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0729B1 - 곡률 조절 소자 및 방법 - Google Patents

곡률 조절 소자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0729B1
KR101920729B1 KR1020110096988A KR20110096988A KR101920729B1 KR 101920729 B1 KR101920729 B1 KR 101920729B1 KR 1020110096988 A KR1020110096988 A KR 1020110096988A KR 20110096988 A KR20110096988 A KR 20110096988A KR 101920729 B1 KR101920729 B1 KR 1019207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electrode
lens
curvature
driving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6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3115A (ko
Inventor
이은성
최민석
장종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96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0729B1/ko
Priority to US13/451,653 priority patent/US8861092B2/en
Publication of KR20130033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31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0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07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12Fluid-filled or evacuated lenses
    • G02B3/14Fluid-filled or evacuated lenses of variable focal length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6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fluids in transparent c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04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based on a displacement or a deformation of a fluid
    • G02B26/005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based on a displacement or a deformation of a fluid based on electrowett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12Fluid-filled or evacuated lenses

Abstract

곡률 조절 소자가 개시된다. 개시된 곡률 조절 소자는 투광성이며 극성인 제1유체; 상기 제1유체와 혼합되지 않는 성질을 가지며 투광성인 제2유체; 상기 제1유체와 제2유체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가지는 챔버; 상기 제1유체와 제2유체의 경계면으로, 렌즈면을 이루는 제1면; 상기 제1유체와 제2유체의 경계면으로, 상기 렌즈면의 곡률변화를 유도하는 제2면; 상기 챔버 내에 마련된 것으로, 상기 렌즈면에 대응하는 렌즈의 직경을 형성하는 제1관통홀과, 상기 제2유체의 통로를 형성하는 제2관통홀이 형성된 제1중간판; 상기 제2면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전기장을 형성하기 위한 전극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곡률 조절 소자 및 방법{Device and method for variable curvature}
본 개시는 미소전기유체 방식에 따라 렌즈면의 곡률을 조절하는 곡률 조절 소자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렌즈는 굴절률이 다른 두 매질의 경계면에서 빛이 굴절되는 성질을 이용하여 빛을 모으거나 분산시키는 도구로서, 카메라 등 다양한 영상 기기의 기본적인 구성요소이다.
렌즈면의 곡률과 렌즈의 재질에 따라 렌즈의 초점 거리가 정해지는데, 최근, 보다 나은 영상을 얻기 위해 가변 초점 기능을 가지는 렌즈시스템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가변 초점 기능은 자동초점(autofocusing)이나 줌(zoom) 동작에 사용될 수 있으며, 렌즈시스템을 이루는 일부 렌즈의 위치를 모터 등을 사용하여 기계적으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액체렌즈를 사용하여 렌즈면의 곡률을 변화시키는 방식이 사용된다.
액체렌즈의 종류로는 렌즈면의 곡률을 변화시키는 구동에 따라 압력식 액체렌즈, 전기습윤식 액체렌즈 등이 있다. 압력식 액체렌즈는 펌프나 액츄에이터를 이용하여 액체에 압력을 가하여 렌즈면의 곡률을 변화시킨다. 전기습윤식 액체렌즈는 전도성 액체와 유전체로 코팅된 구동전극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여 액체의 접촉각(contact angle)을 변화시키고, 이에 따라 렌즈면의 곡률을 변화시킨다.
본 개시는 미소전기유체 방식으로 렌즈면의 곡률을 조절하는 곡률 조절 소자 및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일 유형에 따르는 곡률 조절 소자는 투광성이며 극성인 제1유체; 상기 제1유체와 혼합되지 않는 성질을 가지며 투광성인 제2유체; 상기 제1유체와 제2유체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제1유체와 제2유체의 경계면이 렌즈면을 이루는 렌즈 영역과, 상기 제1유체와 제2유체의 다른 경계면이 상기 렌즈면의 곡률변화를 유도하는 구동면으로 작용하는 복수의 채널 영역을 구비하는 챔버; 상기 구동면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전기장을 형성하기 위한 전극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채널 영역은 상기 제1유체와 제2유체의 경계면으로 상기 렌즈면의 곡률변화를 유도하는 제1구동면이 형성된 하나 이상의 메인 채널과, 상기 제1유체와 제2유체의 경계면으로 상기 렌즈면의 곡률변화를 유도하는 제2구동면이 형성되고, 상기 메인 채널에 비해 상기 렌즈면의 곡률을 상대적으로 미세하게 조절하는 하나 이상의 서브 채널을 포함한다.
