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8450B1 - 무비계를 이용한 가설물 및 이의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무비계를 이용한 가설물 및 이의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8450B1
KR101918450B1 KR1020180062326A KR20180062326A KR101918450B1 KR 101918450 B1 KR101918450 B1 KR 101918450B1 KR 1020180062326 A KR1020180062326 A KR 1020180062326A KR 20180062326 A KR20180062326 A KR 20180062326A KR 101918450 B1 KR101918450 B1 KR 1019184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pipe
grating
strut
insta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2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웅
Original Assignee
이재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웅 filed Critical 이재웅
Priority to KR10201800623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84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84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84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the pipes all along their length, e.g. pipe channels or duc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04G7/28Clips or connections for securing bo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025/003Supports therefor, e.g. trip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계 설치 및 해체 공정을 생략하여 가설물을 시공할 수 있도록 구현한 무비계를 이용한 가설물 및 이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건물에 배관열(配管列)을 지지하기 위한 파이프 랙(pipe rack)을 설치하는 단계; 설치된 파이프 랙에 시스템 찬넬을 설치한 후, 찬넬 상부에 그레이팅을 설치하는 단계; 및 설치된 그레이팅의 상부에 배관을 융착 및 용접하여 기계전기배관(MEP, Mechanical Electrical Plumbing) 공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비계를 이용한 가설물 및 이의 시공 방법{Structure Using Non Scaffold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무비계를 이용한 가설물 및 이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계 설치 및 해체 공정을 생략하여 가설물을 시공할 수 있도록 구현한 무비계를 이용한 가설물 및 이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계 구조물은, 건축물을 시공할 때 높은 곳에서 일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가설물로서, 건설, 건축 등 산업 현장에서 인부들이 왕래하면서 작업할 수 있도록 하는 가설 발판이나, 시설물 유지 관리를 위해 사람이나 장비, 자재 등을 올려 작업할 수 있도록 하는 임시로 설치한 구조물을 의미한다.
이러한 비계 구조물은, 보통 건축물의 외벽 쪽에 개축 및 보수를 하거나 시멘트칠을 하거나 도료를 칠하는 용도로서 이용되는데, 주로 사용되는 비계 구성의 예를 들면, 여러 개의 강관 파이프를 클램프나 조임쇠 등의 연결 부재를 이용하여 프레임을 구성하는 강관형 비계와, 상기 비계 프레임의 일부 구성이 완성된 형태로 제공되어, 비계 설치 시 조립 또는 분해가 용이하도록 하는 시스템 비계 등이 이용되고 있다.
강관형 비계는 보통 수직재, 수평재, 난간대, 횡대, 발판, 수직 보호망, 조립부재인 클램프 및 연결핀 등으로 설치 부자재를 인력이 일일이 지상에서 인양 소운반하여 공중에서 매달려 설치하는 반면, 시스템 비계는 각 파이프를 조립하기 위해 일일이 연결하는 강관형 비계와 달리, 구조계산을 통하여 규격화 되어 조립 되기 때문에 조립이 용이하고, 각 부자재를 사람이 일일이 지상에서 인양 운반하여 공중에서 조립하는 과정이 생략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안전성이 높으므로, 비계의 설치 시간과 노동력을 크게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조립식 시스템 비계의 종래 기술의 구성은, 복수의 비계 파이프가 상호 연결되어 수평 수직 방향으로 다단 설치되는 형태이며,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직재에 결합 판이 배치되고, 이 결합 판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수평재와 패널이 서로 연결하는 구성에 대해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비계는, 파이프 랙의 상부 배관 및 덕트 작업을 위한 가설비계의 설치 및 해체의 반복에 따른 전체 시공의 작업 지연의 요소가 될 뿐만 아니라, 해당 비계의 설계에 따른 작업자들의 낙상사고 등의 위험 요소가 될 수 있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1992-0008222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02-0076097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그레이팅의 선시공을 통해 비계 설치 및 해체 공정을 생략하여 가설물을 시공할 수 있도록 구현한 무비계를 이용한 가설물 및 이의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비계를 이용한 가설물 시공 방법은, 건물에 배관열(配管列)을 지지하기 위한 파이프 랙(pipe rack)을 설치하는 단계; 설치된 파이프 랙에 시스템 찬넬을 설치한 후, 찬넬 상부에 그레이팅을 설치하는 단계; 및 설치된 그레이팅의 상부에 배관을 융착 및 용접하여 기계전기배관(MEP, Mechanical Electrical Plumbing) 공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배관이 설치된 부분의 그레이팅을 철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그레이팅을 설치하는 단계에서 설치된 그레이팅은, 가설물 시공 중에는 공사용 발판으로 사용하고, 가설물 시공 후에는 유지 관리용 그레이팅을 제외한 나머지 그레이팅을 타 구역으로 이설 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그레이팅을 설치하는 단계는, 설치된 파이프 랙의 프레임 사이에 메인 찬넬을 설치하는 단계; 설치된 파이프 랙의 프레임 사이에 메인 찬넬과 직각이 되는 방향으로 서브 찬넬을 설치하는 단계; 설치된 메인 찬넬 및 서브 찬넬의 상부에 그레이팅을 올리는 단계; 메인 찬넬 및 서브 찬넬에 그레이팅을 고정하는 단계; 및 파이프 랙의 프레임에 시공자가 손으로 잡기 위한 헨드레일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레이팅을 설치하는 단계는, 격자 규격(Mesh Size)이 가로 및 세로 50mm로 형성되는FRP(fiber reinforced plastics) 그레이팅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비계를 이용한 가설물은, 건물에 배관열(配管列)을 지지하기 위한 파이프 랙(pipe rack); 상기 파이프 랙의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시스템 