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5050B1 - 분실 방지 기능이 구비된 보조 배터리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 Google Patents

분실 방지 기능이 구비된 보조 배터리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5050B1
KR101925050B1 KR1020160158065A KR20160158065A KR101925050B1 KR 101925050 B1 KR101925050 B1 KR 101925050B1 KR 1020160158065 A KR1020160158065 A KR 1020160158065A KR 20160158065 A KR20160158065 A KR 20160158065A KR 101925050 B1 KR101925050 B1 KR 1019250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xiliary battery
distance
loss prevention
user terminal
notification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8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9001A (ko
Inventor
고혜성
Original Assignee
고혜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혜성 filed Critical 고혜성
Priority to KR10201601580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5050B1/ko
Publication of KR20180059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90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50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50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01M50/576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in response to theft
    • H01M2/341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4Reminder alarms, e.g. anti-los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H01M2/102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실 방지 기능이 구비된 보조 배터리는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어 사용자 단말과 근거리 통신 신호를 송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과의 떨어진 거리가 기 설정된 분실 방지 거리를 벗어나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알림음 출력 명령을 수신하여 알림음을 출력하는 분실 방지 모듈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두 제품 간 거리가 설정된 거리 이상이 될 경우 알람음이 출력되도록 하여 사용자 단말과 분실 방지 기능이 구비된 보조 배터리의 분실을 동시에 예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분실 방지 기능이 구비된 보조 배터리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AUXILIARY BATTERY HAVING PREVENTING LOSS FUCTION AND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분실 방지 기능이 구비된 보조 배터리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은 이제 현대인에게 없어서는 안되는 필수품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휴대폰은 보통 크게 본체와 이러한 본체의 동작을 위해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본체에 결합된 배터리로 구성되어 있다. 휴대폰 사용자는 보통 이러한 배터리를 1~2개 정도 구비하고, 보통 가정용 전원을 이용하는 배터리 충전장치에 충전을 하여 사용하고 있다. 사용자에 따라서는, 배터리를 장착한 휴대폰과는 별도로 충전된 예비 배터리를 가지고 다니다가, 휴대폰에 장착된 배터리가 방전된 경우, 방전된 배터리를 예비 배터리로 교체하여 사용하게 된다.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예비 배터리를 가지고 있지 않고, 충전장치 역시 사용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휴대폰에 장착된 배터리가 방전되어 휴대폰이 꺼지게 되는 일도 종종 발생하게 된다.
최근 배터리의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전기 용량이 큰 보조 배터리를 휴대하면서 이용하는 사용자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보조 배터리의 분실 방지를 위한 장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종래에는, 사용자 단말이 분실 방지 카드와 송수신하는 블루투스 신호의 수신 신호 세기에 따라 분실 방지 카드와 떨어진 거리를 측정한 후에 거리에 따라 알림음을 출력하는 기술이 존재하였으나, 블루투스 신호의 수신 신호 세기의 오차범위가 상당히 커서 사용자 단말과 분실 방지 카드가 가까이에 있는데도 알림음이 자주 울려 많은 불편을 초래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7-0045407호는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기반으로 하는 휴대용품 분실방지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된 착용품과,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휴대용품 각각에,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매개로 교신하면서, 착용품 및 휴대용품 간의 근접 여부를 주기적으로 체크하고, 착용품 및 휴대용품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게 되는 경우, 그에 대응되는 경고 신호를 출력한다는 내용이 개시되어 있으나,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개시되어 있지 않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7-0045407호
