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9016B1 -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무선 디바이스 및 무선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등록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무선 디바이스 및 무선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등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9016B1
KR101919016B1 KR1020180003461A KR20180003461A KR101919016B1 KR 101919016 B1 KR101919016 B1 KR 101919016B1 KR 1020180003461 A KR1020180003461 A KR 1020180003461A KR 20180003461 A KR20180003461 A KR 20180003461A KR 101919016 B1 KR101919016 B1 KR 1019190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signal
wireless network
network
household
wire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3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9050A (ko
Inventor
박성만
최영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03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9016B1/ko
Publication of KR201800090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90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90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90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B65D81/341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specially adapted to be heated in hot water, e.g. boil pouch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11Arrangements specific to free-space transmission, i.e. transmission through air or vacuum
    • H04B10/114Indoor or close-range type systems
    • H04B10/1149Arrangements for indoor wireless networking of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11Arrangements specific to free-space transmission, i.e. transmission through air or vacuum
    • H04B10/114Indoor or close-range type systems
    • H04B10/116Visible light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어느 세대 내에 위치해 있는 디바이스를 상기 세대에 구축된 무선 네트워크에 등록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세대 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조명 장치로부터 상기 세대에 구축된 무선 네트워크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광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광신호에 포함된 네트워크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세대에 구축된 네트워크에 등록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무선 디바이스 및 무선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등록 방법{Wireless network system, wireless device and registering method of the wireless device}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무선 디바이스 및 무선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등록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바이스를 무선 네트워크에 등록하기 위한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및 디바이스에 관련된 기술이다.
무선 네트워크의 중요성은 날이 갈수록 증대되는 추세이며 그 적용 분야 또한 매우 다양하다. 특히,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및 무선 센서 네트워크(wireless sensor network, WSN) 관련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댁내 정보를 자동으로 수집하고 통합 관리하는 홈 네크워크 구축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홈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댁내의 각종 전자제품 등을 네트워크에 연결하고 통합하여 관리해야 한다. 따라서, 각종 디바이스들을 무선 네트워크에 등록하는 방법 및 접속된 디바이스들을 관리하는 방법에 대한 개발의 필요성이 높다.
세대 내에 설치된 조명을 이용하여 별도의 등록 절차 없이 간편하게 디바이스를 무선 네트워크에 등록시킬 수 있는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무선 디바이스 및 무선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등록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느 세대 내에 위치해 있는 디바이스가 상기 세대에 구축된 무선 네트워크에 등록하는 방법은, 상기 세대 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조명 장치로부터 상기 세대에 구축된 무선 네트워크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광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광신호에 포함된 네트워크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세대에 구축된 네트워크에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디바이스의 현재 위치에서 가용한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를 스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네트워크에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스캔된 네트워크들 중 상기 수신된 광신호에 포함된 네트워크의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네트워크에 등록하는 것일 수 있다.
또는 이때, 상기 광신호는 상기 광신호를 송출하는 조명 장치의 위치 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에 등록이 완료되면 상기 광신호에 포함된 위치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에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이때, 상기 광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세대 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조명 장치에 광신호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광신호 요청에 따라 상기 조명 장치가 송출한 광신호를 수신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느 세대에 구축된 무선 네트워크에 등록하기 위한 디바이스는, 상기 세대 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조명 장치로부터 송출된 광신호를 수신하는 광 수신부; 상기 수신한 광신호를 해석하여 상기 세대에 구축된 무선 네트워크의 식별 정보를 얻는 광신호 해석부; 및 상기 네트워크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세대에 구축된 네트워크에 등록하는 무선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디바이스의 현재 위치에서 가용한 적어도 하나의 무선 네트워크를 스캔하는 네트워크 스캔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무선 통신부는 상기 네트워크 스캔부에서 스캔된 무선 네트워크들 중 상기 광신호 해석부에서 얻은 네트워크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네트워크에 등록할 수 있다.
또는 이때, 상기 광신호 해석부는 상기 수신한 광신호를 해석하여 상기 광신호를 송출한 조명 장치의 위치 정보를 얻으며, 상기 무선 통신부는 상기 조명 장치의 위치 정보를 상기 등록한 네트워크에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이때, 상기 무선 통신부는 상기 세대 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조명 장치에 광신호를 요청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느 세대 내에 설치되는 조명 장치는, 광을 생성하는 광 생성부; 및 상기 광 생성부의 광 생성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광의 밝기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대에 구축된 무선 네트워크의 식별 정보를 나타내는 패턴으로 상기 광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광의 온/오프 주파수는 사용자에 의해 인식될 수 없는 점멸 주파수의 이상일 수 있다.
