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1599B1 - 다용도 에어블록 - Google Patents

다용도 에어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1599B1
KR101921599B1 KR1020160140723A KR20160140723A KR101921599B1 KR 101921599 B1 KR101921599 B1 KR 101921599B1 KR 1020160140723 A KR1020160140723 A KR 1020160140723A KR 20160140723 A KR20160140723 A KR 20160140723A KR 101921599 B1 KR101921599 B1 KR 1019215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air
air
block
unit
air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0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4358A (ko
Inventor
김도은
Original Assignee
김도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도은 filed Critical 김도은
Publication of KR201701043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43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1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15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54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00Butt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54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 E06B3/58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by means of borders, cleats, or the like
    • E06B3/585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by means of borders, cleats, or the like adjustable, e.g. for accommodating panes of various thickness, or with provisions for altering the clamping force on the pan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6Details of garments
    • D10B2501/063Fasteners
    • D10B2501/0632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위에어블록의 선택적 조합을 통해 다양한 기하학적 형태를 갖는 실내 구조에 적용 가능함과 함께, 외풍 차단의 용도뿐만 아니라 다양한 용도로의 사용이 가능한 다용도 에어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에어블록은 이웃하여 배열되는 복수의 공기주머니를 구비하며, 공기 주입에 따라 팽창되는 단위에어블록; 이웃하는 단위에어블록을 연결하는 연결장치; 및 상기 단위에어블록의 하단측 또는 상단측에 구비되어 단위에어블록의 층고를 조절하는 층고조절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용도 에어블록{Multi-purpose airblock}
본 발명은 다용도 에어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단위에어블록의 선택적 조합을 통해 다양한 기하학적 형태를 갖는 실내 구조에 적용 가능함과 함께, 외풍 차단의 용도뿐만 아니라 다양한 용도로의 사용이 가능한 다용도 에어블록에 관한 것이다.
겨울철 창문 틈새를 통해 실내로 유입되는 외풍을 차단하기 위해 다양한 아이디어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포장용 에어캡을 창문에 부착하는 방법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포장용 에어캡 이외에 방한 비닐로 창문을 감싸는 방법 등도 보편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55189호는 여닫이 목문의 외풍을 차단하기 위한 '여닫이목문의 외풍 차단 판넬'을 개시하고 있고,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60562호에는 외풍을 차단하는 보온 커튼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등록실용신안에 개시되어 있는 기술들은 여닫이 목문, 창문 등에 기구적 결합이 요구되어 장치적 복잡성이 있으며, 다양한 실내 구조에 가변적으로 적용함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상술한 기술들은 외풍 차단, 보온 등으로 적용 기술분야가 특정되어 있고 그 구성 또한 해당 기술분야에 특화되어 있어 다른 용도로의 사용이 적합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55189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6056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단위에어블록의 선택적 조합을 통해 다양한 기하학적 형태를 갖는 실내 구조에 적용 가능함과 함께, 외풍 차단의 용도뿐만 아니라 다양한 용도로의 사용이 가능한 다용도 에어블록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에어블록은 이웃하여 배열되는 복수의 공기주머니를 구비하며, 공기 주입에 따라 팽창되는 단위에어블록; 이웃하는 단위에어블록을 연결하는 연결장치; 및 상기 단위에어블록의 하단측 또는 상단측에 구비되어 단위에어블록의 층고를 조절하는 층고조절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장치는 갈고리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갈고리 부재는 이웃하는 각각의 단위에어블록의 측부에 단위에어블록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되며, 상기 갈고리 부재는 몸체판과 고리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몸체판은 단위에어블록의 일측에 고정되고 고리판은 몸체판의 일단에 예각으로 붙어있는 형태를 이루며, 몸체판은 단위에어블록의 접선 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고리판은 단위에어블록을 향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며, 이웃하는 단위에어블록에 구비되는 각각의 갈고리 부재는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며, 체결시 고리판이 서로 맞물림에 따라 체결된 두 개의 갈고리 부재는 'Z'자 형상을 이룬다.
