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3156B1 - 전원공급장치 분리형 자동소화장치 - Google Patents

전원공급장치 분리형 자동소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3156B1
KR101923156B1 KR1020170111070A KR20170111070A KR101923156B1 KR 101923156 B1 KR101923156 B1 KR 101923156B1 KR 1020170111070 A KR1020170111070 A KR 1020170111070A KR 20170111070 A KR20170111070 A KR 20170111070A KR 101923156 B1 KR101923156 B1 KR 1019231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power supply
gas
unit
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1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현철
Original Assignee
다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다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11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31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31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31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4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connection with doors, windows, ventilators, partitions, or shutters, e.g. automatic closing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4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with electrically-controlled relea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5/00Protection or supervision of installations
    • F17D5/02Preventing, monitoring, or locating loss
    • F17D5/06Preventing, monitoring, or locating loss using electric or acoustic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메인보드인 수신부에 일체로 구현된 전원공급장치(SMPS; switched mode power supply)를 메인보드로부터 분리 구현하여 상호 노이즈 간섭을 제거하고, 메인 보드의 소형화를 추구하며, 수리 또는 교체 시 전원공급장치와 메인보드를 별개로 처리함으로써 불필요한 수리 낭비를 방지하도록 한 전원공급장치 분리형 자동소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후드 외부에 독립적으로 설치되어 전원을 공급해주는 전원공급장치, 전원공급장치로부터 구동용 전원을 공급받고, 가스 누설 탐지 및 화재 감지를 수행하고, 가스 누설 탐지 및 화재 감지시 자동으로 가스 차단 및 소화 동작을 수행하며,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와 무선 통신을 하여 제어 명령을 실시간 수신하거나 상황 정보를 상기 모바일 기기로 실시간 전송하는 후드 내부 장치를 포함하여, 전원공급장치 분리형 자동소화장치를 구현한다.

Description

전원공급장치 분리형 자동소화장치{SMPS detachable automatic fire extinguisher}
본 발명은 전원공급장치 분리형 자동소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메인보드인 수신부에 일체로 구현된 전원공급장치(SMPS; switched mode power supply)를 메인보드로부터 분리 구현하여 상호 노이즈 간섭을 제거하고, 메인 보드의 소형화를 추구하며, 수리 또는 교체 시 전원공급장치와 메인보드를 별개로 처리함으로써 불필요한 수리 낭비를 방지하도록 한 전원공급장치 분리형 자동소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에서 주거환경은 사용연료, 주거방식 등에서 급격한 변화를 겪고 있으며, 에너지원으로 주로 가스를 사용하며 아파트와 같은 고층밀집화되는 형태로 변화하고 있다.
고층밀집화되는 국내 거주환경과 가스 사용은 부주의한 가스사용, 고의 훼손, 시설 노후화 등에 의한 가스 사고 발생시 화재, 폭발 등에 의한 2차 사고로 확대되어 대규모 인명 피해와 재산 피해가 수반된다. 따라서 가스 사용과 시설 설치에 필요한 안전 규칙 준수와 안전시설 확보가 중요하다.
가스사고는 2007년 264건을 정점으로 2014년까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으며, 인명피해 또한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사고 감소의 주된 원인은 주요 에너지원을 사고 발생이 높은 LPG에서 도시가스로 변경하고, 다기능 계량기, 타이머 콕, 퓨즈 콕, 주거용 주방 자동소화장치와 같은 각종 가스 안전시설의 보급 확대에 기인한다고 할 수 있다.
예컨대, 퓨즈 콕은 저렴한 가격에 고의적 훼손에 의한 가스 누출을 예방할 수 있지만, 미세한 누출과 사용상의 부주의에 의한 누출을 차단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아울러 타이머 콕은 퓨즈 콕 위에 기계식 또는 전자식 차단장치를 설치하여 사용시간을 설정하여 자동으로 가스를 차단하고, 화재 또는 가스 탐지기에 의해 가스 누설이 확인되면 자동으로 가스를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은 있다. 반면, 설치비와 구매비용이 발생하여 보급이 어렵고, 제품 제조에 필요한 기술적 난이도가 낮아 시장경쟁 악화로 저가 제품이 난무하고 있으며, 제품에 대한 최소한의 기능만 시험하는 한국가스안전공사의 성능인정만으로 제품 판매가 가능하므로 제품에 대한 신뢰성과 안전성을 보장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다기능 가스 안전 계량기는 가스 인입 배관의 누설을 감지하고, 지진 센서를 장착하여 가스 누출과 지진에 대비하고 있지만, 외부에 설치하여 사용자가 실내에서 조작할 수 없으므로 사용이 불편하고, 가격경쟁력이 낮아 보급이 확산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일반적인 주거용 주방 자동소화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드 외부 장치(10)와 후드 내부 장치(20)로 대별된다.
