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6851B1 - 감온 펠릿형 온도 퓨즈 - Google Patents

감온 펠릿형 온도 퓨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6851B1
KR101916851B1 KR1020170053496A KR20170053496A KR101916851B1 KR 101916851 B1 KR101916851 B1 KR 101916851B1 KR 1020170053496 A KR1020170053496 A KR 1020170053496A KR 20170053496 A KR20170053496 A KR 20170053496A KR 101916851 B1 KR101916851 B1 KR 1019168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terminal
movable
fixed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3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9856A (ko
Inventor
윤성웅
Original Assignee
동양전자(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양전자(주) filed Critical 동양전자(주)
Priority to KR1020170053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6851B1/ko
Publication of KR20180119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98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6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68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7/00Thermally-actuated switches
    • H01H37/74Switches in which only the opening movement or only the closing movement of a contact is effected by heating or cooling
    • H01H37/76Contact member actuated by melting of fusible material, actuated due to burning of combustible material or due to explosion of explosiv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7/00Thermally-actuated switches
    • H01H37/74Switches in which only the opening movement or only the closing movement of a contact is effected by heating or cooling
    • H01H37/76Contact member actuated by melting of fusible material, actuated due to burning of combustible material or due to explosion of explosive material
    • H01H2037/768Contact member actuated by melting of fusible material, actuated due to burning of combustible material or due to explosion of explosiv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f the fusibl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7/00Thermally-actuated switches
    • H01H37/74Switches in which only the opening movement or only the closing movement of a contact is effected by heating or cooling
    • H01H37/76Contact member actuated by melting of fusible material, actuated due to burning of combustible material or due to explosion of explosive material
    • H01H2037/769Contact member actuated by melting of fusible material, actuated due to burning of combustible material or due to explosion of explosiv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f insulating fusible materials, e.g. for use in the thermal pelle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온 펠릿형 온도 퓨즈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금속제 원통형 케이스(10); 상기 케이스(10)에 통전되게 연결된 제1리이드(L1); 상기 케이스(10) 에 절연 부시(80)를 매개로 상기 케이스(10)에 절연되게 고정설치되고 케이스 내측 선단에 고정 접점(L2a)을 구비한 제2리이드(L2); 설정된 퓨즈 작동 온도 이상에서는 연화 또는 융융되는 감온 펠릿(30)과; 상기 케이스(10)와 통전되도록 상기 케이스(10)의 내측벽(11)에 고정되고, 중심축방향으로 관통구멍(41)이 형성된 링형 고정 단자(40); 퓨즈 작동 온도 이하에서는, 제1선단(62)이 상기 제2리이드(L2)측의 고정 접점(L2a)에 접촉하고, 동시에 고정 단자(40)의 관통구멍(41)의 내벽 상단과 가동 접점을 형성하는 가동 단자(60); 및 상기 가동 단자(60)의 제2선단(65)이 상기 감온 펠릿(30)의 상단면에 밀착하도록 상기 가동 단자(60)에 스프링힘을 가하는 제2스프링(70)을 포함하고, 상기 가동 단자(60)는, 제2선단(65)측 하단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반경방향 외측으로 완만하게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고, 외측면이 둘레방향을 따라 상기 고정 단자(40)의 관통구멍(41) 벽면 상단과 접촉하여 가동 접점을 형성하는 가동 접촉편(53)을 구비한다.

Description

감온 펠릿형 온도 퓨즈{Temperature sensitive pellet type temperature fuse}
본 발명은 감온 펠릿형 온도 퓨즈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기, 전자 기구에서 주위의 온도가 규정의 허용온도 범위를 넘어 일정 수준에 도달할 때, 케이스 내부의 감온성 펠릿이 연화 또는 용융하면서 전기,전자 회로를 컷-오프(cut-off)시키는 감온 펠릿형 온도 퓨즈에 관한 것이다.
가정용 전기 제품이나 산업용 전기ㅇ전자 기기에는 기기의 온도를 감지하여 이상 과열시에 신속하게 회로를 차단하는 보호 부품으로서 온도 퓨즈가 사용된다. 온도 퓨즈는, 예를 들어 가전 제품, 휴대 기기, 통신 기기, 사무 기기, 자동차 기기, AC 어댑터, 충전기, 모터, 배터리 등의 제품에 탑재되어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높은 전류 정격용으로 감온 펠릿형 온도 퓨즈가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감온 펠릿형 온도 퓨즈의 하나로서, 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알려진 것이 있다.
