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0079B1 - 탄약통을 배출시키기 위한 시스템 - Google Patents

탄약통을 배출시키기 위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0079B1
KR101920079B1 KR1020110060536A KR20110060536A KR101920079B1 KR 101920079 B1 KR101920079 B1 KR 101920079B1 KR 1020110060536 A KR1020110060536 A KR 1020110060536A KR 20110060536 A KR20110060536 A KR 20110060536A KR 101920079 B1 KR101920079 B1 KR 1019200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cartridges
discharge
ammunition
ammunition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0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9153A (ko
Inventor
안드레아 치아피니
안드레아 브러쉬
Original Assignee
오토 메라라 에스 피 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토 메라라 에스 피 에이 filed Critical 오토 메라라 에스 피 에이
Publication of KR20110139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91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00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00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9/00Feeding or loading of ammunition; Magazines; Guiding means for the extracting of cartridges
    • F41A9/54Cartridge guides, stops or positioners, e.g. for cartridge extraction
    • F41A9/56Movable guiding means
    • F41A9/57Flexible chutes, e.g. for guiding belted ammunition from the magazine to the gu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9/00Feeding or loading of ammunition; Magazines; Guiding means for the extracting of cartridges
    • F41A9/01Feeding of unbelted ammunition
    • F41A9/06Feeding of unbelted ammunition using cyclically moving conveyors, i.e. conveyors having ammunition pusher or carrier elements which are emptied or disengaged from the ammunition during the return stroke
    • F41A9/09Movable ammunition carriers or loading trays, e.g. for feeding from magazines
    • F41A9/10Movable ammunition carriers or loading trays, e.g. for feeding from magazines pivoting or swinging
    • F41A9/13Movable ammunition carriers or loading trays, e.g. for feeding from magazines pivoting or swinging in a vertical plane
    • F41A9/14Movable ammunition carriers or loading trays, e.g. for feeding from magazines pivoting or swinging in a vertical plane which is transverse to the barre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9/00Feeding or loading of ammunition; Magazines; Guiding means for the extracting of cartridges
    • F41A9/29Feeding of belted ammunition
    • F41A9/32Reciprocating-slide-type belt transporters
    • F41A9/33Reciprocating-slide-type belt transporters with cartridge stripp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9/00Feeding or loading of ammunition; Magazines; Guiding means for the extracting of cartridges
    • F41A9/38Loading arrangements, i.e. for bringing the ammunition into the firing position
    • F41A9/39Ramm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9/00Feeding or loading of ammunition; Magazines; Guiding means for the extracting of cartridges
    • F41A9/54Cartridge guides, stops or positioners, e.g. for cartridge extr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9/00Feeding or loading of ammunition; Magazines; Guiding means for the extracting of cartridges
    • F41A9/54Cartridge guides, stops or positioners, e.g. for cartridge extraction
    • F41A9/56Movable guid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rtable Nailing Machines And Staplers (AREA)
  • Toys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 Chemical And Physical Treatments For Wood And The Like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Abstract


화기(1)에 제공된 탄약통을 배출시키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상기 화기는 포미(14) 및 발사 챔버(12)를 포함하고, 상기 발사 챔버 내에서 포신(13)을 통해 빠져나가는 발사체가 발사되고, 배출 시스템은 탄약이 폭발된 후 탄약통을 수용하기 위한 배출 트레이(2) 및 상기 트레이(2)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기구(3)를 포함하고, 이동 기구(3)는 탄약통이 수용되는 제 1 위치로부터 탄약통이 배출 기구(5)에 의해 배출되는 제 2 위치로, 그리고 역으로 이동되도록 사전에 정해지고 적절한 속도로 화기(1)의 탄약통(13)의 축에 대해 평행한 축(X) 주위에서 배출 트레이(2)를 회전시킨다.

Description

탄약통을 배출시키기 위한 시스템{SYSTEM FOR EVACUATING CARTRIDGES}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 탄약이 폭발된 후 탄약통을 배출하기 위한 시스템의 방향으로 화기, 통상적으로 캐넌포의 약실 또는 발사 챔버로부터 탄약통을 배출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탄약은 실질적으로 탄약을 폭발시키기 위한 화약을 수용하는 탄약통과 화기에 의해 표적을 향하여 발사되는 발사체로 구성된다.
