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4128B1 - Wall-mounted frame with water supply - Google Patents

Wall-mounted frame with water supp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4128B1
KR101924128B1 KR1020170064553A KR20170064553A KR101924128B1 KR 101924128 B1 KR101924128 B1 KR 101924128B1 KR 1020170064553 A KR1020170064553 A KR 1020170064553A KR 20170064553 A KR20170064553 A KR 20170064553A KR 101924128 B1 KR101924128 B1 KR 1019241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board
flowerpot
frame
water
faste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455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지재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알켐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알켐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알켐텍
Priority to KR10201700645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412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41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412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4Hanging flower pots and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7Channels or gutters, e.g. for hydroponic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6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6Natural ornaments; Imitations thereo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wall-mounting frame having a water supplying member. The wall-mounting frame includes: at least one fixture prepared on a display board; a flowerpot attached around the fixtures of the display board to be detachable; at least one fastener prepared on the rear part of the flowerpot to face the fixtures for the attaching and detaching of the flowerpot, and attached to and detached around the fixtures; a drain hole formed on the rear vertical part of the flowerpot so as to be located on the higher position than the bottom surface of the flowerpot; and a drain guide guiding the flow of water gather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lowerpot to the front side based on the condition where the flowerpot is attached to the display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ttachment and detachment of the flowerpot attached to the frame and the falling of water and cultivating soil can be controlled, and the natural beauty is expressed in three-dimensions by the reflection effect of the flowerpot on the frame.

Description

물 공급재가 형성된 벽걸이형 액자{Wall-mounted frame with water supply}[0001] Wall-mounted frame with water supply [0002]

본 발명은 물 공급재가 형성된 벽걸이형 액자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액자에 자연미를 입체형으로 형성하기 위하여 액자에 부착하는 화분의 탈부착과 물과 배양 토사의 흘러내림을 자체 구조로 제어하는 물 공급재가 형성된 벽걸이형 액자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ll-mounted frame formed with a water supply memb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ll-mounted frame having a water supply member for controlling attachment / detachment of pollen adhered to a frame and flow- Shaped frame made of ash.

화분은 주로 집안 관상용 또는 공기정화용으로 사용되는데, 보통 재배되는 식물에 따라 나뉜다. 화분은 집안의 바닥에 놓거나 화분 거치대 등을 구비하여 배치 해야 하므로 많은 공간을 필요로 하였다. 이에 따라 실내에서 식물을 키우기 위해 벽에 걸 수 있는 액자형 화분이 개발되었고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01-0000474호 및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388481호에 개시되어 있다.Pollen is mainly used for home ornamental or air purification purposes, usually according to the plant being grown. The pollen was placed on the floor of the house or had to be arranged with a flowerpot stand, etc., and thus a lot of space was required. Accordingly, a frame-type flowerpot that can be hung on a wall to grow plants indoors has been developed and disclosed in Korean Utility Model No. 20-2001-0000474 and Korean Utility Model No. 0388481.

액자 화분은 액자를 형성하고 화분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액자 프레임, 상기 액자 프레임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채우는 디스플레이 보드 및 상기 디스플레이 보드에 적어도 하나 이상 부착되는 화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보드는 색상이나 그림을 입히기 쉬운 목재나 합성수지제 패널이 사용되기도 하며, 상기 액자 프레임의 하부 부분은 물을 회수하거나 담수 하는 수조를 구비하기도 한다.The framed flower pot is composed of a framed frame that forms a frame and forms a space for display of pots, a display board that fills a space formed by the framed frame, and a flower pot attached to the display board. The display board may be made of wood or synthetic resin panels that are easy to color or paint, and a lower portion of the frame frame may have a water tank for collecting or draining water.

