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7069B1 - 유체 페인팅 효과를 제공하는 gui 제공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유체 페인팅 효과를 제공하는 gui 제공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7069B1
KR101927069B1 KR1020120012715A KR20120012715A KR101927069B1 KR 101927069 B1 KR101927069 B1 KR 101927069B1 KR 1020120012715 A KR1020120012715 A KR 1020120012715A KR 20120012715 A KR20120012715 A KR 20120012715A KR 101927069 B1 KR101927069 B1 KR 1019270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unit
effect
degree
canv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2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1437A (ko
Inventor
이동혁
전인용
고형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127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7069B1/ko
Publication of KR201300914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14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70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70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001Texturing; Colouring; Generation of texture or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80Creating or modifying a manually drawn or painted image using a manual input device, e.g. mouse, light pen, direction keys on keyboa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GUI 제공 장치의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한 GUI 제공 장치는 캔버스 및 드로잉 툴을 포함하는 GUI를 제공하는 단계, 캔버스 상의 특정 지점에, 드로잉 툴을 이용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사용자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특정 지점에 기설정된 개수의 단위 유체를 생성하는 단계, 단위 유체에 유체 압력 관련 계산을 배제하는 Navier-Stokes 방정식을 적용하여 단위 유체의 움직임을 예측하는 단계 및 예측된 단위 유체의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렌더링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체 페인팅 효과를 제공하는 GUI 제공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UI PROVIDING DEVICE PROVIDING FLUID PAINER EFFECT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
본 발명은 유체 페인팅 효과를 제공하는 GUI 제공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리 기반 유체 효과 드로잉 툴에 의한 페인팅을 실시간으로 처리 가능한 유체 페인팅 효과를 제공하는 GUI 제공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자에 들어서, 스마트 폰 또는 태블릿 PC의 이용 및 공급이 급증하고 있다. 아울러, 스마트 폰 또는 태블릿 PC의 이용이 급증함에 따라서, 스마트 폰 또는 태플릿 PC에서 사용자들 스스로 원하는 서비스 형태를 스스로 공급하는 어플리케이션의 개발 또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특히, 어플리케이션 중 다수의 사용자로부터 각광받는 것 중 하나는 페인팅 GUI(graphical user interface)에 관한 것이다. 페인팅 GUI는 사용자의 터치 등의 간단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캔버스 상에 표시를 가능하게 하는 인터페이스이다. 사용자는 캔버스 상에 특정 표시를 수행함에 있어서, 컬러 또는 표시 선의 두께 등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의욕하는 그림을 전자 기기로써 그릴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컬러 또는 선의 두께 이외에도 다양한 방식의 효과의 개발이 요청되고 있다. 특히, 유체 페인팅 효과는 사용자가 지정한 위치에 물감과 같은 유체를 배치시키는 효과를 창출할 수 있는 효과일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특정한 지점에 유체 페인팅 효과를 기반으로 하는 점을 지정한 경우에는, 상기 특정한 지점에 기설정된 양만큼의 유체가 부여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특정한 지점의 유체가 중력에 의하여 아래로 흐를 수도 있으며, 캔버스에 흡수되는 표현 또한 가능할 수 있다.
다만, 종래의 유체 페인팅 효과는 물리 기반 애니메이션 기술에 기초하지 않으며, 그래픽에 기초하여 유체와 같은 효과를 창출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이는, 물리 기반 애니메이션 기술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연산량이 급증하여 실시간으로 사용자에게 효과를 제공할 수 없다는 점에서 기인한다.
