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7569B1 - 소방용 관창 - Google Patents

소방용 관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7569B1
KR101917569B1 KR1020180046807A KR20180046807A KR101917569B1 KR 101917569 B1 KR101917569 B1 KR 101917569B1 KR 1020180046807 A KR1020180046807 A KR 1020180046807A KR 20180046807 A KR20180046807 A KR 20180046807A KR 101917569 B1 KR101917569 B1 KR 1019175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njection unit
guide
circumferential surface
in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6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인지
박세훈
한용택
정재한
Original Assignee
육송(주)
한국소방산업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육송(주), 한국소방산업기술원 filed Critical 육송(주)
Priority to KR1020180046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75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7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75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 B05B1/06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in annular, tubular or hollow conical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78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 Nozzles (AREA)

Abstract

소방용 관창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부에 소화수의 유동 경로가 형성되는 본체, 본체의 일단에 결합되고 내부에 유동 경로와 연결되는 분사로가 형성되어 소화수를 분사하는 분사 유닛, 분사 유닛의 단부에 결합되어 분사 유닛으로부터 분사되는 소화수를 방사상으로 확산시키는 확산 부재, 및 분사 유닛과 확산 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소화수의 유동에 따라 확산 부재에 가해지는 하중을 탄성력에 의해 감쇄시키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소방용 관창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소방용 관창{NOZZLE FOR FIRE FIGHTING}
본 발명은 소방용 관창에 관한 것이다.
소방용 관창은 소방 호스의 단부에 연결되어 화재 현장에 소화수를 분사하기 위한 기구이다. 이러한 소방용 관창으로는 옥내 소화전에 설치되는 직사 관창, 직사와 방사 모두 가능하여 주로 소방관에 의해 이용되는 피스톨 관창 등이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피스톨 관창의 경우, 분사구 전방에 반사판이 구비되어 있어, 소화수는 이러한 반사판에 부딪쳐 방사 방향으로 분산되면서 분사되며, 이 때 외부 원통관을 전방 측으로 이동시키면 반사판이 직선 원통관 내에 있게 되어 직선 방향으로 소화수가 분사되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르면, 분사구 전방에 반사판을 위치시켜 소화수를 1차적으로 확산시킴으로써 분사 각도를 조절하게 되므로, 반사판에 필연적으로 소화수의 수압에 따른 큰 하중이 작용할 수 밖에 없고, 이에 따라 소방관에게는 그에 대응되는 큰 반동력이 가해지게 되어 화재 진압 작업에 장애가 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308732호 (2002.01.15. 공고)
본 발명은 소화수의 유동에 의한 하중을 효과적으로 감쇄시킬 수 있는 소방용 관창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부에 소화수의 유동 경로가 형성되는 본체, 본체의 일단에 결합되고 내부에 유동 경로와 연결되는 분사로가 형성되어 소화수를 분사하는 분사 유닛, 분사 유닛의 단부에 결합되어 분사 유닛으로부터 분사되는 소화수를 방사상으로 확산시키는 확산 부재, 및 분사 유닛과 확산 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소화수의 유동에 따라 확산 부재에 가해지는 하중을 탄성력에 의해 감쇄시키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소방용 관창이 제공된다.
분사 유닛은, 내부에 분사로가 형성되는 배럴 부재, 및 배럴 부재 내부의 중앙에 위치되는 코어 부재, 및 배럴 부재의 내주면과 코어 부재의 외주면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확산 부재는, 코어 부재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코어 부재에 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부, 및 지지부의 단부에 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분사로의 출구 전방에 분사 유닛의 단부와 이격되도록 위치되는 커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
확산 부재의 중앙에는 코어 부재 단부의 외주면을 노출시키는 수용홀이 형성되고, 탄성 부재는 수용홀에 삽입되어 확산 부재와 코어 부재 사이에 위치되고, 수용홀에 탄성 부재를 커버하도록 삽입되고 코어 부재에 결합되어 탄성 부재를 수용홀 내에 압축 및 고정시키는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부재는 복수로 형성되고, 복수의 연결 부재 각각은 일정한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코어 부재의 본체 측 단부의 횡단면적은 본체를 향해 갈수록 감소될 수 있다.
