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5898B1 - 유량제어 기능을 포함하는 감압기 - Google Patents

유량제어 기능을 포함하는 감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5898B1
KR101925898B1 KR1020160144488A KR20160144488A KR101925898B1 KR 101925898 B1 KR101925898 B1 KR 101925898B1 KR 1020160144488 A KR1020160144488 A KR 1020160144488A KR 20160144488 A KR20160144488 A KR 20160144488A KR 101925898 B1 KR101925898 B1 KR 1019258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flow rate
passage
pressur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4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7783A (ko
Inventor
백미진
백종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카이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카이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카이렌
Priority to KR10201601444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5898B1/ko
Publication of KR201800477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77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5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58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4Arrangement or mounting o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00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 F16K3/22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sealing faces shaped as surfaces of solids of revolution
    • F16K3/24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sealing faces shaped as surfaces of solids of revolution with cylindrical valv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00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 F16K3/30Details
    • F16K3/314Forms or constructions of slides; Attachment of the slide to the spind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3Fluid connections, filters, valves, closure means or other attachments
    • F17C2205/0302Fittings, valves, filters, or components in connection with the gas storage device
    • F17C2205/0323Valves
    • F17C2205/0329Valves manually actu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1Pure fluids
    • F17C2221/011Oxygen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유량제어 기능을 포함하는 감압기는, 고압가스 용기에 결합되어, 상기 고압가스 용기에 저장된 고압가스의 유량을 제어하여 외부에 공급하기 위한 감압기에 있어서, 가스가 유입되는 유입부와, 가스가 토출되는 토출부와, 상기 유입부 및 상기 토출부 사이에 형성되는 가스경유공간을 포함하여, 상기 유입부로부터 상기 토출부에 이르는 가스의 유동경로를 형성하는 몸체, 상기 가스경유공간 상에 구비되어, 상기 가스경유공간의 개방 면적을 조절하는 제1유량제어부 및 상기 가스의 유동경로 상에 구비되어, 상기 가스경유공간에 유입되거나 상기 가스경유공간으로부터 배출되는 가스의 유량을 제어하는 제2유량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유량제어 기능을 포함하는 감압기{Regulator having the Function of Flow Control}
본 발명은 휴대 가능한 고압가스 용기와 연결하여 가스압을 제어하는 감압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 구성요소의 교체 없이도 다양한 가스압을 가지는 고압가스 용기를 적용 가능하도록 하는 유량제어 기능을 포함하는 감압기에 관한 것이다.
지하 시설 또는 밀폐된 지상 공간에서 화재 또는 가스 누출 사고 발생 시 대부분의 인명사고는 유독가스에 의한 질식사이다. 이러한 밀폐된 공간에서의 질식사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유독가스를 필터링하여 공급하기 위한 방독면 등을 착용하는 방법이 있는데, 방독면은 모든 종류의 유독가스를 여과시켜 주는 것이 아니며, 방독면이 구비된 장소도 적고 착용 과정도 불편하여 실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에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유독가스를 차단하고, 호흡이 1~10분정도 유지될 수 있도록 200기압 정도의 산소 또는 공기가 농축 저장된 고압가스 용기에 대한 기술이 개발되었다.
이와 같은 고압가스 용기는 특수 용기 내에 가스를 고압 상태로 충전하거나 액화시켜 저장하였다가, 필요에 따라 감압기(Regulator)와 같은 압력 조절장치를 사용하여 적정의 소비 유량으로 감압하여 공급하는 방식을 가진다.
