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3305B1 - 요철형 일자빨대 - Google Patents

요철형 일자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3305B1
KR101923305B1 KR1020170036099A KR20170036099A KR101923305B1 KR 101923305 B1 KR101923305 B1 KR 101923305B1 KR 1020170036099 A KR1020170036099 A KR 1020170036099A KR 20170036099 A KR20170036099 A KR 20170036099A KR 101923305 B1 KR101923305 B1 KR 1019233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pipe
straw
depression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6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7594A (ko
Inventor
유경근
Original Assignee
유경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경근 filed Critical 유경근
Priority to KR10201700360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3305B1/ko
Publication of KR20180107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75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33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33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8Drinking straw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8Drinking straws or the like
    • A47G21/183Drinking straws or the like with means for changing the flavour of the liqui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8Drinking straws or the like
    • A47G21/186Details of bendable straw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8Drinking straws or the like
    • A47G21/189Drinking straws or the like telescoping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요철형 일자빨대에 관한 것으로서, 양단에 흡입공과 배출공이 형성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확장관과 함몰관이 교번적으로 반복형성되며, 상기 확장관과 상기 함몰관은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흡입공에서 상기 배출공을 향해 점차 직경이 작아지게 형성되거나, 상기 흡입공에서 상기 배출공을 향해 점차 직경이 커지게 형성된다.

Description

요철형 일자빨대{UNEVEN TYPE STRAIGHT STRAW}
본 발명은 일자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히는 흡입력과 음료 이동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요철형 일자빨대에 관한 것이다.
음료를 마시기 위해 빨대가 사용된다. 종래 빨대는 일자 형태로 형성되어 음료에 꽂아 음료를 음용할 수 있게 한다.
종래 일자빨대는 직경만 상이하게 구비될 뿐 동일한 직선 형태로 구비된다. 즉, 종래 일자빨대는 상부에서 하부로 직경이 동일하게 구비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음료를 음용하기 위해 일자빨대에 가하는 흡입력이 모두 동일하게 작용된다.
따라서, 건강상태가 나쁜 환자나 노인분들은 흡입력이 약하므로 일자빨대를 이용해 음료를 흡입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반면, 유아는 흡입력이 크므로 한꺼번에 많은 양의 음료가 배출되어 입 주변으로 음료를 흘리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 일자빨대는 직선형으로 형성되므로, 음료의 이동경로가 짧아 뜨거운 음료를 마실 때 음료가 외기와 접촉되는 시간이 짧아 음료가 빠른 시간에 식지 못하였다.
또한, 종래 일자빨대는 미숫가루, 코코아와 같이 침전이 발생되는 음료를 음용할 경우, 빨대 내부에서 알갱이와 액체음료를 혼합시킬 수단이 없어 침전에 의해 분리된 맛이 없는 음료를 음용하거나, 사용자가 빨대를 이용해 컵을 휘저어 침전을 희석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325352호 "3단 빨대 구조"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빨대 표면에 울퉁불퉁한 요철을 형성하여 음료의 이동속도와 흡입력을 조절할 수 있는 요철형 일자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빨대 내부에서 음료의 이동경로를 길게하고, 외기와의 접촉시간을 증가시켜 뜨거운 음료를 빠른 시간에 식힐 수 있는 요철형 일자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빨대 내부에서 음료의 혼합률을 높일 수 있는 요철형 일자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음료에 추가적인 맛을 부여할 수 있는 요철형 일자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요철형 일자빨대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요철형 일자빨대는, 양단에 흡입공과 배출공이 형성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확장관과 