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5412B1 - 휴대 단말기의 슬립 모드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의 슬립 모드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5412B1
KR101925412B1 KR1020120072239A KR20120072239A KR101925412B1 KR 101925412 B1 KR101925412 B1 KR 101925412B1 KR 1020120072239 A KR1020120072239 A KR 1020120072239A KR 20120072239 A KR20120072239 A KR 20120072239A KR 101925412 B1 KR101925412 B1 KR 1019254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p mode
control unit
portable terminal
sub
mo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2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5406A (ko
Inventor
허창룡
박근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722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5412B1/ko
Priority to US13/933,596 priority patent/US9851779B2/en
Priority to EP13174872.5A priority patent/EP2683204B1/en
Priority to EP17184092.9A priority patent/EP3255934B1/en
Priority to PCT/KR2013/005888 priority patent/WO2014007533A1/en
Publication of KR201400054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5406A/ko
Priority to US15/827,364 priority patent/US20180081421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54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54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OR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93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by switching to a less power-consuming processor, e.g. sub-CPU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15Monitoring of peripher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67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controlling user interface components
    • H04W52/027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controlling user interface components by controlling a display operation or backlight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7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 H04W52/028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switching on or off only a part of the equipment circuit bloc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5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 H04W52/025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detecting a user operation or a tactile contact or a motion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87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changing the clock frequency of a controller in the equipment
    • H04W52/0293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changing the clock frequency of a controller in the equipment having a sub-controller with a low clock frequency switching on and off a main controller with a high clock frequenc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Abstract

본 발명은 저전력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슬립 모드 해제를 제어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의 슬립 모드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슬립 모드로 진입 요청 시 저전력으로 구동되는 서브 제어부를 활성화하는 단계; 상기 서브 제어부가 웨이크 업 이벤트 발생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상기 웨이크 업 이벤트 발생 시 상기 슬립 모드를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의 슬립 모드 제어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LEEP MODE IN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슬립 모드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저전력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슬립 모드 해제를 제어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의 슬립 모드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 기술과 반도체 기술 등의 눈부신 발전에 힘입어 휴대 단말기의 보급과 이용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는 통화 기능, 음악 재생 기능, 문자 메시지 송수신 기능, 디지털 방송 수신 기능,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 인터넷 접속 기능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한편, 상기 휴대 단말기는 휴대성을 위하여 배터리를 사용하고 있다. 상기 배터리의 사용으로 인하여 전류 소모를 줄이는 방안은 휴대 단말기 분야에서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상기 전류 소모를 줄이기 위하여, 종래의 휴대 단말기는 사용하지 않을 때, 저전력 모드 즉, 슬립 모드(Sleep Mode)로 동작한다. 상기 슬립 모드로 동작 중인 휴대 단말기는 웨이크업(Wake-up) 이벤트가 발생되면 슬립 모드를 해제하고 활성화 모드(Active Mode)로 동작한다. 예컨대, 상기 웨이크 업 이벤트는 물리적인 키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키 신호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물리적인 키 입력이 요구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불편할 수 있다. 예컨대, 양손이 지저분한 경우 사용자는 손을 씻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물리적인 접촉없이 즉, 키 입력 없이 모션 또는 음성을 통해 휴대 단말기의 슬립 모드를 해제하는 방안이 고려되고 있다. 하지만, 상기 모션 또는 음성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의 슬립 모드를 해제하기 위해서, 휴대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 AP)와 같은 메인 제어부는 활성화 상태를 유지하거나, 주기적으로 깨어나야만 한다. 