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4763B1 - Apparatus for charging battery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charging batter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4763B1
KR101924763B1 KR1020180102058A KR20180102058A KR101924763B1 KR 101924763 B1 KR101924763 B1 KR 101924763B1 KR 1020180102058 A KR1020180102058 A KR 1020180102058A KR 20180102058 A KR20180102058 A KR 20180102058A KR 101924763 B1 KR101924763 B1 KR 1019247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regulating means
main body
battery
termi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20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양우진
이학송
안경진
Original Assignee
양우진
이학송
안경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우진, 이학송, 안경진 filed Critical 양우진
Priority to KR10201801020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476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47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476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provisions for charging different types of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03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charging device capable of charging various batteries with one charging device. The battery charging device comprises: a main body formed in a double clip shape; and a terminal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penetrating a terminal through a predetermined through-hole of the main body.

Description

배터리 충전 장치{APPARATUS FOR CHARGING BATTERY}[0001] APPARATUS FOR CHARGING BATTERY [0002]

본 발명은 배터리 충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charging device.

최근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우리의 생활은 다소 편리해 졌다. 여기에는 각종 전기 전자 제품들이 일익을 담당하였다. 그 중에서도 특히 스마트폰은 전화통화는 기본이고 인터넷 서핑과 사진촬영 및 편집, 음악 및 동영상 재생, 게임, 메모 등의 다양한 기능을 단 하나의 기기로 제공해 주기에 가희 현대기술의 결정체라고 할 수 있다.As our technology has developed recently, our life has become somewhat convenient. Various electric and electronic products played a role. Especially, smart phone is basic phone call and it is a crystal of KAI HYUNDAI technology to provide various functions such as internet surfing, photo shooting and editing, music and video playback, game and memo to a single device.

하지만 이 스마트폰은 기존의 전화 기능만을 가지고 있는 휴대폰에 비해 상대적으로 배터리 소모량이 많을뿐더러 우리는 이를 지속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도 배터리를 더욱 자주 충전시켜줘야 할 필요성이 증가하였다.However, this smartphone has a relatively high consumption of battery compared to a cell phone with only a conventional telephone function, and we have increased the need to charge the battery more frequently in order to use it continuously.

이에 사람들은 보조배터리를 구매하여 사용하기도 하지만 보조배터리의 무게와 부피는 감히 무시하지 않을 수가 없다. 또한 보조 배터리가 정품 배터리가 아닌 경우에는 그 성능이 보장되지 않거나, 안전 또한 위협 받을 수 있다. 사람들은 이에 배터리가 분리가 가능한 스마트 폰의 경우에는 여분의 배터리를 충전하여 들고 다닌다. 이는 무게도 가볍고 부피도 크게 차지하지 않고 또한 안전성도 상당히 높은 편에 속하기에 보조배터리보다는 더욱 현명한 선택이라고 할 수 있다. People buy secondary batteries and use them, but the weight and volume of secondary batteries can not help but ignore them. If the secondary battery is not a genuine battery, its performance may not be guaranteed or safety may be threatened. People carry a spare battery in case of a smartphone that can be detached from the battery. This is a wiser choice than a secondary battery because it is light in weight, does not take up a lot of volume, and is very safe.

각각의 스마트폰은 스마트폰 자체에 탑재되어 있는 단자는 다소 제한된 형태로 한정되어 있지만, 스마트폰에 사용되고 있는 배터리는 단자간의 간격들이 배터리 마다 상이하므로, 각각의 배터리에 알맞은 별도의 충전 도구를 이용하여 충전을 해야 하는 번거러움이 존재한다.Each smartphone has a limited number of terminals mounted on the smartphone itself, but since the spacing between the terminals of the battery used in the smartphone is different for each battery, a separate charging tool suitable for each battery is used There is a hassle to charge.

본 발명은 다양한 배터리를 하나의 충전 장치로 충전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for charging various batteries with one charging device.

또한, 본 발명은 기존 배터리 충전 장치보다 나은 휴대성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provide portability better than existing battery charging apparatuses.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배터리 충전 장치는 더블클립 형상의 본체; 및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attery charging apparatus includes a body having a double clip shape; And

상기 본체의 일면에 배치하되, 상기 본체의 소정의 통공을 통해 단자를 관통하는 단자부를 포함할 수 있다.And a terminal portion dispos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the terminal portion passing through the terminal through the predetermined through-hole of the main body.

