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4776B1 - 해양플랜트 - Google Patents

해양플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4776B1
KR101924776B1 KR1020140034640A KR20140034640A KR101924776B1 KR 101924776 B1 KR101924776 B1 KR 101924776B1 KR 1020140034640 A KR1020140034640 A KR 1020140034640A KR 20140034640 A KR20140034640 A KR 20140034640A KR 101924776 B1 KR101924776 B1 KR 1019247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line
flow path
branch
manifold
in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4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1495A (ko
Inventor
김영훈
박상민
남기일
장광필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34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4776B1/ko
Publication of KR201501114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14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47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47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43/00Methods or apparatus for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43/01Methods or apparatus for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specially adapted for obtaining from underwater installations
    • E21B43/013Connecting a production flow line to an underwater well head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34/00Valve arrangements for boreholes or wells
    • E21B34/02Valve arrangements for boreholes or wells in well heads
    • E21B34/04Valve arrangements for boreholes or wells in well heads in underwater well head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43/00Methods or apparatus for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43/12Methods or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flow of the obtained fluid to or in wells
    • E21B43/121Lifting well fluids
    • E21B43/124Adaptation of jet-pump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43/00Methods or apparatus for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43/34Arrangements for separating materials produced by the we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35/4413Floating drilling platform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Pipeline Systems (AREA)

Abstract

듀얼(Dual) 파이프라인을 구비하는 해양플랜트가 개시된다.
개시되는 해양플랜트는 유정에서 생산된 유정유체를 집유하는 매니폴드; 상기 매니폴드와 해상플랫폼 간에 연결되어 상기 매니폴드에 집유된 유정유체가 상기 해상플랫폼으로 이송되는 유로를 구성하는 제1 파이프라인; 상기 매니폴드와 해상 플랫폼 간에 연결되어 상기 매니폴드에 집유된 유정유체가 상기 해상플랫폼으로 이송되는 유로를 구성하고, 상기 제1 파이프라인에 대칭되는 제2 파이프라인; 상기 제1 파이프라인에서 분기된 제1 분기유로; 상기 제2 파이프라인에서 분기된 제2 분기유로; 일단이 상기 제1 분기유로 및 제2 분기유로에 연결되고 타단이 주입정에 연결되는 주입유로; 상기 제1 분기유로로의 유정유체의 유동을 제어하는 제1 분기밸브; 및 상기 제2 분기유로로의 유정유체의 유동을 제어하는 제2 분기밸브;를 포함한다.
이러한 해양플랜트에 의하면, 유정의 압력변화 및 원유생산설비의 이상발생시에 유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해양플랜트 {OFFSHORE PLANT}
본 발명은 해양플랜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듀얼(Dual) 파이프라인을 구비하는 해양플랜트에 관한 것이다.
해양플랜트는 해저유정에서 생산되는 원유 및 천연가스와 같은 해저자원을 채취하는 시설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해양플랜트는 해저면에 설치되며 유정에서 생산되는 원유(천연가스 포함)를 모으는 매니폴드와, 상기 매니폴드에서 해상플랫폼 간에 연결되어 원유가 해상플랫폼으로 이송되는 유로를 구성하는 파이프라인을 포함한다.
그런데, 파이프라인을 통하여 이송되는 원유는 심해의 낮은 온도에 의해 열손실이 발생하여 원유의 점도가 증가하고, 원유가 응축되어 파이프라인의 내부에 아스팔트, 스케일 등의 부산물이 생성된다.
이러한 부산물들은 원유의 유동성을 저하시켜 흐름 견실성(Flow Assurance)이 나빠져 생산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파이프라인 내부에 생성된 부산물들을 제거하는 피깅(Pigging) 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파이프라인 내부로 피그를 투입하여 부산물들을 제거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 따른 해양플랜트는 파이프라인 내부의 부산물들을 제거하기 위해서 해상의 피그 투입장치를 설치하고 매니폴드 측 파이프라인 말단에 피그 회수장치를 추가적으로 설치하여야 한다.
