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4032B1 - 인출용 키 기반의 현금 인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인출용 키 기반의 현금 인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4032B1
KR101924032B1 KR1020160149774A KR20160149774A KR101924032B1 KR 101924032 B1 KR101924032 B1 KR 101924032B1 KR 1020160149774 A KR1020160149774 A KR 1020160149774A KR 20160149774 A KR20160149774 A KR 20160149774A KR 101924032 B1 KR101924032 B1 KR 1019240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h
key
information
withdrawal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9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2451A (ko
Inventor
윤경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얍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얍컴퍼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얍컴퍼니
Priority to KR10201601497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4032B1/ko
Publication of KR20180052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24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4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40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0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funds transfer [EFT]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ome banking systems
    • G06Q20/108Remote banking, e.g. home banking
    • G06Q20/1085Remote banking, e.g. home banking involving 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00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 G01S1/02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using radio waves
    • G01S1/68Marker, boundary, call-sign, or like beacons transmitting signals not carrying directional info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involving a neutral party, e.g. certification authority, notary or trusted third party [TTP]
    • G06Q20/023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involving a neutral party, e.g. certification authority, notary or trusted third party [TTP] the neutral party being a clearing hous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06Q20/363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with the personal data of a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06Q20/3829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involving key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26Incentive systems for frequent usage, e.g. frequent flyer miles programs or point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 G07D11/0051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20Controlling or monitoring the operation of devices; Data handl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arketing (AREA)
  • Technology Law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쿠폰, 적립, 결제 및 정보 제공 서비스가 가능한 통합 플랫폼과 통신을 수행하는 모바일 단말의 현금 인출 서비스 제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통합 플랫폼에 접속하여 현금 인출용 계좌 정보를 등록하는 계좌 등록부와, 상기 통합 플랫폼에 인출용 키를 요청하는 수신하는 키 요청부와, 상기 인출용 키가 수신됨에 따라 현금 인출 서비스를 위한 인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제공부와, 상기 인출 정보, 인출용 키 및 상기 통합 플랫폼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정보를 포함한 정보를 현금 인출 장치에 전송하는 정보 전송부를 포함하며, 상기 현금 인출 장치는 상기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통합 플랫폼에 접속한 후 상기 인출용 키를 전송하여 검증을 요청하며, 상기 통합 플랫폼으로부터 검증 결과와 현금 인출용 계좌 정보를 수신한 후 이를 이용하여 상기 현금 인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용 키 기반의 현금 인출 서비스 제공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인출용 키 기반의 현금 인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ERVICING CASH WITHDRAWAL BASED ON WITHDRAWAL KEY}
본 발명은 인출용 키를 이용한 현금 인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몇 년간 이동 전화 네트워크들에 대한 가입자들이 세계적으로 크게 증가하였고, 기술적 진보 및 기능 추가에 의해, 단순한 음성 통화 기능만을 제공하는 이동 통신 단말들은 다양한 형태의 정보와 서비스를 제공하는 매개체로 진화되었다. 이의 결과로서 이동 정보 사회(mobile information society)가 발전되고 있으며, 개인적이고 지역적인 서비스들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 이러한 " CA(Context-Aware)" 이동 전화들은 낮은 전력으로 쇼핑몰들과 같이 적절한 짧은 범위의 기지국들에 사용되어 위치에 고유한(location-specific) 정보를 제공한다. 이 정보는 지역적 지도들, 상점 근방에 관한 정보 및 음식점들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정보는 종종 무료로 송신되지만, 사용자가 비용을 부담하는 데이터 서비스들(예를 들어, 스포츠 스코어의 갱신, 이동 전화의 새로운 벨 소리(ringing tone) 다운로드)일 수도 있다. 이러한 상품 및 서비스들에 대한 지불은, 수표나 신용 카드 승인을 전송하는 것과 같은 종래의 방법들, 또는 텔레-뱅킹이나 직접 지불 장치들(direct debit arrangements)에 의해 행해질 수도 있지만, 사용자에게는 무선-링크된 자동 지불 시스템이 유익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되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 통신 기술의 발전 및 보급에 맞춰서 핀테크 (Fin-Tech) 기술에 대한 관심이 대두되고 있다. 핀테크는 IT기업과 금융을 융합한 결제시스템을 아우르는 것으로 현금과 카드없이 모바일 기기만으로 결제가 가능하게 해준다.