또한, 상기 단자부는, 배터리의 단자와 접촉하는 복수 개의 단자; 및 상기 복수 개의 단자의 간격을 조절하는 단자 조절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단자 조절 수단의 일단에 상기 단자가 결합할 수 있다.Further, the terminal por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terminals in contact with the terminals of the battery; And a terminal regulating means for regulating an interval between the plurality of terminals, wherein the terminal can be coupled to one end of the terminal regulating means.

또한, 상기 단자가 상기 본체를 관통하는 통공의 내측면 및 통공의 내주연을 절연체로 감싸는 절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n inner surface of the through hole passing through the body and an insulating portion surrounding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through hole with an insulator.

또한, 상기 단자부는, 제 1 단자, 제 2 단자, 제 3 단자 및 제 4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단자 조절 수단은, 제 1 단자 조절 수단, 제 2 단자 조절 수단, 제 3 단자 조절 수단 및 제 4 단자 조절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단자는 상기 제 1 단자 조절 수단과 결합하고, 상기 제 2 단자는 상기 제 2 단자 조절 수단과 결합하고, 상기 제 3 단자는 상기 제 3 단자 조절 수단과 결합하고, 상기 제 4 단자는 상기 제 4 단자 조절 수단과 결합하고, 상기 단자 조절 수단을 조절하여 상기 단자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The terminal portion includes a first terminal, a second terminal, a third terminal and a fourth terminal, and the terminal regulating means includes a first terminal regulating means, a second terminal regulating means, a third terminal regulating means, Wherein the first terminal is coupled to the first terminal regulating means and the second terminal is coupled to the second terminal regulating means and the third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third terminal regulating means and the third terminal regulating means, The fourth terminal is coupled to the fourth terminal regulating means, and the terminal regulating means is adjusted to adjust the interval between the terminals.

또한, 상기 단자부는, 상기 단자 조절 수단 간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간격 조절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단자 조절 수단은 일측에 고정되되, 상기 제 4 단자 조절 수단을 조절하여 상기 단자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The terminal unit may further include gap adjusting means for maintaining a constant distance between the terminal adjusting means, wherein the first terminal adjusting means is fixed to one side, and the fourth terminal adjusting means is adjusted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terminals The spacing can be adjusted.

또한, 상기 단자부는, 상기 단자 조절 수단을 감싸되, 상기 단자 조절 수단의 타단은 노출하는 커버; 상기 단자 조절 수단의 중단에 돌출되어 형성된 핀; 및 상기 커버의 내측에 형성된 홈;을 포함하고, 상기 핀과 상기 홈은 매칭되어 끼워지고, 상기 핀과 연결된 상기 단자 조절 수단은 상기 홈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Also, the terminal portion may include a cover which surrounds the terminal regulating means and exposes the other end of the terminal regulating means; A pin protruding from an end of the terminal regulating means; And a groove formed inside the cover, wherein the pin and the groove are matched with each other, and the terminal adjusting means connected to the pin can move along the groove.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의 일측벽에 통공을 형성하여 상기 단자에 배터리의 단자가 접촉 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단자 확인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ain body may further include terminal checking means for forming a through hole in one side wall of the main body to check whether the terminal of the battery contacts the terminal.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의 일측벽과 상기 일측벽과 대항하는 타측벽에 형성되고, 상기 일측벽과 상기 타측벽을 향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배터리 고정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ain body may further include battery fixing means formed on one side wall of the main body and another side wall opposing the one side wall and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ward the one side wall and the other side wall.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다양한 배터리를 하나의 충전 장치로 충전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batteries can be charged with one charging devic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기존 배터리 충전 장치보다 나은 휴대성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portability better than existing battery charger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 장치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자부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자부의 세부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자 조절 수단에 의해 단자 간의 간격이 조절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고정 수단의 동작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1 is a battery charg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view of a terminal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etailed perspective view of a terminal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terval between the terminals is adjusted by the terminal adjusting mean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n operation of a battery fixing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 과장되었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following embodiments. This embodiment is provided to more ful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us, the shape of the elements in the figures has been exaggerated to emphasize a clearer description.