다만, 상기와 같은 고압가스 용기를 사용함에 따라, 가스 용량이 부족하여 인명 사고 등이 유발되어 고압가스 용기에 수용된 가스를 보다 오래 사용할 수 있도록 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를 위해 단순히 고압가스 용기를 대형화하는 방법으로는 휴대성이 크게 떨어지게 되므로, 용기의 크기를 유지하면서 상기 고압가스 용기의 가스압을 보다 크게 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이 할 경우에는 특정 가스압에 특화된 상기 감압기 내부의 댐핑 구조의 한계로 인해 효과적으로 감압을 수행하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방법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감압기 내부의 댐핑 구조를 상승된 가스압에 적합한 댐핑 구조로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용기의 크기를 유지하면서 상기 고압가스 용기의 가스압을 보다 크게 하여 가스의 사용시간을 증가시키면서도, 내부 구성요소의 교체 없이 다양한 가스압을 가지는 고압가스 용기를 적용 가능하도록 하는 유량제어 기능을 포함하는 감압기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유량제어 기능을 포함하는 감압기는, 고압가스 용기에 결합되어, 상기 고압가스 용기에 저장된 고압가스의 유량을 제어하여 외부에 공급하기 위한 감압기에 있어서, 가스가 유입되는 유입부와, 가스가 토출되는 토출부와, 상기 유입부 및 상기 토출부 사이에 형성되는 가스경유공간을 포함하여, 상기 유입부로부터 상기 토출부에 이르는 가스의 유동경로를 형성하는 몸체, 상기 가스경유공간 상에 구비되어, 상기 가스경유공간의 개방 면적을 조절하는 제1유량제어부 및 상기 가스의 유동경로 상에 구비되어, 상기 가스경유공간에 유입되거나 상기 가스경유공간으로부터 배출되는 가스의 유량을 제어하는 제2유량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는 상기 가스경유공간 및 상기 토출부 사이에 구비되는 가스배출유로와, 상기 유입부 및 상기 가스경유공간 사이에 구비되는 가스유입유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유량제어부는 상기 가스배출유로 및 상기 가스유입유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유량제어부는, 내부에 상기 가스배출유로 또는 상기 가스유입유로의 단면적보다 작은 단면적을 가지는 통과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가스배출유로 및 상기 가스유입유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유량조절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량조절부재는, 상기 가스배출유로 또는 상기 가스유입유로에 삽입 가능하게 형성된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와 연결되며, 상기 가스배출유로 및 상기 가스유입유로의 단면적보다 큰 단면적을 가지는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유량제어부는, 상기 가스배출유로 또는 상기 가스유입유로의 측부를 관통하여, 상기 가스배출유로 또는 상기 가스유입유로 내에 노출되는 길이를 조절함에 따라 상기 가스배출유로 또는 상기 가스유입유로의 개방 면적을 조절하는 이동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는 상기 가스배출유로 또는 상기 가스유입유로의 측부와 연통되는 이동부재 삽입공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이동부재 삽입공간에 삽입되고, 상기 삽입공간과의 상대 위치를 가변 가능하게 형성된 이동부 및 일측이 상기 이동부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가스배출유로 또는 상기 가스유입유로에 노출되는 노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부재 삽입공간의 내벽면 및 상기 이동부에는 서로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이동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노출부의 돌출 길이를 조절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유량제어 기능을 포함하는 감압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유량제어 기능을 포함하는 감압기는 제2유량제어부가 구비됨으로 인해, 용기의 크기를 유지하면서 상기 고압가스 용기의 가스압을 보다 크게 하여 가스의 사용시간을 증가시키면서도, 내부 구성요소의 교체 없이 다양한 가스압을 가지는 고압가스 용기를 적용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제2유량제어부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어, 범용성이 뛰어다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종래 감압기의 구조 변경 없이도 상기 제2유량제어부를 종래의 감압기에 용이하게 적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고압가스 용기에 결합된 상태에서 개방 기능을 사용하기 전까지는 고압가스 용기의 밀폐된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기 때문에 밀폐 효율이 우수하고 가스의 누수 발생을 최소화하기 때문에 가스 용기의 장기간 보관이 가능하여 고압가스 용기의 유지 보수비용이 저렴한 효과가 있다.
또한 고압가스 용기에 감압 밸브가 결합된 상태에서 보관이 가능하고, 간단한 조작만으로 고압가스 용기를 개방시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위급 상황 시 신속하게 고압가스 용기에 저장된 가스를 공급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개방기능과 특정유량 공급 기능이 한 번의 조작으로 동시에 해결 가능하므로, 절박하고 다급한 상황에서 신속한 조작이 가능하며, 따라서 골든타임 손실로 인한 위기 상황을 근원적으로 차단하고, 위험 상황에서 생존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고압가스 용기 개방 시 고압가스 용기 내부의 압력에 상관없이 가스가 일정한 압력으로 감압되고 감압된 압력을 유지시켜 사용자에게 적정 유량의 가스가 공급되도록 하는 정압감압이 가능하므로, 고압가스 용기 내부의 가스가 사용되어 고압가스 내부의 압력이 줄어들더라고 일정한 유량의 가스가 장시간 공급되도록 하여 평안한 호흡과 가스 사용시간이 길어지는 효과가 있다.