찬넬; 상기 시스템 찬넬의 상부에 설치되는 그레이팅; 및 시공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상기 파이프 랙의 프레임에 설치되는 헨드레일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시스템 찬넬은, 상기 파이프 랙의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메인 찬넬; 및 상기 파이프 랙의 프레임 사이에 상기 메인 찬넬과 직각이 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서브 찬넬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그레이팅은, 일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연결 돌기; 및 상기 연결 돌기와 대향하는 다른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연결 돌기를 체결하는 체결 돌기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 돌기는, 상기 체결 돌기가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경사면을 따라 반대 방향으로의 회동을 유도할 수 있도록 외측면이 경사지도록 형성되며, 체결 돌기는, 상기 연결 돌기와 대향하는 다른 일측에 상부가 연결 설치되어 회동하는 체결뭉치, 상기 체결뭉치의 하부 일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연결 돌기의 하부를 체결하는 걸림턱, 상기 체결뭉치와 90도 각도로 형성되어 상기 체결뭉치가 90도 이상으로 회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체결뭉치의 상부 일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버팀 돌기, 탄성력에 의해 상기 체결뭉치를 자신의 방향으로 잡아당겨 줄 수 있도록 상기 체결뭉치에 연결 설치되는 탄성부, 및 삽입홈에 삽입하여 위치하며 상기 체결뭉치와 당김끈에 의해 연결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 후 잡아 당길 시 상기 당김끈의 일측에 연결 설치된 상기 체결뭉치를 잡아 당겨 회동 시키는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파이프 랙은, 무게를 지탱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수직 지주를 하부에 형성하되, 상기 수직 지주는, 지주의 상부를 형성하는 제1 파이프; 상기 제1 파이프의 하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1 파이프와 일체로서 지주를 형성하는 제2 파이프; 지주의 밑면의 미끄러짐 또는 침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파이프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는 베이스판; 및 상기 제2 파이프로부터 또는 상기 베이스판으로부터 오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파이프와 상기 베이스판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충격 흡수부를 포함하되, 상기 충격 흡수부는, 상기 제2 파이프에 체결되는 제1 체결부; 하측이 개방된 컵 형태로 형성되는 케이스부; 상기 케이스부에 삽입된 후 상부가 상기 제1 체결부에 고정 설치 되는 연장부; 상기 제2 파이프로부터 또는 상기 베이스판으로부터 오는 충격을 완충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부에 삽입된 상기 연장부의 하측 공간에 삽입되는 충격 완충부; 및 상기 케이스부의 하측 개방된 입구 부분을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부의 하측에 고정 설치된 후 상기 베이스판에 체결되는 제2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충격 완충부는, 기 설정된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연장부가 상기 제2 체결부로 기 설정된 거리 이내로 가까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연장부와 상기 제2 체결부의 사이의 빈 공간에 삽입되는 버팀부; 및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제2 파이프로부터 또는 상기 베이스판으로부터 오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상기 연장부 및 상기 제2 체결부의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는 탄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버팀부는, 기 설정된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연장부와 상기 제2 체결부의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는 제1 버팀부; 상기 제1 버팀부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의 외측면을 따라 위치한 후 상부가 상기 연장부의 하측에 고정 설치되는 다수 개의 제2 버팀부; 및 상기 제2 버팀부 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제2 버팀부와 다른 제2 버팀부의 사이의 빈 공간에 삽입된 후 상부가 상기 연장부의 하측에 고정 설치되는 다수 개의 제3버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로 다른 파쇄 임계치를 가지는 상기 제1 버팀부 및 상기 제2 버팀부에 각각의 임계치 이상의 충격이 가해질 경우, 차례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버팀부가 파쇄된 후 상기 제2 버팀부가 파쇄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비계의 설치 및 해체 공정의 생략을 통해 공정의 간소화뿐만 아니라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그레이팅 선시공에 따라 작업 공간을 확보하고 시공 완료 후 유지 관리용 통로(catwalk)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에 따르면, 지진 등의 충격으로부터 가설물 뿐만 아니라, 건물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도 1은 기존의 비계를 이용한 가설물 시공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2는 기존의 비계를 이용한 가설물 시공 방법에 따라 시공된 가설물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비계를 이용한 가설물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비계를 이용한 가설물 시공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6 내지 도 17은 도 5에 있는 그레이팅을 설치하는 단계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8 내지 도 20는 본 발명에 의한 가설물의 시공 전, 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1 내지 도 25는 도 3에 있는 파이프 랙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도 1은 기존의 비계를 이용한 가설물 시공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기존의 가설물 시공 방법은, 먼저 크레인 등의 장비를 사용하여 가설물 시공에 필요로 하는 자재를 양중한 후, Gusset Plate 용접 후 볼팅을 체결하여 파이프 랙을 설치(S110)한 후, 포인트 당 10명 또는 하루 60 여 명의 인력을 동원하여 비계를 설치하게 된다(S120).