상기 제1유체는 극성 액체이고, 상기 제2유체는 기체 또는 비극성 액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곡률 조절 소자는 상기 제1유체와 접하도록 마련된 접지 전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구동면 및 제2구동면의 위치 변화가 상기 렌즈 영역을 둘러싸는 형태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제1구동면의 위치변화는 제1반경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이루어지고, 상기 제2구동면의 위치변화는 상기 제1반경보다 작은 제2반경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챔버는 서로 이격된 상부 기판 및 하부 기판; 상기 상부 기판과 하부 기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렌즈 영역 및 복수의 채널영역을 구획하고 각 영역간 상기 제1유체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으로, 상기 렌즈면에 대응하는 렌즈홀과, 상기 메인 채널과 서브 채널 각각에서 상기 제2유체가 유동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중간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극부는 상기 메인 채널에 형성된 제1전극부와 상기 서브 채널에 형성된 제2전극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전극부는, 상기 하부 기판상의 영역에 상기 메인 채널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절연물질로 코팅된 하나의 전극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전극부는, 상기 하부 기판상의 영역에 상기 서브 채널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절연물질로 코팅된 하나의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전극부와 제2전극부 각각에 인가되는 전압을 조절하여 상기 제1구동면과 제2구동면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전극부는, 상기 메인 채널에 대응하는 상기 하부 기판상의 영역에 상기 제1반경의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된 것으로, 잘린 부채꼴 또는 사다리꼴 형상을 가지며 절연물질로 코팅된 다수의 전극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전극부는, 상기 서브 채널에 대응하는 상기 하부 기판상의 영역에 상기 제2반경의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된 것으로, 잘린 부채꼴 또는 사다리꼴 형상을 가지며 절연물질로 코팅된 다수의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전극부와 제2전극부 각각에서 전압이 인가되는 전극 선택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제1구동면과 제2구동면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1전극부를 이루는 다수의 전극 및 상기 제2전극부를 이루는 다수의 전극은 모두 독립적으로 인가 전압이 조절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전극부를 이루는 다수의 전극 각각은 세 개의 공통 전극 중 어느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인접한 전극은 서로 다른 공통 전극에 연결되도록 배열될 수 있고, 상기 제2전극부를 이루는 다수의 전극 각각은 세 개의 공통 전극 중 어느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인접한 전극은 서로 다른 공통 전극에 연결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렌즈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하부 기판 상의 영역에는 친수성 코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메인 채널내의 일부 영역에 친수성 코팅이 이루어질 수 있고, 또는, 상기 메인 채널내의 영역 중, 상기 일부 영역과 이격된 다른 일부 영역에도 친수성 코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서브 채널내의 일부 영역에 친수성 코팅이 이루어질 수 있고, 또는, 상기 서브 채널내의 영역 중, 상기 일부 영역과 이격된 다른 일부 영역에도 친수성 코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일 유형에 따른 곡률 조절 소자는 상기 제1구동면 및 제2구동면의 위치 변화가 상기 렌즈 영역의 반경 방향을 따라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메인 채널 및 서브 채널은 각각 다수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다수의 메인 채널 및 다수의 서브 채널 각각은 상기 렌즈 영역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교차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전극부는 상기 다수의 메인 채널 각각에 형성된 제1전극부와 상기 다수의 서브 채널 각각에 형성된 제2전극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전극부는 부분 링 형상 또는 잘린 부채꼴 또는 사다리꼴 형상을 가지며 절연물질로 코팅된 하나 이상의 전극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전극부는 부분 링 형상 또는 잘린 부채꼴 또는 사다리꼴 형상을 가지며 절연물질로 코팅된 하나 이상의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유형에 따른 곡률 조절 소자는 상기 제1구동면의 위치 변화는 상기 렌즈 영역의 반경 방향을 따라 이루어지고, 상기 제2구동면의 위치 변화는 상기 렌즈 영역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극부는 상기 메인 채널에 형성된 제1전극부와 상기 서브 채널에 형성된 제2전극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전극부는 링 형상을 가지며 절연물질로 코팅되고, 상기 반경 방향으로 이격 배열된 다수의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제2전극부는 잘린 부채꼴 또는 사다리꼴 형상을 가지며 절연물질로 코팅되고, 상기 원주 방향으로 이격 배열된 다수의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유형에 따른 곡률 조절 소자는 투광성이며 극성인 제1유체; 상기 제1유체와 혼합되지 않는 성질을 가지며 투광성인 제2유체; 상기 제1유체와 제2유체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제1유체와 제2유체의 경계면이 렌즈면을 이루는 렌즈영역과, 상기 제1유체와 제2유체의 다른 경계면이 상기 렌즈면의 곡률변화를 유도하는 구동면으로 작용하는 하나의 채널 영역을 구비하는 챔버; 상기 구동면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전기장을 형성하기 위한 전극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면의 위치 변화가 상기 렌즈면을 둘러싸는 형태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극부는 제1반경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잘린 부채꼴 또는 사다리꼴 형상을 가지며 절연물질로 코팅된 다수의 전극과 상기 제1반경보다 큰 제2반경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잘린 부채꼴 또는 사다리꼴 형상을 가지며 절연물질로 코팅된 다수의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유형에 따른 영상 기기는 상기 곡률 조절 소자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촬상렌즈부; 상기 곡률 조절 소자의 렌즈면의 곡률을 조절하기 위한 전압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촬상렌즈부가 형성한 광학상을 전기 신호로 전환하는 이미지센서;를 포함한다.
일 유형에 따른 곡률 조절 방법은 굴절률이 다른 투광성의 두 유체의 계면을 렌즈면으로 사용하고, 상기 유체의 유동을 이용하여 상기 렌즈면의 곡률을 조절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두 유체가 수용되는 공간에, 상기 렌즈면을 포함하는 렌즈 영역과 상기 유체의 유동을 조절하는 채널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채널 영역에서 유동량의 기본 단위가 상대적으로 큰 메인 조절과 유동량의 기본단위가 상대적으로 작은 서브 조절을 조합하여, 상기 두 유체의 유동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곡률 조절 소자 및 방법은 전기습윤 기술에 기반을 둔 전기 유체 방식으로 구동되므로, 외부 펌프나 기계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전기 배선만으로 렌즈면의 곡률을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채널 영역에서 유동량의 기본 단위가 상대적으로 큰 메인 조절과 유동량의 기본단위가 상대적으로 작은 서브 조절을 조합하여, 두 유체의 유동을 조절하게 되므로, 렌즈면의 보다 정밀한 제어가 가능하다. 또한, 유체의 이동경로가 되는 유로가 렌즈면을 둘러싸는 원주 방향이 되게 함으로써 제어 길이가 길어져, 렌즈면의 보다 정밀한 제어가 가능해진다.
상술한 곡률 조절 소자는 렌즈면의 곡률 변화를 최대화 할 수 있으며, 가변 초점 렌즈로 영상 기기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곡률 조절 소자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이는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곡률 조절 소자의 채널 구조와 유체 유동 경로를 보인 정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곡률 조절 소자에 형성된 전극 구조 및 제1유체의 초기 상태를 보인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곡률 조절 소자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이는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곡률 조절 소자에 형성된 전극 구조와 각 채널에서의 유체 유동 경로를 보인다.
