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0398B1 -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0398B1
KR101920398B1 KR1020120026509A KR20120026509A KR101920398B1 KR 101920398 B1 KR101920398 B1 KR 101920398B1 KR 1020120026509 A KR1020120026509 A KR 1020120026509A KR 20120026509 A KR20120026509 A KR 20120026509A KR 101920398 B1 KR101920398 B1 KR 1019203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common voltage
period
output
g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6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4733A (ko
Inventor
상우규
이주영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265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0398B1/ko
Publication of KR201301047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47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03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03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48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n active matrix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06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 G09G3/342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using several illumination sources separately controlled corresponding to different display panel areas, e.g. along one dimension such as lin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02Addressing of scan or signal lines
    • G09G2310/0213Addressing of scan or signal lines controlling the sequence of the scanning lines with respect to the patterns to be displayed, e.g. to save pow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6Details of flat display driving waveforms
    • G09G2310/061Details of flat display driving waveforms for resetting or blank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8Details of timing specific for flat panels, other than clock recover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38Improving the black lev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공통전압이 매 프레임별로 스윙되는 경우, 제1프레임에서 출력된 데이터전압이 제1프레임에서 출력된 공통전압에 의해 충전되는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데이터라인을 구동하는 데이터 구동부; 게이트라인을 구동하는 게이트 구동부; 상기 데이터 구동부와 상기 게이트 구동부에 의해 구동되는 액정패널; 상기 패널에 공통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공통전압생성부; 및 타이밍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는, 상기 공통전압이 수직블랭크기간과 액티브기간으로 구성되는 매 프레임마다 스윙되도록 하는 공통전압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공통전압 생성부로 공급하고, 상기 게이트 구동부를 통해 출력되는 스캔신호가 상기 액티브기간 중 데이터출력기간에만 상기 게이트라인으로 출력되고 상기 액티브기간 중 데이터비출력기간에는 출력되지 않도록 하는 게이트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게이트 구동부로 전송하며, 상기 데이터 구동부가 데이터전압을 상기 매 프레임마다 스윙시키도록 하고, 상기 스캔신호가 출력될 때 데이터전압을 상기 데이터라인으로 출력시키도록 하는 데이터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 구동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ITS DRIVING METHOD}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공통전압을 매 프레임마다 스윙시키고 있는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는, 매트리스 형태로 배열된 복수의 픽셀과, 이들 픽셀에 공급될 화소전압을 절환하기 위한 복수의 제어용 스위치들로 구성된 액정패널이, 백 라이트 유닛(Back Light Unit)에서 공급되는 광의 투과량을 조절하여 화면에 원하는 영상을 표시하게 된다.
이와 같은 액정표시장치는, 한 방향의 전계가 장시간 인가되어 발생되는 액정의 열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프레임 인버젼(Frame Inversion) 방식, 라인 인버젼(Line Inversion) 방식, 컬럼 인버젼 방식(Column Inversion) 또는 도트 인버젼(Dot Inversion) 방식과 같은 다양한 인버젼 방식을 통해, 데이터전압의 극성을 변경시키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인버젼 방식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a)는 공통전압이 일정한 레벨로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패널로 공급되는 데이터전압의 극성이 변하고 있는 인버젼 방식을 나타낸 것이며, (b)는 공통전압과 데이터전압의 극성이 모두 변하고 있는 인버젼 방식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인버젼 방식에서, 공통전압(Vcom)은 일반적으로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DC 형태의 정전압 형태를 지니고 있다. 그러나, 고전압 구동 및 소비전력 저감 측면에서 효과를 얻기 위해서,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통전압(Vcom)을 스윙(swing)시키는 방법이 적용되고 있다.
도 2는 종래의 공통전압 스윙 방법에 적용되는 다양한 파형들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3은 종래의 공통전압 스윙 방법에서 화이트패턴과 블랙패턴 구현을 위한 다양한 파형들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특히, 1366*768의 해상도를 갖는 패널을 기준으로 나타낸 것이다.
종래의 공통전압을 스윙시키는 방법은, 1프레임(Frame)을 주기로, 공통전압을 스윙시키고 있기 때문에, 1프레임 동안 전체 패널에는 일정한 레벨의 공통전압이 동시에 입력되고 있다. 이 경우, 데이터(Data)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첫 번째 게이트라인(Gate line)에서 마지막 게이트라인으로 순차적으로 쉬프트(Shift)되어 패널로 공급된다. 따라서, 마지막 게이트라인(#768)으로 갈수록 픽셀(Pixel)들은 구동에 필요한 공통전압을 정상적으로 공급받지 못하게 된다. 즉, 제1프레임 (1Frame)의 마지막 게이트라인의 게이트온(Gate On) 시점이 1수직기간의 마지막 시점에서 시작하고 있기 때문에, 제1프레임의 마지막 게이트라인에 공급된 데이터전압(Vdata)과, 제2프레임에서 공급되고 있는 공통전압(Vcom) 간의 전압차는 작아지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원인으로 인해, 종래의 공통전압을 스윙시키는 방법에서는, 패널의 상하단에서 휘도차 및 블랙(Black) 휘도 밝음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상기 내용을 도 3을 참조하여 부연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3에서 화이트(White) 패턴을 일예로 하여 종래 기술이 설명된다.
첫째, 종래의 공통전압을 스윙시키는 방법은, 제1프레임에서는 파지티브(Positive) 공통전압을 패널에 인가시키고, 제2프레임에서는 네가티브(Negative)용 공통전압을 패널에 인가시키고 있다.
둘째, 종래의 공통전압을 스윙시키는 방법은, 첫 번째 게이트라인(Gate #1)에서 마지막 게이트라인으로 내려가면서, 데이터전압(Vdata)을 순차적으로 쉬프트(Shift)시켜 패널에 공급하고 있다.