후드 내부 장치(10)에는 가스 차단기(11)와 조작부(12)가 마련되고, 후드 내부 장치(20)에는 온도 센서(22)와 가스 탐지부(21)와 소화액 분사를 위한 노즐(24)과 화재 진압을 수행하는 소화기(25) 및 화재 발생과 작동 여부를 판단하고 동작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메인 보드인 수신부(23)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수신부(23)는 제어를 위한 중앙처리장치(CPU)와 메모리 등을 포함하는 제어 보드와 전원공급을 위한 전원공급장치(SMPS)가 마련된 전원 보드가 일체로 하나의 보드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일반적인 주거용 주방 자동소화장치는 가스 탐지부(21)에서 가스를 탐지하고, 가스 누설이 탐지되면 메인보드인 수신부(23)에서 자동으로 가스 차단기(11)를 제어하여 가스를 차단한다.
아울러 온도센서(22)에서 온도를 검출하여 수신부(23)에 전달하고, 수신부(23)에서 검출한 온도를 분석하여 화재로 인지되면 소화기(25)를 자동으로 동작시켜, 소화를 위한 소화액을 노즐(24)을 통해 분사하여, 화재를 진압하게 된다.
이러한 일반적인 주거용 주방 자동소화장치는 가스 누설 탐지나 차단 동작, 그리고 화재 감지 및 화재 진압 동작만을 단순히 수행할 뿐,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가스 누설 탐지나 차단 동작, 화재 감지 및 진압 동작을 보고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외부에서 사용자가 가스 차단 동작이나 소화기 동작 등을 원격 제어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원격 제어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도 2와 같이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30)와 메인보드인 수신부(26)가 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예컨대, 수신부(26)에서는 가스 누설 탐지, 화재 감지 등의 정보와 가스 차단 동작이나 화재 진압 동작에 대한 상황정보를 실시간으로 원격의 모바일 기기(30)로 전송하고, 사용자는 원격에서 모바일 기기(30)를 통해 가스 누설 탐지, 화재 감지 등의 정보와 가스 차단 동작이나 화재 진압 동작에 대한 상황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한다.
여기서 수신부(26)는 제어를 위한 중앙처리장치(CPU)와 메모리 등을 포함하는 제어 보드와 전원공급을 위한 전원공급장치(SMPS)가 마련된 전원 보드가 일체로 하나의 보드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사용자가 모바일 기기(30)를 이용하여 외부에서 수신부(26)로 가스 차단 동작이나 소화기 동작에 대해 제어명령을 전송하여, 외부에서 실시간으로 가정 내의 자동소화장치를 제어하게 된다.
한편, 근래에는 자동소화장치에 상기와 같은 다양한 안전장치의 단점을 보완하고 최적의 안전장치를 구현하기 위해, 사물인터넷(IoT) 기반의 IT 기술을 활용한 첨단 기술의 안전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단순한 가스 차단에서 사물인터넷(IoT) 기술과 정보통신기술을 접목하여 가정 내에서 발생하는 화재, 가스누출 등의 각종 재난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으로 발전하고 있는 추세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ICT 기술을 접목한 안전장치에 대한 종래기술이 하기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4> 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가스레인지의 점화스위치의 상태를 감지하는 가스레인지점화스위치 개폐 감지부, 점화스위치 상태 신호를 처리하는 제어부, 모터가 내장된 구동부, 구동부의 동작에 따라 움직이는 중간밸브를 포함하여 가스누출감지가 가능한 자동가스차단기를 구현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가스 누출 감지 기능을 이용하여, 가스레인지의 점화 스위치의 상태에 따라 자동으로 가스밸브의 상태가 바뀌어 자동으로 가스를 차단하게 된다.
