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3102B1 - Finishing structure having reinforcing sheet for finishing of shingle - Google Patents

Finishing structure having reinforcing sheet for finishing of shing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3102B1
KR101923102B1 KR1020160139804A KR20160139804A KR101923102B1 KR 101923102 B1 KR101923102 B1 KR 101923102B1 KR 1020160139804 A KR1020160139804 A KR 1020160139804A KR 20160139804 A KR20160139804 A KR 20160139804A KR 101923102 B1 KR101923102 B1 KR 1019231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shingle
waterproof sheet
concrete
waterproo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98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45453A (en
Inventor
이필선
Original Assignee
석민건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석민건설(주) filed Critical 석민건설(주)
Priority to KR10201601398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3102B1/en
Publication of KR201800454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545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3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310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tiles, slates, shingles, or other small roofing elements
    • E04D1/28Roofing elements comprising two or more layers, e.g. for 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9/04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tiles, slates, shingles, or other small roofing elements
    • E04D1/12Roofing elements shaped as plain tiles or shingles, i.e. with flat outer surface
    • E04D1/20Roofing elements shaped as plain tiles or shingles, i.e. with flat outer surface of plastics; of asphalt; of fibrous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6Permeability to liquids, absorption
    • B32B2307/7265Non-perme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Abstract

지붕 끝단에서 후레싱이 외력에 의해 슁글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슁글의 파손을 막으며, 작업자가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슁글 마감을 위한 보강시트를 포함하는 후레싱 구조를 제시한다. 그 구조는 콘크리트의 코너에서 콘크리트의 상면 방향 및 측면 방향에 부착된 후레싱 및 콘크리트의 상면 방향에 위치하고 후레싱을 덮도록 부착된 슁글을 포함하고, 슁글 및 후레싱의 상면 방향 및 측면 방향을 감싸고 콘크리트의 측면에 고정된 방수시트 및 방수시트의 상면 방향을 덮는 방수층을 포함한다. There is provided a flushing structure including a reinforcing sheet for shingle finishing that prevents flushing at the roof en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hingles by an external force, preventing breakage of the shingles, and preventing an operator from slipping. The structure includes a shrinking element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in the direc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and a shingle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in the direction of the upper surface and the side surface of the concrete at the corner of the concrete. The upper surface of the shingles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hrinking element, And a waterproof layer covering the top surface of the waterproof sheet.

Description

슁글 마감을 위한 보강시트를 포함하는 후레싱 구조{Finishing structure having reinforcing sheet for finishing of shingl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nishing structure having a reinforcing sheet for shingle finishing,

본 발명은 후레싱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후레싱 작업에 방수용 보강시트를 적용하여 슁글을 마감한 후레싱 구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ushing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lushing structure in which a waterproofing sheet is applied to a flushing operation.

슁글은 건축물의 지붕 마감재이며, 주로 아스팔트 슁글이 사용된다. 아스팔트 슁글은 통상적으로, 유리섬유나 종이매트 등으로 이루어진 기본자재 위에 아스팔트를 포화시키고, 그 포화된 표면에 돌가루를 뿌려서 만들어진다. 상기 돌가루는 슁글을 자외선으로부터 보호하고, 입체감이나 색깔을 부여하는 등 다양한 기능을 한다. 슁글은 가격이 저렴하고 방수성이 뛰어나다. 슁글은 가벼우며 쉽게 자르거나 구부릴 수 있어서, 시공이 간편하다. 슁글은 기와에 비해 무게가 약 1/5정도이어서 건축물에 하중의 부담을 주지 않는다. 또한, 슁글의 자재는 가볍고 유연하기 때문에, 시공에 하자만 없다면 지진이나 강풍으로 인한 충격에도 충분하게 견딘다.Shingle is the roof finishing material of the building, mainly asphalt shingle. Asphalt shingles are usually made by saturating asphalt on a base material made of glass fiber or paper mat, and spraying stone powder on the saturated surface. The stone powder has various functions such as protecting the shingle from ultraviolet rays, giving a three-dimensional feeling and a color. Shingle is cheap and waterproof. Shingle is lightweight and easy to cut and bend, making construction easy. The shingle is about 1/5 of the weight of the tile, so it does not exert a load on the building. In addition, the material of the shingle is light and flexible, so it can withstand the impact caused by earthquake or strong winds if it does not defy construction.

또한, 후레싱은 지붕의 틈을 지지하는 방수용 철판 구조물을 통칭한다. 이러한 후레싱은 대략 ㄷ자형 프레임으로 제작되어, 지붕 끝단에 결합되어 외부로부터 빗물이나 습기가 지붕이나 건물의 내부로 유입되거나 스며들지 않도록 한다. 한편, 후레싱의 측면은 슁글과의 결합력이 빈약하다. 따라서 바람, 작업자의 하중 등에 의한 외부의 충격은 후레싱을 분리시켜 주변에 피해를 주고, 슁글의 파손을 일으킨다. 후레싱 작업은 주로 지붕의 끝부분에서 진행하므로 낙상의 위험이 항상 존재한다. In addition, the flushing is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waterproof steel plate structure for supporting the gap of the roof. Such a flushing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U-shaped frame, which is joined to the roof end so that rainwater or moisture from the outside does not enter or permeate into the roof or the inside of the building. On the other hand, the side surface of the flushing has a weak binding force with the shingles. Therefore, external impact caused by wind, worker's load, etc. breaks the flushing, damages the surroundings, and causes shingle damage. There is always a risk of falling because the flushing work usually proceeds from the end of the roof.

