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4489B1 - 전기 신호를 전도하여 점막하 조직을 치료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전기 신호를 전도하여 점막하 조직을 치료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4489B1
KR101924489B1 KR1020180018217A KR20180018217A KR101924489B1 KR 101924489 B1 KR101924489 B1 KR 101924489B1 KR 1020180018217 A KR1020180018217 A KR 1020180018217A KR 20180018217 A KR20180018217 A KR 20180018217A KR 101924489 B1 KR101924489 B1 KR 1019244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guide
probe
guide groove
mucos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8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라종주
Original Assignee
(주)비올
라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비올, 라종주 filed Critical (주)비올
Priority to KR1020180018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44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4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4489B1/ko
Priority to CA3091223A priority patent/CA3091223A1/en
Priority to CN201880089485.2A priority patent/CN111712294B/zh
Priority to US16/969,614 priority patent/US20210030464A1/en
Priority to JP2020543349A priority patent/JP7050162B2/ja
Priority to EP18906219.3A priority patent/EP3753603A4/en
Priority to PCT/KR2018/016355 priority patent/WO2019160235A1/ko
Priority to IL276718A priority patent/IL27671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07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of urogenital or gastrointestinal organs, e.g. for incontinence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5Electrodes for implantation or insertion into the body, e.g. heart electrode
    • A61N1/0507Electrodes for the digestive system
    • A61N1/0512Anal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5Electrodes for implantation or insertion into the body, e.g. heart electrode
    • A61N1/0507Electrodes for the digestive system
    • A61N1/0514Electrodes for the urinary tra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5Electrodes for implantation or insertion into the body, e.g. heart electrode
    • A61N1/0521Genital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5Electrodes for implantation or insertion into the body, e.g. heart electrode
    • A61N1/0521Genital electrodes
    • A61N1/0524Vaginal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5Electrodes for implantation or insertion into the body, e.g. heart electrode
    • A61N1/0526Head electrodes
    • A61N1/0546Nasal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5Electrodes for implantation or insertion into the body, e.g. heart electrode
    • A61N1/0526Head electrodes
    • A61N1/0548Oral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85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having a short rigid shaft for accessing the inner body through natural open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053Mechanical features of the instrument of device
    • A61B2018/00059Material properties
    • A61B2018/00089Thermal conductivity
    • A61B2018/00101Thermal conductivity low, i.e. thermally insul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053Mechanical features of the instrument of device
    • A61B2018/00107Coatings on the energy applica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31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treatment of particular body parts
    • A61B2018/00345Vascular system
    • A61B2018/00404Blood vessels other than those in or around the hea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31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treatment of particular body parts
    • A61B2018/00559Female reproductive org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636Sensing and controlling the application of energy
    • A61B2018/00642Sensing and controlling the application of energy with feedback, i.e. closed loop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636Sensing and controlling the application of energy
    • A61B2018/00773Sensed parameters
    • A61B2018/00791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636Sensing and controlling the application of energy
    • A61B2018/00773Sensed parameters
    • A61B2018/00875Resistance or imped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5Electrodes for implantation or insertion into the body, e.g. heart electrode
    • A61N1/0507Electrodes for the digest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5Electrodes for implantation or insertion into the body, e.g. heart electrode
    • A61N1/0517Esophageal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5Electrodes for implantation or insertion into the body, e.g. heart electrode
    • A61N1/0519Endotracheal electro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Plasma & Fusion (AREA)
  • Pulmon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점막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점막하 조직의 혈관을 치료하기 위한 장치는, 치료부위 점막에 접근 가능한 탐침부재와, 탐침부재에 구비되며 점막하 조직의 혈관에 전기 신호를 인가하는 전극을 포함하되, 전극의 외표면은 구형의 곡면으로 형성되어, 전기신호가 곡면을 통해 방사형(radial shape)으로 방출되고, 전극에 인가되는 전기 신호는 적어도 1회의 휴지기를 두고 반복해서 전도되는 펄스 신호이다. 또한, 상기 장치는 치료부위 점막에 대한 전극의 위치를 안내하는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전기 신호를 전도하여 점막하 조직을 치료하는 장치 {APPARATUS FOR TREATING SUBMUCOSAL TISSUE USING ELECTRIC SIGNAL}
본 발명은 전기 신호를 전도하여 점막하 조직을 치료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점막하 조직에 존재하는 혈관의 처치를 위해 사용되면서 시술 안전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기 신호를 이용한 점막하 조직의 혈관을 치료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신체의 점막이라 함은, 호흡기관, 소화기관, 비뇨생식기관 등과 같이 외부와 직접 맞닿아 있는 중강기관의 내벽을 의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신체의 점막은 위치에 따라 구강 점막, 코 점막, 인후두 점막, 기관지 점막, 질 점막, 귀두 점막, 요도 점막, 항문 점막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점막의 구조는 피부와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외부로 노출되는 상피(epithelium)와 고유층(lamina propria)으로 이루어지는 점막(mucosa)은 피부의 표피층에 해당하고, 점막의 하부에 위치하는 점막하조직(submucosa)은 피부의 진피층에 해당한다. 즉, 피부와 유사하게, 점막하조직에는 수많은 혈관이 존재하는데, 이러한 혈관이 점막 및 점막하 조직에 존재하는 세포 및 세포외 성분들의 성장과 합성에 관여를 하게 된다.
콜라겐은 신축성이 좋은 피부와 점막에서 가장 풍부한 단백질이고, 그 기능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기계적 및 구조적 완전성을 제공한다. 많은 유형의 콜라겐이 존재하며, 콜라겐 I이 가장 흔하다. 이것은 원섬유형성이라 불리는 공정으로 콜라겐 섬유를 형성하거나 관련된 원섬유의 형태로 구조화된다. 다른 유형의 콜라겐은 Ⅲ, Ⅳ, Ⅶ 및 Ⅷ이다. 진피에서 두 번째로 가장 중요한 단백질은 탄력소이다. 탄력소는 원섬유 구조로 둘러싸인 중심 소수성 핵을 지니는 불용성 탄성 섬유의 형태로 구성된다. 이것은 콜라겐보다는 오히려 소수의 단백질이지만, 탄성의 유지 및 피부의 내성에 있어서 중요하다.
점막하 조직 또는 진피의 이러한 세포외 결합 조직은 염증 반응의 결과로서 손상될 수 있다. 노화, 건조한 환경, 반복적인 마찰에 의한 물리적 손상, 화학물질의 노출은 점막 및 점막하 조직의 염증 반응을 증가시키고, 세포외 기질의 단백질 분해 시스템을 활성화시킨다. 혈관을 통해 조직내로 방출되는 포식세포가 염증을 야기하고 기질 금속단백분해효소(MMP)를 방출하게 된다. 이러한 MMP는 염증 과정 후에 콜라겐 및 탄력소 분자를 분해시킨다. MMP-1은 콜라겐 I 및 콜라겐 Ⅲ를 분해시키는 한편, MMP-12는 탄력소에 대해 가장 활성적으로 분해작용을 일으킨다. 과도한 콜라겐 및 탄력소 분해는 점막 조직의 이완(flaccid) 및 신장을 초래한다.
한편, 점막에는 각종 질환 또는 이상 증세가 발생될 수 있으며, 증세에 따라 적절한 치료가 행해질 수 있어야 한다.
신체의 점막 이상 증세 중 하나로서, 여성의 질 점막이 신장되는 질이완증이 있다. 여성의 질 점막은 신축성이 좋은 조직으로 구성되지만, 성관계와 출산 등이 반복적으로 행해지면, 질 점막이 점차적으로 신장됨에 따라 탄력과 마찰력이 줄어들고 수축성이 저하된다. 이와 같이, 질 점막의 수축성이 저하되면, 성관계 중에 압력과 마찰이 감소되어 성적 쾌락이 감소될 뿐만 아니라, 요실금이나 자신감의 문제로까지 확대되어 심리적 위축을 경험하게 된다.
이러한 질 점막의 신장은 질의 점막하조직에 있는 신생혈관의 생성과 관련이 있기 때문에 신생혈관의 과도한 생성을 조기에 억제시킴으로써 질 점막의 수축성을 유지시키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질 점막하 조직의 혈관에 작용하여 질의 이상 증세(질이완증)를 치료하는 기술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점막 조직 내 콜라겐 및 탄력소 분자의 분해를 유발하는 염증 반응 및 질 점막 신장의 원인 또는 악화 요인이 되는 점막하 조직의 혈관에 적절한 열 손상을 주어 원인 혈관의 비정상적인 과증식을 정상화함으로써 점막 조직의 수축성을 유지시키고 탄력을 개선시킬 수 있는 전기 신호를 전도하는 전극을 이용한 점막하 조직의 혈관을 치료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점막 조직의 처치 시술의 안전성을 보장하고, 시술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점막에 대한 전극의 위치를 정확하게 제어하고, 전극의 위치 제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치료 대상 점막의 주변 신경이나 조직의 손상 및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점막 처치 시술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고, 환자의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점막하 조직의 혈관 치료 장치는, 치료부위 점막에 접근 가능한 탐침부재와, 탐침부재에 구비되며 점막하 조직의 혈관에 전기 신호를 인가하는 전극을 포함하되, 전극의 외표면은 구형의 곡면으로 형성되어, 전기신호가 곡면을 통해 방사형(radial shape)으로 방출되고, 전극에 인가되는 전기 신호는 적어도 1회의 휴지기를 두고 반복해서 전도되는 펄스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점막하 조직의 혈관의 비정상적인 과증식을 정상화하여 점막 조직의 수축성을 유지시키고 탄력을 개선시키기 위함이다.