액자 화분은 화분을 디스플레이 보드에 조립하거나 부착하기가 구조적으로 어렵다. 디스플레이 보드가 평면이고 재질이 유리 등과 같은 경질인 경우 화분 부착이 더 까다롭고 어려워진다. 화분을 디스플레이 보드에서 탈부착하지 못하면 디스플레이 보드의 표면 청소가 불가능하고 식생물의 파종과 교체 등도 어렵게된다.Framed pots are structurally difficult to assemble or attach pots to the display board. If the display board is flat and the material is hard, such as glass, pollen attachment becomes more difficult and difficult. If the pollen can not be detached from the display board, the surface of the display board can not be cleaned, and seeding and replacement of food organisms becomes difficult.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보드 자체를 화분을 수납할 수 있는 별도의 지지부를 형성하고 그곳에 화분을 수납형으로 부착하는 방법, 또는 디스플레이 보드에 화분이 떨어지지 않게 조립한 액자 화분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47187호 등에 제안되어 있다.Accordingly, there is a method of forming a separate support part for accommodating the pollen inside the display board itself and attaching the pollen to the display part in a retractable manner, or a method of attaching the frame to the display board, 0047187 and the like.

그러나, 기존의 액자 화분들은 화분을 디스플레이 보드에 탈부착하기가 용이하지 못하고, 또한 화분을 견고하게 부착하기 위해 구조적으로 복합한 디스플레이 보드를 필요로 한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보드의 표면에 물방울이나 배양 토사가 디스플레이 표면을 오염시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화분에 공급되는 물의 배수와 배양 토사의 흘러내림에 의한 디스플레이 보드의 표면 오염을 제어하는데 한계가 있다.However, existing frame pots do not easily detach and attach the pollen to the display board, and also require a structurally complex display board to firmly adhere the pollen.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that water droplets or cultured soil on the surface of the display board may contaminate the display surface. In addition, there is a limit in controlling the surface contamination of the display board due to drainage of water supplied to the pollen and the flow of cultured soil.

특허문헌 1.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47187호(공개일2015년05월04일)Patent Document 1: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5-0047187 (Published May 05, 2015)

특허문헌 2.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99913호(공개일2016년08월23일)Patent Document 2: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6-0099913 (published on Aug. 23, 201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액자의 디스플레이 보드에 부착하는 화분의 탈부착을 디스플레이 보드의 재질이나 구조에 관계없이 쉽고 간단하면서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는 물 공급재가 형성된 벽걸이형 액자를 제공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isplay board which can easily and easily detach and attach a flower pot attached to a display board, Shaped frame having a water supply member that can be used for a water-proofing operatio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분의 물과 배양 토사의 흘러내림을 제어할 수 있는 물 공급재가 형성된 벽걸이형 액자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ll-mounted frame in which a water supply member capable of controlling the flow of pollen water and culture soil is forme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자연미를 입체형으로 표출하는 물 공급재가 형성된 벽걸이형 액자를 제공하는데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ll-mounted frame in which a water supply member for expressing natural beauty in a three-dimensional form is formed.

상기 목적들은,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보드에 구비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고정구; 상기 디스플레이 보드의 고정구를 중심으로 탈부착 되는 화분, 상기 화분의 탈부착을 위해 상기 고정구와 대면하도록 화분의 이면부에 구성되어 상기 고정구를 중심으로 이착탈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체결구; 화분의 바닥면에 비해 더 높은 위치에 놓이도록 화분의 이면 수직부에 형성된 드레인 홀; 및 화분이 디스플레이 보드에 부착된 상태를 기준으로 화분 바닥면으로 모이는 배수의 흐름을 전방으로 유도하는 드레인 가이드를 포함하는 물 공급재가 형성된 벽걸이형 액자 에 의해 달성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splay device comprising: at least one fixture provided on a display board; At least one fastening means formed on a rear surface portion of the flowerpot so as to face the fastener for attaching / detaching the flowerpot to / from the fastener; A drain hole formed in the vertical vertical portion of the flowerpot so as to be located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bottom surface of the flowerpot; And a drain guide for forwarding a flow of drainage collected on the pollen bottom surface on the basis of the state that the pollen is attached to the display board.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보드는, 표면이 평탄한 평판 형상을 포함하는 것으로, 유리, 합성수지제, 목재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보드의 재질 및 표면 형상은 자유롭게 선택하여 적용될 수 있으므로, 전체 액자 화분의 미감을 살리기 위한 디스플레이 보드의 다양한 제조가 가능해진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board includes a flat plate shape having a flat surface, and can be selected from glass, synthetic resin, and wood. Since the material and the surface shape of the display board can be freely selected and applied,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 variety of display boards for utilizing the beauty of the whole frame flower po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고정구는, 디스플레이 보드에 파여져 형성된 그루브 홈, 또는 디스플레이 보드의 표면에 설치된 걸림턱, 또는 디스플레이 보드의 표면으로 돌출된 걸이대에서 선택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astener may be selected from a groove groove formed on the display board, a hook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display board, or a hook protruding from the surface of the display board.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체결구는, 디스플레이 보드에 파여져 형성된 그루브 홈에 삽입되는 걸림 후크,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보드의 표면에 설치된 걸림턱에 턱 결합되는 체결편,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보드의 표면으로 돌출된 걸이대에 안착되는 걸림편에서 선택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astening member includes a latching hook that is inserted into a groove groove formed in the display board, or a fastening piece that is jumped to a latching jaw provided on a surface of the display board, And can be selected from the latches which are seated on the latches.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드레인 홀에 드레인 가이드의 일단이 결합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end of the drain guide can be coupled to the drain hol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드레인 가이드는, 디스플레이 보드의 수직면을 기준으로 후방에 비해 전방이 낮은 기울기로 화분 내부 공간의 수평 바닥면을 기준으로 비평형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ain guide can be installed in a non-parallel state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bottom surface of the pot interior space at a lower inclination forward than the rear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plane of the display board.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드레인 가이드는, 수분이 통과하지 않는 필름형, 또는 수분이 통과하거나 흡수되는 투습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ain guide can be made of a film type in which moisture does not pass, or a moisture-permeable type in which moisture passes or is absorbed.