국내등록특허 제10-0896230호는 펠트(felt) 조직된 섬유시트를 제조하여 초산비닐계 고무화 합성수지를 함침하여 현장시공과 동시에 방수시트로 변형하고 변형이 된 방수시트위에 초산비닐계 고무화 합성수지 도막재를 반복 도포하는 방법으로 시트와 도막재 간의 분리현상을 해소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국내등록특허 제10-1520738호는 제1 코트재에 분산되고, 시멘트와 모래를 제1 물로 반죽한 모르타르 및 제1 코트재와 모르타르를 혼합시키는 제2 물을 포함하고, 제1 코트재: 모르타르:상기 제2 물은 중량비로 1.5~2.5:8~12:4~6의 비율로 혼합하는 방수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특허 등에 의해 제시된 방수방법은 빗물이나 습기가 침투되는 것은 막을 수 있으나, 후레싱이 외력에 의해 슁글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미끄러짐을 방지하며, 슁글의 파손을 막는 등의 효과를 얻기 어렵다.Korean Patent No. 10-0896230 discloses a method of producing a felt-structured fiber sheet by impregnating a vinyl acetate-based rubberized synthetic resin, deforming the sheet into a waterproof sheet at the time of field application, And a method of repeatedly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to solve the separation phenomenon between the sheet and the coating material. Korean Patent No. 10-1520738 includes a mortar dispersed in a first coating material, kneaded with cement and sand as a first water, and a second water mixing a first coating material and a mortar, and the first coating material: mortar : The second water is mixed at a weight ratio of 1.5 to 2.5: 8 to 12: 4 to 6. However, although the waterproofing method proposed by the conventional patent can prevent penetration of rainwater or moisture, it is difficult to obtain effects such as preventing the flushing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hingles by the external force, preventing slipping, and preventing breakage of the shingles.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지붕 끝단에서 후레싱이 외력에 의해 슁글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슁글의 파손을 막으며, 작업자가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슁글 마감을 위한 보강시트를 포함하는 후레싱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A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lushing structure including a reinforcing sheet for shingle finishing which prevents breakage of shingles and prevents workers from slipping, because the flushing at the roof end is not separated from the shingles by external force have.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슁글 마감을 위한 보강시트를 포함하는 후레싱 구조는 콘크리트의 코너에서, 상기 콘크리트의 상면 방향 및 측면 방향에 부착된 후레싱 및 상기 콘크리트의 상면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후레싱을 덮도록 부착된 슁글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슁글 및 후레싱의 상면 방향 및 측면 방향을 감싸고, 상기 콘크리트의 측면에 고정된 방수시트 및 상기 방수시트의 상면 방향을 덮는 방수층을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lushing structure including a reinforcing sheet for shingle finishing, which is located at a corner of concrete, in a direction of a top surface of the concrete and a flushing film attached to the top and side directions of the concrete, And a shingle attached thereto. The waterproof sheet may include a waterproof sheet fixed to a side surface of the concrete, and a waterproof layer covering the top surface of the waterproof sheet, the waterproof sheet surrounding the top surface and the side surface of the shingle and the flushing.

본 발명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방수층 상에는 무기물 입자가 분산되고, 상기 무기물 입자를 덮는 코트재에 요철을 형성한다. 상기 무기물 입자는 세라믹 입자가 좋다. 상기 방수시트와 상기 방수층 사이에는 유기실리콘화합물층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유기실리콘화합물층은 SiOxCy(-H)(1.0<x<2.4 및 0.0<y<1.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organic particles are dispersed on the waterproof layer, and unevenness is formed on the coating material covering the inorganic particles. The inorganic particles are preferably ceramic particles. An organic silicon compound layer may be disposed between the waterproof sheet and the waterproof layer. The organic silicon compound layer may be composed of SiOxCy (-H) (1.0 <x <2.4 and 0.0 <y <1.0).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조에 있어서, 상기 방수시트와 상기 유기실리콘화합물층 사이에는 접착보조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보조층은 랜덤 폴리프로필렌(PP), 변성 폴리올레핀(PO) 및 열가소성 엘라스토머(elastomer)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가 바람직하다. 상기 접착보조층에서 상기 랜덤 폴리프로필렌과 상기 엘라스토머의 비율을 95:5 내지 50:50일 수 있다. In the preferred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dhesion-supporting layer may further be provided between the waterproof sheet and the organic silicon compound layer. The adhesion-promoting layer may comprise random polypropylene (PP), modified polyolefin (PO) and thermoplastic elastomer. The thermoplastic elastomer is preferably a polyolefin elastomer. The ratio of the random polypropylene to the elastomer in the adhesion-promoting layer may be 95: 5 to 50:50.

본 발명의 슁글 마감을 위한 보강시트를 포함하는 후레싱 구조에 의하면, 지붕 끝단의 슁글 및 후레싱을 덮는 방수시트를 활용함으로써, 지붕 끝단에서 후레싱이 외력에 의해 슁글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슁글의 파손을 막는다. 또한, 후레싱 구조에서 코트재 표면에 요철을 형성하여 작업자가 후레싱 작업 중에 미끄러지지 않도록 한다.According to the flushing structure including the reinforcing sheet for shingle finishing of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the waterproof sheet covering the shingles and freshening of the roof end, the flushing at the roof end is not separated from the shingles by the external force and prevents the breakage of the shingle . Further, irregularities a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oating material in the flushing structure so that the operator does not slip during the flushing operation.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슁글 마감을 위한 보강시트를 포함하는 후레싱 제1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슁글 마감을 위한 보강시트를 포함하는 후레싱 제2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슁글 마감을 위한 보강시트를 포함하는 후레싱 제3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first structure of a fresnel including a reinforcing sheet for shingle finish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cond structure of a freshener including a reinforcing sheet for shingle finish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third structure of a dressing comprising a reinforcing sheet for shingle finish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막(층, 패턴)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또한, 막(층, 패턴)이 다른 막(층, 패턴)의 '상', '상부', '하부', '일면'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막(층, 패턴)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다른 막(층, 패턴)이 개재될 수도 있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can be modified into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more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Also, in the figures, the thicknesses of the films (layers, patterns) and region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Further, when it is mentioned that the film (layer, pattern) is in the "upper", "upper", "lower", "one side" of another film (layer, pattern) Or a different film (layer, pattern) may be interposed therebetween.

본 발명의 실시예는 지붕 끝단의 슁글 및 후레싱을 덮는 방수시트를 활용함으로써, 지붕 끝단에서 후레싱이 외력에 의해 슁글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슁글의 파손을 막으며, 작업자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후레싱 구조를 제시한다. 이를 위해, 슁글을 포함하는 후레싱 구조의 특성을 다양한 사례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후레싱 구조는 후레싱 및 슁글을 포함하는 지붕 끝단이 마감되는 구조를 말한다. 지붕 끝단은 처마, 지붕과 굴뚝이 만나는 지점, 지붕과 벽면이 만나는 트렌치 등이 있다.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tilizes a waterproof sheet covering the shingles and freshenings of the roof end so that the flushing at the roof end is not separated from the shingles by the external force and prevents breakage of the shingles and prevents the slip of the worker present. To this e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flashing structure including the shingle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various examples. Here, the flushing structure refers to a structure in which a roof end including a flushing and a shingle is closed. The end of the roof has eaves, the point where the roof meets the chimney, and the trench where the roof meets the wal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슁글 마감을 위한 보강시트를 포함하는 후레싱 제1 구조(10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first structure 100 including a reinforcing sheet for shingle finish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에 의하면, 제1 구조(100)는 지붕 끝단에서 제1 접착층(20)으로 콘크리트(10)를 덮는 후레싱(21)을 포함한다. 슁글(23)은 제2 접착층(22)에 의해 후레싱(21)에 결합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구조(100)는 콘크리트(10)를 중심으로 상면 방향(a) 및 측면 방향(b)로 구분되며, 슁글(23)은 상면 방향(a)에 위치한다. 후레싱(21)은 콘크리트(10)의 코너에서 상면 방향(a) 및 측면 방향(b)을 감싼다. 제1 방수시트(25)는 제3 접착층(24)으로 고정되며, 제1 방수시트(25)는 상면 방향(a) 및 측면 방향(b)을 덮고, 후레싱(21) 및 슁글(23)을 감싸며, 제3 접착층(24)과 함께 콘크리트(10)의 측면 방향(b)에 고정된다.1, the first structure 100 includes a flushing 21 covering the concrete 10 with a first adhesive layer 20 at the roof end. The shingles 23 are joined to the flashing 21 by the second adhesive layer 22.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first structure 100 is divided into a top surface direction a and a side direction b with respect to the concrete 10, and the shingles 23 are located in the top surface direction a. The flashing 21 surrounds the top surface direction a and the side surface direction b at the corner of the concrete 10. The first waterproofing sheet 25 is fixed by the third adhesive layer 24 and the first waterproofing sheet 25 covers the top surface direction a and the side surface b and is provided with the flushing 21 and the shingles 23 And is fixed in the lateral direction (b) of the concrete (10) together with the third adhesive layer (24).

