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2500B1 -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휴대폰 분실 방지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휴대폰 분실 방지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2500B1
KR101462500B1 KR1020130043825A KR20130043825A KR101462500B1 KR 101462500 B1 KR101462500 B1 KR 101462500B1 KR 1020130043825 A KR1020130043825 A KR 1020130043825A KR 20130043825 A KR20130043825 A KR 20130043825A KR 101462500 B1 KR101462500 B1 KR 1014625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loss
registered
bluetooth communication
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3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5982A (ko
Inventor
김옥조
Original Assignee
김옥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옥조 filed Critical 김옥조
Priority to KR10201300438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2500B1/ko
Publication of KR201401259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59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2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25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4Reminder alarms, e.g. anti-los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6/00Tacti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스탠바이 상태에 있는 휴대폰의 분실 방지를 위해 휴대폰 분실 방지 장치에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상기 휴대폰을 인식시켜 등록시키고 휴대폰 분실 방지 장치에서 소정의 거리 제한을 설정한 후 등록된 휴대폰이 상기 소정의 거리 제한을 벗어나면 분실 경고 신호를 발생시켜 휴대폰 분실 방지를 실행하되, 상기 등록하는 단계는 최초 1회로 상기 휴대폰 분실 방지 장치에 등록되면 상기 휴대폰의 전원이 오프 후 온 되어도 재차 등록하는 과정 없이 상기 휴대폰 분실 방지 장치가 자동으로 탐지하여 상기 등록을 복구하고, 상기 휴대폰 분실 방지 장치의 전원이 오프 후 온 되는 경우에도 자동으로 상기 등록된 휴대폰을 탐지하여 등록 상태를 복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휴대폰 분실 방지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loss of a mobile phone}
본 발명은 블루투스 통신을 통하여 휴대폰 분실 방지를 위한 방법과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을 통한 데이터 전송 속도의 발전과 함께 휴대폰은 더 이상 통신 기기를 넘어서 이른 바 스마트폰이라는 명명으로 대변되는 개인용 데이터 처리 단말로서의 기능을 하고 있는 시대로 전환되었다. 그와 함께 휴대폰은 그 자체로서 고가 전자제품으로 자리매김하고 있고 단순히 유심(USIM) 칩 변경으로 사용자가 마음대로 바꿔쓸 수 있어 절도 범죄의 대상으로 떠올랐다.
비단 범죄를 통한 분실도 문제가 있으나 그 크기의 문제로 사용자 부주의로 쉽게 잃어버리는 물건 중의 하나이다. 따라서, 별도의 분실 장치를 통해 휴대폰이 분실되더라도 가까운 시간 안에 휴대폰 소유자가 이를 인지하여 시급히 회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휴대폰 분실 방지의 핵심이다.
휴대폰의 경우 전화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 데이터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과 함께 다양한 근거리 통신 모듈이 구비된 경우가 있다. 대표적인 근거리 통신 규격으로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한 휴대폰이 제공되는데, 이러한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휴대폰과 휴대용 단말 장치 간 근거리 통신을 확립하는 기술이 제공되고 있다. 출원번호 10-2003-0035475 (블루투스를 이용한 휴대폰 분실방지 시스템)과 같은 발명에서는 단말기와 휴대폰 간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분실방지 방법을 제시하고 있으나, 소정의 거리가 이격되는 것을 탐지하여 분실방지 기능을 수행하고, 분실방지 단말이 오프된 후 온 되더라도 분실방지 기능이 유지되도록 하는 기술은 제시하지 못하여, 사용자가 휴대폰을 오프한 후 다시 온 한 경우 분실방지 기능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경우가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휴대폰의 보조 배터리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으면서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휴대폰의 분실 방지 신호를 생성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휴대폰의 보조 