하지만, 물리 기반 애니메이션 기술을 배제한 그래픽에 기초한 유체 페인팅 효과는 보다 실제와 근접한 유체 페인팅 효과를 창출하기 어렵다. 특히, 최근에는 다양한 종류의 배경 캔버스를 교체하면서, 각각의 배경 캔버스 상에서 제공되는 특성 표현이 요구된다. 상술한 그래픽 기반 유체 페인팅 효과는, 배경 캔버스의 교체에 의하여 전체 알고리즘의 교체가 요구된다. 이에 따라, 배경 캔버스 각각에 대응하는 알고리즘을 저장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체 압력 관련 계산을 배제하는 Navier-Stokes 방정식을 이용한 유체 페인팅 효과를 제공하는 GUI 제공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술한 바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유체 페인팅 효과를 제공하는 GUI 제공 장치의 제어 방법은, 캔버스 및 드로잉 툴을 포함하는 GUI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캔버스 상의 특정 지점에, 상기 드로잉 툴을 이용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지점에 기설정된 개수의 단위 유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단위 유체에 유체 압력 관련 계산을 배제하는 Navier-Stokes 방정식을 적용하여 단위 유체의 움직임을 예측하는 단계 및 상기 예측된 단위 유체의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렌더링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한 유체 페인팅 효과를 제공하는 GUI 제공 장치는, 캔버스 및 드로잉 툴을 포함하는 GUI를 제공하고, 상기 캔버스 상의 특정 지점에 상기 드로잉 툴을 이용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사용자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지점에 기설정된 개수의 단위 유체를 생성하고, 상기 단위 유체에 유체 압력 관련 계산을 배제하는 Navier-Stokes 방정식을 적용하여 단위 유체의 움직임을 예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예측된 단위 유체의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렌더링하고, 렌더링된 데이터를 표시하도록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의하여, 유체 압력 관련 계산을 배제하는 Navier-Stokes 방정식을 이용한 유체 페인팅 효과를 제공하는 GUI 제공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유체 압력 관련 계산을 배제하는 Navier-Stokes 방정식을 이용함으로써, 확산 및 이류, 중력과 관련한 유체 페인팅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아울러, 유체 압력 관련 계산이 배제됨에 따라서 연산량이 현저하게 감축될 수 있다. 또한 유체 압력 관련 계산의 배제에 의하여, 방정식 풀이 과정에서 병렬화가 가능하며, 이에 따라 GPU에 의한 연산이 가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GUI 제공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GUI의 예시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GUI 제공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양한 유체 페인팅 효과의 예시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파라미터 변경에 따른 표시 변경의 예시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경 변경에 의한 유체 페인팅 효과의 예시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픽셀별 단위 유체의 움직임의 예측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GUI 제공 장치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GUI 제공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GUI 제공 장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 및 제어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는 디스플레이부(111) 및 입력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1)는 캔버스 및 드로잉 툴을 포함하는 GUI를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1)는 입력부(112)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렌더링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캔버스에 표시할 수 있다. 즉, GUI의 캔버스는 사용자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그래픽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아울러, GUI의 드로잉 툴은 캔버스 상에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효과에 대응하는 효과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효과는, 유체의 스플래쉬(splash) 효과, 중력에 의하여 일부 유체가 하강하는 효과, 배경에 유체가 스며들어 확산되는 효과등일 수 있다. 각각의 효과에 대하여서는 더욱 상세하게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GUI의 드로잉 툴은 페인팅 GUI의 일반적인 메뉴, 예를 들어 그리기, 펜 효과, 붓 효과, 지우기, 잘라내기, 붙이기, 회전하기, 반전하기 등의 메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11)는 LCD 모듈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또는 입력부(112)와 함께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11)는 GUI 및 사용자 입력 신호에 기초한 렌더링된 그래픽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는 수단이면 그 제한이 없다.
사용자는 캔버스 상의 특정 지점에 드로잉 툴을 이용한 사용자 입력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입력부(112)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에서, 입력부(112)는 복수 개의 컨트롤 키를 포함하는 키 입력수단, 펜 입력 기반의 태블릿, 마우스 등의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아울러, 입력부(112)는 디스플레이부(112)와 함께 터치 스크린이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입력부(112)는 입력된 사용자 입력 신호를 처리하여 제어부(120)로 출력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 입력 신호는 캔버스 상의 특정 지점의 지정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 입력 신호는 캔버스 상에 표현되는 적어도 하나의 효과의 지정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신호는 붓 효과 지정, 확산 효과 지정 및 캔버스의 제 1 지점에서 제 2 지점으로의 드래그 모션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후술할 것으로, 제어부(120)는 붓이 캔버스의 제 1 지점으로부터 제 2 지점으로 표시하는 효과를 렌더링하며, 추가적으로 붓의 표시 과정 중 유체가 배경에 스며들어 확산되는 효과를 렌더링할 수 있다.
입력부(112)는 입력된 사용자 입력 신호를 곧바로 제어부(120)로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입력부(112)는, 입력된 사용자 입력 신호를 증폭, 노이즈 제거, ADC(analog to digital converting)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처리를 수행하여 제어부(120)로 출력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입력부(112)는 입력 수단과 추가적으로, 증폭 수단, 필터링 수단, ADC 수단 등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다.
제어부(120)는 입력된 사용자 입력 신호를 분석하여 그래픽 데이터를 렌더링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사용자 입력 신호에 포함된 캔버스 상의 특정 지점의 지정 위치를 분석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특정 지점의 지정 위치에 기설정된 개수의 단위 유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신호가 캔버스 상의 일 지점의 선택이면, 제어부(120)는 선택된 지점에 기설정된 개수의 단위 유체를 생성할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 입력 신호가 캔버스 상의 제 1 지점으로부터 제 2 지점으로의 드래그이면, 제 1 지점으로부터 제 2 지점으로 연속되는 지점의 단위 면적마다 기설정된 개수의 단위 유체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단위 유체 각각에 대하여 유체 압력 관련 계산이 배제된 Navier-Stokes 방정식을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유체 합력 관련 계산이 포함된 Navier-Stokes 방정식은 수학식 1 및 수학식 2와 같다.