이로 인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전류 소모가 많아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슬립 모드에서 저전력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웨이크 업 이벤트 발생을 모니터링하는 휴대 단말기의 슬립 모드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슬립 모드 제어 방법은 메인 제어부가, 슬립 모드 진입 요청을 감지 시, 상기 메인 제어부보다 낮은 전력으로 구동되는 서브 제어부를 활성화하는 단계; 상기 서브 제어부가 웨이크 업 이벤트 발생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상기 웨이크 업 이벤트 발생 시 상기 슬립 모드를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소정 상황 감지로 인하여, 상기 슬립 모드가 웨이크 업 모드로 변경된 경우, 상기 휴대 단말기의 일부 기능을 제한하거나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전원을 파워 오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슬립 모드 제어 장치는 슬립 모드 진입 요청을 감지하는 메인 제어부; 및 상기 메인 제어부보다 낮은 전력으로 구동되며, 상기 슬립 모드 진입 요청 시 활성화되어 웨이크 업 이벤트 발생을 모니터링하며, 상기 웨이크업 이벤트 발생 시 상기 메인 제어부를 웨이크 업시키는 서브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소정 상황 감지로 인하여, 상기 슬립 모드가 웨이크 업 모드로 변경된 경우, 상기 휴대 단말기의 일부 기능을 제한하거나 상기 휴대단말기의 전원을 파워 오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슬립 모드 제어 방법 및 장치는 슬립 모드 진입 시 저전력 프로세서를 활성화하고, 상기 저전력 프로세서를 통해 슬립 모드 해제를 위한 웨이크 업 이벤트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이로 인하여, 본 발명은 슬립 모드에서 전류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카메라, 마이크 및 다수의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저전력 프로세서에서 처리하도록 구성함에 따라 슬립 모드에서 소모되는 전류를 줄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슬립 모드 상태에서 카메라의 화소 중 일부만을 활성화하고, 상기 카메라와 저전력 프로세서를 저속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됨에 따라 전류 소모를 더욱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슬립 모드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 중 모션 신호 감지를 통한 휴대 단말기의 슬립 모드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 중 음성 신호 감지를 통한 휴대 단말기의 슬립 모드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 중 센서 신호 감지를 통한 휴대 단말기의 슬립 모드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저전력 모드(슬립 모드)를 제공하는 단말기로, 이동통신 단말기, 스마트 폰, 태블릿 PC, 핸드-헬드(hand-held) PC, 휴대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 PDA) 등이 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메인 제어부(110), 서브 제어부(190), 카메라(180), 공유 메모리(170), 오디오 처리부(160), 센서부(150), 입력부(140), 표시부(130) 및 저장부(120)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40)는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입력받고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입력키 및 기능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능키들은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방향키, 사이드 키 및 단축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140)는 사용자 설정 및 휴대 단말기(100)의 기능 제어와 관련한 키 신호를 생성하여 메인 제어부(110)로 전달한다. 상기 키 신호는 전원 온/오프 신호, 볼륨 조절 신호, 화면 온/오프 신호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140)는 다수개의 키들을 포함하는 쿼티 키패드, 3*4 키패드, 4*3 키패드, 볼 조이스틱(Ball Joystick), 옵티컬 조이스틱(Optical Joystick), 휠 키(Wheel Key), 터치 키(Touch key), 터치 패드(Touch Pad), 터치스크린(Touch-screen) 등과 같은 입력 수단들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입력부(140)는 휴대 단말기(100)가 풀 터치스크린을 지원하는 경우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케이스 측면에 형성되는 볼륨 조절을 위한 볼륨 키, 화면 온/오프 및 휴대단말기 온/오프를 위한 전원 키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표시부(130)는 휴대 단말기(100)의 각종 메뉴를 비롯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정보를 표시한다. 즉, 상기 표시부(130)는 휴대 단말기(100)의 이용에 따른 다양한 화면 예를 들면, 홈 화면, 메뉴 화면, 메시지 작성 화면, 통화 화면, 일정 관리 화면, 주소록 화면, 웹 페이지 출력 화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30)는 슬립 모드 진입 시 오프(OFF)되고, 슬립 모드 해제 시 온(ON)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표시부(130)는 메인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위험 상황을 알리는 알람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부(130)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ed Diode : OLED)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표시부(130)가 터치스크린(Touch-screen)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표시부(130)는 입력부(미도시)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카메라(180)는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장치로, 피사체를 전기적인 영상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180)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방식 또는 CCD(Charge Coupled Device)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18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한 것이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카메라(180)는 메인 제어부(110) 및 서브 제어부(190)와 연결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카메라(180)는 활성화 모드인 경우 고속 인터페이스(High Speed Interface) 예컨대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 MDDI(Mobile Display Digital Interface) 등을 통해 메인 제어부(110)와 연결되고, 슬립 모드인 경우 저속 인터페이스(Low Speed Interface) 예컨대 I2C(Inter-Integrated Circuit), SPI(Serial Peripheral Interconnect) 등을 통해 서브 제어부(19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180)는 슬립 모드 시 활성화되어 사용자의 모션(움직임)을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카메라(180)는 입력되는 프리뷰 이미지를 서브 제어부(19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브 제어부(190)는 프리뷰 이미지들을 비교하여 특정 피사체(예컨대 사용자의 손)의 움직임을 인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카메라(180)는 전체 화소 중 일부 화소만 활성화될 수 있다. 즉, 상기 카메라(180)는 슬립 모드에서는 일부 화소만을 활성화하여 사용자의 모션 감지 및 저해상도의 이미지의 검출용으로 구동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상기 카메라(180)는 활성화 모드에서 모든 화소를 활성화하여 고해상도의 이미지의 검출용(즉, 카메라 용도)으로 구동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슬립 모드에서의 전류 소모를 줄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는데 상기 카메라(180)의 전체 화소가 필요가 없기 때문에 일부 화소만을 활성화하여 슬립 모드에서 소모되는 전류를 줄일 수 있다.
