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8778B1 - 이차전지 - Google Patents

이차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8778B1
KR101918778B1 KR1020120125453A KR20120125453A KR101918778B1 KR 101918778 B1 KR101918778 B1 KR 101918778B1 KR 1020120125453 A KR1020120125453 A KR 1020120125453A KR 20120125453 A KR20120125453 A KR 20120125453A KR 101918778 B1 KR101918778 B1 KR 1019187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tab
terminal portion
elastic
insulating memb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5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8953A (ko
Inventor
공명철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254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8778B1/ko
Priority to PCT/KR2013/010073 priority patent/WO2014073880A1/ko
Publication of KR201400589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89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87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87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84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 H01M50/59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protection means
    • H01M50/593Spacers; Insulating pl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84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 H01M50/588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outside the batteries, e.g. incorrect connections of terminals or busba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10Temperature sensitive devices
    • H01M2200/106PT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이는, 전극탭과; 상기 전극탭에 고정되며 외부의 회로와 접속되는 단자부와; 상기 단자부에 고정되며, 상기 전극탭이 단자부로부터 분리 이격됨에 연동하여, 전극탭과 단자부의 사이로 끼어들어 단자부에 대한 전극탭의 재접촉을 방지하는 탄성절연부재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는, 단자부로부터 전극탭이 분리됨에 연동하여 전극탭이 단자부와 재접속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그만큼 안전하고 구조가 간단하며 신뢰성이 높다.

Description

이차전지{Secondary Battery}
본 발명은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이차전지(二次電池)는 예컨대 스마트폰 등의 각종 휴대용 전자기기에서부터 최근 전기자동차에 이르기까지 그 적용분야가 확대되고 있으며, 계속적인 연구 개발을 통해 그 성능이 크게 개선되고 있다. 최근에 개발되는 이차전지는 종전의 재래식에 비해 작동전압이 높고 에너지 밀도가 매우 높다.
그런데, 상기 이차전지는, 오랜 시간동안 과충전 하게 되면, 양극 활물질과 전해액의 부반응이 일어나, 양극 활물질의 구조가 붕괴되며 전해액이 산화하고, 그에 따라 음극 활물질에서 리튬결정이 석출되어 폭발이나 발화할 위험성도 갖는다.
또한 일정한 온도 이상의 고온환경에 방치되면, 전극 활물질이 불안정한 상태로 활성화되고 전해액과 급격히 반응하면서 부풀어 올라 폭발하기도 한다. 상기한 이온전지의 폭발 및 발화 가능성은 이차전지의 충전상태에 따라 달라진다. 과하게 충전될수록 폭발 및 발화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이다.
이온전지가 부풀어 올라 폭발하는 것을 스웰링(swelling) 현상이라고 하는데, 이러한 스웰링현상은 이온전지의 과충전 뿐 아니라, 과방전이나 외부충격 등의 이유로 셀의 내부에서 분리막이 손상되었을 때 일어난다.
이러한 폭발과 발화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cy resistor)라 부르는 능동소자를 양극쪽에 직렬 연결하고, 상기 PTC의 내부 저항으로 하여금 과충전시 입력전류를 차단하게 하는 이른바 보호회로가 적용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PTC는, 이차전지로 흐르는 전류의 흐름을 억제하여, 전지가 더 이상 충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과충전시 이차전지의 온도가 상승할 경우에 입력전류를 차단하는 것일 뿐, 가령 이미 충전된 이차전기가 고온에 노출되었을 때에나, 과방전 되었을 때, 또는 외부의 충격을 받아 내부의 차단막이 손상되었을 때에 이차전지를 보호할 수는 없는 것이다.