또한, <특허문헌 2> 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가스 기기, 가스 중간밸브, 가스 차단밸브, 가스 자동 차단밸브, 압력 검출센서 및 안전 제어기로 가스 누설 자동 감지 및 차단장치를 구현하며, 이러한 구성을 통해 가스기기의 점화, 소화, 가스 누출에 따른 가스 연소 여부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판단한다.
또한, <특허문헌 3> 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화재 또는 가스 누출 또는 가스 차단기 자체의 내부 발열 등에 의해 이상 감지시 자동으로 가스 밸브를 폐쇄하는 동시에 사용자가 수동으로 설정한 시간 이내에 가스 밸브를 폐쇄하도록 구현함으로써 보다 안전하면서도 편리한 스마트 가스 차단기를 제공한다.
또한, <특허문헌 4> 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월 패드(Wall pad)라 불리는 홈오토메이션과 무선통신을 하는 주방에 설치된 주방TV와 시리얼 통신으로 사용되는 회선 인터페이스인 RS-485로 통신하면서 주방 TV의 제어에 의해 가스를 감지하고, 정전 및 화재를 감지하여, 자동잠금장치에 내장된 모터와 구동기어를 작동하여 가스 차단기를 자동으로 폐쇄하도록 하여 가스 흐름을 차단하는 스마트 가스 안전차단기를 제공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44704호(2014.09.19. 등록)(가스누출감지가 가능한 자동가스차단기)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42207호(2014.09.12. 등록)(가스 누설 자동 감지 및 차단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23277호(2014.07.18. 등록)(스마트 가스 차단기)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553050호(2015.09.08. 등록)(스마트 가스 안전차단기)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들은 가스 누설을 감지하고, 가스 누설 감지시 자동으로 가스를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메인보드인 수신부에서 전원공급장치(SMPS)가 마련된 전원 보드와 제어 보드가 일체로 형성되어, 양 보드 간에 상호 노이즈 간섭을 주는 단점이 있다.
여기서 양 보드가 상호 노이즈 간섭을 하게 되면, 제어 보드에서는 검출 신호의 오류 등으로 인해 오작동을 하는 문제를 유발할 수 있으며, 전원 보드에서도 노이즈에 의해 오동작을 하여 정상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두 개의 보드가 하나의 보드에 내장되어 있어서, 어느 특정 부분에 고장이 발생하여 보드를 교체할 경우, 불필요하게 양 보드를 모두 교체하여 수리비용을 낭비하는 단점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메인보드인 수신부에 일체로 구현된 전원공급장치(SMPS; switched mode power supply)를 메인보드로부터 분리 구현하여 상호 노이즈 간섭을 제거하고, 메인 보드의 소형화를 추구하며, 수리 또는 교체 시 전원공급장치와 메인보드를 별개로 처리함으로써 불필요한 수리 낭비를 방지하도록 한 전원공급장치 분리형 자동소화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원공급장치 분리형 자동소화장치는 후드 외부에 독립적으로 설치되어 전원을 공급해주는 전원공급장치; 상기 전원공급장치로부터 구동용 전원을 공급받고, 가스 누설 탐지 및 화재 감지를 수행하고, 가스 누설 탐지 및 화재 감지시 자동으로 가스 차단 및 소화 동작을 수행하며,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와 무선 통신을 하여 제어 명령을 실시간 수신하거나 상황 정보를 상기 모바일 기기로 실시간 전송하는 후드 내부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전원공급장치는 입력되는 상용 교류 전원을 소정의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원 변환부; 상기 전원 변환부에서 변환된 직류 전원을 배터리에 충전하는 충전부; 상기 배터리의 충전량을 기반으로 상기 충전부의 충전을 제어하며, 상기 상용 교류 전원이 정상적으로 입력되면 변환된 직류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상용 교류 전원이 차단되면 상기 배터리의 충전 전원을 비상전원으로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전원 제어부; 상기 전원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전원 변환부의 변환 전원 또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 전원 중 어느 하나를 전원으로 상기 후드 내부 장치에 공급해주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전원 제어부는 상용 교류 전원 입력 상태 정보와 상용 교류 전원 단선 상태정보와 비상전원 정상상태정보 및 비상전원 