소방용 관창은, 분사 유닛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분사 유닛에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분사 유닛의 단부보다 돌출되도록 전방으로 이동시 소화수의 분사 방향을 전방으로 조절하는 조절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분사 유닛은 원통형 구조를 갖고, 분사 유닛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 구조의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조절 유닛의 내주면에는 가이드홈의 너비와 대응되는 직경을 갖는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일부는 가이드홈에 수용되고 다른 일부는 가이드홀에 수용되어 조절 유닛의 전후방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볼을 더 포함하고, 가이드볼이 조절 유닛과 함께 가이드홈을 따라 나선형 경로로 이동함으로써, 조절 유닛은 분사 유닛에 대해 회전하면서 전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분사 유닛의 외주면 중 가이드홈으로부터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격된 위치에는 분사 유닛의 외주면을 따라 환형 지지홈이 형성되고, 조절 유닛의 내주면에는 지지홈과 대향하도록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소방용 관창은 지지홈과 수용 공간 사이에 삽입되어 조절 유닛의 전후방 이동을 지지하는 지지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홈, 가이드홀 및 가이드볼은 각각 복수로 형성되고 서로 동일한 개수를 가지며, 복수의 가이드홈 각각은 분사 유닛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만큼 회전 이동된 위치마다 형성되고, 복수의 가이드홀은 조절 유닛의 내주면에 가이드홈과 동일한 간격만큼 회전 이동된 위치마다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화수의 방사를 위한 확산 부재에 가해지는 소화수의 유동 하중을 효과적으로 감쇄시켜 소방용 관창에 작용하는 반동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관창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관창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관창의 분사 유닛과 확산 유닛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도 2의 BB선에 따른 단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소방용 관창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 분사 유닛(120), 확산 부재(130), 탄성 부재(140), 고정 부재(150), 조절 유닛(160), 가이드볼(170), 지지볼(180), 밸브 유닛(191), 커플링 유닛(194), 베인(195), 및 그립(196)을 포함하는 소방용 관창(100)이 제시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탄성 부재(140)를 이용하여 확산 부재(130)를 분사 유닛(120)의 단부 측에 탄성적으로 결합함으로써 확산 부재(130)에 가해지는 소화수의 유동 하중을 효과적으로 감쇄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소방용 관창(100)에 작용하는 반동력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소방관의 화재 진압 작업의 효율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관창(100)의 각 구성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체(11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단에 분사 유닛(120)이 결합되고 후단에 커플링 유닛(194)이 각각 결합될 수 있으며, 본체(110)의 하부에는 소방관 등 사용자의 핸들링을 위한 그립(196)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의 내부에는 소화수의 유동 경로(112)가 형성될 있다. 이러한 유동 경로(112)에는 밸브 유닛(191)이 설치될 수 있다. 밸브 유닛(191)은 유동 경로(112) 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볼밸브(192)와 이러한 볼밸브(192)의 회전을 위한 레버(193)로 구성될 수 있다.
볼밸브(192)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 타입으로 형성되고 그 중앙부에는 소화수의 유동을 위한 유동로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밸브(192)의 유동로가 본체(110)의 유동 경로(112)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경우 소방 호스로부터 공급되는 소화수가 분사 유닛(120)으로 유동될 수 있다.
그리고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상태에서 레버(193)를 우측으로 회전시키면 볼밸브(192)의 유동로가 차단되면서 소화수의 공급이 중단될 수 있다. 볼밸브(192)는 그 양단이 시트 부재를 개재하여 본체(110)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시트 부재는 테프론(PTFE) 등과 같이 마찰계수가 작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체(110)의 후단에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방 호스를 연결하기 위한 커플링 유닛(194)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커플링 유닛(194)이 본체(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소방 호스의 꼬임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분사 유닛(12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본체(110)의 일단에 결합되고 내부에 유동 경로(112)와 연결되는 분사로(121)가 형성되어 본체(110)로부터 공급되는 소화수를 외부로 분사할 수 있다.
분사 유닛(12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럴 부재(124), 코어 부재(126) 및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128)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배럴 부재(12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서브 파트(124a, 124b)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들은 단부가 서로 나사 결합되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코어 부재(126)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서브 파트(126a, 126b)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중 제1 파트(126a)는 배럴 부재(124)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제2 파트(126b)는 별도로 형성되어 나사 결합을 통해 제1 파트(126a)와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배럴 부재(124)와 코어 부재(126)가 다수의 서브 파트로 제작되는 구조를 일 예로서 제시하였으나, 이외에도 배럴 부재(124)와 코어 부재(126)는 각각 하나의 파트로 일체로서 제작될 수도 있으며 이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물론이다
배럴 부재(124)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분사로(121)를 구비하는 구성으로서 배럴 부재(124) 내부의 분사로(121)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구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분사로(121)로 진입한 소화수는 속도가 증가되면서 외부로 분출될 수 있다.
