이 접속부재를 통해서 공급하도록 하면, 번잡화될 뿐만 아니라 유체가 입구측 통로로 난류가 되어 도입되고 유체통로에 의해서 형성되는 선회류, 게다가 토출구에서의 분사 패턴도 안정되지 않고 흐트러지기 쉽기 때문이다.(1) In the structure of Fig. 11 (b), the
(2) 또한, 각 노즐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점에서도 문제가 있다. 우선, 도 11(b)의 구조에서는 예를 들면 팁(7)이 노즐 본체(1) 내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도 12(b)의 접속 보디(61)와 같은 연결부재가 필요하게 된다. 또, 유체가 노즐 본체의 입구측 통로(3d)에서 각 유체통로(연통부)(8a, 8b)로 적극적으로 분기 유입되도록 하는 구성이 결여되어 있기 때문에 안정된 선회를 유지하기 어렵다.(2) Further, there is also a problem in the following points in each nozzle device. 11 (b), a connecting member such as the connecting
마찬가지로, 도 12(b)의 구조에서는, 주된 부재가 노즐 본체(60), 접속 보디(61), 팁(62)의 3 부재로 된 구성이기 때문에 구성 부재가 많다. 또, 유체가 접속 보디(61)의 유입구(64)에서 팁(62)의 각 유체통로로 적극적으로 분기 유입되도록 하는 구성이 결여되어 있기 때문에 안정된 선회를 유지하기 어렵다. 또, 도 13(b)의 구조에서는, 물이 물 분사부(34)에서 물 확산체(36)의 오목곡면에 맞닿아서 도 13(a)의 파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기 내면의 둘레부로 향해서 방사상으로 퍼지고, 내면 경사를 따라서 전면을 적시면서 하측으로 흐르게 된다. 요컨데 물이 물 확산체(36)의 존재에 의해서 물 확산체의 직하에 없는 상태, 즉 분사 패턴이 풀콘(full cone) 형상으로 되지 않고, 호로콘 형상으로 되기 쉽다.Likewise, in the structure of Fig. 12 (b), there are many constituent members since the main member is composed of the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과 같은 과제를 해소하여, 간이화를 유지하며, 유체가 선회류로 되어 균일한 분사 패턴을 확실하게 형성 가능하게 하거나, 예를 들면 노즐 케이스에 수용하는 등의 사용 상태에 있어서 설계 자유도를 확대 가능하게 한다. 또, 범용성의 점에서는 설계 변경을 최소로 억제하여 분사 분포 패턴의 형상 자유도를 조금이라도 확대 가능하게 하는 것에 있다. 다른 목적은 이하의 내용 설명 중에서 분명하게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o provide an ink jet recording head capable of maintaining simplification and capable of reliably forming a uniform jet pattern with a swirling flow of fluid,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increase the degree of design freedom.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uppress the design change to a minimum in view of the versatility and to enlarge the shape freedom degree of the injection distribution pattern at a small degree. Other objectives are made clear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형태의 예를 참조하여 특정하면, 일단(10a)측에 토출구(12)를 형성한 통형상의 노즐 본체(1)와 상기 노즐 본체(1) 내에 조립된 팁(2)을 구비하고, 상기 노즐 본체(1)의 내주면(11)과 상기 팁(2)의 외주면의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노즐 본체(1)의 타단(10b)측에서 상기 토출구(12) 측으로 연장되는 유체통로(FP)를 가지며, 상기 노즐 본체(1) 내로 도입되는 유체를 유체통로(FP)에 의해서 선회류로 하여 상기 토출구(12)에서 분사하는 노즐장치(3)로서, 상기 노즐 본체(1)는 상기 토출구(12)를 일단(10a)측에 가짐과 아울러 상기 팁(2)을 내측에 설치하는 통형상부(10)와, 상기 통형상부(10)의 외주부에 형성된 구멍부(19) 및 상기 외주부에 연결되어 유체를 상기 구멍부(19)에서 상기 통형상부(10) 내로 도입 가능하게 하는 접속부(17)를 가지고 있고, 상기 팁(2)은 상기 구멍부(19)에 대향하여 형성된 유체 분기부(28)와, 상기 유체통로(FP)의 팁(2) 측을 구획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유체 분기부(28)에서 좌우방향으로 나눠져 있는 나선형상 내지는 원호형상의 2개의 통로홈(29a, 29b)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nk cartridge comprising a tubular nozzle body having a discharge port formed at one end thereof, Wherein the tip is provided betwee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nozzle body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ip while the discharge port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nozzle body, A nozzle device (3) having a fluid passage (FP) extending toward the nozzle body (1) and jetting fluid introduced into the nozzle body (1) through the fluid passage (FP) The
이상의 본 발명은 청구항 2∼9에서 특정한 바와 같이 구체화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embodied as specified in
(가)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형상부(10) 및 상기 접속부(17)는 L자형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구성이다(청구항 2).(A) The
(나)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멍부(19)는 상기 접속부(17)의 통로(18)보다도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접속부(17)의 통로(18)는 내경을 점차적으로 축소한 축류부(縮流部)(18a)를 개재하여 상기 구멍부(19)에 연통되어 있는 구성이다(청구항 3).(B) the hole (19) is formed with a smaller diameter than the passage (18) of the connection part (17), and the passage (18) of the connection part (17) And is communicated with the
(다)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형상부(10)의 내주면(11)은 상기 구멍부(19)에 테를 두른 단차(11c)를 가지고 있음과 아울러, 상기 유체 분기부(28)는 일부가 상기 통형상부(10)의 내주면(11) 내지는 상기 단차(11c)에 맞닿은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구성이다(청구항 4). Wherei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11) of the tubular portion (10) has a stepped portion (11c) tapered to the hole portion (19), and the fluid branching portion (28) (11) or the stepped portion (11c) of the tubular portion (Claim 4).
