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4597B1 - A Cloth With Adjustable Gloves - Google Patents

A Cloth With Adjustable Glov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4597B1
KR101924597B1 KR1020170014835A KR20170014835A KR101924597B1 KR 101924597 B1 KR101924597 B1 KR 101924597B1 KR 1020170014835 A KR1020170014835 A KR 1020170014835A KR 20170014835 A KR20170014835 A KR 20170014835A KR 101924597 B1 KR101924597 B1 KR 1019245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ove
coupling
rolling
winding
wear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48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89989A (en
Inventor
권성훈
문희진
Original Assignee
권성훈
문희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성훈, 문희진 filed Critical 권성훈
Priority to KR10201700148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4597B1/en
Publication of KR20180089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998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45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459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12Surgeons' or patients' gowns or dresses
    • A41D13/1236Patients' garments
    • A41D13/1245Patients' garments for the upper part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34Retaining means
    • A41D19/0041Retaining means for connecting the glove to the garment or the arm of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44Cuff portions
    • A41D19/0048Cuff portions with cuff securing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15Protective gloves
    • A41D19/01505Protective gloves resistant to mechanical aggressions, e.g. cutting. piercing
    • A41D19/01511Protective gloves resistant to mechanical aggressions, e.g. cutting. piercing made of wire-mesh, e.g. butchers' glov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15Protective gloves
    • A41D19/01576Protective gloves made of a patchwork of different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10Sleeves; Armhol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3Closures using straps or ti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1/00Faste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garments
    • A41F1/06Glove faste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Glov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장갑을 구비한 아토피용 의복은,
착용자에 의해 착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착용자의 양 팔이 각각 끼워지는 팔보호부를 포함하는 상체보호구;
상기 팔보호부의 단부 일 측에 구비된 상체결합구;
장갑결합구를 통해 상기 상체결합구와 결합하여 상기 팔보호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으로서 상기 착용자의 손가락 각각을 보호하는 손가락보호부를 포함하는 장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atopic garment having the detachable gl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upper body protecting member which is worn by a wearer and includes an arm protecting portion in which both arms of the wearer are fitted;
An upper body coupling provided on one side of an end of the arm protecting portion;
And a glove portion including a finger protector which is coupled to the upper body coupling through the glove coupling means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arm protector, the finger protector protecting each of the fingers of the wearer.

Description

착탈식 장갑을 구비한 아토피용 의복{A Cloth With Adjustable Gloves}{A Cloth With Adjustable Gloves} having detachable gloves [

본 발명은 착탈식 장갑을 구비한 아토피용 의복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아토피나 기타 피부염을 앓는 환자가 평상시에는 옷으로 입고 있다가 수면 시에 장갑을 의복에 고정함으로써 환부가 긁히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의복과 장갑 사이의 결합력을 높여 환자가 무의식 중에 장갑을 벗어버리는 것을 방지할 뿐 아니라, 부드러운 촉감 및 높은 통기성으로 환부를 보호함과 동시에 쾌적한 착용감을 제공하는 착탈식 장갑을 구비한 아토피용 의복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topic garment having a detachable glove, and more particularly, a patient having atopic or other dermatitis is usually dressed in clothes, and the glove is fixed to the clothes at the time of sleeping to prevent the lesion from being scratched And a detachable glove having a detachable glove that protects the affected part with a soft touch and a high air permeability and at the same time provides a comfortable feeling, .

아토피 피부염은 주로 유아기 혹은 소아기에 시작되는 만성적이고 재발성의 염증성 피부질환으로 소양증(가려움증)과 피부건조증, 특징적인 습진을 동반한다. 이 중 피부건조증은 가려움증을 유발하고 아토피를 악화시키는데, 낮 동안에는 가려움이 간헐적으로 느껴지다가 대개 초저녁이나 한밤중에 가려움이 심해지게 되는데, 이 때 환자가 가려움을 느껴 환부를 긁게 되면 습진성 피부 병변(병리적 변화)이 생기며, 이러한 병변이 진행되면서 다시 더 심한 가려움이 유발되는 악순환이 반복된다.Atopic dermatitis is a chronic, recurrent inflammatory skin disease that starts in infancy or childhood and is accompanied by pruritus (itching), dry skin, and characteristic eczema. Skin dryness causes itching and worsens the atopy. During the day, the itching feels intermittent, but usually it gets worse in the early evening or at midnight. When the patient feels itching and scratches the affected part, And a vicious circle in which these lesions develop again cause more severe itching.

아토피 피부염은 나이가 들면서 호전되거나 없어지는 경우가 많지만, 호전된 후에도 특정 물질이나 자극에 의해 쉽게 가렵거나 염증 반응이 나타나는 경향이 있을 뿐 아니라, 성인기에는 손 습진 등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성인기까지 아토피 피부염이 남는 경우에는 몸의 피부 증상은 호전되는 반면 얼굴에 홍반 및 홍조와 습진이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더불어 이 경우 피부 중 접히는 부위는 환자에 의해 오랫동안 긁힘에 따라 피부가 두껍게 보이는 태선화 피부가 나타날 수도 있다. 더불어 성인기라도 만성 습진만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만성 습진 위에 진물과 딱지가 않는 급성 병변이 얼마 동안의 시간 간격을 두고 되풀이하여 일어날 수 있다.Atopic dermatitis is often improved or disappearing with age, but it tends to be easily irritated or irritated by specific substances or stimuli even after it has improved. In addition, hand eczema often occurs during adulthood. If atopic dermatitis persists until adulthood, the skin symptoms of the body improve, while the face tends to have erythema, redness and eczema. In addition, in this case, folding of the skin may result in fleshy skin that is thicker due to scratching by the patient for a long time. In addition, not only chronic eczema appears in adulthood, but acute lesions that do not have vital signs and scabs on chronic eczema can occur repeatedly over some period of time.

이러한 이유로 아토피 피부염은 유아기에 조기치료를 하는 것이 좋으며, 치료 시에는 가능한 아토피 피부염이 발생한 신체 부위를 손으로 긁지 않는 것이 좋다. 손으로 아토피 피부염이 발생한 신체 부위, 즉 환부를 긁는 자체가 병변을 유발 또는 악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For these reasons, early treatment of atopic dermatitis is recommended in early childhood, and it is advisable not to scratch the body area where the possible atopic dermatitis occurs during treatment. This is because the body part where the hand is caused by atopic dermatitis, that is, the scarring of the affected part, may cause or worsen the lesion.

이러한 것을 방지하고자,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 20-0470988호에 ‘골무형 손가락 장갑’이 개시되어 있다. 본 고안은 골무형 손가락 장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섯 손가락 끝에 개별적으로 끼워져 각 손톱을 덮어 감싸는 골무부를 형성하고, 골무부와 연장되는 손가락덮개부와 손등덮개부 및 손목덮개부를 형성하여 이를 고정밴드를 이용하여 간단히 손에 착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아토피 피부염 환자가 무의식중에 가려운 부위를 손톱으로 긁어 상처가 악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아기들이 손톱을 빨거나 손톱으로 다른 신체부위를 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골무형 손가락 장갑에 관한 것이다.In order to prevent such a problem,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20-0470988 discloses a "gloved finger glov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ngue-like finger glove, and more particularly to a tongue-like finger glove which is individually inserted into five fingertips to form a thimble part which covers each nail and forms a thimble part and a fingertip part, By using a fixed band, it can be easily worn by the hand, so that the atopic dermatitis patient can unconsciously scrape the itchy area with the nail to prevent the wounds from getting worse, and the babies suck nails or harm other body parts with their fingernail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ngue-like finger glove capable of preventing a tongue-like finger glove.

그러나 본 고안의 경우 착용자의 손가락을 각각 보호하는 골무부에 의해 답답함을 느낄 수 있을 뿐 아니라, 착용자가 본 고안의 골무형 손가락 장갑을 착용하고 환부를 반복하여 긁는 경우 착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골무부가 쉽게 닳고 헤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can the frictional feeling be felt by the thimble portion protecting the wearer's fingers, but also when the wearer wears the intact finger glov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repeatedly scratches the affected portion, There is a problem that it can be worn out.