슁글(23)은 건축물의 지붕 마감재이며, 주로 아스팔트 슁글이 사용된다. 아스팔트 슁글(23)은 통상적으로, 유리섬유나 종이매트 등으로 이루어진 기본자재 위에 아스팔트를 포화시키고, 그 포화된 표면에 돌가루를 뿌려서 만들어진다. 상기 돌가루는 슁글(23)을 자외선으로부터 보호하고, 입체감이나 색깔을 부여하는 등 다양한 기능을 한다. 슁글(23)은 가격이 저렴하고 방수성이 뛰어나다. 슁글(23)은 가벼우며 쉽게 자르거나 구부릴 수 있어서, 시공이 간편하다. 슁글(23)은 기와에 비해 무게가 약 1/5정도이어서 건축물에 하중의 부담을 주지 않는다. 또한, 슁글(23)의 자재는 가볍고 유연하기 때문에, 시공에 하자만 없다면 지진이나 강풍으로 인한 충격에도 충분하게 견딘다.The shingle 23 is a roof finishing material of a building, and mainly an asphalt shingle is used. The asphalt shingle 23 is usually made by saturating asphalt on a base material made of glass fiber or paper mat, and spraying stone powder on the saturated surface. The stone powder has various functions such as protecting the shingle 23 from ultraviolet rays, giving a three-dimensional feeling and a color. The shingles 23 are inexpensive and excellent in waterproofness. The shingles 23 are light and easy to cut and bend, so that the construction is simple. The shingles 23 are about 1/5 of the weight of the tile, so that the load on the building is not burdened. Further, since the material of the shingles 23 is light and flexible, it can withstand the impact caused by an earthquake or a strong wind unless the construction is defective.

후레싱(21)은 건물 안으로 빗물이나 습기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후레싱(21)은 지붕의 틈을 방호하는 방수용 철판 구조물이다. 구체적으로, 후레싱(21)은 대략 ㄱ자 또는 ㄷ자형 프레임으로 제작되어, 지붕 끝단에 결합되어 외부로부터 빗물이나 습기가 지붕이나 건물의 내부로 유입되거나 스며들지 않도록 한다. 여기서는 ㄱ자 형태의 후레싱(21)을 도시하였다. 후레싱(21)은 금속 강판을 주요 재질로 하며, 볼트, 접착제 등으로 콘크리트(10)에 고정된다. 이러한 후레싱(21) 및 그 시공방법은 잘 알려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내지 제3 접착층(20, 22, 24)은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고정하는 효과를 충분하게 발휘하는 정도이면 가능하며, 공지의 접착제를 적용할 수 있다. The flushing 21 prevents rainwater or moisture from penetrating into the building. The flushing 2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waterproof steel plate structure that protects the roof gap. Specifically, the flushing 21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L-shaped or C-shaped frame, and is coupled to the roof end so that rainwater or moisture from the outside does not enter or permeate into the roof or the inside of the building. Here, a lance-shaped flashing 21 is shown. The flushing 21 is made of a metal sheet as a main material, and is fixed to the concrete 10 with a bolt, an adhesive, or the like. Since the flushing 21 and its construction method are well know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first to third adhesive layers 20, 22 and 24 can be formed as long as they sufficiently exhibit the effect of fix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known adhesive can be applied.

제1 방수시트(25)는 콘크리트(10)의 방수성능의 결함으로 누수가 일어나면, 압축강도나 동결융해 저항성, 화학적 침식에 대한 저항성 등이 저하되어 구조물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것을 방지한다. 제1 방수시트(25)는 직물(fabric), 펠트, 부직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며, 상기 직물은 날실과 씨실이 서로 아래위로 교차하여 짜여져 일정한 넓이의 평면체로 된 천을 말한다. 상기 펠트는 천, 털에 수증기, 열, 압력 등을 가하면 축융성에 의해 섬유(filament)가 서로 엉키고 줄어드는데 이를 이용하여 천과 같이 만든 것이다. 상기 부직포는 섬유를 직포공정을 거치지 않고, 평행 또는 부정방향(不定方向)으로 배열하고 합성수지 접착제로 결합하여 펠트 모양을 이룬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 방수시트(25)는 방수를 위한 물질이 코팅되거나 혼합되어 있을 수 있다. The first waterproofing sheet 25 prevents the compressive strength, the freeze-thaw resistance, the resistance to chemical erosion, and the like from being shortened when the leakage of water occurs due to the defective waterproofing performance of the concrete 10, thereby shortening the life of the structure. The first waterproof sheet 25 is any one selected from a fabric, a felt, and a nonwoven fabric, and the fabric is a fabric having a flat sieve having warp and weft yarns crossing over one another and having a constant width. When the felt, steam, heat, pressure or the like is applied to cloth or hair, the felt tends to be tangled with the filament due to the melting property. The nonwoven fabric is arranged in a parallel or non-fixed direction without being subjected to a woven fabric process, and is joined with a synthetic resin adhesive to form a felt. Although not shown, the first waterproof sheet 25 may be coated or mixed with a material for waterproofing.

