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7134B1 - 히터 및 그를 포함하는 전기 가열식 흡연 장치 - Google Patents

히터 및 그를 포함하는 전기 가열식 흡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7134B1
KR101927134B1 KR1020170080611A KR20170080611A KR101927134B1 KR 101927134 B1 KR101927134 B1 KR 101927134B1 KR 1020170080611 A KR1020170080611 A KR 1020170080611A KR 20170080611 A KR20170080611 A KR 20170080611A KR 101927134 B1 KR101927134 B1 KR 1019271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element
heater
weight
particles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0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진
Original Assignee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080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71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7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71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24F47/008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20Devices using sol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6Inhaling appliances shaped like cigars, cigarettes or pip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10Heater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 H05B3/12Heater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6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related to heating or cooling
    • A61M2205/3653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related to heating or cooling by Joule effect, i.e. electric resistanc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02Heaters using a particular layout for the resistive material or resistive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저전력으로 발생되는 높은 발열량으로 고체형 담배를 신속하게 가열시키는 히터 및 그를 포함하는 전기 가열식 흡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히터는 고체형 담배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관 형태를 가지며, 전원을 인가받아 발열하는 나노탄소입자 기반의 복수의 면상 발열체를 구비하는 발열체 필름과, 발열체 필름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을 둘러싸는 금속박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히터 및 그를 포함하는 전기 가열식 흡연 장치{Heater and smoking apparatus of electric heating typ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고체형 전자 담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저전력으로 발생되는 높은 발열량으로 고체형 담배를 신속하게 가열시키는 히터 및 그를 포함하는 전기 가열식 흡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연소형 담배는 라이터, 성냥 등의 점화를 통한 연소에 의해서 연기를 흡입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연소형 담배는 타르, 중금속 등의 많은 양의 유해물질을 흡입하게 된다.
최근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전기 가열에 의해서 담배(이하 '고체형 담배"라고 함)를 찌는 형태의 고체형 전자 담배가 소개되고 있다. 고체형 전자 담배는 연소형 담배에 비해서 타르, 중금속 등의 유해물질을 흡입을 낮출 수 있고, 동시에 연기 없이 증기를 통해서 흡연하는 담배이다.
이러한 고체형 전자 담배를 즐기기 위해서는 전용 전자기기인 전기 가열식 흡연 장치가 필요하다. 전기 가열식 흡연 장치는 고체형 담배를 찌는데 필요한 히터를 포함한다.
기존의 전기 가열식 흡연 장치의 히터로는 가열 블레이드 또는 금속 에칭형 필름 히터가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가열 블레이드 또는 금속 에칭형 필름 히터의 금속 구조물을 고체형 담배를 찌는데 필요한 온도까지 가열하는 데 많은 시간과 전력이 소모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히터의 전력 소모가 크기 때문에, 기존의 전기 가열식 흡연 장치로는 고체형 담배 2대 이상을 연속으로 피우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655716호(2016.09.01. 등록)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저전력으로 발생되는 높은 발열량으로 고체형 담배를 신속하게 가열시키는 히터 및 그를 포함하는 전기 가열식 흡연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고체형 담배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관 형태를 가지며, 전원을 인가받아 발열하는 나노탄소입자 기반의 복수의 면상 발열체를 구비하는 발열체 필름; 및 상기 발열체 필름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을 둘러싸는 금속박판;을 포함하는 전기 가열식 흡연 장치용 히터를 제공한다.
상기 발열체 필름은, 관 형태의 베이스 기판; 상기 베이스 기판의 일면에 형성된 전극 배선 패턴; 상기 베이스 기판 일면의 상기 전극 배선 패턴에 연결되게 나노탄소입자 기반의 발열체 조성물을 인쇄하여 형성되며, 상기 전극 배선 패턴으로 전원을 인가받아 발열하는 상기 복수의 면상 발열체; 및 상기 복수의 면상 발열체가 형성된 상기 베이스 기판의 일면을 덮는 덮개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열체 필름은, 상기 베이스 기판이 안쪽에 위치하고, 상기 덮개 필름은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금속박판은, 상기 전극 배선 패턴이 형성된 베이스 기판의 일면에 반대되는 타면에 접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히터는 상기 덮개 필름을 덮는 단열 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속박판은 상기 덮개 필름 위에 접합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면상 발열체는, 탄소나노튜브 입자 및 그라파이트 입자를 포함하는 전도성 입자; 및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폴리비닐 아세탈 및 페놀계 수지를 포함하거나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폴리비닐 아세탈 및 페놀계 수지를 포함하는 혼합 바인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면상 발열체는 복수의 열로 배열되며, 상기 전극 배선 패턴에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면상 발열체는 굴곡진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면상 발열체는 굴곡진 부분의 곡률 반경은 2cm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전극 배선 패턴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며, 전원을 인가받는 한 쌍의 전극 패드; 및 상기 한 쌍의 전극 패드에 각각 연결되어 연장되며, 복수의 면상 발열체가 병렬로 연결되는 한 쌍의 전극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극 배선 패턴에 DC 3 내지 3.7V가 인가되는 경우, 상기 면상 발열체가 형성된 한 쌍의 전극 단자 간의 거리는 4mm 내지 6.5mm 일 수 있다.
상기 전극 배선 패턴 및 상기 금속박판의 소재는 알루미늄, 구리, 니켈, 스테인리스 스틸, 황동 또는 이들의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관 형태의 베이스 기판; 상기 베이스 기판의 일면에 형성된 전극 배선 패턴; 상기 베이스 기판 일면의 상기 전극 배선 패턴에 연결되게 나노탄소입자 기반의 발열체 조성물을 인쇄하여 형성되며, 상기 전극 배선 패턴으로 전원을 인가받아 발열하는 복수의 면상 발열체; 상기 복수의 면상 발열체가 형성된 상기 베이스 기판의 일면을 덮는 덮개 필름; 및 상기 베이스 기판의 일면에 반대되는 타면 또는 상기 덮개 필름 위에 접합된 금속박판;을 포함하는 전기 가열식 흡연 장치용 히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전원을 인가받아 발열하는 나노탄소입자 기반의 복수의 면상 발열체를 구비하는 발열체 필름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 금속박판을 접합하는 단계; 및 상기 금속박판이 접합된 발열체 필름을 고체형 담배의 일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관 형태로 말아서 양단부를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 가열식 흡연 장치용 히터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금속박판을 접합하는 단계는, 상기 히터의 내측면으로 형성된 발열체 필름의 하부면에 금속박판을 접합하는 단계; 및 상기 히터의 외측면으로 형성된 발열체 필름의 상부면에 단열필름을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고체형 담배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관 형태를 가지며, 전원을 인가받아 발열하는 나노탄소입자 기반의 복수의 면상 발열체를 구비하는 발열체 필름, 및 상기 발열체 필름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에 접합된 금속박판을 구비하는 히터;를 포함하는 전기 가열식 흡연 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가열식 흡연 장치는, 상기 히터에 부착되어 온도를 측정하여 전달하는 온도 센서; 및 상기 온도 센서로부터 전달받은 온도를 기반으로 히터의 온/오프를 PWM(pulse width modulation) 방식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히터는 전극 배선 패턴과, 저전압이 구동이 가능한 면상 발열체를 구비하는 발열체 필름을 포함하기 때문에, 저전력으로 높은 발열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면상 발열체는 탄소 입자와 혼합 바인더를 포함하는 도료 형태의 발열체 조성물로 형성하기 때문에, 비저항이 낮고 열전도율이 우수해 저전압 구동에 유리하고 승온 속도가 빠른 장점이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히터는 고체형 담배를 신속하게 가열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히터는 3~4V의 저전압에서도 300 내지 440℃ 정도의 높은 발열량을 순간적으로 발생시키면서 4W 내외의 낮은 전력 소모량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히터를 포함하는 전기 가열식 흡연 장치는 PWM(pulse width modulation) 제어를 통해서 히터를 안정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히터는 굴곡을 갖도록 형성된 면상 발열체를 포함하기 때문에, 관 형태로 말았을 때 발열체 필름과 금속박판의 접촉 면적을 높일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히터는 전력 소모량, 열전달 손실 및 제조 원가를 줄일 수 있고, 금속박판의 열용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히터는 고체형 담배가 삽입될 수 있도록 관 형태로 구현되기 때문에, 고체형 담배를 거치할 구조물을 별도로 제작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에 따른 히터는 관 형태의 발열체 필름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에 금속박판을 열간 압착을 통해서 접합함으로써, 발열체 필름에서 발생된 열이 금속박판으로 전달되는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열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체형 전자 담배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 가열식 흡연 장치용 히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3-3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5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히터의 제조 방법에 따른 각 단계들을 보여주는 도면들로서,
도 5는 일면에 금속층이 형성된 베이스 기판을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6-6선 단면도이고,
도 7은 금속층을 패터닝하여 전극 배선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8은 발열체 조성물을 인쇄하여 복수의 면상 발열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9-9선 단면도이고,
도 10은 전극 배선 패턴 및 복수의 면상 발열체를 덮도록 덮개 필름을 합지하는 발열체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를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11은 베이스 기판의 타면에 금속박판을 접합하는 단계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12는 금속박판이 접합된 면이 안쪽면을 향하도록 발열체 필름을 관 형태로 마는 단계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베이스 기판 스트립 상에 형성된 단위 발열체 필름들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히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히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히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히터의 발열체 필름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8은 제1 실험예에 따른 발열체 필름의 유닛 셀에 DC 3V 인가 시의 발열거동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9는 도 18의 발열체 필름의 유닛 셀에 DC 3V 인가 시의 열화상 이미지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20은 제1 실험예에 따른 발열체 필름에 DC 3.7V 인가 시의 열화상 이미지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21은 제2 실험예에 따른 발열체 필름에 DC 3.7V 인가 시의 열화상 이미지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는 범위에서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체형 전자 담배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고체형 전자 담배(100)는 고체형 담배(95)와 전기 가열식 흡연 장치(90)를 포함한다. 고체형 전자 담배(100)는 기존의 액상 니코틴을 사용하는 액상형 전자 담배와는 다르게 스틱 형태의 고체형 담배(95)를 전기 가열식 흡연 장치(90)에 꽂아 전기로 가열하여 사용하는 전자 담배이다.