상기 층고조절장치는, 단위에어블록의 일단부가 수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층고조절받침과, 층고조절받침 내부의 저면 상에 고정되는 스프링부재와, 상기 스프링부재 상에 구비되며, 단위에어블록의 거치 공간을 제공하는 누름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단위에어블록의 일단부가 층고조절받침 내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단위에어블록에 힘을 가하면 누름판에 그 힘이 전달됨과 함께 스프링부재가 탄성 수축되어 누름판 및 단위에어블록이 하향 이동되며, 단위에어블록에 가해지는 힘에 사라지면 스프링부재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누름판 및 단위에어블록은 상향 이동된다.
상기 층고조절장치는 에어쿠션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에어쿠션은 이웃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보조 공기주머니를 구비하며, 복수의 보조 공기주머니는 열을 지어 에어쿠션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며, 상기 에어쿠션을 1번 또는 그 이상의 횟수로 접거나 두루마리 형태로 말아서 에어쿠션의 두께를 조절함과 함께 단위에어블록의 층고를 조절하며, 상기 에어쿠션과 단위에어블록 사이에는 접히거나 말아진 에어쿠션을 단위에어블록 상단의 중앙부에 위치시키기 위한 연결매개부재가 구비된다.
상기 단위에어블록의 상단부에 공기가 주입되지 않는 절곡부가 구비되며, 요구되는 층고에 맞추어 상기 절곡부를 절곡시킴으로써 단위에어블록의 층고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층고조절장치는, 공기가 주입되지 않은 상태의 단위에어블록의 일정 길이를 말아서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족자봉과, 족자봉이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족자봉 프레임과, 상기 족자봉 프레임의 양측부에 구비되어 족자봉의 고정상태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는 족자봉 고정매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족자봉 프레임의 상단부에 수평 방향으로 360도 회전이 가능한 회전고리가 구비되며, 회전고리는 회전고리 고정봉에 결착되며, 상기 회전고리의 회전을 통해 단위에어블록을 회전문 형태로 회전시킬 수 있으며, 상기 회전고리 고정봉은 이웃하는 단위에어블록에 구비된 족자봉이 연장된 것이다.
각 단위에어블록의 측부에 연결장치로 벨크로테이프, 자석, 지퍼, 단추 중 어느 하나를 구비시켜 이웃하는 단위에어블록을 연결시킬 수 있다.
이와 함께,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에어블록은 이웃하여 배열되는 복수의 단위에어매트로 이루어지는 평판 형상의 메인 가벽체; 상기 메인 가벽체의 양측부에 90도 절곡된 형태로 구비되어 설치대상물의 측부를 감싸는 측부 보조가벽; 및 상기 메인 가벽체 및 측부 보조가벽의 상부에 구비되어, 메인 가벽체와 천정면 사이의 높이차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상부 보조가벽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웃하는 단위에어매트는 연결부재를 매개로 연결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이웃하는 단위에어매트 각각의 일측에 지퍼줄이 구비되며, 지퍼의 잠금, 해제에 따라 이웃하는 단위에어매트의 연결, 분리가 가능하다. 또한, 이웃하는 단위에어매트 각각의 일측에 벨크로테이프가 구비되며, 벨크로테이프의 접착, 분리에 따라 이웃하는 단위에어매트의 연결, 분리가 가능하다. 이와 함께, 이웃하는 일측의 단위에어매트에 단추가 구비되고 다른 일측의 단위에어매트에 단추구멍이 구비되며, 단추와 단추구멍의 체결 여부에 따라 이웃하는 단위에어매트의 연결, 분리가 가능하다.
상기 연결부재는 단위에어매트의 측면 전방부와 측면 후방부에 번갈아가면서 구비되며, 첫번째 단위에어매트와 두번째 단위에어매트 사이의 연결부재는 단위에어매트의 측면 전방부에 구비되며, 두번째 단위에어매트와 세번째 단위에어매트 사이의 연결부재는 단위에어매트의 측면 후방부에 구비되는 형태를 이루며, 이웃하는 단위에어매트의 절곡에 의해 복수의 단위에어매트가 주름관 형태로 접혀질 수 있다.