결국, 종래의 파이프라인은 투입된 피그를 회수하는데 있어서 어려움이 있고 설치비용도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기술에 따른 해양플랜트는 원유생산설비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이송되는 원유의 처리가 곤란하여, 이상발생시에 대처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기술에 따른 해양플랜트는 해상플랫폼으로 이송되는 원유의 양이 증가하는 경우에 가스를 연소시키는 연소설비에 과부하가 발생하는 것에 대비하여 연소설비를 대형으로 제작하여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 중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일 측면으로서, 압축기가 설치된 장치의 구동시 압축기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 및 소음이 저감된 압축기의 고정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 중 적어도 일부를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유정에서 생산된 유정유체를 집유하는 매니폴드; 상기 매니폴드와 해상플랫폼 간에 연결되어 상기 매니폴드에 집유된 유정유체가 상기 해상플랫폼으로 이송되는 유로를 구성하는 제1 파이프라인; 상기 매니폴드와 해상 플랫폼 간에 연결되어 상기 매니폴드에 집유된 유정유체가 상기 해상플랫폼으로 이송되는 유로를 구성하고, 상기 제1 파이프라인에 대칭되는 제2 파이프라인; 상기 제1 파이프라인에서 분기된 제1 분기유로; 상기 제2 파이프라인에서 분기된 제2 분기유로; 일단이 상기 제1 분기유로 및 제2 분기유로에 연결되고 타단이 주입정에 연결되는 주입유로; 상기 제1 분기유로로의 유정유체의 유동을 제어하는 제1 분기밸브; 및 상기 제2 분기유로로의 유정유체의 유동을 제어하는 제2 분기밸브;를 포함하는 해양플랜트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주입유로에는 상기 주입유로로 유동하는 유정유체에 주입압력을 가하는 부스팅 펌프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분기유로에서 분기되며 말단이 상기 제1 파이프라인에 연결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 분기유로로 유동하는 유정유체가 상기 제1 파이프라인으로 이송되는 유로를 구성하고, 상기 주입유로에 병렬로 배치되는 제1 바이패스유로; 및 상기 제2 분기유로에서 분기되며 말단이 상기 제2 파이프라인에 연결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2 분기유로로 유동하는 유정유체가 상기 제2 파이프라인으로 이송되는 유로를 구성하고, 상기 주입유로에 병렬로 배치되는 제2 바이패스유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주입유로와 상기 제1 바이패스유로 및 제2 바이패스유로는 각각의 유로가 연결되는 연결부위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위에 구비되어, 상기 주입유로와 상기 제1 바이패스유로 및 제2 바이패스유로 간에 유로를 전환하는 유로전환밸브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파이프라인에는 상기 제1 바이패스유로와 병렬로 배치되는 제1 초크밸브가 구비되고, 상기 제2 파이프라인에는 상기 제2 바이패스유로와 병렬로 배치되는 제2 초크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바이패스유로 및 상기 제2 바이패스유로 각각에는 유량을 제어하는 밸브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매니폴드에서 일단이 상기 제1 파이프라인 끝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 파이프라인의 끝단에 연결되는 순환 파이프라인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유정의 압력변화 및 원유생산설비의 이상발생시에 유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이송되는 원유의 유량 및 유속을 조절함으로써, 해상플랫폼에 구비되는 생산설비의 간소화가 가능하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플랜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해양플랜트의 정상적인 생산상태의 유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해양플랜트의 이송되는 원유의 압력을 보상하는 상태의 유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해양플랜트의 주입정으로 원유를 배출하는 상태의 유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해양플랜트의 해상플랫폼으로 이송되는 가스의 양을 줄이기 위한 유로를 나타내는 개략도.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플랜트에 대해서 살펴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플랜트(100)는 매니폴드(120), 해상플랫폼(110), 제1 파이프라인(130), 제2 파이프라인(140), 순환 파이프라인(135), 제1 분기유로(151), 제1 분기밸브(156), 제2 분기유로(152), 제2 분기밸브(157), 주입유로(180), 부스팅 펌프(185), 제1 바이패스유로, 제2 바이패스유로 및 유로전환밸브(190)를 포함한다.