고체형 담배(95)는 일반적인 연소형 담배와 유사한 형태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가열식 흡연 장치(90)는 전기 가열에 의해서 고체형 담배(95)를 찌는 히터(80)를 포함하며, 온도 센서(91)와 제어부(9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히터(80)는 양쪽이 개방된 관 형태를 가지며, 한 쪽에 고체형 담배(95)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삽입구(81)를 구비한다. 삽입구(81)의 반대쪽에 고체형 담배(95)의 가열에 의해 발생된 에어로졸을 배출하는 배출구(83)가 형성되어 있다. 도시하진 않았지만 배출구(83)는 전기 가열식 흡연 장치(90)의 흡입구에 연결된다. 사용자는 전기 가열식 흡연 장치(90)의 흡입구를 통하여 에어로졸을 흡입할 수 있다.
이러한 히터(80)는 발열체 필름(10)과 금속박판(60)을 포함한다. 발열체 필름(10)은 전원을 인가받아 발열하는 나노탄소입자 기반의 복수의 면상 발열체를 구비한다. 금속박판(60)은 발열체 필름(10)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에 접합되어 발열체 필름(10)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을 둘러싼다. 도 1에서는 금속박판(60)이 발열체 필름(10)의 내측면에 접합된 예를 개시하였다.
온도 센서(91)는 히터(80)에 부착되어 온도를 측정하여 제어부(93)로 전달한다. 온도 센서(91)로는 K-타입의 온도 센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제어부(93)는 온도 센서(91)로부터 전달받은 온도를 기반으로 히터(80)의 온/오프를 제어한다. 즉 제어부(93)는 삽입구(81)로 삽입된 고체형 담배(95)로 적정 온도의 열을 전달할 수 있도록, 온도 센서(91)로부터 전달받은 온도를 기반으로 히터(80)의 온/오프를 제어한다. 제어부(93)는 삽입구(81)에서 고체형 담배(95)에서 분리되면, 히터(80)를 오프시킨다.
이때 제어부(91)는 히터(80)의 온/오프를 PWM(pulse width modulation) 방식으로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PWM 방식이란 펄스 변조 방식의 하나로, 변조 신호의 크기에 따라서 펄스의 듀티비를 변화시켜 제어하는 방식을 말한다. 즉 PWM 제어는 듀티비를 조절함으로써 제어값을 조정하게 되며, 펄스 신호의 듀티비가 변함으로써 이 펄스 신호의 평균값이 변하게 되고 이러한 평균값을 제어 신호값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제어부(91)는 PWM 방식의 제어를 통하여, 히터(80)로 발생시킬 수 있는 온도 범위 중 고체형 담배(95)를 가열할 수 있는 적정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히터(80)를 온/오프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가열식 흡연 장치(100)는 PWM 제어를 통해서 히터(80)를 안정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진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고체형 담배(95)는 히터(80)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한다. 전원 공급부로는 일차전지 또는 이차전지가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가열식 흡연 장치(100)에 사용되는 히터(80,180,280,380)에 대해서 도 2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히터(80)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3-3선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3의 "A"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히터(80)는 고체형 담배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삽입구(81)가 형성된 관 형태를 가지며, 발열체 필름(10)과 금속박판(60)을 포함한다. 즉 관 형태로 형성된 발열체 필름(10)의 내측면에 금속박판(60)이 접합된 구조를 갖는다.
발열체 필름(10)은 베이스 기판(20), 전극 배선 패턴(30), 복수의 면상 발열체(40) 및 덮개 필름(50)을 포함하며, 관 형태를 갖는다. 베이스 기판(20)은 전극 배선 패턴(30), 복수의 면상 발열체(40) 및 덮개 필름(50)을 형성할 수 있는 기저층이다. 전극 배선 패턴(30)은 베이스 기판(20)의 일면에 형성되며,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면상 발열체(40)는 베이스 기판(20) 일면의 전극 배선 패턴(30) 위에 나노탄소입자 기반의 발열체 조성물을 인쇄하여 형성되며, 전극 배선 패턴(30)으로 전원을 인가받아 발열한다. 그리고 덮개 필름(50)은 복수의 면상 발열체(40)가 형성된 베이스 기판(20)의 일면을 덮는다.
이와 같은 발열체 필름(10)은 베이스 기판(20), 전극 배선 패턴(30), 복수의 면상 발열체(40) 및 덮개 필름(50)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갖는다. 베이스 기판(20)이 발열체 필름(10)의 내측면을 형성하고, 덮개 필름(50)이 발열체 필름(10)의 외측면을 형성한다.
여기서 베이스 기판(20)은 하부면(21)과, 하부면(21)에 반대되는 상부면(23)을 갖는다. 베이스 기판(20)은 하부면(21)이 금속박판(60)의 상부면에 접합된다. 베이스 기판(20)의 상부면(23)에 전극 배선 패턴(30), 복수의 면상 발열체(40) 및 덮개 필름(50)이 형성된다. 이러한 베이스 기판(20)으로는 플라스틱 기판이 사용될 수 있다. 플라스틱 기판의 소재로는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sulphone; PES),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PAR), 폴리에테르이미드(polyetherimide; PEI),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olyethyelenen napthalate; PEN),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드(polyethyeleneterepthalate; PET),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PPS), 폴리아릴레이트(polyallylate), 폴리카보네이트(PC),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cellulose triacetate; CTA) 또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cellulose acetate propinonate; CAP)가 사용될 수 있으며, 나열된 것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극 배선 패턴(30)은 베이스 기판(20)의 상부면(23)에 형성되며,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을 면상 발열체(40)로 공급한다. 전극 배선 패턴(30)은 전압 강하(voltage drop)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전극 배선 패턴(30)을 형성하는 금속 소재로는 은, 알루미늄, 구리, 니켈, 스테인리스 스틸, 황동 또는 이들의 합금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황동은 구리와 아연을 포함하는 구리합금으로, 추가적으로 As, P, Al, Si 등이 소량 포함할 수 있다. 황동으로는 아연의 함량이 50 중량%이하인 황동을 사용할 수 있다.