상기 각각의 단위에어매트의 일측에 공기주입구가 구비되며, 상기 공기주입구를 통한 공기의 주입 또는 배출을 통해 단위에어매트의 팽창 또는 수축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단위에어매트는 공기주입시 직육면체 형상을 이룬다.
상기 측부 보조가벽 및 상부 보조가벽의 일측에 공기주입구가 구비되며, 상기 공기주입구를 통한 공기의 주입 또는 배출을 통해 팽창 또는 수축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상부 보조가벽은 복수의 단위에어매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의 단위에어매트 수납부를 구비한 외피가 더 구비되며, 각각의 단위에어매트는 외피의 단위에어매트 수납부에 수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에어블록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단위에어블록의 조합을 통해 다용도 에어블록을 구성함과 함께 층고조절장치를 통해 다용도 에어블록의 층고가 미세 조절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실내 설계구조 및 요구되는 용도에 따라 그 형상을 선택적으로 가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실내에 유입되는 외풍을 차단하는 방풍 용도 뿐만 아니라 휴대용 에어매트리스, 실내 보호벽, 여름철 냉방벽의 용도로 최적화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에어블록의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갈고리 방식의 연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5 및 도 6a는 에어쿠션 방식의 층고조절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6b 및 도 6c는 절곡부가 구비된 단위에어블록의 참고도.
도 7, 도 8a 및 도 8b는 블라인드 방식의 층고조절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풍용 에어 가벽의 분리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인 가벽체의 분리사시도.
도 11은 절곡된 형태의 메인 가벽체를 나타낸 참고도.
도 12는 외피에 단위에어매트가 수납되는 것을 나타낸 참고도.
도 13은 벨크로테이프에 의해 연결되는 단위에어매트를 나타낸 참고도.
도 14는 단추에 의해 연결되는 단위에어메트를 나타낸 참고도.
본 발명은 다용도 에어블록에 관한 기술을 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에어블록은 실내에 유입되는 외풍을 차단하는 방풍 용도 이외에 휴대용 에어매트리스, 실내 보호벽, 여름철 냉방벽의 용도로 사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단위에어블록의 조합을 통해 다용도 에어블록을 구성함과 함께 층고조절장치를 통해 다용도 에어블록의 층고가 미세 조절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실내 설계구조 및 요구되는 용도에 따라 그 형상을 선택적으로 가변시킬 수 있는 기술을 제시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에어블록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에어블록은 단위에어블록(110), 연결장치(120) 및 층고조절장치(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단위에어블록(110)은 이웃하여 배열되는 복수의 공기주머니(111)를 구비한다. 각 공기주머니(111)는 공기주입시 봉 형상을 이루며, 단위에어블록(110)의 모든 공기주머니(111)에 공기가 주입되면 탄성이 있는 매트 형태를 띠게 된다. 공기주머니(111)의 일측에는 공기의 주입 및 배출을 위한 공기주입구(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되며, 이웃하는 공기주머니(111)들 사이에는 공기통로가 구비되어 있어, 공기주입구를 통해 공기를 주입하면 복수의 공기주머니(111)에 순차적으로 공기가 주입되어 팽창하게 된다.
이와 같은 단위에어블록(110)은 실내 설계구조 및 요구되는 용도에 부합되도록 복수개로 조합될 수 있다. 즉, 장착되는 실내 공간의 크기 또는 휴대용 에어매트리스, 실내 보호벽, 여름철 냉방벽 등의 용도에 따라 복수개의 단위에어블록(110)이 조합될 수 있다.
복수개의 단위에어블록(110)으로 조합되는 경우, 이웃하는 단위에어블록(110)은 연결장치를 매개로 일체형으로 연결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연결장치(120)는 일 실시형태로, 갈고리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갈고리 방식으로 상기 연결장치를 구성하는 경우, 이웃하는 각각의 단위에어블록(110)의 측부에 단위에어블록(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갈고리 부재(120)가 구비된다(도 1 내지 도 4 참조). 상기 갈고리 부재(120)는 평단면이 갈고리 형상을 이루며, 이와 같은 갈고리 형상이 단위에어블록(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형태를 이룬다.
