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6149B1 - 체감형 모바일 게임 시스템 - Google Patents

체감형 모바일 게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6149B1
KR101926149B1 KR1020160147676A KR20160147676A KR101926149B1 KR 101926149 B1 KR101926149 B1 KR 101926149B1 KR 1020160147676 A KR1020160147676 A KR 1020160147676A KR 20160147676 A KR20160147676 A KR 20160147676A KR 101926149 B1 KR101926149 B1 KR 1019261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gle
game
game pad
change rate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7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0974A (ko
Inventor
정진하
황인준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476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6149B1/ko
Publication of KR20180050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09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6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61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 A63F13/212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using sensors worn by the player, e.g. for measuring heart beat or leg activit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30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 A63F13/32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using local area network [LAN] connections
    • A63F13/327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using local area network [LAN] connections using wireless networks, e.g. Wi-Fi® or picone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40Processing input control signals of video game devices, e.g. signals generated by the player or derived from the environment
    • A63F13/42Processing input control signals of video game devices, e.g. signals generated by the player or derived from the environment by mapping the input signals into game commands, e.g. mapping the displacement of a stylus on a touch screen to the steering angle of a virtual vehicle
    • A63F13/428Processing input control signals of video game devices, e.g. signals generated by the player or derived from the environment by mapping the input signals into game commands, e.g. mapping the displacement of a stylus on a touch screen to the steering angle of a virtual vehicle involving motion or position input signals, e.g. signals representing the rotation of an input controller or a player's arm motions sensed by accelerometers or gyr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1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input arrangements for converting player-generated signals into game device control signals
    • A63F2300/1012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input arrangements for converting player-generated signals into game device control signals involving biosensors worn by the player, e.g. for measuring heart beat, limb activit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1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input arrangements for converting player-generated signals into game device control signals
    • A63F2300/1025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input arrangements for converting player-generated signals into game device control signals details of the interface with the game device, e.g. USB version detection
    • A63F2300/1031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input arrangements for converting player-generated signals into game device control signals details of the interface with the game device, e.g. USB version detection using a wireless connection, e.g. Bluetooth, infrared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Card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감형 모바일 게임 시스템은 사용자의 신체 움직임과 연동하여 게임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체감형 모바일 게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 장착되어, 상기 신체 부위의 각도 또는 신체변화율을 감지하는 게임 패드, 및 상기 게임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캐릭터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각도 또는 신체변화율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되는 캐릭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모바일 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게임 패드는 상기 신체 부위의 둘레방향을 따라 감싸는 형태로 장착되는 패드부, 상기 신체 부위의 각도 또는 신체변화율을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신체 부위의 각도 또는 신체변화율의 데이터를 상기 모바일 기기에 전송하는 무선 통신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체감형 모바일 게임 시스템{MOTION-BASED GAME SYSTEM ON MOBILE}
본 발명은 체감형 모바일 게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몸동작을 사용하여 게임의 흥미를 배가시키는 체감형 게임과 시공간의 제약 없이 간편하게 즐길 수 있는 모바일 게임을 접목시킨 게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체감형 게임이란 게임을 조작하는데 있어, 직접 몸을 움직여 유사한 동작을 취해야 하는 게임으로서, 게임의 장르라기 보다는 특정한 조작방법을 필요로 하는 게임을 일컫는 용어에 가깝다.
이러한 체감형 게임은 실제와 유사하게 몸을 움직이고 운동량이 많다는 특성 때문에 '재미'라는 본연의 목적뿐만 아니라, 학습이나 건강, 재활 훈련 같은 다양한 방면에서 활용되고 있다.
체감형 게임의 대표적인 예로, 닌텐도(Nintendo)가 개발한 동작 인식 기반의 Wii가 있다.
Wii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자이로 센서와 가속도 센서로 측정하여 모니터를 통해 움직임을 구현하는데, Wii용 게임들 중에는 '체력단련' 같은 기존의 게임들이 손쉽게 시도하지 못했던 색다른 소재의 게임들이 많아서 전 세계적으로 큰 관심을 받는데 성공할 수 있었다.
그러나, Wii의 경우 Wii 리모컨을 기본 입력기기로 사용해야 하고, 이외의 체감형 게임의 경우에도 별도의 부가 장치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공간의 제약이 뒤따른다.
