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7342B1 - 비점오염 저감시설의 여재처리장치 및 이를 구비한 비점오염 저감시설 - Google Patents

비점오염 저감시설의 여재처리장치 및 이를 구비한 비점오염 저감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7342B1
KR101927342B1 KR1020170031864A KR20170031864A KR101927342B1 KR 101927342 B1 KR101927342 B1 KR 101927342B1 KR 1020170031864 A KR1020170031864 A KR 1020170031864A KR 20170031864 A KR20170031864 A KR 20170031864A KR 101927342 B1 KR101927342 B1 KR 1019273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ortion
lower plate
upper plate
point pollution
filtration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1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4939A (ko
Inventor
박영온
곽덕수
Original Assignee
(주)서한기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서한기술공사 filed Critical (주)서한기술공사
Priority to KR1020170031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7342B1/ko
Publication of KR20180104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49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7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73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8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integrally combined with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iltration
    • B01D24/4807Handling the filter cake for purposes other than regenerating
    • B01D24/4823Handling the filter cake for purposes other than regenerating for drying
    • B01D24/483Handling the filter cake for purposes other than regenerating for drying by compres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점오염 저감시설의 여과조에 설치된 여재를 처리하는 비점오염 저감시설의 여재처리장치 및 이를 구비한 비점오염 저감시설에 관한 것으로서, 여과조의 하부에 설치된 하판부와, 여과조의 상부에 설치된 상판부와, 하판부 및 상판부 중 적어도 하나를 승강이동시켜 하판부와 상판부 사이에 여재를 압착하는 압착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과조의 내부에서 승강하는 상판부와 하판부 사이에 여재를 압착하여 세척함으로써, 여재의 세척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세척효율을 향상시키고 세척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비점오염 저감시설의 여재처리장치 및 이를 구비한 비점오염 저감시설{APPARATUS FOR TREATING FILTER MEDIA OF NON POINT POLLUTION DECREASE EQUIPMENT AND NON POINT POLLUTION DECREASE EQUIPMENT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비점오염 저감시설의 여재처리장치 및 이를 구비한 비점오염 저감시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비점오염 저감시설의 여과조에 설치된 여재를 처리하는 비점오염 저감시설의 여재처리장치 및 이를 구비한 비점오염 저감시설에 관한 것이다.
통상, 내리는 빗물이 지하로 스며들고, 일부는 땅위를 흘러 실개천으로 흘러간다. 실개천을 지나 하천으로 흘러들거나 호수로 흘러들고 결국은 바다로 흐른다. 이러한 과정 중에 수증기를 통해 다시 대기 중으로 흘러들어가 빗물이 되어 순환된다. 이러한 물이 순환되는 과정에서 빗물은 공기를 깨끗하게 하고, 도로를 깨끗하게 하여 사람들의 마음도 상쾌하게 만드는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빗물이 오염된 대기와 도로, 주차장 등으로부터 가지고 온 오염물질로 인하여 빗물이 점점 오염되어 하천으로 흘러들어가 하천오염의 주범이 되고, 강우시 물고기 폐사사건의 원인으로 지목되기도 한다.
이러한 오염원을 빗물오염이라고 하고, 특히 비점오염원이라고 하며, 처리하는 시설을 비점오염 저감시설 이라고 한다. 즉, 비점오염원은 건기 시 토지표면에 축적된 유기물, 영양염류, 중금속, 입자상 물질, 각종 유해 화학물질 등과 같은 다양한 오염물질이 강우유출수와 함께 수질 및 토양오염을 일으키는 배출원을 지칭한다.
비점오염저감시설의 종류에는 자연형시설과 장치형시설로 나누어지며, 장치형시설중 여과형시설은 강우유출수를 집수조나 우수관로에서 차집한 후 전처리조에서 침전과정을 거쳐, 여과조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여재를 통과시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처리시설로서, 전처리조와 여과조로 구성된다.