제1 방수시트(25)에는 방수 효과를 부여하기 위한 방수층(30)이 상면 방향(a)에 위치한다. 방수층(30)은 접착성 수지, 유화제, 소포제, 분산제, 방부제, 증점제, 안료, 물 등을 함유하는 방수제가 도포된 것이다. 상기 접착성 수지는 예컨대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Ethylene- Vinyl-Acetate copolymer EVA), 실리콘 수지, 라텍스(latex) 및 아크릴에멀젼 수지(Acryl emulsion resin)를 포함한다. 상기 방수제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코트재(32)는 굳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EVA, 아크릴 수지, 비닐아세테이트 및 폴리비닐아세테이트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부틸아크릴레이트 수지, 프탈산 에스테르 에멀젼, 에폭시 에멀젼 또는 페놀 에멀젼 및 폴리옥시에틸렌 옥티페닐에테르 에멀젼 등과 같은 물질이 부가될 수 있다.The first waterproof sheet 25 is provided with the waterproof layer 30 for imparting a waterproof effect in the top surface direction a. The waterproof layer 30 is coated with a waterproofing agent containing an adhesive resin, an emulsifier, a defoaming agent, a dispersant, a preservative, a thickener, a pigment, water and the like. The adhesive resin includes, for example, an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EVA), a silicone resin, a latex, and an acrylic emulsion resin. The waterproofing agent can be selected variously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ating material 32 includes, but is not limited to, EVA, acrylic resin, vinyl acetate, polyvinyl acetate, and the like, and may be a butyl acrylate resin, a phthalate ester emulsion, an epoxy emulsion or a phenol emulsion, and a polyoxyethylene octiphenyl Ether emulsion, and the like may be added.

제1 방수시트(25)의 상면 방향(a)에는 바람직하게는 무기물 입자(31)가 분산되고, 무기물 입자(31)가 분산된 방수층(30) 상에는 코트재(32)가 도포된다. 코트재(32)는 무기물 입자(31)에 의해 표면에 요철(33)이 생성된다. 코트재(32)의 표면에 요철(33)이 있으면, 작업자가 코트재(32)로부터 미끄러지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무기물 입자(31)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세라믹 입자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실리콘카바이드, 알루미나, 실리카, 산화아연, 이산화티타늄, 알루미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무기물 입자(31)의 크기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마이크로미터(㎛) 정도이어서 요철(33)을 형성하는 것이 좋다. The inorganic particles 31 are dispersed in the top surface direction a of the first waterproof sheet 25 and the coating material 32 is coated on the waterproof layer 30 in which the inorganic particles 31 are dispersed. In the coating material 32, irregularities 33 are formed on the surface by the inorganic particles 31. When the surface of the coating material 32 has the projections and depressions 33,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afety accident that an operator slips off the coating material 32. [ The inorganic particles 31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y are commonly used ceramic particles, but silicon carbide, alumina, silica, zinc oxide, titanium dioxide, alumina and the like can be preferably used. The size of the inorganic particles 31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about micrometers (占 퐉) to form the concave and convex portions 33.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1 구조(100)는 제1 방수시트(25)가 감싸고 있으므로, 후레싱(21)이 외력에 의해 슁글(23)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후레싱(21)의 측면은 슁글(23)과의 결합력이 빈약하여 바람 등의 외부의 충격에 의해 후레싱(21)이 분리되기 쉽다. 그런데, 본 발명의 제1 방수시트(25)는 외력이 후레싱(21)에 가해지지 않도록 차단하므로, 후레싱(21)이 떨어지지 않는다. 제1 방수시트(25)는 충격흡수의 역할을 하므로, 작업자의 하중에 의해 슁글(23)이 파손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코트재(32) 표면의 요철(33)은 후레싱 작업이 주로 진행되는 지붕의 끝부분에서의 작업자의 낙상을 방지한다. The first structur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urrounds the first waterproof sheet 25 so that the flashing 21 is not separated from the shingles 23 by an external force. The side surface of the flushing 21 has a weak coupling force with the shingles 23, and the flushing 21 is easily separated by an external impact such as wind. However, since the first waterproof sheet 25 of the present invention blocks external force from being applied to the flashing 21, the flashing 21 does not fall. The first waterproof sheet 25 serves to absorb shock, so that the shoe 23 is not damaged by the load of the operator. In addition, the projections and depressions 33 on the surface of the coating material 32 prevent the operator from falling at the end of the roof where the flashing work is mainly proceeding.

슁글(23) 상에 있는 본 발명의 제1 방수시트(25)는 투과성이 있다. 이에 따라, 방수층(30) 및 코트재(32)를 형성하기 위한 접착물질을 부으면, 상기 접착물질이 제1 방수시트(25) 및 슁글(23)에 침투하고 통과하여서, 제1 후레싱 구조(100) 사이에 존재하는 틈을 상기 접착물질이 메우게 된다. 이렇게 되면, 제1 후레싱 구조(100)는 콘크리트(10)에 단단하게 결합된다. 또한, 앞에서는 후레싱(21) 및 슁글(23)에 제1 방수시트(25)를 덮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으나, 경우에 따라 후레싱(21)에 제1 방수시트(25)가 부착된 상태에서, 추후에 슁글(23)을 덮을 수 있다.The first waterproof sheet 25 of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shingle 23 is permeable. Accordingly, when an adhesive material for forming the waterproof layer 30 and the coating material 32 is applied, the adhesive material penetrates and passes through the first waterproof sheet 25 and the shingle 23, The adhesive material is filled in the gap existing between the adhesive layer and the adhesive layer. In doing so, the first dressing structure 100 is tightly coupled to the concrete 10. Although the flushing 21 and the shingles 23 are described as covering the first waterproof sheet 25 in the above description, in a state where the first waterproof sheet 25 is attached to the flushing 21, Thereby covering the shingles 23.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슁글 마감을 위한 보강시트를 포함하는 후레싱 제2 구조(200)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2 구조(200)는 제1 구조(100)의 제1 방수시트(25)의 표면에 유기실리콘화합물층(41)을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 제1 구조(100)와 동일하다. 이에 따라, 중복되는 표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econd dressing structure 200 including a reinforcing sheet for shingle finish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structure 200 is the same as the first structure 100 except that the organic silicon compound layer 41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first waterproof sheet 25 of the first structure 100. Accordingly,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duplicat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2에 의하면, 제2 방수시트(40)은 제1 구조(100)의 제1 방수시트(25)에 유기실리콘화합물층(41)을 포함한다. 유기실리콘화합물층(41)은 제1 방수시트(25) 및 방수층(30) 사이에 위치한다. 이때, 제1 방수시트(25)를 이루는 각각의 섬유에는 기공이 포함된 다공체일 수 있다. 제1 방수시트(25)를 다공체로 만들면, 유기실리콘화합물층(41)이 다공체의 기공 속으로 파고 들어가, 제1 방수시트(25)와 유기실리콘화합물층(41) 사이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제1 방수시트(25)를 이루는 섬유는 전부 또는 일부가 다공체일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제1 방수시트(25)의 기계적인 강도를 고려하여, 섬유의 일부를 다공체로 할 수 있다. 2, the second waterproof sheet 40 includes the organosilicon compound layer 41 in the first waterproof sheet 25 of the first structure 100. As shown in Fig. The organic silicon compound layer (41)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waterproof sheet (25) and the waterproof layer (30). At this time, each fiber constituting the first waterproof sheet 25 may be a porous body containing pores. When the first waterproof sheet 25 is formed as a porous body, the organosilicon compound layer 41 may penetrate into the pores of the porous body to increase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first waterproof sheet 25 and the organosilicon compound layer 41. The fibers constituting the first waterproof sheet 25 may be all or part of a porous body. In other words, considering the mechanical strength of the first waterproof sheet 25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rt of the fibers can be made into a porous article.