도 6은 도 5의 전극 구조의 보다 구체적인 배치예를 보인다.
도 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곡률 조절 소자에서 채용할 수 있는 전극 구조 및 각 채널에서 일어나는 유체 유동 경로의 다른 예를 보인다.
도 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곡률 조절 소자에서 채용할 수 있는 채널 구조를 보인다.
도 9는 도 8의 곡률 조절 소자의 채널 구조에 채용될 수 있는 전극 구조를 보인다.
도 1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곡률 조절 소자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인 측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곡률 조절 소자의 제1전극부의 예시적인 구조를 보인다.
도 12는 도 11의 곡률 조절 소자의 제2전극부의 예시적인 구조를 보인다.
도 1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곡률 조절 소자에서 채용할 수 있는 채널 구조를 보인다.
도 14는 도 13의 곡률 조절 소자의 채널 구조에 채용될 수 있는 전극 구조를 보인다.
도 1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곡률 조절 소자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인 측단면도이다.
도 16은 실시예에 따른 영상 기기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인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200, 300, 400, 500, 600, 700...곡률 조절 소자
110, 510...하부기판 190,590...상부기판
120, 220, 320, 420, 520, 720...제1전극부
140, 240, 340, 440, 540, 740...제2전극부
150, 750...중간구조물 730...제3전극부
160, 360, 460, 530...접지전극 750...제4전극부
900...영상기기 VF...가변초점렌즈
920...촬상렌즈부 950...이미지센서
F1...제1유체 F2...제2유체
LA...렌즈 영역 CA...채널 영역
MC...메인 채널 SC...서브 채널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도면들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도면상에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실시예에 의한 곡률 조절 방법은 굴절률이 다른 투광성의 두 유체의 계면을 렌즈면으로 사용하고, 유체의 유동을 이용하여 렌즈면의 곡률을 조절하는 방법으로서, 두 유체가 수용되는 공간에, 렌즈면을 포함하는 렌즈 영역과 유체의 유동을 조절하는 채널 영역을 형성하고, 채널 영역에서 유동량의 기본 단위가 상대적으로 큰 메인 조절과 유동량의 기본단위가 상대적으로 작은 서브 조절을 조합하여, 두 유체의 유동을 조절하게 된다.
이러한 방법을 구현하는 곡률 조절 소자는 두 유체가 수용되는 챔버 내의 세부 구조, 두 유체의 경계면을 구동하기 위한 전극부의 전극 배치 구조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곡률 조절 소자(100)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이는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곡률 조절 소자(100)의 채널 구조와 유체 유동 경로를 보인 정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곡률 조절 소자(100)에 형성된 전극 구조를 보인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곡률 조절 소자(100)는 투광성이며 극성인 제1유체(F1), 제1유체(F1)와 혼합되지 않는 성질을 가지며 투광성인 제2유체(F2), 제1유체(F1)와 제2유체(F2)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 제1유체(F1)와 제2유체(F2)의 경계면이 렌즈면(LS)을 이루는 렌즈 영역(LA)과, 제1유체(F1)와 제2유체(F2)의 다른 경계면이 렌즈면(LS)의 곡률변화를 유도하는 구동면으로 작용하는 복수의 채널 영역을 구비하는 챔버와, 상기 구동면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전기장을 형성하기 위한 전극부를 포함한다.
복수의 채널 영역은 제1유체(F1)와 제2유체(F2)의 경계면으로 렌즈면(LS)의 곡률변화를 유도하는 제1구동면(DS1)이 형성된 하나 이상의 메인 채널(MC)과, 제1유체(F1)와 제2유체(F2)의 경계면으로 렌즈면(LS)의 곡률변화를 유도하는 제2구동면(DS2)이 형성되고, 메인 채널(MC)에 비해 렌즈면(LS)의 곡률을 상대적으로 미세하게 조절하는 하나 이상의 서브 채널(SC)을 포함한다.
보다 상세한 구성과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챔버는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이격된 상부 기판(190) 및 하부 기판(110), 상부 기판(190)과 하부 기판(110) 사이에 배치되어, 렌즈 영역(LA) 및 복수의 채널영역을 구획하고 각 영역간 제1유체(F1)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중간구조물(1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중간구조물(150)에는 렌즈면(LS)에 대응하는 렌즈홀(LH), 메인 채널(MC)에서 제2유체(F2)가 유동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제1관통홀(H1), 서브 채널(SC)에서 제2유체(F2)가 유동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제2관통홀(H2)이 구비되어 있다.
하부기판(110), 중간구조물(150), 상부기판(190)은 투광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유체(F1)와 제2유체(F2)는 굴절률이 서로 다른 투광성 유체로 구성된다. 제1유체(F1)는 비극성 액체, 제2유체(F2)는 기체 또는 비극성 액체로 구성될 수 있다.
전극부는 메인 채널(MC)에 형성된 제1전극부(120)와 서브 채널(SC)에 형성된 제2전극부(140)를 포함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전극부(120)는, 하부 기판(110)상의 영역에 메인 채널(MC)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절연물질(미도시)로 코팅된 하나의 전극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2전극부(140)는, 하부 기판(110)상의 영역에 상기 서브 채널(SC)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절연물질(미도시)로 코팅된 하나의 전극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극부는 메인 채널(MC)의 하부, 서브 채널(SC)의 하부에만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고, 메인 채널(MC), 서브 채널(SC)의 상부, 즉, 중간구조물(150)의 하면(150a)(150b)에도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유체(F1)와 접하도록 마련된 접지 전극(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접지 전극(160)은 하부 기판(110) 상에 배치되고 렌즈 영역(LA)의 거의 전체와, 메인 채널(MC)의 잘린 부채꼴 또는 사다리꼴 형상의 일부 영역, 서브 채널(SC)에서 잘린 부채꼴 또는 사다리꼴 형상의 일부 영역을 포함하는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전압이 인가되지 않은 초기 상태에서, 제1유체(F1)와 접할 수 있는 어느 위치든지 배치될 수 있으며, 형상도 도시된 형상에 제한되지 않는다. 접지 전극(R)은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접지 전극(R)이 구비되는 경우, 구동 전압을 보다 낮게 할 수 있다.