(라)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유체 분기부(28)는 상기 통형상부(10)의 내주면(11) 내지는 상기 단차(11c)에 맞닿는 상하 내지는 양측의 돌기(28a, 28b)와, 상기 양 돌기(28a, 28b)의 사이에 양 돌기(28a, 28b)보다도 낮게 형성되어 상기 단차(11c)에 간극을 유지하고서 대향하고 있는 중간부(28c)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청구항 5).The fluid branching part (28) according to
(마)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팁(2)은 머리부(20)와 상기 머리부(20)에 연결되며 상기 통로홈(29a, 29b)을 주위에 형성하고 있는 원기둥 형상의 축부(25)로 이루어지고, 상기 노즐 본체(1)에 대해서 위치결정수단(4)에 의해서 위치 결정됨과 아울러, 상기 머리부가 상기 통형상부(10)의 타단(10b)측에 걸어맞춤수단(5)에 의해서 걸어 맞춰져서 고정되는 구성이다(청구항 6).The tip (2) according to
(바)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체통로(FP)는, 상기 각 통로홈(29a, 29b)을 같은 단면적에 형성하면, 도 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토출구(12)에서 분사되는 유체의 분사 분포 패턴이 원형형상으로 형성 가능한 구성이다(청구항 7).(F), the fluid passages (FP) are formed so as to have the same cross sectional area as the passage grooves (29a, 29b), as shown in Fig. 8 (a) And the jetting distribution pattern of the fluid can be formed into a circular shape (Claim 7).
(사)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체통로(FP)는, 상기 좌우의 통로홈(29a, 29b)으로서 일방이 타방보다 단면적을 크게 형성하면, 도 8(b) 및 도 8(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토출구(12)에서 분사되는 유체의 분사 분포 패턴이 (토출구의 중심에서 벗어난) 타원형상으로 형성 가능한 구성이다(청구항 8). (B) and Fig. 8 (c), when one of the fluid passageways (29a, 29b) is formed to have a larger cross-sectional area than the other of the fluid passageways (FP) The ejection distribution pattern of the fluid ejected from the
(아) 청구항 1∼8에 있어서, 변기용의 변좌 본체에 조립되어 물 내지는 세정수를 변기 내로 향해서 분사하는 구성이다(청구항 9).
(A) According to the first to eighth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ilet seat is assembled to the toilet seat main body for a toilet so that water or washing water is sprayed toward the toilet bowl (claim 9).
청구항 1의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노즐장치에 대해서 다음과 같은 이점을 가지고 있다.The invention of
(a) 본 발명에서는 주된 부재가 노즐 본체 및 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간이화를 유지할 수 있고, 유체통로가 노즐 본체의 내주면과 팁의 외주면의 사이에 형성되어 노즐 본체 내로 도입되는 유체를 선회류로 하여 토출구에서 분사하기 때문에, 분사 패턴으로서 풀콘 형상, 또는 분사 분포 패턴으로서 원형형상 또는 이것에 유사한 타원형상 등으로 형성하기 용이하게 된다.(a)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main member is composed of the nozzle body and the tip, the fluidization can be maintained, and the fluid passage is formed betwee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nozzle body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ip, It can be easily formed into a full-cone shape as an injection pattern, a circular shape as an injection distribution pattern, or an elliptical shape similar thereto.
(b) 본 발명에서는,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노즐 본체가 통형상부의 주위에 형성된 구멍부를 가지고 있고, 이 구멍부에서 유입되는 유체를 복수의 유체통로로 각각 분기 유입시키도록 하는 유체 분기부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 노즐 구조에서는 부재수를 증가시키는 일 없이 소정 유량의 유체를 유체 분기부에 의해서 각 유체통로로 거의 균등하게 분기 유입할 수 있다.(b) In the present invention, as illustrated in Fig. 3, the nozzle body has a hole portion formed around the tubular portion, and the fluid branching portion, which causes the fluid introduced from the hole portion to branch into the plurality of fluid passages, It has wealth. Therefore, in this nozzle structure, the fluid having a predetermined flow rate can be branched and introduced almost evenly into the respective fluid passages by the fluid branching portion without increasing the number of members.
(c) 환언하면, 본 발명의 노즐 본체는, 토출구를 일단측에 형성함과 아울러 팁을 내측에 설치한 통형상부와, 이 통형상부의 타단측 주위에 연결되어 유체를 통형상부 내로 도입 가능하게 하는 접속부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통형상부에 대한 접속부의 연결각도를 임의로 설정하는 등 설계 자유도를 확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도, 이 노즐장치는 유체를 접속부의 통로에서 통형상부의 구멍부를 통해서 도입하기 때문에, 청구항 3과 같이 구멍부를 접속부의 통로보다 직경을 작게 하는 것만으로 유체가 소경(小徑)의 구멍부에서 통형상부 내로, 또한 각 유체통로에 대해서 부분적인 압력차를 극력 발생시키지 않도록 양호하게 분기 유입 가능하게 된다.(c) In other words, the nozzle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tubular part having a discharge port formed at one end side and a tip provided inside, and a tubular part connected to the other end side of the tubular part to introduce fluid into the tubular part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degree of design freedom by arbitrarily setting the connection angle of the connection portion with respect to the tubular portion. Also in this case, since the nozzle device introduces the fluid through the hole of the tubular portion in the passage of the connecting portion, only by making the hole smaller than the passage of the connecting portion as in
청구항 2의 발명은, 접속부가 통형상부에 대해서 대략 직각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도 7(b)에 예시한 바와 같은 상태로 노즐 케이스에 컴팩트하게 수납할 수 있다. 동시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구멍부가 접속부의 통로보다 직경을 작게 한 구멍부로 되어 있기 때문에, 유체가 구멍부에서 통형상부 내로, 또한 각 유체통로에 대해서 부분적인 압력차를 극력 발생시키지 않도록 더 양호하게 분기 유입 가능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청구항 3의 발명은, 도 4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접속부의 통로가 내경을 점차적으로 축소한 축류부를 개재하여 구멍부에 연통되어 있기 때문에, 유체가 구멍부에서 축류부 및 통형상부 내로 제어되어 유입되고, 또한 각 유체통로로 보다 균등한 압력과 유량으로 분기 유입 가능하게 되며, 이것에 의해서 목적의 분사 분포 패턴이 보다 정밀도 좋게 형성 가능하게 된다.In the invention of
청구항 4의 발명은, 도 4에 예시한 바와 같이, 통형상부의 내주면이 구멍부에 테를 두른 단차를 가지고 있고, 유체 분기부의 일부가 통형상부의 내주면 내지는 단차에 맞닿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구멍부에 대한 유체 분기부, 또한 각 유체통로와의 위치관계를 정밀도 좋게 안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다.4,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ular portion has a stepped portion on the hole portion, and a part of the fluid branching portion is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r step of the tubular portion, The fluid branching portion with respect to the hole portion, and the positional relationship with each fluid passage can be stably and stably maintained.