특히 사전에 특정 유량이 흐르도록 세팅하여, 감압기 사용 시에는 별도의 유량조절 없이 적정 유량의 산소 또는 공기가 공급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공급되는 가스의 적정 유량을 다급하게 조절해야 하는 밸브 조절 과정이 불필요하며, 밸브 조절 과정 없이 일정한 유량으로 조절된 산소 또는 공기가 사용자에게 공급되어 밸브 조절에 따른 시간이 절약되어 골든타임 내 시간 손실 없이 사용자의 대피가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고압가스 용기가 화재 등에 노출되어 고압가스 용기 내부의 압력이 급격히 높아지는 경우가 발생하더라도, 고압가스 용기의 공급부를 통해 감압밸브로 가스가 토출되도록 구성하여 고압가스 용기 내부의 압력을 감소되도록 함으로써, 고압가스 용기의 압력이 급격히 높아짐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고압가스 용기의 폭발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량제어 기능을 포함하는 감압기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량제어 기능을 포함하는 감압기에 있어서, 몸체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량제어 기능을 포함하는 감압기에 있어서, 유량조절부재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량제어 기능을 포함하는 감압기에 있어서, 유량조절부재가 가스배출유로에 구비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량제어 기능을 포함하는 감압기에 있어서, 개방부를 통해 고압가스 용기를 개봉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량제어 기능을 포함하는 감압기에 있어서, 유량조절부재가 가스유입유로에 구비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유량제어 기능을 포함하는 감압기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유량제어 기능을 포함하는 감압기에 있어서, 이동부재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감압기의 종단면도가 도시되며,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감압기에 있어서, 몸체(100)의 구조가 도시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압기는 몸체(100), 제1유량제어부(200), 제2유량제어부를 포함한다. 특히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2유량제어부는 유량조절부재(400)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구성요소들 외에 개방부(3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몸체(100)에는 고압가스 용기(10)의 공급부(12)로부터 가스가 유입되는 유입부(110)와, 유입부(110)로부터 가스를 유입받아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토출부(120)가 형성된다. 유입부(110)와 토출부(120)는 통상의 유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유입부(110)와 토출부(120) 사이에는 상기 제1유량제어부(200)에 의해 유입부(110)로부터 유입된 가스의 유량을 제어하여 일정한 압력의 가스를 토출부(120)로 공급하기 위한 가스경유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스경유공간은, 유입부(110)로부터 공급되는 가스가 저장되는 가스유입공간(140)과, 토출부(120)와 연통되는 가스토출공간(150)과, 상기 가스유입공간(140) 및 상기 가스토출공간(150) 사이에 구비되는 오리피스(130)를 포함하다.
즉 상기 오리피스(130)의 상류 측에는 상기 가스유입공간(140)이 형성되며, 상기 오리피스(130)의 하류 측에는 상기 가스토출공간(150)이 형성된다.
따라서 유입부(110)로 유입된 가스는 가스유입공간(140)을 경유하며, 가스유입공간(140)를 경유하는 가스는 제1유량제어부(200)의 제어에 의해 오리피스(130) 및 가스토출공간(150)을 경유하여 토출부(120)를 통해 사용자에게 공급된다.
또한 몸체(100) 상에는 유입부(110)와 가스유입공간(140)을 연통하는 가스유입유로(115), 그리고 토출부(120)와 가스토출공간(150)을 연통하는 가스배출유로(125)가 형성된다.
이하 편의 상 가스유입공간(140)은 몸체(100)의 일측에 형성되며, 가스토출공간(150)은 몸체의 타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정의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1유량제어부(200)는 상기 가스의 유량을 제어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1유량제어부(200)는 일측 또는 타측 방향 직선 운동에 의해 오리피스(130)의 개방면적을 조절하여 유입부(110)에서 유입되는 고압의 가스를 일정한 압력으로 토출부(120)에 공급하기 위한 구성으로 형성되며, 다이어프램핀(210), 제1탄성부재(220), 다이어프램(230), 제2탄성부재(240) 및 다이어프램 캡(2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다이어프램핀(210)은 오리피스(130)의 일측 개방면의 개방 면적을 조절하기 위한 구성으로 오리피스(130) 상에 일측 또는 타측으로 직선운동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다이어프램핀(210)은, 오리피스(130)의 일측에 구비되는 핀 몸체(211)와, 핀 몸체(211)의 타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니들(212)로 구성된다. 핀 몸체(211)는 직경이 오리피스(130)측으로 갈수록 작아지는 원추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니들(212)은 타단부가 오리피스(130)를 관통하여 가스토출공간(150) 상에 노출되며 오리피스(13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구성된다.