본 발명에 의하면, 액자 화분을 구성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보드에 부착하는 화분의 탈부착을 디스플레이 보드의 재질이나 구조에 관계없이 쉽고 간단하면서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체 액자 화분의 미감을 개선하고 청소 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유리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보드를 자유롭게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attach and detach a flower pot attached to a display board to constitute a frame flower pot, regardless of the material or the structure of the display board, thereby improving the beauty of the whole flower pot, A display board such as glass can be freely selected and applied.

또한, 액자 화분의 물과 배양 토사의 흘러내림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 보드의 표면 오염과 주변 오염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water of the frame flower pot and the flow of the cultured soil can be controlled,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surface contamination and surrounding pollution of the display board.

또한, 디스플레이 보드의 오염을 줄이면서 디스플레이 보드를 포함하여 벽면에 설치되는 반사경을 통해 자연미를 입체적으로 표출하는 액자 화분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of providing a framed flower pot that displays natural beauty in a three-dimensional manner through a reflector installed on a wall surface including a display board while reducing contamination of the display boar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물 공급재가 형성된 벽걸이형 액자의 예시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분 구조의 예시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분 부착 상태를 나타낸 상세 단면도의 예시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분 부착 상태에서 물과 배양 토사의 유동 흐름의 예시이다. (a)는 화분의 부착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b)는 화분의 부착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1 is an illustration of a wall-mount type frame formed with a water supply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3 is an illustration of a polle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etail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ollen attachment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illustration of the flow of water and cultured soil in a pollen-attached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plan view showing the attachment state of pollen. (b) is a vertical sectional view showing an attachment state of polle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물 공급재가 형성된 벽걸이형 액자'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wall-mounted frame having a water supply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보드를 구비하는 액자 화분을 구성하는데 있어서 디스플레이 보드의 재질과 형상에 제약 없이 화분을 쉽고 간단하면서도 용이하게 탈부착시킬 수 있게 하고 화분의 배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식생물의 파종과 교체를 자유롭게 할 수 있게 하고, 디스플레이 보드의 청소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하며, 전체 액자 화분의 오염을 줄여 청결한 상태로 액자 화분을 사용할 수 있게 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and easily detach and attach the pollen without any restriction on the material and the shape of the display board when constructing the frame flowerpot having the display board, and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flow of the pollen, So that the display board can be easily cleaned, and the contamination of the whole frame flower pot can be reduced, so that the frame flower pot can be used in a clean stat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자 화분의 예시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물 공급재가 형성된 벽걸이형 액자의 종단면도의 예시이다.1 is an illustration of a framed flower p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wall-mounted type frame formed with a water supply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액자 화분(1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각형의 액자를 형성하는 액자 프레임(110)이 구성된다. 도 1에는 액자 프레임(110)이 사각틀 형상인 예로 나타나 있다.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framed flower pot 100 comprises a framed frame 110 forming a frame of polygonal shape. 1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framing frame 110 has a rectangular frame shape.

