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4045B1 - 측량용 삼각대의 수평 유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측량용 삼각대의 수평 유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4045B1
KR101924045B1 KR1020180056584A KR20180056584A KR101924045B1 KR 101924045 B1 KR101924045 B1 KR 101924045B1 KR 1020180056584 A KR1020180056584 A KR 1020180056584A KR 20180056584 A KR20180056584 A KR 20180056584A KR 101924045 B1 KR101924045 B1 KR 1019240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leg
upper plate
leg
hole
trip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6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태
Original Assignee
삼부기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부기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부기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565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40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4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40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3/00Measuring distances in line of sight; Optical rangefinders
    • G01C3/02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2200/00Details of stands or supports
    • F16M2200/08Foot or support ba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탈스테이션 등의 정밀 측지측량용 장비 및 이를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위치시키는 삼각대가 거친 지면 내지 경사진 지형 등에 관계없이 그 수평이 잘 유지되는 상태로 설치 및 사용될 수 있게 하는 측량용 삼각대의 수평 유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측량용 삼각대의 수평 유지 시스템은 상판, 외측 레그부, 내측 레그부 및 조명장치를 포함하는 삼각대 본체와, 자이로 센서와, 제1 접촉감지센서와, 제2 접촉감지센서와, 제어부 및 조작부를 포함하며, 외측 레그부는 상기 상판의 하면에 120° 간격으로 형성되는 세 개의 구형 힌지부 및 이러한 구형 힌지부별로 결합되는 세 개의 외측 레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내측 레그부는 작동부 몸체, 제1 내측 레그 및 제2 내측 레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측량용 삼각대의 수평 유지 시스템{System for Maintaining Horizontal of Tripod in Geodetic}
본 발명은 측지측량 기술 분야 중 토탈스테이션 등의 정밀 측지측량용 장비 및 이를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위치시키는 삼각대가 거친 지면 내지 경사진 지형 등에 관계없이 그 수평이 잘 유지되는 상태로 설치 및 사용될 수 있게 하는 측량용 삼각대의 수평 유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측지측량은 한 국가의 기본지형도의 기준점 좌표를 결정하는 측량을 말하며, 삼각점의 좌표를 결정하는 삼각측량, 수준점의 표고를 결정하는 수준측량, 그에 부수하는 천문, 기선, 검조 등의 여러 관측들이 포함된다.
측지측량 시 측정점을 정밀 측위하기 위한 장비로서 토탈스테이션 등의 여러 장비가 사용된다.
그러나, 토탈스테이션 등의 측지측량 장비, 특히 정밀 수준측량용 장비는 통상 삼각받침대에 고정시켜 사용하게 되는데, 수준측량이 항상 평지에서만 수행되는 것은 아니므로, 산악 지형과 같이 굴곡이 심한 거친 지면 또는 경사진 지형에서의 수준측량 시 토탈스테이션 등의 수준측량 장비 및 삼각받침대를 수평으로 유지시키는데 어려움이 따르고, 이는 측량 결과의 정확도가 저하되는 현상으로도 이어진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474718호(2014.12.22.공고.), “수준측량을 위한 측지측량용 토탈스테이션 시스템” 한국 등록특허 제10-1360259호(2014.02.11.공고.), “지표면의 굴곡 상태에 대비한 정밀 수준측량이 가능한 삼각대의 지면 고정 시스템” 한국 등록특허 제10-1356754호(2014.02.04.공고.), “수준 측량용 삼각대 고정장치”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토탈스테이션 등의 정밀 측지측량용 장비 및 이를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위치시키는 삼각대가 거친 지면 내지 경사진 지형 등에 관계없이 그 수평이 잘 유지되는 상태로 설치 및 사용될 수 있게 하는 측량용 삼각대의 수평 유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측량용 삼각대의 수평 유지 시스템은, 측지측량을 위한 측량 장비(100)가 상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면의 중앙에 나선홈(211)이 형성되는 상판(210); 상기 상판(210)의 하면에 120° 간격으로 형성되는 세 개의 구형 힌지부(221) 및 상기 구형 힌지부(221)별로 결합되는 세 개의 외측 레그(222)를 포함하되, 상기 구형 힌지부(221)는 상기 상판(210)의 하면에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수직 방향의 제1 나사홀(H1)이 형성되는 제1 위치변환 고정편(221a-1) 및 상기 제1 위치변환 고정편(221a-1)의 일단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절곡되며 중앙에 수평 방향으로 관통된 제1 