전극 배선 패턴(30)은 금속박을 이용한 에칭 방법 또는 금속 페이스트를 이용한 인쇄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즉 전극 배선 패턴(30)은 베이스 기판(20)의 상부면(23)에 금속박을 적층한 후 에칭 방법으로 패터닝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는 전극 배선 패턴(30)은 금속 페이스트를 베이스 기판(20)의 상부면(23)에 인쇄하여 형성할 수 있다.
면상 발열체(40)는 전극 배선 패턴(30)에 연결하도록 형성된다. 면상 발열체(40)는 발열체 조성물을 전극 배선 패턴(30)에 연결하도록 인쇄한 후, 열경화 및 에이징하여 형성할 수 있다. 발열 조성물의 인쇄 방법으로는 스크린 인쇄, 그라비아 인쇄(내지 롤투롤 그라비아 인쇄), 콤마 코팅(내지 롤투롤 콤마코팅), 플렉소, 임프린팅, 옵셋 인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열경화는 100℃ 내지 180℃에서 수행하고, 에이징은 250 내지 350℃에서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면상 발열체(40)를 열경화 후 에이징하여 형성하는 이유는 면상 발열체(40)의 고온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이다.
면상 발열체(40)는 베이스 기판(20) 위에 수평 방향으로 배열되게 형성된다. 즉 면상 발열체(40)는 n행m렬(n, m은 2 이상의 자연수)로 베이스 기판(20)의 상부면(23)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전극 배선 패턴(30)은 베이스 기판(20)의 상부면(23)에 형성되는 복수의 면상 발열체(40)를 병렬로 연결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면상 발열체(40)를 형성하는 발열체 조성물은 혼합 바인더 및 나노탄소입자 기반의 전도성 입자를 포함한다. 면상 발열체(40)를 형성하기 위해서, 인쇄 공정에 투입되는 발열체 조성물은 혼합 바인더 및 전도성 입자 이외에, 유기 용매와 분산제를 더 포함한다.
발열체 조성물은 발열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해서, 혼합 바인더 5 내지 30 중량부, 전도성 입자 0.7 내지 60 중량부, 유기 용매 29 내지 80 중량부, 및 분산제 0.5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도성 입자는 전도성을 갖는 나노 크기의 탄소 입자를 포함하고, 금속 분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소 입자로는 탄소나노튜브 입자 또는 그라파이트 입자가 사용될 수 있다. 금속 분말로는 은, 구리 또는 니켈 소재의 분말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전도성 입자는 발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탄소나노튜브 입자 0.1 내지 5 중량부, 그라파이트 입자 0.1 내지 20 중량부 또는 금속 분말 10 내지 6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탄소나노튜브 입자는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이중벽 탄소나노튜브, 다중벽 탄소나노튜브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예컨대 탄소나노튜브 입자는 다중벽 탄소나노튜브(multi wall carbon nanotube)일 수 있다. 탄소나노튜브 입자가 다중벽 탄소나노튜브일 때, 직경은 1nm 내지 20nm 일 수 있고, 길이는 1㎛ 내지 100㎛일 수 있다.
그라파이트 입자는 직경이 1㎛ 내지 25㎛일 수 있고, 두께가 1nm 내지 25㎛일 수 있다.
금속 분말은 은, 구리 또는 니켈 소재의 분말을 포함한다. 은 분말의 경우, 플레이크, 구형, 다각형 판상, 막대(rod)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구리 분말로는 은이 코팅된 구리(Ag coated Cu) 분말, 니켈이 코팅된 구리(Ni coated Cu) 분말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니켈 분말로는 은이 코팅된 니켈(Ag coated Ni) 분말이 사용될 수 있다.
탄소 입자와 금속 분말을 포함하는 발열체 조성물로 면상 발열체(40)를 형성하는 경우, 금속 분말이 주 전기적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금속 분말 사이의 공간에 탄소 입자가 채워져 3차원 랜덤 네트워크 구조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발열체 조성물은 탄소 입자와 금속 분말을 포함함으로써, 면상 발열체(40)의 에너지 효율 및 발열 속도를 높일 수 있다. 즉 금속 분말은 흑체 복사 기능을 갖지 않는다. 하지만 발열체 조성물에 탄소 입자를 포함시킴으로써, 흑체 복사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탄소 입자로 인해서 면상 발열체(40)의 내열성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탄소 입자로 인해서, 면상 발열체(40)의 발열 속도 및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면상 발열체(40)의 비저항은 전체 고형분 중 탄소 입자 또는 금속 분말의 함량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1×10-2Ω㎝ 영역대까지는 탄소 입자만으로 비저항 조절이 가능하나, 그 이하의 영역은 금속 분말의 추가적인 도입이 필요하다. 면상 발열체(40)는 9×10-2 내지 1.1×10-3 Ω㎝의 비저항을 가질 수 있다.
혼합 바인더는 300℃ 가량의 온도에서도 내열성을 가질 수 있도록, 페놀계 수지, 아세탈계 수지, 이소시아네이트계 수지 및 에폭시계 수지 중 적어도 2종을 포함한다. 예컨대 혼합 바인더는 에폭시(epoxy), 에폭시 아크릴레이트(epoxy acrylate),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폴리비닐 아세탈 및 페놀계 수지 중 적어도 2종을 포함한다.
예컨대 혼합 바인더는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폴리비닐 아세탈 및 페놀계 수지를 포함하거나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폴리비닐 아세탈 및 페놀계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혼합 바인더는,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또는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10 내지 150 중량부, 페놀계 수지 100 내지 50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페놀계 수지가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또는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0 중량부 이하인 경우 내열성이 저하되고, 50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면상 발열체(40)의 유연성이 저하되어 취성이 강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혼합 바인더의 내열성을 높임으로써, 면상 발열체(40)를 300℃ 가량의 고온으로 발열시키는 경우에도, 면상 발열체(40)의 저항 변화나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여기에서 페놀계 수지는 페놀 및 페놀 유도체를 포함하는 페놀계 화합물을 의미한다. 예컨대 페놀 유도체는 p-크레졸(p-Cresol), o-구아야콜(o-Guaiacol), 크레오졸(Creosol), 카테콜(Catechol), 3-메톡시-1,2-벤젠디올(3-methoxy-1,2-Benzenediol), 호모카테콜(Homocatechol), 비닐구아야콜(Vinylguaiacol), 시링콜(Syringol), 이소-유제놀(Iso-eugenol), 메톡시 유제놀(Methoxyeugenol), o-크레졸(o-Cresol), 3-메틸-1,2-벤젠디올 (3-methyl-1,2-Benzenediol), (z)-2-메톡시-4-(1-프로페닐)-페놀((z)-2-methoxy-4-(1-propenyl)-Phenol), 2,6-디에톡시-4-(2-프로페닐)-페놀(2,6-dimethoxy-4-(2-propenyl)-Phenol), 3,4-디메톡시-페놀(3,4-dimethoxy-Phenol), 4-에틸-1,3-벤젠디올(4-ethyl-1,3-Benzenediol), 레졸 페놀(Resole phenol), 4-메틸-1,2-벤젠디올(4-methyl-1,2-Benzenediol), 1,2,4-벤젠트리올(1,2,4-Benzenetriol), 2-메톡시-6-메틸페놀(2-Methoxy-6-methylphenol), 2-메톡시-4-비닐페놀(2-Methoxy-4-vinylphenol) 또는 4-에틸-2-메톡시-페놀(4-ethyl-2-methoxy-Phenol) 등이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기 용매는 전도성 입자 및 혼합 바인더를 분산시키기 위한 것으로, 카비톨 아세테이트(Carbitol acetate), 부틸 카비톨 아세테이트(Butyl carbotol acetate), DBE(dibasic ester), 에틸카비톨, 에틸카비톨아세테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메틸에테르, 셀로솔브아세테이트, 부틸셀로솔브아세테이트, 부탄올(Butanol) 및 옥탄올(Octanol) 중에서 선택되는 2 이상의 혼합 용매일 수 있다.