본 발명은 보조 배터리의 분실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분실 방지 기능이 구비된 보조 배터리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두 제품 간 거리가 설정된 거리 이상이 될 경우 알람음이 출력되도록 하여 사용자 단말과 분실 방지 카드가 수납된 보조 배터리의 분실을 동시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분실 방지 기능이 구비된 보조 배터리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보조 배터리의 케이스에 USB포트를 구비하여 다른 전자기기와의 데이터 입출력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분실 방지 기능이 구비된 보조 배터리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실 방지 기능이 구비된 보조 배터리는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어 사용자 단말과 근거리 통신 신호를 송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과의 떨어진 거리가 기 설정된 분실 방지 거리를 벗어나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알림음 출력 명령을 수신하여 알림음을 출력하는 분실 방지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 배터리는 상기 케이스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USB 포트;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USB 포트 및 충전지에 연결되어 상기 USB 포트를 통한 데이터 송수신 동작과 상기 충전지의 충전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회로부; 상기 USB 포트에 연결되어 상기 제어회로부를 구동하는 구동 프로그램이나 상기 USB 포트를 통하여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상기 케이스의 일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어회로부에 연결되어 상기 충전지의 충전 동작에 대한 온오프를 제어하는 온오프 스위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의 일측면에는 상기 제어회로부에 연결되는 조명부 및 스피커가 형성되고, 상기 제어회로부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조명부 및 스피커의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의 일측면에는 상기 제어회로부에 연결되는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어회로부의 제어에 의하여 미리 설정된 알림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실 방지 시스템은, 분실 방지 기능이 구비된 보조 배터리; 및 상기 보조 배터리와 근거리 통신 신호를 송수신하는 과정을 통해 상기 보조 배터리와 떨어진 거리를 측정하고, 상기 보조 배터리와 떨어진 거리가 기 설정된 분실 방지 거리를 벗어나면 미리 설정된 알림음 출력 명령을 상기 보조 배터리에 제공하거나 제2 알림음을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보조 배터리로부터 시간 단위 별로 수신된 각각의 블루투스 신호에 대해서 특정 개수의 평균값 신호를 검색하고, 제1 시간 단위에 수신된 특정 개수의 평균값 신호 중 일부 신호 및 제2 시간 단위에 수신된 특정 개수의 평균값 신호 중 일부 신호를 이용하여 평균값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제1 시간 단위에 검색된 특정 개수의 평균값 신호 중 첫 번째 신호를 제외한 나머지 신호 및 상기 제2 시간 단위에 검색된 특정 개수의 평균값 신호 중 첫 번째 신호를 이용하여 평균값을 산출하고, 상기 평균값을 이용하여 상기 분실 방지 카드와 떨어진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알림음이 출력되는 시점부터 특정 시간 이내에 상기 보조 배터리와의 거리가 상기 기 설정된 분실 방지 거리 이내에 존재하지 않게 되면, 상기 보조 배터리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 및 상기 알림음이 출력된 시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보조 배터리의 분실을 예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두 제품 간 거리가 설정된 거리 이상이 될 경우 알람음이 출력되도록 하여 사용자 단말과 보조 배터리의 분실을 동시에 예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보조 배터리의 케이스에 USB포트를 구비하여 다른 전자기기와의 데이터 입출력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실 방지 기능이 구비된 보조 배터리와 이를 이용한 분실 방지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사용자 단말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실 방지 기능이 구비된 보조 배터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배터리 분실 방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실 방지 기능이 구비된 보조 배터리와 이를 이용한 분실 방지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분실 방지 기능이 구비된 보조 배터리(300)는 분실 방지 시스템(100) 내에서 사용자 단말(200)과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실 방지 시스템(100)은 보조 배터리(300)와 사용자 단말(200)을 포함한다.
보조 배터리(300)는 케이스(301) 내부에 충전지(미도시)가 구비되어 충전지를 통하여 외부 전자기기(미도시)를 충전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보조 배터리(30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301)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USB 포트(320)와, 케이스(301)의 내부에 구비되고, USB 포트(320) 및 충전지에 연결되어 USB 포트(320)를 통한 데이터 송수신 동작과 충전지의 충전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회로부(380)와, USB 포트(320)에 연결되어 제어회로부(380)를 구동하는 구동 프로그램이나 USB 포트(320)를 통하여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360)와, 케이스(301)의 일측면에 형성되고, 제어회로부(380)에 연결되어 충전지의 충전 동작에 대한 온오프를 제어하는 온오프 스위치부(310)를 포함한다.
보조 배터리(300)는 케이스(301)의 일측면(302)에 형성되어 제어회로부(380)에 연결되는 조명부(370) 및 스피커(340)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조명부(370) 및 스피커(340)는 제어회로부(380)의 제어에 의하여 각각의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보조 배터리(300)는 케이스(301)의 일측면(302)에 형성되어 제어회로부(380)에 연결되는 디스플레이부(350)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350)는 제어회로부(380)의 제어에 의하여 미리 설정된 알림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보조 배터리(300)는 케이스(301)의 일측면(302)에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지나 각각의 구성요소들에 공급하거나 외부 전자기기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포트(330)가 형성된다.
또한, 보조 배터리(300)는 케이스(301) 내부에 분실 방지 모듈(390)을 구비한다.