상기 갈고리 부재(120)는 세부적으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판(121)과 고리판(122)으로 구분된다. 몸체판(121)은 공기가 주입된 단위에어블록(110)의 일측에 고정되며, 고리판(122)은 몸체판(121)의 일단에 예각으로 붙어있는 형태를 이룬다. 이 때, 몸체판(121)은 단위에어블록(110)의 접선 방향으로 구비되고, 고리판(122)은 단위에어블록(110)을 향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이웃하는 단위에어블록(110)은 각각의 단위에어블록(110)에 구비된 갈고리 부재(120)의 고리판(122)이 서로 맞물려는 형태로 체결된다. 이를 위해, 이웃하는 단위에어블록(110)에 구비되는 각각의 갈고리 부재(120)는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며, 체결시 고리판(122)이 서로 맞물림에 따라 체결된 두 개의 갈고리 부재(120)는 'Z'자 형상을 이루게 된다.
상기 연결장치는 상술한 갈고리 방식 이외에 벨크로테이프형, 자석형, 지퍼형, 단추형 등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즉, 각 단위에어블록(110)의 측부에 연결장치로 벨크로테이프, 자석, 지퍼, 단추 등을 구비시켜 이들을 매개로 이웃하는 단위에어블록(110)을 연결시킬 수 있다.
한편, 각각의 단위에어블록(110)은 층고조절장치를 통해 미세 층고 조절이 가능하다. 상기 층고조절장치는 단위에어블록(110)의 하단측 또는 상단측에 구비되어 단위에어블록(110)의 층고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층고조절장치는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층고조절장치는 층고조절받침(131), 스프링부재(132) 및 누름판(13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층고조절받침(131)은 단위에어블록(110)의 일단부가 수납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스프링부재(132)는 층고조절받침(131) 내부의 저면 상에 고정되며, 상기 누름판(133)은 상기 스프링부재(132) 상에 구비되며, 상기 단위에어블록(110)은 상기 누름판(133) 상에 거치된다.
상기 누름판(133)은 스프링부재(132)의 탄성수축,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층고조절받침(131) 내에서 상하 이동이 가능하다. 즉, 상기 누름판(133)에 외부의 힘이 가해지면 스프링부재(132)의 탄성수축에 의해 누름판(133)이 하향 이동되며, 외부의 힘이 가해지지 않으면 스프링부재(132)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상향 이동된다.
이와 같은 스프링부재(132)의 탄성수축, 탄성복원력을 이용하여 단위에어블록(110)의 층고를 조절할 수 있다. 단위에어블록(110)의 일단부가 층고조절받침(131) 내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단위에어블록(110)에 힘을 가하면 누름판(133)에 그 힘이 전달됨과 함께 스프링부재(132)가 탄성 수축되어 누름판(133) 및 단위에어블록(110)이 하향 이동되며, 단위에어블록(110)에 가해지는 힘에 사라지면 스프링부재(132)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누름판(133) 및 단위에어블록(110)은 상향 이동된다. 실내의 천정면과 바닥면 상에 본 발명의 다용도 에어블록을 설치하는 경우, 스프링부재(132)의 탄성수축, 탄성복원력을 통해 단위에어블록(110)의 상단을 천정면에 용이하게 밀착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층고조절장치는 상술한 실시예 외에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 및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어쿠션(140)을 이용하여 층고조절장치를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단위에어블록(110)의 상단에 에어쿠션(140)을 구비시키고, 상기 에어쿠션(140)의 두께 조절을 통해 다용도 에어블록의 층고를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에어쿠션(140)은 상기 단위에어블록(110)과 마찬가지로 복수의 공기주머니(111)를 구비하여 공기 주입에 의해 팽창되는 방식이다. 세부적으로, 상기 에어쿠션(140)은 이웃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보조 공기주머니(141)을 구비하며, 복수의 보조 공기주머니(141)은 열을 지어 에어쿠션(140)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된다.