본 발명의 다른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Other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concept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s provided to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만일 정의되지 않더라도,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기술 혹은 과학 용어들을 포함)은 이 발명이 속한 종래 기술에서 보편적 기술에 의해 일반적으로 수용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인 사전들에 의해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된 기술 그리고/혹은 본 출원의 본문에 의미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고, 그리고 여기서 명확하게 정의된 표현이 아니더라도 개념화되거나 혹은 과도하게 형식적으로 해석되지 않을 것이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accepted by the generic art in the prior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defined by generic dictionaries may be interpreted to have the same meaning as in the related art and / or in the text of this application, and may be conceptualized or overly formalized, even if not expressly defined herein I will not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및/또는 이 동사의 다양한 활용형들 예를 들어, '포함', '포함하는', '포함하고', '포함하며' 등은 언급된 조성, 성분,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조성, 성분,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나열된 구성들 각각 또는 이들의 다양한 조합을 가리킨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includes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As used herein, the terms' comprise 'and / or various forms of use of the verb include, for example,' including, '' including, '' including, '' including, Steps, operations, and / or elements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sitions, components,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 / or components. The term 'and / or' as used herein refers to each of the listed configurations or various combinations thereof.

한편, 본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부', '~기', '~블록',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할 수 있다. 그렇지만 '~부', '~기', '~블록', '~모듈' 등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 '~기', '~블록',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 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It should be noted that the terms such as '~', '~ period', '~ block', 'module', etc. used in the entire specification may mean a unit for processing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For example, a hardware component, such as a software, FPGA, or ASIC. However, '~ part', '~ period', '~ block', '~ module' are not meant to be limited to software or hardware. Modules may be configured to be addressable storage media and may be configured to play back one or more processors. ≪ RTI ID = 0.0 >

이하,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ttached hereto.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 장치이다.1 is a battery charg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배터리 충전 장치(10)는 본체(110) 및 단자부(100)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본체(110)는 더블클립 형상이다.Referring to FIG. 1, a battery charging apparatus 10 includes a main body 110 and a terminal unit 100. Here, the main body 110 has a double clip shape.

상기 본체(110)는 단자 확인 수단(111), 배터리 고정 수단(112) 및 손잡이(113)로 구성된다. 본체(110)는 본체(110)의 일측벽에 통공을 형성하여 단자(101)에 배터리의 단자가 접촉 되었는지를 확인하는 단자 확인 수단(111)을 포함한다. 단자 확인 수단(111)은 배터리와 단자(101)의 접촉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고, 접촉 상태가 불량한 경우 접속 상태를 수정하기 위한 것이다.The main body 110 includes a terminal check means 111, a battery fixing means 112, and a handle 113. The main body 110 includes terminal checking means 111 for forming a through hole in one side wall of the main body 110 to check whether the terminal of the battery is in contact with the terminal 101. [ The terminal check means 111 is for visually checking the contact state between the battery and the terminal 101 and correcting the connection state when the contact state is poor.

손잡이(113)는 더블클립 형상의 본체(110)를 인위적으로 벌려서 배터리를 본체(110)의 내부에 넣기 위한 구성이다.The handle 113 is a structure for artificially widening the double clip-shaped main body 110 to insert the battery into the main body 110.

상기 단자부(100)의 구성은 아래에서 도 2와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The configuration of the terminal unit 100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자부의 측면도이다.2 is a side view of a terminal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단자부(100)는 단자(101), 단자 조절 수단(102), 커버(103), 홈(104), 핀(105), 절연부(106) 및 간격 조절 수단(107)을 포함한다. 단자(101)와 단자 조절 수단(102)은 각각이 일대일로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단자(101)와 단자 조절 수단(102)은 4세트가 바람직하다. 2, the terminal portion 100 includes a terminal 101, a terminal adjusting means 102, a cover 103, a groove 104, a pin 105, an insulating portion 106 and a gap adjusting means 107, . The terminal 101 and the terminal adjusting means 102 are coupled one to the other. Here, four sets of the terminal 101 and the terminal regulating means 102 are preferable.

상기 단자부(100)는 배터리의 단자와 접촉하는 복수 개의 단자(101) 및 복수 개의 단자(101)의 간격을 조절하는 단자 조절 수단(102)을 포함한다. 단자 조절 수단(102)의 일단에 단자(101)가 결합한다.The terminal unit 100 includes a plurality of terminals 101 which contact the terminals of the battery and terminal adjusting means 102 which adjusts the interval between the plurality of terminals 101. [ The terminal 101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terminal regulating means 102.

