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7465B1 - 치아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시스템 - Google Patents

치아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7465B1
KR101927465B1 KR1020170072438A KR20170072438A KR101927465B1 KR 101927465 B1 KR101927465 B1 KR 101927465B1 KR 1020170072438 A KR1020170072438 A KR 1020170072438A KR 20170072438 A KR20170072438 A KR 20170072438A KR 101927465 B1 KR101927465 B1 KR 1019274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base portion
crown
proximal
abutment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2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우창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72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74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7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74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59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dditional friction enhanc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polygonal positional means, e.g. hexagonal or octagon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9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tapered or conical conne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환자의 턱뼈에 삽입된 픽스츄어 (Fixture) 와 결합되는 치아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시스템으로서, 상기 치아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시스템은 상기 픽스츄어에 삽입되는 베이스부와, 크라운과 결합되는 헤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의 원위측이자 상기 헤드부의 근위측에는 마진부가 형성되고, 상기 마진부에는 홈이 형성되어 있는 치아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치아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시스템{THE ABUTMENT SYSTEM FOR DENTAL IMPLANT}
본 발명은 치아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멘트 (Cement) 접착 타입의 치아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임플란트는 인체조직이 상실되었을 때, 회복시켜 주는 대치물을 의미하며, 특히 치과 분야에서는 인공으로 만든 치아를 이식하는 일련의 시술을 가리킨다.
구체적으로, 상실된 치근(뿌리)을 대신할 수 있도록 인체에 거부반응이 없는 티타늄(titanium) 등으로 만든 치근인 픽스쳐(fixture)를 치아가 빠져나간 치조골에 식립한 뒤, 골 형성을 유도한 후, 픽스쳐에 중간 매개 수단인 어버트먼트를 결합하고, 어버트먼트의 헤드부에 치아 형상으로 제조된 크라운을 고정시켜 치아의 기능을 회복하도록 하는 시술이다.
이 때, 어버트먼트는 어버트먼트와 크라운의 결합 방식에 따라 크게 시멘트 타입 (Cement type) 과 스크류 타입 (Screw type) 의 두 가지로 나뉠 수 있다.
도 1 의 (a) 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멘트 타입은 어버트먼트 (10) 의 헤드부에 접착력을 갖는 치과용 시멘트를 도포한 후 크라운 (11) 을 접착하는 방식으로서, 크라운 (11) 의 상방으로 스크류 홀이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심미적이고 이물질이 잘 끼지 않으며, 가장 향상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타입이다.
도 1 의 (b) 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크류 타입은 어버트먼트 (20) 의 헤드부에 요철을 부여하고 크라운 (21) 제작 시 주조 또는 소성 과정을 통해 양자를 결합하는 방식으로서, 스크류 타입은 크라운 (21) 에 문제가 발생하여 크라운 (21) 을 제거해야 할 때, 쉽게 탈거 및 재부착이 가능한 타입이다.