함몰관이 교번적으로 반복형성되며, 상기 확장관과 상기 함몰관은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흡입공에서 상기 배출공을 향해 점차 직경이 작아지게 형성되거나, 상기 흡입공에서 상기 배출공을 향해 점차 직경이 커지게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확장관과 상기 함몰관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벽을 더 포함하되, 상기 연결벽은 수직면에 대해 일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확장관과 상기 함몰관의 길이는 서로 차등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배출공으로 배출되는 음료의 흡입압력과 음료의 이동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확장관과 상기 함몰관 중 적어도 하나에는 길이를 변화하거나 형상을 조절할 수 있는 주름관이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확장관의 내벽면에는 상기 흡입공으로 흡입되는 음료와 혼합되어 음료맛을 배가시키거나 새로운 맛을 추가하는 맛알갱이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웃하는 함몰관의 단부를 수직하게 연결하며 상기 맛알갱이의 이동을 저지하는 맛알갱이수용망을 더 포함하되, 상기 맛알갱이수용망의 표면에는 상기 흡입공으로 유입된 음료가 유입된 후 상기 맛알갱이와 혼합된 혼합음료가 유출되는 음료이동공이 복수개 관통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자빨대는 표면에 확장관과 함몰관이 교번적으로 반복 형성되어 울퉁불퉁하게 형성된다. 이에 의해 음료의 이동속도와 흡입력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자빨대는 울퉁불퉁한 요철형상에 의해 빨대 내부에서 음료의 이동경로가 길어지게 된다. 이에 의해 외기와의 접촉시간이 증가되어 뜨거운 음료를 빠른 시간에 식힐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확장관과 함몰관의 직경 차이에 의해 내부를 이동하는 음료에 와류가 형성되어 음료의 혼합률을 높일 수 있다. 이에 의해 침전이 발생되는 음료도 별도의 혼합과정 없이 끝까지 맛을 유지하며 음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이 일자빨대는 내벽면에 음료에 추가적인 맛을 부여하는 맛알갱이를 구비하여 음료 본연의 맛 외에 부가적인 다양한 맛을 부여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골라먹는 맛을 즐길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일자빨대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일자빨대의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자빨대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자빨대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자빨대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일자빨대(100)가 컵(A)에 담겨져 음료(a)를 흡입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자빨대(100)는 직관형태로 형성되며, 확장관(130)과 함몰관(140)이 서로 교번적으로 반복배치되어 형성된다. 이 때, 확장관(130)과 함몰관(140)은 연결벽(150)에 의해 연결된다.
일자빨대(100)의 하부에는 음료(a)를 흡입하는 흡입공(110)이 형성되고, 상단에는 일자빨대(100)를 따라 이동된 음료(a)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공(120)이 형성된다. 일자빨대(100)의 내부는 흡입공(110)과 배출공(120)을 연결하는 중공관 형태로 형성된다.
여기서, 일자빨대(100)는 사용자가 음료를 흡입하기 위해 배출공(120)으로 인가하는 흡입력을 줄이기 위해 전체길이에 따른 직경을 가변되게 형성한다. 즉, 흡입공(110)의 직경(r1)에 비해 배출공(120)의 직경(r2)이 작게 형성되며, 전체 길이에 따라 직경이 점차 작아지게 구배를 갖도록 형성된다(r1>r2).
즉, 교번적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확장관(130)과 함몰관(140)의 직경도 아래에서 위로 갈수록 점차 작아지게 형성된다.
관 내부를 유동하는 유체의 유량은 관의 단면적과 속도에 비례한다. 이에 따라 흡입공(110)으로 유입되는 음료의 유량이 일정하고, V1의 속도로 유입될 때, 배출공(120)의 면적이 줄어든 만큼 배출되는 음료(a)의 속도(V2)가 증가하게 된다. 음료(a)의 배출속도(V2)가 빨라지면 상대적으로 적은 흡입압으로 음료(a)를 흡입할 수 있게 된다.
배출공(120)의 직경(r2)이 흡입공(110)의 직경(r1)의 1/2로 준 경우, 사용자가 음료를 마시기 위해 흡입공(110)으로 가하는 흡입력은 종래 일자형 빨대와 비교할 때 1/2로 줄게 된다.
이에 따라 연세가 많은 노인분들, 몸이 불편한 환자들이 본 발명의 일자빨대(100)를 사용해 음료를 음용할 경우 종래 일자형 빨대와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적은 흡입력으로 음료(a)를 음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일자빨대(100)는 확장관(130)의 높이(h1)와 함몰관(140)의 길이(h2)를 조절하여 음료(a)의 이동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확장관(130)의 높이(h1)가 함몰관(140)의 길이(h2)에 비해 길게 형성되는 경우(h1>h2), 동일한 높이로 확장관(130)과 함몰관(140)이 형성되는 경우(h1=h2)와 비교할 때 음료(a)의 이동속도가 느려질 수 있다. 반대로 확장관(130)의 높이(h1)가 함몰관(140)의 길이(h2) 보다 낮게 형성되는 경우 음료(a)의 이동속도가 빨라질 수 있다.
