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3155B1 - 비내력벽 구조물 내진 보강 구조 시스템 - Google Patents
비내력벽 구조물 내진 보강 구조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23155B1 KR101923155B1 KR1020180042829A KR20180042829A KR101923155B1 KR 101923155 B1 KR101923155 B1 KR 101923155B1 KR 1020180042829 A KR1020180042829 A KR 1020180042829A KR 20180042829 A KR20180042829 A KR 20180042829A KR 101923155 B1 KR101923155 B1 KR 10192315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eel wire
- column
- fixed
- slit
- be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1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0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0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5
- 238000005728 strengthe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RNFJDJUURJAICM-UHFFFAOYSA-N 2,2,4,4,6,6-hexaphenoxy-1,3,5-triaza-2$l^{5},4$l^{5},6$l^{5}-triphosphacyclohexa-1,3,5-triene Chemical compound N=1P(OC=2C=CC=CC=2)(OC=2C=CC=CC=2)=NP(OC=2C=CC=CC=2)(OC=2C=CC=CC=2)=NP=1(OC=1C=CC=CC=1)OC1=CC=CC=C1 RNFJDJUURJAIC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3063 flame retard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4570 mortar (mason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1150 reinforced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420 retrofit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2396 Polyurea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449 bri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02 gyps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40 gyps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1—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18—Increasing or restoring the load-bearing capacity of building constructio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이를 위해, 기둥과 보 사이에 비내력벽이 시공되고, 상기 비내력벽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내진 보강 수단이 설치되며, 상기 내진 보강 수단은, 상기 기둥 및 상기 보에 고정되되, 일면은 기둥 또는 보에 고정되고 타면은 비내력벽에 고정된 고정체;상기 기둥 및 상기 보 사이에 설치되되, 양단부는 마주하는 고정체를 통해 상기 기둥 또는 상기 보에 고정된 복수의 강선;상기 강선에 설치되며, 강선에 텐션(tension)을 제공하여 강선을 보강하는 강선 보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강선은 와이어로 제공되고, 상기 강선 보강수단은, 복수의 강선을 덮어 강선에 밀착된 밀착 플레이트와, 상기 밀착 플레이트를 통해 비내력벽에 고정된 체결수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체는, 상기 기둥이나 보의 일면에 밀착된 밀착면과, 상기 밀착면으로부터 절곡되어 비내력벽에 고정된 고정면과, 상기 고정면으로부터 비내력벽의 반대측을 향해 절곡된 절곡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밀착면과 절곡면에는 각각,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절개되어 강선이 보나 기둥에 고정될 수 있도록 지나가는 통로인 슬릿이 형성되고, 슬릿의 단부에는 슬릿의 단부로부터 슬릿의 일측으로 치우친 이탈방지공이 형성되되, 이탈방지공의 상단부는 슬릿의 하단부보다 높은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내력벽 구조물 내진 보강 구조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때, 상기 강선의 양단부는 기둥이나 보 내부에 케미컬 앵커를 통해 고정되고, 상기 강선이 와이어일 때, 압착그립이 절곡면에 위치되어 상기 고정체를 지나는 와이어를 당겨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도 1의 "A"부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비내력벽 구조물 내진 보강 구조 시스템을 나타낸 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비내력벽 구조물 내진 보강 구조 시스템의 고정체 요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비내력벽 구조물 내진 보강 구조 시스템을 나타낸 횡단면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비내력벽 구조물 내진 보강 구조 시스템의 강선 보강수단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비내력벽 구조물 내진 보강 구조 시스템의 변형 예를 나타낸 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비내력벽 구조물 내진 보강 구조 시스템을 나타낸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비내력벽 구조물 내진 보강 구조 시스템의 내진 보강수단 요부를 나타낸 단면도.
즉, 밀착면(110)의 일측은 슬릿(1112)에 의해 개구되는 것이다.