이러한 발사체는 "지능적"일 수 있으며, 즉 발사된 이후 추진체의 방향을 변화시킬 수 있는 표적 식별 및 타겟팅 시스템을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탄약통을 배출시키기 위한 시스템은 탄약이 폭발된 후 탄약통을 수용하기에 적합한 배출 트레이를 포함한다.
이러한 트레이는 통상적으로 탄약통을 수용할 수 있도록 화기의 포신에 대한 축 내에 위치된다.
따라서, 이러한 트레이는 이동 기구를 통하여 이동되고, 이에 따라 탄약통은 확실하게 배출될 수 있다.
이러한 이동 시스템은 화기의 발사 빈도를 줄이기 위해 통상적으로 감속되고, 또한 이동 시스템은 불안정한 상태이며, 이는 특히 중대한 상태에서 예를 들어 6 초과의 해군의 상태에서 선박에 적용 시 종종 이의 임무를 수행할 수 없기 때문에 전체 화기의 작동을 방해하는 위험성이 있다.
게다가, 통상적으로 탄약통을 배출시키기 위한 이러한 기구는 예를 들어 이동 기구가 오작동 시 장전 기구와 이동 기구 사이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안전 시스템이 제공되지 못한다.
본 발명은 심지어 극단적인 상태에서도 탄약통이 항시 발사 챔버에 의해 배출될 수 있도록, 안정적으로 탄약통을 배출시키는 시스템을 제조함으로써 이러한 기술적인 단점을 극복하는 것을 제안한다.
게다가, 이러한 시스템은 부품들의 오작동의 경우 다양한 기구들 간에 충돌 및 사고의 가능성을 줄여준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화기 자체가 발사되는 빈도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시간을 촉진시킬 수 있는 화기 내의 탄약통을 배출시키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양태는 화기 내에 제공된 다양한 기구 또는 시스템과 배출 시스템 간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탄약통을 배출시키기 위한 이러한 시스템의 특징과 장점은 첨부된 도면에 따른 실시예의 하기 기술 내용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탄약통을 배출시키기 위한 시스템이 제공된, 화기의 구조물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시스템을 상세히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트레이의 이동 기구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이동 시 시스템이 점유할 수 있는 위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화기 상의 위치"B"에서 시스템의 배면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르는 제동 장치(도 6B)와 탄약통-보유 장치(도 6A)를 각각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트레이가 위치"C"에 있는 상태에서 카트리지를 배출시키기 위한 기구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트레이가 위치"C"에 있는 상태에서 카트리지를 배출시키기 위한 시스템의 배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르는 트레이의 배면도.
전술된 도면을 참조하면, 탄약통(cartridge)을 배출하기 위한 시스템은 전형적으로 포미(breech, 14), 발사체가 발사되고 포신(barrel, 13)으로부터 빠져나가는 발사 챔버(12)를 포함한 화기(firearm, 1)에 적용된다. 박스-형 보호 구조물(11) 내에 둘러싸인 이러한 배출 시스템은 탄약의 폭발 이후에 탄약통을 수용하기에 적합한 배출 트레이(evacuation tray, 2)와 이러한 트레이(2)를 이동시키기에 적합한 이동 기구(3)를 포함한다.
탄약통을 배출시키기 위한 이러한 시스템은, 이동 기구(3)가 복동 기구(double acting mechanism)이고, 즉 탄약통을 최종적으로 배출시키고 그 뒤 복귀시키는 배출 기구(expulsion mechanism, 5)에 도달되도록 화기(1)의 포신의 축에 대해 평행한 축 "X" 주위에서 트레이(2)가 회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러한 회전에 따라 탄약통을 배출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장전 기구(loading mechanism)에 의하여 발사 챔버(12) 내에 탄약이 장전될 수 있다.
탄약통을 배출시키기 위한 이러한 시스템은 이동 기구(3)가 오작동 시 트레이(2)를 이동시키기에 적합한 안전 기구(safety mechanism)를 추가로 포함한다.