유기실리콘화합물층(41)은 제1 방수시트(25)에 피복되며, 소스 가스인 유기실록산이 대기압 플라즈마에 의해 친수처리되어 형성된다. 대기압 플라즈마 장치는 장치의 가격이 저렴하고, 공정온도가 낮으며, 연속적으로 공정을 수행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두 개의 금속전극 사이에 가스노즐이 배치되어 공정 상 요구되는 가스를 제1 방수시트(25) 방향으로 배출시킨다. 이때, 금속전극과 접지부 사이에는 플라즈마가 형성되어 상기 가스노즐을 통하여 배출된 상기 가스를 플라즈마 상태로 변환시킨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가스는 유기실록산 소스(source) 가스, 소스 가스를 싣고 이동시키는 캐리어(carrier) 가스, 플라즈마를 안정화시키는 불활성 가스 및 산소 플라즈마를 발생시키기 위한 산화제 가스가 있다. The organosilicon compound layer 41 is coated on the first waterproof sheet 25, and the organosiloxane as the source gas is formed by hydrophilic treatment with an atmospheric pressure plasma. The atmospheric pressure plasma apparatus is advantageous in that the apparatus is inexpensive, the process temperature is low, and the process can be continuously performed. Specifically, a gas nozzle is disposed between the two metal electrodes to discharge the gas required in the process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waterproof sheet 25. At this time, a plasma is formed between the metal electrode and the ground so that the gas discharged through the gas nozzle is converted into a plasma state. The ga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n organosiloxane source gas, a carrier gas for transporting and transporting the source gas, an inert gas for stabilizing the plasma, and an oxidizing gas for generating the oxygen plasma.

소스 가스인 유기실록산이 대기압 플라즈마 장치를 거쳐 생성된 유기실리콘화합물을 제1 방수시트(25)의 표면에 도포한다. 이때, 소스 가스는 휘발시키기 위한 과량의 가열을 사용하여 혼합물의 자연발화 온도에 이르지 않게 하면서, 충분한 양의 화합물이 캐리어 가스에 포함될 수 있는 적합한 증기압력을 보유한 것이다. 유기실록산 소스는 테트라메틸디실록산(TMDSO), 헥사메틸디실록산(HMDSO), 테트라에틸오르토실리케이트(TEOS) 및 헥사메틸사이클로트리실록산(HMCTSO)이 바람직하며, 이 중에서 HMCTSO는 C6H18O3Si3의 화학구조를 가지며 대기압에서도 다른 물질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증기압을 가져 보다 바람직하다.The organosilicon compound, which is the source gas,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first waterproof sheet 25 via the atmospheric pressure plasma apparatus. At this time, the source gas has an appropriate vapor pressure at which a sufficient amount of the compound can be contained in the carrier gas, while using excess heating to volatilize, not reaching the spontaneous ignition temperature of the mixture. The organosiloxane source is preferably tetramethyldisiloxane (TMDSO), hexamethyldisiloxane (HMDSO), tetraethylorthosilicate (TEOS) and hexamethylcyclotrisiloxane (HMCTSO), of which HMCTSO is C 6 H 18 O 3 Si 3 &lt; / RTI &gt; chemical structure and has a relatively higher vapor pressure than other materials even at atmospheric pressure.

소스 가스는 잘 알려진 캐리어 가스에 실려 플라즈마의 형성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불활성 가스와 혼합되어 상기 가스노즐로 운반된다. 불활성 가스는 질소(nitrogen) 가스, 아르곤(argon) 가스, 네온(neon) 및 헬륨(helium) 가스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플라즈마의 안정성을 고려할 때에는 헬륨 가스가 바람직하나, 질소 가스를 사용해도 본 발명의 친수성 효과가 충분하게 발현되므로 질소 가스를 사용해도 무방하다. The source gas is carried in a well known carrier gas and mixed with an inert gas to stabilize the formation of the plasma and carried to the gas nozzle. The inert gas may be selected from nitrogen gas, argon gas, neon gas, and helium gas. Helium gas is preferable in consideration of the stability of plasma, but nitrogen gas may be used because the hydrophilic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fficiently exhibited even when nitrogen gas is used.