한편, 분산을 위한 공정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방법들이 적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초음파처리(Ultra-sonication), 롤밀(Roll mill), 비드밀(Bead mill) 또는 볼밀(Ball mill) 과정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분산제는 전도성 입자의 분산을 보다 원활히 위한 것으로, BYK류와 같이 당업계에서 이용되는 통상의 분산제, Triton X-100과 같은 양쪽성 계면활성제, SDS 등과 같은 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발열체 조성물은 발열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첨가제로서 실란 커플링제 0.1 내지 5 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란 커플링제는 발열체 조성물의 배합 시에 수지들 간에 접착력을 증진시키는 접착증진제 기능을 한다. 실란 커플링제는 에폭시 함유 실란 또는 머켑토 함유 실란일 수 있다. 이러한 실란 커플링제의 예로는 에폭시가 함유된 것으로 2-(3,4 에폭시 사이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트리메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이 있고, 아민기가 함유된 것으로 N-2(아미노에틸)3-아미토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트리에톡시실리-N-(1,3-디메틸뷰틸리덴)프로필아민, N-페닐-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이 있으며, 머켑토가 함유된 것으로 3-머켑토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3-머켑토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이소시아네이트가 함유된 3-이소시아네이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등이 있으며,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발열체 조성물은 발열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첨가제로서 세라믹 입자 0.5 내지 20 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세라믹 입자는 면상 발열체(40)의 열용량을 증가시킨다. 이러한 세라믹 입자로는 유리 입자 또는 실리콘 입자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발열체 조성물은 발열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첨가제로서 그래핀 산화물 입자 0.0001 내지 1 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그래핀 산화물 입자로는 1층 내지 20층 이내의 절연성을 가지며, 부분적으로 흑연화(graphitization)된 입자가 사용된다.
그래핀 산화물 입자는 다양한 관능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관능기를 이용하여 그래핀 산화물 입자는 유기 바인더인 혼합 바인더와 직접적인 화학적 공유 결합을 유도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발열 조성물은 300℃ 부근 온도에서도 안정적인 내열성을 갖는다.
즉 그래핀 산화물 입자는 표면과 에지부에 카르복실, 아민, 이민, 하이드록실, 카로보닐, 락톤 등의 다양한 화학적 반응성이 우수한 관능기를 가지고 있다. 그래핀 산화물 입자에 포함된 관능기는 디이소시아네이트, 페놀, 에폭시에 포함된 관능기와 화학적 공유결합이 가능하다. 따라서 그래핀 산화물 입자는 혼합 바인더에 포함되는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페놀계 수지와 화학적 공유 결합을 형성한다. 이러한 그래핀 산화물 입자와 혼합 바인더 간의 화학적 공유 결합은 3차원 3차원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고분자 사슬의 움직임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유리전이도 및 분해개시온도의 상승을 유발할 수 있다.
그리고 덮개 필름(50)은 복수의 면상 발열체(40)가 형성된 베이스 기판(20)의 상부면(23)을 덮도록 형성된다. 덮개 필름(50)은 베이스 기판(20)의 상부면(23)에 형성된 전극 배선 패턴(30)과 복수의 면상 발열체(40)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한다. 이러한 덮개 필름(50)의 소재로는 에폭시 수지, 우레탄 수지, 실리콘 수지, 이미드계 수지 또는 면상 발열체(40)와의 접촉면에 절연 접착층이 형성된 금속박이 사용될 수 있다. 절연 접착층의 소재로는 우레탄 또는 에폭시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덮개 필름(50)은 핫 프레싱(hot pressing) 또는 라미네이팅(laminating) 방법으로 베이스 기판(20)에 접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른 히터(80)는 저전력으로 구동이 가능한 복수의 면상 발열체(40)를 구비하는 발열체 필름(10)을 포함하기 때문에, 저전력으로 높은 발열량을 나타낸다.
발열체 필름(10)의 면상 발열체(40)는 발열 면적이 크기 때문에, 열전달 과정에서의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발열체 필름(10)의 면상 발열체(40)는 인쇄 공정을 통하여 다양하게 설계가 가능하기 때문에, 제1 실시예에 따른 히터(80)가 사용되는 기기나 환경에서 사용 가능한 다양한 구동 전압에서 구동하도록 발열체 필름(10)을 제조할 수 있다.
발열체 필름(10)의 면상 발열체(40)는 전도성 입자와 혼합 바인더를 포함하는 도료 형태의 발열체 조성물로 형성하기 때문에, 비저항이 낮고 열전도율이 우수해 저전압 구동에 유리하고 승온 속도가 빠른 장점이 있다. 즉 발열체 조성물은 전도성 입자와 함께,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폴리비닐 아세탈 및 페놀계 수지를 포함하는 혼합 바인더를 포함하기 때문에, 200℃ 이상의 온도에서도 내열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실시예에 따른 히터(80)는 온도에 따른 저항 변화가 작아 발열 거동 및 안정성이 높은 면상 발열체(40)를 구비하는 히터를 제공할 수 있다.
탄소나노튜브 입자와 그라파이트 입자를 포함하는 발열체 조성물로 형성한 면상 발열체(40)는 블랙 바디(block body)이기 때문에, 제1 실시예에 따른 히터(80)는 흑체 복사로 인해 추가적인 에너지 효율을 향상을 얻을 수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른 히터(80)는 흑체 복사로 인해 원적외선도 방사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유익한 원적외선을 제공할 수 있다.
발열체 조성물은 비저항이 낮고 두께 조절이 용이하여 저전압 및 저전력으로 고온 발열이 가능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히터(80)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발열체 조성물은 스크린 인쇄, 롤투롤 그라비아 인쇄, 롤투롤 콤마 코팅, 플렉소 인쇄, 옵셋 인쇄가 가능하기 때문에, 제1 실시예에 따른 히터(80)의 대량 생산에 유리할 뿐만 아니라 제품 길이 및 면적에 대한 제약을 해소할 수 있다.
그리고 금속박판(60)은 발열체 필름(10)의 내측면에 접합된다. 즉 금속박판(60)은 발열체 필름(10)의 내측면에 위치하는 베이스 기판(20)의 하부면(21)에 접합된다. 금속박판(60)은 열간 압착을 통해서 발열체 필름(10)에 접합될 수 있다. 금속박판(60)의 소재로는 알루미늄, 구리, 니켈, 스테인리스 스틸, 황동 또는 이들의 합금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른 히터(80)는 전극 배선 패턴(30)과, 저전압이 구동이 가능한 면상 발열체(40)를 구비하는 발열체 필름(10)을 포함하기 때문에, 저전력으로 높은 발열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면상 발열체(40)는 탄소 입자와 혼합 바인더를 포함하는 도료 형태의 발열체 조성물로 형성하기 때문에, 비저항이 낮고 열전도율이 우수해 저전압 구동에 유리하고 승온 속도가 빠른 장점이 있다. 이로 인해 제1 실시예에 따른 히터(80)는 고체형 담배를 신속하게 가열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른 히터(80)는 3~4V의 저전압에서도 300 내지 440℃ 정도의 높은 발열량을 순간적으로 발생시키면서 4W 내외의 낮은 전력 소모량을 나타낸다. 따라서 제1 실시예에 따른 히터(80)를 포함하는 전기 가열식 흡연 장치는 2대 이상의 고체형 담배를 연속적으로 피울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른 히터(80)는 고체형 담배가 삽입될 수 있도록 관 형태로 구현되기 때문에, 고체형 담배를 거치할 구조물을 별도로 제작할 필요가 없다.