Figure 112012010186036-pat00001
Figure 112012010186036-pat00002
수학식 1에서, u는 단위 유체의 속도 벡터이다. 아울러, p는 유체에 가해지는 압력이며, g는 중력 가속도를 의미한다. 또한, ρ는 압력 관련 파라미터이며, μ는 확산 관련 파라미터이다.
수학식 1의 좌측 식
Figure 112012010186036-pat00003
은 단위 유체의 가속도를 의미하며, 단위 유체의 가속도는 수학식 1의 우측 식의 3가지 요소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우측 식의 첫 번째 요소인
Figure 112012010186036-pat00004
은 단위 유체의 이류 관련 계산 부분이다. 우측 식의 두 번째 요소인
Figure 112012010186036-pat00005
는 단위 유체에 가해지는 압력 관련 계산 부분이다. 우측 식의 세 번째 요소인
Figure 112012010186036-pat00006
는 확산 관련 계산 부분이다. 우측 식의 네 번째 요소인 g는 중력 가속도로, 유체의 중력에 의한 하강 관련 계산 부분이다.
수학식 2는, 단위 유체의 운동량이 보존된다는 의미이다.
한편, 단위 유체에 가해지는 압력 관련 계산의 풀이를 위하여서는 Poisson 방정식을 풀어야 하며, 이에 대한 연산량이 급격하게 증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원 발명에 의한 제어부(120)는 단위 유체에 가해지는 압력 관련 계산 풀이를 배제한 Navier-Stokes 방정식을 단위 유체에 적용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20)는 수학식 3과 같은 수정된 Navier-Stokes 방정식을 단위 유체에 적용한다.
Figure 112012010186036-pat00007
제어부(120)는 수학식 3의 우측의 세 요소를 한꺼번에 풀이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20)는 세 요소 각각에 대한 방정식을 풀이할 수도 있다. 제어부(120)는 확산과 관련하여서는 라플라스 방정식을 수치적으로 계산할 수 있으며, 이류 현상과 관련하여서는 세미-라그랑지안(semi-Lagrangian) 방법을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20)는 라플라스 방정식의 풀이에 있어서 커널에 의한 필터링 효과에 기초한 병렬 계산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압력 관련 계산을 생략함으로써, 압력에 의한 선형 시스템의 풀이가 배제되며 병목 현상이 완화되어 실시간 시물레이션이 가능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의 각각의 픽셀에 대하여 병렬적으로 수학식 3의 수정된 Navier-Stokes 방정식을 적용할 수 있어, 그 연산 시간을 감축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20)는 GPU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GPU는 각각의 픽셀에 대한 수정된 Navier-Stokes 방정식을 병렬적으로 동시에 처리할 수 있다. 이는, 병목 현상을 야기하는 압력 관련 계산을 Navier-Stokes 방정식에서 배제한 것에서 기인한다.
제어부(120)는 수정된 Navier-Stokes 방정식의 적용 결과 예측된 단위 유체의 움직임을 렌더링하여, 대응하는 그래픽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120)는, 사용자 입력 신호의 입력 시기에 대응하여 실시간으로 렌더링된 그래픽 데이터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1)를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에 의한 GUI 제공 장치는 병목 현상의 원인이 되는 압력 관련 계산을 배제한 수정된 Navier-Stokes 방정식을 적용함으로써 연산량을 감축시킬 수 있다. 특히, 물리 기반인 Navier-Stokes 방정식을 적용하기 때문에, 보다 실제와 근접한 유체 현상을 표현할 수 있는 효과가 창출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GUI의 예시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GUI는 적어도 하나의 효과 아이콘을 포함하는 드로잉 툴과 캔버스를 포함할 수 있다. 드로잉 툴은 랜덤 기능(201), 표시 컬러 변경 기능(202), 붓 두께 변경 기능(203), 스플래쉬 효과 기능(204), 중력에 의한 유체 하강 기능(205), 단위 유체의 크기 및 속도 조정 기능(206), 확산 정도 조정 기능(207), 후처리 기능(208), 샘플 기능(209) 및 삭제 기능(210)을 포함할 수 있다.
랜덤 기능(201)은, 단위 유체의 생성에 있어서 랜덤 확률을 부여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랜덤 기능(201)을 인에이블(enable)하면, GUI 제공 장치는 단위 유체를 랜덤하게 생성할 수 있다.
표시 컬러 변경 기능(202)은 캔버스에 표시되는 컬러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표시 컬러 변경 기능(202)을 지정한 이후, 추가적으로 생성되는 컬러 모음표(미도시)에서 원하는 컬러를 지정하는 방식으로, 캔버스에 표시되는 컬러를 변경할 수 있다.