상기 종래의 감온 펠릿형 온도 퓨즈는 한쪽 선단은 바닥벽으로 막혀 있고 다른 한쪽 선단은 개방된 내부 공간을 가지는 원통형의 도전성 금속 케이스(1)와, 이 금속 케이스(1)에 통전되게 바닥 벽에 결합된 제1리이드(2)와, 이 제1리이드(2)의 반대쪽 금속 케이스(1)의 개방측 선단에 절연 부시(4)를 통하여 금속 케이스(1)에 절연상태로 결합된 제2리이드(3)와, 금속 케이스(1)의 내부 공간 안에 일정한 높이의 고체 상태로 수용되고, 금속 케이스(1)의 내측 바닥벽에 한쪽 선단이 지지되어 압축설치된 제1스프링(8)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제2리이드(3)쪽으로 편향되게 설치되며, 주위 온도가 정상온도 범위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작동 온도에 도달할 때 용융되는 감온 펠릿(9)과, 한쪽 선단은 가장자리측에서 상기 금속 케이스(1)의 내측벽과 슬라이드 접촉하여 가동접점을 형성하고, 상기 감온 펠릿(9)의 한쪽면에 지지되고, 다른 쪽 선단은 상기 제2리이드(3)의 선단과 접촉 또는 분리되면서 제1리이드(2)와 제2리이드(3)를 서로 통전시키거나 컷-오프(cut-off)시키는 가동단자(6)와, 주위 온도가 일정한 퓨즈 작동온도보다 낮은 경우, 상기 가동 단자(6)가 상기 제2리이드(3)측 고정 접점에 접촉하고 있다가, 주위온도가 퓨즈작동온도 이상으로 상승하면 상기 제2리이드(3)측 고정 접점에서 분리되도록 상기 가동 단자(6)와 절연 부시(4) 사이에 압축설치된 제2스프링(6b)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감온 펠릿형 온도 퓨즈의 경우, 가동 단자(6)가 중앙에서 가장자리를 향하여 상향 경사지게 연장된 접촉편의 끝부분이 원주방향을 따라 금속 케이스(1)의 내측벽과 접촉하여, 금속 케이스(1)의 내측벽과 슬라이드 접촉하는 가동접점을 형성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감온 펠릿은 비정형적으로 용융되므로, 상기 가동단자(6)를 지지하는 지지면이 일정하게 수평으로 유지되지 않고 기울어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가동 단자(6)가 수평으로 유지되지 않고 기울어지면, 가동 단자의 접촉편이 금속 케이스(1)의 내측벽에 끼여, 슬라이드 작동을 방해하는 현상이 발생함으로써 온도 퓨즈가 오작동을 일으키는 문제가 있었다.
US 4189697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감온 펠릿형 온도 퓨즈의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감온 펠릿이 정형적으로 용융되지 않아 가동 단자를 수평으로 지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더라도, 이러한 현상에 영향을 받지 않고 가동 단자가 설정된 퓨즈 작동 조건에서 안정적으로 작동하는 감온 펠릿형 온도 퓨즈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감온 펠릿형 온도 퓨즈이고,
한 쪽 선단은 개방되고 다른 쪽 선단은 바닥벽(12)으로 막힌 금속제 원통형 케이스(10); 상기 케이스(10)에 통전되게 케이스(10)의 바닥벽(12)에 연결된 제1리이드(L1); 상기 케이스(10)의 개방측 선단에 절연 부시(80)를 매개로 상기 케이스(10)에 절연되게 고정설치되고 케이스 내측 선단에 고정 접점(L2a)을 구비한 제2리이드(L2); 설정된 퓨즈 작동 온도 이하에서 일정한 높이(h0)를 유지하고 있다가 그 퓨즈 작동 온도 이상에서는 연화 또는 융융되도록 온도 감응성 펠릿 형태로 성형하여 만들어지고, 상기 케이스(10)의 하부에 구비된 감온 펠릿(30)과; 상기 퓨즈 작동 온도 이하에서는, 상기 제2리이드(L2)측의 고정 접점(L2a)과 케이스(10)와 동시에 통전되게 접속하고 있다가, 퓨즈 작동 온도 이상 에서는 상기 고정 접점(L2a)과 분리되게 작동하는 가동 단자(60); 상기 가동 단자(60)를 상기 제2리이드(L2)의 고정 접점(L2a)에 접촉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가동 단자(60)에 스프링힘을 가하는 제1스프링(20); 및 상기 가동 단자(60)를 상기 제2리이드(L2)의 고정 접점(L2a)에서 분리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가동 단자(60)에 스프링힘을 가하는 제2스프링(70)을 포함한 감온 펠릿형 온도 퓨즈에 있어서,
중심축방향으로 관통구멍(41)을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10)와 통전되도록 상기 케이스(10)의 내측벽(11)에 고정된 링형 고정 단자(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동 단자(60)는 제2선단(65) 하단에 가동 접촉부재(50)를 구비하되, 상기 가동 접촉부재(50)는 상기 가동 단자(60)의 제2선단(65)하단에 고정되는 바닥면(51)과, 상기 바닥면(51)의 원주방향을 따라 반경방향 외측으로 완만하게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어, 외측면이 둘레방향을 따라 상기 고정 단자(40)의 관통구멍(41) 벽면 상단과 슬라이드 접촉하면서 가동 접점을 형성하는 가동 접촉편(53)을 포함한 것에 특징이 있다.