그리고 제1 실시예에 따른 히터(80)는 관 형태의 발열체 필름(10)의 내측면에 금속박판(60)을 열간 압착을 통해서 접합함으로써, 발열체 필름(10)에서 발생된 열이 금속박판(60)으로 전달되는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열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히터(80)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 도 2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 5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히터(80)의 제조 방법에 따른 각 단계들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먼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면에 금속층(39)이 형성된 베이스 기판(20)을 준비한다. 즉 베이스 기판(20)의 상부면(23)에 금속박을 접합하여 금속층(39)을 형성한다. 또는 베이스 기판(20)의 상부면(23)에 금속을 증착하여 금속층(39)을 형성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층을 패터닝하여 전극 배선 패턴(30)을 형성한다. 이때 금속층의 패터닝 방법으로는 사진석판술(photolithography)이 이용될 수 있다.
전극 배선 패턴(30)은 한 쌍의 전극 패드(31)와 한 쌍의 전극 단자(35)를 포함한다. 한 쌍의 전극 패드(31)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며, 전원을 인가받는 부분이다. 한 쌍의 전극 단자(35)는 한 쌍의 전극 패드(31)에 각각 연결되어 연장되며, 복수의 면상 발열체가 병렬로 연결되는 부분이다.
한 쌍의 전극 패드(31)는 한 쌍의 전극 단자(35)의 일단에 연결되며, 전원을 공급하는 케이블이 접합된다. 이러한 한 쌍의 전극 패드(31)는 덮개 필름(도 10의 50) 밖으로 돌출되어 케이블을 통하여 전원을 인가받는다. 한 쌍의 전극 패드(31) 중 한쪽에는 (+)전원을 공급하는 케이블이 연결되고, 다른 쪽에는 (-)전원을 공급하는 케이블이 연결된다.
한 쌍의 전극 패드(31)는 복수의 면상 발열체(40)에서 이격되게 형성된다. 제1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면상 발열체(40)가 배열된 방향으로, 최외곽에 위치하는 면상 발열체(50)에서 이격된 위치에 한 쌍의 전극 패드(31)가 형성된 예를 개시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 쌍의 전극 단자(35)는 제1 전극 단자(35a)와 제2 전극 단자(35b)를 포함한다. 제1 전극 단자(35a)는 일자로 형성되고, 제2 전극 단자(35b)는 제1 전극 단자(35a)를 디귿자 형상으로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기판(20)의 상부면(23)에 발열체 조성물을 인쇄한 후 열경화 및 에이징하여 복수의 면상 발열체(40)를 형성한다. 이때 복수의 면상 발열체(40)는 한 쌍의 전극 단자(35)와, 한 쌍의 전극 단자(35) 사이의 베이스 기판(20)의 상부면(23)에 형성되어, 한 쌍의 전극 단자(35)를 연결하도록 형성된다. 전극 배선 패턴(30)의 한 쌍의 전극 패드(31)는 면상 발열체(40) 밖으로 노출되어 있다.
면상 발열체(40)의 인쇄 방법으로는 스크린 인쇄, 그라비아 인쇄(내지 롤투롤 그라비아 인쇄), 콤마 코팅(내지 롤투롤 콤마 코팅), 플렉소, 임프린팅, 옵셋 인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열경화는 100℃ 내지 180℃에서 수행하고, 에이징은 250 내지 350℃에서 수행할 수 있다.
한 쌍의 전극 단자(33)를 연결하는 복수의 면상 발열체(40)는 직선 형태가 아닌 중간 부분에 굴곡진 부분을 갖도록 형성된다. 면상 발열체(40)의 굴곡은 사인파나 물결무늬 형태와 같은 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이때 굴곡진 부분의 곡률 반경은 2cm 이하가 되도록 면상 발열체(40)가 형성한다. 굴곡진 부분의 곡률 반경이 2cm를 초과하게 되면, 면상 발열체의 길이가 길어지고 한 쌍의 전극 단자(33) 사이에 형성할 수 있는 면상 발열체의 개수가 줄어들기 때문에, 신속히 발열되지 않거나 발열량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굴곡을 갖도록 면상 발열체(40)를 형성하는 이유는, 발열체 필름을 관 형태로 말았을 때 발열체 필름과 금속박판의 접촉 면적을 높이기 위해서이다. 이로 인해 제1 실시예에 따른 히터의 전력 소모량, 열전달 손실 및 제조 원가를 줄일 수 있고, 금속박판의 열용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 필름(50)을 베이스 기판(20)의 상부면(30)에 합지함으로써, 제1 실시예에 따른 발열체 필름(10)을 얻을 수 있다. 덮개 필름(50)의 합지 방법으로는 핫 프레싱 또는 라미네이팅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덮개 필름(50)에는 전극 배선 패턴(30)의 한 쌍의 전극 패드(31)가 노출되도록, 한 쌍의 전극 패드(31)에 대응되게 윈도우(51)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덮개 필름(50)이 베이스 기판(20)에 합지되는 경우, 덮개 필름(50)의 윈도우(51)를 통하여 한 쌍의 전극 패드(31)가 외부로 노출된다.
이와 같이 전극 배선 패턴(40)은 한 쌍의 전극 패드(31)와 한 쌍의 전극 단자(35)를 포함한다. 한 쌍의 전극 단자(35)를 연결하도록 면상 발열체(40)가 형성되며, 덮개 필름(50)에 의해 봉합된다. 그리고 한 쌍의 전극 패드(31)는 한 쌍의 전극 단자(35)와 각각 연결되며, 덮개 필름(50) 밖으로 돌출되어 전원을 인가받는다.
다음으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기판(20)의 하부면(21)에 금속박판(60)을 접합한다. 이때 금속박판(60)의 접합 방법으로는 열간 압착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이어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박판(60)이 접합된 면이 안쪽면을 향하도록 발열체 필름(10)을 관 형태로 말아서 양단부를 밀착시킨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 형태로 말린 금속박판(60)이 접합된 발열체 필름(10)의 양단부를 접합함으로써, 제1 실시예에 따른 히터(80)를 얻을 수 있다. 접합 방법으로는 초음파 또는 레이저 용접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도시하진 않았지만, 덮개 필름(50) 밖으로 노출된 전극 패드(31)에는 전원 공급용 케이블이 접합된다. 전극 패드(31)의 표면에는 전원 공급용 케이블과의 안정적인 접합 및 양호한 전기전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도금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금 소재로는 구리, 니켈, 금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히터(80)는 3~4V의 저전압에서도 300 내지 440℃ 정도의 높은 발열량을 순간적으로 발생시키면서 4W 내외의 낮은 전력 소모량을 나타낸다. 예컨대 전극 배선 패턴(30)에 DC 3 내지 3.7V가 인가되는 경우, 면상 발열체(40)가 형성된 한 쌍의 전극 단자(35) 간의 거리는 4mm 내지 6.5mm 일 수 있다.
한편 제1 실시예에 따른 히터(80)의 제조 방법에서는 베이스 기판(20)을 이용하여 하나의 히터를 제조하는 예를 개시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기판 스트립(29)을 이용하여 복수의 히터를 일괄적으로 제조할 수도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베이스 기판 스트립(29)은 어레이된 단위 베이스 기판들(20)을 포함하며, 단위 베이스 기판들(20)에 각각 전극 배선 패턴(3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실시예에 따른 히터(80)의 제조 방법에서는 금속박을 이용한 사진석판술을 이용하여 전극 배선 패턴(30)을 형성하는 예를 개시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베이스 기판(20) 위에 금속 페이스트를 이용한 인쇄 방법으로 전극 배선 패턴(30)을 형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금속 페이스트는 혼합 바인더, 은 분말 및 탄소나노튜브 입자를 포함하는 전도성 입자, 유기 용매 및 분산제를 포함한다. 여기서 금속 페이스트는 밀도가 2g/㎤ 이하가 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7 ~ 2g/㎤ 이 될 수 있다.
