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0319B1 - Portable apparatus for photographing image - Google Patents

Portable apparatus for photographing ima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0319B1
KR101920319B1 KR1020120129005A KR20120129005A KR101920319B1 KR 101920319 B1 KR101920319 B1 KR 101920319B1 KR 1020120129005 A KR1020120129005 A KR 1020120129005A KR 20120129005 A KR20120129005 A KR 20120129005A KR 101920319 B1 KR101920319 B1 KR 1019203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module
image
main body
user
portabl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900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62350A (en
Inventor
한재준
엄상용
이유진
이현정
조재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290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0319B1/en
Publication of KR201400623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235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0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031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04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20Analysis of mo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촬영을 위한 휴대용 장치는, 본체의 일 측에 구비되어 제1 이미지를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카메라 모듈 및 신체 움직임을 검출하여 제1 이미지의 촬영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카메라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A portable device for image captu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t least one first camera module provided at one side of a main body for capturing a first image and at least one camera module for detecting a body motion to detect at least one or more firs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amera module.

Description

이미지 촬영을 위한 휴대용 장치{PORTABLE APPARATUS FOR PHOTOGRAPHING IMAGE}[0001] PORTABLE APPARATUS FOR PHOTOGRAPHING IMAGE [0002]

실시예들은 이미지 촬영을 위한 휴대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Embodiments relate to a portable device for image capture.

카메라 또는 이미지 촬영 기능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의 보급이 증가함에 따라, 카메라 또는 통신 장치의 사용자들은 일상 생활에서 이미지 촬영을 손쉽게 할 수 있다. As the popularity of communication devices including camera or image shooting functions increases, users of cameras or communication devices can easily take images in everyday life.

사용자는 카메라 또는 통신 장치를 손에 잡고, 이미지 촬영을 위한 대상물을 포커싱(focusing)한 상태에서 줌(zoom) 버튼, 촬영 버튼 또는 다양한 설정 버튼을 누르는 방식으로 이미지 촬영을 할 수 있다. The user can hold the camera or the communication device in his / her hand and shoot an image by focusing a subject for image photographing and pressing a zoom button, a photographing button or various setting buttons.

한편, 카메라 또는 통신 장치 외에도 다양한 기기들에 이미지 촬영 기능이 포함될 수 있다. 이들 기기는 기존의 카메라 또는 통신 장치와는 다른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이미지 촬영을 위한 새로운 방식이 필요하다.On the other hand, an image shooting function may be included in various devices in addition to a camera or a communication device. Since these devices may have different forms from existing cameras or communication devices, a new method for image capturing is needed.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장치는 본체의 일 측에 구비되어 제1 이미지를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카메라 모듈 및 신체 움직임을 검출하여 상기 제1 이미지의 촬영과 관련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카메라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The port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one first camera module provided at one side of a main body for photographing a first image and a second camera module for detecting a body motion to detect movement of the at least one first camera modul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일 측에 따르면, 상기 휴대용 장치는 펜(pen) 타입의 상기 본체에 구비되고, 롤링(rolling)이 가능한 플렉시블(flexible)한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table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flexible display unit provided on the main body of a pen type and capable of rolling.

일 측에 따르면, 상기 휴대용 장치는 상기 본체의 타 측에 구비되어 제2 이미지를 촬영하는 제2 카메라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된 상기 제2 이미지로부터 사용자의 눈 영역을 검출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카메라 모듈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table device further includes a second camera module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for capturing a second image, wherein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receive, from the second image captured by the second camera module, And the operation of the at least one first camera module can be controlled.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이미지에 포함된 사용자의 눈 영역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눈 영역의 이동 패턴을 추적하여 촬영 대상 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촬영 대상 영역을 포커싱하여 촬영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카메라 모듈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detects an eye region of the user included in the second image, sets a shooting object region by tracking a movement pattern of the detected eye region, and focuses the shooting object region And control operations of the at least one first camera module.

일 측에 따르면, 상기 휴대용 장치는 상기 본체의 움직임에 따른 3축 방향 정보를 생성하는 지자기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table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geomagnetic sensor for generating three-axis direc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movement of the main body.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이미지로부터 사용자의 눈 영역이 검출된 경우, 상기 눈 영역과 연결되는 상기 본체 전단의 상기 3축 방향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본체 전단의 3차원 위치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3차원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촬영 대상 영역을 설정하며, 상기 촬영 대상 영역을 포커싱하여 촬영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카메라 모듈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s eye region is detected from the second image, the controller generates three-dimensional position information of the front end of the main body using the three-axis direction information of the front end of the main body connected to the eye region Dimensional image, setting an image-capturing object area corresponding to the three-dimensional position information, and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at least one first camera module to focus and photograph the capturing object area.

일 측에 따르면, 상기 휴대용 장치는 상기 본체의 움직임에 따른 동작 패턴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복수의 동작 제어 신호가 저장된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table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unit storing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operation control signals corresponding to an operation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main body.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이미지로부터 사용자의 눈 영역이 미 검출된 경우, 상기 3축 방향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본체의 움직임에 따른 동작 패턴을 생성하고, 상기 동작 패턴에 대응하는 동작 제어 신호를 상기 저장부로부터 검색하며, 상기 동작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카메라 모듈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s eye region is not detected from the second image, the controller generates an operation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motion of the main body using the three-axis direction information, A control signal is retrieved from the storage unit, and an operation of the at least one first camera module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control signal.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자기 센서에 의해 2축 방향 정보가 생성된 경우, 상기 2축 방향 정보를 이용하여 2차원 위치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2차원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biaxial orientation information is generated by the geomagnetic sensor, the controller generates two-dimensional position information using the biaxial orientation information, and controls the display unit to display the two- can do.

일 측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본체의 일 측에 구비된 롤링 가이드 영역을 통해 인입 및 인출되고, 상기 인입시 오프(off) 동작하고, 상기 인출시 온(on) 동작하여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unit is pulled in and out through a rolling guide region provid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is operated to be turned off at the time of pulling, have.

일 측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1 카메라 모듈에 의해 임시로 포커싱된 이미지, 상기 제1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될 촬영 대상 영역에 대응하는 이미지 및 상기 제1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된 제1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unit displays the image temporarily focussed by the first camera module,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region to be photographed by the first camera module, and the first image photographed by the first camera module, At least one of them can be displayed.

일 측에 따르면, 상기 휴대용 장치는 상기 이미지 촬영과 관련된 상기 제1 카메라 모듈의 동작이 완료된 경우, 광 신호, 음성 신호 및 진동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신호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table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signal output unit that outputs at least one of an optical signal, a voice signal, and a vibration signal when the operation of the first camera module related to the image capturing is completed.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제1 카메라 모듈의 동작은 상기 제1 카메라 모듈의 온(on)/오프(off) 동작, 이미지 촬영 동작, 이미지 촬영 모드 설정 동작 및 이미지 촬영 기능 설정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the operation of the first camera module includes at least one of an on / off operation of the first camera module, an image photographing operation, an image photographing mode setting operation, and an image photographing function setting operation can do.

일 측에 따르면, 상기 휴대용 장치는 안경테 타입의 상기 본체에 구비된 안경 렌즈 타입의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table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spectacle lens type display unit provided on the main body of the spectacle frame type.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손 동작을 검출하여 상기 손 동작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카메라 모듈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may detect a hand motion of a user and control an operation of the at least one first camera module according to the hand motion.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카메라 모듈에 의해 임시로 포커싱된 이미지에서 사용자의 손 동작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손 동작에 대응하는 형태에 따라 촬영 대상 영역을 설정하며, 상기 촬영 대상 영역을 포커싱하여 촬영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카메라 모듈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detects a user's hand motion in an image temporarily focused by the at least one first camera module, sets a shooting target area according to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hand motion, The operation of the at least one first camera module may be controlled to focus and photograph the region to be photographed.