즉, 기존에는 점막 표면에 접촉되며 전기 신호를 인가하는 전극의 외표면이 평면이거나 원통형 곡면(arc of a cylinder)으로 형성됨으로 인하여, 전극으로부터 인가되는 전기 신호가 평면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방출되거나 원통형 곡면의 종축을 기준으로 방출되는 형태여서, 점막에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전기 신호를 인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전극의 외표면을 구형의 곡면(radial curved)으로 형성하고, 전기신호가 전극의 중앙점(곡면의 중앙점)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방출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전극의 외표면을 통해 전기 신호가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인가될 수 있으며, 전극에 의해 전기 신호가 인가되는 영역을 보다 확장시키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무엇보다도 본 발명은, 전극에 인가되는 전기 신호가 일관되게 연속적으로 전도되지 않고, 적어도 1회의 휴지기를 두고 반복되는 펄스 신호로 하는 것에 의하여, 점막하 조직에 존재하는 혈관에 열 손상이 더 집중적으로 가해질 수 있으므로, 원인 혈관의 비정상적인 과증식을 정상화하여 점막 조직의 수축성을 유지시키고 탄력을 개선시키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점막하 조직의 혈관 치료 장치는 치료부위 점막에 대한 전극의 위치를 안내하는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한다.
이는, 점막 처치 시술의 안전성을 보장하고, 시술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즉, 기존에는 신체 내부에 전극의 위치를 시술자가 정확하게 인지하기 어려워, 시술 특성상 시술자의 경험 및 역량에 크게 의존하기 때문에 객관적인 치료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일 예로, 질 내부에 삽입된 전극의 위치를 정확하게 제어하지 못하면 질 점막에 인접한 주변 신경이나 조직에서 열 화상 또는 조직 협착 등의 부작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질의 원주 방향을 따라 요도가 위치하는 12시 방향을 기준으로 11시 방향과 1시 방향 사이에서 질 점막에 큰 심부열이 가해지면, 요도 협착과 같이 돌이킬 수 없는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가이드부재를 매개로 점막에 대한 전극의 위치를 안내받아 전극의 위치를 제어하는 것에 의하여, 치료 대상 점막의 주변 신경이나 조직의 손상 및 부작용을 최소화하면서, 치료 효과를 극대화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극의 위치를 정확하게 인지하고 점막 처리 시술이 행해지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시술자의 경험 및 역량에 크게 구애받지 않고 객관적이며 전문적인 치료를 가능하게 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부재는 점막에 대해 위치 고정되고, 탐침부재는 가이드부재에 선택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수용된다.
이와 같이, 점막에 대해 가이드부재의 위치를 고정시키고, 가이드부재에 대해 탐침부재가 회전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탐침부재에 장착된 전극이 신체 내부에 삽입되어 가려지더라도, 시술자는 가이드부재를 기준으로 전극의 위치를 인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가이드부재에는 기준위치 표시부가 형성되고, 기준위치 표시부를 기준으로 점막에 대한 전극의 회전 위치를 제어한다. 일 예로, 기준위치 표시부와 전극이 모두 12시 방향에 위치하도록 가이드부재와 탐침부재를 배치하고, 치료 부위(예를 들어, 질) 외부에 가이드부재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탐침부재에 장착된 전극을 신체 내부에 삽입하면, 시술자는 기준위치 표시부를 기준으로 전극이 점막의 어느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다.
가이드부재는, 탐침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는 제1수용홀이 형성된 가이드 몸체부와, 제1수용홀과 연통되며 탐침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는 제2수용홀이 형성되며 가이드 몸체부에 일체로 확장 형성되는 확장가이드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확장가이드부는 가이드 몸체부에 인접한 근단(proximal end)에서 선단(distal end)으로 갈수록 확장된 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가이드부재는 점막에 대한 전극의 위치를 시술자에서 인지시킴과 아울러, 전극이 치료하고자 하는 목표 조직에 정확히 위치하고, 치료 중 전극의 위치가 움직이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한다.
또한, 탐침부재는 가이드부재에 삽입된 상태에서 가이드부재에 대해 회전함과 동시에,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점막하 조직의 혈관 치료 장치는, 가이드부재에 대한 탐침부재의 회전 및 직선 이동을 가이드하는 이동가이드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가이드부재에 대한 탐침부재의 직선 이동을 가이드한다 함은, 가이드부재에 대해 탐침부재가 직선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중에, 직선 이동 경로를 벗어나는 탐침부재의 이동을 억제하고, 탐침부재가 직선 이동 경로를 따라서만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또한, 가이드부재에 대한 탐침부재의 회전을 가이드한다 함은, 가이드부재에 대한 탐침부재의 회전 중심이 어긋나는 것을 억제하고, 탐침부재의 회전 중심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것으로 정의된다.
이동가이드부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가이드부재에 대한 탐침부재의 회전 및 직선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이동가이드부는, 탐침부재에 형성되는 가이드홈과,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부재에 형성되는 가이드돌기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이드홈은, 탐침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탐침부재의 외표면에 형성되는 직선 가이드홈과, 직선 가이드홈과 연통되며 탐침부재의 둘레 방향을 따라 탐침부재의 외표면에 형성되는 회전 가이드홈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회전 가이드홈은 탐침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복수개가 구비되고, 각 회전 가이드홈은 직선 가이드홈과 연통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회전 가이드홈은 탐침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른 전극의 길이를 이격 간격으로 하여 이격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탐침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른 전극의 길이를 이격 간격으로 하여 회전 가이드홈을 이격되게 형성하고, 가이드돌기가 각 회전 가이드홈을 단계적으로 거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질 점막의 길이 방향을 따른 치료가 중복되거나 누락되는 부위 없이 균일하게 행해지도록 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각 회전 가이드홈을 거치는 가이드돌기의 직선 이동 경로는 지그재그 형태로 구성되거나, 연속적인 직선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일 예로, 직선 가이드홈은, 복수개의 회전 가이드홈 중 서로 인접한 어느 한쌍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1구간 가이드홈과, 복수개의 회전 가이드홈 중 서로 인접한 다른 한쌍의 사이에 형성되며 탐침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1구간 가이드홈과 서로 다른 선상에 배치되는 제2구간 가이드홈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직선 가이드홈을 구성하는 제1구간 가이드홈과 제2구간 가이드홈이 서로 다른 선상에 배치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가이드돌기는 제1구간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한 후 곧바로 제2구간 가이드홈에 진입될 수 없고, 회전 가이드홈을 거친 이후에야 제2구간 가이드홈에 진입될 수 있다. 따라서, 시술자의 부주의 또는 경험 부족에 의한 치료 효율 저하를 방지하고, 치료의 안전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직선 가이드홈은, 복수개의 회전 가이드홈 중 서로 인접한 어느 한쌍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1구간 가이드홈과, 복수개의 회전 가이드홈 중 서로 인접한 다른 한쌍의 사이에 형성되며 탐침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1구간 가이드홈과 동일 선상에 배치되는 제2구간 가이드홈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직선 가이드홈을 구성하는 제1구간 가이드홈과 제2구간 가이드홈이 서로 동일 선상에 배치되도록 하고, 가이드부재에 대한 탐침부재의 직선 이동이 제1구간 가이드홈과 제2구간 가이드홈에서 연속적으로 행해지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치료가 불필요한 부위에서 전극을 보다 신속하게 통과시킬 수 있으므로, 치료 시간을 단축하고 치료 효율을 높이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탐침부재에는 가이드홈과 연통되게 진입홈이 형성된다.
가이드홈에는 가이드돌기가 수용되며 일시적으로 구속되는 구속홈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가이드홈에 구속홈을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탐침부재의 조작시 시술자에게 조작감을 느끼게 할 수 있으며, 점막에 대한 전극의 위치를 촉각적(가이드돌기가 구속홈에 수용 또는 인출될 시 느껴지는 소리 및 충격)으로 인지할 수 있게 한다.
일 예로, 구속홈은 탐침부재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회전 가이드홈에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구속홈은 탐침부재의 원주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구속홈은 탐침부재의 원주 방향을 따른 전극의 길이를 이격 간격(피치 간격)로 하여 이격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탐침부재의 원주 방향을 따른 전극의 길이를 이격 간격으로 하여 회전 가이드홈에 복수개의 구속홈을 형성하고, 가이드돌기가 각 구속홈을 단계적으로 거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점막의 원주 방향을 따른 치료가 중복되거나 누락되는 부위 없이 균일하게 행해지도록 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가이드부재에는 가이드돌기의 주변에 절개부가 형성되고, 가이드돌기는 절개부에 의해 일단에 고정단을 가지며 타단에 자유단을 갖는 캔틸레버(cantilever) 구조로 가이드부재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이드돌기의 주변에 절개부를 형성하고, 절개부를 매개로 가이드돌기가 가이드부재에 대해 캔틸레버 구조로 탄성적으로 유동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가이드홈에서 가이드돌기의 원활한 이동을 보장하고, 구속홈에 대한 가이드돌기의 구속 및 해제가 보다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탐침부재에는 가이드부재에 대한 탐침부재의 위치를 표시하는 위치표시부가 형성된다. 따라서, 가이드부재에 형성된 기준위치 표시부와 위치표시부를 비교하여 전극의 회전 위치 및 직선 이동 위치를 알 수 있다.
점막하 조직의 혈관 치료 장치는, 전극이 미리 결정된 점막의 비타겟 부위에 위치하면 전극으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전극으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한다 함은, 전극으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거나, 감소시키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일 예로, 비타겟 부위가 요도(urethra)인 경우, 제어부는 전극이 비타겟 부위에 위치하면 전극으로의 전원 공급을 중단하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전극이 요도 부위에 위치하면, 전극으로의 전원 공급을 중단하거나 감소시키는 것에 의하여, 미리 설정된 비타겟 부위인 요도 부위에서 열 화상 또는 조직 협착을 방지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탐침부재는 시술자의 조작에 의해 점막에 선택적으로 접근 가능하게 마련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탐침부재는 로드부와, 로드부보다 확장된 크기를 갖도록 로드부의 단부에 형성되는 헤드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전극은 헤드부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며, 헤드부의 외표면 일부를 부분적으로 덮도록 장착된다. 이때, 전극의 외표면은 구형의 곡면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헤드부의 내부에는 중량체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탐침부재에서 헤드부의 중량을 가장 크게 하는 것에 의하여, 헤드부를 신체 내부에 삽입한 상태에서 탐침부재의 배치 안전성을 높이고, 탐침부재의 조작을 보다 용이하게 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전극은 탐침부재에 밀착되는 전극패드와, 전극패드의 외표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전극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전극의 외표면에는 전극으로부터 점막으로의 열전도를 억제하는 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전극과 점막의 직접적인 접촉으로 인한 점막 표면의 급격한 온도 상승을 방지하고, 점막 표면의 온도 상승으로 인한 환자의 통증을 저감시키기 위함이다.
