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7130B1 - 단일루프로 구성된 바이스태틱 펄스 레이다 안테나 - Google Patents

단일루프로 구성된 바이스태틱 펄스 레이다 안테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7130B1
KR101917130B1 KR1020180088835A KR20180088835A KR101917130B1 KR 101917130 B1 KR101917130 B1 KR 101917130B1 KR 1020180088835 A KR1020180088835 A KR 1020180088835A KR 20180088835 A KR20180088835 A KR 20180088835A KR 101917130 B1 KR101917130 B1 KR 1019171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direction
transmitter
gap
conductor
rece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8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웅
김창렬
조성준
Original Assignee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지질자원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0888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71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71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71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7/00Loop antennas with a substantially uniform current distribution around the loop and having a directional radiation pattern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loop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0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3/00
    • G01S7/03Details of HF sub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common to transmitter and receiver
    • G01S7/032Constructional details for solid-state radar sub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44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using equipment having another main function to serve additionally as an antenna, e.g. means for giving an antenna an aesthetic aspect
    • H01Q1/46Electric supply lines or communication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의 루프 안테나 몸체에 두 개의 급전부를 급전방향이 서로 직교가 되도록 이격시켜 구성하여 송수신부가 분리된 바이스태틱 레이다로 운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안테나 하나로 송수신을 수행하는 일반적인 모노스태틱 레이다 대비 RF 손실 및 안테나 초동신호의 크기를 줄일 수 있으므로 레이다 탐지성능이 보다 우수해지는 안테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90도 각도의 2개의 단부를 갖는 호형태로 구성되는 통전부; 상기 통전부와 함께 환형태를 이루도록 구성되며 상기 통전부의 2개의 단부와 각각 이격되어 구성된 2개의 단부가 수직으로 형성된 2개의 간극을 형성하는 컨덕터; 상기 2개의 간극 중 하나에 설치되며 컨덕터와 상기 통전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파를 표적으로 향하여 전송하는 송신기; 및 상기 2개의 간극 중 다른 하나의 간극에 설치되며 상기 표적으로부터 반사되어 입사되는 반사파를 수신하고 상기 송신기의 급전방향과 직각을 이루도록 급전 방향이 형성된 수신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단일루프로 구성된 바이스태틱 펄스 레이다 안테나{A SINGLE LOOP-BASED BISTATIC PULSE RADAR ANTENNA}
본 발명은 단일루프로 구성된 바이스태틱 펄스 레이다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루프 안테나 몸체에 두 개의 급전부를 급전방향이 서로 직교가 되도록 이격시켜 구성하여 송수신부가 분리된 바이스태틱 레이다로 운용하게 함으로써, 안테나 하나로 송수신을 수행하는 일반적인 모노스태틱 레이다 대비 RF 손실 및 안테나 초동신호의 크기를 줄일 수 있으므로 레이다 탐지성능이 보다 우수해지는 안테나 장치에 관한 것이다.
펄스 레이다는 유전체를 투과하여 전파될 수 있고, 유전율의 불연속면에서 산란되는 특성을 가지는 초광대역 임펄스 신호를 사용하여 유전체 속에 존재하는 표적의 영상을 획득하는 시스템으로서, 비파괴 검사 및 은닉체 탐지용 벽투과 레이다, 장애물 탐지 및 감시용 수풀투과 레이다, 인체의 종양탐지 등의 분야에 널리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레이다 시스템에는 높은 투과성과 함께 높은 해상도가 요구되는데, 높은 투과성은 낮은 중심주파수를 사용함으로써, 높은 해상도는 넓은 범위의 주파수대역, 즉 짧은 폭을 가지는 펄스를 사용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레이다 안테나는 송수신기 구성에 따라서 1개의 안테나로 구성되어 하나의 급전부에서 송수신을 함께 하는 모노스태틱 레이다 안테나(Monostatic Radar Antenna)와 2개의 안테나로 구성되어 송수신 안테나가 구분된 바이스태틱 레이다 안테나(Bistatic Radar Antenna)로 구분된다.