에어쿠션(140)을 구성하는 복수의 보조 공기주머니(141)은 단위에어블록(110)의 공기주머니(111)보다 작아 공기가 주입된 상태에서도 에어쿠션(140)은 접히거나 두루마리 형태로 말아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에어쿠션(140)을 1번 또는 그 이상의 횟수로 접거나 두루마리 형태로 말아서 에어쿠션(140)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으며, 에어쿠션(140)의 두께 조절을 통해 다용도 에어블록의 층고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두루마리 형태로 말아진 에어쿠션(140)의 위치 조정을 위해 정확히는, 두루마리 형태로 말아진 에어쿠션(140)을 단위에어블록(110) 상단의 중앙부에 용이하게 위치시키기 위해 단위에어블록(110) 상단과 에어쿠션(140) 사이에 연결매개부재(150)를 구비시킬 수 있다. 연결매개부재(150)는 단위에어블록(110)을 이루는 재질과 동일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공기가 주입되지 않는다.
한편, 에어쿠션(140)을 구비시키지 않고 단위에어블록(110)을 절곡시켜 단위에어블록(110)의 층고를 조절할 수도 있다(도 6b 및 도 6c). 이 경우, 단위에어블록(110)의 상단부에 공기가 주입되지 않는 절곡부(151)를 구비시키고, 요구되는 층고에 맞추어 상기 절곡부(151)를 절곡시킴으로써 단위에어블록(110)의 층고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에어쿠션(140) 방식 이외에 블라인드 방식으로 층고조절장치를 구성할 수도 있다. 블라인드 방식의 층고조절장치(160)는 공기가 주입되지 않은 상태의 단위에어블록(110)의 일정 길이를 족자봉(161)에 말아 고정시키는 방식으로 다용도 에어블록의 층고를 조절하는 방식이다(도 7, 도 8a 및 도 8b 참조).
구체적으로, 블라인드 방식의 층고조절장치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족자봉(161), 족자봉 프레임(162) 및 족자봉 고정마개(16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족자봉(161)은 공기가 주입되지 않은 상태의 단위에어블록(110)의 일정 길이를 말아서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며, 상기 족자봉 프레임(162)은 족자봉(161)이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족자봉 고정마개(163)는 상기 족자봉 프레임(162)의 양측부에 구비되어 족자봉(161)의 고정상태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구조 하에, 단위에어블록(110)에 공기를 주입하지 않은 상태에서 필요한 층고에 맞도록 단위에어블록(110)의 일정 길이를 족자봉(161)에 말고, 단위에어블록(110)의 일정 길이가 말아진 족자봉(161)을 족자봉 프레임(162)에 안착시킴으로써 단위에어블록(110)의 층고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족자봉 프레임(162)의 상단부에 수평 방향으로 360도 회전이 가능한 회전고리(164)를 부착시켜 단위에어블록(110)을 회전문 형태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도 8a 및 도 8b 참조). 이 경우, 회전고리(164)는 회전고리(164) 고정봉에 결착되며, 회전고리(164)가 회전고리 고정봉에 결착된 상태에서 회전고리(164)의 회전을 통해 단위에어블록(110)의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회전고리 고정봉은 주변의 구조물에 고정될 수 있으며, 이웃하는 단위에어블록(110)에 구비된 족자봉(161)을 연장시켜 회전고리(164) 고정봉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에어블록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아래의 실시예는 상술한 실시예에 비해 상대적으로 방풍 용도에 특화된 구성을 갖는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에어블록은 메인 가벽체(10), 측부 보조가벽(20) 및 상부 보조가벽(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메인 가벽체(10)는 이웃하여 배열되는 복수의 단위에어매트(11)로 이루어진다. 상기 단위에어매트(11)는 공기주입 여부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되며, 공기주입시 직육면체 형상을 이룬다. 복수의 단위에어매트(11)가 이웃하여 배열됨에 따라, 각각의 단위에어매트(11)가 공기가 주입되면 상기 메인 가벽체(10)는 평판 형상을 이룬다. 상기 각각의 단위에어매트(11)의 일측에는 공기주입구(13)가 구비되며, 상기 공기주입구(13)를 통해 공기를 주입하거나 주입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상기 메인 가벽체(10)는 실내의 천정과 바닥면 사이에 거치되는 형태로 장착된다.