따라서, 첫 번째 게이트라인의 경우 파지티브 공통전압과 파지티브 데이터 출력 시간이 잘 맞기 때문에, 정상적인 휘도가 보여질 수 있다. 그러나, 게이트라인이 패널 하단으로 내려갈수록, 파지티브 데이터전압과 제2프레임용 공통전압 즉, 네가티브 공통전압이 겹치는 부분이 생기게 된다. 이 경우, 픽셀(Pixel)과 공통전압 간에 전압차가 작아지게 되므로, 첫 번째 게이트라인 대비 휘도가 낮아지게 된다. 즉, 패널의 하단으로 갈수록 파지티브 데이터전압(Positive Vdata)과 네가티브 공통전압(Negative Vcom)이 겹치는 영역이 커지게 되고, 이는 결국 휘도가 점점 낮아지는 현상을 유발하며, 전체 패널로 보았을 때, 패널 상단은 밝고 하단 쪽으로 갈수록 점점 어두워지는 화질 저하 문제를 발생하게 된다.
셋째, 제2프레임에서는 네가티브 데이터전압이 화면 하단으로 갈수록 제3프레임의 파지티브 공통전압과 겹치는 영역이 커지게 되어 상하단 휘도차가 발생한다. 특히, 마지막 게이트라인의 경우 데이터전압의 극성과 공통전압의 극성이 완전히 반대로 공급되어 가장 취약한 위치가 된다.
넷째, 상기에서 설명된 두 번째와 세 번째 과정이 지속해서 주기적으로 패널에 영향을 주게 되어, 상하단 휘도차가 지속적으로 발생된다. 도 3의 화이트 패턴에 대한 그래프에서, 삼각형으로 표시된 부분은 극성이 다른 두 개의 공통전압의 영향이 미치는 영역을 나타낸 것이다.
다섯째, 블랙(Black) 패턴의 경우는, 블랙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블랙 데이터전압(Vdata)과 공통전압(Vcom) 간 전압차가 작아야 한다. 그러나, 패널의 하단으로 갈수록, 제1프레임에서 출력된 네가티브용 데이터전압이 제2프레임에서 출력된 파지티브 공통전압과 겹쳐지는 부분이 발생되며, 이로 인해, 네가티브 데이터전압과 파지티브 공통전압 간의 전압차가 커지게 되어, 블랙휘도가 높아지는 현상이 발생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공통전압을 스윙시키는 방법은, 패널의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게이트라인으로 갈수록, 해당 게이트라인에서 출력되는 데이터전압이 그 다음 프레임에서 출력되는 공통전압에 의해 영향을 받게됨으로, 전체 패널로 보았을 때, 패널 상단과 하단의 휘도차이가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공통전압이 매 프레임별로 스윙되는 경우, 제1프레임에서 출력된 데이터전압이 제1프레임에서 출력된 공통전압에 의해 충전되는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데이터라인을 구동하는 데이터 구동부; 게이트라인을 구동하는 게이트 구동부; 상기 데이터 구동부와 상기 게이트 구동부에 의해 구동되는 액정패널; 상기 패널에 공통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공통전압생성부; 및 타이밍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는, 상기 공통전압이 수직블랭크기간과 액티브기간으로 구성되는 매 프레임마다 스윙되도록 하는 공통전압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공통전압 생성부로 공급하고, 상기 게이트 구동부를 통해 출력되는 스캔신호가 상기 액티브기간 중 데이터출력기간에만 상기 게이트라인으로 출력되고 상기 액티브기간 중 데이터비출력기간에는 출력되지 않도록 하는 게이트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게이트 구동부로 전송하며, 상기 데이터 구동부가 데이터전압을 상기 매 프레임마다 스윙시키도록 하고, 상기 스캔신호가 출력될 때 데이터전압을 상기 데이터라인으로 출력시키도록 하는 데이터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 구동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 구동 ㅂ방법은, 수직블랭크기간과 액티브기간으로 구성되는 프레임들 중 제1프레임에, 파지티브 공통전압을 패널로 공급하는 단계; 상기 액티브기간 중 데이터출력기간에만 상기 패널에 형성된 게이트라인으로 스캔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액티브기간 중 데이터비출력기간에는 스캔신호를 출력하지 않는 단계; 상기 스캔신호가 출력될 때 데이터전압을 상기 패널에 형성된 데이터라인으로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제1프레임 다음에 이어지는 제2프레임에서는 상기 공통전압과 상기 데이터전압을 스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공통전압이 매 프레임별로 스윙되는 경우, 제1프레임에서 출력된 데이터전압이 제1프레임에서 출력된 공통전압에 의해 충전되는 시간을 증가시킴으로써, 각 픽셀들이 제 극성에 맞는 공통전압을 최대한 공급받도록 하여, 패널의 상하단의 휘도차를 개선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은 공통전압을 스윙시키는 경우에 발생되는, 패널 상하단의 휘도차를 개선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공통전압을 스윙시키는 경우에 발생되는, 블랙(Black) 휘도 밝음 현상을 개선할 수 있다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인버젼 방식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의 공통전압 스윙 방법에 적용되는 다양한 파형들을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종래의 공통전압 스윙 방법에서 화이트패턴과 블랙패턴 구현을 위한 다양한 파형들을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에 적용되는 타이밍 컨트롤러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에 적용되는 데이터 구동부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에 적용되는 다양한 파형들을 나타낸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에서 화이트패턴과 블랙패턴 구현을 위한 다양한 파형들을 나타낸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에 적용되는 다양한 파형들을 나타낸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에서 화이트패턴과 블랙패턴 구현을 위한 다양한 파형들을 나타낸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에 적용되는 다양한 파형들을 나타낸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에 적용되는 파형들을 나타낸 예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에 대한 실험결과를 나타낸 다양한 그래프들의 예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에 대한 실험결과를 나타낸 도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에 적용되는 타이밍 컨트롤러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에 적용되는 데이터 구동부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라인(DL1 내지 DLm)을 구동하는 데이터 구동부(300), 게이트라인(GL1 내지 GLn)을 구동하는 게이트 구동부(200), 데이터 구동부와 게이트 구동부에 의해 구동되는 액정패널(100), 데이터 구동부(300)와 게이트 구동부(200)를 제어하는 타이밍 컨트롤러(400) 및 패널에 공통전압(Vcom)을 인가하기 위한 공통전압생성부(500)를 포함하고 있다. 도 4에서 공통전압생성부(500)는 타이밍 컨트롤러(400)가 장착되어 있는 메인보드(900)에 장착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별개의 구성요소로 액정표시장치에 구비될 수도 있다.