그러나,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 2015-0094208 호 (2015. 08. 19.) 에서 개시하고 있는 종래의 시멘트 타입 어버트먼트는, 스크류 타입과 달리 크라운 (11) 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에 크라운 (11) 의 탈착이 매우 어렵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구체적으로, 도 2 내지 도 4 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치과용 드릴 (31) 로써, 크라운 (11) 의 일측을 연마하고 삭제하여 제 1 그루브 (G1) 를 형성하고, 이 제 1 그루브 (G1) 를 기준으로 분리된 제 1 크라운 (11a) 과 제 2 크라운 (11b) 을 강제로 탈거 시켜야 한다. 경우에 따라, 2 부분으로 분리된 상태에서도 강제 탈거가 어려우면 제 2 그루브 (G2) 를 형성하여 크라운을 보다 여러 조각으로 분리시킨 후 치과용 툴 (32) 을 이용해 강제 탈거 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시멘트 타입에서의 탈거 작업은 환자의 구강 내에서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작업으로서 치과의 및 환자의 부담이 매우 크고, 탈거 과정 중에 크라운 (11) 의 손상이 수반되므로 한번 탈거 작업이 이루어진 크라운은 재사용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한편, 스크류 타입의 크라운 (21) 은 탈거는 쉽지만 크라운 (21) 의 상방으로 스크류 홀 (22) 이 노출되므로 심미성이 현격하게 떨어지고, 정확한 교합점을 찾기 어려우며 노출된 스크류 홀 (22) 로 인한 여러가지 기능상의 한계를 갖는 단점이 존재하므로, 시멘트 타입과 스크류 타입의 장점을 모두 갖는 새로운 형태의 어버트먼트가 필요하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 2015-0094208 호 (2015. 08. 19.)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심미성이 뛰어나고 치아 대치물로서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면서도, 보수 유지와 크라운 재사용이 가능한 형태의 치아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환자의 턱뼈에 삽입된 픽스츄어 (Fixture) 와 결합되는 치아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시스템으로서, 상기 치아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시스템은 상기 픽스츄어에 삽입되는 베이스부와, 크라운과 결합되는 헤드부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베이스부의 원위측이자 상기 헤드부의 근위측에는 마진부가 형성되고, 상기 마진부에는 홈이 형성되어 있는 치아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시스템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홈은 육안으로 인식이 가능한 구형 또는 다면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시스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근위측에 형성된 베이스부 근위부의 특정 면을 상하방향으로 연장시킨 면에 대해 상기 홈을 정사영 시키면, 상기 홈의 정사영과 베이스부 근위부의 특정 면은 동일한 상하방향 중심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시스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근위측에 형성된 베이스부 근위부의 특정 모서리를 상하방향으로 연장시킨 직선과, 상기 홈의 저면을 수평면에 대해 정사영 시켰을 때, 상기 정사영의 법선이 이루는 평면은 상기 베이스부의 상하방향 중심축을 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시스템일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의한 상기 치아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시스템은, 상기 홈에 정합되게 삽입 가능한 페어링 (Pairing)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시스템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페어링 부재는 플라스틱, 레진 (Resin) 및 왁스 (Wax)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시스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페어링 부재는 상기 홈에 착탈식으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시스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페어링 부재는 상기 홈에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시스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홈의 저면이 근위측으로 하방 경사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시스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홈의 저면이 원위측으로 상방 경사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시스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베이스부의 중심으로 갈수록, 상기 홈의 우측면과 좌측면 사이의 폭이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시스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심미적으로 뛰어나면서도 향상된 내구성을 제공할 수 있고, 사용중 유지 보수가 필요한 경우 크라운을 파쇄하지 않고도 어버트먼트로부터 크라운을 쉽게 분리할 수 있는 치아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분리된 크라운을 재사용 할 수 있어서, 환자의 치료 공백기를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고, 경제적으로도 유리하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의 (a) 는 시멘트 타입의 어버트먼트를 나타내고, 도 1 의 (b) 는 스크류 타입의 어버트먼트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 는 종래의 시멘트 타입의 어버트먼트로부터 크라운을 탈거하기 위해 크라운 일측을 연마하는 것을 나타내는 시술사진이다.
도 3 은 도 2 의 연마에 의해 크라운이 두 부분으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시술사진이다.
도 4 는 도 3 의 두 부분 중에서 일 부분을 추가로 연마하여 홈을 형성한 후 치과용 정으로 탈거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시술사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치아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치아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시스템을 하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치아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시스템을 전방에서 바라본 전측면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치아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시스템을 후방에서 바라본 후측면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치아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시스템을 일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치아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시스템을 상방에서 바라본 상측면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치아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시스템을 하방에서 바라본 하측면도이다.
도 1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치아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시스템에 크라운을 결합하는 사용상태도이다.
도 1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치아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시스템으로부터 크라운을 분리하는 사용상태도이다.
도 14 내지 도 1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홈을 갖는 치아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치아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시스템의 사시도이고,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치아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시스템을 하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치아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시스템을 전방에서 바라본 전측면도이고,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치아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시스템을 후방에서 바라본 후측면도이고, 도 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치아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시스템을 일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이고, 도 10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치아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시스템을 상방에서 바라본 상측면도이고, 도 1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치아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시스템을 하방에서 바라본 하측면도이고, 도 1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치아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시스템에 크라운을 결합하는 사용상태도이며, 도 1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치아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시스템으로부터 크라운을 분리하는 사용상태도이다. 또한, 도 14 내지 도 16 은 삽입되는 부재와 홈이 변화 가능한 형태의 예시이다.