사각틀 형상의 액자 프레임(110)은 상하부틀(120)(130)과 양측부틀(140)(150)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부틀(120)의 내벽면과 양측부틀(140)(150)의 내벽면 표면은 반사경(reflex mirror)으로 처리된다. 이를 통해 액자 프레임(110)의 내부에 화분(300)을 부착하면 액자의 자연미를 입체형으로 표출할 수 있는 구조이다.The framed frame 110 of the rectangular frame has upper and lower frames 120 and 130 and two side frames 140 and 150. Here,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upper frame 120 and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two side boots 140 and 150 are treated with a reflex mirror. When the pollen (300) is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frame frame (110), the natural beauty of the frame can be expressed in a stereoscopic shape.

액자 프레임(110) 틀의 내부 공간에는 디스플레이 보드(200)가 설치된다. 도 1에는 디스플레이 보드(200)가 사각틀 형상의 액자 프레임(110)에 대응되는 평판형 사각 패널인 예로 나타나 있다. 디스플레이 보드(200)의 표면은 반사경(reflex mirror)으로 처리된다. 화분(300)을 부착하면 액자의 자연미를 입체형으로 표출할 수 있는 구조이다.The display frame 200 is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frame 110. FIG. 1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display board 200 is a flat rectangular panel corresponding to the framed frame 110 of a rectangular frame. The surface of the display board 200 is treated with a reflex mirror. When the pot 300 is attached, the natural beauty of the frame can be expressed in three-dimensional form.

디스플레이 보드(200)의 전면에는 화분(300)이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설치된다. A flower pot 300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board 200.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분 구조의 예시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분(300)은 이면부가 평판형의 디스플레이 보드(200)의 표면에 대응되는 평판형의 벽면(310)을 갖는 예로 나타나 있고, 전면은 장식면(320)을 갖는 예로 나타나 있다. 3 is an illustration of a polle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the pollen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as an example in which the back surface portion has a flat wall surface 310 corresponding to the surface of the flat display board 200, 320).

여기서, 미설명 부호 160은 물을 담수 하거나 수생식물을 식재하는 공간으로 마련된 '수조'이다. 수조(160)는 화분으로부터 배수되는 물을 회수할 수 있는 공간이고, 물 순환식 액자 화분에서는 물의 순환을 위해 물을 담수하는 공간이다. 170은 수조의 내부를 들여다 볼 수 있는 '투명창'이다.Here, the reference numeral 160 is a 'water tank' provided as a space for draining water or planting aquatic plants. The water tank 160 is a space for collecting the water drained from the pollen, and the water circulating frame plate is a space for draining the water for the circulation of the water. 170 is a transparent window that allows you to look inside the tank.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물 공급재가 형성된 벽걸이형 액자의 구체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The concrete structure of the wall-mounted frame formed with the water supply materi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분 부착 상태를 나타낸 상세 단면도의 예시이다. 도 5의 (a)(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분 부착 상태에서 물과 배양 토사의 유동 흐름의 예시이다.4 is a detail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ollen attachment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5 (a) and 5 (b) are illustrations of the flow of water and cultured soil in a pollen-attached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디스플레이 보드(200)의 표면에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고정구(210)가 설치된다. 고정구(210)는 디스플레이 보드(200)에 그루브 홈(미도시)을 형성하거나, 또는 디스플레이 보드(200)의 표면에 걸림턱을 형성하거나, 또는 디스플레이 보드(200)의 표면으로 걸이대를 돌출형으로 돌출시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디스플레이 보드(200)의 표면에 설치 가능하고 견고한 상태로 화분(300)을 지지할 수 있는 걸이대를 고정구(210)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At least one fixture (210) is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display board (200). The fixture 210 may be formed by forming a groove groove (not shown) on the display board 200 or by forming a locking protrusion on the surface of the display board 200, As shown in Fig. It may be desirable to use a fastener 210 as a fastener that can be mounted on the surface of the display board 200 and can support the pot 300 in a solid state.

또한, 고정구(210)는 디스플레이 보드(200)의 재질과 표면 형상에 관계없이 자유롭게 설치될 수 있으므로,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보드(200)의 재질과 형상은 평탄한 평판 형상을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재질로는 유리, 합성수지제, 목재 등을 자유롭게 선택하여 제조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ixture 210 can be freely installed regardless of the material and the surface shape of the display board 200, the material and shape of the display board 200 can be manufactured including a flat plate shape, A glass, a synthetic resin, a wood, or the like can be freely selected and manufactured.