이러한 안전 기구는 새로운 탄약을 발사 챔버(12) 내로 넣기에 적합한 장전 기구와 트레이(2)와의 충돌 시에 손상의 발생을 방지시킨다.
트레이(2)는 바람직하게 원형이며, 화기(1)로부터 탄약통을 수용하기 위한 치수를 가지며, 축"X" 주위에서 회전하는 동안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가지의 상이한 위치를 점유할 수 있다.
위치"A"에서, 트레이(2)는 탄약통의 수용할 준비가 되도록 화기(1)의 포신(13)의 축과 정렬된다.
안전 위치로서 정의된 위치"B"는 이동 기구(3)가 오작동되는 경우에 트레이(2)가 점유할 수 있는 위치이다.
상기 위치"B"도 또한 위치"A"로 복귀되기 전의 중간 위치이다.
위치"C"는 탄약통이 제거되어야 할 때 배출 기구(5)에 의해 수용되는 트레이(2)가 점유할 수 있는 위치이다.
탄약통이 제거되면, 트레이(2)는 추가 탄약통을 수용하도록 위치"A"로 복귀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위치"C"로부터 위치"A"로 이동될 때, 트레이(2)는 예를 들어 연계된 부품들 간의 충돌의 가능성을 배제하기 위해 장전 기구는 이의 작동이 종료되지 않은 경우 위치"B"에서 중지되며, 그 뒤 장전 기구가 분리되면 위치"A"로 복귀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트레이(2)의 회전 운동은 핀(111)에 힌지연결된 트레이(2) 내에 포함된, 바람직하게 U-형태의 후크 부분(21)을 통하여 축"X" 주위에서 수행된다.
이러한 핀(111)은 지지 플랜지(support flange, 112)를 통해 박스-형 구조물(11)에 고정된다.
트레이(2)의 이동은 복동 이동 기구, 바람직하게 기어 기구(32)에 의해 트레이(2) 상에서 자체적으로 작동되고 트레이(2)에 제공된 수압식인 이동 기구(3)에 의해 수행된다.
트레이(2)의 이동은 탄약통이 수용되는 제 1 위치"A"로부터 탄약통(5)이 배출 기구(5)에 의해 배출되는 제 2 위치"C"로, 그리고 역으로의 사전에 정해지고 적절한 속도로 화기(1) 내에 제공된 기구의 나머지 부분과 동조될 수 있다.
배출 시스템의 정상 작동 상태에서, 트레이(2)가 탄약통을 수용할 때 이는 자체적으로 트레이(2) 내측에 수용된다. 상기 트레이(2)는 탄약의 폭발 이후 화기(1)가 반동하는 중에 충격을 방지하기 위하여 발사 챔버(12)로부터 특정의 거리로 이격되어야 한다.
탄약통이 들어가는, 발사 챔버(12)에 대한 트레이(2)의 위치는 화기(1)의 경사각에 따라 변화한다. 이러한 챔버(12)로부터 배출된 탄약통은 화기(1)의 경사각에 따라서 상이한 중력 하에 있으며, 이에 따라 트레이(2)는 항시 탄약통을 수용할 수 있도록 정확하게 위치될 것이다.
트레이(2)는 탄약통-보유 장치(22)와 제동 장치(braking device, 23)를 포함한다.
탄약통은 트레이(2) 내로 정확히 삽입되기에 적합한 특정의 속도로 트레이(2) 내에 도달된다.
전술된 실시예에서, 게다가 이러한 속도는 탄약통이 트레이(2) 내측에 있을 때 탄약통을 수용하는 신호를 생성하는 탄약통-보유 장치(22)를 작동시키기 위해 이용된다.
실례로서 제공되고 비-제한적인 전술된 실시예에서, 탄약이 폭발된 후 탄약통은 발사 챔버(12)의 반동을 이용하여 트레이(2) 내에 삽입된다.
수신 신호는 이동 기구(3)를 작동시키는 화기(1) 내에 존재하는 시스템, 기구 및 장치를 제어 및 활성화시키기에 적합한 제어 장치에 의해 수신된다.