도 5 내지 도1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치아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시스템 (1000) 은 환자의 턱뼈에 삽입된 픽스츄어 (Fixture) 에 삽입되는 베이스부 (110) 와 치아 형태의 크라운 (C) 과 결합되는 헤드부 (120) 를 포함한다.
베이스부 (110) 의 하부이자 환자의 신체로의 식립 방향인 근위 측에는 픽스츄어의 형상에 대응되는 베이스부 근위부 (111) 가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부 근위부 (111) 의 형상은 육각 볼트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헤드부 (120) 는 베이스부 (110) 로부터 식립 방향과 반대 방향인 원위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고, 베이스부 (110) 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헤드부 (120) 의 형상은 원위측으로 갈수록 지름이 줄어드는 기둥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베이스부 (110) 의 원위측이자 헤드부 (120) 의 근위측인 본체 (100) 의 대략 중앙부에는 마진부 (M) 가 형성될 수 있다.
마진부 (M) 는 본체 (100) 전체에서 지름이 가장 큰 단면을 중심으로 근위측으로 갈수록 단면의 지름이 감소되는 구배를 가질 수 있고, 그와 동시에 원위측으로 갈수록 단면의 지름이 감소되는 구배를 가질 수 있다.
마진부 (M) 의 근위측은 픽스츄어 (미도시) 의 상단부에 지지될 수 있고, 원위측은 상부에 결합되는 크라운 (C) 을 지지할 수 있다.
마진부 (M) 는 본체 (100) 전체에서 지름이 가장 큰 단면을 중심으로 근위측으로 전체 길이의 30 % 이하의 구간과 원위측으로 역시 전체 길이의 30 % 이하의 구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마진부 (M) 는 본체 (100) 전체에서 지름이 가장 큰 단면을 중심으로 근위측으로 전체 길이의 20 % 이하의 구간과 원위측으로 역시 전체 길이의 20 % 이하의 구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마진부 (M) 는 본체 (100) 전체에서 지름이 가장 큰 단면을 중심으로 근위측으로 전체 길이의 10 % 이하의 구간과 원위측으로 역시 전체 길이의 10 % 이하의 구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써, 픽스츄어와 크라운 (C) 사이에서 저작운동에 의해 가해지는 치악력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키고 안정적인 치아 대체 능력을 발휘할 수 있다.
마진부 (M) 의 일측에는 본체 (100) 의 중심축 방향으로 함몰된 홈 (130) 이 형성될 수 있다.
홈 (130) 은 저면 (131), 후면 (132), 우측면 (133) 및 좌측면 (134) 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홈 (130) 은 육안으로 인식이 가능한 구형 또는 다면체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치아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시스템 (1000) 의 사용 상태에 대해 설명하면, 홈 (130) 이 플라스틱, 레진 (Resin) 및 왁스 (Wax)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채워진 상태에서 치아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시스템 (1000) 이 하방의 픽스츄어에 결합된다. 그 후, 통상적인 시멘트 타입의 결합 방식에 따라, 헤드부 (120) 에 접착제가 도포된 후, 크라운 (C) 이 결합된다.
이 같은 결합 상태로 환부에 사용되다가, 유지 보수의 요구가 발생하면 홈 (130) 을 채우고 있던 물질을 제거하고 세장형 치과용 툴을 노출된 홈 (130) 에 삽입한 후, 지렛대의 원리로 크라운 (C) 을 탈거시킨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에서 크라운 (C) 은 여러 조각으로 분리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시술 시간이 짧아서 환자와 의사의 부담이 적고 유지 보수가 간편하다.
또한, 크라운 (C) 의 접합 방식은 통상의 시멘트 타입 방식을 유지할 수 있어서, 심미성이 높고 이물질이 잘 끼지 않으며, 가장 향상된 저작 보조 기능을 제공하는 종전 시멘트 타입 어버트먼트의 장점을 그대로 보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홈 (130) 은 상호 이격된 둘 이상의 홈 (130) 일 수 있다.
