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9405B1 - 다단 후크부를 포함하는 생리용 기능성 속옷 - Google Patents

다단 후크부를 포함하는 생리용 기능성 속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9405B1
KR101919405B1 KR1020180106429A KR20180106429A KR101919405B1 KR 101919405 B1 KR101919405 B1 KR 101919405B1 KR 1020180106429 A KR1020180106429 A KR 1020180106429A KR 20180106429 A KR20180106429 A KR 20180106429A KR 101919405 B1 KR101919405 B1 KR 1019194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sorbent
layer
present
polyurethane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6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태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단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단색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단색
Priority to KR10201801064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94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94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94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9/00Undergarments
    • A41B9/12Protective under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9/00Undergarments
    • A41B9/04Knickers for ladies, with or without inserted crotch or seat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3Reusable, washable fabric diapers
    • A61F13/49006Reusable, washable fabric diapers the reusable article being in the form of pants or briefs, e.g. slip or panty for light incontine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4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04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the top sheet having a three-dimensional cross-section, e.g. corrugations, embossments, recesses or proj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62Mechanical fastening means, ; Fabric strip fastener elements, e.g. hook and loop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300/00Detail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300/30Closures
    • A41B2300/326Closures using hooks and eyele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300/00Detail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300/35Seams
    • A41B2300/52Seams made by welding or glu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400/60Moisture handling or wicking function
    • A41B2400/62Moisture handling or wicking function through several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500/00Materials for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500/50Synthetic resins or rubb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단 후크부를 포함하는 생리용 기능성 속옷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생리용 기능성 속옷은 여성의 생리기간에 발생되는 생리혈 또는 질 분비물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고, 세탁에 의해 반복 사용 가능하며, 다단 후크부를 구비하여 탈의가 보다 용이하게 설계되어 있다.

Description

다단 후크부를 포함하는 생리용 기능성 속옷 {absorption-improved functional underwear using menstruation period comprising multiple hook part}
본 발명은 다단 후크부를 포함하는 생리용 기능성 속옷에 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여성의 생리기간에 발생되는 생리혈 또는 질 분비물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고, 세탁에 의해 반복 사용 가능하며, 다단 후크부를 구비하여 탈의가 보다 용이하게 설계된 생리용 기능성 속옷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성의 생리 기간에 사용되는 생리용 물품은 속옷에 고착시킴으로써 속옷과의 연동성을 높게 유지하며 사용되나, 날개부가 항상 동일한 위치에서 절곡(折曲)된다고는 할 수 없고, 날개부가 속옷의 외면에 노출된 상태가 되어 보기에 좋지 않다. 더욱이, 일회용으로 사용되는 생리 물품에 따른 환경적 부담이 전 세계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생리용 물품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일본 등록 실용신안 제 3002607호 공보나 일본 공개특허 공보 제 2001-55602호 등과 같이 속옷의 내부에 흡수성 소재를 장착하거나, 흡수성 소재를 삽입하는 생리용 속옷이 개발되고 있으나, 기존에 생리용 속옷의 경우 반복적인 사용에 따른 흡수성 문제, 착용에 따른 불편함과 이질감 및 속옷의 늘어남에 따른 생리혈 또는 질 분비물의 샘 문제를 개선해야 하는 등 다양한 개선점을 가지고 있었다.
일본 등록 실용신안 제 3002607호 일본 공개특허 공보 제 2001-55602호
본 발명은 탈의가 보다 용이하게 설계되고, 여성의 생리기간에 발생하는 생리혈 또는 질 분비물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으며, 생리혈 또는 질 분비물에 의한 냄새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생리용 기능성 속옷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더욱이, 일정 시간 이상 사용 시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찝찝함과 이물감을 최소화할 수 있는 생리용 기능성 속옷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더욱이, 속옷이 늘어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생리혈 또는 질 분비물의 샘 문제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반복 사용에 따른 흡수성 감소 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생리용 기능성 속옷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정면부 양측에 각각 존재하는 제 1 다단 후크 및 제 2 다단 후크를 포함하는 다단 후크부를 포함하는 생리용 기능성 속옷으로서, 40 내지 120수의 코마사 또는 카드사인 면을 포함하는 면사층, 상기 면사층의 이면에 존재하는 제 1 나일론 시트, 및 상기 면사층과 상기 제 1 나일론 시트 사이에 존재하는 제 1 방수포를 포함하는 둔부 흡수 영역; 상기 둔부 흡수 영역의 하단에 위치하고, 사용자의 피부 접촉면에 존재하는 제 1 흡수포, 상기 제 1 흡수포의 이면에 존재하는 제 2 나일론 시트, 및 상기 1 흡수포와 상기 제 2 나일론 시트 사이에 존재하는 제 2 방수포를 포함하는 생리혈 흡수 영역; 및 상기 생리혈 흡수 영역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고, 제 3 나일론 시트, 및 상기 제 3 나일론 시트의 양측 또는 어느 일측에 존재하는 제 3 및 제 4 방수포를 포함하는 생리혈 샘 방지 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흡수포는, 하기 일반식 1을 만족하고 사용자의 피부 접촉면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위치하는 제 1 내지 제 3 흡수층을 포함한다.