이에 대한 또 다른 선행기술로서,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54337호에 ‘장갑’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발명은 아토피성 피부염의 사람(특히 유아나 아이 등 이하 환자라고 한다)이 수면 중에 무의식 중에 손가락으로 몸을 긁어 손가락으로 몸의 표면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장갑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장갑 1의 장갑 본체 2의 5개의 손가락에 대응하는 손가락 삽입부 3 a~3 e의 각각의 선단 부분에 경질의 합성수지 재료제의 캡체 4 a~4 e를 고착해, 장갑 본체 2의 손목 대응부 5를 손목에 고정하는 고정 수단 6을 설치하고 이 고정 수단 6을 감싸는 접힘부 7을 장갑 본체의 팔측단부에 연결해, 접힘부 7에 엄지와 새끼 손가락을 각각 통하는 엄지 안내공 8과 새끼 손가락 안내공 9를 형성하고 장갑 1을 손에 장착해, 접힘부 7을 수 측으로 되접고, 지연시키면서 엄지 안내공 8과 새끼 손가락 안내공 9에 엄지와 새끼 손가락을 각각 통함으로써, 접힘부 7이 완 측으로 돌아오지 않도록 구성해, 고정 수단 6의 외측을 접힘부 7으로 감싼 상태에 유지해, 장갑 1을 손에서 분리하기 어렵게 하였다.As another prior art, 'gloves' are disclosed in 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05-54337.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provide a glove for preventing atopic dermatitis (particularly, infants, children, etc.) from scratching the body with a finger while unconscious during sleep and damaging the surface of the body with a finger. Therefore, the rigid synthetic resin material caps 4a to 4e are fixed to the distal end portions of the finger insertion portions 3a to 3e corresponding to the five fingers of the glove body 2 of the glove 1, And the folded portion 7 surrounding the fixing means 6 is connected to the arm-side end portion of the glove body so that the thumb guide 8 and the little finger guide 8, which communicate the thumb and the little finger respectively, The ball 9 is formed and the glove 1 is put on the hand so that the folded portion 7 is folded back to the water side and the thumb and the little finger are respectively passed through the thumb guide hole 8 and the little finger guide hole 9 while delaying it, So that the outer side of the fixing means 6 is kept wrapped around the folded portion 7, making it difficult to separate the glove 1 from the hand.

그러나 상기 발명의 경우에도 합성수지 재료제의 캡체가 각 손가락을 보호하여, 캡체가 씌워진 손가락으로 환부를 긁을 경우 환부가 제대로 보호되지 못할 수 있다는 한계성과 있음과 동시에, 합성수지 재료체의 캡체가 손가락을 각각 감싸므로 캡체 부위의 통풍 및 땀 흡수능이 떨어져 또 다른 환부를 만들고, 환자가 느낄 수 있는 가려움으로 연결될 우려가 있다.However, even in the case of the above-described invention, the cap body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protects each finger, and when the affected part is scratched with the finger covered with the cap body, the affected part may not be properly protected, and the cap body of the synthetic resin material body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ventilation and sweat absorbing ability of the cap body and to create another lesion, which may lead to an itch that the patient may feel.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아토피나 기타 피부염을 앓는 환자가 평상시에는 옷으로 입고 있다가 수면 시에 장갑을 의복에 고정함으로써 환부가 긁히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의복과 장갑 사이의 결합력을 높여 환자가 무의식 중에 장갑을 벗어버리는 것을 방지할 뿐 아니라, 부드러운 촉감 및 높은 통기성으로 환부를 보호함과 동시에 쾌적한 착용감을 제공하는 착탈식 장갑을 구비한 아토피용 의복을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는 실정이다.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 patient who is suffering from atopic dermatitis or other dermatitis usually wears clothes and fixes the gloves on the clothes at the time of sleeping, thereby preventing the lesions from being scratched and enhancing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clothes and gloves There is a need to develop an atopic garment having a detachable glove that not only protects a patient from unconsciously taking off his gloves but also protects the affected area with soft touch and high air permeability and provides a comfortable fit.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아토피나 기타 피부염을 앓는 환자가 평상시에는 옷으로 입고 있다가 수면 시에 장갑을 의복에 고정함으로써 환부가 긁히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의복과 장갑 사이의 결합력을 높여 환자가 무의식 중에 장갑을 벗어버리는 것을 방지할 뿐 아니라, 부드러운 촉감 및 높은 통기성으로 환부를 보호함과 동시에 쾌적한 착용감을 제공하는 착탈식 장갑을 구비한 아토피용 의복을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onceived in order to overcome the problems of the above-described technology. In the present invention, a patient who is suffering from atopic dermatitis or other dermatitis usually wears clothes and then fixes the gloves on the clothes at the time of sleep to prevent the lesions from being scratched, To provide an atopic garment having a detachable glove that protects the affected area with a soft touch and a high breathability and at the same time provides a comfortable fit. .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의복과 장갑 사이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한 추가적인 결합도구를 제공할 뿐 아니라, 결합도구의 결착을 보다 쉽게 하여 장갑과 의복 사이의 결합력을 높임과 동시에 결합을 보다 쉽게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dditional coupling tool for increasing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garment and the glove, as well as easier coupling of the coupling tool to increase the coupling between the glove and the garment, .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장갑 내부에 별도의 완충재를 구성함과 동시에 완충재를 통풍이 가능하면서도 착용자의 손톱 부위로부터 장갑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착용자의 착용감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착용자의 손톱에 의해 장갑이 헤지거나 닳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ushioning material inside a glove and a cushioning material that can be ventilated while preventing wear of the glove from the nail portion of the wearer, So that the glove can be prevented from being torn or worn by the nails.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반팔 의류 및 긴팔 의류에 모두 대응될 수 있도록 장갑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 조절 수단을 구비함과 동시에, 길이 조절 수단을 와인딩하여 흘러내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ength adjusting means capable of adjusting the length of the glove so as to correspond to both the short-sleeved clothing and the long-sleeved clothing, and to prevent the flow-down by winding the length adjusting means.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장갑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 조절 수단의 와인딩을 보다 간편하게 함과 동시에, 와인딩 된 길이 조절 수단에 상술한 추가적인 결합도구가 내삽되게 구성하여 장갑의 흘러내림을 방지함과 동시에 결합도구를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구성하여 수려한 미관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implify the winding of the length adjusting means capable of adjusting the length of the glove and to prevent the falling of the glove by constructing the additional coupling means to be inserted into the wound length adjusting means At the same time, the coupling tool is configured no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thereby providing a beautiful view.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장갑을 구비한 아토피용 의복은, 착용자에 의해 착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착용자의 양 팔이 각각 끼워지는 팔보호부를 포함하는 상체보호구; 상기 팔보호부의 단부 일 측에 구비된 상체결합구; 장갑결합구를 통해 상기 상체결합구와 결합하여 상기 팔보호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으로서 상기 착용자의 손가락 각각을 보호하는 손가락보호부를 포함하는 장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ttain the above object, an atopic garment having a detachable gl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body protector, which is worn by a wearer and includes an arm protector in which both arms of the wearer are fitted; An upper body coupling provided on one side of an end of the arm protecting portion; And a glove portion including a finger protector which is coupled to the upper body coupling through the glove coupling means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arm protector, the finger protector protecting each of the fingers of the wearer.

더불어, 상기 상체결합구는, 상기 팔보호부의 단부 일 측에 구비된 제 1 결합구 및, 상기 제 1 결합구에 비해 내측에 구비된 제 2 결합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장갑결합구는, 상기 손가락보호부의 대향 측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 2 결합구와 결합하는 메인결합구 및, 상기 메인결합부에 비해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 1 결합구와 결합하는 서브결합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upper body coupling member may further include a first coupling hol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end of the arm protecting portion and a second coupling hole provided inside the first coupling hole, A main engaging hole formed at an opposite side end of the protective portion to engage with the second engaging hole, and a sub-engaging hole provided inside the main engaging hole and engaging with the first engaging hole.