그리고, 화분(300)에는 디스플레이 보드(200)와 탈부착을 위해 고정구(210)와 대면하도록 구성되어 고정구(210)를 중심으로 이착탈될 수 있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체결구(330)가 설치된다. 체결구(330)로는 디스플레이 보드(200)에 설치하는 고정구(210)의 사양에 따라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보드(200)에 그루브 홈이 형성된 경우 여기에 삽입될 수 있는 걸림 후크(미도시)를 체결구(330)로 구성하거나, 디스플레이 보드(200)에 걸림턱이 설치된 경우 여기에 턱 결합될 수 있는 체결편(미도시)을 체결구(330)로 구성하거나, 또는 디스플레이 보드(200)에 걸이대가 돌출형으로 설치된 경우 여기에 안착될 수 있는 걸림편을 체결구(330)로 선택하여 택일적으로 체결구(330)를 구성할 수 있다.At least one fastening hole 330 is formed in the pot 300 so as to face the fastener 210 for attachment and detachment to and from the display board 200 and removable around the fastener 210. The fastener 330 can be selectively installed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 of the fastener 210 installed on the display board 200. For example, when a groove groove is formed in the display board 200, a locking hook (not shown)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groove may be formed as a fastening hole 330, (Not shown) may be formed as a fastener 330. Alternatively, when a hanger is provided on the display board 200 in a protruding form, the fastener may be seated on the display board 200 by a fastener 330 And the fastener 330 can be configured alternatively.

그리고, 화분(300)의 바닥면(340)에 비해 더 높은 위치에 놓이도록 화분의 이면부에는 드레인 홀(350)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드레인 홀(350)을 장방형으로 형성한다. 화분(300)의 이면부에 형성하는 장방형의 드레인 홀(350)은 차수 장애가 없는 위치, 즉 물이나 배양 토사가 바닥면(340)으로 바로 배수되지 않고 높이 단차에 의해 배수를 제어할 수 있는 높이(h1) 단차를 갖는 위치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장방형의 드레인 홀(350)은 L1의 길이로 전개된 배수 면적을 형성하여 배수 시간을 줄이는 바람직한 구조일 수 있으며, 드레인 가이드(400)의 설치를 안내하는 기능을 병행할 수 있다.A drain hole 350 is formed in the rear surface of the flowerpot so as to be positioned higher than the bottom surface 340 of the flowerpot 300. Preferably, the drain hole 350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The rectangular drain hole 350 formed in the rear portion of the pot 300 has a height at which the drainage can be controlled by the height step without being discharged directly to the bottom surface 340, (h1) step. In addition, the rectangular drain hole 350 may have a preferable structure to reduce drainage time by forming a drainage area developed to a length of L1, and may also function to guide the installation of the drainage guide 400. [

그리고, 디스플레이 보드(200)에 화분(300)이 부착된 상태를 기준으로 화분(300)의 바닥면(340)으로 모이는 배수 흐름이 드레인 홀(350)을 회피하도록 유도하는 드레인 가이드(400)를 설치하여 구성된다. 드레인 가이드(400)는, 디스플레이 보드(200)의 수직면을 기준으로 후방에 비해 전방이 낮은 기울기 θ로 화분(300) 내부 공간의 수평 바닥면(340)을 기준으로 비평형인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A drain guide 400 for guiding the drainage flow collected on the bottom surface 340 of the pot 300 to avoid the drain hole 350 based on the condition that the pot 300 is attached to the display board 200 Respectively. The drain guide 400 may be installed in a non-planar state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bottom surface 340 of the inner space of the flowerpot 300 at a lower inclination? Relative to the rear than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plane of the display board 200 .

