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5730B1 - Construction method of interlayer noise sound insulation, interlayer sound insulation structure and interlayer noise insulation structure - Google Patents

Construction method of interlayer noise sound insulation, interlayer sound insulation structure and interlayer noise insulation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5730B1
KR101925730B1 KR1020170154445A KR20170154445A KR101925730B1 KR 101925730 B1 KR101925730 B1 KR 101925730B1 KR 1020170154445 A KR1020170154445 A KR 1020170154445A KR 20170154445 A KR20170154445 A KR 20170154445A KR 101925730 B1 KR101925730 B1 KR 1019257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ember
interlayer noise
concrete layer
upper plate
insulating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444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영민
Original Assignee
김영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민 filed Critical 김영민
Priority to KR10201701544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573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57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573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04F15/203Separately-laid layers for sound 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 B32B3/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characterised by an internal layer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which are juxtaposed side-by-side
    • B32B3/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characterised by an internal layer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which are juxtaposed side-by-side of hollow pieces, e.g. tubes; of pieces with channels or cav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1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acoustical properties
    • B32B2307/102Insul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layer noise insulating material, an interlayer noise insulating structure, and a construction method of an interlayer noise insulating structure. Interlayer noise can be reduced and blocked with higher efficiency. In addition, there is no risk of separating the interlayer noise insulating material from a lower concrete layer and an upper concrete layer, so that mutual coupling force between the lower concrete layer and the upper concrete layer and the interlayer noise insulating material can be greatly improved. As a result, load bearing capacity of the upper concrete layer can be greatly improved.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interlayer noise insulating material comprising: a bottom plate member; a sound insulating sheet; and a top plate member.

Description

층간소음 차음재, 층간소음 차음구조 및 층간소음 차음구조의 시공방법{Construction method of interlayer noise sound insulation, interlayer sound insulation structure and interlayer noise insulation structur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layer noise insulation material, an interlayer noise insulation structure, and an interlayer noise insulation structure,

본 발명은 층간소음을 보다 높은 효율로 감소 및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층간소음 차음재가 하부콘크리트층 및 상부콘크리트층으로부터 분리될 우려가 없어 상기 하부콘크리트층 및 상부콘크리트층과 상기 층간소음 차음재의 상호결합력이 크게 향상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상부콘크리트층의 하중지지력이 크게 향상될 수 있는 층간소음 차음재, 층간소음 차음구조 및 층간소음 차음구조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reducing and interrupting the interlayer noise with higher efficiency and also there is no fear of separating the interlayer noise insulating material from the lower concrete layer and the upper concrete layer and the mutual binding force of the lower concrete layer and the upper concrete layer and the interlayer noise insulating materia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layer noise insulating material, an interlayer noise insulating structure and an interlayer noise insulating structure which can greatly improve the load bearing capacity of the upper concrete layer.

일반적으로, 공동주택인 아파트가 고층화되면서 무게를 줄이기 위해 바닥 슬래브를 경량재로 사용하거나 바닥두께를 얇게 시공하고 있어 상하 층간에 발생하는 바닥 충격음은 문제가 매우 심각한 실정이다.Generally, the floor slab is used as a lightweight material or the floor thickness is thinned to reduce the weight of apartment buildings. Therefore, the floor impact sound generat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floors is a serious problem.

특히, 대부분의 주거 형태가 단독에서 아파트로 전향되면서 이러한 불만은 더욱더 가중되는 것이었다.In particular, as most of the housing styles have moved from single to apartment, these complaints have become more and more intense.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최근에는 층간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해당 세대의 실내 공기층으로 유도 분산하도록 하여 층간소음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공기층으로 소음을 유도하는 층간소음 방지장치가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145878호로 제안된 바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n recent years, an interlayer noise preventing device for inducing noise by an air layer which effectively prevents interlayer noise by inducing and dispersing noise generated in the interlayer to the indoor air layer of a corresponding generation is disclosed in a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145878.

그러나, 상기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145878호의 경우, 단순하게 소음방지재의 상부에 경량기포콘크리트가 타설되는 방식으로서, 상기 경량기포콘크리트로부터 소음방지재가 층분리된 우려가 다분하여 상기 경량기포콘크리트와 상기 소음방지재의 결합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above-mentioned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145878, a method in which a lightweight foamed concrete is simply placed on an upper portion of a noise preventing memb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concrete and the noise preventing member is deteriorated.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145878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145878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층간소음을 보다 높은 효율로 감소 및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층간소음 차음재가 하부콘크리트층 및 상부콘크리트층으로부터 분리될 우려가 없어 상기 하부콘크리트층 및 상부콘크리트층과 상기 층간소음 차음재의 상호결합력이 크게 향상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상부콘크리트층의 하중지지력이 크게 향상될 수 있는 층간소음 차음재, 층간소음 차음구조 및 층간소음 차음구조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reduce and prevent interlayer noise more efficiently and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interlayer noise insulating material from the lower concrete layer and the upper concrete lay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constructing an interlayer noise insulating material, an interlayer noise insulating structure and an interlayer noise insulating structure which can greatly improve the mutual bonding force of the upper concrete layer and the interlayer noise insulating material, The purpose of that is to do.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판 및 하부판과, 상기 상부판과 하부판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리브로 구성되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하부판부재와; 상기 하부판부재의 상부판 상에 구비되는 차음시트와; 상부판 및 하부판과, 상기 상부판과 하부판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리브로 구성되어 상기 차음시트상에 구비되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상부판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부판부재, 상기 차음시트 및 상기 상부판부재는 초음파융착에 의해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 차음재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 top plate and a bottom plate; a bottom plate member made of synthetic resin having a plurality of rib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between the top plate and the bottom plate; A sound insulating sheet provided on an upper plate of the lower plate member; And a top plate member formed of a plurality of ribs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between the top plate and the bottom plate and made of a synthetic resin provided on the sound insulating sheet, wherein the bottom plate member, the sound insulating sheet And the upper plate member are bonded by ultrasonic welding.