렌즈 영역(LA)에는 친수성 코팅이 되어 있을 수 있다. 렌즈 영역(LA)에는 항상 제1유체(F1)가 존재해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메인 채널(MC)내의 일부 영역과 서브 채널(SC) 내의 일부 영역에도, 초기 상태에서 제1유체(F1)가 배치되는 위치에는 친수성 코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친수성 코팅은 상기 영역들에 해당하는 하부 기판(110) 상에 이루어질 수고, 또는 하부 기판(110) 상면과 이에 대응하는 중간구조물(150)의 하면 상에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으로 접지 전극(160)이 형성된 경우, 접지 전극(160) 위에 친수성 코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친수성 코팅이 이루어지지 않은 나머지 영역에는 소수성 표면 처리가 되어 있을 수 있다.
제1전극부(120), 제2전극부(140), 접지 전극(160)를 이루는 전극은 투명 전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등의 금속산화물, Au, Ag등의 금속 나노입자 분산 박막, CNT(carbon nanotube), 그래핀(graphene) 등의 탄소 나노구조체, poly(3,4-ethylenedioxythiophene) (PEDOT), polypyrrole(PPy), poly(3-hexylthiophene)(P3HT) 등의 전도성 고분자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배치 위치에 따라 투광성이 요구되지 않는 경우, 제1전극부(120), 제2전극부(140), 접지 전극(160)을 이루는 전극은 상술한 투명 전도성 물질외에, Au, Ag, Al, Cr, Ti등 금속 박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곡률 조절 소자(100)는 전기 습윤 구동에 의해 제1구동면(DS1), 제2구동면(DS2)에 작용하는 압력이 변하고, 이에 따라 렌즈면(LS)의 곡률이 조절된다. 전기 습윤 현상은 절연체로 코팅된 전극 상의 전해질 액적에 전압을 가하면 액적의 접촉각이 변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즉, 유체, 액적, 절연체가 만나는 삼상 접촉선(three-phase contact line, TCL)에서 각각의 계면장력에 따라 접촉각이 변한다. 전기 습윤 현상을 이용하는 경우, 낮은 전압을 사용하여 빠르고 효과적으로 유체의 유동을 제어할 수 있으며, 가역적으로 유체의 이송 및 제어가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기 습윤 구동에 의한 제1구동면(DS1) 및 제2구동면(DS2)의 위치 변화가 렌즈 영역(LA)을 둘러싸는 형태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1구동면(DS1)의 위치변화는 제1반경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이루어지고, 제2구동면(DS2)의 위치변화는 상기 제1반경보다 작은 제2반경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메인 채널(MC)에서 매크로한 범위로 유체 유동을 담당하고 서브 채널(SC)에서는 보다 미세한 범위로 유체 유동을 담당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라 메인 채널(MC)의 체적은 서브 채널(SC)의 체적보다 크게 설계될 수 있다.
제1전극부(120)와 제2전극부(140) 각각에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삼상접촉선에서 전기기계적 힘이 작용하여 제1유체(F1)가 메인 채널(MC), 서브 채널(SC)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제1구동면(DS1)과 제2구동면(DS2)의 위치가 변화된다. 이 때, 제1전극부(120)와 제2전극부(140) 각각에 인가되는 전압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제1구동면(DS1)과 제2구동면(DS2)의 위치 변화를 조절할 수 있다. 제1구동면(DS1)의 위치 변화와 제2구동면(DS2)의 위치가 각각 화살표 A, B 방향을 따라 많이 이동할수록, 렌즈 영역(LA)에서 제1유체(F1)가 메인 채널(MC)과 서브 채널(SC)로 이동한 양이 많은 것을 의미하며, 따라서, 렌즈면(LS)의 곡률이 작아지게 된다. 이와 같이 렌즈면(LS)의 곡률 변화를 야기하는 유체 유동량을 메인 채널(MC)과 서브 채널(SC)을 함께 이용하여 섬세하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렌즈면(LS)의 곡률을 보다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메인 채널(MC)의 형상, 서브 채널(SC)의 형상 및 이에 따른 제1전극부(120), 제2전극부(140)의 형상은 완전한 링 형상이 아닌 일부 영역이 절개된 링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이러한 일부 영역은 예를 들어, 제1전극부(120), 제2전극부(140)에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배선이나 전극 패드를 형성하는 영역으로 사용될 수 있다. 다만, 도시된 형상은 예시적인 것이며,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곡률 조절 소자(200)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이는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곡률 조절 소자(200)에 형성된 전극 구조와 각 채널에서의 유체 유동 경로를 보인다.
본 실시예의 곡률 조절 소자(200)는 제1전극부(220)와 제2전극부(240)가 다수의 전극으로 구성된 점에서 전술한 실시예의 곡률 조절 소자(200)와 차이가 있다.