덧붙여, 상기 손가락보호부는, 상기 사용자의 손톱에 대응되는 내부 일 측에 형성된 것으로서 탄성 재질의 보호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nger protector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inside corresponding to the nail of the user, and may further include a protective pad made of an elastic material.

또한, 상기 보호패드는, 메쉬 구조로 형성되되, 상기 보호패드의 코어에 해당하는 코어패드와, 상기 코어패드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코어패드보다 두께가 얇고 탄성계수가 낮은 서브패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otection pad may include a core pad formed in a mesh structure and corresponding to a core of the protection pad, and a sub pad formed to surround the core pad and having a thickness smaller than that of the core pad and having a low modulus of elasticity .

추가적으로, 상기 장갑부는, 상기 결합구와의 연결 부위 인근 둘레를 따라 구비되어 상기 장갑부와 상기 팔보호부를 고정하는 스트랩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glove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strap provid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vicinity of the connection portion with the coupling portion and fixing the glove portion and the arm protector.

추가적으로, 상기 장갑부는, 상기 결합구와의 결합 부위 인근 일 측에 구비된 것으로서 상기 장갑부의 패브릭를 와인딩 처리한 롤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glove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rolling portion provided on one side of the joining portion, the joining portion being formed by winding a fabric of the glove portion.

추가적으로, 상기 롤링부는, 단부 일 측에 구비되어 상기 패브릭보다 하드 재질로 구성된 와인딩파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rolling part may further include a winding par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end part and made of a hard material rather than the fabric.

추가적으로, 상기 장갑부는, 상기 손가락보호부의 대향 측 단부에 형성된 롤링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롤링부는, 상기 롤링결합부와 대응되게 형성된 이음부를 포함하여, 상기 롤링결합부 및 이음부를 통해 상기 롤링부가 상기 장갑부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롤링부의 타 단부가 상기 상체결합구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glove portion includes a rolling engagement portion formed at an opposite side end portion of the finger protection portion, and the rolling portion includes a joint portion formed to correspond to the rolling engagement portion, the rolling engagement portion and the joint portion, And the other end of the rolling part is coupled to the upper body coupling.

추가적으로, 상기 롤링부는, 상기 손가락보호부 측 인근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패브릭이 절개된 절개파트 및, 상기 절개파트를 개폐하는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여, 상기 롤링부의 와인딩에 따라 상기 절개파트에 의해 형성된 상기 롤링부의 내측 스페이스에 상기 스트랩이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rolling part may include a cutting part formed along the length direction near the finger protecting part side, the cutting part having the fabric cut out, and a joining part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utting part, And the strap is engaged with the inner space of the rolling part formed by the part.

추가적으로, 상기 롤링부는, 상기 와인딩파트 일 측에서 상기 절개파트까지 상기 롤링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각각 마주보도록 상기 패브릭 사이에 내삽되는 것으로서 하드 재질인 한 쌍의 와인딩스틱을 더 포함하되, 상기 와인딩스틱은, 상기 와인딩파트의 폭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 간격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함입 형성된 복수개의 와인딩마디를 더 포함하여, 상기 와인딩스틱을 꺾음 조작함에 따라 상기 와인딩마디에 해당하는 상기 롤링부가 와인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rolling part may further include a pair of winding sticks which are inserted between the fabrics so as to face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lling part from one side of the winding part to the cutting part, and which are made of hard material, And a plurality of winding segments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a length interval corresponding to a width of the winding part. The rolling part corresponding to the winding segment is wound by breaking the winding stick, do.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장갑을 구비한 아토피용 의복은,In the atopic garment having the detachable gl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 아토피나 기타 피부염을 앓는 환자가 평상시에는 옷으로 입고 있다가 수면 시에 장갑을 의복에 고정함으로써 환부가 긁히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의복과 장갑 사이의 결합력을 높여 환자가 무의식 중에 장갑을 벗어버리는 것을 방지할 뿐 아니라, 부드러운 촉감 및 높은 통기성으로 환부를 보호함과 동시에 쾌적한 착용감을 제공하는 착탈식 장갑을 구비한 아토피용 의복을 제공하고,1) Patients with atopic dermatitis and other dermatitis usually wear clothes, but when they sleep, they fix the gloves on the clothes, preventing the lesions from scratching, while increasing the bond between the clothes and the gloves and unintentionally removing the gloves And at the same time provides an atopic garment having a detachable glove that protects the affected part with soft touch and high air permeability and provides a comfortable fit,

2) 의복과 장갑 사이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한 추가적인 결합도구를 제공할 뿐 아니라, 결합도구의 결착을 보다 쉽게 하여 장갑과 의복 사이의 결합력을 높임과 동시에 결합을 보다 쉽게 구성할 수 있도록 하며,2) not only provides an additional coupling tool for increasing the coupling between the garment and the glove, but also facilitates coupling of the coupling tool to increase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glove and the garment,

3) 장갑 내부에 별도의 완충재를 구성함과 동시에 완충재를 통풍이 가능하면서도 착용자의 손톱 부위로부터 장갑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착용자의 착용감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착용자의 손톱에 의해 장갑이 헤지거나 닳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3) A separate cushioning material is formed inside the glove, and the cushioning material can be ventilated, and the glove can be prevented from being worn from the nail portion of the wearer, so that the wearer's nails do not harm the wearing comfort of the wearer, Or wear and tear,

4) 반팔 의류 및 긴팔 의류에 모두 대응될 수 있도록 장갑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 조절 수단을 구비함과 동시에, 길이 조절 수단을 와인딩하여 흘러내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4) a length adjusting means fo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glove so as to correspond to both the short-sleeved clothing and the long-sleeved garment, and winding the length adjusting means so as to prevent the falling of the glove,

5) 장갑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 조절 수단의 와인딩을 보다 간편하게 함과 함께 와인딩 된 길이 조절 수단에 상술한 추가적인 결합도구가 내삽되게 구성하여 장갑의 흘러내림을 방지함과 동시에 결합도구를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구성하여 수려한 미관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5) It is possible to simplify the winding of the length adjusting means which can adjust the length of the glove, and the additional joining tool described above is inserted into the winding length adjusting means so as to prevent the glove from flowing down, So tha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beautiful aesthetic appearance.

도 1은 본 발명의 의복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상체결합구 및 장갑결합구의 결합 예시를 도시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손가락보호부에 형성된 보호패드를 도시한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장갑부에 구비되는 추가적인 스트랩을 도시한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장갑부에 포함되는 롤링부의 기본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탈착 가능한 롤링부의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와인딩파트가 구비된 롤링부의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
도 8은 스트랩이 끼움 결합되는 롤링부의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
도 9는 와인딩스틱이 구비된 롤링부의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
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gar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combination of an upper body coupling and a glove coupling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protection pad formed in a finger protection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n additional strap provided in the glove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basic configuration of a rolling part included in the glove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releasable rolling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rolling part provided with a winding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rolling part in which a strap is fitted.
9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rolling part provided with a winding stick;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not drawn to scale and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various drawings refer to like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의복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상체결합구(200) 및 장갑결합구(310)의 결합 예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FIG. 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gar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combination of the upper body coupling member 200 and the glove coupling member 310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착탈식 장갑을 구비한 아토피용 의복은, 착용자에 의해 착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착용자의 양 팔이 각각 끼워지는 팔보호부(110)를 포함하는 상체보호구(100);와, 상기 팔보호부(110)의 단부 일 측에 구비된 결합구; 및, 상기 결합구를 통해 상기 팔보호부(1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으로서 메쉬 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착용자의 손가락 각각을 보호하는 손가락보호부(320)를 포함하는 장갑부(300);를 기본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1 and 2, an atopic garment having a detachable gl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rm protector 110, which is worn by a wearer and includes an arm protector 110 in which both arms of the wearer are fitted, (100); a coupling provided at one end of the arm protector (110); And a glove part (300) detachably coupled to the arm protecting part (110) through the coupling part and comprising a mesh material and including a finger protecting part (320) for protecting each finger of the wearer. As shown in FIG.

