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7060B1 - 슬라이드 없는 수직상승구조를 이용한 전동침대 - Google Patents

슬라이드 없는 수직상승구조를 이용한 전동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7060B1
KR101917060B1 KR1020180042284A KR20180042284A KR101917060B1 KR 101917060 B1 KR101917060 B1 KR 101917060B1 KR 1020180042284 A KR1020180042284 A KR 1020180042284A KR 20180042284 A KR20180042284 A KR 20180042284A KR 101917060 B1 KR101917060 B1 KR 1019170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sing
supporting portion
present
bed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2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연호
이정운
Original Assignee
(주)한림의료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림의료기 filed Critical (주)한림의료기
Priority to KR10201800422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70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7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70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4Extensible bedsteads, e.g. with adjustment of length, width, height
    • A47C19/045Extensible bedsteads, e.g. with adjustment of length, width, height with entire frame height or inclination adjust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2Parts or details of bedsteads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subgroups, e.g. bed rails, post rails
    • A47C19/021Bedstead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54Fittings for bedstead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라이드 없는 수직상승 구조를 이용한 전동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슬라이드 없이 수직 상승할 수 있는 링크 구조를 이용하여 흔들림을 예방하고, 하부가 아닌 상부에 모터를 장착하여 운용하며, 조립형으로 제작 가능한 전동침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인 침대용 구조물은, 지면 측 하단에 배치되는 제 1 지지부(1110); 매트리스 측 상단에 배치되는 제 2 지지부(1100); 상기 제 1 지지부(1110)와 상기 제 2 지지부(1100) 사이에, 수직 방향으로 2단으로 접히도록 구성된 복수의 수직 연결부재; 상기 복수의 수직 연결부재의 2단으로 접히는 지점을 수평으로 연결하는 수평 연결부재(1213); 상기 제 1 지지부(1110), 제 2 지지부(1100) 및 수평 연결부재(1213)의 적어도 일부와 일단이 각각 연결되고, 타단이 특정 지점에 모두 연결되는 복수의 상승 다리를 포함하는 Y 형태의 상승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수직 연결부재, 수평 연결부재(1213) 및 Y 형태의 상승부재는 고정 연결될 수 있다.

Description

슬라이드 없는 수직상승구조를 이용한 전동침대 {Bed for medical purposes using rising structure without slide}
본 발명은 슬라이드 없는 수직상승 구조를 이용한 전동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슬라이드 없이 수직 상승할 수 있는 링크 구조를 이용하여 흔들림을 예방하고, 하부가 아닌 상부에 모터를 장착하여 운용하며, 조립형으로 제작 가능한 전동침대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의하면 접이식 전동침대가 적용되는 경우, 하단에 슬라이드 구조물을 배치하여 슬라이딩하는 동작을 통해 상단의 매트리스를 받치는 구조물을 상승 및 하강하는 구조를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슬라이딩 동작을 통해 유도되는 침대의 진동 및 흔들림에 의한 문제점이 발생하고, 이물질로 인한 슬라이딩 오동작 문제도 발생되고 있다.