이로써, 유지 보수의 요구가 발생될 때, 임플란트 부위나 상황에 따라 시술이 가장 간편한 위치의 홈 (130) 을 선택적으로 개방시키고 크라운 (C) 을 더욱 신속하고 간단하게 탈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베이스부 (110) 의 근위측에 형성된 베이스부 근위부 (111) 의 특정 면을 상하방향으로 연장시킨 면에 대해 홈 (130) 을 정사영 시키면, 홈 (130) 의 정사영과 베이스부 근위부 (111) 의 특정 면은 동일한 상하방향 중심선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하방향 중심선은 본체 (100) 의 상하방향 (종방향) 으로 연장된 직선으로서, 베이스부 근위부 (111) 의 특정 면과 같이, 본체 (100) 의 종단면과 평행한 면의 도심을 지나는 직선을 의미한다.
즉, 예를 들어 도 11 에서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본체 (100) 를 하방에서 바라보았을 때, 베이스부 근위부 (111) 의 특정 면의 연직 상방이자, 베이스부 근위부 (111) 의 특정 면의 정 중앙에 정렬되는 위치에 홈 (130) 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베이스부 (110) 의 근위측에 형성된 베이스부 근위부 (111) 의 특정 모서리를 상하방향으로 연장시킨 직선과, 홈 (130) 의 저면 (131) 을 수평면에 대해 정사영 시켰을 때, 정사영의 법선이 이루는 평면은 베이스부 (110) 의 상하방향 중심축을 지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홈 (130) 과 베이스부 근위부 (111) 의 위치관계를 통해, 본체 (100) 의 삽입 과정 중에는 외부에서 관찰이 불가능한 베이스부 근위부 (111) 의 위치가 홈 (130) 을 통해 인식된다.
따라서, 시술자는 치아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시스템 (1000) 이 픽스츄어와 정위치에 정렬되었는지, 픽스츄어에 안착 또는 결합되었는지 여부를 쉽게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치아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시스템 (1000) 은 홈 (130) 에 정합되게 삽입 가능한 페어링 부재 (200) 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페어링 부재 (200) 는 플라스틱, 레진 (Resin) 및 왁스 (Wax)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페어링 부재 (200) 는 저면 (201), 후면 (202), 우측면 (203) 및 좌측면 (204) 을 가질 수 있고, 이들 각 면은 각각 홈 (130) 의 저면 (131), 후면 (132), 우측면 (133) 및 좌측면 (134) 에 정합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크라운 (C) 결합시 유격이 발생되지 않아서 크라운 (C) 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페어링 부재 (200) 는 또한 전면 (210) 과 상면 (211) 을 가질 수 있고, 전면 (210) 과 상면 (211) 은 페어링 부재 (200) 가 홈 (130) 에 삽입된 상태에서 마진부 (M) 의 표면과 단일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본체 (100) 와 페어링 부재 (200) 의 결합 시 마진부 (M) 표면에 불필요한 계단 형상의 부정합면이 발생되지 않는다.
나아가, 페어링 부재 (200) 는 홈 (130) 에 착탈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이 경우, 페어링 부재 (200) 또는 홈 (130) 의 특정 위치를 가압하는 것으로서, 페어링 부재 (200) 를 쉽게 탈거시킬 수 있어서 유지 보수가 더욱 간편하다.
페어링 부재 (200) 는 홈 (130) 에 접착될 수 있다.
이 경우, 페어링 부재 (200) 는 저작 활동 중에 발생되는 다양한 환경에 노출되어도 최초 설치 위치를 유지하며 안정적인 결합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크라운 (C) 탈거 시간이 더욱 단축되어 유지 보수 효율이 크게 향상된다.
이러한 치아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시스템 (1000) 의 사용 상태에 대해 설명하면, 홈 (130) 과 페어링 부재 (200) 가 결합된 상태에서 치아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시스템 (1000) 이 하방의 픽스츄어에 결합된다. 그 후, 통상적인 시멘트 타입의 결합 방식에 따라, 헤드부 (120) 에 접착제가 도포된 후, 크라운 (C) 이 결합된다.
