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0662B1 -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0662B1
KR101920662B1 KR1020120060406A KR20120060406A KR101920662B1 KR 101920662 B1 KR101920662 B1 KR 101920662B1 KR 1020120060406 A KR1020120060406 A KR 1020120060406A KR 20120060406 A KR20120060406 A KR 20120060406A KR 101920662 B1 KR101920662 B1 KR 1019206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pulsator
tub
washing water
centrifugal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0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6749A (ko
Inventor
이규범
김영종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60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0662B1/ko
Priority to US13/910,687 priority patent/US9587336B2/en
Priority to BR112014030432-7A priority patent/BR112014030432B1/pt
Priority to AU2013272445A priority patent/AU2013272445B2/en
Priority to PCT/KR2013/004960 priority patent/WO2013183936A1/en
Priority to CN201380035868.9A priority patent/CN104428458B/zh
Publication of KR201301367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67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06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06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17/00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 D06F17/06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by rotary impellers
    • D06F17/10Impell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4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4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ctric mot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40Driving arrangements  for driving the receptacle and an agitator or impeller, e.g. alternative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0Filtering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세탁기는 세탁수가 담기는 터브; 상기 터브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 상기 드럼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중심부에 분출구가 형성된 펄세이터; 상기 펄세이터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회전시의 원심력에 의해 상기 터브와 드럼 사이로부터 유입된 세탁수를 분출시키는 원심블레이드부; 및 상기 원심블레이드부의 회전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구비되어, 상기 원심블레이드부에 의해 분출된 세탁수를 상기 펄세이터의 분출구로 유도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세탁기{A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세제와 세탁수 및 세탁 대상물이 드럼 내에 투입된 상태에서,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펄세이터의 기계적인 힘을 이용하여 수류를 형성하여 드럼 내의 세탁 대상물을 강제적으로 유동시킨다. 그에 따라 세탁 대상물이 마찰 또는 충격과 같은 물리적 작용을 받아 세탁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세제를 세탁 대상물에 접촉시켜 화학적인 작용에 의해 세탁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나아가, 세탁 대상물의 드럼 내부에서의 유동에 의해 세제의 화학적 작용이 촉진되도록 한다.
펄세이터는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며, 정역회전을 통해 드럼 내부에 다양한 수류를 형성할 수 있다. 나아가 이러한 수류를 보다 강하게 형성하기 위하여 펄세이터에서 수류가 분출되도록 하는 수단을 구비하기도 한다.
이러한 펄세이터를 통한 수류의 분출은 다양한 방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회전하는 펄세이터의 원심력을 이용하여 수류를 형성하고 이를 분출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경우 수류가 회전 성향을 갖으며 분출되기 때문에 충분한 분출압을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한편, 별도의 팬(fan)을 펄세이터에 구비하여 수류를 분출하는 방법도 있다. 하지만, 별도의 팬을 구비하는 방법은 펄세이터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여전히 수류가 회전 성향을 갖고 분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강한 분출압을 가지는 분출 수류를 형성할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강한 분출압의 수류를 형성하여 드럼 내부의 세탁수의 수위를 평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세탁수를 적게 사용하면서도 세탁물의 마모를 줄일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펄세이터에서 분출되는 수류가 직류로 분출되도록하여 세탁물의 꼬임을 풀어줄 수 있는 직류형성이 가능한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강한 분출압의 수류를 형성하여 드럼 내부에 투입된 세제의 순환을 보다 원할하게 하여 세탁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탁기는 세탁수가 담기는 터브; 상기 터브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 상기 드럼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중심부에 분출구가 형성된 펄세이터; 상기 펄세이터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회전시의 원심력에 의해 상기 터브와 드럼 사이로부터 유입된 세탁수를 분출시키는 원심블레이드부; 및 상기 원심블레이드부의 회전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구비되어, 상기 원심블레이드부에 의해 분출된 물을 상기 펄세이터의 분출구로 유도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세탁기는 세탁수가 담기는 터브; 상기 터브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 상기 드럼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중심부에 분출구가 형성된 펄세이터; 상기 펄세이터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회전시의 원심력에 의해 상기 터브와 드럼 사이로부터 유입된 세탁수를 분출시키는 원심블레이드부; 및 상기 원심블레이드부의 회전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구비되어, 상기 원심블레이드부에 의해 분출된 물을 상기 펄세이터의 분출구로 유도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세탁기의 일부분을 확대한 것으로, 펄세이터를 통해 수류를 분출시키는데 관여하는 구성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구성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일부 구성들을 하측에서 바라본 것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원심블레이드부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펄세이터의 회전에 의한 드럼 내부의 수위선과 펄세이터의 수류 분출작용에 의해 보완된 드럼 내부의 수위선을 비교한 개략도이다.