청구항 5의 발명은, 도 4에 예시한 바와 같이, 유체 분기부가 통형상부의 내주면 내지는 단차에 맞닿는 상하 내지는 양측의 돌기와, 양 돌기의 사이에 위치하여 단차에 간극을 유지하고서 대향하는 중간부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중간부의 폭이나 높이 치수를 결정하는 것만으로 특히 청구항 3이나 청구항 4에 기재한 이점을 보다 확실하게 얻을 수 있게 한다.The invention of claim 5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luid branching section comprises protrusions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r both sides abutting agains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r the step of the tubular section and an intermediate section which is located between the protrusions and faces the gap while maintaining a gap therebetwee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ore reliably obtain the advantage described in
청구항 6의 발명은, 팁을 노즐 본체에 위치 결정하는 위치결정수단 및 걸어 맞춰서 고정하는 걸어맞춤수단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형태의 예와 같이 팁을 원터치 조작에 의해서 노즐 본체의 통 내에 정말도 좋게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claim 6, since the positioning means for positioning the tip to the nozzle body and the engaging means for fastening and fixing the tip are provided, the tip can be assembled in the cylinder of the nozzle body by a on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assemblability.
청구항 7의 발명에서는, 좌우의 유체통로가 각각의 통로홈을 대략 같은 단면적으로 형성하는 것만으로, 도 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토출구에서 분사되는 유체의 분사 분포 패턴으로서 원형형상이 되기 때문에, 다음의 청구항 8과의 구분을 명확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청구항 8의 발명에서는, 좌우의 유체통로가 각각의 통로홈을 일방이 타방보다 단면적을 크게 형성하는 것만으로, 도 8(b) 및 도 8(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토출구에서 분사되는 유체의 분사 분포 패턴으로서 토출구의 중심에서 벗어난 대략 타원형상으로 되기 때문에, 청구항 7과의 구분을 명확화할 수 있다.8 (b) and 8 (c), only one of the right and left fluid passages has a larger cross-sectional area than that of the other fluid passages, The discharge distribution pattern becomes a substantially elliptical shape deviating from the center of the discharge port, so that the distinction from the seventh aspect can be clarified.
청구항 9의 발명에서는, 예를 들면 도 13의 종래의 물 살포 노즐에 대신함으로써, 변기 내면의 결정된 소정 개소를 향해서 보다 적확하게 분사할 수 있어, 오물 부착의 우려를 보다 유효하게 억제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claim 9, for example, by substituting for the conventional water spray nozzle of Fig. 13, it is possible to more accurately spray toward a predetermined position determin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oilet, so that the risk of adherence of dust can be more effectively suppressed.
도 1은 제 1 형태에 관한 노즐장치를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노즐장치의 세부를 나타내며, (a)는 상면도, (b)는 배면도, (c)는 측면도, (d)는 정면도, (e)는 하면도이다.
도 3(a)는 도 2(d)의 A-A선 단면도, 도 3(b)는 노즐 본체만을 단면으로 한 도 2(d)의 A-A선 단면도, 도 3(c)는 마찬가지로 노즐 본체만을 단면으로 한 도 2(d)의 A1-A1선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은 도 3(b)의 X부와 도 3(c)의 X1부를 각각 확대하여 나타내는 작동도, 도 4(c)는 도 6(h)과 같은 단면에서 특히 각 통로홈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해서 모식화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상기 노즐장치를 구성하고 있는 노즐 본체의 세부를 나타내며, (a)는 측면도, (b)는 정면도, (c)는 (a)의 B-B선 단면도, (d)는 (b)의 C-C선 단면도, (e)는 (b)의 D-D선 단면도이다.
도 6은 상기 노즐장치를 구성하고 있는 팁의 세부를 나타내며, (a)는 상면도, (b)는 배면도, (c)는 좌측면도, (d)는 우측면도, (e)는 (a)의 E-E선 단면도, (f)는 (c)의 F-F선 단면도, (g)는 그 G-G선 단면도, (h)는 그 H-H선 단면도이다.
도 7은 상기 노즐장치를 변좌 본체에 조립한 사용예를 나타내며, (a)는 변기, 변좌 본체 및 수류용 탱크를 위에서 본 일부 단면하여 나타내는 모식도, (b)는 변좌 본체에 조립된 노즐장치의 분사 분포 패턴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8(a)는 도 7(b)의 분사 분포 패턴을 K-K선에 대응하여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 도 8(b)는 도 3의 통로홈(B)의 단면적을 통로홈(A)의 단면적보다 크게 한 경우의 분사 분포 패턴을 K-K선에 대응하여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 도 8(c)는 도 3의 통로홈(B)의 단면적을 통로홈(A)의 단면적보다 작게 한 경우의 분사 분포 패턴을 K-K선에 대응하여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이다.
도 9(a)는 상기 팁의 사시도이고, 도 9(b)는 변형예 1로서 상기 팁을 도 9(a)의 사시도에 대응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상기 팁과 노즐 본체의 변형예 2를 도 3(a)에 대응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a)는 일본국 특허 제2582836호 공보에 개시된 종래의 노즐장치의 단면도, 도 11(b)는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노즐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2(a)는 특허문헌 2에 개시된 노즐장치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12(b)는 그 노즐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3(a)는 특허문헌 3에 개시된 노즐장치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13(b)는 그 노즐장치의 단면도이다.1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nozzle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Fig. 2 is a top view, Fig. 2 (b) is a rear view, Fig. 2 (c) is a side view, Fig. 2 (d) is a front view and Fig. 2 (e) is a bottom view.
Fig. 3 (a)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 2 (d), Fig. 3 (b)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2 (d) is a sectional view taken on line A1-A1.
Fig. 4 (a) and Fig. 4 (b) are enlarged views of the X portion of Fig. 3 (b) and the X1 portion of Fig. 3 In particular, 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each channel groove.
Fig. 5 is a side view, Fig. 5 (b) is a front view, Fig. 5 (c)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CC line sectional view, and (e) is a DD line sectional view of (b).
(A) is a top view, (b) is a rear view, (c) is a left side view, (d) is a right side view, (F)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FF of (c), (g)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GG thereof, and FIG.
(A)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toilet seat, the toilet seat main body and the water tank in a partially sectioned manner from the top, and (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nozzle apparatus assembled to the toilet seat main body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pray distribution pattern.
Fig. 8A is a schematic sectional view showing the spray distribution pattern of Fig. 7B corresponding to the line KK, Fig. 8B is a sectional view of the passage groove B of Fig. 3, Fig. 8 (c) is a schematic sectional view showing the spray distribution pattern whe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passage groove B in Fig. 3 is made small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passage groove A KK line of FIG.