상기 단자(101)는 본체(110)의 일면에 배치되어, 본체(110)에 마련된 소정의 통공을 통해 단자를 관통한다. 또한, 단자(101)는 제 1 단자(101a), 제 2 단자(101b), 제 3 단자(101c) 및 제 4 단자(101d)를 포함하고, 단자 조절 수단(102)은, 제 1 단자 조절 수단(102a), 제 2 단자 조절 수단(102b), 제 3 단자 조절 수단(102c) 및 제 4 단자 조절 수단(102d)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 1 단자(101a)는 제 1 단자 조절 수단(102a)과 결합하고, 제 2 단자(101b)는 제 2 단자 조절 수단(102b)과 결합하고, 제 3 단자(101c)는 제 3 단자 조절 수단(102c)과 결합하고, 제 4 단자(101d)는 제 4 단자 조절 수단(102d)과 결합한다.The terminal 101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10 and penetrates the terminal through a predetermined hole provided in the main body 110. The terminal 101 includes a first terminal 101a, a second terminal 101b, a third terminal 101c and a fourth terminal 101d, Means 102a, second terminal regulating means 102b, third terminal regulating means 102c and fourth terminal regulating means 102d. Here, the first terminal 101a is coupled to the first terminal regulating means 102a, the second terminal 101b is coupled to the second terminal regulating means 102b, the third terminal 101c is connected to the third terminal 101b, And the fourth terminal 101d is coupled with the fourth terminal regulating means 102d.

위와 같이 단자(101)와 단자 조절 수단(102)이 결합되어 단자 조절 수단(102)을 조절하여 단자(101) 간의 간격을 조절한다.As described above, the terminal 101 and the terminal adjusting means 102 are combined to adjust the terminal adjusting means 102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terminals 101.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자부의 세부적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자 조절 수단에 의해 단자 간의 간격이 조절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3 is a detailed perspective view of a termina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gap between terminals is adjusted by a terminal adjust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단자부(100)는 단자 조절 수단(102) 간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간격 조절 수단(107)을 포함한다. 여기서, 간격 조절 수단(107)은 단자 조절 수단(102)에 의해 단자(101)의 간격이 조절 될 때, 제 1 단자(101a)와 제 2 단자(101b)의 간격, 제 2 단자(101b)와 제 3 단자(101c)의 간격 및 제 3 단자(101c)와 제 4 단자(101d)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보조한다.3 to 4, the terminal portion 100 includes a gap adjusting means 107 for keeping the gap between the terminal adjusting means 102 constant. The distance adjusting means 107 adjusts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terminal 101a and the second terminal 101b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terminal 101b and the second terminal 101b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terminals 101 is adjusted by the terminal adjusting means 102. [ And the third terminal 101c and the gap between the third terminal 101c and the fourth terminal 101d are kept constant.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커버(103)는 단자 조절 수단(102)을 감싸도록 배치되되, 단자 조절 수단(102)에서 단자(101)에 결합되지 않은 타단은 노출되도록 배치된다. 커버(103)는 단자부(100)의 단자(101)와 전선(150)을 보호하고, 먼지가 쌓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Referring again to FIG. 2, the cover 103 is arranged to surround the terminal adjusting means 102, and the other end of the terminal adjusting means 102, which is not coupled to the terminal 101, is exposed. The cover 103 protects the terminal 101 of the terminal unit 100 and the electric wire 150 and prevents dust from accumulating.

상기 핀(105)은 단자 조절 수단(102)의 중단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홈(104)은 커버(103)의 내측에 형성된다. 여기서, 핀(105)과 홈(104)은 서로 매칭되어 끼워지고, 핀(105)과 연결된 단자 조절 수단(102)은 홈(104)을 따라 이동한다. 마치, 레일을 따라 움직이는 형태이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해, 단자 조절 수단(102)은 커버(103)를 이탈하지 않고 단자(101) 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 할 수 있다.The pin 105 protrudes from the stopper of the terminal regulating means 102, and the groove 104 is formed inside the cover 103. Here, the pin 105 and the groove 104 are matched with each other, and the terminal adjusting means 102 connected to the pin 105 moves along the groove 104. It is like moving along a rail. With this structure, the terminal adjusting means 102 can maintain the interval between the terminals 101 constant without releasing the cover 103. [

상기 절연부(106)는 단자(101)가 본체(110)를 관통하는 통공의 내측면 및 통공의 내주연을 절연체로 감싼다. 이는, 본체(110)에 전류가 흐르는 안전 사고의 발생을 예방하기 위함이다.The insulating portion 106 surrounds the inner surface of the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terminal 101 penetrates the main body 110 and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through hole with an insulator. This is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a safety accident in which electric current flows in the main body 110. [