상체보호구(100)는 착용자에 의해 착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착용자의 양 팔이 각각 끼워지는 팔보호부(110)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는 일반적인 티셔츠나 가디건, 자켓과 같이 팔을 끼우면서 상체를 보호할 수 있는 종류라면 그 제한을 두지 않는다. 더불어 상체보호구(100)의 재질 역시 제한을 두지 않으므로, 의류에 이용되는 다양한 천연 섬유 및 합성 섬유 등이 상체보호구(100)의 재질로써 이용될 수 있다.The upper body protector 100 includes an arm protector 110 to be worn by a wearer and to which both arms of the wearer are fitted. It does not place restrictions on the type of arm that can be used to protect the upper body, such as a regular T-shirt, cardigan, or jacket. In addition, since the material of the upper body protector 100 is not limited, various natural fibers and synthetic fibers used for clothing can be used as the material of the upper body protector 100.

상체결합구(200)는 상기 팔보호부(110)의 단부 일 측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술한 장갑부(300)와 팔보호부(110)를 결합하는 결합 매개체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상체결합구(200)는 지퍼, 벨크로, 단추, 버클 등 의류 결합을 위해 사용되는 다양한 결합 방식을 채택할 수 있다.The upper body coupling member 20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end of the arm protector 110 and functions as a coupling medium for coupling the arm protector 300 and the arm protector 110 described above. The upper body coupling member 200 can adopt various coupling methods used for clothing coupling such as a zipper, a velcro, a button, and a buckle.

장갑부(300)는 상기 결합구를 통해 상기 팔보호부(1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으로서 상기 착용자의 손가락 각각을 보호하는 손가락보호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장갑부(300)는 일반적인 장갑의 형태를 생각할 수 있되, 착용자의 팔 부분을 보호하며 상술한 상체보호구(100)의 팔보호부(110)의 단부에 장갑결합구(310)를 매개로 결합한다. 이러한 장갑결합구(310)는 상술한 상체결합구(200)와 대응된다. 이 때 장갑부(300)의 재질에는 별도의 제한이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착용자가 답답함을 느끼지 않도록 통풍이 잘 되는 부드러운 면과 같은 천연 섬유나 통풍이 잘 되도록 가공 처리한 합성 섬유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glove part 300 includes a finger protector 320 detachably coupled to the arm protector 110 through the coupling hole and protecting each finger of the wearer. The glove portion 300 may have a general glove shape. The glove portion 300 protects the arm portion of the wearer and is attached to the end of the arm protector 110 of the upper body protector 100 through a glove coupling hole 310 do. The glove coupling member 310 corresponds to the above-described upper body coupling member 200. At this time,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the material of the glove portion 300, but it is preferable to use natural fibers such as a smooth surface that is well ventilated and synthetic fibers that have been processed so that ventilation is good so that the wearer does not feel uncomfortable .

따라서 본 발명의 착탈식 장갑을 구비한 아토피용 의복을 통해, 아토피나 기타 피부염을 지닌 착용자가 수면 중에 무의식적으로 환부를 긁거나 쥐어뜯는 것을 방지하여 환부에 상처가 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장갑결합구(310) 및 상체결합구(200)의 결합을 통해 수면 중에 착용자가 무의식적으로 장갑을 벗어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wearer having atopic or other dermatitis can prevent the wearer from unintentionally scraping or tearing the affected part during sleep, thereby preventing a wound on the affected part through the wearable glove with the detachable glov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earer from unintentionally removing the glove during sleep through the coupling of the upper body coupling member 310 and the upper body coupling member 200.

더불어 이와 같이 장갑결합구(310) 및 상체결합구(200)의 결합을 통해 본 발명의 상체보호구(100)에 장갑부(300)가 결합되게 되는데, 이 때 결합력을 보다 높이기 위하여 이중 결합을 수행함으로써 착용자가 잠결에 장갑부(300)를 벗어던지는 것을 한번 더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rmor unit 300 is coupled to the upper body protecto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coupling of the glove coupling unit 310 and the upper body coupling unit 200. In order to increase the coupling forc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earer from throwing off the glove part 300 to the backing.

이를 위해, 상기 상체결합구(200)는, 상기 팔보호부(110)의 단부 일 측에 구비된 제 1 결합구(210) 및, 상기 제 1 결합구(210)에 비해 내측에 구비된 제 2 결합구(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장갑결합구(310)는, 상기 손가락보호부(320)의 대향 측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 2 결합구(220)와 결합하는 메인결합구(311) 및, 상기 메인결합부에 비해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 1 결합구(210)와 결합하는 서브결합구(3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For this purpose, the upper body coupling member 200 includes a first coupling hole 210 provided on one side of the end of the arm protector 110 and a second coupling hole 210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first coupling hole 210 The glove coupling unit 310 may be formed at an opposite end of the finger protector 320 and may include a main coupling unit 220 coupled to the second coupling unit 220, And a sub-coupling part 312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main coupling part and coupled with the first coupling part 210. The sub-

이와 같은 제 2 결합구(220)와 메인결합구(311), 그리고 제 1 결합구(210)와 서브결합구(312)의 결합을 포함하는 이중 결합을 통해 결합력을 보다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이 때 제 2 결합구(220)와 메인결합구(311) 사이의 결합은 지퍼로, 제 1 결합구(210)와 서브결합구(312) 사이의 결합은 단추로 하는 예를 도면 상에 도시하였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지퍼, 벨크로, 단추, 버클 등 의류의 체결을 위한 다양한 결합이 모두 이용될 수 있으며, 이 중 두 가지 이상의 결합 방법이 이용되는 것이다. 더불어 상술한 바와 같은 이중 결합 외에도 추가적인 삼중, 사중 결합 역시 가능함은 물론이다.The coupling force can be further increased through the double coupling including the second coupling hole 220 and the main coupling hole 311 and the coupling between the first coupling hole 210 and the sub coupling hole 312. At this time, the coupling between the second coupling hole 220 and the main coupling hole 311 is a zipper, and the coupling between the first coupling hole 210 and the sub coupling hole 312 is a button. However, as described above, various combinations for fastening clothing such as a zipper, a velcro, a button, and a buckle can be used, and two or more coupling methods are used. In addition to the double bonds as described above, additional triplet and quadruple bonds are also possible.

도 3은 본 발명의 손가락보호부(320)에 형성된 보호패드(400)를 도시한 개념도이다.3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protective pad 400 formed on the finger protection unit 320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장갑부(300)에 포함되는 손가락보호부(320)는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착용자의 손가락 각각을 보호하는 기능을 하며, 바람직하게는 5개로 구성한다. 이와 같은 각각의 손가락보호부(320)에는, 상기 사용자의 손톱에 대응되는 내부 일 측에 형성된 것으로서 탄성 재질의 보호패드(400)가 각각 포함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finger protector 320 included in the glove part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unction of protecting each finger of the wearer as described above, preferably five. Each of the finger protector 320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finger corresponding to the nail of the user and may include an elastic protective pad 400.

이러한 보호패드(400)는 손가락보호부(320)의 내측에 삽입되므로 착용 후 겉으로는 드러나지 않으며, 따라서 겉에서 보기에는 부드러운 천 만이 드러나게 되므로, 착용자가 무의식 중에 환부를 긁어도 부드러운 천 만이 환부에 닿게 되어 환부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음은 물론이다.Since the protective pad 400 is inserted into the finger protector 320, it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so only a soft cloth is visible from the outside. Therefore, even if the wearer unconsciously scratches the affected part, Thereby protecting the affected part.