우선, 패널(100)은 게이트라인들(GL1 내지 GLn)과 데이터라인들(DL1 내지 DLm)의 교차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마다 형성된 박막트랜지스터(TFT)와, 화소전극을 포함하는 픽셀(PXL)을 구비한다. 패널의 각 픽셀에는 공통전압을 인가받기 위한 공통전극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 타이밍 컨트롤러(400)는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입력되는 타이밍 신호, 즉, 액정표시장치에서 기준클럭으로 이용되는 도트클럭(DCLK), 수직동기신호(Vsync), 수평동기신호(Hsync) 및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 등을 이용하여, 게이트 구동부(200)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게이트 제어신호(GCS) 및 데이터 구동부(300)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제어신호(DCS)를 생성하고, 데이터 구동부(300)에 영상데이터를 공급하며, 공통전압생성부(500)를 제어하기 위한 공통전압 제어신호(CCS)를 생성한다.
타이밍 컨트롤러(400)에서 발생되는 게이트 제어신호(GCS)들에는 게이트 스타트 펄스(GSP), 게이트 쉬프트 클럭(GSC), 게이트 출력 인에이블 신호(GOE), 게이트 스타트신호(VST), 게이트 클럭(GCLK) 등이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400)에서 발생되는 데이터 제어신호들에는 소스 스타트 펄스(SSP), 소스 쉬프트 클럭신호(SSC), 소스 출력 이네이블 신호(SOE), 극성제어신호(POL) 등이 포함된다.
타이밍 컨트롤러(400)는 상기한 바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시스템으로부터 입력데이터와 타이밍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410), 수신된 입력데이터를 패널에 맞게 재정렬하여, 재정렬된 데이터를 데이터 구동부로 전송하기 위한 영상데이터 변환부(430) 및 외부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타이밍 신호를 이용하여 게이트 제어신호(GCS), 데이터 제어신호(DCS), 공통전압 제어신호(CCS)를 생성하기 위한 제어신호 생성부(440) 및 영상데이터 변환부와 제어신호 생성부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420)를 포함한다.
공통전압 제어신호(CCS)는 공통전압 생성부의 기능을 제어하여, 공통전압 생성부가 매 프레임마다 공통전압을 스윙(Swing)시키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데이터 제어신호(DCS) 중 극성제어신호(POL)는 패널의 데이터라인으로 출력되는 데이터전압이 스윙(Swing)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에서 각각의 제어신호들을 생성하는 방법은 현재 액정표시장치에서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기술들임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다음, 게이트 구동부(200)는 타이밍 컨트롤러(400)에서 생성된 게이트 제어신호(GCS)들을 이용하여 게이트라인들에 스캔신호를 공급한다. 스캔신호에 응답하여 액정패널(100)의 박막트랜지스터들(TFT)은 수평라인 단위로 구동된다.
다음, 공통전압 생성부는 패널의 각 화소에 공통전압을 인가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타이밍 컨트롤러에서 전송되어오는 공통전압 제어신호의 제어에 따라, 공통전압을 매 프레임마다 스윙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마지막으로, 데이터 구동부(300)는 타이밍 컨트롤러로부터 전송되어온 데이터를 아날로그 데이터전압으로 변환한다. 데이터 구동부(300)는 게이트라인에 스캔신호가 공급되는 1수평기간마다 1수평라인분의 데이터전압을 데이터라인들에 공급한다. 즉, 데이터 구동부(300)는 감마전압 발생부(도시하지 않음)로부터 공급되는 감마전압들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아날로그 데이터전압으로 변환시킨 후 데이터라인으로 출력한다.
이를 위해 데이터 구동부(3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쉬프트 레지스터부(331), 래치부(332),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부(DAC)(333) 및 출력버퍼(334)를 포함하고 있다.
쉬프트 레지스터부(331)는 타이밍 컨트롤러(400)로부터 전송되어온 소스 스타트 펄스(SSP)를 소스 쉬프트 클럭신호(SSC)에 따라 순차적으로 쉬프트 시켜 샘플링 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래치부(332)는 샘플링 신호에 응답하여 타이밍 컨트롤러로부터 전송되어온 적색(R), 녹색(G) 및 청색(B)의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래치하여 동시에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부(333)는 타이밍 컨트롤러에서 전송되어온 극성제어신호(POL)를 이용하여, 래치부(332)로부터 전송되어온 디지털 데이터를 정극성 또는 부극성의 아날로그 데이터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출력버퍼(334)는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부(333)로부터 전송되어온 아날로그 데이터전압들을 완충하여 데이터라인들에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에 적용되는 다양한 파형들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1366*768의 해상도를 갖는 패널을 기준으로 본 발명이 설명된다. 따라서, 768개의 게이트라인이 존재하고 있는 패널을 일예로 하여 본 발명이 설명된다.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공통전압 스윙(Vcom swing)시 발생하는 상하단 휘도차 및 블랙(Black) 휘도 상승을 개선하여 전체적으로 화질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패널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픽셀(Pixel)에 공급되는 데이터전압(Vdata)의 파지티브(Positive) 또는 네가티브(Negative) 극성과, 공통전압의 파지티브 또는 네가티브 극성이, 반대로 픽셀에 공급되는 영역이 많을수록, 상하단 휘도차 및 블랙 휘도 상승이 생기는 점에 착안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데이터가 패널로 출력되지 않는 수직블랭크기간(B)과 데이터가 패널로 출력되는 액티브기간(A)으로 구성되는 프레임의 전체 시간은 변경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데이터가 패널로 실질적으로 출력되는 데이터출력기간(C)을 짧게 함으로써, 패널 하단으로 출력되는 데이터전압이, 해당 프레임 내에서 출력되는 공통전압과 함께 가능한한 오랜 시간 동안 지속되도록 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와 비교할 때, 프레임의 전체 시간은 동일하지만, 데이터전압이 실질적으로 패널로 출력되는 데이터출력기간(C)이 줄어들도록 하고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우선, 이하에서 설명될 용어들을 정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프레임(frame)(A)은 하나의 정지영상이 패널을 통해 출력되는 기간을 말하는 것으로서, 프레임(A)은 프레임과 프레임 사이에서 데이터가 출력되지 않는 수직블랭크기간(B) 및 데이터가 출력될 수 있는 액티브기간(A)으로 구성된다.