혼합 바인더, 전도성 입자에 포함된 탄소나노튜브 입자 및 그라파이트 입자, 유기 용매 및 분산제로는 발열체 조성물에 사용된 소재가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도성 입자로는 은 분말 및 탄소나노튜브 입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라파이트 입자를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은 분말은 플레이크, 구형, 다각형 판상, 막대(rod)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은 분말은 금속 페이스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50 ~ 80 중량부가 될 수 있다. 여기서 50 중량부 이하일 경우, 은 분말끼리의 전기적 네트워크가 형성되지 않아 저항이 높으며, 80 중량부를 초과하면 스트레스에 대한 내구성이 저하되며, 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은 분말 50 ~ 80 중량부를 첨가함으로써, 밀도가 2g/㎤ 이하인 금속 페이스트를 구현할 수 있으며, 제조되는 전극 배선 패턴의 전기 전도도를 높일 수 있다. 여기서 은 분말의 탭 밀도는 2.5g/㎤ 이하가 될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히터(180)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히터(180)는 관 형상의 발열체 필름(10)과, 발열체 필름(10)의 내측면에 접합된 금속박판(60)과, 발열체 필름(10)의 외측면에 접합된 단열 필름(70)을 포함한다. 이때 금속박판(60)이 접합된 발열체 필름(10)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히터의 발열체 필름과 동일한 구조를 갖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단열 필름(70)은 발열체 필름(10)에서 발생된 열이 발열체 필름(10)의 외측으로 방출되어 손실되는 것을 억제한다. 단열 필름(70)의 소재로는 내열성과 전기절연성을 갖는 플라스틱 소재 또는 다공성 실리콘이 사용될 수 있다.
[제3 및 제4 실시예]
한편 제1 실시예에서는 발열체 필름(10)의 내측면에 금속박판(60)을 접합하는 예를 개시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열체 필름(10)의 외측면에 금속박판(60)을 접합할 수도 있고,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열체 필름(10)의 양면에 금속박판(61,63)을 접할 수도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히터(280)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제3 실시예에 따른 히터(280)는 관 형상의 발열체 필름(10)과, 발열체 필름(10)의 외측면에 접합된 금속박판(60)을 포함한다.
이때 발열체 필름(10)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히터의 발열체 필름과 동일한 구조를 갖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3 실시예에 따른 히터(280)는 금속박판(60)을 베이스 기판(20)의 하부면에 접합한 후 금속박판(60)이 외측면을 향하도록 발열체 필름(10)을 말아서 형성할 수 있다. 또는 제3 실시예에 따른 히터(280)는 금속박판(60)을 덮개 필름(50) 위에 접합한 후, 금속박판(60)이 외측면을 향하도록 발열체 필름(10)을 말아서 형성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히터(380)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제4 실시예에 따른 히터(380)는 관 형상의 발열체 필름(10)과, 발열체 필름(10)의 내측면과 외측면에 각각 접합된 금속박판(61,63)을 포함한다.
이때 발열체 필름(10)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히터의 발열체 필름과 동일한 구조를 갖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5 실시예]
도 1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히터의 발열체 필름(110)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7에서는 덮개 필름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도 17을 참조하면, 제5 실시예에 따른 히터의 발열체 필름(110)은 베이스 기판(20), 전극 배선 패턴(30), 복수의 면상 발열체(40) 및 덮개 필름을 포함한다.
전극 배선 패턴(30)은 복수의 면상 발열체(40)가 병렬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배열될 수 있도록 베이스 기판(20)의 상부면에 형성된다. 이러한 전극 배선 패턴(30)은 한 쌍의 전극 패드(31), 한 쌍의 연결 배선(33) 및 복수의 전극 단자(35)를 포함한다.
한 쌍의 전극 패드(31)는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된다. 한 쌍의 연결 배선(33)은 한 쌍의 전극 패드(31)에 각각 연결되어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복수의 전극 단자(35)는 한 쌍의 연결 배선(33)에 각각 연결되어 마주보는 연결 배선(33) 쪽으로 뻗어 있다. 한 쌍의 연결 배선(33)에 연결된 전극 단자(35)의 쌍에 복수의 면상 발열체(40)가 연결된다. 제5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전극 단자(35)에 4개의 면상 발열체(40)가 형성된 예를 개시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한 쌍의 전극 패드(31)는 한 쌍의 연결 배선(33)의 일단에 연결되며, 전원을 공급하는 케이블이 접합된다. 이러한 한 쌍의 전극 패드(33)는 제1 전극 패드와 제2 전극 패드를 포함한다. 한 쌍의 전극 패드(33)는 덮개 필름(50) 밖으로 돌출되어 케이블을 통하여 전원을 인가받는다. 한 쌍의 전극 패드(31) 중 한쪽에는 (+)전원을 공급하는 케이블이 연결되고, 다른 쪽에는 (-)전원을 공급하는 케이블이 연결된다.
한 쌍의 전극 패드(31)는 복수의 면상 발열체(40)에서 이격되게 형성된다. 제1 예에서는 복수의 면상 발열체(40)가 배열된 방향으로, 최외곽에 위치하는 면상 발열체(40)에서 이격된 위치에 한 쌍의 전극 패드(31)가 형성된 예를 개시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 쌍의 연결 배선(33)은 각각 대응되는 전극 패드(31)에 연결되며, 복수의 면상 발열체(40)가 배열된 방향을 따라서 복수의 면상 발열체(40)의 외측에 형성된다. 한 쌍의 연결 배선(33)은 제1 전극 패드에 연결되는 제1 연결 배선(33a)과, 제2 전극 패드에 연결되는 제2 연결 배선(33b)을 포함하고, 제1 및 제2 연결 배선(33a,33b) 사이에 복수의 면상 발열체(40)가 위치한다. 제1 및 제2 연결 배선(33a,33b)은 서로 평행하게 직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전극 단자(35)는 각각 한 쌍의 연결 배선(33)에 연결된다. 복수의 전극 단자(35)는 제1 연결 배선(33a)에 연결되는 복수의 제1 전극 단자(35a)와, 제2 연결 배선(33b)에 연결되는 복수의 제2 전극 단자(35b)를 포함한다. 복수의 제1 전극 단자(35a)는 제2 연결 배선(33b)을 향하여 형성되되, 제2 연결 배선(33b)에 이격되게 형성된다. 복수의 제2 전극 단자(35b)는 제1 연결 배선(33a)을 향하여 형성되되, 제1 연결 배선(33a)에 이격되게 형성된다.
제1 전극 단자(35a)와 제2 전극 단자(35b)를 쌍으로, 제1 및 제2 전극 단자(35a,35b)를 연결하도록 면상 발열체(40)가 형성된다. 제1 및 제2 전극 단자(35a,35b)는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며, 연결된 제1 및 제2 연결 배선(33a,33b)에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 연결 배선(33a,33b)이 서로 평행하게 직선으로 형성되는 경우, 복수의 제1 전극 단자(35a) 및 복수의 제2 전극 단자(35b)에 연결된 복수의 면상 발열체(40)는 일렬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면상 발열체(40)는 제1 및 제2 전극 단자(35a,35b)를 통하여 전원을 인가받아 발열하게 된다.
복수의 면상 발열체(40)는 일렬로 배열되며, 전극 배선 패턴(30)에 병렬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병렬로 연결하는 이유는, 전극 배선 패턴(30)을 통하여 복수의 면상 발열체(40)로 전원을 인가하는 과정에서 전압 강하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서이다.