관통홀(H2)이 형성되는 제1 조임편(221a-2) 그리고 상기 제1 조임편(221a-2)의 하단으로부터 반구형으로 연장되며 하단에 수평 방향 기준의 반원형 제1 삽입홀(H3)이 형성되는 제1 레그 파지편(221a-3)을 포함하는 제1 반구형 힌지(221a), 상기 제1 반구형 힌지(221a)와 좌우 대칭형으로 형성되어 수직 방향의 제2 나사홀(h1)이 형성되는 제2 위치변환 고정편(221b-1) 및 중앙에 수평 방향의 제2 관통홀(h2)이 형성된 제2 조임편(221b-2) 그리고 하단에 수평 방향 기준의 반원형 제2 삽입홀(h3)이 형성되는 제2 레그 파지편(221b-3)을 포함하는 제2 반구형 힌지(221b), 상기 제1 반구형 힌지(221a)의 제1 조임편(221a-2)의 제1 관통홀(H2) 및 상기 제2 반구형 힌지(221b)의 제2 조임편(221b-2)의 제2 관통홀(h2)을 차례로 관통하며 그 머리부(221c-1)가 상기 제1 조임편(221a-2)의 제1 관통홀(H2) 주연에 접하는 조임볼트(221c) 및 상기 제2 조임편(221b-2)의 상기 제2 관통홀(h2) 외측에서 상기 조임볼트(221c)와 나사 결합되어 상기 제2 관통홀(h2) 주연에 밀착되는 조임너트(221d)를 포함하고, 상기 외측 레그(222)는 상기 제1 반구형 힌지(221a) 및 제2 반구형 힌지(221b)가 상호 간에 구형 공간이 형성되도록 서로 접한 배치 상태에서의 상기 구형 공간보다 큰 체적을 가지면서 상기 제1 반구형 힌지(221a) 및 제2 반구형 힌지(221b)의 사이에 위치되는 볼 결합부(222a) 및 상기 볼 결합부(222a)의 하부로부터 상기 제1 반구형 힌지(221a)의 제1 삽입홀(H3) 및 상기 제2 반구형 힌지(221b)의 제2 삽입홀(h3)이 연결되어 형성되는 원형 홀을 통해 아래쪽으로 길게 연장되는 레그 본체(222b)를 포함하는 외측 레그부(220); 상기 상판(210)의 나선홈(211)에 나사 결합되며 하면의 중앙에 수납홈(231a)이 형성되는 작동부 몸체(231) 및 상기 작동부 몸체(231)의 상기 수납홈(231a)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하향 연장되는 동시에 길이 조절이 가능하고 하단에는 첨단부(232c-3)가 형성되는 제1 내측 레그(232) 및 상기 작동부 몸체(231)의 하면에 상기 제1 내측 레그(232)를 중심으로 외곽에 사각형의 꼭지점에 위치하는 형태로 설치되는 동시에 길이 조절이 가능한 네 개의 제2 내측 레그(233)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내측 레그(232)는 상기 작동부 몸체(231)의 상기 수납홈(231a) 내측에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한 형태로 결합되는 롤링 블록(232a)과 상기 롤링 블록(232a)에 매입 형태로 설치되는 정역회전모터(232b)와 상기 정역회전모터(232b)의 구동축에 상단이 결합되어 상기 정역회전모터(232b)의 정역 회전에 연동하여 정역 회전되고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나선봉(232c)과 상기 나선봉(232c)의 나사산과 대응되는 나선홈(232d-1)이 내면에 형성되어 상기 나선봉(232c)을 내측에 나사 결합 방식으로 삽입시키며 외면에 회전방지돌기(232d-2)가 형성되고 하단에 상기 첨단부(232d-3)가 형성되는 나선관(232d) 및 상기 작동부 몸체(231)의 하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하향 연장되며 상기 회전방지돌기(232d-2)가 삽입되는 회전방지홈(232e-1)이 수직 방향을 따라 슬릿 형태로 형성되는 직선이동 안내 포스트(232e)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내측 레그(233)는 상기 작동부 몸체(231)의 하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하향 연장되는 내측 레그 본체(233a) 및 상기 내측 레그 본체(233a)의 내측에 설치되어 그 작동로드(233b-1)가 수직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되는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233b) 및 상기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233b)의 상기 작동로드(233b-1) 선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착지 패드(233c)를 포함하는 내측 레그부(230); 및 상기 상판(210)의 상면에 팬틸트 동작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야간의 측지측량 작업 또는 주변 밝기가 어두운 장소 내지 상황에서의 측지측량 작업 시 상기 측량 장비(100)를 조명하는 조명장치(240)를 포함하는 삼각대 본체(200)와: 상기 삼각대 본체(200)의 상판(210)에 설치되어 상기 상판(210)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자이로 센서(300)와: 상기 내측 레그부(230)의 상기 제2 내측 레그(233)별 상기 착지 패드(233c)의 하면에 각각 설치되어 해당 착지 패드(233c)의 지면에 대한 접촉을 감지하는 복수의 제1 접촉감지센서(400)와: 상기 내측 레그부(230)의 상기 제1 내측 레그(232)의 나선관(232c) 외면에 상기 나선관(232c)의 전체 길이를 기준으로 상기 나선관(232c)의 하단으로부터 30∼40% 범위의 높이에 설치되어 지면과의 접촉을 감지하는 제2 접촉감지센서(500)와: 상기 내측 레그부(230)의 작동부 몸체(231)에 설치되며, 제1 신호가 입력 시 상기 제2 접촉감지센서(500)로부터 접촉 감지 신호가 입력되기 전까지 상기 제1 내측 레그(232)의 정역회전모터(232b)를 상기 나선관의 첨단부가 아래쪽으로 이동하도록 작동시킨 후 상기 제1 접촉감지센서(400)로부터 접촉 감지 신호가 입력되는 동시에 상기 자이로 센서(300)로부터 상기 상판(210)의 수평이 유지되는 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상기 제2 내측 레그(233)의 상기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233b)를 그 작동로드(233b-1)가 전진 또는 후진하도록 작동시키고, 제2 신호가 입력 시 상기 제1 접촉감지센서(400)로부터 접촉 감지 신호가 입력되는 동시에 상기 자이로 센서(300)로부터 상기 상판(210)의 수평이 유지되는 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상기 제2 내측 레그(233)의 