따라서, 게임 장치에 구애 받지 않고 언제 어디서나 현실감 있는 게임을 즐길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63788호(발명의 명칭: 팔 전체에 피드백이 가능한 게임 컨트롤러, 공고일자: 2014년 11월 25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의 신체 움직임에 따른 각도 또는 신체변화율에 대응하여, 모바일 기기 내 게임 어플리케이션에 디스플레이 되는 캐릭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체감형 모바일 게임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감형 모바일 게임 시스템은 사용자의 신체 움직임과 연동하여 게임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체감형 모바일 게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 장착되어, 상기 신체 부위의 각도 또는 신체변화율을 감지하는 게임 패드, 및 상기 게임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캐릭터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각도 또는 신체변화율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되는 캐릭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모바일 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게임 패드는 상기 신체 부위의 둘레방향을 따라 감싸는 형태로 장착되는 패드부, 상기 신체 부위의 각도 또는 신체변화율을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신체 부위의 각도 또는 신체변화율의 데이터를 상기 모바일 기기에 전송하는 무선 통신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패드부는 상하방향의 중심에 홀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패드부는 상단의 중심 또는 하단의 중심에 홈을 구비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홈과 근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홀 및 상기 홈은 상기 신체 부위의 관절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게임 패드는 상기 사용자의 한쪽 신체 부위에 장착되어, 상기 한쪽 신체 부위의 각도 또는 신체변화율을 감지하는 제1 게임 패드, 및 상기 사용자의 다른 한쪽 신체 부위에 장착되어, 상기 다른 한쪽 신체 부위의 각도 또는 신체변화율을 감지하는 제2 게임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각도는 상기 신체 부위의 상하 움직임에 대한 피치각 또는 상기 신체 부위의 좌우 움직임에 대한 롤각을 포함하고, 상기 신체변화율은 상기 신체 부위의 수축률 또는 상기 신체 부위의 팽창률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신체 부위는 상기 사용자의 팔, 목,손목, 및 어깨 중 하나의 관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신체 부위는 상기 사용자의 다리의 관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모바일 기기는 상기 제1 게임 패드의 센서부에서 감지된 피치각의 크기 또는 상기 제2 게임 패드의 센서부에서 감지된 피치각의 크기 중 하나가 소정의 임계치보다 큰 경우, 상기 캐릭터가 걷기 동작 또는 달리기 동작을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모바일 기기는 상기 제1 게임 패드의 센서부에서 감지된 피치각의 크기 및 상기 제2 게임 패드의 센서부에서 감지된 피치각의 크기가 모두 소정의 임계치보다 큰 경우, 상기 캐릭터가 점프 동작을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모바일 기기는 상기 제1 게임 패드의 센서부에서 감지된 롤각의 크기 또는 상기 제2 게임 패드의 센서부에서 감지된 롤각의 크기 중 하나가 소정의 임계치보다 큰 경우, 상기 캐릭터가 몸을 좌우로 기울이는 동작을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모바일 기기는 한쪽 다리의 신체변화율에 대응하여 상기 제1 게임 패드가 변형하는 변형률인 상기 제1 게임 패드의 변형률 또는 다른 한쪽 다리의 신체변화율에 대응하여 상기 제2 게임 패드가 변형하는 변형률인 상기 제2 게임 패드의 변형률 중 하나가 소정의 임계치보다 큰 경우, 상기 캐릭터가 걷기 동작 또는 달리기 동작을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모바일 기기는 한쪽 다리의 신체변화율에 대응하여 상기 제1 게임 패드가 변형하는 변형률인 상기 제1 게임 패드의 변형률 및 다른 한쪽 다리의 신체변화율에 대응하여 상기 제2 게임 패드가 변형하는 변형률인 상기 제2 게임 패드의 변형률이 모두 소정의 임계치보다 큰 경우, 상기 캐릭터가 점프 동작을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게임 패드의 무선 통신부는 상기 제2 게임 패드의 무선 통신부로부터 상기 다른 한쪽 신체 부위의 각도 또는 신체변화율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한쪽 신체 부위의 각도 또는 신체변화율의 데이터 및 상기 다른 한쪽 신체 부위의 각도 또는 신체변화율의 데이터를 상기 모바일 기기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모바일 기기는 상기 제1 게임 패드의 무선 통신부로부터 상기 한쪽 신체 부위의 각도 또는 신체변화율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제2 게임 패드의 무선 통신부로부터 상기 다른 한쪽 신체 부위의 각도 또는 신체변화율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무선 통신부는 블루투스, wi-fi, NFC, 및 RF 중 하나의 방식으로 무선 통신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신체 움직임에 따른 각도 또는 신체변화율에 대응하여, 모바일 기기 내 게임 어플리케이션에 디스플레이 되는 캐릭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된 게임 패드 간 또는 게임 패드와 모바일 기기 간에 블루투스 통신으로 연결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 움직임에 실시간으로 대응하여 게임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게임 패드에 구비된 홀 또는 홈에 신체 부위의 관절을 노출시킴으로써, 사용자가 불편함 없이 매우 편안하게 동작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감형 모바일 게임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감형 모바일 게임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패드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d 및 도 2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패드부에 구비된 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f 내지 도 2i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패드부에 구비된 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감형 모바일 게임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의 다리 움직임에 따른 다리의 피치각에 기초하여 게임 캐릭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의 다리 움직임에 따른 다리의 롤각에 기초하여 게임 캐릭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의 다리 움직임에 따른 다리의 근육수축률에 기초하여 게임 캐릭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감형 모바일 게임 시스템(1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감형 모바일 게임 시스템(100)은 게임 패드(120)와 모바일 기기(110)를 포함한다.
상기 게임 패드(120)는 사용자의 신체 중 한 쌍으로 이루어진 신체 부위에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게임 패드(120)는 팔, 목, 손목, 어깨 또는 다리 등에 장착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팔, 목, 손목, 어깨 또는 다리의 관절에 장착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신체 부위 중 다리에 한정하여 서술하고자 한다.