상기한 방식과 다른 타입으로서, 전지모듈에서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여 바이메탈을 작동시켜 전류의 흐름을 차단하는 것도 있다. 가령 전기의 충방전이 가능한 전지모듈의 측부에, 바이메탈을 갖는 전류차단부를 설치하고, 상기 전류차단부로 하여금 전지모듈이 설정온도 이상으로 가열될 경우 전지모듈과 외부회로를 단절시키는 것이다. 상기 바이메탈은 전지모듈이 과열된 경우, 전지모듈 내부의 열을 전달받아 휘어짐으로써 접점과 도전판을 분리하여, 전지모듈(25)이 외부 회로와 물리적으로 분리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한 구조를 갖는 전류차단부는, 도전판에 대해 일시적으로 벌어진 것일 뿐 완전히 차단된 것이 아니므로, 여러 비정상적인 이유로 접점이 도전판에 다시 붙을 수 있다는 문제를 갖는다. 가령, 도전판이 접점을 향해 이동하거나. 전류차단부가 물리적 힘을 받아 찌그러질 경우 접점이 도전판에 다시 붙을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단자부로부터 전극탭이 분리됨에 연동하여 전극탭이 단자부와 재접속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그만큼 안전하고 구조가 간단하며 신뢰성이 높은 이차전지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는, 전극탭과; 상기 전극탭에 고정되며 외부의 회로와 접속되는 단자부와; 상기 단자부에 고정되며, 상기 전극탭이 단자부로부터 분리 이격됨에 연동하여, 전극탭과 단자부의 사이로 끼어들어 단자부에 대한 전극탭의 재접촉을 방지하는 탄성절연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탄성절연부재는; 상기 전극탭이 단자로부터 벌어질 때 전극탭으로부터 떨어져 단자부측으로 이동하여 단자부를 커버할 수 있도록, 상기 단자부에 고정된 상태로 그 일부가 상기 전극탭에 걸쳐진다.
또한, 상기 탄성절연부재는; 합성수지로 성형 제작되어 탄성 변형가능하고 일정두께의 플레이트의 형태를 취하는 것으로서, 상기 단자부에 접착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와 일체를 이루고, 상기 전극탭에 걸쳐진 상태로 대기하다가 전극탭이 단자부로부터 이격되는 순간 전극탭으로부터 떨어져 단자부측으로 옮아붙어 단자부를 커버하는 차단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탄성절연부재는; 합성수지로 성형 제작된 것으로서 탄성 변형 가능하고, 상기 단자부를 그 내부에 수용 고정하는 홀딩부와, 상기 홀딩부와 일체를 이루고 상기 전극탭에 걸쳐진 상태로 대기하며 전극탭이 단자부로부터 이격되는 순간 전극탭으로부터 떨어져 단자부측으로 옮아붙어 단자부를 커버하는 차단부를 구비한다.
아울러, 상기 차단부는 분할슬릿에 의해 서로에 대해 분할된 다수의 차단편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단자부에는 하나 이상의 지지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탄성절연부재는; 합성수지로 성형 제작된 것으로서 탄성 변형가능하고, 상기 지지구멍에 끼움 결합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와 일체를 이루고 상기 전극탭에 걸쳐진 상태로 대기하다가 전극탭이 단자부로부터 이격되는 순간 전극탭으로부터 떨어져 단자부측으로 옮아붙어 단자부를 커버하는 차단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탄성절연부재의 차단부에는, 차단부의 두께방향으로 돌출된 이격돌기가 더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는, 단자부로부터 전극탭이 분리됨에 연동하여 전극탭이 단자부와 재접속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그만큼 안전하고 구조가 간단하며 신뢰성이 높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여러 가지 종류의 탄성절연부재가 적용될 이차전지를 참고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탄성절연부재가 장착된 이차전지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은 상기 도 2에 도시한 탄성절연부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탄성절연부재가 적용된 이차전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상기 도 7에 도시한 탄성절연부재의 작동을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다.
도 10은 상기 도 7에 도시한 탄성절연부재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상기 도 7에 도시한 탄성절연부재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상기 도 7에 도시한 탄성절연부재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탄성절연부재가 적용된 이차전지를 부분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 내지 도 17은 상기 도 13에 도시한 탄성절연부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상기 도 13에 도시한 탄성절연부재의 다른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여러 가지 종류의 탄성절연부재가 적용될 이차전지(31)를 참고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기본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탄성절연부재는, 단자부와 접하는 전극탭이 있는 모든 종류의 파우치형 이차전지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차전지의 형식이나 용량에 구애받지 않는다.