제1전극부(220)는 메인 채널(MC)에 대응하는 하부 기판(110)상의 영역에 제1반경의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된 것으로, 잘린 부채꼴 또는 사다리꼴 형상을 가지며 절연물질로 코팅된 다수의 전극(221)을 포함한다. 또한, 제2전극부(240)는 서브 채널(SC)에 대응하는 하부 기판(110)상의 영역에 제2반경의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된 것으로, 잘린 부채꼴 또는 사다리꼴 형상을 가지며 절연물질로 코팅된 다수의 전극(241)을 포함한다. 서브 채널(SC)은 메인 채널(MC)에 비해 보다 미세한 범위로 유체 유동을 담당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서브 채널(SC)의 체적은 대략 메인 채널(MC)에서 이루어지는 기본유동량에 해당하는 체적과 비슷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여기서, 메인 채널(MC)에서의 기본유동량은 구동면(DS1)이 전극(221) 하나만큼 이동할 때 유체 이동량을 의미한다. 제1전극부(220)의 전극(221) 크기와 제2전극부(240)의 전극(241) 크기는 이러한 관계를 고려하여 정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제1전극부(220)와 제2전극부(240) 각각에서 전압이 인가되는 전극 선택을 조절함으로써 제1구동면(DS1)과 제2구동면(DS2)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제1전극부(220)를 이루는 다수의 전극 중 어느 하나, 제2전극부(240)를 이루는 다수의 전극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적절한 전압을 인가하면, 메인 채널(MC) 및 서브 채널(SC) 각각에서 활성화된 구동전극의 삼상 접촉선(three-phase contact line, TCL), 즉, 메인 채널(MC)에서 제1유체(F1), 제2유체(F2)의 경계면인 제1구동면(DS1)과 절연물질이 만나는 접선에서 전기기계적 힘이 작용하여 제1구동면(DS1)이 화살표 A 방향을 따라 이동하고, 마찬가지로, 서브 채널(SC)의 제1유체(F1), 제2유체(F2)의 경계면인 제2구동면(DS2)과 절연물질이 만나는 접선에서 전기기계적 힘이 작용하여 제2구동면(DS2)이 화살표 B 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제1구동면(DS1), 제2구동면(DS2)의 이동은 즉, 렌즈 영역(LA)으로부터 제1유체(F1)가 메인 채널(MC), 서브 채널(SC)로 이동함을 의미하며, 따라서, 렌즈면(LS)의 곡률이 작아진다.
제1전극부(220), 제2전극부(240)를 이루는 다수의 전극들중 일부에 선택적으로 전압을 인가함에 있어서 제1전극부(220)를 이루는 다수의 전극 및 제2전극부(240)를 이루는 다수의 전극은 모두 독립적으로 인가 전압이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지만, 또는 공통 전극을 최소한의 개수로 구성하여 인가 전압을 조절할 수도 있다.
도 6은 도 5의 전극 구조의 보다 구체적인 배치예를 보인다.
제1전극부(220)를 이루는 다수의 전극(221) 각각은 세 개의 공통 전극(227)(228)(229) 중 어느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인접한 전극은 서로 다른 공통 전극에 연결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제2전극부(240)를 이루는 다수의 전극 각각은 세 개의 공통 전극(247)(248)(249) 중 어느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인접한 전극은 서로 다른 공통 전극에 연결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전극 배치는 다수의 전극(221)(241)들이 모두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것에 비해 보다 간소한 구성이 된다.
도 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곡률 조절 소자(300)에서 채용할 수 있는 전극 구조 및 각 채널에서 일어나는 유체 유동 경로의 다른 예를 보인다.
본 실시예의 곡률 조절 소자(300)는 메인 채널(MC)에 두 개의 제1구동면(DS1)(DS1')이 형성되고, 서브 채널(SC)에 두 개의 제2구동면(DS2)(DS2')이 형성된 구조로서, 유체의 유동 속도를 증가시켜 렌즈면(LS)의 곡률 변화가 보다 빨리 이루어지는 구조를 갖는다.
메인 채널(MC)에 형성된 제1전극부(320)는 제1반경의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된 것으로, 잘린 부채꼴 또는 사다리꼴 형상을 가지며 절연물질로 코팅된 다수의 전극을 포함한다. 또한, 서브 채널(SC)에 형성된 제2전극부(340)는 제2반경의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된 것으로, 잘린 부채꼴 또는 사다리꼴 형상을 가지며 절연물질로 코팅된 다수의 전극을 포함한다. 제1전극부(320), 제2전극부(340)는 두 개의 제1구동면(DS1)(DS1'), 두 개의 제2구동면(DS2)(DS2')을 구동할 수 있도록 전압이 제어된다.
전압이 인가되지 않은 초기 상태에서, 제1유체(F1)는 렌즈 영역(LA), 메인 채널(MC) 상의 이격된 두 영역, 서브 채널(SC) 상의 이격된 두 영역에 걸쳐 배치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렌즈 영역(LA)과, 메인 채널(MC)의 상기 두 영역과 서브 채널(SC)의 상기 두 영역에 친수성 코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접지 전극(360)이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형성된 경우, 접지 전극(360) 위에 친수성 코팅이 이루어질 수 있으나, 접지 전극(360)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곡률 조절 소자(400)에서 채용할 수 있는 채널 구조를 보이며, 도 9는 도 8의 곡률 조절 소자(400)의 채널 구조에 채용될 수 있는 전극 구조를 보인다.
본 실시예의 곡률 조절 소자(400)는 제1구동면(DS1) 및 제2구동면(DS2)의 위치 변화가 렌즈 영역(LA)의 반경 방향을 따라 이루어지는 채널 및 전극 구조를 갖는다.
채널 영역은 다수의 메인 채널(MC) 및 다수의 서브 채널(SC)로 이루어지고, 다수의 메인 채널(MC) 및 다수의 서브 채널(SC) 각각은 렌즈 영역(LA)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교차 배열되어 있다.