여기서, 상기 상부판부재의 일정부분이 초음파융착기에 의해 적어도 상기 하부판부재의 상부판으로 용융된 상태로 상기 상부판부재의 일정부분에 융착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fused groove is formed in a certain portion of the upper plate member in a state where a certain portion of the upper plate member is melted by at least an upper plate of the lower plate member by an ultrasonic welder.

또는, 상기 상부판부재의 일정부분이 초음파융착기에 의해 상기 하부판부재의 하부판으로 일정깊이로 용융된 상태로 상기 상부판부재의 일정부분에 융착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lternatively, a fusion groove may be formed in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upper plate member in a state where a certain portion of the upper plate member is melted to a predetermined depth by the lower plate of the lower plate member by an ultrasonic welder.

그리고, 상기 융착홈과 대응되는 상기 차음시트부위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sound insulating sheet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used groove.

또한, 상기 층간소음 차음재에 관통구가 상하연장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penetrating hole is formed vertically in the interlayer noise insulating material.

여기서, 상기 관통구는 상부관통구와; 상기 상부관통구와 연통된 상태로 상기 상부관통구의 하부에 형성되고, 내경크기가 상기 상부관통구의 내경크기보다 작게 형성되는 하부관통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hrough-hole may include an upper through-hole; And a lower through-hole formed in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through-hole in a state of being in communication with the upper through-hole and having an inner diameter smaller than an inner diameter of the upper through-hole.

나아가, 상기 하부판부재와 상기 상부판부재의 상하두께는 3mm ~ 12mm인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more, the thickness of the upper plate member and the lower plate member is preferably 3 mm to 12 mm.

더불어, 상기 상부판부재에 상기 융착홈에 일정간격으로 복수형성되고, 상기 융착홈 사이의 좌우간격은 10cm ~ 1000cm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plate member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the fused grooves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fused grooves is 10 cm to 1000 cm.

그리고, 본 발명은 하부콘크리트층과; 상기 하부콘크리트층에 안착되는 상기 층간소음 차음재와; 상기 층간소음 차음재상에 형성되는 상부콘크리트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 차음구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lower concrete layer; An interlayer noise insulating material seated on the lower concrete layer; And an upper concrete layer formed on the interlayer noise insulating material.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n interlayer noise insulating structure.

여기서, 상기 층간소음 차음재의 융착홈에 모르타르가 충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fusion grooves of the interlayer noise insulating materials are filled with mortar.

또한, 본 발명은 a) 하부콘크리트층 형성단계와; b) 상기 하부콘크리트층상에 상기 층간소음 차음재를 안착하는 단계와; c) 상기 층간소음 차음재상에 모르타르를 타설한 후 양생하여 상부콘크리트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 차음구조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the steps of: a) forming a lower concrete layer; b) placing the interlayer noise insulating material on the lower concrete layer; and c) curing the mortar after curing the mortar on the interlayer noise insulating material to form an upper concrete layer.

여기서, 상기 c)단계의 층간소음 차음재의 융착홈에 모르타르가 충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fusion grooves of the interlayer noise insulating material of step c) are filled with mortar.

본 발명은 플라스틱 골판지 등으로 각각 이루어질 수 있는 하부판부재와 상부판부재의 리브 사이의 공기를 이용하여 층간소음을 감소 및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하부판부재와 상기 상부판부재의 차음시트를 통해 층간소음의 파동을 흡수하여 층간소음을 보다 더욱 높은 효율로 차단할 수 있고, 나아가, 층간소음 차음재의 하부판부재의 융착홈과 상부판부재의 융착홈에 각각 모르타르가 충진됨에 따라 하부콘크리트층 및 상부콘크리트층으로부터 층간소음 차음재가 분리될 우려가 없어 상기 하부콘크리트층 및 상부콘크리트층과 상기 층간소음 차음재의 상호결합력이 크게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상부콘크리트층의 하중지지력이 크게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and block the interlayer noise by using the air between the lower plate member and the ribs of the upper plate member which can be respectively made of plastic corrugated cardboard or the like, The sound insulation between the lower concrete layer and the upper concrete layer due to the filling of the fusion grooves of the lower plate member and the upper plate member of the interlayer sound insulating material with the mortar respectively. There is no possibility that the interlayer noise insulating sound insulating material is separated and the mutual coupling force between the lower concrete layer and the upper concrete layer and the interlayer noise insulating material can be greatly improved and the load bearing capacity of the upper concrete layer can be greatly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층간소음 차음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차음시트부위에 형성되는 일예의 관통홀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일예의 관통홀을 통해 일예의 융착홈의 바닥부가 하부판부재의 상부판에 접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1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는 차음시트부위에 형성되는 다른예의 관통홀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5는 다른예의 관통홀을 통해 일예의 융착홈의 바닥부가 하부판부재의 상부판에 접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다른예의 융착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은 리브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층간소음 차음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층간소음 차음구조의 시공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10은 하부콘크리트층에 층간소음 차음재가 안착 및 층간소음 차음재상에 상부콘크리트층이 형성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1은 하부콘크리트층에 복수의 층간소음 차음재가 안착된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복수의 층간소음 차음재상에 상부콘크리트층이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3은 하부콘크리트층에 복수의 층간소음차음재가 안착된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복수의 층간소음 차음재상에 상부콘크리트층이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interlayer noise insulating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through-hole formed in a sound insulating sheet portio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1,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bottom portion of an example fused groove is joined to an upper plate of a lower plate member through an example through-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through hole of another example formed in a sound insulating sheet por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ottom portion of one example of the fused groove is joined to the top plate of the lower plate member through the through hole of another example,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usion groove of another example,
7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example of ribs,
8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interlayer noise insulat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struction method of an interlayer noise insulat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equentially showing a process in which an upper concrete layer is formed on a lower concrete layer on an interlayer noise insulating material and on an interlayer noise insulating material,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plurality of interlayer noise insulating materials are seated on a lower concrete layer,
12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n upper concrete layer is formed on the plurality of interlayer noise insulating materials of FIG. 11,
13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example in which a plurality of interlayer noise insulating materials are installed on a lower concrete layer,
14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n upper concrete layer is formed on the plurality of interlayer noise insulating materials of FIG.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층간소음 차음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interlayer noise insulating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층간소음 차음재(20)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하부판부재(210), 차음시트(220) 및 상부판부재(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the interlayer noise insulating material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wer plate member 210, a sound insulating sheet 220, and an upper plate member 230.