더불어 보호패드(400)가 손가락보호부(320)의 내측에 삽입됨으로써, 착용자의 손가락, 특히 손톱에 의해 손가락보호부(320)가 닳거나 헤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손가락보호부(320), 즉 장갑부(300)의 내구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by inserting the protection pad 400 inside the finger protection portion 320, the finger protection portion 32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worn or frayed by the finger of the wearer, The durability of the portion 300 can be further improved.

이와 같은 보호패드(400)를 구비한 손가락보호부(320)의 경우, 착용시 착용자가 보호패드(400)에 의해 이물감을 느낄 수 있기 때문에 보호패드(400)는 이물감을 느끼지 않을 정도의 두께에서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함과 동시에, 보호패드(400)를 통풍이 잘 되는 메쉬 구조로 형성하여 착용자가 답답함을 느끼지 않게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것이다.In the case of the finger protector 320 having the protective pad 400, since the wearer can feel a foreign object sensation by the protective pad 400 when worn, the protective pad 400 has a thickness not to sense a foreign object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protective pad 400 with a ventilated mesh structure so that the wearer does not feel uncomfortable.

이에 더 나아가, 상기 보호패드(400)를 메쉬 구조로 형성하되, 보호패드(400)를 코어에 해당하는 코어패드(410)와, 상기 코어패드(410)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코어패드(410)보다 두께가 얇은 서브패드(420)의 이중 재질로 구성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The protective pad 400 may be formed as a mesh structure and may include a core pad 410 corresponding to a core and a core pad 410 formed to surround the core pad 410, Pad 420 having a thickness smaller than that of the sub pad 420 may be formed.

이 때 코어패드(410)의 경우 착용자의 손톱 날이 닿는 부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코어패드(410)를 서브패드(420)가 둘러싸되 서브패드(420)의 두께를 코어패드(410)에 비해 얇게 구성함으로써 착용자의 착용 불편감을 최소화한 것이다. 더불어 코어패드(410) 및 서브패드(420)는 모두 메쉬 구조로 형성되어, 통풍을 최대한 보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re pad 410 may be surrounded by the sub pad 420 and the thickness of the sub pad 420 may be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core pad 410. In this case, So as to minimize the inconvenience of the wearing of the wearer.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both the core pad 410 and the sub pad 420 are formed in a mesh structure to ensure maximum ventilation.

이에 더하여, 코어패드(410)는 착용자의 손톱 날이 닿는 만큼 보다 내구성을 높이는 것 역시 중요한데, 따라서 이를 위해 코어패드(410)를 서브패드(420)에 비해 보다 탄성계수가 높은 소재, 즉 보다 단단하고 탄성이 강한 소재로 구성함으로써 코어패드(410)의 내구성을 보다 높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코어패드(410)는 서브패드(420)에 비해 탄성계수가 높으므로 보다 탄성계수가 높아 단단한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며, 서브패드(420)는 코어패드(410)에 비해 탄성계수가 낮아 보다 부드럽고 말랑거리는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다.In addition, it is also important for the core pad 410 to be more durable than the nail blade of the wearer touches. For this purpose, the core pad 410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 higher modulus of elasticity than the subpad 420, And the durability of the core pad 410 can be further improved. In this case, since the core pad 410 has a higher elastic modulus than the sub pad 420, the core pad 410 is made of a hard material having a higher elastic modulus, and the sub pad 420 has a lower elastic modulus than the core pad 410 It is composed of soft and soft material.

이와 같은 이중 재질로 구성된 코어패드(410) / 서브패드(420) 구조의 보호패드(400)의 경우 착용자가 느끼는 불편감을 줄이면서도 보호패드(400)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을 뿐 아니라, 특히 착용자의 손톱 날 부위에 해당하는 보호패드(400)의 코어 부분을 탄성계수가 높고 보다 두께가 두꺼운 재질로 구성함으로써 내구성 증진 효과를 한층 더 높일 수 있게 된다.In the case of the protective pad 400 having the core pad 410 / sub pad 420 structure made of such a double material, the durability of the protection pad 400 can be improved while reducing the discomfort felt by the wearer, The core portion of the protective pad 400 corresponding to the nail blade portion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 high elastic modulus and a thicker thickness, thereby further enhancing the durability improving effect.

도 4는 본 발명의 장갑부(300)에 구비되는 추가적인 스트랩(500)을 도시한 개념도이다.4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additional strap 500 provided in the glove part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장갑부(300)는, 상기 결합구와의 연결 부위 인근 둘레를 따라 구비되어 상기 장갑부(300)와 상기 팔보호부(110)를 고정하는 스트랩(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4, the glove unit 300 includes a strap 500, which is provid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onnection area with the coupling unit and fixes the glove unit 300 and the arm protector 110, .

이와 같은 스트랩(500)은 결합구를 이용한 고정 외에 추가적인 고정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팔보호부(110)와 장갑부(300) 사이의 결합력을 보다 높임으로써 착용자가 잠결이나 무의식 중에 장갑부(300)를 벗어 버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The strap 500 may further secure the glove part 300 by fixing the glove part 300 to the glove part 300 by performing an additional fixing function in addition to the fixing using the coupling part, So as to prevent it from falling off.

이와 같은 스트랩(500)의 재질에는 제한이 없으며, 길이 역시 제한을 두지 않으나 착용자의 손목을 1회 이상 두를 수 있는 이상의 길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더불어 일반적인 끈 재질 외에도 적당한 탄성 또는 경도를 지닌 재질로서 스트랩(500)을 이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며, 혹은 C자 형상의 스트랩(500)을 끼움 결합 한 뒤, 스트랩(500)의 양 단을 잠그는 등으로 스트랩(500)을 이용할 수도 있다.The material of the strap 500 is not limited, and the length of the strap 500 is not limited. However,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strap 500 with a length longer than a width of the wearer's wrist. In addition to the ordinary cord material, the strap 500 may be used as a material having appropriate elasticity or hardness. Alternatively, the C-shaped strap 500 may be inserted into the strap 500 and then both ends of the strap 500 may be locked The strap 500 may be used.

더불어, 이와 같은 스트랩(500)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500)의 양 단부 각각에 자석(510)을 구비함으로써, 자석(510)을 통해 스트랩(500)이 자력 결합을 하도록 구성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the strap 500 to include the magnets 510 at both ends of the strap 500 so that the strap 500 can be magnetically coupled through the magnets 510 .

이는 스트랩(500)을 통한 고정 시 스트랩(500)의 양 단부가 맞닿을 경우 자석(510)에 의해 자동적으로 자력 결합을 하도록 하여 스트랩(500)의 고정을 보다 쉽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인데, 이 때 자석(510)의 경우 쉽게 떨어지지 않도록 강한 자력 결합을 하는 네오디뮴 자석(510) 등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자석(510)의 경우 겉으로 드러나지 않도록 스트랩(500)의 패브릭 내측에 삽입되는 것이 보다 수려한 미관을 제공하는 데 있어 바람직할 것이다.This is because when the both ends of the strap 500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when the strap 500 is fixed through the strap 500, the strap 500 is automatically fixed by the magnet 510 so that the strap 500 can be more easily fixed. In the case of the magnet 510, it is preferable to use a neodymium magnet 510 or the like which performs strong magnetic coupling so as not to fall off easily.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magnet 510, it is preferable to insert the inside of the fabric of the strap 500 so as not to be exposed, so as to provide a more aesthetic appearance.

도 5는 본 발명의 장갑부(300)에 포함되는 롤링부(600)의 기본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5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basic configuration of a rolling part 600 included in the glove part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장갑부(300)는, 상기 결합구와의 결합 부위 인근 일 측에 구비된 것으로서 상기 장갑부(300)의 패브릭를 와인딩 처리한 롤링부(6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5, the glove unit 300 further includes a rolling unit 600 provided on one side of the vicinity of the coupling part with the coupling unit and winding the fabric of the glove unit 300, .