상기 매니폴드(120)는 해저면에 설치되어 유정에서 생산되는 원유(천연가스 포함)를 집유할 수 있다. 매니폴드(120)에는 유정에 연결되어 원유가 매니폴드(120)로 채취되는 경로를 구성하는 집유관(122)이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매니폴드(120)에는 복수의 유정에 연결된 복수의 집유관(122)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해상플랫폼(110)은 해상에 부유는 구조물로서, 후술할 제1 파이프라인(130) 및 제2 파이프라인(140)에 연결되어 유정에서 생산된 원유를 공급받아 처리하는 설비이다.
일 실시예에서, 해상플랫폼(110)에는 원유에서 가스와 오일을 분리하는 분리기(112)와, 상기 분리기(112)에서 분리된 가스가 이송되는 가스관(114)과, 상기 분리기(112)에서 분리된 오일이 이송되는 오일관(112)과, 상기 가스관(114)에 연결되어 상기 가스관(114)에서 블로 다운(Blow down)되는 가스를 연소시키는 연소설비(118)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파이프라인(130)은 매니폴드(120)와 해상플랫폼(110) 간에 연결되어 매니폴드(120)에 집유된 원유가 해상플랫폼(110)으로 이송되는 유로를 구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파이프라인(130)에는 제1 파이프라인(130)의 유량을 제어할 수 있는 제1 초크밸브(132)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파이프라인(140)은 상기 제1 파이프라인(130)과 마찬가지로 매니폴드(120)와 해상플랫폼(110) 간에 연결되어 매니폴드(120)에 집유된 원유가 해상플랫폼(110)으로 이송되는 유로를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파이프라인(130)과 제2 파이프라인(14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니폴드(120)에서 해상플랫폼(110)으로 원유가 유동할 수 있는 듀얼(Dual) 파이프라인을 구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파이프라인(140)에는 제2 파이프라인(140)의 유량을 제어할 수 있는 제2 초크밸브(142)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순환 파이프라인(135)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니폴드(120)에서 일단이 제1 파이프라인(130)의 끝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2 파이프라인(140)의 끝단에 연결되어, 제1 파이프라인(130)과 제2 파이프라인(140)을 서로 연결시킬 수 있다.
이러한 순한 파이프라인은 피깅(Pigging) 작업시 제1 파이프라인(130)으로 투입된 피그가 순환 파이프라인(135)과 제2 파이프라인(140)을 거쳐 해상플랫폼(110)에서 회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순환 파이프라인(135)에는 순환 파이프라인(135)을 개폐하는 순환밸브(136)가 구비될 수 있다. 피깅작업시 상기 순환밸브(136)는 개방될 수 있으며, 정상 생산 운전시에는 폐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분기유로(15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파이프라인(130)에서 분기되어 제2 파이프라인(140)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분기유로(151)에는 제1 분기유로(151)의 유량을 제어하는 제1 분기밸브(156)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분기유로(15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파이프라인(140)에서 분기되어 제1 파이프라인(130)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분기유로(152)에는 제2 분기유로(152)의 유량을 제어하는 제2 분기밸브(157)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입유로(180)는 일단이 제1 분기유로(151) 및 제2 분기유로(152)에 연결되어 타단이 주입정(Injection Well)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주입유로(180)의 후단에는 주입정에 연결된 배출관(187)이 구비될 수 있다. 배출관(187)은 전단이 주입유로(180)와 후술할 제1 바이패스 유로 및 제2 바이패스 유로의 연결부위에 연결될 수 있으며 타단이 주입정에 연결되어, 주입유로(180)에서 배출되는 원유가 주입정에 공급되는 유로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스팅 펌프(185)는 주입유로(180)에 구비되어, 주입유로(180)에 유동하는 원유에 주입압력을 가할 수 있다. 