이러한 탄약통-보유 장치(22)는 수신 신호를 제어 장치에 전송하고, 트레이(2) 내측에서 탄약통의 존재를 탐지하기에 적합한, 탄약통을 포함한 접촉 부분(221)을 포함한다.
후술되어 질 실시예에서, 접촉 부분(221)은 바람직하게 트레이(2) 내에 삽입된 탄약통의 종방향 축에 대해 수직한 축 주위에서 회전하도록 힌지연결된 금속성 요소이다.
제 1 레버 기구를 통한 접촉 부분(221)의 회전에 따라 보유 장치(22)가 작동되어 수신된 탄약통의 신호를 제어 장치에 전송한다.
제동 장치(23)는 바람직하게 탄약통-보유 장치(22)에 의해 제어 장치를 향하여 수신 신호를 전송한 후 트레이(2) 내측에 삽입될 때 발사 챔버(12)로부터 탄약통을 감속하기에 적합하다.
이러한 제동 장치(23)에 따라 보유 장치(22)가 트레이(2) 내측에 탄약통의 존재를 탐지할 수 있는 임의의 경우에 트레이(2)의 하측과 탄약통 간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동 장치(23)는 바람직하게 접촉 플레이트(231), 댐퍼(damper, 233)에 연결된 제 2 레버 기구(232)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탄약통의 종방향 축에 대해 수직한 축에 대해 핀 주위에서 회전하는 상기 플레이트(231)는 탄약통의 하측과 접촉을 이루고 댐퍼(233)에 연결된 레버 기구의 덕택으로 탄약통을 감속시킨다.
예를 들어, 고무로 구성된 버퍼(buffer, 25)는 트레이(2)의 하측에 제공되며, 상기 버퍼는 탄약통이 제동 장치(23)에 의해 충분하게 감속되지 않는다면 탄약통의 충격을 완화시키기에 적합하다.
수신 신호가 제어 장치에 의해 수신될 때, 이러한 신호는 이동 기구(3)가 위치"A"로부터 위치"B"를 통과하여 위치"C"로 이동되고, 바람직하게 위치"B"는 그 외의 다른 두 위치의 대략 절반이다.
이러한 시스템에 따라, 화기(1)의 발사 빈도는 증가되며, 이는 화기(1)의 상이한 발포 단계가 거의 동시에 수행되기 때문이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위치"C"는 바람직하게 위치"A"에 대한 트레이(2)의 대략 130˚의 회전 위치이며, 따라서 위치"B"는 바람직하게 위치"A"에 대한 트레이(2)의 대략 60˚의 회전 위치이다.
트레이(2) 상에서 이동 기구(3)의 이동은 행정의 종료에 다다를 때, 보다 정확히 부품들 간의 충돌을 방지하고 트레이(2)의 진동을 감소시키기 위해 위치"A"와 위치"C"에 도달될 때 감소된다.
이러한 진동은 바람직하지 못한데, 이는 진동이 배출 시스템과 상호작동되는 장치에 전달되어 시스템이 보다 덜 안정적으로 되기 때문이다.
트레이(2)가 위치"C"에 도달되면 트레이는 배출 기구(5)에 의해 트레이 내에 기존에 자체로 수용된 탄약통으로부터 제거되고, 이러한 배출 메커니즘(5)은 배출되는 탄약통을 전달하기에 적합한 강성의 튜브(51)를 포함하고 액추에이터(52) 내에 자체적으로 포함된 하나 이상의 스러스트 부분(521)을 통해 튜브(51)를 향하여 트레이(2)로부터 탄약통을 밀어내기에 적합한 바람직하게 수압식의 배출 액추에이터(52)를 포함한다.
강성의 튜브(51)는 바람직하게 화기 내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와 방해가 되지 않도록 포미(14) 위에 고정된다.