상기 오디오 처리부(160)는 통화 시 송수신 되는 오디오 데이터,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된 오디오 데이터, 저장부(120)에 저장된 오디오 파일 재생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 등을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SPK)와, 통화 시 사용자의 음성 또는 기타 오디오 신호를 수집하기 위한 제1마이크(MIC1)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처리부(160)는 슬립 모드 상태에서 위험 상황인 감지되었음을 알리는 알람 효과음을 스피커(SPK)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150)는 휴대 단말기(100)의 주변 상황 및 상태(정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150)는 슬립 모드에서 휴대 단말기(100)의 주변 상황 및 상태에 대응하는 센서 값을 서브 제어부(190)에 전송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상기 센서부(150)는 활성화 모드에서 휴대 단말기(100)의 주변 상황 및 상태에 대응하는 센서 값을 메인 제어부(11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센서부(150)는 가속도 센서, 모션 센서, 지자기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기압 센서, 압력 센서, 중력 센서, 비전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1에서는 센서부(150)가 서브 제어부(190) 및 메인 제어부(110)와 동시에 연결된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슬립 모드 시 상기 센서부(150)와 서브 제어부(190)가 연결되고, 활성화 모드 시 상기 센서부(150)와 메인 제어부(110)가 연결되도록 스위칭되는 스위치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저장부(120)는 휴대 단말기(100)의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를 비롯하여, 기타 옵션(options) 기능 예컨대, 소리 재생 기능, 이미지 또는 동영상 재생 기능, 방송 재생 기능 등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비롯하여, 사용자 데이터 및 통신 시 송수신되는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저장부(120)는 동영상 파일, 게임 파일, 음악 파일, 영화 파일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저장부(120)는 모션 웨이크 업 패턴, 음성 웨이크 업 패턴, 알람 조건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모션 웨이크 업 패턴은 피사체(예컨대, 손이나 펜 등)가 좌에서 우(□)로 이동되는 패턴, 피사체가 우에서 좌로(□) 이동되는 패턴, 피사체가 좌에서 우로(□)로 다시 우에서 좌(□)로 이동되는 패턴, 피사체가 아래에서 위로(□) 이동되는 패턴, 피사체가 위에서 아래(□)로 이동되는 패턴, 다시 아래에서 위로(□)로 이동되는 패턴, 피사체가 소정의 도형(원, 삼각형, 별 등)으로 이동되는 패턴 등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모션 웨이크 업 패턴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상기 음성 웨이크 업 패턴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알람 조건은 휴대 단말기(100)가 손상될 수 있는 상황 또는 사용자가 위험할 수 있는 상황 등을 판별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기준값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알람 조건은 고온 기준값(예컨대 70 도), 저온 기준값(예컨대 -5 도), 습도 기준값(70 %), 자유 낙하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값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모션 웨이크 업 패턴, 음성 웨이크 업 패턴, 알람 조건은 슬립 모드 진입 시 서브 제어부(190)에 전송되거나, 서브 제어부(190)가 접근할 수 있는 영역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메인 제어부(110)는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휴대 단말기(100)의 내부 블록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메인 제어부(11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 CPU),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등이 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메인 제어부(110)는 슬립 모드 진입이 요청되는 경우 서브 제어부(190)를 활성화시키고, 슬립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제어부(110)는 슬립 모드에서 상기 서브 제어부(190)로부터 웨이크 업 신호 입력 시 웨이크 업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메인 제어부(110)는 인터럽트 단자(Wake-up)를 통해 웨이크 업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제어부(110)는 휴대 단말기(100)의 위험 상황 감지로 인하여 슬립 모드가 해제된 경우 이를 알리는 알람을 통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메인 제어부(110)는 알람 메시지를 표시부(130)에 표시, 오디오 처리부(160)의 스피커(SPK)를 통해 알람 효과음을 출력 및 진동 모터(미도시)를 통해 진동을 발생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알람을 통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제어부(110)는 휴대 단말기(100)의 위험 상황 감지로 인하여 슬립 모드가 해제된 경우 휴대 단말기(100)의 일부 기능을 제한하거나, 파워 오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는 휴대 단말기(100)를 안정화시켜 파손 또는 고장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메인 제어부(110)는 휴대 단말기(100)의 위험 상황 감지로 인하여 슬립 모드가 해제된 경우 위험 상황에서 감지된 센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제어부(110)는 사용자가 접근할 수 없거나, 삭제할 수 없는 영역에 상기 센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서브 제어부(190)는 슬립 모드 진입 시 활성화되어, 슬립 모드의 해제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서브 제어부(190)는 저전력 프로세서인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 Processor Unit : MPU), MCU(Micro Control Unit)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서브 제어부(190)는 모션 신호 감지, 음성 신호 감지, 센서 신호 감지를 통한 웨이크 업 신호 발생을 모니터링(Monitoring)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서브 제어부(190)는 카메라(180)로부터 입력되는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모션 패턴을 추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서브 제어부(190)는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모션 패턴을 추출하는 모션 패턴 추출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이 후, 상기 서브 제어부(190)는 추출된 모션 패턴과 기 저장된 모션 웨이크 업 패턴을 비교할 수 있다. 상기 서브 제어부(190)는 상기 추출된 모션 패턴이 상기 모션 웨이크 업 패턴과 일치하는 경우 웨이크 업 신호를 메인 제어부(11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브 제어부(190)는 웨이크 업 신호를 메인 제어부(110)의 인터럽트 단자(Wake-up)에 직접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 제어부(190)는 제2마이크(MIC2)를 통해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nalog-Digital Converter : ADC) 및 증폭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 제어부(190)는 상기 디지털 신호를 분석하여 음성 패턴을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서브 제어부(190)는 상기 추출된 음성 패턴을 기 저장된 음성 웨이크 업 패턴과 비교할 수 있다. 상기 서브 제어부(190)는 상기 추출된 음성 패턴이 상기 음성 웨이크 업 패턴과 일치하는 경우 웨이크 업 신호를 메인 제어부(11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 제어부(190)는 센서부(190)로부터 센서 신호를 수신하여, 기 저장된 알람 조건을 만족하는 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서브 제어부(190)는 수신된 센서 신호가 알람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웨이크 업 신호를 메인 제어부(11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브 제어부(190)는 센서 정보를 메인 제어부(110)에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서브 제어부(190)는 센서 정보를 사용자가 접근할 수 없거나, 삭제할 수 없는 영역에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공유 메모리(170)는 서브 제어부(190)와 메인 제어부(110) 사이에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해주는 매개체이다. 상기 중간 통신 처리부(160))는 듀얼 포트 램(DPRAM; Dual Ported RAM)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 제어부(190)와 메인 제어부(110)가 직접 통신이 가능한 경우 상기 공유 메모리(170)는 생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1에서는 2개의 마이크(제1마이크(MIC1) 및 제2마이크(MIC2))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하나의 마이크(MIC)와, 슬립 모드 시 상기 마이크(MIC)와 서브 제어부(190)를 연결하고, 활성화 모드 시 상기 마이크(MIC)와 오디오 처리부(160)를 연결하는 스위치부(미도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도 1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위치 정보 수신을 위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방송 수신을 위한 방송 수신 모듈, MP3 모듈과 같은 디지털 음원 재생 모듈 및 인터넷 기능을 수행하는 인터넷 통신 모듈, 휴대 단말기(100)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모션 센서 모듈 등의 부가 기능을 갖는 구성 요소들을 선택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디지털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변형이 매우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으나,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언급된 구성 요소들과 동등한 수준의 구성 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슬립 모드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상기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인 제어부(110)는 201 단계에서 슬립 모드 진입이 요청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슬립 모드 진입은 일정 시간 이상 신호 입력이 없거나, 슬립 모드를 요청하는 기능 키(예컨대 전원 키) 신호 입력 시 요청될 수 있다.
