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6817B1 - 마사지기 - Google Patents

마사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6817B1
KR101916817B1 KR1020170104277A KR20170104277A KR101916817B1 KR 101916817 B1 KR101916817 B1 KR 101916817B1 KR 1020170104277 A KR1020170104277 A KR 1020170104277A KR 20170104277 A KR20170104277 A KR 20170104277A KR 101916817 B1 KR101916817 B1 KR 1019168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d
hot fluid
flow path
fluid
breast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4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혜정
박정훈
Original Assignee
이혜정
박정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혜정, 박정훈 filed Critical 이혜정
Priority to KR10201701042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68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6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68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9/00Pneumatic or hydraulic massage
    • A61H9/005Pneumatic massage
    • A61H9/0078Pneumatic massage with intermittent or alternately inflated bladders or cuffs
    • A61H9/0092Cuff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07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characterised by electric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085Devices for generating hot or cold treatment flu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01Body part
    • A61F2007/0018Trunk or parts thereof
    • A61F2007/0021Female breas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54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with a closed fluid circuit, e.g. hot wa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07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characterised by electric heating
    • A61F2007/0075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characterised by electric heating using a Peltier element, e.g. near the spot to be heated or cool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86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with a thermost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21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 A61H2201/0285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with Peltier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8Trunk
    • A61H2205/082Breas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마사지기는, 열전 소자를 이용하여 냉 유체와 온 유체를 각각 생성할 수 있으므로, 수유시에는 온 마사지가 가능하고, 단유시에는 냉 마사지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커프식 유방 패드가 냉/온 유체의 유입이나 배출에 따라 팽창과 수축될 수 있으므로, 커프식 유방 패드가 팽창하면 유방이 소정의 압박을 받게 되므로 마사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커프식 유방 패드에 형성된 유동경로는 냉/온 유체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원을 그리듯이 유동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유방 울혈을 마사지하는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마사지기{Massage machine}
본 발명은 마사지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냉온 마사지를 통해 모유 수유나 단유시 나타나는 젖몸살을 방지하거나 완화시킬 수 있는 마사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젖몸살은 분만 후 수유 중에 발생하는 유방의 통증이나 전신적 발열을 통칭한다. 분만 후 즉, 수유와 관련한 몸살 현상을 나타내며, 유방혈이나 유방염이 모두 포함된다.
이러한 젖몸살을 방지 또는 완화시키고 유즙 분비를 촉진시키기 위해서 유방을 마사지하면, 많은 도움이 된다. 유방 마사지는 뜨거운 수건이나 팩을 이용하여 유방을 따뜻하게 한 후, 손으로 유선을 마사지해주는 방법이다.
그러나, 산후조리를 해야하는 산모가 직접 유방 마사지를 하는 것은 매우 번거롭고 힘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뜨거운 수건이나 팩을 이용할 경우, 유방 전체에 밀착되기 어려우므로 유방 전체를 찜찔하는 데 한계가 따르며, 빠른 시간내에 식어버리기 때문에 효과가 미약한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20-0357255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편리하면서 효과적으로 젖몸살을 방지하거나 완화시킬 수 있는 마사지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사지기는, 전원 공급부에서 공급받는 전압의 극성에 따라 방열부와 냉각부가 전환되는 열전 소자부와; 상기 열전 소자부에 유체를 공급하여, 상기 열전 소자부와 상기 유체의 열교환을 통해 냉 유체와 온 유체 중 하나를 생성하는 냉/온 유체 생성유로와; 유방에서 유두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덮도록 형성되고, 상기 냉/온 유체가 일측으로 유입되어 적어도 일부분에서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을 그리면서 순환하도록 유동경로가 형성되며, 상기 냉/온 유체가 공급되면 팽창하고 상기 냉/온 유체가 배출되면 수축하면서 상기 유방을 마사지하도록 형성된 커프식 유방 패드와; 상기 냉/온 유체 생성유로와 상기 커프식 유방 패드를 연결하여, 상기 냉/온 유체를 상기 커프식 유방 패드에 공급하는 냉/온 유체 공급관과; 상기 커프식 유방 패드와 상기 냉/온 유체 생성유로를 연결하여, 상기 커프식 유방 패드에서 배출된 상기 냉/온 유체를 다시 상기 냉/온 유체 생성유로로 배출하는 냉/온 유체 배출관과; 상기 냉/온 유체를 펌핑하는 펌프와; 사용자가 수유시에는 온 마사지 모드를 선택하고, 단유시에는 냉 마사지 모드를 선택하도록 구비된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에서 상기 온 마사지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냉/온 유체 생성유로에서 상기 온 유체를 생성하고, 상기 냉 