도 7은 펄세이터를 통해 수류가 분출되는 과정 중의 세탁수의 순환경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8은 펄세이터를 통해 수류가 분출되는 과정에서 원주방향으로 가압되는 수류의 경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세탁기의 일부분을 확대한 것으로, 펄세이터를 통해 수류를 분출시키는데 관여하는 구성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 또는 케비넷의 내부에 터브(20)를 구비하고, 터브(20) 내부에는 드럼(30)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본체(10)는 세탁기의 외관을 형성하며 직육면체의 통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하지만, 상기 본체의 형상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외관을 형성할 수만 있으면 직육면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체(10)의 상부에는 세탁물이 출입할 수 있도록 도어(15)가 구비되어 있다. 터브(20)에는 세탁수가 담기고, 서스펜션 바(40)에 의해 본체(10)의 내부에 현가 지지되어 있다.
드럼(30)은 세탁물을 수용하는 것으로, 터브(2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드럼(30)의 하부에는 펄세이터(60)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구동모터(50)는 드럼(30) 및/또는 펄세이터(60)를 회전 시키기 위한 회전력을 제공하는 것이다. 구동모터(50)는 터브(2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 구동모터(50)는 그 회전축이 드럼(30) 또는 펄세이터(60)의 회전 중심과 동일 선상에 정렬되어 드럼(30) 및/또는 펄세이터(60)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직접구동방식인 것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하지 않고,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밸트나 풀리 등의 동력 전달 수단을 통해 전달하여 드럼(30) 및/또는 펄세이터(60)를 구동시키는 간접구동방식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구동모터(50)는 코어와 상기 코어와의 사이에 작용하는 유도 기전력에 의해 회전되는 로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터의 회전에 의해 펄세이터(60)를 회전시키는 세탁축(52) 또는 드럼(30)을 회전시키는 탈수축(51)이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로터와 세탁축(52)은 항시 일체로 회전되지만, 탈수축(51)의 회전은 상기 로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클러치(미도시)의 조작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클러치는 상하 이동에 의해 상기 로터와 선택적으로 치합됨으로서 로터의 회전력을 탈수축(51)에 전달한다.
펄세이터(60)는 드럼(3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펄세이터(60)는 다수개의 날개형상을 구비하고 있어서 회전에 의해 수류를 형성할 수 있다. 펄세이터(60)의 중심부에는 원심블레이드부(80)의 회전에 의해 형성된 수류가 드럼(30) 내부로 분출될 수 있도록 분출구(64h)가 형성된다.
실시예에 따라 펄세이터(60)에는 캡(64)이 장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캡(64)에 다수의 분출구(64h)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캡(64)이 장착되는 펄세이터(60)의 중심부 상단은 격벽(61)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 격벽(61)에는 다수의 통공(61h)이 형성됨으로써, 통공(61h)을 통해 격벽(61)의 내/외부가 연통되고, 분출구(64h)로 세탁수가 유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펄세이터(60)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회전시의 원심력에 의해 터브(20)와 드럼(30) 사이로부터 유입된 물을 분출시키는 원심블레이드부(80)와, 원심블레이드부(80)의 회전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구비되어, 원심블레이드부(80)에 의해 분출된 물을 펄세이터(60)의 분출구(64h)로 유도하는 가이드부(70)를 포함한다.