한편, 일자빨대(100)에는 주름관(160,160a)이 적어도 한 개 구비될 수 있다. 주름관(160,160a)은 일자빨대(100)의 길이를 조절하거나, 일자빨대(100)의 경로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확장관(130)에 형성된 확장주름관(160a)와 함몰관(140)에 형성된 함몰주름관(160)의 길이를 각각 상이하게 조절하여 음료(a)의 이동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연결벽(150)은 확장관(130)과 함몰관(140)을 서로 연결하여 음료(a)가 확장관(130)과 함몰관(140)의 경계영역을 부드럽게 이동하도록 안내한다. 연결벽(150)은 원활한 음료(a)의 이동을 위해 경사지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벽(150)의 경사각도(θ)는 다양한 각도로 구비될 수 있으나, 하부에서 상부로의 음료(a)의 원활한 이동과 하부에서 상부로의 음료의 흘러내림을 위하여 40~70°범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연결벽(150)의 경사각도(θ)는 피라미드의 경사면 각도인 52°로 형성되는 경우, 도 2에 확대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a)가 연결벽(150)의 경사면을 타고 아래로 모두 흘러내려 가게 한다. 이에 의해 음료(a)가 일자빨대(100) 내부에 고여 있는 것을 방지하여 잔여 음료(a)가 부폐하여 일자빨대(100)에서 악취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확장관(130)과 함몰관(140)의 직경차이에 의해 일자빨대(100) 외부에 형성되는 울퉁불퉁한 형상은 일자빨대(100) 내부를 이동하는 음료(a)의 혼합을 도와준다. 또한, 울퉁불퉁한 형상에 의해 사용자가 일자빨대(100)를 잡았을 때 미끄럼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확장관(130)과 함몰관(140)이 반복되게 형성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공(110)으로부터 흡입되어 배출공(120)을 향해 이동되는 음료의 이동속도가 빨라졌다 느려졌다 하게 되고, 연결벽(150)을 따라 확장관(130)으로 이동되며 확장관(130)의 벽면에 충돌하게 되면서 속도가 느려지고, 다시 연결벽(150)을 타고 이동되어 함몰관(140)으로 이동되며 속도가 빨라지게 된다. 가운데 영역을 따라 흐르는 음료(a)와 함몰관(140)으로 이동되며 속도가 빨라진 음료(a)가 만나면서 와류가 형성되고, 이 과정에서 음료의 혼합율이 증가하게 된다.
탄산음료의 경우 내부의 탄산이 오래오래 보존되어 종래 일자빨대에 비해 청량감을 장시간 느낄 수 있게 되고, 코코아나 미숫가루와 같이 침전이 생기는 음료는 시간의 경과에 의해 침전이 발생되더라도 본 발명의 일자빨대(100) 내부를 이동하면서 다시 혼합되어 음료(a)의 맛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젤리 또는 과육과 같이 음료 내부에 알맹이가 있는 경우, 알맹이들이 확장관(130)과 함몰관(140)에 부딪히며 이동되는 소리와, 제1유출입공(111a)으로 나왔다 막혔다 하게 되는 현상을 사용자가 오감으로 느끼게 되어 음료를 마시는 재미를 느낄 수 있게 된다.
또한, 확장관(130)과 함몰관(140)을 따라 이동되는 음료(a)의 이동경로가 종래 일자빨대에 현저하게 길어지므로 일자빨대(100) 외벽면을 통해 외기와 접하는 시간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뜨거운 음료를 음용할 때, 컵(A)으로부터 흡입되어 사용자의 입으로 들어갈때까지 음료(a)가 충분히 식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 때, 사용자는 주름관(160,160a)을 사용하여 길이를 신장할 경우 음료(a)가 외기와 접촉되는 경로가 더 길어질 수 있어 더욱 빠르게 음료(a)의 온도를 낮출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연결벽(150)의 폭(d)과 높이(h3)는 확장관(130)과 함몰관(140)의 직경을 고려하여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자빨대(100a)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자빨대(100a)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일자빨대(100)와 동일하게 확장관(130)과 함몰관(140)으로 형성되지만, 흡입공(110a)로부터 배출공(120b)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줄어들게 형성된다(r4>r3). 이 경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일자빨대(100)와 반대로 배출공(120a)의 면적이 커진다.