또, 본 발명의 온도 퓨즈는, 상기 가동 접촉편(53)은 상기 케이스(10)의 내측벽(11)과 접촉하지 않도록 상단의 최대 직경(D53)이 상기 케이스(10)의 내경(D11)보다는 작은 치수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 단자(40)의 관통구멍(41)의 직경(D41)보다는 큰 치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가동 단자가 작동할 때, 가동 접촉편이 케이스의 내벽과 간섭없이 오직 링형 고정 단자의 관통 구멍의 상단과 접촉하면서 작동하므로 가동 접촉편의 작동이 안정적이다.
그리고, 상기 가동 접촉편(53)은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된 복수의 조각으로 분할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감온 펠릿(30)은 상기 케이스(10)의 바닥벽(12)에 얹혀지게 구비되고, 상기 제1스프링(20)은 하단에서 직접 또는 하부 지지판(31)을 개재하여 상기 감온 펠릿(30)의 상단에 지지되고, 상단은 직접 또는 상부 지지판(32)을 개재하여 상기 가동 접촉편(53)의 바닥면(51)을 지지하는 구성으로 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감온 펠릿의 상면과 상기 가동 접촉편의 저면 사이에 상부 받침판이 개재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상기 감온 펠릿의 상단면이 불균일하게 연화 또는 용융되는 경우에도 상기 가동 접촉편이 상기 상부 받침판에 의해 평탄하게 지지될 수 있으므로, 가동 접촉편이 기울어지면서 케이스의 내벽에 간섭되어 발생하는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리이드의 고정 접점이 상기 절연 부시의 내측에 위치하여, 고정 접점에서 발생할 수 있는 스파크를 차단할 수 있다. 또, 상기 제2스프링의 한쪽 선단이 절연 부시의 내부에서 지지되도록 제2스프링의 스프링시트가 절연 부시의 내부에 구비된다. 이에 따르면, 제2스프링이 좌굴현상없이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감온 펠릿형 온도 퓨즈에 의하면, 케이스나 가동 접촉편과 같은 중요 기능부품의 제조과정에서 생기는 이들 부품의 치수가 불량 또는 불균일함으로 인한 영향을 받지 않고 가동 단자와 같은 작동 부품이 설정된 퓨즈 작동 조건에서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작동한다.