둘째, 액티브기간(A)은 다시, 수직 백포치 기간(E), 데이터 출력기간(C) 및 데이터 비출력기간(D)으로 구분된다. 수직 백포치 기간(E)은 수직블랭크기간(B)이 종료된 이후에, 게이트라인으로 첫 번째 스캔신호가 출력될 때까지의 기간을 말하고, 데이터 출력기간(C)은 액티브기간(A) 중 스캔신호에 의해 데이터가 실질적으로 패널로 출력되는 기간을 말하며, 데이터 비출력기간(D)은 데이터 출력기간(C) 이후부터 수직블랭크기간(B)이 시작될 때까지의 기간을 말한다.
종래의 경우에는 액티브기간과 데이터출력기간이 거의 동일한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액티브기간(A)을 데이터 출력기간(C) 및 데이터 비출력기간(D)으로 분리하고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수직백포치기간(E)이 없다고 가정한 상태에서 본 발명이 설명된다. 즉, 이하의 설명에 액티브기간(A)은 데이터출력기간(C) 및 데이터비출력기간(D)으로 구분될 수 있다.
셋째, 데이터전압충전기간(F)은 데이터출력기간(C)에서 각 게이트라인별로 출력된 데이터전압이 각 픽셀에 충전되어 유지되는 기간을 말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정의 및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데이터전압이 패널로 출력되는 데이터출력기간(C)을 액티브기간(A)의 첫 번째 1/2 기간 이하로 형성되게 함으로써, 마지막 게이트라인(#768)으로 출력된 데이터전압이 해당 프레임 내에서 출력되고 있는 공통전압에 의해 패널에 충전되는 데이터전압충전기간(F)을, 최대 액티브기간(A)의 1/2 기간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프레임의 전체 시간과 액티브기간(A)은 종래와 동일하게 유지시키면서, 액티브기간(A) 중 데이터가 패널로 실질적으로 출력되는 데이터출력기간(C) 만을 줄이고 있으며, 따라서, 하나의 프레임에서 공통전압에 의해 데이터전압이 패널에 충전되는 데이터전압충전기간(F)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티브기간(A)의 시작 후, 전체 액티브기간 중 첫 번째 1/2 액티브기간(데이터출력기간(C)) 내에서 모든 데이터전압이 패널로 인가되도록 하고, 나머지 액티브기간(데이터비출력기간(D)) 동안에는 데이터전압들이 공통전압에 의해 패널에 충전되도록 한다. 즉, 나머지 액티브기간(데이터비출력기간(D)) 동안에는 패널에 인가된 데이터 전압(Pixel charge)이 유지되게 함으로써, 마지막 게이트라인에서도 해당 프레임에 인가된 공통전압에 의해 데이터전압이 패널에 충전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패널 상단과 하단의 휘도차가 개선되어 화질이 개선될 수 있다.
전체 액티브기간(A) 중 데이터출력기간(C)의 비중은 적을수록 화질 개선 효과가 높아진다. 데이터출력기간(C)의 비중은 수직백포치기간(E)이 없다고 가정할 때, 액티브기간(A) 중 첫 번째 1/2기간이 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본 발명의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데이터출력기간(C)은 액티브기간(A) 중 첫 번째 2/3기간 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데이터출력기간(C)을 줄이기 위해서는, 스캔신호 및 수평동기신호(Hsync)의 주파수가 높아져야 한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예와 같이, 액티브기간(A)의 1/2기간 동안에 모든 데이터전압이 패널로 출력되도록 한 경우, 종래에 출력되던 스캔신호 및 수평동기신호의 구동주파수는 2배가 되어야 한다. 따라서, 타이밍 컨트롤러(400)의 제어부(420)는, 게이트라인으로 출력되는 스캔신호의 주파수를 2배로 증가시키기 위해, 타이밍 신호들을 이용하여 게이트 제어신호들을 변환시킨다. 즉, 제어부(420)는 제어신호 생성부(440)를 제어하여, 게이트 스타트 펄스(GSP), 게이트 쉬프트 클럭(GSC), 게이트 출력 인에이블 신호(GOE), 게이트 스타트신호(VST), 게이트 클럭(GCLK) 등의 주파수를 가변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스캔신호와 마찬가지로 데이터의 출력 주파수를 2배로 증가시키기 위해, 타이밍 신호들을 이용하여 데이터 제어신호들을 변환시킬 수 있다. 즉, 제어부는 제어신호 생성부(440)를 제어하여, 소스 스타트 펄스(SSP), 소스 쉬프트 클럭신호(SSC), 소스 출력 이네이블 신호(SOE), 극성제어신호(POL) 등의 주파수를 가변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420)는 제어신호 생성부(440)를 제어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전압충전기간(F)을 제어하기 위한 리셋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도 7에서 첫 번째 게이트라인(#1)을 포함한 패널 상단의 게이트라인들로부터 출력된 데이터전압들이 액티브기간(A) 동안 지속적으로 패널에 충전된다면, 이것은 패널 하단으로 출력된 데이터전압들의 충전시간과 많은 차이를 이루게 되어, 또 다른 화질 차이를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리셋신호를 이용하여, 패널 상단에서 출력된 데이터전압들에 대한 데이터전압충전기간을 일정시간으로 제한할 수 있다. 리셋신호에 의한 리셋기간(G)은 데이터전압충전기간의 마지막으로부터 해당 게이트라인으로 스캔신호가 출력될 때까지의 기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에서 화이트패턴과 블랙패턴 구현을 위한 다양한 파형들을 나타낸 예시도로서,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화이트패턴과 블랙패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첫째,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제1프레임(Frame)에서는 파지티브 공통전압(Positive Vcom)을 패널에 인가하고, 제2프레임(Frame)에서는 네가티브 공통전압(Negative Vcom)을 패널에 인가한다. 여기서, 파지티브 또는 네가티브라는 것은 서로 다른 프레임에서 출력되는 두 개의 공통전압을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순서는 바뀔 수 있다. 즉, 제1프레임에서 출력되는 공통전압을 임의로 파지티브 공통전압이라고 하며, 제2프레임에서 출력되는 공통전압을 임의로 네가티브 공통전압이라고 한다. 데이터전압의 경우에도 제1프레임에서 출력되는 데이터전압을 파지티브 데이터전압이라고 하며, 제2프레임에서 출력되는 데이터전압을 네가티브 데이터전압이라고 한다.