물론 복수의 면상 발열체(40)는 직선 형태가 아닌 중간 부분에 굴곡진 부분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실험예]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히터의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서 아래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먼저 발열체 조성물은 아래와 같이 제조하였다. 탄소나노튜브, 그라파이트 입자를 카비톨아세테이드 용매에 첨가하고 분산제를 첨가하여 60분간 초음파 처리를 통해 탄소나노튜브/그라파이트 분산액(Solution A)을 제조하였다. 에폭시아크릴레이트, 페놀 수지 및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를 혼합하고, 카비톨아세테이트 용매에 첨가하여 물리적인 교반(mechanical stirring) 또는 자전공전이 가능한 기계적 혼련을 통해 마스터 배치(master batch, M/B)를 제조하였다. 그리고 Solution A와 M/B를 물리적인 교반을 통해 혼련한 후, 3-롤 밀( 3-roll mill)을 이용하여 완전히 혼련함으로써 발열체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전술된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발열체 조성물을 이용하여,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험예에 따른 발열체 필름의 유닛 셀을 제조하였다. 여기서 도 18은 제1 실험예에 따른 발열체 필름의 유닛 셀에 DC 3V 인가 시의 발열거동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9는 도 18의 발열체 필름의 유닛 셀에 DC 3V 인가 시의 열화상 이미지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제1 실험예에 따른 발열체 필름의 유닛 셀은 전극 단자 간 거리가 6mm이고, 면상 발열체의 면적이 6mm×20mm이다.
제1 실험예에 따른 발열체 필름의 유닛 셀에 DC 3V를 인가하는 경우에도 급격한 승온이 가능하고, 외기환경에서도 매우 안정적인 발열 특성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실험실의 온도와 발열온도 차이가 270℃ 이상임에도 불구하고, 제1 실험예에 따른 발열체 필름의 유닛 셀이 안정적인 발열 특성을 보이는 것은 면상 발열체의 저항 변화가 거의 없음을 나타낸다.
전술된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발열체 조성물을 이용하여 아래와 같이 발열체 필름을 제조하였다.
먼저 황동이 증착된 폴리이미드 기판을 준비한다. 폴리이미드 기판 위에 증착된 황동 소재의 금속층을 사진석판술 공정으로 패터닝하여 전극 배선 패턴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전술된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발열체 조성물을 전극 배선 패턴에 따라 250메쉬 스크린 마스크를 이용하여 스크린 인쇄한 후, 인쇄한 발열 조성물을 100℃ 내지 180℃에서 열경화한 후, 250 내지 350℃에서 에이징하여 복수의 면상 발열체를 형성하였다. 그리고 덮개 필름을 핫 프레싱하고 타발한 후 와이어링하여 발열체 필름을 제조하였다.
발열체 필름은 3개 이상의 병렬구조로 연결된 면상 발열체를 포함하며, 전극 단자 간 거리를 4mm 내지 6.5mm 범위에서 0.5mm씩 증가에 따른 DC 3.7V 구동시 기전류, 단자 끝단 저항, 출력, 열밀도, 발열온도를 평가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7061088892-pat00001
또한 전극 단자 간 거리가 6mm인 경우의 열화상 이미지를 도 20에 도시하였고, 전극 단자 간 거리가 4.5mm인 경우의 열화상 이미지를 도 21에 도시하였다. 즉 도 20은 제1 실험예에 따른 발열체 필름에 DC 3.7V 인가 시의 열화상 이미지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21은 제2 실험예에 따른 발열체 필름에 DC 3.7V 인가 시의 열화상 이미지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면, 전극 단자 간 거리가 4mm 내지 6.5mm인 발열체 필름은 DC 3.7V 인가 시 300 내지 440℃의 온도를 발열하면서, 2.6 내지 4.6W의 전력 소모가 발생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저전력으로 발생되는 높은 발열량으로 고체형 담배를 신속하게 가열시킬 수 있는 히터를 제공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10, 110 : 발열체 필름
20 : 베이스 기판
21 : 하부면
23 : 상부면
29 : 베이스 기판 스트립
30 : 전극 배선 패턴
31 : 전극 패드
33 : 연결 배선
35 : 전극 단자
39 : 금속층
40 : 면상 발열체
50 : 덮개 필름
51 : 윈도우
60 : 금속박판
61 : 제1 금속박판
63 : 제2 금속박판
70 : 단열 필름
80, 180, 280, 380 : 히터
81 : 삽입구
90 : 전기 가열식 흡연 장치
91 : 온도 센서
93 : 제어부
95 : 고체형 담배
100 : 고체형 전자 담배

Claims (18)

  1. 고체형 담배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관 형태를 가지며, 전원을 인가받아 발열하는 나노탄소입자 기반의 발열체 조성물을 인쇄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면상 발열체를 구비하는 발열체 필름; 및
    상기 발열체 필름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을 둘러싸는 금속박판;를 포함하고,
    상기 발열체 조성물은,
    탄소나노튜브 입자 및 그라파이트 입자를 포함하는 탄소 입자와,
    은, 구리 또는 니켈 소재의 금속 분말을 구비하는 전도성 입자; 및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폴리비닐 아세탈 및 페놀계 수지를 포함하거나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폴리비닐 아세탈 및 페놀계 수지를 포함하는 혼합 바인더;를 포함하고,
    상기 발열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해서, 혼합 바인더 5 내지 30 중량부, 탄소나노튜브 입자 0.1 내지 5 중량부, 그라파이트 입자 0.1 내지 20 중량부 및 금속 분말 10 내지 60 중량부를 포함하는 전기 가열식 흡연 장치용 히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 필름은,
    관 형태의 베이스 기판;
    상기 베이스 기판의 일면에 형성된 전극 배선 패턴;
    상기 베이스 기판 일면의 상기 전극 배선 패턴에 연결되게 나노탄소입자 기반의 발열체 조성물을 인쇄하여 형성되며, 상기 전극 배선 패턴으로 전원을 인가받아 발열하는 상기 복수의 면상 발열체; 및
    상기 복수의 면상 발열체가 형성된 상기 베이스 기판의 일면을 덮는 덮개 필름;
    을 포함하는 전기 가열식 흡연 장치용 히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 필름은,
    상기 베이스 기판이 안쪽에 위치하고, 상기 덮개 필름은 외측에 위치하는 전기 가열식 흡연 장치용 히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박판은,
    상기 전극 배선 패턴이 형성된 베이스 기판의 일면에 반대되는 타면에 접합되는 전기 가열식 흡연 장치용 히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필름을 덮는 단열 필름;
    을 더 포함하는 전기 가열식 흡연 장치용 히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박판은,
    상기 덮개 필름 위에 접합되는 전기 가열식 흡연 장치용 히터.
  7. 삭제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면상 발열체는 복수의 열로 배열되며, 상기 전극 배선 패턴에 병렬로 연결되는 전기 가열식 흡연 장치용 히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면상 발열체는 굴곡진 부분을 포함하는 전기 가열식 흡연 장치용 히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면상 발열체는 굴곡진 부분의 곡률 반경은 2cm 이하인 전기 가열식 흡연 장치용 히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배선 패턴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며, 전원을 인가받는 한 쌍의 전극 패드; 및
    상기 한 쌍의 전극 패드에 각각 연결되어 연장되며, 복수의 면상 발열체가 병렬로 연결되는 한 쌍의 전극 단자;
    를 포함하는 전기 가열식 흡연 장치용 히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배선 패턴에 DC 3 내지 3.7V가 인가되는 경우, 상기 면상 발열체가 형성된 한 쌍의 전극 단자 간의 거리는 4mm 내지 6.5mm인 전기 가열식 흡연 장치용 히터.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배선 패턴 및 상기 금속박판의 소재는 알루미늄, 구리, 니켈, 스테인리스 스틸, 황동 또는 이들의 합금을 포함하는 전기 가열식 흡연 장치용 히터.