코어 부재(126)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럴 부재(124) 내부의 중앙에 위치될 수 있다. 코어 부재(126)의 외주면에는 확산 부재(130)가 결합될 수 있다. 확산 부재(130)는 이러한 코어 부재(126)에 의해 분사 유닛(120)의 중앙에 안정적을 지지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 부재(126)의 본체(110) 측 단부의 횡단면적은 본체(110)를 향해 갈수록 감소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코어 부재(126)의 본체(110)를 향하는 단부는 원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본체(110)의 유동 경로(112)를 거쳐 분사 유닛(120)으로 진입하는 소화수의 유동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연결 부재(128)는 도 2,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럴 부재(124)의 내주면과 코어 부재(126)의 외주면을 연결할 수 있다. 연결 부재(128)는 판형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소화수의 유동 저항과 코어 부재(126)의 구조적 안정성을 함께 고려하여 최적의 두께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 부재(128)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연결 부재(128) 각각은 일정한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즉 연결 부재(128)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120도 각도를 이루도록 대칭 구조로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소화수의 유동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다.
확산 부재(13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 유닛(120)의 단부 중앙에 분사로(121)를 커버하도록 결합되어 분사 유닛(120)으로부터 분사되는 소화수를 방사상으로 확산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분사 유닛(120)의 분사로(121) 출구 측에 확산 부재(130)를 배치함으로써 분사로(121)를 통해 배출되는 소화수는 확산 부재(130)의 후면에 가로막혀 방사 방향으로 확산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에 따라 소화수의 분사 각도가 반경 방향으로 확장되어 화재 진압 현장에서 배연을 위해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확산 부재(13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32)와 커버부(134)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부(132)는 원통형 구조로 이루어져 코어 부재(126)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코어 부재(126)에 대해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 부재(126)의 외주면에는 단턱이 형성되어 지지부(132)의 후방으로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132)는 이 상태에서 탄성 부재(140)에 의해 압축력이 가해지면서 코어 부재(126)에 지지되므로, 지지부(132)는 코어 부재(126) 외주면 상에서 적극적인 전후방 이동이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탄성 부재(140)의 탄성 변위 한도 내에서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커버부(134)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32)의 단부에 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분사로(121)의 출구 전방에 분사 유닛(120)의 단부와 이격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커버부(134)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판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분사로(121)의 출구 전방에 분사 유닛(120)의 단부와 이격되도록 위치되어, 분사로(121)를 따라 분사되는 소화수는 커버부(134)의 후면에 부딪치면서 반경 방향으로 퍼지면서 외부로 방사될 수 있다.
탄성 부재(14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 유닛(120)과 확산 부재(130) 사이에 개재되어, 소화수의 유동에 따라 확산 부재(130)에 가해지는 하중을 탄성력에 의해 감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확산 부재(130)가 탄성 부재(140)에 의해 분사 유닛(120)에 탄성적으로 결합됨으로써, 확산 부재(130)에 작용하는 소화수의 유동 하중을 탄성력에 의해 감쇄시킬 수 있으므로, 이에 따라 소방용 관창(100)에 작용하는 반동력을 최소화하여 소방관의 화재 진압 작업의 안전과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탄성 부재(140)는 압축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산 부재(130)의 수용홀(136) 내에 수용되어 압축 결합될 수 있다.
즉 확산 부재(130)의 중앙에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134)로부터 지지부(132)에 이르는 수용홀(136)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수용홀(136)을 통해 코어 부재(126) 단부의 외주면이 노출될 수 있다. 압축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된 탄성 부재(140)는 수용홀(136) 내에 삽입되어 코어 부재(126)의 외주면을 둘러싸게 되며 이에 따라 탄성 부재(140)는 확산 부재(130)와 코어 부재(126)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이 후 탄성 부재(140)는 고정 부재(150)에 의해 고정 지지될 수 있다. 고정 부재(15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홀(136)에 탄성 부재(140)를 커버하도록 삽입되고 코어 부재(126)에 결합되어 탄성 부재(140)를 수용홀(136) 내에 압축 및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 부재(150)는 볼트 등의 체결 수단을 통하여 코어 부재(126)의 단부에 고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고정 부재(150)에 의해 커버되는 탄성 부재(140)는 수용홀(136) 내에서 압축되면서 코어 부재(126)에 확산 부재(130)를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탄성 부재(140)가 수용홀(136) 내에 압축 결합됨으로써, 소화수의 유동에 따라 확산 부재(130)의 후면에 전방을 향하는 하중이 가해지면 탄성 부재(140)가 더욱 압축되면서 이 하중을 상쇄시킬 수 있으므로, 이에 따라 소방용 관창(100)에 전체적으로 작용하는 반동력 또한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조절 유닛(16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 유닛(120)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분사 유닛(120)에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조절 유닛(160)은 내주면이 분사 유닛(120)의 외주면과 접하는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조절 유닛(160)이 분사 유닛(120)의 단부보다 돌출되도록 전방으로 이동시, 소화수의 분사 방향을 전방으로 조절할 수 있다.