[일반식 1]
D1>D2>D3
상기 일반식 1에서, D1은 제 1 흡수층에 존재하는 섬유 원사의 섬도이고, D2는 제 2 흡수층에 존재하는 섬유 원사의 섬도이며, D3는 제 3 흡수층에 존재하는 섬유 원사의 섬도이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제 1 다단 후크 및 제 2 다단 후크는, 후크 부재 및 상기 후크 부재와 결합되어 일체화되는 루프를 적어도 2개 이상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제 1 내지 제 4 방수포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포함하는 제 1 층; 폴리우레탄계 수지를 포함하는 제 2 층; 및 상기 제 1층 및 제 2 층 사이에 존재하는 폴리우레탄계 수성 접착제층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제 1 흡수포의 상기 제 1 내지 제 3 흡수층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제 1 흡수포는 요철 구조를 가지는 폴리우레탄 도트층을 포함하고, 상기 요철 구조를 가지는 폴리우레탄 도트층의 어느 일면은 상기 제 1 흡수층이 위치하고, 다른 면은 사용자의 피부 접촉면과 직접 접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제 1 흡수포는 하기 일반식 2를 만족할 수 있다.
[일반식 2]
ρ1>ρ2>ρ3
상기 일반식 2에서, ρ1은 제 1 흡수층의 공극율(%)이고, ρ2는 제 2 흡수층의 공극율(%)이며, ρ3은 제 3 흡수층의 공극율(%)이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제 1 흡수포의 제 1 내지 제 3 흡수층은 세라믹 입자를 1 내지 3%의 비율로 함유하는 원사를 이용하여 형성되고, 10 nm 내지 700nm 범위 내 파장의 광에 대한 차단율이 80% 내지 95%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생리용 기능성 속옷은 상기 생리혈 흡수 영역의 가장자리를 봉제하고, 단위 질량(g) 당 암모니아 탈취율이 3mg 내지 10mg의 범위 내에 있는 소취실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둔부 흡수 영역의 상단에 존재하고, 사용자의 허리 부위를 감싸는 허리 밴드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허리 밴드 영역은 나일론 100 중량부 대비 폴리우레탄 20 중량부 내지 40 중량부의 비율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생리용 기능성 속옷은, 다단 후크부를 구비하여, 일정시간 사용 후 탈의할 때, 일반 생리용 기능성 속옷에 비해 탈의가 보다 용이하다.
본 발명에 따른 생리용 기능성 속옷은 또한, 생리혈 또는 질 분비물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고, 생리혈 또는 질 분비물에 의한 냄새를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생리용 기능성 속옷은 더욱이, 일정 시간 이상 사용 시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찝찝함과 이물감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생리용 기능성 속옷은 더욱이, 속옷이 늘어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생리혈 또는 질 분비물의 샘 문제를 방지할 수 있으며, 반복 사용에 따른 흡수성 감소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효과가 상기 언급한 범위 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단 후크부를 구비한 생리용 기능성 속옷의 정면도이다.
도 2 및 3은, 본 발명에 따른 생리용 기능성 속옷을 각 영역별로 설명하기 위한 일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생리용 기능성 속옷의 둔부 흡수 영역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생리용 기능성 속옷의 생리혈 흡수 영역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생리용 기능성 속옷의 생리혈 샘 방지 라인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흡수포의 각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내지 제 4 방수포의 각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생리용 기능성 속옷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생리용 기능성 속옷은 일정시간 사용 후 탈의할 때, 일반 생리용 기능성 속옷에 비해 탈의가 보다 용이하고, 여성의 생리혈 또는 질 분비물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으며, 상기 생리혈 또는 질 분비물을 장시간 머금고 있을 수 있어, 별도의 생리대 착용이 필요 없다.
생리용 기능성 속옷의 기능에 있어 중요한 요소는 생리혈 또는 질 분비물을 흡수하는 것 뿐만 아니라, 흡수한 생리혈 또는 질 분비물이 새는 것을 방지하는 것에 있고, 나아가 생리혈 또는 질 분비물의 발생에 따른 냄새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것에 있다. 또한,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속옷 착용에 따른 이물감이나 찝찝함 등의 불편함이 최소화되어야 하며, 일정 시간 착용 후 탈의 시 탈의가 용이하여야 하고, 반복 사용에 따른 흡수능 저하가 없어야 한다.