도 1은 일반적인 모노스태틱 안테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1개의 모노스태틱 레이다 안테나(10)로 송신과 수신을 모두 수행하기 때문에, 송수신 안테나가 이격거리를 가지며 별도로 존재하는 바이스태틱 레이다 안테나에 비해 공간효율성이 우수하고 특히 다중채널 시스템 구성 시 매우 유리하며 송수신 안테나 간 오프셋이 없으므로 송신빔과 수신빔의 공유영역이 넓다는 장점을 가진다.
그러나, 모노스태틱 레이다 안테나(10)는 그 급전부에 입력신호가 인가될 때, 안테나 급전부에서 임피던스 부정합에 의한 반사신호가 초동신호로서 발생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초동신호의 크기가 바이스태틱 레이다에서 발생하는 초동신호인 직접파 신호의 크기에 비해 크므로, 레이다 시스템의 동적범위 성능이 같다는 전제하에서 바이스태틱 레이다 시스템에 비해 레이다 표적에 대한 탐지성능이 제한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모노스태틱 레이다는 송수신 신호의 분기를 위한 RF 스위치 및 써큘레이터(30) 등이 필요하므로, 바이스태틱 레이다에 비해 RF 손실이 증가한다.
따라서 안테나 설치시 공간효율성 및 송수신 빔 공유영역 증대를 위해 단일 안테나를 사용하여 레이다 신호를 송수신하면서도, RF 손실을 줄이고 급전부 부근에서 발생하는 초동신호의 크기를 줄여 레이다 표적에 대한 탐지성능을 증대시키기 위해 단일 안테나 구조에서 급전부를 이격시켜 바이스태틱 레이다 시스템으로 운용할 수 있는 안테나 장치가 요구된다.
한국 특허 등록 공보 제10-1551824호(발명의 명칭 : 매설물 탐지 레이더 및 탐지 방법)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루프 안테나 몸체에 두 개의 급전부를 급전방향이 서로 직교가 되도록 이격시켜 구성, 송수신부가 분리된 바이스태틱 레이다로 운용됨으로써, 안테나 하나로 송수신을 수행하는 일반적인 모노스태틱 레이다 대비 RF 손실 및 안테나 초동신호의 크기를 줄일 수 있어 레이다 탐지성능이 보다 우수해지는 안테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이스태틱 펄스 레이다 안테나는, 90도 각도의 2개의 단부를 갖는 호형태로 구성되는 통전부; 상기 통전부와 함께 환형태를 이루도록 구성되며 상기 통전부의 2개의 단부와 각각 이격되어 구성된 2개의 단부가 수직으로 형성된 2개의 간극을 형성하는 컨덕터; 상기 2개의 간극 중 하나에 설치되며 상기 통전부와 상기 컨덕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파를 표적으로 향하여 전송하는 송신기; 및 상기 2개의 간극 중 다른 하나의 간극에 설치되며 상기 표적으로부터 반사되어 입사되는 반사파를 수신하고 상기 송신기의 급전방향과 직각을 이루도록 급전 방향이 형성된 수신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송신기는, 상기 통전부로부터 컨덕터로 급전방향이 형성되고, 상기 수신기는, 상기 컨덕터로부터 통전부로 급전방향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송신기는 상기 컨덕터로부터 통전부로 급전방향이 형성되고, 상기 수신기는, 상기 통전부로부터 컨덕터로 급전방향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이스태틱 펄스 레이다 안테나는, 양면으로 형성된 기판 중 일측면에 형성되고 이격되어 구성된 하나의 제1 간극을 갖는 환형태로 구성되며 전파를 표적으로 전송하는 송신기; 및 양면으로 형성된 기판 중 타측면에 형성되고 이격되어 구성된 하나의 제2 간극을 갖는 환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제2 간극은 상기 제1 간극과 직각을 이루도록 배치되며 상기 송신기로부터 전송되어 상기 표적에서 반사된 전파를 수신하는 수신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송신기는, 상기 제1 간극의 위치에서 시계방향으로 급전방향이 형성되고, 상기 수신기는, 상기 제2 간극의 위치에서 시계방향으로 급전방향이 형성되어 상기 송신기의 급전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급전방향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송신기는, 상기 제1 간극의 위치에서 반시계방향으로 급전방향이 형성되고, 상기 수신기는, 상기 제2 간극의 위치에서 반시계방향으로 급전방향이 형성되어 상기 송신기의 급전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급전방향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단일루프로 구성된 바이스태틱 펄스 레이다 안테나는 하나의 루프 안테나 몸체에 두 개의 급전부를 급전방향이 서로 직교가 되도록 이격시켜 구성, 송수신부가 분리된 바이스태틱 레이다로 운용함으로써, 안테나 하나로 송수신을 수행하는 일반적인 모노스태틱 레이다 대비 RF 손실 및 안테나 초동신호의 크기를 줄일 수 있으므로 레이다 탐지성능이 보다 우수해진다.