  14. 관 형태의 베이스 기판;
    상기 베이스 기판의 일면에 형성된 전극 배선 패턴;
    상기 베이스 기판 일면의 상기 전극 배선 패턴에 연결되게 나노탄소입자 기반의 발열체 조성물을 인쇄하여 형성되며, 상기 전극 배선 패턴으로 전원을 인가받아 발열하는 복수의 면상 발열체;
    상기 복수의 면상 발열체가 형성된 상기 베이스 기판의 일면을 덮는 덮개 필름; 및
    상기 베이스 기판의 일면에 반대되는 타면 또는 상기 덮개 필름 위에 접합된 금속박판;을 포함하고,
    상기 발열체 조성물은,
    탄소나노튜브 입자 및 그라파이트 입자를 포함하는 탄소 입자와,
    은, 구리 또는 니켈 소재의 금속 분말을 구비하는 전도성 입자; 및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폴리비닐 아세탈 및 페놀계 수지를 포함하거나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폴리비닐 아세탈 및 페놀계 수지를 포함하는 혼합 바인더;를 포함하고,
    상기 발열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해서, 혼합 바인더 5 내지 30 중량부, 탄소나노튜브 입자 0.1 내지 5 중량부, 그라파이트 입자 0.1 내지 20 중량부 및 금속 분말 10 내지 60 중량부를 포함하는 전기 가열식 흡연 장치용 히터.
  15. 전원을 인가받아 발열하는 나노탄소입자 기반의 발열체 조성물을 인쇄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면상 발열체를 구비하는 발열체 필름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 금속박판을 접합하는 단계; 및
    상기 금속박판이 접합된 발열체 필름을 고체형 담배의 일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관 형태로 말아서 양단부를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발열체 조성물은,
    탄소나노튜브 입자 및 그라파이트 입자를 포함하는 탄소 입자와,
    은, 구리 또는 니켈 소재의 금속 분말을 구비하는 전도성 입자; 및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폴리비닐 아세탈 및 페놀계 수지를 포함하거나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폴리비닐 아세탈 및 페놀계 수지를 포함하는 혼합 바인더;를 포함하고,
    상기 발열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해서, 혼합 바인더 5 내지 30 중량부, 탄소나노튜브 입자 0.1 내지 5 중량부, 그라파이트 입자 0.1 내지 20 중량부 및 금속 분말 10 내지 60 중량부를 포함하는 전기 가열식 흡연 장치용 히터의 제조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박판을 접합하는 단계는,
    상기 히터의 내측면으로 형성된 발열체 필름의 하부면에 금속박판을 접합하는 단계; 및
    상기 히터의 외측면으로 형성된 발열체 필름의 상부면에 단열필름을 접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기 가열식 흡연 장치용 히터의 제조 방법.
  17. 고체형 담배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관 형태를 가지며, 전원을 인가받아 발열하는 나노탄소입자 기반의 발열체 조성물을 인쇄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면상 발열체를 구비하는 발열체 필름, 및 상기 발열체 필름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에 접합된 금속박판을 구비하는 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발열체 조성물은,
    탄소나노튜브 입자 및 그라파이트 입자를 포함하는 탄소 입자와,
    은, 구리 또는 니켈 소재의 금속 분말을 구비하는 전도성 입자; 및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폴리비닐 아세탈 및 페놀계 수지를 포함하거나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폴리비닐 아세탈 및 페놀계 수지를 포함하는 혼합 바인더;를 포함하고,
    상기 발열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해서, 혼합 바인더 5 내지 30 중량부, 탄소나노튜브 입자 0.1 내지 5 중량부, 그라파이트 입자 0.1 내지 20 중량부 및 금속 분말 10 내지 60 중량부를 포함하는 전기 가열식 흡연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에 부착되어 온도를 측정하여 전달하는 온도 센서; 및
    상기 온도 센서로부터 전달받은 온도를 기반으로 히터의 온/오프를 PWM(pulse width modulation) 방식으로 제어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전기 가열식 흡연 장치.
KR1020170080611A 2017-06-26 2017-06-26 히터 및 그를 포함하는 전기 가열식 흡연 장치 KR1019271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0611A KR101927134B1 (ko) 2017-06-26 2017-06-26 히터 및 그를 포함하는 전기 가열식 흡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0611A KR101927134B1 (ko) 2017-06-26 2017-06-26 히터 및 그를 포함하는 전기 가열식 흡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7134B1 true KR101927134B1 (ko) 2018-12-11

Family

ID=64671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0611A KR101927134B1 (ko) 2017-06-26 2017-06-26 히터 및 그를 포함하는 전기 가열식 흡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713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95642A (zh) * 2019-09-11 2019-11-26 深圳市你我网络科技有限公司 加热不燃烧装置及其加热组件
WO2021157854A1 (en) * 2020-02-07 2021-08-12 Kt&G Corporation Heater for aerosol generating device
KR20220139038A (ko) * 2021-04-07 2022-10-14 주식회사 이엠텍 분리형 미세입자 발생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2783B1 (ko) * 2008-05-06 2010-09-20 류용수 관형태의 면상 발열장치
KR101635340B1 (ko) * 2016-02-19 2016-06-30 전병철 전자담배용 기화장치
KR101642700B1 (ko) * 2015-05-19 2016-07-27 주식회사 대화알로이테크 차량용 포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2783B1 (ko) * 2008-05-06 2010-09-20 류용수 관형태의 면상 발열장치
KR101642700B1 (ko) * 2015-05-19 2016-07-27 주식회사 대화알로이테크 차량용 포트
KR101635340B1 (ko) * 2016-02-19 2016-06-30 전병철 전자담배용 기화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95642A (zh) * 2019-09-11 2019-11-26 深圳市你我网络科技有限公司 加热不燃烧装置及其加热组件
WO2021157854A1 (en) * 2020-02-07 2021-08-12 Kt&G Corporation Heater for aerosol generating device
KR20210101039A (ko) * 2020-02-07 2021-08-18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히터
KR102397448B1 (ko) 2020-02-07 2022-05-12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히터
US11889866B2 (en) 2020-02-07 2024-02-06 Kt&G Corporation Heater for aerosol generating device
KR20220139038A (ko) * 2021-04-07 2022-10-14 주식회사 이엠텍 분리형 미세입자 발생장치
KR102614317B1 (ko) 2021-04-07 2023-12-15 주식회사 이엠텍 분리형 미세입자 발생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7135B1 (ko) 전기 가열식 흡연 장치용 히터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983367B1 (ko) 인쇄형 온도 센서를 이용한 전기 가열식 흡연 장치
KR102017004B1 (ko) 인쇄형 온도 센서를 이용한 전기 가열식 흡연 장치
KR20190058436A (ko) Pwm 제어 방식을 이용한 전기 가열식 흡연 장치
KR101983040B1 (ko) 단열 튜브 및 그를 이용한 전기 가열식 흡연 장치
KR101987415B1 (ko) 복사 히터
US10995195B2 (en) Composite nanofiber sheet
KR101927134B1 (ko) 히터 및 그를 포함하는 전기 가열식 흡연 장치
KR101637903B1 (ko) 발열 페이스트 조성물을 이용한 발열체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637892B1 (ko) 발열 페이스트 조성물을 이용한 다층 발열체
KR101572803B1 (ko) 발열 페이스트 조성물을 이용한 히팅유닛 및 히팅모듈
KR101524642B1 (ko) 후막 형성용 발열 페이스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저전력 발열 히터
KR101983366B1 (ko) Pwm 제어 방식을 이용한 전기 가열식 흡연 장치
KR101987416B1 (ko) 유연 방수 히터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777691B1 (ko) 그래핀 산화물을 포함하는 발열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발열체
KR101803194B1 (ko) Cnt 페이스트로부터 형성된 면상 발열체를 갖는 휴대용 저전력 히터
KR20190065223A (ko) 유연 방수 히터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843400B1 (ko) 필름 히터용 전극 조성물, 필름 히터용 배선 기판, 이를 이용한 필름 히터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80058903A (ko) 절연 잉크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하여 절연막이 형성된 기판
KR102017006B1 (ko) 배터리 히터, 그를 포함하는 배터리 히터 조립체 및 배터리 시스템
KR102117823B1 (ko) 토너 융착용 금속플레이트 히터 및 그를 이용한 융착 벨트
KR102062490B1 (ko) 복사히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42247B1 (ko) 힘 센서를 구비하는 필름 히터 조립체 및 그를 이용한 필름 히터 장치
KR20180112162A (ko) 저전력 에어 히터
KR101931254B1 (ko) 탄소 함유형 면상발열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