특히, 원심블레이드부(80)는 그 자신이 회전시의 원심력으로 분출압을 형성하여 세탁수를 원심블레이드부(80)의 외측방향으로 압송시키고, 이때 원심블레이드부(80)에 의해 가압된 수류는 가이드부(70)를 따라 유동하며 그 진행방향이 펄세이터(60)의 중심부로 유도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구성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일부 구성들을 하측에서 바라본 것이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원심블레이드부(80)는 상부면(82), 중심부에 유입구(83)가 형성된 하부면(81), 및 상부면(82)과 하부면(81) 사이에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다수개의 회전 블레이드(84)를 포함한다. 상부면(82)과 다수개의 회전 블레이드(84)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일체로 형성된다는 것은 상부면(82)과 회전 블레이드(84)가 하나의 부품로 사출되는 경우일 수도 있으나, 상부면(82)과 회전 블레이드(84)를 각각 별개의 부품으로 사출한 후, 각각의 회전 블레이드(84)의 상단에 상부면(82)을 열융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보다 상세하게, 원심블레이드부(80)는 허브(85), 다수개의 회전 블레이드(84), 하부면(81), 상부면(82) 및 외측 격벽(86)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위에서 설명하지 않았던 허브(85)와 외측 격벽(86)에 대해서 추가로 설명하면, 허브(85)는 세탁축(52)과 연결을 위한 것으로 허브(85)의 중심부를 세탁축(52)이 관통하고, 외측 격벽(86)은 다수개의 회전 블레이드(84) 각각의 익단(84a)을 연결하는 것으로, 서로 인접하는 한 쌍의 회전 블레이드(84)와 상부면(82)의 외측 선단과 외측 격벽(86)으로 둘러쌓인 개구부(87)를 통해 세탁수가 분출된다.
여기서, 허브(85), 하부면(81), 다수개의 회전 블레이드(84) 및 외측 격벽(86)을 사출성형에 의해 하나의 부품으로 일체로 형성하고, 상부면(82)은 별도로 사출 형성한 후, 각각의 회전 블레이드(84)의 상단에 상부면(82)을 열융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원심블레이드부(80)는 허브(85)를 통해 세탁축(52)에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원심블레이드부(80)와 상기 펄세이터(60)는 구동모터(50)에 의해 일체로 회전된다. 원심블레이드부(80)의 회전에 의해 내부의 세탁수는 원심력을 받아 원심블레이드부(80)의 원주방향으로 가압된다.
터브(20)의 내부에는 세탁수가 수용되어 있다. 또한, 드럼(30)의 측면에는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되어 있어서 드럼(30)과 터브(20) 간에 세탁수가 이동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드럼(30)은 하부면(31)과 허브(32)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면(31)은 대략 중앙부가 개구된 환형으로 형성되고, 허브(32)는 탈수축(51)에 의해 회전되는 것으로 하부면(31)의 하측에 결합되었다. 특히, 허브(32)에는 터브(20)로부터 드럼(30) 내부로 세탁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연통구(32h)가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 형성될 수 있다. 원심블레이드부(80)의 회전시, 터브(20)와 드럼(30) 사이의 물이 연통구(32h)를 통해 유입구(83) 측으로 유도되고, 그에 따라, 터브(20)에 수용된 세탁수가 연통구(32h)와 유입구(83)를 통해 원심블레이드부(80)의 내측으로 유입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원심블레이드부(80)의 회전에 따른 원심력에 의해 세탁수는 원주방향으로 가압되는데, 외부에서 본다면 회전 블레이드(84)에 의해 유도되는 수류는 도 8과 같이 나선형으로 원주방향으로 이동될 것이다. 즉, 원심블레이드부(80)에 의해 형성된 수류는 회전되는 방향의 유동 특성을 가지는 것이다.
한편, 원심블레이드부(80)의 회전 시 원주방향으로의 가압에 의해 연통구(32h)와 유입구(83)의 안과 밖은 압력차이가 발생한다. 따라서, 터브(20)와 드럼(30) 사이의 세탁수는 수압차에 의해 연통구(32h)로부터 유입구(83) 측으로 유도된다.