또한, 일체형으로 침대가 제작되는 경우, 다른 용도의 기구로 교체하지 못하고 새롭게 전동침대를 구입해야 하는 문제점과 하부에 장착되는 모터로 인해 불편함을 감수해야 하는 문제점도 존재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전동침대에 대한 니즈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6484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슬라이드 없는 수직상승 구조를 이용한 전동침대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슬라이드 없이 수직 상승할 수 있는 링크 구조를 이용하여 흔들림을 예방하고, 하부가 아닌 상부에 모터를 장착하여 운용하며, 조립형으로 제작 가능한 전동침대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인 침대용 구조물은, 지면 측 하단에 배치되는 제 1 지지부(1110); 매트리스 측 상단에 배치되는 제 2 지지부(1100); 상기 제 1 지지부(1110)와 상기 제 2 지지부(1100) 사이에, 수직 방향으로 2단으로 접히도록 구성된 복수의 수직 연결부재; 상기 복수의 수직 연결부재의 2단으로 접히는 지점을 수평으로 연결하는 수평 연결부재(1213); 상기 제 1 지지부(1110), 제 2 지지부(1100) 및 수평 연결부재(1213)의 적어도 일부와 일단이 각각 연결되고, 타단이 특정 지점에 모두 연결되는 복수의 상승 다리를 포함하는 Y 형태의 상승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수직 연결부재, 수평 연결부재(1213) 및 Y 형태의 상승부재는 고정 연결되고, 상기 Y 형태의 상승부재의 복수의 상승 다리 중 상기 제 2 지지부(1100)에 연결된 상승 다리(1214)의 길이를 기준으로, 상기 복수의 수직 연결부재의 길이는 2배이고, 상기 Y 형태의 상승부재의 복수의 상승 다리 중 상기 제 1 지지부(1110)에 연결된 상승 다리(1215)의 길이는 4배이며, 상기 제 1 지지부(1110), 제 2 지지부(1100) 및 수평 연결부재(1213)의 길이는 5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수직 연결부재가 펼쳐지는 경우, 상기 수평 연결부재(1213)가 수평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 2 지지부(1100) 측으로 상승하고, 상기 수평 연결부재(1213)의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Y 형태의 상승부재의 복수의 상승 다리의 일단을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특정 지점의 위치가 변화됨으로써, 상기 제 1 지지부(1110)와 제 2 지지부(1100)가 수직으로 펼쳐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수직 연결부재가 2단으로 접히는 경우, 상기 수평 연결부재(1213)가 수평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 1 지지부(1110) 측으로 하강하고, 상기 수평 연결부재(1213)의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Y 형태의 상승부재의 복수의 상승 다리의 일단을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특정 지점의 위치가 변화됨으로써, 상기 제 1 지지부(1110)와 제 2 지지부(1100)가 맞닿아 접힐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지지부(1100)의 상단에 배치된 모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터에 의해 상기 복수의 수직 연결부재가 펼쳐지거나 2단으로 접힐 수 있다.
한편,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양상인 침대용 구조물은, 지면 측 하단에 배치되는 제 1 지지부(1110); 매트리스 측 상단에 배치되는 제 2 지지부(1100); 상기 제 1 지지부(1110)와 상기 제 2 지지부(1100) 사이에, 수직 방향으로 2단으로 접히도록 구성된 복수의 수직 연결부재; 상기 제 1 지지부(1110), 제 2 지지부(1100) 및 복수의 수직 연결부재의 적어도 일부와 일단이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상승 다리를 포함하는 상승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수직 연결부재 및 상승부재는 고정 연결되고, 상기 상승부재의 복수의 상승 다리 중 상기 제 2 지지부(1100)에 연결된 상승 다리(1214)와 제 1 지지부(1100)에 연결된 상승 다리(1254)의 길이를 기준으로, 상기 복수의 수직 연결부재 및 상기 복수의 수직 연결 부재 중 제 1 파트(1211)와 제 2 파트(1210)와 연결된 상승 다리(1253, 1255)의 길이는 2배이고, 상기 제 1 지지부(1110), 제 2 지지부(1100) 및 상기 복수의 수직 연결 부재 중 제 3 파트(1216)과 제 4 파트(1217)와 연결된 상승 다리(1251, 1252)의 길이는 4배일 수 있다.