둘째,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첫 번째 게이트라인(Gate #1)에서 마지막 게이트라인(Gate #768)으로 내려가면서, 데이터전압(Vdata)을 순차적으로 쉬프트시켜 패널에 공급한다.
첫 번째 게이트라인으로 인가되는 파지티브 공통전압과, 파지티브 데이터전압의 출력 시간이 잘 맞기 때문에 첫 번째 게이트라인을 포함한 패널의 상단에서는 정상적인 휘도가 출력된다.
패널 하단으로 내려갈수록, 종래에는 파지티브 데이터전압과 제2프레임용 네가티브 공통전압이 서로 겹치는 부분이 생기게 되며, 이 경우, 픽셀의 데이터전압과 공통전압 간에 전압차가 작아지게 되므로, 상단의 게이트라인들에 비해 어두워지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전체 액티브기간(A)보다 짧은 기간인 데이터출력기간(C), 즉, 액티브기간(A) 시작 후 첫 번째 1/2액티브기간 내에서 모든 데이터가 패널에 인가되므로, 마지막 게이트라인으로 출력된 데이터전압도, 나머지 1/2액티브기간에 해당되는 데이터전압충전기간(F)을 갖게 됨으로, 파지티브 공통전압을 인가받을 수 있다. 따라서, 마지막 게이트라인에도 정상적으로 데이터전압이 충전될 수 있다. 이 경우, 종래 기술 대비 50% 이상의 개선효과가 가능하다.
셋째, 도 8에 도시된 그래프에서 삼각형으로 표시된 부분들은, 극성이 서로 다른 공통전압의 영향을 받는 데이터전압의 출력구간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데이터전압충전기간(F)의 비중이 클수록 삼각형으로 표시된 영역이 작아지게 되어 개선효과가 커지게 된다.
즉, 도 8에서, 화이트 패턴의 경우, 제1프레임의 하단 게이트라인으로 출력된 파지티브 데이터전압(화이트 전압)이, 제1프레임에서 출력되는 파지티브 공통전압에 의해 데이터전압충전기간(F) 동안 패널에 충전되므로, 패널의 상단과 하단에서의 휘도차이가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블랙패턴의 경우, 제1프레임의 하단 게이트라인으로 출력된 파지티브 데이터전압(블랙 데이터)이, 제1프레임에서 출력되는 파지티브 공통전압에 의해 데이터전압충전기간(F) 동안 패널에 충전되므로, 패널의 하단에서 블랙휘도가 높아지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에 적용되는 다양한 파형들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에서 화이트패턴과 블랙패턴 구현을 위한 다양한 파형들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액티브기간(A)이 데이터출력기간(C)과 데이터비출력기간(D)을 포함하도록 하고, 데이터출력기간(C)을 액티브기간의 1/2로 하는 점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며, 데이터를 출력하는 방법에 차이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대한 설명 중, 제1실시예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되거나 또는 간단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액티브기간(A) 내에서 데이터출력기간(C)의 비중을 줄이고, 데이터비출력기간(D)의 비중은 늘린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는 액티브기간(A)의 1/2로 축소된 데이터출력기간(C) 내에서 인터레이스(Interace) 구동을 진행하고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적으로, 패널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가면서 홀수(Odd) 게이트라인들에 순차적으로 스캔신호를 공급하여 데이터전압을 인가한 후, 다시, 패널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가면서 짝수(Even) 게이트라인들에 순차적으로 스캔신호를 공급하여 데이터전압을 인가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홀수 게이트라인들에 데이터전압을 인가할 때 홀수 게이트라인들에 공급되는 파지티브 제1공통전압보다 일정기간 쉬프트된, 파지티브 제2공통전압을 짝수 게이트라인들에 데이터전압을 인가할 때 짝수 게이트라인들에 공급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홀수 게이트라인으로 데이터전압 출력 후, 짝수 게이트라인으로 데이터전압을 출력하는 인터레이스(interace) 구동 방식에서, 홀수 게이트라인과, 짝수 게이트라인에 서로 다른 공통전압을 공급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 제1프레임의 짝수 게이트라인에 공급되는 파지티브 제2공통전압은, 제1프레임의 홀수 게이트라인에 공급되는 파지티브 제1공통전압을 일정 기간 쉬프트시킨 것이다. 여기서 일정 기간이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티브 제1공통전압이 출력된 후, 첫 번째 짝수 게이트라인으로 스캔신호가 인가될 때까지의 기간을 말한다.