이러한 분실 방지 모듈(390)은 보조 배터리(300)에 구비되어 사용자 단말(200)과 근거리 통신 신호를 송수신하는 과정에서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알림음 출력 명령을 수신하면 제1 알림음을 출력하여 사용자 단말(200)의 분실을 예방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때, 근거리 통신 신호는 블루투스 신호, 적외선 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분실 방지 모듈(390)은 입력부, 저장부 및 송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분실 방지 거리를 수신하여 저장부에 저장한다. 이러한 입력부는 보조 배터리에 대한 위치 알림용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는 위치 알람 설정키를 더 포함한다.
위치 알람 설정키는 보조 배터리(300)의 위치 측정 상태를 온 상태 또는 오프 상태로 설정할 수 있는 키이다. 위치 알람 설정키의 상태가 온 상태로 설정되면 보조 배터리(300)의 위치를 측정하고, 위치 알람 설정키의 상태가 오프 상태로 설정되면 보조 배터리(300)의 위치를 측정하지 않는다.
송수신부는 사용자 단말(200)과 근거리 통신을 하여 분실 예방을 위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때, 분실 예방을 위한 정보는 보조 배터리(300)의 위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보조 배터리 분실 방지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에서 보조 배터리 분실 방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분실 방지 거리를 수신하면, 분실 방지 거리를 설정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00)은 보조 배터리 분실 방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보조 배터리 분실 방지 거리 5m 내지 10m를 수신하면, 분실 방지 거리를 5m 내지 10m로 설정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사용자 단말(200)은 보조 배터리(300)와 떨어진 거리가 사용자에 의해 기 설정된 분실 방지 거리를 벗어났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분실 방지 거리가 5m 내지 10m인 경우, 사용자 단말(200)는 보조 배터리(300)와 떨어진 거리가 5m 내지 10m의 분실 방지 거리를 벗어났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사용자 단말(200)은 보조 배터리(300)와 떨어진 거리가 분실 방지 거리를 벗어나는 경우, 미리 설정된 분실 방지 대상에 따라 알림음 출력 명령을 보조 배터리(300)에 제공하거나 자체적으로 제2 알림음을 출력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미리 설정된 분실 방지 대상이 보조 배터리이면, 알림음 출력 명령을 보조 배터리(300)에 제공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미리 설정된 분실 방지 대상이 사용자 단말(200)이면, 자체적으로 제2 알림음을 출력한다.
사용자 단말(200)은 상기와 같이 제2 알림음을 출력할 때, 보조 배터리(300)와 떨어진 거리에 따라 제2 알림음의 크기를 조절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보조 배터리(300)와 떨어진 거리가 기 설정된 분실 방지 거리를 벗어나지 않더라도 보조 배터리(300)와 떨어진 거리 및 기 설정된 분실 방지 거리 사이의 차이 거리가 특정 거리 이하이면 제2 알림음을 작게 출력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보조 배터리(300)와 떨어진 거리가 기 설정된 분실 방지 거리를 벗어나면 분실 방지 거리를 벗어난 범위에 따라 제2 알림음을 조절하여 출력한다. 즉, 사용자 단말(200)은 분실 방지 거리를 벗어난 범위가 커질수록 제2 알림음을 크게 조절하여 출력한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 단말(200)은 보조 배터리(300)와 떨어진 거리가 분실 방지 거리를 벗어났는지 여부에 따라 보조 배터리(300)를 통해 제1 알림음을 출력하거나 자체적으로 제2 알림음을 출력하는 과정에서, 보조 배터리(300)와 떨어진 거리가 분실 방지 거리 이내에 존재하게 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보조 배터리(300)를 통해 제1 알림음을 출력하거나 자체적으로 제2 알림음을 출력하는 과정에서, 보조 배터리(300)와 떨어진 거리가 분실 방지 거리 이내에 존재하게 되면 미리 설정된 분실 방지 대상에 따라 제1 알림음 출력 정지 명령을 보조 배터리(300)에 제공하거나 자체적으로 출력되는 제2 알림음을 정지시킨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보조 배터리(300)를 통해 제1 알림음을 출력하거나 자체적으로 제2 알림음을 출력하는 과정에서, 해당 알림음이 출력되는 시점부터 특정 시간 이내에 보조 배터리(300)와의 거리가 기 설정된 분실 방지 거리 이내에 존재하지 않게 되면, 미리 설정된 분실 방지 대상에 따라 제1 알림음 출력 정지 명령을 보조 배터리(300)에 제공하거나 자체적으로 출력되는 제2 알림음을 정지시킨다.
