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6304B1 - Method of selecting representative boring investigation data in buildings region - Google Patents

Method of selecting representative boring investigation data in buildings reg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6304B1
KR101926304B1 KR1020180058842A KR20180058842A KR101926304B1 KR 101926304 B1 KR101926304 B1 KR 101926304B1 KR 1020180058842 A KR1020180058842 A KR 1020180058842A KR 20180058842 A KR20180058842 A KR 20180058842A KR 101926304 B1 KR101926304 B1 KR 1019263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drilling
representative
survey data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88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한샘
선창국
조형익
Original Assignee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지질자원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0588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630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63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630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1/00Seismology; Seismic or acoustic prospecting or detecting
    • G01V1/16Receiving elements for seismic signals;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receiving elements
    • G01V1/168Deployment of receiver elements
    • G01V1/008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1/00Seismology; Seismic or acoustic prospecting or detecting
    • G01V1/01Measuring or predicting earthquak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1/00Seismology; Seismic or acoustic prospecting or detecting
    • G01V1/28Processing seismic data, e.g. for interpretation or for event detection
    • G01V1/30Analysi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2210/00Details of seismic processing or analysis
    • G01V2210/10Aspects of acoustic signal generation or detection
    • G01V2210/14Signal detection
    • G01V2210/142Receiver loc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emote Sens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phys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to select representative boring investigation data in a building area, capable of reasonably selecting drilling investigation data representing a building are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to select representative drilling investigation data in a building area comprises: a step (c-1) of setting an extension area including the building area with respect to a spatial central point of the building area; a step (c-2) of selecting a plurality of candidate extension area groups including the extension area and gradually increased; a step (c-3) of collecting drilling investigation data for the extension area and the candidate extension area groups; a step (c-4) of space-interpolating one geotechnical characteristic value for the extension area and the candidate extension area groups, and calculating a residual between estimated and measured characteristic values to determine an area, which is estimated as the least root mean square errors (RMSE), as a target building area in order to determine an area with the highest spatial correlation as the target building area among the extension area and the candidate extension area groups; a step (c-5) of removing an abnormal value in accordance with a boring date and altitude from the boring investigation data of the target building area; a step (c-6) of selecting statistical representative boring investigation sample data based on the geotechnical characteristic vessel from the boring investigation data from which the abnormal value is removed; and a step (c-7) of selecting the closest boring investigation data based on the spatial central point of the building area as the representative boring investigation data among the statistical representative boring investigation sample data.

Description

건축물 영역에 대한 대표 시추조사 자료 선정 방법{METHOD OF SELECTING REPRESENTATIVE BORING INVESTIGATION DATA IN BUILDINGS REGION}{METHOD OF SELECTING REPRESENTATIVE BORING INVESTIGATION DATA IN BUILDINGS REGION}

본 발명은 건축물 영역에 대한 대표 시추조사 자료 선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진 발생시 심각한 피해를 야기하는 대규모 주택단지나 산업시설이 포함되는 건축물 영역에 대해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지진가속도계측기의 설치 위치를 선정할 수 있도록 부지응답 취약면에서 해당 건축물 영역을 대표할 수 있는 시추조사 자료를 합리적으로 선정하는 건축물 영역에 대한 대표 시추조사 자료 선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selecting representative drilling survey data for a building area,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selecting a drilling survey data for a building area including a large-sized housing complex or an industrial facility that causes serious damage in case of an earthquake, This is a method of selecting representative drilling survey data for a building area that rationally selects drilling survey data that can represent the corresponding building area on site vulnerability side.

최근 국가기반시설물을 대상으로 지진발생 시 지진경보 및 지진재해 대응의 효율성 및 신속성을 확보하고자 자유장, 구조물 영역에서의 지진가속도 계측기의 설치와 이와 연계한 통합관측망의 구축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In order to ensure the efficiency and promptness of earthquake warning and earthquake disaster response in case of earthquake, the necessity of establishment of seismic acceleration meter in free field and structure area and construction of integrated observation network in connection with it are emerging.

특히 제도적으로 국가기반시설물에 지진가속도계측기 설치를 의무화함으로써 적합한 위치와 규격의 지진가속도계를 설치함으로써 시설물별 최대지반가속도(peak ground acceleration; PGA) 단위로 지진동 수준을 정량적으로 파악하고 있으며, 향후에는 대략적인 지진피해규모 파악을 위한 진도단위의 평가를 시도하고 있다.In particular, by imposing an earthquake accelerometer on the national infrastructure, it is possible to quantitatively determine the level of earthquake excitation at the peak ground acceleration (PGA) level of each facility by installing seismic accelerometers of appropriate positions and sizes. And to evaluate the magnitude of earthquake damage.

시설물(건축물 포함)에 설치되는 지진가속도계측기는 크게 자유장 타입(지진가속도 계측 대상 시설물의 지반운동을 대표할 수 있는 건축물이나 구조물 등 일반적인 시설물이 없는 지표면), 시추공 타입(지표면에서 기반암까지 시추하여 기반암의 지진가속도를 계측할 수 있도록 설치된 지진가속도계), 구조물 타입(구조물의 지진거동특성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최하층, 최상층, 또는 중간층에 설치된 지진가속계)으로 분류된다.The earthquake accelerometer installed in facilities (including buildings) is largely classified as free-space type (ground surface where there are no general facilities such as buildings or structures that can represent ground motion of facilities subject to seismic acceleration measurement), borehole type (drilling from ground surface to bedrock (Seismic accelerometer installed to measure seismic acceleration of bedrock), structure type (earthquake accelerometer installed in the lowest, uppermost, or middle layer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 seismic behavior of the structure).

또한 단일 구조물을 대상으로 자유장 관측소와 구조물 관측소의 가속도 계측결과를 상호 활용함으로써 지진안전성 지표 기준의 신속한 구조물 안전성 평가 기술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In addition, rapid evaluation of the safety evaluation of seismic safety index based on the acceleration measurement results of free long observation station and structural observation station is being actively developed for single structure.

그러나 이와 같은 시설물 지진가속도계측기 설치 및 관측망 운영은 단일 시설물을 대상으로 진행되며, 다수의, 그리고 다양한 종류의 시설물로 구성된 대단위 건축물영역을 대상으로 한 최적의 지진가속도계측기 설치 위치선정의 가이드라인은 미흡하다. 또한 시설영역의 부지효과를 고려한 계측위치 선정과 지반지진공학적 최적의 자유장 조건(기반암 또는 암반노두)의 결정 또한 필요하다.However, the installation of the earthquake accelerometer and the operation of the observation network are conducted for a single facility, and there are insufficient guidelines for selecting the location of an optimal seismic accelerometer installation for a large building area composed of a large number of kinds of facilities Do.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select the measurement site considering the site effect in the facility area and to determine the optimal free - field condition (bedrock or rock outcrop) of the earthquake engineering.

또한 최적의 지진가속도계측기 설치 위치선정을 위해서는 부지응답 취약면에서 해당 건축물 영역을 대표할 수 있는 시추조사 자료를 합리적으로 선정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In order to select the optimal location of the earthquake acceleration instrument, it is important to select the drilling survey data that can represent the area of the building in a reasonable manner.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지진 발생시 심각한 피해를 야기하는 대규모 주택단지나 산업시설이 포함되는 건축물 영역에 대해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지진가속도계측기의 설치 위치를 선정할 수 있도록 부지응답 취약면에서 해당 건축물 영역을 대표할 수 있는 시추조사 자료를 합리적으로 선정하는 건축물 영역에 대한 대표 시추조사 자료 선정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arthquake-based measuring instrument capable of selecting a reasonable and efficient installation position of an earthquake acceleration meter for a building area including a large-scale housing complex or an industrial facility, This is to provide a method for selecting representative drilling survey data for a building area that rationally selects drilling survey data that can represent the corresponding building area on site vulnerability.

본 발명에 따르면, 건축물 영역의 확장 영역에 대하여 시추조사 자료를 수집하고, 수집된 시추조사 자료를 시간, 지형, 통계 및 공간적 기준으로 하여 건축물 영역 중심의 대표 시추조사 자료를 선정하는 건축물 영역에 대한 대표 시추조사 자료 선정 방법으로서, (c-1) 건축물 영역의 공간적 중심점을 기준으로 해당 건축물 영역을 포함하는 확장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c-2) 상기 확장 영역을 포함하며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다수의 확장 영역 후보군을 설정하는 단계; (c-3) 상기 확장 영역과 다수의 확장 영역 후보군에 대하여 각각 시추조사 자료를 수집하는 단계; (c-4) 상기 확장 영역과 다수의 확장 영역 후보군 중 공간적 상관도가 높은 영역을 대상 건축물 영역으로 결정하기 위해 상기 확장 영역과 다수의 확장 영역 후보군 각각에 대하여 하나의 지반공학적 특성값을 공간보간하고, 예측된 특성값과 측정된 특성값 간의 잔차를 계산하여 평균제곱근오차(RMSE, Root Mean Squared Errors)가 가장 작게 평가되는 영역을 대상 건축물 영역으로 결정하는 단계; (c-5) 상기 대상 건축물 영역의 시추조사 자료 중 시추날짜와 시추표고에 따른 이상치를 제거하는 단계; (c-6) 이상치가 제거된 시추조사 자료 중 지반공학적 특성값을 기준으로 통계적 대표 시추조사 표본자료를 선정하는 단계; 및 (c-7) 상기 대표 시추조사 표본자료 중 건축물 영역의 공간적 중심점을 기준으로 최근접한 시추조사 자료를 대표 시추조사 자료로 선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lling survey data is collected for the extended area of the building area, and the representative drilling survey data centered on the building area is selected based on the time, A method of selecting representative drilling survey data, comprising the steps of: (c-1) setting an extension area including a building area based on a spatial center point of a building area; (c-2) setting a plurality of extended region candidate groups including the extended region and gradually increasing; (c-3) collecting survey data on the extension area and the plurality of extension area candidates, respectively; (c-4) One geotechnical property value for each of the extension area and the plurality of extension area candidates is determined as a spatial structure interpolation area to determine a region having a high spatial correlation among the extension area and the plurality of extension area candidates as a target building area. Determining a region in which a root mean square error (RMSE) is estimated to be the smallest as a target building area by calculating a residual between a predicted characteristic value and a measured characteristic value; (c-5) removing an abnormal value according to a drilling date and a drilling elevation among drilling survey data of the target building area; (c-6) selecting statistical representative drilling survey specimens based on geotechnical characteristics of drilling survey data from which anomalies have been removed; And (c-7) selecting, as a representative drilling survey data, a drilling survey data of the representative drilling survey sample data based on the spatial center point of the building area; And a control unit.

바람직하게는, 상기 (c-3) 단계에서, 확장 영역 후보군은 적어도 7개 이상 설정되며, 확장 영역 후보군 간 간격은 건축물 영역 면적의 제곱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in the step (c-3), at least seven or more extension candidate groups are set, and an interval between the extension candidate groups is a square root of the building area area.

삭제delete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반공학적 특성값은 층별 두께 또는 표준관입시험 N값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the geotechnical property value is a layer thickness or a standard penetration test N value.

바람직하게는, 상기 (c-5) 단계는, (c-5-1) 상기 대상 건축물 영역의 시추조사 자료 중 시추날짜를 시계열 정렬하여 시추날짜가 오래된 하위 10%에 해당하는 자료를 이상치로 정의하여 제거하는 단계; 및 (c-5-2) 상기 대상 건축물 영역의 시추조사 자료 중 수치표고모델을 기준으로 지표고 오차를 상호 비교하여 오차가 많은 상위 10%에 해당하는 자료를 이상치로 정의하여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the step (c-5) further comprises the steps of: (c-5-1) defining a material in which the drilling date is in the lower 10% of the drilling date of the target building area, ; And (c-5-2) comparing the land elevation errors based on the numerical elevation model among the drilling survey data of the target building area, and removing the data corresponding to the upper 10% with a large error, as an abnormal value; And a control unit.

바람직하게는, 상기 (c-6) 단계는, 지반공학적 특성값을 층별 두께로 하며, (c-6-1) 이상치가 제거된 시추조사 자료에서 기반암 상부의 지층들을 대상으로 각 두께에 따른 확률분포 함수를 도출하는 단계; (c-6-2) 층별 두께의 확률분포 함수 상 95% 이상의 신뢰구간을 갖는 표본집단에 대한 평균값, 중앙값, 최빈값을 계산하는 단계; (c-6-3) 계산된 평균값, 중앙값, 최빈값의 지표를 토대로 시추조사 자료별로 측정된 지층 두께와 상호 비교 오차를 계산하는 단계; 및 (c-6-4) 상호 비교 오차의 계산 결과, 두께 결정 지표에 따른 오차의 확률분포상 하위 10% 이내에 해당하는 지층으로 구성된 시추조사 자료를 대표 시추조사 표본자료로 선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in the step (c-6), the geotechnical characteristic value is a thickness of the layer, and in the drilling data of the (c-6-1) Deriving a distribution function; (c-6-2) calculating a mean value, a median value, and a mode value for a sample group having a confidence interval of 95% or more on the probability distribution function of the thickness per layer; (c-6-3) calculating stratum thickness and intercomparison error measured for each drilling data based on the calculated mean, median, and mode indices; And (c-6-4) selecting the drilling survey data composed of the strata within the lower 10% of the probability distribution of the error according to the thickness determination index as the representative drilling survey data as a result of the calculation of the mutual comparison error; And a control unit.