이 같은 결합 상태로 환부에 사용되다가, 유지 보수의 요구가 발생하면 페어링 부재 (200) 를 분리시키고 세장형 치과 용구를 노출된 홈 (130) 에 삽입한 후, 지렛대의 원리로 크라운 (C) 을 탈거시킨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에서 크라운 (C) 은 여러 조각으로 분리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시술 시간이 짧아서 환자와 의사의 부담이 적고 유지 보수가 간편하다.
또한, 크라운 (C) 의 접합 방식은 통상의 시멘트 타입 방식을 유지할 수 있어서, 심미성이 높고 이물질이 잘 끼지 않으며, 가장 향상된 저작 보조 기능을 제공하는 종전 시멘트 타입 어버트먼트의 장점을 그대로 보유할 수 있다.
한편, 홈 (130) 이 복수 개 형성된 경우, 이에 정합하는 페어링 부재 (200) 역시 복수개 형성될 수 있고, 이로써, 임플란트 부위나 상황에 따라 시술이 가장 간편한 위치의 페어링 부재 (200) 를 선택적으로 제거하고 크라운 (C) 을 더욱 신속하고 간단하게 탈거시킬 수 있다.
도 14 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홈 (330) 의 저면 (331) 이 근위측으로 하방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페어링 부재 (400) 는 저면 (401), 후면 (402), 우측면 (403) 및 좌측면 (404) 을 가질 수 있고, 이들 각 면은 각각 홈 (330) 의 저면 (331), 후면 (332), 우측면 (333) 및 좌측면 (334) 에 정합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로써, 지렛대 원리로 크라운 (C) 을 탈거할 때, 치과용 툴이 저면 (331) 에 안정적으로 지지되고 안착됨에 따라, 환자의 잇몸 손상을 예방할 수 있다.
도 15 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홈 (530) 의 저면 (531) 이 원위측으로 상방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페어링 부재 (600) 는 저면 (601), 후면 (602), 우측면 (603) 및 좌측면 (604) 을 가질 수 있고, 이들 각 면은 각각 홈 (530) 의 저면 (531), 후면 (532), 우측면 (533) 및 좌측면 (534) 에 정합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로써, 치과용 툴을 홈 (530) 과 홈 (530) 을 채우는 플라스틱, 레진 또는 왁스 등의 재질 사이에 대해 상방으로부터 개재시켜, 시술자는 홈 (530) 에 채워진 플라스틱, 레진 또는 왁스 등의 제거를 손쉽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6 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부 (110) 의 중심으로 갈수록, 홈 (730) 의 우측면 (733) 과 좌측면 (734) 사이의 폭이 감소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페어링 부재 (800) 는 저면 (801), 후면 (802), 우측면 (803) 및 좌측면 (804) 을 가질 수 있고, 이들 각 면은 각각 홈 (730) 의 저면 (731), 후면 (732), 우측면 (733) 및 좌측면 (734) 에 정합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로써, 치과용 툴을 홈 (730) 과 홈 (730) 을 채우는 플라스틱, 레진 또는 왁스 등의 재질 사이에 대해 측방으로부터 개재시켜, 시술자는 홈 (730) 에 채워진 플라스틱, 레진 또는 왁스 등의 제거를 손쉽게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0 : 치아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시스템
100 : 본체
110 : 베이스부
120 : 헤드부
M : 마진부
130 : 홈
200 : 페어링 부재
C : 크라운

Claims (11)

  1. 환자의 턱뼈에 삽입된 픽스츄어 (Fixture) 와 결합되는 치아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시스템으로서,
    상기 치아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시스템은 상기 픽스츄어에 삽입되는 베이스부와, 크라운과 결합되는 헤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의 원위측이자 상기 헤드부의 근위측에는 마진부가 형성되고,
    상기 마진부에는 홈이 형성되어 있는 치아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육안으로 인식이 가능한 구형 또는 다면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근위측에 형성된 베이스부 근위부의 특정 면을 상하방향으로 연장시킨 면에 대해 상기 홈을 정사영 시키면,
    상기 홈의 정사영과 베이스부 근위부의 특정 면은 동일한 상하방향 중심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근위측에 형성된 베이스부 근위부의 특정 모서리를 상하방향으로 연장시킨 직선과,
    상기 홈의 저면을 수평면에 대해 정사영 시켰을 때, 상기 정사영의 법선이 이루는 평면은 상기 베이스부의 상하방향 중심축을 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시스템은,
    상기 홈에 정합되게 삽입 가능한 페어링 (Pairing)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페어링 부재는 플라스틱, 레진 (Resin) 및 왁스 (Wax)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시스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페어링 부재는 상기 홈에 착탈식으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시스템.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페어링 부재는 상기 홈에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홈의 저면이 근위측으로 하방 경사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홈의 저면이 원위측으로 상방 경사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시스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베이스부의 중심으로 갈수록, 상기 홈의 우측면과 좌측면 사이의 폭이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시스템.