붓 두께 변경 기능(203)은, 사용자 입력 신호에 포함된 캔버스의 일 지점 지정에 대응하는 두께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붓 두께 변경 기능(203)을 지정한 이후, 추가적으로 생성되는 붓 두께 모음표(미도시)에서 원하는 두께를 지정하는 방식으로 캔버스에 표시되는 두께를 변경할 수 있다. GUI 제공 장치는 단위 유체의 개수를 조정함으로써 붓 두께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붓 두께가 두꺼운 경우에는 사용자가 지정한 일 지점에 상대적으로 다수의 단위 유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붓 두께가 얇은 경우에는 사용자가 지정한 일 지점에 상대적으로 소수의 단위 유체를 생성할 수 있다.
스플래쉬 효과 기능(204)은 사용자 입력 신호 중 캔버스의 특정 지점 가운데 마지막 지점 주변에 기설정된 방식으로 추가적인 단위 유체를 생성하는 기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플래쉬 효과 기능(204)을 인에이블하면, 연속적인 드래그에 대응하여 캔버스에 소정의 두께로 선을 표시하는 경우에 있어서, 선의 최종점 주변에 유체가 튀는 듯한 효과가 렌더링될 수 있다. 스플래쉬 효과 기능(204)은, GUI 생성 장치가 최종 지정 지점의 주변에 랜덤한 확률로 단위 유체를 추가적으로 생성하는 것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러한 방법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중력에 의한 유체 하강 기능(205)은 유체가 중력에 의하여 하강하는 효과에 대한 기능일 수 있다. 유체 하강 기능(205)을 인에이블하는 경우에는, 유체가 캔버스의 하측 방향으로 흐르는 듯이 렌더링할 수 있다. 한편, 유체 하강 기능(205)을 디스에이블(disable)하는 경우에는, 수학식 3의 g 부분을 0으로 조정하여 방정식을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유체가 하측 방향으로 흐르는 효과가 렌더링되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는 중력 가속도 g의 값을 조정할 수 있으며, GUI 제공 장치는 조정된 중력 가속도를 적용하여 유체가 하측 방향으로 흐르는 정도를 조정하여 렌더링할 수 있다.
단위 유체의 개수 및 속도 조정 기능(206)은 생성되는 단위 유체의 개수 및 속도의 값을 조정할 수 있는 기능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단위 유체의 개수 및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할 수 있다. 단위 유체의 개수 또는 속도 조정 기능(206)을 지정한 경우, GUI 제공 장치는 유체의 개수 또는 속도의 값을 입력할 수 있는 창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창에 유체의 개수 또는 속도의 값을 입력하여 생성되는 단위 유체의 개수 또는 속도의 값을 조정할 수 있다.
확산 정도 조정 기능(207)은 단위 유체의 확산 정도를 조정할 수 있는 기능일 수 있다. 확산 정도 조정을 통하여, 단위 유체가 배경에 스며들며 확산되는 정도가 변경될 수 있다. GUI 제공 장치는 수학식 3의 확산 관련 파라미터 μ값을 조정함으로써 단위 유체가 확산되는 정도를 변경할 수 있다.
후처리 기능(208)은 사용자 입력 이후의 후처리 과정에 관한 기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후처리 기능(208)은 캔버스 상의 표시의 윤곽 부분의 명확도에 관한 것일 수 있다. 사용자는 후처리 기능(208)의 조작을 통하여, 캔버스 상의 표시의 윤곽을 명확하게 하거나 또는 흐리게 처리하도록 입력할 수 있다. GUI 제공 장치는, 사용자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캔버스 상의 표시의 윤곽을 명확하게 하거나 도는 흐리게 렌더링할 수 있다.
샘플 기능(209)은 캠버스 배경의 종류의 선택일 수 있다. GUI 제공 장치는 다양한 캠버스 배경 샘플을 기저장할 수 있다. GUI 제공 장치는, 사용자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캠버스 배경 샘플을 선택할 수 있다. 여기에서, 캠버스 배경 샘플은 기설정된 텍스처를 포함할 수 있다. 텍스처는 유체의 흐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패턴을 의미할 수 있다. 단위 유체는 텍스처에 의하여 속도 u에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GUI 제공 장치는 상기 영향받은 속도에 기초하여 단위 유체의 흐름을 예측할 수 있다. GUI 제공 장치는 속도에의 영향을 반영한 단위 유체 흐름을 렌더링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다양한 종류의 배경에 대한 유체 페인팅 효과를 제공받을 수 있다.
삭제 기능(210)은, 캔버스의 특정한 지정 부분의 표시를 삭제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삭제 기능(210) 아이콘을 지정하고 삭제를 원하는 부분을 지정함으로써, 캔버스 상의 표시를 삭제할 수 있다.