도 1에 도시한 이차전지(31)에는 다수의 전지모듈(33)이 패키지화되어 있다. 특히 최외곽측 전지모듈의 전극탭(33a)은 단자부(35)와 면접 고정된 상태로 외부의 회로와 접속된다.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절연부재는, 상기 단자부(35)에 고정된 상태로 전극탭(33a)에 걸쳐진 탄성체로서, 스웰링현상이나 기타 비정상적인 이유로 인하여, 전극탭(33a)이 단자부(35)로부터 떨어져 벌어질 때, 전극탭(33a)과 단자부(35) 사이로 끼어들어가 단자부(35)를 커버하여 절연시키는 역할을 한다. 당연히 상기 탄성절연부재는 탄성과 절연성을 구비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전류차단디바이스(45)로서의 탄성절연부재(47)가 장착된 이차전지(41)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전지모듈(43)에 구비되어 있는 전극탭(43a)이 단자부(35)에 면접 고정되어 있고, 상기 단자부(35)에 탄성절연부재(47)가 적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단자부(35)는 일정두께를 갖는 띠형 구리판으로 절곡 제작된 것으로서, 전극탭(43a)과의 접촉을 유지하도록 어느 정도의 강성을 갖는다. 상기 단자부(35)는 전극탭(43a)에 밀착된 상태로 외부의 회로와 접속되어, 전지모듈(43)의 전력이 외부의 전력부하로 공급되도록 함과 아울러, 충전시 외부로부터 공급된 충전용 전력을 전지모듈(43)로 전달한다.
상기 탄성절연부재(47)는, 일정폭을 갖는 띠의 형태를 취하며 그 일부가 상기 단자부(35)의 일측면에 접착 고정된 상태로, 상기 전극탭(43a)의 상단부에 걸쳐져 있다.상기 탄성절연부재(47)의 폭은 경우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상기 탄성절연부재(47)는, 단자부(35)의 일측면에 접착 고정되는 고정부(47a)와, 상기 고정부(47a)에 일체를 이루며 단자부(35)에는 붙어 있지 않은 차단부(47b)와, 상기 차단부(47b)의 폭방향 단부에 형성된 이격돌기(47c)로 구성된다.
상기 탄성절연부재(47)는 고정부(47a)를 통해 일부만 단자부(35)에 고정되며 차단부(47b)는 단자부(35)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가령 상기 차단부(47b)를 위로 들어 올릴 수 도 있다. 특히 상기 탄성절연부재(47)는 탄성 복원력을 가지므로 외력을 가했다가 외력을 제거하면 처음의 위치로 복원된다.
상기한 처음의 위치라 함은, 탄성절연부재(47)가 폭방향으로 완전히 펼쳐진 상태이다. 이를테면 상기 전극탭(43a)이 없다고 할 경우, 상기 단자부(35)의 일측면에 면접하는 상태이다.
상기 탄성절연부재(47) 및 후술할 다른 타입의 탄성절연부재(49,51,53)는 탄성 복원력과 단열 및 비전도성을 가지는 한에 있어서 다양한 소재로 제작될 수 있으며, 가령 합성수지로 성형될 수 도 있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탄성절연부재(47)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먼저, 탄성절연부재(47)를 단자부(35)에 접착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탄성절연부재(47)의 하단부 즉 이격돌기(47c)가 위치한 하단부를 위로 들어올린 후, 전극탭(43a)을 단자부(35)에 밀착 고정시키고 탄성절연부재(47)를 놓으면 된다.
상기 탄성절연부재(47)를 놓으면, 탄성절연부재(47)가 펼쳐지며 탄성절연부재(47)의 하단부가 상기 전극탭(43a)에 걸쳐진다.
상기 방법과 달리, 상기 전극탭(43a)을 단자부(35)에 먼저 고정시킨 후, 준비되어 있는 탄성절연부재(47)의 고정부(47a)를 단자부(35)에 접착 고정시킬 수 도 있다.