그런 다음, 사용자 단말(200)은 보조 배터리(300)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 및 알림음이 출력된 시간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와 같은 이유는, 사용자 단말(200)이 보조 배터리(300)와 떨어진 거리가 분실 방지 거리를 벗어나 제2 알림음을 출력하였더라도 사용자가 제2 알림음을 듣지 못하는 경우 보조 배터리(300)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 및 제1 알림음이 출력된 시간 정보를 함께 저장함으로써, 사용자가 추후에 보조 배터리(300)를 잃어버린 사실을 확인했을 때 어느 위치에서 언제 잃어버렸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이를 위해서, 사용자 단말(200)은 보조 배터리(300)로부터 특정 시간 간격으로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사용자 단말(200)은 상기와 같이 보조 배터리(300)와 떨어진 거리가 분실 방지 거리를 벗어났는지 또는 분실 방지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 근거리 통신 신호(예를 들어, 블루투스 신호)를 송수신하여 보조 배터리(300)와 통신한다.
이때, 블루투스 신호는 공기 중에 다른 무선 근거리 통신 신호와의 간섭 현상으로 인해 수신 신호 세기가 급격하게 올라가거나 급격하게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사용자 단말(200)이 보조 배터리(300)로부터 수신된 근거리 통신 신호에 대한 평균값을 이용하여 보조 배터리(300)와 떨어진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보조 배터리(300)로부터 시간 단위 별로 수신된 각각의 블루투스 신호에 대해서 특정 개수의 평균값 신호를 검색한다. 그런 다음, 사용자 단말(200)은 제1 시간 단위에 수신된 특정 개수의 평균값 신호 중 일부 신호 및 제2 시간 단위에 수신된 특정 개수의 평균값 신호 중 일부 신호를 이용하여 평균값을 산출한 후에 평균값에 따라 보조 배터리(300)와 떨어진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200)은 보조 배터리(300)로부터 1초 단위 별로 수신된 각각의 블루투스 신호에 대해서 3개의 평균값의 신호를 검색한 후에, 제1 시간 단위에 검색된 3개의 평균값의 신호 중 일부(즉, 첫 번째 신호를 제외한 두 번째 신호 및 세 번째 신호) 및 제2 시간 단위에 검색된 3개의 평균값의 신호 중 일부(즉, 첫 번째 신호)를 결합하여 평균값을 산출한다.
그런 다음, 사용자 단말(200)은 제2 시간 단위에 검색된 3개의 평균값의 신호 중 일부(즉, 두 번째 신호 및 세 번째 신호) 및 제3 시간 단위에 검색된 3개의 평균값의 신호 중 일부(즉, 첫 번째 신호)를 결합하여 평균값을 산출한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 단말(200)은 총 3번의 평균치를 측정하여 보조 배터리(300)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종래의 분실 방지 장치와 본 발명에 따른 분실 방지 기능이 구비된 보조 배터리를 비교하여 설명하면, 종래에도 사용자 단말이 분실 방지 장치와 송수신하는 블루투스 신호의 수신 신호 세기에 따라 분실 방지 장치와 떨어진 거리를 측정한 후에 거리에 따라 알림음을 출력하는 기술이 존재하였지만, 블루투스 신호는 공기 중에 다른 무선통신과 간섭현상으로 인해 급격하게 올라가거나 급격하게 떨어지기도 한다.
따라서, 종래에는 사용자 단말(200)이 분실 방지 장치와 송수신하는 블루투스 신호의 수신 신호 세기에 따라 분실 방지 장치와 떨어진 거리를 측정한 후에 거리에 따라 알림음을 출력하는 기술이 존재하였으나, 블루투스 신호의 수신 신호 세기의 오차범위가 상당히 커서 사용자 단말(200)과 분실 방지 장치가 가까이에 있는 데도 알림음이 자주 울려 많은 불편을 초래하고 있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분실 방지 기능이 구비된 보조 배터리(300)로부터 시간 단위 별로 수신된 각각의 블루투스 신호에 대해서 특정 개수의 평균값 신호를 검색한다. 그런 다음, 사용자 단말(200)은 제1 시간 단위에 수신된 특정 개수의 평균값 신호 중 일부 신호 및 제2 시간 단위에 수신된 특정 개수의 평균값 신호 중 일부 신호를 이용하여 평균값을 산출한 후에 평균값에 따라 보조 배터리(300)와 떨어진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의 블루투스 신호는 1초당 10회 이상 송수신 되는데 본 제품의 블루투스 프로그램 설계는 1초 단위에서 3번의 평균값의 신호를 찾아내어 각 신호에서 처음 측정된 신호를 제외하고 2번째 3번째 신호를 그 다음 1초 단위에서 3번 평균값에서 1번째 신호와 결합하여 평균치를 내고 다시 다음 1초 단위에서 3번의 평균값을 측정하여 1번째 신호와 결합하여 총 3번의 평균치를 측정하여 오차범위를 최소화 하였다.