즉, 부스팅 펌프(185)는 주입유로(180) 및 배출관(187)을 통해 주입정에 공급되는 원유에 압력을 가하여, 원유가 고압으로 주입정에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부스팅 펌프(185)는 원유가 주입정에 공급되는 경우에만 주입압력을 가할뿐 아니라, 제1 파이프라인(130) 및 제2 파이프라인(140)을 통해 해상플랫폼(110)으로 이송되는 원유에 압력을 가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부스팅 펌프(185)가 해상플랫폼(110)으로 이송되는 원유에 압력을 가하는 동작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1 바이패스유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분기유로(151)에서 분기되며 말단이 제1 파이프라인(130)에 연결되도록 구비되어, 제1 분기유로(151)로 유동하는 원유가 제1 파이프라인(130)으로 이송되는 유로를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바이패스유로는 제1 파이프라인(130)의 제1 초크밸브(132)가 구비된 구간을 우회하는 유로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바이패스유로는 상기 주입유로(180)에 병렬로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바이패스유로는 제1 분기유로(151)에서 분기되는 제1 유로(161)와, 상기 제1 유로(161)와 제1 파이프라인(130) 간에 연결되는 제2 유로(162)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바이패스유로에는 유량을 제어하는 밸브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유로(161)에는 제1 유로(161)의 유량을 제어하는 제1 유량조절밸브(171)가 구비될 수 있고, 제2 유로(162)에는 제2 유로(162)의 유량을 제어하는 제2 유량조절밸브(172)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바이패스유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분기유로(152)에서 분기되며, 말단이 제2 파이프라인(140)에 연결되도록 구비되어, 제2 분기유로(152)로 유동하는 원유가 제2 파이프라인(140)으로 이송되는 유로를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바이패스유로는 제2 파이프라인(140)의 제2 초크밸브(142)가 구비된 구간을 우회하는 유로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제2 바이패스유로는 제1 바이패스유로와 대칭되는 구조로 상기 주입유로(180)에 병렬로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바이패스유로는 제2 분기유로(152)에서 분기되는 제3 유로(163)와, 상기 제3 유로(163)와 제2 파이프라인(140) 간에 연결되는 제4 유로(164)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바이패스유로에는 유량을 제어하는 밸브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3 유로(163)에는 제3 유로(163)의 유량을 제어하는 제3 유량조절밸브(173)가 구비될 수 있고, 제4 유로(164)에는 제4 유로(164)의 유량을 제어하는 제4 유량조절밸브(174)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유로전환밸브(19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입유로(180), 배출관(187), 제2 유로(162) 및 제4 유로(164)의 연결부위에 구비되어, 주입유로(180)와 제1 바이패스유로 및 제2 바이패스유로 간에 유로를 전환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플랜트(100)의 상황별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기서, 도 2는 정상적인 생산상태의 유로를 나타내며, 도 3은 해상플랫폼(110)으로 이송되는 원유의 압력을 보상하는 상태의 유로를 나타내고, 도 4는 주입정으로 원유를 배출하는 상태의 유로를 나타내고, 도 5는 해상플랫폼(110)으로 이송되는 가스의 양을 줄이기 위한 유로를 나타낸다.
우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플랜트(100)가 정상적으로 생산운전을 하는 경우, 제1 분기밸브(156) 및 제2 분기밸브(157)는 닫히고, 제1 초크밸브(132) 및 제2 초크밸브(142)는 열린다.
이를 통해, 매니폴드(120)에 집유된 원유는 제1 파이프라인(130)과 제2 파이프라인(140)을 통해 해상플랫폼(110)으로 이송될 수 있다.