그러나, 기존의 생리용 기능성 속옷의 경우, 일정 시간 이상 사용 시 흡수한 생리혈 또는 질 분비물이 새거나 또는 냄새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여 새로운 속옷으로 교체해야 하는 등 사용자에게 많은 불편함을 초래하였고, 일정 시간 착용한 후, 탈의 시 탈의의 곤란성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는 탈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다단 후크부를 구비하고, 또한 생리혈 또는 질 분비물의 흡수 정도 차이에 따라 속옷의 영역을 구획한 후, 각 부위별 맞춤형 소재를 채택함으로써 전술한 문제점들을 개선하였다.
특히, 본 발명자는 생리혈 흡수 영역에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흡수포를 포함시키고, 또한 둔부 흡수 영역, 생리혈 흡수 영역 및 생리혈 샘 방지 영역에 소정의 방수포를 포함시킴으로써, 빠른 속도로 생리혈 또는 질 분비물을 흡수함과 생리혈 샘 문제를 개선하였고, 아울러 냄새가 발생하는 문제 및 일정 시간 이상 착용에 따른 불편함 등을 개선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생리용 기능성 속옷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생리용 기능성 속옷은, 정면부 양측에 각각 존재하는 제 1 다단 후크(11) 및 제 2 다단 후크(12)를 포함하는 다단 후크부(10)를 포함한다. 다단 후크부(10)의 구성을 통해, 일정 시간 속옷을 착용한 후 탈의 할 때, 탈의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다단 후크부(10)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속옷의 정면부 양측에 각각 존재하는 제 1 다단 후크(11) 및 제 2 다단 후크(1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다단 후크(11,12)는 각각 복수개의 후크 및 루프가 서로 결합 가능 하도록 위치한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제 1 다단 후크(11) 및 제 2 다단 후크(12)는, 후크 부재 및 상기 후크 부재와 결합되어 일체화되는 루프를 적어도 2개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는, 상기 후크 부재와 루프가 4개 인 것을 한 단으로 하여, 총 3단의 후크로 구성되어 있으나,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일례에 불과할 뿐, 상기 후크 부재와 루프의 개수 및 이들을 포함하는 단의 개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한다.
더 구체적인 예시에서, 상기 제 1 다단 후크(11) 및 제 2 다단 후크(12)는, 후크 부재 및 상기 후크 부재와 결합되어 일체화되는 루프를 적어도 2개 이상, 3개 이상, 4개 이상 또는 5개 포함하는 후크단을 1개 내지 5개 또는 2개 내지 4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크 부재의 모양은, 후크 부재가 루프에 결합될 수 있는 것이면 그 구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또한 상기 루프의 직경이나 모양 또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다단 후크부(10)의 구성을 통해, 사용자는 일정 시간 착용한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속옷의 탈의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생리용 기능성 속옷을 각 영역별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 및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생리용 기능성 속옷을 각 영역별로 설명하기 위한 일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생리용 기능성 속옷은 둔수 흡수 영역(100); 상기 둔수 흡수 영역(100)의 하단에 위치하는 생리혈 흡수 영역(200); 및 상기 생리혈 흡수 영역(200)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생리혈 샘 방지 라인(300)을 포함한다.
상기 둔수 흡수 영역(100)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40 내지 120수의 코마사 또는 카드사인 면을 포함하는 면사층(110), 상기 면사층(110)의 이면에 존재하는 제 1 나일론 시트(120), 및 상기 면사층(110)과 상기 제 1 나일론 시트(120) 사이에 존재하는 제 1 방수포(130)를 포함한다.
상기 생리혈 흡수 영역(200)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사용자의 피부 접촉면에 존재하는 제 1 흡수포(210), 상기 제 1 흡수포(210)의 이면에 존재하는 제 2 나일론 시트(220), 및 상기 제 1 흡수포(210)와 상기 제 2 나일론 시트(220) 사이에 존재하는 제 2 방수포(230)를 포함한다.
상기 생리혈 샘 방지 라인(300)은, 도 6 a 및 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 3 나일론 시트(310), 및 상기 제 3 나일론 시트(310)의 양측 또는 어느 일측에 존재하는 제 3 및 제 4 방수포(320,33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 흡수포(320)는, 하기 일반식 1을 만족하고 사용자의 피부 접촉면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위치하는 제 1 내지 제 3 흡수층(321,322,323)을 포함한다.
[일반식 1]
D1>D2>D3
상기 일반식 1에서, D1은 제 1 흡수층(321)에 존재하는 섬유 원사의 섬도이고, D2는 제 2 흡수층(322)에 존재하는 섬유 원사의 섬도(nm)이며, D3는 제 3 흡수층(323)에 존재하는 섬유 원사의 섬도(nm)이다.
상기 둔부 흡수 영역(100)은 사용자의 둔부와 접촉하는 부위로써, 피부와 직접 접하는 면사층(110), 속옷의 최외층에 위치하는 제 1 나일론 시트(120) 및 상기 면사층(110)과 제 1 나일론 시트(120) 사이에 존재하는 제 1 방수포(130)를 포함한다.