상기 슬립 모드 진입이 요청되지 않는 경우 상기 메인 제어부(110)는 201 단계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인 제어부(11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음악 재생 기능, 인터넷 접속 기능, 사진 촬영 기능 등을 수행할 수도 있다. 반면에, 상기 슬립 모드 진입이 요청되는 경우 상기 메인 제어부(110)는 203 단계로 진행하여 서브 제어부(190)를 활성화하고, 205 단계에서 슬립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메인 제어부(110)는 203 단계에서 모션 웨이크 업 패턴, 음성 웨이크 업 패턴, 알람 조건 등을 상기 서브 제어부(190)에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서브 제어부(190)는 207 단계에서 웨이크 업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웨이크-업 이벤트는 기 정의된 패턴을 가지는 모션 입력, 음성 입력 및 다양한 조건에 부합하는 센서 신호 입력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207 단계에서 슬립 모드를 해제하는 웨이크 업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 상기 서브 제어부(110)는 207 단계를 유지할 수 있다. 즉, 휴대 단말기(100)는 슬립 모드를 유지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웨이크 업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서브 제어부(190)는 209 단계로 진행하여 메인 제어부(110)를 활성화할 수 있다. 즉, 상기 서브 제어부(190)는 메인 제어부(110)에 웨이크 업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웨이크 업 신호는 인터럽트 신호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메인 제어부(110)가 웨이크 업되어 슬립 모드가 해제되는 경우 상기 서브 제어부(190)는 비활성화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슬립 모드 제어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슬립 모드 제어 방법에 대한 다양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세하게는, 이하에서는 상기 카메라(180)를 통한 움직임(모션) 감지를 통해 슬립 모드를 해제하는 제1실시 예, 제2마이크(MIC2)를 통한 음성 인식을 통해 슬립 모드를 해제하는 제2실시 예 및 센서부(150)를 통한 센서 정보를 통해 슬립 모드를 해제하는 제3실시 예로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이 아래의 제1 내지 제3실시 예로 한정되지 않음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 중 모션 신호 감지를 통한 휴대 단말기의 슬립 모드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상기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301 단계에서 슬립 모드로 구동될 수 있다. 즉, 전류 소모가 많은 메인 제어부(110)를 대신하여 상대적으로 전류 소모가 적은 서브 제어부(190)가 슬립 모드 해제를 요청하는 웨이크 업 이벤트 발생을 모니터링하고 있다.
상기 서브 제어부(190)는 303 단계에서 모션 정보가 검출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카메라(180)는 슬립 모드 진입 시 활성화될 수 있다. 한편, 슬립 상태에서의 전류 소모를 줄이기 위하여, 상기 카메라(180)는 항상 온(ON)되어 있지 않고, 일정 주기 마다 온(ON)될 수도 있다. 또한, 전류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카메라(180)는 일부 화소만을 활성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카메라(180)는 전체 200만 화소 중 1/100 또는 1/1000의 화소만을 활성화할 수 있다. 상기 슬립 모드에서 활성화되는 카메라(180)의 화소 수는 사용자의 모션을 식별할 수 있는 최소 화소 수, 서브 제어부(190)와 카메라(180) 사이의 인터페이스 속도, 활성화될 일부 화소 수에 따른 전류 소모량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303 단계에서 모션 정보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 상기 서브 제어부(190)는 303 단계를 유지할 수 있다. 즉, 휴대 단말기(100)는 슬립 모드를 유지하고, 서브 제어부(190)는 웨이크 업 이벤트 발생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303 단계에서 모션 정보가 검출되는 경우 상기 서브 제어부(190)는 305 단계에서 휴대 단말기(100)의 상태(휴대 단말기의 정지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서브 제어부(19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예컨대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지자기 센서 등)를 통해 휴대 단말기(100)의 상태를 체크할 수 있다.