바람직하게는, 상기 (c-6) 단계는, 지반공학적 특성값을 표준관입시험 N값으로 하며, (c-6-5) 이상치가 제거된 시추조사 자료에서 표준관입시험 N값의 평균값을 층별 대표 N값으로 정의하는 단계; (c-6-6) 층별 대표 N값의 확률분포 함수 상 95% 이상의 신뢰구간을 갖는 표본집단에 대한 평균값, 중앙값, 최빈값을 계산하는 단계; (c-6-7) 계산된 평균값, 중앙값, 최빈값의 지표를 토대로 시추조사 자료별로 층별 대표 N값에 따른 상호 비교 오차를 계산하는 단계; (c-6-8) 상호 비교 오차의 계산 결과, N값 결정 지표에 따른 오차의 확률분포상 하위 10% 이내에 해당하는 층별 대표 N값을 갖는 시추조사 자료를 대표 시추조사 표본자료로 선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in the step (c-6), the geotechnical property value is set to the value of the standard penetration test N, and the average value of the standard penetration test N value in the drilling survey data in which the (a) Defining as a representative N value; (c-6-6) calculating a mean value, a median value, and a mode value for a sample group having a confidence interval of 95% or more on a probability distribution function of representative N values per layer; (c-6-7) calculating intercomparison errors according to representative N values for each drilling survey data on the basis of the calculated mean, median, and mode indices; (c-6-8) selecting drill survey data as representative drill survey data having a representative N value within the lower 10% of the probability distribution of the error according to the N value determination index as a result of the calculation of the mutual comparison error; And a control unit.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진 발생시 심각한 피해를 야기하는 대규모 주택단지나 산업시설이 포함되는 건축물 영역에 대해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지진가속도계측기의 설치 위치를 선정할 수 있도록 부지응답 취약면에서 해당 건축물 영역을 대표할 수 있는 시추조사 자료를 합리적으로 선정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elect an installation location of a rational and efficient seismic acceleration meter for a building area including a large-scale housing complex or an industrial facility that causes serious damage in the event of an earthquak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영역에 대한 지진가속도계측기의 최적 설치위치 선정 방법이 구동되는 위치선정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영역에 대한 지진가속도계측기의 최적 설치위치 선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영역에 대한 지진가속도계측기의 설치를 위한 단일 건축물별 영향반경 고려 대표 시추조사 자료 결정 및 설치 가능지역 결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최적 부지 공간그리드 구축을 통한 건축물 그룹의 대표 부지 공간 그리드 구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부지응답특성 공간정보를 고려한 최적 지진가속도계측기 설치 위치 선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중심의 대상 확장영역 후보군 및 교차검증 기반 확장영역 선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시추날짜 및 시추표고 기준의 시추조사 자료의 이상치 선정과 최적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층별 두께 및 표준관입시험 N값에 따른 평균값, 중앙값, 최빈값 기준의 대표 시추조사 자료 선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시설영역의 공간적 중심점을 고려한 시추조사 자료 결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시추주상도 및 지표피복 공간레이어의 표준화 및 공간중첩을 통한 통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추조사 자료의 층별 두께 대상의 교차검증 결과를 기준으로 한 최적 격자구조(격자크기) 결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질도의 공간그리드 변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부지복합 공간그리드 기반의 시설영역 대표 지층주상도 결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positioning system in which a method for selecting an optimum installation position of an earthquake acceleration meter for a building are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riven.
2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of selecting an optimum installation position of an earthquake acceleration meter for a building are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representative drilling survey data and determination of an installable area for an influence radius per single building for installation of an earthquake acceleration meter for a building are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building a representative site space grid of a group of buildings through construction of an optimal site space gr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of selecting and installing an optimal seismic acceleration measuring instrument in consideration of site response characteristic spatial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of selecting a target extension region candidate based on facilities and a cross validation based extension reg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selection and optimization of an abnormal value of the drilling data based on the drilling date and the drilling heigh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selecting representative drilling survey data based on average value, median value, and mode value according to the layer thickn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N value of the standard penetration test.
9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drilling survey data considering a spatial center point of a facility are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view for explaining an integration process through standardization and spatial overlapping of a drilling column diagram and an earth-covered spatial 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of determining an optimal lattice structure (lattice size) based on the result of cross-validation of a thickness target of a drilling survey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spatial grid transformation process of a geological m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determining a representative area stratification of a facility area based on a site complex space gr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While the invention is susceptible to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native forms,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are shown by way of example in the drawings and will herein be described in detail.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like elements in describing each drawing.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The terms first, second, A, B,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And / or < / RTI > includes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there is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영역에 대한 지진가속도계측기의 최적 설치위치 선정 방법이 구동되는 위치선정 시스템(100)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FIG.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location selection system 100 in which a method for selecting an optimal installation position of an earthquake acceleration meter for a building are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operated.

상기 위치선정 시스템(100)은 외부로부터 건축물 영역에 대한 다수의 시추조사 자료와 지표피복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자료를 분석하여 부지응답특성 공간정보를 고려한 최적 지진가속도계측기의 설치 위치를 결정하게 된다. The location system 100 collects a plurality of drilling survey data and land cover data for the building area from the outside, analyzes the data, and determines an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optimum seismic acceleration measuring instrument considering site response characteristic spatial information.

상기 위치선정 시스템(100)은 외부 인터페이스부(110), 자료 수집부(130), 자료 밀도 산출부(140), 제 1 처리부(150), 제 2 처리부(160), 위치 결정부(171), 타입 결정부(172), 장소 결정부(173), 자료 관리부(180) 및 상기 각 부 구성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positioning system 100 includes an external interface unit 110, a data collection unit 130, a data density calculation unit 140, a first processing unit 150, a second processing unit 160, a positioning unit 171, A type determination unit 172, a place determination unit 173, a data management unit 180, and a control unit 120 capable of controlling the respective sub-configurations.

여기에서 상기 위치선정 시스템(100)는 통상적인 시스템 구성 요소로서, URL(Uniform Resource Locator)에 근거하여 웹페이지를 불러오고, 이를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코드 해석하여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하는 웹브라우저(browser) 프로그램 및 컴퓨터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관리, 제어하는 운영 체제(OS : Operating System) 프로그램을 포함한다.The location system 100 is a typical system component. The location system 100 is a web browser that retrieves a web page based on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erprets it as HTML (Hyper-Text Markup Language) (OS) program for overall management and control of a browser program and a computer system.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부(110)는 외부로부터 건축물 영역에 대한 다수의 시추조사 자료와 지표피복 자료를 수신하게 된다. The external interface unit 110 receives a plurality of drilling survey data and land cover data for the building area from the outside.

상기 자료 수집부(130)는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수신된 건축물 영역에 대한 다수의 시추조사 자료와 지표피복 자료를 수집하며, 수집된 자료를 상기 자료 관리부(180)에 저장관리하게 된다. The data collection unit 130 collects a plurality of drilling survey data and land cover data for the building area received through the external interface unit 110 and stores the collected data in the data management unit 180 do.

상기 자료 밀도 산출부(140)는 상기 자료 수집부(130)를 통해 수집된 자료 중 시추조사 자료를 이용해 상기 건축물 영역 내 공간밀도를 산출하게 된다. 이렇게 산출된 공간밀도값을 통해 후술되는 제 1 처리부(150) 및 제 2 처리부(160)가 선택적으로 구동될 것이다. The data density calculation unit 140 calculates the spatial density of the building area using the drilling data among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e data collection unit 130. The first processing unit 150 and the second processing unit 16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will be selectively driven through the calculated spatial density values.

상기 제 1 처리부(150)는 상기 자료 밀도 산출부(140)에서 산출된 공간밀도가 기준치 이상이면 구동되며, 상기 건축물 영역의 확장 영역에 대하여 시추조사 자료를 수집하고, 수집된 시추조사 자료를 시간, 지형, 통계 및 공간적 기준으로 하여 건축물 영역 중심의 대표 시추조사 자료를 결정하게 된다. The first processing unit 150 is driven when the spatial density calculated by the data density calculating unit 140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reference value and collects the drilling data on the extended area of the building area, , Geomorphology, statistics, and spatial criteria to determine representative drilling survey data centered on the building area.

상기 제 2 처리부(160)는 상기 자료 밀도 산출부(140)에서 산출된 공간밀도가 기준치 미만이면 구동되며, 상기 건축물 영역의 시추조사 자료와 지표피복 자료를 크리깅을 통해 공간보간하여 지반정보의 공간레이어를 구성하고 이 공간레이어의 검증을 통해 통합된 격자크기를 구성하며, 통합된 격자크기를 갖는 지반 부지복합 공간그리드를 구축해 건축물 영역 중심의 대표 지층 주상도를 결정하게 된다. The second processing unit 160 is driven when the spatial density calculated by the data density calculating unit 140 is less than a reference value, interpolates the drilling data and the land cover data of the building area through kriging, We construct a layer, construct the integrated grid size through the verification of this spatial layer, and build a ground grid complex space grid with an integrated grid size to determine the representative stratification of the center of the building area.

상기 위치 결정부(171)는 상기 제 1 처리부(150)의 대표 시추조사 자료 또는 상기 제 2 처리부(160)의 대표 지층 주상도를 통해 선별된 부지주기값으로 지진가속도계측기의 설치 위치를 선정하게 된다. The positioning unit 171 selects an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seismic acceleration measuring instrument based on the site period value selected through the representative drilling irradiation data of the first processing unit 150 or the representative layer stratification of the second processing unit 160 do.

상기 타입 결정부(172)와 상기 장소 결정부(173)는 상기 위치 결정부(171)에서 선정된 지진가속도계측기의 설치 위치를 기준으로 주변 건축물과의 관계에 따라 지진가속도계측기의 설치 타입 및 설치 장소를 결정하게 된다. The type determining unit 172 and the place determining unit 173 determine the installation type of the earthquake acceleration measuring instrument and the installation type of the earthquake acceleration measuring instrument based on the relation with the surrounding buildings based on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earthquake acceleration measuring instrument selected by the positioning unit 171 And determine the location.

이제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영역에 대한 지진가속도계측기의 최적 설치위치 선정 방법을 설명한다. Referring now to FIG. 2, a method for selecting an optimal installation position of an earthquake acceleration meter for a building are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대규모 산업시설 또는 주택단지의 경우, 시공과정에서의 절토, 성토를 통해 소규모 영역 내에서도 지형(지표고) 및 구성 지층의 지역적 변동성이 심각하며 이에 따른 건축물 인접 영역 지표층의 종류 및 구성이 상이하다.In the case of large-scale industrial facilities or residential complexes, the regional variability of the topography (geographical indication) and the constituent strata are severe in the small-scale region through the cut-off and embankment in the construction process, and thus the types and composition of the surface layer adjacent to the building are different.

이에 따라 지진발생 시 심각한 피해를 야기하는 대규모 주택단지나 지자체 도심부를 대상으로 합리적인 지진가속도계측기 설치 위치 결정을 위한 우선순위 설정 방법(가이드라인)을 수립하였다.Accordingly, we have established a priority setting method (guideline) for determining the location of a reasonable seismic acceleration measuring instrument for large-scale housing complexes and municipalities that cause serious damage in the event of an earthquake.

특히 이러한 대규모 건축물영역에서는 부지지반의 공간적 불균질성과 지형효과(topographical effect)에 따른 부지응답특성의 급격한 지역성을 고려하여 지진가속도계측기의 최적 설치위치를 선정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대상영역을 대표하는 시추조사 자료를 선정하거나 최적 부지 공간그리드를 구축함으로써 지반정보를 결정한다.Especially, in the area of large scale buildings, it is necessary to select the optimal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earthquake acceleration instrument in consideration of the spatial heterogeneity of the site ground and the rapid localization of site respons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topographical effect. Determine the ground information by selecting drilling survey data or by constructing an optimal site space grid.

뿐만 아니라 대규모 건축물영역에서는 규모, 공간형상, 용도, 구조공학적 취약성이 상이한 시설물들이 불균일하게 분포하고 있기 때문에 구조물의 3차원 공간분포 특성에 따라 대상영역을 대표하는 지반정보를 결정하고 부지응답 취약지반조건을 고려한 자유장 및 구조물 가속도계측기의 대표 설치위치를 결정한다.In addition, since the facilities with different size, spatial shape, application, and structural engineering vulnerability are unevenly distributed in the large-scale building area, the ground information representing the target area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three-dimensional spati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 of the structure, And the representativ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free length and structure acceleration measuring instrument is determined.

특히 건축물 저면의 지반구조물(기초구조물: 얕은기초, 깊은기초)이 관입된 지반 상태가 상이하며, 일반적으로 기반암에 위치하고 있다. 이를 고려하여 건축물 1층 또는 지하주차장을 포함한 지하층 저면을 대상으로 3차원 공간상 입체적인 구조물 가속도계측기 설치의 적합성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Especially, the ground structure (base structure: shallow foundation, deep foundation) on the bottom of the building is different, and is generally located in the bedrock. Considering this fact,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suitability of three-dimensional structure accelerometer installation in 3D space for underground floor including building 1 story or underground parking lot.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영역에 대한 지진가속도계측기의 최적 설치위치 선정 방법을 전체적으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A method for selecting an optimal installation position of an earthquake acceleration meter for a building are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지진가속도계측기의 설치 및 운영의 경제적 제약조건으로 인해 대단위 건축물영역의 모든 건축물 마다 지진가속도계측기를 설치 운용할 수 없기 때문에 단지별로 1개 또는 2개(set)의 대표 지진가속도계측기를 설치할 필요가 있다.Due to the economic constraints of the installation and operation of the earthquake accelerometer, it is not possible to install and operate an earthquake accelerometer for every building in a large building area.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stall one or two representative earthquake accelerometers .

단지영역의 기반암 심도, 부지주기 등의 부지응답특성(부지분류)을 고려한 취약영역을 선정하며, 주택단지의 지반운동을 대표할 수 있는 장소로서 부지응답 취약영역을 대상으로 한 지진가속도계측기의 보수적 위치 선정방법을 수립한다.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of selecting a vulnerable area considering site response characteristics (site classification) such as bedrock depth and site period of a complex area, conservative evaluation of earthquake accelerometer Establish location selection method.

부지응답 취약영역을 결정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이며, 먼저 대표 시추조사 자료의 결정 방법과 최적 부지 공간그리드 구축 방법을 통해 취약위치의 지반주상도를 먼저 확보한다.There are two methods to determine vulnerable site response area. Firstly, the method of determining the representative drilling data and the method of constructing the optimal site space grid are used to secure the ground columnarity of the vulnerable location first.

대표 지반정보는 지층 주상도, 표준관입시험(Standard Penetration Test; SPT) N값 주상도 정보(또한 N값과 전단파속도와의 상관관계를 통한 전단파속도 주상도 정보)이다.The representative ground information is the stratigraphic column, the Standard Penetration Test (SPT) N value columnarity information (also the shear wave velocity column information through the correlation between the N value and the shear wave velocity).

이 때 상부 건축물 인접 영역에 자유장 지진가속도계측기가 설치될 경우 지진파의 간섭성 또는 노이즈 발생이 우려되며 이에 따라 자유장 계측에 간섭을 유발하는 건축물의 수평 공간(X, Y좌표) 영향 반경을 설정하고, 영역내 시추조사 또는 공간그리드 대표 지반정보 선정 시에 제외한다.In this case, if a free-field earthquake accelerometer is installed in the area adjacent to the upper building, there is concern about the coherence or noise of the seismic wave. Therefore, the influence radius of the horizontal space (X, Y coordinate) And excluded when selecting drilling survey or spatial grid representative ground information.

최종적으로 대상 대단지 건축물영역 대표 지반정보의 지형, 지층, 전단파속도 주상도 정보를 결정하며 이를 통해 지표 또는 지반 조건에 따라 지진계 타입(지표형, 시추공형)을 선정한다.Finally, the geomorphic type (land surface type, borehole type)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surface or ground conditions through the determination of the topography, the stratum and the shear wave velocity columnar information of the representative ground information of the target large land area.

본 발명은 도 2의 대단지 건축물영역 지진가속도계측기 최적 설치위치 선정 과정에 따라 자료 수집부(130)를 통해 대단지 건축물영역의 시추조사 자료를 수집하고, 최적 지반주상도 결정을 위한 방법론을 시추조사 자료 공간밀도를 기준으로 선정한다. 이에 따라 다수(> 100ea/km2)의 시추조사 자료가 분포한 경우 최적 시추조사 표본자료를 선별하고, 소수(< 100ea/km2)의 시추조사 자료가 분포한 경우 최적 부지 공간그리드를 구축한다. 이후 건축물 영역 중심의 대표 주상정보를 결정한 후, 부지응답특성(부지주기) 공간정보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지진재해(부지효과에 따른 지진파 에너지 증폭 현상)의 보수적인 관점의 최적 지진가속도계측기 설치 위치를 선정한다. 이후 설치 위치에 따른 지진가속도계측기 타입 및 설치 장소를 결정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lling data of the large building area is collected through the data collection unit 130 according to the process of selecting the optimal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earthquake accelerometer of FIG. 2, and the methodology for determining the optimal grounding degree It is selected based on the spatial density. Accordingly, when the drilling survey data of a number (> 100ea / km 2) distribution selected optimum drilling survey sample data, and when the drilling survey data of a small number (<100ea / km 2) distribution builds the optimal site space grid . Then, the representative site information at the center of the building area is determined, and the spatial response information (site period) spatial information is analyzed and the location of the optimal seismic accelerometer installed in the conservative viewpoint of the earthquake disaster . After that, the type of earthquake acceleration meter and the installation location ar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location.