배터리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으면서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휴대폰의 분실 방지 신호를 생성하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라 휴대폰의 분실 방지를 위해 휴대폰 분실 방지 장치에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상기 휴대폰을 등록하는 단계; 상기 휴대폰 분실 방지 장치에서 소정의 거리 제한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등록된 휴대폰이 상기 소정의 거리 제한을 벗어나면 분실 경고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등록하는 단계는 최초 1회로 상기 휴대폰 분실 방지 장치에 등록되면 상기 휴대폰의 전원이 오프 후 온 되어도 재차 등록하는 과정 없이 상기 휴대폰 분실 방지 장치가 자동으로 검색하여 상기 등록을 유지하고, 상기 휴대폰 분실 방지 장치의 전원이 오프 후 온 되는 경우에도 자동으로 상기 등록된 휴대폰을 검색하여 등록 상태를 복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실 경고 신호는 진동, 소리 및 광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휴대폰 분실 방지 장치는 상기 휴대폰의 보조 배터리로 사용되는 보조 배터리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휴대폰 분실 방지 장치로서, 휴대폰의 분실 방지를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상기 휴대폰을 검색하고 등록하기 위한 블루투스 통신 모듈; 소정의 거리 제한을 설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등록된 휴대폰이 상기 소정의 거리 제한을 벗어나면 분실 경고 신호를 발생시키는 분실 경고 신호발생부를 포함하고, 상기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휴대폰이 최초 1회 등록되면 상기 휴대폰의 전원이 오프 후 온 되어도 재차 등록할 필요없이 상기 블루투스 통신 모듈이 자동으로 상기 휴대폰을 검색하여 상기 등록을 유지하고, 상기 휴대폰 분실 방지 장치의 전원이 오프 후 온 되는 경우 자동으로 상기 등록된 휴대폰을 검색하여 등록 상태를 복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실 경고 신호는 진동, 소리 및 광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휴대폰 분실 방지 장치는 상기 휴대폰의 보조 배터리로 사용되는 보조 배터리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근거리 통신인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휴대폰이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면 사용자가 소지하는 휴대폰 분실 방지 장치가 분실 경고음을 발하게 되므로 사용자는 휴대폰을 소지하고 잊지 않음을 인지하여 휴대폰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휴대폰 분실을 방지하기 위한 블루투스 통신 상의 휴대폰 설정 등록이 간편하며 또한 휴대폰이나 휴대폰 분실 방지 장치의 전원이 오프된 후 온 되어도 자동으로 장치를 검색하여 이전 등록 상태를 복구함으로써 별도의 재등록을 하는 번거러움을 없애 분실 방지 기능이 지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1은 블루투스 통신을 사용하기 위하여 기기간 페어링(paring)을 하는 것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는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휴대폰 분실 방지 장치가 휴대폰의 분실 내지는 이격을 체크하여 분실 방지를 실행하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휴대폰 보조 배터리를 전원으로 사용하는 휴대폰 분실 방지 장치를 간략화한 회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분실 방지 장치(500)의 블럭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된다.
터치 인터페이스를 통해 OS가 탑재된 작은 컴퓨터라 할 수 있는 스마트폰이 기존의 피처폰을 급속히 대체하고 있다. 이제 한 사람마다 스마트폰이라는 단말기를 통해 컴퓨터가 하는 작업을 무선으로 수행하고 있으며 또한 앱 이라는 스마트폰 특화 프로그램들을 통해 SNS나 다양한 게임, 유틸리티 프로그램이 확산되고 있다.
그 와 더불어 스마트폰은 시간이 흐를수록 다양한 기능을 탑재하고 있으며 기능을 업그레이드하는 경쟁이 촉발되고 있다. 그에 따라 스마트폰의 가격은 상당한 고가로 책정되고 있으며 이러한 스마트폰을 분실하는 경우 상당한 재산적 손실을 가져온다. 또한, 단순히 유심(USIM) 칩을 바꿔끼면 스마트폰을 교체할 수 있는 편이성 때문에 중고 시장에서 매매를 위해 절도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이러한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폰의 분실 방지를 위한 방법이 필요하다.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는 블루투스를 이용한 분실 방지 방법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분실 방지 방법은, 휴대폰 분실 방지 장치에 등록된 휴대폰이 일정 거리 이상 이격되면 휴대폰 분실 방지 장치에서 경고신호를 발생시켜 사용자가 휴대폰을 소지하고 있지 않음을 인지하도록 한다. 예를 들면 택시, 음식점이나 노래방 같은 장소에 휴대폰을 두고 나오는 경우 미리 설정해 둔 거리 이상 휴대폰으로부터 벗어나면 소지하고 있는 휴대폰 분실 방지 장치에서 신호가 발생하여 사용자는 금세 휴대폰을 잊고 나왔음을 알 수 있게 되어 즉각적으로 휴대폰을 회수하기 위한 행동을 취할 수 있다.