다수의 메인 채널(MC) 및 다수의 서브 채널(SC)에는 각각 제1전극부(420)와 제2전극부(440)가 마련된다. 제1전극부(420)는 부분 링 형상 또는 잘린 부채꼴 형상을 가지며 절연물질로 코팅된 하나 이상의 전극을 포함한다. 제2전극부(440)는 부분 링 형상 또는 잘린 부채꼴 형상을 가지며 절연물질로 코팅된 하나 이상의 전극을 포함한다. 도면에는 잘린 부채꼴 형상의 전극과 다수의 부분 링 형상의 전극이 반경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고, 제1구동면(DS1), 제2구동면(DS2)의 위치 이동이 반경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도 1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곡률 조절 소자(500)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인 측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곡률 조절 소자(500)의 메인 채널(MC)과 제1전극부(520)의 예시적인 구조를 보이며, 도 12는 도 11의 곡률 조절 소자(500)의 서브 채널(SC)과 제2전극부(540)의 예시적인 구조를 보인다.
본 실시예의 곡률 조절 소자(500)는 제1구동면(DS1)의 위치 변화는 렌즈 영역(LA)의 반경 방향을 따라 이루어지고, 제2구동면(DS2)의 위치 변화는 렌즈 영역(LA)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이루어지는 채널 구조를 갖는다.
챔버는 하부기판(510), 중간구조물(560), 상부기판(590) 및 스페이서(5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메인 채널(MC)에 형성된 제1전극부(520)는 링 형상을 가지며 절연물질로 코팅되고, 반경 방향으로 이격 배열된 다수의 전극(521)을 포함한다. 제1전극부(520)는 중간구조물(55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서브 채널(SC)에 형성된 제2전극부(540)는 잘린 부채꼴 또는 사다리꼴 형상을 가지며 절연물질로 코팅되고, 원주 방향으로 이격 배열된 다수의 전극(541)을 포함한다. 제2전극부(540)는 하부 기판(51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부 기판(510)의 상면에 제1유체(F1)와 접하도록 마련된 접지 전극(530)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접지 전극(530)의 위치 형상은 도시된 형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렌즈 영역(LA)에는 친수성 코팅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으로 접지 전극(530)이 형성된 경우, 접지 전극(530) 위에 친수성 코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메인 채널(MC)에서 제1구동면(DS1)의 위치 변화는 링 형상의 전극(522)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중심부에서 반경방향으로 일어나기 때문에, 유체의 유동 속도가 빨라 렌즈면(LS)의 곡률 변화가 보다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다. 서브 채널(SC)은 제2구동면(DS2)의 위치를 원주 방향을 따라 변화시키며, 보다 섬세한 곡률 변화를 담당하게 된다.
도 1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곡률 조절 소자(600)에서 채용할 수 있는 채널 구조를 보이며, 도 14는 도 13의 곡률 조절 소자(600)의 채널 구조에 채용될 수 있는 전극 구조를 보인다.
본 실시예의 곡률 조절 소자(600)는 구동면(DS)의 위치 변화가 일어나는 채널 영역이 하나의 영역으로 이루어지며, 구동면(DS)의 위치 변화가 렌즈 영역(LA)을 둘러싸는 형태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이루어진다.
전극부(630)는 제1반경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잘린 부채꼴 또는 사다리꼴 형상을 가지며 절연물질로 코팅된 다수의 전극(634)과 상기 제1반경보다 큰 제2반경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잘린 부채꼴 또는 사다리꼴 형상을 가지며 절연물질로 코팅된 다수의 전극(632)을 포함한다. 제1반경의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된 전극(634)과 제2반경의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된 전극(634) 사이의 영역을 따라 유체의 유동이 연결되도록 연결전극(636)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달리 메인 채널과 서브 채널로 구분되지 않는 하나의 채널 영역을 구비하는 구조로서, 채널의 제어 길이를 최대로 늘려주는 전극 구조를 제시하는 것이며, 메인 채널과 서브 채널을 도입하는 구조에 비해 효율이 다소 낮을 수 있다. 전극(632), 전극(634) 및 연결전극(636)의 면적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곡률 조절 소자(700)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인 측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곡률 조절 소자(700)는 메인 채널(MC)과 서브 채널(SC)을 2층 구조로 형성하고 있다. 즉, 하부기판(710), 상부기판(790), 중간구조물(760)에 의해 챔버가 형성되며, 메인 채널(MC)에서 하부기판(710)의 상면에 제1전극부(720)가 구비될 뿐 아니라, 상부 기판(790)의 하면에도 제3전극부(730)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서브 채널(SC)에서 하부기판(710)의 상면에 제2전극부(740)가 구비될 뿐 아니라, 상부기판(790)의 하면에도 제4전극부(750)가 구비되어 있다. 제1전극부(720), 제2전극부(740), 제3전극부(730), 제4전극부(750)의 구체적인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채용한 전극부 구성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중간구조물(760)의 상면 및/또는 하면에 전극부가 더 마련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은 제어길이를 보다 더 늘려주거나, 보다 미세한 제어를 가능하게 하며, 또한, 제어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칩사이즈를 줄이는 데 효과적이다.
도 16은 실시예에 따른 영상 기기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인다.
도면을 참조하면, 영상 기기(900)는 가변초점렌즈(VF)를 구비하는 촬상렌즈부(920), 제어부, 이미지센서(950)를 포함한다.
가변초점렌즈(VF)로는 전술한 곡률 조절 소자(100, 200, 300, 400, 500, 600, 700)들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을 조합한 구성이 채용될 수 있으며, 촬상렌즈부(920)는 가변초점렌즈(VF)와 함께, 필요에 따라,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렌즈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제어부는 가변초점렌즈(VF)의 렌즈면의 곡률을 조절하기 위한 전압을 제어한다.
이미지센서(950)는 촬상렌즈부(920)가 형성한 피사체(OBJ)의 광학상을 전기 신호로 전환하며, 이미지센서(950)로는 CCD(Charge Coupled Device)나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등이 채용될 수 있다.
가변초점렌즈(VF)의 렌즈면의 곡률이 조절됨에 따라, 촬상렌즈부(920)의 초점 거리는 가변되며, 이에 따라 오토포커싱 또는 피사체의 확대, 축소가 가능해진다.