또는 이때, 상기 무선 네트워크의 식별 정보를 외부로부터 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느 세대에 구축된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은, 상기 세대 내에 설치되며, 상기 세대에 구축된 무선 네트워크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광신호를 송출하는 조명 장치; 상기 광신호를 수신한 디바이스로부터 등록 요청을 수신하는 게이트웨이; 및 상기 등록 요청에 따라 상기 디바이스의 등록을 허용하는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광신호는 상기 광신호를 송출한 조명 장치의 위치 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서버는 접속을 허용한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조명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상기 디바이스에 대한 위치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또는 이때, 상기 서버는 상기 세대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조명 장치에 상기 세대에 구축된 무선 네트워크의 식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이때, 상기 조명 장치는 디바이스가 광신호를 요청하는 경우에 광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대 내 네트워크에서 디바이스의 등록 방법은, 디바이스에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 상기 디바이스에서 네트워크를 스캔하는 단계; 상기 디바이스를 조명하는 조명 장치로부터 상기 세대 내 네트워크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광신호를 상기 디바이스가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의 스캔 결과와 상기 수신된 세대 내 네트워크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디바이스를 상기 세대 내 네트워크에 자동으로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광신호는 상기 조명 장치의 위치 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세대 내 네트워크에 등록이 완료되면 상기 광신호에 포함된 상기 위치 정보를 상기 세대 내 네트워크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된 바에 따르면, 각각의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광신호를 수신하고 자동으로 접속 요청을 함으로써 별도의 등록 절차 없이 디바이스에 전원을 인가하는 것만으로도 간편하게 디바이스를 무선 네트워크에 등록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무선 네트워크에 자동으로 전송할 수 있으며 만약 디바이스의 위치가 변경된 경우에는 변경된 위치 정보를 무선 네트워크에 자동으로 전송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무선 네트워크에 연결된 디바이스들을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광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조명(110)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가 둘 이상의 네트워크가 접속 가능한 위치에 놓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신호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신호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120)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의 등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의 등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들의 특징을 보다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사항들에 관해서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은 댁내(100)에 설치된 다수의 조명(illumination) 장치들(110a, 110b, 110c), 게이트웨이(130) 및 서버(140)를 포함할 수 있다.
댁내(100)에 설치된 다수의 조명 장치들(110a, 110b, 110c)은 무선 네트워크에 등록하기 위한 디바이스들(120a, 120b, 120c, 120d))에 정보가 포함된 광(light)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이때, 광신호에 포함되는 정보는 무선 네트워크를 식별하기 위한 네트워크 식별 정보 또는 네트워크 식별 정보 및 조명 장치들(110a, 110b, 110c)이 위치한 위치에 대한 위치 정보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댁내(100)에 설치된 조명 장치들(110a, 110b, 110c)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식별 정보 및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광신호를 디바이스들(120a, 120b, 120c, 120d)에 송출함으로써 추가적으로 광신호를 송출하는 수단을 구비할 필요 없이 이미 구축된 인프라를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조명 장치들(110a, 110b, 110c)을 통해 광신호를 송출하더라도 일반 조명으로써의 기능을 수행하는데 전혀 문제가 없는데 이에 대해서는 이하 도 2에 대한 설명 부분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게이트웨이(130) 및 서버(140)는 무선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한 구성들로 도 1에서는 외부에 있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댁내(100)에 위치하여 무선 네트워크를 구성 및 관리할 수도 있다.