단선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전원 상태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후드 내부 장치에 전송토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전원공급장치는 상기 전원 제어부에서 생성된 전원 상태정보를 TTL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후드 내부 장치의 수신부에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후드 내부 장치는 가스를 감지하는 가스 탐지부;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 상기 전원공급장치로부터 구동용 전원을 공급받고, 가스 누설 탐지 및 화재 감지를 수행하며, 가스 누설 탐지 및 화재 감지 시 자동으로 가스 차단 및 소화 동작을 수행하며,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와 무선 통신을 하여 제어 명령을 실시간 수신하거나 상황 정보를 상기 모바일 기기로 실시간 전송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의 제어에 따라 화재 진압을 위한 소화액을 노즐을 통해 분사토록 제어하는 소화기; 조작 명령을 상기 수신부에 입력하기 위한 조작 수단; 상기 수신부의 제어에 따라 가스 누설 탐지 시 가스 차단을 수행하는 가스 차단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수신부는 전원공급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가스 차단 동작 및 화재 진압을 위한 제어 보드만이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메인보드인 수신부에 일체로 구현된 전원공급장치(SMPS; switched mode power supply)를 메인보드로부터 분리 구현함으로써, 두 보드 간의 상호 노이즈 간섭을 제거하여,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원공급장치를 메인보드로부터 분리함으로써 메인 보드의 소형화를 추구할 수 있으며, 수리 또는 교체 시 전원공급장치와 메인보드를 별개로 처리함으로써 불필요한 수리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주거용 주방 자동소화장치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종래 주거용 주방 자동소화장치의 개략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원공급장치 분리형 자동소화장치의 구성도,
도 4는 도 3의 전원공급장치의 실시 예 블록 구성도,
도 5a는 기존 수신부의 구성 예시도, 도 5b는 본 발명에서 메인보드를 전원공급 보드와 제어 보드로 분리 독립시킨 구성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원공급장치 분리형 자동소화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원공급장치 분리형 자동소화장치의 구성도로서, 크게 후드 외부 장치(100)와 후드 내부 장치(200)로 대별되고, 후드 외부 장치(100)는 독립적으로 설치되어 전원을 공급해주는 전원공급장치(SMPS)(110)가 독립적으로 구성된다.
상기 전원공급장치(11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되는 상용 교류 전원을 소정의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원 변환부(111), 상기 전원 변환부(111)에서 변환된 직류 전원을 배터리(113)에 충전하는 충전부(112), 상기 배터리(113)의 충전량을 기반으로 상기 충전부(112)의 충전을 제어하며, 상기 상용 교류 전원이 정상적으로 입력되면 변환된 직류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상용 교류 전원이 차단되면 상기 배터리(113)의 충전 전원을 비상전원으로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전원 제어부(115), 상기 전원 제어부(115)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전원 변환부(111)의 변환 직류 전원 또는 상기 배터리(113)의 충전 전원 중 어느 하나를 전원으로 상기 후드 내부 장치(200)에 공급해주는 전원 공급부(114)를 포함한다.
상기 전원 제어부(115)는 상용교류 전원 입력 상태정보와 상용 교류 전원 단선 상태정보와 비상전원 정상상태정보 및 비상전원 단선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전원 상태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후드 내부 장치(200)에 전송토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장치(110)는 상기 전원 제어부(115)에서 생성된 전원 상태정보를 TTL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후드 내부 장치(200)의 수신부(207)에 전송하는 통신부(116)를 더 포함한다.