일 측에 따르면, 상기 휴대용 장치는 복수의 손 동작에 따른 동작 패턴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복수의 동작 제어 신호가 저장된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table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unit storing a predetermined plurality of operation control signals corresponding to an operation pattern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hand motions.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카메라 모듈에 의해 임시로 포커싱된 이미지에서 상기 손 동작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손 동작에 따른 동작 패턴을 생성하며, 상기 저장부로부터 상기 동작 패턴에 대응하는 동작 제어 신호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동작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카메라 모듈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detects the hand motion in an image temporarily focussed by the at least one first camera module, generates an operation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hand motion, And the operation of the at least one first camera module can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searched operation control signal.

일 측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카메라 모듈에 의해 임시로 포커싱된 이미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될 촬영 대상 영역에 대응하는 이미지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unit displays an image that is temporarily focused by the at least one first camera module, an image corresponding to a region to be photographed by the at least one first camera module, At least one of the images photographed by the camera module can be displayed.

일 측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투명한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및 투명한 LCD(Liquid Crystal Display)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 질 수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the display unit may be formed of any one of a transparent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nd a transparent LCD (Liquid Crystal Display).

일 측에 따르면, 상기 휴대용 장치는 상기 안경테의 내측에 구비되어 사용자를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카메라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table device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second camera module provided inside the spectacle frame to photograph a user.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손 동작이 미 검출된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로부터 사용자의 눈 영역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눈 영역의 이동 패턴을 추적하여 촬영 대상 영역을 설정하며, 상기 실체 촬영 영역을 포커싱하여 촬영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카메라 모듈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detects a user's eye region from an image photographed by the at least one second camera module when the user's hand motion is not detected, and detects a movement pattern of the detected eye region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at least one first camera module to focus and photograph the actual photographing area.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실시예에 따른 펜 타입의 휴대용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펜 타입의 휴대용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펜 타입의 휴대용 장치를 이용한 이미지 촬영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안경 타입의 휴대용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안경 타입의 휴대용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안경 타입의 휴대용 장치를 이용한 이미지 촬영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port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2A and 2B are diagrams illustrating a pen type port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en type portable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4 is a view for explaining an image capturing method using a pen type portable apparatus.
5 is a view showing a portable device of the glasses typ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portable device of the eyeglass typ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image capturing method using a portable device of the glasses type.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들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실시예들을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해당 기술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gist of the embodiments unnecessarily obscure. The terminologies used herein are terms used to properly represent embodiments,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user, the intention of the operator, or the practice of the field to which the technology belongs. Accordingly, the definitions of the terms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Like reference symbo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장치(100)는 카메라 모듈(110) 및 제어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port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ortable device 100 shown in FIG. 1 may include a camera module 110 and a control unit 120.

카메라 모듈(110)은 본체의 일 측에 구비되어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으며, 본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The camera module 110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may capture an image, and at least one camera module 110 may be provided.

제어부(120)는 휴대용 장치(100)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신체 움직임을 검출하여 이미지 촬영과 관련된 카메라 모듈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눈 영역을 검출하거나, 사용자의 손을 검출하고, 각 신체 움직임에 따라 촬영 대상 영역을 포커싱하여 촬영하도록 카메라 모듈(1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제어부(120)는 카메라 모듈(110)의 온(on)/오프(off) 동작, 이미지 촬영 모드 설정 동작, 이미지 촬영 기능 설정 동작 등을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20 may detect a user's body motion using the portable device 100 and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camera module related to image capturing.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12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camera module 110 to detect a user's eye area, detect a user's hand, and focus and photograph an area to be photographed according to each body movement.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20 may control the on / off operation of the camera module 110, the image capturing mode setting operation, the image capturing function setting operation, and the like.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장치(100)는 펜(pen) 타입 또는 안경 타입의 장치로, 이미지 촬영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휴대용 장치(100)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가 손쉽게 구비할 수 있는 다른 제품들이 될 수도 있다.
The portable device 100 shown in Fig. 1 may be a pen type or a glasses type device and may include an image taking function. However, the portable device 100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other products that the user can easily provide.

도 2a 및 도 2b는 실시예에 따른 펜(pen) 타입의 휴대용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펜 타입의 휴대용 장치(200)는 펜의 기능과 이미지 촬영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2A and 2B are diagrams illustrating a pen type port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en type portable device 200 shown in Figs. 2A and 2B may include functions of a pen and an image photographing function.

휴대용 장치(200)는 펜 타입의 본체(201)를 포함하고, 본체(201)의 일 측에 구비된 제1 카메라 모듈(210)과, 본체(201)의 타 측에 구비된 제2 카메라 모듈(220)을 포함하며, 롤링(rolling)이 가능한 플렉시블(flexible)한 디스플레이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ortable device 200 includes a pen type main body 201 and includes a first camera module 210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201 and a second camera module 210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201. [ And a flexible display unit 230 including a display unit 220 and a rolling unit.

제1 카메라 모듈(210)은 본체(201)의 전단, 즉, 볼펜팁에 해당하는 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제1 카메라 모듈(210)은 본체(201)의 전단에 구비되어 제1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The first camera module 210 may be provided at a front end of the main body 201, that is, in an area corresponding to a ballpoint pen tip. The first camera module 210 is provided at a front end of the main body 201 so as to take a first image.

제2 카메라 모듈(220)은 본체(201)의 후단, 즉, 볼펜캡에 해당하는 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제2 카메라 모듈(220)은 제1 카메라 모듈(210)과 반대되어 위치할 수 있다. 본체(201)에서 제1 카메라 모듈(210) 및 제2 카메라 모듈(200)의 위치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본체(201)의 형태 및 디자인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The second camera module 220 may be provided at a rear end of the main body 201, that is,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ballpoint pen cap. The second camera module 220 may be positioned opposite to the first camera module 210. The positions of the first camera module 210 and the second camera module 200 in the main body 201 are not limited to those shown in Figs. 2A and 2B, and may be appropriately changed according to the shape and design of the main body 201 .

휴대용 장치(200)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촬영할 경우, 사용자는 촬영 대상이 위치한 방향에 제1 카메라 모듈(210)이 향하고, 이미지를 촬영하는 사용자가 위치한 방향에 제2 카메라 모듈(220)이 향하도록 휴대용 장치(200)를 잡을 수 있다. When an image is captured using the portable device 200, the user directs the first camera module 210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subject is located, and directs the second camera module 220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user The portable device 200 can be held.

디스플레이부(230)는 본체(201)의 일 측에 구비된 롤링 가이드 영역(202)을 통해 인입 및 인출될 수 있다. 도 2a는 디스플레이부(230)가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휴대용 장치(200)이고, 도 2b는 디스플레이부(230)가 인입된 상태를 나타낸 휴대용 장치(200)이다. The display unit 230 can be drawn in and out through the rolling guide area 202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201. FIG. 2A is a portable device 200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unit 230 is drawn out, and FIG. 2B is a portable device 200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unit 230 is drawn.

디스플레이부(230)는 본체(201)에 인입시, 오프(off) 동작하고, 인출시 온(on) 동작하여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230 may be turned off at the time of entering the main body 201 and may be turned on at the time of drawing to display an image.

디스플레이부(230)는 시야각을 조절하기 위한 업(up)/다운(down) 영역 (231)을 포함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230 may include an up / down area 231 for adjusting the viewing angle.

휴대용 장치(200)는 제2 카메라 모듈(220)에 의해 촬영된 제2 이미지를 이용하여 이미지 촬영과 관련된 제1 카메라 모듈(2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The portable device 200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first camera module 210 related to image capturing using the second image captured by the second camera module 220. [

구체적으로, 휴대용 장치(200)는 제2 이미지에서 사용자의 눈 영역이 이동하는 패턴을 추적하여 촬영 대상 영역을 설정하고, 그 촬영 대상 영역을 포커싱하여 촬영하도록 제1 카메라 모듈(2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portable device 200 tracks a pattern in which the user's eye region moves in the second image to set the shooting object region, and performs an operation of the first camera module 210 so as to focus and photograph the shooting object region Can be controlled.