캔버스 상에는 사용자 입력 신호에 대응하여 렌더링된 그래픽 데이터(211,212)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Fluid Painter"라는 표시(211)를 표시할 수 있도록, "Fluid Painter"라는 표시를 드래그한 상태에서 기재함으로써 표시(211)를 렌더링하도록 조작할 수 있다.
한편, 표시(212)는 진함의 정도가 상이한 복수 개의 표시들을 포함하고 있다. 사용자는 단위 유체의 개수(206)를 조정하여 표시의 진함의 정도를 조정할 수 있다. GUI 제공 장치는, 사용자의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단위 유체의 개수를 조정하여 표시의 진함 정도가 조정된 그래픽 데이터를 렌더링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에 의한 GUI 제공 장치는 다양한 효과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원 발명에 의한 GUI 제공 장치는, 상기의 다양한 효과 중 일부는 단순히 수학식 3과 같이 수정된 Navier-Stokes 방정식의 파라미터만을 변경하여 얻을 수 있어, 알고리즘 작성 시의 추가적인 노력이 감축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GUI 제공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GUI 제공 장치(3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10) 및 제어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10)는 디스플레이부(311) 및 입력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10)와 관련한 설명은 도 1에서 상세하게 하였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생략하도록 한다.
신호 처리부(321)는 입력된 사용자 입력 신호를 후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 처리부(321)는 입력된 사용자 입력 신호를 기설정된 이득 값으로 증폭할 수 있다. 또한, 신호 처리부(321)는 사용자 입력 신호에 기설정된 방법으로 필터링을 수행하여 잡음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신호 처리부(321)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할 수도 있다.
또한, 신호 처리부(321)는 입력된 사용자 입력 신호를 캔버스 상의 특정 지점의 지정과 효과로 별도로 처리할 수 있다.
효과 부여부(322)는, 사용자가 특정 효과를 지정한 경우에 대응하는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의 효과 중 중력에 의한 유체 하강 기능(205)에 있어서, 효과 부여부(322)는 수학식 3의 중력 가속도 g를 조정할 수 있다. 아울러, 확산 정도 조정 기능(207)인 경우에 있어서, 효과 부여부(322)는 수학식 3의 확산 관련 파라미터 μ를 조정할 수 있다.
아울러, 효과 부여부(322)는 도 2와 관련한 효과 각각에 대하여 해당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특히, 배경 샘플 변경 효과에 대응하여, 효과 부여부(322)는 변경 배경에 대응하는 텍스처 상에서의 단위 유체가 움직이도록 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효과 부여부(322)는 텍스처 블렌딩(texture blending) 기법을 이용하여, 단위 유체가 텍스처 상에서 움직이는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그래픽 처리부(323)는 사용자 입력 지점 및 그에 대응하는 효과를 함께 렌더링하여 그래픽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그래픽 처리부(323)는 기설정된 시간 간격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프레임을 생성할 수 있다. 즉, 그래픽 처리부(323)는 시간의 경과에 대응하는 유체의 움직임을 렌더링할 수 있다. 그래픽 처리부(323)는 렌더링된 그래픽 데이터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311)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그래픽 처리부(323)는 단위 유체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사용자 입력 신호의 입력 기간에 비례하여 생성되는 단위 유체를 더 생성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압력 관련 계산을 배제하였기 때문에, 그래픽 처리부(323)는 사용자 입력 신호의 입력에 대하여 실시간으로 그래픽 데이터를 렌더링할 수 있다. 한편, 그래픽 처리부(323)는 디스플레이부(311)의 픽셀 단위로 렌더링을 처리할 수 있다. 즉, 그래픽 처리부(323)는 디스플레이부(311)의 픽셀의 렌더링을 병렬로 처리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양한 유체 페인팅 효과의 예시들이다. 표시(401)는 상대적으로 진한 진함 정도 및 강한 스플래쉬 효과를 준 표시이다. 제어부는 상대적으로 많은 단위 유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입력 지점의 종점 근처에 대하여서는 상대적으로 많은 단위 유체를 랜덤하게 생성할 수 있다. 아울러, 표시(401)는 상대적으로 빠른 확산 속도의 효과를 준 것으로, 제어부는 확산 관련 파라미터 값을 조정할 수 있다.
표시(402)는 상대적으로 연한 진함 정도 및 약한 스플래쉬 효과를 준 표시이다. 제어부는 상대적으로 적은 단위 유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입력 지점의 종점 근처에 대하여서는 상대적으로 적은 단위 유체를 랜덤하게 생성할 수 있다.
표시(403)는 유체의 하강 정도를 크게 한 표시이다. 제어부는 중력 가속도의 크기를 증가시켜 유체의 하강 정도를 상대적으로 크게 할 수 있다.
표시(404)는 유체의 하강 정도를 크게 하고, 동시에 상대적으로 빠른 확산 속도의 효과를 준 것이다. 제어부는 중력 가속도 및 확산 관련 파라미터를 동시에 조정하여 표시(404)의 효과를 렌더링할 수 있다.