상술한 단계 S120에서 비계의 설치가 완료되면, 크레인으로 시공 자재를 양중한 후, 비계 상부에서 배관 융착 및 용청을 통해 기계전기배관(MEP, Mechanical Electrical Plumbing) 공사를 수항하게 되며(S130), 역시 포인트 당 10명 또는 하루 60 여 명의 인력을 동원하여 설치된 비계를 해체하여야 한다(S140).
상술한 단계 S140에서 비계 해체 작업이 완료되면, 캣워크(Catwalk)의 필요 장소에 캣워크를 설치한다(S150).
도 2를 참조하면, 상술한 단계를 가지는 기존의 비계를 이용한 가설물 시공 방법에 따라 시공된 가설물을 확인할 수 있으며, 해당 시공된 가설물은 시공이 완료되면 건물로부터 해체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기존의 비계를 이용한 가설물 시공 방법은, 파이프 랙 상부 배관 및 덕트 작업을 위해 가설 비계 설치 및 해체 작업을 반복하여 실시함에 따라, 위험 요소가 증대될 뿐만 아니라, 직업이 지연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비계를 이용한 가설물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무비계를 이용한 가설물(10)은, 파이프 랙(100), 시스템 찬넬(200), 그레이팅(300) 및 헨드레일(400)을 포함한다.
파이프 랙(100)은, 건물에 배관열(配管列)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선반 역할을 수행하며, 상부에 시스템 찬넬(200), 그레이팅(300) 및 헨드레일(400)을 설치한다.
시스템 찬넬(200)은, 파이프 랙(100)의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며, 상부에 작업자가 이동하거나 자재를 올려 놓기 위한 그레이팅(300)을 설치한다.
일 실시예에서, 시스템 찬넬(200)은, 메인 찬넬(210) 및 서브 찬넬(220)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찬넬(210)은, 파이프 랙(100)의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며, 직각이 되는 방향으로 서브 찬넬(220)이 설치된다.
서브 찬넬(220)은, 파이프 랙(100)의 프레임 사이에 메인 찬넬(210)과 직각이 되는 방향으로 설치된다.
그레이팅(300)은, 시스템 찬넬(200)의 상부에 설치되어 작업자가 이동하거나 자재를 올려 놓도록 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그레이팅(300)은, 적어도 하나의 연결 돌기(310) 및 적어도 하나의 체결 돌기(320)를 포함한다.
연결 돌기(310)는, 그레이팅(300)의 일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체결 돌기(320)에 체결된다.
일 실시예에서, 연결 돌기(310)는, 외측면이 경사지도록 형성됨으로써, 도 14에 된 바와 같이 체결 돌기(320)가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해당 경사면을 따라 자연스럽게 반대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체결 돌기(320)는, 연결 돌기(310)와 대향하는 그레이팅(300)의 다른 일측에 형성되며, 연결 돌기(310)를 체결하여 그레이팅(300)과 다른 그레이팅(300)을 연결 설치하도록 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체결 돌기(320)는, 체결뭉치(321), 걸림턱(322), 버팀 돌기(323), 탄성부(324), 손잡이(325), 당김끈(326), 삽입홈(327)을 포함할 수 있다.
체결뭉치(321)는, 연결 돌기(310)와 대향하는 그레이팅(300)의 다른 일측에 상부가 연결 설치되며, 상측에 버팀 돌기(323)가 형성되고, 하측에 걸림턱(322)이 형성되며, 탄성부(324)에 의해 탄성부(324) 방향으로 잡아 당겨 진다.