블루투스는 개인용 컴퓨터, 프린터, 핸드오프 전화, 헤드폰, 자동차 키, TV, 냉장고의 정보통신기기 및 가전제품을 10~100m 정도의 거리에서 무선으로 연결해 주는 무선 인터페이스 규격이다. 2.4GHz의 고주파를 사용하여 장애물과 상관없이 무선 통신이 가능하다.
1999년 블루투스 1.0 규격이 정해지고, 이후 2004년 블루투스 2.0이 규정되었는데 이 때 최대 3Mbps로 속도가 향상되었다. 2009년 블루투스 3.0은 최대 24Mbps 까지 속도가 올려갔고 2010년에는 소비 전력을 크게 낮춘 블루투스 4.0이 나왔다. 비록 블루투스 4.0을 통해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해졌지만, 여전히 이전 블루투스 통신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전력이 다소가 소모되는 것은 피할 수 없다.
도 1은 블루투스 통신을 사용하기 위하여 기기간 페어링(paring)을 하는 것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휴대폰(110)을 중심으로 다양한 기기들이 페어링을 통해 휴대폰과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폰(110)은 무선 헤드셋(120), 프린터(130), 기타 단말기(140)와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도 2는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는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RF(210)에서는 고주파 신호와 디지털 신호를 변환시켜주는 부분이다. 고주파 신호를 받아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신호처리가 가능하게 하거나 역으로 디지털 신호를 고주파 신호로 바꾸어 전송하는 기능을 하는 부분이다. 블루투스는 2.4GHz의 ISM 밴드에서 동작하게 되는데 변조(modulation) 방법은 GFSK(Gaussian Frequency Shift Keying) 방법을 사용한다.
Baseband(250) 부분은 물리적 계층(physical layer)의 프로토콜을 처리하는 부분이다. 대역폭 1MHz 의 채널을 79개 설정하여 1초 간에 1600회 채널을 바꾸는 주파수 호핑 방식의 스펙트럼 확산 기술이 사용된다.
보통 7개의 기기가 1개의 피코넷(piconet)으로 연결되고 7개 중 1개는 주파수 호핑 패턴 생성 등의 피코넷을 관리하는 마스터가 되고 나머지는 슬레이브로 접속된다. 피코넷이 형성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기기들간 연결이 되지 않은 상태를 스탠바이 상태라 하는데, 이 상태에서 각 기기들은 일정 시간(약 1초)마다 새로운 메시지를 받아들이고, 연결요청이 있으면 그 기기가 마스터가 되어 다른 기기들을 인식하기 시작(inquirey/page)한다. 이 때 8비트의 파크(park) 주소가 할당된 기기들은 파크상태가 된다. 이후 마스터와 통신하는 기기들은 3비트의 활성(active) 주소를 할당받으면 피코넷이 형성된다. 활성상태인 기기들은 다시 3가지 상태가 된다. 실제 통신을 하는 활성모드, 대기모드, 탐지모드가 있는데, 대기 및 탐지 모드는 피코넷에 참여는 하지만 전체 트래픽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마스터는 접속을 위한 키를 포함한 질의(inquiry)를 일정 시간(600여 usec) 간격으로 송신하고 2초 내에 슬레이브와 동기화를 이루고 슬레이브는 3비트의 활성 주소를 할당받고 다시 마스터로부터 페이지 메시지를 받고 난 후 마스터에 의해 결정된 호핑 패턴을 사용해 동기화된다. 이후에 서로 인증을 수행하는데, 인증에 사용하는 암호키는 마스터가 발생한 난수와 슬레이브의 MAC 주소의 배타적 논리합(XOR)을 사용하여 만든다. 인증절차가 완료되면 전용키가 전달되고 이후에는 데이터 송수신 단계가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휴대폰 분실 방지 장치가 휴대폰의 분실 내지는 이격을 체크하여 분실 방지를 실행하는 순서도이다.
먼저, 휴대폰과 휴대폰 분실 방지 장치 간 블루투스 통신을 통한 장치 등록이 실행된다(S310). 즉, 스탠바이 상태에 있는 휴대폰의 분실 방지를 위해 휴대폰 분실 방지 장치는 마스터로서 주변 기기를 탐지하고 휴대폰을 검색하여 찾아낸다. 물론 이 과정은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이루어진다. 분실 방지 대상 휴대폰이 근거리 내에 있으면 이를 인식하여 마스터 장치인 휴대폰의 분실 방지 장치에 등록한다.