상기 게임 패드(120)는 양 다리에 장착되고, 구체적으로, 무릎과 허벅지를 연결하는 관절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게임 패드(120)는 사용자의 다리에 장착되어, 다리의 각도 또는 신체변화율을 감지한다. 또한, 상기 게임 패드(120)는 감지된 각도 또는 신체변화율의 데이터를 모바일 기기(11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게임 패드(120)는 패드부(121), 센서부(123), 및 무선 통신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드부(121)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의 둘레방향을 따라 감싸는 형태로 장착되는데, 다리의 움직임을 고려하여 신축성을 가지는 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패드부(121)가 다리의 둘레를 감싸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무릎 부분에 부착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패드부(121)는 도 2b 및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릎의 일부가 노출되게 다리의 둘레방향을 따라 감싸는 형태로 장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패드부(121)는 도 2b에서와 같이, 무릎의 하측 둘레방향을 따라 감싸는 형태로 장착되거나, 도 2c에서와 같이, 무릎의 상측 둘레방향을 따라 감싸는 형태로 장착될 수 있다. 참고로,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패드부(121)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2d 내지 도 2i를 참조하여, 패드부(121)의 실시예들에 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참고로, 도 2d 및 2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패드부(121)에 구비된 홀(122a)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f 내지 도 2i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패드부(121)에 구비된 홈(122b)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d 및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드부(121)는 상하방향의 중심에 홀(122a)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홀(122a)은 여러 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122a)의 형태는 도 2d에서와 같이 원형이거나, 도 2e에서와 같이 마름모형일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타원형, 다각형, 나선형 등의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홀(122a)은 사용자의 무릎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되, 무릎의 너비와 대응되는 너비를 가지고 형성됨으로써, 상기 패드부(121)가 사용자의 무릎을 포함한 다리에 용이하게 장착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f 내지 도 2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드부(121)는 상단의 중심에 홈(122b)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홈(122b)은 패드부(121)의 상단의 중심으로부터 패드부(121)의 내측 방향을 향해 여러 가지 형태로 요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릎의 상측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반면에, 도 2h 및 도 2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드부(121)는 하단의 중심에 홈(122b)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홈(122b)은 패드부(121)의 하단의 중심으로부터 패드부(121)의 내측 방향을 향해 여러 가지 형태로 요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릎의 하측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홈(122b)의 형태는 도 2f 및 도 2h에서와 같이 반원형이거나, 도 2g 및 도 2i에서와 같이 V형 또는 역V형일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각형의 절반 형상으로 된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홈(122b)은 사용자의 무릎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패드부(121)가 사용자의 무릎을 포함한 다리에 용이하게 장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홀(122a) 또는 상기 홈(122b)을 통해 사용자의 무릎 일부가 개방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다리를 보다 편안하게 움직이며 게임에 참여할 수 있다. 참고로, 게임 패드(120)가 다리가 아닌 팔과 같은 다른 신체 부위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홀(122a) 또는 홈(122b)은 신체 부위의 관절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도 1a를 참조하면, 상기 센서부(123)는 다리의 각도를 감지할 수 있는데, 여기서의 각도는 다리의 상하 움직임에 대한 피치각 또는 다리의 좌우 움직임에 대한 롤각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피치각은 사용자가 다리를 들어 올리거나 내리는 움직임에 따른 무릎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각도이고, 상기 롤각은 사용자가 다리를 좌 또는 우로 꺾는 움직임에 따른 무릎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각도이다.
상기 센서부(123)는 다리의 신체변화율을 감지할 수 있는데, 여기서의 신체변화율은 다리의 수축률 또는 다리의 팽창률을 포함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다리의 근육수축률 또는 다리의 근육팽창률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근육수축률은 사용자가 다리를 들어 올리는 움직임에 따라 허벅지의 근육이 수축되는 정도를 파악하기 위한 비율이고, 상기 근육팽창률은 사용자가 다리를 다시 내리는 움직임에 따라 허벅지의 근육이 팽창되는 정도를 파악하기 위한 비율이다.
여기서, 상기 센서부(123)는 근육수축률 및 근육팽창률을 보다 용이하게 감지하기 위해, 사용자의 허벅지의 근육이 수축되거나 팽창됨에 따라 패드부(121)가 압축되거나 늘어나는 변형률을 감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센서부(123)는 다리의 신체변화율 중 하나인 근육수축율에 따라 패드가 압축하는 변형률인 패드의 압축률 또는 다리의 신체변화율 중 다른 하나인 근육팽창률에 따라 패드가 늘어나는 변형률인 패드의 팽창률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123)는 패드부(121)가 홀(122a)을 구비하는 경우, 홀(122a)의 상측 또는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즉, 게임 시, 사용자가 다리를 들어 올리거나 내리는 움직임에 따른 무릎의 위치 또는 신체변화율, 및 사용자가 다리를 좌우로 꺾는 움직임에 따른 무릎의 위치를 감지하도록 홀(122a)의 좌우측이 아닌 상측 또는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센서부(123)는 패드부(121)가 홈(122b)을 구비하는 경우, 홈(122b)과 근접한 위치면서, 홈(122b)이 향하는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예컨대, 패드부(121)가 상단의 중심에 홈(122b)을 구비하는 경우, 센서부(123)는 홈(122b)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고, 패드부(121)가 하단의 중심에 홈(122b)을 구비하는 경우, 센서부(123)는 홈(122b)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123)는 자이로 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다리의 각도를 감지할 수 있고, 스트레인 게이지 센서를 이용하여 다리의 신체변화율을 감지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센서부(123)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신체의 각도 또는 생체변화율을 감지할 수 있는 여러 종류의 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부(125)는 다리의 각도 또는 신체변화율의 데이터를 모바일 기기(110)에 전송한다.
이를 위해, 상기 게임 패드(120)와 상기 모바일 기기(110)는 각각 무선 통신 기능을 담당하는 무선 통신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게임 패드(120)의 무선 통신부(125)는 다리의 각도 또는 신체변화율의 데이터를 모바일 기기(110)에 전송할 수 있고, 상기 모바일 기기(110)의 무선 통신부(125)는 게임 패드(120)로부터 다리의 각도 또는 신체변화율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25)는 블루투스, wi-fi, NFC, 및 RF 중 하나 또는 이외의 다양한 방식으로 무선 통신함으로써, 모바일 기기(110)에서 사용자의 신체 움직임에 실시간으로 빠르게 대응하여 게임 어플리케이션을 수행시킬 수 있다.