여과형시설의 여재는 입상여재, 섬유상여재 등 다양한 형태의 여재를 사용할 수 있으며, 여과가 지속될수록 여재층이 폐색되어 처리효율이 떨어지고 여과유량도 감소하게 됨에 따라 여재 교체나 역세 등의 처리과정이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여과장치는 강우종료 후 여재를 세척하거나 조내 정체수를 강제 배수할 수 있는 시설이 없어서 주기적으로 세밀하게 관리되지 않으면 여재층이 폐색되어 처리되지 못한 빗물이 그대로 방류되는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현재 여과형시설의 유지관리상 주요사항은 역세척 주기와 준설 횟수 등이다. 하지만 종래의 여과형시설에는 이러한 자동 역세척 설비나 정체수 배제설비가 없을 뿐만 아니라 유지관리 인력과 유지관리비 지원 등이 미비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60567호 (2012년06월28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45692호 (2011년06월30일)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04871호 (2013년01월14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여재의 세척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세척효율을 향상시키고 세척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비점오염 저감시설의 여재처리장치 및 이를 구비한 비점오염 저감시설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여과조의 내부에서 여재들 사이의 교반성능을 용이하게 하여 세척성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압착된 여재의 흡착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비점오염 저감시설의 여재처리장치 및 이를 구비한 비점오염 저감시설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판부와 하판부 사이의 압착시 압착부위를 증가시켜 압착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비점오염 저감시설의 여재처리장치 및 이를 구비한 비점오염 저감시설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압착돌기 사이의 비틀림에 의해 압착성능을 증가시키는 동시에 여재의 세척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비점오염 저감시설의 여재처리장치 및 이를 구비한 비점오염 저감시설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띠형상의 섬유상 여재를 회전시키면서 압착하여 띠형상 여재의 세척성능을 증가시키는 동시에 압착력과 회전력에 의한 비틀림에 의해 여재의 세척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비점오염 저감시설의 여재처리장치 및 이를 구비한 비점오염 저감시설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비점오염 저감시설의 여과조에 설치된 여재를 처리하는 비점오염 저감시설의 여재처리장치로서, 상기 여과조의 하부에 설치된 하판부(10); 상기 여과조의 상부에 설치된 상판부(20); 및 상기 하판부(10) 및 상기 상판부(20) 중 적어도 하나를 승강이동시켜, 상기 하판부(10)와 상기 상판부(20) 사이에 여재를 압착하는 압착구동부(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판부(10)의 하부에 설치되어 교반용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투입부(40); 및 상기 상판부(20)의 상부에 설치되어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 투입부(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공기투입부(40)는, 상기 하판부(10)의 하부에 수평으로 배치된 공급배관; 및 상기 공급배관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이격형성된 공급노즐;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세척수 투입부(50)는, 상기 상판부(20)의 상부에 수평으로 배치된 투입배관; 및 상기 공급배관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이격형성된 분사노즐;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하판부(10)와 상기 상판부(20)는, 이들 사이의 압착부위에 압착돌기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압착구동부(30)는, 상기 하판부(10)와 상기 상판부(20)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압착돌기의 압착위치를 좌우방향으로 변경시키도록 수평구동력을 제공하는 수평구동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수평구동수단은 상기 하판부(10) 및 상기 상판부(20)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된 링크기구를 사용하여 좌우이동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압착구동부(30)에는 상기 하판부(10)와 상기 상판부(20) 사이에 설치된 띠형상의 여재를 회전시키면서 압착하도록 회전구동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기재된 여재처리장치를 구비한 비점오염 저감시설로서, 유입되는 우수로부터 대형 협잡물을 제거하는 협잡물포집망이 설치된 전처리조; 상기 전처리조의 하류에 설치되어, 전처리된 우수를 공급받아 이물질을 여과하는 여과조; 및 상기 여과조의 하류에 설치되어, 여과 처리된 처리수를 배출하기 위해 저장하는 여과수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여과조의 내부에서 승강하는 상판부와 하판부 사이에 여재를 압착하여 세척함으로써, 여재의 세척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세척효율을 향상시키고 세척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공기투입부와 세척수 투입부를 더 구비함으로써, 여과조의 내부에서 