한편 GUI 제공 장치는 표시(401 내지 404)를 프레임버퍼에 바로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프레임버퍼객체(Frame Buffer Object)를 활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프레임 버퍼 객체는 두 개의 텍스쳐 이미지를 연결하고 있으며, 이 두 개의 텍스쳐 이미지에 기존의 결과(Old Texture)와 새로운 결과(New Texture)를 번갈아 보여주는 방식으로 애니메이션이 가능하다. 새로운 텍스쳐의 내용을 기존의 텍스쳐에 복사하고, 프레그먼트 쉐이더에서 기존의 텍스쳐와 사용자 입력을 가지고 유체 시뮬레이션 알고리즘을 수행한다.
상술한 방식으로, 확산과 이류를 반영한 새로운 결과를 다시 새로운 텍스쳐(New Texture)에 저장한다. 이러한 방식을 반복하면 사용자 입력의 결과가 캔버스에 흡수되는 애니메이션 효과를 보여줄 수 있다. 프레임 버퍼에 쓰지 않고, 프레임버퍼 객체를 사용하게 되면, 메인 메모리를 거치지 않고 그래픽 프로세서의 디바이스 메모리만 활용하여 시뮬레이션 할 수 있기 때문에 메모리 복사의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이 디바이스 메모리는 프레그먼트 쉐이더에서 직접적으로 접근 (Direct Access)가능하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이 방법을 쓰지 않을 경우에 비해 약 20배 이상 속도가 향상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파라미터 변경에 따른 표시 변경의 예시들이다.
표시(501), 표시(502), 표시(503)는 확산 관련 파라미터를 점점 증대한 경우에 대한 것이다. 아울러, 표시(504)는 중력 가속도를 음수로 변경한 경우에 대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경 변경에 의한 유체 페인팅 효과의 예시이다. 도 5의 실시 예와는 상이하게 표시(601,602,603)들은 직물 재질의 배경 상에 표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GUI 제공 장치는 텍스처 블렌딩 기법에 기초하여 직물 재질의 배경의 텍스처 상에서의 단위 유체의 움직임을 예측할 수 있다. 아울러, GUI 제공 장치는 예측된 단위 유체의 움직임을 표시(601,602,603)로 표시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픽셀별 단위 유체의 움직임의 예측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GUI 제공 장치는 단위 유체의 움직임을 픽셀 단위로 예측할 수 있다. 이는, Navier-Stokes 방정식에서 압력 관련 계산을 배제하였기 때문에, 병렬화 처리가 가능함에서 기인한 것이다. GUI 제공 장치는 최초 픽셀에 대한 단위 유체의 움직임(701)을 렌더링하며, 이후 픽셀에 대한 단위 유체의 움직임(702)을 픽셀 단위로 렌더링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GUI 제공 장치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GUI 제공 장치는, 예를 들어 도 2와 같은 캔버스 및 드로잉 툴을 포함하는 GUI를 제공할 수 있다(S801). GUI 제공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입력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S802).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입력 신호는 캔버스 상의 특정 지점의 지정 및 적어도 하나의 효과 지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GUI 제공 장치는 입력 신호에 압력 관련 계산을 제외한 Navier-Stokes 방정식을 적용할 수 있다(S803). 더욱 상세하게, GUI 제공 장치는 사용자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 입력 지점에 기설정된 개수의 단위 유체를 생성할 수 있다. 아울러, GUI 제공 장치는 단위 유체에 유체 압력 관련 계산을 배제하는 Navier-Stokes 방정식을 적용하여 단위 유체의 움직임을 예측할 수 있다.
아울러, GUI 제공 장치는 예측된 단위 유체의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렌더링하여 표시할 수 있다(S804).
여기에서, 드로잉 툴은 캔버스 상에서 표현되는 적어도 하나의 효과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 입력 신호는, 상기 캔버스 상의 특정 지점의 지정 및 적어도 하나의 효과 아이콘의 지정을 포함할 수도 있다.
특히, 적어도 하나의 효과는 유체의 확산 정도에 관한 것인 경우, 단위 유체의 움직임을 예측하는 단계는, 유체의 확산 정도에 대응하여 변경된 확산 파라미터의 Navier-Stokes 방정식을 적용하여 단위 유체의 움직임을 예측할 수 있다.
또는, 적어도 하나의 효과는 배경 변경에 관한 것인 경우, 단위 유체의 움직임을 예측하는 단계는, 변경된 배경에 대응하는 텍스처 상에서의 단위 유체의 움직임을 예측하는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단위 유체의 움직임을 예측하는 것은, 텍스처 블렌딩(texture blending) 기법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적어도 하나의 효과는 유체의 하강 정도에 관한 것인 경우, 상기 단위 유체의 움직임을 예측하는 단계는, 유체의 하강 정도에 대응하여 변경된 중력 가속도 파라미터의 Navier-Stokes 방정식을 적용하여 단위 유체의 움직임을 예측할 수 있다.