또, 가동 접촉편과 같은 중요 기능부품의 기능 치수에 허용 범위가 넓어서, 이들 부품의 제조시 치수불량의 발생율을 낮출 수 있을 뿐아니라 조립 불량을 방지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도 퓨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온도 퓨즈의 결합단면도로서, 퓨즈 작동온도에 도달하기 전, 정상 상태의 범위에서 결합단면도이고,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온도 퓨즈의 가동 단자와 고정 단자 사이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온도 퓨즈가 컷-오프 동작하기 직전 상태(감온 펠릿의 높이=h1)의 결합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온도 퓨즈가 컷-오프 동작 상태의 결합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온도 퓨즈에서 컷-오프 작동 상태를 단계별로 도시한 부분 확대 단면도로서, (a)는 도 2의 "X"부분 확대도, (b)는 도 3의 "Y"부분의 확대도, (c)는 도 4의 "Z"부분의 확대도를 나타내고,
도 6은 본 발명의 온도 퓨즈에서 가동 접점을 형성하는 가동 단자와 고정 단자 사이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7은 종래 기술에서 온도 퓨즈의 가동 단자가 케이스 내부에서 기울어지면서 오작동을 일으키는 상태를 설명하는 결합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결합단면도로서, 컷-오프 동작 전 상태의 결합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결합단면도로서, 컷-오프 상태의 결합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감온 펠릿형 온도 퓨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할 때, 방향과 위치를 나타내는 '상', '하'는 오직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는 않는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감온 펠릿형 온도 퓨즈는, 한 쪽 선단에서 개방되고 다른 쪽 선단에는 바닥벽(12)을 구비한 금속제 원통형 케이스(10)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10)의 바닥벽(12)에는 제1리이드(L1)가 통전되게 연결되고, 상기 케이스(10)의 개방측 선단에는 제2리이드(L2)가 절연 부시(80)를 통하여 케이스(10)와는 절연되게 고정되어 있다. 케이스(10) 내부로 이물질이 침투하지 않도록 절연 부시(80)의 상단의 케이스(10) 개방단은 밀봉재(S)로 밀봉되어 있다.
상기 절연 부시(80)는 절연성 재질, 바람직하게는 세라믹재로 성형되어 만들어진다. 절연 부시(8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상기 제2리이드(L2)가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제1관통구멍(82)과, 이 제1관통구멍(82)의 아래쪽에는 제1관통구멍(82)보다 직경이 상대적으로 큰 제2구멍(84)이 제1관통구멍(82)과 동축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리이드(L2)의 헤드부가 안착하는 단턱부(83)을 형성한다. 이 단턱부(83)에 맞닿아 위치결정되는 제2리이드(L2)는 저면은 후술하는 가동 단자(60)의 제1선단(62)이 맞닿아 접촉하는 고정 접점(L2a)를 형성한다. 제2구멍(84)의 아래쪽에는 상기 제2구멍(84)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의 제3구멍(86)이 동축방향으로 형성되어, 제2구멍(86)과의 경계부분에 스프링 시트(85)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단턱부(83)에는 제1관통구멍(82)을 관통하게 설치되는 제2리이드(L2)의 헤드부가 안착함으로써 제2리이드(L2)의 헤드부의 저면에 형성되는 고정 접점(L2a)이 절연 부시(80)의 내부에 배치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 접점(L2a)과 가동 단자(60)가 서로 접촉하게 되는 고정 접점(L2a)에서 스파크(spark)가 발생하는 경우에 그 스파크가 외부(케이스)쪽으로 전달되지 않게 차단된다. 설명하지 않은 도며 부호 81은 절연 부시의 외측 원주면을 지칭한다.
그리고, 상기 절연 부시(80)의 제2구멍(84)과 제3구멍(86)의 경계에 형성되는 단턱부(85)에는 후술하는 가동단자 지지용 제2스프링(70)의 선단이 지지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연 부시(80) 아래쪽에는, 절연 부시(80)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링형의 고정 단자(40)가 배치된다. 이 고정 단자(40)는 케이스(10)와 전기적으로 통전되게 외측면(42)이 케이스(10)의 내측벽(11)에 접촉한 상태로 고정되고, 중심축방향으로 일정한 직경(D41)의 관통구멍(41)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의 내측벽(11)에 단턱부가 구비되고, 이 단턱부에 상기 고정 단자(40)의 저면 가장자리에 얹혀져 설치 위치가 일정하게 셋팅된다.
상기 케이스(10)에 절연된 제2리이드(L2)와 상기 고정 단자(40) 사이에는 가동 단자(60)가 배치된다. 가동 단자(60)는 퓨즈 작동 온도 이하에서는 케이스(10)와 제2리이드(L2)가 통전되게 고정 접점(L2a)과 상기 고정단자(40)에 동시에 접촉하고 있다가, 주위 온도가 퓨즈 작동 온도에 도달하는 경우에, 상기 고정 상기 제2리이드(L2)측의 고정 접점(L2a)에서 분리되면서 케이스(10)(즉, 제1리이드(L1)와 제2리이드(L2) 사이의 통전을 '컷-오프'(cut-off)시킨다.