상기 액추에이터(52)는 바람직하게 튜브(51)에 평행한 트레이(2)의 회전과 방해가 되지 않는 위치에 배열된다. 이는 바람직하게 튜브(51)와 박스-형 구조물(11) 모두에 고정된 하나 이상의 지지 로드(54)를 통하여 트레이(2) 위에서 지지된다. 또한 트레이(2)의 이동과 방해가 되지 않도록 위치된 스러스트 부분(521)은 액추에이터(52)가 작동될 때 지지 로드(54)를 따라서, 이러한 부분(521)과 함께 가이드를 따라서 미끄러지기에 적합한 하나 이상의 슬라이딩 블록(sliding block, 522)과 액추에이터(52) 모두에 고정된다.
트레이(2)가 튜브(51)와 정렬된 위치"C"에 있을 때, 배출 위치설정을 위한 신호가 제어 장치에 도달된다.
제어 장치에 위치설정 신호가 수신되면, 최대 신장 지점에 있는 액추에이터(52)를 작동시켜 이동 부분(521)이 트레이(2) 내의 슬릿(slit, 24) 내에서 전달된다.
이러한 슬릿(24)은 바람직하게 트레이(2)의 전체 길이를 따라 형성되어 스러스트 부분(521)은 자체적으로 보다 용이하게 탄약통을 트레이(2)로부터 배출시킬 수 있다.
상기 부분(521)은 트레이(2)로부터 튜브(51)를 향하여 탄약통을 밀어내도록 탄약통의 하측에 대해 가압된다.
배출 기구(5)는 또한 탄약통 상에서 액추에이터(52)의 스러스트가 튜브(51)를 초과하여 밀어내기에 충분하지 못한 경우에 작동되는 추가 복귀-방지 장치(anti-return device, 53)를 포함한다.
상기 장치(52)는 액추에이터(52)로부터의 스러스트가 튜브(51)로부터 빠져나오기에 충분하지 못하기 때문에 탄약통이 트레이(2)를 향하여 복귀되는 경우에 튜브(51)의 내측에 배열되는 잠금 부분(lock portion, 531)으로 구성된다.
상기 장치는 액추에이터(52)의 스러스트가 탄약통을 튜브(51)를 초과하여 이동시키기에 충분하지 못하는 큰 경사각으로 화기(1)가 배열되는 경우에 선호된다.
탄약통이 트레이(2)로부터 배출될 때, 제어 장치는 또 다른 탄약통을 수용하기 위하여 트레이(2)가 위치"A"로 복귀되는 방식으로 성공적인 배출의 신호를 수신한다.
제어 장치는 위치"C"로부터 위치"B"를 통과하여 위치"A"로 이동되도록 이동 기구(3)를 작동시킨다.
제 2 위치(C)로부터 트레이(2)의 제 1 위치(A)로 이동될 때, 장전 기구가 여전히 이의 작동 단계를 수행하는 경우에 제어 장치에 따라 장전 기구는 이동 기구(3)가 새로운 탄약통을 수용하도록 트레이(2)를 제 1 위치(A)로 복귀시키기 전에 작동 단계가 종료된다.
하기 실시예에서, 전술된 경우 위치"A"에 도달되기 전, 이동 기구(3)는 바이패스 밸브(bypass valve)에 의해 위치"B"에 도달되면 감속된다.
위치"C"로부터 트레이(2)의 위치"A"를 향한 이동은 다수의 기구 간의 간섭 또는 충돌이 야기되지 않고 장전 기구가 이의 작동 단계가 종료될 수 있을 정도로 감속된다.
하향 감속은 바람직하게 바이패스 밸브를 개방시킴으로써 액추에이터(31)에 연결된 올레오다이나믹 회로(oleodynamic circuit) 내의 압력을 감소시킴으로써 발생된다.
추가 실시예에 예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트레이(2)를 정지시켜서 제어 장치가 장전 기구로부터 장전의 종료 신호를 수신할 때까지 위치"B"에 머무르게 한다.
이러한 명령이 수신되면, 제어 장치는 트레이(2)가 위치"B"로부터 위치"A"를 향하여 보내지도록 이동 기구(3)를 작동시킨다.
이동 장치(3)가 탄약통을 배출시키기 위한 시스템을 작동시키지 못하는 경우에, 위치"A"에서 작동되지 않음으로써 액추에이터(31)의 방해로부터 트레이(2)를 제거하기에 적합한 안전 기구는 이러한 트레이(2)의 이동을 핀(111) 주위에서 중지시키도록 트레이(2)에 적용된다.