다음으로 상기 자료 밀도 산출부(140)을 통해 이루어지는 시추조사 자료 공간밀도 기반의 최적 지반주상도(시추조사, 부지 공간그리드) 선정 방법 결정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Next, a method for determining the optimal ground columnarity (drilling survey, site space grid) based on the drilling data space density based on the data density calculation unit 140 will be described.

대단지 주거영역, 산업시설 등과 같은 건축물영역은 건축설계, 시공 단계에서 부지특성 파악 및 설계지반정수 산정을 위한 공간 집중적인 시추조사가 필수적으로 수행된다.In the area of buildings such as large residential areas, industrial facilities, space intensive drilling survey is essential for grasping the site characteristics and estimating the design ground factor in the architectural design and construction phase.

특히, 도심지 재생사업 및 재건축을 목적으로 개발되는 대단지 주거영역 부지에는 기존의 시추조사 자료도 함께 분포한다.In particular, existing drilling survey data is also distributed in a large residential area site, which is developed for urban renewal and reconstruction.

이와 같은 다수의 시추조사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토대로 최적의 지반주상도(시추조사 표본자료, 부지 공간그리드) 선정을 위한 의사결정 방법을 제안한다.Based on the collected data, we propose a decision method for selecting the optimal soil profile (drilling survey data, site space grid).

대상영역 내 시추조사 자료의 기준 공간밀도(예: 단위영역당 시추조사 자료 개수가 100ea/km2)를 기준으로 일정 기준치 이상인 경우(다수의 시추조사 자료가 사용될 경우)는 대표 시추조사 자료 결정 방법을 이용하며, 반면에 기준치 미만인 경우(소수의 시추조사 자료가 사용될 경우)는 부지 공간그리드 구축 방법을 선택하여 대표 지층 주상정보를 추출한다(도 2 참조).If the reference spatial density of the drilling data in the target area (for example, the number of drilling data per unit area is 100ea / km 2 ) or more than a certain standard value (when many drilling data are used), the representative drilling data determination method , While if it is below the reference value (if a small number of drilling survey data is used), the representative site stratification information is extracted by selecting the site space grid construction method (see FIG. 2).

대표 시추조사 자료 결정 방법과 부지 공간그리드 구축 방법을 이원화하여 적용함으로써 다양한 지형, 지반특성의 변동성을 고려한 대단지 건축물영역에 대해 최적의 지진가속도계측기 설치 위치를 결정한다.By applying the method of determining representative survey data and the method of constructing the site space grid,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optimum seismic acceleration measuring instrument for a large building area considering variability of various terrain and ground characteristics.

즉, 부지응답특성 평가를 위한 대표 지층 주상정보를 선정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시추조사 자료의 정량적 개수와 공간적 분포 특성을 고려하여 앞서 기술한 대표 시추조사 자료 및 부지 공간그리드 구축 방법을 선별적으로 적용한다.In other words, considering the quantitative number and spati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the drill survey data used to select the representative strata settlement information for evaluating the site response characteristics, the representative drill survey data and site space grid construction method described above are selectively applied .

다음으로 상기 제 1 처리부(150)를 통해 이루어지는 대단지 건축물영역의 지역적 대표 시추조사 자료 선정을 통한 대표 지반 공간정보 파악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Next, description will be made of representative ground space information grasping process through selection of representative representative drilling survey data of a large building area through the first processing unit 150. FIG.

대규모 주택단지의 최적 지진가속도계측기 설치 위치 선정을 위해 지형 및 지반정보를 토대로 먼저 건축물 그룹의 입체적 공간분포를 고려한 대표 시추조사 자료 선정 방법을 활용한 부지응답특성을 공간모델링한다.Based on the topography and ground information, spatial modeling of site response characteristics using representative drilling data selection method considering three - dimensional spatial distribution of building group is performed to select the optimal seismic acceleration measuring instrument installation location of large - scale housing complex.

대규모 주택단지를 포함한 광역 건축물영역에서 건설공사에 수반되는 지반의 공학적인 특성을 규명하기 위해 수행되는 시추조사 자료는 예비조사, 본조사 및 보완조사 등의 단계별 순서로 진행되며, 모든 단계별 시추조사 자료를 수집한다.The drilling survey data to identify the engineering characteristics of the ground involved in the construction work in the area of the large-scale housing complex including the large-scale housing complex is conducted in a step-by-step sequence such as preliminary survey, main survey and supplementary survey. Collect.

먼저, 대단지 건축물영역을 포괄하는 대상 확장영역과 영역 내 시추조사 자료를 선정하기 위해서 확장영역 후보군별 시추조사 자료를 토대로 순차적으로 교차검증(cross-validation) 기법 기반의 오차(Root Mean Square Error; RMSE) 검증을 수행한다.First, in order to select the target expansion area and the drilling data in the area covering the big building area, the root mean square error (RMSE) based on the drilling survey data of the extension area candidates is sequentially calculated based on the cross- ) Verification.

이를 통해 상대적으로 오차가 작은 확장영역을 선정함으로써 공간적 상관도가 높은 시추조사 자료를 대표 지반정보 선정을 위한 대상 자료로 정의한다.By selecting the extension area with a relatively small error, the drilling survey data with high spatial correlation is defined as the target data for the representative ground information selection.

또한 대단지 건축물 영역은 성토, 절토 등의 시공과정에서 3차원 공간상 입체적인 부지조건을 갖기 때문에, 대단지 건축물영역의 현상태의 지반 및 지형조건을 고려하기 위해서, 설계 및 시공단계에서의 시추조사 자료, 설계지층단면, 라이다(LiDAR) 측량을 통한 수치표고모델(digital elevation model; DEM) 및 수치지도 등을 수집하고 선정된 확장영역 공간범위를 기준으로 추출함으로써 수치적 지형공간 정보와 지반조사 정보를 확보한다.In addition, since the large-scale building area has a three-dimensional site condition in the three-dimensional space in the construction process of the embankment and the cutout, in order to consider the ground condition and the terrain condition of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large-scale building area, Digital elevation model (DEM) and numerical map are collected through LiDAR survey, and extracted based on the selected extended area space range to obtain numerical geospatial and ground survey information. do.

이 때 현재상태의 부지조건을 파악하고자 시공완료 시기의 시추조사 자료를 선별하기 위해서 시추주상도 상의 시추날짜를 최신순으로 시계열 정렬하였을 경우, 하위 10%(상대적으로 예전의 시추조사 자료)에 해당하는 자료를 시간적 이상치로 정의하고 시추조사 표본 자료에서 제외시킨다.In order to identify the site condition of the present condition, the drilling date of the drilling column is sorted in the latest order in order to select the drilling survey data at the time of completion of construction, and the lower 10% (relatively old drilling survey data) The data are defined as temporal outliers and excluded from drilling survey sample data.

또한 현재의 정밀한 지형특성을 반영한 시추조사 자료를 선정하고자, 시추주상도 상의 지표고와 해당위치의 수치표고모델과의 오차의 표본집단 중 상위 10%인 자료를 지형적 이상치로 정의하고 대표 시추조사 선정과정에서 제외시킨다.In addition, to select the drilling survey data reflecting the present precise topographical characteristics, the top 10% of the sample group of the error between the surface elevation on the drilling column and the numerical elevation model of the corresponding location is defined as the topographic outliers, Excluded from the process.

끝으로 시간적, 지형적 이상치가 제외된 시추조사 표본자료의 속성정보 중 지층(통일분류법 기반의 지층분류) 두께, 기반암심도, 표준관입시험 N값을 지반공학적 지표로 정의하며, 이를 기준으로 통계적 대푯값(평균값, 중앙값, 최빈값)을 평가한다.Finally, the depth (unified classification based on stratification classification) thickness, depth of bedrock and standard penetration test N value are defined as geotechnical indicators in the property information of drill survey specimen data excluding temporal and geographical ideal values, Average value, median value, and mode value).

이를 토대로 각 지반공학적 지표별로 3종류의 대푯값간의 오차를 연산하고 확률분포상 상위 10%에 해당하는 자료를 통계적 이상치로 정의하고 대표 시추조사 자료 선정과정에서 제외시킨다.Based on this, the error between the three representative values is calculated for each geotechnical indicator and the top 10% of the probability distribution is defined as statistical outliers and excluded from the representative drill survey data selection process.

대규모 주택단지를 대상으로 선정된 확장영역 내의 시추조사 표본자료를 시간적, 지형적, 통계적 이상치를 제외하고 최적화하며, 3차원 공간좌표계(X, Y, Z 좌표평면)를 기준으로 공간모델링함으로써 단지 내 건축물 그룹과의 위치적 상호 상관관계를 파악한다.Optimization of drill survey sample data in the extension area selected for large-scale housing complex excluding temporal, topographical and statistical anomalies, and spatial modeling based on three-dimensional spatial coordinate system (X, Y, Z coordinate plane) Identify positional cross-correlations with groups.

이를 위해 대규모 주택단지의 구조물대장을 수집함으로써 건축물 그룹별 3차원 공간위치와 시추조사 자료의 지층정보 기반으로 단일 건축물별 최하층 저면부의 지층구성 및 기반암 위치, 그리고 이와 결부되는 기초구조물의 종류를 파악한다.For this purpose, the structure of large-scale housing complexes is collected and the three-dimensional spatial location of each building group and the ground information of the drilling survey data are used to identify the ground structure and bedrock location of the bottom floor of each building and the type of foundation structure .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면도상 다양한 공간형상을 갖는 단일 건축물별 평면형상(X, Y 좌표평면)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원형의 영향범위를 선정하고, 각 영향범위별로 시추조사 표본자료를 군집화 한다.First, as shown in FIG. 3, the influence range of the circle is selected based on the center point of the plane shape (X, Y coordinate plane) of a single building having various spatial shapes on the elevation view, and the drill survey sample data Clusters.

이와 동시에 자유장에 설치되는 지진가속도계측기의 경우 시설물과의 상호작용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도록 시설물로부터 충분히 떨어진 곳에 설치해야 하며, 만약 자유장 관측소가 미설치된 경우에는 반경 2km 이내의 인접지역 내 설치된 암반 자유장 계측자료를 활용할 수 있다.At the same time, the earthquake accelerometer installed in the free field should be installed far enough away from the facility so as not to be influenced by the interaction with the facility. If the free field observatory is not installed, Free field data can be used.

이에 따라 단일 건축물별로 평면형상의 중심점과 평면 비정형성을 고려하기 위해서 건축물의 중심점에 따라 전체영역을 포괄하는 원형의 영향범위를 설정하고, 건축물 중심점과 장축방향의 최장 이격거리(d)를 기준으로 몇 배수의 이격거리(예: 최대 3~5배일 경우; 3d~5d)를 영향범위로 정의한다. 이 때 영향범위는 반드시 건축물 평면영역을 포함해야 한다. 이를 통해 최대 영향 범위 내 시추조사 자료를 결정한다.Therefore, in order to consider the center point of the planar shape and the planar non-uniformity for each single building, the influence range of the circle covering the whole area is set according to the central point of the building, Define the range of influence (eg, 3d ~ 5d for maximum 3 to 5 times) as the range of influence. At this time, the influence range must include the planar area of the building. This will determine drilling survey data within the maximum impact range.

또한 시설물의 상호작용이 미치는 범위를 설정하기 위해 건축물 중심점과 장축방향의 최장 이격거리(d)를 기준으로 영향범위보다 작은 몇 배수의 이격거리(예: 최대 1~2배일 경우; 1d~1.5d)를 제외범위로 정의한다. 이 때 제외범위는 반드시 건축물 평면영역을 포함해야 한다.In order to establish the range of the interaction of the facilities, several distances smaller than the influence range (for example, 1 to 1.5 times in the case of maximum 1 to 2 times) based on the longest distance (d) ) Is defined as an exclusion range. In this case, the exclusion range must include the planar area of the building.

최종적으로 단일 건축물과 인접한 자유장 가속도계측기 설치 위치결정을 위해 제외범위를 배제한 영향범위를 단일 건축물별 최적의 자유장 가속도 계측기 설치 가능지역(도넛의 평면형상)으로 선정하며, 이 범위 내 시추조사 자료를 표본집단 중에서 추출함으로써 대표 시추조사 자료로 결정한다.Finally, to determine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free-length acceleration measuring instrument adjacent to the single structure, the influence range excluding the excluded range is selected as an optimal free-length acceleration measuring instrument installable area (planar shape of the donut) As the representative drilling survey data.

선정된 대표 시추조사 자료의 속성값 중 측정된 층별 두께와 함께 표준관입시험 N값을 층별로 평균값을 연산하여 사용한다.The average value of the standard penetration test N value is used by calculating the layer thickness of the selected representative drilling survey data.

다음으로 상기 제 2 처리부(160)를 통해 이루어지는 최적 부지 공간그리드 구축 기반 건축물 그룹의 대표 지반 공간정보 파악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Next, description will be made of a representative ground space information grasping process of a group of buildings based on an optimal site space grid construction through the second processing unit 160.

부지고유의 공간그리드 구축을 위해서는 앞서 수집된 시추조사 자료와 수치표고모델을 활용하되, 시간적, 지형적, 통계적 이상치가 제거된 지역적 대표 시추조사 표본자료를 대상으로 한다.To construct the site-specific spatial grid, we use the previously collected drill survey data and the numerical elevation model, and the representative representative drill survey data with temporal, geographical, and statistical anomalies removed.

공간그리드 구축을 위해 정규크리깅(ordinary kriging) 방법을 사용하며, 상대적으로 공간적 상관도가 높은 공간그리드를 구축하기 위해 다양한 격자 크기의 후보군을 선정하여 후보군에 따른 교차검증 기반의 예측 오차(RMSE)를 검증한다.In order to construct a spatial grid using ordinary kriging method to construct a spatial grid and to construct a space grid with a relatively high spatial correlation, a grid with various grid sizes is selected and a cross-validation-based prediction error (RMSE) Verify.

예측오차가 작게(공간적 상관도가 높게) 평가된 격자크기를 선정하며, 이를 통해 지형 정보(수치표고모델 기반 지표고 정보 사용), 층별 두께, 층별 평균 표준관입시험 N값을 공간보간함으로써 각 격자별 지층주상 정보를 도출한다.By using spatial interpolation of the geomorphic information (using the high-level information based on the digital elevation model), the layer thickness, and the average standard penetration test N of the layer, the grid size estimated with a small prediction error (high spatial correlation) We derive separate strata information.

앞서 기술된 건축물 영역 가속도계측기 설치를 위한 대표 시추조사 자료 결정 과정과 동일하게 단일 건축물 중심의 영향범위, 제외범위를 설정하며, 공간영역 내 부지 공간그리드 정보를 추출한다.In the same manner as the representative drilling data determination process for installing the building area acceleration meter described above, the influence range and the exclusion range of the single structure are set, and the site space grid information is extracted.

이를 통해 도 4와 같이 단위 건축물마다 3차원 공간상 원통형의 공간모델링된 부지 공간그리드를 구축하며, 각 그리드의 셀별로 지층 종류, 두께, 표준관입시험 N값이 저장된다.As shown in FIG. 4, a space-modeled spatial space grid of three-dimensional space is constructed for each building as shown in FIG. 4, and the layer type, thickness, and standard penetration test N value are stored for each cell of each grid.