Fig. 9 (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ip, and Fig. 9 (b) is a
Fig. 10 is a view showing a modification example 2 of the tip and the nozzle body corresponding to Fig. 3 (a).
Fig. 11 (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nozzle device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No. 2582836, and Fig. 11 (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nozzle device disclosed in
Fig. 12 (a) is a structural view showing a use example of the nozzle device disclosed in
Fig. 13 (a) is a structural view showing a use example of the nozzle device disclosed in
이하, 본 발명의 형태예에 대해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설명에서는 도 1 내지 도 8에 나타낸 형태 및 그 작동을 상세하게 설명한 후, 도 9(b)의 변형예 1과 도 10의 변형예 2를 언급한다.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description,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s. 1 to 8 and the opera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nd then the modified example 1 of Fig. 9 (b) and the modified example 2 of Fig. 10 will be described.
(형태) (shape)
이 노즐장치(3)는, 도 1과 같이 일단(10a)측에 토출구(12)를 형성한 통형상의 노즐 본체(1)와 이 노즐 본체(1)의 통형상 내에 조립된 팁(2)을 구비하고, 노즐 본체(1)의 통형상 내주면(11)과 팁(2)의 외주면의 사이에 형성되되 도 3(b)와 같이 노즐 본체(1)의 타단(10b)측에서 토출구(12)로 향하여 연장되는 대략 나선형상 내지는 원호형상의 유체통로(FP)를 가지며, 노즐 본체(1)의 통 내로 도입되는 물 등의 유체를 유체통로(FP)에 의해서 선회류(旋回流)로 하여 토출구(12)에서 분사 가능하게 한다. 또한, 노즐 본체(1) 및 팁(2)은 양자 모두 합성수지를 이용한 사출 성형품이지만 수지 이외의 것으로 하여도 지장 없다.1, the
중요한 점은, 도 3(b)와 같이 노즐 본체(1)의 타단(10b)측 주위에 연결되어 목적의 유체를 노즐 본체(1)의 통 내로 도입 가능하게 하는 접속부(17)와, 접속부(17)에 대응하여 노즐 본체(1)의 타단(10b)측 주위에 형성된 소경(小徑)의 구멍부(19)와, 팁(2)의 주위에 형성되어 유체통로(FP)의 팁 측을 구획하고 있는 통로홈(29a, 29b)과, 팁(2)에 형성되어 소경의 구멍부(19)로부터 유입되는 유체를 각 유체통로(FP)로 각각 분기하여 유입시키도록 하는 유체 분기부(28)를 구비하고 있다. 이하, 이들 세부를 분명하게 한다.The important point is that the connecting
여기서, 노즐 본체(1)는 도 1과 같이 개략 L자형으로 이루어지며, 원통형의 통형상부(10)와 이 통형상부(10)에 대략 직각으로 연결된 접속부(17)를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 접속부(17)는 목적의 유체를 통형상부(10) 내에 공급 가능하게 하는 통로(18)를 형성하고 있다. 접속부(17)에는 도 7(b)와 같이 공급관(9)에 삽입되었을 때에 빠지기 어렵게 하는 복수의 주회 돌조(17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공급관(9)으로서는 파이프, 호스, 배관, 이것들과 유사한 것이 이용된다.1, the
통형상부(10)의 외주는, 도 1과 같이 일단(10a)측이 장착판부(8a)에 대한 회전 규제가 되는 규제돌기(13) 및 장착수단인 복수의 걸어맞춤편(14)을 가지고 있고, 타단(10b)측이 팁(2)의 머리부(20)를 받아들이는 복수의 편부(片部)(15) 및 팁(2)의 위치를 결정하는 오목부(16)를 가지고 있다. 통형상부(10)의 내주면(11)은, 일단(10a)측이 중심축선을 따르는 토출구(12) 및 토출구(12)로 향해서 점차적으로 직경을 작게 한 축류부(縮流部)(11a)를 가지고 있고, 도 6(a), (b)와 같이 타단(10b)측이 팁(2)의 머리부(20) 및 목부(26)를 받아들이는 도 5(c)와 같이 대경부(11b)와 소경의 구멍부(19)를 중심으로 한 얕은 단차(11c)를 가지고 있다.1, the outer periphery of the
즉, 규제돌기(13)는 일단(10a)의 주위에 돌출되어 있다. 각 걸어맞춤편(14)은 일단(10a)측의 주위에 대략 '〈' 형상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도 3과 같이 최대로 돌출된 정상부(14a)와 하단의 사이가 압접부가 되고, 내측의 간극(14b)의 존재에 의해서 탄성 변형(축소)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규제돌기(13) 및 걸어맞춤편(14)은, 도 1 및 도 7(b)에서 추측되는 바와 같이, 장착판부(8a)에 형성된 장착구멍(8b)에 규제돌기(13) 측을 포함하는 일단측을 삽입한 상태에서, 장착판부(8a)의 상하면을 규제돌기(13)와 걸어맞춤편(14)으로 협지함으로써 장착판부(8a)에 유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장착판부(8a)는 전용의 장착판으로 이루어지는 구성, 또는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노즐장치(3)의 주요부를 수용하는 노즐 케이스(8)의 일부이다.That is, the restricting
각 편부(15)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경(15a)이 팁(2)의 머리부(20)가 끼워 맞춰지는 크기이며, 서로의 사이에 형성된 세로 슬릿(15b)에 의해서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각 편부(15)의 중앙부에는 걸어맞춤구멍(15c)이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다. 각 걸어맞춤구멍(15c)은 도 6(a)와 같이 머리부(20)의 주위에 형성된 대응하는 돌기(24)와 걸어 맞춰진다.As shown in Figs. 2 and 3, each
토출구(12)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체를 유출하는 오리피스이며, 내측에 최소 직경으로 된 둥근 구멍(12a)과, 외측에 부채형상으로 된 경사확대구멍(12b)으로 이루어진다. 분사 각도(θ)는 임의이지만 통상 50도∼120도 정도로 설정된다. 축류부(11a)는 유체가 유체통로(FP)에 의해서 선회류가 형성된 상태로 압축 내지는 축류(縮流)되도록 하여 토출구(12)로 유도된다. 또한, 부호 10c는 일단(10a)의 단면에 대해서 경사확대구멍(12b)의 선단측에 테를 두르도록 돌출된 선단 돌출부이다.The
접속부(17)의 통로(18)는 소경의 구멍부(19)로 향해서 점차적으로 직경을 작게 한 축류부(縮流部)(18a)를 통해서 소경의 구멍부(19)에 접속되어 있다. 소경의 구멍부(19)는 통로(18) 및 통형상부(10)의 내경보다도 작게 형성되어 있다. 단차(11c)는 생략하여도 좋지만, 후술하는 팁(2)의 유체 분기부(28)와 대향하는 개소이고, 유체가 소경의 구멍부(19)에서 통형상부(10) 내로 부드럽게 도입되도록 하거나 이물질이 쌓이기 어렵게 하는데에 있어서 유용하게 된다.The