상기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233b)를 그 작동로드(233b-1)가 전진 또는 후진하도록 작동시키며, 상기 삼각대 본체(200)가 넘어지는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상기 상판(210)의 임계 기울기가 수평축을 기준으로 설정되어 상기 제1 접촉감지센서(400)로부터 접촉 감지 신호가 입력되는 상황에서 상기 자이로 센서(300)의 기울기 신호 값이 기설정된 상기 임계 기울기의 이하가 되면 상기 제2 내측 레그(233)의 상기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233b)를 그 작동로드(233b-1)가 상측으로 당겨지도록 작동시키는 제어부(600)와: 상기 삼각대 본체(200)의 상판(210)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600)에 상기 제1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제1 조작스위치(710) 및 상기 제어부(600)에 상기 제2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제2 조작 스위치(720)를 포함하는 조작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토탈스테이션 등의 정밀 측지측량용 장비 및 이를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위치시키는 삼각대가 거친 지면 내지 경사진 지형 등에 관계없이 그 수평이 잘 유지되는 상태로 설치 및 사용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측량용 삼각대의 수평 유지 시스템을 예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측량용 삼각대의 수평 유지 시스템에서 외측 레그부의 구형 힌지부를 분해된 상태로 예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따른 구형 힌지부의 상판에 대한 결합 구조를 예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측량용 삼각대의 수평 유지 시스템에서 내측 레그부에 포함되는 제1 내측 레그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측량용 삼각대의 수평 유지 시스템의 전기적 구성을 예시한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측량용 삼각대의 수평 유지 시스템의 작동 상태를 예시한 측면도
이하의 본 발명에 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의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의 실시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발명에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측량용 삼각대의 수평 유지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측량용 삼각대의 수평 유지 시스템을 예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측량용 삼각대의 수평 유지 시스템에서 외측 레그부의 구형 힌지부를 분해된 상태로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따른 구형 힌지부의 상판에 대한 결합 구조를 예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측량용 삼각대의 수평 유지 시스템에서 내측 레그부에 포함되는 제1 내측 레그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측량용 삼각대의 수평 유지 시스템의 전기적 구성을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측량용 삼각대의 수평 유지 시스템은 상판(210), 외측 레그부(220), 내측 레그부(230) 및 조명장치(240)를 포함하는 삼각대 본체(200)와, 자이로 센서(300)와, 제1 접촉감지센서(400)와, 제2 접촉감지센서(500)와, 제어부(600) 및 조작부(7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삼각대 본체(200)의 각 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삼각대 본체(200)는 상술한 것처럼 상판(210), 외측 레그부(220), 내측 레그부(230) 및 조명장치(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판(210)은 측지측량을 위한 측량 장비(100)가 상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면의 중앙에 나선홈(211)이 형성된다.
외측 레그부(220)는 상판(210)의 하면에 120° 간격으로 형성되는 세 개의 구형 힌지부(221) 및 이러한 구형 힌지부(221)별로 결합되는 세 개의 외측 레그(2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형 힌지부(221)는 제1 반구형 힌지(221a), 제2 반구형 힌지(221b), 조임볼트(221c) 및 조임너트(221d)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반구형 힌지(221a)는 상판(210)의 하면에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수직 방향의 제1 나사홀(H1)이 형성되는 제1 위치변환 고정편(221a-1) 및 이러한 제1 위치변환 고정편(221a-1)의 일단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절곡되며 중앙에 수평 방향으로 관통된 제1 관통홀(H2)이 형성되는 제1 조임편(221a-2) 그리고 제1 조임편(221a-2)의 하단으로부터 반구형으로 연장되며 하단에 수평 방향 기준의 반원형 제1 삽입홀(H3)이 형성되는 제1 레그 파지편(221a-3)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제1 위치변환 고정편(221a-1)이 상판(210) 하면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슬라이딩이 된 다양한 위치에서 제1 나사홀(H1) 및 고정볼트(B)를 통해 선택적인 고정이 이루어지는 구성은 다양한 기술분야에서 현재 적용되고 있는 구성 중 선택하여 이용하면 될 것이므로, 본 실시 예에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였다.