즉, 전극이 점막에 직접 접촉되면, 점막하조직의 온도가 목표 온도까지 도달하지 못하였는데도 불구하고 환자는 점막 표면의 온도 상승으로 인한 통증을 느낄 수 있게 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전극과 점막의 표면의 사이에 코팅층을 마련하는 것에 의하여, 점막 표면에서의 급격한 온도 상승을 방지하면서, 점막하조직의 온도를 목표 온도까지 도달시킬 수 있으므로, 점막 치료시 환자의 통증을 최소화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더욱이, 환자의 통증을 최소화하면서 치료 시간을 보다 늘릴 수 있으므로, 치료 효과를 보다 높이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점막이라 함은, 호흡기관, 소화기관, 비뇨생식기관 등과 같이 외부와 직접 맞닿아 있는 중강기관의 내벽을 형성하는 신체의 다양한 점막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되며, 점막의 종류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점막은, 비점막(nasal mucosa),구강점막(oral mucosa),인후두 점막, 요도점막(prolapsed urethral mucosa),질점막(vaginal mucosa),귀두점막(glandular urethra mucosa),항문점막(anal mucosa)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점막하 조직의 혈관을 치료한다 함은, 혈관의 상부에 위치하는 점막의 접촉이 필수적이므로, 점막을 구성하는 상피와, 상피의 내측에 위치하는 고유층과, 고유층의 내측에 위치하는 점막하조직 중 특별히 어느 하나에만 처치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점막 처치 또는 점막하 조직 처치를 포함하여 행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점막하 조직의 혈관에 적절한 열 손상을 주어 원인 혈관의 비정상적인 과증식을 정상화하여, 조기에 점막 조직의 수축성을 유지시키고 탄력을 개선 시킴으로써 점막하 조직이 튼튼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점막 처치 시술의 안전성을 보장하고, 시술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점막에 대한 전극의 위치를 시술자가 육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으며, 점막에 대한 전극의 위치를 정확하게 제어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극의 위치 제어를 용이하게 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시술자의 경험 및 역량에 크게 구애받지 않고 객관적이며 전문적인 치료를 가능하게 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치료 대상 점막의 주변 신경이나 조직의 손상 및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점막 처치 시술에 소요되는 시술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시술 후 부작용이나 환자의 불편함을 최소화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신호를 이용한 점막하 조직의 혈관 치료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신호를 이용한 점막하 조직의 혈관 치료 장치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신호를 이용한 점막하 조직의 혈관 치료 장치로서, 탐침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신호를 이용한 점막하 조직의 혈관 치료 장치로서, 가이드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신호를 이용한 점막하 조직의 혈관 치료 장치로서, 가이드부재에 형성되는 절개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신호를 이용한 점막하 조직의 혈관 치료 장치에 의한 점막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신호를 이용한 점막하 조직의 혈관 치료 장치로서, 전극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신호를 이용한 점막하 조직의 혈관 치료 장치로서, 모터 드라이브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신호를 이용한 점막하 조직의 혈관 치료 장치로서, 휴지기를 두고 반복해서 전도되는 펄스 신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은 일반적인 점막의 구조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이러한 규칙 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점막하 조직의 혈관 치료 장치(10)는, 치료부위 점막에 접근 가능한 탐침부재(100)와, 탐침부재(100)에 구비되며 상기 점막하 조직의 혈관에 전기 신호를 인가하는 전극(20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극(200)의 외표면은 구형의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기신호가 곡면을 통해 방사형(radial shape)으로 방출될 수 있다. 전극에 인가되는 전기 신호는 적어도 1회의 휴지기를 두고 반복해서 전도되는 펄스 신호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점막에 대한 전극(200)의 위치를 안내하는 가이드부재(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점막이라 함은, 호흡기관, 소화기관, 비뇨생식기관 등과 같이 외부와 직접 맞닿아 있는 중강기관의 내벽을 형성하는 신체의 다양한 점막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되며, 점막의 종류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점막은, 비점막(nasal mucosa),구강점막(oral mucosa),요도점막(prolapsed urethral mucosa), 인후두 점막(Laryngopharyngeal mucosa), 질점막(vaginal mucosa),귀두점막(glandular urethra mucosa), 항문점막(anal mucosa)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일 예로, 질 점막의 경우, 건조한 환경, 반복적인 마찰에 의한 물리적 손상, 화학물질의 노출은 점막의 염증 과정을 증가시키고 증가된 염증 과정 후에 콜라겐 및 탄력소 분자의 분해가 나타나고, 그 결과 질 점막 조직의 이완 및 신장이 초래된다. 이와 같이 염증 과정의 원인 또는 악화 요인이 되는 혈관의 경우에는, 적절한 열 손상이 가해지면 원인 혈관의 비정상적인 과증식이 정상화될 수 있다. 또한, 물리적 손상에 의해 과도하게 생성된 신생혈관의 수를 줄여줌으로써 질 점막의 수축성을 유지시키고 탄력을 개선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원인 혈관의 비정상적인 과증식을 정상화하고, 질 점막의 수축성을 유지시키고 탄력을 개선하기 위해 마련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점막 조직의 각 층과, 각 조직에 따른 조직 임피던스와 전도율, 유전율의 차이를 이용해 전기적 신호를 전극을 통해 점막 내로 전달시켜, 선택적으로 점막하 조직에 영향을 주는 것이 가능한 장치이며, 특히 임피던스의 변화가 급격히 이루어지는 혈관벽과 혈관내부의 특성을 이용해 혈관의 선택적 치료가 가능한 장치이다.
또한, 본 발명은 혈관에 일어나는 열 반응의 정도를 조절하기 위해, 전달하는 전기 신호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장치로서, 이에 의해 혈관 조직의 충혈(congestion), 재생(regeneration), 리모델링(remodeling), 증식(growth), 재증식(regrowth), 퇴화(degradation), 소멸(degeneration) 등의 효과 중 원하는 효과를 선택적으로 발생시키는 치료 장치이다.
또한, 본 발명은 원인 또는 악화 요인이 되는 점막하 조직의 혈관에 적절한 열반응을 일으켜 비정상적인 과증식을 정상화하거나, 원인 혈관의 혈관세포의 대식작용(phagocytosis) 또는 세포자살(apoptosis)을 유도하여 각 치료 목적에서의 치료 효과를 높일 뿐만 아니라, 종래의 치료법에서의 혈관 및 조직에 과도하게 열 손상을 가하여 생기는 부작용을 줄이고, 제거된 혈관의 과증식(hyperplasia) 재형성에 의한 병변의 재발생율을 낮출 수 있는 장치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점막 및 점막하 조직 내에 전기장(Electric Field)를 형성하여 점막하 조직에 존재하는 혈관을 주로 치료하는 장치를 개발하였으며, 전극을 점막 표면에 접촉시켜 점막하 조직에서 전기장을 형성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즉, 점막 및 점막하 조직 내 일정 영역에 고르게 전기장을 형성하고 이에 의해 주로 혈관에 선택적으로 열 작용이 일어나고, 이를 통해 각종 병변을 치료하는 것으로, 이는 기존의 고주파 치료 기술이 점막내 콜라겐 생성을 주 목적으로 점막 조직 자체를 열에 의해 응고시키는 기술에 국한되었던 것과 달리, 본 발명은 조직 내에 특정 조건의 전기장을 형성하면 초기에 혈관 이외의 조직보다 혈관에 주로 전기적 신호가 작용하는 현상을 연구를 통해 찾아냈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을 개발한 것이다.
즉, 종래의 고주파 치료 기술은 점막내 콜라겐 생성이 주 목적이므로, 상대적으로 긴 전도시간을 요구하지만, 본 발명은 그보다 짧은 전도 시간만으로도 동작된다. 물론, 이는 단지 전도 시간만으로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고, 전압, 전력, 점막 내 임피던스 등의 다른 조건들도 모두 상응할 때 구현할 수 있는 것으로, 복합적인 조건들의 조절이 필요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혈관으로의 높은 전도도로 인해 점막 내 다른 조직이 열응고되기 전에 혈관이 먼저 열응고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혈관에 선택적인 응고가 일어나는 짧은 전도 시간은 주로 50msec 이내를 의미하며, 더 넓게는 100msec 이내이고, 더 넓게는 300msec이내가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혈관 이외의 점막 조직에 과도한 열 반응이 일어나는 것을 막고 혈관에의 열 반응을 집중시키기 위해, 일정 시간의 휴지기(delay time)를 두고 1회 이상 반복적인 전도 시간을 갖는 전기 신호인 복수의 펄스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휴지기를 두고 반복적인 전기적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인가 전압을 상대적으로 높일 수 있게 됨으로써 전도 시간을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할 수 있게 됨에 따라 혈관 이외의 주변 조직에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반복되는 1회의 전도시간은 장치의 여러 조건들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매 회의 전도시간의 길이가 같을 수도 있고, 각각 다를 수도 있다. 또한 휴지기의 시간의 길이도 매 회 다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휴지기가 너무 짧은 경우(예를 들어, 0.1 msec 미만인 경우)에는 원인 혈관 이외의 조직에도 열손상이 발생하게 되고, 너무 긴 경우에는(예를 들어, 500 msec 초과인 경우) 원인 혈관에 인가되는 신호의 연속성에 영향을 줌에 따라 원인 혈관에서의 열 반응이 충분하게 이루어지지 못한다. 이와 반대로, 전도 시간(전기 신호 인가 시간)이 너무 긴 경우(예를 들어, 450 msec 초과인 경우)에는 혈관 이외의 조직에 과도한 열 반응을 일으킬 수 있고, 너무 짧은 경우(예를 들어, 1 msec 미만인 경우)는 혈관에서의 열반응이 충분하게 이루어지지 못한다.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전극에 인가되는 전기 신호가 도 16에서와 같은 펄스 신호이되, 교류 펄스 신호인 것이 직류 펄스 신호인 것보다 열 반응을 일으키기에 더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치료 장치를 통해 혈관의 혈관세포에 적정한 손상을 가하는 기술적 원리는 다음과 같다.