마사지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냉 유체를 생성하도록 상기 전원 공급부에서 상기 열전 소자부로 인가되는 전압의 극성을 제어하고, 상기 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마사지기는, 전원 공급부에서 공급받는 전압의 극성에 따라 방열부와 냉각부가 전환되는 열전 소자부와; 상기 열전 소자부에 유체를 공급하여, 상기 열전 소자부와 상기 유체의 열교환을 통해 냉 유체와 온 유체 중 하나를 생성하는 냉/온 유체 생성유로와; 유방에서 유두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덮도록 형성되고, 상기 냉/온 유체가 일측으로 유입되어 적어도 일부분에서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을 그리면서 순환하도록 유동경로가 형성되며, 상기 냉/온 유체가 공급되면 팽창하고 상기 냉/온 유체가 배출되면 수축하면서 상기 유방을 마사지하도록 형성된 커프식 유방 패드와; 상기 냉/온 유체 생성유로와 상기 커프식 유방 패드를 연결하여, 상기 냉/온 유체를 상기 커프식 유방 패드에 공급하는 냉/온 유체 공급관과; 상기 커프식 유방 패드와 상기 냉/온 유체 생성유로를 연결하여, 상기 커프식 유방 패드에서 배출된 상기 냉/온 유체를 다시 상기 냉/온 유체 생성유로로 배출하는 냉/온 유체 배출관과; 상기 냉/온 유체를 펌핑하는 펌프와; 사용자가 수유시에는 온 마사지 모드를 선택하고, 단유시에는 냉 마사지 모드를 선택하도록 구비된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에서 상기 온 마사지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냉/온 유체 생성유로에서 상기 온 유체를 생성하고, 상기 냉 마사지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냉 유체를 생성하도록 상기 전원 공급부에서 상기 열전 소자부로 인가되는 전압의 극성을 제어하고, 상기 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커프식 유방 패드는, 좌측 유방에 착용되는 좌측 유방 패드와, 상기 좌측 유방 패드에 연결되고 우측 유방에 착용되는 우측 유방 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유동경로는, 상기 냉/온 유체 공급관을 유입된 냉/온 유체를 상기 우측 유방 패드의 중심에 형성된 우측 유두 관통홀의 외주를 따라 시계 방향으로 흐르도록 안내하는 제1유로와, 상기 제1유로에서 나온 냉/온 유체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유로의 외주를 따라 반시계 방향으로 흐르도록 안내하는 제2유로와, 상기 제1유로에서 나온 냉/온 유체 중 나머지가 상기 제2유로의 외주를 따라 반시계 방향으로 흐르도록 안내하는 제3유로와, 상기 제2,3유로에서 각각 연통되어 상기 제2,3유로에서 나온 냉/온 유체를 상기 좌측 유방 패드로 안내하는 제4,5유로와, 상기 제4유로를 통과한 냉/온 유체를 반시계 방향으로 흐르도록 안내하는 제6유로와, 상기 제5유로를 통과한 냉/온 유체를 상기 제4유로의 외주를 따라 반시계 방향으로 흐르도록 안내하는 제7유로와, 상기 제6유로의 내주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6,7유로에서 나온 냉/온 유체가 합해져서 상기 좌측 유방 패드의 중심에 형성된 좌측 유두 관통홀의 외주를 따라 시계 방향으로 흐르도록 안내하고 상기 냉/온 유체 배출관과 연결된 제8유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마사지기는, 전원 공급부에서 공급받는 전압의 극성에 따라 방열부와 냉각부가 전환되는 열전 소자부와; 상기 열전 소자부에 유체를 공급하여, 상기 열전 소자부와 상기 유체의 열교환을 통해 냉 유체와 온 유체 중 하나를 생성하는 냉/온 유체 생성유로와; 얼굴과 어깨 중 하나를 덮도록 형성되고, 상기 냉/온 유체가 일측으로 유입되어 적어도 일부분에서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을 그리면서 유동하도록 유동경로가 형성되며, 상기 냉/온 유체가 공급되면 팽창하고 상기 냉/온 유체가 배출되면 수축하면서 마사지하도록 형성된 커프식 마사지 패드와; 상기 냉/온 유체 생성유로와 상기 커프식 마사지 패드를 연결하여, 상기 냉/온 유체를 상기 커프식 마사지 패드에 공급하는 냉/온 유체 공급관과; 상기 커프식 마사지 패드와 상기 냉/온 유체 생성유로를 연결하여, 상기 커프식 마사지 패드에서 배출된 상기 냉/온 유체를 다시 상기 냉/온 유체 생성유로로 배출하는 냉/온 유체 배출관과; 상기 냉/온 유체를 펌핑하는 펌프와; 사용자가 온 마사지 모드와 냉 마사지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도록 구비된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에서 상기 온 마사지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냉/온 유체 생성유로에서 상기 온 유체를 생성하고, 상기 냉 마사지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냉 유체를 생성하도록 상기 전원 공급부에서 상기 열전 소자부로 인가되는 전압의 극성을 제어하고, 상기 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사지기는, 열전 소자를 이용하여 냉 유체와 온 유체를 각각 생성할 수 있으므로, 수유시에는 온 마사지가 가능하고, 단유시에는 냉 마사지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커프식 유방 패드가 냉/온 유체의 유입이나 배출에 따라 팽창과 수축될 수 있으므로, 커프식 유방 패드가 팽창하면 유방이 소정의 압박을 받게 되므로 마사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커프식 유방 패드에 형성된 유동경로는 냉/온 유체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원을 그리듯이 유동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유방 울혈을 마사지하는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젖몸살 완화를 위한 마사지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마사지기 본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커프식 유방 패드의 내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커프식 유방 패드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커프식 유방 패드의 내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커프식 유방 패드의 내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마사지기는, 젖몸살 완화를 위해 유방을 덮도록 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유방 이외에 얼굴과 어깨 중 적어도 하나를 덮도록 착용하여 얼굴이나 어깨를 마사지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젖몸살 완화를 위한 마사지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마사지기 본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젖몸살 완화를 위한 마사지기는, 입력부(12), 표시부(14), 전원 공급부(16), 제어유닛(20), 열전 소자부(40), 냉/온 유체 생성부(30) 및 펌프(60)를 포함하는 마사지 본체(10)와, 상기 마사지 본체(10)에 연결되어 유방에 착용하는 커프식 유방 패드(50)와, 냉/온 유체 공급관(70) 및 냉/온 유체 배출관(80)을 포함한다.
상기 입력부(12)는 버튼 등으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운전 모드, 마사지 세기, 마사지 온도, 마사지 시간 등을 입력하기 위한 장치이다. 상기 운전 모드는, 냉마사지 모드, 온마사지 모드, 냉/온 마사지 반복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4)는, 운전 모드, 작동 상태, 마사지 온도, 마사지 세기 등을 표시하는 장치이다.