111,121,131 : 고정공 112,132 : 슬릿
120 : 고정면 130 : 절곡면
200 : 강선(와이어) 210 : 강선(볼트형 강봉)
300 : 강선 보강수단 310 : 밀착 플레이트
320 : 체결수단 330 : 고정 브라켓
340 : 돌출바 350 : 덮개부재
351 : 통공 352 : 강선홈
360 : 체결너트 370 : 커플러
W : 비내력벽 G : 압착그립
P : 완충패드 M : 몰타르
F : 난연재
Claims (7)
- 기둥과 보 사이에 비내력벽이 시공되고,
상기 비내력벽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내진 보강 수단이 설치되며,
상기 내진 보강 수단은,
상기 기둥 및 상기 보에 고정되되, 일면은 기둥 또는 보에 고정되고 타면은 비내력벽에 고정된 고정체;
상기 기둥 및 상기 보 사이에 설치되되, 양단부는 마주하는 고정체를 통해 상기 기둥 또는 상기 보에 고정된 복수의 강선;
상기 강선에 설치되며, 강선에 텐션(tension)을 제공하여 강선을 보강하는 강선 보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강선은 와이어로 제공되고,
상기 강선 보강수단은,
복수의 강선을 덮어 강선에 밀착된 밀착 플레이트와, 상기 밀착 플레이트를 통해 비내력벽에 고정된 체결수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체는,
상기 기둥이나 보의 일면에 밀착된 밀착면과,
상기 밀착면으로부터 절곡되어 비내력벽에 고정된 고정면과,
상기 고정면으로부터 비내력벽의 반대측을 향해 절곡된 절곡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밀착면과 절곡면에는 각각,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절개되어 강선이 보나 기둥에 고정될 수 있도록 지나가는 통로인 슬릿이 형성되고, 슬릿의 단부에는 슬릿의 단부로부터 슬릿의 일측으로 치우친 이탈방지공이 형성되되, 이탈방지공의 상단부는 슬릿의 하단부보다 높은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내력벽 구조물 내진 보강 구조 시스템. - 삭제
- 기둥과 보 사이에 비내력벽이 시공되고,
상기 비내력벽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내진 보강 수단이 설치되며,
상기 내진 보강 수단은,
상기 기둥 및 상기 보에 고정되되, 일면은 기둥 또는 보에 고정되고 타면은 비내력벽에 고정된 고정체;
상기 기둥 및 상기 보 사이에 설치되되, 양단부는 마주하는 고정체를 통해 상기 기둥 또는 상기 보에 고정된 복수의 강선;
상기 강선에 설치되며, 강선에 텐션(tension)을 제공하여 강선을 보강하는 강선 보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강선은 와이어로 제공되고,
상기 강선 보강수단은,
상기 비내력벽에 고정된 고정 브라켓;
상기 고정 브라켓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되 수나사산이 형성되며, 강선이 지나는 경로를 제공하는 복수의 돌출바;
상기 돌출바가 통과되는 통공이 형성되며, 돌출바를 따라 이동하여 돌출바의 강선이 지나는 경로에 위치된 강선에 밀착되는 덮개부재;
상기 덮개부재의 통공을 통해 노출된 돌출바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덮개부재를 강선에 압착시키는 체결너트: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체는,
상기 기둥이나 보의 일면에 밀착된 밀착면과,
상기 밀착면으로부터 절곡되어 비내력벽에 고정된 고정면과,
상기 고정면으로부터 비내력벽의 반대측을 향해 절곡된 절곡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밀착면과 절곡면에는 각각,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절개되어 강선이 보나 기둥에 고정될 수 있도록 지나가는 통로인 슬릿이 형성되고, 슬릿의 단부에는 슬릿의 단부로부터 슬릿의 일측으로 치우친 이탈방지공이 형성되되, 이탈방지공의 상단부는 슬릿의 하단부보다 높은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내력벽 구조물 내진 보강 구조 시스템. - 기둥과 보 사이에 비내력벽이 시공되고,
상기 비내력벽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내진 보강 수단이 설치되며,
상기 내진 보강 수단은,
상기 기둥 및 상기 보에 고정되되, 일면은 기둥 또는 보에 고정되고 타면은 비내력벽에 고정된 고정체;
상기 기둥 및 상기 보 사이에 설치되되, 양단부는 마주하는 고정체를 통해 상기 기둥 또는 상기 보에 고정된 복수의 강선;
상기 강선에 설치되며, 강선에 텐션(tension)을 제공하여 강선을 보강하는 강선 보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강선은 한 쌍의 볼트형 강봉으로 제공되고,
강선 보강수단은, 한 쌍의 볼트형 강봉을 이어주는 커플러로 제공되며,
한 쌍의 볼트형 강봉이 마주하는 단부는 각각, 서로 반대 방향의 나사산으로 형성되고,
상기 커플러는 상기 볼트형 강봉의 각 단부에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산을 형성하여,
커플러의 일방향 회전을 통해 한 쌍의 볼트형 강봉이 서로 근접되거나, 한 쌍의 볼트형 강봉이 서로 이격되고,
상기 고정체는,
상기 기둥이나 보의 일면에 밀착된 밀착면과,
상기 밀착면으로부터 절곡되어 비내력벽에 고정된 고정면과,
상기 고정면으로부터 비내력벽의 반대측을 향해 절곡된 절곡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밀착면과 절곡면에는 각각,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절개되어 강선이 보나 기둥에 고정될 수 있도록 지나가는 통로인 슬릿이 형성되고, 슬릿의 단부에는 슬릿의 단부로부터 슬릿의 일측으로 치우친 이탈방지공이 형성되되, 이탈방지공의 상단부는 슬릿의 하단부보다 높은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내력벽 구조물 내진 보강 구조 시스템. - 삭제
- 제 1항, 제 3항,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강선의 양단부는 기둥이나 보 내부에 케미컬 앵커를 통해 고정되고,