상기 가동 단자(60)는 몸체(61)의 상측 제1선단(62)이 상기 제2리이드(L2)측의 고정 접점(L2a)과 접촉 또는 분리하고, 하단의 제2선단(65)에는 제2스프링(70)의 한쪽 선단을 지지할 수 있도록 스프링 시트(64)가 구비된다. 그리고, 가동 단자(60)의 제2선단(65)에는, 가동 접촉부재(50)가 구비된다. 가동 접촉부재(50)는 상기 가동 단자(60)의 제2선단(65)에 접합 또는 압접 등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가동 접촉부재(50)는, 상기 고정 단자(40)의 관통구멍(41) 내측벽 상단과 슬라이드 접촉하면서 가동 접점을 형성하는 가동 접촉편(53)을 구비한다.
상기 가동 접촉편(53)은 도 1,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바닥면(51)에서 가동 단자(60)의 제2선단(65)측 저면과 결합되고, 바닥면(51)의 외측 둘레를 따라 반경방향 외측으로 완만하게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어, 외측면이 둘레방향을 따라 상기 고정 단자(40)의 관통구멍(41) 벽면 상단과 접촉하여 가동 접점을 형성한다.
이러한 가동 접촉편(53)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51)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의 조각들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컵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가동 접촉편(53)은, 상기한 가동 접점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단의 최대 직경(D53)이 상기 케이스(10)의 내경(D11)의 최소값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고, 하단의 최소 직경(D51)은 상기 고정 단자(40)의 관통구멍(41)의 직경(D41) 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케이스(10)의 바닥벽(12)측에는 감온 펠릿(30)이 구비된다. 상기 감온 펠릿(30)은 온도 감응성 유기물질 분말을 펠릿형태로 성형하여 만들어지고, 작동 온도 이하에서 일정한 높이(h0)의 펠릿 형태를 유지한다(도 5의 (a) 및 (b)).
이 감온 펠릿(30)은 저면과 케이스의 바닥벽(12) 사이에 압축설치된 제1스프링(20)에 의해 지지된다. 감온 펠릿(30)은 제1스프링(20)의 스프링력에 의해 상방향으로(검은 색 화살표 방향)으로 편향되면서, 상기 가동 단자(60)의 가동 접촉단자(53)의 저면을 지지한다. 상기 감온 펠릿(30)의 저면과 제1스프링(20)의 상단 사이에는 하부 받침판(31)이 개재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스프링(20)의 스프링힘이 감온 펠릿(30)의 저면에 균일하게 작용하므로, 감온 펠릿(30)상에 지지되는 가동 접촉편(53)을 기울어지지 않게 수평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감온 펠릿(30)이 퓨즈 작동 온도 이하(도 5의 (a) 및 (b)의 상태)일 경우, 가동 단자(60)는 도 2의 백색 화살표방향으로 작용하는 제2스프링(70)의 스프링힘에 의해 가동 접촉편(53)의 외측면이 고정 단자(40)의 관통구멍(41)의 내벽 상단과 접촉하여 가동접점을 형성하고, 이와 동시에 감온 펠릿(30)을 통하여 검은색 화살표 방향으로 작용하는 제1스프링(20)의 스프링힘에 의해 상측의 제1선단(62)이 제2리이드(L2)의 고정 접점(L2a)에 접촉하게 된다. 이와 같은 퓨즈 작동 온도 이하의 상태에서는, 2리이드(L2)→고정 접점(L2a) →가동 단자(60) →가동 접촉편(53) →고정 단자(40)의 가동 접점→케이스(10) →제1리이드(L1)의 경로를 통하여 통전된다.
본 발명의 온도 퓨즈가 정상 온도 범위를 초과하여 퓨즈 작동온도에 도달하는 경우, 즉 감온 펠릿(30)이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퓨즈 작동시의 높이(h2)로 연화 또는 용융되는 순간에, 감온 펠릿(30)을 통하여 가동 단자(60)의 하단에서 상단으로(검은 색 화살표방향) 작용하는 제1스프링(20)의 힘이 가동 단자(60)를 제2리이드(L2)의 고정 접점(L2a)에서 분리시키는 방향(백색 화살표방향)으로 가동 단자(60)에 작용하는 제2스프링(70)보다 작아지게 되고, 그에 따라 가동 단자(60)는 제2스프링(70)의 스프링힘에 의해 흰색 화살표방향을 따라 아래쪽으로 이동하여, 제2리이드(L2)의 고정 접점(L2a)와 분리됨으로써 퓨즈 컷-오프 작동을 한다.