도 1은 일반적인 모노스태틱 레이다 안테나의 전파의 흐름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스태틱 펄스 레이다 안테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도 2에 따른 바이스태틱 펄스 레이다 안테나의 수신기에서 수신된 신호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이스태틱 펄스 레이다 안테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5은 본 발명의 도 4에 따른 바이스태틱 펄스 레이다 안테나의 수신기에서 수신된 신호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스태틱 펄스 레이다 안테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스태틱 안테나(100)는 통전부(110), 컨덕터(120), 송신기(130) 및 수신기(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통전부(110)는 90도 각도의 2개의 단부를 갖는 호형태로 구성되는 도체로 구성된다. 즉, 통전부(110)는 환형태의 도체 중 90도의 형체만을 갖는 부분이다.
컨덕터(120)는 통전부(110)와 함께 중심이 통공된 형태의 환형태를 이루도록 구성되며 통전부(110)에 구성된 2개의 단부와 2개의 단부가 각각 이격되어 구성되어 서로 수직으로 형성된 2개의 간극(122, 124)을 형성한다.
송신기(130)는 2개의 간극 중 하나인 제1 간극(122)에 설치되며 컨덕터(120)와 통전부(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파를 전파방향(12)으로 표적(10)으로 향하여 전송한다. 즉, 송신기(130)에서 전파가 표적(10)을 향하여 전송된다. 한편, 도면에서는 급전방향(123)이 컨덕터(120)에서 통전부(110)로 향하는 것으로 표시되었으나, 반대의 방향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수신기(140)는 상기 2개의 간극 중 다른 하나의 간극인 제2 간극(124)에 설치되며 표적(10)으로부터 반사되어 입사되는 반사파를 수신한다. 수신기(140)는 상기 송신기(10)의 급전방향(123)과 직각을 이루도록 급전방향(125)이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수신기의 급전방향은 통전부(110)에서 컨덕터(120)로 향하는 것으로 표시되었으나, 반대의 방향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예컨대, 송신기(130)의 급전방향이 컨덕터(120)로부터 통전부(110)로 향하도록 설정되면, 수신기(140)의 급전방향은 통전부(110)로부터 컨덕터(120)로 향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송신기(120)의 급전방향이 통전부(110)로부터 컨덕터(120)로 향하도록 설정된 경우면 수신기(140)의 급전 방향은 컨덕터(120)로부터 통전부(110)로 향하도록 설정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도 2에 따른 바이스태틱 펄스 레이다 안테나의 수신기에서 수신된 신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3의 (a)는 수신기(140)에서 수신된 초동신호가 그래프 형태로 나타나 있으며, 여기서 첨두전압은 0.2599V(Vpp,1)로 측정되었다. 도 3의 (a)에서 초동신호는 표적(10)으로부터 반사된 신호가 아니라 송신기(130)에서 수신기(140)로 통전부(110) 및 컨덕터(120)를 통해 바로 입력된 전기신호를 의미한다. 또한 도 3의 (b)에서는 표적(10)으로부터 반사되어 수신된 신호의 첨두값이 0.0114mv(Vpp,2)를 나타냈다. 즉, 초동신호에 대한 표적 반사파 신호의 첨두값 비율(Vpp,2/Vpp,1)이 0.0044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된다. 이는 일반적으로 단일 루프 안테나를 수신기와 송신기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도 1의 써큘레이터(30)를 이용하여 모노스태틱 레이다 안테나로 사용하는 경우에서, 초동신호인 급전부 반사신호에 대한 레이다 표적 반사파의 첨두값 비율(Vpp,2/Vpp,1)이 0.0018로 나타난 것에 대비하여 2.5배 정도 향상되는 것으로 확인된다. 즉, 초동신호 크기 대비 표적 반사파의 크기 비율이 높이 나타나는 것으로 레이다 표적 탐지 성능이 우수해짐을 알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이스태틱 펄스 레이다 안테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이스태틱 펄스 레이다 안테나는, 송신기(210)와 수신기(220)로 구성된다.