상기 둔부 흡수 영역(100)의 면사층(110)은 40 내지 120수의 코마사 또는 카드사인 면을 포함한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면사층(110)은 40수 또는 60수의 코마사 또는 카드사인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면사층(110)에 의해, 장시간 착용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땀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고, 피부에 자극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면사층(110)의 이면에 존재하는 제 1 나일론 시트(120)는, 예를 들면 나일론과 폴리우레탄의 혼용물 일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제 1 나일론 시트(120)는 나일론 100 중량부 대비 폴리우레탄 5 내지 15 중량부 또는 6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의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경우, 속옷 전체의 신축성 및 스판감을 확보할 수 있고, 전체적인 제품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둔부 흡수 영역(100)에 포함되는 제 1 방수포(130)는, 상기 면사층(110)과 제 1 나일론 시트(120) 사이에 존재하여, 후술하는 생리혈 흡수 영역(200)의 흡수포에 의해 흡수된 생리혈 또는 질 분비물을 머금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제 1 방수포(130)는,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포함하는 제 1 층(131); 폴리우레탄계 수지를 포함하는 제 2 층(132); 및 상기 제 1층(131) 및 제 2 층(132) 사이에 존재하는 폴리우레탄계 수성 접착제층(133)을 포함할 수 있다.
더 구체적인 예시에서, 상기 제 1 층(131)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제 2층(132)은 폴리우레탄계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의 종류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유산 등의 폴리에스테르 등이 예시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테레프탈산과 에틸렌글리콜 혹은 부틸렌글리콜의 축합 반응에 의해서 생성되는 고분자 중합체; 및 세바신산, 아디프산, 트리멜리트산, 이소프탈산 및 파라 옥시 안식취산 등과 에틸렌글리콜이나 부틸렌글리콜과의 축합체; 또는 다른 폴리에스테르류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중합체 등이 예시될 수도 있다.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의 종류는, 예를 들면, 폴리머 디올 및 디이소시아네이트를 출발 물질로 하는 폴리우레탄이면 임의인 것이라도 좋고,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그 합성법도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구체적인 예시에서, 상기 폴리우레탄계 수지는 폴리머 디올과 디이소시아네이트와 저분자량 디아민으로 이루어지는 폴리우레탄우레아라도 좋고, 또한 폴리머 디올과 디이소시아네이트와 저분자량 디올로 이루어지는 폴리우레탄이라도 좋다. 또한, 사슬 연장제로서 수산기와 아미노기를 분자 내에 갖는 화합물을 사용한 폴리우레탄우레아라도 좋다. 또, 본 발명의 효과를 방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3관능성 이상의 다관능성의 글리콜이나 이소시아네이트 등이 사용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방수포(1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포함하는 제 1 층(131)과 폴리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제 2 층(132)을 포함함으로써, 생리혈 흡수 영역(200)의 흡수포에 의해 흡수된 생리혈 또는 질 분비물을 머금는 역할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 방수포(130)는 피부 접촉면을 기준으로 제 1층(131), 접착제층(133) 및 제 2 층(132)이 순차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방수포(130)는 후술하는 제 2 내지 4 방수포(230, 320, 330)와 하나의 단일 방수포로써, 봉제실을 기준으로 구획되어 있는 것 일 수 있다.
상기 제 1 방수포(130)를 제조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전술한 원사 재료를 방사하여 웹으로 형성하고, 형성된 웹을 엠보스 롤 사이를 통과하여 열압착을 통해 부직포로 시트화 하는 등의 방식 등이 예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생리용 기능성 속옷은 생리혈 흡수 영역(200)을 포함한다. 상기 생리혈 흡수 영역(200)은 상기 둔부 흡수 영역(100)의 하단에 위치하고, 사용자의 피부 접촉면에 존재하는 제 1 흡수포(210), 상기 제 1 흡수포(210)의 이면에 존재하는 제 2 나일론 시트(220), 및 상기 제 1 흡수포(210)와 상기 제 2 나일론 시트(220)의 사이에 존재하는 제 2 방수포(230)를 포함한다.
상기 생리혈 흡수 영역(200)의 피부 접촉면에 존재하는 제 1 흡수포(210)는, 하기 일반식 1을 만족하고 사용자의 피부 접촉면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위치하는 제 1 내지 제 3 흡수층(211,212,213)을 포함한다.