가이드부(70)는 원심블레이드부(80)의 회전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구비되어, 원심블레이드부(80)에 의해 분출된 세탁수를 펄세이터(60)의 분출구(64h)로 유도한다. 특히, 가이드부(70)는 원심블레이드부(80)에 의해 가압된 수류를 직류로 형성하여 펄세이터(60)를 통해 분출될 수 있도록 유도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원심블레이드부(80)는 가이드부(70)의 하방에 배치된다. 즉, 펄세이터(60)와 원심블레이드부(80) 사이에 가이드부(70)가 배치된다. 가이드부(70)에 의해 원심블레이드부(80)가 충분히 덮일 수 있도록, 가이드부(70)의 직경은 원심블레이드부(80)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를 참조하면, 가이드부(70)는 몸체부(71)와, 몸체부(71)의 중심부에 형성된 토출구(72) 및 토출구(72) 주변에서 원심블레이부(80)를 향해 돌출되되 반경방향을 따라 방사상으로 연장된 다수개의 가이드블레이드(73)를 포함한다.
원심블레이드부(80)에 의해 원주방향으로 가압 유도된 수류는 가이드블레이드(73)에 의해 직류로 유도되어 토출구(72)로 토출된다. 즉, 세탁수가 원심블레이드부(80)의 상부면(82)과 하부면(81) 사이 공간에서 원주방향으로 가압 회전되며 토출된다.
여기서 도 2를 참조하면, 가이드부(70)는 원심블레이드부(80)의 상부와 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원심블레이드부(80)의 개구부(87)에서 토출된 수류는 가이드부(70)의 몸체부(71)의 배면을 따라 유도된다.
한편, 다수개의 가이드블레이드(73)는 토출구(72) 주변에서 원심블레이부(80)측을 향해 돌출되되 반경방향을 따라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원심블레이드부(80)의 개구부(87)에서 토출된 수류는 가이드블레이드(72)를 따라 토출구(72)측으로 유도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원심블레이드부(80)와 펄세이터(60)는 구동모터(50)에 의해 일체로 회전된다. 하지만, 가이드부(70)는 드럼(30)에 고정되어 원심블레이드부(80)와 펄세이터(60)의 회전에 독립적이다. 즉, 가이드부(70)는 드럼(30)의 하부면(31)에 고정되어 드럼(30)과 일체로 회전될 수는 있지만, 펄세이터(60) 및 원심블레이드부(80)와는 독립적으로 회전된다. 물론 탈수과정에서 탈수축(51)이 구동모터(50)의 로터에 클러치에 의해 연결되어 드럼(30)과 펄세이터(60)가 일체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가이드부(70)가 원심블레이드부(80) 및 펄세이터(60)와 일체로 회전할 수는 있다. 하지만, 세탁과정에서는 가이드부(70)가 원심블레이드부(80) 및 펄세이터(60)의 회전에 대해 독립적이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원심블레이드부(80)에 의해 회전성향을 가지면서 토출된 수류는 고정되어 있는 가이드부(70)의 가이드블레이드(73)에 의해 유도되며 직류로 전환된다. 이렇게 직류로 전환된 수류는 펄세이터(60)의 분출구(64h)을 통해 드럼(30) 내부로 분출된다.
상기 구성의 측면은, 펄세이터(60)와 일체로 회전되는 원심블레이드부(80)와는 독립적으로 드럼(30)에 대해 고정적인 가이드부(70)를 구비하여 원심블레이드부(80)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에 의해 가압되는 수류가 가이드부(70)를 통해 강한 분출압을 가지는 직류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회전되는 수류는 원심력에 의해 주변으로 퍼지는 특성을 가진다. 따라서, 직류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강한 분출압을 형성하기 힘들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구조를 간단하게 하면서도 강한 분출압을 가지는 분출 수류를 형성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드럼(30) 내부의 세탁수는 펄세이터(60)의 회전에 회전되는 수류를 형성하고, 그에 따라 드럼(30)의 내벽 측에서의 수위가 드럼(30)의 중심측보다 높아지는 경향을 가진다. 도 6의 좌측 도면을 참조하면, 임의의 기준선(A)을 기준으로 펄세이터(60)의 회전에 의해 드럼(30)의 중심부로부터 반경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갈수록 높이지는 형태의 수위선(B)을 보여준다.