제1탄성부재(220)는 핀 몸체(211)의 일측에 맞닿아 다이어프램핀(210)을 타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제1탄성부재(220)는 본 실시예와 같이 통상의 코일스프링이 적용될 수 있으나, 이외의 다양한 형태의 탄성부재가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컨대, 판스프링 형태의 탄성부재가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다이어프램핀 캡(215)은 다이어프램핀(210) 설치 시 가스유입공간(140)의 일측을 밀폐하도록 구성되며, 몸체(100) 상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다이어프램핀 캡(215)과, 몸체(100) 사이에는 리크 방지를 위한 실링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다이어프램(230)은 가스토출공간(150) 상에 일측 또는 타측 방향으로 직선운동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다이어프램(230)의 둘레면과, 몸체(100) 사이에는 리크 방지를 위한 실링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다이어프램(230)의 일측은 니들(212)의 타측에 맞닿고, 타측은 제2탄성부재(240)와 탄성 연결된다. 제2탄성부재(240)는 다이어프램핀(210)을 일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다이어프램 캡(250)은 다이어프램핀(210) 설치 시 가스토출공간(150)의 타측과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몸체(100) 상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다이어프램 캡(250)과, 몸체(100) 사이에는 리크 방지를 위한 실링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다이어프램 캡(250)은 제2탄성부재(240)가 다이어프램(230)에 탄성을 가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제1유량제어부(200)는 가스유입공간(140)으로부터 가스토출공간(150)으로 가스가 유입되지 않을 경우 다이어프램핀(210)이 일측 방향으로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여 오리피스(130)의 개방면적이 최대가 되도록 제2탄성부재(240)의 탄성력이 제1탄성부재(220)의 탄성력보다 크게 구성된다.
또한, 가스유입공간(140)에 고압의 가스가 유입되어 가스유입공간(140)의 압력이 높아질 경우 제2탄성부재(240)의 탄성력이 제1탄성부재(220)의 탄성력 및 가스의 압력보다 작게 구성되어 다이어프램핀(210)이 타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오리피스(130)의 개방면적이 줄어들도록 구성된다.
상술된 구성을 통해 고압가스 용기 내부의 압력이 점차 줄어들어도 일정한 압력의 정압가스로 감압되어 가스토출공간(150)으로 전달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1유량제어부(200)는 제1탄성부재(220) 및 제2탄성부재(240)의 수평 이동을 통한 유량 제어를 수행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상기 제1유량제어부(200)는 이와 달리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예컨대, 상기 제1유량제어부(200)는 제1탄성부재(220) 및 제2탄성부재(240) 중 어느 하나만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며, 또한 이동 방향 역시 수평방향이 아닌 수직방향 등으로 설정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상기 제1유량제어부(200)의 형태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제2유량제어부는 상기 가스의 유동경로 상에 구비되어, 상기 가스유입공간(140) 및 상기 가스토출공간(150)을 포함하는 가스경유공간에 유입되거나, 상기 가스경유공간으로부터 배출되는 가스의 유량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0)는 상기 가스경유공간 및 상기 토출부(120) 사이에 구비되는 가스배출유로(125)와, 상기 유입부(110) 및 상기 가스경유공간 사이에 구비되는 가스유입유로(115)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유량제어부는 상기 가스배출유로(125) 및 상기 가스유입유로(11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유량제어부는 상기 가스배출유로(125) 또는 상기 가스유입유로(115) 중 어느 일측에만 구비될 수도 있으며, 상기 가스배출유로(125) 및 상기 가스유입유로(115) 모두에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제2유량제어부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의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량조절부재(400)를 포함한다. 상기 유량조절부재(400)는 내부에 상기 가스배출유로(125) 또는 상기 가스유입유로(115)의 단면적보다 작은 단면적을 가지는 통과유로(402)가 형성되고, 상기 가스배출유로(125) 및 상기 가스유입유로(11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된다.
즉 상기 유량조절부재(400)는 상기 가스배출유로(125) 또는 상기 가스유입유로(115)를 통한 가스의 유동량을 상기 통과유로(402)를 통해 저감시킴에 따라 감압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상기 유량조절부재(400)는 상기 가스배출유로(125)에 구비되는 것으로 하였다.