제2 반구형 힌지(221b)는 제1 반구형 힌지(221a)와 좌우 대칭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써, 즉, 제2 반구형 힌지(221b)는 수직 방향의 제2 나사홀(h1)이 형성되는 제2 위치변환 고정편(221b-1) 및 중앙에 수평 방향의 제2 관통홀(h2)이 형성된 제2 조임편(221b-2) 그리고 하단에 수평 방향 기준의 반원형 제2 삽입홀(h3)이 형성되는 제2 레그 파지편(221b-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제2 위치변환 고정편(222b-1)이 상판(210) 하면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슬라이딩이 된 다양한 위치에서 제2 나사홀(h1) 및 고정볼트(B')를 통해 선택적인 고정이 이루어지는 구성은 다양한 기술분야에서 현재 적용되고 있는 구성 중 선택하여 이용하면 될 것이므로, 본 실시 예에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였다.
조임볼트(221c)는 제1 반구형 힌지(221a)의 제1 조임편(221a-2)의 제1 관통홀(H2) 및 제2 반구형 힌지(221b)의 제2 조임편(221b-2)의 제2 관통홀(h2)을 차례로 관통하며 그 머리부(221c-1)가 제1 조임편(221a-2)의 제1 관통홀(H2) 주연에 접한다.
조임너트(221d)는 제2 조임편(221b-2)의 제2 관통홀(h2) 외측에서 조임볼트(221c)와 나사 결합되어 제2 관통홀(h2) 주연에 밀착된다.
외측 레그(222)는 제1 반구형 힌지(221a) 및 제2 반구형 힌지(221b)가 상호 간에 구형 공간이 형성되도록 서로 접한 배치 상태에서의 상기 구형 공간보다 큰 체적을 가지면서 제1 반구형 힌지(221a) 및 제2 반구형 힌지(221b)의 사이에 위치되는 볼 결합부(222a) 및 이러한 볼 결합부(222a)의 하부로부터 제1 반구형 힌지(221a)의 제1 삽입홀(H3) 및 제2 반구형 힌지(221b)의 제2 삽입홀(h3)이 연결되어 형성되는 원형 홀을 통해 아래쪽으로 길게 연장되는 레그 본체(222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내측 레그부(230)는 작동부 몸체(231), 제1 내측 레그(232) 및 제2 내측 레그(2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작동부 몸체(231)는 상판(210)의 나선홈(211)에 나사 결합되며, 하면의 중앙에 수납홈(231a)이 형성된다.
제1 내측 레그(232)는 작동부 몸체(231)의 수납홈(231a)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하향 연장되는 동시에 길이 조절이 가능하고 하단에는 첨단부(232c-3)가 형성되는 형태를 갖는다.
이러한 제1 내측 레그(232)의 세부 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제1 내측 레그(232)는 롤링 블록(232a), 정역회전모터(232b), 나선봉(232c), 나선관(232d) 및 직선이동 안내 포스트(232e)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롤링 블록(232a)은 작동부 몸체(231)의 수납홈(231a) 내측에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한 형태로 결합된다. 여기서, 롤링 블록(232a)이 작동부 몸체(231)의 수납홈(231a) 내측에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은 볼베어링 등의 베어링을 이용하는 구성 등 다양한 기술분야에서 현재 적용되고 있는 구성들 중 선택하여 이용하면 될 것이므로, 본 실시 예에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였다.
정역회전모터(232b)는 롤링 블록(232a)에 매입 형태로 설치되어 정역 구동한다.
나선봉(232c)은 정역회전모터(232b)의 구동축에 상단이 결합되어 정역회전모터(232b)의 정역 회전에 연동하여 정역 회전되며, 이러한 나선봉(232c)은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나선관(232d)은 나선봉(232c)의 나사산과 대응되는 나선홈(232d-1)이 내면에 형성되어 나선봉(232c)을 내측에 나사 결합 방식으로 삽입시키며, 이러한 나선관(232d)은 외면에 회전방지돌기(232d-2)가 형성되고 하단에 첨단부(232d-3)가 형성된다.
직선이동 안내 포스트(232e)는 작동부 몸체(231)의 하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하향 연장되며, 이러한 직선이동 안내 포스트(232e)는 나선관(232d)의 회전방지돌기(232d-2)가 삽입되는 회전방지홈(232e-1)이 수직 방향을 따라 슬릿 형태로 형성된다.
제2 내측 레그(233)는 작동부 몸체(231)의 하면에 제1 내측 레그(232)를 중심으로 외곽에 사각형의 꼭지점에 위치하는 형태로 설치되는 것으로써, 즉, 제2 내측 레그(233)는 네 개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제2 내측 레그(233)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2 내측 레그(233)의 세부 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제2 내측 레그(233)는 내측 레그 본체(233a),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33b) 및 착지 패드(233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내측 레그 본체(233a)는 작동부 몸체(231)의 하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하향 연장된다.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233b)는 내측 레그 본체(233a)의 내측에 설치되어 그 작동로드(233b-1)가 수직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된다.