예를 들어, 1초에 예를 들어 "123"의 신호가 발생하면 그 다음 1초에는 맨처음 "1"을 제외하고 "23"과 첫 번째 신호 평균값인 '4'를 포함하여 '234'의 평균값을 내고 그 다음 1초에는 '34'를 포함하고 첫번째 신호 평균값인 '5' 를 포함하여 '345'의 평균치를 내었다. 이렇게 하여 오차범위를 ± 2 정도로 측정하면 적당한 거리값을 나타낼 수 있고 블루투스가 탑재된 스마트폰과 분실예방 기기가 2미터 이내에 있을 때 알람음이 울리지 않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이 블루투스 신호의 수신 신호 세기의 오차범위가 상당히 커서 사용자 단말(200)과 분실 방지 장치가 가까이에 있는 데도 알림음이 자주 울린다는 불편함을 해소하였다.
또한, 종래의 분실 방지 장치는 사용자 단말 및 분실 방지 장치 사이의 블루투스 통신이 끊겼을 때 알림음을 출력하는 기술이 존재하였다. 하지만, 사용자 단말 및 분실 방지 장치가 50m~100m까지 떨어져야 사용자 단말 및 분실 방지 장치 사이의 블루투스 통신이 끊기게 되기 때문에, 사용자 단말 및 분실 방지 장치 사이의 거리가 50m~100m까지 떨어지는 경우에만 알림음이 출력되는 것은 분실 방지의 목적에 적합하지 않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은 시간 단위 별로 수신된 각각의 블루투스 신호에 대해서 특정 개수의 평균값 신호를 검색한 후에 평균값 신호에 대한 블루투스 신호를 측정하여 사용자 단말 및 보조 배터리 사이의 거리가 약 5미터 내외만큼 떨어지는 경우에 알림음이 출력되도록 하여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보조 배터리(300)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면, 보조 배터리(300)의 위치 정보 및 위치 측정 모듈(미도시)을 통해 수신된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보조 배터리(300)와 떨어진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 단말(200)은 특정 시간 간격으로 보조 배터리(300) 및 위치 측정 모듈 각각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 후에, 보조 배터리(300)의 위치 정보 및 위치 모듈(미도시)을 통해 수신된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보조 배터리(300)와 떨어진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의 실시예와는 달리,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가 보유하는 다른 전자 기기(예를 들어, 테블릿 PC 등)과 근거리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과정에서 해당 전자 기기와 떨어진 거리에 따라 제2 알림음을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 단말(200)은 전자 기기 등록 절차를 제공하며 전자 기기 등록 절차를 통해 전자 기기 식별자 및 분실 방지 거리가 입력되면 전자 기기 식별자에 대응시켜 분실 방지 거리를 저장한다.
그 후, 사용자 단말(200)은 전자 기기와 근거리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며 근거리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과정에서 근거리 무선 신호의 수신 신호 세기를 측정하며, 수신 신호 세기에 따라 전자 기기와의 거리를 측정하며, 전자 기기와의 거리가 전자 기기 식별자에 해당하는 분실 방지 거리를 벗어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확인 결과에 따라 제2 알림음을 출력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실 방지 기능이 구비된 보조 배터리의 내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00)은 통신부(210), 저장부(220), 제어모듈(230) 및 디스플레이모듈(240)을 포함한다.
통신부(210)는 데이터 통신 모듈(211) 및 근거리 통신 모듈(212)을 포함한다.
통신부(210)의 근거리 통신 모듈(212)은 보조 배터리(300)와 원격으로 근거리 통신 신호를 송수신하는 모듈이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모듈(212)은 블루투스 모듈, 적외선 모듈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212)은 보조 배터리(300)와 원격으로 근거리 통신 신호를 송수신하는 과정에서 근거리 통신 신호의 수신 신호 세기를 제어모듈(230)에 제공한다. 이에 따라, 제어모듈(230)은 근거리 통신 신호의 수신 신호 세기를 이용하여 보조 배터리(300)와 떨어진 거리를 측정한 후, 보조 배터리(300)와 떨어진 거리가 기 설정된 분실 방지 거리를 벗어났는지 여부에 따라 알림음 출력 명령을 보조 배터리(300)에 제공하여 보조 배터리(300)를 통해 제2 알림음을 출력하도록 한다.