상기 서브 제어부(190)는 307 단계에서 상기 체크 결과를 기반으로 휴대 단말기(100)가 정지된 상태인지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305 단계 및 307 단계는 피사체가 고정된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100)가 움직여 피사체의 움직임이 감지된 것으로 인식하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307 단계에서 휴대 단말기(100)가 정지된 상태가 아닌 경우 상기 서브 제어부(190)는 상기 303 단계로 복귀하여 상술한 과정을 반복 수행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307 단계에서 휴대 단말기(100)가 정지된 상태인 경우 상기 서브 제어부(190)는 309 단계에서 검출된 모션 정보로부터 모션 패턴을 추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서브 제어부(190)는 패턴 추출 기능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션 패턴 추출이 완료되면, 상기 서브 제어부(190)는 311 단계에서 상기 추출된 모션 패턴이 기 저장된 모션 웨이크 업 패턴과 일치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서브 제어부(190)는 모션 웨이크 업 패턴을 저장하는 저장 기능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서브 제어부(190)는 모션 웨이크 업 패턴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120)에 엑세스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션 웨이크 업 패턴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서브 제어부(190)는 상기 303 단계로 복귀하여 상술한 단계를 반복 수행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모션 웨이크 업 패턴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서브 제어부(190)는 313 단계에서 메인 제어부(110)를 활성화할 수 있다. 즉, 상기 서브 제어부(190)는 웨이크 업 신호를 메인 제어부(110)에 전송하여 메인 제어부(110)를 웨이크 업시킴으로써, 휴대 단말기(100)의 슬립 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 상기 웨이크 업 신호는 인터럽트 신호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 중 음성 신호 감지를 통한 휴대 단말기의 슬립 모드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상기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401 단계에서 슬립 모드로 구동될 수 있다. 즉, 상기 서브 제어부(190) 및 제2마이크(MIC2)가 활성화된 상태이다.
상기 서브 제어부(190)는 403 단계에서 제2마이크(MIC2)를 통해 음성 신호가 입력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403 단계에서 음성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상기 서브 제어부(190)는 403 단계를 유지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403 단계에서 음성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서브 제어부(190)는 405 단계에서 입력된 음성 신호로부터 음성 패턴을 추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음성 패턴 추출은 음성 인식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음성 패턴 추출이 완료되면, 상기 서브 제어부(190)는 407 단계에서 상기 추출된 음성 패턴이 기 저장된 음성 웨이크 업 패턴과 일치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서브 제어부(190)는 음성 웨이크 업 패턴을 저장하는 저장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또는, 상기 서브 제어부(190)는 음성 웨이크 업 패턴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120)에 엑세스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성 웨이크 업 패턴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서브 제어부(190)는 상기 403 단계로 복귀하여 상술한 단계를 반복 수행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음성 웨이크 업 패턴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서브 제어부(190)는 409 단계에서 메인 제어부(110)를 활성화할 수 있다. 즉, 상기 서브 제어부(190)는 웨이크 업 신호를 메인 제어부(110)에 전송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슬립 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 상기 웨이크 업 신호는 인터럽트 신호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 중 센서 신호 감지를 통한 휴대 단말기의 슬립 모드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상기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501 단계에서 슬립 모드로 구동될 수 있다. 즉, 상기 서브 제어부(190) 및 센서부(150)가 활성화된 상태이다. 이때, 상기 센서부(150)는 센싱 결과를 서브 제어부(190)에 전송한다.
상기 서브 제어부(190)는 503 단계에서 센서부(150)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센서 정보가 검출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503 단계에서 센서 정보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 상기 서브 제어부(190)는 503 단계를 유지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503 단계에서 센서 정보가 검출되는 경우 상기 서브 제어부(190)는 505 단계에서 검출된 센서 정보가 기 저장된 알람 조건을 만족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서브 제어부(190)는 상기 알람 조건을 저장하는 저장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또는, 상기 서브 제어부(190)는 상기 알람 조건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120)에 엑세스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람 조건은 휴대 단말기(100)가 손상되거나, 사용자가 위험할 수 있는 상황에 대한 기준 값이다. 예를 들어, 상기 알람 조건은 고온 온도 값, 저온 온도 값, 습도 값, 압력 값, 가속도 값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센서 정보가 상기 알람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서브 제어부(190)는 상기 503 단계로 복귀하여 상술한 단계를 반복 수행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센서 정보가 상기 알람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서브 제어부(190)는 507 단계에서 메인 제어부(110)를 활성화할 수 있다. 즉, 상기 서브 제어부(190)는 웨이크 업 신호를 메인 제어부(110)에 전송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슬립 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 상기 웨이크 업 신호는 인터럽트 신호일 수 있다.