한편, 적어도 하나의 효과는 유체의 스플래쉬(splash) 정도에 관한 것인 경우에는, 렌더링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사용자 입력 신호의 입력이 해제되는 시기에 유체가 스플래쉬 되도록 렌더링할 수 있다.
한편, 기설정된 개수의 단위 유체를 생성하는 단계는, 사용자 입력 신호의 입력 소요 시간에 비례하는 개수의 단위 유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단위 유체의 움직임을 예측하는 단계는, 캔버스의 픽셀 단위로 상기 단위 유체의 움직임을 예측할 수 있다. 이 경우, 픽셀 단위의 단위 유체의 움직임의 예측은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주 내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다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20)

  1. 캔버스 및 드로잉 툴을 포함하는 GUI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캔버스 상의 특정 지점에, 상기 드로잉 툴을 이용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지점에 기설정된 개수의 단위 유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단위 유체에 유체 압력 관련 파라미터를 제외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 신호에 의해 지정된 유체의 확산 정도, 유체의 스플래쉬(splash) 정도, 배경 변경 또는 유체 하강 정도 중 적어도 하나의 효과에 대응하는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단위 유체의 움직임을 예측하는 단계; 및
    상기 예측된 단위 유체의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렌더링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체 페인팅 효과를 제공하는 GUI 제공 장치의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잉 툴은 상기 캔버스 상에서 표현되는 적어도 하나의 효과 아이콘을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입력 신호는, 상기 캔버스 상의 특정 지점의 지정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효과 아이콘의 지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UI 제공 장치의 제어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효과는 유체의 확산 정도에 관한 것이며,
    상기 단위 유체의 움직임을 예측하는 단계는,
    상기 유체의 확산 정도에 대응하여 변경된 확산 파라미터의 Navier-Stokes 방정식을 적용하여 상기 단위 유체의 움직임을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UI 제공 장치의 제어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효과는 배경 변경에 관한 것이며,
    상기 단위 유체의 움직임을 예측하는 단계는,
    상기 변경된 배경에 대응하는 텍스처 상에서의 상기 단위 유체의 움직임을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UI 제공 장치의 제어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유체의 움직임을 예측하는 것은, 텍스처 블렌딩(texture blending) 기법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UI 제공 장치의 제어 방법.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효과는 유체의 하강 정도에 관한 것이며,
    상기 단위 유체의 움직임을 예측하는 단계는,
    상기 유체의 하강 정도에 대응하여 변경된 중력 가속도 파라미터의 Navier-Stokes 방정식을 적용하여 상기 단위 유체의 움직임을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UI 제공 장치의 제어 방법.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효과는 유체의 스플래쉬(splash) 정도에 관한 것이며,
    상기 렌더링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입력 신호의 입력이 해제되는 시기에 유체가 스플래쉬 되도록 렌더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UI 제공 장치의 제어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개수의 단위 유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입력 신호의 입력 소요 시간에 비례하는 개수의 단위 유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UI 제공 장치의 제어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유체의 움직임을 예측하는 단계는,
    상기 캔버스의 픽셀 단위로 상기 단위 유체의 움직임을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UI 제공 장치의 제어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픽셀 단위의 상기 단위 유체의 움직임의 예측은 병렬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UI 제공 장치의 제어 방법.
  11. 캔버스 및 드로잉 툴을 포함하는 GUI를 제공하고, 상기 캔버스 상의 특정 지점에 상기 드로잉 툴을 이용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사용자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지점에 기설정된 개수의 단위 유체를 생성하고, 상기 단위 유체에 유체 압력 관련 파라미터를 제외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 신호에 의해 지정된 유체의 확산 정도, 유체의 스플래쉬(splash) 정도, 배경 변경 또는 유체 하강 정도 중 적어도 하나의 효과에 대응하는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단위 유체의 움직임을 예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예측된 단위 유체의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렌더링하고, 렌더링된 데이터를 표시하도록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페인팅 효과를 제공하는 GUI 제공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잉 툴은 상기 캔버스 상에서 표현되는 적어도 하나의 효과 아이콘을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입력 신호는, 상기 캔버스 상의 특정 지점의 지정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효과 아이콘의 지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UI 제공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효과는 유체의 확산 정도에 관한 것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체의 확산 정도에 대응하여 변경된 확산 파라미터의 Navier-Stokes 방정식을 적용하여 상기 단위 유체의 움직임을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UI 제공 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효과는 배경 변경에 관한 것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경된 배경에 대응하는 텍스처 상에서의 상기 단위 유체의 움직임을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UI 제공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유체의 움직임을 예측하는 것은, 텍스처 블렌딩(texture blending) 기법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UI 제공 장치.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효과는 유체의 하강 정도에 관한 것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체의 하강 정도에 대응하여 변경된 중력 가속도 파라미터의 Navier-Stokes 방정식을 적용하여 상기 단위 유체의 움직임을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UI 제공 장치.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효과는 유체의 스플래쉬(splash) 정도에 관한 것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 신호의 입력이 해제되는 시기에 유체가 스플래쉬 되도록 렌더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UI 제공 장치.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 신호의 입력 소요 시간에 비례하는 개수의 단위 유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UI 제공 장치.