즉, 홀수 게이트라인과 짝수 게이트라인의 데이터 출력시점이 다르므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홀수 게이트라인들과, 짝수 게이트라인들로 인가되는 스윙 공통전압의 타이밍을 각각 다르게 인가하고 있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액티브기간(A)의 첫 번째 1/4기간 동안 홀수 게이트라인들을 통해 데이터를 출력하고, 나머지 3/4액티브기간 및 제2프레임의 홀수 게이트라인들로 데이터가 출력될 때까지의 기간 동안에는 파지티브 제1공통전압에 의해 데이터전압들이 출력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액티브기간(A)의 두 번째 1/4기간 동안 짝수 게이트라인들을 통해 데이터를 출력하고, 나머지 2/4액티브기간 및 제2프레임의 첫 번째 1/4액티브기간 동안에는 파지티브 제2공통전압에 의해 데이터전압들이 출력되도록 한다. 따라서, 제1프레임 동안 홀수 게이트라인들과, 짝수 게이트라인들로 출력된 데이터전압은, 대략적으로 3/4액티브기간동안 제1프레임에서 출력된 파지티브 공통전압에 의해 패널에 충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비교하였을 때, 50% 더 개선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데이터전압의 인가 순서는 바뀔 수 있다. 즉, 우선적으로 첫 번째 1/4액티브기간 동안 짝수 게이트라인들로 데이터가 인가된 후, 두 번째 1/4액티브기간 동안 홀수 게이트라인들로 데이터가 인가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제1프레임 동안 홀수 게이트라인들로는 파지티브 제1공통전압이 인가되고, 제2프레임 동안 홀수 게이트라인들로는 네가티브 제1공통전압이 인가된다. 또한, 제1프레임 동안 짝수 게이트라인들로는 파지티브 제1공통전압이 일정 시간 딜레이된 파지티브 제2공통전압이 인가되고, 제2프레임 동안 짝수 게이트라인들로는 네가티브 제2공통전압이 인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제1프레임동안 패널의 하단에 있는 게이트라인들로 출력된 데이터전압들도, 최대 3/4액티브기간에 해당되는 동안 제1프레임에서 출력된 파지티브 제1공통전압 또는 파지티브 제2공통전압에 의해 패널에 충전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도 10에서 화이트 패턴의 경우, 제1프레임의 하단 게이트라인으로 출력된 파지티브 데이터전압이, 데이터전압충전기간(F)을 포함한 3/4액티브기간 동안 제1프레임에서 출력되는 파지티브 공통전압들에 의해 충전되므로, 패널의 상단과 하단에서의 휘도차이가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블랙패턴의 경우, 제1프레임의 하단 게이트라인으로 출력된 파지티브 데이터전압이, 데이터전압충전기간(F)을 포함한 3/4액티브기간 동안 제1프레임에서 출력되는 파지티브 공통전압에 의해 충전되므로, 패널의 하단에서 블랙휘도가 높아지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에 적용되는 다양한 파형들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에 적용되는 파형들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변경시킨 구조를 갖는다. 즉,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와 같이, 홀수 게이트라인들에 우선적으로 데이터를 인가시킨 후, 짝수 게이트라인들에 데이터를 인가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는, 홀수 게이트라인들과 짝수 게이트라인들로 개별적인 공통전압이 인가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액티브기간(A)의 1/2씩 나누어 홀수 게이트라인들과, 짝수 게이트라인들에 데이터를 인가시키고 있다. 즉, 도 11 및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첫 번째 1/2액티브기간 동안에는 홀수 게이트라인들로 데이터전압을 인가하고 있으며, 이때, 파지티브 제1공통전압을 인가하고 있다. 파지티브 제1공통전압은 제2프레임의 액티브기간이 시작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출력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두 번째 1/2액티브기간 동안에는 짝수 게이트라인들로 데이터전압을 인가하고 있으며, 이때, 파지티브 제2공통전압을 인가하고 있다. 파지티브 제2공통전압은 제2프레임에서 짝수 게이트라인들로 데이터전압이 인가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출력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공통전압 스윙시 발생하는 패널 상하단의 휘도차 및 블랙 휘도가 밝아지는 현상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액티브기간에서의 데이터비출력기간을 증가시키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즉, 일반적인 공통전압 스윙 구조에서, 공통전압은 1프레임 주기로 반전되고, 전체 패널에 동시에 인가되지만, 데이터전압의 경우 첫 번째 게이트라인에서 마지막 게이트라인으로 순차적으로 패널에 인가되도록 되어있다.
따라서, 첫 번째 게이트라인에서는 픽셀 구동에 필요한 공통전압 파형이 정상적으로 인가가 되지만, 마지막 게이트라인으로 내려갈수록 데이터 파형이 공통전압 파형 대비하여 쉬프트(Shift)되기 때문에, 픽셀 구동에 필요한 공통전압 파형이 정상적으로 인가가 되지 못하며, 이는 곧, 화이트 패턴에서는 휘도 저하로, 블랙 패턴에서는 휘도 밝음 현상이라는 화질 저하 현상으로 나타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종래의 액티브기간(A) 중에서 데이터비출력기간(D)의 비중을 늘리고, 데이터출력기간(C)의 비중을 줄이는 방법으로, 게이트의 스캔주기를 빠르게 함으로써, 마지막 게이트라인의 On시간을 빠르게 하고 있다(제1실시예). 또한, 본 발명은 제1실시예에서 추가적으로 인터레이스(interace) 구동하면서, 홀수 게이트라인과 짝수 게이트라인에 공통전압 스윙 타이밍을 차등적용함으로써, 픽셀 구동시, 제 극성에 맞는 공통전압을 패널에 최대한 공급하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제2실시예).