다음은 휴대폰 분실 방지 장치에서 소정의 거리 제한을 설정한다(S320).
이 단계는 사실 장치 등록을 실행하는 단계 전에 수행되어도 상관없다. 전용앱을 통해 휴대폰 분실 방지 장치와 휴대폰 간에 이격이 어느 정도까지 발생할 수 있는지를 설정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가 있는 휴대폰에서 전용앱을 사용하여 거리를 10m로 설정하면 10m를 벗어날 때 휴대폰 분실 방지 장치에서는 분실 경고 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S330).
휴대폰 분실 방지 장치에서 이러한 거리 설정이 이루어져도 상관없다. 휴대폰 분실 방지 장치는 최대한 간단한 하드웨어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7-segment 디스플레이를 통해 5, 10, 15m 의 숫자만 표시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창을 구비하여 이격 거리를 설정하는 것으로도 충분하다.
위에서 등록하는 단계는 최초 1회만 상기 휴대폰 분실 방지 장치에 등록되면 충분하다. 만일 휴대폰의 전원이 오프되고 나서 온 되어도 재차 휴대폰을 휴대폰 분실 방지 장치에 등록하는 과정은 요구되지 않으며 휴대폰 분실 방지 장치가 자동으로 휴대폰이 근거리에 있는지를 탐지하여 상기 등록을 복구한다.
역으로 휴대폰 분실 방지 장치의 전원이 오프 후 온 되는 경우에도 휴대폰 분실 방지 장치는 자동으로 기 등록된 휴대폰을 탐지하여 등록 상태를 복구한다.
분실 경고 신호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휴대폰 분실 방지 장치에서 진동을 통해 사용자에게 경고할 수도 있고, 소리 및 광 신호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이들의 조합도 가능하다. 각 신호에 대해 사용자가 경고음의 중단(stop)을 설정하지 않으면 경고 신호는 일정한 인터벌로 계속하여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위에서 휴대폰 분실 방지 장치는 상기 휴대폰의 보조 배터리로 사용되는 보조 배터리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휴대폰이 피처폰에서 스마트폰으로 추세가 급격히 변화함에 따라 배터리 용량도 휴대폰 성능의 중요한 부분이 되었다. 따라서, 여분의 배터리를 휴대하는 것이 불편하므로 소용량에서 대용량의 보조배터리를 휴대하여 배터리 소모 시 이를 보충할 수 있게 해주는 보조 배터리가 많이 소개되고 있는데, 휴대폰 분실 방지 장치를 이러한 보조 배터리의 일부로서 구성하여 분실 방지 기능과 함께 휴대폰의 전원 공급 역할도 동시에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휴대폰 보조 배터리를 전원으로 사용하는 휴대폰 분실 방지 장치를 간략화한 회로도이다.
보조 배터리(400)는 보조 배터리 충전회로(410)와 충전지(420)로 이루어진다. 충전지(420)는 보조 배터리 충전회로(410)에 의해 전원 연결 시 충전되고, 휴대폰이 연결되면 전위 차에 의해 휴대폰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방전이 이루어진다.
충전지(420) 전원과 연결된 휴대폰 분실 방지 장치(430)는 보조 배터리의 전원을 평소에 공유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평소에는 휴대폰 분실 방지 장치(430)를 동작시키다가 사용하는 휴대폰의 배터리 잔량이 부족하면 휴대폰 분실 방지 장치(430)가 탑재된 보조 배터리를 이용해 휴대폰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분실 방지 장치(500)의 블럭도이다.
휴대폰 분실 방지 장치(500)는 기능적으로 블루투스 통신 모듈(510)과 제어부(520) 및 분실 경고 신호발생부(530)를 포함한다.
블루투스 통신 모듈(510)은 도 2의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는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를 간략화한 것이라 볼 수 있다. 블루투스 통신 모듈(5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휴대폰의 분실 방지를 위해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스탠바이 상태에 있는 휴대폰을 탐지하고 장치에 등록한다. 장치가 한번 등록되면 휴대폰 분실 방지 장치(500)는 활성상태가 되어 계속적으로 휴대폰이 소정의 거리 이상 이격되지 않는지 여부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블루투스 통신 모듈(510)을 통해 휴대폰이 최초에 등록되면 휴대폰의 전원이 오프 후 온 되어도 재차 등록할 필요가 없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즉, 블루투스 통신 모듈(510)은 전원을 복구한 휴대폰을 자동으로 탐지하여 기기 ID가 맞는지를 체크한 후 등록을 복구한다.