여재들 사이의 교반성능을 용이하게 하여 세척성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압착된 여재의 흡착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상판부와 하판부 사이의 접촉부위에 압착돌기를 각각 형성함으로써, 상판부와 하판부 사이의 압착시 압착부위를 증가시켜 압착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압착돌기의 압착위치를 좌우방향으로 변경시키도록 수평구동력을 제공하는 수평구동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압착돌기 사이의 비틀림에 의해 압착성능을 증가시키는 동시에 여재의 세척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하판부와 상판부 사이에 설치된 띠형상의 여재를 회전시키면서 압착하도록 회전구동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띠형상의 섬유상 여재를 회전시키면서 압착하여 띠형상 여재의 세척성능을 증가시키는 동시에 압착력과 회전력에 의한 비틀림에 의해 여재의 세척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비점오염 저감시설의 여재처리장치 및 이를 구비한 비점오염 저감시설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비점오염 저감시설의 여재처리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비점오염 저감시설의 여재처리장치의 공기공급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비점오염 저감시설의 여재처리장치의 압착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비점오염 저감시설의 여재처리장치의 이완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비점오염 저감시설의 여재처리장치의 변동구동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비점오염 저감시설의 여재처리장치의 압착구동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비점오염 저감시설의 여재처리장치 및 이를 구비한 비점오염 저감시설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비점오염 저감시설의 여재처리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비점오염 저감시설의 여재처리장치의 공기공급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비점오염 저감시설의 여재처리장치의 압착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비점오염 저감시설의 여재처리장치의 이완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비점오염 저감시설의 여재처리장치의 변동구동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비점오염 저감시설의 여재처리장치의 압착구동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비점오염 저감시설의 여재처리장치는, 하판부(10), 상판부(20), 압착구동부(30), 공기투입부(40) 및 세척수 투입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비점오염 저감시설의 여과조(120)에 설치된 여재를 처리하는 비점오염 저감시설의 여재처리장치이다.
하판부(10)는, 비점오염 저감시설의 여과조(120)의 하부에 승강하도록 설치된 판부재로서, 처리수나 유입수가 상하로 통과하도록 복수의 타공이 천공된 하부 타공판(11)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판부(10)의 하부 타공판(11)의 상부에는 상판부(20)와 접촉하여 하판부(10)와 상판부(20) 사이에 설치된 유동상 여재(121)를 세척처리하도록 압착하는 하부 압착돌기(12)가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판부(20)는, 비점오염 저감시설의 여과조(120)의 상부에 승강하도록 설치된 판부재로서, 처리수나 유입수가 상하로 통과하도록 복수의 타공이 천공된 상부 타공판(21)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판부(20)의 상부 타공판(21)의 하부에는 상판부(20)와 접촉하여 하판부(10)와 상판부(20) 사이에 설치된 유동상 여재(121)를 세척처리하도록 압착하는 상부 압착돌기(22)가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압착구동부(30)는, 하판부(10) 및 상판부(20) 중 적어도 하나를 승강이동시키는 압착구동수단으로서, 하판부(10)와 상판부(20) 사이에 설치된 유동상 여재(121)를 압착하여 세척처리하게 되며,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승강구동수단(31), 연결부재(32), 링크기구(33) 및 수평구동수단(34)으로 이루어져 있다.
승강구동수단(31)은, 하판부(10) 및 상판부(20)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어 하판부(10) 및 상판부(20) 중 적어도 하나를 승강이동시키는 구동수단으로서, 왕복이동력을 제공하는 실린더와 피스톤 등과 같은 유압기구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부재(32)는, 승강구동수단(31)과 하판부(10) 및 상판부(20) 중 적어도 하나 사이에 연결되는 연결수단으로서, 하판부(10) 및 상판부(20) 중 적어도 하나를 승강이동시키는 승강구동력을 전달하게 된다.
링크기구(33)는, 연결부재(32)의 중간부위에 설치되어 수평방향으로 좌우요동을 제공하는 동작기구로서, 힌지핀을 개재해서 링크부재(33)의 상단과 하단을 서로 요동하도록 지지하게 된다.
수평구동수단(34)은, 하판부(10)와 상판부(20)의 사이에서 하부 압착돌기(12)와 상부 압착돌기(22) 사이의 압착위치를 좌우방향으로 변경시키도록 수평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으로서, 왕복이동력을 제공하는 실린더와 피스톤 등과 같은 유압기구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수평구동수단(34)은, 여과조(120)의 내부에 수평이동이 가능하도록 이격 설치된 하판부(10) 및 상판부(20)에 설치된 링크기구(33)를 개재해서 좌우이동을 유도하게 된다.