체결뭉치(321)는, 버팀 돌기(323)에 의해 지탱되어 탄성부(324)에 의한 잡아 당김에도 기 설정된 각도(도 12의 경우에는 90도) 이상으로 탄성부(324) 방향으로 회동하지 아니하며, 버팀 돌기(323)의 반대측 면은 완곡하게 형성됨으로써 버팀 돌기(323) 반대 방향으로 회동 시 걸림 없이 회동 할 수 있다.
걸림턱(322)은, 체결뭉치(321)의 하부 일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돌기(310)의 하부를 체결한다.
일 실시예에서, 걸림턱(322)은, 연결 돌기(310)와 대향하는 면이 상술한 바와 같이 연결 돌기(310)의 경사진 면에 대응하는 형태로 경사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연결 돌기(310)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버팀 돌기(323)는, 체결뭉치(321)의 상부 일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체결뭉치(321)와 90도 각도로 형성됨으로써, 체결뭉치(321)가 90도 이상으로 회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탄성부(324)는, 그레이팅(300)의 일측의 내측면과 체결뭉치(321) 사이에 연결 설치되며, 탄성력에 의해 체결뭉치(321)를 자신의 방향으로 잡아당겨 준다.
손잡이(325)는, 그레이팅(300)의 일측에 형성된 삽입홈(327)에 삽입하여 위치하며, 체결뭉치(321)와 당김끈(326)에 의해 연결되며,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 후 잡아 당길 시 당김끈(326)의 일측에 연결 설치된 체결뭉치(321)를 잡아 당겨 회동시킨다.
이하, 도 13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그레이팅(300-1)과 다른 그레이팅(300-2) 간의 연결 설치 방법을 설명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레이팅(300-1)의 일측에 다른 그레이팅(300-2)을 대향하도록 위치시킨 후, 다른 그레이팅(300-2)을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 돌기(320)가 연결 돌기(310)의 경사진 면을 따라 반대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 돌기(320)가 연결 돌기(310)의 경사진 면을 따라 회동하다가 경사진 면을 넘어서게 되면, 체결 돌기(320)가 탄성부(324)의 탄성력에 의해 다시 회동하여 원래의 위치도 이동하면서 걸림턱(322)이 연결 돌기(310)의 하측을 체결하게 된다.
다음으로, 그레이팅(300-1)과 다른 그레이팅(300-2) 간의 체결을 해체하는 과정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잡이(325)를 파지하여 잡아 당기면 연결 설치된 당김끈(326)이 이에 대응하여 체결뭉치(321)를 잡아 당김에 따라 체결뭉치(321)가 회동하여 연결 돌기(310)와의 체결이 풀리게 된다.
헨드레일(400)은, 시공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파이프 랙(100)의 프레임에 설치된다.
도 4a 내지 4e은,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무비계를 이용한 가설물(10)의 각 구성의 목업(Mock up) 설치 현황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4a는 본 발명을 하측에서 올려 본 것이고, 도 4b는 그레이팅(300)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4c는 시스템 찬넬(200)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4d는 헨드레일(400)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4e는 파이프 랙(100)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무비계를 이용한 가설물(10)은, 그레이팅(300)을 설치하여 상부 배관 및 덕트 작업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으며, 가설 비계 설치 및 해체 공정을 생략함으로써, 위험 요소를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기 단축 및 출력 인원을 감소시켜 작업 생산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좀 더 자세하게 살펴보면, 잦은 비계 작업 최소화를 통한 안전한 작업 동선 확보에 의한 안전사고(추락)를 예방할 수 있으며, 안전한 덕트/배관 및 트레이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며, 작업장 내의 비계 자재 야적 및 비계 장기 비치로 인한 근로자 작업환경 및 충돌 안전의 위해(危害)를 제거할 수 있으며, 깨끗한 작업환경 및 운영 여건을 조성할 수 있으며, 무비계 시공을 통해 파이프 랙 상부 공사 실시 및 이후 밸브 조작 및 PM용 중층으로 활용하여 안전한 운영 환경을 조성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비계를 이용한 가설물 시공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무비계를 이용한 가설물 시공 방법은, 먼저 건물에 배관열(配管列)을 지지하기 위한 파이프 랙(100)(pipe rack)을 설치한다(S510).
상술한 단계 S510에서 설치된 파이프 랙(100)에 시스템 찬넬(200)을 설치한 후, 시스템 찬넬(200)의 상부에 그레이팅(300)을 설치한다(S520).
일 실시예에서, 그레이팅(300)을 설치하는 단계(S520)에서 설치된 그레이팅(300)은, 가설물 시공 중에는 공사용 발판으로 사용하고, 가설물 시공 후에는 유지 관리용 그레이팅(300)을 제외한 나머지 그레이팅(300)을 타 구역으로 이설 시킬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520에서 설치된 그레이팅(300)의 상부에 배관을 융착 및 용접하여 기계전기배관(MEP, Mechanical Electrical Plumbing) 공사를 수행한다(S530).