착지 패드(233c)는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233b)의 작동로드(233b-1) 선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조명장치(240)는 상판(210)의 상면에 팬틸트 동작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야간의 측지측량 작업 또는 주변 밝기가 어두운 장소 내지 상황에서의 측지측량 작업 시 측량 장비(100)를 조명하는 기능을 한다.
자이로 센서(300)는 삼각대 본체(200)의 상판(210)에 설치되어 상판(210)의 기울기를 감지한다.
제1 접촉감지센서(400)는 내측 레그부(230)의 제2 내측 레그(233)별 착지 패드(233c)의 하면에 각각 설치되며, 이러한 제1 접촉감지센서(400) 각각은 해당 착지 패드(233c)의 지면에 대한 접촉을 감지한다.
제2 접촉감지센서(500)는 내측 레그부(230)의 제1 내측 레그(232)의 나선관(232c) 외면에 나선관(232c)의 전체 길이를 기준으로 나선관(232c)의 하단으로부터 30∼40% 범위의 높이에 설치되어 지면과의 접촉을 감지한다.
제어부(600)는 내측 레그부(230)의 작동부 몸체(231)에 설치되며, 이러한 제어부(600)는 제1 신호가 입력 시 제2 접촉감지센서(500)로부터 접촉 감지 신호가 입력되기 전까지 제1 내측 레그(232)의 정역회전모터(232b)를 나선관의 첨단부가 아래쪽으로 이동하도록 작동시킨 후, 제1 접촉감지센서(400)로부터 접촉 감지 신호가 입력되는 동시에 자이로 센서(300)로부터 상판(210)의 수평이 유지되는 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제2 내측 레그(233)의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233b)를 그 작동로드(233b-1)가 전진 또는 후진하도록 작동시킨다.
또한, 제어부(600)는 제2 신호가 입력 시 제1 접촉감지센서(400)로부터 접촉 감지 신호가 입력되는 동시에 자이로 센서(300)로부터 상판(210)의 수평이 유지되는 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상기 제2 내측 레그(233)의 상기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233b)를 그 작동로드(233b-1)가 전진 또는 후진하도록 작동시킨다.
또한, 제어부(600)는 삼각대 본체(200)가 넘어지는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상판(210)의 임계 기울기가 수평축을 기준으로 설정되며, 이에 따라 제어부(600)는 제1 접촉감지센서(400)로부터 접촉 감지 신호가 입력되는 상황에서 자이로 센서(300)의 기울기 신호 값이 기설정된 상기 임계 기울기의 이하가 되면 제2 내측 레그(233)의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233b)를 그 작동로드(233b-1)가 상측으로 당겨지도록 작동시킨다.
조작부(700)는 삼각대 본체(200)의 상판(210)에 설치되며, 이러한 조작부(700)는 제어부(600)에 상술한 제1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제1 조작스위치(710) 및 제어부(600)에 상술한 제2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제2 조작 스위치(7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측량용 삼각대의 수평유지 시스템의 주요 작용에 대해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측량용 삼각대의 수평 유지 시스템의 작동 상태를 예시한 측면도이다.
먼저, 도 6의 (a)는 측량용 삼각대가 산악, 언덕 또는 구릉지 등 경사진 연약 지반의 지형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상태를 예시한 것으로서, 내측 레그부(230)의 제1 내측 레그(232)가 그 첨단부(232d-3)를 통해 지중에 박혀 상판을 지지하고, 또한 제2 내측 레그(233)가 상판(210)을 수평 상태로 유지시키는 상태를 예시한 것이다. 부연 설명하면, 제1 내측 레그(232)가 지중에 박혀 상판(210)을 지지하는 상태에서, 제2 내측 레그(233)가 제1 내측 레그(232)의 롤링 블록(232a)을 중심으로 롤링 운동이 가능한 상판(210)을 수평 상태로 유지시키게 된다. 이때, 외측 레그부(220)는 제1 내측 레그(232)가 지중에서 빠지는 등의 이유로 상판(210)이 심하게 기울어질 수 있는 상황 발생 시 이를 방지할 수 있는 정도의 전개 각도를 유지하면서 설치되면 될 것이다.