상기 후드 내부 장치(200)는 상기 전원공급장치(110)로부터 구동용 전원을 공급받고, 가스 누설 탐지 및 화재 감지를 수행하고, 가스 누설 탐지 및 화재 감지시 자동으로 가스 차단 및 소화 동작을 수행하며,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300)와 무선 통신을 하여 제어 명령을 실시간 수신하거나 상황 정보를 상기 모바일 기기(300)로 실시간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후드 내부 장치(200)는 가스를 감지하는 가스 탐지부(201),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202), 상기 전원공급장치(110)로부터 구동용 전원을 공급받고, 가스 누설 탐지 및 화재 감지를 수행하며, 가스 누설 탐지 및 화재 감지 시 자동으로 가스 차단 및 소화 동작을 수행하며,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300)와 무선 통신을 하여 제어 명령을 실시간 수신하거나 상황 정보를 상기 모바일 기기(300)로 실시간 전송하는 수신부(207), 상기 수신부(207)의 제어에 따라 화재 진압을 위한 소화액을 노즐(204)을 통해 분사토록 제어하는 소화기(205), 조작 명령을 상기 수신부(207)에 입력하기 위한 조작 수단(203), 상기 수신부(207)의 제어에 따라 가스 누설 탐지 시 가스 차단을 수행하는 가스 차단기(206)를 포함한다.
상기 수신부(207)는 전원공급장치(1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가스 차단 동작 및 화재 진압을 위한 제어 보드만이 내장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전원공급장치 분리형 자동소화장치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 도 3 내지 도 5b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자동소화장치는 전원을 공급해주는 전원공급장치(110)를 후드 외부 장치(100)에 독립적으로 구현하고, 후드 내부 장치(200)의 수신부(207)에는 제어보드 만을 내장하여, 전원 공급과 제어 동작을 분리시켰다.
기존에는 도 5a와 같이 하나의 메인 보드(26)에 제어 보드와 전원 보드가 함께 내장되어, 상호 노이즈 간섭이 발생하였으며, 이로 인해 제어 보드는 노이즈로 인해 검출 오류가 발생하고 오동작을 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기존 메인보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보드의 전원 보드인 전원공급장치(110)와 제어 보드인 수신부(207)를 분리하여 독립적으로 구현함으로써, 상호 노이즈 간섭을 제거하여 정상적인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후드 외부 장치(100)에 독립적으로 구현된 전원공급장치(11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 변환부(111)에서 입력되는 상용 교류 전원(AC 220V)을 소정의 직류 전원(DC)으로 변환하여 공급한다.
충전부(112)는 상기 전원 변환부(111)에서 변환된 직류 전원을 정전압 및/또는 정전류로 만들어 배터리(113)에 충전한다. 여기서 배터리 충전 제어는 전원 제어부(115)에서 실시간으로 배터리(113)의 충전량(전압, 전류)을 검출하고, 풀 충전이면 배터리(113)의 손상 등을 방지하기 위해서 충전부(112)를 제어하여 배터리(113)의 충전을 제어한다.
한편, 상기 전원 제어부(115)는 상용 교류 전원이 정상적으로 입력되면 변환된 직류 전원을 공급하도록 전원 공급부(114)를 제어하게 되며, 상기 상용 교류 전원이 차단되면 상기 배터리(113)의 충전 전원을 비상전원으로 공급하도록 상기 전원 공급부(114)를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에 따라 전원 공급부(114)는 상기 전원 변환부(111)에서 변환된 직류 전원 또는 상기 배터리(113)의 충전 전원 중 어느 하나를 전원으로 선택하여, 상기 후드 내부 장치(200)에 공급해준다.
여기서 배터리(113)는 비상 전원(예비전원)의 역할을 하며, 이로써 정전으로 상용 교류 전원이 차단되거나 단선이 발생하여도 배터리(113)에 충전된 전원으로 일정시간 동안은 정상적으로 후드 내부 장치(200)에 전원을 공급해줄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전원 제어부(115)는 지속적으로 상용교류 전원 입력 상태정보와 상용 교류 전원 단선 상태정보와 비상전원 정상상태정보 및 비상전원 단선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다양한 정보를 기초로 전원 상태정보를 생성하여 통신부(116)에 전달한다. 상기 통신부(116)는 상기 전원 제어부(115)에서 생성된 전원 상태정보를 TTL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후드 내부 장치(200)의 수신부(207)에 전송한다.
다음으로, 후드 내부 장치(200)의 수신부(207)는 상기 전원공급장치(11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으로 구동을 하여, 가스 탐지, 화재 감지, 가스 차단, 화재 소화, 데이터 통신 등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예컨대, 온도 센서(202)는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수신부(207)에 전달하고, 가스 탐지부(201)는 가스 누설을 탐지하여 가스 누설이 탐지되면 가스 감지신호를 상기 수신부(207)에 전달한다.