이러한 해결방법에 따라 이러한 트레이(2)는 새로운 탄약이 화기(1) 내에 장전될 때 장전 기구를 방해하지 않는다.
상기 안전 기구는 액추에이터(31)를 제어하는 올레오다이나믹 회로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릴리프 밸브(relief valve)를 포함한다.
이러한 릴리프 밸브, 바람직하게 최대 압력 밸브(maximum pressure valve)는 이러한 트레이(2)가 위치"A"로부터 이동되지 않고 장전 기구가 특정의 작동 단계에 도달된 경우에만 작동된다.
세부적으로, 장전 기구가 트레이(2)에 대해 가압될 때, 릴리프 밸브는 트레이(2)의 이동에 대항하는 액추에이터(31)의 올레오다이나믹 회로 내측의 압력 증가로 인해 개방된다.
릴리프 밸브가 개방됨에 따라 액추에이터(31)의 올레오다이나믹 회로는 비워지며(empty), 이는 이러한 밸브의 한계 압력이 바람직하게 20 바를 초과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밸브가 개방되면, 액추에이터(31)의 올레오다이나믹 회로는 배출되어 트레이(2)는 핀(111) 주위에서 이동이 중단된다.
전술된 경우, 장전 기구의 작동 단계는 중단되지 않고 새로운 탄약의 적재를 지속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트레이(2)는 예를 들어 트레이(2)가 자유롭게 이동됨에 따라 장전 기구의 구조물에 의해 위치"B"로 물리적으로 이동된다.
트레이(2)는 여전히 아이들 상태(idle)에 있기 때문에 위치"A"로 재차 하강된 후 장전 기구가 이의 작동 단계를 종료할 때까지 이러한 위치에 유지된다.
기구(3)의 오작동을 나타내는 알람이 제어 장치에 의해 유발되는 상태에서 발사체가 장전된 후, 액추에이터(31)의 올레오다이나믹 회로는 비워지고 트레이(2)는 이동이 중지된다.
이러한 해결 방법에 따라 예를 들어, 트레이(2)는 기구들간의 충돌로 인한 회복불가능한 손상이 야기되지 않고 위치"B"로 이동될 수 있다.
대안의 실시예에서, 안전 액추에이터는 또한 예를 들어 장전 기구의 동력의 일부를 이용하고, 릴리브 밸브가 트레이(2)를 분리시킨 후 이동 기구(3)의 오작동의 경우 예를 들어 위치"C" 또는 위치"B"로 트레이를 이동시키고, 올레오다이나믹 회로에 연결되도록 포함된다.
탄약통을 배출하기 위한 이러한 시스템에 따라, 화기(1)의 발사 빈도가 증가될 수 있으며, 이는 발사 챔버(12)로부터 탄약통을 배출하는 단계가 장전 기구에 의한 새로운 탄약을 장전하는 단계와 함께 거의 동시에 수행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배출 시스템에 따라, 새로운 발사체의 장전 단계는 트레이(2)가 위치"B"에 도달되는데 걸리는 시간의 합인 탄약통을 빼내는데 소요되는 시간에 대응하는 매우 짧은 시간 정도로의 지연에 따라 수행되며, 이는 탄약통을 배출하기 위한 시스템이 장전 기구를 방해하지 않기 때문이다.