이러한 본원 발명은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32)

  1. 투광성이며 극성인 제1유체;
    상기 제1유체와 혼합되지 않는 성질을 가지며 투광성인 제2유체;
    상기 제1유체와 제2유체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제1유체와 제2유체의 경계면이 렌즈면을 이루는 렌즈 영역과, 상기 제1유체와 제2유체의 다른 경계면이 상기 렌즈면의 곡률변화를 유도하는 구동면으로 작용하는 복수의 채널 영역을 구비하는 챔버;
    상기 구동면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전기장을 형성하기 위한 전극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채널 영역은
    상기 제1유체와 제2유체의 경계면으로 상기 렌즈면의 곡률변화를 유도하는 제1구동면이 형성된 하나 이상의 메인 채널과,
    상기 제1유체와 제2유체의 경계면으로 상기 렌즈면의 곡률변화를 유도하는 제2구동면이 형성되고, 상기 메인 채널에 비해 상기 렌즈면의 곡률을 상대적으로 미세하게 조절하며, 상기 메인 채널보다 체적이 작은 하나 이상의 서브 채널을 포함하며,
    상기 전극부는
    상기 메인 채널에 형성되고, 하나 이상의 전극을 구비하는 제1전극부와,
    상기 서브 채널에 형성되고, 하나 이상의 전극을 구비하는 제2전극부를 포함하는, 곡률 조절 소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체는 극성 액체이고,
    상기 제2유체는 기체 또는 비극성 액체로 구성되는 곡률 조절 소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체와 접하도록 마련된 접지 전극을 더 포함하는 곡률 조절 소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면 및 제2구동면의 위치 변화가 상기 렌즈 영역을 둘러싸는 형태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이루어지는 곡률 조절 소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면의 위치변화는 제1반경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이루어지고,
    상기 제2구동면의 위치변화는 상기 제1반경보다 작은 제2반경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이루어지는 곡률 조절 소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는
    서로 이격된 상부 기판 및 하부 기판;
    상기 상부 기판과 하부 기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렌즈 영역 및 복수의 채널영역을 구획하고 각 영역간 상기 제1유체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으로,
    상기 렌즈면에 대응하는 렌즈홀과, 상기 메인 채널과 서브 채널 각각에서 상기 제2유체가 유동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중간구조물;을 포함하는 곡률 조절 소자.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부는,
    상기 하부 기판상의 영역에 상기 메인 채널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절연물질로 코팅된 하나의 전극을 포함하는 곡률 조절 소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극부는,
    상기 하부 기판상의 영역에 상기 서브 채널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절연물질로 코팅된 하나의 전극을 포함하는 곡률 조절 소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부와 제2전극부 각각에 인가되는 전압을 조절하여 상기 제1구동면과 제2구동면의 위치를 조절하는 곡률 조절 소자.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부는,
    상기 메인 채널에 대응하는 상기 하부 기판상의 영역에 상기 제1반경의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된 것으로, 잘린 부채꼴 또는 사다리꼴 형상을 가지며 절연물질로 코팅된 다수의 전극을 포함하는 곡률 조절 소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극부는,
    상기 서브 채널에 대응하는 상기 하부 기판상의 영역에 상기 제2반경의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된 것으로, 잘린 부채꼴 또는 사다리꼴 형상을 가지며 절연물질로 코팅된 다수의 전극을 포함하는 곡률 조절 소자.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부와 제2전극부 각각에서 전압이 인가되는 전극 선택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제1구동면과 제2구동면의 위치를 조절하는 곡률 조절 소자.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부를 이루는 다수의 전극 및 상기 제2전극부를 이루는 다수의 전극은 모두 독립적으로 인가 전압이 조절되는 곡률 조절 소자.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부를 이루는 다수의 전극 각각은 세 개의 공통 전극 중 어느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인접한 전극은 서로 다른 공통 전극에 연결되도록 배열된 곡률 조절 소자.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극부를 이루는 다수의 전극 각각은 세 개의 공통 전극 중 어느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인접한 전극은 서로 다른 공통 전극에 연결되도록 배열된 곡률 조절 소자.
  1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하부 기판 상의 영역에는 친수성 코팅이 이루어진 곡률 조절 소자.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채널내의 일부 영역에 친수성 코팅이 이루어진 곡률 조절 소자.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채널내의 영역 중, 서로 이격된 적어도 두 일부 영역에 각각 상기 친수성 코팅이 이루어진 곡률 조절 소자.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채널내의 일부 영역에 친수성 코팅이 이루어진 곡률 조절 소자.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채널내의 영역 중, 서로 이격된 적어도 두 일부 영역에 각각 상기 친수성 코팅이 이루어진 곡률 조절 소자.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면 및 제2구동면의 위치 변화가 상기 렌즈 영역의 반경 방향을 따라 이루어지는 곡률 조절 소자.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채널 및 서브 채널은 각각 다수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다수의 메인 채널 및 다수의 서브 채널 각각은 상기 렌즈 영역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교차 배열된 곡률 조절 소자.
  24. 삭제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부는 부분 링 형상 또는 잘린 부채꼴 또는 사다리꼴 형상을 가지며 절연물질로 코팅된 하나 이상의 전극을 포함하는 곡률 조절 소자.
  26.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극부는 부분 링 형상 또는 잘린 부채꼴 또는 사다리꼴 형상을 가지며 절연물질로 코팅된 하나 이상의 전극을 포함하는 곡률 조절 소자.
  27.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면의 위치 변화는 상기 렌즈 영역의 반경 방향을 따라 이루어지고,
    상기 제2구동면의 위치 변화는 상기 렌즈 영역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이루어지는 곡률 조절 소자.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부는 링 형상을 가지며 절연물질로 코팅되고, 상기 반경 방향으로 이격 배열된 다수의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제2전극부는 잘린 부채꼴 또는 사다리꼴 형상을 가지며 절연물질로 코팅되고, 상기 원주 방향으로 이격 배열된 다수의 전극을 포함하는 곡률 조절 소자.