다음으로, 유정의 압력이 낮아서 해상플랫폼(110)으로 이송되는 원유의 압력을 보상하는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초크밸브(132) 및 제2 초크밸브(142)는 닫히고, 제1 분기밸브(156), 제2 분기밸브(157), 제1 유량조절밸브(171), 제2 유량조절밸브(172), 제3 유량조절밸브(173) 및 제4 유량조절밸브(174)는 열린다.
이때, 부스팅 펌프(185)가 가동되어, 주입유로(180)에 유동하는 원유를 가압할 수 있다.
또한, 유로전환밸브(190)는 주입유로(180)를 통과한 원유가 제1 바이패스유로 및 제2 바이패스유로로 유동하도록 유로를 전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매니폴드(120)에서 이송되는 원유는 제1 바이패스유로, 제2 바이패스유로 및 주입유로(180)를 통과한 후 제1 파이프라인(130) 및 제2 파이프라인(140)으로 이송될 수 있다.
이때, 부스팅 펌프(185)는 매니폴드(120)에서 해상플랫폼(110)으로 이송되는 원유의 일부를 가압하여 원유가 생산에 충분한 압력으로 해상플랫폼(110)에 이송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스팅 펌프(185)를 이용하여 이송되는 원유의 압력을 보상하는 경우는 유정의 압력이 낮아진 경우에 실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해상플랫폼(110)의 원유생산설비, 제1 파이프라인(130) 또는 제2 파이프라인(140)에 이상이 발생하여 원유 생산을 중단해야 하는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초크밸브(132) 및 제2 초크밸브(142)는 닫히고, 제1 분기밸브(156) 및 제2 분기밸브(157)는 열릴 수 있다.
그리고, 제1 유량조절밸브(171) 및 제3 유량조절밸는 닫혀서 제1 분기유로(151) 및 제2 분기유로(152)로 이송된 원유가 제1 바이패스유로 및 제2 바이패스유로로 이송되지 않고 전량 주입유로(180)로 이송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부스팅 펌프(185)는 작동되어 매니폴드(120)에 집유된 원유는 주입유로(180)로 유동하는 원유에 압력을 가할 수 있고, 부스팅 펌프(185)를 통과한 원유는 배출관(187)을 통해 주입정으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원유를 전량 주입정으로 배출하는 경우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해상플랫폼(110)의 원유생산설비, 제1 파이프라인(130) 또는 제2 파이프라인(140)에 이상이 발생하여 원유 생산을 중단해야 하는 경우에 실행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해상플랫폼(110)의 연소설비(118)에 과부하가 발생하여 연소설비(118)로 유입되는 가스의 양을 감소시켜야 하는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초크밸브(132), 제2 초크밸브(142), 제1 분기밸브(156), 제2 분기밸브(157), 제1 유량조절밸브(171), 제2 유량조절밸브(172), 제3 유량조절밸브(173) 및 제4 유량조절밸브(174)가 열리고, 유로전환밸브(190)는 주입유로(180)를 통과한 원유가 제1 바이패스유로 및 제2 바이패스유로로 이송되도록 유로를 전환할 수 있다.