  19.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의 픽셀 단위로 상기 단위 유체의 움직임을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UI 제공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픽셀 단위의 상기 단위 유체의 움직임을 병렬적으로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UI 제공 장치.

KR1020120012715A 2012-02-08 2012-02-08 유체 페인팅 효과를 제공하는 gui 제공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9270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2715A KR101927069B1 (ko) 2012-02-08 2012-02-08 유체 페인팅 효과를 제공하는 gui 제공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2715A KR101927069B1 (ko) 2012-02-08 2012-02-08 유체 페인팅 효과를 제공하는 gui 제공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1437A KR20130091437A (ko) 2013-08-19
KR101927069B1 true KR101927069B1 (ko) 2018-12-11

Family

ID=49216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2715A KR101927069B1 (ko) 2012-02-08 2012-02-08 유체 페인팅 효과를 제공하는 gui 제공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70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6263B1 (ko) * 2018-08-02 2023-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타일러스 펜의 입력을 표시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42163A (ja) 2000-07-25 2002-02-08 Namco Ltd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画像処理用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4139411A (ja) 2002-10-18 2004-05-13 Wacom-It Co Ltd 毛筆描画装置、毛筆描画プログラムおよび毛筆描画方法
JP2005078121A (ja) 2003-08-29 2005-03-24 Toshiba Corp 流体の飛沫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8165804A (ja) 2007-01-04 2008-07-17 Honda Motor Co Ltd 流れのシミュレーション計算方法および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03564B2 (en) * 2007-02-16 2012-06-19 Qualcomm Incorporated Efficient 2-D and 3-D graphics processing
KR101125218B1 (ko) * 2010-05-31 2012-03-21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음향 시각화 장치 및 방법
JP2016005804A (ja) * 2015-09-28 2016-01-1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内視鏡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42163A (ja) 2000-07-25 2002-02-08 Namco Ltd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画像処理用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4139411A (ja) 2002-10-18 2004-05-13 Wacom-It Co Ltd 毛筆描画装置、毛筆描画プログラムおよび毛筆描画方法
JP2005078121A (ja) 2003-08-29 2005-03-24 Toshiba Corp 流体の飛沫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8165804A (ja) 2007-01-04 2008-07-17 Honda Motor Co Ltd 流れのシミュレーション計算方法および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1437A (ko) 2013-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78115B2 (en) Sprite graphics rendering system
CN106575445B (zh) 毛皮虚拟化身动画
US8169438B1 (en) Temporally coherent hair deformation
EP2828831B1 (en) Point and click lighting for image based lighting surfaces
US20160343155A1 (en) Dynamic filling of shapes for graphical display of data
CN105631916B (zh) 画笔与液体模拟
US20150348316A1 (en) Equivalent Lighting For Mixed 2D and 3D Scenes
US9723204B2 (en) Dynamic motion path blur kernel
US917666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imulating the effects of liquids on a camera lens
US9519986B1 (en) Using stand-in camera to determine grid for rendering an image from a virtual camera
US20190096096A1 (en) Digital Paint Generation Feedback
Semmo et al. Interactive image filtering with multiple levels-of-control on mobile devices
US9955065B2 (en) Dynamic motion path blur user interface
US20150348315A1 (en) Dynamic Lighting Effects For Textures Without Normal Maps
US9779484B2 (en) Dynamic motion path blur techniques
KR20170026192A (ko) 그래픽 처리 시스템
US10193959B2 (en) Graphical interface for editing an interactive dynamic illustration
JP2022509770A (ja) 画像鮮明度を維持するための画像サイズによってトリガされる明確化
KR101927069B1 (ko) 유체 페인팅 효과를 제공하는 gui 제공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0898989B1 (ko) 물 표면의 포말 생성 및 표현 장치와 그 방법
US9070221B1 (en) Animation engine with hair animation using attenuation fields
CN107615229B (zh) 用户界面装置和用户界面装置的画面显示方法
US11409423B1 (en) Dynamic image filters for modifying a digital image over time according to a dynamic-simulation function
US10620610B2 (en) Techniques for generating motion sculpture models for three-dimensional printing
US10739911B2 (en) Unified drawing frame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