또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압착구동부(30)에는 상하로 승강이동하는 동시에 수직회전축을 기준해서 수평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된 하판부(10)와 상판부(20) 사이에 설치된 띠형상의 섬유상 여재(122)를 회전시키면서 압착하도록 회전구동수단(35)이 더 설치되어 있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러한 회전구동수단(35)으로는 회전하도록 설치된 하판부(10)와 상판부(20)를 좌우로 소정각도 회전시키는 스템핑모터 또는 회전각도의 조절이 가능한 서보모터 등과 같이 다양한 회전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공기투입부(40)는,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판부(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여과조(120)에 여재의 교반용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투입수단으로서, 공급배관(41) 및 공급노즐(42)로 이루어져 있다.
공급배관(41)은, 하판부(10)의 하부에 수평으로 배치된 배관부재로서, 외기를 공급하도록 컴프레서 등과 같은 공급수단에 연결되어 외기를 가압하여 공급하는 통로를 형성하게 된다.
공급노즐(42)은, 공급배관(41)의 상방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이격 설치된 노즐부재로서, 고압의 공기를 하판부(10)의 하부에 고르게 분산시켜 여과조(120)의 내부에 삽입된 여재를 교반하여 세척처리하게 된다.
세척수 투입부(50)는, 도 1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판부(20)의 상부에 설치되어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 투입수단으로서, 투입배관(51)과 분사노즐(52)로 이루어져 있다.
투입배관(51)은, 상판부(20)의 상부에 수평으로 배치되거나 하방으로 만곡 형성된 배관부재로서, 여과수조(130)의 처리수 또는 외부의 세척수를 펌핑하는 펌프 등과 같은 공급수단의 하류에 연결되어 세척수의 통로를 형성하게 된다.
분사노즐(52)은, 공급배관(41)의 하방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이격 설치된 노즐부재로서, 고압의 세척수를 상판부(20)의 상부에 고르게 분산시켜 여과조(120)의 내부에 삽입된 여재를 세척처리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여재처리장치를 구비한 비점오염 저감시설은, 전처리조(110), 여과조(120), 여과수조(130), 유입구(140), 유출구(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전처리조(110)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우수로부터 대형 협잡물을 제거하는 협잡물포집망이 설치된 전처리수단으로서, 전처리조(110)에는 협잡물포집망을 설치하여 대형 협잡물을 포집하여 제거하는 협잡물포집수단과 우수에 포함된 유분을 분리하여 제거하는 유수분리수단을 더 포함하여 설치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여과조(120)는, 전처리조(110)의 하류에 설치되어, 전처리된 우수를 공급받아 이물질을 여과하는 여과수단으로서, 유입수의 상향류에 의해 여과처리하게 되며 내부에는 유동상 여재 또는 섬유상 여재 등과 같이 다양한 여재가 설치되어 유입수를 여과처리하게 된다.
여과수조(130)는, 여과조(120)의 하류에 설치되어 여과조(120)에서 여과 처리된 처리수를 배출하기 위해 저장하는 저장수단으로서, 처리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전에 일시적으로 저장하여 처리수에 남아 있는 미세한 이물질을 침전시키게 된다.
유입구(140)는, 전처리조(110)의 상류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우수를 유입시키는 유입수단으로서, 유입펌프와 유입배관 등을 개재해서 우수가 저장된 저수조 등과 같은 우수 수집수단으로부터 유입수를 유입시키게 된다.