이와 같이, 유기실록산 가스를 대기압 플라즈마 처리를 하면, 유기실리콘화합물이 발생한다. 이러한 유기실리콘화합물은 제1 방수시트(25)와 친수성인 방수층(30)와의 접착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유기실리콘화합물의 두께는 제1 방수시트(25)의 특성에 따라 달라지지만, 50~2,000Å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유기실리콘화합물은 SiOxCy(-H)일 수 있으며, 이때 1.0<x<2.4 및 0.0<y<1.0을 만족한다. 상기 유기실리콘화합물인 SiOxCy(-H)는 물의 접촉각이 약 80ㅀ이다. 이어서, 산화제 가스가 대기압 플라즈마 장치를 거쳐 생성된 산소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유기실리콘화합물이 코팅된 제1 방수시트(25)의 표면을 플라즈마 처리한다. 산화제 가스는 O2, O3, NO, NO2, N2O, N2O3 및 N2O4가 포함된다. 바람직한 산화제는 산소(O2)이다. 필요한 경우 CO2 및 N2와 같은 부가적인 기체가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한 기체 혼합물은 공기, 또는 산소와 질소의 혼합물이다. 유기실리콘화합물에 플라즈마 처리를 하면, 물의 접촉각은 약 20도가 된다. 이에 따라, 산소 플라즈마 처리를 하면, 친수성 방수층(30)에 대한 접착력이 크게 향상된다. Thus, when the organosiloxane gas is subjected to the atmospheric pressure plasma treatment, an organosilicon compound is generated. The organosilicon compound serves to improve the adhesion between the first waterproof sheet 25 and the waterproof layer 30, which is hydrophilic. The thickness of the organosilicon compound depend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rst waterproof sheet 25, but is preferably 50 to 2,000 ANGSTROM. The organosilicon compou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iOxCy (-H), where 1.0 <x <2.4 and 0.0 <y <1.0. The organosilicon compound SiOxCy (-H) has a water contact angle of about 80.. Next, the surface of the first waterproof sheet 25 coated with the organosilicon compound is subjected to plasma treatment using the oxygen plasma generated by the oxidizer gas via the atmospheric pressure plasma apparatus. The oxidant gas includes O 2 , O 3 , NO, NO 2 , N 2 O, N 2 O 3 and N 2 O 4 . The preferred oxidizing agent is oxygen (O 2). Additional gases such as CO 2 and N 2 may be included if desired. A preferred gas mixture is air, or a mixture of oxygen and nitrogen. When the organosilicon compound is subjected to plasma treatment, the contact angle of water is about 20 degrees. Accordingly, when the oxygen plasma treatment is performed, the adhesion to the hydrophilic waterproof layer 30 is greatly improved.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슁글 마감을 위한 보강시트를 포함하는 후레싱 제3 구조(300)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여기서, 제3 구조(300)는 접착보조층(51)을 더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 제2 구조(200)와 동일하다. 이에 따라, 중복되는 표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third dressing structure 300 including a reinforcing sheet for shingle finish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the third structure 300 is the same as the second structure 200 except that it further includes an adhesion-assisting layer 51. Accordingly,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duplicat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3에 의하면, 제3 방수시트(50)는 접착보조층(51), 제1 방수시트(25) 및 유기실리콘화합물층(41)을 포함한다. 접착보조층(51)은 제1 방수시트(25) 및 유기실리콘화합물층(41) 사이에 위치한다. 접착보조층(51)은 제1 방수시트(25)의 강성을 증가시키고, 유기실리콘화합물층(41)과의 접착력을 높인다. 접착보조층(51)은 랜덤 폴리프로필렌(PP), 변성 폴리올레핀(PO) 및 열가소성 엘라스토머(elastomer)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랜덤 폴리프로필렌(PP)은 랜덤 코폴리머(copolymer) 또는 랜덤 터폴리머(terpolymer)를 말하며, 랜덤 터폴리머가 바람직하다. 랜덤 코폴리머는 프로필렌과 에틸렌을 공중합시켜 두 단량체를 무질서하게 배열한 것이다. 랜덤 터폴리머는 랜덤 코폴리머의 일종으로 에틸렌, 프로필렌 및 부텐-1의 세 가지 단량체를 중합하여 만든다. 랜덤 폴리프로필렌(PP)은 용융지수(g/10min)는 0.3~30, 융점이 145℃이상, 바람직하게는 150℃이상의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이면 좋다. 이러한 수지로서는 프로필렌에 α-올레핀이 0~4중량%정도, 랜덤 공중합된 수지를 예시할 수 있다.3, the third waterproof sheet 50 includes an adhesion-assisting layer 51, a first waterproof sheet 25, and an organic silicon compound layer 41. [ The adhesion-assisting layer 51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waterproof sheet 25 and the organic silicon compound layer 41. The adhesion-assisting layer 51 increases the rigidity of the first waterproof sheet 25 and improves the adhesion to the organic silicon compound layer 41. [ The adhesion-assisting layer 51 comprises random polypropylene (PP), a modified polyolefin (PO) and a thermoplastic elastomer. Here, the random polypropylene (PP) refers to a random copolymer or a terpolymer, and a random terpolymer is preferable. The random copolymer is a random arrangement of two monomers by copolymerizing propylene with ethylene. A random terpolymer is a kind of random copolymer made by polymerizing three monomers of ethylene, propylene and butene-1. The random polypropylene (PP) may be a polypropylene type resin having a melt index (g / 10 min) of 0.3 to 30 and a melting point of 145 占 폚 or higher, preferably 150 占 폚 or higher. As such a resin, a randomly copolymerized resin containing about 0 to 4% by weight of -olefin in propylene can be exemplified.