도 2는 차음시트부위에 형성되는 일예의 관통홀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일예의 관통홀을 통해 일예의 융착홈의 바닥부가 하부판부재의 상부판에 접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1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through holes formed in a sound insulating sheet portion, and FIG. 3 is a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ottom portion of one example of the fused groove is joined to the top plate of the lower plate member through an example through- 1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먼저, 상기 하부판부재(210)와 상기 상부판부재(230)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상부판(211, 231) 및 하부판(212, 232)과, 상기 상부판(211, 231)과 상기 하부판(212, 232)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리브(213, 233)로 구성되도록 압출성형되는 플라스틱 골판지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2, the lower plate member 210 and the upper plate member 230 are largely divided into upper plates 211 and 231, lower plates 212 and 232, upper plates 211 and 231, And plastic corrugated cardboard which is extrusion-molded so as to include ribs 213 and 233 formed at regular intervals between the lower plates 212 and 232.

상기 하부판부재(210)와 상기 상부판부재(230)는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겠으나, 일예로, 전기특성, 내약품성 특히, 알칼리에 강하고, 투명도가 높으며, 절곡에 대한 피로도가 작은 폴리프로필렌 등의 합성수지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lower plate member 210 and the upper plate member 230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For example, the lower plate member 210 and the upper plate member 230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polypropylene and the like which have high electrical and chemical resistance, particularly alkali resistance, high transparency, And the like.

다음으로, 상기 차음시트(220)는 상기 하부판부재(210)의 상부판(211)의 상부에 안착구비된다.Next, the sound insulating sheet 220 is seated on the upper plate 211 of the lower plate member 210.

상기 차음시트(220)는 고무재질의 탄성판 또는 부직포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ound insulating sheet 220 may be made of various types such as rubber elastic sheets or nonwoven fabrics.

상기 상부판부재(230)는 상기 차음시트(220)의 상부에 안착구비된다.The upper plate member 230 is se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ound insulating sheet 220.

상기 하부판부재(210), 상기 차음시트(220) 및 상기 상부판부재(230)는 초음파융착에 의해 융착접합될 수 있다.The lower plate member 210, the sound insulating sheet 220, and the upper plate member 230 may be fusion bonded by ultrasonic welding.

플라스틱 골판지 등으로 각각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하부판부재(210)와 상부판부재(230)의 리브(213, 233) 사이의 틈새내의 공기를 이용하여 층간소음을 감소 및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하부판부재(210)와 상부판부재(230) 사이의 상기 차음시트(220)를 통해 층간소음의 파동을 흡수하여 층간소음을 보다 더욱 높은 효율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Not only can the interlayer noise be reduced and blocked by using the air in the gap between the lower plate member 210 and the ribs 213 and 233 of the upper plate member 230 which can be respectively made of a plastic corrugated cardboard, 210 and the upper plate member 230 through the sound insulating sheet 220, it is possible to absorb the noise of the interlaminar noise and to block the interlaminar noise with higher efficiency.

다음으로,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부판부재(230)의 일정부분에는 융착홈(234)이 형성될 수 있다.Next, as shown in FIGS. 2 and 3, a fusion groove 234 may be formed in a certain portion of the upper plate member 230.

일예로, 승강운동하는 초음파융착기의 진동자가 상기 상부판부재(230)의 일정부분, 가령, 상기 상부판부재(230)의 일측부분과 타측부분을 상기 하부판부재(210)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vibrator of the ultrasonic welder moving up and down may press a certain portion of the upper plate member 230, for example, one side portion and the other side portion of the upper plate member 230 toward the lower plate member 210 .

이때, 상기 상부판부재(230)의 일측부분과 타측부분이 용융되면서 적어도 상기 하부판부재(210)의 상부판(211)방향으로 흘러내려 상기 하부판부재(210)의 상부판(211)과 접합될 수 있고,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상기 상부판부재(23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일예의 복수의 상기 융착홈(234)이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one side portion and the other side portion of the upper plate member 230 are melted and flow at least toward the upper plate 211 of the lower plate member 210 and are joined to the upper plate 211 of the lower plate member 210 And a plurality of the fused grooves 234 may b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from one side of the upper plate member 230 to the other side through the above process.

상기 상부판부재(230)의 일측부분과 타측부분이 적어도 상기 하부판부재(210)의 상부판(211) 방향으로 보다 용이하게 흘러내려 상기 하부판부재(210)의 상부판(211)과 접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예의 복수의 상기 융착홈(234)과 대응되는 상기 차음시트(220)의 부위에는 관통홀(221)이 형성될 수 있다.One side portion and the other side portion of the upper plate member 230 can flow more easily toward at least the upper plate 211 of the lower plate member 210 and can be joined to the upper plate 211 of the lower plate member 210 A through hole 221 may be formed in a portion of the sound insulating sheet 220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the fused grooves 234 as shown in FIG.