상술한 바와 같은 단계를 가지는 무비계를 이용한 가설물 시공 방법은, 상술한 S530 단계 이후에 배관이 설치된 부분의 그레이팅(300)을 철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도 5에 있는 그레이팅을 설치하는 단계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그레이팅(300)을 설치하는 단계(S520)는, 상술한 단계 S510에서 설치된 파이프 랙(100)의 프레임 사이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찬넬(210)을 설치한다(S521).
상술한 단계 S521에서 메인 찬넬(210)을 설치가 완료되면, 설치된 파이프 랙(100)의 프레임 사이에 메인 찬넬(210)과 직각이 되는 방향으로 서브 찬넬(220)을 설치한다(S522).
일 실시예에서, 서브 찬넬(22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찬넬(210) 또는 파이프 랙(100)의 프레임에 클램프(Clamp, 체결하는 부품 또는 도구로서, 공작기계에는 가공물을 부착하기 위해 또 중량물을 이동 운반할 때에 사용하거나 크레인에서 중량물을 취급하는 경우에 사용되며, 또한 지게차에서 특수한 형상의 것을 사용해 운반할 때에도 사용됨)를 이용하여 체결될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522에서 서브 찬넬(220)까지 설치가 완료되면, 설치된 메인 찬넬(210) 및 서브 찬넬(220)의 상부에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레이팅(300)을 올린다(S523).
상술한 단계 S523에서 그레이팅(300)을 올린 후, 메인 찬넬(210) 및 서브 찬넬(220)에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레이팅(300)을 고정한다(S524).
일 실시예에서, 그레이팅(300)은, 메인 찬넬(210) 및 서브 찬넬(220)의 상부에 가지런하게 배열시킨 후,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여러 형태의 클립(C-clip, M-clip 또는 S-clip 등)을 이용하여 메인 찬넬(210) 및 서브 찬넬(220) 또는 파이프 랙(1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그레이팅(520)은 도 11 내지 도 16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524에서 그레이팅(300)이 고정되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 랙(100)의 프레임에 시공자가 손으로 잡기 위한 헨드레일(400)을 설치한다(S525).
상술한 바와 같은 단계를 가지는 그레이팅(520)을 설치하는 단계에서는, 격자 규격(Mesh Size)이 가로 및 세로 50mm로 형성되는FRP(fiber reinforced plastics) 그레이팅(300)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8 내지 도 20는 본 발명에 의한 가설물의 시공 전, 후를 설명하는 것으로, 그레이팅(300)을 설치하는 단계(S520)에서 선시공된 설치된 그레이팅(300)은 공사용 발판으로 활용하도록 할 수 있으며, 시공이 완료된 후에는 유지 관리용 그레이팅(300)을 제외한 나머지 그레이팅(300)을 타 구역 이설 시킴으로써 불필요하게 공간을 차지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1 내지 도 25는 도 3에 있는 파이프 랙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파이프 랙(100)은, 무게를 지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수직 지주(110)를 하부에 형성한다.
도 22를 참조하면, 수직 지주(110)는, 제1 파이프(111), 제2 파이프(112), 베이스판(113) 및 충격 흡수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파이프(111)는, 지주의 상부를 형성하며, 하부에의 빈 공간으로 제2 파이프(112)를 삽입하여 체결한다.
제2 파이프(112)는, 제1 파이프(111)의 하부에 삽입되어 제1 파이프(111)와 일체로서 지주를 형성하며, 베이스판(113) 또는 하부에 충격 흡수부(114)가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파이프(111) 및 제2 파이프(112)는, 기둥 부분에서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굴곡을 형성함으로써, 체결이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베이스판(113)는, 지주의 밑면의 미끄러짐 또는 침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제2 파이프(112)의 하부에 연결 설치된다.
충격 흡수부(114)는, 제2 파이프(112)로부터 또는 베이스판(113)으로부터 오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제2 파이프(112)와 베이스판(113)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충격 흡수부(114)를 포함한다.
도 23을 참조하면, 충격 흡수부(114)는, 제1 체결부(1141), 케이스부(1142), 연장부(1143), 충격 완충부(1144) 및 제2 체결부(1145)를 포함한다.
제1 체결부(1141)는, 직사각형의 철판 등의 철재로 형성되며, 제2 파이프(112)의 하단에 체결 수단(예를 들어 볼트, 앙카볼트 등)에 의해 체결되며, 하측에 연장부(1143)의 상단이 고정 설치된다.