유출구(150)는, 여과수조(130)의 하류에 설치되어 외부로 처리수를 유출시키는 유출수단으로서, 유출펌프와 유출배관 등을 개재해서 처리수가 저장된 여과수조(130)로부터 처리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제어부(160)는, 비점오염 저감시설의 상부 일방에 설치되어 각종 설비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으로서, 전처리조(110), 여과조(120), 여과수조(130) 등에 설치된 각종 펌프나 밸브를 제어하여 유입수의 여과처리 운전 및 여재의 역세척처리 운전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운전을 가능하게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여과조의 내부에서 승강하는 상판부와 하판부 사이에 여재를 압착하여 세척함으로써, 여재의 세척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세척효율을 향상시키고 세척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공기투입부와 세척수 투입부를 더 구비함으로써, 여과조의 내부에서 여재들 사이의 교반성능을 용이하게 하여 세척성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압착된 여재의 흡착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상판부와 하판부 사이의 접촉부위에 압착돌기를 각각 형성함으로써, 상판부와 하판부 사이의 압착시 압착부위를 증가시켜 압착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압착돌기의 압착위치를 좌우방향으로 변경시키도록 수평구동력을 제공하는 수평구동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압착돌기 사이의 비틀림에 의해 압착성능을 증가시키는 동시에 여재의 세척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하판부와 상판부 사이에 설치된 띠형상의 여재를 회전시키면서 압착하도록 회전구동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띠형상의 섬유상 여재를 회전시키면서 압착하여 띠형상 여재의 세척성능을 증가시키는 동시에 압착력과 회전력에 의한 비틀림에 의해 여재의 세척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0: 하판부 20: 상판부
30: 압착구동부 40: 공기투입부
50: 세척수 투입부

Claims (9)

  1. 비점오염 저감시설의 여과조에 설치된 여재를 처리하는 비점오염 저감시설의 여재처리장치로서,
    상기 여과조의 하부에 설치된 하판부(10);
    상기 여과조의 상부에 설치된 상판부(20); 및
    상기 하판부(10) 및 상기 상판부(20) 중 적어도 하나를 승강이동시켜, 상기 하판부(10)와 상기 상판부(20) 사이에 여재를 압착하는 압착구동부(30);를 포함하고,
    상기 하판부(10)와 상기 상판부(20)는, 이들 사이의 압착부위에 압착돌기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압착구동부(30)는,
    상기 하판부(10)와 상기 상판부(20)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어 하판부(10) 및 상판부(20) 중 적어도 하나를 승강이동시키는 승강구동수단;
    상기 승강구동수단과 상기 하판부(10) 및 상기 상판부(20) 중 적어도 하나 사이에 연결되는 연결부재;
    상기 하판부(10)와 상기 상판부(20)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압착돌기의 압착위치를 좌우방향으로 변경시키도록 수평구동력을 제공하는 수평구동수단; 및
    상기 연결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수평구동수단에 의해 상기 압착돌기의 압착위치를 좌우방향으로 변경시키도록 유도하는 링크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 저감시설의 여재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판부(10)의 하부에 설치되어 교반용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투입부(40); 및
    상기 상판부(20)의 상부에 설치되어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 투입부(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 저감시설의 여재처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투입부(40)는,
    상기 하판부(10)의 하부에 수평으로 배치된 공급배관; 및
    상기 공급배관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이격형성된 공급노즐;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 저감시설의 여재처리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 투입부(50)는,
    상기 상판부(20)의 상부에 수평으로 배치된 투입배관; 및
    상기 투입배관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이격형성된 분사노즐;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 저감시설의 여재처리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구동부(30)에는 상기 하판부(10)와 상기 상판부(20) 사이에 설치된 띠형상의 여재를 회전시키면서 압착하도록 회전구동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 저감시설의 여재처리장치.
  9. 제 1 항에 기재된 여재처리장치를 구비한 비점오염 저감시설로서,
    유입되는 우수로부터 대형 협잡물을 제거하는 협잡물포집망이 설치된 전처리조;
    상기 전처리조의 하류에 설치되어, 전처리된 우수를 공급받아 이물질을 여과하는 여과조; 및
    상기 여과조의 하류에 설치되어, 여과 처리된 처리수를 배출하기 위해 저장하는 여과수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 저감시설.