특히, 모바일 결제시장이 커지면서 핀테크 서비스가 일반화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어 다양한 형태 모바일 결제 방법이 개발되어 출시되고 있으며, 모바일 결제 방법의 출시와 더불어 모바일 결제를 이용한 다양한 형태의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0-0018221호(2010.02.26 공개)
본 발명은 통합 플랫폼에 등록된 현금 인출용 계좌 정보와 이에 상응하는 인출용 키를 기반으로 현금 인출 장치에서 현금을 인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별도의 카드 없이 현금을 인출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인출용 키를 이용한 현금 인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현금 인출 장치와의 동기화를 통해 인출용 키를 포함한 비콘 신호를 전송하여 현금 인출 장치에 인출용 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입력에 대한 번거러움을 없앨 수 있는 인출용 키를 이용한 현금 인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의 고유 정보를 기반으로 마스킹된 인출용 키를 제공하고, 마스킹된 인출용 키를 복호화한 후 이를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현금 인출 장치에 제공함으로써, 인출용 키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보안성을 높일 수 있는 인출용 키를 이용한 현금 인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출용 키 기반의 현금 인출 서비스 제공 장치는 쿠폰, 적립, 결제 및 정보 제공 서비스가 가능한 통합 플랫폼과 통신을 수행하는 모바일 단말의 현금 인출 서비스 제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통합 플랫폼에 접속하여 현금 인출용 계좌 정보를 등록하는 계좌 등록부와, 상기 통합 플랫폼에 인출용 키를 요청하는 수신하는 키 요청부와, 상기 인출용 키가 수신됨에 따라 현금 인출 서비스를 위한 인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제공부와, 상기 인출 정보, 인출용 키 및 상기 통합 플랫폼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정보를 포함한 정보를 현금 인출 장치에 전송하는 정보 전송부를 포함하며, 상기 현금 인출 장치는 상기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통합 플랫폼에 접속한 후 상기 인출용 키를 전송하여 검증을 요청하며, 상기 통합 플랫폼으로부터 검증 결과와 현금 인출용 계좌 정보를 수신한 후 이를 이용하여 상기 현금 인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현금 인출 서비스 제공 장치는 상기 모바일 단말의 고유 정보를 기반으로 암호화된 인출용 키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암호화된 인출용 키를 복호화하는 복호화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정보 전송부는 상기 인출 정보, 인출용 키 및 상기 접속 정보를 비콘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현금 인출 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출용 키 기반의 현금 인출 서비스 제공 장치는 쿠폰, 적립, 결제 및 정보 제공 서비스가 가능한 통합 플랫폼의 현금 인출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모바일 단말의 요청에 의거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전송받은 현금 인출용 계좌 정보를 등록하는 등록부와, 상기 모바일 단말의 요청에 의거하여 인출용 키를 생성하는 키 생성부와, 상기 모바일 단말의 고유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인출용 키를 암호화한 후 이를 상기 모바일 단말에 전송하는 키 전송부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현금 인출 장치로부터 인출용 키에 대한 검증 요청이 수신됨에 따라 상기 현금 인출 장치로부터 수신된 인출용 키와 기 저장된 인출용 키간의 비교를 통해 검증을 수행한 후 이에 대응하는 검증 결과와 상기 등록한 현금 인출용 계좌 정보를 상기 현금 인출 장치에 전송하는 키 검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출용 키 기반의 현금 인출 서비스 제공 방법은 쿠폰, 적립, 결제 및 정보 제공 서비스가 가능한 통합 플랫폼, 모바일 단말 및 현금 인출 장치가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연결된 시스템에서 현금 인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통합 플랫폼에 접속하여 현금 인출용 계좌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와,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통합 플랫폼에 인출용 키를 요청하여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인출용 키가 수신됨에 따라 현금 인출 서비스를 위한 인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인출용 키, 상기 통합 플랫폼의 접속 정보 및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인출 정보를 상기 현금 인출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현금 인출 장치가 상기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통합 플랫폼에 접속한 후 상기 인출용 키를 전송하여 검증을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통합 플랫폼에서 상기 검증을 요청한 인출용 키와 기 저장된 인출용 키간의 비교를 통해 검증을 수행한 후 검증 결과와 상기 등록한 현금 인출용 계좌 