케이스부(1142)는, 하부가 개방된 컵 형태로 형성되며, 제1 체결부(1141)의 하단에 위치하며,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내부 공간에 연장부(1143), 충격 완충부(1144)가 삽입되며, 하단으로 뚫린 관통홀로 연장부(1143)가 상하 왕복운동을 하며, 해당 관통홀은 연장부(1143)의 하단에 형성된 걸림턱보다 좁게 형성되어 연장부(1143)가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연장부(1143)는, 케이스부(1142)에 삽입되며, 상부가 제1 체결부(1141)의 하단에 고정 설치(용접에 의해 강력하게 고정됨이 바람직함)되며, 하부에 케이스부(1142)의 관통홀에 걸리기 위한 걸림턱을 형성하며, 하단(즉, 걸림턱의 밑 부분)에 충격 완충부(1144)가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연장부(1143)는, 절연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열교환을 방지함이 바람직하다.
충격 완충부(1144)는, 제2 파이프(112)로부터 또는 베이스판(113)으로부터 오는 충격을 완충할 수 있도록 케이스부(1142)에 삽입된 연장부(1143)의 하측 공간에 삽입된다.
충격 완충부(1144)는, 연장부(1143)와 제2 체결부(1145)의 사이에 형성되어 케이스부(1142)에 삽입되며, 지면으로부터 또는 건축물로부터 오는 충격을 완화한다.
일 실시예에서, 충격 완충부(1144)는, 버팀부(11441) 및 탄성부(11442)를 포함한다.
버팀부(11441)는, 연장부(1143)와 제2 체결부(1145) 사이에 기 설정된 길이(예를 들어, 10cm 또는 30cm 등)로 형성되며, 연장부(1143)가 제2 체결부(1145)로 기 설정된 거리 이내로 가까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연장부(1143)와 제2 체결부(1145)의 사이의 빈 공간에 삽입된다.
일 실시 예에서, 버팀부(11441)은, 원통형의 단단한 재질(예를 들어, 강철 또는 강화 플라스틱 등)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서, 버팀부(11441)는, 제1 버팀부(11441-1). 다수 개의 제2 버팀부(11441-2) 및 다수 개의 제3 버팀부(1144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버팀부(11441-1)는. 탄성부(11442)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며, 상부가 연장부(1143)의 하측에 고정 설치되고, 연장부(1143)와 제2 체결부(1145) 사이에 기 설정된 길이(예를 들어, 10cm 또는 30cm 등)로 형성되어, 연장부(1143)가 제2 체결부(1145)와 기 설정된 거리(예를 들어, 10cm 또는 30cm 등) 이내로 가까워지는 것을 방지한다.
제2 버팀부(11441-2)는, 제1 버팀부(11441-1)보다 짧은 길이(예를 들어, 8cm 또는 25cm 등)로 형성되며, 탄성부(3224)의 외측면을 따라 위치한 후 상부가 연장부(1143)의 하측에 고정 설치된다.
제3 버팀부(11441-3)는, 제2 버팀부(11441-2) 보다 짧은 길이(예를 들어, 5cm 또는 20cm 등)로 형성되며, 제2 버팀부(11441-2)와 다른 제2 버팀부(11441-2)의 사이의 빈 공간에 삽입된 후 상부가 연장부(1143)의 하측에 고정 설치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버팀부(11441-1), 다수 개의 제2 버팀부(11441-2) 및 다수 개의 제3 버팀부(11441-3)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갖되 제1 버팀부(11441-1)의 직경이 제2 버팀부(11441-2)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제2 버팀부(11441-2)의 직경이 제3 버팀부(11441-3)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 예에서, 버팀부(11441)는, 다수 개의 변형을 위한 수단(즉, 제1 버팀부(11441-1), 다수 개의 제2 버팀부(11441-2) 및 다수 개의 제3 버팀부(11441-3))에 의해 충격을 다수의 단계로 흡수함으로써, 보다 향상된 충격흡수능력을 보유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버팀부(11441)는, 서로 다른 파쇄 임계치를 가지는 제1 버팀부(11441-1) 및 제2 버팀부(11441-2)에 각각의 임계치 이상의 충격이 가해질 경우, 차례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제1 버팀부(11441-1)가 파쇄된 후 제2 버팀부(11441-2)가 파쇄 될 수 있다.
탄성부(11442)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며, 제2 파이프(112)로부터 또는 베이스판(113)으로부터 오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연장부(1143) 및 제2 체결부(1145)의 사이의 공간에 삽입된다.
제2 체결부(1145)는, 케이스부(1142)의 하측 개방된 입구 부분을 덮을 수 있도록 케이스부(1142)의 하측에 고정 설치된 후 베이스판(113)에 체결된다.