여하튼, 상기 과정을 통해 설치된 탄성절연부재(47)는, 단자부(35)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로 그 하단부가 전극탭(43a) 위에 걸쳐져 대기하며, 비정상적인 이유로 단자부(35)로부터 전극탭(43a)이 분리될 때 동작하여, 전극탭(43a)에 대해 단자부(35)를 절연시킨다. 이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도 6을 통해 후술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6은 상기 도 2에 도시한 탄성절연부재(47)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단자부(35)에 전극탭(43a)이 밀착 고정되어 있고, 상기 전극탭(43a)의 상부에 전류차단디바이스(45)로서의 탄성절연부재(47)가 구비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전극탭(43a)과 단자부(35)는 용접과정을 통해 서로에 대해 용접 결합된 상태이다.
상기 탄성절연부재(47)는 고정부(도 2의 47a)를 통해 단자부(35)에 밀착 고정되며 대략 하단부가 전극탭(43a)에 걸쳐져 있다. 또한 상기 탄성절연부재(47)의 하단부에는 이격돌기(47c)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이격돌기(47c)는 다른 부분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이다.
상기 대기 상태에서, 가령 전지모듈(43)이 스웰링현상에 의해 부풀어올라, 도 5b에 도시한 것처럼, 전극탭(43a)이 단자부(35)로부터 떨어져 화살표 z 방향으로 밀려 이동하기 시작하면, 상기 탄성절연부재(47)가 화살표 a 방향으로 재껴 올라간다.
상기 전극탭(43a)이 화살표 z방향으로 계속 이동하면 마침내, 탄성절연부재(47)의 하단부가 전극탭(43a)을 더 이상 따라가지 못하고, 전극탭(43a)으로부터 떨어져 화살표 b 방향으로 이동하여 단자부(35)에 옮아 붙어 단자부(35)를 커버한다. (도 5 참조)
옮아 붙는다는 의미는 접착된다는 의미가 아니라 단지 (탄성절연부재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탄성절연부재(47)가 단자부(35)에 전체적으로 대략 면접한다는 의미이다.
결국 상기 탄성절연부재(47)는 전극탭(43a)과 단자부(35)의 사이에 끼어들어, 전극탭(43a)에 대해 단자부(35)를 절연한다. 즉, 상기 전극탭(43a)이 여러 가지 이유로 단자부(35) 측으로 다시 이동하더라도, 상기 탄성절연부재(47)에 막혀, 단자부(35)에 다시 전기적으로 접속되지 못하는 것이다. (도 6 참조)
특히 도 6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탄성절연부재(47)의 하단부에 마련되어 있는 이격돌기(47c)는 다른 부분보다 두꺼워 단자부(35)로부터 전극탭(43a)을 더욱 멀리 이격시킨다.
도 7은 다른 타입의 탄성절연부재(49) 적용된 이차전지(41)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상기한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도시한 바와같이, 제 2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전류차단디바이스(45)로서의 탄성절연부재(49)는, 상기 단자부(35)를 그 내부에 수용 고정하는 홀딩부(49b)와, 상기 홀딩부(49b)에 일체를 이루며 상기 전극탭(43a)에 걸쳐지는 차단부(49a)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절연부재(49)도 탄성 복원성을 가지며 단열 및 절연 능력을 가짐은 물론이다.
상기 홀딩부(49b)는, 상기 단자부(35)의 후면(상기 전극탭(43a)이 위치한 면의 반대면)에 접하며 단자부(35)를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끼움홈(49c)을 갖는다. 상기 끼움홈(49c) 내에 단자부(35)를 삽입함으로써, 전지모듈(43)에 대한 탄성절연부재(49)의 장착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필요에 따라 상기 끼움홈(49c)의 내부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홀딩부(49b)를 단자부(35)에 완전히 접착 고정시킬 수 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8 및 도 9는 상기 도 7에 도시한 탄성절연부재(49)의 작동을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탄성절연부재(49)의 끼움홈(49c)내에 상기 단자부(35)가 수용된 상태로, 상기 차단부(49a)가 전극탭(43a)에 걸쳐져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전극탭(43a)이 단자부(35)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차단부(49a)가 전극탭(43a)과 단자부(35)의 사이로 끼어 들어가, 전극탭(43a)으로부터 단자부(35)를 절연시킨다. 스웰링현상에 의해 전극탭(43a)이 단자부(35)로부터 분리된 후 단자부(35)로 다시 접근하더라도, 전극탭(43a)이 단자부(35)에 접속될 염려가 없는 것이다.