또한, (b)는 측량용 삼각대가 경사진 딱딱한 지형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상태를 예시한 것으로서, 제2 내측 레그(233)가 제1 내측 레그(232)의 롤링 블록(232a)을 중심으로 롤링 운동이 가능한 상판(210)을 수평 상태로 유지시키는 상태를 예시한 것이다. 이때, 외측 레그부(220)는 제2 내측 레그(233)가 중심을 잃는 등의 이유로 상판(210)이 심하게 기울어질 수 있는 상황 발생 시 이를 방지할 수 있는 정도의 전개 각도를 유지하면서 설치되면 될 것이며, 제2 내측 레그(233)는 중심을 잃는 상황 발생 시 제어부(600)의 제어 동작에 따라 그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233b)의 작동로드(233b-1)가 상측으로 이동하는 작동을 하게 된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진 않았지만, 평평한 지형 등에서는 내측 레그부(230)의 제1 내측 레그(232) 및 제2 내측 레그(233)는 각각 상측으로 이동시킨 후 외측 레그부(220)만을 통해 상판(210)을 수평 상태로 지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하여 저서는 안되며, 후술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인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측량 장비 200 : 삼각대 본체
210 : 상판 211 : 나선홈
220 : 외측 레그부 221 : 구형 힌지부
221d : 조임너트 222 : 외측 레그
222a : 볼 결합부 222b : 레그 본체
230 : 내측 레그부 231 : 작동부 몸체
231a : 수납홈 232 : 제1 내측 레그
232e-1 : 회전방지홈 233 : 제2 내측 레그
233a : 내측 레그 본체 233b :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
233b-1 : 작동로드 233c : 착지 패드
240 : 조명장치 300 : 자이로 센서
400 : 제1 접촉감지센서 500 : 제2 접촉감지센서
600 : 제어부 700 : 조작부
710 : 제1 조작스위치 720 : 제2 조작스위치

Claims (1)

  1. 측지측량을 위한 측량 장비(100)가 상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면의 중앙에 나선홈(211)이 형성되는 상판(210);
    상기 상판(210)의 하면에 120° 간격으로 형성되는 세 개의 구형 힌지부(221) 및 상기 구형 힌지부(221)별로 결합되는 세 개의 외측 레그(222)를 포함하되, 상기 구형 힌지부(221)는 상기 상판(210)의 하면에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수직 방향의 제1 나사홀(H1)이 형성되는 제1 위치변환 고정편(221a-1) 및 상기 제1 위치변환 고정편(221a-1)의 일단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절곡되며 중앙에 수평 방향으로 관통된 제1 관통홀(H2)이 형성되는 제1 조임편(221a-2) 그리고 상기 제1 조임편(221a-2)의 하단으로부터 반구형으로 연장되며 하단에 수평 방향 기준의 반원형 제1 삽입홀(H3)이 형성되는 제1 레그 파지편(221a-3)을 포함하는 제1 반구형 힌지(221a), 상기 제1 반구형 힌지(221a)와 좌우 대칭형으로 형성되어 수직 방향의 제2 나사홀(h1)이 형성되는 제2 위치변환 고정편(221b-1) 및 중앙에 수평 방향의 제2 관통홀(h2)이 형성된 제2 조임편(221b-2) 그리고 하단에 수평 방향 기준의 반원형 제2 삽입홀(h3)이 형성되는 제2 레그 파지편(221b-3)을 포함하는 제2 반구형 힌지(221b), 상기 제1 반구형 힌지(221a)의 제1 조임편(221a-2)의 제1 관통홀(H2) 및 상기 제2 반구형 힌지(221b)의 제2 조임편(221b-2)의 제2 관통홀(h2)을 차례로 관통하며 그 머리부(221c-1)가 상기 제1 조임편(221a-2)의 제1 관통홀(H2) 주연에 접하는 조임볼트(221c), 상기 제2 조임편(221b-2)의 상기 제2 관통홀(h2) 외측에서 상기 조임볼트(221c)와 나사 결합되어 상기 제2 관통홀(h2) 주연에 밀착되는 조임너트(221d)를 포함하고, 상기 외측 레그(222)는 상기 제1 반구형 힌지(221a) 및 제2 반구형 힌지(221b)가 상호 간에 구형 공간이 형성되도록 서로 접한 배치 상태에서의 상기 구형 공간보다 큰 체적을 가지면서 상기 제1 반구형 힌지(221a) 및 제2 반구형 힌지(221b)의 사이에 위치되는 볼 결합부(222a) 및 상기 볼 결합부(222a)의 하부로부터 상기 제1 반구형 힌지(221a)의 제1 삽입홀(H3) 및 상기 제2 반구형 힌지(221b)의 제2 삽입홀(h3)이 연결되어 형성되는 원형 홀을 통해 아래쪽으로 길게 연장되는 레그 본체(222b)를 포함하는 외측 레그부(220);