상기한 바와 같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한 실험 결과, 제1실시예의 경우에는 휘도차가 종래 대비 50% 개선됨을 알 수 있으며, 제2실시예의 경우에는 휘도차가 종래 대비 75% 까지 개선됨을 알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3을 참조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험 결과가 설명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에 대한 실험결과를 나타낸 다양한 그래프들의 예시도로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적용한 경우의 패널 상하단의 휘도차 개선을 검토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에 대한 실험결과를 나타낸 도표이다.
도 13의 (a)는 본 발명의 구동방식을 나타낸 것이다. (b)는 게이트스타트펄스(GSP)의 주파수를 120hz 구동 중 짝수 프레임 GSP 스킵(SKIP)으로 60hz 구동함을 나타낸 것으로서, 동일 극성 반복을 막기 위해 2프레임 POL이 적용되었다. (c)와 (d)는 종래 기술의 경우(60hz 구동)와 본 발명에 의한 경우(120hz 구동 + Vertcia Blank(데이터비출력기간)) 적용)의 상하 휘도 비율을 도표 및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즉, 도 13과 같은 결과를 통해 본 발명에서와 같은 데이터비출력기간(D) 적용시, 패널 상하단의 휘도차는 약 50% 이상 개선되었으며, 로우 그래이(Low Gray)로 갈수록 개선율이 좋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경우, 상하단 GMA 변화량도 개선되며, 기타 화질상 특이 사항은 없었다. 단, 도 13은 120hz 구동하여 검토한 결과이다.
한편, 도 14는 도 13의 (c)에 도시되어 있는 도표에,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결과를 포함시킨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홀수 게이트라인과 짝수 게이트라인을 개별적으로 구동하는 방법(Interace)을 적용한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액정패널 200 : 게이트 구동부
300 : 데이터 구동부 400 : 타이밍 컨트롤러
500 : 공통전압 생성부

Claims (10)

  1. 데이터라인을 구동하는 데이터 구동부;
    게이트라인을 구동하는 게이트 구동부;
    상기 데이터 구동부와 상기 게이트 구동부에 의해 구동되는 액정패널;
    상기 액정패널에 공통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공통전압생성부; 및
    타이밍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는, 상기 공통전압이 수직블랭크기간과 액티브기간으로 구성되는 매 프레임마다 스윙되도록 하는 공통전압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공통전압 생성부로 공급하고, 상기 게이트 구동부를 통해 출력되는 스캔신호가 상기 액티브기간 중 데이터출력기간에만 상기 게이트라인으로 출력되고 상기 액티브기간 중 데이터비출력기간에는 출력되지 않도록 하는 게이트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게이트 구동부로 전송하며, 상기 데이터 구동부가 데이터전압을 상기 매 프레임마다 스윙시키도록 하고, 상기 스캔신호가 출력될 때 데이터전압을 상기 데이터라인으로 출력시키도록 하는 데이터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 구동부로 전송하고,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는, 상기 데이터출력기간 중 우선적으로 홀수 게이트라인들로 상기 스캔신호가 순차적으로 출력되도록 하고, 다음으로 짝수 게이트라인들로 상기 스캔신호가 순차적으로 출력되도록 하는 게이트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게이트 구동부로 전송하고,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는, 상기 홀수 게이트라인들에 대응되는 픽셀들로 공급되는 제1공통전압을, 상기 홀수 게이트라인들 중 첫 번째 홀수 게이트라인으로 상기 스캔신호가 공급될 때 상기 픽셀들로 공급하고, 상기 짝수 게이트라인들에 대응되는 픽셀들로 공급되는 제2공통전압을, 상기 짝수 게이트라인들 중 첫 번째 짝수 게이트라인으로 상기 스캔신호가 공급될 때 상기 픽셀들로 공급하며,
    상기 제2 공통전압은 상기 제1 공통전압을 기 설정된 기간만큼 쉬프트 시켜 생성되며, 상기 기 설정된 기간은 상기 제1공통전압이 출력된 후, 상기 첫 번째 짝수 게이트 라인으로 상기 스캔신호가 인가될 때까지의 기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데이터라인을 구동하는 데이터 구동부;
    게이트라인을 구동하는 게이트 구동부;
    상기 데이터 구동부와 상기 게이트 구동부에 의해 구동되는 액정패널;
    상기 액정패널에 공통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공통전압생성부; 및
    타이밍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는, 상기 공통전압이 수직블랭크기간과 액티브기간으로 구성되는 매 프레임마다 스윙되도록 하는 공통전압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공통전압 생성부로 공급하고, 상기 액티브기간 중 첫 번째 1/2 기간 동안에는 홀수 게이트라인들로 스캔신호가 순차적으로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액티브기간 중 나머지 1/2 기간 동안에는 짝수 게이트라인들로 상기 스캔신호가 순차적으로 출력되도록 하는 게이트제어신호를 상기 게이트 구동부로 공급하며, 상기 스캔신호가 출력될 때 데이터전압을 상기 데이터라인으로 출력시키도록 하는 데이터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 구동부로 전송하고,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는, 상기 홀수 게이트라인들에 대응되는 픽셀들로 공급되는 제1공통전압을, 상기 홀수 게이트라인들 중 첫 번째 홀수 게이트라인으로 상기 스캔신호가 공급될 때 상기 픽셀들로 공급하며, 상기 짝수 게이트라인들에 대응되는 픽셀들로 공급되는 제2공통전압을, 상기 짝수 게이트라인들 중 첫 번째 짝수 게이트라인으로 상기 스캔신호가 공급될 때 상기 픽셀들로 공급하며,
    상기 제2 공통전압은 상기 제1 공통전압을 기 설정된 기간만큼 쉬프트 시켜 생성되며, 상기 기 설정된 기간은 상기 제1공통전압이 출력된 후, 상기 첫 번째 짝수 게이트 라인으로 상기 스캔신호가 인가될 때까지의 기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6. 삭제
  7. 수직블랭크기간과 액티브기간으로 구성되는 프레임들 중 제1프레임에, 파지티브 공통전압을 패널로 공급하는 단계;
    상기 액티브기간 중 데이터출력기간에만 상기 패널에 형성된 게이트라인으로 스캔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액티브기간 중 데이터비출력기간에는 스캔신호를 출력하지 않는 단계;