도 10은 상기 도 7에 도시한 탄성절연부재(49)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탄성절연부재(49)의 차단부(49a)가 다수의 분할슬릿(49e)에 의해 분할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차단부(49a)는 분할슬릿(49e)에 의해 나뉘어 다수의 차단편(49k)으로 구성된다.
상기 차단편(49k)은 단자부(35)로부터 전극탭(43a)이 분리될 때, 단자부(35)와 전극탭(43a)의 사이로 들어가, 전극탭(43a)으로부터 단자부(35)를 절연시킨다. 상기 각 차단편(49k)의 폭은 경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11은 상기 도 7에 도시한 탄성절연부재(49)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차단부(49a)의 하단부 외측면에 이격돌기(49f)를 더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이격돌기(49f)는 도 4에 도시한 이격돌기(47c)와 같은 역할을 하는 것이다. 즉, 차단부(49a)가 전극탭(43a)과 단자부(35)의 사이에 개재되었을 때, 전극탭(43a)을 단자부(35)로부터 보다 멀리 이격시키는 것이다.
도 12는 상기 도 7에 도시한 탄성절연부재(49)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다수의 탄성절연부재(49)가 하나의 세트를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탄성절연부재(49)의 폭(w)은 도 8에 도시한 차단편(49k)의 폭과 같다.
상기 각 탄성절연부재(49)의 구조는 도 11에 도시한 타입과 같다. 즉, 상기 단자부(35)를 수용고정하는 홀딩부(49b)와, 상기 홀딩부(49b)에 일체를 이루며 상기 전극탭(43a)과 단자부(35)의 사이에 개재되는 차단부(49a)와, 상기 차단부(49a)의 하단부 외측면에 형성되는 이격돌기(49f)로 구성되는 것이다.
도 13은 다른 타입의 탄성절연부재(51)가 적용되어 있는 제 3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41)를 부분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제 3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에는 두 개의 탄성절연부재(51)로 구성된다. 상기 탄성절연부재(51)는 단열 및 절연 능력과 더불어 탄성 복원성을 갖는 합성수지 플레이트로서, 상기 단자부(35)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전극탭(43a)의 양측단부에 걸쳐져 있다.
상기 탄성절연부재(51)는 두 개가 하나의 쌍을 이루며, (상기 단자부(35)에 전극탭(43a)이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전극탭(43a)의 폭방향 양측단부에 위치한다. 경우에 따라 상기 탄성절연부재(51)를 하나만 적용해도 무방하다.
상기한 바와같이, 상기 탄성절연부재(51)를 전극탭(43a)의 폭방향 양측단부에 위치시킴으로써 단자부(35)의 폭(w1)을 줄일 수 있다.
상기 탄성절연부재(51)는, 단자부(35)에 접착 고정되는 고정부(51a)와, 상기 고정부(51a)에 일체를 이루며 전극탭(43a)의 양측단부에 걸쳐지는 차단부(51b)와, 상기 차단부(51b)의 단부 외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이격돌기(51c)로 이루어진다.
도 14 내지 도 17은 상기 도 13에 도시한 탄성절연부재(51)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단자부(35)에 전극탭(43a)이 밀착 고정되어 있고, 전극탭(43a)의 양측단부에 상기 탄성절연부재(51)가 각각 구비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탄성절연부재(51)는 단자부(35)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로 전극탭(43a)에 걸쳐져 대기한다.
상기 대기 상태에서, 가령 전지모듈(43)의 스웰링현상이 발생하여, 전극탭(43a)이 단자부(35)로부터 화살표 c 방향으로 떨어져 나가면, 도 15에 도시한 바와같이, 양측의 탄성절연부재(51)가 화살표 a방향으로 재껴진 후, 전극탭(43a)이 완전히 빠져나감에 따라 단자부(35)로 탄성복원된다.(도 16)
상기와 같이 탄성절연부재(51)가 단자부(35)측으로 이동하여 단자부(35)를 커버하므로, 도 17과 같이 전극탭(43a)이 단자부(35) 측으로 다시 밀려들어온다 하더라도, 단자부(35)와 다시 접속할 염려가 없다. 아울러 상기 차단부(51b)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이격돌기(51c)에 의해 단자부(35)에 대한 전극탭(43a)의 절연은 더욱 확실하다.