상기 전원 공급부(16)는, 상기 열전 소자부(40)에 전압을 인가하는 장치이다. 상기 전원 공급부(16)는, 상기 제어유닛(2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열전 소자부(40)에 인가되는 전압의 극성을 변환시켜 상기 열전 소자부(40)의 방열부(미도시)와 냉각부(미도시)가 전환되도록 한다.
상기 제어유닛(20)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냉/온 유체 생성부(30)에서 온 유체와 냉유체 중 하나가 생성될 수 있도록 상기 열전 소자부(40)로 인가되는 전압의 극성을 제어한다.
사용자는 상기 입력부(12)를 통해 수유시에는 온 유체를 이용하는 온 마사지 모드를 선택하고, 단유시에는 냉 유체를 이용하는 냉 마사지 모드를 선택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유닛(20)은 상기 입력부(12)에서 선택된 운전모드에 따라 상기 전원 공급부(16)를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수유시에는 온 마사지 모드를 선택하고, 단유시에는 냉 마사지 모드를 선택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온 마사지 모드와 냉 마사지 모드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으며, 온 마사지 모드와 냉 마사지 모드가 반복하도록 설정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어유닛(20)은 상기 입력부(12)를 통해 입력된 마사지 시간, 마사지 온도, 마사지 세기 등에 따라 상기 열전 소자부(40), 상기 전원 공급부(16), 상기 펌프(60), 후술하는 유량제어밸브(미도시) 등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마사지 세기는 냉/온 유체의 유량에 따라 상기 커프식 유방 패드(50)의 팽창 정도가 달라지는 것으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마사지 온도는, 후술하는 온도센서에서 냉/온 유체의 온도를 측정하고 그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열전 소자부(40)는, 펠티어 소자를 사용하며, 전압이 인가되면 방열부에서는 열을 방출하고 냉각부에서는 열을 흡수하는 원리를 이용한다. 이 때, 상기 방열부와 상기 냉각부는 고정된 것이 아니고, 인가되는 전압의 극성에 따라 바뀔 수 있다. 따라서, 냉 유체를 생성시에는 상기 냉/온 유체 생성부(30)가 통과하는 부분이 냉각부가 되고, 온 유체를 생성시에는 상기 냉/온 유체 생성부(30)가 통과하는 부분이 방열부가 된다.
상기 냉/온 유체 생성부(30)는, 상기 열전 소자부(40)에 유체를 공급하여, 상기 열전 소자부(40)와 상기 유체의 열교환을 통해 냉 유체와 온 유체 중 하나를 생성하고, 상기 커프식 유방 패드(50)를 통과하고 나온 유체는 외부로 배출한다. 상기 유체는 외부 공기를 사용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냉/온 유체 생성부(30)는, 후술하는 공급 펌프(61)에 연결되고 상기 열전 소자부(40)를 통과하는 냉/온유체 생성유로(31)와, 상기 냉/온 유체 배출관(80)과 후술하는 배출 펌프(62)를 연결하는 냉/온유체 배출유로(32)를 포함한다.
상기 냉/온 유체 공급관(70)은, 상기 냉/온 유체 생성부(30)와 상기 커프식 유방 패드(50)를 연결하는 유로이다. 상기 냉/온 유체 공급관(70)은, 상기 커프식 유방 패드(50)에 형성된 유입부(100a)에 연결된다.
상기 냉/온 유체 배출관(80)은, 상기 커프식 유방 패드(50)와 상기 냉/온 유체 생성부(30)를 연결하여, 상기 커프식 유방 패드(50)에서 배출된 냉/온 유체를 다시 상기 냉/온 유체 생성부(30)로 순환시키는 배출유로이다. 상기 냉/온 유체 배출관(80)은, 상기 커프식 유방 패드(50)에 형성된 배출부(100b)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냉/온 유체 공급관(70)이 상기 우측 유방 패드(52)에 형성된 유입부(100a)에 연결되고, 상기 냉/온 유체 공급관(80)이 상기 좌측 유방 패드(51)에 형성된 배출부(100b)에 연결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따라서, 상기 냉/온 유체 생성부(30)에서 생성된 냉/온 유체는 상기 우측 유방 패드(52)로 먼저 유입되어 상기 우측 유방 패드(52)의 내부를 순환한 후, 상기 좌측 유방 패드(51)로 유입되어 상기 좌측 유방 패드(51)의 내부를 순환한 후 배출한다.
한편, 상기 냉/온 유체 공급관(70)에는 유량제어밸브(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유량제어밸브(미도시)는, 상기 제어유닛(2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커프식 유방 패드(50)로 유입되는 유체의 유량을 제어하여, 상기 커프식 유방 패드(50)가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팽창과 수축을 반복할 수 있다.
상기 냉/온 유체 공급관(70)과 상기 냉/온 유체 생성부(30) 중 어느 하나에는 생성된 냉/온 유체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유닛(20)은, 상기 온도센서(미도시)에서 측정된 온도에 따라 상기 전원 공급부(16)나 상기 펌프(6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펌프(60)는, 상기 마사지 본체(10)에 구비되어, 상기 냉/온 유체를 펌핑하는 펌프이다.