롤링부(600)라 함은 장갑부(300)의 패브릭을 와인딩 처리한 것으로서, 이는 팔보호부(110)가 긴팔 혹은 반팔인 모든 경우를 대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롤링부(600)에 와인딩된 패브릭을 감거나 풀도록 함으로써 장갑부(30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rolling unit 600 is formed by winding a fabric of the glove part 300. The rolling part 600 may be formed by winding a fabric wound around the rolling part 600 in order to cope with all the cases in which the arm protecting part 110 is long- So that the length of the glove part 300 can be adjusted.

따라서 이와 같은 롤링부(600)를 포함하는 장갑부(300)의 경우, 팔보호부(110)의 길이에 대응되도록 장갑부(300)의 길이 역시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롤링부(600)를 와인딩 처리하는 경우 와인딩된 롤링부(600)가 착용자의 손목을 조임으로써 장갑부(300)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겸용 기능을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length of the glove part 300 can be adjusted to correspond to the length of the arm protector 110 and the rolling part 600 can be adjusted in accordance with the length of the arm protector 110. [ It is of course possible to perform a combined function of preventing the gloved part 300 from flowing down by tightening the wrist of the wearer when the rolled part 600 is wound.

도 6은 본 발명의 탈착 가능한 롤링부(600)의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6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detachable rolling part 600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장갑부(300)는, 상기 손가락보호부(320)의 대향 측 단부에 형성된 롤링결합부(330)를 포함하고, 상기 롤링부(600)는, 상기 롤링결합부(330)와 대응되게 형성된 이음부(620)를 포함하여, 상기 롤링결합부(330) 및 이음부(620)를 통해 상기 롤링부(600)가 상기 장갑부(300)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6, the glove part 300 includes a rolling engagement part 330 formed at the opposite side end of the finger protection part 320, The rolling part 60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glove part 300 through the rolling coupling part 330 and the coupling part 620, .

이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롤링부(600)의 구성을 탈착 가능하게 구성한 것으로서, 상술한 상체결합구(200)의 팔보호부(110)가 반팔인 경우 장갑부(300)에 형성된 롤링결합부(330)와 롤링부(600)에 형성된 이음부(620)를 결합하여 롤링부(600)를 장갑부(300)에 결합시킴으로써 롤링부(600)의 와인딩을 통해 팔 전체를 보호할 수 있게 한다. 덧붙여 상체결합구(200)의 팔보호부(110)가 긴팔인 경우, 장갑부(300)에 형성된 롤링결합부(330)와 롤링부(600)에 형성된 이음부(620)의 결합을 해제하여 롤링부(600)를 장갑부(300)로부터 분리 처리함으로써 롤링부(600)를 제거할 수도 있게 한 것이다.When the arm protecting portion 110 of the upper body coupling member 200 is in a state of being short-sleeved, the rolling engagement portion 330 formed in the armature portion 300 And the joint part 620 formed on the rolling part 600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join the rolling part 600 to the glove part 300 so that the entire arm can be protected through the winding of the rolling part 600. In the case where the arm protecting portion 110 of the upper body coupling member 200 is long-sleeved, the coupling between the rolling coupling portion 330 formed in the armor portion 300 and the coupling portion 620 formed in the rolling portion 600 is released The rolling unit 600 can be removed by separating the rolling unit 600 from the glove unit 300.

따라서 필요에 따라 장갑부(300)에서 롤링부(600)를 탈착 가능하게 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장갑부(30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함은 물론이며, 롤링부(600)가 필요 없을 경우 별도로 분리가 가능함은 물론이고, 롤링부(600)와 장갑부(300)의 분리 세탁 역시 가능하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더불어 이와 같이 탈착 가능한 롤링부(600)의 구성의 경우 이음부(620)가 형성된 롤링부(600)의 타 단부가 상기 상체결합구(200)에 결합되게 된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length of the glove part 300 according to need, by making the rolling part 600 detachable from the glove part 300 according to need, and when the rolling part 600 is not needed, The rolling part 600 and the glove part 300 can be separated and washed.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structure of the detachable rolling part 600, the other end of the rolling part 600 having the joint part 620 is coupled to the upper body coupling part 200.

도 7은 본 발명의 와인딩파트(610)가 구비된 롤링부(600)의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7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rolling unit 600 having a winding part 6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롤링부(600)는, 단부 일 측에 구비되어 상기 패브릭보다 하드 재질로 구성된 와인딩파트(6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rolling unit 600 may further include a winding part 610 formed on one side of the end part and made of a harder material than the fabric.

이러한 와인딩파트(610)는 바람직하게 장갑부(300)의 입구 측, 즉 손가락보호부(320)와 대향되는 대향 측의 롤링부(600) 단부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와인딩파트(610)가 롤링부(600)가 와인딩되는 가이드라인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The winding part 610 is preferably provided at the entrance side of the glove part 300, that is, at the end of the rolling part 600 on the opposite side facing the finger protecting part 320, And serves as a guideline for winding the sheet 600.

이와 같은 와인딩파트(610)의 경우 롤링부(600)를 형성하는 패브릭 내에 하드 재질을 충진 처리함으로써 와인딩파트(610)를 구성하는 것 역시 가능하며, 또는 와인딩파트(610) 형성을 위해 패브릭을 여러 겹 덧대는 등의 방법을 통해 와인딩파트(610)를 장갑부(300)의 패브릭보다 하드 재질이 되게끔 구성할 수 있다.In the case of such a winding part 610, it is also possible to form the winding part 610 by filling the hard material in the fabric forming the rolling part 600, or to form the winding part 610 The winding part 610 may be made of a material harder than the fabric of the glove part 300 by a method such as folding.

이를 통해 착용자가 와인딩파트(610)를 가이드로 하여 롤링부(600)를 와인딩 할 수 있어 와인딩을 보다 쉽게 수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롤링된 와인딩파트(610)가 착용자의 손목과 장갑부(300) 사이를 잡아주는 기능을 수행하여 착용자가 장갑부(300)를 착용하였을 때 장갑부(300)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여 장갑부(300)와 팔보호부(110) 사이의 결합력을 보다 증진시키는 부수적 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wearer can wind the rolling part 600 with the winding part 610 as a guide so that the winding can be performed more easily and the rolled winding part 610 can be wound around the wearer's wrist and the arm part 300 So as to prevent the glove part 300 from flowing down when the glove part 300 is worn by the wearer so that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glove part 300 and the arm protecting part 110 It is needless to say that it is possible to expect an additional effect of further enhancing.

도 8은 스트랩(500)이 끼움 결합되는 롤링부(600)의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8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rolling part 600 in which the strap 500 is fitted.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롤링부(600)는, 상기 손가락보호부(320) 측 인근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패브릭이 절개된 절개파트(630) 및, 상기 절개파트(630)를 개폐하는 결합부재(6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때 상술한 상기 롤링부(600)의 와인딩에 따라 상기 절개파트(630)에 의해 형성된 상기 롤링부(600)의 내측 스페이스(640)에 상기 스트랩(500)이 끼움 결합되어 와인딩 된 롤링부(600)를 고정할 수 있다.8, the rolling unit 600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near the finger protector 320, and includes a cutting part 630 having the fabric cut therein, and a cutting part 630 (Not shown). The strap 500 is engaged with the inner space 640 of the rolling part 600 formed by the incision part 630 according to the winding of the rolling part 600, (600) can be fixed.

이는 손가락보호부(320) 측 인근에 형성된 롤링부(600)가 길이 방향으로 절개된 절개파트(630)를 구비하여, 절개파트(630)까지 롤링부(600)가 롤링 되었을 시 절개파트(630)의 개방 부위에 따라 형성된 내부 공간인 스페이스(640)에 스트랩(500)을 끼움 결합하여 와인딩된 롤링부(600)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When the rolling part 600 is rolled up to the incision part 630, the incision part 630 is provided in the vicinity of the finger protection part 320, The winding unit 600 can be fixed by fitting the strap 500 into the space 640, which is an internal space formed along the open part of the opening 640.