[일반식 1]
D1>D2>D3
상기 일반식 1에서, D1은 제 1 흡수층에 존재하는 섬유 원사의 섬도이고, D2는 제 2 흡수층에 존재하는 섬유 원사의 섬도이며, D3는 제 3 흡수층에 존재하는 섬유원사의 섬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 1 흡수포(210)는, 섬도가 상이한 원사를 이용하여 3층 구조의 흡수층을 형성하고, 각 흡수층의 섬도를 피부 접촉면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축소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생리혈 또는 질 분비물을 효과적으로 흡수한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흡수포(210)의 각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 흡수포(210)는 피부 접촉면에 가까운 부분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섬도가 감소하는 제 1 내지 제 3 흡수층(211,212,213)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흡수층의 섬도 배열은 각 흡수층 내 모세관 현상에 따른 생리혈 또는 질 분비물, 및 기타 땀의 순차 배출능을 증대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제 3 흡수층(213)의 이면에 존재하는 제 2 방수포(230)로 생리혈 또는 질 분비물, 및 땀과 같은 배출물을 신속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제 1 흡수포(210)에 포함되는 제 1 내지 제 3 흡수층(211,212,213)을 구성하는 섬유의 구체적인 섬도 또는 직경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전술한 일반식 1을 만족하는 섬도 또는 직경이면 좋다.
상기 제 1 흡수포(210)에 포함되는 제 1 내지 제 3 흡수층(211,212,213)은 또한, 각층 내 공극 영역이 순차적으로 감소하는 구조일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제 1 흡수포(210)는 하기 일반식 2을 만족할 수 있다.
[일반식 2]
ρ1>ρ2>ρ3
상기 일반식 2에서, ρ1은 제 1 흡수층의 공극율(%)이고, ρ2는 제 2 흡수층의 공극율(%)이며, ρ3은 제 3 흡수층의 공극율(%)이다.
제 1 흡수포(210)가 상기 일반식 2를 만족한다는 것은, 제 1 내지 제 3 흡수층(211,212,213)의 공극이 피부 표면에서부터 순차적으로 감소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일반식 2의 만족을 통해 제 1 흡수포(210)의 전술한 모세관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 내지 제 3 흡수층(211,212,213)은,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유산 등의 폴리에스테르 등이 예시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 1 흡수포(210)의 제 1 내지 제 3 흡수층(211,212,213)을 형성하는 방법은, 예를 들면 상기 제 1 내지 제 3 흡수층 각각을 구성하는 원사를 공지의 직물 또는 편물 제조 방식에 의해 제조한 후, 롤-투-롤 공정을 통해 상호 압착하여, 3층 구조의 흡수층을 포함하는 흡수포를 제조할 수도 있고, 또한 전술한 제 1 방수포(130)의 제조 방식과 유사한 부직포 제조 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 1 흡수포(210)에 포함되는 흡수층을 일 방향으로 정렬된 편물로 조직함으로써, 생리혈 또는 질 분비물의 흡수 및 배출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도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제 1 흡수포(210)의 제 1 내지 제 3 흡수층(211,212,213)은 각각 서로 다른 섬도를 가지는 원사를 이용하여 형성된 편물층 일 수 있다.
상기 제 1 내지 제 3 흡수층(211,212,213)은, 또한 우수한 자외선 및 가시광선 차단율을 가질 수 있도록 소정의 세라믹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제 1 흡수포(210)의 제 1 내지 제 3 흡수층(211,212,213)은, 세라믹 입자를 1 내지 3%의 비율로 함유하는 원사를 이용하여 형성되고, 10 nm 내지 700nm 범위 내 파장의 광에 대한 차단율이 80% 내지 95%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상기 세라믹 입자는, 예를 들면 TiO2 등이 예시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위와 같이, 원사에 소정의 함량의 세라믹 입자를 함께 혼입하고, 이를 이용하여 제 1 흡수포(210)의 제 1 내지 제 3 흡수층(211,212,213)을 제조하는 경우, 우수한 광 차단율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흡수포(210)은 또한, 요철 구조를 가지는 폴리우레탄 도트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 1 흡수포(210)는 제 1 흡수층(211)의 제 2 흡수층(212)이 위치하는 면의 반대 면에 존재하는 폴리우레탄 도트층(2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인 생리용 속옷의 경우, 착용 기간에 따른 생리혈 또는 질 분비물의 축적에 의한 피부 이물감 및 찝찝함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생리용 기능성 속옷의 경우, 피부와 직접 접촉하는 부위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흡수포(210)의 폴리우레탄 도트층(214)에 의해 전술한 피부 이물감 및 찝찝함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 1 흡수층(211)의 상단에 존재하는 폴리우레탄 도트층(214)은 요부(A)와 철부(B)를 동시에 포함하고, 소정의 탄성을 가지는 것으로써, 생리혈 또는 질 분비물을 흡수하는 제 1 흡수층(211)을 직접 피부를 접하지 아니하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피부 이물감 및 찝찝함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상기 폴리우레탄 도트층(214)의 어느 일면은 상기 제 1 흡수층(211)이 위치하고, 다른 면은 사용자의 피부 접촉면과 직접 접하고 있을 수 있다.