상기 펌프(60)는 상기 냉/온 유체 생성유로(31)에 설치되어 상기 커프식 유방 패드(50)로 냉/온 유체를 공급하기 위해 펌핑하는 공급 펌프(61)와, 상기 냉/온유체 배출유로(32)에 설치되어 상기 커프식 유방 패드(50)에서 나온 냉/온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펌핑하는 배출 펌프(62)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유닛(20)은, 상기 공급 펌프(61)의 작동시 상기 배출 펌프(62)의 작동은 정지되어 상기 냉/온 유체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배출 펌프(62)의 작동시 상기 공급 펌프(61)의 작동은 정지되어 상기 냉/온 유체가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냉/온 유체를 공급 또는 배출하기 위해 2개의 펌프를 사용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나의 양방향 펌프를 사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 양방향 펌프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냉/온 유체 배출유로(32)가 상기 냉/온 유체 공급유로(31)의 입구측에 연결되고 연결된 지점에 유로의 개폐를 단속하는 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커프식 유방 패드의 내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커프식 유방 패드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커프식 유방 패드(50)는, 유방에서 유두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덮도록 형성되고, 유방에 착용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커프식 유방 패드(50)는, 좌우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전,후면이 동일하게 형성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커프식 유방 패드(50)는 유방을 덮도록 형성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에 따른 마사지기가 얼굴이나 어깨에 착용될 경우, 얼굴이나 어깨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커프식 마사지 패드일 수 있다.
상기 커프식 유방 패드(50)는 냉/온 유체의 유입이나 배출에 따라 팽창 및 수축이 용이하도록 신축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된다.
상기 커프식 유방 패드(50)는, 좌측 유방을 덮도록 형성된 좌측 유방 패드(51)와, 상기 좌측 유방 패드(51)와 연결되고 우측 유방을 덮도록 형성된 우측 유방 패드(52)를 포함한다.
상기 좌측 유방 패드(51)의 중앙부에는 유두가 노출될 수 있도록 좌측 유두 관통부(51a)가 형성된다. 상기 좌측 유두 관통부(51a)에는 유축기 등을 연결하여 마사지 중에 유축이나 수유가 가능하다.
상기 좌측 유방 패드(51)에는 상기 좌측 유두 관통부(51a)와 연통되게 형성된 좌측 절개부(51b)가 형성된다. 상기 좌측 절개부(51b)가 형성됨으로써, 반구 형상의 유방에 상기 커프식 유방 패드(50)의 착용을 용이하게 하고, 상기 커프식 유방 패드(50)의 팽창이 용이하게 한다.
상기 좌측 유방 패드(51)의 외측면에는, 사용자의 흉부와 어깨 중 적어도 하나에 매기 위한 끈이 결합되는 끈 결합홀(51c)(51d)이 형성된다. 상기 끈 결합홀(51c)(51d)은, 상기 커프식 유방 패드(50)를 흉부에 맬 수 있는 흉부용 끈이 결합되는 흉부용 끈 결합홀(51c)과, 어깨에 맬 수 있는 어깨용 끈이 결합되는 어깨끈 결합홀(51d)이 형성된다.
상기 우측 유방 패드(52)의 중앙부에는 유두가 노출될 수 있도록 우측 유두 관통부(52a)가 형성된다. 상기 우측 유두 관통부(52a)에는 유축기 등을 연결하여 마사지 중에 유축이나 수유가 가능하다.
상기 우측 유방 패드(52)에는 상기 우측 유두 관통부(52a)와 연통되게 형성된 우측 절개부(52b)가 형성된다. 상기 우측 절개부(52b)가 형성됨으로써, 반구 형상의 유방에 상기 커프식 유방 패드(50)의 착용을 용이하게 하고, 상기 커프식 유방 패드(50)의 팽창이 용이하게 한다.
상기 우측 유방 패드(52)의 외측면에는, 사용자의 흉부와 어깨 중 적어도 하나에 매기 위한 끈이 결합되는 끈 결합홀(52c)(52d)이 형성된다. 상기 끈 결합홀(52c)(52d)은, 상기 흉부에 맬 수 있는 흉부용 끈이 결합되는 흉부용 끈 결합홀(52c)과, 어깨에 맬 수 있는 어깨용 끈이 결합되는 어깨끈 결합홀(52d)이 형성된다.
상기 커프식 유방 패드(50)의 내부에는, 상기 냉/온 유체 생성부(30)에서 생성된 냉/온 유체가 순환하는 유동경로(100)가 형성된다.
상기 유동경로(100)는, 상기 커프식 유방 패드(50)의 내부에서 냉/온 유체가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을 그리면서 순환하여 유방을 효과적으로 마사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냉/온 유체 공급관(70)이 상기 우측 유방 패드(52)에 형성된 유입부(100a)에 연결되고, 상기 냉/온 유체 배출관(80)이 상기 좌측 유방 패드(51)에 형성된 배출부(100b)에 연결되므로, 상기 냉/온 유체 생성부(30)에서 생성된 냉/온 유체는 상기 우측 유방 패드(52)의 내부를 순환한 후, 상기 좌측 유방 패드(51)로 유입되어 상기 좌측 유방 패드(51)의 내부를 순환한 후 배출한다.
상기 유동경로(100)는, 상기 유입부(100a)를 통해 유입된 냉/온 유체를 상기 유방의 중심인 상기 우측 유두 관통부(52a)의 외주를 따라 시계 방향으로 흐르도록 안내하도록 링 형상으로 형성된 제1유로(101)와, 상기 제1유로(101)에서 나온 냉/온 유체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유로(101)의 외주를 따라 반시계 방향으로 흐르도록 안내하는 제2유로(102)와, 상기 제1유로(101)에서 나온 냉/온 유체 중 나머지가 상기 제2유로(102)의 외주를 따라 반시계 방향으로 흐르도록 안내하는 제3유로(103)와, 상기 제2,3유로(102)(103)에서 각각 연통되어 상기 제2,3유로(102)(103)에서 나온 냉/온 유체를 상기 좌측 유방 패드(51)로 안내하는 제4,5유로(104)(105)와, 상기 제4유로(104)를 통과한 냉/온 유체를 반시계 방향으로 흐르도록 안내하는 제6유로(106)와, 상기 제5유로(105)를 통과한 냉/온 유체를 상기 제4유로(104)의 외주를 따라 반시계 방향으로 흐르도록 안내하는 제7유로(107)와, 상기 제6유로(106)의 내주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6,7유로(106)(107)에서 나온 냉/온 유체가 합해져서 상기 좌측 유두 관통부(51a)의 외주를 따라 시계 방향으로 흐르도록 안내하도록 링 형상으로 형성된 제8유로(108)를 포함한다.