이 때 절개파트(630)의 경우 결합부재(631)에 의해 개폐 가능하며, 이 때 결합부재(631)의 종류에는 제한을 두지 않으므로 상술한 단추, 지퍼, 벨크로, 버클 등 절개 부위를 개폐할 수 있는 다양한 개폐수단이 결합부재(631)로서 이용될 수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incision part 630 can be opened and closed by the engaging member 631. Since the type of the engaging member 631 is not limited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open and close the incision site such as the button, the zipper, Closing means can be used as the engaging member 631. [

따라서 착용자는 하드 재질인 와인딩파트(610)를 따라 롤링부(600)를 와인딩한 뒤, 절개파트(630)가 외측으로 드러나면 절개파트(630)에 구비된 결합부재(631)의 결합을 해제한다. 그 경우 와인딩된 롤링부(600)에서 겉으로 드러난 절개파트(630)에 의해 절개된 내측 공간인 스페이스(640)를 따라 스트랩(500)을 삽입하여, 착용자의 팔을 감싸는 롤링부(600)의 둘레 내측 스페이스(640)를 따라 스트랩(500)을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refore, the wearer winds the rolling part 600 along the winding part 610 which is a hard material, and releases the engagement of the engagement member 631 provided on the incision part 630 when the incision part 630 is exposed to the outside . In this case, the strap 500 is inserted along the space 640, which is the inner space cut by the exposed incision part 630 in the wound rolling part 600, so that the circumference of the rolling part 600 surrounding the wearer's arm And the strap 500 can be inserted and fixed along the inner space 640.

이 경우 스트랩(500)이 외측으로 드러나지 않기 때문에 미관을 보다 수려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음과 동시에, 스트랩(500)을 통해 와인딩된 롤링부(600)가 고정되기 때문에 와인딩된 롤링부(600)가 쉽게 풀리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In this case, since the strap 500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the aesthetic appearance can be further enhanced. In addition, since the wound rolling part 600 is fixed through the strap 500, Can not be easily released.

도 9는 와인딩스틱이 구비된 롤링부(600)의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9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rolling unit 600 equipped with a winding stick.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롤링부(600)는, 상기 와인딩파트(610) 일 측에서 상기 절개파트(630)까지 상기 롤링부(6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각각 마주보도록 상기 패브릭 사이에 내삽되는 것으로서 하드 재질인 한 쌍의 와인딩스틱(700)을 더 포함하되, 상기 와인딩스틱(700)은, 상기 와인딩파트(610)의 폭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 간격을 따라 함입 형성된 복수개의 와인딩마디(710)를 더 포함하여, 상기 와인딩스틱(700)을 꺾음 조작함에 따라 상기 와인딩마디(710)에 해당하는 상기 롤링부(600)가 와인딩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9, the rolling part 600 is disposed between the fabrics so as to face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lling part 600 from one side of the winding part 610 to the incision part 630, The winding stick 700 includes a pair of winding sticks 700 that are inserted as a hard material and include a plurality of winding bars 700 formed along the length of the winding part 610, 710, and the rolling unit 600 corresponding to the winding segment 710 may be wound as the winding stick 700 is operated.

이는 착용자의 와인딩을 보다 쉽게 할 수 있도록 한 구성으로서,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롤링부(600)를 와인딩할 때 와인딩스틱(700)을 꺾음 조작함에 따라 롤링부(600)를 직점 말지 않아도 롤링부(600)의 와인딩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이다.As a result, when the user winds the rolling part 600 according to need, the winding part 700 is rotated to rotate the rolling part 600 in the rolling direction 600).

이 때 와인딩스틱(700)은 와인딩파트(610)의 일 측에서 롤링부(6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파트(630)까지 대응되는 길이로 구비되는 것으로서, 서로 마주보도록 한 쌍으로 구비된다. 더불어 이러한 와인딩스틱(700)은 롤링부(600)의 패브릭 사이에 내삽되어 겉으로 드러나지 않도록 함으로써 수려한 미관을 나타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winding stick 700 is provided in a corresponding length from one side of the winding part 610 to the incision part 63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lling part 600, and is provided as a pair so as to face each other.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winding stick 700 is inserted between the fabrics of the rolling part 600 so as no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so that a beautiful appearance can be exhibited.

더불어 이와 같이 구성된 와인딩스틱(700)에는 상기 와인딩파트(610)의 폭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 간격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함입 형성된 복수개의 와인딩마디(710)가 더 포함된다. 이는 와인딩마디(710)에 따라 와인딩스틱(700)을 꺾을 수 있도록 구성한 것으로서, 함입 형성된 와인딩마디(710)가 꺾여 와인딩스틱(700)이 접힘에 따라서 롤링부(600)가 따라 와인딩 되도록 한 것이다.In addition, the winding stick 7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winding segments 710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a length interval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winding segments 610. The winding stick 700 is folded in accordance with the winding wire 710 so that the winding wire 710 is bent so that the winding part 700 is wound along the winding part 700 as the winding stick 700 is folded.

이러한 와인딩스틱(700)은 바람직하게는 한 쌍 구비되나, 필요에 따라 한 쌍 이상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이는 착용자의 착용감을 저해하지 않는 선에서 조절 가능하다. 더불어 와인딩스틱(700)의 두께의 경우 와인딩마디(710)를 따라 접는데 무리가 없을 선에서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와인딩스틱(700)의 두께가 과하게 두꺼울 경우 착용자의 착용감을 저해할 수 있으므로 와인딩마디(710) 부분의 쉽게 꺾음 조작이 가능하면서도 와인딩마디(710) 이외의 부분은 쉽게 꺾이지 않도록, 와인딩마디(710) 부분과 그 외의 부분이 구별 가능하게 그 두께가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The winding sticks 700 are preferably provided as a pair, but may be provided in a pair or more as required, and they are adjustable in a line that does not hinder the wearing comfort of the wearer.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thickness of the winding stick 700 is adjusted at a line which is not difficult to be folded along the winding segment 710. If the thickness of the winding stick 700 is excessively large, It is preferable that the thickness of the part of the knurl 710 can be easily adjusted so that the part other than the winding part 710 can be easily broken while the part of the knurl 710 can be easily broken.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장갑을 구비한 아토피용 의복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the constitution and the action of the atopic garment having the detachable gl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in the above description and drawings, but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drawings An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100 : 상체보호구 110 : 팔보호부
200 : 상체결합구 210 : 제 1 결합구
220 : 제 2 결합구 300 : 장갑부
310 : 장갑결합구 311 : 메인결합구
312 : 서브결합구 320 : 손가락보호부
330 : 롤링결합부 400 : 보호패드
410 : 코어패드 420 : 서브패드
500 : 스트랩 510 : 자석
600 : 롤링부 610 : 와인딩파트
620 : 이음부 630 : 절개파트
631 : 결합부재 640 : 스페이스
700 : 와인딩스틱 710 : 와인딩마디
100: upper body protection member 110: arm protection member
200: upper body coupling hole 210: first coupling hole
220: second coupling member 300: glove part
310: glove coupling part 311: main coupling part
312: sub-coupling part 320: finger protection part
330: Rolling coupling part 400: Protective pad
410: core pad 420: subpad
500: Strap 510: Magnet
600: Rolling part 610: Winding part
620: joint part 630: incision part
631: coupling member 640: space
700: Winding stick 710: Winding node

Claims (10)