화분(300)의 내부 공간을 따라 비평형 상태로 설치되는 드레인 가이드(400)에 의해 낙하하는 대부분의 물은 드레인 가이드(400)의 기울기 θ에 의해 화분(300)의 전방방향으로 흘러내리고, 높이(h1) 단차로 인해 드레인 홀(350)로 바로 빠져나가지 못하게 되며, 자유 유동하는 물이나 배양 토사는 드레인 가이드(400)의 경사면을 따라 화분의 바닥면(340)과 드레인 가이드(40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360)으로 유도되도록 한다.Most of the water falling by the drain guide 400 installed in the non-equilibrium state along the inner space of the pots 300 flows downward in the forward direction of the pots 300 by the inclination? Of the drain guide 400, the free flowing water or cultivated soil is moved along the inclined surface of the drain guide 400 by the bottom surface 340 of the flowerpot and the drain guide 400 To be formed in the space 360 formed.

드레인 가이드(400)는, 수분이 통과하지 않는 필름형, 또는 수분이 통과하거나 흡수되는 투습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물을 흘러내리게 하여 물의 흐름을 유도할 수 있는 필름형이 바람직할 수 있다.The drain guide 400 may be a film type in which moisture does not pass, or a moisture-permeable type in which moisture passes or is absorbed. Preferably, a film type capable of inducing a flow of water by flowing water down may be preferred.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물 공급재가 형성된 벽걸이형 액자의 화분 부착과 분리 동작으로 구분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wall-mounted frame having the water supply memb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화분(300)의 부착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디스플레이 보드(200)에 설치된 고정구(210)에 맞추어 화분(300)의 이면부에 설치된 체결구(330)를 결합하여 화분(300)의 부착을 완료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보드(200)의 고정구(210)를 걸이대로 구성하고, 화분(300)의 체결구(330)를 걸림편으로 구성하는 경우 화분(300)을 디스플레이 보드(200)에 원터치로 부착할 수 있으므로, 화분(300)의 부착 작업이 간단하고 편리해진다.As shown in FIG. 1, the pollen 300 is attached to the pollen 300 (FIG. 1) by joining a fastener 330 provid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pollen 300 to the fastener 210 installed on the display board 200, Can be completed. When the fastener 210 of the display board 200 is formed as a fastener and the fastener 330 of the pot 300 is formed as a fastener, the pot 300 can be attached to the display board 200 with one touch , The attachment of the pollen (300) is simple and convenient.

화분(300)이 디스플레이 보드(200)에 부착되면, 화분(300)의 이면부는 디스플레이 보드(200)의 표면과 밀착되는데, 디스플레이 보드(200)의 표면이 평면인 경우 화분(300)의 이면부가 평면인 화분(300)을 사용하면 화분(300)의 부착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데 유리할 수 있다. 따라서, 화분(300)을 디스플레이 보드(200)에 부착하는데 있어서는 디스플레이 보드(200)의 표면 형상이 평면이면 화분(300)의 이면부가 평면으로 형성된 화분을 선택하여 화분(300)의 흔들림 유동이나 지지력 저하 등의 문제 없이 화분을 부착할 수 있다.When the pot 300 is attached to the display board 200, the rear surface of the pot 30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display board 200. When the surface of the display board 200 is flat, Use of the planter pot 300 may be advantageous to stably keep the pot 300 attached. Therefore, when the pot 300 is attached to the display board 200, if the surface shape of the display board 200 is flat, the pollen of the pot 300 having the flat surface is selected, The pollen can be adhered without a problem such as deterioration.

화분(300)을 디스플레이 보드(200)에 부착한 상태에서 화분에 물을 주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340)과 이격되어 상부에 설치된 드레인 가이드(400)의 기울기에 의해 낙하하는 물은 드레인 가이드(400)의 기울기 θ에 의해 전방(화살표 F 방향)으로 흘러내리고 수위(h1)가 드레인 홀(350)까지 이르지 않으면 배수가 막히는 차수 상태를 유지된다. 차수 상태에서는 배양 토사의 흘러내림을 줄일 수 있다.5, when the flowerpot 300 is attached to the display board 200, the flowerpot 300 is separated from the bottom surface 340 as shown in FIG. 5, and water drops by the inclination of the drain guide 400 installed at the upper part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F) by the inclination? Of the drain guide 400 and the drain water is clogged if the water level h1 does not reach the drain hole 350. In order, the flow of cultured soil can be reduced.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보드(200)의 표면과 화분(300)의 이면부가 접촉하는 상태로 부착되더라도 화분(300)으로부터 빠져나오는 물이나 배양 토사의 흘러내림이 위치 단차(화분 바닥면과 드레인 홀의 위치에 의한 단차)로 차단되어 디스플레이 보드(200)의 표면을 오염시키지 않고 청결한 상태로 액자 화분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even if the surface of the display board 200 and the rear surface of the flowerpot 300 are adhered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flow of water or cultivated soil from the flowerpot 300 can be prevented by the positional deviation (position of the flowerpot bottom surface and drain hole So that it is possible to use the frame flower pot in a clean state without contaminating the surface of the display board 200.