또는, 휴대용 장치(200)는 제2 이미지에서 사용자의 눈 영역과 연결되는 본체(201) 전단의 3축 방향 정보를 이용하여 본체(201) 전단의 3차원 위치 정보를 생성하고, 3차원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촬영 대상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이렇게 설정된 촬영 대상 영역을 포커싱하여 촬영하도록 제1 카메라 모듈(2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portable device 200 generates three-dimensional position information of the front end of the main body 201 using the three-axis direction information of the front end of the main body 201 connected to the user's eye region in the second image, Can be set. The operation of the first camera module 210 can be controlled so as to focus and photograph the shooting target area.

이미지 촬영과 관련된 제1 카메라 모듈(210)의 동작은 상술한 이미지 촬영 동작 외에, 제1 카메라 모듈(210)의 온(on/off) 동작, 이미지 촬영 모드 설정 동작 및 이미지 촬영 기능 설정 동작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이미지 촬영과 관련된 다른 동작들이 더 포함될 수 있다. The operation of the first camera module 210 related to the image shooting may include an on / off operation of the first camera module 210, an image shooting mode setting operation, an image shooting function setting operation, and the like in addition to the image shooting operation described above . ≪ / RTI >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other operations related to image shooting may be further included.

한편, 휴대용 장치(200)는 본체(201)의 측면에 제3 카메라 모듈(203) 및 사용자 입력 버튼(20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portable device 200 may further include a third camera module 203 and a user input button 204 on a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201.

제3 카메라 모듈(203)은 본체(201)의 측면에서 제3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이는 제1 카메라 모듈(203)과는 다른 방향에서 이미지를 촬영하는 구성으로, 제3 카메라 모듈(230)은 제1 카메라 모듈(203)과 동시에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The third camera module 203 can take a third image from the side of the main body 201. [ The third camera module 230 may capture an image at the same time as the first camera module 203, and the third camera module 230 may capture an image at the same time as the first camera module 203.

사용자 입력 버튼(204)은 촬영 대상 영역의 촬영을 조작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버튼(204)이 사용자에 의해 터치되거나 눌러지면, 제1 카메라 모듈(210) 또는 제3 카메라 모듈(203)에 의해 촬영 대상 영역이 촬영될 수 있다. The user input button 204 may be a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the photographing of the photographing target area. When the user input button 204 is touched or touched by the user, the first camera module 210 or the third camera module 203 can photograph the region to be photographed.

제3 카메라 모듈(203) 및 사용자 입력 버튼(204)은 휴대용 장치(200)에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The third camera module 203 and the user input button 204 may be selectively included in the portable device 200. [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펜 타입의 휴대용 장치(200)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촬영할 경우, 사용자의 눈 영역의 이동 패턴 또는 본체(201) 전단의 움직임에 따라 이미지를 촬영하기 때문에, 이미지 촬영이 용이하다. When photographing an image using the pen type portable device 200 shown in Figs. 2A and 2B, since the image is taken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pattern of the eye region of the user or the front end of the main body 201, It is easy.

또한, 사용자가 촬영 대상 영역을 눈으로 설정하거나, 본체를 움직여 설정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카메라를 직접 조작하지 않고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으며, 특히, 줌(zoom) 버튼을 조작할 필요가 없다.
In addition, since the user can set the image pickup target area by eye or by moving the main body, the user can shoot the image without directly operating the camera, and in particular, there is no need to operate the zoom button.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펜 타입의 휴대용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en type portable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도 3을 참조하면, 휴대용 장치(300)는 펜 타입의 본체에 구비된 제1 카메라 모듈(310), 제2 카메라 모듈(320), 디스플레이부(330), 지자기 센서(340), 저장부(350), 사용자 입력부(360), 신호 출력부(370) 및 제어부(380)를 포함한다. 3, the portable device 300 includes a first camera module 310, a second camera module 320, a display unit 330, a geomagnetic sensor 340, a storage unit 350, a user input unit 360, a signal output unit 370, and a control unit 380.

제1 카메라 모듈(310)은 본체의 일 측에 구비되어 제1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The first camera module 31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so as to take a first image.

제2 카메라 모듈(320)은 본체의 타 측에 구비되어 제2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제1 카메라 모듈(310)과 제2 카메라 모듈(320)은 서로 반대되는 영역에 위치하는 것으로, 제1 카메라 모듈(310)은 볼펜팁 영역에 위치되고, 제2 카메라 모듈(320)은 볼펜캡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그러나, 제1 카메라 모듈(310)과 제2 카메라 모듈(320)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에서,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는 사진이나 동영상이 될 수 있다. The second camera module 320 may be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so as to take a second image. The first camera module 310 and the second camera module 320 are located in opposite regions of the first camera module 310 and the second camera module 320, Lt; / RTI > region. However, the positions of the first camera module 310 and the second camera module 320 are not limited thereto. In an embodiment,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may be photographs or moving images.

휴대용 장치(300)를 이용한 이미지 촬영시, 제1 카메라 모듈(310)은 촬영 대상이 위치한 방향을 향하고 제2 카메라 모듈(320)은 이미지를 촬영하는 사용자가 위치한 방향을 향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카메라 모듈(320)에 의해 촬영된 제2 이미지는 사용자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camera module 310 may be oriented toward the direction in which the image capturing object is located and the second camera module 320 may be oriented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image capturing user is located. Accordingly, the second image photographed by the second camera module 320 may include a user.

디스플레이부(330)는 롤링이 가능한 플렉시블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30)는 플렉시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가 될 수 있으며, 플렉시블한 특성을 갖는 다른 디스플레이가 될 수도 있다.The display unit 330 may have a flexible property capable of rolling. The display unit 330 may be a flexible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or may be another display having a flexible characteristic.

디스플레이부(330)는 본체의 일 측에 구비된 롤링 가이드 영역을 통해 인입 및 인출되고, 인입시 오프(off) 동작하며, 인출시 온(on) 동작하여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330 may be pulled in and out through a rolling guide area provid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turned off at the time of drawing, and turned on at the time of drawing to display an image.

디스플레이부(330)는 제1 카메라 모듈(310)에 의해 임시로 포커싱된 이미지, 제1 카메라 모듈(310)에 의해 촬영될 촬영 대상 영역에 대응하는 이미지, 제1 카메라 모듈(310)에 의해 촬영된 제1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330 displays an image temporarily focussed by the first camera module 310, an image corresponding to a region to be photographed by the first camera module 310, The second image may be at least one of the first images.

지자기 센서(340)는 본체의 움직임을 추적하여 3축 방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The geomagnetic sensor 340 can track the movement of the main body and generate three-axis direction information.

저장부(350)는 본체의 움직임에 따른 동작 패턴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복수의 동작 제어 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복수의 동작 제어 신호는, 이미지 촬영과 관련된 제1 카메라 모듈(3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로, 제1 카메라 모듈(310)의 온(on)/오프(off) 동작, 이미지 촬영 동작, 이미지 촬영 모드 설정 동작 및 이미지 촬영 기능 설정 동작 등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torage unit 350 may store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operation control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patterns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main body. The plurality of operation control signals are signal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camera module 310 related to image capturing and may include an on / off operation of the first camera module 310, An image shooting mode setting operation, an image shooting function setting operation, and the like.

일 예로, 본체의 움직임에 따른 동작 패턴이 숫자 "1"인 경우, 숫자 "1"에 대응하는 동작 제어 신호는 제1 카메라 모듈(310)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가 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operation patter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main body is the number "1", the operation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number "1" may be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on / off operation of the first camera module 310 .

다른 예로, 본체의 움직임에 따른 동작 패턴이 숫자 "11"인 경우, 숫자 "11"에 대응하는 동작 제어 신호는 제1 카메라 모듈(310)의 이미지 촬영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가 될 수 있다. 이 같이, 본체의 움직임에 따른 동작 패턴에 대응하는 복수의 동작 제어 신호는, 제조 업체에서 휴대용 장치(300)에 미리 저장해 놓은 것일 수 있으며, 또는 사용자가 자신의 취향에 맞게 저장해 놓은 것일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when the operation patter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main body is the number " 11 ", the operation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number " 11 " may be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image photographing operation of the first camera module 310. As described above, the plurality of operation control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main body may be stored in advance in the portable device 300 by the manufacturer, or may be stored in accordance with the user's taste.