이것에 대해서, 팁(2)은 도 6(e) 및 도 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머리부(20) 및 이 머리부(20)의 단면에서 돌출된 축부(25)로 이루어지며, 머리부(20) 및 축부(25)의 일부에 형성되되 중심축선 방향으로 연장된 구멍부(21), 구멍부(21)보다 직경이 작은 구멍부(22) 및 구멍부(22)보다 직경이 더 작은 구멍부(22a)가 형성되어 있다. 팁(2)은 각 구멍부(21, 22, 22a)에 의해서 경량화가 도모되어 있다. 머리부(20)의 주위에는 상기한 걸어맞춤구멍(15c)에 걸어 맞춤 가능한 돌기(24)와, 오목부(16)에 끼워 맞춤 가능한 위치결정용 볼록부(23)가 형성되어 있다.6 (e) and 9 (a), the
축부(25)는 머리부(20)의 하측에 형성된 목부(26)와, 목부(26)의 하측에 형성된 턱부(27)와, 턱부(27)의 하측의 축부분에 형성되어 유체통로(FP)를 구획하는 통로홈(29a, 29b) 및 유체 분기부(28)와, 대략 V자형의 선단면(25a)을 일체로 가지고 있다.The
목부(26)에는 밀봉링(R)이 장착된다. 밀봉링(R)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머리부(20)와 턱부(27)의 사이에 위치 규제된 상태에서 노즐 본체(1)의 대경부(11b)의 대응 내주면에 압접됨으로써, 목부(26)와 대경부(11b)의 사이를 밀봉 가능하게 한다. 즉, 밀봉링(R)은 유체가 통로(18), 축류부(18a), 소경의 구멍부(19)를 통해서 통형상부(10) 내로 소정 압력으로 유입되더라도 축부(25)와 대경부(11b)의 사이에서의 액 누수를 방지한다.A seal ring R is mounted on the
유체 분기부(28)는 도 1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로홈(29a, 29b)끼리가 교차하는 개소에 형성되며, 상하의 돌기(28a, 28b) 및 이들 돌기(28a, 28b)끼리의 사이의 중간부(28c)로 이루어진다. 상하의 돌기(28a, 28b)는 도 3(b),(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한 단차(11c) 내지는 내주면(11)에 맞닿아서 유입되는 유체를 좌우의 통로홈(29a, 29b)으로 가이드 한다. 또한, 돌기(28a, 28b)는 편측에만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양측에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중간부(28c)는 돌기(28a, 28b)보다 낮게 형성되어 소경의 구멍부(19)에 대해서 간극을 유지하고 대략 중앙에 대향하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평면형상 또는 완만한 산(山)형상이어도 좋다.As shown in Figs. 1 and 9, the
통로홈(29a) 및 통로홈(29b)은, 축부(25) 중 턱부(27)보다 하측의 축부분의 주위에 형성되되 유체 분기부(28)에서부터 대응하는 선단면(25a)까지 대략 나선형상 내지는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통로홈(29a)은 그 상측이 유체 분기부(28)에 접속되고 그 하측이 일방의 선단면(25a)에 접속된 상태로서, 전체가 대략 나선형상 내지는 원호형상으로 되어 있다. 통로홈(29b)은 그 상단이 유체 분기부(28)에 접속되고 그 하단이 다른 일방의 선단면(25a)에 접속된 상태로서, 전체가 대략 나선형상 내지는 원호형상으로 되어 있다.The
(작동)(work)
이하, 상기 노즐장치(3)에 관해서 그 주된 작동 특징에 대해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main operation characteristics of the
(1) 조립 조작에서는, 팁(2)에 밀봉링(R)을 장착한 후, 노즐 본체(1)의 내부에 팁의 축부(25)를 삽입한다. 삽입 도중에서는 볼록부(23)가 오목부(16)에 끼워 맞춰지도록 팁(2)을 노즐 본체(1)에 대해서 위치 맞춤한다. 이 상태에서 팁(2)을 더 압입하면 고정된다. 즉, 팁(2)은 각 편부(15)의 내경(15a)에 대한 머리부(20)의 끼워 맞춤과 복수의 걸어맞춤구멍(15c)에 대한 각 돌기(24)의 걸어 맞춤, 오목부(16)에 대한 볼록부(23)의 끼워 맞춤과, 대경부(11b)에 대한 밀봉링(R)의 압접에 의해서, 노즐 본체(1)에 대해서 정밀도 좋게 위치 결정되어 고정된다. 이 조립상태에서는 소경의 구멍부(19)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팁(2)의 유체 분기부(28)를 구성하고 있는 상하의 돌기(28a, 28b) 및 중간부(28c)와 대향되게 배치되어 있다.(1) In the assembling operation, after the seal ring R is mounted on the
(2) 도 7은 이상의 노즐장치(3)의 사용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노즐장치(3)는 예를 들면 노즐 케이스(8) 내에 수용됨과 아울러, 노즐 케이스(8)를 구성하고 있는 장착판부(8a)에 대해서 상기한 규제돌기(13) 및 걸어맞춤편(14)에 의한 협지구조에 의해서 유지되어 있다. 노즐 케이스(8)는, 그 일례로서 노즐장치(3)를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기(7)에 이용하는 경우라면, 변좌 본체(7A)의 하면 전방측에 배치된다. 접속부(17)에는 공급관(9)의 대응 단부가 접속되며, 공급관(9)으로부터 물 등의 유체가 통로(18)에 소정 압력으로 공급된다.(2) Fig. 7 schematically shows an example of use of the
(3) 이상의 노즐장치(3)에 있어서, 공급관(9)을 통해서 접속부(17)의 통로(18)에 물 등의 유체가 공급된다. 그러면, 물 등의 유체는 통로(18) 내에서 상류측의 축류부(18a)에 의해서 설계 값까지 축류되면서 소경의 구멍부(19)를 통해 통형상부(10) 내로 이송된다. 그 후, 통형상부(10) 내로 유입된 유체는 소경의 구멍부(19)와 대향하고 있는 유체 분기부(28){즉, 상하의 돌기(28a, 28b) 및 중간부(28c)}의 존재에 의해서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로홈(29a)과 통형상부의 내주면(11)의 사이에 구획되어 있는 유체통로(FP){이하, 통로홈(29a)을 포함하는 유체통로(FP)라 약칭한다}와, 통로홈(29b)과 통형상부의 내주면(11)의 사이에 구획되어 있는 유체통로(FP){이하, 통로홈(29b)을 포함하는 유체통로(FP)라 약칭한다}로 분기되어 유입된다.(3) In the
(4) 환언하면, 소경의 구멍부(19)에서 통형상부(10) 내로 유입된 물 등의 유체는 소경의 구멍부(19)와 대향하고 있는 유체 분기부(28)에 의해서 통로홈(29a)을 포함하는 유체통로(FP)와 통로홈(29b)을 포함하는 유체통로(FP)로 거의 균등하게 2분되어 유입된다. 또한, 도 4(a) 및 도 4(b)에 있어서, 통로홈(29b)을 포함하는 유체통로(FP)는 도 4(a)에서는 지면의 상측에 위치하고, 도 4(b)에서는 지면의 하측에 위치하고 있다. 통로홈(29a)을 포함하는 유체통로(FP)는 도 4(a)에서는 지면의 하측에 위치하고, 도 4(b)에서는 지면의 상측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이 예에서는 물 등의 유체의 흐름으로서 소경의 구멍부(19)에서 통형상부(10) 내로의 흐름을 실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유체 분기부(28)에 의한 분기 후의 흐름으로서, 도 4(a)에서는 통로홈(29b)을 포함하는 유체통로(FP)의 흐름을 실선으로 나타내고, 지면 하측의 통로홈(29a)을 포함하는 유체통로(FP)(도시생략)의 흐름을 파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반대로, 도 4(b)에서는 통로홈(29a)을 포함하는 유체통로(FP)의 흐름을 실선으로 나타내고, 지면 하측의 통로홈(29b)을 포함하는 유체통로(FP)(도시생략)의 흐름을 파선으로 나타내고 있다.The fluid such as water that has flowed into the