상기 게임 패드(120)는 제어부(127) 및 배터리부(12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7)는 게임 패드(120) 내 센서부(123)의 감지 기능 및 무선 통신부(125)의 통신 기능과 관련하여 일반적인 제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센서부(123)에서 감지된 다리의 각도 또는 신체변화율을 데이터 처리하여, 각도 또는 신체변화율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부(129)는 센서부(123) 및 무선 통신부(125)가 동작하도록 게임 패드 내 전력 공급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게임 패드(1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양 다리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두 개의 게임 패드(12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게임 패드(120)는 사용자의 한쪽 다리에 장착되어, 한쪽 다리의 각도 또는 신체변화율을 감지하는 제1 게임 패드(120a)와 사용자의 다른 한쪽 다리에 장착되어, 다른 한쪽 다리의 각도 또는 신체변화율을 감지하는 제2 게임 패드(120b)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게임 패드(120a)는 왼쪽 다리에 장착되고, 제2 게임 패드(120b)는 오른쪽 다리에 장착될 수 있으며, 이와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상기 제1 게임 패드(120a) 및 상기 제2 게임 패드(120b)는 각각 패드부(121), 센서부(123), 및 무선 통신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게임 패드(120a) 및 상기 제2 게임 패드(120b)의 각 패드부(121) 및 센서부(123)는 전술한 패드부(121) 및 센서부(123)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 게임 패드(120a)의 패드부(121)는 사용자의 한쪽 다리의 둘레방향을 따라 감싸는 형태로 장착되고, 제2 게임 패드(120b)의 패드부(121)는 사용자의 다른 한쪽 다리의 둘레방향을 따라 감싸는 형태로 장착되며, 각 패드부(121)는 상하방향의 중심에 홀(122a)을 구비하거나, 상단의 중심 또는 하단의 중심에 홈(122b)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게임 패드(120a)의 센서부(123)는 사용자의 한쪽 다리의 각도 또는 신체변화율을 감지하고, 제2 게임 패드(120b)의 패드부(121)는 사용자의 다른 한쪽 다리의 각도 또는 신체변화율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제1 게임 패드(120a)의 무선 통신부(125)는 제2 게임 패드(120b)의 무선 통신부(125)로부터 다른 한쪽 다리의 각도 또는 신체변화율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즉, 제1 게임 패드(120a)의 무선 통신부(125)는 제2 게임 패드(120b)의 센서부(123)에서 감지된 다른 한쪽 다리의 각도 또는 신체변화율의 데이터를 제2 게임 패드(120b)의 무선 통신부(125)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제2 게임 패드(120b)의 무선 통신부(125)는 제2 게임 패드(120b)의 제어부(127)에서 데이터 처리된 다리의 각도 또는 근육 변화율의 데이터를 제1 게임 패드(120a)의 무선 통신부(125)에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게임 패드(120b)의 제어부(127)는 제2 게임 패드(120b)의 센서부(123)에서 감지된 다리의 각도를 unsigned integer 형식의 8비트를 사용하여 0~180도의 각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고, 제2 게임 패드(120b)의 무선 통신부(125)는 생성된 각도 데이터를 제1 게임 패드(120a)의 무선 통신부(125)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1 게임 패드(120a)의 무선 통신부(125)는 한쪽 다리의 각도 또는 신체변화율의 데이터 및 다른 한쪽 다리의 각도 또는 신체변화율의 데이터를 모바일 기기(110)에 전송할 수 있다. 즉, 제1 게임 패드(120a)의 무선 통신부(125)는 제1 게임 패드(120a)의 센서부(123)에서 감지된 한쪽 다리의 각도 또는 신체변화율의 데이터를 제2 게임 패드(120b)로부터 수신한 다른 한쪽 다리의 각도 또는 신체변화율의 데이터와 함께 모바일 기기(11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1 게임 패드(120a)의 무선 통신부(125)는 한쪽 다리의 각도 또는 신체변화율의 데이터 및 다른 한쪽 다리의 각도 또는 신체변화율의 데이터를 콜론(:)으로 구분하여 문자열 형식으로 모바일 기기(110)에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바일 기기(110)는 제1 게임 패드(120a)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내 문자열을 쪼개고 각각 정수형 변수에 저장하여 게임 어플리케이션을 수행시킬 수 있다.
참고로, 제1 게임 패드(120a)의 무선 통신부(125)는 단일 형성되어 제2 게임 패드(120b)의 무선 통신부(125) 및 모바일 기기(110)의 무선 통신부(125)와 무선 통신하는 대상이 동일할 수 있지만, 복수로 형성되어 제2 게임 패드(120b)의 무선 통신부(125) 및 모바일 기기(110)의 무선 통신부(125)와 무선 통신하는 대상이 각각 다를 수도 있다.