사용자 입력부(360)는 이미지 촬영과 관련된 제1 카메라 모듈(310)의 동작을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신호는 제1 카메라 모듈(310)의 온(on)/오프(off) 동작, 이미지 촬영 동작, 이미지 촬영 모드 설정 동작 및 이미지 촬영 기능 설정 동작 등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이미지 촬영과 관련된 제1 카메라 모듈(310)의 동작은 본체의 움직임에 따른 동작 패턴에 따라 제어될 수 있으며, 사용자 입력 신호에 따라 제어될 수도 있다. The user input unit 360 may receive a user input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camera module 310 related to image capturing. The user input signal may include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on / off operation of the first camera module 310, the image photographing operation, the image photographing mode setting operation, and the image photographing function setting operation. That is, the operation of the first camera module 310 related to image capturing may be controlled according to an operation patter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main body, and may be controlled according to a user input signal.

신호 출력부(370)는 이미지 촬영과 관련된 제1 카메라 모듈(310)의 동작이 완료된 경우, 완료를 알리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카메라 모듈(310)의 온(on)/오프(off) 동작, 이미지 촬영 동작, 이미지 촬영 모드 설정 동작 및 이미지 촬영 기능 설정 동작 등이 완료된 경우, 신호 출력부(370)는 광 신호, 음성 신호 및 진동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여 해당 동작이 완료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The signal output unit 370 may output a signal indicating completion when the operation of the first camera module 310 related to image capturing is completed. Specifically, when the on / off operation of the first camera module 310, the image photographing operation, the image photographing mode setting operation, and the image photographing function setting operation are completed, the signal output unit 370 outputs the light A signal, a voice signal, and a vibration signal to inform the user that the corresponding operation is completed.

제어부(380)는 제2 카메라 모듈(320)에 의해 촬영된 제2 이미지를 이용하여 이미지 촬영과 관련된 제1 카메라 모듈(3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38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first camera module 310 related to image capturing using the second image captured by the second camera module 320. [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380)는 사용자가 포함된 제2 이미지로부터 사용자의 눈 영역을 검출하고, 검출된 눈 영역의 이동 패턴을 추적하여 촬영 대상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80)는 능동적 외양 모델(active appearance model) 또는 능동적 형태 모델(active shape model)을 이용하여 제2 이미지로부터 사용자의 눈 영역을 검출할 수 있다. 눈 영역이 검출되면, 제어부(380)는 눈 영역의 이동 패턴을 추정하여 해당 이동 패턴에 대응하는 영역을 촬영 대상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의 눈 영역이란, 눈가 내의 영역이 될 수도 있으며, 동공이 될 수도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380 can detect the eye region of the user from the second image including the user, track the movement pattern of the detected eye region, and set the shooting object region.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380 can detect the eye region of the user from the second image using an active appearance model or an active shape model. When the eye region is detected, the control unit 380 estimates the movement pattern of the eye region and can set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pattern as the region to be imaged. The eye area of the user may be an area in the eye area or a pupil area.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380)는 사용자가 포함된 제2 이미지로부터 사용자의 눈 영역을 검출하고, 이 사용자의 눈 영역과 제2 카메라 모듈(320) 간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사용자의 눈 영역과 제2 카메라 모듈(320) 간의 거리는 제2 카메라 모듈(320)이 사용자 눈 영역을 자동 포커싱(auto focusing)하는 방식으로 산출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control unit 380 can detect the eye region of the user from the second image in which the user is included, and calculate the distance between the eye region of the user and the second camera module 320. [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s eye area and the second camera module 320 can be calculated by the second camera module 320 in a manner of auto-focusing the user's eye area.

또는, 제2 카메라 모듈(320)이 깊이 카메라(depth camera)가 될 수 있다. 깊이 카메라는 적외선 센서를 통해 카메라로부터 물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여 제2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380)는 제2 이미지에서 사용자의 눈 영역을 검출하고, 이 눈 영역과 제2 카메라 모듈(320) 간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second camera module 320 may be a depth camera. The depth camera can generate the second image by measuring the distance from the camera to the object through the infrared sensor. The control unit 380 can detect the eye region of the user in the second image and calculate the distance between the eye region and the second camera module 320. [

상술한 방식들에 의해 눈 영역과 제2 카메라 모듈(320 간의 거리가 산출되면, 이 거리와, 제2 카메라 모듈(320)에서 제1 카메라 모듈(310)까지의 거리를 합산하여 눈 영역에서 제1 카메라 모듈(310), 즉, 눈 영역에서 본체 전단까지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eye area and the second camera module 320 is calculated by the above-described methods, this distance is calculated by summing the distance from the second camera module 320 to the first camera module 310, 1 camera module 310, that is, the distance from the eye area to the front end of the main body can be calculated.

제어부(380)는 눈 영역의 이동 패턴에 따라 눈 영역과 본체 전단까지의 거리를 지속적으로 추적하고, 본체 전단이 이동하여 형성된 영역을 촬영 대상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380 continuously tracks the distance from the eye region to the front end of the main body according to the movement pattern of the eye region, and sets the region formed by moving the front end of the main body to the region to be photographed.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380)는 제2 카메라 모듈(320)에 의해 촬영된 제2 이미지와 본체의 움직임에 기반하여 이미지 촬영과 관련된 제1 카메라 모듈(3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controller 38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first camera module 310 associated with the image capture based on the second image captured by the second camera module 320 and the movement of the body have.

제어부(380)는 제2 이미지로부터 사용자의 눈 영역이 검출된 경우, 눈 영역과 연결되는 본체 전단의 3축 방향 정보를 이용하여 본체 전단의 3차원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 3차원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촬영 대상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본체 전단은, 제1 카메라 모듈(310)이 위치한 영역으로, 볼펜팁이 될 수 있다. 따라서, 3차원 위치 정보는 볼펜팁의 움직임에 따른 위치 좌표를 포함할 수 있다. When the user's eye region is detected from the second image, the controller 380 can generate the three-dimensional position information of the front end of the main body using the three-axis direction information of the front end of the main body connected to the eye region, It is possible to set a shooting object area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The front end of the main body may be a ballpoint pen tip in the area where the first camera module 310 is located. Accordingly, the three-dimensional position information may include position coordinates according to movement of the ballpoint pen tip.

제어부(380)는 실시예들에 따라 촬영 대상 영역이 설정되면, 촬영 대상 영역을 포커싱하여 촬영하도록 제1 카메라 모듈(310)을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380 can control the first camera module 310 to focus and photograph the region to be photographed when the region to be photographed is set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한편, 제어부(380)는 제2 이미지로부터 사용자의 눈 영역이 미 검출된 경우, 본체의 움직임에 따른 3축 방향 정보를 이용하여 본체의 움직임에 따른 동작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380)는 해당 동작 패턴에 대응하는 동작 제어 신호를 저장부(350)로부터 검색하고, 검색된 동작 제어 신호에 따라 제1 카메라 모듈(3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Meanwhile, when the user's eye region is not detected from the second image, the controller 380 can generate an operation pattern according to the motion of the main body using the three-axis direc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motion of the main body. The control unit 380 may retrieve an operation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pattern from the storage unit 350 and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first camera module 310 according to the retrieved operation control signal.

제어부(380)는 지자기 센서(340)에 의해 본체의 움직임에 따른 2축 방향 정보가 생성된 경우, 2축 방향 정보를 이용하여 2차원 위치 정보를 생성하고, 2차원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33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지자기 센서(340)는 3차원 공간이 아닌, 2차원 평면에서 본체가 움직일 경우, 그에 대한 2축 방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같이 2차원 평면에서 본체가 움직이는 동안, 제1 카메라 모듈(310)에 의해 제1 이미지가 생성될 수 있다. When the geomagnetic sensor 340 generates the two-axis direc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motion of the main body, the control unit 380 generates two-dimensional position information using the two-axis direction information, Lt; / RTI > That is, the geomagnetic sensor 340 can generate biaxial direction information when the main body moves in a two-dimensional plane, not in a three-dimensional space. While the body is moving in this two-dimensional plane, a first image can be generated by the first camera module 310.