다음으로 상기 위치 결정부(171)를 통해 이루어지는 부지응답특성 공간정보를 고려한 최적 지진가속도계측기 설치 위치 선정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Next, an optimal seismic acceleration measuring instrument installation location selection process considering the site response characteristic spatial information through the positioning unit 171 will be described.

지진으로 인한 재난은 지반운동의 증폭과 관련된 이러한 부지효과의 차이로 인해 흔히 견고한 토사나 암반지역에 비해 연약한 토사 두껍게 분포한 지역을 중심으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일반적으로 지진 피해가 발생한 대도시 지역 내 재해정도의 공간적 분포경향은 주거 및 산업의 밀집도나 구조물 지진취약도와 더불어 근본적으로 지반의 지진민감도인 부지효과와 직접 관련이 있다. 이러한 부지 효과는 지역고유의 국부적인 지질 및 지반 특성에 따라 공간적 변동성이 있으므로 지반특성정보 공간시스템 구축을 통한 부지응답 평가는 지역적 지진 방재를 위한 가장 기초적이고 중요한 사항이라고 할 수 있다. Disasters caused by earthquakes are more prominent in areas of soft soil and thicker areas than in solid areas or rocky areas due to differences in site effects associated with amplification of ground motion. In general, the spatial distribution of disaster severity in metropolitan areas where earthquake damage has occurred is directly related to densities of residential and industrial dwellings, structural seismic vulnerability, and ground effect, which is fundamentally the seismic sensitivity of the ground. Since the site effect has spatial variability depending on the local geology and geotechnical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evaluation of the site response through construction of geotechnical information space system is the most fundamental and important issue for the regional earthquake disaster.

부지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방법으로 지반의 전단강성, 층후, 공유주기 등의 지진응답특성을 경험적인 상관관계를 통해 연산한며, 이 과정에서 부지효과 큰(지진재해 가능성이 높은), 즉, 지진대응 차원에서 보수적인 지진파계측을 고려할 수 있다. 이 경우, 대단위 건축물 영역의 보수적 관점의 지진대응을 위해서 부지효과에 따른 지진계측 가속도 측정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예비적인 수준의 지진동, 진도 평가가 가능하다.The earthquake response characteristics of the ground such as shear stiffness, stratification, and sharing period are calculated through empirical correlation. In this process, the site effect is high (possibility of earthquake disaster is high) Conservative seismic measurements can be considered at the corresponding level. In this case, it is necessary to measure seismic acceleration according to the site effect in order to cope with the earthquake of a conservative viewpoint of a large building area, and it is possible to evaluate a preliminary level of earthquake motion and magnitude.

이를 위한 부지응답특성(부지효과 포함)을 고려하고자 대표 시추조사 또는 부지 공간그리드를 기반으로 부지주기를 평가하고, 부지주기가 최대값인 영역을 중심으로 지진가속도계측기 설치 위치를 선정한다.In order to consider site response characteristics (including site effects) for this purpose, site cycle is evaluated based on representative drill survey or site space grid, and seismic accelerometer installation location is selected centering on the area where the site cycle is maximum.

결정된 대표 부지 주상정보를 토대로 표준관입시험 N값은 기존 선행연구자들에 의해 제안된 전단파속도와 N값과의 상관관계식(수학식 1)을 통해 층별 전단파속도의 주상정보로 변환한다.Based on the determined representative landform information, the N value of the standard penetration test is converted into the columnar information of the shear wave velocity of the stratum through the correlation equation (Equation 1) between the shear wave velocity and the N value proposed by the existing researchers.

Figure 112018050877369-pat00001
Figure 112018050877369-pat00001

확보된 지층 주상정보를 대상으로 부지응답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추출된 시추조사 자료 또는 부지 공간그리드별로, 공간그리드별로, 층별 두께(D), 층별 전단파속도(VS)를 토대로 부지주기(수학식 2)를 분석한다.Based on the drilled survey data or the site space grid, the spatial grid, the layer thickness (D), and the shear wave velocity (V S ) of each layer to evaluate the site response characteristics, 2).

Figure 112018050877369-pat00002
Figure 112018050877369-pat00002

부지주기는 지진 시 부지의 공진 주기를 나타내는 지반지진공학 특성 지표로서 각 부지의 기반암 상부 지층들의 두께와 연산된 전단파속도를 토대로 계산되며, 이러한 부지주기는 기반암 심도가 깊어질수록 커지게 되고 이로 인해 주로 부지주기 부근 지반운동 성분들이 크게 증폭될 수 있다.The site period is calculated based on the thickness of the bedrock upper layers of each site and the calculated shear wave velocity, which is the index of the earthquake engineering characteristics that indicates the resonance period of the site in case of an earthquake. Such a site period becomes larger as the depth of bedrock becomes deeper The ground motions near the site cycle can be largely amplified.

도 5와 같이 단일 건축물별로 대표 시추조사 자료 또는 최적 부지 공간그리드가 선정된 경우, 계산된 부지주기를 토대로 부지응답에 따른 취약영역을 선정하기 위해서 부지주기기 최댓값(보수적 지진재해 대응 관점)인 지층주상도를 결정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대표 시추조사 자료 또는 공간그리드 중 부지주기가 확률분포로부터 상위 10%인 자료를 선정한다.As shown in FIG. 5, when the representative drill survey data or the optimal site space grid is selected for each single building, in order to select a weak region based on the site response based on the calculated site period, the site maximum value (conservative earthquake disaster response perspective)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the columnar level. For this purpose, we select the top 10% data from the representative drilling survey data or the spatial grid from the probability distribution.

이때 건축물 단지를 대표하는 1개 또는 2개(set)의 지진가속도계측기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최적의 위치 결정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전체 대상영역 중심점을 공간적 대표성을 갖는 장소로 고려한다.In this case, in order to install one or two sets of earthquake accelerometers representing the building complex,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an optimal position. For this purpose, the center point of the entire object area is considered as a place having spatial representativeity.

이에 따라 선정된 최적 지층주상도(부지주기 결과 포함)를 기준으로 비정형의 건축물 단지영역의 중심점과 최인접한 시추조사 자료 또는 부지 공간그리드를 선정한다.Thus, the center point of the atypical building complex area and the nearest drilling survey data or the site space grid are selected based on the selected optimum stratum columnarity (including site period results).

만약 대상 건축물 단지의 중요도 또는 기관 차원의 의사결정에 따라 2개 이상이 지진가속도계측기 설치가 가능하다면, 대상영역을 2개 또는 그 이상의 권역으로 분할함으로써 권역별 공간 중심점과 최인접한 지층주상도를 선정하며, 이를 대상영역의 지반운동을 대표하는 장소로 판단한다.If two or more seismic accelerometers can be installed according to the importance of the target building complex or institutional level decision, the spatial center of each zone and the nearest stratum column are selected by dividing the target area into two or more zones And it is judged as a place representative of the ground motion of the target area.

다음으로 상기 타입 결정부(172) 및 장소 결정부(173)을 통해 이루어지는 부지응답특성에 따른 지진가속도계측기 타입 및 설치 장소 결정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Next, the type of earthquake acceleration meter and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installation location according to site response characteristics through the type determination unit 172 and the site determination unit 173 will be described.

선정된 단일(또는 2개) 지진가속도계측기 설치 위치(부지)를 기준으로 지진가속도계측기 타입과 설치심도를 결정한다.Determine the type of earthquake accelerometer and depth of installation based on the selected single (or two) seismic accelerometer installation location (site).

선정된 설치 위치를 중심으로 최인접한 동일 부지 내에 2동 이상의 건축물이 있을 경우 부지 내에서 가장 높은 건축물 또는 피해발생 시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 건축물에 지진가속도계를 설치한다.If there are two or more buildings in the same site nearest to the selected installation site, install the earthquake accelerometer on the highest building in the site or the building that has the greatest impact in case of damage.

선정된 설치 위치를 중심으로 자유장 계측기를 설치하되, 선정된 위치가 도로포장, 옥외구조물 등으로 피복되어 설치가 어려운 경우, 최인접한 단일 건축물의 최하층 바닥에 자유장 계측기를 설치한다.Install a free length measuring instrument around the selected installation location. If the selected location is covered with road pavement, outdoor structure, etc., it is difficult to install a free length measuring instrument on the lowest floor of the nearest single building.

또한 부지응답특성이 취약한 지역으로 선정된 설치 장소가 20m 이상의 기반암심도를 갖는다면, 지표면 자유장 계측과 함께 시추공지진가속도계를 이용하여 기반암의 지진가속도를 계측한다.In addition, if the installation site selected as a site with weak site response characteristics has a bedrock depth of 20m or more, the seismic acceleration of the bedrock is measured using a borehole seismic accelerometer together with the surface free field measurement.

이제 상술한 대단지 건축물영역의 지역적 대표 시추조사 자료 선정을 통한 대표 지반 공간정보 파악 과정에 대해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Now, the process of identifying the representative ground space information through the selection of representative representative drilling data of the above-mentioned large-scale building area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기존의 빈번한 대규모 토목 및 건설 사업에 따라 국토 전반에 걸쳐 다수의 지반조사 자료의 축적이 계속되고 있으며, 다양한 목적과 시기에 따라 수행된 지반조사 자료의 통계분석 과정을 통해 지반공학적 특성 값을 도출하고 설계정수 산정이 이루어지고 있다.Numerous geotechnical data have been accumulated throughout the country in accordance with the existing large-scale civil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projects, and the geotechnical characteristics of the geotechnical survey data have been derived through various statistical analyzes Design constants are being calculated.

최근 도심지를 중심으로 도시재생 차원의 대규모 재개발 사업과 함께 대심도 지하터널 등의 지하공간 개발 사업이 활발히 계획, 진행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지반의 층상, 습윤도, 조밀도, 강성, 암반 풍화도 등의 전반적인 지반특성값 파악을 위해 시추조사가 필수적으로 수행된다.Recently, underground rehabilitation projects such as Daejindo underground tunnels have been actively planned and progressed along with large-scale redevelopment projects centered on urban areas and urban renewal. As a result, stratification, wetness, density, stiffness, Drilling survey is essential to understand overall geotechnical characteristics.

토목사업 대상영역에서의 신규 시추조사를 통한 지반특성 파악은 전체 시공측면에서 경제적, 시간적 소요의 부담이 크기 때문에 기존의 시추조사 자료의 추가 확보가 필요하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cquire additional drilling data from existing drilling surveys, because the burden of economic and time - consuming burden is large in terms of overall construction.

이에 따라 인접영역까지 포괄하는 확장영역에서의 기존 시추조사 자료를 확충하여 활용함으로써 신뢰도 높은 지반공학적 특성값 결정을 위한 입력정보 모집단의 표본수를 추가 확보할 수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secure additional samples of the input information population for determining reliable geotechnical characteristics by expanding the existing drilling survey data in the extended area covering the adjacent area.

공학적 측면에서 관심을 갖게 되는 영역은 작게는 단일 주거 건축물 영역부터 복잡한 형상을 갖는 대단위 건축물이나 시설물 영역, 중대단위 주거 또는 시설물 단지 영역, 대규모 시설물이나 산업 생산 영역 등 면적과 대상 시설물 종류에 있어서 매우 다양하다. 사용자의 수요나 대상 목적에 따라 다를 수는 있지만 지하 지반조건의 위치에 따른 변동성이 클 수 있다 할지라도 실용적 효율성 측면에서는 주로 관심 영역에 대해 대표적인 단일 지반 조건을 필요로 하거나 제한적이 수량의 지반 조건을 토대로 의사결정이나 설계를 진행해 오고 있다. 이러한 대표 지반조건 도출 및 선정은 시설물 영역에 대한 설계나 성능평가 목적으로 뿐만 아니라 시설물이 위치하지 않은 택지에 대해서도 사전 분석 목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특히, 전통적인 지반공학 관점의 설계나 성능평가 뿐만 아니라 지진공학 관점의 대표 지반 조건 도출 및 이를 이용한 동적 응답 해석의 대상 지반조건으로 직접 활용될 수 있다.The area of interest from the engineering point of view is small, ranging from a single residential building area to a large-scale building or facility area with a complex shape, a medium-sized residential or facility complex area, a large-scale facility or industrial production area, Do. Although it may vary depending on the user's demand or the purpose of the target, although the variability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the underground ground condition may be large, in terms of practical efficiency, a representative single ground condition is required for the area of interest, or a limited number of ground conditions I have been making decisions and designing based on this. The derivation and selection of the representative ground condition can be applied not only for the purpose of designing or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facility area, but also for the preliminary analysis for the land where the facility is not located. Especially, it can be used directly as a target ground condition for the design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traditional geotechnical point of view as well as the representative ground condition of seismic engineering point of view and dynamic response analysis using it.

시공이전의 원지반 또는 시공 중 공정 확인 목적으로 수행된 시추조사는 성토, 절토, 지반개량 등의 토공사를 통해 조성된 시공완료된 현상태 지형 및 지반조건을 파악하는데 적합하지 않기 때문에 현재의 시공단면에 최적화된 시추조사 주상도를 선택할 필요가 있다.The drilling survey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confirming the process during the construction of the ground or before the construction is not suitable for grasping the completed topography and the ground condition of the completed construction through earthworks such as embankment, It is necessary to select drilling survey column.

동일 영역 내의 시추조사 자료도 지반공학적 지역특이성에 따라 넓은 범위의 지반특성값의 변동성을 갖으며, 합리적인 지반설계정수 산정을 위해서는 먼저 통계적 경향성을 벗어나는 시추조사 자료를 이상치로 정의하고 분석대상 시추조사 자료에서 제외한다.The drilling survey data in the same area also has a wide variability of geotechnical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the geotechnical area specificity. In order to calculate a reasonable geotechnical design parameter, drilling survey data deviating from the statistical tendency is defined as an outlier, .

결과적으로 표본 시추조사 자료 중 지반특성값의 통계적 대표성을 갖는 단일 시추조사 자료(주상도)를 선정할 필요가 있다.As a result, it is necessary to select a single drilling survey data (columnar map) that has statistical representativeness of the ground feature value among the sample drilling survey data.

일정한 광역 대상영역의 지반조사 자료를 수집함에 있어 도로, 철도 및 대단지 건물 영역을 중심으로 토목공사가 수행됨에 따라 시추조사 자료의 확보가 가능하며, 이러한 자료는 비정형화된 대상영역 내에서 대부분 선형 또는 군집화된 형태의 불균일한 공간분포의 특성을 갖는다.It is possible to acquire drilling survey data as the civil works are carried out mainly on the roads, railways and large-scale building areas in collecting survey data of a certain wide area, and these data are mostly linear or non- And has a nonuniform spatial distribution of clustered shapes.

이에 따라 대상영역 내 시추조사 자료 군집의 공간적 중심점을 고려함으로써 대표 시추조사 자료를 선정할 필요가 있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elect the representative drilling survey data by considering the spatial center point of the drilling data collection in the target area.

도 2와 같이 대상 구조물 부지의 체계적 지반설계정수 산정을 위해서는 현상태 지반조건을 고려한 최신의 시추조사 자료를 선별한 후, 통계적으로 대푯값을 갖는 표본 시추조사 자료를 선정하고, 끝으로 공간 경향성 분석을 통해 대상 부지의 대표 시추조사 자료(주상도)를 선정하는 방법을 수립하였다.As shown in FIG. 2, in order to calculate the systematic ground design constants of the target structure site, the latest drilling survey data considering the current ground condition is selected, and then the sample drilling survey data having the representative value is selected. Finally, A method of selecting representative drilling survey data (column chart) of the target site was established.