송신기(210)는 양면으로 형성된 기판(200) 중 일측면에 형성되고 이격되어 구성된 하나의 간극(212)을 갖고 환형태로 구성되며 전파를 표적(10)으로 전송한다.
수신기(220)는 양면으로 형성된 기판(200) 중 타측면에 형성되고 이격되어 구성된 하나의 간극(222)을 갖고 환형태로 구성된다. 그리고 수신기(220)에 구성된 간극(222)은 상기 송신기(210)에 형성된 간극(212)과 직각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수신기(220)는 송신기(210)로부터 전송되어 상기 표적(10)에서 반사된 전파를 수신한다.
송신기(210)는 상기 간극(212)의 위치에서 시계방향으로 급전방향이 형성되는 경우 수신기(220)는 상기 간극(222)의 위치에서 시계방향으로 급전방향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송신기(210)의 급전방향과 수신기(220)의 급전방향이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만약, 송신기(210)가 간극(212)의 위치에서 반시계방향으로 급전방향이 형성되는 경우 수신기(220)는 간극(222)의 위치에서 반시계방향으로 급전방향이 형성되어 상기 송신기의 급전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급전방향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도 4에 따른 바이스태틱 펄스 레이다 안테나의 수신기에서 수신된 신호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때, 도 4에서 기판의 두께는 1.6mm로 설정하여 구성하였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5의 (a)는 수신기(220)에서 수신된 초동신호가 도시되어 있으며, 측정된 신호의 첨두값은 0.05V(Vpp,1)로 측정되었다. 여기서 초동신호는 표적(10)으로부터 반사된 반사파가 아닌 송신기(130)에서 방사되어 수신기(140)에서 바로 수신한 직접파를 의미한다. 또한 도 3의 (b)에서는 표적(10)으로부터 반사되어 수신된 반사파 신호의 첨두값이 0.0036mV(Vpp,2)인 것으로 나타났다. 즉, 초동신호 크기에 대한 표적 반사파 크기의 비율(Vpp,2/Vpp,1)이 0.0072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일반적으로 단일 루프 안테나를 수신기와 송신기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도 1에서와 같이 써큘레이터(30)를 이용하여 모노스태틱 레이다 안테나로 사용하는 경우에서 초동신호인 급전부 반사신호 크기에 대한 표적 반사파 크기의 비율(Vpp,2/Vpp,1)이 0.0018로 나타난 것에 대비하여 4배 가량 높은 값을 가지는 것으로서, 초동신호 크기 대비 표적 반사파 크기의 비율이 높이 나타나는 것을 통해 레이다 표적에 대한 탐지성능이 우수해짐을 알 수 있다.
10 : 표적 110 : 통전부
120 : 컨덕터 122, 124 : 간극
130 : 송신기 140 : 수신기
210 : 송신기 212, 222 : 간극
220 : 수신기

Claims (6)

  1. 90도 각도의 2개의 단부를 갖는 호형태로 구성되는 통전부;
    상기 통전부와 함께 환형태를 이루도록 구성되며 상기 통전부의 2개의 단부와 각각 이격되어 구성된 2개의 단부가 수직으로 형성된 2개의 간극을 형성하는 컨덕터;
    상기 2개의 간극 중 하나에 설치되며 컨덕터와 상기 통전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파를 표적으로 향하여 전송하는 송신기; 및
    상기 2개의 간극 중 다른 하나의 간극에 설치되며 상기 표적으로부터 반사되어 입사되는 반사파를 수신하고 상기 송신기의 급전방향과 직각을 이루도록 급전 방향이 형성된 수신기;를 포함하는 바이스태틱 펄스 레이다 안테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상기 컨덕터로부터 통전부로 급전방향이 형성되고,
    상기 수신기는,
    상기 통전부로부터 컨덕터로 급전방향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인 바이스태틱 펄스 레이다 안테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상기 통전부로부터 컨덕터로 급전방향이 형성되고,
    상기 수신기는,
    상기 컨덕터로부터 통전부로 급전방향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인 바이스태틱 펄스 레이다 안테나.