한편, 디스플레이 보드(200)에 부착된 화분(300)의 분리는, 먼저 화분(300)을 잡고 디스플레이 보드(200)의 고정구(210)로부터 화분(300)의 체결구(330)를 분리하면 화분(300)을 디스플레이 보드(200)로부터 분리해낼 수 있다.The pollen 300 attached to the display board 200 can be removed by first holding the pollen 300 and removing the fastener 330 of the pollen 300 from the fixture 210 of the display board 200, (300) can be separated from the display board (200).

디스플레이 보드(200)의 고정구(210)가 걸이대이고, 화분(300)의 체결구(330)가 걸이대에 턱 결합으로 체결되는 걸림편으로 구성된 경우, 화분(300)을 디스플레이 보드(200)로부터 원터치로 분리해낼 수 있으므로, 간단하고 편리하게 화분(300)을 디스플레이 보드(200)로부터 탈거할 수 있다.When the fastener 210 of the display board 200 is a fastener and the fastener 330 of the pot 300 is a fastener fastened to the fastener by jaw coupling, It is possible to remove the pot 300 from the display board 200 simply and conveniently.

이처럼 화분(300)을 디스플레이 보드(200)로부터 필요에 따라 간단히 분리해 낼 수 있으므로, 화분(300)을 분리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보드(200)의 표면 청소 작업과 화분(300)의 식생물 파종이나 교체 등의 작업을 간단히 마칠 수 있다.Since the pollen 300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display board 200 as needed, the surface cleaning operation of the display board 200 and the planting of the pollen 300 Replacement work can be completed easily.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자 화분(100)은, 액자 프레임(110)의 상부틀(120 ) 내벽면과 양측부틀(140)(150)의 내벽면 표면을 반사경으로 처리할 수 있으므로 액자 프레임(110)의 내부에 화분(300)을 부착하면 액자 화분(100)의 전체 자연미를 입체형으로 표출할 수 있는 유리한 장점이 있다.Frame pots 100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ame frame 110, the upper frame 120, the inner wall and both sides Bootle 140 150 framed frame can process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reflector of the ( 110, the entire natural beauty of the frame flower pot 100 can be expressed in a three-dimensional form.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으로 나타낸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실시 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은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수정과 변형이 이루어진 것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포함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ncluded in thought.

100: 액자 화분 110: 액자 프레임
120: 상부틀 130: 하부틀
140. 150: 측면부틀 200: 디스플레이 보드
210: 고정구 300: 화분
310: 벽면 320: 장식면
330: 체결구 340: 바닥면
350: 드레인 홀 360: 공간
400: 드레인 가이드
100: frame frame 110: frame frame
120: upper frame 130: lower frame
140. 150: side frame 200: display board
210: fixture 300: pollen
310: wall surface 320: decorative surface
330: fastener 340: bottom surface
350: Drain hole 360: Space
400: drain guide

Claims (7)