다음으로 시설물 중심의 대상 확장영역 및 시추조사 자료 선정 과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Next, the process of selecting the target extension area and drilling survey data centered on facilitie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대상 시설 영역일 수 있는 관심영역과 그 관심영역을 포괄하는 더 넓은 범위인 확장영역의 기존 시추조사 자료를 수집함에 있어 지층 및 지반의 공간적 연속성을 고려하여 대상시설물 부지의 지반공학적 특성값을 반영할 수 있도록 최적의 인접영역(확장영역)을 설정하여 영역 내 시추조사 자료를 수집하여야 한다.In collecting the existing drilling survey data of the extended area covering the area of interest and the area of interest that may be the target facility area, the geotechnical characteristics of the site of the facility should be ref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spatial continuity of the ground and the ground The drilling survey data should be collected by setting the optimal adjacent area (extended area) for the area.

관심영역의 형상은 비정형의 다각형일 수 있는데 이러한 형상을 등가 면적의 원이나 타원으로 환산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확장영역도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고려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보다 직관적인 측면에서 관심영역과 확장영역을 사각형 형상으로도 이상화하여 적용할 수 있다.The shape of the region of interest can be an irregular polygon, which can be converted to a circle or an ellipse of equivalent area, and thus the expanded region can also be considered circular or elliptical. In addition, the area of interest and the extended area can be idealized in a rectangular shape in a more intuitive manner.

도 6과 같이 시추조사 자료 수집을 위해 시설영역의 공간적 중심점을 기준으로 원형의 영향반경을 갖는 확장영역을 정의하고 시설영역을 포함하도록 한다.As shown in FIG. 6, an extension area having a circular radius of influence is defined based on the spatial center point of the facility area and the facility area is included for the drilling survey data collection.

이 때 최적의 영향반경을 결정하기 위해서 영향반경을 일정한 간격으로 점차적으로 증가시키면서 다수의 확장영역 후보군을 설정하며, 각각의 확장영역별로 시추조사 자료를 수집한다. 확장영역 후보군은 최소 7개 이상의 영역을 선정하며, 후보 간 간격은 대상 시설영역 면적 제곱근(루트값)의 0.1배를 기준으로 한다.In this case, to determine the optimum impact radius, the influence radius is gradually increased at a constant interval, and a plurality of extension area candidates are set, and the drill survey data is collected for each extension area. At least 7 regions are selected for the extension candidate group, and the interval between candidates is based on 0.1 times the square root of the target facility area (root value).

대상영역 내 시추조사 자료를 토대로 일정한 경향성을 갖는 지반공학적 특성값을 결정을 하고 위해서는 동일 영역 내 시추조사 자료간의 통계적 상관도 외에 공간적 상관도가 높아야한다. 즉 공간적으로 인접한 자료 간 유사한 속성을 가져야 한다.In order to determine the geotechnical characteristics with a certain tendency based on the drilling survey data in the target area, it is necessary to have a high spatial correlation in addition to the statistical correlation between drilling data in the same area. That is, they should have similar properties between spatially adjacent data.

이에 따라 각 확장영역별 시추조사 자료의 공간적 상관성 및 민감도를 분석하고자 지구통계학 기법 중 교차검증(cross-validation) 기법을 활용하여 확장영역별로 잔차를 검증함으로써 공간적 상관도를 평가한다.In order to analyze the spatial correlation and sensitivity of drilling survey data for each extension area, the spatial correlation is evaluated by verifying the residuals for each extension area using the cross-validation technique among the geostatistical techniques.

교차검증은 시추조사 자료 중 어느 하나의 자료를 제외하고 지반공학적 특성값(층별 두께, 표준관입시험 N값)을 공간보간함으로써 예측된 특성값과 측정된 특성값 간의 잔차를 계산한다. 모든 시추조사 자료를 대상으로 순차적으로 잔차를 도출한다.Cross-validation computes the residual between the predicted and measured characteristic values by spatial interpolation of the geotechnical properties (layer thickness, standard penetration test N value) except for one of the drilling data. Sequentially obtain residuals for all drilling data.

이 때 각 확장영역별 교차검증 결과에 따른 상관도를 평가하는 지표로서 RMSE(root mean squared errors; 평균제곱근오차)를 계산하며, RMSE가 가장 작게 평가되었을 경우, 높은 공간적 상관도를 갖는다. In this case, root mean squared errors (RMSE) are calculated as an index for evaluating the correl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cross validation for each extension region, and when the RMSE is evaluated to be the smallest, high spatial correlation is obtained.

RMSE가 가장 작은 확장영역을 대상 시설영역으로 결정하며, 영역 내 시추조사 자료를 대상 시추조사 자료로 선정한다.We select the extension area with the smallest RMSE as the target facility area and select the drilling survey data in the area as the target drilling survey data.

다음으로 현상태 지반 및 지형조건을 고려한 시추조사 자료 선별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Next, the drilling survey data selection process considering the current ground condition and topography condi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선정된 대상 확장영역 내 시추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현상태 지반 및 지형조건을 고려한 통계적 대표성을 갖는 공간영역 중심의 대표 시추조사 자료를 선별한다.Based on the drilling survey data in the selected target extension area, representative drilling survey data centering on the spatial domain with statistical representation considering the present ground level and topography conditions are selected.

기존 시추조사 자료 중 현재 조성된 시공완료 상태의 지반조건이 반영된 시추조사를 선별하기 위해서는 시추주상도 상의 시추날짜와 시추표고 정보를 기준으로 현재 시점과 지표고를 상호 비교함으로써 최신의, 그리고 현재 지형조건과 유사한 시추조사 자료를 선별한다.In order to select the drilling survey that reflects the current ground condition of the existing drilling survey data, the present time and the land surface height are compared based on the drilling date and the drilling height information on the drilling column, Are selected.

도심지를 중심으로 굴착, 성토 등의 토공사가 빈번히 수행됨에 따라 시공이전 원지반 상태(자연상태)의 지표고, 경사도 등의 지형조건이 시간에 따른 변동성을 갖고 있다. As the earthworks are frequently performed in excavation, embankment, etc. in the urban area, the terrain conditions such as the elevation of the ground state (natural state) and the slope before the construction have time-variability.

이와 함께 지반개량 및 지반치환 등의 시공에 따라 기반암 상부 토사 역시 시간에 따른 변동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도 7과 같이 시추주상도를 토대로 시추날짜와 지표고 조건을 토대로 시추조사 자료 모집단을 정렬하여 일정한 기준 부합하지 않는 자료를 표본집단 선정에서 제외한다.In addition, since the bedrock topsoil has a variation with time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of the ground improvement and the ground replacement, the drilling data population is sorted on the basis of the drilling date and the highland condition based on the drilling column chart as shown in FIG. 7, Exclude nonconforming data from sample selection.

대상 시추조사 자료 모집단의 시추날짜를 최신순으로 시계열 정렬하였을 경우, 하위 10%에 해당하는 자료를 이상치로 정의하고 시추조사 표본 자료에서 제외시킨다.When the drilling date of the target drilling survey data population is sorted in chronological order, the data corresponding to the lower 10% is defined as outliers and excluded from the drilling survey sample data.

시계열에 따라 10%의 이상치가 제외되어 최적화된 시추조사 표본 자료를 대상으로 시추표고와 현재의 정밀한 지형특성(지표고 포함)을 반영한 수치표고모델(Digital Elevation Model; DEM)을 기준으로 각 시추조사 지점마다의 지표고 오차를 상호 비교한다.Based on the Digital Elevation Model (DEM), which is based on the drilling elevation and the current precise topographic features (including the index), the optimized drill survey specimens are excluded from the 10% The index error of each point is compared with each other.

수치표고모델은 불규칙한 지형 기복을 3차원 좌표 형태로 구축하며 시추조사 자료는 3차원 좌표공간상 2차원 주상도 형태의 공간데이터로 구축된다.In the numerical elevation model, irregular terrain relief is constructed in the form of three - dimensional coordinates, and the drilling survey data is constructed as spatial data in the form of a two - dimensional columnar shape in three - dimensional coordinate space.

수치표고모델은 일정한 격자(Cell)로 구성되며, 대상영역의 모든 시추조사 지점을 기준으로 수치표고모델의 격자 지표고와 시추표고 간의 오차를 비교하여 오차의 표본집단이 상위 10%에 해당하는 자료를 이상치로 정의하고 대표 지반조사 자료 결정에서 제외시킨다.The numerical elevation model is composed of a certain grid and the error between the grid height and the elevation of the elevation of the numerical elevation model is compared with all the surveying points of the target area. Is defined as an outlier and excluded from the determination of representative ground survey data.

시추날짜와 시추표고에 따른 이상치를 제거함으로써 현상태의 시공완료 지반조건을 고려한 대표 시추조사 자료 결정을 위한 표본집단으로 설정한다.By setting the drilling date and the anomaly according to the drilling height, it is set as a sample group for the representative drilling survey data considering the condition of the completed construction site.

다음으로 지반공학 특성값의 통계적 경향성을 고려한 대표 시추조사 자료 결정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Next, the representative drilling data determination process considering the statistical tendency of geotechnical characteristics is described as follows.

설계지반정수 산정을 위한 시추주상도 기반의 대표 지반공학적 특성값은 지층 종류(매립토, 퇴적토, 풍화잔류토, 풍화암) 및 두께와 표준관입시험(Standard Penetration Test; SPT)의 N값이 있다.The representative geotechnical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drilling column for the estimation of the design soil parameters include the N values of the soil types (sedimentation, sedimentation, weathering residue, weathered rock), thickness and standard penetration test (SPT).

시추주상도 상 일반적으로 정의되는 대표 지층 종류에 따라 매립토(fill), 퇴적토(deposited soil), 풍화잔류토(weathered residual soil), 풍화암(weathered rock), 그리고 연암 또는 그 이상 경도의 암반을 포함하는 기반암(bed rock)의 총 5 종류로 일반화하여 구분할 수 있다. 그렇다 할지라도 매립토, 퇴적토, 풍화잔류토 등은 일반적인 현장 시추조사 과정이나 실내 시험과 분석에서 통일분류법(Unified Soil Classification System, USCS), 지질층서 분류 등에 따라 세분화하여 표현되거나 제시될 수 있으며, 풍화암이나 기반암은 암반(암석) 종류나 색상, 파쇄 정도 등에 따라 세분화 될 수 있다. 또한, 기반암은 그 경도에 따라 연암, 보통암, 경암, 극경암 등으로 구분하여 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세분화된 지층 구성들은 일반화된 5 종류 지층들의 세분화된 조건으로 반영하여 적용 기법의 대상 지층들의 수만 확대하는 관점에서 동일하게 고려할 수 있다.Depending on the type of representative strata that are commonly defined in the drilling column, they include fill, deposited soils, weathered residual soils, weathered rocks, and soft rocks or more hard rocks And bedrock (bed rock). Even so, landfills, sediments, and weathering residues can be expressed or presented in detail by general field drilling procedures, indoor testing and analysis, Unified Soil Classification System (USCS), geological stratification, Bedrock can be classified according to rock type, color, crushing degree and so on. In addition, bedrock can be classified into soft rock, normal rock, light rock, and pole rock due to its hardness. These subdivided stratum configurations can be equally considered in terms of expanding the number of target strata in the applied technique by reflecting them into the subdivided conditions of the generalized five strata.

대체적으로 지반은 지질학적 형성 과정에 따라 각 지층이 깊이에 따라 특정 순서로 분포하게 되는데, 하부에서부터 기반암, 풍화암, 풍화잔류토, 퇴적토 그리고 매립토의 순서가 일반적이다. 기반암의 풍화 작용에 의해 풍화암과 풍화잔류토가 발달하게 되고, 퇴적토의 경우 외부 토사의 유입 퇴적작용 그리고 매립토의 경우 인의적인 토목시공에 의해 형성된다.In general, the geologic formations of geologic formations are distributed in a specific order according to the depth of each stratum. The order of bedrock, weathered rock, weathering residue, sedimentation, and landfill is generally from the bottom. Weathered rocks and weathered residual soils are developed by the weathering of bedrock. In the case of sedimentary soils, sedimentation of external soil and sedimentation of landslides are formed by human civil engineering.

이러한 각 지층의 생성 및 발달 과정은 지역적 특이성을 갖고 있으며 동일 영역 내에서도 공간적 변동성을 갖는다.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processes of each of these strata have regional specificity and spatial variability even within the same area.

또한 특정 지층의 유무 또는 지층별 두께는 지반 강성을 판단하는데 지배적인 요소이며, 준설 매립 등의 토공사에서 표준 시공단면을 설정함으로써 설계 지반정수 산정과 내진설계 해석의 입력변수 등의 중요 변수로 이용된다.In additi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specific strata or the thickness of each strata is a dominant factor in determining the ground stiffness, and is used as an important parameter of design parameter estimation and seismic design analysis by setting the standard construction cross section in earthworks such as dredging landfill .

대상영역 내 다수의 시추조사 자료 표본집단의 기반암 상부 층상 종류에 따라 다양한 두께분포를 갖으며 지반공학적 특성값의 통계적 경향성을 대표하는 설계지반정수 산정을 위해 대표 지층 주상도를 갖는 단일 시추조사 자료를 선정한다.Numerous drilling survey data in the target area A single drilling survey data with a representative stratigraphic columnar profile for the estimation of the design soil parameters representing the statistical tendency of the geotechnical characteristics, .

이를 위해 도 8과 같이 먼저 기반암 상부의 4종류의 지층(매립토, 퇴적토, 풍화잔류토, 풍화암)을 대상으로 각 두께에 따른 확률분포 함수를 도출한다.For this, as shown in FIG. 8, a probability distribution function according to each thickness is derived from four types of strata (bedding, sedimentation, weathering residue, weathering) on the bedrock.

각 층별 두께의 확률분포 함수를 바탕으로 신뢰도 수준 95% 이상의 신뢰구간을 갖는 표본 집단에 대한 평균값, 중앙값, 최빈값을 계산하며, 이를 층별 대표단면 두께 결정을 위한 지표로 정의한다.Based on the probability distribution function of each layer thickness, the mean, median, and mode values for the sample with the confidence interval of 95% confidence level or higher are calculated and defined as an index for determining the representative section thickness.

각 4종류의 지층에 따라 3종류(평균값, 중앙값, 최빈값)의 두께 결정 지표를 기준으로 대상 시추조사 자료별로 측정된 지층 두께와 상호 비교함으로써, 시추조사 자료별로, 또한 4 종류의 지층에 따른 3종류의 두께 결정 지표와의 비교 오차를 계산한다.Based on the thickness determination index of three types (mean, median, and mode) for each of the four types of strata, we compared the measured strata thickness with the target drilling data, Calculate the comparison error with the thickness determination index of the kind.

이에 따라 3 종류의 두께 결정 지표와의 비교 오차의 확률분포상 각 지표별로 하위 10% 이내에 해당하는 지층으로 구성된 시추조사 자료를 선정한다. 오차의 확률분포상 하위 10% 이내의 시추조사 자료는 시추조사 표본자료의 두께에 대한 경향성을 대표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즉, 결정된 시추조사 표본자료의 주상도를 표준 지층 단면도로 정의한다.Therefore, drilling survey data consisting of strata within the lower 10% of each index on probability distribution of comparison error with three kinds of thickness determination indexes are selected. The drilling survey data within the lower 10% of the probability distribution of the errors is considered to represent the tendency to the thickness of the drilling survey data. In other words, the columnar chart of the determined drilling survey sample data is defined as a standard strata cross section.