저장부(220)에는 보조 배터리 분실 방지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되어 있다. 저장부(220)에는 사용자 단말(200)이 출고될 당시 보조 배터리 분실 방지 어플리케이션이 미리 저장되어 있거나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다운로드 되어 저장될 수 있다. 저장부(220)에 저장된 보조 배터리 분실 방지 어플리케이션은 제어모듈(230)의 제어에 따라 로딩되어 실행된다.
제어모듈(230)은 사용자 조작이 보조 배터리 분실 방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명령을 지시하면, 저장부(220)에 저장된 보조 배터리 분실 방지 어플리케이션은 로딩하여 실행시킨다.
제어모듈(230)은 보조 배터리 분실 방지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에서 보조 배터리 분실 방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분실 방지 거리를 수신하면, 분실 방지 거리를 설정한다. 예를 들어, 제어모듈(230)은 보조 배터리 분실 방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보조 배터리 분실 방지 거리 5m 내지 10m를 수신하면, 분실 방지 거리를 5m 내지 10m로 설정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제어모듈(230)은 보조 배터리(300)와 떨어진 거리가 사용자에 의해 기 설정된 분실 방지 거리를 벗어났는지 여부에 따라 알림음 출력 명령을 보조 배터리(300)에 제공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분실 방지 거리가 5m 내지 10m인 경우, 제어모듈(230)은 보조 배터리(300)와 떨어진 거리가 5m 내지 10m의 분실 방지 거리를 벗어났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제어모듈(230)은 미리 설정된 분실 방지 대상에 따라 알림음 출력 명령을 보조 배터리(300)에 제공하거나 자체적으로 제2 알림음을 출력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모듈(230)은 미리 설정된 분실 방지 대상이 보조 배터리이면, 알림음 출력 명령을 보조 배터리(300)에 제공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제어모듈(230)은 미리 설정된 분실 방지 대상이 사용자 단말(200)이면, 자체적으로 제2 알림음을 출력한다.
상기와 같이 제어모듈(230)은 보조 배터리(300)와 떨어진 거리가 분실 방지 거리를 벗어났는지 여부에 따라 보조 배터리(300)를 통해 알림음을 출력하거나 자체적으로 알림음을 출력하는 과정에서, 보조 배터리(300)와 떨어진 거리가 분실 방지 거리 이내에 존재하게 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모듈(230)은 보조 배터리(300)를 통해 알림음을 출력하거나 자체적으로 제2 알림음을 출력하는 과정에서, 보조 배터리(300)와 떨어진 거리가 분실 방지 거리 이내에 존재하게 되면 미리 설정된 분실 방지 대상에 따라 알림음 출력 정지 명령을 보조 배터리(300)에 제공하거나 자체적으로 출력되는 제2 알림음을 정지시킨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제어모듈(230)은 보조 배터리(300)를 통해 알림음을 출력하거나 자체적으로 알림음을 출력하는 과정에서, 제2 알림음이 출력되는 시점부터 특정 시간 이내에 보조 배터리(300)와의 거리가 기 설정된 분실 방지 거리 이내에 존재하지 않게 되면,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 정보 및 제2 알림음이 출력된 시간 정보를 저장한다.
제어모듈(230)은 상기와 같이 보조 배터리(300)와 떨어진 거리가 분실 방지 거리를 벗어났는지 또는 분실 방지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 통신부(210)의 근거리 통신 모듈(212)을 통해 보조 배터리(300)와 통신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모듈(230)은 근거리 통신 모듈(212)이 블루투스 모듈로 구현되는 경우,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블루투스 신호를 송수신하여 보조 배터리(300)와 통신한다. 이때, 블루투스 신호는 공기 중에 다른 무선 근거리 통신 신호와의 간섭 현상으로 인해 수신 신호 세기가 급격하게 올라가거나 급격하게 떨어지기도 한다.