흡입공(110a)로 유입되는 음료의 유량이 일정한데 반해 흡입공(110a) 보다 배출공(110b)의 면적이 커지므로 음료의 배출속도(V4)가 줄어들게 된다(V3>V4). 따라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자빨대(100a)의 배출공(120a)으로 가하는 흡입력이 제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일자빨대(100a)와 동일할 경우 배출공(120a)으로 배출되는 음료의 양이 줄어들게 된다.
이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자빨대(100a)는 음료를 제대로 삼키지 못해 음료를 입주변으로 흘리는 영유아나, 병원에 누워 있는 환자들에게 적합할 수 있다. 적은 양의 음료가 배출되므로 사용자가 흘리지 않고 음료를 음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자빨대(100b)의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자빨대(100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자빨대(100a)의 내벽면에 맛알갱이(170)가 부착된다. 맛알갱이(170)는 쵸코맛, 딸기맛, 멜론맛, 코코아맛 등의 다양한 맛을 내는 알갱이이다. 맛알갱이(170)들은 확장관(130)의 내벽면에 식용접착제 등을 이용해 부착하여 배치된다.
이렇게 확장관(130)의 내벽면에 맛알갱이(170)들이 부착되면, 흡입공(110)을 통해 일자빨대(100) 내부로 유입된 음료(a)가 맛알갱이(170)들과 접촉되고, 맛알갱이(170)가 음료(a)에 용융되어 혼합음료(b)로 혼합된다. 혼합음료(b)는 확장관(130)과 함몰관(140)을 따라 이동되며 계속하여 맛알갱이(170)와 접촉되어 농도가 점차 진해져서 배출공(120a)으로 배출된다.
이에 사용자는 평범한 우유를 마실 때, 서로 다른 맛알갱이(170)를 갖는 일자빨대(100b)를 꽂아 마시게 되면 딸기우유, 초코우유 등 다양한 맛의 우유를 마실 수 있게 된다.
맛알갱이(170)가 구비되는 일자빨대(100b)는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공(110)의 직경이 배출공(120) 보다 작게 형성되는 경우, 음료(a)의 이동속도가 느려져 맛알갱이(170)와 장시간 접촉되어 혼합음료(b)의 맛의 농도가 더 진해질 수 있어 바람직하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공(110)의 직경이 배출공(120) 보다 크게 형성되는 일자빨대(100a)에도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도 5는 도 4의 맛알갱이(170)가 구비된 일자빨대(100b)의 변형예에 따른 일자빨대(100c)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앞서 설명한 일자빨대(100b)는 맛알갱이(170)가 확장관(130)의 내벽면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장시간 음료(a)가 접촉하게 되면 맛알갱이(170)들이 확장관(130)의 내벽면으로부터 분리되어 일자빨대(100) 내부를 유동하게 될 수 있다. 입자가 큰 맛알갱이(170)들이 일자빨대(100) 내부를 유동하면 음료(a)와의 혼합율은 향상될 수 있으나 음료(a)의 이동을 방해할 수 있고, 맛알갱이(170)가 녹지 않은 상태로 배출공(120)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에 도 5의 일자빨대(100c)는 맛알갱이(170)의 위치이동을 저지하는 맛알갱이수용망(180)이 구비된다. 맛알갱이수용망(180)은 확장관(130)을 싸고 있는 한 쌍의 함몰관(140)의 벽면에 결합된다. 맛알갱이수용망(180)은 녹차티백과 같은 티백을 형성하는 재질로 형성되어 함몰관(140)의 벽면에 부착된다.