즉, 원인 혈관 내부의 혈액의 대부분은 물로 구성되어 있고, 전도율(conductivity)이 높아 전기장 내의 전기적 신호를 다른 점막 내 조직보다 가장 먼저 강력히 끌어당기고, 혈관 벽과 혈액 사이의 임피던스 차이가 심하고, 혈관 벽의 유전율(permittivity)이 높아, 혈관 벽에 집중된 전하의 진동에 의한 열 반응을 일으키는 원리이다. 참고로, 물 분자와 이온 물질들은 전자기파 형태의 전기적 신호에 의해 진동을 일으키며, 진동에 의한 마찰에 의해 열을 발생시킨다.
이때, 혈관의 안쪽 경계와 맞닿는 부위의 혈액을 통해 전기적 신호가 빠져나가는 현상에 의해 혈관 벽 안쪽은 열 반응이 덜 일어나게 되며, 흐르는 혈액에 의해 열이 분산되어 혈관 벽 내층은 열 반응이 덜하고, 혈관 벽 외층에 열이 집중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치료 장치는 원인 혈관 조직 이외의 주변 점막 조직에는 손상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혈관벽에 열을 일으키는 것이 가능한 치료 장치이다.
탐침부재(100)는 시술자의 조작에 의해 점막에 선택적으로 접근 가능하게 마련된다. 일 예로, 탐침부재(100)는 시술자의 조작에 의해 신체 내부로 진입 가능하게 마련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탐침부재(100)는 로드부(110)와, 로드부(110)보다 확장된 크기를 갖도록 로드부(110)의 단부에 형성되는 헤드부(120)를 포함한다.
로드부(110)는 소정 길이를 갖는 봉 형태로 형성된다. 일 예로, 로드부(110)로서는 원형 단면을 갖는 직선 형태의 원형 봉이 사용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로드부가 타원형 또는 다각형 단면 형태를 갖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르게는, 로드부를 절곡된 형태로 형성하거나, 2개 이상의 부재를 조합하여 로드부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로드부(110)는 시술자가 용이하게 파지 및 조작할 수 있는 충분한 길이 및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로드부(110)의 길이 및 두께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헤드부(120)는 로드부(110)보다 확장된 크기를 갖도록 로드부(110)의 단부에 형성되며, 질 내부에 진입되어 점막에 접촉된다.
헤드부(120)의 형상 및 구조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헤드부(120)가 신체 내부에 삽입될 시 점막의 상처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헤드부(120)의 외표면은 곡면 형태로 형성된다.
일 예로, 헤드부(120)는 타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헤드부(120)를 신체 입구와 유사한 타원 형태로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신체 내부를 향한 헤드부(120)의 진입이 보다 수월하게 행해질 수 있으며, 헤드부(120)가 신체 내부에 진입될 시 환자에게 가해지는 압박감을 줄여주어 보다 안락한 환경에서 점막 치료를 가능하게 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헤드부를 구 형태로 형성하거나, 중앙부가 오목한 절구 형태 또는 여타 다른 기하학적 형태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 예로, 한국 여성의 평균적인 질 크기(직경)는 대략 35 mm 내외이며 다른 조직에 비해 상대적으로 이완이 잘 되는 조직이므로, 헤드부(120)의 폭(두께)은 질 크기를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으나, 질 내벽에 밀착이 용이하도록 30~60mm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 질 치료시 헤드부(120)의 폭은 시술대상자의 거부감이 적고 시술자의 핸들링에 최적화되도록 35~45mm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탐침부재(100)에는 시술자가 탐침부재(100)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그립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그립부는 탐침부재(100)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그립부의 장착 위치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아울러, 탐침부재(100)는 환자의 위생을 고려하여 1회용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탐침부재(100)의 반복적인 사용을 강제하기 위한 수단(예를 들어, 개봉 방지 태그, 소프트웨어, RFID, 센서 또는 스티커 등), 장치(예를 들어, 시각적 경보 장치 또는 청각정 경보 장치)가 함께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경우에 따라서는 살균 또는 멸균 처리 공정을 통해 탐침부재를 재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극(200)은 점막(예를 들어, 질 점막)에 직접 접촉되며 전기 신호를 인가하도록 헤드부(120)에 구비된다.
여기서, 전극(200)이 점막에 접촉되며 전기 신호를 인가한다 함은, 점막의 질환 또는 이상 증세를 호전시키기 위해 점막하 조직의 혈관에 전기 신호를 인가하는 것으로 정의되며, 전기 신호의 종류 및 특성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전극(200)은 질 점막에 무선주파수(RF) 에너지를 인가하도록 구성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전극이 극초단파 또는 초음파 같은 다른 유형의 에너지를 인가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전극(200)으로서는 통상의 모노폴라 전극(200) 또는 바이폴라 전극(200)이 사용될 수 있으며, 전극(200)의 종류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전극(200)은 모노폴라 전극 또는 바이폴라 전극일 수 있으며, 전극을 둘로 쪼개어 가운데 절연체를 둠으로써 한 쌍의 전극이 형성되거나, 수박 쪼개기와 같이 둘 이상의 복수개로 쪼개어 그 사이 사이에 절연체를 둠으로써 여러 쌍의 전극이 형성되도록 하여, 하나의 전극은 (+) 전극으로 동작하고 이웃하는 전극은 (-) 전극으로 하여 양극성을 띠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전극(200)으로부터 인가되는 전기 신호는 교류 전기 신호일 수 있다. 교류 전기 신호는 치료 조직 내 혈관에 열응고 반응을 효과적으로 유발하는 특성을 갖는다.
다르게는, 전극으로부터 인가되는 전기 신호가 직류 전기 신호일 수 있다. 직류 전기 신호는 치료 조직 내에 약물 등의 물질을 전달하는 것을 돕거나, 조직을 파괴하는 특성을 갖는다.
바람직하게, 전극(200)으로부터 인가되는 전기 신호는 0.3 ~ 300Mhz의 주파수를 갖는다. 더욱 바람직하게, 전극(200)으로부터 인가되는 전기 신호는 0.5 ~ 10 Mhz의 주파수를 갖는다. 가장 바람직하게, 전극(200)으로부터 인가되는 전기 신호는 0.5 ~ 3 Mhz의 주파수를 갖는다. 이와 같이, 전극(200)으로부터 인가되는 전기 신호가 0.3 ~ 300Mhz의 주파수를 갖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원인 또는 악화 요인이 되는 점막하 조직의 혈관에 적절한 열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대부분 신생 혈관(미성숙 혈관)으로서, 혈관벽을 구성하는 세포간의 결합이 일반 정상 혈관에 비해 느슨한 상태에 있으며 그 두께가 정상 혈관에 비하여 가늘고 혈관벽의 세포 구조가 연약하여 정상 혈관과는 달리, 상대적으로 더 약한 전기적 자극에 의해서도 쉽게 파괴되는 성향을 갖고 있다.
이때, 전극(200)으로부터 인가되는 전기 신호 에너지의 총량은 치료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미리 설정된 값으로 전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치료 조직(예를 들어, 질 점막의 상피 조직 또는 점막하조직)의 온도 또는 임피던스 값을 피드백 받는 제어 장치를 통해, 치료 조직에 전도되는 전기신호의 강도를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미리 설정된 전기신호 에너지 총량의 전도를 달성할 수 있다. 일 예로, 전기신호 에너지 총량은 줄(joule) 값으로 설정되거나, 전도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참고로, 치료 조직의 온도 또는 임피던스 값은, 전극(200)에 연결되는 온도 센싱 라인(또는 임피던스 센싱 라인)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전극(200)의 온도 센싱은 전극(200)의 제1지점에서 행해질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전극의 온도 측정 정확도를 높일 수 있도록 전극의 서로 다른 지점에서 각각 전극의 온도를 센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치료 조직의 임피던스 센싱은 전극(200)의 온도 센싱 지점과 별도의 지점에 별도의 라인을 연결하여 행해지거나, 온도 센싱 라인 또는 전기신호 전도 라인을 공통으로 이용하여 행해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치료 조직의 임피던스 센싱은 전극(200) 상에서 단 하나의 지점 또는 복수개의 지점에서 행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임피던스 센싱으로 측정된 임피던스 값은 장치의 안정적인 작동을 위해 특정 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설정된다. 즉, 치료 대상 조직의 임피던스 값이 과도하게 낮은 경우에는 과도한 전류가 흘러 위험할 수 있고, 반대로 치료 대상 조직의 임피던스 값이 과도하게 높은 경우에는 전기 신호를 인가하기 위해 매우 높은 전압이 필요하게 되므로, 임의의 조직에 사용하기 적당한 임피던스 값의 설정이 필요하다. 예들 들어, 피부 및 피부와 연결된 점막 조직의 경우, 10~300Ω로 설정된 임피던스 설정 범위에서 전기 신호가 인가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점막하 조직의 혈관 치료 장치(10)는, 치료 조직의 화상 등의 부작용을 방지하기 위하여, 시술자가 미리 설정한 한계 조직 온도를 넘지않는 조건으로 전기 신호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환자가 위험을 느끼면 장치의 작동을 중단시킬 수 있는 응급 스위치 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응급 스위치에 의해 장치의 작동이 중단된 후, 온도 피드백 장치를 통해 측정된 조직의 온도가 특정 온도 이하로 내려간 경우에는 다시 장치가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치료 조직의 목표 온도는 42℃~45℃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전극(200)에서 측정되는 온도와 치료 조직에서 측정되는 실제 온도는 다를 수 있으며, 전극(200)의 온도가 치료 조직의 온도보다 3℃~5℃ 더 높을 수 있다. 또한, 치료 조직의 표면(예를 들어, 상피) 온도는 심부(예를 들어, 점막하조직)의 온도와 다를 수 있으므로, 치료 조직의 목표 온도는 심부의 온도가 42℃~45℃인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전극(200)의 형상 및 크기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전극(200)은 헤드부(120)의 외표면에 돌출된 판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전극(200)의 외표면은 구형의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도 3 및 도 9와 같이, 전극(200)의 외표면은 구형의 곡면으로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곡면의 중앙점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고르게 전기 신호가 방출되어 더 넓은 부위에 전기장을 형성시킬 수 있으며, 전극(200)과 점막의 접촉에 따른 점막의 상처를 최소화하고, 전극(200)과 점막의 접촉 효율(빈틈없이 충분하게 접촉되는 효율)을 보다 높이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전극을 헤드부의 외표면에 오목하게 함몰된 형태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극이 오목한 형태로 형성된 구조에서는, 전극의 외표면에 점막을 흡착시키기 위한 진공압이 전극의 외표면과 점막의 사이에 인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전극(200)은 헤드부(120)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며, 헤드부(120)의 외표면 일부를 부분적으로 덮도록 장착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헤드부(120)에 단 하나의 전극(200)이 마련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헤드부에 복수개의 전극을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극(200)은 전기전도성이 우수하고 열 전도성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극(200)의 재질은 요구되는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전극(200)은 스테인레스, 구리, 알루미늄, 금, 은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2를 참조하면, 전극(200)의 외표면에는 전극(200)으로부터 점막으로의 열전도를 억제하는 코팅층(21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전극(200)과 점막의 직접적인 접촉으로 인한 점막 표면의 급격한 온도 상승을 방지하고, 점막 표면의 온도 상승으로 인한 환자의 통증을 저감시키기 위함이다.