디스플레이 보드에 구비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고정구; 상기 디스플레이 보드의 고정구를 중심으로 탈부착 되는 화분, 상기 화분의 탈부착을 위해 상기 고정구와 대면하도록 화분의 이면부에 구성되어 상기 고정구를 중심으로 이착탈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체결구; 화분의 바닥면에 비해 더 높은 위치에 놓이도록 화분의 이면 수직부에 형성된 드레인 홀; 및
상기 화분이 디스플레이 보드에 부착된 상태를 기준으로 화분 바닥면으로 모이는 배수의 흐름을 전방으로 유도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보드의 수직면을 기준으로 후방에 비해 전방이 낮은 기울기로 화분 내부 공간에 비평형 상태로 설치된 드레인 가이드를 포함하는, 물 공급재가 형성된 벽걸이형 액자.
At least one fixture provided on the display board; At least one fastening means formed on a rear surface portion of the flowerpot so as to face the fastener for attaching / detaching the flowerpot to / from the fastener; A drain hole formed in the vertical vertical portion of the flowerpot so as to be located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bottom surface of the flowerpot; And
The flow of the water collec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lowerpot is forwardly guided on the basis of the state that the flowerpot is attached to the display board and the flowerpot is introduc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flowerpot in a non- A wall-mounted frame formed with a water supply member, which includes an installed drain gui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보드는, 표면이 평탄한 평판 형상을 포함하는 것으로, 유리, 합성수지제, 목재 중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공급재가 형성된 벽걸이형 액자 .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splay board includes a flat plate shape having a flat surface and is selected from glass, synthetic resin, and woo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디스플레이 보드에 파여져 형성된 그루브 홈, 또는 디스플레이 보드의 표면에 설치된 걸림턱, 또는 디스플레이 보드의 표면으로 돌출된 걸이대 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공급재가 형성된 벽걸이형 액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xture is selected from a groove groove formed on the display board, a hook formed on a surface of the display board, or a hook protruding from a surface of the display board.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는, 상기 디스플레이 보드에 파여져 형성된 그루브 홈에 삽입되는 걸림 후크,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보드의 표면에 설치된 걸림턱에 턱 결합되는 체결편,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보드의 표면으로 돌출된 걸이대에 안착되는 걸림편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공급재가 형성된 벽걸이형 액자.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fastening member may include a locking hook inserted into a groove groove formed on the display board or a fastening piece coupled to a locking projection provided on a surface of the display board or a fastening piece projected from a surface of the display board, Wherein the water-supplying member is formed of a metal materi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홀에 상기 드레인 가이드의 일단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공급재가 형성된 벽걸이형 액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one end of the drain guide is coupled to the drain hol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가이드는, 수분이 통과하지 않는 필름형, 또는 수분이 통과하거나 흡수되는 투습형으로 구성된 물 공급재가 형성된 벽걸이형 액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rain guide is formed of a film type that does not allow moisture to pass therethrough, or a water supply material that is made of a moisture-permeable type in which moisture passes or is absorbed.
KR1020170064553A 2017-05-25 2017-05-25 Wall-mounted frame with water supply KR10192412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4553A KR101924128B1 (en) 2017-05-25 2017-05-25 Wall-mounted frame with water supp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4553A KR101924128B1 (en) 2017-05-25 2017-05-25 Wall-mounted frame with water suppl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4128B1 true KR101924128B1 (en) 2018-11-30

Family

ID=64561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4553A KR101924128B1 (en) 2017-05-25 2017-05-25 Wall-mounted frame with water suppl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4128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5128B2 (en) * 1993-08-09 2000-04-1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Dust remov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5128B2 (en) * 1993-08-09 2000-04-1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Dust remov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6699B1 (en) Plant cultivation device with growing bed of double plate structure
KR101466179B1 (en) Hydroponics apparatus with aquarium
KR20150082887A (en) Aquarium is equipped with a wall-mounted frame and pollen
KR20190137201A (en) Election type garden system
EP3219198A1 (en) Hydroponic device
JPH03195434A (en) Water tank for aquarium fish
JP2017093378A (en) Plant cultivation apparatus
KR101924128B1 (en) Wall-mounted frame with water supply
KR20080006304U (en) Wall-Mounted Flowerpot
KR100860638B1 (en) Landscape architecture apparatus
KR20120140360A (en) A wall-type green plant device
CN204350717U (en) A kind of ornamental vegetable or flower frame
KR101260430B1 (en) Indoor plant cultivation apparatus
KR101899720B1 (en) Radiation heat protection dual structure plant pots
KR20140040946A (en) A support for flowerpot and a flowerpot
KR20120118131A (en) Decorative flowerpot
KR102083841B1 (en) Interior decoration pot
KR101911775B1 (en) Plant cultivation partition
KR200486700Y1 (en) Urban Garden
JP2516083B2 (en) Plant cultivation equipment
KR101914379B1 (en) Multifunctional Flowerpot Holder
CN217445971U (en) Multifunctional green plant cultivation system
JPH0515750U (en) Automatic bottom irrigation system for ornamental potted plants
KR200392329Y1 (en) Air purification plant for sink
JP2014023515A (en) Water supply/drain multiple-rack pot pa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