한편, 도 1b를 참조하면, 제1 게임 패드(120a)의 무선 통신부(125) 및 제2 게임 패드(120b)의 무선 통신부(125)는 모바일 기기(110)와 독립적으로 무선 통신할 수 있다. 즉, 모바일 기기(110)의 무선 통신부(125)는 제1 게임 패드(120a)의 무선 통신부(125)로부터 한쪽 다리의 각도 또는 신체변화율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제2 게임 패드(120b)의 무선 통신부(125)로부터 다른 한쪽 다리의 각도 또는 신체변화율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바일 기기(110)에서 제1 게임 패드(120a) 및 제2 게임 패드(120b)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동시에 수신함으로써, 신체 움직임에 보다 빠르게 대응하여 게임 어플리케이션 내 게임을 수행할 수 있다. 참고로, 도 1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감형 모바일 게임 시스템(1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상기 모바일 기기(110)는 게임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캐릭터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각도 또는 신체변화율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되는 캐릭터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때, 상기 모바일 기기(110)에서 실행되는 게임 어플리케이션은 캐릭터가 장애물을 피하여 목표 지점에 도착하는 게임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다리의 각도 또는 신체변화율에 대응하여 게임 내에서 캐릭터가 걷고 뛰거나 점프하는 동작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모바일 기기(110)는 게임 패드(120)로부터 수신한 다리의 각도의 데이터 내 각도 크기 또는 신체변화율의 데이터 내 신체변화율에 대응하여 게임 패드(120)가 변형하는 변형률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되는 캐릭터가 걷기 동작, 달리기 동작, 점프 동작을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의 다리의 각도 또는 신체변화율에 따른 캐릭터의 동작 제어에 관해서는, 이하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감형 모바일 게임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a, 도 1b, 및 3을 참조하면, 단계(S310)에서 체감형 모바일 게임 시스템(100)은 블루투스 연결을 수행한다. 즉, 제1 게임 패드(120a)의 무선 통신부(125)와 제2 게임 패드(120b)의 무선 통신부(125), 또는 제1 게임 패드(120a)의 무선 통신부(125)와 모바일 기기(110)의 무선 통신부(125)가 서로 블루투스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S320)에서 체감형 모바일 게임 시스템(100)은 게임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다음으로, 단계(S330)에서 체감형 모바일 게임 시스템(100)은 사용자의 다리의 각도 또는 신체변화율을 감지한다.
이때, 게임 패드에 포함된 제1 게임 패드(120a)가 사용자의 한쪽 다리의 각도 또는 신체변화율을 감지하고, 제2 게임 패드(120b)가 사용자의 다른 한쪽 다리의 각도 또는 신체변화율을 감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S340)에서 체감형 모바일 게임 시스템(100)은 제1 게임 패드(120a) 및 제2 게임 패드(120b)에서 감지된 각도 또는 신체변화율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되는 게임 캐릭터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를 위해, 제1 게임 패드(120a)는 제2 게임 패드(120b)로부터 다른 한쪽 다리의 각도 또는 신체변화율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한쪽 다리의 각도 또는 신체변화율의 데이터와 함께 모바일 기기(110)에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바일 기기(110)는 제1 게임 패드(120a)로부터 양 다리의 각도 또는 신체변화율의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제1 게임 패드(120a) 및 제2 게임 패드(120b) 각각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각 데이터에 기초하여 게임 캐릭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S350)에서 체감형 모바일 게임 시스템(100)은 게임 캐릭터의 동작에 따라 게임 내 목표 달성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 결과, 게임 내 목표를 달성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S350의 "예" 방향), 게임을 종료하고, 게임 내 목표를 달성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S350의 "아니오" 방향), 단계(S330)를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도 3의 단계(S330) 및 단계(S340)에 관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의 다리 움직임에 따른 다리의 피치각에 기초하여 게임 캐릭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의 다리 움직임에 따른 다리의 롤각에 기초하여 게임 캐릭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의 다리 움직임에 따른 다리의 근육수축률에 기초하여 게임 캐릭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일 실시예로, 도 1a, 도 1b, 및 도 4를 참조하면, 단계(S320)이후, 단계(S410)에서 체감형 모바일 게임 시스템(100)은 한쪽 다리 및 다른 한쪽 다리의 피치각을 감지할 수 있다.
즉, 제1 게임 패드(120a)의 센서부(123)는 사용자가 한쪽 다리를 들어 올리거나 내리는 움직임에 따른 무릎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피치각을 감지하고, 제2 게임 패드(120b)의 센서부(123)는 사용자가 다른 한쪽 다리를 들어 올리거나 내리는 움직임에 따른 무릎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피치각을 감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S420)에서 체감형 모바일 게임 시스템(100)은 한쪽 다리의 피치각의 크기를 미리 설정된 소정의 임계치와 비교할 수 있다. 이때, 모바일 기기(110)에 미리 설정된 소정의 임계치가 저장됨에 따라, 모바일 기기(110)에서 상기 피치각과의 비교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바일 기기(110)에서 실행되는 게임 어플리케이션 내에서 상기 비교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단계(S420)의 비교 결과, 한쪽 다리의 피치각의 크기가 소정의 임계치 이상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S420의 "예" 방향), 단계(S430)에서 체감형 모바일 게임 시스템(100)은 다른 한쪽 다리의 피치각의 크기를 미리 설정된 소정의 임계치와 비교할 수 있다.
단계(S430)의 비교 결과, 다른 한쪽 다리의 피치각의 크기 또한 소정의 임계치 이상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S430의 "예" 방향), 단계(S440)에서 체감형 모바일 게임 시스템(100)은 디스플레이 되는 캐릭터가 점프 동작을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모바일 기기(110)는 사용자의 양 다리의 피치각의 크기가 모두 소정의 임계치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캐릭터가 점프 동작을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단계(S420)의 비교 결과, 한쪽 다리의 피치각의 크기가 소정의 임계치 미만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S420의 "아니오" 방향), 단계(S450)에서 체감형 모바일 게임 시스템(100)은 다른 한쪽 다리의 피치각의 크기를 미리 설정된 소정의 임계치와 비교할 수 있다.
단계(S450)의 비교 결과, 다른 한쪽 다리의 피치각의 크기 또한 소정의 임계치 미만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S450의 "아니오" 방향), 단계(S410)를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모바일 기기(110)는 사용자의 양 다리의 피치각의 크기가 모두 소정의 임계치 미만인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의 양 다리의 피치각을 다시 감지할 수 있다.