    상기 상판(210)의 나선홈(211)에 나사 결합되며 하면의 중앙에 수납홈(231a)이 형성되는 작동부 몸체(231) 및 상기 작동부 몸체(231)의 상기 수납홈(231a)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하향 연장되는 동시에 길이 조절이 가능하고 하단에는 첨단부(232d-3)가 형성되는 제1 내측 레그(232) 및 상기 작동부 몸체(231)의 하면에 상기 제1 내측 레그(232)를 중심으로 외곽에 사각형의 꼭지점에 위치하는 형태로 설치되는 동시에 길이 조절이 가능한 네 개의 제2 내측 레그(233)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내측 레그(232)는 상기 작동부 몸체(231)의 상기 수납홈(231a) 내측에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한 형태로 결합되는 롤링 블록(232a)과 상기 롤링 블록(232a)에 매입 형태로 설치되는 정역회전모터(232b)와 상기 정역회전모터(232b)의 구동축에 상단이 결합되어 상기 정역회전모터(232b)의 정역 회전에 연동하여 정역 회전되고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나선봉(232c)과 상기 나선봉(232c)의 나사산과 대응되는 나선홈(232d-1)이 내면에 형성되어 상기 나선봉(232c)을 내측에 나사 결합 방식으로 삽입시키며 외면에 회전방지돌기(232d-2)가 형성되고 하단에 상기 첨단부(232d-3)가 형성되는 나선관(232d) 및 상기 작동부 몸체(231)의 하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하향 연장되며 상기 회전방지돌기(232d-2)가 삽입되는 회전방지홈(232e-1)이 수직 방향을 따라 슬릿 형태로 형성되는 직선이동 안내 포스트(232e)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내측 레그(233)는 상기 작동부 몸체(231)의 하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하향 연장되는 내측 레그 본체(233a) 및 상기 내측 레그 본체(233a)의 내측에 설치되어 그 작동로드(233b-1)가 수직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되는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233b) 및 상기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233b)의 상기 작동로드(233b-1) 선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착지 패드(233c)를 포함하는 내측 레그부(230); 및
    상기 상판(210)의 상면에 팬틸트 동작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야간의 측지측량 작업 또는 주변 밝기가 어두운 장소 내지 상황에서의 측지측량 작업 시 상기 측량 장비(100)를 조명하는 조명장치(240)를 포함하는 삼각대 본체(200):
    상기 삼각대 본체(200)의 상판(210)에 설치되어 상기 상판(210)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자이로 센서(300):
    상기 내측 레그부(230)의 상기 제2 내측 레그(233)별 상기 착지 패드(233c)의 하면에 각각 설치되어 해당 착지 패드(233c)의 지면에 대한 접촉을 감지하는 복수의 제1 접촉감지센서(400):
    상기 내측 레그부(230)의 상기 제1 내측 레그(232)의 나선관(232c) 외면에 상기 나선관(232c)의 전체 길이를 기준으로 상기 나선관(232c)의 하단으로부터 30∼40% 범위의 높이에 설치되어 지면과의 접촉을 감지하는 제2 접촉감지센서(500):
    상기 내측 레그부(230)의 작동부 몸체(231)에 설치되며, 제1 신호가 입력 시 상기 제2 접촉감지센서(500)로부터 접촉 감지 신호가 입력되기 전까지 상기 제1 내측 레그(232)의 정역회전모터(232b)를 상기 나선관의 첨단부가 아래쪽으로 이동하도록 작동시킨 후 상기 제1 접촉감지센서(400)로부터 접촉 감지 신호가 입력되는 동시에 상기 자이로 센서(300)로부터 상기 상판(210)의 수평이 유지되는 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상기 제2 내측 레그(233)의 상기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233b)를 그 작동로드(233b-1)가 전진 또는 후진하도록 작동시키고, 제2 신호가 입력 시 상기 제1 접촉감지센서(400)로부터 접촉 감지 신호가 입력되는 동시에 상기 자이로 센서(300)로부터 상기 상판(210)의 수평이 유지되는 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상기 제2 내측 레그(233)의 상기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233b)를 그 작동로드(233b-1)가 전진 또는 후진하도록 작동시키며, 상기 삼각대 본체(200)가 넘어지는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상기 상판(210)의 임계 기울기가 수평축을 기준으로 설정되어 상기 제1 접촉감지센서(400)로부터 접촉 감지 신호가 입력되는 상황에서 상기 자이로 센서(300)의 기울기 신호 값이 기설정된 상기 임계 기울기의 이하가 되면 상기 제2 내측 레그(233)의 상기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233b)를 그 작동로드(233b-1)가 상측으로 당겨지도록 작동시키는 제어부(600):
    상기 삼각대 본체(200)의 상판(210)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600)에 상기 제1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제1 조작스위치(710) 및 상기 제어부(600)에 상기 제2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제2 조작 스위치(720)를 포함하는 조작부(700)를 포함하는 측량용 삼각대의 수평 유지 시스템.