따라서, 종래에는 사용자 단말(200)이 분실 방지 장치와 송수신하는 블루투스 신호의 수신 신호 세기에 따라 분실 방지 장치와 떨어진 거리를 측정한 후에 거리에 따라 알림음을 출력하는 기술이 존재하였으나, 블루투스 신호의 수신 신호 세기의 오차범위가 상당히 커서 사용자 단말(200)와 분실 방지 장치가 가까이에 있는데도 알림음이 자주 울려 많은 불편을 초래하고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어모듈(230)은 보조 배터리(300)로부터 시간 단위 별로 수신된 각각의 블루투스 신호에 대해서 특정 개수의 평균값 신호를 검색한다. 그런 다음, 사용자 단말(200)은 제1 시간 단위에 수신된 특정 개수의 평균값 신호 중 일부 신호 및 제2 시간 단위에 수신된 특정 개수의 평균값 신호 중 일부 신호를 이용하여 평균값을 산출한 후에 평균값에 따라 보조 배터리(300)와 떨어진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제어모듈(230)은 보조 배터리(300)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면, 보조 배터리(300)의 위치 정보 및 위치 측정 모듈(미도시)을 통해 수신된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보조 배터리(300)와 떨어진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모듈(230)은 특정 시간 간격으로 보조 배터리(300) 및 위치 측정 모듈 각각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 후에, 보조 배터리(300)의 위치 정보 및 위치 모듈(미도시)을 통해 수신된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보조 배터리(300)와 떨어진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모듈(240)은 제어모듈(230)의 제어에 따라 보조 배터리(300)의 위치 정보 및 분실 방지 카드(100)와 떨어진 거리를 표시한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배터리 분실 방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00)은 분실 방지 기능을 구비한 보조 배터리(300)와 근거리 통신 신호를 송수신한다(단계 S310). 사용자 단말(200)은 분실 방지 카드와 근거리 통신 신호를 송수신하는 과정을 통해 근거리 통신 신호의 수신 신호 세기를 측정한다(단계 S320). 사용자 단말(200)은 근거리 통신 신호의 수신 신호 세기를 이용하여 보조 배터리(300)와 떨어진 거리를 측정한다(단계 S330).
사용자 단말(200)은 보조 배터리(300)와 떨어진 거리가 기 설정된 분실 방지 거리를 벗어났는지 여부를 확인한다(단계 S340). 사용자 단말(200)은 보조 배터리(300)와 떨어진 거리가 기 설정된 분실 방지 거리를 벗어나면(단계 S341), 미리 설정된 분실 방지 대상을 확인한다(단계 S350).
사용자 단말(200)은 미리 설정된 분실 방지 대상이 보조 배터리(300)이면(단계 S360), 알림음 출력 명령을 보조 배터리(300)에 제공한다(단계 S361). 이에 따라, 보조 배터리(300)는 알림음 출력 명령을 출력한다(단계 S362). 이와 동시에, 사용자 단말(200)은 자체적으로 제2 알림음을 출력한다(단계 S371).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분실 방지 시스템 200: 사용자 단말
210: 통신부 220: 저장부
230: 제어부 240: 디스플레이부
300: 보조 배터리 301: 케이스
302: 일측면 310: 온오프 스위치부
320: USB 포트 330: 전원 포트
340: 스피커 350: 디스플레이부
360: 메모리부 370: 조명부
380: 제어회로부 390: 분실 방지 모듈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분실 방지 기능이 구비된 보조 배터리; 및
    상기 보조 배터리와 근거리 통신 신호를 송수신하는 과정을 통해 상기 보조 배터리와 떨어진 거리를 측정하고, 상기 보조 배터리와 떨어진 거리가 기 설정된 분실 방지 거리를 벗어나면 미리 설정된 알림음 출력 명령을 상기 보조 배터리에 제공하거나 제2 알림음을 자체적으로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 배터리는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알림음 출력 명령을 수신하여 알림음을 출력하는 분실 방지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보조 배터리로부터 시간 단위 별로 수신된 각각의 블루투스 신호에 대해서 특정 개수의 평균값 신호를 검색하고, 제1 시간 단위에 수신된 특정 개수의 평균값 신호 중 일부 신호 및 제2 시간 단위에 수신된 특정 개수의 평균값 신호 중 일부 신호를 이용하여 평균값을 산출하되,
    상기 제1 시간 단위에 검색된 특정 개수의 평균값 신호 중 첫 번째 신호를 제외한 나머지 신호 및 상기 제2 시간 단위에 검색된 특정 개수의 평균값 신호 중 첫 번째 신호를 이용하여 평균값을 산출하고, 상기 평균값을 이용하여 상기 보조 배터리와 떨어진 거리를 측정하고,
    상기 알림음이 출력되는 시점부터 특정 시간 이내에 상기 보조 배터리와의 거리가 기 설정된 분실 방지 거리 이내에 존재하지 않게 되면, 제1 알림음 출력 정지 명령을 보조 배터리에 제공하거나 자체적으로 출력되는 제2 알림음을 정지시킨 다음, 상기 보조 배터리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 및 상기 알림음이 출력된 시간 정보를 저장하는 분실 방지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배터리는
    상기 케이스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USB 포트;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USB 포트 및 충전지에 연결되어 상기 USB 포트를 통한 데이터 송수신 동작과 상기 충전지의 충전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회로부;
    상기 USB 포트에 연결되어 상기 제어회로부를 구동하는 구동 프로그램이나 상기 USB 포트를 통하여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상기 케이스의 일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어회로부에 연결되어 상기 충전지의 충전 동작에 대한 온오프를 제어하는 온오프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분실 방지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일측면에는 상기 제어회로부에 연결되는 조명부 및 스피커가 형성되고,
    상기 제어회로부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조명부 및 스피커의 동작이 제어되는 분실 방지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일측면에는 상기 제어회로부에 연결되는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어회로부의 제어에 의하여 미리 설정된 알림 동작을 수행하는 분실 방지 시스템.