한편,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양상인 침대는, 전술한 침대용 구조물; 상기 침대용 구조물의 제 2 지지부(1100)의 일단에 배치된 다리판(5000); 상기 제 2 지지부(1100)의 타단에 배치된 등판(8000); 상기 다리판(5000)과 등판(8000) 사이에 배치된 엉덩판(7000); 및 상기 다리판(5000), 등판(8000) 및 엉덩판(7000)의 상측에 배치되는 매트리스(90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침대는, 상기 침대용 구조물, 다리판(5000), 등판(8000); 엉덩판(7000) 및 매트리스(9000)로 분리 및 재 결합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슬라이드 없는 수직상승 구조를 이용한 전동침대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슬라이드 없이 수직 상승할 수 있는 링크 구조를 이용하여 흔들림을 예방하고, 하부가 아닌 상부에 모터를 장착하여 운용하며, 조립형으로 제작 가능한 전동침대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슬라이딩 동작을 통해 유도되는 침대의 진동 및 흔들림에 의한 문제점과 이물질로 인한 슬라이딩 오동작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체형으로 침대가 제작되는 경우, 다른 용도의 기구로 교체하지 못하고 새롭게 전동침대를 구입해야 하는 문제점과 하부에 장착되는 모터로 인해 불편함을 감수해야 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종래의 슬라이드를 이용한 접이식 전동침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본 발명이 제안하는 전동침대에 이용되는 슬라이드 없는 수직상승 구조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슬라이드 없는 수직상승 구조를 이용한 전동침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도 4에서 설명한 전동침대와 관련하여, 상승 구조물과 연장부, 다리판, 등판, 엉덩판 등이 결합된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도 5에서 설명한 일례와 관련하여, 매트리스 등이 추가로 결합된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슬라이드 없는 수직상승 구조를 이용한 전동침대에서 등측과 다리측의 각도 변경 과정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슬라이드 없는 수직상승 구조의 구체적인 배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된 슬라이드 없는 수직상승 구조의 다른 배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일 실시예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내용을 부당하게 한정하지 않으며,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되는 구성 전체가 본 발명의 해결 수단으로서 필수적이라고는 할 수 없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종래의 슬라이드를 이용한 접이식 전동침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측 part와 하측 part가 중간의 이동 부재를 통해 접히거나 펼쳐지는 구조가 도시된다.
구체적으로, 상측 part와 하측 part가 펼쳐지는 경우, 제 1 영역(51)과 제 2 영역(52)의 슬라이드 이동 변화를 통해 상기 펼쳐지는 동작이 수행된다.
또한, 상측 part와 하측 part가 접히는 경우에도 제 1 영역(51)과 제 2 영역(52)의 슬라이드 이동 변화를 통해 상기 접히는 동작이 수행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1과 구조는 다르지만 상측 part와 하측 part가 중간의 이동 부재를 통해 접히거나 펼쳐지는 구조가 도시된다.
도 2의 실시예에서도 상측 part와 하측 part가 펼쳐지는 경우, 제 3 영역(610)과 제 4 영역(620)의 슬라이드 이동 변화를 통해 상기 펼쳐지는 동작이 수행된다.
또한, 상측 part와 하측 part가 접히는 경우에도 제 3 영역(610)과 제 4 영역(620)의 슬라이드 이동 변화를 통해 상기 접히는 동작이 수행된다.
이와 같이, 종래 기술에서는 구조물을 배치하여 슬라이딩하는 동작을 통해 상단의 매트리스를 받치는 구조물을 상승 및 하강하는 구조를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슬라이딩 동작을 통해 유도되는 침대의 진동 및 흔들림에 의한 문제점이 발생하고, 이물질로 인한 슬라이딩 오동작 문제도 발생되고 있다.