마찬가지로 휴대폰 분실 방지 장치(500) 자체의 전원이 오프 후 온 되는 경우에도 자동으로 블루투스 통신 모듈(510)이 활성화되어 자신의 장치가 전원에서 새로이 시작되었다는 이벤트를 받아들이고, 이러한 "새로운 시작(new start)" 이벤트를 제어부(520)가 발생시키고 제어부(520)에서 기존 등록된 장치의 ID 정보를 제공하면 블루투스 통신 모듈(510)은 동일한 장치 ID를 가지는 휴대폰을 자동으로 재탐지한다. 동일한 장치 ID를 가지는 휴대폰이 재탐지 되면 제어부는 등록 상태를 복구한다. 즉, 휴대폰 분실 방지 장치(500)를 활성상태로 유지하고 휴대폰이 이격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기 시작한다.
만일 휴대폰 분실 방지 장치(500)가 전원 오프 상태에서 전원 온 상태로 복구되었고 이후 탐지를 통해 기존 등록된 장치 ID를 가지는 휴대폰을 탐지하지 못하게 되면 소정의 거리가 이격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분실 경고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아니면 휴대폰이 탐지되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별도의 신호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별도의 신호 이벤트는 다른 색의 광 신호를 생성한다든가, 소리 신호의 인터벌을 내지는 종류를 달리하거나 진동의 인터벌 내지는 패턴을 달리하는 방법이 있다. 또는 7-세그먼트 창과 같은 디스플레이 창에 "NOT FOUND" 등의 메시지를 표시할 수도 있다.
제어부(520)에서는 소정의 거리 제한을 설정한다. 물론 휴대폰에서 거리 설정이 이루어지는 경우라면 휴대폰과의 통신을 통해 설정된 거리 데이터만 수신하여 이를 메모리(도시되지 않음)에 저장하여 두면 된다. 따라서, 이 경우 제어부(520)는 일반적인 중앙처리장치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신호 발생부(530)는 등록된 휴대폰이 상기 소정의 거리 제한을 벗어나면 제어부를 통해 소정의 거리 제한을 벗어났다는 이벤트를 수신하게 되고, 이 이벤트를 통해 분실 경고 신호를 발생시킨다.
분실 경고 신호는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진동, 소리 및 광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내지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상세한 설명과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를 개시하였다. 용어들은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며,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명세서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210 ; RF
250 ; Baseband
400 ; 보조배터리
410 ; 보조배터리 충전회로
420 ; 충전지
430, 500 ; 휴대폰 분실 방지 장치
510 ; 블루투스 통신 모듈
520 ; 제어부
530 ; 신호발생부

Claims (6)

  1. 스탠바이 상태에 있는 휴대폰의 분실 방지를 위해 휴대폰 분실 방지 장치에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상기 휴대폰을 인식시켜 등록하는 단계;
    상기 휴대폰 분실 방지 장치에서 소정의 거리 제한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등록된 휴대폰이 상기 소정의 거리 제한을 벗어나면 분실 경고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등록하는 단계는 최초 1회로 상기 휴대폰 분실 방지 장치에 등록되면 상기 휴대폰의 전원이 오프 후 온 되어도 재차 등록하는 과정 없이 상기 휴대폰 분실 방지 장치가 자동으로 탐지하여 상기 등록을 복구하고, 상기 휴대폰 분실 방지 장치의 전원이 오프 후 온 되는 경우에도 자동으로 상기 등록된 휴대폰을 탐지하여 등록 상태를 복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를 이용한 휴대폰의 분실 방지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실 경고 신호는 진동, 소리 및 광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를 이용한 휴대폰의 분실 방지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 분실 방지 장치는 상기 휴대폰의 보조 배터리로 사용되는 보조 배터리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를 이용한 휴대폰의 분실 방지 방법.