정보를 상기 현금 인출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현금 인출 장치에서 상기 전송받은 검증 결과 및 현금 인출용 계좌 정보를 이용하여 현금 인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출용 키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단말의 고유 정보를 기반으로 암호화된 인출용 키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현금 인출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현금 인출 장치와 상기 모바일 단말간의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된 후 상기 인출 정보, 접속 정보 및 인출용 키를 포함한 비콘 신호를 상기 현금 인출 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통합 플랫폼에 등록된 현금 인출용 계좌 정보와 이에 상응하는 인출용 키를 기반으로 현금 인출 장치에서 현금을 인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별도의 카드 없이 현금을 인출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현금 인출 장치와의 동기화를 통해 인출용 키를 포함한 비콘 신호를 전송하여 현금 인출 장치에 인출용 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입력에 대한 번거러움을 없앨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모바일 단말의 고유 정보를 기반으로 마스킹된 인출용 키를 제공하고, 마스킹된 인출용 키를 복호화한 후 이를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현금 인출 장치에 제공함으로써, 인출용 키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보안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플랫폼을 이용한 현금 인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 내 현금 인출 서비스 제공 장치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플랫폼에서 현금 인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금 인출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개의 유닛이 2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개 이상의 유닛이 1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플랫폼을 이용한 현금 인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금 인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모바일 단말(100), 통합 플랫폼(120), 현금 인출 장치(140) 및 은행사 서버(16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모바일 단말(100)은 통합 플랫폼(120)에 접속하여 다양한 형태의 정보, 예컨대 맛집, 다양한 이벤트 정보, 할인 정보 등을 제공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바일 단말(100)은 통합 플랫폼(120)에서 제공되는 수단, 예컨대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통합 플랫폼(120)으로부터 제공되는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100)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통합 플랫폼(120)로부터 현금 인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바일 단말(100)은 통합 플랫폼(120)의 현금 인출 서비스에 접속하여 현금 인출용 계좌 정보를 등록한 후 통합 플랫폼(120)으로부터 인출용 키를 제공받으며, 제공받은 인출용 키를 이용하여 현금 인출 장치(140)에서 현금 인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모바일 단말(100)은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이동 통신 장치로서, 예를 들면,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패드(SmartPad), 태블릿 PC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가능한 형태로 저장될 수 있는 기록매체 및 기록매체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중앙 처리 유닛(CPU)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현금 인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100)은 현금 인출 서비스 제공 장치(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현금 인출 서비스 제공 장치(110)는 통합 플랫폼(120)에서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을 모바일 단말(100)의 기록매체 상에 실행 가능한 형태로 저장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현금 인출 서비스 제공 장치(110)의 세부 구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금 인출 서비스 제공 장치(110)는 통신망, 예컨대 이동 통신망을 통해 통합 플랫폼(120)에 접속한 후 현금 인출용 계좌 정보를 통합 플랫폼(120)에 전송하여 등록하는 계좌 등록부(200), 인출용 키를 요청하여 수신하는 키 요청부(210), 인출용 키가 수신됨에 따라 현금 인출 서비스 요청을 위한 인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제공부(220), 현금 인출 장치(140)와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수신한 인출용 키, 통합 