도 18은 상기 도 13에 도시한 탄성절연부재(51)의 다른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8에 도시한 전류차단디바이스(45)로서의 탄성절연부재(53)는, 단자부(35)에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부(53a)와, 상기 고정부(53a)에 일체를 이루며 상기 전극탭(43a)의 양측단부에 걸쳐지는 차단부(53b)와, 상기 차단부(53b)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이격돌기(53c)로 이루어진다.
상기 차단부(53b)는 전극탭(43a)을 탄성적으로 가압 지지하며 전극탭(43a)이 빠져나가면 단자부(35)에 탄력적으로 붙어 단자부(35)에 대해 전극탭(43a)을 차단한다.
특히 상기 탄성절연부재(53)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단자부(35)에 지지구멍(35a)이 형성되어 있어야 한다. 상기 지지구멍(35a)의 크기는 고정부(53a)를 끼워 고정시킬 수 있을 정도이면 족하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탄성절연부재(53)의 동작은 도 12에 도시한 바와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31:이차전지 33:전지모듈
33a:전극탭 35:단자부
35a:지지구멍 41:이차전지
43:전지모듈 43a:전극탭
45:전류차단디바이스 47:탄성절연부재
47a:고정부 47b:차단부
47c:이격돌기 49:탄성절연부재
49a:차단부 49b:홀딩부
49c:끼움홈 49e:분할슬릿
49f:이격돌기 49k:차단편
51:탄성절연부재 51a:고정부
51b:차단부 51c:이격돌기
53:탄성절연부재 53a:고정부
53b:차단부 53c:이격돌기

Claims (7)

  1. 전극탭;
    상기 전극탭과 면접하며 외부의 회로와 접속되어 상기 전극탭에 연결된 전지모듈과 외부 회로의 전력을 전달하는 단자부; 및
    상기 단자부의 일측면에 면접 접착 고정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로부터 일체를 이루며 상기 전극탭이 형성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전극탭에 걸쳐지는 차단부를 포함하며 비전도성 소재로 형성되고 합성수지로 성형 제작된 것으로서 탄성 변형 가능한 탄성절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절연부재는 상기 전극탭이 상기 단자부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상기 차단부가 탄성 복원되어 상기 고정부 및 상기 차단부는 상기 단자부에 면접하여 상기 전극탭과 상기 단자부 사이에 절연층을 형성하는 이차전지.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절연부재는
    상기 단자부를 그 내부에 수용 고정하는 홀딩부와,
    상기 홀딩부와 일체를 이루고 상기 홀딩부로부터 일체를 이루며 상기 전극탭이 형성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전극탭에 걸쳐지는 차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절연부재는 상기 전극탭이 상기 단자부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상기 차단부가 탄성 복원되어 상기 단자부에 면접하여 상기 전극탭과 상기 단자부 사이에 절연층을 형성하는 이차전지.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분할슬릿에 의해 서로에 대해 분할된 다수의 차단편으로 구성된 이차전지.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에는 하나 이상의 지지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탄성절연부재는
    상기 지지구멍에 끼움 결합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와 일체를 이루고 상기 전극탭이 형성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전극탭에 걸쳐지는 차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절연부재는 상기 전극탭이 상기 단자부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상기 차단부가 탄성 복원되어 상기 단자부에 면접하여 상기 전극탭과 상기 단자부 사이에 절연층을 형성하는 이차전지.
  7. 제 1항 및 제 4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절연부재의 차단부에는, 차단부의 폭방향 단부에 두께방향으로 돌출된 이격돌기가 더 형성되어 있는 이차전지.