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디바이스들(120a, 120b, 120c, 120d)은 댁내(100)의 각기 다른 위치에 설치되어 운용될 수 있다. 댁내(100)의 각 위치에 설치된 디바이스들(120a, 120b, 120c, 120d)은 해당 위치에서 수신 가능한 광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그리고 수신한 광신호에 포함된 정보들을 이용하여 무선 네트워크에 등록하거나, 위치 정보를 네트워크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 D(120d)가 거실에 신규 설치되어 무선 네트워크에 등록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디바이스 D(120d)는 전원이 인가되면 접속 가능한 무선 네트워크가 있는지 스캔하고, 거실에 위치한 조명 장치(110c)가 송출한 광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광신호를 수신한 디바이스 D(120d)는 수신한 광신호를 해석하여 광신호에 포함된 네트워크 식별 정보 또는 조명 장치(110c)의 위치 정보를 알아낼 수 있다. 이때, 네트워크 식별 정보는 해당 무선 네트워크를 식별하기 위한 PAN(Personal Area Network) ID일 수 있으며, 조명 장치(110c)의 위치 정보는 해당 조명이 위치한 곳에 대한 정보, 즉 거실에 위치한 조명 장치(110c)의 경우 "거실"일 수 있다. 디바이스 D(120d)는 수신한 광신호에 포함된 네트워크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무선 네트워크에 등록을 시도하고, 등록이 완료되면 수신한 광신호에 포함된 위치 정보, 즉 "거실"을 접속된 네트워크에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식별 정보에 의해 파악된 무선 네트워크의 게이트웨이(130)에 등록 요청을 전송하면, 게이트웨이(130)는 디바이스 D(120d)에 주소를 할당하여 디바이스 D(120d)의 등록을 완료한다. 즉, 별도의 등록 절차 없이 디바이스 D(120d)는 자동으로 자신이 등록을 해야할 무선 네트워크를 인식하고 이에 등록을 시도함으로써 등록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등록이 완료된 디바이스 D(120d)는 수신한 광신호에 포함된 위치 정보("거실")를 게이트웨이(130)에 전송하면 게이트웨이(130)는 이를 서버(140)에 전송하고, 서버(140)는 이를 디바이스 D(120d)에 대한 위치 정보로써 저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기존에 구축되어 있는 인프라인 댁내(100)의 조명 장치들(110a, 110b, 110c)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식별 정보 및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광신호를 송출하고, 이를 수신한 디바이스들(120a, 120b, 120c, 120d)이 수신한 광신호에 포함된 네트워크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무선 네트워크에 등록하고 위치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별도의 등록 절차 없이 디바이스들(120a, 120b, 120c, 120d)에 전원을 인가하는 것 만으로 간편하게 디바이스들(120a, 120b, 120c, 120d)을 무선 네트워크에 등록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은 특히 디바이스들의 네트워크 등록이 용이해야하고, 네트워크에 접속된 각 디바이스들의 위치 정보를 필요로 하는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에 그 활용도가 높을 것이다. 또한, 무선 네트워크를 구현하기 위한 통신 방식에 있어서 디바이스들로부터 적은 용량의 데이터를 수시로 수신해야 하는 홈 네트워크의 특성상 지그비(ZigBee)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의 홈 네트워크 시스템 또는 다른 방식의 무선 통신 방식에도 적용이 가능함은 당연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광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조명 장치(110)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광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조명 장치(110)는 제어부(112) 및 광 생성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2)는 임의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광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어를 수행한다. 