상기 제1,2,3유로(101)(102)(103)는 상기 우측 유방 패드(52)의 내부에 형성되고, 각각 링 형상이나 곡선 형태의 유로로 형성된다. 상기 제1유로(101)는 상기 냉/온 유체가 시계 방향으로 흐르도록 안내하고, 상기 제2,3유로(102)(103)는 상기 냉/온 유체가 반시계 방향으로 흐르도록 안내한다.
또한, 상기 제6,7,8유로(106)(107)(108)는 상기 좌측 유방 패드(51)의 내부에 형성되고, 각각 링 형상이나 곡선 형태의 유로로 형성된다. 상기 제6,7유로(106)(107)는 상기 냉/온 유체가 반시계 방향으로 흐르도록 안내하고, 상기 제8유로(108)는 상기 냉/온 유체가 시계 방향으로 흐르도록 안내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좌,우측 유방 패드(51)(52)에 각각 3개씩 유로가 형성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2개나 3개 이상이 형성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유동경로(100)는, 각각 링 형상이나 곡선 형태의 유로로 형성되어, 상기 냉/온 유체가 일부 유로에서는 반시계 방향으로 흐르고, 나머지 유로에서는 시계 방향으로 흐르도록 안내함으로써, 손으로 원을 그리며 마사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젖몸살 완화를 위한 마사지기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는 상기 입력부(12)를 통해 상기 마사지기의 운전 모드, 운전 시간, 마사지 세기, 마사지 온도 등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수유시에는 온 유체를 이용하기 위해 온 마사지 모드를 선택할 수 있으며, 단유시에는 냉 유체를 이용하는 냉 마사지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온 마사지 모드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유닛(20)은 상기 전원공급부(16)를 제어하여, 상기 열전소자(40)에 전압을 인가시키고, 상기 공급 펌프(61)를 작동시키고, 상기 배출 펌프(62)의 작동을 중지시킨다.
이 때, 상기 열전소자(40)에서 상기 냉온유체 공급유로(31)가 통과하는 부분이 방열부가 되도록 전압을 인가시키면, 상기 열전소자(40)를 통과한 유체는 열을 흡수하여 온 유체가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유닛(20)은, 상기 입력부(12)를 통해 선택된 유체의 온도나 운전 시간에 상기 유량제어밸브(미도시)를 통해 순환하는 유량을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유닛(20)은 상기 공급 펌프(61)는 작동시키고, 상기 배출 펌프(62)의 작동은 정지시키면, 상기 공급 펌프(61)는 외부로부터 유체를 흡입할 수 있고, 상기 배출 펌프(62)는 냉/온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지 않는다.
상기 냉/온 유체 생성부(30)로부터 생성된 온 유체는 상기 냉/온 유체 공급관(70)을 통해 상기 커프식 유방 패드(50)로 공급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냉/온 유체 공급관(70)이 상기 우측 유방 패드(52)에 연결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므로, 상기 온 유체는 상기 우측 유방 패드(52)로 먼저 공급된다.
상기 우측 유방 패드(52)로 공급된 온 유체는 상기 제1유로(101)를 통과한다. 상기 제1유로(101)를 통과하는 온 유체는 상기 우측 유두 관통부(52a)의 외주를 따라 시계 방향으로 유동하게 되므로, 우측 유두 주변을 원을 그리며 마사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제1유로(101)로 온 유체가 유입되면, 상기 제1유로(101)가 상기 온 유체에 의해 팽창하게 된다.
상기 제1유로(101)가 팽창하면, 상기 유방에서 상기 제1유로(101)에 대응되는 부분이 소정의 압박을 받게 되면서 마사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제1유로(101)를 통과하고 나온 온 유체는 상기 제2유로(102)와 상기 제3유로(103)로 나누어 유입된다.
상기 제2유로(102)와 상기 제3유로(103)로 각각 유입된 온 유체는 반시계 방향을 따라 유동한다. 즉, 상기 제1유로(101)를 통과하는 온 유체의 반대 방향과 상기 제2,3유로(102)(103)를 통과하는 온 유체의 유동 방향은 서로 반대 방향이다. 따라서, 일방향으로만 유동하는 경우에 비해 단단하게 뭉친 유방울혈을 제거하는 데 보다 용이하다.
도 4c를 참조하면, 상기 제1,2,3유로(101)(102)(103)로 온 유체가 모두 공급되기 때문에, 상기 제1,2,3유로(101)(102)(103)가 상기 온 유체에 의해 모두 팽창하게 된다. 즉, 상기 우측 커프식 유방패드(52)가 모두 팽창하게 된다.
상기 제1,2,3유로(101)(102)(103)가 모두 팽창하면, 상기 유방에서 상기 제1,2,3유로(101)(102)(103)에 대응되는 부분이 모두 압박을 받으면서 마사지받게 된다.