상기 폴리우레탄 도트층(214)은, 요부(A)와 철부(B)를 포함하고, 소정 두께를 가지는 것으로써, 상기 폴리우레탄을 구성하는 구조 단위의 폴리머 디올로서는, 폴리에테르계 디올, 폴리에스테르계 디올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디올 등이 예시될 수 있고, 탄성이나 유연성의 관점에서 폴리에스테르계 디올 화합물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테르계 디올 화합물로서는, 구체적으로는 폴리에틸렌글리콜, 변성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트리메틸렌에테르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에테르글리콜(이하, PTMG라 약칭), 테트라히드로푸란(이하, THF라 약칭) 및 3―메틸―THF의 공중합체인 변성 PTMG, THF 및 2,3―디메틸―THF의 공중합체인 변성 PTMG, THF 및 네오펜틸글리콜의 공중합체인 변성 PTMG, THF와 에틸렌옥사이드 및/또는 프로필렌옥사이드가 불규칙하게 배열된 랜덤 공중합체 등이 예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에테르계 디올 화합물로서는, 부틸렌아디페이트, 폴리카프로락톤 디올, 3―메틸―1,5―펜탄디올과 폴리프로필렌 폴리올의 혼합물을 아디프산 등과 축중합함으로써 얻어지는 측쇄를 갖는 폴리에스테르디올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글리콜이나, 3,8―디메틸데칸 2산 및/또는 3,7―디메틸데칸 2산으로 이루어지는 디카르본산 성분과 디올 성분으로부터 유도되는 디카르본산 에스테르 단위를 함유하는 폴리카보네이트디올 등이 예시될 수 있다. 이러한 폴리머 디올은 단독으로 사용되어도 좋고, 2종 이상을 혼합 혹은 공중합해서 사용되어도 좋다.
또한, 폴리우레탄 도트층을 구성하는 구조 단위의 디이소시아네이트로서는,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이하, MDI라 약칭), 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4―디이소시아네이트 벤젠, 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2,6―나프탈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가 예시될 수 있고, 메틸렌비스(시클로헥실 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시클로 헥산 2,4―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시클로 헥산 2,6―디이소시아네이트, 시클로헥산 1,4―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히드록시리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히드로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옥타히드로 1,5―나프탈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환족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이 예시될 수 있다.
상기 폴리우레탄 도트층(214)은, 예를 들면, 요부와 철부를 가지는 섬유 몰드에 상기 도트층을 형성하는 폴리우레탄 수지 원사를 방사하는 등의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이, 통상적인 폴리우레탄층 대비 요부와 철부를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도트층을 제 1 흡수층(211) 상에 위치시키는 경우, 피부 접촉에 따른 사용자의 이물감이나 찝찝함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폴리우레탄 도트층(214)을 제조할 때, 원사에 추가적으로 세라믹 입자 또는 스판 소재 등이 더 포함되어 혼합 방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폴리우레탄 도트층(214)에는 세라믹 입자 또는 스판 소재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생리용 기능성 속옷은 우수한 소취능을 가진다.
상기 우수한 소취능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 1 흡수포(210)는 소정의 소취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제 1 흡수포(210)는 유기 및 무기 향균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시에서, 상기 제 1 흡수포(210)는 금속 프탈로시아닌 및 산화아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속 프탈로시아닌 및 산화아연은, 예를 들면 소취 마스터 배치 형태로 제조되어 원사 방사 시 혼합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시에서, 상기 제 1 흡수포(210)는 티아졸일 벤즈이미다졸(2-(4-thiazolyl)benzimidazole과 폴리헥사메틸렌 비구아니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polyhexamethylene biguanide hydrochloriude) 및 하기 화학식 1의 파우더를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8088679146-pat00001
또 다른 예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생리용 기능성 속옷은 상기 생리혈 흡수 영역(200)의 가장자리를 봉제하고, 단위 질량(g) 당 암모니아 탈취율이 3mg 내지 10mg의 범위 내에 있는 소취실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생리용 기능성 속옷은 제 1 흡수포(210) 내 유기 및 무기 향균제의 첨가와, 생리혈 흡수 영역의 가장자리를 봉제하는 소취실의 구성을 동시에 포함함으로써, 오랜 시간 착용하더라도 생리혈 또는 질 분비물에 의한 냄새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생리용 기능성 속옷은 또한, 생리혈 샘 방지 라인(300)을 포함한다. 상기 생리혈 샘 방지 라인(300)은, 도 6 a 및 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 3 나일론 시트(310), 및 상기 제 3 나일론 시트(310)의 양측 또는 어느 일측에 존재하는 제 3 및 제 4 방수포(320,330)를 포함한다.