또한, 단자부(100)는 여러 가닥의 전선(150)을 하나로 모으기 위한 전선 결합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선 결합부(160)는 단자의 개수에 따라 정해진 전선(150)을 모아, 하나의 전선으로 만들어서 회로부(미도시)에 연결하기 위한 구성이다.The terminal unit 100 may further include a wire coupling unit 160 for collecting the plurality of wires 150 into one. The wire connecting portion 160 is configured to connect the wires 150, which ar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 terminals, to one wire and connect the wires to the circuit portion (not show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고정 수단의 동작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an operation of a battery fixing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배터리 고정 수단(112)은 본체(110)의 일측벽과 일측벽과 대항하는 타측벽에 형성되고, 일측벽과 타측벽을 향하는 탄성력을 제공한다.Referring to FIG. 5, the battery fixing means 112 is formed on one side wall and one side wall of the main body 110, and provides an elastic force toward one side wall and the other side wall.

예를 들면, 배터리가 배터리 충전 장치(10)에 인입될 때, 배터리 충전 장치(10)의 내부는 빈 공간이 많아 외부의 충격에 의해 배터리의 위치가 변경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정적인 배터리 충전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배터리 충전 장치(10)의 내부에 탄성력 있는 물질을 배치하여 배터리를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For example, when the battery is inserted into the battery charging device 10, the battery charging device 10 has a lot of empty space, so that the position of the battery can be changed by an external impact. Accordingly, in order to provide a stable battery charging environment, an elastic material is disposed inside the battery charging apparatus 10 to fix the battery.

또한, 배터리 고정 수단(112)에서 배터리와 접촉하는 부분에 고무와 같이 마찰력이 큰 재질을 도포하여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 material having a large frictional force such as rubber may be applied to the portion of the battery fixing means 112 that contacts the battery, thereby preventing slip.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저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is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foregoing is intended to illustrate and explain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in various other combinations, modifications, and environments. That is, it is possible to make changes or modific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concept of the invention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within the scope of the disclosure, and / or within the skill and knowledge of the art.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re intended to illustrate the best mode for implemen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required for specific applications and us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lso possible. Accordingly,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appended claims are intended to cover such other embodiments.

10 : 배터리 충전 장치
100 : 단자부
101 : 단자
102 : 단자 조절 수단
103 : 커버
104 : 홈
105 : 핀
106 : 절연부
107 : 간격 조절 수단
110 : 본체
111 : 단자 확인 수단
112 : 배터리 고정 수단
113 : 손잡이
150 : 전선
160 : 전선 결합부
10: Battery Charging Device
100:
101: terminal
102: terminal adjusting means
103: cover
104: Home
105: pin
106:
107:
110:
111: terminal check means
112: battery fixing means
113: Handle
150: Wires
160:

Claims (6)