KR1020170072438A 2017-06-09 2017-06-09 치아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시스템 KR1019274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2438A KR101927465B1 (ko) 2017-06-09 2017-06-09 치아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2438A KR101927465B1 (ko) 2017-06-09 2017-06-09 치아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7465B1 true KR101927465B1 (ko) 2018-12-10

Family

ID=64670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2438A KR101927465B1 (ko) 2017-06-09 2017-06-09 치아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746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36395A2 (ko) 2010-09-17 2012-03-22 Kim No Gook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US20120295226A1 (en) 2011-05-16 2012-11-22 Biomet 3I, Llc Temporary abutment with combination of scanning features and provisionalization features
KR101259940B1 (ko) 2011-12-14 2013-05-02 주식회사 덴티스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KR101387573B1 (ko) 2012-06-15 2014-04-23 (주)이비아이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36395A2 (ko) 2010-09-17 2012-03-22 Kim No Gook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US20120295226A1 (en) 2011-05-16 2012-11-22 Biomet 3I, Llc Temporary abutment with combination of scanning features and provisionalization features
KR101259940B1 (ko) 2011-12-14 2013-05-02 주식회사 덴티스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KR101387573B1 (ko) 2012-06-15 2014-04-23 (주)이비아이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06014A1 (en) Dental implant
KR20030089602A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구조
GB2495429A (en) A jig for preparing jaw bone for an implant
JP2004521671A (ja) インプラント支持義歯を設けるための位置決め装置
RU2543036C2 (ru) Соединительный узел, в частности для зубного имплантата
JP6295041B2 (ja) 歯科インプラント用フィクスチャーおよび歯科インプラント
KR102387700B1 (ko) 치과용 임플란트 보철물결합조립체
KR101291754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평행 식립장치 및 임플란트 평행 식립방법
US10709526B2 (en) Dental implant
JP2009526585A (ja) 歯科インプラントと歯科印象採得器具の組立体
KR20140067053A (ko) 치과용 임플란트 - 주문형 교각치 및 임플란트 상사형의 리플리카
KR101307411B1 (ko) 치과용 임플란트
US20180271627A1 (en) Ball-type attachment device for overdentures, and method of producing overdentures to which ball-type attachment is applied
JP2017517304A (ja) 金属人工歯を有する可撤式義歯
KR20130006826U (ko) 오버덴쳐용 마그네틱 어태치먼트 장치
TWI598078B (zh) 用於覆蓋式假牙的齶植體
KR101927465B1 (ko) 치아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시스템
KR20120008672A (ko) 인공치근 및 이를 이용한 의치구조
KR200388933Y1 (ko) 연조직의 깊이에 맞추어 조절할 수 있는 치과용 임플런트
KR200456293Y1 (ko) 원바디형 솔리드 어버트먼트
KR20140105098A (ko) 경사형 임플란트
KR200417745Y1 (ko)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KR200286847Y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구조
CN219306991U (zh) 一种稳定性高的义齿
KR101879550B1 (ko) 구조개선을 통한 조립의 용이성을 향상시킨 임플란트의 어버트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