즉, 전극(200)이 점막에 직접 접촉되면, 점막하조직의 온도가 목표 온도까지 도달하지 못하였는데도 불구하고 환자는 점막 표면의 온도 상승으로 인한 통증을 느낄 수 있게 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전극(200)과 점막의 표면의 사이에 코팅층(210)을 마련하는 것에 의하여, 점막 표면에서의 급격한 온도 상승을 방지하면서, 점막하조직의 온도를 목표 온도까지 도달시킬 수 있으므로, 점막 치료시 환자의 통증을 최소화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더욱이, 환자의 통증을 최소화하면서 치료 시간을 보다 늘릴 수 있으므로, 치료 효과를 보다 높이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코팅층(210)으로서는 열전도율이 낮으며 전기 신호 인가가 가능한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코팅층(210)의 재질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코팅층(210)은 실리콘(Silicone), 폴리우레탄(Polyurethane), 종이(paper), 나일론(Nylone) 등의 물질 중 하나 또는 복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코팅층(210)은 전극(200)으로부터 인가되는 전기 신호가 투과 가능한 매우 얇은 두께(예를 들어, 0.1~5㎜)로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전극(200)의 형상과 관련하여, 치료 조직의 심부로 전도되는 전기 신호에 의해 일어나는 열반응의 최대 깊이는 통상적으로 전극(200)의 최대 길이의 1/2에 해당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전극(200)의 어느 부분이 치료 부위에 접촉하더라도 균일한 치료 효과가 나타날 수 있도록, 전극(200)은 가로 길이와 세로 길이가 동일한 사각형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모서리에 열 반응이 집중되는 에지 효과(edge effect)를 방지할 수 있도록, 전극(200)의 모서리는 라운드(둥근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극(200)의 크기는 치료 조직의 형태와 목표 치료 깊이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전극(200)의 가로와 세로의 길이를 동일하게 하여 전극(200)과 인체 접촉면의 면적을 최대한 넓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전극(200)의 가로와 세로의 길이를 동일하게 형성하면, 전극(200) 표면의 저항값을 최소로 줄여 치료 조직 표면의 온도 상승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화상 등의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치료 조직의 혈관에서 열 반응을 최대화할 수 있다.
일 예로, 점막하 조직의 혈관 치료 장치(10)가 질 점막하 조직의 혈관 치료를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 전극(200)의 가로 길이 또는 세로 길이는 15~20mm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극(200)의 가로 및 세로 길이를 15~20mm로 형성하면, 질점막 표면으로부터 질점막하 조직 심부층까지의 두께가 7-10mm이므로, 혈관에 작용하는 열 반응 영역을 점막하 조직 전체에 고르게 형성할 수 있으며, 전극의 크기가 너무 과대하지않아 전극(200)에 부착되는 온도센싱라인(Thermo coupler)이 전극(200) 전체의 온도를 고르게 반영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전극(200)의 가로 길이 또는 세로 길이는 16~18mm 일 수 있다.
전극(200)의 두께는 0.1~0.5mm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전극(200)의 두께가 0.5mm보다 두꺼우면, 치료 조직의 온도와 전극(200)의 온도 간의 차이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고, 온도 센싱 라인이 전극(200)에 부착되는 부위와 온도 센싱 라인과 멀리 떨어진 부위 간의 온도 차이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극(200)의 두께가 0.1mm보다 얇으면 점막 치료 시술시 치료 조직에 의해 전극(200)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하여 전극(200)이 변형될 가능성이 있으며, 치료 안전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전극(200)의 두께는 0.1~0.5 mm가 적당하며, 바람직하게는 0.2~0.4 mm 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전극의 가로와 세로의 길이가 서로 다른 길쭉한 형태일 수 있으며, 이 경우에도 전극은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 모두 구형의 곡면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르게는, 도 13을 참조하면, 전극(200)은, 탐침부재(100)에 밀착되는 전극패드(202)와, 전극패드(202)의 외표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전극돌기(204)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극패드(202)의 외표면에 전극돌기(204)를 돌출되게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전극돌기(204)에 집중적으로 전기 신호를 인가시킬 수 있으므로, 치료 조직을 프렉셔널하게 국소 부위만 집중적으로 치료하여 회복기간을 짧게 하고, 화상 등 부작용을 줄여주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전극돌기(204)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구 형태 또는 뾰족한 단면 형태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극돌기(204)의 형태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탐침부재(100)에는 커넥터를 통해 전기신호 발생장치(미도시)가 연결되며, 전기신호 발생장치가 마련된 본체부(미도시)에는 전원 공급을 안정화하는 파워서플라이, 및 온도, 임피던스, 전기신호 강도를 제어하는 중앙제어장치(CPU) 등이 구비된다.
또한, 본체부에는 온도 센싱 장치, 임피던스 센싱 장치, 이들 측정값을 변환하는 연산장치 또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 마련된다.
이 밖에도 본체부에는 목표 치료 온도, 목표 치료 시간 또는 목표 전기신호 에너지를 시술자가 미리 설정하는 유저 인터페이스가 마련된다. 유저 인터페이스는 실시간으로 전극(200) 온도 또는 치료 조직 온도를 표시하거나, 치료 조직의 임피던스를 표시할 수 있다. 이는 시술자가 각각의 치료 조직의 임피던스 값에 따라 치료 에너지를 가늠할 수 있는 진단 기능을 돕는다. 예를 들면, 치료 부위 조직의 임피던스가 낮은 경우는 높은 전기신호 출력으로 짧은 시간 동안 치료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치료 조직 임피던스가 높은 경우는 낮은 전기신호 출력으로 긴 시간 동안 치료하는 것이 치료 표면의 화상을 예방하면서 효과적인 치료를 하는 데 유리하다.
가이드부재(300)는 치료부위 점막에 대한 전극(200)의 위치를 안내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치료부위 점막에 대한 전극(200)의 위치를 안내한다 함은, 점막에 대해 전극(200)이 어느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시술자에게 인지 또는 특정시키는 것으로 정의된다.
이는, 점막하 조직의 혈관 처치 시술의 안전성을 보장하고, 시술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즉, 기존에는 신체 내부에 삽입된 전극(200)의 위치를 시술자가 정확하게 인지하기 어려워, 점막 전체 부위를 균일하게 치료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시술 특성상 시술자의 경험 및 역량에 크게 의존하기 때문에 객관적인 치료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질 점막하 치료장치를 예로 들면, 질 내부에 삽입된 전극(200)의 위치를 정확하게 제어하지 못하면 질 점막에 인접한 주변 신경이나 조직에서 열 화상 또는 조직 협착 등의 부작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생길 수 있다. 특히, 질의 원주 방향을 따라 요도가 위치하는 12시 방향을 기준으로 11시 방향과 1시 방향 사이에서 질 점막에 큰 심부열이 가해지면, 요도 협착과 같이 돌이킬 수 없는 부작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가이드부재(300)를 매개로 점막에 대한 전극(200)의 위치를 안내받아 전극(200)의 위치를 제어하는 것에 의하여, 치료 대상 점막의 주변 신경이나 조직의 손상 및 부작용을 최소화하면서, 치료 효과를 극대화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전극(200)의 위치를 정확하게 인지하고 점막 처리 시술이 행해지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시술자의 경험 및 역량에 크게 구애받지 않고 객관적이며 전문적인 치료를 가능하게 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일 예로, 가이드부재(300)는 점막에 대해 위치 고정되고, 탐침부재(100)는 가이드부재(300)에 선택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수용된다.