제어부(380)는 제1 이미지로부터 모션 벡터를 추출하고, 이 모션 벡터를 상기 2차원 위치 정보에 반영하여 디스플레이 하도록 디스플레이부(330)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휴대용 장치(300)를 이용하여 2차원 평면 상에 문자를 쓰거나 그림을 그릴 경우, 휴대용 장치(300)는 본체의 움직임과 제1 카메라 모듈(310)에 의해 촬영된 제1 이미지를 이용하여 문자나 그림을 인식할 수 있으며, 인식된 문자나 그림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380 may control the display unit 330 to extract a motion vector from the first image and to reflect the motion vector in the two-dimensional position information and display the motion vector. Accordingly, when the portable device 300 writes or draws a character on a two-dimensional plane, the portable device 300 uses the movement of the main body and the first image photographed by the first camera module 310 It can recognize characters or pictures, and can display recognized characters or pictures.

도 3에 도시된 휴대용 장치(300)는 펜의 기능과 이미지 촬영 기능을 포함하기 때문에, 필요한 경우 이미지 촬영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다. 펜의 기능에서 이미지 촬영 기능으로의 전환은 본체에 구비된 기능 전환 버튼이나 본체의 움직임에 따른 동작 패턴을 활용하여 실행시킬 수 있다. 또는, 펜의 기능과 이미지 촬영 기능을 동시에 실행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카메라나, 이미지 촬영 기능을 구비한 통신 기기를 휴대하지 않더라도, 펜 타입의 휴대용 장치(300)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Since the portable device 300 shown in Fig. 3 includes a pen function and an image capturing function, it is possible to execute an image capturing function if necessary. The switching from the pen function to the image photographing function can be executed by utilizing a function switching button provided in the main body or an operation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main body. Alternatively, the functions of the pen and the image shooting function may be executed simultaneously. Therefore, even if a camera or a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n image photographing function is not carried, an image can be taken using the pen type portable device 300. [

또한, 휴대용 장치(300)는 제2 이미지로부터 검출된 사용자의 눈 영역의 이동 패턴 또는 본체 전단의 움직임에 따라 이미지를 촬영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카메라를 직접 조작하지 않고도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특히, 본체를 움직여 이미지 촬영과 관련된 동작을 제어할 수 있어 이미지 촬영이 용이하다.
In addition, since the portable device 300 captures an image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pattern of the eye region of the user detected from the second image or the movement of the front end of the main body, the user can shoot the image without directly operating the camera. In particular, it is easy to take images by moving the main body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related to image shooting.

도 4는 펜 타입의 휴대용 장치를 이용한 이미지 촬영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4 is a view for explaining an image capturing method using a pen type portable apparatus.

휴대용 장치(400)는 본체 전단에 구비된 제1 카메라 모듈(420)을 포함하고, 본체 후단에 구비된 제2 카메라 모듈(410)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ortable device 400 may include a first camera module 420 provided at a front end of the main body and a second camera module 410 provided at a rear end of the main body.

휴대용 장치(400)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촬영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40)는 제1 카메라 모듈(420)이 촬영 대상이 위치한 방향으로 향하고, 제2 카메라 모듈(410)이 이미지를 촬영하는 사용자(40)가 위치한 방향으로 향하도록 휴대용 장치(400)를 잡을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40)는 제2 카메라 모듈(410)을 응시한 상태에서, 휴대용 장치(400)를 움직여 촬영 대상 영역을 그린다. 즉, "A" 영역을 촬영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40)는 휴대용 장치(400)를 이용하여 3차원 공간 상에서 "A" 영역에 대응하는 형태를 화살표 방향을 따라 그릴 수 있다. The user 40 is directed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camera module 420 is positioned and the user of the second camera module 410 captures images using the portable device 400. [ The portable device 400 can be positioned such that the portable device 400 faces the direction in which the portable device 400 is located. In this state, the user 40 moves the portable device 400 in a state of gazing at the second camera module 410 to draw a photographing target area. That is, when photographing the area " A ", the user 40 can draw shapes corresponding to the " A " area in the three-dimensional space along the arrow direction using the portable device 400. [

휴대용 장치(400)는 제2 카메라 모듈(410)에 의해 촬영된 제2 이미지로부터 사용자(40)의 눈 영역을 검출하고, 이 눈 영역의 이동 패턴을 추적하여 "A" 영역을 촬영 대상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The portable device 400 detects the eye region of the user 40 from the second image photographed by the second camera module 410 and tracks the movement pattern of the eye region so that the " A " Can be set.

또는, 휴대용 장치(400)는 사용자(40)의 눈 영역에서 본체 전단까지의 거리(l1+l2)를 산출하고, 눈 영역의 이동 패턴에 따라 눈 영역과 본체 전단까지의 거리를 지속적으로 추적하여 본체 전단이 이동하여 형성된 "A" 영역을 촬영 대상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portable device 400 may calculate the distance l 1 + l 2 from the eye area of the user 40 to the front end of the main body, and continuously adjust the distance from the eye area to the front end of the main body according to the movement pattern of the eye area Quot; A " formed by tracing the front end of the main body can be set as the photographing target area.

또는, 휴대용 장치(400)는 사용자(40)의 눈 영역과 연결되는 본체 전단의 3축 방향 정보를 이용하여 본체 전단의 3차원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 3차원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A" 영역을 촬영 대상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portable device 400 can generate the three-dimensional position information of the front end of the main body using the three-axis direction information of the front end of the main body connected to the eye area of the user 40, A " area can be set as a photographing target area.

만약, 휴대용 장치(400)는 "A" 영역이 아닌 "B" 영역을 촬영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40)는 제2 카메라 모듈(410)을 응시한 상태에서 휴대용 장치(400)를 움직여 촬영 대상 영역을 다시 그릴 수 있다. 이 동작에 의해 휴대용 장치(400)는 "B" 영역을 촬영 대상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If the portable device 400 wishes to photograph the area "B" rather than the area "A", the user 40 moves the portable device 400 in a state of gazing at the second camera module 410, You can redraw the area. By this operation, the portable device 400 can set the " B " area as the photographing target area.

휴대용 장치(400)는 촬영하고자 하는 영역을 그리는 것만으로 촬영 대상 영역을 설정할 수 있으며, 줌 기능을 실행할 수도 있다. The portable device 400 can set the shooting object area only by drawing the area to be photographed and execute the zoom function.

"A" 영역 또는 "B" 영역이 촬영 대상 영역으로 설정하는 것은, "A" 영역 또는 "B" 영역에 대응하는 형태를 화살표 방향을 따라 그리는 방법 외에 각 꼭짓점을 찍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B" 영역에서 각 꼭짓점에 해당하는 a, b, c, d 지점들을 찍을 수 있다. 이 방법을 이용할 경우, 휴대용 장치(400)는 a, b, c, d 지점들을 연결하여 형성된 "B" 영역을 촬영 대상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The "A" area or the "B" area is set as the photographing object area, in which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A" area or the "B" area is drawn along the arrow direction. For example, you can take a, b, c, and d points that correspond to each vertex in the "B" area. When this method is used, the portable device 400 can set the area " B " formed by connecting the points a, b, c, and d to the area to be photographed.

한편, "A" 영역 또는 "B" 영역이 촬영 대상 영역으로 설정된 후,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거나 휴대용 장치(400)를 특정 동작 패턴으로 움직인 경우, 휴대용 장치(400)는 해당 촬영 대상 영역을 촬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 장치(400)를 이용하여 "A" 영역 또는 "B" 영역을 그린 후, 숫자 "11"에 대응하는 동작 패턴이 인식될 경우, 휴대용 장치(400)는 숫자 "11"에 대응하여 이미지 촬영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the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elapses after the " A " area or the " B " area is set as the photographing target area, or if the portable device 400 moves in a specific operation pattern, You can shoot. For example, when an operation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number " 11 " is recognized after the "A" area or the "B" area is drawn using the portable device 400, the portable device 400 displays the number "11" The image captur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correspondingly.