    상기 스캔신호가 출력될 때 데이터전압을 상기 패널에 형성된 데이터라인으로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제1프레임 다음에 이어지는 제2프레임에서는 상기 공통전압과 상기 데이터전압을 스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스캔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출력기간 중 우선적으로 홀수 게이트라인들로 상기 스캔신호가 순차적으로 출력되도록 하고, 다음으로 짝수 게이트라인들로 상기 스캔신호가 순차적으로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홀수 게이트라인들에 대응되는 픽셀들로 공급되는 제1공통전압은, 상기 홀수 게이트라인들 중 첫 번째 홀수 게이트라인으로 상기 스캔신호가 공급될 때 상기 픽셀들로 공급되고, 상기 짝수 게이트라인들에 대응되는 픽셀들로 공급되는 제2공통전압은, 상기 짝수 게이트라인들 중 첫 번째 짝수 게이트라인으로 상기 스캔신호가 공급될 때 상기 픽셀들로 공급되며,
    상기 제2 공통전압은 상기 제1 공통전압을 기 설정된 기간만큼 쉬프트 시켜 생성되며, 상기 기 설정된 기간은 상기 제1공통전압이 출력된 후, 상기 첫 번째 짝수 게이트 라인으로 상기 스캔신호가 인가될 때까지의 기간인 액정표시장치 구동 방법.
  8. 삭제
  9. 삭제
  10. 수직블랭크기간과 액티브기간으로 구성되는 프레임들 중 제1프레임에, 파지티브 공통전압을 패널로 공급하는 단계;
    상기 액티브기간 중 첫 번째 1/2 기간 동안에는 홀수 게이트라인들로 스캔신호가 순차적으로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액티브기간 중 나머지 1/2 기간 동안에는 짝수 게이트라인들로 상기 스캔신호가 순차적으로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스캔신호가 출력될 때 데이터전압을 상기 패널에 형성된 데이터라인으로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제1프레임 다음에 이어지는 제2프레임에서는 상기 공통전압과 상기 데이터전압을 스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프레임에서 상기 파지티브 공통전압을 공급하는 단계는,
    상기 홀수 게이트라인들에 대응되는 픽셀들로 공급되는 제1공통전압을, 상기 홀수 게이트라인들 중 첫 번째 게이트라인으로 상기 스캔신호가 공급될 때 상기 픽셀들로 공급하고, 상기 짝수 게이트라인들에 대응되는 픽셀들로 공급되는 제2공통전압을, 상기 짝수 게이트라인들 중 첫 번째 게이트라인으로 상기 스캔신호가 공급될 때 상기 픽셀들로 공급하며,
    상기 제2 공통전압은 상기 제1 공통전압을 기 설정된 기간만큼 쉬프트 시켜 생성되며, 상기 기 설정된 기간은 상기 제1공통전압이 출력된 후, 상기 첫 번째 짝수 게이트 라인으로 상기 스캔신호가 인가될 때까지의 기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구동 방법.
KR1020120026509A 2012-03-15 2012-03-15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19203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6509A KR101920398B1 (ko) 2012-03-15 2012-03-15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6509A KR101920398B1 (ko) 2012-03-15 2012-03-15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4733A KR20130104733A (ko) 2013-09-25
KR101920398B1 true KR101920398B1 (ko) 2018-11-20

Family

ID=49453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6509A KR101920398B1 (ko) 2012-03-15 2012-03-15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03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1692B1 (ko) 2014-09-03 2021-02-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KR102437757B1 (ko) 2015-07-20 2022-08-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패널 및 액정 표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66448B2 (ja) * 2000-10-06 2008-10-15 シャープ株式会社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KR101511546B1 (ko) * 2007-06-18 2015-04-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4733A (ko) 2013-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6262B1 (ko)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표시 장치
KR102081135B1 (ko) 저속 구동이 가능한 표시장치
US9934750B2 (en) Data driver,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driving display panel using the same
JP4738428B2 (ja) 液晶表示装置の駆動方法及び駆動装置
US9001089B2 (en) Data driving apparatus and method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2339039B1 (ko)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US9478186B2 (en) Display device with idle periods for data signals
JP4901437B2 (ja)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KR20160094469A (ko) 표시장치
KR101818454B1 (ko) 액정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1441385B1 (ko) 액정 표시장치의 구동장치와 그 구동방법
KR101127841B1 (ko) 액정 표시장치의 구동장치 및 구동방법
KR20080001890A (ko) 화상 표시장치와 그의 구동장치 및 구동방법
KR100480180B1 (ko) 2-도트 인버젼 구동방식의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1920398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1958654B1 (ko) 도트 인버젼 액정표시장치
KR101174783B1 (ko) 액정 표시장치의 구동장치 및 구동방법
KR101070555B1 (ko) 액정표시장치
KR101461034B1 (ko) 액정 표시장치의 구동장치와 그 구동방법
KR101630331B1 (ko) 액정 표시장치의 구동장치와 그 구동방법
KR20070079103A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1494785B1 (ko) 라인 인버젼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 및 방법
KR101706233B1 (ko) 액정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20080094261A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20070072095A (ko) 액정 표시장치의 구동장치 및 구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