이러한 경우, 세탁수를 적게 사용한다면 드럼(30)의 중심부에서의 세탁물은 공기 중에 노출되거나 펄세이터(60)와의 마찰에 의해 마모가 발생할 수 있다. 더구나, 드럼(30)과 터브(20)간에 세탁수가 유동될 수 있는 구조이므로, 세탁수가 드럼(30) 내측에서 외측으로 유출될 수도 있기 때문에, 드럼(30) 내부의 세탁수의 수위는 더욱 낮아지거나 불균일 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의 구성에 따르면, 강한 분출압의 수류가 펄세이터(60)를 통해 분출되기 때문에 도 6의 우측 도면과 같이 드럼(30)의 중심부에서의 수위를 보상할 수 있고, 그에 따른 드럼(30)의 중심부에서의 수위증가로 인해 드럼(30) 내부의 세탁수의 수위선(C)이 기준선(A)에 접근할 수 있다. 나아가 전술한 바와 같이 원심블레이드부(80)의 회전에 따른 수압차에 의해 세탁수가 유입구(83)를 통해 원심블레이드부(80)의 내측으로 유입되어 다시 드럼(30)으로 분출될 수 있어서, 드럼(30)과 터브(20) 사이에서의 수위는 낮추되, 드럼(30) 내부에서의 수위를 높여 적은 양의 세탁수로도 세탁물들을 충분히 적실 수 있으며, 드럼(30) 내부의 세탁수의 수위를 평형을 유지함으로써 세탁물의 마모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펄세이터(60)에서 분출되는 수류가 직류로 분출되도록 하여 세탁물의 꼬임을 풀어줄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드럼(30) 내부의 세탁물은 회전되는 수류에 의해 꼬임이 발생할 수 있는데, 직류로 형성된 수류와 접촉하면 접촉된 부분의 세탁물의 회전이 줄어들어 꼬임이 풀어지는 효과가 발생된다.
도 7은 수류형성수단에 의해 형성된 드럼(30) 및 터브(20)에서의 세탁수의 순환 경로를 보여준다. 가이드부(70)의 가이드 블레이드(73)를 따라 안내된 수류(E)는 드럼(30) 내부로 분출(F)된다. 이때, 수류(E)는 실질적으로 직진하는 성향을 갖는다. 드럼(30) 내부의 세탁수는 펄세이터(60)의 회전에 의해 형성된 수류에 의해 터브(20)측으로 이동(G)된다. 터브(20)측으로 이동된 세탁수는 원심블레이드부(80)에 의해 발생된 수압차에 의해 다시 드럼(30) 내부로 유입(H)된다. 원심블레이드부(80)의 회전에 의해 반경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가압(D)되는 회전 수류는 다시 가이드부(70에 의해 직류로 형성된다. 이 경우, 원심블레이드부(80)에 의해 가압 토출된 수류(D)는 도 8과 같이 나선형으로 회전되는 수류를 형성하지만 가이드부(70)에 의해 직류로 전환되는 것이다. 따라서, 강한 분출압의 수류를 형성함으로써 드럼(30) 내부에서의 세탁수의 순환이 촉진되고, 나아가 드럼(30) 내부에 투입된 세제의 순환을 보다 촉진하여 세탁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세제와 함께 급수가 이루어지는 제1 급수와, 제1 급수된 상태에서 세탁을 수행하는 제1세탁과, 세탁수를 추가로 급수하는 제2 급수와, 상기 제2 급수로 인해 수위가 상승한 상태(이는 제1 급수시 보다 세제의 농도가 낮아진 상태이기도 함.)에서 세탁을 수행하는 제2 세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세탁과 제2 세탁 중에는 드럼(30) 또는 펄세이터(60)가 회전되도록 구동모터(50)의 회전이 이루어진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 세탁을 위해 구동모터(50)의 가속이 이루어지고([0,t1]), 회전속도가 rpm2에 도달하면 소정시간 동안 정속 제어된다([t1, t2]). 이때, 제1 세탁이 이루어지는 [t1, t2] 구간에서는 펄세이터(60)를 통한 수류 분출이 이루어지고,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원심블레이드부(80)의 회전에 의한다. 도 7에서와 같이 펄세이터(60)를 통해 수류가 분출되는 중에 이루어지는 수류의 순환 작용에 의해 세제의 희석이 활발히 이루어질 수 있다.