상기 생리혈 샘 방지 라인(300)은 제 1 및 제 2 방수포(130,23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인 제 3 및 제 4 방수포(320,330)를 나일론 시트의 양측 또는 어느 일측에 위치시킴으로써, 생리혈 또는 질 분비물이 새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생리혈 샘 방지 라인(300)은, 도 6a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제 3 및 제 4 방수포(320,330)을 제 3 나일론 시트(310)의 어느 일측에 위치시킬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상기 생리혈 샘 방지 라인(300)은, 도 6b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제 3 및 제 4 방수포(320,330)을 제 3 나일론 시트(310)의 양측에 위치시킬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이중의 방수포를 나일론 시트와 함께 포함시키는 경우, 생리혈의 샘 방지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
한편, 제 3 및 제 4 방수포(320,330)는 제 1 및 제 2 방수포(130,230)와 마찬가지로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포함하는 제 1 층(131); 폴리우레탄계 수지를 포함하는 제 2 층(133); 및 상기 제 1 층(131) 및 제 2 층(133) 사이에 존재하는 폴리우레탄계 수성 접착제층(132)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생리혈 샘 방지 라인(300)은 스판 소재를 배제하여 반복 세탁 및 장기간 착용에 의한 늘어남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생리혈 샘 방지 라인(300)은 스판 소재를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생리용 기능성 속옷은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둔부 흡수 영역의 상단에 존재하고, 사용자의 허리 부위를 감싸는 허리 밴드 영역(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허리 밴드 영역(400)은, 예를 들면 나일론 및 폴리우레탄이 혼합되어 있을 수 있다.
더 구체적인 예시에서, 상기 허리 밴드 영역(400)은 나일론 100 중량부 대비 폴리우레탄 20 중량부 내지 40 중량부의 비율로 포함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비율 내에서 적절한 스판성 및 착용감을 확보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생리용 기능성 속옷에 대해 도면을 예시로 설명하였으나, 상기는 본 발명에 따른 일례에 불과할뿐 이며, 본 발명의 주요 기술적 사상을 포함하는 균등물 내지는 동일성 범주의 치환물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게 자명하다.
10 : 다단 후크부
11 : 제 1 다단 후크
12 : 제 2 다단 후크
100 : 둔부 흡수 영역
110 : 면사층
120 : 제 1 나일론 시트
130 : 제 1 방수포
131 : 제 1 층
132 : 폴리우레탄계 수성 접착제층
133: 제 2 층
200 : 생리혈 흡수 영역
210 : 제 1 흡수포
211 : 제 1 흡수층
212 : 제 2 흡수층
213 : 제 3 흡수층
214 : 폴리우레탄 도트층
220 : 제 2 나일론 시트
230 : 제 2 방수포
300 : 생리혈 샘 방지 라인
310 : 제 3 나일론 시트
320, 330 : 제 3, 4 방수포
400 : 허리 밴드 영역

Claims (9)

  1. 정면부 양측에 각각 존재하는 제 1 다단 후크 및 제 2 다단 후크를 포함하는 다단 후크부를 포함하는 생리용 기능성 속옷으로서,
    40 내지 120수의 코마사 또는 카드사인 면을 포함하는 면사층, 상기 면사층의 이면에 존재하는 제 1 나일론 시트, 및 상기 면사층과 상기 제 1 나일론 시트 사이에 존재하는 제 1 방수포를 포함하는 둔부 흡수 영역;
    상기 둔부 흡수 영역의 하단에 위치하고, 사용자의 피부 접촉면에 존재하는 제 1 흡수포, 상기 제 1 흡수포의 이면에 존재하는 제 2 나일론 시트, 및 상기 1 흡수포와 상기 제 2 나일론 시트 사이에 존재하는 제 2 방수포를 포함하는 생리혈 흡수 영역; 및
    상기 생리혈 흡수 영역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고, 제 3 나일론 시트, 및 상기 제 3 나일론 시트의 양측 또는 어느 일측에 존재하는 제 3 및 제 4 방수포를 포함하는 생리혈 샘 방지 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흡수포는,
    하기 일반식 1을 만족하고 사용자의 피부 접촉면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위치하는 제 1 내지 제 3 흡수층을 포함하는 생리용 기능성 속옷:
    [일반식 1]
    D1>D2>D3
    상기 일반식 1에서, D1은 제 1 흡수층에 존재하는 섬유 원사의 섬도이고, D2는 제 2 흡수층에 존재하는 섬유 원사의 섬도이며, D3는 제 3 흡수층에 존재하는 섬유 원사의 섬도이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다단 후크 및 제 2 다단 후크는,
    후크 부재 및 상기 후크 부재와 결합되어 일체화되는 루프를 적어도 2개 이상 포함하는 생리용 기능성 속옷.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4 방수포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포함하는 제 1 층;
    폴리우레탄계 수지를 포함하는 제 2 층; 및
    상기 제 1층 및 제 2 층 사이에 존재하는 폴리우레탄계 수성 접착제층을 포함하는 생리용 기능성 속옷.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흡수포의 상기 제 1 내지 제 3 흡수층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포함하는 생리용 기능성 속옷.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흡수포는,
    요철 구조를 가지는 폴리우레탄 도트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요철 구조를 가지는 폴리우레탄 도트층의 어느 일면은 상기 제 1 흡수층이 위치하고, 다른 면은 사용자의 피부 접촉면과 직접 접하는 생리용 기능성 속옷.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흡수포는,