이와 같이, 점막에 대해 가이드부재(300)의 위치를 고정시키고, 가이드부재(300)에 대해 탐침부재(100)가 회전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탐침부재(100)에 장착된 전극(200)이 질 내부에 삽입되어 가려지더라도, 시술자는 가이드부재(300)를 기준으로 전극(200)의 위치를 인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가이드부재(300)에는 기준위치 표시부(302)가 형성되고, 기준위치 표시부(302)를 기준으로 점막에 대한 전극(200)의 회전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기준위치 표시부(302)는 가이드부재(300)의 외표면에 돌기 형태 또는 함몰된 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기준위치 표시부가 라인 형태 또는 도트 형태 등으로 마킹되거나 도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기준위치 표시부(302)가 함몰된 홈 형태로 단 하나가 형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다르게는 가이드부재에 복수개의 기준위치 표시부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 예로, 기준위치 표시부(302)와 전극(200)이 모두 12시 방향(12:00)에 위치하도록 가이드부재(300)와 탐침부재(100)를 배치하고, 질 외부에 가이드부재(300)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탐침부재(100)에 장착된 전극(200)을 질 내부에 삽입하면, 시술자는 기준위치 표시부(302)를 기준으로 전극(200)이 질 점막의 어느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부재(300)는, 탐침부재(100)가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는 제1수용홀(312)이 형성된 가이드 몸체부(310)와, 제1수용홀(312)과 연통되며 탐침부재(100)가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는 제2수용홀(322)이 형성되며 가이드 몸체부(310)에 일체로 확장 형성되는 확장가이드부(320)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확장가이드부(320)는 가이드 몸체부(310)에 인접한 근단(proximal end)에서 선단(distal end)으로 갈수록 확장된 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된다. 가령, 확장가이드부(320)는 나팔 형태와 같이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확장된 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때, 확장가이드부(320)는 원형이거나, 다각형 또는 타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확장가이드부(320)의 형태 및 구조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 확장가이드부(320)는 질 입구의 외부에서 고정 가능한 사이즈(질 입구의 외부에서 걸려질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가이드부재(300)는 점막에 대한 전극(200)의 위치를 시술자에서 인지시킴과 아울러, 전극(200)이 치료하고자 하는 목표 조직에 정확히 위치하고, 치료 중 전극(200)의 위치가 움직이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한다.
또한, 탐침부재(100)는 가이드부재(300)에 삽입된 상태에서 가이드부재(300)에 대해 회전함과 동시에, 가이드부재(300)의 축선 방향(제1수용홀(312)이 형성된 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질 내부의 원주 방향을 따른 전극(200)의 이동(회전)과 질 내부의 길이 방향을 따른 전극(200)의 이동(직선 이동)이 허용된다.
바람직하게, 점막하 조직의 혈관 치료 장치(10)는, 가이드부재(300)에 대한 탐침부재(100)의 회전 및 직선 이동을 가이드하는 이동가이드부(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가이드부재(300)에 대한 탐침부재(100)의 직선 이동을 가이드한다 함은, 가이드부재(300)에 대해 탐침부재(100)가 직선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중에, 직선 이동 경로를 벗어나는 탐침부재(100)의 이동을 억제하고, 탐침부재(100)가 직선 이동 경로를 따라서만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또한, 가이드부재(300)에 대한 탐침부재(100)의 회전을 가이드한다 함은, 가이드부재(300)에 대한 탐침부재(100)의 회전 중심이 어긋나는 것을 억제하고, 탐침부재(100)의 회전 중심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것으로 정의된다.
이동가이드부(400)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가이드부재(300)에 대한 탐침부재(100)의 회전 및 직선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이동가이드부(400)는, 탐침부재(100)에 형성되는 가이드홈(130)과, 가이드홈(130)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부재(300)에 형성되는 가이드돌기(330)를 포함한다.
가이드돌기(330)가 가이드홈(130)에 수용된 상태에서는 가이드돌기(330)가 가이드홈(130)의 외측으로 이동하는 것이 억제되므로, 가이드부재(300)에 대한 탐침부재(100)의 회전 및 직선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탐침부재(100)에는 가이드홈(130)과 연통되게 진입홈(136)이 형성될 수 있으며, 가이드돌기(330)는 진입홈(136)을 거쳐 가이드홈(130)으로 진입된다. 일 예로, 진입홈(136)은 탐침부재(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진입홈을 곡선 형태로 형성하거나, 탐침부재의 길이 방향에 대해 경사진 형태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이드홈(130)은, 탐침부재(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탐침부재(100)의 외표면에 형성되는 직선 가이드홈(132)과, 직선 가이드홈(132)과 연통되며 탐침부재(100)의 둘레 방향을 따라 탐침부재(100)의 외표면에 형성되는 회전 가이드홈(134)을 포함한다.
가이드돌기(330)가 직선 가이드홈(132)을 따라 이동하는 중에는 가이드부재(300)에 대한 탐침부재(100)의 직선 이동이 가이드되고, 가이드돌기(330)가 회전 가이드홈(134)을 따라 이동하는 중에는 가이드부재(300)에 대한 탐침부재(100)의 회전이 가이드된다.
바람직하게, 회전 가이드홈(134)은 탐침부재(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복수개가 구비되고, 각 회전 가이드홈(134)은 직선 가이드홈(132)과 연통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회전 가이드홈(134)은 탐침부재(100)의 길이 방향을 따른 전극(200)의 길이(도 3의 L1)를 이격 피치(도 11의 P2)로 하여 이격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탐침부재(100)의 길이 방향을 따른 전극(200)의 길이(도 3의 L1)를 이격 간격(도 11의 P2)으로 하여 회전 가이드홈(134)을 이격되게 형성하고, 가이드돌기(330)가 각 회전 가이드홈(134)을 단계적으로 거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도 11과 같이, 점막의 길이 방향을 따른 치료(예를 들어, H1→H1' 또는 H2→H2')가 중복되거나 누락되는 부위 없이 균일하게 행해지도록 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때, 각 회전 가이드홈(134)을 거치는 가이드돌기(330)의 직선 이동 경로(MZ,ML)는 지그재그 형태로 구성되거나, 연속적인 직선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일 예로, 도 3을 참조하면, 직선 가이드홈(132)은, 복수개의 회전 가이드홈(134) 중 서로 인접한 어느 한쌍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1구간 가이드홈(132a)과, 복수개의 회전 가이드홈(134) 중 서로 인접한 다른 한쌍의 사이에 형성되며 탐침부재(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1구간 가이드홈(132a)과 서로 다른 선상에 배치되는 제2구간 가이드홈(132b)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직선 가이드홈(132)을 구성하는 제1구간 가이드홈(132a)과 제2구간 가이드홈(132b)이 서로 다른 선상에 배치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가이드돌기(330)는 제1구간 가이드홈(132a)을 따라 이동한 후 곧바로 제2구간 가이드홈(132b)에 진입될 수 없고, 회전 가이드홈(134)을 거친 이후에야 제2구간 가이드홈(132b)에 진입될 수 있다. 즉, 가이드돌기(330)는 제1구간 가이드홈(132a)→회전 가이드홈(134)→제2구간 가이드홈(132b)을 거치는 지그재그 이동 경로를 따라서 이동하게 된다.
시술자의 부주의 또는 경험 부족 등에 의해 가이드부재(300)에 대한 탐침부재(100)의 직선 이동이 과도하게 행해지면, 전극(200)에 의한 치료 효율이 저하되고, 환자에게 데미지를 주는 문제점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가이드부재(300)에 대한 탐침부재(100)의 직선 이동이 각 회전 가이드홈(134) 간의 이격 간격만큼 단계적으로 행해지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치료 효율을 높이고 치료의 안전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도 7을 참조하면, 직선 가이드홈(132)은, 복수개의 회전 가이드홈(134) 중 서로 인접한 어느 한쌍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1구간 가이드홈(132a')과, 복수개의 회전 가이드홈(134) 중 서로 인접한 다른 한쌍의 사이에 형성되며 탐침부재(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1구간 가이드홈(132a')과 동일 선상에 배치되는 제2구간 가이드홈(132b')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직선 가이드홈(132)을 구성하는 제1구간 가이드홈(132a')과 제2구간 가이드홈(132b')이 서로 동일 선상에 배치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가이드돌기(330)는 제1구간 가이드홈(132a')을 따라 이동한 후 제2구간 가이드홈(132b')에 곧바로 진입될 수 있다. 즉, 가이드돌기(330)는 제1구간 가이드홈(132a')→제2구간 가이드홈(132b')을 거치는 직선 이동 경로를 따라서 이동하게 된다.
환자의 상태에 따라서 점막의 특정 부위(예를 들어, 상처 부위)에는 전극(200)에 의한 치료가 행해지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가이드부재(300)에 대한 탐침부재(100)의 직선 이동이 제1구간 가이드홈(132a')과 제2구간 가이드홈(132b')에서 연속적으로 행해지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치료가 불필요한 부위에서 전극(200)을 보다 신속하게 통과시킬 수 있으므로, 치료 시간을 단축하고 치료 효율을 높이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가이드홈(130)에는 가이드돌기(330)가 수용되며 일시적으로 구속되는 구속홈(138)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가이드홈은 가이드돌기(330)가 선택적으로 수용 또는 인출 가능한 반구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돌기(330)가 구속홈(138)에 수용된 상태에서 탐침부재(100)에 외력(시술자의 조작력)이 가해지지 않고서는 가이드돌기(330)의 배치 상태가 구속된다. 반면, 가이드돌기(330)가 구속홈(138)에 수용된 상태에서 탐침부재(100)에 외력이 가해지면 가이드돌기(330)가 구속홈(138)으로부터 빠져나오게 된다.
이와 같이, 가이드홈에 구속홈(138)을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탐침부재(100)의 조작시 시술자에게 조작감을 느끼게 할 수 있으며, 점막에 대한 전극(200)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인지(예를 들어, 기준위치 표시부(302)를 기준으로 전극(200)의 위치를 인지)함과 아울러 촉각적(가이드돌기(330)가 구속홈(138)에 수용 또는 인출될 시 느껴지는 소리 및 충격)으로 인지할 수 있게 한다.