메인 가벽체(10)를 구성하는 단위에어매트(11)의 개수는 메인 가벽체(10)에 의해 가려지는 공간의 크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결정된다. 즉, 메인 가벽체(10)에 의해 가려지는 공간이 크면 단위에어매트(11)의 개수는 증가되고, 그 반대이면 단위에어매트(11)의 개수는 감소된다. 상기 메인 가벽체(10)에 의해 가려지는 공간은 외풍이 유입되는 장소로서, 창문 또는 복도 등이 해당된다.
이웃하는 단위에어매트(11)는 연결부재(12)를 매개로 일체형으로 연결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12)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일 실시예로 지퍼형(도 9 참조), 벨크로테이프형(도 13 참조), 단추형(도 14 참조)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지퍼형의 경우 각각의 단위에어매트(11)에 지퍼줄을 구비시키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으며, 벨크로테이프형의 경우 각각의 단위에어매트(11)에 벨크로테이프를 구비시키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으며, 단추형의 경우 일측의 단위에어매트(11)에는 단추(12b)를 구비시키고 다른 일측의 단위에어매트(11)에는 단추구멍(12c)을 구비시키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지퍼, 벨크로테이프, 단추의 체결 또는 해제에 따라 이웃하는 단위에어매트(11)의 연결 또는 분리가 가능하게 된다.
다른 실시예로, 복수의 단위에어매트 수납부(41)를 구비한 외피(40)를 이용하여 메인 가벽체(10)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단위에어매트(11)는 외피(40)의 단위에어매트 수납부(41)에 수납되며, 단위에어매트(11)와 단위에어매트(11)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12)의 구성은 생략할 수 있다. 외피(40)에 단위에어매트(11)를 수납하는 경우, 불투과성의 외피를 통해 빛을 차단하는 효과를 부수적으로 얻을 수 있다.
한편, 메인 가벽체(10)를 구성하는 복수의 단위에어매트(11)에 있어서, 복수의 단위에어매트(11)가 주름관 형태로 접혀질 수 있도록 상기 연결부재(12)는 단위에어매트(11)의 측면 전방부와 측면 후방부에 번갈아가면서 구비된다. 단위에어매트(11)의 측면 전방부라 함은 직육면체 형상을 이루는 단위에어매트(11)의 측면에서 전방쪽을 일컬으며, 단위에어매트(11)의 측면 후방부라 함은 직육면체 형상을 이루는 단위에어매트(11)의 측면에서 후방쪽을 일컬으며, 상기 연결부재(12)는 단위에어매트(11)의 측면 전방부 또는 측면 후방부에 측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된다. 일 예로, 첫번째 단위에어매트(11)와 두번째 단위에어매트(11) 사이의 연결부재(12)는 단위에어매트(11)의 측면 전방부에 구비되며, 두번째 단위에어매트(11)와 세번째 단위에어매트(11) 사이의 연결부재(12)는 단위에어매트(11)의 측면 후방부에 구비되며, 세번째 단위에어매트(11)와 네번째 단위에어매트(11) 사이의 연결부재(12)는 단위에어매트(11)의 측면 전방부에 구비되는 형태를 이룬다.