화기: 1
박스-형 구조물: 11
핀: 111
지지 플랜지: 112
발사 챔버: 12
포신: 13
포미: 14
트레이: 2
후크 부분: 21
탄약통-보유 장치: 22
접촉 부분: 221
제동 장치: 23
접촉 플레이트: 231
레버 기구: 232
댐퍼: 233
슬릿: 24
버퍼: 25
이동 기구: 3
이동 액추에이터: 31
기어 기구: 32
탄약통 배출 기구: 5
강성의 튜브: 51
배출 액추에이터: 52
스러스트 부분: 521
슬라이딩 블록: 522
복귀-방지 장치: 53
잠금 부분: 531
지지 로드: 54
위치: A
위치: B
위치: C
축: X

Claims (10)

  1. 화기(1)에 제공된 탄약통을 배출시키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상기 화기는 포미(14) 및 발사 챔버(12)를 포함하고, 상기 발사 챔버 내에서 포신(13)을 통해 빠져나가는 발사체가 발사되고, 배출 시스템은 탄약이 폭발된 후 탄약통을 수용하기 위한 배출 트레이(2) 및 상기 트레이(2)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기구(3)를 포함하고, 이동 기구(3)는 탄약통이 수용되는 제 1 위치로부터 탄약통이 배출 기구(5)에 의해 배출되는 제 2 위치로, 그리고 역으로 이동되도록 사전에 정해진 속도로 화기(1)의 탄약통(13)의 축에 대해 평행한 축(X) 주위에서 배출 트레이(2)를 회전시키고,
    이동 기구(3)는 트레이(2)의 이동이 화기(1) 내에 제공된 기구의 나머지 부분과 동조되도록 자체적으로 트레이(2) 상에서 기어 기구(32)에 의해 작동되는 배출 트레이(2)를 위한 이동 액추에이터(31)를 포함하고,
    배출 트레이(2)가 제 2 위치에 도달되면, 배출 트레이 내에 수용된 탄약통은 배출 기구(5)에 의해 분리되고, 배출 기구는 하나 이상의 스러스트 부분(521)에 의해 배출 트레이(2)로부터 튜브(51)를 향하여 탄약통을 밀어내기 위한 하나 이상의 액추에이터(52) 및 최종 배출을 위해 탄약통을 전달하기 위한 강성의 튜브(5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탄약통을 배출시키기 위한 시스템은 이동 기구(3)가 오작동 시 배출 트레이(2)를 이동시키기 위한 안전 기구를 포함하고, 이에 따라 장전 기구와 트레이(2)가 충돌 시의 손상의 발생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이동 기구(3)는 배출 트레이(2)의 진동을 감소시키고 임의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하여 행정의 종료에 도달됨에 따라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배출 트레이(2)는 탄약통이 트레이(2) 내에 있을 때 탄약통의 수신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탄약통-보유 장치(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배출 트레이(2)는 탄약통이 트레이(2) 내에 유입 시 발사 챔버(12)로부터 유입되는 탄약통을 감속하기 위한 제동 장치(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배출 기구(5)는 탄약통이 배출 트레이(2)를 향하여 복귀되는 경우 튜브(51) 내에 자체적으로 개재하기 위한 잠금 부분(531)을 포함한 복귀-방지 장치(5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배출 트레이(2)의 제 2 위치로부터 제 1 위치로의 이동 중 장전 기구가 이의 작동 단계를 여전히 수행하는 경우 장전 기구는, 이동 기구(3)로 인해 트레이(2)가 새로운 탄약통을 수용하기 위해 제 1 위치로 복귀되기 전, 이의 작동 단계가 종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0. 제2항에 있어서, 안전 기구는 액추에이터(31)에 연결된 올레오다이나믹 회로 내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릴리프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릴리프 밸브는, 트레이(2)가 핀(111) 주위에서 회전 중단되도록 장전 기구가 주어진 작동 단계에 도달될 때 배출 트레이(2)가 여전히 제 1 위치에 있는 경우에만, 올레오다이나믹 회로를 비우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KR1020110060536A 2010-06-22 2011-06-22 탄약통을 배출시키기 위한 시스템 KR1019200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TO2010A000535 2010-06-22
ITTO2010A000535A IT1400863B1 (it) 2010-06-22 2010-06-22 Sistema di evacuazione bossoli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9153A KR20110139153A (ko) 2011-12-28
KR101920079B1 true KR101920079B1 (ko) 2018-11-19

Family

ID=43558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0536A KR101920079B1 (ko) 2010-06-22 2011-06-22 탄약통을 배출시키기 위한 시스템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8899140B2 (ko)
EP (1) EP2400254B1 (ko)
JP (1) JP5917843B2 (ko)
KR (1) KR101920079B1 (ko)
BR (1) BRPI1103068B1 (ko)
CA (1) CA2743802C (ko)
DK (1) DK2400254T3 (ko)
ES (1) ES2559954T3 (ko)
IT (1) IT1400863B1 (ko)
PL (1) PL2400254T3 (ko)
PT (1) PT2400254E (ko)
SG (1) SG1771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24726B (zh) * 2014-12-31 2018-05-18 西安新竹防灾救生设备有限公司 一种密封炮闩
CN107238317B (zh) * 2017-07-21 2023-03-31 南京理工大学 一种电控式枪支退弹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579313A (fr) * 1923-06-14 1924-10-14 Schneider & Cie Canon automatique
US3690216A (en) * 1968-08-22 1972-09-12 Secr Defence Brit Loading mechanisms for guns
US4244270A (en) * 1978-07-03 1981-01-13 General Electric Company Feeder for a gun
FR2637061B1 (fr) * 1988-09-28 1990-11-09 France Etat Armement Arme automatique a barillet, a grande cadence de tir
FR2721387B1 (fr) * 1994-06-16 1996-08-14 Giat Ind Sa Mécanisme de mise à poste d'une munition.