즉 조절 유닛(160)이 분사 유닛(120)의 단부보다 돌출된 상태에서는, 분사 유닛(120)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분사되는 소화수는 조절 유닛(160)의 내주면에 충돌되면서 직진 방향으로 유동이 가이드될 수 있어, 소화수의 분사 형태가 다시 직사로 조절될 수 있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 도 3,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 유닛(160)은 가이드홈(122), 가이드홀(162) 및 가이드볼(170)에 의한 상호 작용에 의해 분사 유닛(120)에 대해 나선 방향을 따라 회전하면서 전후진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 유닛(120)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 구조의 가이드홈(122)이 형성될 수 있으며, 도 2,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 유닛(160)의 내주면에는 이러한 가이드홈(122)의 너비와 대응되는 직경을 갖는 가이드홀(16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볼(170)은 가이드홀(162)과 가이드홈(122) 사이에 개재되고 그 일부가 가이드홈(122)에 수용되고 다른 일부가 가이드홀(162)에 수용되어, 조절 유닛(160)의 전후방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즉 가이드볼(170)은 조절 유닛(160)의 가이드홀(162) 내에서 자유롭게 회전은 가능하나 조절 유닛(160) 상에 대한 위치가 변동되지는 않으므로, 도 2,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볼(170)은 조절 유닛(160)과 함께 분사 유닛(120) 외주면의 가이드홈(122)을 따라 나선형 경로로 이동함으로써, 조절 유닛(160)은 분사 유닛(120)에 대해 회전하면서 전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가이드홈(122), 가이드홀(162) 및 가이드볼(170)은 각각 복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서로 동일한 개수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홈(122), 가이드홀(162) 및 가이드볼(170)이 각각 3개씩 형성되어 서로 일대일 대응되는 경우를 일 예로 제시하였다.
또한 복수의 가이드홈(122) 각각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 유닛(120)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만큼, 보다 구체적으로 120도 각도만큼 회전 이동된 위치마다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가이드홀(162) 각각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 유닛(160)의 내주면에 가이드홈(122)과 동일한 간격, 즉 120도 각도만큼 회전 이동된 위치마다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가이드홈(122)과 가이드홀(162)이 코어 부재(126)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배치됨으로써, 조절 유닛(160)의 분사 유닛(120)에 대한 편심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고압 소화수가 조절 유닛(160)과 분사 유닛(120) 사이로 누설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 유닛(160)의 회전 및 전후방 이동은 가이드홈(122)으로부터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제공되는 지지홈(123), 수용 공간(163) 및 지지볼(180)에 의해 추가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이드홈(122), 가이드홀(162) 및 가이드볼(170)에 더하여 이들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지지홈(123), 수용 공간(163) 및 지지볼(180)을 마련함으로써 조절 유닛(160)의 전후방 이동시 분사 유닛(120)과의 편심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 유닛(120)의 외주면 중 가이드홈(122)으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된 위치에는 분사 유닛(120)의 외주면을 따라 환형 지지홈(123)이 형성될 수 있으며, 조절 유닛(160)의 내주면에는 지지홈(123)과 대향하도록 수용 공간(163)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조절 유닛(160)의 내주면에는 지지홈(123)과 대응되는 위치에 단턱이 형성되어 지지볼(180) 수용을 위한 수용 공간(163)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홈(123)과 수용 공간(163) 사이에는 지지볼(180)이 삽입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분사 유닛(120)에 대한 조절 유닛(160)의 전후방 이동이 편심없이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볼(180)은 지지홈(123)을 따라 복수로 삽입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20개 이상의 지지볼(180)이 지지홈(123)에 삽입되어 조절 유닛(160)의 이동을 지지할 수 있다.