이와 같이, 연결부재(12)가 단위에어매트(11)의 측면 전방부와 측면 후방부에 번갈아가면서 구비됨에 따라,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가벽체(10)를 구성하는 복수의 단위에어매트(11)는 주름관 형태로 접혀질 수 있게 된다. 메인 가벽체(10)가 주름관 형태로 접혀지는 것이 가능함에 따라, 메인 가벽체(10)의 절곡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폭의 장소(창문, 복도 등)에 설치할 수 있으며, 보관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다음으로, 상기 측부 보조가벽(20)은 상기 메인 가벽체(10)의 양측부에 90도 절곡된 형태로 구비되어 설치대상물 예를 들어, 창문의 측부를 감싸는 역할을 한다. 상기 측부 보조가벽(20)은 상기 메인 가벽체(10)를 구성하는 단위에어매트(11)와 마찬가지로 에어매트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에어매트의 일측에는 공기주입구(21)가 구비되며 공기주입 여부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에어블록의 설치대상물이 창문인 경우, 상기 측부 보조가벽(20)은 창문틀 또는 벽면 상에 밀착되는데, 측부 보조가벽(20)에 주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여 창문틀 또는 벽면과의 밀착성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부 보조가벽(20)과 메인 가벽체(10)는 연결부재(도시하지 않음)를 매개로 선택적으로 연결 또는 분리되며, 상기 연결부재는 메인 가벽체(10)를 구성하는 복수의 단위에어매트(11)의 연결방식인 지퍼형, 벨크로테이프형, 단추형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보조가벽(30)는 상기 메인 가벽체(10) 및 측부 보조가벽(20)의 상부면 상에 구비되어 메인가벽체(10)와 천정면 사이의 높이차를 조절함과 함께 설치대상물의 상부측으로부터 유입되는 외풍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실내 구조에서, 창문틀의 상부에 커튼레일이 설치되어 있으면 커튼레일의 위치가 실내 천정면보다 높을 수 있으며, 이 경우 창문 상단부와 커튼레일 사이에서 많은 외풍이 발생된다. 상기 상부 보조가벽(30)는 상기와 같이 천정면의 높이차가 있는 경우에 대한 효과적인 외풍 방지물 역할을 한다. 상기 상부 보조가벽(30)는 벨크로테이프 등을 통해 상기 메인 가벽체(10) 및 측부 보조가벽(20)의 상부면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보조가벽(30)는 상기 측부 보조가벽(20)과 마찬가지로 공기주입구(33)를 구비한 에어매트 형태로 구성할 수 있으며, 공기주입량의 조절을 통해 상기 상부 보조가벽(30)의 높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부 보조가벽(30)와 천정면(또는 커튼레일 상단부) 사이의 밀착성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보조가벽(30)는 상기 메인 가벽체(10)의 형태와 마찬가지로 복수의 단위에어매트(31)의 조합으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연결부재(32)의 방식은 메인 가벽체(10)의 방식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110 : 단위에어블록 111 : 공기주머니
120 : 갈고리 부재 121 : 몸체판
122 : 고리판 130, 140, 160 : 층고조절장치
131 : 층고조절받침 132 : 스프링부재
133 : 누름판 140 : 에어쿠션
141 : 보조 공기주머니 150 : 연결매개부재
161 : 족자봉 162 : 족자봉 프레임
163 : 족자봉 고정마개 164 : 회전고리
10 : 메인 가벽체 11, 31 : 단위에어매트
12, 32 : 연결부재 13, 21, 33 : 공기주입구
20 : 측부 보조가벽 30 : 상부 보조가벽
40 : 외피 41 : 단위에어매트 수납부

Claims (18)

  1. 이웃하여 배열되는 복수의 공기주머니를 구비하며, 공기 주입에 따라 팽창되는 단위에어블록;
    이웃하는 단위에어블록을 연결하는 연결장치; 및
    상기 단위에어블록의 하단측 또는 상단측에 구비되어 단위에어블록의 층고를 조절하는 층고조절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단위에어블록의 상단부에 공기가 주입되지 않는 절곡부가 구비되며, 요구되는 층고에 맞추어 상기 절곡부를 절곡시킴으로써 단위에어블록의 층고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에어블록.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장치는 갈고리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갈고리 부재는 이웃하는 각각의 단위에어블록의 측부에 단위에어블록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되며, 상기 갈고리 부재는 몸체판과 고리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몸체판은 단위에어블록의 일측에 고정되고 고리판은 몸체판의 일단에 예각으로 붙어있는 형태를 이루며, 몸체판은 단위에어블록의 접선 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고리판은 단위에어블록을 향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며,
    이웃하는 단위에어블록에 구비되는 각각의 갈고리 부재는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며, 체결시 고리판이 서로 맞물림에 따라 체결된 두 개의 갈고리 부재는 'Z'자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에어블록.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층고조절장치는,
    단위에어블록의 일단부가 수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층고조절받침과,
    층고조절받침 내부의 저면 상에 고정되는 스프링부재와,