이 외에도, 촬영 대상 영역을 촬영하기 전에, 사용자는 휴대용 장치(400)를 움직여 다양한 동작 패턴을 그릴 수 있다. 휴대용 장치(400)는 본체의 움직임에 따른 동작 패턴을 인식하여 제1 카메라 모듈(420)의 온(on)/오프(off) 동작, 이미지 촬영 모드 설정 동작 및 이미지 촬영 기능 설정 동작 등을 실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to this, before taking a photographing target area, the user can move the portable device 400 to draw various operation patterns. The portable device 400 recognizes the operation patter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main body and can perform an on / off operation of the first camera module 420, an image photographing mode setting operation and an image photographing function setting operation have.

이미지 촬영 모드 설정 동작은 사진 촬영 모드, 동영상 촬영 모드, 연속 촬영 모드, 3차원 촬영 모드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미지 촬영 기능 설정 동작은 플래쉬(flash) 온/오프 기능, 사진 효과 기능 등이 포함될 수 있다. The image shooting mode setting operation may include a photo shooting mode, a moving image shooting mode, a continuous shooting mode, a three-dimensional shooting mode, and the image shooting function setting operation may include a flash on / off function, have.

이미지 촬영과 관련된 제1 카메라 모듈(420)의 동작이 완료되면, 휴대용 장치(400)는 광 신호, 음성 신호 및 진동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여 해당 동작이 완료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When the operation of the first camera module 420 related to image capturing is completed, the portable device 400 may output at least one of an optical signal, a voice signal, and a vibration signal to notify the user that the corresponding operation is completed.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안경 타입의 휴대용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5 is a view showing a portable device of the glasses typ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도 5에 도시된 안경 타입의 휴대용 장치(500)는 안경 기능과 이미지 촬영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ortable device 500 of the glasses type shown in Fig. 5 may include a glasses function and an image photographing function.

휴대용 장치(500)는 안경 렌즈 타입의 디스플레이부(520)를 포함하는 안경테(510)을 포함하고, 안경테(510)의 외측에 구비되어 이미지를 촬영하는 제1 카메라 모듈(530)을 포함하며, 안경테(510) 내에 내장되거나 안경테(510)의 일 부분에 부착된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ortable device 500 includes a first camera module 530 that includes an eyeglass frame 510 including a display unit 520 of a spectacle lens type and is provided outside the eyeglass frame 510 to photograph an image, (Not shown) built into the frame 510 or attached to a portion of the frame 510.

디스플레이부(520)는 안경 기능과 이미지 촬영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투명한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및 투명한 LCD(Liquid Crystal Display)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display unit 520 functions as a spectacle function and displays an image at the time of image capturing, and may be formed of any one of a transparent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nd a transparent LCD (Liquid Crystal Display).

제1 카메라 모듈(510)은 안경테(510)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camera module 510 may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spectacle frames 510.

제어부는 사용자의 손 동작을 검출하여 손 동작에 따라 제1 카메라 모듈(53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의 손 동작이란, 손의 움직임이나 손의 자세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는 제1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되는 이미지에서 사용자의 손 동작을 검출하여 제1 카메라 모듈(53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can detect the hand motion of the user and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first camera module 530 according to the hand motion. The user's hand motion may include hand motion or hand posture. Therefore, the control unit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first camera module 530 by detecting the user's hand motion in the image taken by the first camera module.

도 5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휴대용 장치(500)는 안경테(510)의 내측에 구비되어 사용자를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카메라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제2 카메라 모듈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눈 영역의 이동 패턴에 따라 제1 카메라 모듈(53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in FIG. 5, the portable device 500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second camera module provided inside the spectacle frame 510 to photograph a user. The operation of the first camera module 530 can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movement pattern of the eye region of the user by using the second camera module.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안경 타입의 휴대용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휴대용 장치(600)는 안경테에 구비된 제1 카메라 모듈(610), 제2 카메라 모듈(620), 저장부(630), 디스플레이부(640), 신호 출력부(650) 및 제어부(660)를 포함한다.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portable device of the eyeglass typ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6, the portable device 600 includes a first camera module 610, a second camera module 620, a storage unit 630, a display unit 640, a signal output unit 650, And a control unit 660.

제1 카메라 모듈(610)은 안경테의 외측에 구비되어 이미지를 촬영하는 것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The first camera module 610 is provided outside the spectacle frame to capture an image, and at least one of the first camera module 610 and the second camera module 610 may be provided.

제2 카메라 모듈(620)은 안경테의 내측에 구비되어 사용자를 촬영하는 것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The second camera module 620 is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spectacle frame to photograph a user, and at least one or more of them may be provided.

저장부(630)는 복수의 손 동작에 따른 동작 패턴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복수의 동작 제어 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복수의 동작 제어 신호는, 이미지 촬영과 관련된 제1 카메라 모듈(6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로, 제1 카메라 모듈(610)의 온(on)/오프(off) 동작, 이미지 촬영 동작, 이미지 촬영 모드 설정 동작 및 이미지 촬영 기능 설정 동작 등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torage unit 630 may store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operation control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patterns according to the plurality of hand movements. The plurality of operation control signals are signal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camera module 610 related to image capturing and may include an on / off operation of the first camera module 610, An image shooting mode setting operation, an image shooting function setting operation, and the like.

디스플레이부(640)은 안경 렌즈 타입으로 안경테에 고정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640 may be fixed to the spectacle frame in the form of a spectacle lens.

디스플레이부(640)는 안경 기능과 이미지 촬영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투명한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및 투명한 LCD(Liquid Crystal Display)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display unit 640 displays a function of glasses and an image at the time of image capturing, and may be formed of any one of transparent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nd transparent LCD (Liquid Crystal Display).

디스플레이부(640)는 제1 카메라 모듈(610)에 의해 임시로 포커싱된 이미지, 제1 카메라 모듈(610)에 의해 촬영될 촬영 대상 영역에 대응하는 이미지 및 제1 카메라 모듈(610)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 등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640 displays images temporarily focussed by the first camera module 610, images corresponding to the region to be photographed by the first camera module 610, and images photographed by the first camera module 610 And the like can be displayed.

신호 출력부(650)는 이미지 촬영과 관련된 제1 카메라 모듈(610)의 동작이 완료된 경우, 광 신호, 음성 신호 및 진동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할 수 있다.The signal output unit 650 may output at least one of an optical signal, a voice signal, and a vibration signal when the operation of the first camera module 610 related to image capturing is completed.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660)는 사용자의 손 동작을 검출하여 손 동작에 따라 제1 카메라 모듈(6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660)는 제1 카메라 모듈(610)에 의해 임시로 포커싱된 이미지에서 사용자의 손 동작을 검출하고, 검출된 손 동작에 대응하는 형태에 따라 촬영 대상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controller 660 can detect the user's hand motion and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first camera module 610 according to the hand motion.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660 may detect the user's hand motion in the temporarily focused image by the first camera module 610, and may set the shooting target region according to the shape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hand motion.

예를 들어, 이미지로부터 검출된 손 동작이 사각 형태에 대응하는 경우, 해당 사각 형태를 촬영 대상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hand motion detected from the image corresponds to a rectangular shape, the rectangular shape can be set as a shooting object area.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660)는 제1 카메라 모듈(610)에 의해 임시로 포커싱된 이미지에서 사용자의 손 동작이 미 검출된 경우, 제2 카메라 모듈(620)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로부터 사용자의 눈 영역을 검출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제어부(660)는 검출된 눈 영역의 이동 패턴을 추적하여 촬영 대상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when the user's hand motion is not detected in the image temporarily focussed by the first camera module 610, the control unit 66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second camera module 620 from the image captured by the second camera module 620,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eye region of the eye. In this embodiment, the control unit 660 can track the movement pattern of the detected eye region and set the shooting object region.