이러한 제어부(112)는 광 생성부(114)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 장치(switched-mode power supply, SMPS)를 포함하고,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 장치로부터 광 생성부(114)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12)는 광 생성부(114)에서 생성되는 광의 온/오프를 일정 주파수로 제어함으로써 광의 밝기를 제어하는 동시에 무선 네트워크의 식별 정보를 나타내는 패턴의 형태로 광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12)는 광의 온/오프 주파수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없을 정도로 높은 주파수로 생성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조명 장치(110)가 일반 조명으로써의 기능을 수행하는데 문제가 없도록 한다. 본 실시예의 조명 장치(110)를 디밍(dimming) 제어가 가능한 LED 조명이라고 가정하여 설명한다면, 제어부(112)는 광 생성부(114)에서 일정 패턴을 가진 형태로 광이 발생되도록 LED 조명의 디밍을 제어한다. 즉, 무선 네트워크를 식별하기 위한 네트워크 식별 정보 또는 LED 조명이 위치한 위치 정보를 포함하도록 패턴화된 광을 발생한다. 이때, 사람이 조명의 깜박임을 인지할 수 없는 200Hz 이상의 주파수로 디밍 제어를 함으로써 LED 조명은 특정 정보를 포함하는 광신호를 송출하지만 일반 조명으로써의 기능을 수행하는 데 문제가 없게 된다. 또한, 디밍 제어를 통하여 특정 정보를 포함하는 광신호를 송출하면서도 조명을 원하는 밝기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광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조명 장치(110)는 통신부(111)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통신부(111)는 댁내에 구축된 무선 네트워크의 식별 정보를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의 서버로부터 전송받아 이를 제어부(112)에 출력함으로써 제어부(112)는 댁내에 구축된 무선 네트워크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광신호를 생성하도록 광 생성부(114)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가 둘 이상의 네트워크가 접속 가능한 위치에 놓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디바이스(120)는 두 개의 무선 네트워크, 즉 네트워크 1 및 네트워크 2에 접속이 가능한 위치에 존재한다. 따라서, 디바이스(120)가 접속 가능한 네트워크를 스캔하면 네트워크 1 및 네트워크 2가 모두 스캔되게 된다. 하지만, 디바이스(120)가 등록해야할 네트워크가 네트워크 2라고 가정한다면 디바이스(120)는 네트워크 2를 특정하여 등록 요청을 전송하여야 하는데 디바이스(120)가 등록되어야 할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라면 사용자가 일일이 수작업으로 네트워크 2를 지정하여야 한다. 그런데 본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120)는 등록해야 할 네트워크인 네트워크 2에 대한 네트워크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광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해석함으로써 검색된 네트워크들(네크워크 1 및 네트워크 2) 중에서 네트워크 2를 지정하여 등록 요청을 할 수 있다. 이때, 광신호에 포함된 네트워크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등록할 네트워크를 지정하므로 사용자가 이를 일일이 지정해줄 필요가 없다. 또한, 동시에 여러개의 네트워크가 접속 가능한 위치에 디바이스(120)가 놓인 경우라도 디바이스(120)는 등록해야할 네트워크를 정확하게 지정하여 등록을 할 수가 있다. 따라서, 이웃집에 구축된 무선 네트워크와 혼동하여 잘못된 무선 네트워크에 등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장점은 특히 2.4GHz의 높은 파장대를 사용하는 지그비 방식 등에 있어서 그 효용성이 높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신호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신호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조명 장치(110)는 일반적으로 낮에는 구동되지 않는 등 항상 광신호를 송출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조명 장치(110)가 구동되는 동안에는 항상 광신호를 송출하도록 한다면 광신호가 필요하지 않은 순간에도 이를 생성하기 위해 전력이 낭비되고 조명의 효율성이 떨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광신호에 대한 요청이 있는 경우에만 광신호를 송출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도 4에서는 조명 장치(110)가 구동되는 동안 항상 광신호를 송출하는 실시예를 도시하였고, 도 5에서는 광신호에 대한 요청이 있는 경우에만 광신호를 송출하는 실시예를 도시하였다.
도 4를 참조하면, 조명 장치(110)는 별도의 요청 없이 항상 광신호를 송출한다. 그러면 이를 수신한 디바이스(120)는 게이트웨이(130)에 등록 요청을 하고, 게이트웨이(130)는 디바이스(120)로부터 등록 요청을 수신하면 디바이스(120)에 주소를 할당한다. 그리고 디바이스(120)는 무선 네트워크에의 등록이 완료되면 수신한 광신호에 포함된 위치 정보를 무선 네트워크에 전송하게 된다.