도 4d를 참조하면, 상기 우측 유방 패드(52)로 온 유체의 공급이 중단되고, 상기 제1유로(101)의 온 유체가 상기 제2,3유로(102)(103)로 빠져나가면, 상기 제1유로(101)는 먼저 수축하여 원래 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
상기 제어유닛(20)이 상기 공급 펌프(61)의 작동을 정지시키면, 상기 온 유체의 공급이 중단된다. 상기 제어유닛(20)은 상기 유량제어밸브(미도시)나 상기 공급 펌프(61)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온 유체의 공급을 설정시간 간격으로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온 유체의 공급과 중단을 반복하면, 상기 유동경로(100)의 팽창과 수축이 반복되면서 마사지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우측 유방 패드(52)를 통과한 온 유체는 상기 제4,5유로(104)(105)를 통해 상기 좌측 유방 패드(51)로 유입된다.
상기 제4,5유로(104)(105)를 통과한 온 유체는 상기 제6,7유로(106)(107)로 유입되어 반시계방향으로 원을 그리며 유동한다. 상기 제6,7유로(106)(107)로 온 유체가 유입되면, 상기 제6,7유로(106)(107)가 팽창된다.
상기 제6,7유로(106)(107)가 팽창하면, 상기 유방에서 상기 제6,7유로(106)(107)에 대응되는 부분이 소정의 압박을 받게 되면서 마사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제6,7유로(106)(107)를 통과한 온 유체는 합해져서 상기 제8유로(108)로 유입된다. 상기 제8유로(108)로 온 유체가 유입되면, 상기 제8유로(108)가 팽창된다.
상기 제8유로(108)가 팽창하면, 상기 유방에서 상기 제8유로(108)에 대응되는 부분이 소정의 압박을 받게 되면서 마사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제8유로(108)로 유입된 온 유체는 시계 방향을 그리며 유동한 후, 상기 냉/온 유체 배출관(80)을 통해 배출된다.
상기 우측 유방 패드(51)에서는, 상기 온 유체가 상기 유방의 중심측으로부터 상기 유방의 외측으로 흐르게 되고, 상기 좌측 유방 패드(51)에서는 상기 온 유체가 상기 유방의 외측부터 중심측으로 흐르게 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좌측 유방 패드(51)와 상기 우측 유방 패드(52)는 서로 대칭으로 형성되고, 전,후면이 동일하게 형성되어, 상기 좌측 유방 패드(51)를 우측 유방에 위치시키고 상기 우측 유방 패드(52)를 좌측 유방에 위치하도록 바꾸어 착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좌측 유방 패드(51)와 상기 우측 유방 패드(52)에서 각각 온 유체의 유동 방향이 다르기 때문에, 상기 좌측 유방 패드(51)와 상기 우측 유방 패드(52)의 방향을 바꾸어가며 착용하면, 양쪽 유방을 마사지 하는 방향이 서로 바뀌게 되므로 양쪽 유방이 모두 고르게 마사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사지기를 사용하면, 상기 유방은 온 유체의 열을 전달받을 수 있으므로 온 찜찔 효과를 얻을 뿐만 아니라, 상기 온 유체가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유동하고, 상기 유동경로(100)가 온 유체에 의해 팽창되면서 소정의 압박을 가하기 때문에, 유방 내부에 단단하게 뭉쳐 발생한 유방 울혈 등을 마사지하는 데 매우 효과적이다.
이후, 상기 제어유닛(20)이 상기 배출 펌프(62)를 작동시키고, 상기 공급 펌프(61)의 작동을 정지시키면, 상기 커프식 유방 패드(50)에 채워진 온 유체가 상기 배출 펌프(6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커프식 유방 패드(50)의 온 유체가 상기 배출 펌프(62)를 통해 배출되면, 상기 커프식 유방 패드(50)는 수축되면서 원상태로 복원된다.
상기 제어유닛(20)은, 상기 공급 펌프(61)와 상기 배출 펌프(62)를 설정 시간 간격으로 반복하여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커프식 유방 패드(50)가 팽창과 수축을 반복하면서 유방을 마사지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상기 냉 마사지 모드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유닛(20)은 상기 전원 공급부(16)를 제어하여, 상기 열전소자(40)에 인가되는 전압의 극성을 바꾼다. 즉, 상기 열전소자(40)에서 상기 냉온유체 공급유로(31)이 통과하는 부분이 흡열부로 바뀌게 되므로, 상기 열전소자(40)를 통과한 유체의 열을 흡수하게 되므로 냉 유체가 생성될 수 있다.
상기 냉 유체가 상기 커프식 유방 패드(50)로 공급되어, 상기 유동경로(100)를 따라 순환하면, 상기 유방을 냉찜질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커프식 유방 패드의 내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커프식 유방 패드(250)는, 냉/온 유체 공급관(270)이 좌측 유방 패드(251)와 우측 유방 패드(252)에 각각 결합되고, 냉/온 유체 배출관(280)이 상기 좌측 유방 패드(251)와 상기 우측 유방 패드(252)에 각각 결합되어, 유동경로(200)는 냉/온 유체가 상기 좌측 유방 패드(251)와 상기 우측 유방 패드(252)를 각각 순환한 후 배출되도록 형성된 것이 상기 제1실시예와 상이하고, 그 외 나머지 구성 및 작용은 유사하므로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냉/온 유체 공급관(270)은, 좌측 공급관(271)과 우측 공급관(272)으로 분기된다. 상기 좌측 공급관(271)은, 상기 냉/온 유체 생성부(30)에서 생성된 냉/온 유체를 상기 좌측 유방 패드(251)로 안내하는 관이다. 상기 우측 공급관(272)은, 상기 냉/온 유체 생성부(30)에서 생성된 냉/온 유체를 상기 우측 유방 패드(252)로 안내하는 관이다.
상기 냉/온 유체 배출관(280)은, 좌측 배출관(281)과 우측 배출관(282)으로 분기된다. 상기 좌측 배출관(281)은, 상기 좌측 유방 패드(251)에서 배출된 냉/온 유체를 상기 냉/온 유체 생성부(30)로 배출하는 관이다. 상기 우측 배출관(282)은, 상기 우측 유방 패드(252)에서 배출된 냉/온 유체를 상기 냉/온 유체 생성부(30)로 배출하는 관이다.