복수의 베인(195)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 유닛(160)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베인(195)은 조절 유닛(160)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환형 고리의 표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베인(195)이 형성된 환형 고리는 테프론 등과 같이 마찰계수가 작은 재질로 이루어진 슬립 부재를 개재하여 조절 유닛(160)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 유닛(160)이 후방에 위치한 상태에 있는 경우, 분사 유닛(120)의 단부로 방사되는 소화수는 복수의 베인(195)을 통과하면서 이들 베인(195) 및 베인(195)이 형성된 환형 고리를 회전시키게 되며, 이와 같이 회전하는 베인(195)에 의해 다시 소화수의 유동에 회전력이 가해지게 되며 이와 동시에 소화수의 입자는 보다 미세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화재 진압 현장에서 소화수의 방사에 의한 배연 기능 구현시, 미세화된 입자에 의해 연기의 차단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소화수의 회전 유동에 의해 소방용 관창(100)의 전방을 향하는 공기의 유동(바람)이 형성되어 배연 효과를 배가시키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소방용 관창
110: 본체
112: 유동 경로
120: 분사 유닛
121: 분사로
122: 가이드홈
123: 지지홈
124: 배럴 부재
126: 코어 부재
128: 연결 부재
130: 확산 부재
132: 지지부
134: 커버부
136: 수용홀
140: 탄성 부재
150: 고정 부재
160: 조절 유닛
162: 가이드홀
163: 수용 공간
170: 가이드볼
180: 지지볼
191 밸브 유닛
192: 볼밸브
193: 레버
194: 커플링 유닛
195: 베인(vane)
196: 그립

Claims (10)

  1. 내부에 소화수의 유동 경로가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단에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유동 경로와 연결되는 분사로가 형성되어 상기 소화수를 분사하는 분사 유닛;
    상기 분사 유닛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분사 유닛으로부터 분사되는 상기 소화수를 방사상으로 확산시키는 확산 부재; 및
    상기 분사 유닛과 상기 확산 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소화수의 유동에 따라 상기 확산 부재에 가해지는 하중을 탄성력에 의해 감쇄시키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분사 유닛은,
    내부에 상기 분사로가 형성되는 배럴 부재;
    상기 배럴 부재 내부의 중앙에 위치되는 코어 부재; 및
    상기 배럴 부재의 내주면과 상기 코어 부재의 외주면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확산 부재는,
    상기 코어 부재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코어 부재에 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단부에 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분사로의 출구 전방에 상기 분사 유닛의 단부와 이격되도록 위치되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확산 부재의 중앙에는 상기 코어 부재 단부의 외주면을 노출시키는 수용홀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수용홀에 삽입되어 상기 확산 부재와 상기 코어 부재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수용홀에 상기 탄성 부재를 커버하도록 삽입되고 상기 코어 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탄성 부재를 상기 수용홀 내에 압축 및 고정시키는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하는, 소방용 관창.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복수로 형성되고,
    복수의 상기 연결 부재 각각은 일정한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소방용 관창.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부재의 상기 본체 측 단부의 횡단면적은 상기 본체를 향해 갈수록 감소되는, 소방용 관창.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 유닛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분사 유닛에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분사 유닛의 단부보다 돌출되도록 전방으로 이동시 상기 소화수의 분사 방향을 전방으로 조절하는 조절 유닛을 더 포함하는 소방용 관창.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 유닛은 원통형 구조를 갖고,
    상기 분사 유닛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 구조의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조절 유닛의 내주면에는 상기 가이드홈의 너비와 대응되는 직경을 갖는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일부는 상기 가이드홈에 수용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가이드홀에 수용되어 상기 조절 유닛의 전후방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볼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볼이 상기 조절 유닛과 함께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나선형 경로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조절 유닛은 상기 분사 유닛에 대해 회전하면서 전후방으로 이동하는, 소방용 관창.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 유닛의 외주면 중 상기 가이드홈으로부터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격된 위치에는 상기 분사 유닛의 외주면을 따라 환형 지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조절 유닛의 내주면에는 상기 지지홈과 대향하도록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홈과 상기 수용 공간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조절 유닛의 전후방 이동을 지지하는 지지볼을 더 포함하는, 소방용 관창.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 상기 가이드홀 및 상기 가이드볼은 각각 복수로 형성되고 서로 동일한 개수를 가지며,
    복수의 상기 가이드홈 각각은 상기 분사 유닛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만큼 회전 이동된 위치마다 형성되고,
    복수의 상기 가이드홀 각각은 상기 조절 유닛의 내주면에 상기 가이드홈과 동일한 간격만큼 회전 이동된 위치마다 형성되는, 소방용 관창.