이때, 매니폴드(120)에 집유된 원유 중의 일부는 제1 파이프라인(130)과 제2 파이프라인(140)을 통해 곧바로 해상플랫폼(110)으로 이송될 수 있고, 매니폴드(120)에 집유된 원유 중의 나머지 일부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입유로(180), 제1 바이패스유로 및 제2 바이패스유로에서 순환한 후 해상플랫폼(110)으로 이송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해상플랫폼(110)으로 이송되는 원유의 유속 및 유량이 감소하여, 연소설비(118)의 부하가 감소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플랜트(100)는 파이프라인에 설치되는 부스팅 펌프(185)와, 파이프라인에서 원유를 주입정으로 배출시키는 유로와, 파이프라인을 통해 유동하는 원유가 우회하여 해상플랫폼(110)으로 이송될 수 있는 바이패스유로를 통해, 원유생산설비의 이상발생 시 및 유지보수 시에 유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플랜트(100)는 바이패스유로를 통해 해상플랫폼(110)의 연소설비(118)로 이송되는 원유의 유량 및 유속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연소설비(118)의 부하가 감쇠되고, 이를 통해 연소설비(118)의 간소화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100 : 해양플랜트 110 : 해상플랫폼
112 : 분리기 114 : 가스관
112 : 오일관 118 : 연소설비
120 : 매니폴드 122 : 집유관
130 : 제1 파이프라인 132 : 제1 초크밸브
135 : 순환 파이프라인 136 : 순환밸브
140 : 제2 파이프라인 142 : 제2 초크밸브
151 : 제1 분기유로 152 : 제2 분기유로
156 : 제1 분기밸브 157 : 제2 분기밸브
<제1 바이패스유로>
161 : 제1 유로 162 : 제2 유로
171 : 제1 유량조절밸브 172 : 제2 유량조절밸브
<제2 바이패스유로>
163 : 제3 유로 164 : 제4 유로
173 : 제3 유량조절밸브 174 : 제4 유량조절밸브
180 : 주입유로 185 : 부스팅 펌프
187 : 배출관 190 : 유로전환밸브

Claims (7)

  1. 유정에서 생산된 유정유체를 집유하는 매니폴드;
    상기 매니폴드와 해상플랫폼 간에 연결되어 상기 매니폴드에 집유된 유정유체가 상기 해상플랫폼으로 이송되는 유로를 구성하는 제1 파이프라인;
    상기 매니폴드와 해상 플랫폼 간에 연결되어 상기 매니폴드에 집유된 유정유체가 상기 해상플랫폼으로 이송되는 유로를 구성하고, 상기 제1 파이프라인에 대칭되는 제2 파이프라인;
    상기 제1 파이프라인에서 분기된 제1 분기유로;
    상기 제2 파이프라인에서 분기된 제2 분기유로;
    일단이 상기 제1 분기유로 및 제2 분기유로에 연결되고 타단이 주입정에 연결되는 주입유로;
    상기 제1 분기유로로의 유정유체의 유동을 제어하는 제1 분기밸브; 및
    상기 제2 분기유로로의 유정유체의 유동을 제어하는 제2 분기밸브; 를 포함하며,
    상기 매니폴드에서 일단이 상기 제1 파이프라인 끝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 파이프라인의 끝단에 연결되는 순환 파이프라인;을 더 포함하는 해양플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유로에는 상기 주입유로로 유동하는 유정유체에 주입압력을 가하는 부스팅 펌프가 구비되는 해양플랜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기유로에서 분기되며 말단이 상기 제1 파이프라인에 연결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 분기유로로 유동하는 유정유체가 상기 제1 파이프라인으로 이송되는 유로를 구성하고, 상기 주입유로에 병렬로 배치되는 제1 바이패스유로; 및
    상기 제2 분기유로에서 분기되며 말단이 상기 제2 파이프라인에 연결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2 분기유로로 유동하는 유정유체가 상기 제2 파이프라인으로 이송되는 유로를 구성하고, 상기 주입유로에 병렬로 배치되는 제2 바이패스유로; 를 더 포함하는 해양플랜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유로와 상기 제1 바이패스유로 및 제2 바이패스유로는 각각의 유로가 연결되는 연결부위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위에 구비되어, 상기 주입유로와 상기 제1 바이패스유로 및 제2 바이패스유로 간에 유로를 전환하는 유로전환밸브를 더 포함하는 해양플랜트.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이프라인에는 상기 제1 바이패스유로와 병렬로 배치되는 제1 초크밸브가 구비되고,
    상기 제2 파이프라인에는 상기 제2 바이패스유로와 병렬로 배치되는 제2 초크밸브가 구비된 해양플랜트.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이패스유로 및 상기 제2 바이패스유로 각각에는 유량을 제어하는 밸브장치가 구비된 해양플랜트.