KR1020160158065A 2016-11-25 2016-11-25 분실 방지 기능이 구비된 보조 배터리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KR1019250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8065A KR101925050B1 (ko) 2016-11-25 2016-11-25 분실 방지 기능이 구비된 보조 배터리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8065A KR101925050B1 (ko) 2016-11-25 2016-11-25 분실 방지 기능이 구비된 보조 배터리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9001A KR20180059001A (ko) 2018-06-04
KR101925050B1 true KR101925050B1 (ko) 2018-12-04

Family

ID=62628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8065A KR101925050B1 (ko) 2016-11-25 2016-11-25 분실 방지 기능이 구비된 보조 배터리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50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8487B1 (ko) * 2017-12-05 2019-07-09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배터리 기능을 갖는 usb 디바이스
KR102115662B1 (ko) * 2018-08-16 2020-06-23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의 편의성을 위한 보조배터리형 휴대폰 분실방지기
KR102206121B1 (ko) * 2018-08-16 2021-01-21 주식회사 비페이 사용자의 편의성을 위한 보조배터리형 휴대폰 분실방지기의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7767B1 (ko) 2005-10-27 2007-07-10 주식회사 유비젼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기반으로 하는 휴대용품 분실방지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9001A (ko) 2018-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6302B1 (ko) 무선 충전 시스템의 통신 방법 및 장치
KR101925050B1 (ko) 분실 방지 기능이 구비된 보조 배터리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US9660480B2 (en) Wireless charg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implementing the same
KR102542279B1 (ko) 무선 충전 수신기 회로를 가지는 안경, 안경용 안경 케이스, 및 시스템
JP6444223B2 (ja) 無線送信装置及び無線受信装置
US20150242665A1 (en) Proximity tag with multiple antennas
US20080057868A1 (en) Auto pairing system and method for bluetooth network
KR102253543B1 (ko) 지능형 전동 킥보드 안전 장치
US20160006291A1 (en) Peer to peer self-optimizing resonant inductive charger
KR101476103B1 (ko)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무선 충전을 위한 스마트 폰 및 그 무선 전력 송신 방법
KR20160148706A (ko) 지능형 웨어러블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시스템, 및 장치
US20190369665A1 (en) Location-based power saving solution for wireless docking products
JP2005237155A (ja) 複数電圧仕様対応のバッテリー充電器、バッテリー充電システム、及びバッテリーユニット
EP3445095A1 (en) Auxiliary base unit with independent wireless augmentation
US20060240816A1 (en) Wireless phone system
KR101334271B1 (ko) 개인 소지품 분실 방지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 및 이동통신 단말용 분실 방지 장치
KR101887944B1 (ko) 이동 단말기와의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분실 방지 장치
CN103426268A (zh) 一种利用wifi模块进行移动设备防盗的方法及系统
KR101819683B1 (ko) 귀중품 분실 방지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KR101462500B1 (ko)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휴대폰 분실 방지 장치 및 방법
US20060240864A1 (en) Wireless phone system
KR20110025427A (ko) 소형무선단말기의 분실 경보장치
KR20160090215A (ko) 컨베이어 벨트 시스템용 화재 감시 장치
KR101572779B1 (ko) 비상호출 기능을 갖는 무전기 및 이를 이용한 무선 호출 시스템 및 방법
JP6566106B1 (ja) 携行品監視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