플랫폼(120)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정보 및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인출 정보를 전송하는 정보 전송부(230) 및 블루투스 모듈, 와이파이 모듈 등과 같이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통해 현금 인출 장치(140)에 접속을 지원하기 위한 통신부(2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인터페이스 제공부(220)는 인출 정보, 즉 인출하고자하는 인출 금액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정보 전송부(230)는 소정의 식별자, 즉 현금 인출을 요청하는 메시지임을 나타내는 식별자를 포함한 비콘 신호를 통신부(250)를 통해 브로드캐스팅한 후 이에 대한 응답을 송신한 장치, 즉 현금 인출 장치(140)와 동기화된 후 현금 인출 장치(140)에 인출용 키, 통합 플랫폼(120)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정보 및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인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금 인출 서비스 제공 장치(110)는 암호화된 인출용 키, 즉 모바일 단말(100)의 고유 정보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인출용 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현금 인출 서비스 제공 장치(110)는 암호화된 인출용 키를 복호화하기 위한 복호화부(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호화부(260)는 암호화된 인출용 키를 복호화한 후 이를 인터페이스 제공부(220)에 제공하며, 인터페이스 제공부(220)는 복호화한 인출용 키를 포함한 인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금 인출 서비스 제공 장치(110)의 정보 전송부(230)는 접속 정보, 인출 정보 및 인출용 키와 더불어 모바일 단말(100)의 정보를 현금 인출 장치(140)에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정보들을 비콘 신호를 이용하여 현금 인출 장치(14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정보 전송부(230)가 통신부(250)를 통해 식별자를 포함한 비콘 신호를 송신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모바일 단말(100)에 장착된 스피커(미도시됨)를 통해 식별자에 대응한 식별 패턴을 갖는 사운드 신호에 해당하는 비콘 신호를 송출한 후 이에 대한 응답을 현금 인출 장치(14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현금 인출 장치(140)는 마이크(미도시됨)을 통해 사운드 신호에 해당하는 비콘 신호를 수신한 후 이에 대한 응답을 모바일 단말(100)에 송신할 수 있다.
통합 플랫폼(120)은 다양한 형태의 정보, 예컨대 이벤트, 할인, 맛집, 쿠폰 정보 등을 제공하고, 서비스 이용에 따른 포인트 적립 및 결제 서비스를 모바일 단말(100)의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합 플랫폼(120)은 모바일 단말(100) 내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의거하여 정보 제공, 포인트 적립 및 결제 서비스 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통합 플랫폼(120)은 현금 인출 서비스를 위해 모바일 단말(100)의 요청에 의거하여 현금 인출을 위한 인출용 키를 생성하며, 생성한 인출용 키를 모바일 단말(100)에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합 플랫폼(120)은 인출용 키를 랜덤하게 생성한 후 인출용 키를 모바일 단말(100)의 고유 정보, 예컨대 전화번호로 암호화하여 모바일 단말(100)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통합 플랫폼(120)은 현금 인출 장치(140)의 검증 요청 시 제공받은 인출용 키와 모바일 단말(100)에 전송한 인출용 키간의 비교를 통해 인출용 키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며, 검증 결과 유효한 인출용 키일 경우 현금 인출용 계좌 정보를 현금 인출 장치(140)에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현금 인출 서비스 제공을 위해 통합 플랫폼(120)은 현금 인출 서비스 서버(130)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플랫폼(120) 내 현금 인출 서비스 서버(130)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금 인출 서비스 서버(1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단말(100)로부터 현금 인출용 계좌 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모바일 단말(100)의 정보와 매칭시켜 데이터베이스(350)에 저장하는 등록부(300), 모바일 단말(100)의 현금 인출 서비스 요청에 따라 인출용 키를 생성하는 키 생성부(310), 인출용 키를 모바일 단말(100)의 고유 정보를 이용하여 암호화하는 암호화부(320), 인출용 키를 모바일 단말(100)에 전송하는 키 전송부(330) 및 현금 인출 장치(140)로부터 전송받은 인출용 키와 키 생성부(310)에 의해 생성된 인출용 키간의 비교를 통해 인출용 키에 대한 검증을 수행한 후 검증 결과가 유효한 경우 현금 인출용 계좌 정보를 현금 인출 장치(140)에 전송하는 키 검증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키 생성부(310)는 인출용 키를 데이터베이스(350)에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키 생성부(310)는 인출용 키를 생성한 후 인출용 키를 요청한 모바일 단말(100)의 정보, 현금 인출용 계좌 정보 및 인출용 키를 매칭시켜 데이터베이스(350)에 저장할 수 있다.