또한, 일체형으로 침대가 제작되는 경우, 다른 용도의 기구로 교체하지 못하고 새롭게 전동침대를 구입해야 하는 문제점과 하부에 장착되는 모터로 인해 불편함을 감수해야 하는 문제점도 존재하였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슬라이드 없는 수직상승 구조를 이용한 전동침대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슬라이드 없이 수직 상승할 수 있는 링크 구조를 이용하여 흔들림을 예방하고, 하부가 아닌 상부에 모터를 장착하여 운용하며, 조립형으로 제작 가능한 전동침대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제안하는 슬라이드 없는 수직상승 구조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슬라이드 없는 수직상승 구조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본 발명이 제안하는 전동침대에 이용되는 슬라이드 없는 수직상승 구조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이 제안하는 슬라이드 없는 수직상승 구조물(1000)은 지면 측 하단에 배치되는 제 1 지지부(1110), 매트리스 측 상단에 배치되는 제 2 지지부(1100)와 상기 제 1 지지부(1110)와 제 2 지지부(1100) 사이에 배치되어 다른 구조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1120)으로 구성된다.
더 구체적으로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상승 구조물(1000)은 제 1 지지부(1110)와 제 2 지지부(1100) 사이에 이동부(120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이동부(1200)는 제 1 지지부(1110)와 상기 제 2 지지부(1100) 사이에, 수직 방향으로 2단으로 접히도록 구성된 복수의 수직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복수의 수직 연결부재 중 제 1 수직 연결부재는 접히는 지점을 기준으로 제 1 파트(1211)와 제 2 파트(1210)로 구성된다.
또한, 복수의 수직 연결 부재 중 제 2 수직 연결부재는 접히는 지점을 기준으로 제 3 파트(1216)과 제 4 파트(1217)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수직 연결부재의 2단으로 접히는 지점을 수평으로 연결하는 수평 연결부재(1213)가 더 이용된다.
또한, 제 1 지지부(1110), 제 2 지지부(1100) 및 수평 연결부재(1213)의 적어도 일부와 일단이 각각 연결되고, 타단이 특정 지점에 모두 연결되는 복수의 상승 다리를 포함하는 Y 형태의 상승부재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Y 형태의 상승부재는 제 1 지지부(1110)에 연결되는 제 1 상승 다리(1215), 제 2 지지부(1100)에 연결되는 제 2 상승 다리(1214) 및 수평 연결부재(1213)에 연결되는 제 3 상승 다리(1212)로 구성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복수의 수직 연결부재, 수평 연결부재(1213) 및 Y 형태의 상승부재가 슬라이드 형으로 구비되는 것이 아니라 연결 지점에 고정되어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없는 수직상승 구조(1000)는 펼쳐지거나 접힐 수 있다.
먼저, 도 3b 및 도 3c를 참조하여 펼쳐지는 동작을 설명한다.
복수의 수직 연결부재가 펼쳐지는 경우, 상기 수평 연결부재(1213)가 수평으로 이동하면서 제 2 지지부(1100) 측으로 상승하고, 수평 연결부재(1213)의 이동에 대응하여, Y 형태의 상승부재의 복수의 상승 다리(1212, 1214, 1215)의 일단을 고정한 상태에서 특정 지점의 위치가 변화된다.
또한, Y 형태의 상승부재 연결 특정 지점의 위치가 변화됨에 따라 상기 제 1 지지부(1110)와 제 2 지지부(1100)가 수직으로 펼쳐지게 된다.
또한,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접히는 동작을 설명한다.
상기 복수의 수직 연결부재가 2단으로 접히는 경우, 수평 연결부재(1213)가 제 1 지지부(1110) 측으로 하강하고, 하강하는 수평 연결부재(1213)에 대응하여 Y 형태의 상승부재가 상기 제 1 지지부(1110) 측으로 하강하게 되고, 제 1 지지부(1110)와 제 2 지지부(1100)가 맞닿아 접힐 수 있다.
제 1 지지부(1110)와 제 2 지지부(1100)가 맞닿는 경우, 이동부(1200)는 수용부(1120)에 삽입 및 안착되어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숨겨질 수 있다.