상기 수신부(207)는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상기 가스 탐지부(201)와 온도 센서(202)를 이용하여 가스 누설 및 화재를 감지한다. 이어, 감지신호 분석을 통해 가스 누설 탐지나 화재 감지와 같은 이상 상황이 발생하면 상황별 제어 동작을 수행하여 자동으로 가스 차단 및/또는 화재 방지 동작을 수행한다.
예컨대, 가스 누설이 탐지되면 가스 차단기(206)에 동작 제어 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이러한 동작 제어 신호에 따라 가스 차단기(206)는 자동으로 동작을 하여 가스를 차단하게 된다. 가스 차단 동작은 솔레노이드를 이용하여 가스 차단 밸브를 폐쇄하는 것으로서,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아울러 화재 감지로 판단이 되면, 상기와 같이 가스 차단기(206)를 동작시켜 자동으로 가스를 차단함과 동시에 소화기(205)를 동작시켜 노즐(204)을 통해 소화액(또는 물)을 분사하여 자동으로 소화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수신부(207)는 가스 탐지나 화재 감지 등의 이상 상황이 발생하면 이상 상황에 알맞은 상황 정보를 생성하여, 무선 통신으로 사용자가 휴대한 모바일 기기(300)로 전송한다.
이로써 사용자는 원격에 위치해서도 실시간으로 가스 탐지나 화재 발생 등의 상황을 인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사용자는 원격에서 사용자가 휴대한 모바일 기기(300)를 이용하여 가스 차단 제어명령이나 소화를 위한 소화 제어 명령을 무선 통신으로 전송하여, 후드 내부 장치(200)의 수신부(207)로 전송한다.
수신부(207)는 원격에서 사용자가 모바일 기기(300)를 통해 특정 제어 명령을 전송하면, 그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이로써 자동소화장치는 홈오토메이션과 같은 동작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메인보드인 수신부에 일체로 구현된 전원공급장치(SMPS; switched mode power supply)를 메인보드로부터 분리 구현함으로써, 두 보드 간의 상호 노이즈 간섭을 제거할 수 있어,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원공급장치를 메인보드로부터 분리함으로써 메인 보드의 소형화를 추구할 수 있으며, 수리 또는 교체 시 전원공급장치와 메인보드를 별개로 처리함으로써 불필요한 수리 낭비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본 발명은 주거용 자동소화장치에서 메인보드인 수신부를 제어 보드와 전원 보드로 분리하고, 전원 보드를 메인보드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독립적으로 설치함으로써, 양 보드 간의 상호 노이즈 간섭 등을 억제하는 기술에 적용된다.
100: 후드 외부 장치
110: 전원공급장치
111: 전원 변환부
112: 충전부
113: 배터리
114: 전원 공급부
115: 전원 제어부
116: 통신부

Claims (6)

  1. 후드 외부에 독립적으로 설치되어 전원을 공급해주는 전원공급장치;
    상기 전원공급장치로부터 구동용 전원을 공급받고, 가스 누설 탐지 및 화재 감지를 수행하고, 가스 누설 탐지 및 화재 감지시 자동으로 가스 차단 및 소화 동작을 수행하며,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와 무선 통신을 하여 제어 명령을 실시간 수신하거나 상황 정보를 상기 모바일 기기로 실시간 전송하는 후드 내부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후드 내부 장치는 제어 보드만을 내장하여, 전원 공급과 제어 동작을 분리되게 동작하여 제어 보드와 전원 보드 간의 노이즈 간섭제거로 검출 오류 발생을 방지하며,
    상기 전원공급장치는 상용 교류 전원 입력 상태 정보와 상용 교류 전원 단선 상태정보와 비상전원 정상상태정보 및 비상전원 단선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전원 상태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후드 내부 장치에 전송토록 제어하는 전원 제어부; 상기 전원 제어부에서 생성된 전원 상태정보를 TTL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후드 내부 장치의 수신부에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장치 분리형 자동소화장치.