  29. 투광성이며 극성인 제1유체;
    상기 제1유체와 혼합되지 않는 성질을 가지며 투광성인 제2유체;
    상기 제1유체와 제2유체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제1유체와 제2유체의 경계면이 렌즈면을 이루는 렌즈영역과, 상기 제1유체와 제2유체의 다른 경계면이 상기 렌즈면의 곡률변화를 유도하는 구동면으로 작용하는 하나의 채널 영역을 구비하는 챔버;
    상기 구동면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전기장을 형성하기 위한 전극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면의 위치 변화가 상기 렌즈면을 둘러싸는 형태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이루어지는 곡률 조절 소자.
  30.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는
    제1반경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잘린 부채꼴 또는 사다리꼴 형상을 가지며 절연물질로 코팅된 다수의 전극과
    상기 제1반경보다 큰 제2반경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잘린 부채꼴 또는 사다리꼴 형상을 가지며 절연물질로 코팅된 다수의 전극을 포함하는 곡률 조절 소자.
  31. 제1항 내지 제6항, 제8항 내지 제23항, 제25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의 곡률 조절 소자를 포함하는 촬상렌즈부;
    상기 곡률 조절 소자의 렌즈면의 곡률을 조절하기 위한 전압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촬상렌즈부가 형성한 광학상을 전기 신호로 전환하는 이미지센서;를 포함하는 영상 기기.
  32. 삭제
KR1020110096988A 2011-09-26 2011-09-26 곡률 조절 소자 및 방법 KR1019207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6988A KR101920729B1 (ko) 2011-09-26 2011-09-26 곡률 조절 소자 및 방법
US13/451,653 US8861092B2 (en) 2011-09-26 2012-04-20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curva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6988A KR101920729B1 (ko) 2011-09-26 2011-09-26 곡률 조절 소자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3115A KR20130033115A (ko) 2013-04-03
KR101920729B1 true KR101920729B1 (ko) 2018-11-22

Family

ID=47911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6988A KR101920729B1 (ko) 2011-09-26 2011-09-26 곡률 조절 소자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861092B2 (ko)
KR (1) KR1019207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1296B1 (ko) * 2011-11-04 2018-06-28 삼성전자 주식회사 미소전기유체 소자 및 이의 구동방법
TWI467244B (zh) * 2011-11-23 2015-01-01 Nat Univ Tsing Hua 用於介電式液態透鏡之電極結構
KR20150054288A (ko) 2013-11-11 2015-05-20 삼성전자주식회사 가변 액체 렌즈 시스템
US20160299265A1 (en) * 2013-11-29 2016-10-13 Indian Institute Of Technology Kanpur Methods for fabricating optical lenses
JP2017227760A (ja) 2016-06-22 2017-12-28 ソニー株式会社 液体レンズおよびその駆動方法、撮像装置、並びに表示装置
WO2018139859A1 (ko) * 2017-01-24 2018-08-02 엘지이노텍(주) 액체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20200135076A (ko) * 2019-05-24 2020-12-0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액체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74684A1 (en) 2007-12-13 2009-06-18 Varioptic Image stabilization circuitry for liquid len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408480D0 (en) 2004-04-16 2004-05-19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Variable focus lens having two liquids and electronic device
WO2006075279A1 (en) * 2005-01-14 2006-07-2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Variable reflector device
KR100797723B1 (ko) 2006-10-11 2008-01-23 삼성전기주식회사 액체 렌즈 모듈
KR101573504B1 (ko) 2008-11-10 2015-12-01 삼성전자 주식회사 마이크로 셔터 디바이스 및 그 제조방법
JP5397358B2 (ja) 2010-10-25 2014-01-22 ソニー株式会社 光学素子、撮像装置及び駆動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74684A1 (en) 2007-12-13 2009-06-18 Varioptic Image stabilization circuitry for liquid le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077178A1 (en) 2013-03-28
US8861092B2 (en) 2014-10-14
KR20130033115A (ko) 2013-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6873B1 (ko) 곡률 조절 소자 및 방법
KR101920729B1 (ko) 곡률 조절 소자 및 방법
US9188774B2 (en) Microelectrofluidic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CN102879899A (zh) 孔径调节器件、孔径调节方法及成像装置和图像显示装置
JP4897680B2 (ja) 可変焦点マイクロレンズ
KR101969852B1 (ko) 미세 유체 소자 및 미세 유체 소자의 유체 조절 방법
US9207448B2 (en) Apparatus for adjusting aperture using microelectrofluidic method
KR102100926B1 (ko) 비균일한 채널을 갖는 가변 유체 소자 및 이를 포함한 장치
US20060215274A1 (en) Electrowetting module
JP2007518129A (ja) ズーム光学系
JP2007531038A (ja) エレクトロウェッティング現象に基づくマクロスイッチを有する集束レンズ
US9151945B2 (en) Micro electric liquid device and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9019589B2 (en) Electrowetting device
US7593153B2 (en) Electrowetting optical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voltage of the same
KR20130028579A (ko) 줌 렌즈 모듈 및 이를 포함한 내시경
JP4872364B2 (ja) 液体移動装置
KR101239151B1 (ko) 가변 초점 유체렌즈
KR101920726B1 (ko) 미세 유체 방식의 가변 광학 소자 어레이 및 제조방법
KR101175929B1 (ko) 가변 초점 유체렌즈
KR101559193B1 (ko) 전기습윤 현상을 이용한 광 경로 제어 및 관련 장치
KR100843371B1 (ko) 액체 렌즈 모듈
JP2009288798A (ja) 光学素子および撮像装置
JP2012048244A (ja) 可変焦点マイクロレン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