KR1020180046807A 2018-04-23 2018-04-23 소방용 관창 KR1019175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6807A KR101917569B1 (ko) 2018-04-23 2018-04-23 소방용 관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6807A KR101917569B1 (ko) 2018-04-23 2018-04-23 소방용 관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7569B1 true KR101917569B1 (ko) 2018-11-09

Family

ID=64426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6807A KR101917569B1 (ko) 2018-04-23 2018-04-23 소방용 관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756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2011A (ko) 2019-01-24 2020-08-03 윤채경 안전 소방 관창
WO2021206205A1 (ko) * 2020-04-10 2021-10-14 주식회사 파이어시스 충돌형 미세분무 소방 관창
KR20230033451A (ko) * 2021-09-01 2023-03-08 주식회사 파이어시스 소방호스 중간연결밸브
KR102538477B1 (ko) * 2022-09-07 2023-05-31 중문테크 주식회사 소방용 관창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0221B1 (ko) * 2016-05-10 2017-09-21 육송(주) 소방 관창
JP2017169788A (ja) * 2016-03-23 2017-09-28 学校法人立命館 消火用ノズル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69788A (ja) * 2016-03-23 2017-09-28 学校法人立命館 消火用ノズル
KR101780221B1 (ko) * 2016-05-10 2017-09-21 육송(주) 소방 관창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2011A (ko) 2019-01-24 2020-08-03 윤채경 안전 소방 관창
WO2021206205A1 (ko) * 2020-04-10 2021-10-14 주식회사 파이어시스 충돌형 미세분무 소방 관창
KR20210126279A (ko) * 2020-04-10 2021-10-20 주식회사 파이어시스 충돌형 미세분무 소방 관창
KR102466642B1 (ko) * 2020-04-10 2022-11-15 주식회사 파이어시스 충돌형 미세분무 소방 관창
KR20230033451A (ko) * 2021-09-01 2023-03-08 주식회사 파이어시스 소방호스 중간연결밸브
KR102620724B1 (ko) * 2021-09-01 2024-01-03 주식회사 파이어시스 소방호스 중간연결밸브
KR102538477B1 (ko) * 2022-09-07 2023-05-31 중문테크 주식회사 소방용 관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7569B1 (ko) 소방용 관창
KR101531478B1 (ko) 미스트로 화재에 대처하기 위한 방화 장치, 시스템들 및 방법들
JP3299278B2 (ja) 液体を回転運動に設定する螺旋形ばねを有するノズル
RU2450837C1 (ru) Пеногенератор эжекционного типа
KR101693765B1 (ko) 소방노즐
RU2448750C1 (ru) Пеногенератор
KR101700211B1 (ko) 정역회전 스프링클러 방식의 건물용 소방장치
KR100709382B1 (ko) 소방용 관창
US4801090A (en) Discharge pipe and discharge apparatus using the same
RU2451560C1 (ru) Пеногенератор эжекционного типа с вихревым распылителем
US7021391B2 (en) Portable fire fighting system and extinguisher apparatus and method
KR102234900B1 (ko) 화재 진압용 고압 소화건
CA2180561C (en) Nozzle for spreading water fog
RU2456042C1 (ru) Пеногенератор эжекционного типа
US6189622B1 (en) Nozzle for fighting fires in buildings
US20160263411A1 (en) Fire extinguishing appliance adjustable in foam expansion ratio
US6764024B2 (en) Rotary foam nozzle
KR101771035B1 (ko) 소방용 관창
KR102431334B1 (ko) 물과 포 겸용 분사건
RU2713249C1 (ru) Генератор воздушно-механической пены средней и низкой кратности для лафетного ствола и лафетный ствол с генератором воздушно-механической пены средней и низкой кратности
KR102286749B1 (ko) 건축물 화재진화용 소화용수 분사노즐 클램핑구조
JP6182632B1 (ja) ガス系消火設備用の消音機能を有する噴射ヘッド
KR100497138B1 (ko) 소방장치
RU192064U1 (ru) Генератор воздушномеханической пены средней и низкой кратности для лафетного ствола
RU2451559C1 (ru) Вихревой пеногенератор эжекционного тип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