변성 폴리올레핀은 극성기를 가지기 때문에 접착성 실링성이 뛰어난 산변성 폴리올레핀일 수 있다. 산변성 폴리올레핀이란 무수 말레산 등의 산을 그래프트 변성한 폴리올레핀이다.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와 관련되는 폴리올레핀으로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이 들 수 있다. 산변성 폴리올레핀은 예를 들면, 폴리올레핀 수지에 아크릴산, 무수 말레산 등의 불포화 카르복실산을 그래프트 공중합시킬 수 있다. 카르복실기를 갖는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는 분자 내에 카르복실기를 에틸렌계 이오노머 수지가 바람직하다. 에틸렌계 이오노머 수지란, 에틸렌 메타크릴산 공중합체 혹은 에틸렌 아크릴산 공중합체 등의 에틸렌 공중합체의 분자 간을 아연 이온, 칼륨 이온, 나트륨 이온, 마그네슘 이온, 리튬 이온 등의 금속 이온으로 유사 가교한 수지이다. 상기 변성 폴리올레핀은 접착보조층(51) 전체에 대하여, 5중량% 내지 50중량%만큼 첨가할 수 있다.The modified polyolefin may be an acid-modified polyolefin having excellent adhesive sealing property because it has a polar group. The acid-modified polyolefin is a polyolefin graft-modified with an acid such as maleic anhydride. Examples of the polyolefin which is associated with the modified polyolefin resin include polyethylene and polypropylene. The acid-modified polyolefin may, for example, graft-copolymerize an unsaturated carboxylic acid such as acrylic acid or maleic anhydride with the polyolefin resin. The modified polyolefin resin having a carboxyl group is preferably an ethylene-based ionomer resin having a carboxyl group in the molecule. The ethylene-based ionomer resin is a resin that is cross-linked by a metal ion such as zinc ion, potassium ion, sodium ion, magnesium ion or lithium ion between molecules of an ethylene copolymer such as an ethylene methacrylic acid copolymer or an ethylene acrylic acid copolymer . The modified polyolefin may be added in an amount of 5% by weight to 50% by weight based on the entirety of the adhesion-promoting layer 51.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전형적인 분자구조가 트리블록 공중합체이며, 그 외 멀티형 블록 공중합체, 수지와 고무를 혼합하여 화학 가교한 그래프트 공중합체, 이온 가교 공중합체가 있다.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균질한 고무 상에 3차원 그물코 매듭이 생기는 경질상의 분산된 2상 구조를 보인다. 경질상의 종류에 따라서는 폴리스티렌계, 폴리올레핀계, 폴리염화비닐계, 폴리우레탄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미드계로 분류된다. 또한, 고무 탄성을 보이도록 하기 위하여, 각각의 경질 연쇄 성질에 따라서 동결상, 결정상, 결정상과의 수소결합, 이온 가교 등으로 나누어진다. 이때, 중간층의 주성분인 호모 폴리프로필렌과의 상용성을 고려하면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가 바람직하다. The thermoplastic elastomer is a triblock copolymer having a typical molecular structure, and other multi-type block copolymers, graft copolymers chemically cross-linked by mixing resin and rubber, and ion crosslinked copolymers. The thermoplastic elastomer exhibits a hard, dispersed two-phase structure in which three-dimensional mesh knots are formed on a homogeneous rubber. Depending on the type of hard phase, it is classified into a polystyrene type, a polyolefin type, a polyvinyl chloride type, a polyurethane type, a polyester type, and a polyamide type. In order to show rubber elasticity, it is divided into a freeze phase, a crystalline phase, a hydrogen bond with the crystal phase, and ion bridging depending on the respective hard chain properties. At this time, the polyolefin elastomer is preferable considering the compatibility with the homopolypropylene which is the main component of the intermediate layer.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는 경질상에 폴리스티렌이나 폴리프로필렌, 연질상에 스티렌-프로필렌 고무(EPR),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고무(EDPM)를 가진다.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는 기계적인 블렌딩, 고무와 수지를 부분 가교, 가황 고무, 마이크로하게 분산된 동적 가황 등으로 제조할 수 있다.The polyolefin elastomer has polystyrene or polypropylene as a hard phase, styrene-propylene rubber (EPR) or ethylene-propylene-diene rubber (EDPM) as a soft phase. The polyolefin elastomer can be produced by mechanical blending, rubber cross-linking with a resin, vulcanization rubber, micro-dispersed dynamic vulcanization, and the like.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겔(gel) 분율은 20~90%인 것이 바람직하다. 겔 분율이 20%미만에서는 가교 정도가 불충분하고, 열융착시킬 때 엘라스토머가 용융하는 양이 지나치게 많아진다. 겔 분율이 90%를 넘으면, 가교 정도가 너무 커서 접착성이 나빠진다. 본 발명의 접착보조층(51)은 랜덤 폴리프로필렌과 엘라스토머를 95:5~50:50의 비율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엘라스토머의 함유량이 상기의 비율보다 낮으면, 제1 방수시트(25)의 탄성률이 저하된다. 엘라스토머의 함유량이 상기의 비율보다 많아지면, 열융착할 때에 흘러내리는 수지의 양이 불필요하게 많아진다. 랜덤 폴리프로필렌과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와의 혼합비는 80:20~60:40이 더욱 바람직하다.The gel fraction of the thermoplastic elastomer is preferably 20 to 90%. When the gel fraction is less than 20%, the degree of crosslinking is insufficient, and the amount of the elastomer to be melted at the time of heat fusion becomes excessively large. When the gel fraction exceeds 90%, the degree of crosslinking is too large to cause poor adhesion. The adhesion-promoting layer 51 of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contains random polypropylene and an elastomer in a ratio of 95: 5 to 50:50. When the content of the elastomer is lower than the above ratio, the elastic modulus of the first waterproof sheet 25 is lowered. When the content of the elastomer is larger than the above ratio, the amount of the resin flowing down at the time of heat fusion becomes unnecessarily large. The mixing ratio of the random polypropylene and the thermoplastic elastomer is more preferably 80:20 to 60:40.

접착보조층(51)은 변성 폴리올레핀이 5~50중량%이고 랜덤 폴리프로필렌과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총 함량이 50~95중량%이다. 이때, 랜덤 폴리프로필렌과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중량비가 95:5~50:50이다. 변성올레핀의 함량이 5중량%인 경우, 랜덤 폴리프로필렌은 47.5~90.25중량%이고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4.57~47.5중량%가 된다. 또 변성올레핀의 함량이 50중량%인 경우, 랜덤 폴리프로필렌은 25~47.5중량%이고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2.5~25중량%가 된다.The adhesive auxiliary layer 51 has a modified polyolefin content of 5 to 50% by weight and a total content of the random polypropylene and the thermoplastic elastomer of 50 to 95% by weight. At this time, the weight ratio of the random polypropylene and the thermoplastic elastomer is 95: 5 to 50:50. When the content of the modified olefin is 5% by weight, the random polypropylene is 47.5 to 90.25% by weight and the thermoplastic elastomer is 4.57 to 47.5% by weight. When the content of the modified olefin is 50% by weight, the random polypropylene is 25 to 47.5% by weight and the thermoplastic elastomer is 2.5 to 25% by weight.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상온에서는 고무 특성을 가지고 있지만, 고온에서는 점차 가소화되면서 플라스틱 특성을 나타낸다.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가교결합이 없는 탄성고무의 형태로 존재한다. 특히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수지와 올레핀계 고무(예: EDPM,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모노머)를 주성분으로 결합시킨 물질이다.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올레핀계 수지의 함량에 따라 50~120℃의 넓은 범위에서 융점의 조절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융점이 121℃라면, 랜덤 폴리프로필렌, 변성 폴리올레핀 및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함량은 각각 76.5, 10 및 13.5중량%로 조절한다.The thermoplastic elastomer has rubber properties at room temperature, but gradually plasticizes at high temperatures to exhibit plastic properties. The thermoplastic elastomer is present in the form of an elastic rubber without cross-linking. In particular, the olefinic thermoplastic elastomer is a material in which an olefinic resin such as polyethylene or polypropylene and an olefinic rubber (for example, EDPM or 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are combined as a main component. The olefinic thermoplastic elastomer can control the melting point over a wide range of 50 to 120 占 폚 depending on the content of the olefin resin. For example, if the melting point is 121 ° C, the contents of random polypropylene, modified polyolefin and thermoplastic elastomer are adjusted to 76.5, 10 and 13.5% by weight, respectively.

이상,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예컨대, 본 발명의 무기물 입자는 방수층 및 코트재 사이에 분산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필요한 경우 코트재 상에 분산할 수도 있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many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t is possible. For example, although the inorganic partic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as being dispersed between the waterproof layer and the coating material, they may be dispersed on the coating material if necessary.