한편, 단계(S430) 및 단계(S450)의 비교 결과, 한쪽 다리의 피치각의 크기 또는 다른 한쪽 다리의 피치각의 크기 중 하나가 소정의 임계치 이상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S430의 "아니오" 방향 및 S450의 "예" 방향), 단계(S460)에서 체감형 모바일 게임 시스템(100)은 캐릭터가 걷기 동작 또는 달리기 동작을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모바일 기기(110)는 사용자의 양 다리 중 하나의 피치각의 크기가 소정의 임계치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캐릭터가 걷기 동작 또는 달리기 동작을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단계(S440) 및 단계(S460) 이후에는, 단계(S350)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도 1a, 도 1b, 및 도 5를 참조하면, 단계(S320)이후, 단계(S510)에서 체감형 모바일 게임 시스템(100)은 한쪽 다리 및 다른 한쪽 다리의 롤각을 감지할 수 있다.
즉, 제1 게임 패드(120a)의 센서부(123)는 사용자가 한쪽 다리를 좌우로 꺾는 움직임에 따른 무릎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롤각을 감지하고, 제2 게임 패드(120b)의 센서부(123)는 사용자가 다른 한쪽 다리를 좌우로 꺾는 움직임에 따른 무릎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롤각을 감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S520)에서 체감형 모바일 게임 시스템(100)은 한쪽 다리의 롤각 크기를 미리 설정된 소정의 임계치와 비교할 수 있다. 이때, 모바일 기기(110)에 미리 설정된 소정의 임계치가 저장됨에 따라, 모바일 기기(110)에서 상기 롤각과의 비교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바일 기기(110)에서 실행되는 게임 어플리케이션 내에서 상기 비교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단계(S520)의 비교 결과, 한쪽 다리의 롤각의 크기가 소정의 임계치 이상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S520의 "예" 방향), 단계(S530)에서 체감형 모바일 게임 시스템(100)은 다른 한쪽 다리의 롤각의 크기를 미리 설정된 소정의 임계치와 비교할 수 있다.
단계(S530)의 비교 결과, 다른 한쪽 다리의 롤각의 크기 또한 소정의 임계치 이상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S530의 "예" 방향), 단계(S540)에서 체감형 모바일 게임 시스템(100)은 한쪽 다리의 롤각의 크기와 다른 한쪽 다리의 롤각의 크기를 비교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S550)에서 체감형 모바일 게임 시스템(100)은 단계(S540)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캐릭터가 몸을 좌우로 기울이는 동작을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바일 기기(110)는 양 다리의 롤각의 크기를 비교하여 더 큰 롤각의 크기를 가지는 다리가 향하는 방향으로, 캐릭터가 몸을 기울이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한쪽 다리를 제1 롤각의 크기를 가지며 좌측으로 꺾고, 다른 한쪽 다리를 제1 롤각의 크기보다 큰 제2 롤각의 크기를 가지며 우측으로 꺾는 경우, 모바일 기기(110)는 캐릭터가 몸을 우측으로 기울이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단계(S520)의 비교 결과, 한쪽 다리의 롤각의 크기가 소정의 임계치 미만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S520의 "아니오" 방향), 단계(S560)에서 체감형 모바일 게임 시스템(100)은 다른 한쪽 다리의 롤각의 크기를 미리 설정된 소정의 임계치와 비교할 수 있다.
단계(S560)의 비교 결과, 다른 한쪽 다리의 롤각의 크기 또한 소정의 임계치 미만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S560의 "아니오" 방향), 단계(S510)를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모바일 기기(110)는 사용자의 양 다리의 롤각의 크기가 모두 소정의 임계치 미만인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의 양 다리의 롤각을 다시 감지할 수 있다.
한편, 단계(S530) 및 단계(S560)의 비교 결과, 한쪽 다리의 롤각의 크기 또는 다른 한쪽 다리의 롤각의 크기 중 하나가 소정의 임계치 이상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S530의 "아니오" 방향 및 S560의 "예" 방향), 단계(S570)에서 체감형 모바일 게임 시스템(100)은 소정의 임계치 이상의 롤각의 크기를 가지는 다리방향에 기초하여, 캐릭터가 몸을 좌우로 기울이는 동작을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한쪽 다리를 소정의 임계치 이상의 롤각인 제1 롤각의 크기를 가지며 좌측으로 꺾고, 다른 한쪽 다리를 소정의 임계치 미만의 롤각인 제2 롤각의 크기를 가지며 우측으로 꺾는 경우, 모바일 기기(110)는 캐릭터가 몸을 좌측으로 기울이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단계(S550) 및 단계(S570) 이후에는, 단계(S350)을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도 1a, 도 1b, 및 도 6을 참조하면, 단계(S320)이후, 단계(S610)에서 체감형 모바일 게임 시스템(100)은 한쪽 다리 및 다른 한쪽 다리의 신체변화율을 감지할 수 있다. 참고로, 신체변화율은 근육수축률 또는 근육팽창률을 포함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근육수축률을 감지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이때, 제1 게임 패드(120a)의 센서부(123)는 사용자가 한쪽 다리를 들어 올리는 움직임에 따라 허벅지의 근육이 수축되는 정도를 파악하기 위한 근육수축률을 감지하고, 제2 게임 패드(120b)의 센서부(123)는 사용자가 다른 한쪽 다리를 들어 올리는 움직임에 따라 허벅지의 근육이 수축되는 정도를 파악하기 위한 근육수축률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각 게임 패드(120)의 센서부(123)는 근육수축률을 보다 용이하게 감지하기 위해, 각 허벅지의 근육수축률에 대응하여 패드부(121)의 변형률을 감지할 수 있다. 각 패드부(121)의 변형률은 각 허벅지의 근육이 수축됨에 따라 패드부(121)가 변형하는 변형률로서, 패드부(121)가 압축되는 압축률이라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S620)에서 체감형 모바일 게임 시스템(100)은 한쪽 다리의 근육수축률에 대응하여 제1 게임 패드(120a)가 압축되는 제1 게임 패드(120a)의 압축률을 미리 설정된 소정의 임계치와 비교할 수 있다. 이때, 모바일 기기(110)에 미리 설정된 소정의 임계치가 저장됨에 따라, 모바일 기기(110)에서 저장된 임계치와 압축률과의 비교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바일 기기(110)에서 실행되는 게임 어플리케이션 내에서 상기 비교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단계 (S620)의 비교 결과, 제1 게임 패드(120a)의 압축률이 소정의 임계치 이상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S620의 "예" 방향), 단계(S630)에서 체감형 모바일 게임 시스템(100)은 다른 한쪽 다리의 근육수축률에 대응하여 제2 게임 패드(120b)가 압축되는 제2 게임 패드(120b)의 압축률을 미리 설정된 소정의 임계치와 비교할 수 있다.