그리고 상기 유량조절부재(400)는, 상기 가스배출유로(125) 또는 상기 가스유입유로(115)에 삽입 가능하게 형성된 삽입부(420)와, 상기 삽입부(420)와 연결되며, 상기 가스배출유로(125) 및 상기 가스유입유로(115)의 단면적보다 큰 단면적을 가지는 걸림부(410)와, 상기 삽입부(420)와 반대 측으로 상기 걸림부(410)와 연결된 연결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부(420)는 상기 가스배출유로(125) 또는 상기 가스유입유로(115)의 단면적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가스배출유로(125) 또는 상기 가스유입유로(115)에 끼워질 수 있으며, 상기 걸림부(410)는 상기 삽입부(420)의 최대 삽입 깊이를 제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430)는 상기 삽입부(420)의 반대 측으로 돌출되어, 별도의 호스 등과 연결되는 원터치 캡(500)과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유량조절부재(400)를 포함하는 제2유량조절부는, 가스의 사용시간을 증가시키기 위해 고압가스 용기(10)의 용량을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가스압을 증가시킨다고 하더라도, 제1유량조절부(200) 등 내부 구성요소의 교체 없이 용이하게 적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2유량조절부가 구비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고압가스 용기(10)의 가스압을 증가시킬 상태에서 필수적으로 제1유량조절부(200)의 제1탄성부재(220) 및 제2탄성부재(240)를 보다 탄성력이 높은 다른 탄성부재로 교체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나, 본 발명의 경우 제2유량조절부가 구비됨으로 인해 제1탄성부재(220) 및 제2탄성부재(240)의 교체 없이도 종래의 감압기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개방부(300)는 고압가스 용기(10)의 공급부(12)를 밀폐하고 있는 밀폐막을 사용자의 제어에 의해 관통하여 고압가스 용기(10)의 고압가스를 감압기의 유입부(110)로 유입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개방부(300)는 개방핀(312)을 포함하는 가압부재(310), 편심가압부(320), 개방축(330) 및 개방손잡이(3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개방핀(312)은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가압부재(310)의 상하 이동과 함께 고압가스 용기(10) 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밀폐막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고압가스 용기(10)와 감압기를 연통시키게 된다.
상기 편심가압부(320)는 개방축(330)의 일단에 연결되며, 둘레면이 가압부재(310)의 상단에 맞닿도록 구성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편심가압부(320)는 캠 형태로 형성되고, 개방축(330)의 회전에 의해 둘레면이 가압부재(310)의 상단을 고압가스 용기 측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되어 개방축(330)이 회전함에 따라 개방핀(312)을 고압가스 용기 측으로 직선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개방축(330)은 몸체(100)의 축 삽입공간(112, 도 2 참조) 상에 축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일단부는 유입부(110) 상에 구비되어 편심가압부(320)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감압기 외측에 노출되어 개방손잡이(350)에 연결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개방손잡이(350)를 회전시키는 힘을 편심가압부(320)에 전달하여 개방핀(312)이 밀폐막을 관통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개방부(300)의 구성을 통해 감압기가 고압가스 용기(10)에 결합된 상태에서도 밀폐막이 보존되도록 하여 고압가스 용기(10)와 감압기가 연통된 상태에서 감압기 구조를 통해 고압가스 용기(10)를 밀폐하는 기존의 구성에 비해 고압가스 용기(10)의 밀폐력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또한 간편한 조작만으로 고압가스 용기(10)의 밀폐막을 펀칭하여 고압가스 용기(10)와 감압기를 연통시키기 때문에 위급 상황에서 신속하게 사용자가 가스를 공급받을 수 있게 되는 장점도 있다.
한편 상기 고압가스 용기(10)의 개방 방식은, 본 실시예 외의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개방핀(312)이 고정된 상태로 구비되되도록 하고, 상기 고압가스 용기(10)와 상기 몸체(100)의 결합 깊이에 따라 상기 고압가스 용기(10)의 밀폐막이 상기 개방핀(312)에 접촉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고압가스 용기(10)에는 둘레에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부(14)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100)에는 상기 체결부(14)의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평소에는 상기 고압가스 용기(10)와 상기 개방핀(312)이 서로 접촉되지 않는 정도의 깊이로 상기 고압가스 용기(10)와 상기 몸체(100)를 체결시키고, 사용 시에는 상기 고압가스 용기(10)를 회전시켜 상기 몸체(100)에 보다 깊이 체결함에 따라 밀폐막이 상기 개방핀(312)에 접촉되어 개봉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가 도시된다.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경우, 전술한 제1실시예와 모든 구성요소가 동일하게 형성된다. 다만, 제2유량제어부의 유량조절부재(400)가, 상기 가스배출유로(125)가 아닌 가스유입유로(115)에 구비된다는 점이 다르다.