도 24를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충격 흡수부(114)는 외부로부터 별도의 충격이 없는 경우 파이프의 하단을 구성하면서 파이프를 지탱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지진 또는 차량의 충돌과 같이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지면 높이가 가장 높은 제1 버팀부(11441-1)가 파쇄 되면서 1차적으로 충격을 흡수하게 되며, 제1 버팀부(11441-1)의 파쇄만으로도 충격이 모두 흡수되지 아니한 경우에는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제2 버팀부(11441-2)이 차례로 파쇄 되면서 여분의 충격을 모두 흡수하게 된다.
다만, 다수 개의 제3 버팀부(11441-3)의 경우에는, 제1 버팀부(11441-1) 또는 다수 개의 제2 버팀부(11441-2)와는 달리, 건물의 붕괴를 방지할 수 있도록 충격을 흡수하는 경우에도 파쇄 되지 아니하면서 파이프의 하단을 지지함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파이프 랙 110: 수직 지주
111: 제1 파이프 112: 제2 파이프
113: 베이스판 114: 충격 흡수부
1141: 제1 체결부 1142: 케이스부
1143: 연장부 1144: 충격 완충부
11441-1, 11441-2, 11441-3: 버팀부11442: 탄성부
1145: 제2 체결부 200: 시스템 찬넬
210: 메인 찬넬 220: 서브 찬넬
300: 그레이팅 310: 연결 돌기
320: 체결 돌기 321: 체결뭉치
322: 걸림턱 323: 버팀 돌기
324: 탄성부 325: 손잡이
326: 당김끈 327: 삽입홈
400: 헨드레일

Claims (11)

  1. 건물에 배관열(配管列)을 지지하기 위한 파이프 랙(pipe rack)을 설치하는 단계;
    설치된 파이프 랙에 시스템 찬넬을 설치한 후, 찬넬 상부에 그레이팅을 설치하는 단계; 및
    설치된 그레이팅의 상부에 배관을 융착 및 용접하여 기계전기배관(MEP, Mechanical Electrical Plumbing) 공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그레이팅을 설치하는 단계에서 설치된 그레이팅은, 가설물 시공 중에는 공사용 발판으로 사용하고, 가설물 시공 후에는 유지 관리용 그레이팅을 제외한 나머지 그레이팅을 타 구역으로 이설 시키는, 무비계를 이용한 가설물 시공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레이팅을 설치하는 단계는,
    설치된 파이프 랙의 프레임 사이에 메인 찬넬을 설치하는 단계;
    설치된 파이프 랙의 프레임 사이에 메인 찬넬과 직각이 되는 방향으로 서브 찬넬을 설치하는 단계;
    설치된 메인 찬넬 및 서브 찬넬의 상부에 그레이팅을 올리는 단계;
    메인 찬넬 및 서브 찬넬에 그레이팅을 고정하는 단계; 및
    파이프 랙의 프레임에 시공자가 손으로 잡기 위한 헨드레일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비계를 이용한 가설물 시공 방법.
  5. 건물에 배관열(配管列)을 지지하기 위한 파이프 랙(pipe rack);
    상기 파이프 랙의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시스템 찬넬;
    상기 시스템 찬넬의 상부에 설치되는 그레이팅; 및
    시공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상기 파이프 랙의 프레임에 설치되는 헨드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그레이팅은,
    일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연결 돌기; 및
    상기 연결 돌기와 대향하는 다른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연결 돌기를 체결하는 체결 돌기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 돌기는, 상기 체결 돌기가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경사면을 따라 반대 방향으로의 회동을 유도할 수 있도록 외측면이 경사지도록 형성되며,
    체결 돌기는, 상기 연결 돌기와 대향하는 다른 일측에 상부가 연결 설치되어 회동하는 체결뭉치, 상기 체결뭉치의 하부 일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연결 돌기의 하부를 체결하는 걸림턱, 상기 체결뭉치와 90도 각도로 형성되어 상기 체결뭉치가 90도 이상으로 회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체결뭉치의 상부 일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버팀 돌기, 탄성력에 의해 상기 체결뭉치를 자신의 방향으로 잡아당겨 줄 수 있도록 상기 체결뭉치에 연결 설치되는 탄성부, 및 삽입홈에 삽입하여 위치하며 상기 체결뭉치와 당김끈에 의해 연결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 후 잡아 당길 시 상기 당김끈의 일측에 연결 설치된 상기 체결뭉치를 잡아 당겨 회동 시키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무비계를 이용한 가설물.