결과적으로 3 종류의 두께 결정 지표를 기준으로 각각 층별 두께의 대표성을 갖는 하위 10% 이내의 시추조사 표본자료를 선정하기 때문에 각 지표별로 선정된 시추조사 자료 표본집단의 일부 자료는 중복될 수 있다.As a result, some of the data of selected drill survey data set for each index can be duplicated because the drill survey data within the lower 10% that have representative thickness of each layer is selected based on three kinds of thickness determination indexes.

또한 표준관입시험 N값에 대해서도 앞선 층별 두께의 대표성을 갖는 표본 집단을 선정한 절차와 동일하게 적용하되, 표준관입시험 절차상 지표면을 기준으로 심도방향으로 1.0m 또는 1.5m 간격으로 시험이 적용됨에 따라 층별 대표 N값을 선행적으로 결정하여야 한다.In addition, for the standard penetration test N values, the same procedures as for selecting the representative population with the thickness of the preceding layer are applied, but the test is applied at intervals of 1.0 m or 1.5 m in the depth direction on the basis of the standard penetration test procedure The representative N value for each floor should be determined in advance.

표준관입시험은 흙의 연경, 상대밀도 등을 알기 위한 N값을 측정하는 관입시험 방법으로 기존 경험 자료가 많고 시험이 간단하여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The standard penetration test is an intrusion test method to measure the N value to know the soil softness and relative density, and it is commonly used because it has many experience data and simple test.

이에 층별로 측정된 단일 또는 다수의 표준관입시험 N값의 평균값을 층별 대표 N값으로 간주하여 정의한다.The mean value of single or multiple standard penetration test N values measured by stratification is defined as the representative N value of the stratum.

층별 대표 N값의 확률분포 함수 상 95% 이상의 신뢰구간을 갖는 표본집단에 대한 평균값, 중앙값, 최빈값 계산하며, 위 결정 지표를 토대로 시추조사 자료별로 층별 대표 N값에 따른 상호 비교 오차를 계산한다.The mean, median, and mode values for the sample population with a confidence interval of 95% or more on the probability distribution function of representative N values for each floor are calculated and the mutual comparison error i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representative N value of each floor according to the drilling data.

이에 따라 3종류의 N값 결정 지표에 따른 오차의 확률분포상 하위 10% 이내에 해당하는 층별 대표 N값을 갖는 시추조사 자료를 대표 시추조사 표본자료로 선정한다.As a result, the drill survey data having the representative N value within the lower 10% of the probability distribution of the error according to the three kinds of N value determination indexes are selected as representative drill survey sample data.

결과적으로 층별 두께, 표준관입시험 N값에 따른 3 종류 지표 기준의 대표 시추조사 표본자료 집단을 선정한다.As a result, representative sampling data of three types of indicators based on the thickness of the layer and the N value of the standard penetration test are selected.

층별 두께, 표준관입시험 N값 외에 기타 지반특성값 변수를 추가 고려할 경우, 앞서 설명한 통계적 지표 기준의 대표 시추조사 자료 선정 방법을 기반으로 비교 오차 계산을 통해 시추조사 표본자료로 선정한다.If additional parameters other than the thickness of the layer and the N value of the standard penetration test are taken into consideration, the drilling survey sample data is selected from the comparison error calculation based on the method of selecting the representative drilling data of the statistical index standard described above.

다음으로 대상 시설영역의 공간적 중심점을 고려한 대표 시추조사 자료 결정 과정을 도 9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Next, a representative drilling survey data determination process considering the spatial center point of the target facility area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지반공학 특성값의 통계적 경향성을 고려한 대표 시추조사 표본자료 집단을 바탕으로 공간적 중심점을 고려한 대표 시추조사 자료를 결정한다. Based on representative sampling survey data considering statistical tendency of geotechnical engineering characteristics, representative survey data considering spatial center point are determined.

대상 시설물의 고전적인 관점의 정적설계 뿐만 아니라 동적 해석이 수반될 수 있는 내진 설계나 내진 성능평가를 위해서도 대상영역 내 지층 주상도, 표준관입시험 N값 등의 대표적 지반특성값을 입력데이터로 사용하며, 이를 위해 대표 시추조사 자료 선정이 필수적이다.For the seismic design and seismic performance evaluation, which can involve dynamic analysis as well as the static design of the target facilities, typical geotechnical characteristics such as geological stratigraphy in the target area and N value of standard penetration test are used as input data , It is essential to select representative drill survey data for this purpose.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통계적 대표성을 갖는 시추조사 표본자료를 토대로 2차원 공간분포(X, Y 좌표 기준)를 구현하며, 이를 기준으로 대상영역 또는 대상구조물의 공간 중심점과 최근접한 시추조사 자료를 선정한다.For this purpose, two-dimensional spatial distribution (based on X and Y coordinates) is implemented based on the drill survey specimen data with statistical representativeness, and the nearest drilling survey data with the spatial center of the target area or the target structure is selected based on this .

공간적 중심점과의 최근접한 시추조사 자료는 대상 영역 내 시추조사 자료 중에서 현상태 지반 및 지형조건이 고려되며, 지반공학 특성값의 통계적 대표성을 갖는 대표 시추조사로 판단하여 지진계측시 설치 또는 내진설계 시의 입력 지반조건으로 사용하도록 한다.The nearest drilling survey data with the spatial center point are considered as the representative drilling survey which has the statistical representation of geotechnical characteristics and the ground condition and the condition of the present condition are taken into account in the drilling survey data in the target area. It should be used as an input ground condition.

이제 상술한 최적 부지 공간그리드 구축 기반 건축물 그룹의 대표 지반 공간정보 파악 과정에 대해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Now, the representative ground space information grasping process of the building group based on the optimal site space grid construc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일반적으로 구조물 건설을 목적으로 지반조사를 시행하는 경우, 시추조사가 널리 이용된다. 시추조사는 채취된 시료를 확인함으로써 확실하고 구체적인 지반정보를 제공하지만 제한된 지점의 지반정보만 제공하기 때문에 전체 대상 부지의 층상 분포를 파악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다.In general, drilling survey is widely used in the case of ground survey for building construction purpose. The drilling survey provides reliable and detailed geotechnical information by identifying the sampled specimens, but it is difficult to grasp the stratified distribution of the entire site because it provides only limited geotechnical information.

이에 따라 2차원 또는 3차원 공간좌표 상 연속적인 부지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시추조사 자료를 기초한 지구통계학적 최적 부지 공간그리드 구축이 필수적이다.Therefore, it is essential to construct a geostatistics optimal site space grid based on drilling survey data in order to grasp continuous site characteristics in 2D or 3D spatial coordinates.

특히, 시설영역의 합리적인 부지응답특성 파악을 위해서는 시추조사 자료로 대표되는 지반 자료와 함께 수치지도, 수치표고모델, 지질도, 토지피복도, 위성영상 등의 다양한 지표피복 자료를 동일 공간좌표계를 기준으로 중첩함으로서 통합 부지정보로 구축 활용한다.In particular, to understand the site response characteristics of the facility area, various land cover data such as digital map, digital elevation model, geological map, land cover map, and satellite image are superimposed on the basis of the same spatial coordinate system And use it as integrated site information.

시추조사 자료의 경우 2차원 공간좌표상 지점형태의 형상으로 표현되며, 전체 대상영역의 연속적인 부지정보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공간보간 기법 기반의 지반정보 공간레이어의 구성이 필요하다. In the case of drilling survey data, it is expressed in the shape of a point shape on the 2-D spatial coordinates. In order to grasp the continuous site information of the entire object area,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the ground information space layer based on the spatial interpolation technique.

공간보간을 통해 영역화된 시추조사 자료 역시 일정한 공간격자 크기의 수치모델링이 필요하며, 최적의 격자구조(단위 격자크기)를 결정하기 위해 교차검증 기반의 정밀도 오차 검증을 수행한다.Numerical modeling of a certain spatial grid size is required for the drilled surveyed data through spatial interpolation, and cross - validation - based precision error verification is performed to determine the optimal grid structure (unit grid size).

시추조사 자료 기준의 공간그리드를 기반으로 지표피복 공간레이어 역시 동일한 격자크기를 갖는 공간그리드로 변환, 구축한다.Based on the spatial grid based on the drilling survey data, the surface covered spatial layer is transformed and constructed into a spatial grid having the same grid size.

지표피복 공간레이어의 경우, 수치표고모델과 같이 Cell 단위의 공간격자 형태나 수치지도, 지질도와 같이 비정형 폴리곤(다각형) 형태로 구성되며, 대상영역의 지반공학적 특성값의 정량적 분포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격자 형태의 공간레이어 구성이 필요하다. In the case of the surface-covered spatial layer, as in the numerical elevation model, it is composed of atmospheric polygons (polygons) such as spatial grid form, numerical map, and geological map of the cell unit. To grasp the quantitative distribution of the geotechnical characteristic values of the target area, Type spatial layer configuration is required.

비정형 폴리곤 형태의 지표피복 공간레이어는 지구통계학 기법을 통해 격자 형태의 공간레이어로 변환하거나, 투영하도록 한다.Surface-covered spatial layers in the form of atypical polygons are transformed or projected into a grid-like spatial layer using geostatistical techniques.

이에 따라 3차원 공간상 지반정보 공간그리드와 지표피복 공간그리드와의 공간중첩을 통한 복합부지 공간그리드를 구축한다.Thus, a complex site space grid is constructed by spatial overlapping between three - dimensional spatial ground information space grid and ground cover space grid.

지반정보 공간그리드의 경우 공간보간 과정에서 시설영역의 일정 격자마다 지반공학적 특성값(층별 두께, 표준관입시험 N값 등)의 통계적 대푯값(평균값, 최솟값, 최댓값)을 결정하며, 내진설계 및 내진해석 시에 공학적 판단에 따라 공간그리드별 대푯값을 취사선택한다.In the case of the geospatial grid, statistical representations (average, minimum, maximum) of geotechnical characteristics (layer thickness, standard penetration test N value, etc.) are determined for each grid of the facility area during the spatial interpolation process. Seismic design and seismic analysis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method for selecting spatial grid based on engineering judgment.

최종적으로 일정 공간그리드의 격자별로 복합적 지표피복 정보와 지반공학적 특성값 정보를 확보함으로써 시설영역의 지진가속도계측기의 최적 위치 선정 및 내진해석 시의 대상영역의 부지응답특성의 정량적 공간분포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Finally, it is possible to grasp the composite land cover information and the geotechnical property value information for each grid of a certain space grid, so that the optimal location of the earthquake acceleration instrument in the facility area and the quantitative spati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site response characteristics have.

이에 따라 도 2와 같이 먼저 시추조사를 포함한 지표피복 공간레이어를 통합하며, 지구통계학적 신뢰도 검증 기법을 통해 최적 격자구조를 구성한다. 이후 동일 격자구조를 토대로 시추조사와 각 지표피복 정보를 공간그리드 정보로 구축하며, 표준관입시험 N값 기반의 지반의 강성에 따른 대표 지층주상도를 결정한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 2, the land cover layer including the drilling survey is integrated, and the optimal grating structure is constructed by the geostatistical reliability verification technique. Then, based on the same grid structure, the drilling survey and each surface cover information are constructed as spatial grid information, and the representative stratification of the ground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ground stiffness based on the standard penetration test N value.

다음으로 지반 및 지표피복 공간레이어의 통합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Next, the integration process of the ground layer and the surface covering lay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대상영역 내에서 동일 공간좌표계를 공유하는 시추조사 자료와 수치지도, 수치지표고모델(digital elevation model; DEM), 지질도, 토지피복도, 위성영상 등의 다양한 지표피복 자료를 수집한다.A variety of land cover data such as drilling survey data, digital elevation model (DEM), geological map, land cover map, and satellite image sharing the same spatial coordinate system are collected in the target area.

시추조사 자료는 명확하고 확실한 지반정보를 제공하지만 좌표공간상 지점마다 수행되기 때문에 현장 전체의 지반특성 파악이 어렵다. 이를 극복하고자 지구통계학적 방법인 크리깅(kriging)을 이용하여 층별 두께에 따른 공간보간을 수행함으로써 지반정보의 공간레이어를 구성한다.Although drilling survey data provide clear and reliable geotechnical information, it is difficult to grasp the geotechnical characteristics of the whole site because it is performed at each point in the coordinate space. In order to overcome this, a spatial layer of ground information is constructed by performing spatial interpolation according to the layer thickness using kriging which is a geostatistical method.

크리깅(Kriging)에서 한 미지점에 대한 기존 자료점의 가중치는 기존 자료점의 분산 분포로부터 계산되는데 이때 사용되는 값은 예측하려는 지점의 기존 자료점에 대한 분산의 절대적인 크기가 아니고 기존 자료점으로부터의 예측하려는 지점사이의 분산의 상대적인 변화량과 분산의 최대값이다. 또한, 크리깅(kriging)에서는 기존 자료점들이 서로 다른 개개의 분산 분포를 가지지 않고 예측하고자 하는 한 영역 내의 기존 자료점들은 모두 같은 분산 분포를 가지게 된다. 한 영역 내에서 기존 자료점들의 분산 분포는 하나의 함수 형태로 나타낼 수 있으며 이를 분산 함수라 한다. 다시 말해, 각 기존 자료점은 불확실성(혹은 신뢰도)와 관련되는 각각의 분산 함수를 가지며 분산 함수는 예측 시 기존 자료점으로부터 거리에 따른 분산의 변화량을 결정하고 가중치를 계산하는데 사용된다. 크리깅(Kriging)에서는 이러한 분산 함수를 베리오그램(variogram)이라 한다. 베리오그램의 형태는 경험적으로 결정되어 있으며 linear, spherical, exponential, Gaussian 등이 제시되어 있다. 각각의 베리오그램 곡선은 기지점에서 최소값을 가지며 기지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증가하며 또한 일정거리 이상 떨어진 후로는 항상 최대값을 가지게 된다. 즉, 기지점으로부터 일정거리 이상 떨어진 미지점들은 기지점들의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기지점으로부터 영향을 받는 거리를 유효거리(α) 혹은 영향범위라 한다. 결정된 베리오그램 모델링을 통해 미지 영역의 자료들을 보간하는 크리깅에는 여러 방법들이 있으며, 정규 크리깅(ordinary kriging)이 보편적으로 활용된다. 정규 크리깅이란 모집단의 평균은 사전에 알 수 없고 일정하다는 전제하에 공간상 위치와 해당 변수의 관계를 결정하는 베리오그램을 통해 미지점의 해당 값을 추정하는 방법으로서 최적의 선형 불편견 추정자(best linear unbiased estimator)로 알려져 있다. 정규 크리깅을 적용하여 공간 지층 분포를 구축하였으며 일반적인 정규 크리깅은 다음의 수학식 3 및 4와 같다. 여기서,

Figure 112018050877369-pat00003
는 가중치이며,
Figure 112018050877369-pat00004
는 라그랑지(Lagrange) 계수이다.In Kriging, the weight of the existing data points for one point is calculated from the variance distribution of the existing data points, which is not the absolute magnitude of the variance for the existing data points at the point to be predicted, The relative variation of the variance between the points to be predicted and the maximum variance. Also, in kriging, existing data points do not have different individual distribution distributions, and existing data points in one region to be predicted have the same dispersion distribution. The variance distribution of existing data points within a domain can be represented as a function form, which is called a distributed function. In other words, each existing data point has its own variance function related to uncertainty (or reliability), and the variance function is used to determine the variance of the variance according to distance from the existing data point and to calculate the weight. In Kriging, this variance function is called a variogram. The variogram forms are empirically determined and are presented as linear, spherical, exponential, and Gaussian. Each variogram curve has a minimum value at a known point and increases with distance from a known point, and always has a maximum value after a certain distance. That is, the spots located a certain distance or more from the known point are not affected by the known points. The distance influenced by the known point is called the effective distance (α) or the influence range. There are several methods of kriging interpolation of unknown regions through the determined variogram modeling, and ordinary kriging is commonly used. Regular kriging is a method of estimating the corresponding value of a point by means of a variogram which determines the relation between the spatial position and the corresponding variable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 mean of the population is unknown and constant beforehand. unbiased estimator. Normal kriging is applied to construct a spatial stratum distribution. The normal kriging is expressed by the following equations (3) and (4). here,
Figure 112018050877369-pat00003
Is a weight,
Figure 112018050877369-pat00004
Is the Lagrange coefficient.