현금 인출 장치(140)는 모바일 단말(100)의 현금 인출 서비스 제공 장치(110)로부터 제공받은 통합 플랫폼(120)의 접속 정보를 기반으로 통합 플랫폼(120)에 접속한 후 통합 플랫폼(120)에 인출용 키와 모바일 단말(100)의 정보를 전송하여 인출용 키에 대한 검증을 요청하며,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현금 인출용 계좌 정보를 제공받은 후 현금 인출용 계좌 정보와 인출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은행사 서버(150)에 접속하여 현금 인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현금 인출 장치(140)는 현금 자동 입출금 장치에 해당하는 ATM 기기를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은 현금 인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금 인출 장치(140)는 키 기반의 현금 인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인출용 키와 접속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입력부(142), 통합 플랫폼(120)의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통합 플랫폼(120)에 접속하여 인출용 키에 대한 검증을 요청하는 검증 요청부(144) 및 검증 요청 결과에 의거하여 은행사 서버(150)와의 연동을 통해 현금 인출 서비스를 제공하는 현금 인출 서비스 제공부(14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금 인출 장치(140)의 입력부(142)는 인출용 키와 인출 정보 등을 입력하기 위한 문자 입력키와 같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거나 모바일 단말(100)과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 예컨대 블루투스 통신으로 동기화되어 모바일 단말(100)의 현금 인출 서비스 제공 장치(110)로부터 인출용 키, 통합 플랫폼(120)의 접속 정보, 인출 정보 및 모바일 단말(100)의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다. 다시말해서, 현금 인출 장치(140)는 모바일 단말(100)로부터 인출 요청 메시지임을 나타내는 식별자를 포함한 비콘 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비콘 신호를 송신한 모바일 단말(100)에 응답 신호를 송신함으로서 모바일 단말(100)과 동기화되며, 동기화된 모바일 단말(100)로부터 모바일 단말(100)의 현금 인출 서비스 제공 장치(110)로부터 인출용 키, 통합 플랫폼(120)의 접속 정보, 인출 정보 및 모바일 단말(100)의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다.
상기에서, 현금 인출 서비스 제공 장치(110)와 현금 인출 장치(140)간은 비콘 신호를 기반으로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현금 인출 서비스 제공 장치(110)는 통합 플랫폼(120)의 접속 정보, 인출용 키, 모바일 단말(100)의 정보 및 인출 정보를 비콘 신호에 포함시켜 현금 인출 장치(140)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비콘 신호는 초음파 신호(사운드 신호), 블루투스 LE 대역을 갖는 무선 신호 및 와이파이 대역의 무선 신호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현금 인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동작하는 과정에 대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금 인출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모바일 단말(100)은 현금 인출 서비스 제공 장치(110)의 실행을 통해 현금 인출용 계좌 정보를 통합 플랫폼(120)에 전송하여 등록한다(S400).
그런 다음, 모바일 단말(100)은 현금 인출 서비스 제공 장치(110)를 통해 통합 플랫폼(120)에 인출용 키를 요청한다(S402). 이에 따라, 통합 플랫폼(120)은 랜덤한 인출용 키를 생성한 후 이를 데이터베이스(350)에 저장함과 더불어 모바일 단말(100)에 전송한다(S404).
이후, 모바일 단말(100)은 현금 인출 장치(140)와의 동기화를 통해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된 후(S406),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모바일 단말(100)의 정보, 인출용 키, 통합 플랫폼(120)에 접속할 수 있는 접속 정보 및 현금 인출에 필요한 인출 정보를 현금 인출 장치(140)에 전송하여 현금 인출 서비스를 요청한다(S408).