즉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유량조절부재(400)의 삽입부(420)가 상기 가스유입유로(115)에 끼워진 상태로 구비되며, 이에 따라 상기 고압가스 용기(10)로부터 공급되는 가스가 상기 가스경유공간에 유입되기 전에 미리 감압을 수행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제2유량제어부가 다양한 위치에 구비된다고 하더라도 그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 및 도 9에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가 도시된디.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3실시예 역시, 전술한 실시예들과 모든 구성요소가 동일하게 형성되나, 제2유량제어부의 형태만이 다르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유량제어부는, 상기 가스배출유로(125)의 측부를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가스배출유로(125) 내에 노출되는 길이를 조절함에 따라 상기 가스배출유로(125)의 개방 면적을 조절하는 이동부재(600)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기 몸체(100)에는 상기 이동부재(600)가 삽입되는 이동부재 삽입공간(160)이 형성되며, 상기 이동부재(600)는 상기 이동부재 삽입공간(160)에 삽입된 형태로 일부가 상기 가스배출유로(125)에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이동부재(600)는 상기 이동부재 삽입공간(160)에 삽입되고, 상기 이동부재 삽입공간(160)과의 상대 위치를 가변 가능하게 형성된 이동부(610)와, 일측이 상기 이동부(610)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가스배출유로(125)에 노출되는 노출부(62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이동부재 삽입공간(160)의 내벽면과, 상기 이동부(610)의 둘레에는 서로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이동부재(600)는 상기 이동부(610)의 회전에 따라 상기 노출부(620)가 상기 가스배출유로(125)에 돌출 길이를 조절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이동부재(600)를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가스배출유로(125)의 개방 면적을 조절할 수 있게 되며, 다양한 고압가스 용기(10)의 가스압에 대응되도록 설정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이동부재(600)가 상기 가스배출유로(125)에 노출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이와 달리 상기 이동부재(600)는 가스유입유로(115)에 적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며, 양측 모두에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동부재(600)의 삽입 방향과 상기 토출부(120)의 공기 토출 방향이 서로 수직하는 형태로 형성되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상기 토출부(120)의 공기 토출 방향이 몸체(100)의 측 방향으로 형성될 경우, 상기 이동부재(600)가 삽입 방향과 상기 토출부(120)의 공기 토출 방향은 서로 평행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등 설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 : 고압가스 용기 12 : 공급부
100 : 몸체 110 : 유입부
120 : 토출부 130 : 오리피스
140 : 가스유입공간 150 : 가스토출공간
200 : 유량제어부 210 : 다이어프램핀
220 : 제1탄성부재 230 : 다이어프램
240 : 제2탄성부재 300 : 개방부
310: 가압부재 312 : 개방핀
320 : 편심가압부 330 : 개방축
350 : 개방손잡이 400 : 유량조절부재
410 : 걸림부 420 : 삽입부
430 : 연결부 500 : 원터치 캡
600 : 이동부재 610 : 이동부
620 : 노출부

Claims (7)

  1. 고압가스 용기에 결합되어, 상기 고압가스 용기에 저장된 고압가스의 유량을 제어하여 외부에 공급하기 위한 감압기에 있어서,
    가스가 유입되는 유입부와, 가스가 토출되는 토출부와, 상기 유입부 및 상기 토출부 사이에 형성되는 가스경유공간을 포함하여, 상기 유입부로부터 상기 토출부에 이르는 가스의 유동경로를 형성하는 몸체;
    상기 가스경유공간 상에 구비되어, 상기 가스경유공간의 개방 면적을 조절하는 제1유량제어부; 및
    상기 가스의 유동경로 상에 구비되어, 상기 가스경유공간에 유입되거나 상기 가스경유공간으로부터 배출되는 가스의 유량을 제어하는 제2유량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상기 가스경유공간 및 상기 토출부 사이에 구비되는 가스배출유로와, 상기 유입부 및 상기 가스경유공간 사이에 구비되는 가스유입유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유량제어부는 상기 가스배출유로 및 상기 가스유입유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내부에 상기 가스배출유로 또는 상기 가스유입유로의 단면적보다 작은 단면적을 가지는 통과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가스배출유로 및 상기 가스유입유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유량조절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유량조절부재는 상기 가스배출유로 또는 상기 가스유입유로에 삽입 가능하게 형성된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와 연결되며, 상기 가스배출유로 및 상기 가스유입유로의 단면적보다 큰 단면적을 가지는 걸림부