한편, 펼쳐지거나 접히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1600)를 더 포함하는 데, 본 발명에서는 제 2 지지부(1100)의 상단에 모터(1600)를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슬라이딩 동작을 통해 유도되는 침대의 진동 및 흔들림에 의한 문제점과 이물질로 인한 슬라이딩 오동작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부에 장착되는 모터로 인해 불편함을 감수해야 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슬라이드 없는 수직상승 구조를 이용한 전동침대
도 4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슬라이드 없는 수직상승 구조를 이용한 전동침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이 제안하는 침대(10000)는 도 3a 내지 도 3c를 이용하여 전술한 침대용 구조물(1000), 침대용 구조물(1000)의 제 2 지지부(1100)의 일단에 배치된 다리판(5000), 제 2 지지부(1100)의 타단에 배치된 등판(8000), 다리판(5000)과 등판(8000) 사이에 배치된 엉덩판(7000) 및 다리판(5000), 등판(8000) 및 엉덩판(7000)의 상측에 배치되는 매트리스(90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의 (b)는 도 4의 (a)에 도시된 각각의 구성들이 결합된 전체의 침대(10000)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5는 도 4에서 설명한 전동침대와 관련하여, 상승 구조물과 연장부, 다리판, 등판, 엉덩판 등이 결합된 일례를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도 5에서 설명한 일례와 관련하여, 매트리스 등이 추가로 결합된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등판(8000)은, 엉덩판(7000) 측 지점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제 2 지지부(1100)의 말단 측 지점이 회전 가능하다.
더 나아가 다리판(5000)도 엉덩판(7000) 측 지점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제 2 지지부(1100)의 일단 측 지점이 회전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슬라이드 없는 수직상승 구조를 이용한 전동침대에서 등측과 다리측의 각도 변경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등판(8000)은, 엉덩판(7000) 측 지점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제 2 지지부(1100)의 말단 측 지점이 회전 가능하고, 등판(8000)의 상기 제 2 지지부(1100)의 말단 측 지점이 회전하여 상승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침대(10000)는, 침대용 구조물, 다리판(5000), 등판(8000); 엉덩판(7000) 및 매트리스(9000)로 분리되거나 재 결합 가능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여, 슬라이드 없는 수직상승 구조의 구체적인 모습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슬라이드 없는 수직상승 구조의 구체적인 배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의 (a)를 참조하면, 복수의 수직 연결부재가 펼쳐지는 경우, 상기 수평 연결부재(1213)가 수평으로 이동하면서 제 2 지지부(1100) 측으로 상승하고, 수평 연결부재(1213)의 이동에 대응하여, Y 형태의 상승부재의 복수의 상승 다리(1212, 1214, 1215)의 일단을 고정한 상태에서 특정 지점의 위치가 변화되며, Y 형태의 상승부재 연결 특정 지점의 위치가 변화됨에 따라 상기 제 1 지지부(1110)와 제 2 지지부(1100)가 수직으로 펼쳐지게 된다.
또한, 도 8의 (b)를 참조하면, 복수의 수직 연결부재가 2단으로 접히는 경우, 수평 연결부재(1213)가 제 1 지지부(1110) 측으로 하강하고, 하강하는 수평 연결부재(1213)에 대응하여 Y 형태의 상승부재가 상기 제 1 지지부(1110) 측으로 하강하게 되고, 제 1 지지부(1110)와 제 2 지지부(1100)가 맞닿아 접힐 수 있다. 여기서 제 1 지지부(1110)와 제 2 지지부(1100)가 맞닿는 경우, 이동부(1200)는 수용부(1120)에 삽입 및 안착되어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숨겨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수직 상승 구조는 특수한 길이 비율을 가질 수 있다.
도 8의 (c)를 참조하면, 상승 다리(1214)의 길이를 K로 가정할 수 있다.
이때, 제 3 파트(1216)는 2K의 길이를 갖게 되고, 제 1 상승 다리(1215)는 4K의 길이를 갖게 된다.
또한, 제 1 지지부(1110). 제 2 지지부(1100) 및 제 2 파트(1210)는 5K의 길이를 갖게 된다.