일예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융착홈(234)과 대응되는 상기 차음시트(220)의 부위에는 내경크기가 상기 융착홈(234)의 내경크기보다 작은 복수의 상기 관통홀(221)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2,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221 having an inner diameter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fused grooves 234 are formed at portions of the sound insulating sheet 220 corresponding to the fused grooves 234, And may b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도 4는 차음시트부위에 형성되는 다른예의 관통홀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5는 다른예의 관통홀을 통해 일예의 융착홈의 바닥부가 하부판부재의 상부판에 접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sound insulating sheet portion, and FIG. 5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ottom portion of one example of the welded groove is joined to the top plate of the lower plate member through the through- Sectional view.

또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융착홈(234)과 대응되는 상기 차음시트(220)의 부위에는 내경크기가 상기 융착홈(234)의 내경크기와 동일한 1개의 상기 관통홀(221)이 형성될 수 있다.4, one through hole 221 having an inner diameter equal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fused groove 234 is formed in a portion of the sound insulating sheet 220 corresponding to the fused groove 234, .

상기 융착홈(234)과 대응되는 상기 차음시트(220)의 부위에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경크기가 상기 융착홈(234)의 내경크기보다 작은 복수의 관통홀(221)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경우, 상기 융착홈(234)과 대응되는 상기 차음시트(220)의 부위의 소실면적이 적어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융착홈(234)의 바닥부와 상기 하부판부재(210)의 상부판(211)의 접합면적이 적어 접합성이 저하되는 반면에 상기 차음시트(220)의 차음성은 향상될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FIG. 2,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221 having an inner diameter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fused grooves 234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the portion of the sound insulating sheet 220 corresponding to the fused grooves 234 The area of the sound insulating sheet 220 corresponding to the fused groove 234 is small so that the bottom of the fused groove 234 and the top plate of the bottom plate member 210, The joining area of the sound insulating sheet 211 is small, and the sound insulation of the sound insulating sheet 220 can be improved.

상기 융착홈(234)과 대응되는 상기 차음시트(220)의 부위에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경크기가 상기 융착홈(234)의 내경크기와 동일한 1개의 상기 관통홀(221)이 형성될 경우, 상기 융착홈(234)과 대응되는 상기 차음시트(220)의 부위의 소실면적이 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융착홈(234)의 바닥부와 상기 하부판부재(210)의 상부판(211)의 접합면적이 넓어 접합성이 향상될 수 있는 반면에 상기 차음시트(220)의 차음성은 저하될 수 있다.4, when one through-hole 221 having an inner diameter equal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fused groove 234 is formed at a portion of the sound insulating sheet 220 corresponding to the fused groove 234 The area of the sound insulating sheet 220 corresponding to the fused groove 234 is large as shown in FIG. 5 so that the bottom of the fused groove 234 and the top plate 211 of the bottom plate member 210 The bonding area of the sound insulating sheet 220 can be increased, while the sound insulation of the sound insulating sheet 220 can be lowered.

도 6은 다른예의 융착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fused grooves.

다음으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융착홈(234)과 대응되는 상기 차음시트(220)의 부위에 내경크기가 상기 융착홈(234)의 내경크기와 동일한 1개의 상기 관통홀(221)이 형성될 수 있다.4, one through-hole 221 having an inner diameter equal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fused groove 234 is formed at a portion of the sound insulating sheet 220 corresponding to the fused groove 234, .

이 상태에서, 상기 하부판부재(210)의 내측으로 일정깊이로 인입되도록 승강운동하는 초음파융착기의 진동자에 의해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부판부재(230)의 일정부분, 가령, 상기 상부판부재(230)의 일측부분과 타측부분이 용융되면서 상기 하부판부재(210)의 하부판(212)방향으로 흘러내려 상기 하부판부재(210)의 하부판(212)과 접합될 수 있다.In this state, as shown in FIG. 6, a part of the upper plate member 230, for example, a portion of the upper plate member 230 and the upper plate member 230 are moved up and down by a vibrator of the ultrasonic fusing machine, One side portion and the other side portion of the lower plate member 210 may melt and flow toward the lower plate 212 of the lower plate member 210 and be joined to the lower plate 212 of the lower plate member 210.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상기 상부판부재(230)의 일정부분, 가령 상기 상부판부재(230)의 일측부분과 타측부분에 바닥부가 상기 하부판부재(210)의 하부판(212)과 접합되는 다른예의 복수의 상기 융착홈(234)이 일정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other examples in which the bottom portion is joined to the bottom plate 212 of the upper plate member 230, for example, one side portion and the other side portion of the top plate member 230, The fused grooves 234 may be formed at a predetermined depth.

다음으로, 상기 층간소음 차음재(20)의 하부판부재(210)의 중간부, 차음시트(220)의 중간부 및 상기 상부판부재(230)의 중간부에 1개의 관통구(222)가 상기 층간소음 차음재(20)의 상하방향으로 사전에 미리 수직연장형성될 수 있다.A through hole 222 is formed in the intermediate portion of the lower plate member 210 of the interlayer noise insulating material 20, the middle portion of the sound insulating sheet 220 and the middle portion of the upper plate member 230, Can be formed vertically extending in advance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sound insulating sound insulating material 20 in advance.

도면에서는 상기 층감소음 차음재(20)의 중간부에 1개의 상기 관통구(222)가 형성되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층간소음 차음재(2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one through hole 222 is formed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layer noise reduction sound insulating material 20 in the drawing,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but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222 may be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one side of the interlayer noise insulating sound insulating material 20 Of course.