상기 슬립 모드가 해제되면, 상기 메인 제어부(110)는 509 단계에서 휴대 단말기(100)의 일부 기능을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메인 제어부(110)는 표시부(130)를 오프하거나, 밝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는 고온에서 표시부(130)의 전류 소모가 증가하기 때문이다. 다른 예로, 상기 메인 제어부(110)는 고온에서 배터리의 충전을 중지시킬 수 있다. 이는 고온에서 배터리를 충전하는 경우 폭발의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또 다른 예로, 상기 메인 제어부(110)는 휴대 단말기(100)이 자유 낙하가 감지되는 경우 충격 방지 회로를 구동하거나,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메인 제어부(110)는 습도가 높은 경우 침수로 인한 회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메인 제어부(110)는 511 단계에서 센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센서 정보는 사용자가 접근 또는 삭제할 수 없는 영역에 저장될 수 있다.상기 저장된 센서 정보를 통해 휴대 단말기(100)의 수리 시 정확한 고장 원인을 파악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제어부(110)는 513 단계에서 위험 상황을 알리는 알람을 통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메인 제어부(110)는 알람 메시지를 표시부(130)에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메인 제어부(110)는 알람 효과음을 오디오 처리부(160)의 스피커(SPK)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메인 제어부(110)는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509 단계에서 전원이 차단된 경우 상기 메인 제어부(110)는 휴대 단말기(100)가 다시 온되었을 때, 알람을 통지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슬립 모드 제어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슬립 모드 제어 방법 및 장치에 대하여 본 명세서 및 도면을 통해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 휴대 단말기 110 : 메인 제어부
120 : 저장부 130 : 표시부
140 : 입력부 150 : 센서부
160 : 오디오 처리부 170 : 공유 메모리
180 : 카메라 190 : 서브 제어부

Claims (20)

  1. 휴대 단말기의 슬립 모드 제어 방법에 있어서,
    메인 제어부가, 슬립 모드 진입 요청을 감지 시, 상기 메인 제어부보다 낮은 전력으로 구동되는 서브 제어부를 활성화하는 단계;
    상기 서브 제어부가 웨이크 업 이벤트 발생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상기 웨이크 업 이벤트 발생 시 상기 슬립 모드를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소정 상황 감지로 인하여, 상기 슬립 모드가 웨이크 업 모드로 변경된 경우, 상기 휴대 단말기의 일부 기능을 제한하거나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전원을 파워 오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슬립 모드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크 업 이벤트 발생을 모니터링 하는 단계는
    카메라를 통해 모션 신호가 입력되는지 확인하는 단계;
    마이크를 통해 음성 신호가 입력되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센서 신호가 입력되는지 확인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슬립 모드 제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크 업 이벤트 발생을 모니터링하는 단계는
    상기 모션 신호로부터 모션 패턴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모션 패턴과 기 설정된 모션 웨이크 업 패턴이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음성 신호로부터 음성 패턴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음성 패턴과 기 설정된 음성 웨이크 업 패턴이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된 센서 신호가 기 설정된 알람 조건을 만족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슬립 모드 제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크 업 이벤트 발생을 모니터링하는 단계는
    상기 모션 신호 입력 시 휴대 단말기가 정지 상태인지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슬립 모드 제어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를 통해 모션 신호가 입력되는지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카메라의 일부 화소만을 이용하여 모션 신호 입력을 확인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슬립 모드 제어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신호로부터 음성 패턴을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마이크로부터 입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디지털 신호를 분석하여 음성 패턴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슬립 모드 제어 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센서 신호가 기 설정된 알람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휴대 단말기의 일부 기능을 제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슬립 모드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기 설정된 알람을 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슬립 모드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센서 신호를 사용자가 접근할 수 없는 보호된 영역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슬립 모드 제어 방법.
  10. 휴대 단말기의 슬립 모드 제어 장치에 있어서,
    슬립 모드 진입 요청을 감지하는 메인 제어부; 및
    상기 메인 제어부보다 낮은 전력으로 구동되며, 상기 슬립 모드 진입 요청 시 활성화되어 웨이크 업 이벤트 발생을 모니터링하며, 상기 웨이크업 이벤트 발생 시 상기 메인 제어부를 웨이크 업시키는 서브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소정 상황 감지로 인하여, 상기 슬립 모드가 웨이크 업 모드로 변경된 경우, 상기 휴대 단말기의 일부 기능을 제한하거나 상기 휴대단말기의 전원을 파워 오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슬립 모드 제어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제어부와 연결되며, 상기 슬립 모드 시 활성화되어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는 카메라;
    상기 서브 제어부와 연결되며, 상기 슬립 모드 시 활성화되어 음성 신호를 수신하는 마이크; 및
    상기 서브 제어부와 연결되며, 상기 슬립 모드 시 활성화되어 상기 휴대 단말기의 주변 상황 및 상태를 센싱하는 센서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슬립 모드 제어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상기 슬립 모드 시 일부 화소만 활성화되며, 상기 서브 제어부와 저속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휴대 단말기의 슬립 모드 제어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제어부는
    상기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슬립 모드 제어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가속도 센서, 모션 센서, 지자기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기압 센서, 압력 센서, 중력 센서, 비전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슬립 모드 제어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사용자의 모션으로부터 모션 패턴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모션 패턴과 기 설정된 모션 웨이크 업 패턴이 일치하는 경우 상기 웨이크 업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슬립 모드 제어 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모션 감지 시 휴대 단말기가 정지 상태인지 확인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가 정지 상태인 경우 상기 감지된 사용자의 모션으로부터 모션 패턴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슬립 모드 제어 장치.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제어부는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신호로부터 음성 패턴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음성 패턴과 기 설정된 음성 웨이크 업 패턴이 일치하는 경우 상기 웨이크 업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슬립 모드 제어 장치.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를 통해 센싱된 휴대 단말기의 주변 상황 및 상태가 기 설정된 알람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웨이크 업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슬립 모드 제어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알람 조건을 만족하여 상기 웨이크 업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휴대 단말기의 일부 기능을 제한하고, 기 설정된 알람을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슬립 모드 제어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알람 조건을 만족하여 상기 웨이크 업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센서부를 통해 센싱된 센싱 정보를 사용자가 접근할 수 없는 보호된 영역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슬립 모드 제어 장치.