상기 유동경로(200)는, 상기 좌측 유방 패드(251)에 형성된 좌측 유동경로와, 상기 우측 유방 패드(252)에 형성된 우측 유동경로를 포함한다. 상기 좌측 유동경로와 상기 우측 유동경로는 연통되지 않는다.
상기 우측 유동경로는, 상기 우측 공급관(272)으로 유입된 냉/온 유체를 상기 우측 유방의 중심인 상기 우측 유두 관통부(252a)의 외주를 따라 시계 방향으로 흐르도록 안내하도록 링 형상으로 형성된 제1유로(201)와, 상기 제1유로(201)에서 나온 냉/온 유체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유로(201)의 외주를 따라 반시계 방향으로 흐르도록 안내하는 제2유로(202)와, 상기 제1유로(201)에서 나온 냉/온 유체 중 나머지가 상기 제2유로(202)의 외주를 따라 반시계 방향으로 흐르도록 안내하는 제3유로(203)를 포함한다. 상기 제2,3유로(202)(203)는, 상기 제1유로(201)의 말단에서 분기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2,3유로(202)(203)의 각 말단은 서로 합지되어, 냉/온 유체를 상기 우측 배출관(282)으로 안내한다.
상기 좌측 유동경로는, 상기 좌측 공급관(271)으로 유입된 냉/온 유체를 상기 좌측 유방의 중심인 상기 좌측 유두 관통부(251a)의 외주를 따라 반시계 방향으로 흐르도록 안내하도록 링 형상으로 형성된 제4유로(204)와, 상기 제4유로(204)에서 나온 냉/온 유체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4유로(204)의 외주를 따라 시계 방향으로 흐르도록 안내하는 제5유로(205)와, 상기 제4유로(204)에서 나온 냉/온 유체 중 나머지가 상기 제5유로(205)의 외주를 따라 시계 방향으로 흐르도록 안내하는 제6유로(206)를 포함한다. 상기 제5,6유로(205)(206)는, 상기 제4유로(204)의 말단에서 분기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5,6유로(205)(206)의 각 말단은 서로 합지되어, 냉/온 유체를 상기 좌측 배출관(281)으로 안내한다.
또한, 상기 유동경로(200)는, 각각 링 형상이나 곡선 형태의 유로로 형성되어, 상기 냉/온 유체가 일부 유로에서는 반시계 방향으로 흐르고, 나머지 유로에서는 시계 방향으로 흐르도록 안내함으로써, 손으로 원을 그리며 마사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동경로(200)는, 상기 냉/온 유체가 상기 좌측 유방 패드(251)와 상기 우측 유방 패드(252)를 각각 별도로 순환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좌측 유방과 상기 우측 유방에 동일한 온도의 냉/온 유체가 공급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커프식 유방 패드의 내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커프식 유방 패드(350)는, 유동경로(300)는 냉/온 유체가 상기 유방의 중심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흐르도록 나선 형상으로 형성된 것이 상기 제2실시예와 상이하고, 그 외 나머지 구성 및 작용은 유사하므로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냉/온 유체 공급관(370)은, 좌측 공급관(371)과 우측 공급관(372)으로 분기된다.
상기 좌측 공급관(371)은, 상기 냉/온 유체 생성부(30)에서 생성된 냉/온 유체를 상기 좌측 유방 패드(351)의 중심측으로 안내하는 관이다. 즉, 상기 좌측 공급관(371)은, 상기 좌측 유두 관통홀(351a)의 외주측에 연결된다.
상기 우측 공급관(372)은, 상기 냉/온 유체 생성부(30)에서 생성된 냉/온 유체를 상기 우측 유방 패드(352)의 중심측으로 안내하는 관이다. 즉, 상기 우측 공급관(372)은, 상기 우측 유두 관통홀(352a)의 외주측에 연결된다.
냉/온 유체 배출관(380)은, 좌측 배출관(381)과 우측 배출관(382)으로 분기된다. 상기 좌측 배출관(381)은, 상기 좌측 유방 패드(351)에서 배출된 냉/온 유체를 상기 냉/온 유체 생성부(30)로 배출하는 관이다. 상기 우측 배출관(382)은, 상기 우측 유방 패드(352)에서 배출된 냉/온 유체를 상기 냉/온 유체 생성부(30)로 배출하는 관이다.
상기 유동경로(300)는, 상기 좌측 유방 패드(351)에 형성된 좌측 유동경로와, 상기 우측 유방 패드(352)에 형성된 우측 유동경로를 포함한다. 상기 좌측 유동경로와 상기 우측 유동경로는 연통되지 않는다.
상기 우측 유동경로는, 상기 우측 유방의 중심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흐르도록 나선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우측 유동경로는, 상기 우측 공급관(372)으로 유입된 냉/온 유체를 상기 우측 유방의 중심인 상기 우측 유두 관통부(352a)의 외주를 따라 반시계 방향으로 흐르도록 안내하도록 링 형상으로 형성된 제1유로(301)와, 상기 제1유로(301)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유로(301)에서 나온 냉/온 유체를 상기 제1유로(301)의 외주를 따라 반시계 방향으로 흐르도록 안내하는 제2유로(302)와, 상기 제2유로(302)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2유로(302)에서 나온 냉/온 유체를 상기 제2유로(302)의 외주를 따라 반시계 방향으로 흐르도록 안내하는 제3유로(303)를 포함한다. 상기 제3유로(303)는 상기 우측 배출관(382)에 연결된다.