착탈식 장갑을 구비한 아토피용 의복으로서,
착용자에 의해 착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착용자의 양 팔이 각각 끼워지는 팔보호부를 포함하는 상체보호구;
상기 팔보호부의 단부 일 측에 구비된 상체결합구;
장갑결합구를 통해 상기 상체결합구와 결합하여 상기 팔보호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으로서 상기 착용자의 손가락 각각을 보호하는 손가락보호부를 포함하는 장갑부;를 포함하되,
상기 장갑부는,
상기 장갑결합구와의 연결 부위 인근 둘레를 따라 구비되어 상기 장갑부와 상기 팔보호부를 고정하는 스트랩과, 상기 장갑결합구와의 결합 부위 인근 일 측에 구비된 것으로서 상기 장갑부의 패브릭를 와인딩 처리한 롤링부 및, 상기 손가락보호부의 대향 측 단부에 형성된 롤링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롤링부는, 상기 롤링결합부와 대응되게 형성된 이음부를 포함하여 상기 롤링결합부 및 상기 이음부를 통해 상기 롤링부가 상기 장갑부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롤링부의 타 단부는 상기 상체결합구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장갑을 구비한 아토피용 의복.
1. An atopic garment having a removable glove,
An upper body protecting member which is worn by a wearer and includes an arm protecting portion in which both arms of the wearer are fitted;
An upper body coupling provided on one side of an end of the arm protecting portion;
And a glove portion coupled to the upper body coupling through the glove coupling member so as to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arm protecting portion and including a finger protector for protecting each finger of the wearer,
The glove portion,
A strap which is provid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onnection part with the glove coupling part and fixes the glove part and the arm protector part; a rolling part which is provided at one side near the joining part with the glove coupling part and winds the fabric of the glove part; And a rolling engagement portion formed at an opposite side end portion of the finger protecting portion,
Wherein the rolling portion includes a joint portion formed to correspond to the rolling engagement portion, the rolling portion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glove portion through the rolling engagement portion and the joint portion, and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rolling portion is engaged with the upper body engagement portion Wherein the at least one glove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wear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체결합구는,
상기 팔보호부의 단부 일 측에 구비된 제 1 결합구 및,
상기 제 1 결합구에 비해 내측에 구비된 제 2 결합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장갑결합구는,
상기 손가락보호부의 대향 측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 2 결합구와 결합하는 메인결합구 및,
상기 메인결합구에 비해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 1 결합구와 결합하는 서브결합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장갑을 구비한 아토피용 의복.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upper body coupling member includes:
A first coupling portion provided on one side of the end of the arm protecting portion,
Further comprising a second coupling hole provided inside the first coupling hole,
The glove-
A main coupling formed at an opposite side end of the finger protector and engaging with the second coupling,
And a sub-coupling hole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main coupling hole to engage with the first coupling hol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보호부는,
상기 착용자의 손톱에 대응되는 내부 일 측에 형성된 것으로서 탄성 재질의 보호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장갑을 구비한 아토피용 의복.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nger protector comprise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elastic protective pad formed on one side of the inside corresponding to the nail of the wearer.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패드는,
메쉬 구조로 형성되되,
상기 보호패드의 코어에 해당하는 코어패드와,
상기 코어패드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코어패드보다 두께가 얇고 탄성계수가 낮은 서브패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장갑을 구비한 아토피용 의복.
The method of claim 3,
The protection pad may include:
Mesh structure,
A core pad corresponding to a core of the protection pad,
And at least one sub pad which is formed to surround the core pad and is thinner in thickness than the core pad and has a lower elastic modulus.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롤링부는,
단부 일 측에 구비되어 상기 패브릭보다 하드 재질로 구성된 와인딩파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장갑을 구비한 아토피용 의복.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olling unit includes:
Wherein the wearer further comprises a winding part which is provided on one end side and is made of a hard material more than the fabric.
삭제delete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롤링부는,
상기 손가락보호부 측 인근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패브릭이 절개된 절개파트 및,
상기 절개파트를 개폐하는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여,
상기 롤링부의 와인딩에 따라 상기 절개파트에 의해 형성된 상기 롤링부의 내측 스페이스에 상기 스트랩이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장갑을 구비한 아토피용 의복.
8. The method of claim 7,
The rolling unit includes:
An incision part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near the finger protector side, the incision part being formed by cutting the fabric,
Further comprising a coupling memb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cision part,
Wherein the strap is fit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rolling part formed by the cutting part according to the winding of the rolling part.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롤링부는,
상기 와인딩파트 일 측에서 상기 절개파트까지 상기 롤링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각각 마주보도록 상기 패브릭 사이에 내삽되는 것으로서 하드 재질인 한 쌍의 와인딩스틱을 더 포함하되,
상기 와인딩스틱은,
상기 와인딩파트의 폭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 간격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함입 형성된 복수개의 와인딩마디를 더 포함하여,
상기 와인딩스틱을 꺾음 조작함에 따라 상기 와인딩마디에 해당하는 상기 롤링부가 와인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장갑을 구비한 아토피용 의복.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rolling unit includes:
And a pair of winding sticks which are inserted between the fabrics so as to face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lling part from one side of the winding part to the cutting part,
The winding stick comprises: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winding segments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a length interval corresponding to a width of the winding part,
Wherein the rolling part corresponding to the winding part is wound by winding the winding stick.
KR1020170014835A 2017-02-02 2017-02-02 A Cloth With Adjustable Gloves KR10192459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4835A KR101924597B1 (en) 2017-02-02 2017-02-02 A Cloth With Adjustable Glov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4835A KR101924597B1 (en) 2017-02-02 2017-02-02 A Cloth With Adjustable Glov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9989A KR20180089989A (en) 2018-08-10
KR101924597B1 true KR101924597B1 (en) 2019-02-27

Family

ID=63229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4835A KR101924597B1 (en) 2017-02-02 2017-02-02 A Cloth With Adjustable Glov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4597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5008B2 (en) * 1990-10-09 2000-10-30 株式会社リコー Image reading device
JP2005188002A (en) 2003-12-26 2005-07-14 Hiroshi Yoshida Glove for waste disposal
KR100816778B1 (en) 2007-04-28 2008-03-25 천숙자 Clothes for dementia patient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95388B2 (en) * 1995-08-23 2004-12-02 修身 梶本 Scratch-preventing gloves and nightwear using the same
JP3105008U (en) * 2004-04-01 2004-10-21 和子 清野 Sunburn-preventing gloves that can adjust the length by expanding and contracting small pleated wrinkl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5008B2 (en) * 1990-10-09 2000-10-30 株式会社リコー Image reading device
JP2005188002A (en) 2003-12-26 2005-07-14 Hiroshi Yoshida Glove for waste disposal
KR100816778B1 (en) 2007-04-28 2008-03-25 천숙자 Clothes for dementia pati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9989A (en) 2018-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36910B1 (en) Clothing such as shorts and swimming wear
JP3207233U (en) Close-adjustment type multifunctional hair wear
US7296302B2 (en) Hooded garment with built-in skull cap, gloves, and lower face covering with mouth opening
KR101650167B1 (en) Mask
US9220307B2 (en) Dual-use handcovering for protecting the hand of wearer from the atmospheric conditions i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KR101924597B1 (en) A Cloth With Adjustable Gloves
KR20160066436A (en) Hand protecting globe for patient
KR200470988Y1 (en) Finger glove such as thimble shape
KR20170098047A (en) Hair wear
JP3646261B2 (en) Therapeutic collar and collared clothing
JP3114379U (en) Danger prevention gloves
KR200389797Y1 (en) the front of face
JP6997550B2 (en) neck warmer
JP2006026111A (en) Hygienic mask with three-dimensional shape
JP6886210B1 (en) Face cover
KR200207765Y1 (en) A technical winter mask
KR20120007661U (en) a cylindrical scarf of easy in wear
JP3236559U (en) mask
JP3227734U (en) Face cover
JP3832817B2 (en) T-back shorts
JP4241868B1 (en) gloves
CN105476151A (en) Electric arc protective mask using built-in flexible support
JP3144011U (en) Clothing to reduce scratches
JP3029811U (en) Face mask
JP2006241635A (en) Sunscreen arm co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