제어부(660)는 실시예들에 따라 촬영 대상 영역이 설정되면, 촬영 대상 영역을 포커싱하여 촬영하도록 제1 카메라 모듈(610)을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660 can control the first camera module 610 to focus and photograph the region to be photographed when the region to be photographed is set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한편, 제어부(660)는 제1 카메라 모듈(610)에 의해 임시로 포커싱된 이미지에서 손 동작을 검출하여 제1 카메라 모듈(6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Meanwhile, the controller 66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first camera module 610 by detecting a hand motion in an image temporarily focused by the first camera module 610. [

만약, 이미지에서 검출된 손 동작이 어떠한 형태를 이루는 것이 아닌 경우, 해당 손 동작에 따른 동작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660)는 이 동작 패턴에 대응하는 동작 제어 신호를 저장부(630)로부터 검색하고, 검색된 동작 제어 신호에 따라 제1 카메라 모듈(6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If the hand motion detected in the image does not form any form, an operation pattern according to the hand motion can be generated. The control unit 660 searches the storage unit 630 for an operation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pattern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first camera module 610 according to the retrieved operation control signal.

이미지 촬영과 관련된 제1 카메라 모듈(610)의 동작이 완료되면, 휴대용 장치(600)는 광 신호, 음성 신호 및 진동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여 해당 동작이 완료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When the operation of the first camera module 610 related to image capturing is completed, the portable device 600 can output at least one of an optical signal, a voice signal, and a vibration signal to notify the user that the corresponding operation is completed.

도 6에 도시된 휴대용 장치(600)는 안경 기능과 이미지 촬영 기능을 포함하기 때문에, 필요한 경우 이미지 촬영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나, 이미지 촬영 기능을 구비한 통신 기기를 휴대하지 않더라도, 안경 타입의 휴대용 장치(600)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Since the portable device 600 shown in Fig. 6 includes a glasses function and an image photographing function, the image photographing function can be executed if necessary. Therefore, even if the camera or th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the image photographing function is not carried, the image can be taken using the portable device 600 of the eyeglass type.

도 7은 안경 타입의 휴대용 장치를 이용한 이미지 촬영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image capturing method using a portable device of the glasses type.

안경 타입의 휴대용 장치(700)는 안경 기능과 함께 이미지 촬영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The portable device 700 of the eyeglass type can perform the image photographing function together with the glasses function.

사용자(71)가 휴대용 장치(700)를 착용한 상태에서 손(72)을 움직여 촬영 대상 영역을 그릴 경우, 안경테에 구비된 제1 카메라 모듈은 임시로 포커싱된 이미지에서 손(72) 동작을 검출할 수 있다. 즉, "C" 영역을 촬영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71)는 손가락으로 "C" 영역에 대응하는 형태를 화살표 방향을 따라 그릴 수 있다. 사용자(71)가 이 동작을 수행하는 동안 제1 카메라 모듈은 임시로 포커싱된 이미지에서 손(72) 동작을 검출하고, 손(72) 동작에 대응하는 사각 형태를 촬영 대상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When the user 71 moves the hand 72 in a state where the portable device 700 is worn to draw a region to be photographed, the first camera module provided in the spectacle frame detects the motion of the hand 72 in the temporarily focused image can do. That is, when photographing the area " C ", the user 71 can draw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area " C " While the user 71 performs this operation, the first camera module can detect the hand 72 motion in the temporarily focused image and set the square shape corresponding to the hand 72 motion as the shooting object area.

휴대용 장치(700)는 "C" 영역을 포커싱하여 촬영할 수 있다. 만약, 줌 기능을 적용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71)는 "C" 영역보다 작은 영역을 손가락으로 그리거나, "C" 영역보다 큰 영역을 손가락으로 그릴 수 있다. The portable device 700 can focus and photograph the " C " area. If the zoom function is to be applied, the user 71 can draw an area smaller than the " C " area with a finger, or draw an area larger than the " C "

또한, 도면을 통해 도시하고 있지 않으나, 촬영하고자 하는 영역을 손가락으로 그리는 것 외에, 손(72)을 이용하여 원 형태, 사각 형태, 삼각 형태 등의 자세를 취할 경우, 휴대용 장치(700)는 손(72)의 자세가 이루는 형태를 인식하고, 해당 형태에 포함되는 영역을 촬영 대상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when taking an attitude such as a circular shape, a square shape, or a triangular shape using the hand 72 in addition to drawing a region to be photographed with a finger,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e shape of the posture of the camera 72 and set the area included in the shape as the photographing object area.

한편, "C" 영역이 촬영 대상 영역으로 설정된 후,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거나 특정 동작 패턴을 갖는 손(72) 동작이 검출된 경우, 휴대용 장치(700)는 해당 촬영 대상 영역을 촬영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elapses after the " C " area is set as the shooting object area, or when the operation of the hand 72 having the specific operation pattern is detected, the portable device 700 can shoot the shooting object area.

이 외에도, 촬영 대상 영역을 촬영하기 전에, 사용자(71)는 특정 동작 패턴을 갖는 손(72) 동작을 하여 이미지 촬영과 관련된 제1 카메라 모듈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before photographing the area to be photographed, the user 71 may operate the hand 72 having a specific operation pattern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first camera module related to the image photographing.

사용자(71)는 안경 타입의 휴대용 장치(700)를 착용한 상태에서 촬영하고자 하는 영역을 손(72)으로 그리거나 자세를 취하는 것만으로 촬영 대상 영역을 설정할 수 있으며, 줌 기능을 실행할 수도 있다. 따라서, 카메라를 휴대하지 않아도 안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으며, 이미지 촬영을 위한 조작이 단순하다.
The user 71 can set the photographing target area by simply drawing or attaining the area to be photographed with the hand 72 in the state wearing the glasses type portable device 700 and execute the zoom function. Therefore, even if the camera is not carried, the image can be taken using the glasses, and the operation for image shooting is simple.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For exampl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chniques described may b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than the described methods, and / or that components of the described systems, structures, devices, circuits, Lt; / RTI > or equivalents, even if it is replaced or replaced. 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equivalents to the claims are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300 : 휴대용 장치
310: 제1 카메라 모듈 320: 제2 카메라 모듈
330: 디스플레이부 340: 지자기 센서
350: 저장부 360: 사용자 입력부
370: 신호 출력부 380: 제어부
300: Portable device
310: first camera module 320: second camera module
330: display unit 340: geomagnetic sensor
350: storage unit 360: user input unit
370: Signal output unit 380:

Claims (22)