즉, 이 예에서는 통형상부(10) 내로 유입된 물 등의 유체가 통로홈(29a)을 포함하는 유체통로(FP)와 통로홈(29b)을 포함하는 유체통로(FP)에 거의 균등하게 2분되기 때문에, 각 유체통로(FP)에서 형성되는 선회류, 또한 각 유체통로(FP)에서부터 토출구(12){즉 토출구(12)의 둥근 구멍(12a)}에 이르기까지 형성되는 선회류를 설계대로의 패턴에 근접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이 노즐장치(3)에서는 도 7 및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은 양호한 분사 분포 패턴을 유지할 수 있고, 분사 각도(θ)나 분사 거리를 설계대로의 값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 작동은 분사 분포 패턴으로서, 종래 노즐장치에서는 생기기 쉬운, 균일성이 흐트러지거나 부분적으로 편향이 생기는 등의 불편을 해소하거나 완화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at is, in this example, the fluid such as water that flows into the
(5) 그런데, 본 발명자들은 이상의 노즐장치(3)에 있어서 각종 시험으로부터 다음과 같은 구성을 알게 되었다. 즉, 노즐장치(3)가 도 7과 같은 사용상태에서는, 분사 분포 패턴은 통로홈(29a, 29b)이 같은 단면적, 즉 A=B이면, 도 8(a)와 같이 토출구(12)를 중심으로 한 원형형상이 된다. 또, 통로홈(29a)의 단면적(A)이 통로홈(29b)의 단면적(B)보다 큰, 즉 A<B이면, 도 8(b)와 같이 중심이 탱크 측으로 벗어난 타원형이 된다. 한편, 통로홈(29a)의 단면적(A)이 통로홈(29b)의 단면적(B)보다 작은, 즉 A>B이면, 도 8(c)와 같이 중심이 변기 전방측으로 벗어난 타원형이 된다.(5)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learned the following configuration from the various tests in the above-described
이러한 현상은 도 7(a)에 예시한 바와 같이, 물 등의 유체를 적용 장치나 기기류에 있어서 특정의 소정 개소에 균일하게 분사하고 싶은 경우에 매우 적합한 것이 된다. 즉, 도 7(a)의 예라면, 변기의 내측 형상이 사양에 따라서 다양하게 변경될 경우, 이것에 따라서 분사 분포 패턴도 탱크(7A) 측으로 조금 벗어난 도 7(a)의 1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타원형으로 하거나, 변기 전방측으로 조금 벗어난 도 7(a)의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타원형으로 바꿔야 하는 경우도 생기게 된다. 이러한 경우는, 지금까지는 그때마다 주로 팁 형상 및 통로홈 형상을 여러 가지로 변화시켜서, 시험을 반복하여 만족시키고 있었기 때문에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었다. 그런데, 이 노즐장치(3)는 좌우의 유체통로(FP)가 각각의 통로홈(29a, 29b)을 일방이 타방보다 단면적을 크게 형성하는 것만으로 도 8(b)나 도 8(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물 등의 유체의 분사 분포 패턴으로서 토출구(12)의 중심으로부터 벗어난 대략 타원형상이 되기 때문에 신속하게 대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설계의 간략화를 도모할 수 있다.This phenomenon is suitable for the case where a fluid such as water is to be uniformly sprayed to a specific predetermined position in an application apparatus or an apparatus as illustrated in Fig. 7 (a). That is, in the case of Fig. 7A, when the inner shape of the toilet is variously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specification, the injection distribution pattern is also slightly shifted toward the
(변형예 1) (Modified Example 1)
도 9(a)는 상기한 팁(2)의 사시도이다. 도 9(b)는 상기 팁(2)의 변형예를 도 9(a)와 같은 형상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변형예 1의 설명에서는 이상의 제 1 형태와 동일 또는 유사한 개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중복된 기재를 극력 생략한다.9 (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도 9(b)의 변형예 1은, 축부(25)에 형성되는 통로홈(29a 및 29b)의 길이를 도 9(a)에 비해서 연장한 일례이다. 즉, 통로홈(29a)은 그 상단이 유체 분기부(28)에 접속되고, 하단이 대응하는 하단면(25a)의 형상을 변경하여 돌기(28b)의 하측으로 더 연장 형성되어 있다. 부호 25b는 그 연장 형성된 통로홈(29a)의 하측에 테를 두른 하연부(下緣部)이다. 마찬가지로, 통로홈(29b)은 상단이 유체 분기부(28)에 접속되고, 하단이 대응하는 하단면(25a)의 형상을 변경하여 돌기(28b)의 하측으로 더 연장 형성되어 있다. 부호 25c는 그 연장 형성된 통로홈(29b)의 하측에 테를 두른 하연부이다.9 (b) is an example in which the length of the
이 변형예 1에서는 특히 통로홈(29a, 29b)의 길이, 더 나아가서는 상기한 단면적을 변경함으로써, 도 8(a)의 분사 분포 패턴을 원형형상에서 예를 들면 도 8(b)나 도 8(c)의 분사 중심이 벗어난 타원형상 등으로 바꿀 수 있다.8 (a) is changed to a circular shape,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8 (b) and 8 (b) by changing the lengths of the
(변형예 2)(Modified example 2)
도 10은 상기한 밀봉링(R) 대신에 밀봉용 플랜지(26a)를 팁(2)에 일체로 형성한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변형예 2의 설명에서도 이상의 제 1 형태와 동일 또는 유사한 개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중복된 기재를 극력 생략한다.Fig. 10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sealing
도 10에 있어서, 팁(2)은 머리부(20) 및 이 머리부(20)의 단면에서 돌출된 축부(25)로 이루어진다. 축부(25)는 머리부(20)의 하측에 위치한 목부(26a)를 가지며, 이 목부(26a)가 제 1 형태의 목부(26)보다도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목부(26a)에는 상하의 빌봉용 플랜지(26b, 26b)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10, the