이 때,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동 단자(60)의 가동 접촉편(53)은 오직 고정 단자(40)의 관통구멍(41)의 내벽 상단과 슬라이드 접촉하는 상태로 고정 단자(40)의 관통구멍(41)을 통하여 아래로 이동하므로, 케이스(10)의 내측벽(11)과의 간섭없이 안정적으로 퓨즈 컷-오프 동작을 하게 된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준다. 이 다른 실시예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비교할 때, 감온 펠릿(30)과 제1스프링(20)의 상대 위치가 변경된 것이다. 즉, 다른 실시예에서, 감온 펠릿(30)은 상기 케이스(10)의 바닥벽(12)에 얹혀지게 구비된다. 제1스프링(20)은 하단에서 직접 또는 하부 지지판(31)을 개재하여 상기 감온 펠릿(30)의 상단에 지지되고, 상단은 직접 또는 상부 지지판(32)을 개재하여 상기 가동 접촉편(53)의 바닥면(51)을 지지한다.
이러한 다른 실시예의 감온 펠릿과 제1스프링의 작용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는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감온 펠릿(30)이 비정형적으로 용융되더라도(용융 되는 형태가 일정하지 않음), 제1스프링(20)이 상기 가동 접촉부재(50)를 저면에서 일정하게 지지하게 된다.
10: 케이스 11: 내측벽
D11: 케이스의 내경 12: 바닥벽
20: 제1스프링 L1: 제1리이드
L2: 제2리이드 L2a: 고정 접점
S: 밀봉재 30: 감온 펠릿
31: 하부 받침판 32: 상부 받침판
40: 고정 단자 41: 관통구멍
D41: 관통구멍의 직경 42: 고정 단자의 외측면
50: 가동 접촉부재
51: 바닥면 D51: 바닥면의 직경
53: 가동 접촉편 60: 가동 단자
61: 가동 단자의 몸체 62: 제1선단
64: 스프링 시트 65: 제2선단
70: 제2스프링 80: 절연 부시
82: 제1관통구멍 83: 단턱부
84: 제2구멍 85: 스프링 시트
86: 제3구멍

Claims (5)

  1. 한 쪽 선단은 개방되고 다른 쪽 선단은 바닥벽(12)으로 막힌 금속제 원통형 케이스(10); 상기 케이스(10)에 통전되게 케이스(10)의 바닥벽(12)에 연결된 제1리이드(L1); 상기 케이스(10)의 개방측 선단에 절연 부시(80)를 매개로 상기 케이스(10)에 절연되게 고정설치되고 케이스 내측 선단에 고정 접점(L2a)을 구비한 제2리이드(L2); 설정된 퓨즈 작동 온도 이하에서 일정한 높이(h0)를 유지하고 있다가 그 퓨즈 작동 온도 이상에서는 연화 또는 융융되도록 온도 감응성 펠릿 형태로 성형하여 만들어지고, 상기 케이스(10)의 하부에 구비된 감온 펠릿(30)과; 상기 퓨즈 작동 온도 이하에서는, 상기 제2리이드(L2)측의 고정 접점(L2a)과 케이스(10)와 동시에 통전되게 접속하고 있다가, 퓨즈 작동 온도 이상 에서는 상기 고정 접점(L2a)과 분리되게 작동하는 가동 단자(60); 상기 가동 단자(60)를 상기 제2리이드(L2)의 고정 접점(L2a)에 접촉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가동 단자(60)에 스프링힘을 가하는 제1스프링(20); 및 상기 가동 단자(60)를 상기 제2리이드(L2)의 고정 접점(L2a)에서 분리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가동 단자(60)에 스프링힘을 가하는 제2스프링(70)을 포함한 감온 펠릿형 온도 퓨즈에 있어서,
    중심축방향으로 관통구멍(41)을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10)와 통전되도록 상기 케이스(10)의 내측벽(11)에 고정된 링형 고정 단자(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동 단자(60)는 제2선단(65) 하단에 가동 접촉부재(50)를 구비하되, 상기 가동 접촉부재(50)는 상기 가동 단자(60)의 제2선단(65)하단에 고정되는 바닥면(51)과, 상기 바닥면(51)의 원주방향을 따라 반경방향 외측으로 완만하게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어, 외측면이 둘레방향을 따라 상기 고정 단자(40)의 관통구멍(41) 벽면 상단과 슬라이드 접촉하면서 가동 접점을 형성하는 가동 접촉편(53)을 포함하고,
    상기 가동 접촉편(53)은 상기 케이스(10)의 내측벽(11)과 접촉하지 않도록 상단의 최대 직경(D53)이 상기 케이스(10)의 내경(D11)보다는 작은 치수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 단자(40)의 관통구멍(41)의 직경(D41)보다는 큰 치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온 펠릿형 온도 퓨즈.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접촉편(53)은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된 복수의 조각으로 분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온 펠릿형 온도 퓨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온 펠릿(30)은 상기 케이스(10)의 바닥벽(12)에 얹혀지게 구비되고,