  4. 휴대폰 분실 방지 장치로서,
    휴대폰의 분실 방지를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스탠바이 상태에 있는 상기 휴대폰을 탐지하고 등록하기 위한 블루투스 통신 모듈;
    소정의 거리 제한을 설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등록된 휴대폰이 상기 소정의 거리 제한을 벗어나면 분실 경고 신호를 발생시키는 분실 경고 신호발생부;를 포함하고,
    상기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휴대폰이 최초 1회 등록되면 상기 휴대폰의 전원이 오프 후 온 되어도 재차 등록할 필요없이 상기 블루투스 통신 모듈이 자동으로 상기 휴대폰을 탐지하여 상기 등록을 복구하고, 상기 휴대폰 분실 방지 장치의 전원이 오프 후 온 되는 경우 자동으로 상기 등록된 휴대폰을 탐지하여 등록 상태를 복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를 이용한 휴대폰의 분실 방지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분실 경고 신호는 진동, 소리 및 광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를 이용한 휴대폰의 분실 방지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 분실 방지 장치는 상기 휴대폰의 보조 배터리로 사용되는 보조 배터리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를 이용한 휴대폰의 분실 방지 장치.
KR1020130043825A 2013-04-19 2013-04-19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휴대폰 분실 방지 장치 및 방법 KR1014625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3825A KR101462500B1 (ko) 2013-04-19 2013-04-19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휴대폰 분실 방지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3825A KR101462500B1 (ko) 2013-04-19 2013-04-19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휴대폰 분실 방지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5982A KR20140125982A (ko) 2014-10-30
KR101462500B1 true KR101462500B1 (ko) 2014-11-20

Family

ID=51995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3825A KR101462500B1 (ko) 2013-04-19 2013-04-19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휴대폰 분실 방지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25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7938B1 (ko) 2021-01-19 2022-04-20 (주)인셈 이동통신 단말기의 알람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2496B1 (ko) * 2015-10-29 2017-02-14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상황인지 기반 전자 디바이스 분실방지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0551U (ko) * 2007-07-16 2009-01-21 (주)제이시스텍 근거리 무선통신 시스템
KR20110015942A (ko) * 2009-08-10 2011-0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배터리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KR20110025427A (ko) * 2009-09-04 2011-03-10 씨에스전자(주) 소형무선단말기의 분실 경보장치
KR20120008555A (ko) * 2010-07-19 2012-02-01 성 완 김 스마트폰을 이용한 분실 방지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0551U (ko) * 2007-07-16 2009-01-21 (주)제이시스텍 근거리 무선통신 시스템
KR20110015942A (ko) * 2009-08-10 2011-0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배터리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KR20110025427A (ko) * 2009-09-04 2011-03-10 씨에스전자(주) 소형무선단말기의 분실 경보장치
KR20120008555A (ko) * 2010-07-19 2012-02-01 성 완 김 스마트폰을 이용한 분실 방지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7938B1 (ko) 2021-01-19 2022-04-20 (주)인셈 이동통신 단말기의 알람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5982A (ko) 2014-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417758B (zh) 一种蓝牙连接的方法及终端
US10142845B2 (en) Network connection method and apparatus, and computer storage medium
US11601838B2 (en) Non-connection state measurement method,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EP3903529B1 (en) Electronic device providing periodic positioning communication via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
CN108476060B (zh) 用于双模蓝牙设备之间建立经典蓝牙连接的方法和双模蓝牙设备
US11310848B2 (en) Pairing method, unpairing method, terminal device, and externally-connected device
EP3026944B1 (en) Discovery method and an electronic device thereof
EP3157173B1 (en) Bluetooth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EP2615869B1 (en) Systems for facilitating wireless communication and related methods
EP3468255B1 (en) Method for accessing wireless network, and mobile terminal
WO2015014293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guarding against theft of mobile terminals
CN106604277B (zh) 一种无线网络的接入方法及移动终端
US11844051B2 (en) Resource pool configuration method, resource pool using method, configuration device, and terminal
JP2015214192A (ja) タイヤ状態監視装置
CN111818593A (zh) 一种网络切换方法及终端
CN115514842A (zh) 用于提示设备电量信息的方法、设备、芯片及存储介质
KR101462500B1 (ko)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휴대폰 분실 방지 장치 및 방법
CN108449787B (zh) 连接控制方法、装置以及电子设备
CN111149313B (zh) 一种数据传输方法及设备
CN109587707B (zh) 一种测量控制方法、用户终端及基站
CN111966206A (zh) 一种指纹感应器的省电控制方法、装置及移动终端
CN107194225B (zh) 解锁控制方法及相关产品
CN113259802B (zh) 一种智能耳机的出仓检测方法和相关产品
CN112235806B (zh) 蓝牙参数配置方法、装置、存储介质及移动终端
CN201332503Y (zh) 无线数字儿童跟踪器及其发射端和接收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