이러한 길이 비율에 따라 본 상승 구조가 적용되는 경우, 슬라이드 없이 수직 상승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된 슬라이드 없는 수직상승 구조의 다른 배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9의 (a)를 참조하면, 복수의 수직 연결부재가 펼쳐지는 경우,
제 1 파트(1211), 제 2 파트(1210), 제 3 파트(1216), 제 4 파트(1217)가 펼쳐지면서, 복수의 상승 다리(1214, 1253, 1251, 1255, 1254, 1252)의 일단을 고정한 상태에서 특정 지점의 위치가 변화되며, 상승부재 연결 특정 지점의 위치가 변화됨에 따라 상기 제 1 지지부(1110)와 제 2 지지부(1100)가 수직으로 펼쳐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의 수직 상승 구조는 특수한 길이 비율을 가질 수 있다.
도 8의 (c)를 참조하면, 상승 다리(1214, 1254)의 길이를 L로 가정할 수 있다.
이때, 제 1 파트(1211), 제 2 파트(1210), 제 3 파트(1216), 제 4 파트(1217), 상승 다리(1253, 1255)는 2L의 길이를 갖게 된다.
또한, 제 1 지지부(1110), 제 2 지지부(1100) 및 상승 다리(1251, 1252)는 4L의 길이를 갖게 된다.
이러한 길이 비율에 따라 본 상승 구조가 적용되는 경우, 슬라이드 없이 수직 상승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침대용 구조물, 다리판(5000), 등판(8000); 엉덩판(7000) 및 매트리스(9000)를 다른 구성품으로 교체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술한 본 발명의 구조가 적용되는 경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면서, 슬라이드 없는 수직상승 구조를 이용한 전동침대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슬라이드 없이 수직 상승할 수 있는 링크 구조를 이용하여 흔들림을 예방하고, 하부가 아닌 상부에 모터를 장착하여 운용하며, 조립형으로 제작 가능한 전동침대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슬라이딩 동작을 통해 유도되는 침대의 진동 및 흔들림에 의한 문제점과 이물질로 인한 슬라이딩 오동작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체형으로 침대가 제작되는 경우, 다른 용도의 기구로 교체하지 못하고 새롭게 전동침대를 구입해야 하는 문제점과 하부에 장착되는 모터로 인해 불편함을 감수해야 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Claims (7)

  1. 지면 측 하단에 배치되는 제 1 지지부(1110);
    매트리스 측 상단에 배치되는 제 2 지지부(1100);
    상기 제 1 지지부(1110)와 상기 제 2 지지부(1100) 사이에, 수직 방향으로 2단으로 접히도록 구성된 복수의 수직 연결부재;
    상기 복수의 수직 연결부재의 2단으로 접히는 지점을 수평으로 연결하는 수평 연결부재(1213);
    상기 제 1 지지부(1110), 제 2 지지부(1100) 및 수평 연결부재(1213)의 적어도 일부와 일단이 각각 연결되고, 타단이 특정 지점에 모두 연결되는 복수의 상승 다리를 포함하는 Y 형태의 상승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수직 연결부재, 수평 연결부재(1213) 및 Y 형태의 상승부재는 고정 연결되고,
    상기 Y 형태의 상승부재의 복수의 상승 다리 중 상기 제 2 지지부(1100)에 연결된 상승 다리(1214)의 길이를 기준으로,
    상기 복수의 수직 연결부재의 길이는 2배이고,
    상기 Y 형태의 상승부재의 복수의 상승 다리 중 상기 제 1 지지부(1110)에 연결된 상승 다리(1215)의 길이는 4배이며,
    상기 제 1 지지부(1110), 제 2 지지부(1100) 및 수평 연결부재(1213)의 길이는 5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용 구조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수직 연결부재가 펼쳐지는 경우,
    상기 수평 연결부재(1213)가 수평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 2 지지부(1100) 측으로 상승하고,
    상기 수평 연결부재(1213)의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Y 형태의 상승부재의 복수의 상승 다리의 일단을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특정 지점의 위치가 변화됨으로써, 상기 제 1 지지부(1110)와 제 2 지지부(1100)가 수직으로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용 구조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수직 연결부재가 2단으로 접히는 경우,
    상기 수평 연결부재(1213)가 수평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 1 지지부(1110) 측으로 하강하고,