KR1020170031864A 2017-03-14 2017-03-14 비점오염 저감시설의 여재처리장치 및 이를 구비한 비점오염 저감시설 KR1019273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1864A KR101927342B1 (ko) 2017-03-14 2017-03-14 비점오염 저감시설의 여재처리장치 및 이를 구비한 비점오염 저감시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1864A KR101927342B1 (ko) 2017-03-14 2017-03-14 비점오염 저감시설의 여재처리장치 및 이를 구비한 비점오염 저감시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4939A KR20180104939A (ko) 2018-09-27
KR101927342B1 true KR101927342B1 (ko) 2018-12-10

Family

ID=63719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1864A KR101927342B1 (ko) 2017-03-14 2017-03-14 비점오염 저감시설의 여재처리장치 및 이를 구비한 비점오염 저감시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734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1960B1 (ko) * 2019-10-25 2020-02-27 이훈정 구동챔버 변동형 여과방식을 이용한 역세척자동화 비점오염저감시스템
KR20210057500A (ko) * 2019-11-12 2021-05-21 안경일 압축성 여재의 여과 효율 상승을 위한 에어 스프링을 포함하는 비점오염 저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53888B (zh) * 2018-10-10 2022-05-31 安徽震和堂药业有限公司 一种中草药饮片制造清洗装置
KR102199644B1 (ko) * 2020-07-13 2021-01-07 (주) 한국엔피기술 유동상 필터층에서의 압밀 및 이완 기술을 구성한 비점오염원처리시스템
KR102288895B1 (ko) * 2020-12-22 2021-08-11 (주) 한국엔피기술 유동상 필터층에서의 압밀 및 이완 기술을 구성한 비점오염원처리시스템
KR102479290B1 (ko) * 2021-07-12 2022-12-20 케이원에코텍 주식회사 빗물저류탱크와 결합된 우수정화시스템
CN113957981A (zh) * 2021-09-22 2022-01-21 滁州方大矿业发展有限公司 一种矿业用具有自清理机构的防尘池
KR102528901B1 (ko) * 2022-07-05 2023-05-08 주식회사 청우엔지니어링 친환경 도시 하수 처리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20031B2 (ja) * 2001-08-31 2011-11-24 株式会社荒木鉄工 分散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20031B2 (ja) * 2001-08-31 2011-11-24 株式会社荒木鉄工 分散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1960B1 (ko) * 2019-10-25 2020-02-27 이훈정 구동챔버 변동형 여과방식을 이용한 역세척자동화 비점오염저감시스템
KR20210057500A (ko) * 2019-11-12 2021-05-21 안경일 압축성 여재의 여과 효율 상승을 위한 에어 스프링을 포함하는 비점오염 저감 장치
KR102304971B1 (ko) * 2019-11-12 2021-09-24 안경일 압축성 여재의 여과 효율 상승을 위한 에어 스프링을 포함하는 비점오염 저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4939A (ko) 2018-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7342B1 (ko) 비점오염 저감시설의 여재처리장치 및 이를 구비한 비점오염 저감시설
KR101702836B1 (ko) 자체 세정기능을 갖는 스크린이 구비된 비점오염정화장치
US7704382B2 (en) Gravity type fiber filter
KR101136385B1 (ko) 초기 우수 처리장치 및 초기 우수 처리방법
KR101759931B1 (ko) 경량 여재식 다단 습지여상
CN204601822U (zh) 一种具有螺旋提砂机的活性砂过滤器
KR101878395B1 (ko) 강우수 정화장치
US4944887A (en) Regenerative diatomaceous earth filter
CN209361971U (zh) 一种能够防止堵塞的前置过滤器
CN208980447U (zh) 污水过滤箱
KR101698590B1 (ko) 무동력 비점오염 처리장치
CN104208941A (zh) 一种纤维转盘滤池
JP6544525B2 (ja) 逆流洗浄装置移動型ろ過装置、逆流洗浄装置、逆流洗浄方法
CN207237393U (zh) 一种带反冲洗功能的水处理系统
CN208815647U (zh) 一种用于水利工程的水利管道
CN103111104B (zh) 一种油田污水过滤装置
CN105461180A (zh) 一种富营养化水体水质净化一体化装置及其方法
KR20120101987A (ko) 압착섬유 여과장치
CN107081001A (zh) 一种纤维滤盘过滤系统
CN107235522A (zh) 一种工业废水处理装置
CN108245949A (zh) 一种带有预过滤功能的过滤系统及其工作方法
KR20190081454A (ko) 여재 세정형 다단 습지여상
CN104402137B (zh) 上流式混凝布滤装置及方法
CN204275631U (zh) 一种雨污水全自动过滤器
CN112707455A (zh) 一种污水粗过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