이에 반해 도 5를 참조하면, 조명 장치(110)는 별도의 요청이 없으면 광신호를 송출하지 않는다. 디바이스(120)는 무선 네트워크에 등록을 하기 위한 정보를 얻기 위하여 게이트웨이(130)에 광신호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 이를 수신한 게이트웨이(130)는 조명 장치(110)에 광신호 요청 신호를 전달하고, 광신호 요청 신호를 수신한 조명 장치(110)는 광신호를 송출하게 된다. 이후의 과정은 도 4에서 디바이스(120)가 광신호를 수신한 이후와 동일하다. 이와 같이, 디바이스(120)로부터 광신호 요청 신호가 있는 경우에만 조명 장치(110)는 광신호를 송출함으로써 불필요한 광신호 송출을 방지하며, 조명이 동작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도 광신호 요청에 따라 일시적으로 광신호를 송출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광신호 요청을 전송하기 위한 게이트웨이(130)와 조명 장치(110)간의 통신 연결은 유선 또는 무선의 어떤 통식 방식에 의하여도 가능하고, 특히 조명 장치(110)에 연결된 전력선을 이용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에 의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120)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120)는 광 수신부(121), 광신호 해석부(122), 네트워크 스캔부(123) 및 무선 통신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광 수신부(121)는 광신호를 수신하며 따라서 광센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광신호 해석부(122)는 광 수신부(121)에서 수신한 광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해석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광신호 해석부(122)에서 수신한 광신호를 해석함으로써 광신호에 포함된 네트워크 식별 정보 또는 위치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네트워크 스캔부(123)는 디바이스(120)가 위치한 곳에서 접속이 가능한 무선 네트워크들을 검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렇게 네트워크 스캔부(123)에서 스캔된 접속 가능한 무선 네트워크들 중 광신호 해석부(122)에서 광신호를 해석하여 얻은 네트워크 식별 정보와 일치하는 무선 네트워크가 있다면 무선 통신부(124)는 해당 네트워크에 등록 요청을 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24)는 또한, 디바이스(120)가 무선 네트워크에 등록된 경우 광신호 해석부(122)에서 광신호를 해석하여 얻는 위치 정보를 해당 네트워크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부(124)는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 광신호를 송출해줄 것을 요청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의 등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특히,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의 등록 방법을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단계들을 중심으로 구성한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의 등록 방법은 광신호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S701)로부터 시작될 수 있다. 물론, 광신호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으며 이는 상기 도 4 및 도 5의 설명부분에서 살펴본 바와 같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은 광신호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네트워크 식별 정보 및 위치 정보를 포함한 광신호를 송출한다.(S703) 그리고 광신호를 수신한 디바이스로부터 네트워크에 대한 등록 요청을 수신하고(S705), 해당 디바이스에 주소를 할당함으로써 디바이스의 등록을 완료한다.(S707) 등록이 완료된 디바이스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면(S709), 시스템에 디바이스에 대한 위치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지 판단한 후(S711) 저장되어 있지 않다면 수신한 위치 정보를 디바이스에 대한 위치 정보로써 저장하는 위치 정보 갱신 단계(S715)를 수행한다. 반대로 시스템에 디바이스에 대한 위치 정보가 이미 저장되어 있다면, 저장된 디바이스에 대한 위치 정보가 수신한 위치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713)로 진행한다. 판단 결과 저장된 디바이스에 대한 위치 정보가 수신한 위치 정보와 일치한다면 단계를 종료하고, 저장된 디바이스에 대한 위치 정보가 수신한 위치 정보와 일치하지 않는다면 위치 정보 갱신 단계(S715)를 수행하여 수신한 위치 정보를 디바이스에 대한 새로운 위치 정보로 저장한다. 이와 같이, 디바이스가 무선 네트워크에 등록될 때마다 디바이스에 대한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갱신함으로써 댁내에서 디바이스가 위치를 이동하여 새로 설치된 경우에도 별도의 위치 정보 수정 작업 없이 정확한 위치 정보를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의 등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특히,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의 등록 방법을 디바이스에서 수행되는 단계들을 중심으로 구성한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의 등록 방법은 디바이스에 전원을 인가함으로써 시작되게 된다.(S801) 디바이스는 전원이 인가되면 자동으로 접속 가능한 무선 네트워크를 스캔하게 된다.(S803) 상기 S803 단계를 수행하여 스캔된 무선 네트워크들 중 어떤 무선 네트워크에 등록해야할 지 판단하기 위해서는 등록해야할 네트워크에 대한 네트워크 식별 정보가 필요하다. 따라서,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식별 정보를 얻기 위해서 네트워크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광신호를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S805) 물론, 광신호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으며 이는 상기 도 4 및 도 5의 설명부분에서 살펴본 바와 같다. 광신호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광신호가 송출되면 디바이스는 이를 수신하고 수신한 광신호에 포함된 정보들을 해석한다.(S807) 디바이스는 광신호를 해석한 결과 네트워크 식별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어서 디바이스는 광신호를 해석하여 얻은 네트워크 식별 정보와 일치하는 무선 네트워크가 상기 S803 단계에서 검색된 접속 가능한 무선 네트워크들 중에 있는지 확인하고, 일치하는 무선 네트워크가 있다면 해당 무선 네트워크게 등록을 요청한다.(S809) 등록 요청을 한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으로부터 주소를 할당받음으로써 해당 무선 네트워크에의 등록이 완료되게 된다.(S811) 등록이 완료되면 디바이스는 수신한 광신호를 해석하여 얻은 위치 정보를 접속된 무선 네트워크에 전송할 수 있다.(S813)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조명 112: 구동 제어부
114: 광 발생부 120: 디바이스
121: 광 수신부 122: 광신호 해석부
123: 네트워크 검색부 124: 무선 통신부

Claims (7)

  1. 어느 세대 내에 설치되는 조명 장치에 있어서,
    광을 생성하는 광 생성부;
    상기 광 생성부의 광 생성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광의 밝기를 조절하는 제어부; 및
    무선 네트워크의 식별정보를 외부로부터 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대에 구축된 상기 무선 네트워크의 식별 정보를 나타내는 패턴으로 상기 광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조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의 온/오프 주파수는 사용자에 의해 인식될 수 없는 점멸 주파수의 이상인 조명 장치.