이에 따라, 현금 인출 장치(140)는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통합 플랫폼(120)에 접속한 후 통합 플랫폼(120)에 인출용 키를 전송하여 인출용 키에 대한 검증을 요청한다(S410).
통합 플랫폼(120)은 데이터베이스(350)에 저장된 인출용 키와 현금 인출 장치(140)로부터 전송받은 인출용 키간의 비교를 통해 유효한지를 검증한다(S412).
S412의 검증 결과 유효한 경우, 즉 데이터베이스(350)에 저장된 인출용 키와 현금 인출 장치(140)로부터 전송받은 인출용 키가 일치한 경우, 통합 플랫폼(120)은 모바일 단말(100)에 의해 등록된 현금 인출용 계좌 정보를 현금 인출 장치(140)에 전송한다(S414).
이에 따라, 현금 인출 장치(140)는 현금 인출용 계좌 정보와 인출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은행사 서버(150)와 연동하여 모바일 단말(100)의 사용자에게 현금 인출 서비스를 제공한다(S416). 구체적으로, 현금 인출 장치(140)는 현금 인출용 계좌 정보에 해당하는 은행사 서버(150)에 접속하여 해당 계좌에 인출 정보에 상응하는 잔액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 후 이를 기반으로 현금 인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모바일 단말
110 : 현금 인출 서비스 제공 장치
120 : 통합 플랫폼
130 : 현금 인출 서비스 서버
140 : 현금 인출 장치
142 : 입력부
144 : 검증 요청부
146 : 현금 인출 서비스 제공부
150 : 은행사 서버
200 : 계좌 등록부
210 : 키 요청부
220 : 인터페이스 제공부
230 : 정보 전송부
250 : 통신부
260 : 복호화부
300 : 등록부
310 : 키 생성부
320 : 암호화부
330 : 키 전송부
340 : 키 검증부
350 : 데이터베이스

Claims (7)

  1. 쿠폰, 적립, 결제 및 정보 제공 서비스가 가능한 통합 플랫폼과 통신을 수행하는 모바일 단말의 현금 인출 서비스 제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통합 플랫폼에 접속하여 현금 인출용 계좌 정보를 등록하는 계좌 등록부와,
    상기 통합 플랫폼에 인출용 키를 요청하여 수신하는 키 요청부와,
    상기 인출용 키가 수신됨에 따라 현금 인출 서비스를 위한 인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제공부와,
    상기 모바일 단말의 스피커를 통해 식별자에 대응하는 식별 패턴을 갖는 사운드 신호에 해당하는 비콘 신호를 송출한 후 상기 송출한 비콘 신호에 대한 응답을 상기 모바일 단말 내 마이크를 통해 수신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과 현금 인출 장치간을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시키며, 상기 인출 정보, 인출용 키 및 상기 통합 플랫폼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정보를 포함한 비콘 신호를 상기 현금 인출 장치에 전송하는 정보 전송부를 포함하며,
    상기 현금 인출 장치는,
    상기 비콘 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사운드 신호에 해당하는 비콘 신호를 상기 응답으로 송신한 후 상기 정보 전송부로부터 수신한 비콘 신호 내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통합 플랫폼에 접속한 후 상기 인출용 키를 전송하여 검증을 요청하며, 검증 결과에 따라 상기 통합 플랫폼으로부터 현금 인출용 계좌 정보를 수신한 후 이를 기반으로 은행사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현금 인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용 키 기반의 현금 인출 서비스 제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금 인출 서비스 제공 장치는,
    상기 모바일 단말의 고유 정보를 기반으로 암호화된 인출용 키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암호화된 인출용 키를 복호화하는 복호화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용 키 기반의 현금 인출 서비스 제공 장치.