KR1020120125453A 2012-11-07 2012-11-07 이차전지 KR1019187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5453A KR101918778B1 (ko) 2012-11-07 2012-11-07 이차전지
PCT/KR2013/010073 WO2014073880A1 (ko) 2012-11-07 2013-11-07 이차전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5453A KR101918778B1 (ko) 2012-11-07 2012-11-07 이차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8953A KR20140058953A (ko) 2014-05-15
KR101918778B1 true KR101918778B1 (ko) 2018-11-14

Family

ID=50684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5453A KR101918778B1 (ko) 2012-11-07 2012-11-07 이차전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18778B1 (ko)
WO (1) WO201407388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1614A (ko) 2019-06-28 2021-01-06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전지 버스바 유닛
US11969080B2 (en) 2019-12-02 2024-04-30 Feno Labs, Inc. Handle assemblies with oscillator assemblies contained therein and teeth cleaning systems that utilize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4162B1 (ko) 2015-01-20 2017-0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과충전 안전성이 향상된 파우치 전지
KR102371969B1 (ko) * 2016-12-23 2022-03-0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모듈
KR102050033B1 (ko) * 2019-04-12 2019-11-28 (주)갑진 충방전 단자모듈과 이를 갖춘 전지셀 고온 가압장치
CN115036648B (zh) * 2022-08-15 2022-11-22 江苏时代新能源科技有限公司 电极组件、电池单体、电池及用电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96896A1 (en) 2003-12-24 2006-05-11 Pierre Campagnolle Postal sorting machine including an injection carousel fitted with flexible deflectors
JP2011096664A (ja) 2009-11-02 2011-05-12 Samsung Sdi Co Ltd 二次電池及びそれを利用した電池パック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94097A (ja) * 1997-02-24 1998-11-04 Mitsubishi Electric Corp 薄型電池
JPH11273659A (ja) * 1998-03-20 1999-10-08 Shin Kobe Electric Mach Co Ltd 密閉形電池
KR100579377B1 (ko) * 2004-10-28 2006-05-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100614377B1 (ko) * 2004-11-15 2006-08-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전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96896A1 (en) 2003-12-24 2006-05-11 Pierre Campagnolle Postal sorting machine including an injection carousel fitted with flexible deflectors
JP2011096664A (ja) 2009-11-02 2011-05-12 Samsung Sdi Co Ltd 二次電池及びそれを利用した電池パック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1614A (ko) 2019-06-28 2021-01-06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전지 버스바 유닛
US11969080B2 (en) 2019-12-02 2024-04-30 Feno Labs, Inc. Handle assemblies with oscillator assemblies contained therein and teeth cleaning systems that utilize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8953A (ko) 2014-05-15
WO2014073880A1 (ko) 2014-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8778B1 (ko) 이차전지
EP2768047B1 (en) Battery pack having improved safety
KR101182284B1 (ko) 이차 전지
EP2357685B1 (en) Rechargeable battery
EP2348558B1 (en) Rechargeable battery
US8709621B2 (en) Rechargeable battery
EP2207222B1 (en) Battery pack
KR101223730B1 (ko) 이차전지 팩 및 이차전지 팩 용 보호회로모듈
US9209492B2 (en) Battery pack
EP1995803A1 (en) Secondary battery
KR101744090B1 (ko) 단락부재는 갖는 이차 전지
US20150280205A1 (en) Secondary battery
EP3300135B1 (en) Battery module comprising wire-fixing ribs
US11271275B2 (en) Battery pack
EP2654097A1 (en) Rechargeable battery
JP2011003523A (ja) バッテリーパック
KR101474393B1 (ko) 배터리 팩
WO2018026852A1 (en) Overcharge protection systems for prismatic lithium ion battery cells having neutral or non-conductive packaging
KR20180125796A (ko) 배터리 모듈과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KR100354254B1 (ko) 리튬 이차 전지
KR100502354B1 (ko) 파우치형 리튬 이차 전지
EP3376568B1 (en) Secondary battery
KR100577489B1 (ko) Ptc 특성을 갖는 전극단자를 구비한 이차전지
KR200328155Y1 (ko) 리튬이온 폴리머 전지
KR100808380B1 (ko) 전지단자에 안전소자가 구비된 이차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