상기 관통구(222)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상부관통구(222a)와 하부관통구(222b)로 이루어질 수 있다.As shown in FIG. 6, the through-hole 222 may include an upper through-hole 222a and a lower through-hole 222b.

상기 상부관통구(222a)는 상기 상부판부재(230)의 중심부와 상기 차음시트(220)의 중심부 또는 상기 상부판부재(230)의 중심부에 사전이 미리 상하방향으로 수직연장형성될 수 있다.The upper through hole 222a may extend vertically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advance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upper plate member 230 and the central portion of the sound insulating sheet 220 or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upper plate member 230.

상기 하부관통구(222b)는 상기 상부관통구(222a)와 연통된 상태로 상기 상부관통구(222a)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부판부재(210)의 중심부 또는 상기 차음시트(220)의 중심부와 상기 하부판부재(210)의 중심부에 미리 상하방향으로 수직연장형성될 수 있다.The lower through-hole 222b communicates with the upper through-hole 222a so that the center of the lower plate member 210 or the center of the sound-insulating sheet 220, And vertically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advance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lower plate member 210.

상기 상부관통구(222a)와 상기 하부관통구(222b)의 내경크기는 동일할 수 있겠으나, 상기 상부판부재(230)에서 상기 하부판부재(210)방향으로의 소음이 보다 높은 효율로 상쇄되어 줄어들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하부관통구(222b)의 내경크기는 상기 상부관통구(222a)의 내경크기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The inner diameters of the upper through hole 222a and the lower through hole 222b may be the same but the noise from the upper plate member 230 toward the lower plate member 210 is canceled with higher efficiency The inner diameter of the lower through-hole 222b may be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upper through-hole 222a.

다음으로, 상기 하부판부재(210)와 상기 상부판부재(230)의 차음효율과 충격흡수효율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후술할 하부콘크리트층과 상부콘크리트층의 물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하부판부재(210)와 상기 상부판부재(230)의 상하두께(도 6의 T)는 3mm ~ 12mm인 것이 좋다.Next, in order to improve the sound insulation efficiency and impact absorption efficiency between the lower plate member 210 and the upper plate member 230, and to prevent deterioration of physical properties of the lower concrete layer and the upper concrete layer, , And the upper and lower thicknesses (T in FIG. 6) of the lower plate member 210 and the upper plate member 230 may be 3 mm to 12 mm.

상기 하부판부재(210)의 상하두께(T)와 상기 상부판부재(230)의 상하두께(T)가 3mm미만인 경우, 상기 하부판부재(210)의 상하두께(T)와 상기 상부판부재(230)의 상하두께(T)가 너무 얇아 상기 하부판부재(110)와 상기 상부판부재(120)의 차음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When the upper and lower thicknesses T of the lower plate member 210 and the upper plate member 230 are less than 3 mm, the upper and lower thicknesses T of the lower plate member 210 and the upper plate member 230 The upper and lower plate thicknesses T of the lower plate member 110 and the upper plate member 120 are too thin.

상기 하부판부재(210)의 상하두께(T)와 상기 상부판부재(230)의 상하두께(T)가 12mm초과인 경우, 상기 하부판부재(210)의 상하두께(T)와 상기 상부판부재(230)의 상하두께(T)가 너무 두꺼워 상기 하부판부재(210)의 하부방향과 상기 상부판부재(230)의 상부방향에 각각 위치하는 상기 하부콘크리트층과 상부콘크리트층의 상하두께가 얇아져 상기 하부콘크리트층과 상부콘크리트층의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When the upper and lower thicknesses T of the lower plate member 210 and the upper plate member 230 are greater than 12 mm, the upper and lower thickness T of the lower plate member 210, The upper and lower thicknesses of the lower concrete layer and the upper concrete layer located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lower plate member 210 and the upper direction of the upper plate member 230 become thinner,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concrete layer and the upper concrete layer are deteriorated.

다음으로, 상기 하부판부재(210)와 상기 상부판부재(230)의 접합력이 향상되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층간소음 차음재(20)의 제조시간을 단축 및 제조원가를 절감하기 위해, 복수의 상기 융착홈(234) 사이의 좌우간격(도 6의 D)은 10cm ~ 1,000cm인 것이 좋다.Next, in order to improve the bonding strength between the lower plate member 210 and the upper plate member 230, and to reduce the manufacturing time and manufacturing cost of the interlayer noise insulating material 20, 234) is preferably 10 cm to 1,000 cm.

복수의 상기 융착홈(234) 사이의 좌우간격(D)이 10cm미만인 경우, 상기 상부판부재(230)에 보다 많은 수의 상기 융착홈(234)이 형성될 수 있어 상기 하부판부재(210)와 상기 상부판부재(230)의 접합력이 향상될 수는 있겠으나, 많은 수의 상기 융착홈(234)을 형성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됨과 더불어 제조원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A greater number of the fused grooves 234 can be formed in the upper plate member 230 so that the lower plate member 210 and the lower plate member 210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bonding force of the upper plate member 230 may be improved. However, it takes much time to form a large number of the fused grooves 234, and the manufacturing cost increases.

복수의 상기 융착홈(234) 사이의 좌우간격(D)이 1,000cm초과인 경우, 상기 상부판부재(230)에 적은 수의 융착홈(234)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판부재(210)와 상기 상부판부재(230)의 접합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A small number of fused grooves 234 are formed in the upper plate member 230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lower plate member 210 and the upp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bonding force of the plate member 230 is lowered.

도 7은 리브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example of ribs.