일 예로, 구속홈(138)은 탐침부재(10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회전 가이드홈(134)에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구속홈(138)은 탐침부재(100)의 원주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구속홈(138)은 탐침부재(100)의 원주 방향을 따른 전극(200)의 길이(도 3의 L2)를 이격 피치(도 11의 P1)로 하여 이격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탐침부재(100)의 원주 방향을 따른 전극(200)의 길이(L2)를 이격 피치(P1)로 하여 회전 가이드홈(134)에 복수개의 구속홈(138)을 형성하고, 가이드돌기(330)가 각 구속홈(138)을 단계적으로 거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도 11과 같이, 질 점막의 원주 방향을 따른 치료(예를 들어, H1→H2→H3→H4)가 중복되거나 누락되는 부위 없이 균일하게 행해지도록 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구속홈을 통해 감지되는 조작감을 이용하여 특정 부위의 치료를 의도적으로 중복시키거나 누락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일 예로, 회전 가이드홈(134)의 원주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되게 복수개의 구속홈(138)을 형성하고, 탐침부재(100)를 회전 조작하면, 시술자는 가이드돌기(330)가 구속홈(138)을 지나칠 때마다 발생되는 조작감에 의해 전극(200)이 질 점막의 내부에서 대해 얼마만큼 회전하였는지를 알 수 있다. 가령, 복수개의 구속홈(138)은 회전 가이드홈(134)의 원주 방향을 따라 60°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탐침부재(100)의 회전 조작에 의해 가이드돌기(330)가 구속홈(138)을 한번 지나칠 때마다 발생되는 조작감에 의해 전극(200)이 질 점막의 내부에서 60°만큼 회전하였는지를 알 수 있다.
한편,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가이드부재(300)에는 가이드돌기(330)의 주변에 절개부가 형성되고, 가이드돌기(330)는 절개부에 의해 일단에 고정단을 가지며 타단에 자유단을 갖는 캔틸레버(cantilever) 구조로 가이드부재(300)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절개부는 가이드돌기(330)를 사이에 두고, 가이드돌기(330)의 양측에 탐침부재(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절개부를 여타 다른 방향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가이드돌기(330)의 주변에 절개부를 형성하고, 절개부를 매개로 가이드돌기(330)가 가이드부재(300)에 대해 캔틸레버 구조로 탄성적으로 유동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가이드홈에서 가이드돌기(330)의 원활한 이동을 보장하고, 구속홈(138)에 대한 가이드돌기(330)의 구속 및 해제가 보다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탐침부재(100)에는 가이드부재(300)에 대한 탐침부재(100)의 위치를 표시하는 위치표시부(140)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부재(300)에 대한 탐침부재(100)의 위치라 함은, 가이드부재(300)에 대한 탐침부재(100)의 회전 위치와 직선 이동 위치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일 예로, 위치표시부(140)는 탐침부재(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탐침부재(100)의 외표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위치표시부(140)의 위치를 기준으로 점막에 대한 전극(200)의 회전 위치 및 직선 이동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가령, 가이드부재(300)에 형성된 기준위치 표시부(302)와 위치표시부(140)를 비교하여 전극(200)의 회전 위치를 알 수 있다.
위치표시부(140)는 탐침부재(100)의 외표면에 도트 형태 또는 라인 형태 등으로 마킹되거나 도색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위치표시부가 탐침부재의 외표면에 돌기 형태 또는 함몰된 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헤드부(120)의 내부에는 중량체(150)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중량체(150)라 함은 탐침부재(100)에서 헤드부(120)의 중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헤드부(120)에 내장되는 무게추의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탐침부재(100)에서 헤드부(120)의 중량을 가장 크게 하는 것에 의하여, 헤드부(120)를 신체 내부에 삽입한 상태에서 탐침부재(100)의 배치 안정성을 높이고, 탐침부재(100)의 조작을 보다 용이하게 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반대로, 탐침부재(100)에서 헤드부(120)의 중량이 가장 작으면 헤드부(120)가 신체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쉽게 신체 외부로 이탈될 수 있고, 조작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점막하 조직의 혈관 치료 장치(10)는, 전극(200)이 미리 결정된 점막의 비타겟 부위에 위치하면 전극(200)으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2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전극(200)으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한다 함은, 전극(200)으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거나, 감소시키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일 예로, 비타겟 부위가 요도(urethra)라는 가정하에, 제어부(230)는 전극(200)이 비타겟 부위에 위치하면 전극(200)으로의 전원 공급을 중단하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전극(200)이 요도 부위에 위치하면, 전극(200)으로의 전원 공급을 중단하거나 감소시키는 것에 의하여, 요도 부위에서 열 화상 또는 조직 협착을 방지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230)는 질의 원주 방향을 따라 요도가 위치하는 12시 방향(12:00)을 기준으로 11시 방향(11:00)과 1시 방향(13:00) 사이에 전극(200)이 위치하는 것으로 감지하면, 전극(200)으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12시 방향(12:00)에 위치해 있는 요도 근접부위를 제외하고, 질 점막하 조직의 혈관에 전기 신호에 의해 심부열을 가하여 혈관의 비정상적인 과증식을 정상화함으로써 질 조직의 수축성을 유지시키고 탄력을 개선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는 전극을 포함한 탐침부재의 회전, 전후 이동을 유저가 미리 설정한 대로 자동으로 동작되게 하는 모터 드라이브 모듈(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극이 탐침부재에 대해 자동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모터 드라이브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탐침부재 전체 표면에 복수개의 전극 모듈을 위치하고, 전기신호 전도를 각각의 모듈에 순차적으로 전도하여 탐침부재의 직접적인 이동없이 치료 대상 부위 전체를 고르게 치료하는 것도 더 포함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점막하 조직의 혈관 치료 장치가 요도 부위를 제외한 치료를 목적으로 사용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점막하 조직의 혈관 치료 장치를 이용하여 질점막 조직을 통한 요도 부위의 임의의 치료(예를 들어, 요실금 치료)를 목적으로, 요도 근접 부위인 11시 ~ 1시 방향을 집중적으로 치료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요도 부위의 치료시에는 전극에 의한 전기 신호가 적합한 강도로 조정되어 인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점막하 조직의 혈관 치료 장치 100 : 탐침부재
110 : 로드부 120 : 헤드부
130 : 가이드홈 132 : 직선 가이드홈
132a, 132a' : 제1구간 가이드홈 132b, 132b' : 제2구간 가이드홈
134 : 회전 가이드홈 136 : 진입홈
138 : 구속홈 140 : 위치표시부
150 : 중량체 200 : 전극
202 : 전극패드 204 : 전극돌기
210 : 코팅층 230 : 제어부
300 : 가이드부재 302 : 기준위치 표시부
310 : 가이드 몸체부 312 : 제1수용홀
320 : 확장가이드부 322 : 제2수용홀
330 : 가이드돌기 400 : 이동가이드부
500 : 모터 드라이브 모듈

Claims (29)

  1. 치료부위 점막에 접근 가능한 탐침부재와;
    상기 탐침부재에 구비되며, 상기 점막의 점막하 조직의 혈관에 전기 신호를 인가하는 전극과;
    상기 탐침부재가 선택적으로 회전 및 직선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며, 상기 치료부위 점막에 대한 상기 전극의 위치를 안내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에 대한 상기 탐침부재의 회전 및 직선 이동을 가이드하는 이동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막하 조직의 혈관을 치료하기 위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점막에 대해 위치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막하 조직의 혈관을 치료하기 위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에는 기준위치 표시부가 형성되고,
    상기 기준위치 표시부를 기준으로 상기 점막에 대한 상기 전극의 회전 위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막하 조직의 혈관을 치료하기 위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탐침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는 제1수용홀이 형성된 가이드 몸체부와;
    상기 제1수용홀과 연통되며 상기 탐침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는 제2수용홀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몸체부에 일체로 확장 형성되는 확장가이드부를;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점막하 조직의 혈관을 치료하기 위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가이드부는 상기 가이드 몸체부에 인접한 근단(proximal end)에서 선단(distal end)으로 갈수록 확장된 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막하 조직의 혈관을 치료하기 위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의 외표면은 구형의 곡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전기신호가 상기 곡면을 통해 방사형(radial shape)으로 방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막하 조직의 혈관을 치료하기 위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에 인가되는 전기 신호는 적어도 1회의 휴지기를 두고 반복해서 전도되는 펄스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막하 조직의 혈관을 치료하기 위한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가이드부는,
    상기 탐침부재에 형성되는 가이드홈과;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상기 가이드부재에 형성되는 가이드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막하 조직의 혈관을 치료하기 위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과 연통되게 상기 탐침부재에 형성되는 진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진입홈을 거쳐 상기 가이드홈으로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막하 조직의 혈관을 치료하기 위한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탐침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탐침부재의 외표면에 형성되는 직선 가이드홈과;
    상기 직선 가이드홈과 연통되며, 상기 탐침부재의 둘레 방향을 따라 상기 탐침부재의 외표면에 형성되는 회전 가이드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막하 조직의 혈관을 치료하기 위한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가이드홈은 상기 탐침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복수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막하 조직의 혈관을 치료하기 위한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 가이드홈은,
    상기 복수개의 회전 가이드홈 중 서로 인접한 어느 한쌍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1구간 가이드홈과;
    상기 복수개의 회전 가이드홈 중 서로 인접한 다른 한쌍의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탐침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제1구간 가이드홈과 서로 다른 선상에 배치되는 제2구간 가이드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막하 조직의 혈관을 치료하기 위한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 가이드홈은,
    상기 복수개의 회전 가이드홈 중 서로 인접한 어느 한쌍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1구간 가이드홈과;
    상기 복수개의 회전 가이드홈 중 서로 인접한 다른 한쌍의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탐침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제1구간 가이드홈과 동일 선상에 배치되는 제2구간 가이드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막하 조직의 혈관을 치료하기 위한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가이드홈은 상기 탐침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른 전극의 길이를 이격 피치로 하여 이격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막하 조직의 혈관을 치료하기 위한 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에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돌기가 수용되며 일시적으로 구속되는 구속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막하 조직의 혈관을 치료하기 위한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홈은 상기 탐침부재의 둘레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상기 회전 가이드홈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막하 조직의 혈관을 치료하기 위한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홈은 상기 탐침부재의 둘레 방향을 따른 전극의 길이를 이격 피치로 하여 이격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막하 조직의 혈관을 치료하기 위한 장치.