  6. 삭제
  7. 삭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랙은,
    무게를 지탱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수직 지주를 하부에 형성하되,
    상기 수직 지주는, 지주의 상부를 형성하는 제1 파이프; 상기 제1 파이프의 하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1 파이프와 일체로서 지주를 형성하는 제2 파이프; 지주의 밑면의 미끄러짐 또는 침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파이프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는 베이스판; 및 상기 제2 파이프로부터 또는 상기 베이스판으로부터 오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파이프와 상기 베이스판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충격 흡수부를 포함하되,
    상기 충격 흡수부는, 상기 제2 파이프에 체결되는 제1 체결부; 하측이 개방된 컵 형태로 형성되는 케이스부; 상기 케이스부에 삽입된 후 상부가 상기 제1 체결부에 고정 설치 되는 연장부; 상기 제2 파이프로부터 또는 상기 베이스판으로부터 오는 충격을 완충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부에 삽입된 상기 연장부의 하측 공간에 삽입되는 충격 완충부; 및 상기 케이스부의 하측 개방된 입구 부분을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부의 하측에 고정 설치된 후 상기 베이스판에 체결되는 제2 체결부를 포함하는, 무비계를 이용한 가설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완충부는,
    기 설정된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연장부가 상기 제2 체결부로 기 설정된 거리 이내로 가까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연장부와 상기 제2 체결부의 사이의 빈 공간에 삽입되는 버팀부; 및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제2 파이프로부터 또는 상기 베이스판으로부터 오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상기 연장부 및 상기 제2 체결부의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무비계를 이용한 가설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버팀부는,
    기 설정된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연장부와 상기 제2 체결부의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는 제1 버팀부;
    상기 제1 버팀부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의 외측면을 따라 위치한 후 상부가 상기 연장부의 하측에 고정 설치되는 다수 개의 제2 버팀부; 및
    상기 제2 버팀부 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제2 버팀부와 다른 제2 버팀부의 사이의 빈 공간에 삽입된 후 상부가 상기 연장부의 하측에 고정 설치되는 다수 개의 제3버팀부를 포함하는, 무비계를 이용한 가설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서로 다른 파쇄 임계치를 가지는 상기 제1 버팀부 및 상기 제2 버팀부에 각각의 임계치 이상의 충격이 가해질 경우, 차례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버팀부가 파쇄된 후 상기 제2 버팀부가 파쇄되는, 무비계를 이용한 가설물.
KR1020180062326A 2018-05-31 2018-05-31 무비계를 이용한 가설물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9184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2326A KR101918450B1 (ko) 2018-05-31 2018-05-31 무비계를 이용한 가설물 및 이의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2326A KR101918450B1 (ko) 2018-05-31 2018-05-31 무비계를 이용한 가설물 및 이의 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8450B1 true KR101918450B1 (ko) 2018-11-13

Family

ID=64397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2326A KR101918450B1 (ko) 2018-05-31 2018-05-31 무비계를 이용한 가설물 및 이의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84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5867B1 (ko) * 2019-10-23 2020-08-19 한성크린텍주식회사 장비의 스키드화 및 배관의 모듈화에 의한 플랜트 조립구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8510Y1 (ko) * 2005-11-24 2006-02-13 주식회사 신영 건축용 비계틀의 난간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8510Y1 (ko) * 2005-11-24 2006-02-13 주식회사 신영 건축용 비계틀의 난간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5867B1 (ko) * 2019-10-23 2020-08-19 한성크린텍주식회사 장비의 스키드화 및 배관의 모듈화에 의한 플랜트 조립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558723B (zh) 一种斜屋面用吊篮悬挂支架制作及安装的方法
JP5292441B2 (ja) 足場/養生ユニットおよびその連結装置
CN203080894U (zh) 建筑钢结构施工防护装置
KR101918450B1 (ko) 무비계를 이용한 가설물 및 이의 시공 방법
JP2019052477A (ja) 仮設足場用安全装置
CN203947756U (zh) 外墙防护架
CN102182324A (zh) 安全防坠网
CN103321438B (zh) 一种适用于高层建筑施工的大悬挑单元式防护挑棚
KR20120066568A (ko) 시스템 비계 및 그 시공방법
JP2019090253A (ja) スライド式飛散防止装置
KR200386867Y1 (ko) 안전방호망장치
KR20190142913A (ko) 작업대 지지 장치
CN105672679A (zh) 临边洞口简易防护栏
JP6534938B2 (ja) ライニングプレート据付兼雨養生治具及びこの治具を用いたライニングプレート据付方法
CN205348817U (zh) 一种安全带挂件
CN204038917U (zh) 可拆卸外挂式操作平台
KR101934674B1 (ko) 비계를 이용한 가설물
CN209907895U (zh) 一种爬架附着装置
CN209874434U (zh) 一种建筑物高空简易外挑脚手架
CN203769341U (zh) 钢平台的防坠格栅板
WO2010124481A1 (zh) 一种门式脚手架
JP6446075B2 (ja) 養生ネットの架設方法
CN104453266A (zh) 一种管结构施工用安全栏杆固定结构
CN206205768U (zh) 组合式悬挂爬梯
CN205348822U (zh) 临边洞口简易防护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