단계(S630)의 비교 결과, 제2 게임 패드(120b)의 압축률 또한 소정의 임계치 이상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S630의 "예" 방향), 단계(S640)에서 체감형 모바일 게임 시스템(100)은 디스플레이 되는 캐릭터가 점프 동작을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모바일 기기(110)는 각 게임 패드(120)의 압축률이 모두 소정의 임계치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캐릭터가 점프 동작을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단계(S620)의 비교 결과, 제1 게임 패드(120a)의 압축률이 소정의 임계치 미만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S620의 "아니오" 방향), 단계(S650)에서 체감형 모바일 게임 시스템(100)은 제2 게임 패드(120b)의 압축률을 미리 설정된 소정의 임계치와 비교할 수 있다.
단계(S650)의 비교 결과, 제2 게임 패드(120b)의 압축률 또한 소정의 임계치 미만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S650의 "아니오" 방향), 단계(S610)를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모바일 기기(110)는 각 게임 패드(120)의 압축률이 모두 소정의 임계치 미만인 것으로 판단되면, 각 게임 패드(120)의 압축률을 다시 감지할 수 있다.
한편, 단계(S630) 및 단계(S650)의 비교 결과, 제1 게임 패드(120a)의 압축률 또는 제2 게임 패드(120b)의 압축률 중 하나가 소정의 임계치 이상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S630의 "아니오" 방향 및 S650의 "예" 방향), 단계(S660)에서 체감형 모바일 게임 시스템(100)은 캐릭터가 걷기 동작 또는 달리기 동작을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모바일 기기(110)는 각 게임 패드(120)의 압축률 중 하나가 소정의 임계치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캐릭터가 걷기 동작 또는 달리기 동작을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단계(S640) 및 단계(S660) 이후에는, 단계(S350)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허벅지의 근육이 수축되는 근육수축률을 감지하는 경우에 대응하여 캐릭터의 동작을 제어하고 있지만, 허벅지의 근육이 팽창되는 근육팽창률을 감지하는 경우에 대응하여 캐릭터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10 : 모바일 기기
120 : 게임 패드
120a : 제1 게임 패드
120b : 제2 게임 패드
121 : 패드부
122a : 홀
122b : 홈
123 : 센서부
125 : 무선 통신부

Claims (16)

  1. 사용자의 신체 움직임과 연동하여 게임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체감형 모바일 게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신체 중 한 쌍으로 이루어진 신체 부위에 장착되어, 상기 신체 부위의 각도 또는 신체변화율을 감지하는 게임 패드; 및
    상기 게임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캐릭터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각도 또는 신체변화율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되는 캐릭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모바일 기기
    를 포함하고,
    상기 게임 패드는
    상기 신체 부위의 둘레방향을 따라 감싸는 형태로 장착되는 패드부;
    상기 신체 부위의 각도 또는 신체변화율을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신체 부위의 각도 또는 신체변화율의 데이터를 상기 모바일 기기에 전송하는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패드부는 상단의 중심 또는 하단의 중심에 홈을 구비하고,
    상기 홈은 상기 신체 부위의 관절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홈과 근접한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게임 패드는
    상기 사용자의 한쪽 신체 부위에 장착되어, 상기 한쪽 신체 부위의 각도 또는 신체변화율을 감지하는 제1 게임 패드; 및
    상기 사용자의 다른 한쪽 신체 부위에 장착되어, 상기 다른 한쪽 신체 부위의 각도 또는 신체변화율을 감지하는 제2 게임 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각도는 상기 신체 부위의 상하 움직임에 대한 피치각 또는 상기 신체 부위의 좌우 움직임에 대한 롤각을 포함하고,
    상기 신체변화율은 상기 신체 부위의 수축률 또는 상기 신체 부위의 팽창률을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 기기는
    상기 제1 게임 패드의 센서부에서 감지된 피치각의 크기 또는 상기 제2 게임 패드의 센서부에서 감지된 피치각의 크기 중 하나가 소정의 임계치보다 크거나, 한쪽 다리의 신체변화율에 대응하여 상기 제1 게임 패드가 변형하는 변형률인 상기 제1 게임 패드의 변형률 또는 다른 한쪽 다리의 신체변화율에 대응하여 상기 제2 게임 패드가 변형하는 변형률인 상기 제2 게임 패드의 변형률 중 하나가 소정의 임계치보다 큰 경우, 상기 캐릭터가 걷기 동작 또는 달리기 동작을 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게임 패드의 센서부에서 감지된 피치각의 크기 및 상기 제2 게임 패드의 센서부에서 감지된 피치각의 크기가 모두 소정의 임계치보다 크거나, 상기 제1 게임 패드의 변형률 및 상기 제2 게임 패드의 변형률이 모두 소정의 임계치보다 큰 경우, 상기 캐릭터가 점프 동작을 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게임 패드의 센서부에서 감지된 롤각의 크기 또는 상기 제2 게임 패드의 센서부에서 감지된 롤각의 크기 중 하나가 소정의 임계치보다 큰 경우, 상기 캐릭터가 몸을 좌우로 기울이는 동작을 하도록 제어하는 체감형 모바일 게임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 부위는
    상기 사용자의 팔, 목, 손목, 어깨 중 하나의 관절을 포함하는 체감형 모바일 게임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 부위는
    상기 사용자의 다리의 관절을 포함하는 체감형 모바일 게임 시스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게임 패드의 무선 통신부는