각 플랜지(26b)는 노즐 본체의 대경부(11b)의 대응 내주에 압접됨으로써 목부(26a)와 대경부(11b)의 사이를 밀봉 가능하게 하며, 유체가 통로(18), 축류부(18a), 소경의 구멍부(19)를 통해서 통형상부(10) 내에 소정 압력으로 유입되더라도 축부(25)와 대경부(11b)의 사이의 액 누수를 방지한다. 이와 같이, 변형예 2에서는 제 1 형태에 비해서 품질을 유지하면서 부품수 및 조립 공정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변형예 2에 있어서, 통로홈(29a)(도시생략) 및 통로홈(29b)은 변형예 1과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분사각도(θ)는 제 1 형태에 비해서 크게 되어 있다.Each of th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노즐장치는 각 청구항에서 특정되는 구성을 구비하고 있으면 되며, 세부는 이 형태 및 변형예를 참고로 하여 더 변경하거나 전개 가능한 것이다. 그 일례로서 걸어맞춤구멍(15c)과 돌기(24)의 걸어맞춤구조에 대해서는 필요에 따라서 다른 걸어맞춤수단으로 변경 가능하다. 장착판부(8a)에 고정하는 설치구조에 대해서도 임의로 변경 가능하다. 용도는 기체, 물, 세정액이나 약액 등의 액체, 유동물을 분사하는 경우에도 매우 적합하고, 또 적용장치나 기기류로서는 변좌 본체 이외에도 어떠한 것에도 적용 가능하다.
As described above, the nozzl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the configuration specified in each claim, and the details can be further modified or expanded by referring to this form and modification example. As an example, the engaging structure of the engaging
1 : 노즐 본체(10은 통형상부, 11a는 축류부)
2 : 팁(20은 머리부, 25는 축부)
3 : 노즐장치
4 : 위치결정수단(16은 위치결정용 오목부, 23은 볼록부)
5 : 걸어맞춤수단(15c는 피걸어맞춤부 또는 걸어맞춤구멍, 24는 걸어맞춤부 또는 돌기)
7 : 변기(7A는 변좌 본체)
8 : 노즐 케이스 9 : 공급관
11 : 내주면(11a는 축류부, 11b는 대경부, 11c는 단차)
12 : 토출구(12a는 둥근 구멍, 12b는 경사확대구멍)
15c : 걸어맞춤구멍(피걸어맞춤부) 17 : 접속부
18 : 통로(18a는 축류부) 19 : 소경의 구멍부(구멍부)
28 : 유체 분기부(28a와 28b는 상하의 돌기, 28c는 중간부)
29a : 통로홈 29b : 통로홈
FP : 유체통로1: nozzle body (10 is a tubular portion, 11a is a vena contracta)
2: Tip (20 is head, 25 is shaft)
3: nozzle device
4: positioning means (16: positioning recess, 23: convex)
5: engaging means (15c is engaged portion or engaging hole, and 24 is engaging portion or projection)
7: Toilet bowl (7A is a toilet seat body)
8: nozzle case 9: supply pipe
11: inner peripheral surface (11a is a vena contracta, 11b is a large-diameter part, 11c is a step)
12: a discharge port (12a is a round hole, 12b is a tilted expansion hole)
15c: engaging hole (engaged portion) 17: connecting portion
18: passage (18a: vena contracta) 19: small diameter hole (hole)
28: fluid branching portions (28a and 28b are upper and lower protrusions, 28c is a middle portion)
29a:
FP: fluid passage
Claims (9)
상기 노즐 본체는 상기 토출구를 일단측에 가짐과 아울러 상기 팁을 내측에 설치하는 통형상부와, 상기 통형상부의 외주부에 형성된 구멍부 및 상기 외주부에 연결되어 유체를 상기 구멍부에서 상기 통형상부 내로 도입 가능하게 하는 접속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팁은 상기 구멍부에 대향하여 형성된 유체 분기부와, 상기 유체통로의 팁 측을 구획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유체 분기부에서 좌우방향으로 나눠져 있는 나선형상 내지는 원호형상의 2개의 통로홈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장치.
And a tip formed in the nozzle body, wherein the nozzle body is formed between an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nozzle body and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ip, and extends from the other end side of the nozzle body toward the discharge port side A nozzle body having a fluid passage which is formed in the nozzle body and injects the fluid introduced into the nozzle body as a swirling flow by the fluid passage and from the discharge port,
Wherein the nozzle body has a tubular portion having the discharge port at one end side and the tip at the inner side, a hole portion formed in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tubular portion, And has a connecting portion for enabling introduction into the semiconductor device,
The tip has a fluid branch portion formed to face the hole portion and two spiral or arcuate passage grooves formed in the tip portion of the fluid passage and divided in the fluid branching portion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Wherein the nozzle unit is a nozzle unit.
상기 통형상부 및 상기 접속부는 L자형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ubular portion and the connecting portion are integrally formed in an L shape.
상기 구멍부는 상기 접속부의 통로보다도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접속부의 통로는 내경을 점차적으로 축소한 축류부(縮流部)를 개재하여 상기 구멍부에 연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hole portion is formed to have a smaller diameter than the passage of the connection portion and the passage of the connection portion is communicated with the hole portion through a condensed flow portion in which the inner diameter is gradually reduced, Device.