  3. 삭제
  4. 어느 세대에 구축된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세대 내에 설치되며, 상기 세대에 구축된 무선 네트워크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광신호를 송출하는 조명 장치;
    상기 광신호를 수신한 디바이스로부터 등록 요청을 수신하는 게이트웨이; 및
    상기 등록 요청에 따라 상기 디바이스의 등록을 허용하고 상기 세대 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조명 장치에 상기 세대에 구축된 무선 네트워크의 식별 정보를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광신호는 상기 광신호를 송출한 조명 장치의 위치 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등록을 허용한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조명 장치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상기 디바이스에 대한 위치 정보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6. 삭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장치는 디바이스가 광신호를 요청하는 경우에 광신호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KR1020180003461A 2018-01-10 2018-01-10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무선 디바이스 및 무선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등록 방법 KR1019190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3461A KR101919016B1 (ko) 2018-01-10 2018-01-10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무선 디바이스 및 무선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등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3461A KR101919016B1 (ko) 2018-01-10 2018-01-10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무선 디바이스 및 무선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등록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0625A Division KR101850815B1 (ko) 2011-03-08 2011-03-08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무선 디바이스 및 무선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등록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9050A KR20180009050A (ko) 2018-01-25
KR101919016B1 true KR101919016B1 (ko) 2018-11-16

Family

ID=61093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3461A KR101919016B1 (ko) 2018-01-10 2018-01-10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무선 디바이스 및 무선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등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901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35250A (ja) * 2006-02-27 2007-09-13 Nakagawa Kenkyusho:Kk 無線lanの初期設定を行う光設定器及び該光設定器により無線lanの初期設定が行われる情報家電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35250A (ja) * 2006-02-27 2007-09-13 Nakagawa Kenkyusho:Kk 無線lanの初期設定を行う光設定器及び該光設定器により無線lanの初期設定が行われる情報家電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9050A (ko) 2018-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0815B1 (ko)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무선 디바이스 및 무선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등록 방법
AU2012226732A1 (en) Wireless network system, wireless device, and network registration method of the wireless device
US10205606B2 (en) Mesh over-the-air (OTA) luminaire firmware update
US10348514B2 (en) Mesh over-the-air (OTA) driver update using site profile based multiple platform image
CA3024227C (en) Heuristic optimization of performance of a radio frequency nodal network
US10181901B2 (en) Determining encoding schemes for formatting output signals of light-based communication enabled luminaires
US11026050B2 (en) Self-healing in a luminaire or other radio frequency positioning node based system
US11051386B2 (en) Distributed intelligent network-based lighting system
JP2014001987A (ja) 位置検出システム、及び位置検出方法
CN109716866A (zh) 无线灯具配置
CN110326270A (zh) 多跳通信网络的节点,相关照明系统,更新照明模块的软件的方法和计算机程序产品
CA2970362A1 (en) Mesh over-the-air (ota) luminaire firmware update
KR101919016B1 (ko)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무선 디바이스 및 무선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등록 방법
KR101455571B1 (ko) 원패스태그를 이용한 주차장 조명 제어 시스템 및 방법
JP6409884B2 (ja) 位置検出システム、及び位置検出方法
KR20080110941A (ko) 이동 통신 모뎀 및 무선 근거리 통신 모듈을 구비한게이트웨이 장치를 활용한 온실 관리 방법
JP2017158035A (ja) 機器制御システム、機器制御装置、及び機器制御方法
KR20180092695A (ko) Pstn을 이용한 제어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