    상기 수평 연결부재(1213)의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Y 형태의 상승부재의 복수의 상승 다리의 일단을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특정 지점의 위치가 변화됨으로써, 상기 제 1 지지부(1110)와 제 2 지지부(1100)가 맞닿아 접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용 구조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지지부(1100)의 상단에 배치된 모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터에 의해 상기 복수의 수직 연결부재가 펼쳐지거나 2단으로 접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용 구조물.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80042284A 2018-04-11 2018-04-11 슬라이드 없는 수직상승구조를 이용한 전동침대 KR1019170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2284A KR101917060B1 (ko) 2018-04-11 2018-04-11 슬라이드 없는 수직상승구조를 이용한 전동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2284A KR101917060B1 (ko) 2018-04-11 2018-04-11 슬라이드 없는 수직상승구조를 이용한 전동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7060B1 true KR101917060B1 (ko) 2018-11-12

Family

ID=64397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2284A KR101917060B1 (ko) 2018-04-11 2018-04-11 슬라이드 없는 수직상승구조를 이용한 전동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70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94016A (zh) * 2020-10-31 2021-02-02 江西宝顺实业有限公司 一种出租屋用方便收纳的金属公寓床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63259B2 (ja) * 2004-06-11 2009-11-11 シーホネンス株式会社 電動ベッドにおける昇降装置
US20150115667A1 (en) * 2012-05-25 2015-04-30 Patrick Herbault Antiparallelogram folding structure, stroller, chair, stool, table, pram, trolle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63259B2 (ja) * 2004-06-11 2009-11-11 シーホネンス株式会社 電動ベッドにおける昇降装置
US20150115667A1 (en) * 2012-05-25 2015-04-30 Patrick Herbault Antiparallelogram folding structure, stroller, chair, stool, table, pram, trolle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94016A (zh) * 2020-10-31 2021-02-02 江西宝顺实业有限公司 一种出租屋用方便收纳的金属公寓床
CN112294016B (zh) * 2020-10-31 2022-07-22 重庆恒弘家具制造有限公司 一种出租屋用方便收纳的金属公寓床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778062B (zh) 可调节基部
US4042250A (en) Wide seat wheelchair
US1873768A (en) Folding chair
CN205758086U (zh) 一种新型折叠桌
US10568434B2 (en) Adjustable foundation
CN109907588B (zh) 可收合的儿童床
EP3308677B1 (en) Connecting rod folding mechanism and cot having same
CN213640327U (zh) 一种婴儿床
KR101917060B1 (ko) 슬라이드 없는 수직상승구조를 이용한 전동침대
US11617448B2 (en) Bed frame
KR20130012003A (ko) 샴푸 전동 의자
KR100636416B1 (ko) 접이식 일체형 탁구대
CN106213795A (zh) 旅行折叠桌椅
CN110652138A (zh) 一种折叠床
CN111713918A (zh) 婴童游戏床骨架
KR101297482B1 (ko) 천정 빨래 건조대
CN206188313U (zh) 一种折叠式斜向升降装置
WO2020093659A1 (zh) 一种一键收合式床架以及游戏床
CN209437532U (zh) 一种可调节式垫脚凳以及实用型病床
CN203563952U (zh) 多功能折叠床
CN208676530U (zh) 一种可折叠桌
CN111887663A (zh) 儿童床
CN106821636B (zh)
KR102124294B1 (ko) 접이식 테이블
CN211582243U (zh) 一种可伸缩收起的桌椅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