    상기 스프링부재 상에 구비되며, 단위에어블록의 거치 공간을 제공하는 누름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단위에어블록의 일단부가 층고조절받침 내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단위에어블록에 힘을 가하면 누름판에 그 힘이 전달됨과 함께 스프링부재가 탄성 수축되어 누름판 및 단위에어블록이 하향 이동되며, 단위에어블록에 가해지는 힘에 사라지면 스프링부재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누름판 및 단위에어블록은 상향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에어블록.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층고조절장치는 에어쿠션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에어쿠션은 이웃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보조 공기주머니를 구비하며, 복수의 보조 공기주머니는 열을 지어 에어쿠션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며,
    상기 에어쿠션을 1번 또는 그 이상의 횟수로 접거나 두루마리 형태로 말아서 에어쿠션의 두께를 조절함과 함께 단위에어블록의 층고를 조절하며,
    상기 에어쿠션과 단위에어블록 사이에는 접히거나 말아진 에어쿠션을 단위에어블록 상단의 중앙부에 위치시키기 위한 연결매개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에어블록.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층고조절장치는,
    공기가 주입되지 않은 상태의 단위에어블록의 일정 길이를 말아서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족자봉과,
    족자봉이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족자봉 프레임과,
    상기 족자봉 프레임의 양측부에 구비되어 족자봉의 고정상태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는 족자봉 고정매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에어블록.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족자봉 프레임의 상단부에 수평 방향으로 360도 회전이 가능한 회전고리가 구비되며, 회전고리는 회전고리 고정봉에 결착되며,
    상기 회전고리의 회전을 통해 단위에어블록을 회전문 형태로 회전시킬 수 있으며,
    상기 회전고리 고정봉은 이웃하는 단위에어블록에 구비된 족자봉이 연장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에어블록.
  8. 제 1 항에 있어서, 각 단위에어블록의 측부에 연결장치로 벨크로테이프, 자석, 지퍼, 단추 중 어느 하나를 구비시켜 이웃하는 단위에어블록을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에어블록.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KR1020160140723A 2016-03-07 2016-10-27 다용도 에어블록 KR1019215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026995 2016-03-07
KR1020160026995 2016-03-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4358A KR20170104358A (ko) 2017-09-15
KR101921599B1 true KR101921599B1 (ko) 2018-11-26

Family

ID=59926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0723A KR101921599B1 (ko) 2016-03-07 2016-10-27 다용도 에어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15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68318B (zh) * 2021-09-10 2024-03-12 深圳市东吉联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臀部理疗仪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4358A (ko) 2017-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51938B2 (en) Double layer shade
US8235086B2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area screen coverage
US10829028B2 (en) Pop-up camper and associated accessories
US644675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noise levels
US20080302049A1 (en) Insulated fabric pocket panels
WO2004016883A1 (en) Room tent
US8852011B2 (en) Inflatable play structure and system
US20090211716A1 (en) Adjustable width stairwell child safety gate
KR101921599B1 (ko) 다용도 에어블록
CN116391069A (zh) 四合一多功能平房
KR101922134B1 (ko) 컨테이너형 하우스의 지붕구조
US20150027505A1 (en) Emergency shelter
KR101860751B1 (ko) 에어 주입식 캠핑텐트
US6915833B2 (en) Portable screen wall section
KR101951350B1 (ko) 레저 및 구난용 텐트
US20150159366A1 (en) Collapsible Cellular Insulation
CN212866419U (zh) 便携式隔音挡风装置
CN207905384U (zh) 一种车顶硬质折叠房
KR20140112763A (ko) 버블 하우스 조립체
US7086447B2 (en) Window covering
US20130266301A1 (en) Inflatable Portable Structure
US2716782A (en) Storable inter-shelter connector
KR101258509B1 (ko) 사이즈 가변형 실내 텐트
KR102123150B1 (ko) 재난구호용 다목적 에어튜브 쉘터
WO2011091526A1 (en) Multiple usage of ac for bed and other confined areas in addition to its conventional usage through moving mechanism and by creating the bed enclosure and other areas as requir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