    상기 제1스프링(20)의 한쪽 선단은 직접 또는 하부 지지판(31)을 개재하여 상기 감온 펠릿(30)의 상단에 지지되고, 다른 쪽 선단은 직접 또는 상부 지지판(32)을 개재하여 상기 가동 접촉편(53)의 바닥면(51)에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온 펠릿형 온도 퓨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온 펠릿(30)은 상기 고정 단자(40)의 아래쪽에서 상기 가동 접촉부재(50)의 바닥면(51)을 직접 또는 상부 받침판(32)을 개재하여 지지하고, 상기 제1스프링(20)은 상기 감온 펠릿(30)의 저면을 케이스(10)의 바닥벽(12)에 대하여 직접 또는 하부 받침판(31)을 개재하여 탄력적으로 지지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온 펠릿형 온도 퓨즈.
KR1020170053496A 2017-04-26 2017-04-26 감온 펠릿형 온도 퓨즈 KR1019168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3496A KR101916851B1 (ko) 2017-04-26 2017-04-26 감온 펠릿형 온도 퓨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3496A KR101916851B1 (ko) 2017-04-26 2017-04-26 감온 펠릿형 온도 퓨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9856A KR20180119856A (ko) 2018-11-05
KR101916851B1 true KR101916851B1 (ko) 2018-11-08

Family

ID=64328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3496A KR101916851B1 (ko) 2017-04-26 2017-04-26 감온 펠릿형 온도 퓨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68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80584A1 (ko) * 2018-10-19 2020-04-23 동양전자(주) 감온 펠릿형 온도 퓨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16025A (zh) * 2019-08-01 2019-11-05 广东汇莱德温控器有限公司 带弹性过热保护功能的耦合器
FR3120481B1 (fr) * 2021-03-03 2023-07-14 Aptiv Tech Ltd Détection passive de la surchauffe dans un connecteur de puissan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80584A1 (ko) * 2018-10-19 2020-04-23 동양전자(주) 감온 펠릿형 온도 퓨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9856A (ko) 2018-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53122B2 (en) Temperature-sensitive pellet type thermal fuse
KR101916851B1 (ko) 감온 펠릿형 온도 퓨즈
US20170345603A1 (en) Temperature-sensitive pellet type thermal fuse
US9083174B2 (en) Thermal overload protection apparatus
KR101435955B1 (ko) 감온 펠릿형 온도 퓨즈
CN103620703A (zh) 热金属氧化物变阻器电路保护设备
US20150109092A1 (en) Temperature-dependent switching mechanism
US5864278A (en) Switch having a temperature-dependent switching mechanism
US4894634A (en) Switch device
CN103137382A (zh) 温控切换机构
US11456141B2 (en) Temperature sensitive pellet type thermal fuse
KR101752696B1 (ko) 감온 펠릿형 온도 퓨즈
CN111105964B (zh) 温敏粒子型温度保险丝
KR102521458B1 (ko) 일체형 퓨즈를 가진 관형 가열장치용 단자 기기
KR20170111204A (ko) 이중스프링이 구비된 과열 및 과전류 방지용 복합휴즈
KR101918156B1 (ko) 접촉형 스프링단자가 구비된 온도저항휴즈
US4127839A (en) Thermal switch
JPH10177833A (ja) 温度ヒューズ
US4135177A (en) Thermal protective switch
KR102332881B1 (ko) 열변형물질이 구비된 고전압용 전류단락휴즈
US9887498B2 (en) Compact protection device for automotive cigar lighter and power outlet
KR20190113233A (ko) 온도변형물질이 구비된 전류단락휴즈
KR102244234B1 (ko) 방폭 기능을 갖는 온도 퓨즈 저항기
US10777995B1 (en) Safety device for switch
CN204632666U (zh) 具保险功能的恒温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