맛알갱이수용망(180)의 표면에는 음료이동공(181)이 복수개 관통형성된다. 복수개의 맛알갱이(170)들은 확장관(130)과 맛알갱이수용망(180)으로 형성된 공간에 수용된다.
음료(a)는 음료이동공(181)을 통해 확장관(130)으로 유입되어 맛알갱이(170)와 접촉되고, 맛알갱이(170)와 접촉된 혼합음료(b)는 다시 음료이동공(181)으로 배출되어 상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렇게 혼합음료(b)는 일자빨대(100b)의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되며 반복적으로 맛알갱이수용망(180)으로 유입 및 유출되며 맛알갱이(170)와 접촉되어 혼합음료(b)의 농도가 높아질 수 있다.
맛알갱이수용망(180)이 있는 경우에는 맛알갱이(170)의 외부유출이 차단되므로 액체에 용융되지 않는 녹차나 자스민차 같은 잎차가 수용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맛알갱이(170)의 종류에 따라 일자빨대 내부에 맛알갱이수용망을 선택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자빨대는 표면에 확장관과 함몰관이 교번적으로 반복 형성되어 울퉁불퉁하게 형성된다. 이에 의해 음료의 이동속도와 흡입력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자빨대는 울퉁불퉁한 요철형상에 의해 빨대 내부에서 음료의 이동경로가 길어지게 된다. 이에 의해 외기와의 접촉시간이 증가되어 뜨거운 음료를 빠른 시간에 식힐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확장관과 함몰관의 직경 차이에 의해 내부를 이동하는 음료에 와류가 형성되어 음료의 혼합률을 높일 수 있다. 이에 의해 침전이 발생되는 음료도 별도의 혼합과정 없이 끝까지 맛을 유지하며 음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이 일자빨대는 내벽면에 음료에 추가적인 맛을 부여하는 맛알갱이를 구비하여 음료 본연의 맛 외에 부가적인 다양한 맛을 부여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골라먹는 맛을 즐길 수 있게 된다.
다시 한 번 설명하면, 양단에 흡입공(110)과 배출공(120)이 형성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 형태의 확장관(130)과 함몰관(140)이 교번적으로 반복형성되고,
상기 확장관(130)과 상기 함몰관(140)을 연결하는 연결벽(150)이 더 포함되며,
상기 확장관(130)과 상기 함몰관(140)은 길이방향으로 따라 상기 흡입공(110)에서 상기 배출공(120)을 향해 점차 직경이 작아지게 형성되거나, 상기 흡입공(110)에서 상기 배출공(120)을 향해 점차 직경이 커지게 형성되고,
각각의 연결벽(150)에 의해 연결된 상기 확장관(130)과 상기 함몰관(140)에서 상기 확장관(130)은 상기 함몰관(140)에 비해 상대적으로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상기 배출공(120)에서 상기 흡입공(110) 까지의 상기 확장관(130)과 상기 함몰관(140)이 요철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흡입공(110)으로부터 흡입되어 상기 배출공(120)을 향해 이동되는 음료가 연결벽(150)을 따라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확장관(130)으로 이동되면서 확장관(130)의 벽면에 충돌해 속도가 느려지고, 다시 연결벽(150)을 타고 이동되어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상기 함몰관(140)으로 이동되면서 속도가 빨라지는 것으로 음료의 이동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요철형 일자빨대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요철형 일자빨대 110 : 흡입공
120 : 배출공 130 : 확장관
140 : 함몰관 150 : 연결벽
160,160a : 주름관 170 : 맛알갱이
180 : 맛알갱이수용망 181 : 음료이동공
a : 음료
b : 혼합음료

Claims (6)

  1. 양단에 흡입공과 배출공이 형성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 형태의 확장관과 함몰관이 교번적으로 반복형성되고,
    상기 확장관과 상기 함몰관을 연결하는 연결벽이 더 포함되며,
    상기 확장관과 상기 함몰관은 길이방향으로 따라 상기 흡입공에서 상기 배출공을 향해 점차 직경이 작아지게 형성되거나, 상기 흡입공에서 상기 배출공을 향해 점차 직경이 커지게 형성되고,
    각각의 연결벽에 의해 연결된 상기 확장관과 상기 함몰관에서 상기 확장관은 상기 함몰관에 비해 상대적으로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상기 배출공에서 상기 흡입공 까지의 상기 확장관과 상기 함몰관이 요철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흡입공으로부터 흡입되어 상기 배출공을 향해 이동되는 음료가 연결벽을 따라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확장관으로 이동되면서 확장관의 벽면에 충돌해 속도가 느려지고, 다시 연결벽을 타고 이동되어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상기 함몰관으로 이동되면서 속도가 빨라지는 것으로 음료의 이동속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철형 일자빨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벽은 수직면에 대해 일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철형 일자빨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관과 상기 함몰관의 길이는 서로 차등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배출공으로 배출되는 음료의 흡입압력과 음료의 이동속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철형 일자빨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관과 상기 함몰관 중 적어도 하나에는 길이를 변화하거나 형상을 조절할 수 있는 주름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철형 일자빨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관의 내벽면에는 상기 흡입공으로 흡입되는 음료와 혼합되어 음료맛을 배가시키거나 새로운 맛을 추가하는 맛알갱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철형 일자빨대.