KR1020180056584A 2018-05-17 2018-05-17 측량용 삼각대의 수평 유지 시스템 KR1019240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6584A KR101924045B1 (ko) 2018-05-17 2018-05-17 측량용 삼각대의 수평 유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6584A KR101924045B1 (ko) 2018-05-17 2018-05-17 측량용 삼각대의 수평 유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4045B1 true KR101924045B1 (ko) 2019-02-22

Family

ID=65584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6584A KR101924045B1 (ko) 2018-05-17 2018-05-17 측량용 삼각대의 수평 유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404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86149A (zh) * 2019-10-09 2020-01-14 牛梦珠 一种便于调节角度的工程测绘仪
KR102130474B1 (ko) * 2019-10-17 2020-07-07 주식회사 팔콘 스타프의 프리즘 엘이디 조명시스템
CN111623199A (zh) * 2020-05-28 2020-09-04 河南北斗卫星导航平台有限公司 一种测绘装置
KR20220119910A (ko) * 2021-02-22 2022-08-30 김종석 침투고정식 트라이포드
CN116518951A (zh) * 2023-07-05 2023-08-01 四川省亚通工程咨询有限公司 一种高速公路勘察设计测量装置及测量方法
KR102630944B1 (ko) * 2023-06-28 2024-01-30 주식회사 도명메타 측지 측량장비의 수평을 유지할 수 있는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6754B1 (ko) 2013-08-19 2014-02-04 에스제이공간정보(주) 수준 측량용 삼각대 고정장치
KR101360259B1 (ko) 2013-09-05 2014-02-11 주식회사 한국에스지티 지표면의 굴곡 상태에 대비한 정밀 수준측량이 가능한 삼각대의 지면 고정 시스템
KR101474718B1 (ko) 2014-09-11 2014-12-22 (주)대지이엔지 수준측량을 위한 측지측량용 토탈스테이션 시스템
KR101531025B1 (ko) * 2014-07-30 2015-06-23 한국종합설계 주식회사 측지측량 시 삼각대 보호장치
KR101789211B1 (ko) * 2017-07-24 2017-10-26 (주)인화엔지니어링 측지측량의 효율적인 수행을 위한 삼각대 자동 수평조절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6754B1 (ko) 2013-08-19 2014-02-04 에스제이공간정보(주) 수준 측량용 삼각대 고정장치
KR101360259B1 (ko) 2013-09-05 2014-02-11 주식회사 한국에스지티 지표면의 굴곡 상태에 대비한 정밀 수준측량이 가능한 삼각대의 지면 고정 시스템
KR101531025B1 (ko) * 2014-07-30 2015-06-23 한국종합설계 주식회사 측지측량 시 삼각대 보호장치
KR101474718B1 (ko) 2014-09-11 2014-12-22 (주)대지이엔지 수준측량을 위한 측지측량용 토탈스테이션 시스템
KR101789211B1 (ko) * 2017-07-24 2017-10-26 (주)인화엔지니어링 측지측량의 효율적인 수행을 위한 삼각대 자동 수평조절 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86149A (zh) * 2019-10-09 2020-01-14 牛梦珠 一种便于调节角度的工程测绘仪
KR102130474B1 (ko) * 2019-10-17 2020-07-07 주식회사 팔콘 스타프의 프리즘 엘이디 조명시스템
CN111623199A (zh) * 2020-05-28 2020-09-04 河南北斗卫星导航平台有限公司 一种测绘装置
KR20220119910A (ko) * 2021-02-22 2022-08-30 김종석 침투고정식 트라이포드
KR102478793B1 (ko) * 2021-02-22 2022-12-16 김종석 침투고정식 트라이포드
KR102630944B1 (ko) * 2023-06-28 2024-01-30 주식회사 도명메타 측지 측량장비의 수평을 유지할 수 있는 장치
CN116518951A (zh) * 2023-07-05 2023-08-01 四川省亚通工程咨询有限公司 一种高速公路勘察设计测量装置及测量方法
CN116518951B (zh) * 2023-07-05 2023-09-08 四川省亚通工程咨询有限公司 一种高速公路勘察设计测量装置及测量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4045B1 (ko) 측량용 삼각대의 수평 유지 시스템
US5749549A (en) Satellite positioning system antenna supporting tripod
US5769370A (en) Knock-down satellite positioning system antenna supporting tripod
US7669813B2 (en) Multiple function geomatics pole support device
US7316073B2 (en) Studfinder and laser line layout tool
US4803784A (en) Portable stand for a surveyor's rod
US20130163978A1 (en) Support head of the ball joint type for videophotographic apparatuses
KR100928662B1 (ko) 다용도 측량기
US6249983B1 (en) Levelling apparatus for a laser level
KR20110045814A (ko) 다용도 측량기
KR101910433B1 (ko) 정밀 수준측량용 장비와 삼각 받침대 고정장치
CN101472706A (zh) 枢转接头
CN205781780U (zh) 一种便携全景定向云台
US7604208B2 (en) Height adjustable, platform leveling multi-pod
US6640453B2 (en) Clinometer
US6151787A (en) Levelling apparatus for a builder's laser level
KR102573680B1 (ko) 수평 유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측지측량용 삼각대
GB2358926A (en) Guiding accessory for power tools
US2873531A (en) Chaining device for surveyors
US7887443B2 (en) Frame for measuring pitcher's circle
US2497933A (en) Carpenter's transit
CN112033357B (zh) 用于三角高程测量的免整平多棱镜测量装置及测量方法
JPH06281461A (ja) 光波距離計用プリズム支持装置
CN114704246A (zh) 一种钻孔方位角和倾角测量设备以及测量方法
CN218582791U (zh) 一种高精度测绘仪器支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