  3. 삭제
  4. 삭제
  5. 쿠폰, 적립, 결제 및 정보 제공 서비스가 가능한 통합 플랫폼, 모바일 단말 및 현금 인출 장치가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연결된 시스템에서 현금 인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통합 플랫폼에 접속하여 현금 인출용 계좌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와,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통합 플랫폼에 인출용 키를 요청하여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인출용 키가 수신됨에 따라 현금 인출 서비스를 위한 인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모바일 단말의 스피커를 통해 식별자에 대응하는 식별 패턴을 갖는 사운드 신호에 해당하는 비콘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와,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송출한 비콘 신호에 대한 응답을 상기 모바일 단말 내 마이크를 통해 수신하여 상기 응답을 송신한 현금 인출 장치와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된 후 상기 인출 정보, 인출용 키 및 상기 통합 플랫폼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정보를 포함한 비콘 신호를 상기 현금 인출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현금 인출 장치가 상기 비콘 신호 내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통합 플랫폼에 접속한 후 상기 인출용 키를 전송하여 검증을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통합 플랫폼에서 상기 검증을 요청한 인출용 키와 기 저장된 인출용 키간의 비교를 통해 검증을 수행한 후 검증 결과와 상기 등록한 현금 인출용 계좌 정보를 상기 현금 인출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현금 인출 장치에서 상기 전송받은 검증 결과 및 현금 인출용 계좌 정보를 이용하여 현금 인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용 키 기반의 현금 인출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용 키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단말의 고유 정보를 기반으로 암호화된 인출용 키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용 키 기반의 현금 인출 서비스 제공 방법.
  7. 삭제
KR1020160149774A 2016-11-10 2016-11-10 인출용 키 기반의 현금 인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9240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9774A KR101924032B1 (ko) 2016-11-10 2016-11-10 인출용 키 기반의 현금 인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9774A KR101924032B1 (ko) 2016-11-10 2016-11-10 인출용 키 기반의 현금 인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2451A KR20180052451A (ko) 2018-05-18
KR101924032B1 true KR101924032B1 (ko) 2018-11-30

Family

ID=62454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9774A KR101924032B1 (ko) 2016-11-10 2016-11-10 인출용 키 기반의 현금 인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40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2936B1 (ko) * 2019-11-26 2020-07-13 주식회사 한메가 고객 맞춤형 금융거래 서비스 운영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2451A (ko) 2018-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9282039B2 (en)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providing for secure offline data transfer between wireless smart devices
US10769625B2 (en) Dynamic generation of quick response (QR) codes for secure communication from/to a mobile device
CN109242468B (zh) 用于便携式通信设备中动态临时支付授权的系统和方法
US7203481B2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with high security level, and communication unit and portable terminal used therefor
US20120123935A1 (en) System and Method for Physical-World Based Dynamic Contactless Data Emulation in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JP2004534306A (ja) ビーコンを介しての支払い承認
CN101189616A (zh) 帮助实现和认证事务
US20140117075A1 (en) Mobile Device-Based Electronic Payment Systems and Methods
KR20140003595A (ko) 무선 네트워크의 이용을 통한 물리적 머천트 로케이션 내의 사용자 식별
JP2007226810A (ja) 通信ネットワーク上での取引を容易に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US20090015374A1 (en) User authentication system and method
KR101924032B1 (ko) 인출용 키 기반의 현금 인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50142080A (ko) 오프라인 매장에서의 개인화된 쿠폰 제공 방법
KR101964288B1 (ko) 통합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834365B1 (ko) 전자 태그 기반 결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834367B1 (ko) 음파 통신을 이용한 전자 태그 기반 결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964983B1 (ko) 근거리 무선 통신 기반 ap 접속 방법 및 시스템
KR20180052446A (ko) 비콘 기반의 휴대용 결제 단말 장치
US2014022268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verse authorization
KR20130036262A (ko) 결제처리서버 및 그 구동 방법
KR101928948B1 (ko) 비콘 통신을 이용한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20042254A (ko) 카드 도난 방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822457B1 (ko) 포스 게이트웨이 식별자를 이용한 결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964283B1 (ko) 비콘 기반의 음성 녹음 기능을 갖는 결제 처리 장치와 이를 이용한 음성 녹음 방법
KR101813609B1 (ko) 비콘 기반의 휴대용 결제 단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