10; 콘크리트
20, 22, 24; 제1 내지 제3 접착층
21; 후레싱 23; 슁글
25, 40, 50; 제1 내지 제3 방수시트
30; 방수층 31; 무기물 입자
32; 코트재 33; 요철
100, 200, 300; 후레싱 제1 내지 제3 구조
a; 상면 방향 b; 측면 방향
10; concrete
20, 22, 24; The first to third adhesive layers
21; Dressing 23; Shingle
25, 40, 50; The first to third waterproof sheets
30; Waterproof layer 31; Inorganic particle
32; Coat material 33; Unevenness
100, 200, 300; First to third structures
a; Top surface direction b; Lateral direction

Claims (9)

콘크리트의 코너에서, 상기 콘크리트의 상면 방향 및 측면 방향에 부착된 후레싱;
상기 콘크리트의 상면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후레싱을 덮도록 부착된 슁글;
상기 슁글 및 후레싱의 상면 방향 및 측면 방향을 감싸고, 상기 콘크리트의 측면에 고정된 방수시트; 및
상기 방수시트의 상면 방향을 덮는 방수층을 포함하고,
상기 방수시트와 상기 방수층 사이에는 유기실리콘화합물층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슁글 마감을 위한 보강시트를 포함하는 후레싱 구조.
At the corners of the concrete, a dressing adhered to the top and side directions of the concrete;
A shingle located on the top surface of the concrete and attached to cover the flashing;
A waterproof sheet wrapped around a top surface and a side surface of the shingle and the flashing and fixed to a side surface of the concrete; And
And a waterproof layer covering the top surface of the waterproof sheet,
And a layer of organic silicon compound is disposed between the waterproof sheet and the waterproof lay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층 상에는 무기물 입자가 분산되고, 상기 무기물 입자를 덮는 코트재에 요철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슁글 마감을 위한 보강시트를 포함하는 후레싱 구조.The flashing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organic particles are dispersed on the waterproof layer and the concave and convex portions are formed on the coating material covering the inorganic particle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물 입자는 세라믹 입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슁글 마감을 위한 보강시트를 포함하는 후레싱 구조.[3] The structure of claim 2, wherein the inorganic particles are ceramic particles.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실리콘화합물층은 SiOxCy(-H)(1.0<x<2.4 및 0.0<y<1.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슁글 마감을 위한 보강시트를 포함하는 후레싱 구조.The structure of claim 1, wherein the organosilicon compound layer comprises SiOxCy (-H) (1.0 <x <2.4 and 0.0 <y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시트와 상기 유기실리콘화합물층 사이에는 접착보조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슁글 마감을 위한 보강시트를 포함하는 후레싱 구조.The flashing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adhesion-assisting layer between the waterproof sheet and the organic silicon compound lay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보조층은 랜덤 폴리프로필렌(PP), 변성 폴리올레핀(PO) 및 열가소성 엘라스토머(elastomer)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슁글 마감을 위한 보강시트를 포함하는 후레싱 구조.The flashing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adhesion-assisting layer comprises random polypropylene (PP), modified polyolefin (PO), and thermoplastic elastome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슁글 마감을 위한 보강시트를 포함하는 후레싱 구조.The flushing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thermoplastic elastomer is a polyolefin elastome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보조층에서 상기 랜덤 폴리프로필렌과 상기 엘라스토머의 비율을 95:5 내지 50: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슁글 마감을 위한 보강시트를 포함하는 후레싱 구조.The flashing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ratio of the random polypropylene to the elastomer in the adhesion-assisting layer is 95: 5 to 50:50.
KR1020160139804A 2016-10-26 2016-10-26 Finishing structure having reinforcing sheet for finishing of shingle KR10192310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9804A KR101923102B1 (en) 2016-10-26 2016-10-26 Finishing structure having reinforcing sheet for finishing of shing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9804A KR101923102B1 (en) 2016-10-26 2016-10-26 Finishing structure having reinforcing sheet for finishing of shing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5453A KR20180045453A (en) 2018-05-04
KR101923102B1 true KR101923102B1 (en) 2018-11-28

Family

ID=62199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9804A KR101923102B1 (en) 2016-10-26 2016-10-26 Finishing structure having reinforcing sheet for finishing of shing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310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2691B1 (en) * 2019-12-16 2020-06-12 이승우 Finishing structure of flashing blocking damage by strong wind having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89321B2 (en) * 1990-05-22 1999-05-10 田島ルーフィング株式会社 Single roof finishing materials
JPH0874389A (en) * 1994-08-31 1996-03-19 Tajima Roofing Co Ltd Roof material having metal surface layer
KR101426881B1 (en) * 2012-07-26 2014-08-06 주식회사 견준씨에스 Waterproofing roof shingle structure and, repairing method for preventing the blowing of roof shingle
KR20140099432A (en) * 2014-07-21 2014-08-12 박재욱 Construction method for waterproofing and fixing shingle using film waterproofing materi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5453A (en) 2018-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56181B2 (en) Sealing sheet assembly for construction surfaces and methods of making and applying same
KR101173181B1 (en) Nonwoven fabric combined with resin and waterproof sheet equipped with the nonwoven fabric and complex waterproof constructing method thereof
US7037864B2 (en) Integral waterproofing membrane
KR102050253B1 (en) Self-bonding type waterproof sheet with fresh concrete substrate for preventing radon gas
KR100533231B1 (en) Stretchy rubberized asphalt felt for waterproofing and waterproofing material of duplex rubberized asphalt membrane plus felt
CN108454193A (en) A kind of novel exposed composite of water-proof coiled material
KR101923102B1 (en) Finishing structure having reinforcing sheet for finishing of shingle
JP2006057444A (en) Moisture permeable composite sheet for concrete waterproof treatment
EP3368270B1 (en) Self-adhering underlayment sheets to form waterproofing joints, related building assemblies and uses
KR101994773B1 (en) Waterproofing layer having shingles for protecting leakage by crack of concrete structure
KR102060969B1 (en) Complex water proof method using polyvinyl chloride waterproof sheet
JP4639080B2 (en) Waterproofing roof
KR101966832B1 (en) Recyclable waterproof sheet and waterproof method using the same
KR100765125B1 (en) The buffer tape for waterproofing a corner and waterproofing system using the same
KR101482747B1 (en) Shape-stable roofing sheet
KR20170114786A (en) Waterproof sheet of concrete structure for protecting leakage by crack and method of fabrication the sheet and method of crack repairing using the sheet
JP2009243247A (en) Water proof sheet material
ES2261128T3 (en) STRIPS OF OBTURATION FOR CONSTRUCTION AND PROCEDURES FOR MANUFACTURING.
KR101971587B1 (en) Surfacepreparation compound and polyurea waterproof method thereof
JP2001064881A (en) Under-roofing material for roof
JP6411760B2 (en) Waterproof sheet for building foundation
JP2731838B2 (en) Sheet waterproofing method
CN105711189B (en) A kind of waterproof roll
JP3060162B2 (en) Water-absorbent swelling waterproof sheet
JP2004249646A (en) Waterproofing/heat insulating she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