  6. 제5항에 있어서,
    이웃하는 함몰관의 단부를 수직하게 연결하며 상기 맛알갱이의 이동을 저지하는 맛알갱이수용망을 더 포함하되,
    상기 맛알갱이수용망의 표면에는 상기 흡입공으로 유입된 음료가 유입된 후 상기 맛알갱이와 혼합된 혼합음료가 유출되는 음료이동공이 복수개 관통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철형 일자빨대.
KR1020170036099A 2017-03-22 2017-03-22 요철형 일자빨대 KR1019233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6099A KR101923305B1 (ko) 2017-03-22 2017-03-22 요철형 일자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6099A KR101923305B1 (ko) 2017-03-22 2017-03-22 요철형 일자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7594A KR20180107594A (ko) 2018-10-02
KR101923305B1 true KR101923305B1 (ko) 2018-11-28

Family

ID=63863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6099A KR101923305B1 (ko) 2017-03-22 2017-03-22 요철형 일자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33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2349B1 (ko) * 2021-05-25 2021-12-24 안병의 음료용 빨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98960B (zh) * 2020-07-03 2022-10-28 永康市君和不锈钢制品有限公司 一种水杯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7167Y1 (ko) * 1996-03-20 2002-10-31 안정오 음료수흡입용빨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7167Y1 (ko) * 1996-03-20 2002-10-31 안정오 음료수흡입용빨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2349B1 (ko) * 2021-05-25 2021-12-24 안병의 음료용 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7594A (ko) 2018-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04764B2 (en) Cup lid for beverages with foam
US3545980A (en) Combination straw and flavoring
US9463423B2 (en) Wine aerator
CN100443385C (zh) 加调味品的饮料吸管
KR101923305B1 (ko) 요철형 일자빨대
CN109890254B (zh) 提供任何角度饮用的饮用杯
US20200297152A1 (en) Flow-optimized pour over coffee brewing system
US4191302A (en) Child's drinking container
JP2012511991A (ja) 固形食品が内蔵されたスライディングストロー
US9060918B1 (en) Attachable mouthpiece spout for use with food packaging
US20110101008A1 (en) Drink Cup Baffle Device and Drink Cup System
US6929191B2 (en) Straw
CN203075243U (zh) 挠性饮用训练饮嘴
WO2015023071A1 (ko) 일회용 포장 컵
CA2777990A1 (en) Drinking straw for proportioning concentrate and diluent in the mouth
JP2003506179A (ja) 流出防止カップ
KR101919690B1 (ko) 다기능 삼각빨대
CN201398799Y (zh) 双珠式饮料调味吸管
CN208725410U (zh) 一种多功能高安全绿色环保吸管
CN206534475U (zh) 一种用于吸食饮品的多功能吸管
CN206006787U (zh) 一种新型带通道茶盘
KR200476482Y1 (ko) 분리체가 구비된 음료용 컵
CN212698429U (zh) 一种奶茶杯
CN217547703U (zh) 一种新型吸管杯
TWI694959B (zh) 飲料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