KR1020120072239A 2012-07-03 2012-07-03 휴대 단말기의 슬립 모드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9254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2239A KR101925412B1 (ko) 2012-07-03 2012-07-03 휴대 단말기의 슬립 모드 제어 방법 및 장치
US13/933,596 US9851779B2 (en) 2012-07-03 2013-07-02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leep mode using a low power processor in portable terminal
EP13174872.5A EP2683204B1 (en) 2012-07-03 2013-07-03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leep mode in portable terminal
EP17184092.9A EP3255934B1 (en) 2012-07-03 2013-07-03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leep mode in portable terminal
PCT/KR2013/005888 WO2014007533A1 (en) 2012-07-03 2013-07-03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leep mode in portable terminal
US15/827,364 US20180081421A1 (en) 2012-07-03 2017-11-30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leep mode using a low power processor in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2239A KR101925412B1 (ko) 2012-07-03 2012-07-03 휴대 단말기의 슬립 모드 제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406A KR20140005406A (ko) 2014-01-15
KR101925412B1 true KR101925412B1 (ko) 2018-12-05

Family

ID=48771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2239A KR101925412B1 (ko) 2012-07-03 2012-07-03 휴대 단말기의 슬립 모드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9851779B2 (ko)
EP (2) EP2683204B1 (ko)
KR (1) KR101925412B1 (ko)
WO (1) WO20140075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12706B1 (en) 2001-09-06 2014-08-1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ensating for mismatched delays in signals of a mobile display interface (MDDI) system
EP2375676B1 (en) * 2004-03-10 2013-06-26 Qualcomm Incorporated High data rate interface apparatus and method
US8873584B2 (en) 2004-11-24 2014-10-28 Qualcomm Incorporated Digital data interface device
US9552037B2 (en) * 2012-04-23 2017-01-24 Google Inc. Switching a computing device from a low-power state to a high-power state
US9674590B2 (en) * 2012-11-28 2017-06-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sensor information in portable terminal
US9600049B2 (en) * 2013-06-07 2017-03-21 Apple Inc. Motion fencing
US10694106B2 (en) * 2013-06-14 2020-06-23 Qualcomm Incorporated Computer vision application processing
US9896373B2 (en) * 2013-11-26 2018-02-20 Corning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large feature creation in glass and glass-ceramic articles
KR102210433B1 (ko) * 2014-01-21 2021-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음성 인식 방법
US10182394B2 (en) * 2014-05-08 2019-01-15 Sony Corporation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method, and program
CN105425933A (zh) * 2014-09-23 2016-03-23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GB2531718B (en) * 2014-10-24 2017-08-02 Cambridge temperature concepts ltd Activating an electronic device
KR20160054850A (ko) 2014-11-07 2016-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수의 프로세서들을 운용하는 장치 및 방법
CN105991822B (zh) * 2015-02-03 2021-02-2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终端应用的控制方法及装置
KR20160114930A (ko) * 2015-03-25 2016-10-06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듈 인식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KR102354330B1 (ko) * 2015-07-31 2022-01-21 삼성전자주식회사 스마트 디바이스 및 그 동작 방법
US9449655B1 (en) 2015-08-31 2016-09-20 Cypress Semiconductor Corporation Low standby power with fast turn on for non-volatile memory devices
US20170094171A1 (en) * 2015-09-28 2017-03-30 Google Inc. Integrated Solutions For Smart Imaging
EP3176674A1 (en) * 2015-12-03 2017-06-07 OpenSynergy GmbH Method for power control of a control unit and control unit
US11579677B2 (en) * 2015-12-18 2023-02-14 Hewlett Packard Enterprise Development Lp Memristor crossbar arrays to activate processors
CN105759935B (zh) * 2016-01-29 2019-01-1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终端控制方法及终端
WO2017142112A1 (ko) * 2016-02-19 2017-08-24 주식회사 트리니티랩 가청 주파수 대역 오디오 신호의 저전력용 수신 방법
KR20170109408A (ko) * 2016-03-21 2017-09-2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 제어 방법
CN105808996A (zh) * 2016-05-12 2016-07-2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终端解锁屏方法及装置
CN106055400B (zh) * 2016-05-31 2019-05-1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终端加速唤醒方法以及装置
CN113993190B (zh) * 2017-01-25 2024-04-0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降低电子设备功耗的方法及装置
US10602313B2 (en) * 2017-06-02 2020-03-24 Apple Inc. State-based location monitoring
US10204504B1 (en) * 2017-12-07 2019-02-12 Htc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and drop warning method
CN109961616B (zh) * 2017-12-22 2021-02-05 宏达国际电子股份有限公司 电子装置以及掉落警示方法
US10812711B2 (en) * 2018-05-18 2020-10-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antic mapping for low-power augmented reality using dynamic vision sensor
KR102111880B1 (ko) * 2019-01-30 2020-05-15 재단법인 다차원 스마트 아이티 융합시스템 연구단 폴스 알람을 줄이기 위한 자동차 시트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US11281473B2 (en) * 2019-04-05 2022-03-22 Arm Limited Dual wakeup interrupt controllers
US11232834B2 (en) * 2019-10-29 2022-01-25 Qualcomm Incorporated Pose estimation in extended reality systems
EP3999937A1 (en) * 2019-12-17 2022-05-25 Google LLC Low-power vision sensing
JP2021197559A (ja) * 2020-06-09 2021-12-27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1885447B (zh) * 2020-07-16 2022-07-22 歌尔科技有限公司 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控制装置和可读存储介质
US11543667B2 (en) * 2021-05-26 2023-01-0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Head-mounted display generated status messag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40339A1 (en) * 2001-08-21 2003-02-27 Allen Chang Method and system for accessing functions of a portable information appliance
US20080220829A1 (en) * 2007-03-09 2008-09-11 Katsuaki Akama Mobile terminal device, method of power saving control for mobile terminal device and computer product