  4. 양면으로 형성된 기판 중 일측면에 형성되고 이격되어 구성된 하나의 제1 간극을 갖는 환형태로 구성되며 전파를 표적으로 전송하는 송신기; 및
    양면으로 형성된 기판 중 타측면에 형성되고 이격되어 구성된 하나의 제2 간극을 갖는 환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제2 간극은 상기 제1 간극과 직각을 이루도록 배치되며 상기 송신기로부터 전송되어 상기 표적에서 반사된 전파를 수신하는 수신기;를 포함하는 바이스태틱 펄스 레이다 안테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상기 제1 간극의 위치에서 시계방향으로 급전방향이 형성되고,
    상기 수신기는,
    상기 제2 간극의 위치에서 시계방향으로 급전방향이 형성되어 상기 송신기의 급전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급전방향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인 바이스태틱 펄스 레이다 안테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상기 제1 간극의 위치에서 반시계방향으로 급전방향이 형성되고,
    상기 수신기는,
    상기 제2 간극의 위치에서 반시계방향으로 급전방향이 형성되어 상기 송신기의 급전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급전방향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인 바이스태틱 펄스 레이다 안테나.
KR1020180088835A 2018-07-30 2018-07-30 단일루프로 구성된 바이스태틱 펄스 레이다 안테나 KR1019171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8835A KR101917130B1 (ko) 2018-07-30 2018-07-30 단일루프로 구성된 바이스태틱 펄스 레이다 안테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8835A KR101917130B1 (ko) 2018-07-30 2018-07-30 단일루프로 구성된 바이스태틱 펄스 레이다 안테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7130B1 true KR101917130B1 (ko) 2018-11-09

Family

ID=64426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8835A KR101917130B1 (ko) 2018-07-30 2018-07-30 단일루프로 구성된 바이스태틱 펄스 레이다 안테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713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36720A1 (en) 2006-12-11 2008-06-12 Harris Corporation Multiple polarization loop antenna and associated methods
EP2296227B1 (de) 2009-09-10 2018-02-21 Delphi Deutschland GmbH Antenne für den Empfang Zirkular Polarisierter Satellitenfunksignal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36720A1 (en) 2006-12-11 2008-06-12 Harris Corporation Multiple polarization loop antenna and associated methods
EP2296227B1 (de) 2009-09-10 2018-02-21 Delphi Deutschland GmbH Antenne für den Empfang Zirkular Polarisierter Satellitenfunksigna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78707B2 (en) Radar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radar signal
US10684355B2 (en) Radar module, and vehicle radar device comprising same
US5640168A (en) Ultra wide-band radar antenna for concrete penetration
US9595764B2 (en) Dual port single frequency antenna
EP3488260B1 (en) Fast beam patterns
US11073611B2 (en) High spatial resolution 3D radar based on a single sensor
US20080150819A1 (en) Radar apparatus
JP2013083645A (ja) 自動車用レーダー改良のための送信および受信位相アレイ
KR19980042636A (ko) 멀티 빔 차량 레이더 시스템
US20200191904A1 (en) Radar apparatus
WO2021169926A1 (zh) 一种天线以及雷达系统
US10833745B2 (en) Wireless signal transceiver device with dual-polarized antenna with at least two feed zones
CN114784499A (zh) 一种波束偏转天线、天线阵列、雷达传感器和车辆
US7928894B1 (en) Phased array radar with mutually orthogonal coding of transmitted and received V and H components
US4509055A (en) Blockage-free space fed antenna
KR101917130B1 (ko) 단일루프로 구성된 바이스태틱 펄스 레이다 안테나
US10386478B2 (en) Range-independent resolution radar
CN107437660B (zh) 一种步进频连续波穿墙雷达的天线装置
RU2391751C1 (ru) Антенная система
CN104953296A (zh) 相控阵腔式微带天线单元
EP3446148B1 (en) Method and system for operating an iff/ssr antenna
RU2819745C1 (ru) Моноимпульсный облучатель круговой поляризации
CN216648602U (zh) 毫米波雷达天线及毫米波雷达
US20040248525A1 (en) Radar duplexing arrangement
Chepurnyy et al. SIMULATION OF WAVEGUIDE TURNSTILE†TYPE JUNCTION WITH A SQUARE WAVEGUIDE OUTPUT FOR INCOHERENT SCATTER RADAR ANTENN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