  18.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에는 상기 가이드돌기의 주변에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절개부에 의해 일단에 고정단을 가지며 타단에 자유단을 갖는 캔틸레버(cantilever) 구조로 상기 가이드부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막하 조직의 혈관을 치료하기 위한 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탐침부재에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재에 대한 상기 탐침부재의 위치를 표시하는 위치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막하 조직의 혈관을 치료하기 위한 장치.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탐침부재는,
    로드부와;
    상기 로드부보다 확장된 크기를 가지며, 상기 전극이 장착되는 헤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막하 조직의 혈관을 치료하기 위한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상기 헤드부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헤드부의 외표면 일부를 부분적으로 덮도록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막하 조직의 혈관을 치료하기 위한 장치.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의 내부에 구비되는 중량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막하 조직의 혈관을 치료하기 위한 장치.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상기 탐침부재에 밀착되는 전극패드와;
    상기 전극패드의 외표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전극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막하 조직의 혈관을 치료하기 위한 장치.
  24.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의 외표면에 형성되며, 상기 전극으로부터 상기 점막으로의 열전도를 억제하는 코팅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막하 조직의 혈관을 치료하기 위한 장치.
  25.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점막은 질(vagina) 점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막하 조직의 혈관을 치료하기 위한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이 미리 결정된 상기 질 점막의 비타겟 부위에 위치하면 상기 전극으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막하 조직의 혈관을 치료하기 위한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비타겟 부위는 요도(urethra)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극이 상기 비타겟 부위에 위치하면 상기 전극으로의 전원 공급을 중단하거나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막하 조직의 혈관을 치료하기 위한 장치.
  28.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점막은, 비점막(nasal mucosa), 구강점막(oral mucosa), 요도점막(prolapsed urethral mucosa), 질점막(vaginal mucosa), 귀두점막(glandular urethra mucosa), 항문점막(anal mucosa)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막하 조직의 혈관을 치료하기 위한 장치.
  29. 삭제
KR1020180018217A 2018-02-14 2018-02-14 전기 신호를 전도하여 점막하 조직을 치료하는 장치 KR1019244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8217A KR101924489B1 (ko) 2018-02-14 2018-02-14 전기 신호를 전도하여 점막하 조직을 치료하는 장치
CA3091223A CA3091223A1 (en) 2018-02-14 2018-12-20 Apparatus for treating submucosal tissue
CN201880089485.2A CN111712294B (zh) 2018-02-14 2018-12-20 用于治疗黏膜下层组织的设备
US16/969,614 US20210030464A1 (en) 2018-02-14 2018-12-20 Apparatus for treating submucosal tissue
JP2020543349A JP7050162B2 (ja) 2018-02-14 2018-12-20 粘膜下組織治療装置
EP18906219.3A EP3753603A4 (en) 2018-02-14 2018-12-20 SUBMUCOUS TREATMENT DEVICE
PCT/KR2018/016355 WO2019160235A1 (ko) 2018-02-14 2018-12-20 점막하 조직 치료 장치
IL276718A IL276718A (en) 2018-02-14 2020-08-13 A device for the treatment of submucosal tissu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8217A KR101924489B1 (ko) 2018-02-14 2018-02-14 전기 신호를 전도하여 점막하 조직을 치료하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4489B1 true KR101924489B1 (ko) 2018-12-03

Family

ID=64743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8217A KR101924489B1 (ko) 2018-02-14 2018-02-14 전기 신호를 전도하여 점막하 조직을 치료하는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10030464A1 (ko)
EP (1) EP3753603A4 (ko)
JP (1) JP7050162B2 (ko)
KR (1) KR101924489B1 (ko)
CN (1) CN111712294B (ko)
CA (1) CA3091223A1 (ko)
IL (1) IL276718A (ko)
WO (1) WO201916023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0236A (ko) * 2020-09-23 2022-03-30 (주)비올 동작 감지 센서가 구비된 점막하 조직의 치료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7592A (ko) 2020-10-23 2023-07-17 아이브스, 엘엘씨 여성 골반통을 치료하기 위한 질내 전기 자극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2153Y1 (ko) * 2002-01-11 2002-04-13 주식회사 바이오스마트 요실금 치료기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92528A (en) * 1994-06-24 2000-07-25 Edwards; Stuart D. Method to treat esophageal sphincters
US6091995A (en) * 1996-11-08 2000-07-18 Surx, Inc. Devices, methods, and systems for shrinking tissues
US7306591B2 (en) * 2000-10-02 2007-12-11 Novasys Medical,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treating female urinary incontinence
KR20010067637A (ko) * 2001-02-26 2001-07-13 박수용 요실금 치료기용 전극
AU2004206871B2 (en) 2003-01-16 2009-10-29 Ams Research Corporation Non-surgical incontinence treatment system and method
US7160294B2 (en) * 2003-09-02 2007-01-09 Curon Medica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treating hemorrhoids
US20120226271A1 (en) * 2005-03-25 2012-09-06 Peter Callas Vacuum Ablation Apparatus and Method
GB0523918D0 (en) * 2005-11-24 2006-01-04 Femeda Ltd Self contained device with treatment cycle for electrostimulation
GB0523916D0 (en) 2005-11-24 2006-01-04 Femeda Ltd Compressible electrodes
WO2007092610A2 (en) * 2006-02-07 2007-08-16 Tivamed, Inc. Vaginal remodeling device and methods
DK2029220T3 (da) 2006-05-23 2013-03-18 Publiekrechtelijke Rechtspersoon Academisch Ziekenhuis Leiden H O D N Leids Uni Medisch Ct Medicinsk sonde
US11590346B2 (en) * 2009-11-16 2023-02-28 Pollogen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osmetic treatment of human mucosal tissue
JP5549460B2 (ja) * 2010-07-26 2014-07-16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プローブ駆動装置及びプローブ
DE102011085616A1 (de) * 2011-11-02 2013-05-02 Celon Ag Medical Instruments Elektrochirurgische Sonde und Elektrochirurgievorrichtung
US9743978B2 (en) * 2011-12-13 2017-08-29 Minerva Surgica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endometrial ablation
CN105919666A (zh) * 2012-03-16 2016-09-07 女康乐公司 一种修复女性阴道组织的治疗器
US11234760B2 (en) * 2012-10-05 2022-02-01 Medtronic Advanced Energy Llc Electrosurgical device for cutting and removing tissue
US20180028267A1 (en) * 2015-02-04 2018-02-01 Rfemb Holdings, Llc Radio-frequency electrical membrane breakdown for the treatment of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US10105531B2 (en) * 2015-09-07 2018-10-23 Femeda Ltd. Device for electrostimulation
KR101772293B1 (ko) * 2015-12-16 2017-09-07 진석 프로브 내의 기체를 분리 수집하는 초음파 치료 장치
US10864035B2 (en) * 2016-03-04 2020-12-15 Aerin Medical, Inc. Eustachian tube modification
JP2021503359A (ja) 2017-11-17 2021-02-12 シェリー トーマス, 女性の尿失禁症及び便失禁症の治療方法及び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2153Y1 (ko) * 2002-01-11 2002-04-13 주식회사 바이오스마트 요실금 치료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0236A (ko) * 2020-09-23 2022-03-30 (주)비올 동작 감지 센서가 구비된 점막하 조직의 치료 장치
KR102500324B1 (ko) * 2020-09-23 2023-02-15 (주)비올 동작 감지 센서가 구비된 점막하 조직의 치료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030464A1 (en) 2021-02-04
CA3091223A1 (en) 2019-08-22
EP3753603A1 (en) 2020-12-23
CN111712294A (zh) 2020-09-25
IL276718A (en) 2020-09-30
JP7050162B2 (ja) 2022-04-07
EP3753603A4 (en) 2021-11-24
CN111712294B (zh) 2024-04-19
WO2019160235A1 (ko) 2019-08-22
JP2021514226A (ja) 2021-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59767B2 (en) Polyp removal device and method of use
US20150297908A1 (en) Methods and radiofrequency treatment probe for treating vaginal laxity
KR101924489B1 (ko) 전기 신호를 전도하여 점막하 조직을 치료하는 장치
US20180001103A9 (en) Radiofrequency treatment probe for treating vaginal laxity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KR101898918B1 (ko) 피부내 혈관의 치료 장치
JPS6321502B2 (ko)
US20190091097A1 (en) Light-emitting diode and massage device for delivering focused light for vaginal rejuvenation
US20100191238A1 (en) Bipolar electrosurgical instrument and method of using it
CN105636535B (zh) 双极凝结探针和勒除器
US20150038964A1 (en) Surgical instrument
KR102500324B1 (ko) 동작 감지 센서가 구비된 점막하 조직의 치료 장치
CN117881353A (zh) 电穿孔治疗
US20200315698A1 (en) Energy treatment instrument
EP4342520A1 (en) Plasma generation device for uterine cervix
CN111801138B (zh) 射精控制
KR200168369Y1 (ko) 고주파 치질치료기용 전극침
TWI624286B (zh) 皮膚內血管的治療裝置
KR200194329Y1 (ko) 내치핵 치료 장치
KR200187961Y1 (ko) 치핵 수술용 기구
JPS6331222B2 (ko)
JP2023537176A (ja) 繊維構造の低侵襲分割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0127424Y1 (ko) 치핵 수술용 기구
CN111801138A (zh) 射精控制
KR20010054076A (ko) 내치핵 치료 장치
WO2001000098A1 (en) A bipolar electro-coagulator for surgical 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