US20090135751A1 (en) * 2007-11-26 2009-05-28 Microsoft Corporation Low Power Operation of Networked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32280B1 (en) * 1999-07-26 2004-05-0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mputer system performing machine specific tasks before going to a low power state
US7451690B2 (en) 2005-07-20 2008-11-18 Wabco Gmbh Spring-actuated air-brake cylinder for vehicle brake systems
US7496770B2 (en) 2005-09-30 2009-02-24 Broadcom Corporation Power-efficient technique for invoking a co-processor
KR100744301B1 (ko) * 2006-06-01 2007-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성 인식을 이용하여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휴대 단말기및 그 방법
KR20080097553A (ko) 2007-05-02 2008-11-06 (주)멜파스 접촉 감지 패드를 이용하여 전자 기기의 절전 모드를해제하는 방법 및 장치
US20090259865A1 (en) 2008-04-11 2009-10-15 Qualcomm Incorporated Power Management Using At Least One Of A Special Purpose Processor And Motion Sensing
US20100070776A1 (en) * 2008-09-17 2010-03-18 Shankar Raman Logging system events
KR101200491B1 (ko) * 2008-12-22 2012-11-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사람 검출 장치 및 방법
US9086875B2 (en) * 2009-06-05 2015-07-21 Qualcomm Incorporated Controlling power consumption of a mobile device based on gesture recognition
KR101624903B1 (ko) 2009-09-16 2016-05-3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706773B1 (ko) 2009-10-20 2017-02-14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EP2315186B1 (en) * 2009-10-26 2016-09-21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with flexible body for inputting a signal upon bending said body
WO2011069151A2 (en) * 2009-12-04 2011-06-09 Next Holdings Limited Sensor methods and systems for position detection
EP3451123B8 (en) 2010-09-24 2020-06-17 BlackBerry Limited Method for conserving power o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onfigured for the same
US20120081392A1 (en) * 2010-09-30 2012-04-05 Apple Inc. Electronic device operation adjustment based on face detection
US8595529B2 (en) 2010-12-16 2013-11-26 Qualcomm Incorporated Efficient power management and optimized event notification in multi-processor computing devices
WO2012117570A1 (ja) * 2011-03-03 2012-09-07 オムロン株式会社 ジェスチャ入力装置およびジェスチャ入力装置の制御方法
US9176608B1 (en) * 2011-06-27 2015-11-03 Amazon Technologies, Inc. Camera based sensor for motion detection
US20130009875A1 (en) * 2011-07-06 2013-01-10 Fry Walter G Three-dimensional computer interface
US9094539B1 (en) * 2011-09-22 2015-07-28 Amazon Technologies, Inc. Dynamic device adjustments based on determined user sleep state
US9225185B2 (en) * 2011-10-21 2015-12-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harging in electronic device
US9423847B2 (en) * 2011-12-20 2016-08-23 Advanced Micro Devic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itioning a system to an active disconnect state
US9063574B1 (en) * 2012-03-14 2015-06-23 Amazon Technologies, Inc. Motion detection systems for electronic devices
US20140118257A1 (en) * 2012-10-29 2014-05-01 Amazon Technologies, Inc. Gesture detection systems
EP2738645A1 (en) * 2012-11-30 2014-06-04 Harman Becker Automotive Systems GmbH Vehicle gesture recognition system and metho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40339A1 (en) * 2001-08-21 2003-02-27 Allen Chang Method and system for accessing functions of a portable information appliance
US20080220829A1 (en) * 2007-03-09 2008-09-11 Katsuaki Akama Mobile terminal device, method of power saving control for mobile terminal device and computer product
US20090135751A1 (en) * 2007-11-26 2009-05-28 Microsoft Corporation Low Power Operation of Networked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55934B1 (en) 2019-12-18
KR20140005406A (ko) 2014-01-15
US20180081421A1 (en) 2018-03-22
EP2683204A1 (en) 2014-01-08
EP3255934A1 (en) 2017-12-13
US9851779B2 (en) 2017-12-26
US20140013141A1 (en) 2014-01-09
WO2014007533A1 (en) 2014-01-09
EP2683204B1 (en) 2017-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5412B1 (ko) 휴대 단말기의 슬립 모드 제어 방법 및 장치
US11366510B2 (en) Processing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and mobile terminal
CN108234763B (zh) 横竖屏切换方法、装置和终端
EP3100133B1 (en) Buttonless display activation
AU2014230175B2 (en) Display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US1026343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tecting battery
KR102179811B1 (ko) 포터블 디바이스 및 음성 인식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909025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의 무선 접속 장치 스캔 방법
EP2398286B1 (en) Method for power management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is method
WO2018137197A1 (zh) 一种降低电子设备功耗的方法及装置
US2015005865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aving battery of portable terminal
US20140273855A1 (en) Communication connection method in bluetooth device and apparatus thereto
WO2015062235A1 (zh) 电子设备、电池保护方法和装置
WO2014201863A1 (en) Volume adjusting method, volume adjusting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WO2016045027A1 (zh) 屏幕灵敏度调整方法和移动终端
US20150046932A1 (en) User device and method to process sensor output using a plurality of processors
US20200212701A1 (en) Method for controlling multi-mode charging, mobile terminal, and storage medium
US20150113301A1 (en) Charging method and mobile electronic device
EP2996316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mmunication management between an electronic device and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11476684B2 (en) Charging protection method, terminal, and charger
CN108170362B (zh) 一种应用运行状态控制方法及移动终端
CN107404569B (zh) 一种系统控制方法、终端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8681467B (zh) 一种系统唤醒方法、终端
JP2018504707A (ja) マルチメディア情報提示方法および端末
CN109445566B (zh) Otg节电处理方法、系统、存储介质及移动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