BE1009142A3 (fr) * 1994-12-12 1996-12-03 Fn Herstal Sa Dispositif d'ejection pour arme a feu.
FR2796713B1 (fr) * 1999-07-22 2002-09-13 Giat Ind Sa Dispositif d'aide au chargement pour artilleri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TTO20100535A1 (it) 2011-12-23
KR20110139153A (ko) 2011-12-28
BRPI1103068B1 (pt) 2020-11-24
EP2400254A1 (en) 2011-12-28
CA2743802C (en) 2018-01-23
JP2012007877A (ja) 2012-01-12
PL2400254T3 (pl) 2016-05-31
CA2743802A1 (en) 2011-12-22
EP2400254B1 (en) 2015-09-02
DK2400254T3 (en) 2015-12-14
US20110308127A1 (en) 2011-12-22
ES2559954T3 (es) 2016-02-16
SG177105A1 (en) 2012-01-30
US8899140B2 (en) 2014-12-02
JP5917843B2 (ja) 2016-05-18
BRPI1103068A2 (pt) 2012-12-04
PT2400254E (pt) 2015-12-28
IT1400863B1 (it) 2013-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53006B2 (ja) 携帯用銃のための弾倉中に弾薬筒を装填および脱着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EP1309829B1 (en) Recoil control mechanism for a weapon
EP0105101A2 (en) Automatic ammunition loading system for a large caliber cannon
WO2014144104A2 (en) Combination gas operated rifle and subsonic cartridge
US10066892B1 (en) Modular automated mortar weapon for mobile applications
KR101920079B1 (ko) 탄약통을 배출시키기 위한 시스템
EP2019959B1 (en) Locking mechanism of a hand firearm
KR20110021736A (ko) 케이스 없는 탄약을 가진 무기 시스템
JP2023502978A (ja) 銃砲尾ブロックを備えた兵器システムおよび兵器システムの銃砲尾ブロック
US11686541B2 (en) Automatic firearm having an inertial automatic system
US11835312B1 (en) Combat optimized ballistic remote armament
US11015888B2 (en) Device for loading a barreled weapon with ammunition bodies
GB2457992A (en) Firearm
US3041017A (en) Gun-catapult mechanism
US3417658A (en) Empty case ejector mechanism
US9546840B1 (en) Bi-directional recoil containment and double strike prevention system
JP2014514530A (ja) 火器の発射頻度に従って兵器に装填する方法
JPS61501521A (ja) 発射機構
US530363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ntrapping and discarding spent artillery shells
US20220090886A1 (en) Weapon having a deflagration igniter and method for operating such a weapon
US9976829B2 (en) Firing preventing and stoppage apparatus for remotely operated automatic weapon
EP0403452A2 (en) Brake and energy accumulator device for loading and ejecting artillery cartridges
JPH085287A (ja) 発射装置の遅発災害の防止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9216356A (ja) 高速発射装置
JPH08200992A (ja) 遊底式機関砲のカムドラム停止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