Figure 112018050877369-pat00005
Figure 112018050877369-pat00005

Figure 112018050877369-pat00006
Figure 112018050877369-pat00006

지표피복 자료는 정밀도에 따라 다양한 축척 및 영역의 범위를 갖고 있으며, 대상영역의 크기에 따라 수집 가능한 자료별 정밀도는 상이하다. The land cover data has various scales and ranges depending on the accuracy, and the accuracy of the collected data differs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target area.

예컨대, 지질도의 경우 정밀도 수준에 따라 대축척부터 소축척의 지질도를 1:50,000, 1:250,000, 1:500,000의 순서로 확보 가능하지만, 일부 영역에 대해서는 1:50,000의 고정밀 지질도는 조사되지 않는다. 또한 폴리곤(다각형) 형태의 지질학적 경계와 선형의 단층선구조로 구성된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geology, large-scale to small-scale geological maps can be obtained in the order of 1: 50,000, 1: 250,000, and 1: 500,000 depending on the precision level, but 1:50,000 high-precision geology is not surveyed in some areas. It is composed of a polygonal (polygonal) geological boundary and a linear fault line structure.

수치표고모델은 지표고 정보가 일정 크기의 격자에 저장되며, 격자구조 방식, 높이가 같은 지점을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만든 등고선에 의한 방식, 단층에 의한 프로파일 방식, 그리고 불규칙한 삼각형에 의한 TIN(triangulated irregular network; 불규칙 삼각망) 방식 등이 있다.In the numerical elevation model, the surface elevation information is stored in a grid of a certain size. The grid method, the contour method by continuously connecting the points with the same height, the profile method by the single layer, and the triangulated irregular network; irregular triangulation) method.

토지피복도는 인공위성이 촬영한 영상을 이용하여 지표면의 상태를 표현한 지도로서 숲, 초지, 콘크리트 포장과 같은 지표면의 물리적 상황을 폴리곤 형태로 분류한다.The land cover map is a map expressing the state of the ground surface using images taken by a satellite, and classifies physical conditions of the ground surface such as forest, grassland and concrete pavement into polygonal shape.

대상영역의 수집 가능한 고정밀 지표피복 자료를 확보하며, 대상영역의 면적 및 형상에 따라 연속적인 지표피복 자료를 추출하여 사용한다.Obtain high-precision land cover data for the target area and extract and use continuous land cover data according to the area and shape of the target area.

이 때 시추조사 자료의 지표고 정보는 시추시기와 현재(시공완료 이후)의 지형조건을 반영하지 못하기 때문에 지표피복 자료 중 수치표고모델 또는 수치지도의 표고 정보를 대체하여 사용한다. 즉, 시추조사 자료와 동일 지점에서의 지표피복 기반 표고정보를 기준으로 시추조사 자료의 상부 지층부터 심도방향으로 두께정보 중첩함으로써 시추조사 자료를 표준화한다.In this case, since the surface elevation information of the drilling survey data does not reflect the drilling time and the present condition (since the completion of construction), the elevation information of the numerical elevation model or the numerical map is used instead of the surface covering data. In other words, the drilling data are standardized by superimposing the thickness information from the upper stratum to the depth direction of the drilling data, based on the surface cover based elevation information at the same point as the drilling survey data.

최종적으로 도 10과 같이 3차원 공간에서 지표면으로부터 심도방향으로 주상도 형태의 시추조사 자료와 지표면에 중첩된 형태의 다중 공간레이어로서 지표피복 자료를 통합한다.Finally, as shown in FIG. 10, the land cover data is integrated as a multi-spatial layer in the three-dimensional space in the form of a pillar-like drilling data in the depth direction from the ground surface and a superimposed form on the ground surface.

다음으로 부지 공간그리드의 최적 격자구조 구성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Next, the process of constructing the optimal grid structure of the site space gri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시추조사 자료를 기준으로 공간보간 기법 중 가장 범용적으로 활용되는 크리깅을 적용하며, 그 결과 시추조사 자료 기반의 지반공학적 특성값의 연속적인 2차원 공간분포를 구축한다.Based on the drill survey data, Kriging, which is the most widely used spatial interpolation method, is applied. As a result, a continuous two - dimensional spatial distribution of geotechnical characteristics based on drilling survey data is constructed.

크리깅 기법 중 크리깅 추정식이 편향되지 않는 조건이 추가되어 높은 신뢰도의 공간보간이 가능하며, 지반공학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정규 크리깅을 사용한다.The Kriging Estimation Equation of the Kriging Method is added to the condition that the Kriging Estimation Diagram is not biased, so that highly reliable spatial interpolation is possible and regular kriging is widely used in the field of geotechnical engineering.

기존 시추조사 자료의 불확실성과 관련된 분산 함수를 가지며 분산 함수는 예측 시 기존 자료로부터 거리에 따른 분산의 변화량을 결정하고 가중치를 계산하는데 사용되며, 크리깅에서는 이러한 분산 함수를 베리오그램으로 정의한다.It has a variance function related to the uncertainty of the existing drilling survey data. The variance function is used to determine the variation of the variance according to the distance from the existing data and to calculate the weights. In kriging, this variance function is defined as variogram.

시추조사 자료의 다양한 속성정보 중 공간좌표(X, Y 좌표) 기준의 대표층(매립토, 퇴적토, 풍화잔류토, 풍화암)의 두께 정보를 대상으로 정규크리깅을 적용하여 연산하며, 대상영역을 기준으로 4개의 동일한 공간보간 영역으로 정의한다.The thickness information of representative layers (landfill, sedimentation, weathering residue, weathered rock) based on spatial coordinates (X, Y coordinates) among the various property information of the drilling survey data is calculated by applying regular kriging, Four identical spatial interpolation areas.

4 종류의 대표 지층은 지반공학 분야에서 보편적으로 구분되어 활용되며, 층별 두께에 따라 지점별 지반공학적 강성 및 액상화 재해 등의 지반동적 특성이 결정된다. 그렇다 할지라도 매립토, 퇴적토, 풍화잔류토 등은 일반적인 현장 시추조사 과정이나 실내 시험과 분석에서 통일분류법(Unified Soil Classification System, USCS), 지질층서 분류 등에 따라 세분화하여 표현되거나 제시될 수 있으며, 풍화암이나 기반암은 암반(암석) 종류나 색상, 파쇄 정도 등에 따라 세분화 될 수 있다. 또한, 기반암은 그 경도에 따라 연암, 보통암, 경암, 극경암 등으로 구분하여 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세분화된 지층 구성들은 일반화된 5 종류 지층들의 세분화된 조건으로 반영하여 적용 기법의 대상 지층들의 수만 확대하는 관점에서 동일하게 고려할 수 있다.Four types of representative strata are universally used in the field of geotechnical engineering, and the geotechnical properties such as geotechnical stiffness and liquefaction disaster ar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strata. Even so, landfills, sediments, and weathering residues can be expressed or presented in detail by general field drilling procedures, indoor testing and analysis, Unified Soil Classification System (USCS), geological stratification, Bedrock can be classified according to rock type, color, crushing degree and so on. In addition, bedrock can be classified into soft rock, normal rock, light rock, and pole rock due to its hardness. These subdivided stratum configurations can be equally considered in terms of expanding the number of target strata in the applied technique by reflecting them into the subdivided conditions of the generalized five strata.

이 때 공간보간에 따른 결과는 격자구조의 수치모델로 표출되며, 최적의 격자 크기를 결정하기 위해 다양한 격자 크기 후보군을 대상으로 교차검증(cross validation) 기반의 오차검증을 수행한다.In this case, the spatial interpolation results are expressed as a numerical model of the lattice structure. In order to determine the optimal lattice size, error validation based on cross validation is performed for various lattice size candidates.

도 11과 같이 격자크기를 달리하여 공간보간 예측을 수행하며, 특정 격자크기에 따른 보간 예측결과의 정밀도(혹은 신뢰도)를 확인하기 위해서 교차검증을 수행한다. 격자 크기의 후보군는 최소 7개 이상으로 하며 5m, 10m, 20m, 30m, 50m, 70m, 100m의 격자 크기에 따른 후보군을 대상으로 교차검증을 수행한다.As shown in FIG. 11, the spatial interpolation prediction is performed by varying the grid size, and the cross-validation is performed to confirm the accuracy (or reliability) of the interpolation prediction result according to the specific grid size. The candidate size of the grid size is 7 or more, and cross validation is performed on the candidates according to the grid size of 5m, 10m, 20m, 30m, 50m, 70m, and 100m.

교차검증 방법은 시추조사 자료 중 어느 하나의 자료를 제외하고 지반공학적 특성값(층별 두께, 표준관입시험 N값)을 공간보간함으로써 예측된 특성값과 측정된 특성값 간의 잔차를 계산한다. 모든 시추조사 자료를 대상으로 순차적으로 잔차를 도출한다.The cross validation method calculates the residual between the predicted characteristic value and the measured characteristic value by spatial interpolation of the geotechnical characteristic values (layer thickness, standard penetration test N value) except for one of the drilling survey data. Sequentially obtain residuals for all drilling data.

이 때 각 격자크기별 연산 조건을 바탕으로 교차검증 결과에 따른 상관도를 평가하는 지표로서 RMSE(root mean squared errors; 평균제곱근오차)를 계산하며, RMSE가 가장 작게 평가되었을 경우, 높은 공간적 상관도를 갖는다. In this case, root mean squared errors (RMSE) are calculated as an index to evaluate the correlation according to the cross validation results based on the calculation conditions for each grid size. When the RMSE is evaluated to be the smallest, .

RMSE가 가장 작은 격자크기(혹은 격자구성)를 적용한 공간보간 조건을 최적의 격자크기로 결정하며, 그 결과 일정 대상영역 내 동일한 크기, 공간좌표를 갖는 격자구조로 선정하여 이를 기준으로 다중의 지표피복 공간레이어를 동일한 격자 크기를 갖는 격자구조로 변환한다.The RMSE determines the spatial interpolation condition using the smallest grid size (or lattice configuration) as the optimum grid size. As a result, the grid size with the same size and spatial coordinates in the certain target area is selected, And converts the spatial layer into a lattice structure having the same lattice size.

또한 결정된 격자구조를 토대로 층별 두께 정보가 각 격자마다 저장됨으로써 지반 공간그리드를 구축한다.Also, based on the determined lattice structure, the layer thickness information is stored for each lattice to construct a ground space grid.

다음으로 부지복합 공간그리드 구축 과정을 구체적으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Next, the construction process of the site complex space gri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비정형 폴리곤 형태의 지표피복 공간레이어 중 수치지도와 같이 지표고 또는 경사 정보를 저장하는 폴리곤 또는 선형의 자료는 TIN(triangulated irregular network; 불규칙 삼각망)로 변환하며, 이를 다시 격자형태의 수치표고모델로 변환하여 지표고 공간그리드로 사용한다.A polygonal or linear data, such as a numerical map, which stores landmark or slope information, is transformed into a triangulated irregular network (TIN), which is again a grid-like numerical elevation model And use it as an index high spatial grid.

지층 공간자료 재생성을 위해서는 지표고 공간그리드를 기준으로 앞서 구축된 지반 공간그리드의 층별 두께 격자정보를 심도방향으로 중첩함으로써 상대적 층별 경계의 공간그리드를 결정한다.In order to regenerate geologic spatial data, the spatial grid of the relative layer boundary is determined by superimposing the layer thickness grid information of the previously constructed ground grid on the basis of the surface high spatial grid.

또한 표준관입시험 N값에 대해서도 결정된 최적 격자구조를 기준으로 공간보간을 통해 단위 격자별, 층별 N값을 저장한다.In addition, the N values of the unit grid and the floor are stored through spatial interpolation based on the optimal grid structure determined for the standard penetration test N value.

표준관입시험 절차상 지표면을 기준으로 심도방향으로 1m 또는 1.5m 간격으로 시험이 적용됨에 따라 층별 대표 N값을 선행적으로 결정하여야 한다.As the test is applied at 1m or 1.5m intervals in the direction of depth with reference to the surface of the standard penetration test procedure, representative N value for each layer should be determined in advance.

표준관입시험은 흙의 연경, 상대밀도 등을 알기 위한 N값을 측정하는 관입시험 방법으로 기존 경험 자료가 많고 시험이 간단하여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The standard penetration test is an intrusion test method to measure the N value to know the soil softness and relative density, and it is commonly used because it has many experience data and simple test.

이에 층별로 측정된 단일 또는 다수의 표준관입시험 N값의 평균값을 층별 대표 N값으로 간주하여 정의한다.The mean value of single or multiple standard penetration test N values measured by stratification is defined as the representative N value of the stratum.

결과적으로 층별 경계, 표준관입시험 N값에 따른 지반 공간그리드를 결정한다.As a result, the floor space grid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layer boundary, the standard penetration test N value.

또한 지질도 및 토지피복도는 공간레이어는 개별 폴리곤 또는 선형의 공간객체에 저장되며, 특정 영역 내 지질정보, 단층정보 또는 토지피복 정보의 정량적 공간분포를 파악하기 위해 격자구조로 변환한다.In addition, the geological map and the land cover map are stored in a separate polygon or a linear spatial object, and the spatial layer is converted into a grid structure to grasp the quantitative spatial distribution of geological information, tomographic information or land cover information in a specific area.

도 12와 같이 변환방법은 앞서 결정된 부지 공간그리드의 최적 격자구조를 기준으로 동일영역의 지표피복 공간레이어(지질도, 토지피복도 등)를 공간중첩하여 투영변환함으로써, 각 격자마다 투영된 지질, 단층, 토지피복 정보를 저장한다.As shown in FIG. 12, the transformation method is a method of projecting and transforming the surface-covered spatial layers (lipid, land cover, etc.) of the same area on the basis of the optimal grid structure of the site space grid determined above, Land cover information is stored.