한편, 상기 리브(213, 233)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부판(211, 231)과 상기 하부판(212, 232)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수직형성될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상기 리브(213, 233)의 일측이 상기 리브(213, 233)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상부판(211, 231)의 일측 하부방향으로 하향경사지고, 상기 리브(213, 233)의 타측이 상기 리브(213, 233)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상부판(211, 231)의 타측 하부방향으로 하향경사질 수 있는 등 다양한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2, the ribs 213 and 233 may be vertically formed at regular intervals between the upper plates 211 and 231 and the lower plates 212 and 232,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 One side of the ribs 213 and 233 is formed in a lower direction of the upper plates 211 and 231 in the lower direction from the upper part of the ribs 213 and 233 so as to be formed in the shape of ' And the other side of the ribs 213 and 233 may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lower side of the other side of the upper plates 211 and 231 as the ribs 213 and 233 move downwar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ribs 213 and 233. [ And a structure.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층간소음 차음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8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interlayer noise insulat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층간소음 차음구조는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부콘크리트층(10)과; 상기 하부콘크리트층(10)의 상부에 안착되는 상기 층간소음 차음재(20)와; 상기 층간소음 차음재(20)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콘크리트층(3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건축구조물의 바닥이나 천장을 구성하는 슬래브를 이룰 수 있다.Next, an interlayer noise insulat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wer concrete layer 10; The interlayer noise insulating material 20 seated on the lower concrete layer 10; And an upper concrete layer 30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interlayer noise insulating material 20 to form a slab constituting the floor or ceiling of the building structure.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층간소음 차음재(20)의 융착홈(234)과 상기 관통구(222)에는 모르타르가 충진되어 양생될 수 있다.8, the fusion grooves 234 and the through holes 222 of the interlayer noise insulating material 20 may be filled with mortar and cured.

이와 같이 상기 층간소음 차음재(20)의 융착홈(234)과 상기 관통구(222)에 모르타르가 각각 충진됨에 따라 상기 하부콘크리트층(10) 및 상기 상부콘크리트층(30)으로부터 상기 층간소음 차음재(20)가 분리될 우려가 없어 상기 하부콘크리트층(10) 및 상부콘크리트층(30)과 상기 층간소음 차음재(20)의 상호결합력이 크게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상부콘크리트층(30)의 하중지지력이 크게 향상될 수 있게 된다.As the mortar is filled in the fused groove 234 and the through hole 222 of the interlayer noise insulating material 20 as described above, the interlayer noise insulating material 20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the mutual coupling force between the lower concrete layer 10 and the upper concrete layer 30 and the interlayer noise insulating material 20 can be greatly improved and the load of the upper concrete layer 30 The supporting force can be greatly improved.

한편, 도 3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예의 복수의 상기 융착홈(234)의 바닥부와 상기 하부판부재(210)의 상부판(211)이 접합된 경우, 일예의 상기 융착홈(234)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하부판부재(210)의 리브(213) 및 상기 리브(213) 사이의 틈새에 상기 상부콘크리트층(30)의 하중이 집중되어 상기 층간소음 차음재(20)의 상기 상부콘크리트층(30)의 하중지지력이 저하될 우려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3 and 5, when the bottom of a plurality of the fused grooves 234 and the top plate 211 of the bottom plate member 210 are joined to each other, The load of the upper concrete layer 30 is concentrated in the gap between the rib 213 of the lower plate member 210 and the rib 213 and the load of the upper concret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load bearing capacity of the layer 30 may be lowered.

이에,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른예의 복수의 상기 융착홈(234)의 바닥부와 상기 하부판부재(210)의 하부판(212)이 접합된 경우, 다른예의 복수의 상기 융착홈(234)의 하부방향에 상기 하부판부재(210)의 리브(213) 및 상기 리브(213) 사이의 틈새가 위치하지 않음은 물론 다른예의 복수의 상기 융착홈(234)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층간소음 차음재(20)부위의 상하두께가 두꺼워질 수 있어 t아기 층간소음 차음재(20)가 상기 상부콘크리트층(30)의 하중을 보다 더욱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6, when the bottoms of the plurality of fusion grooves 234 and the bottom plate 212 of the bottom plate member 210 are joined to each other, the bottoms of the plurality of fusion grooves 234 of another example The gap between the rib 213 of the lower plate member 210 and the rib 213 is not positioned in the direction of the thickness of the lower plate member 210 and the interlayer noise insulating material 20 The upper and lower thickness of the upper concrete layer 30 can be thickened so that the t-baby interlayer noise insulating material 20 can more effectively support the load of the upper concrete layer 30. [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층간소음 차음구조의 시공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9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struction method of an interlayer noise insulat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층간소음 차음구조의 시공방법은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a) 하부콘크리트층 형성단계(이하, 'a)단계'라 한다.), b) 층간소음 차음재 안착단계(이하, 'b)단계'라 한다.) 및 c) 상부콘크리트층 형성단계(이하, 'c)단계'라 한다.)9, a method of forming a lower concrete lay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tep a), b) a step of depositing an interlayer noise insulating sound insulating material, (Hereinafter, referred to as 'b') and c) an upper concrete layer forming step (hereinafter referred to as 'c').

도 10은 하부콘크리트층에 층간소음 차음재가 안착 및 층간소음 차음재상에 상부콘크리트층이 형성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10 is a sectional view sequentially showing a process of depositing an interlayer noise insulating material on a lower concrete layer and forming an upper concrete layer on the interlayer noise insulating material.

먼저, 상기 a)단계는 도 10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모르타르를 타설후 양생하여 일정한 상하두께를 갖는 하부콘크리트층(10)을 형성하는 단계이다.10 (a)), the lower concrete layer 10 having a predetermined upper and lower thickness is formed by curing and curing the mortar.