더블클립 형상의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일면에 배치하되, 상기 본체의 소정의 통공을 통해 단자를 관통하는 단자부를 포함하며,
상기 단자부는,
배터리의 단자와 접촉하는 복수 개의 단자; 및
상기 복수 개의 단자의 간격을 조절하는 단자 조절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단자 조절 수단의 일단에 상기 단자가 결합하되,
상기 단자부는, 제 1 단자, 제 2 단자, 제 3 단자 및 제 4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단자 조절 수단은, 제 1 단자 조절 수단, 제 2 단자 조절 수단, 제 3 단자 조절 수단 및 제 4 단자 조절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단자는 상기 제 1 단자 조절 수단과 결합하고, 상기 제 2 단자는 상기 제 2 단자 조절 수단과 결합하고, 상기 제 3 단자는 상기 제 3 단자 조절 수단과 결합하고, 상기 제 4 단자는 상기 제 4 단자 조절 수단과 결합하고,
상기 단자 조절 수단을 조절하여 상기 단자 간의 간격을 조절하며,
상기 단자부는,
상기 단자 조절 수단 간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간격 조절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단자 조절 수단은 일측에 고정되되, 상기 제 4 단자 조절 수단을 조절하여 상기 단자 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배터리 충전 장치.
A double clip-shaped main body; And
And a terminal portion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the terminal portion passing through the terminal through a predetermined through hole of the main body,
The terminal portion
A plurality of terminals in contact with the terminals of the battery; And
Further comprising terminal regulating means for regulating an interval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The terminal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terminal regulating means,
Wherein the terminal portion includes a first terminal, a second terminal, a third terminal, and a fourth terminal,
The terminal regulating means includes a first terminal regulating means, a second terminal regulating means, a third terminal regulating means, and a fourth terminal regulating means,
Wherein the first terminal is coupled to the first terminal regulating means and the second terminal is coupled to the second terminal regulating means and the third terminal is coupled to the third terminal regulating means, A fourth terminal regulating means,
Adjusting the terminal adjusting means to adjust the interval between the terminals,
The terminal portion
Further comprising gap adjusting means for maintaining a constant gap between the terminal adjusting means,
Wherein the first terminal adjusting means is fixed to one side, and the fourth terminal adjusting means is adjusted to adjust the interval between the terminals.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는,
상기 단자 조절 수단을 감싸되, 상기 단자 조절 수단의 타단은 노출하는 커버;
상기 단자 조절 수단의 중단에 돌출되어 형성된 핀; 및
상기 커버의 내측에 형성된 홈;을 포함하고,
상기 핀과 상기 홈은 매칭되어 끼워지고, 상기 핀과 연결된 상기 단자 조절 수단은 상기 홈을 따라 이동하는 배터리 충전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erminal portion
A cover which surrounds the terminal regulating means and exposes the other end of the terminal regulating means;
A pin protruding from an end of the terminal regulating means; And
And a groove formed inside the cover,
Wherein the pin and the groove are matched and fitted, and the terminal adjusting means connected to the pin moves along the groov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의 일측벽에 통공을 형성하여 상기 단자에 배터리의 단자가 접촉 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단자 확인 수단; 및
상기 단자가 상기 본체를 관통하는 통공의 내측면 및 통공의 내주연을 절연체로 감싸는 절연부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 충전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main body includes:
A terminal checking means for forming a through hole in one side wall of the main body to check whether a terminal of the battery is in contact with the terminal; And
Wherein the terminal further includes an inner surface of a through hole penetrating the body and an insulating portion surrounding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through hole with an insulator.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의 일측벽과 상기 일측벽과 대항하는 타측벽에 형성되고, 상기 일측벽과 상기 타측벽을 향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배터리 고정 수단을 더 포함하는 배터리 충전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main body includes:
Further comprising battery fixing means formed on one side wall of the body and another side wall opposing the one side wall and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ward the one side wall and the other side wall.
KR1020180102058A 2018-08-29 2018-08-29 Apparatus for charging battery KR10192476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2058A KR101924763B1 (en) 2018-08-29 2018-08-29 Apparatus for charging batte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2058A KR101924763B1 (en) 2018-08-29 2018-08-29 Apparatus for charging batter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4763B1 true KR101924763B1 (en) 2019-02-27

Family

ID=65560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2058A KR101924763B1 (en) 2018-08-29 2018-08-29 Apparatus for charging batter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4763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33960A (en) * 2000-05-16 2003-11-11 ソルコアルファトロニクス シーオー.,エルティーディー. Battery charger for mobile phones
KR20130074889A (en) * 2011-12-27 2013-07-05 임영삼 Wireless multi purpose battery charging instrumen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33960A (en) * 2000-05-16 2003-11-11 ソルコアルファトロニクス シーオー.,エルティーディー. Battery charger for mobile phones
KR20130074889A (en) * 2011-12-27 2013-07-05 임영삼 Wireless multi purpose battery charging instru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90120B2 (en) Electric connector, bracket and electric connector assembly
US8016600B2 (en) Electronic device and power adaptor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disconnecting electronic device and power adaptor
US20110163712A1 (en) Secondary battery
US9979138B1 (en) USB function-type magnetic cable
EP1814016A1 (en) Portable power supply for USB devices
SK9332003A3 (en) Back-up battery for a cellular telephone
US6821670B2 (en) Mobile phone battery
JP2002272006A (en) Power adaptor for controlling output power from various power supplies
US20070263366A1 (en) Multipurpose input plug assembly and power adapter having the same
CN113078283A (en) Battery cell, battery using battery cell and electric equipment
US20180342840A1 (en) Electronic device holder
CN213124646U (en) Electronic device
CN112602162A (en) Starter module adapter
US20140050960A1 (en) Rechargeable battery for replacing dry battery and its structural component and corresponding battery compartment
KR101924763B1 (en) Apparatus for charging battery
KR20080005529A (en) Battery pack having non-orthogonal coupling slots
US20150288203A1 (en) Portable battery charger
US20050104557A1 (en) Multifunction car charger connector
US8986051B2 (en) Socket connector, plug connector, connector assembly, and handheld electronic device
US20240297930A1 (en) Electronic device
KR20170054881A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US5538805A (en) Battery with integral recharger
CN209804946U (en) Charging interface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CN107623198B (en) Connecting assembly and mobile terminal
CN214901530U (en) Mobile power supply with detachable charging wi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