이후, 제2 급수가 이루어져 수위가 상승된 상태에서 제2 세탁이 이루어진다([t2, t3]). 제2 세탁은 제1 세탁에 비해 낮은 속도(rpm1)로 구동모터(50)가 회전 될 수 있으나, 반드시 그래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도 9에서 rpm2는 펄세이터(60)를 통한 수류 분출을 유도하기 위한 충분한 속도를 표시한 것으로 해석되면 족할 뿐, 그 속도가 반드시 제2 세탁에서의 속도보다 커야 하는 것은 아니고, 반대로 제2 세탁에서의 속도가 제1 세탁에서의 속도보다 꼭 작아야 하는 것도 아니다.
펄세이터(60)를 통한 수류의 분출은 제2 세탁 이후 드럼(30) 내의 포를 풀기 위한 경우에도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와 같이 제2 세탁이 완료된 이후(t3이후) 소정의 시간 동안 구동모터(50)가 rpm2로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따른 세탁방법은 세탁 초기의 저수위에서 펄세이터(60)를 통해 수류를 분출함으로써 세탁수의 순환을 유동하여 세제의 용해를 촉진할 수 있고, 드럼(30) 또는 펄세이터(60)의 회전을 통해 세탁물을 세탁한 이후에는 세탁 과정 중에 꼬인 포를 풀기 위해 다시 한번 펄세이터(60)를 통해 수류를 분출함으로써 드럼(30) 내에 포가 고르게 분사된 상태로 헹굼 또는 탈수 등의 다음 행정을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3)

  1. 세탁수가 담기는 터브;
    상기 터브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
    상기 드럼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중심부에 분출구가 형성된 펄세이터;
    상기 펄세이터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회전시의 원심력에 의해 상기 터브와 드럼 사이로부터 유입된 세탁수를 분출시키는 원심블레이드부; 및
    상기 원심블레이드부의 회전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구비되어, 상기 원심블레이드부에 의해 분출된 세탁수를 상기 펄세이터의 분출구로 유도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원심블레이드부는,
    상기 터브와 드럼 사이의 세탁수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된 하부면;
    반경 방향을 따라 연장된 다수개의 회전 블레이드;
    상기 다수개의 블레이드 중 인접한 것들 사이의 개구된 영역으로 상기 회전 블레이드의 회전에 의한 세탁수의 분출이 이루어지는 개구부를 제외한 부분을 덮는 상부면; 및
    상기 다수개의 블레이드의 익단을 연결하는 외측 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원심블레이드부의 개구부는,
    상기 인접하는 한 쌍의 회전 블레이드의 상단과, 상기 상부면의 외측 선단과, 상기 외측 격벽에 의해 둘러 쌓인 영역으로 형성되는 세탁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면은,
    상기 다수개의 회전 블레이드 각각의 상단과 결합되는 세탁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블레이드와 상기 상부면은 열융착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세탁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의 하부에 결합된 허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허브에는 상기 터브와 드럼 사이의 세탁수가 상기 드럼 내로 유입되도록 다수개의 연통구가 형성된 세탁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드럼에 고정 배치되는 세탁기.
  7. 세탁수가 담기는 터브;
    상기 터브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
    상기 드럼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중심부에 분출구가 형성된 펄세이터;
    상기 펄세이터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회전시의 원심력에 의해 상기 터브와 드럼 사이로부터 유입된 세탁수를 분출시키는 원심블레이드부;
    상기 원심블레이드부의 회전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구비되어, 상기 원심블레이드부에 의해 분출된 세탁수를 상기 펄세이터의 분출구로 유도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원심블레이드부는,
    상기 터브와 드럼 사이의 세탁수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된 하부면;
    반경 방향을 따라 연장된 다수개의 회전 블레이드;
    상기 다수개의 블레이드 중 인접한 것들 사이의 개구된 영역으로 상기 회전 블레이드의 회전에 의한 세탁수의 분출이 이루어지는 개구부를 제외한 부분을 덮는 상부면; 및
    상기 다수개의 블레이드의 익단을 연결하는 외측 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면과 상기 외측 격벽과 상기 다수개의 회전 블레이드는 사출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면은 상기 일체로 사출된 것과는 별도로 사출된 후, 열융착에 의해 상기 다수개의 회전 블레이드 각각의 상단과 결합되는 세탁기.