상기 통형상부의 내주면은 상기 구멍부에 테를 두른 단차를 가지고 있음과 아울러, 상기 유체 분기부는 구멍부를 통과한 유체가 상기 유체 분기부에서 분기되도록 상기 단차에 맞닿은 상태로 배치되어 유입되는 유체를 좌우의 통로홈으로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ular portion has a stepped portion on the hole portion and the fluid branching portion is dispos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stepped portion so that the fluid having passed through the hole is branched at the fluid branching portion, And the guide groove is guided to the passage groove of the nozzle plate.
상기 유체 분기부는 상기 통로홈 끼리가 교차하는 개소의 상, 하부에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양 돌기의 사이에 양 돌기보다도 낮게 형성되어 상기 단차에 간극을 유지하고서 대향하고 있는 중간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fluid branching portion comprises an intermediate portion having protrusions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portion where the passage grooves cross each other and which is formed to be lower than both protrusions between the protrusions so as to face the protrusions while maintaining a gap therebetween .
상기 팁은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에 연결되며 상기 통로홈을 주위에 형성하고 있는 원기둥 형상의 축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노즐 본체에 대해서 위치결정수단에 의해서 위치 결정됨과 아울러, 상기 머리부가 상기 통형상부의 타단측에 걸어맞춤수단에 의해서 걸어 맞춰져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ip is composed of a head portion and a cylindrical shaft portion which is connected to the head portion and which forms the passage groove around the head portion and which is positioned by the positioning means with respect to the nozzle body, Is engaged with and fixed to the other end side of the portion by the engaging means.
상기 유체통로는, 상기 각 통로홈을 같은 단면적으로 형성하면, 상기 토출구에서 분사되는 유체의 분사 분포 패턴이 원형형상으로 형성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luid passage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such that an ejection distribution pattern of a fluid ejected from the ejection orifice can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when the respective channel grooves are formed in the same cross sectional area.
상기 유체통로는, 상기 좌우의 통로홈으로서 일방이 타방보다 단면적을 크게 형성하면, 상기 토출구에서 분사되는 유체의 분사 분포 패턴이 타원형상으로 형성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luid passage has an elliptical shape of a distribution pattern of the fluid ejected from the ejection port when one of the right and left passage grooves has a larger cross-sectional area than the other.
변기용의 변좌 본체에 조립되어 물 내지는 세정수를 변기 내로 향해서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Wherein the nozzle unit is assembled to the toilet seat main body for a toilet so as to spray water or washing water toward the toilet bow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6-092124 | 2016-04-28 | ||
JP2016092124 | 2016-04-28 | ||
JP2016097042A JP6474162B2 (en) | 2016-04-28 | 2016-05-13 | Nozzle device |
JPJP-P-2016-097042 | 2016-05-13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23228A KR20170123228A (en) | 2017-11-07 |
KR101927612B1 true KR101927612B1 (en) | 2018-12-10 |
Family
ID=60264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39391A KR101927612B1 (en) | 2016-04-28 | 2017-03-28 | Nozzle Device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JP (1) | JP6474162B2 (en) |
KR (1) | KR101927612B1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346711A (en) * | 2001-03-22 | 2002-12-04 | Lechler Gmbh & Co Kg | Two-component spray nozzle |
JP2002370051A (en) * | 2001-06-13 | 2002-12-24 | Ikeuchi:Kk | Attachable and detachable nozzle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617588Y2 (en) * | 1977-10-08 | 1981-04-23 | ||
DE4407779C2 (en) * | 1994-03-09 | 1997-07-31 | Total Feuerschutz Gmbh | Spray nozzle for generating spray mists |
JP4933009B2 (en) * | 2001-09-25 | 2012-05-16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Spray application nozzle |
JP5689604B2 (en) * | 2010-01-29 | 2015-03-25 | 株式会社タカギ | Mist nozzle |
US9051722B2 (en) * | 2011-03-04 | 2015-06-09 | Kohler Co. | Multi-spray bidet |
JP5273287B2 (en) * | 2012-12-26 | 2013-08-28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Toilet equipment |
CN103028503A (en) * | 2013-01-04 | 2013-04-10 | 扬州宏诚冶金设备有限公司 | Square solid nozzle |
-
2016
- 2016-05-13 JP JP2016097042A patent/JP6474162B2/en active Active
-
2017
- 2017-03-28 KR KR1020170039391A patent/KR101927612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346711A (en) * | 2001-03-22 | 2002-12-04 | Lechler Gmbh & Co Kg | Two-component spray nozzle |
JP2002370051A (en) * | 2001-06-13 | 2002-12-24 | Ikeuchi:Kk | Attachable and detachable nozzl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6474162B2 (en) | 2019-02-27 |
JP2017200689A (en) | 2017-11-09 |
KR20170123228A (en) | 2017-11-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865765B2 (en) | Spray gun | |
JP6033773B2 (en) | Static spray mixer | |
KR102187724B1 (en) | Showerhead and bubble generating unit | |
JP4971708B2 (en) | Two-fluid nozzle | |
JP6478105B2 (en) | Two-fluid nozzle | |
US2904263A (en) | Liquid spray nozzle | |
CN104540597A (en) | Full cone air-assisted spray nozzle assembly | |
JP5993371B2 (en) | Static spray mixer | |
KR100741497B1 (en) | Two-Fluid Injection Nozzle | |
JP2005288390A (en) | Two-fluid nozzle and spraying method | |
JP4754785B2 (en) | 2-component spray nozzle | |
KR200404745Y1 (en) | Two-Fluid Injection Nozzle | |
KR101927612B1 (en) | Nozzle Device | |
JP6727538B2 (en) | Water discharge device | |
JP6465836B2 (en) | Nozzle device | |
JPH02119963A (en) | 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ing liquid by gaseous fluid | |
JP6841438B2 (en) | Spray nozzle | |
KR101819613B1 (en) | Device for spraying fluid | |
KR20200029798A (en) | injection devices for fluid | |
US4976467A (en) | Liquid spraying nozzle | |
JP2005103367A (en) | Spraying nozzle | |
JP5834609B2 (en) | Injection nozzle | |
JP2021177811A (en) | Shower nozzle and liquid circulation structure | |
KR102412969B1 (en) | A fine spray nozzle with a simple structure and a disinfection device having the same | |
JP2019042084A (en) | Nozzle and nozzle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