  7. 삭제
KR1020140034640A 2014-03-25 2014-03-25 해양플랜트 KR1019247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4640A KR101924776B1 (ko) 2014-03-25 2014-03-25 해양플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4640A KR101924776B1 (ko) 2014-03-25 2014-03-25 해양플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1495A KR20150111495A (ko) 2015-10-06
KR101924776B1 true KR101924776B1 (ko) 2018-12-05

Family

ID=54344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4640A KR101924776B1 (ko) 2014-03-25 2014-03-25 해양플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47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3165B1 (ko) * 2015-10-29 2021-06-11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양플랜트의 유체 흐름 제어 시스템
KR102114884B1 (ko) * 2017-11-15 2020-05-25 신재승 이중창 단열 시스템
KR102050651B1 (ko) * 2018-01-09 2019-12-02 주식회사 오에스랩 고압 디버터의 제어 최적화를 위한 유압 테스트 시스템
NO346560B1 (en) 2018-04-24 2022-10-03 Equinor Energy As System and method for offshore hydrocarbon Processin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04075A (ja) * 1996-01-29 2000-04-04 ペトロレオ ブラジレイロ ソシエダ アノニマ―ペトロブラス 海洋石油産出分を流すための方法と設備
US20040256116A1 (en) 2001-08-31 2004-12-23 Ola Olsvik Method and plant or increasing oil recovery by gas injection
US20090321080A1 (en) * 2006-07-06 2009-12-31 Compressed Energy Technology As System, vessel and method for production of oil and heavier gas fractions from a resevoir below the seabed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39918B2 (ja) * 2011-03-17 2014-07-02 新日鉄住金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海底鉱物資源の揚鉱システム及び揚鉱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04075A (ja) * 1996-01-29 2000-04-04 ペトロレオ ブラジレイロ ソシエダ アノニマ―ペトロブラス 海洋石油産出分を流すための方法と設備
US20040256116A1 (en) 2001-08-31 2004-12-23 Ola Olsvik Method and plant or increasing oil recovery by gas injection
US20090321080A1 (en) * 2006-07-06 2009-12-31 Compressed Energy Technology As System, vessel and method for production of oil and heavier gas fractions from a resevoir below the seab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1495A (ko) 2015-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4776B1 (ko) 해양플랜트
EP1383985B1 (en) Wellhead product testing system
US20090200035A1 (en) All Electric Subsea Boosting System
CN109138965A (zh) 一种基于低压储液的段塞流捕集系统及方法
US10570719B2 (en) Integrated compact station of subsea separation and pumping systems
CN104713369A (zh) 一种应用于工业炉冷却水的分配装置
CN104265528B (zh) 燃油循环过滤系统、油箱及工程机械
KR102512308B1 (ko) 무인 및 원격 가동되는 생산설비의 구조
CN201322191Y (zh) 煤气冷凝液排水装置
RU2393336C1 (ru) Обвязка устьевого и наземного оборудования метаноугольной скважины (варианты)
CN109027680B (zh) 一种油气分离混输增压橇及其工艺
KR20140038652A (ko) 유체 이송배관의 이물질 제거를 위한 반자동 필터 시스템
KR20150111497A (ko) 해양플랜트
KR101924778B1 (ko) 해양플랜트
JP2010022940A (ja) フィルタ洗浄装置
KR20150111498A (ko) 해양플랜트
CN103752068B (zh) 一种反冲水系统和反冲水方法
CN208918522U (zh) 一种基于低压储液的段塞流捕集系统
FR2982358B1 (fr) Installation de recuperation de chaleur
AU2012329629A2 (en) A method of draining a fluid tank in a fluid separation system
JP2007231805A (ja) 非常用ディーゼル発電設備
CN104652579B (zh) 一种建筑物排水设施
CN102580392B (zh) 用于化学流体的过滤系统
CN203694747U (zh) 一种反冲水系统
CN214840753U (zh) 一种两台或多台火电机组凝结水联络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