예컨대, 지질도의 경우 지질 경계 폴리곤을 중심으로 폐합되어 분포하는 공간그리드 격자는 해당 지질경계 속성(예: 퇴적암류)으로 저장하도록 하며, 단층 선구조와 같은 선형 형태의 공간레이어는 격자구조와의 교차점과 최인접한 공간그리드를 단층 선구조 속성으로 저장하도록 한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geology, a spatial grid lattice that is closed around a geological boundary polygon is stored as a geological boundary property (eg, sedimentary rocks). A linear spatial layer such as a fault line structure has a cross- And the nearest spatial grid as the fault line structure property.

토지피복도의 경우 지질도의 지질 경계 폴리곤과 동일한 방법으로 토지피복 종류 폴리곤 내에 폐합한 공간그리드를 해당 토지피복 속성으로 저장하도록 한다. In the case of land cover, the spatial grid enclosed within the land cover type polygon is stored as the land cover attribute in the same manner as the lipid boundary polygon of the geological map.

최종적으로 지표고, 지층 경계의 심도(혹은 층별 두께), 층별 표준관입시험 N값, 지표면상 지질, 단층 선구조, 토지피복 정보가 포함된 부지복합 공간그리드를 구축한다.Finally, a site complex space grid is constructed that includes land surface elevation, depth of stratum boundary (or layer thickness), N value of standard penetration test by floor, surface surface lipid, fault line structure, and land cover information.

다음으로 공간그리드 기반 부지응답특성 공간구역화를 위한 대표 지층주상도 결정 과정을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Next, a description will be made of a representative ground stratification determining process for space segment based site response spatial zoning, with reference to FIG.

시설영역의 내진해석 및 내진설계 또는 최적의 지진가속도계측기 설치 위치 선정을 위한 대표 지층주상도를 결정하기 위해서 앞서 구축한 부지복합 공간그리드 기반의 지반공학적 특성값의 대푯값을 결정한다.In order to determine the representative ground stratification for seismic analysis and seismic design of the facility area or to select the optimal seismic accelerometer installation location, a representative value of the geotechnical property value based on the ground complex space grid constructed earlier is determined.

이를 위해 대상 시설물이 점유하는 공간그리드의 격자를 추출하고, 해당 격자별로 저장된 층별 두께와 표준관입시험 N값의 평균값, 최솟값, 최댓값의 통계적 대푯값을 연산한다.For this purpose, the grid of the space grid occupied by the target facility is extracted and the statistical representations of the mean, minimum, and maximum values of the stored layer thicknesses and the standard penetration test N values are calculated.

일반적으로 보수적인 내진해석 및 설계를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지층두께를 두껍게, 그리고 층별 표준관입시험 N값은 작게 평가함으로써 이에 따른 부지효과의 증대를 유도하게 되며, 이에 따라 시설물 영역에서의 층별 두께의 최댓값 연산을 통해 결정된 층별 두께 및 N값을 지층주상도로 사용한다.Generally, for conservative seismic analysis and design, the layer thickness is relatively thick and the N value of the standard penetration test is small, which leads to the increase of the site effect. Therefore, the maximum value of the layer thickness The thickness and N value of the layer determined by the above method are used as the stratum corneum.

다만 실무적 목적에 따라 층별 두께 및 표준관입시험 N값의 대푯값을 취사선택하여 해석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However, according to the practical purpose, the representative thickness of the layer thickness and the N value of the standard penetration test are selected and used for analysis.

또한 다중 지표피복 공간그리드 정보 역시 시설영역에 따른 대표 특성값 결정을 위해 최빈값을 연산함으로써 대표 지질, 토지피복 정보를 결정한다.In addition, multi - surface covered space grid information also determines representative lipid and land cover information by calculating mode value to determine representative characteristic value according to facility area.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부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Claims (7)

건축물 영역의 확장 영역에 대하여 시추조사 자료를 수집하고, 수집된 시추조사 자료를 시간, 지형, 통계 및 공간적 기준으로 하여 건축물 영역 중심의 대표 시추조사 자료를 선정하는 건축물 영역에 대한 대표 시추조사 자료 선정 방법으로서,
(c-1) 건축물 영역의 공간적 중심점을 기준으로 해당 건축물 영역을 포함하는 확장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c-2) 상기 확장 영역을 포함하며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다수의 확장 영역 후보군을 설정하는 단계;
(c-3) 상기 확장 영역과 다수의 확장 영역 후보군에 대하여 각각 시추조사 자료를 수집하는 단계;
(c-4) 상기 확장 영역과 다수의 확장 영역 후보군 중 공간적 상관도가 높은 영역을 대상 건축물 영역으로 결정하기 위해 상기 확장 영역과 다수의 확장 영역 후보군 각각에 대하여 하나의 지반공학적 특성값을 공간보간하고, 예측된 특성값과 측정된 특성값 간의 잔차를 계산하여 평균제곱근오차(RMSE, Root Mean Squared Errors)가 가장 작게 평가되는 영역을 대상 건축물 영역으로 결정하는 단계;
(c-5) 상기 대상 건축물 영역의 시추조사 자료 중 시추날짜와 시추표고에 따른 이상치를 제거하는 단계;
(c-6) 이상치가 제거된 시추조사 자료 중 지반공학적 특성값을 기준으로 통계적 대표 시추조사 표본자료를 선정하는 단계; 및
(c-7) 상기 대표 시추조사 표본자료 중 건축물 영역의 공간적 중심점을 기준으로 최근접한 시추조사 자료를 대표 시추조사 자료로 선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영역에 대한 대표 시추조사 자료 선정 방법.
Selected drill survey data for the area of architecture that collects the drill survey data for the extended area of the building area and selects the representative drill survey data centered on the building area based on the time, terrain, statistics and spatial reference of the collected drill survey data As a method,
(c-1) setting an extension area including the building area based on a spatial center point of the building area;
(c-2) setting a plurality of extended region candidate groups including the extended region and gradually increasing;
(c-3) collecting survey data on the extension area and the plurality of extension area candidates, respectively;
(c-4) One geotechnical property value for each of the extension area and the plurality of extension area candidates is determined as a spatial structure interpolation area to determine a region having a high spatial correlation among the extension area and the plurality of extension area candidates as a target building area. Determining a region in which a root mean square error (RMSE) is estimated to be the smallest as a target building area by calculating a residual between a predicted characteristic value and a measured characteristic value;
(c-5) removing an abnormal value according to a drilling date and a drilling elevation among drilling survey data of the target building area;
(c-6) selecting statistical representative drilling survey specimens based on geotechnical characteristics of drilling survey data from which anomalies have been removed; And
(c-7) selecting, as a representative drilling survey data, the drilling survey data of the representative drilling survey sample data based on the spatial center point of the building area; And selecting a representative drilling survey data for a building area.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c-3) 단계에서,
확장 영역 후보군은 적어도 7개 이상 설정되며, 확장 영역 후보군 간 간격은 건축물 영역 면적의 제곱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영역에 대한 대표 시추조사 자료 선정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step (c-3)
Wherein at least seven expansion zone candidates are set and the interval between the extension zone candidates is the square root of the building area area.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반공학적 특성값은 층별 두께 또는 표준관입시험 N값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영역에 대한 대표 시추조사 자료 선정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geotechnical property value is a thickness of a layer or a value of N of a standard penetration tes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c-5) 단계는,
(c-5-1) 상기 대상 건축물 영역의 시추조사 자료 중 시추날짜를 시계열 정렬하여 시추날짜가 오래된 하위 10%에 해당하는 자료를 이상치로 정의하여 제거하는 단계; 및
(c-5-2) 상기 대상 건축물 영역의 시추조사 자료 중 수치표고모델을 기준으로 지표고 오차를 상호 비교하여 오차가 많은 상위 10%에 해당하는 자료를 이상치로 정의하여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영역에 대한 대표 시추조사 자료 선정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c-5)
(c-5-1) a step of sorting the drilling dates of the drilling survey data in the target building area by time series to define data corresponding to the lower 10% of the drilling dates as an outliers; And
(c-5-2) comparing the land elevation errors based on the numerical elevation model among the drilling survey data of the target building area, and removing the data corresponding to the upper 10%, which has a large error, as an abnormal value; And selecting a representative drilling survey data for a building area.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c-6) 단계는,
지반공학적 특성값을 층별 두께로 하며,
(c-6-1) 이상치가 제거된 시추조사 자료에서 기반암 상부의 지층들을 대상으로 각 두께에 따른 확률분포 함수를 도출하는 단계;
(c-6-2) 층별 두께의 확률분포 함수 상 95% 이상의 신뢰구간을 갖는 표본집단에 대한 평균값, 중앙값, 최빈값을 계산하는 단계;
(c-6-3) 계산된 평균값, 중앙값, 최빈값의 지표를 토대로 시추조사 자료별로 측정된 지층 두께와 상호 비교 오차를 계산하는 단계; 및
(c-6-4) 상호 비교 오차의 계산 결과, 두께 결정 지표에 따른 오차의 확률분포상 하위 10% 이내에 해당하는 지층으로 구성된 시추조사 자료를 대표 시추조사 표본자료로 선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영역에 대한 대표 시추조사 자료 선정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c-6)
The geotechnical properties are defined as the thickness of the layer,
(c-6-1) deriving a probability distribution function for each thickness of bedrock strata in the drilling survey data from which anomalies are removed;
(c-6-2) calculating a mean value, a median value, and a mode value for a sample group having a confidence interval of 95% or more on the probability distribution function of the thickness per layer;
(c-6-3) calculating stratum thickness and intercomparison error measured for each drilling data based on the calculated mean, median, and mode indices; And
(c-6-4) Selecting drill survey data consisting of strata within the lower 10% of the probability distribution of the error according to the thickness determination index as representative drill survey data; And selecting a representative drilling survey data for a building area.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c-6) 단계는,
지반공학적 특성값을 표준관입시험 N값으로 하며,
(c-6-5) 이상치가 제거된 시추조사 자료에서 표준관입시험 N값의 평균값을 층별 대표 N값으로 정의하는 단계;
(c-6-6) 층별 대표 N값의 확률분포 함수 상 95% 이상의 신뢰구간을 갖는 표본집단에 대한 평균값, 중앙값, 최빈값을 계산하는 단계;
(c-6-7) 계산된 평균값, 중앙값, 최빈값의 지표를 토대로 시추조사 자료별로 층별 대표 N값에 따른 상호 비교 오차를 계산하는 단계;
(c-6-8) 상호 비교 오차의 계산 결과, N값 결정 지표에 따른 오차의 확률분포상 하위 10% 이내에 해당하는 층별 대표 N값을 갖는 시추조사 자료를 대표 시추조사 표본자료로 선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영역에 대한 대표 시추조사 자료 선정 방법.
6.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5,
The step (c-6)
The value of the geotechnical properties is taken as the value of the standard penetration test N,
(c-6-5) Defining the mean value of the standard penetration test N value in the drilling survey data from which the anomalous value is removed as representative representative N value;
(c-6-6) calculating a mean value, a median value, and a mode value for a sample group having a confidence interval of 95% or more on a probability distribution function of representative N values per layer;
(c-6-7) calculating intercomparison errors according to representative N values for each drilling survey data on the basis of the calculated mean, median, and mode indices;
(c-6-8) selecting drill survey data as representative drill survey data having a representative N value within the lower 10% of the probability distribution of the error according to the N value determination index as a result of the calculation of the mutual comparison error; And selecting a representative drilling survey data for a building area.
KR1020180058842A 2018-05-24 2018-05-24 Method of selecting representative boring investigation data in buildings region KR10192630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8842A KR101926304B1 (en) 2018-05-24 2018-05-24 Method of selecting representative boring investigation data in buildings reg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8842A KR101926304B1 (en) 2018-05-24 2018-05-24 Method of selecting representative boring investigation data in buildings reg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6304B1 true KR101926304B1 (en) 2018-12-06

Family

ID=64671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8842A KR101926304B1 (en) 2018-05-24 2018-05-24 Method of selecting representative boring investigation data in buildings reg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6304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21357A (en) * 2019-05-20 2019-09-10 深圳市勘察研究院有限公司 A kind of long-span and shallowly buried limestone goaf integrated survey method
KR102397428B1 (en) * 2021-11-26 2022-05-1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toring boring logs informa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김한샘. Integrated Earthquake Hazard Assessment System with Geotechnical Spatial Grid.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년 8월. 300쪽
이보영, 황범식, 김한샘, 조완제. 이상치 분석을 통한 3차원 지반정보 정밀도 향상 방안.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제19권 제2호. 2018년 2월. 23-35쪽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21357A (en) * 2019-05-20 2019-09-10 深圳市勘察研究院有限公司 A kind of long-span and shallowly buried limestone goaf integrated survey method
CN110221357B (en) * 2019-05-20 2020-10-09 深圳市勘察研究院有限公司 Large-span shallow-buried limestone goaf comprehensive exploration method
KR102397428B1 (en) * 2021-11-26 2022-05-1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toring boring logs informa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7659B1 (en) Method of determining representative site condition in buildings region
Chousianitis et al. Assessment of earthquake‐induced landslide hazard in Greece: From Arias intensity to spatial distribution of slope resistance demand
Smethurst et al. Current and future role of instrumentation and monitoring in the performance of transport infrastructure slopes
KR101642951B1 (en) GIS-based real time earthquake prediction method
Carro et al. The application of predictive modeling techniques to landslides induced by earthquakes: the case study of the 26 September 1997 Umbria–Marche earthquake (Italy)
KR101618713B1 (en) 3-Dimensional Space Modeling Method based on the Geotechnical Information
Niocodemo et al. Investigating building settlements via very high resolution SAR sensors
CN109029343A (en) Method for determining unknown goaf range and old goaf residual settlement
Galloway et al. Analysis and simulation of regional subsidence accompanying groundwater abstraction and compaction of susceptible aquifer systems in the USA
Marques et al. Sea cliff instability susceptibility at regional scale: a statistically based assessment in the southern Algarve, Portugal
Dong et al. Real 3D geotechnical modeling in engineering geology: a case study from the inner city of Aachen, Germany
Khalid et al. Application of Kriging for development of SPT N value contour maps and USCS-based soil type qualitative contour maps for Islamabad, Pakistan
Dodagoudar An integrated geotechnical database and GIS for 3D subsurface modelling: Application to Chennai City, India
KR101926304B1 (en) Method of selecting representative boring investigation data in buildings region
KR101926303B1 (en) Method of selecting optimum installation position of earthquake accelerometer in buildings region
Sitharam et al. Comprehensive seismic zonation schemes for regions at different scales
Dong et al. A GIS-based quantitative geo-environmental evaluation for land-use development in an urban area: Shunyi New City, Beijing, China
Tao et al. Rock mass quality prediction of open-pit gold mine slope based on the kriging interpolation method
Di Meo et al. Real time damage scenario and seismic risk assessment of Italian roadway network
CN114608661B (en) Certainty index evaluation method for landslide rock mass structure in mountain area
Kim et al. Site-specific zonation of seismic site effects by optimization of the expert GIS-based geotechnical information system for Western Coastal Urban Areas in South Korea
Navarro-Hernández et al. ValInSAR: A systematic approach for the validation of Differential SAR Interferometry in land subsidence areas
Cho et al. Evaluation of engineering site conditions in North Gyeongsang Province, South Korea, using a large database of borehole and standard penetration test data
Mowen et al. Spatial three-dimensional landslide susceptibility mapping tool and its applications
Sugimoto et al. RESEARCH OF DAMAGED CONDITION BY THE 2016 KUMAMOTO EARTHQUAKE AND GROUND INVESTIGATION ON STONE WALLS AND ERATH STRUCTURES IN KUMAMOTO CAST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