휴대용 장치에 있어서,
본체의 일 측에 구비되어 제1 이미지를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카메라 모듈;
상기 본체의 움직임에 따른 3축 방향 정보를 생성하는 지자기 센서; 및
상기 본체의 전단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촬영 대상 영역을 그리는 움직임을 검출하면, 상기 촬영 대상 영역을 그리는 움직임에 따른 상기 촬영 대상 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제1 이미지의 촬영과 관련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카메라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휴대용 장치.
In a portable device,
At least one first camera modul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to photograph a first image;
A geomagnetic sensor for generating three-axis direc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movement of the main body; And
Wherein the control unit sets the shooting object area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drawing the shooting object area when the movement of the front end of the main body is sensed to detect movement of drawing the shooting object area,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amera module
. ≪ / RTI >
제1항에 있어서,
펜(pen) 타입의 상기 본체에 구비되고, 롤링(rolling)이 가능한 플렉시블(flexible)한 디스플레이부
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lexible display portion provided on the pen type main body and capable of rolling,
Further comprising: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타 측에 구비되어 제2 이미지를 촬영하는 제2 카메라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된 상기 제2 이미지로부터 사용자의 눈 영역을 검출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카메라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휴대용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And a second camera module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to photograph a second image,
Wherein,
And detects the eye region of the user from the second image captured by the second camera module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at least one first camera modul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이미지로부터 사용자의 눈 영역이 검출된 경우, 상기 눈 영역과 연결되는 상기 본체 전단의 상기 3축 방향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본체 전단의 3차원 위치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3차원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촬영 대상 영역을 설정하며, 상기 촬영 대상 영역을 포커싱하여 촬영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카메라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휴대용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Dimensional position information on the front end of the main body using the three-axis direction information on the front end of the main body connected to the eye region when the user's eye region is detected from the second image,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at least one first camera module to focus and photograph the region to be photograph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움직임에 따른 동작 패턴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복수의 동작 제어 신호가 저장된 저장부
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torage unit for storing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operation control signals corresponding to an operation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main body,
The portable device further comprising: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3축 방향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본체의 움직임에 따른 동작 패턴을 생성하고, 상기 동작 패턴에 대응하는 동작 제어 신호를 상기 저장부로부터 검색하며, 상기 동작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카메라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휴대용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xis direction information to generate an operation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main body, to retrieve an operation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pattern from the storage section, and to control the at least one first camera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modul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자기 센서에 의해 2축 방향 정보가 생성된 경우, 상기 2축 방향 정보를 이용하여 2차원 위치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2차원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휴대용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Dimensional position information by using the biaxial orientation information when the geomagnetic sensor generates the biaxial orientation information, and controls the display unit to display the two-dimensional position informa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본체의 일 측에 구비된 롤링 가이드 영역을 통해 인입 및 인출되고, 상기 인입시 오프(off) 동작하고, 상기 인출시 온(on) 동작하여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휴대용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display unit includes:
And is pulled in and out through a rolling guide region provid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is operated to be turned off at the time of pull-in, and is turned on when pulled out to display an imag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1 카메라 모듈에 의해 임시로 포커싱된 이미지, 상기 제1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될 촬영 대상 영역에 대응하는 이미지 및 상기 제1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된 제1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하는, 휴대용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display unit includes:
Wherein the portable terminal displays at least one of an image temporarily focussed by the first camera module, an image corresponding to a region to be photographed by the first camera module, and a first image photographed by the first camera module,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촬영과 관련된 상기 제1 카메라 모듈의 동작이 완료된 경우, 광 신호, 음성 신호 및 진동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신호 출력부
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ignal output unit for outputting at least one of an optical signal, a voice signal, and a vibration signal when the operation of the first camera module related to the image photographing is completed,
Further compri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카메라 모듈의 동작은,
상기 제1 카메라 모듈의 온(on)/오프(off) 동작, 이미지 촬영 동작, 이미지 촬영 모드 설정 동작 및 이미지 촬영 기능 설정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휴대용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peration of the first camera module comprises:
Wherein the first camera module includes at least one of an on / off operation of the first camera module, an image photographing operation, an image photographing mode setting operation, and an image photographing function setting operation.
휴대용 장치에 있어서,
본체의 일 측에 구비되어 제1 이미지를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카메라 모듈;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카메라 모듈에 의해 임시로 포커싱된 이미지에서 사용자의 손 동작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손 동작에 대응하는 형태에 따라 촬영 대상 영역을 설정하며, 상기 촬영 대상 영역을 포커싱하여 촬영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카메라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휴대용 장치.
In a portable device,
At least one first camera modul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to photograph a first image;
Detecting a user's hand motion in an image temporarily focussed by the at least one first camera module, setting a shooting target area according to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hand motion, focusing the shooting target area,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operations of the at least one first camera module
. ≪ / RTI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안경테 타입의 상기 본체에 구비된 안경 렌즈 타입의 디스플레이부
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A spectacle-lens-type display unit
The portable device further comprising: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손 동작을 검출하여 상기 손 동작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카메라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휴대용 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at least one first camera module according to the hand operation by detecting the hand operation of the user.
제16항에 있어서,
복수의 손 동작에 따른 동작 패턴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복수의 동작 제어 신호가 저장된 저장부
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장치.
17. The method of claim 16,
A storage unit for storing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operation control signals corresponding to an operation pattern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hand movements,
Further comprising: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카메라 모듈에 의해 임시로 포커싱된 이미지에서 상기 손 동작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손 동작에 따른 동작 패턴을 생성하며, 상기 저장부로부터 상기 동작 패턴에 대응하는 동작 제어 신호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동작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카메라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휴대용 장치.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Wherein the control unit detects the hand motion in an image temporarily focused by the at least one first camera module, generates an operation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hand motion, and outputs an operation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pattern from the storage unit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at least one first camera module according to the retrieved operation control signal.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카메라 모듈에 의해 임시로 포커싱된 이미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될 촬영 대상 영역에 대응하는 이미지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하는, 휴대용 장치.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display unit includes:
An image that is temporarily focused by the at least one first camera module, an image corresponding to a shooting object area to be shot by the at least one first camera module, and an image that is captured by the at least one first camera module Lt; RTI ID = 0.0 > 1, < / RTI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투명한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및 투명한 LCD(Liquid Crystal Display)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휴대용 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display unit includes:
A transparent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nd a transparent LCD (Liquid Crystal Display).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테의 내측에 구비되어 사용자를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카메라 모듈
을 더 포함하는, 휴대용 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At least one second camera module provided inside the spectacle frame for photographing a user,
Further comprising: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손 동작이 미 검출된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로부터 사용자의 눈 영역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눈 영역의 이동 패턴을 추적하여 촬영 대상 영역을 설정하며, 상기 실체 촬영 영역을 포커싱하여 촬영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카메라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휴대용 장치.
22. The method of claim 21,
Wherein,
A user's eye region is detected from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at least one second camera module when the user's hand motion is not detected and the movement pattern of the detected eye region is tracked to set a shooting object region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at least one first camera module to focus and photograph the actual photographing area .
KR1020120129005A 2012-11-14 2012-11-14 Portable apparatus for photographing image KR10192031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9005A KR101920319B1 (en) 2012-11-14 2012-11-14 Portable apparatus for photographing im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9005A KR101920319B1 (en) 2012-11-14 2012-11-14 Portable apparatus for photographing ima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2350A KR20140062350A (en) 2014-05-23
KR101920319B1 true KR101920319B1 (en) 2018-11-20

Family

ID=50890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9005A KR101920319B1 (en) 2012-11-14 2012-11-14 Portable apparatus for photographing imag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0319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06584A (en) * 2008-02-26 2009-09-10 Nikon Corp Camera system
KR100949743B1 (en) * 2009-03-20 2010-03-25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method for wearable eye tracking having goggle type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06584A (en) * 2008-02-26 2009-09-10 Nikon Corp Camera system
KR100949743B1 (en) * 2009-03-20 2010-03-25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method for wearable eye tracking having goggle typ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2350A (en) 2014-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506249B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KR102316327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180173300A1 (en) Interactive virtual objects in mixed reality environments
US10477090B2 (en) Wearable device,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WO2016016984A1 (en) Image pickup device and tracking method for subject thereof
US20150009103A1 (en) Wearable Display, Computer-Readable Medium Storing Program and Method for Receiving Gesture Input
US9916771B2 (en) Portable vision aid with motion pan
JP5885395B2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image data recording method
JP2019164420A (en) Transmission type head-mounted display device, control method of transmission type head-mounted display device, and computer program for control of transmission type head-mounted display device
US20120069157A1 (en) Display apparatus
KR20180004112A (en) Eyeglass typ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920319B1 (en) Portable apparatus for photographing image
US10176726B2 (en) Handheld, portable vision aid device and vision aid system
US20230333677A1 (en) Optical stylus for optical position determination device
KR20160055407A (en) Holography touch method and Projector touch method
KR100651206B1 (en) System and method for picture-taking of cellular phone using the face recognition algorithm
KR101724754B1 (en) A imaging system of the vehicle around image using the motion recognition
KR20160149945A (en) Mobile terminal
JP2008083078A (en) Camera
JP6700770B2 (en) Display device, control method thereof, and control program
JP6307860B2 (en) Imaging apparatus, imaging method, and program
JP2022113973A (en) Display method, display device, and program
JP2018102009A (en) Imaging apparatus, imaging control apparatus, imaging method, imaging control method, and program
KR20160080107A (en) Holography touch method and Projector touch method
KR20160002620U (en) Holography touch method and Projector touch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