    를 포함하는 감압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량제어부는,
    상기 가스배출유로 또는 상기 가스유입유로의 측부를 관통하여, 상기 가스배출유로 또는 상기 가스유입유로 내에 노출되는 길이를 조절함에 따라 상기 가스배출유로 또는 상기 가스유입유로의 개방 면적을 조절하는 이동부재를 포함하는 유량제어 기능을 포함하는 감압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가스배출유로 또는 상기 가스유입유로의 측부와 연통되는 이동부재 삽입공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이동부재 삽입공간에 삽입되고, 상기 삽입공간과의 상대 위치를 가변 가능하게 형성된 이동부; 및
    일측이 상기 이동부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가스배출유로 또는 상기 가스유입유로에 노출되는 노출부;
    를 포함하는 유량제어 기능을 포함하는 감압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 삽입공간의 내벽면 및 상기 이동부에는 서로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이동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노출부의 돌출 길이를 조절하도록 형성되는 유량제어 기능을 포함하는 감압기.
KR1020160144488A 2016-11-01 2016-11-01 유량제어 기능을 포함하는 감압기 KR1019258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4488A KR101925898B1 (ko) 2016-11-01 2016-11-01 유량제어 기능을 포함하는 감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4488A KR101925898B1 (ko) 2016-11-01 2016-11-01 유량제어 기능을 포함하는 감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7783A KR20180047783A (ko) 2018-05-10
KR101925898B1 true KR101925898B1 (ko) 2018-12-07

Family

ID=62185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4488A KR101925898B1 (ko) 2016-11-01 2016-11-01 유량제어 기능을 포함하는 감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589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7783A (ko) 2018-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10812B2 (en) Multi-stage pressure regulator and method for fluid pressure regulation
US4378011A (en) Lung controlled pressure gas respirator for use with an oxygen mask and valving mechanism therefor
ATE392389T1 (de) Behälter mit co2-druckgasquelle
HK1047784B (zh) 電涌預防裝置
DE60103896D1 (de) Vorrichtung zum regeln eines gasdurchflusses
ATE385996T1 (de) Behälter mit co2-druckgasquelle
IL195899A (en) Cylinder packaging with low release rate
JPS59117971A (ja) しや断弁付減圧調整装置
EP1591144A4 (en) PRESSURE CONTROL VALVE WITH QUICK OPENING MECHANISM, FIRE EXTINGUISHER WITH PRESSURE CONTROL VALVE, HIGH-PRESSURE GAS BOTTLE DEVICE AND FAST LIQUID SUPPLY DEVICE
KR101925898B1 (ko) 유량제어 기능을 포함하는 감압기
KR101632688B1 (ko) 고압가스용기의 감압밸브
US20120018658A1 (en) Pressure reducing valve
EP1709353A4 (en) FLOW CONTROL DEVICE APPLIED TO VALVES OPERATING UNDER DIFFERENTIAL PRESSURE
WO2019019523A1 (zh) 一种具有双重密封功能的安全阀
KR101776397B1 (ko) 압력게이지 보호용 밸브장치
KR102388553B1 (ko) 압력 레귤레이터
KR102388554B1 (ko) 압력 레귤레이터
WO2006047246A3 (en) Regulated gas supply system
KR101651511B1 (ko) 유량조절유닛을 구비하는 휴대용 비상호흡장치
KR101672932B1 (ko) 유량제어 및 개방 기능을 갖는 감압 밸브
KR20130000488A (ko) 산소 공급식 마스크
KR200380316Y1 (ko) 소형 가스공급장치
US9557747B2 (en) Gas flow regulator with multiple gas flow passages
KR101566833B1 (ko) 유량제어부 및 과압방지부를 갖는 휴대용 고압가스 캔의 밸브
KR100709471B1 (ko) 휴대용 기체 공급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