다음으로, 상기 b)단계는 도 10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부콘크리트층(10)의 상부에 상기 층간소음 차음재(20)를 안착하는 단계이다.Next, the step b) is to place the interlayer noise insulating material 20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concrete layer 10 as shown in FIG. 10 b).

다음으로, 상기 c)단계는 도 10의 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층간소음 차음재(20)의 상부에 모르타르를 타설한 후 양생하여 일정한 상하두께를 갖는 상부콘크리트층(30)을 형성하는 단계이다.Next, in the step c), as shown in FIG. 10C, a step of forming an upper concrete layer 30 having a predetermined upper and lower thickness by pouring mortar on the upper part of the interlayer noise insulating material 20 .

상기 c)단계의 상기 층간소음 차음재(20)의 융착홈(234)과 상기 관통구(222)에는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모르타르가 충진되어 양생될 수 있다.The fused groove 234 and the through hole 222 of the interlayer noise insulating material 20 in the step c) may be cured by filling the mortar as described above.

도 11은 하부콘크리트층에 복수의 층간소음 차음재가 안착된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복수의 층간소음 차음재상에 상부콘크리트층이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plurality of interlayer noise insulating materials are seated on a lower concrete layer, and 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n upper concrete layer is formed on the plurality of interlayer noise insulating materials shown in FIG.

다음으로, 상기 b)단계에서 상기 하부콘크리트층(10)의 상부에는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상기 층간소음 차음재(20)가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안착될 수 있다.Next, as shown in FIG. 11, a plurality of the interlayer noise insulating sound insulating materials 20 may be segregat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lower concrete layer 10 in the step b).

어느 하나의 상기 층간소음 차음재(20)와 다른 하나의 상기 층간소음 차음재(20) 사이의 이격공간(S)에는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모르타르가 충진된 후 양생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상부콘크리트층(30)의 하중지지력이 더욱 크게 향상될 수 있다.12, the spacing space S between any one of the interlayer noise insulating materials 20 and the other interlayer noise insulating materials 20 can be cured after being filled with the mortar, The load bearing capacity of the layer 30 can be further improved.

도 13은 하부콘크리트층에 복수의 층간소음차음재가 안착된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복수의 층간소음 차음재상에 상부콘크리트층이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example in which a plurality of interlayer noise insulating materials are seated on a lower concrete layer, and FIG. 14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n upper concrete layer is formed on the plurality of interlayer noise insulating materials shown in FIG.

이와 달리, 상기 b)단계에서 상기 하부콘크리트층(10)의 상부에는 도 13 및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상기 층간소음 차음재(20)가 서로 접한 상태로 안착될 수 있겠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콘크리트층(30)의 하중지지력이 더욱 크게 향상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콘크리트층(10)의 상부에복수의 상기 층간소음 차음재(20)가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안착되는 것이 좋다.Alternatively, as shown in FIGS. 13 and 14, a plurality of the interlayer noise insulating sound insulating materials 20 can be se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concrete layer 10 in step b), but preferably, In order to further enhance the load bearing capacity of the upper concrete layer 30, a plurality of the interlayer noise insulating sound insulating materials 2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lower concrete layer 10, It is good to settle in state.

10; 하부콘크리트층, 20; 층간소음 차음재,
30; 상부콘크리트층.
10; Lower concrete layer, 20; Interlayer noise sound insulating material,
30; Upper concrete layer.

Claims (12)