    상기 제2 게임 패드의 무선 통신부로부터 상기 다른 한쪽 신체 부위의 각도 또는 신체변화율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한쪽 신체 부위의 각도 또는 신체변화율의 데이터 및 상기 다른 한쪽 신체 부위의 각도 또는 신체변화율의 데이터를 상기 모바일 기기에 전송하는 체감형 모바일 게임 시스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기기는
    상기 제1 게임 패드의 무선 통신부로부터 상기 한쪽 신체 부위의 각도 또는 신체변화율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제2 게임 패드의 무선 통신부로부터 상기 다른 한쪽 신체 부위의 각도 또는 신체변화율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체감형 모바일 게임 시스템.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부는
    블루투스, wi-fi, NFC, 및 RF 중 하나의 방식으로 무선 통신하는 체감형 모바일 게임 시스템.
KR1020160147676A 2016-11-07 2016-11-07 체감형 모바일 게임 시스템 KR1019261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7676A KR101926149B1 (ko) 2016-11-07 2016-11-07 체감형 모바일 게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7676A KR101926149B1 (ko) 2016-11-07 2016-11-07 체감형 모바일 게임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0974A KR20180050974A (ko) 2018-05-16
KR101926149B1 true KR101926149B1 (ko) 2018-12-06

Family

ID=62452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7676A KR101926149B1 (ko) 2016-11-07 2016-11-07 체감형 모바일 게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61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9070B1 (ko) * 2018-12-06 2021-03-18 (주)코어센스 센서 방식 모션 캡쳐 시스템 기반 모션 캡쳐 장치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87516A (ja) * 2004-09-21 2006-04-06 Nippon Seimitsu Sokki Kk 脈拍測定装置、脈拍センサ取付用バンド、及び、脈拍測定装置用ホルダ
KR100635906B1 (ko) * 2005-03-24 2006-10-18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체중 부하 및 관절의 각도를 변수로 이용한 하지 재활 훈련장치 및 하지 재활 훈련 방법
KR200445492Y1 (ko) * 2008-01-10 2009-08-04 (주)유알엔디 움직임 동기화 장치
KR20120050261A (ko) * 2010-11-10 2012-05-18 (주)에너지플러스 휴대용 온열 통증완화 찜질기
KR20140062892A (ko) * 2012-11-15 2014-05-26 삼성전자주식회사 운동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 서비스 제공 시스템과 그 방법
KR101736003B1 (ko) * 2016-03-17 2017-05-15 서인아 사용자 동작과 연동하는 리듬 게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0974A (ko) 2018-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72181B2 (en) Semi-supervised intent recognition system and method
KR101958908B1 (ko) 동작 인식 기반 동적 하네스 재활 훈련 시스템
ES2709754T3 (es) Procedimiento y dispositivo para el control remoto de unidades terminales
JP2020504883A (ja) 触覚相互作用の方法、ツール、およびシステム
KR20170073655A (ko) 사용자의 올바른 런닝을 훈련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20140051519A1 (en) System For Sensing Human Movement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20120130280A1 (en) Legs rehabilitation device and legs rehabilitation method using the same
JP2018527968A (ja) 運動制御シート入力デバイス
US2021006042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having stored therein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101926149B1 (ko) 체감형 모바일 게임 시스템
US1165435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storage medium storing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WO2022116407A1 (zh) 采用背杆装置联动全向跑步台的虚拟现实设备
CN109550209A (zh) 动作矫正装置及动作矫正方法
KR101364594B1 (ko) 사용자의 움직임과 모션 플랫폼 사이의 양방향 상호 작용을 기반으로 한 실감형 스노보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567859B1 (ko) 사용자 동작을 이용한 재활운동 시스템
TWI599389B (zh) 結合人體手勢辨識及骨架追蹤之虛擬人物控制系統
US20230233928A1 (en) Control device, system and method
KR20110035628A (ko) 사용자 행위에 따라 캐릭터 행위를 제어하는 게임 시스템 및 그의 게임 제공방법
US10242241B1 (en) Advance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gameplay system
KR102391027B1 (ko) 인공지능을 이용한 반응형 게임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1423326B1 (ko) 운동형 게임 조작 장치
JP7300162B2 (ja) 重心計測機能付き操作装置及び操作システム
KR102503753B1 (ko) 신체 부위의 움직임에 따른 촉각 효과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 촉각 효과를 제공하는 햅틱 컨트롤러
CN110934595B (zh) 一种监测用户运动数据的体感游戏系统及工作方法
JP7344354B2 (ja) 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