  8. 세탁수가 담기는 터브;
    상기 터브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
    상기 드럼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중심부에 분출구가 형성된 펄세이터;
    상기 펄세이터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회전시의 원심력에 의해 상기 터브와 드럼 사이로부터 유입된 세탁수를 분출시키는 원심블레이드부; 및
    상기 원심블레이드부의 회전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구비되어, 상기 원심블레이드부에 의해 분출된 세탁수를 상기 펄세이터의 분출구로 유도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원심블레이드부는,
    상기 터브와 드럼 사이의 세탁수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된 하부면;
    반경 방향을 따라 연장된 다수개의 회전 블레이드; 및
    상기 다수개의 블레이드 중 인접한 것들 사이의 개구된 영역으로 상기 회전 블레이드의 회전에 의한 세탁수의 분출이 이루어지는 개구부를 제외한 부분을 덮는 상부면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펄세이터의 분출구와 연통되는 토출구가 형성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상기 원심블레이드부의 개구부를 통해 분출된 세탁수를 상기 토출구를 향하는 방향으로 유도하는 다수 개의 가이드 블레이드를 구비하는 세탁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블레이드는,
    상기 몸체부의 배면에서 돌출되어 반경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세탁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가이드 블레이드는,
    상기 토출구를 향하는 방향으로 수렴되도록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세탁기.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블레이드는 직선형태로 연장되는 세탁기.
  12. 삭제
  13. 삭제
KR1020120060406A 2012-06-05 2012-06-05 세탁기 KR1019206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0406A KR101920662B1 (ko) 2012-06-05 2012-06-05 세탁기
US13/910,687 US9587336B2 (en) 2012-06-05 2013-06-05 Washing machine
BR112014030432-7A BR112014030432B1 (pt) 2012-06-05 2013-06-05 Máquina de lavar
AU2013272445A AU2013272445B2 (en) 2012-06-05 2013-06-05 Washing machine
PCT/KR2013/004960 WO2013183936A1 (en) 2012-06-05 2013-06-05 Washing machine
CN201380035868.9A CN104428458B (zh) 2012-06-05 2013-06-05 洗衣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0406A KR101920662B1 (ko) 2012-06-05 2012-06-05 세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6749A KR20130136749A (ko) 2013-12-13
KR101920662B1 true KR101920662B1 (ko) 2018-11-21

Family

ID=49983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0406A KR101920662B1 (ko) 2012-06-05 2012-06-05 세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06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63744A (zh) * 2016-07-29 2018-02-06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用于洗衣机电机的风叶轮和具有其的波轮洗衣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6749A (ko) 2013-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8984B1 (ko) 세탁기
US9587336B2 (en) Washing machine
EP2496752B1 (en) Washing machine including a whirling nozzle for spraying whirling water into the drum
EP1745173B1 (en) Washing machine with a drying device
CN102770595B (zh) 具有洗涤水的流速计算的洗涤方法和洗衣机
JP2013515558A (ja) 洗濯方法及び洗濯機
WO2013035278A1 (ja) ドラム式洗濯機
JP5919488B2 (ja) ドラム式洗濯機
KR101920662B1 (ko) 세탁기
JPH11267397A (ja) 洗濯機
KR101920663B1 (ko) 세탁기
JP2014097091A (ja) ドラム式洗濯機
KR100263451B1 (ko) 세탁기
KR100292267B1 (ko) 세탁기의펄세이터
KR20100095932A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0218966B1 (ko) 세탁기
KR100291030B1 (ko) 세탁기의가이드워터플로워
KR200204133Y1 (ko) 세탁기의 펄세이터
KR100218969B1 (ko) 세탁기
KR100218964B1 (ko) 세탁기
CN113718483A (zh) 洗涤物处理机和用于运行洗涤物处理机的方法
KR100292266B1 (ko) 세탁기의 상승유도관
KR100781256B1 (ko) 세탁 장치
JP2005245810A (ja) 洗濯乾燥機
KR19990004844A (ko) 세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