상부판 및 하부판과, 상기 상부판과 하부판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리브로 구성되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하부판부재와;
상기 하부판부재의 상부판 상에 구비되는 차음시트와;
상부판 및 하부판과, 상기 상부판과 하부판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리브로 구성되어 상기 차음시트상에 구비되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상부판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부판부재, 상기 차음시트 및 상기 상부판부재는 초음파융착에 의해 접합되며,
상기 상부판부재의 일정부분이 초음파융착기에 의해 적어도 상기 하부판부재의 상부판으로 용융된 상태로 상기 상부판부재의 일정부분에 모르타르가 충진되는 융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 차음재.
A lower plate member made of a synthetic resin having a plurality of rib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A sound insulating sheet provided on an upper plate of the lower plate member;
And a top plate member made of a synthetic resin and formed of a plurality of rib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between the top plate and the bottom plate and provided on the sound insulating sheet,
Wherein the lower plate member, the sound insulating sheet and the upper plate member are joined by ultrasonic welding,
Wherein the upper plate member is formed with a fusion groove in which a certain portion of the upper plate member is filled with mortar in a state where a certain portion of the upper plate member is melted by at least an upper plate of the lower plate member by an ultrasonic welder.
상부판 및 하부판과, 상기 상부판과 하부판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리브로 구성되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하부판부재와;
상기 하부판부재의 상부판 상에 구비되는 차음시트와;
상부판 및 하부판과, 상기 상부판과 하부판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리브로 구성되어 상기 차음시트상에 구비되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상부판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부판부재, 상기 차음시트 및 상기 상부판부재는 초음파융착에 의해 접합되며,
상기 상부판부재의 일정부분이 초음파융착기에 의해 상기 하부판부재의 하부판으로 일정깊이로 용융된 상태로 상기 상부판부재의 일정부분에 모르타르가 충진되는 융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 차음재.
A lower plate member made of a synthetic resin having a plurality of rib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A sound insulating sheet provided on an upper plate of the lower plate member;
And a top plate member made of a synthetic resin and formed of a plurality of rib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between the top plate and the bottom plate and provided on the sound insulating sheet,
Wherein the lower plate member, the sound insulating sheet and the upper plate member are joined by ultrasonic welding,
Wherein the upper plate member is formed with a fusion groove in which a certain portion of the upper plate member is filled with mortar in a state where a certain portion of the upper plate member is melted to a predetermined depth by a lower plate of the lower plate member by an ultrasonic weld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융착홈과 대응되는 상기 차음시트부위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 차음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sound insulating sheet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used groov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층간소음 차음재에 관통구가 상하연장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 차음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through hole is vertically formed in the interlayer noise insulating material.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는 상부관통구와;
상기 상부관통구와 연통된 상태로 상기 상부관통구의 하부에 형성되고, 내경크기가 상기 상부관통구의 내경크기보다 작게 형성되는 하부관통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 차음재.
5. The method of claim 4,
The through-hole includes an upper through-hole;
And a lower through-hole formed in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through-hole in a state of being in communication with the upper through-hole and having an inner diameter smaller than an inner diameter of the upper through-hol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판부재와 상기 상부판부재의 상하두께는 3mm ~ 12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 차음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upper and a lower thickness of the lower plate member and the upper plate member is 3 mm to 12 mm.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부재에 상기 융착홈에 일정간격으로 복수형성되고,
상기 융착홈 사이의 좌우간격은 10cm ~ 1000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 차음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plurality of the upper plate members are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fusion grooves,
And the lateral distance between the fusion grooves is 10 cm to 1000 cm.
하부콘크리트층과;
상기 하부콘크리트층에 안착되는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의 층간소음 차음재와;
상기 층간소음 차음재상에 형성되는 상부콘크리트층;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층간소음 차음재의 융착홈에 모르타르가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 차음구조.
A lower concrete layer;
An interlayer noise insulating material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which is seated on the lower concrete layer;
And an upper concrete layer formed on the interlayer noise insulating material, wherein the fusion grooves of the interlayer noise insulating material are filled with mortar.
a) 하부콘크리트층 형성단계와;
b) 상기 하부콘크리트층상에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의 층간소음 차음재를 안착하는 단계와;
c) 상기 층간소음 차음재상에 모르타르를 타설한 후 양생하여 상부콘크리트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c)단계의 층간소음 차음재의 융착홈에 모르타르가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 차음구조의 시공방법.
a) forming a lower concrete layer;
b) placing the interlayer noise insulating material of any one of claims 1 to 7 on the lower concrete layer;
c) forming a top concrete layer by curing the mortar after pouring the mortar on the interlayer noise insulating material, wherein mortar is filled in the fusion grooves of the interlayer noise insulating material of step c) Construction method of structur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70154445A 2017-11-20 2017-11-20 Construction method of interlayer noise sound insulation, interlayer sound insulation structure and interlayer noise insulation structure KR10192573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4445A KR101925730B1 (en) 2017-11-20 2017-11-20 Construction method of interlayer noise sound insulation, interlayer sound insulation structure and interlayer noise insulation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4445A KR101925730B1 (en) 2017-11-20 2017-11-20 Construction method of interlayer noise sound insulation, interlayer sound insulation structure and interlayer noise insulation struct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5730B1 true KR101925730B1 (en) 2018-12-05

Family

ID=64744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4445A KR101925730B1 (en) 2017-11-20 2017-11-20 Construction method of interlayer noise sound insulation, interlayer sound insulation structure and interlayer noise insulation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573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63085A (en) * 2019-09-17 2020-02-07 南京航空航天大学 Micro-perforated orthogonally-arranged rectangular tube sandwich sound absorption and energy absorption composite structur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8588Y1 (en) * 2005-07-12 2005-10-13 화신기업 주식회사 Interlayer noise blocking structure inside the buildi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8588Y1 (en) * 2005-07-12 2005-10-13 화신기업 주식회사 Interlayer noise blocking structure inside the build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63085A (en) * 2019-09-17 2020-02-07 南京航空航天大学 Micro-perforated orthogonally-arranged rectangular tube sandwich sound absorption and energy absorption composite struc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87449U (en) Stilt floorboard
KR101783460B1 (en) Assembly type reinforcement block
US10053870B2 (en) Building material
KR101925730B1 (en) Construction method of interlayer noise sound insulation, interlayer sound insulation structure and interlayer noise insulation structure
KR101465410B1 (en) Interfloor Soundproof Structure of Building and Mat with Air-filled Aircap for Interfloor Soundproof Structure
KR20200113757A (en) Construction method of interlayer noise barrier structure and interlayer noise barrier structure
KR101699724B1 (en) Buffer Flooring Material Building Slab
JP6130812B2 (en) Floor structure
KR100993495B1 (en) Ventilation panel for removing moisture of slab
KR101492508B1 (en) Soundproof interfloor structure of building
KR102237498B1 (en) Noise Suppression
KR100966730B1 (en) Interfloor soundproof panel
RU2627524C2 (en) Platform assembly-monolithic joint
EP3059350B1 (en) Formwork edge element and method for forming a foundation for a building
KR101639319B1 (en) Vibration Isolator Capable of Reducing the Transmission of Vibration of the Vertical Member and Floor Vibration Isolation System Using the Same
KR101656079B1 (en) manufacturing method for vibration proof bridging joist and floor system
KR100919555B1 (en) Slab and its Constructing Method for Preventing Propagation of Impact Sound
JP2016150527A (en) Concrete form
KR101943918B1 (en) The architectural flooring
EP3161220A1 (en) Building element suitable for forming a wall of a building
JP2020076218A (en) Slab support structure and slab construction method
KR101549921B1 (en) The vibration insulation for reduce noise prevention between floors for building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1229086B1 (en) Mold board of slab opening that i do not need short pillar
JPH0630981Y2 (en) Floor panel
KR102615129B1 (en) An inter-floor noise prevention mat for constru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