  2. 청구항 1에서, 상기 전원공급장치는 입력되는 상용 교류 전원을 소정의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원 변환부; 상기 전원 변환부에서 변환된 직류 전원을 배터리에 충전하는 충전부; 상기 전원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전원 변환부의 변환 전원 또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 전원 중 어느 하나를 전원으로 상기 후드 내부 장치에 공급해주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장치 분리형 자동소화장치.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서, 상기 후드 내부 장치는 가스를 감지하는 가스 탐지부;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 상기 전원공급장치로부터 구동용 전원을 공급받고, 가스 누설 탐지 및 화재 감지를 수행하며, 가스 누설 탐지 및 화재 감지 시 자동으로 가스 차단 및 소화 동작을 수행하며,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와 무선 통신을 하여 제어 명령을 실시간 수신하거나 상황 정보를 상기 모바일 기기로 실시간 전송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의 제어에 따라 화재 진압을 위한 소화액을 노즐을 통해 분사토록 제어하는 소화기; 조작 명령을 상기 수신부에 입력하기 위한 조작 수단; 상기 수신부의 제어에 따라 가스 누설 탐지 시 가스 차단을 수행하는 가스 차단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장치 분리형 자동소화장치.
  6. 청구항 5에서, 상기 수신부는 전원공급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가스 차단 동작 및 화재 진압을 위한 제어 보드만이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장치 분리형 자동소화장치.







KR1020170111070A 2017-08-31 2017-08-31 전원공급장치 분리형 자동소화장치 KR1019231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1070A KR101923156B1 (ko) 2017-08-31 2017-08-31 전원공급장치 분리형 자동소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1070A KR101923156B1 (ko) 2017-08-31 2017-08-31 전원공급장치 분리형 자동소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3156B1 true KR101923156B1 (ko) 2018-11-28

Family

ID=64561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1070A KR101923156B1 (ko) 2017-08-31 2017-08-31 전원공급장치 분리형 자동소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315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9329Y1 (ko) * 2005-06-17 2005-10-25 조용훈 수·배전반 자동 소화장치
KR101311016B1 (ko) * 2011-12-02 2013-09-24 (주)서한에프앤씨 유무선통신 제어 비상피난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9329Y1 (ko) * 2005-06-17 2005-10-25 조용훈 수·배전반 자동 소화장치
KR101311016B1 (ko) * 2011-12-02 2013-09-24 (주)서한에프앤씨 유무선통신 제어 비상피난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4338B1 (ko) 전기 또는 가스로 인한 주방 화재의 자동 소화 시스템
US5126934A (en) Gas distribution system
EP2686601B1 (en) Arrangement comprising a gas delivery control system and a central heating installation and gas delivery control method
US6766835B1 (en) Tank monitor system
EA018169B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тсечки текучей среды и газовый счетчик с устройством для отсечки текучей среды
KR20190023613A (ko) 수신부 일체형 자동소화장치
CN109027376B (zh) 一种燃气使用的安全监控系统
CA2668734A1 (en) Wireless smoke detector power cut-off system
KR101444704B1 (ko) 가스누출감지가 가능한 자동가스차단기
KR101442207B1 (ko) 가스 누설 자동 감지 및 차단장치
TW201516344A (zh) 以無線訊號控制瓦斯開關之裝置
KR101923156B1 (ko) 전원공급장치 분리형 자동소화장치
JP6074060B2 (ja) 浸水監視保護装置
JP4952091B2 (ja) ガス誤使用防止および遮断装置
KR101564195B1 (ko) 가스 안전 지킴 장치
KR101611503B1 (ko) 주방용 화재 방재장치
KR100760982B1 (ko) 가스 오사용 방지용 자동차단장치
KR20130098791A (ko) 주방용 자동소화장치의 환기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429154Y1 (ko) 자동 소화 장치
CN110879277A (zh) 一种燃气监测系统及其方法
KR20140067319A (ko) 가스 누설 자동 차단장치
KR20130059248A (ko) 자동 소화 시스템
KR102004899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가스기기의 밸브 차단 및 화재 자동소화장치
CN117685605A (zh) 一种燃气灶、油烟机和排风扇联动的安全控制系统
JP3230713U (ja) 遠隔制御可能なマイコンガスメー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