상기 강선이 와이어일 때, 압착그립이 절곡면에 위치되어 상기 고정체를 지나는 와이어를 당겨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내력벽 구조물 내진 보강 구조 시스템.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면과 기둥 및 보 사이에는 완충패드가 더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내력벽 구조물 내진 보강 구조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42829A KR101923155B1 (ko) | 2018-04-12 | 2018-04-12 | 비내력벽 구조물 내진 보강 구조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42829A KR101923155B1 (ko) | 2018-04-12 | 2018-04-12 | 비내력벽 구조물 내진 보강 구조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23155B1 true KR101923155B1 (ko) | 2019-02-27 |
Family
ID=65561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42829A Active KR101923155B1 (ko) | 2018-04-12 | 2018-04-12 | 비내력벽 구조물 내진 보강 구조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23155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01030B1 (ko) * | 2013-06-04 | 2013-08-28 | 주식회사 동일구조 | 가압판을 이용한 조적조 내진 보강 구조물 및 방법 |
KR101657481B1 (ko) | 2015-11-17 | 2016-09-20 | 장극관 | 조적식 채움벽체의 내진 보강체 및 이를 이용한 내진 보강방법 |
JP2016216914A (ja) * | 2015-05-14 | 2016-12-22 | 株式会社安藤・間 | 非構造壁、及び非構造壁構築方法 |
KR101761787B1 (ko) * | 2017-01-03 | 2017-07-26 | 주식회사 문창 | 진동 저감형 물탱크 |
-
2018
- 2018-04-12 KR KR1020180042829A patent/KR101923155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01030B1 (ko) * | 2013-06-04 | 2013-08-28 | 주식회사 동일구조 | 가압판을 이용한 조적조 내진 보강 구조물 및 방법 |
JP2016216914A (ja) * | 2015-05-14 | 2016-12-22 | 株式会社安藤・間 | 非構造壁、及び非構造壁構築方法 |
KR101657481B1 (ko) | 2015-11-17 | 2016-09-20 | 장극관 | 조적식 채움벽체의 내진 보강체 및 이를 이용한 내진 보강방법 |
KR101761787B1 (ko) * | 2017-01-03 | 2017-07-26 | 주식회사 문창 | 진동 저감형 물탱크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80010833A (ko) | 헌치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보-기둥 내진 보강 접합부 | |
WO2014190054A1 (en) | Reinforced building wall | |
JP4771160B2 (ja) | 制震構造 | |
JP2014047494A (ja) | 防振天井構造 | |
KR102294580B1 (ko) | 내진 보강을 위한 와이어 전단벽 구조체 | |
KR101168670B1 (ko) | 내진 보강 구조체 | |
KR101522390B1 (ko) |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벽체의 내진보강방법 | |
KR101027378B1 (ko) | 블록과 강선을 이용한 내진벽 및 시공방법 | |
KR101923155B1 (ko) | 비내력벽 구조물 내진 보강 구조 시스템 | |
JP4419088B2 (ja) | 建築物の耐震補強構造 | |
KR100277606B1 (ko) | 양방향 트러스를 이용한 구조보강 방법 | |
KR101957822B1 (ko) | 내진성능을 가지는 아파트 벽체구조 | |
KR101681084B1 (ko) | 긴장재를 이용한 조적채움벽 면외 전도 방지 시스템 | |
KR101921864B1 (ko) | 건축물의 내진 보강 조립체 | |
KR20200068270A (ko) | 강봉을 이용한 조적조 건물의 면내, 면외 및 접합부의 내진보강 공법 | |
KR102688093B1 (ko) | 벽체보강장치 | |
JP7498152B2 (ja) | 緊張材の定着構造 | |
JP3251245U (ja) | 木造建築物の補強構造 | |
KR102089574B1 (ko) | 슬래브 구조체의 시공방법 | |
JP5688611B1 (ja) | 耐震補強装置 | |
KR102773768B1 (ko) | Pc기둥과 pc보의 건식 내진접합부 구조 | |
KR102074573B1 (ko) |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 | |
JP4807786B2 (ja) | 制震壁の取付方法 | |
JP5828631B2 (ja) | 外ケーブル方式緊張鋼材を併用した複合構造梁 | |
KR101980550B1 (ko) | 건축물의 기둥을 보강한 내진보강 공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41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8041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41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7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12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11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11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1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1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11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