    하기 일반식 2를 만족하는 생리용 기능성 속옷:
    [일반식 2]
    ρ1>ρ2>ρ3
    상기 일반식 2에서, ρ1은 제 1 흡수층의 공극율(%)이고, ρ2는 제 2 흡수층의 공극율(%)이며, ρ3은 제 3 흡수층의 공극율(%)이다.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흡수포의 제 1 내지 제 3 흡수층은,
    세라믹 입자를 1 내지 3%의 비율로 함유하는 원사를 이용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 1 흡수포는 10 nm 내지 700nm 범위 내 파장의 광에 대한 차단율이 80% 내지 95%의 범위 내에 있는 생리용 기능성 속옷.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생리혈 흡수 영역의 가장자리를 봉제하고, 단위 질량(g) 당 암모니아 탈취율이 3mg 내지 10mg의 범위 내에 있는 소취실을 포함하는 생리용 기능성 속옷.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둔부 흡수 영역의 상단에 존재하고, 사용자의 허리 부위를 감싸는 허리 밴드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허리 밴드 영역은 나일론 100 중량부 대비 폴리우레탄 20 중량부 내지 40 중량부의 비율로 포함하는 생리용 기능성 속옷.
KR1020180106429A 2018-09-06 2018-09-06 다단 후크부를 포함하는 생리용 기능성 속옷 KR1019194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6429A KR101919405B1 (ko) 2018-09-06 2018-09-06 다단 후크부를 포함하는 생리용 기능성 속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6429A KR101919405B1 (ko) 2018-09-06 2018-09-06 다단 후크부를 포함하는 생리용 기능성 속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9405B1 true KR101919405B1 (ko) 2018-11-16

Family

ID=64565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6429A KR101919405B1 (ko) 2018-09-06 2018-09-06 다단 후크부를 포함하는 생리용 기능성 속옷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940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82381A (en) * 2019-04-17 2020-09-23 Aishah Lawal Funmi Undergarments
KR20220039868A (ko) * 2020-09-21 2022-03-30 추현희 여성용 위생 팬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46181A (ja) 2003-07-29 2005-02-24 Chairudo:Kk 生理用ショーツ
JP2006002255A (ja) 2004-05-18 2006-01-05 Yamashiroya:Kk 下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46181A (ja) 2003-07-29 2005-02-24 Chairudo:Kk 生理用ショーツ
JP2006002255A (ja) 2004-05-18 2006-01-05 Yamashiroya:Kk 下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82381A (en) * 2019-04-17 2020-09-23 Aishah Lawal Funmi Undergarments
GB2582381B (en) * 2019-04-17 2021-04-21 Aishah Lawal Funmi Undergarments
KR20220039868A (ko) * 2020-09-21 2022-03-30 추현희 여성용 위생 팬티
KR102487429B1 (ko) * 2020-09-21 2023-01-11 추현희 여성용 위생 팬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42197B1 (en) An integrated, washable and reusable three-dimensional (3d) multifunctional knitted fabric structure and method to produce the same
EP1561441B1 (en) Launderable, leak-proof, breathable fabric and articles made therefrom
CA2375567C (en) Anti-microbial fiber and fibrous products
CN220280746U (zh) 吸湿层和用于防护服的衬料
Ajmeri et al. Developments in the use of nonwovens for disposable hygiene products
KR101919405B1 (ko) 다단 후크부를 포함하는 생리용 기능성 속옷
KR102055058B1 (ko) 세탁가능한 여성용 위생팬티
WO2019027318A1 (en) INCONTINENCE TOWEL WITH MOISTURE MANAGEMENT
JP3607276B1 (ja) おむつ
US9301886B2 (en) Reusable sanitary pad
KR101898199B1 (ko) 생리용 기능성 속옷
EP2412353A2 (en) Panty with washable integrated absorbent element
CN208447934U (zh) 一种超透气安心裤
EP1486190A1 (en) Body fluid absorbing product, and diaper
JP7026417B2 (ja) サニタリー機能性ショーツ
KR100797491B1 (ko) 음순간 패드
EP4147869A1 (en) Absorbent structure for items of clothing, operating method and uses thereof
JP3732377B2 (ja) 衛生用植毛シート
US20110264066A1 (en) Reusable incontinence product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H10323372A (ja) 介護用シーツ
CN214759290U (zh) 可降解口罩
CN219940956U (zh) 一种具有除臭性能的保健纺织面料
CN212940193U (zh) 一种临时护理用的一次性护理垫
CN2506233Y (zh) 失禁垫
JP2003301358A (ja) 分割型複合繊維からなる吸水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