상기 좌측 유동경로는, 상기 좌측 유방의 중심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흐르도록 나선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좌측 유동경로는, 상기 좌측 공급관(371)으로 유입된 냉/온 유체를 상기 좌측 유방의 중심인 상기 좌측 유두 관통부(351a)의 외주를 따라 시계 방향으로 흐르도록 안내하도록 링 형상으로 형성된 제4유로(304)와, 상기 제4유로(304)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4유로(304)에서 나온 냉/온 유체를 상기 제4유로(304)의 외주를 따라 시계 방향으로 흐르도록 안내하는 제5유로(305)와, 상기 제5유로(305)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5유로(305)에서 나온 냉/온 유체를 상기 제5유로(305)의 외주를 따라 시계 방향으로 흐르도록 안내하는 제6유로(306)를 포함한다. 상기 제6유로(306)는 상기 좌측 배출관(381)에 연결된다.
상기 우측 유동경로는 상기 냉/온 유체를 반시계 방향으로 안내하고, 상기 좌측 유동경로는 상기 냉/온 유체를 시계 방향으로 안내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서로 유동 방향이 바뀌거나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유동하도록 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2: 입력부 14: 표시부
16: 전원 공급부 20: 제어 유닛
30: 냉/온 유체 생성부 40: 열전 소자부
50: 커프식 유방 패드 51: 좌측 유방 패드
52: 우측 유방 패드 60: 순환 펌프
70: 냉/온 유체 공급관 80: 냉/온 유체 배출관
100: 유동경로

Claims (13)

  1. 전원 공급부에서 공급받는 전압의 극성에 따라 방열부와 냉각부가 전환되는 열전 소자부와;
    상기 열전 소자부에 유체를 공급하여, 상기 열전 소자부와 상기 유체의 열교환을 통해 냉 유체와 온 유체 중 하나를 생성하는 냉/온 유체 생성유로와;
    유방에서 유두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덮도록 형성되고, 상기 냉/온 유체가 일측으로 유입되어 적어도 일부분에서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을 그리면서 유동하도록 유동경로가 형성되며, 상기 냉/온 유체가 공급되면 팽창하고 상기 냉/온 유체가 배출되면 수축하면서 상기 유방을 마사지하도록 형성된 커프식 유방 패드와;
    상기 냉/온 유체 생성유로와 상기 커프식 유방 패드를 연결하여, 상기 냉/온 유체를 상기 커프식 유방 패드에 공급하는 냉/온 유체 공급관과;
    상기 커프식 유방 패드와 상기 냉/온 유체 생성유로를 연결하여, 상기 커프식 유방 패드에서 배출된 상기 냉/온 유체를 다시 상기 냉/온 유체 생성유로로 배출하는 냉/온 유체 배출관과;
    상기 냉/온 유체를 펌핑하는 펌프와;
    사용자가 수유시에는 온 마사지 모드를 선택하고, 단유시에는 냉 마사지 모드를 선택하도록 구비된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에서 상기 온 마사지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냉/온 유체 생성유로에서 상기 온 유체를 생성하고, 상기 냉 마사지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냉 유체를 생성하도록 상기 전원 공급부에서 상기 열전 소자부로 인가되는 전압의 극성을 제어하고, 상기 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과;
    상기 냉/온 유체 공급관에 설치되어, 상기 커프식 유방 패드로 유입되는 냉/온 유체의 유량을 단속하는 유량제어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커프식 유방 패드가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팽창과 수축을 반복할 수 있도록 상기 유량제어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냉/온 유체의 공급유량을 제어하고,
    상기 커프식 유방 패드는, 좌측 유방을 덮도록 형성된 좌측 유방 패드와, 상기 좌측 유방 패드와 연결되고 우측 유방을 덮도록 형성된 우측 유방 패드와, 상기 좌,우측 유방 패드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유두가 노출되도록 형성된 유두 관통부와, 상기 좌,우측 유방 패드에서 상기 유두 관통부와 연통되게 형성된 절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냉/온 유체 공급관은 상기 좌,우측 유방 패드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고,
    상기 냉/온 유체 배출관은 상기 좌,우측 유방 패드 중 나머지 하나에 연결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유동경로는, 상기 냉/온 유체 공급관으로부터 상기 냉/온 유체 배출관까지 연결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냉/온 유체가 일부 유로에서는 반시계 방향으로 흐르고 나머지 유로에서는 시계 방향으로 흐르도록 곡선 형태의 유로를 형성하며,
    상기 냉/온 유체 공급관으로 유입된 냉/온 유체를 상기 우측 유방 패드의 중심에 형성된 우측 유두 관통홀의 외주를 따라 시계 방향으로 흐르도록 안내하는 제1유로와, 상기 제1유로에서 나온 냉/온 유체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유로의 외주를 따라 반시계 방향으로 흐르도록 안내하는 제2유로와, 상기 제1유로에서 나온 냉/온 유체 중 나머지가 상기 제2유로의 외주를 따라 반시계 방향으로 흐르도록 안내하는 제3유로와, 상기 제2,3유로에서 각각 연통되어 상기 제2,3유로에서 나온 냉/온 유체를 상기 좌측 유방 패드로 안내하는 제4,5유로와, 상기 제4유로를 통과한 냉/온 유체를 반시계 방향으로 흐르도록 안내하는 제6유로와, 상기 제5유로를 통과한 냉/온 유체를 상기 제4유로의 외주를 따라 반시계 방향으로 흐르도록 안내하는 제7유로와, 상기 제6유로의 내주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6,7유로에서 나온 냉/온 유체가 합해져서 상기 좌측 유방 패드의 중심에 형성된 좌측 유두 관통홀의 외주를 따라 시계 방향으로 흐르도록 안내하고 상기 냉/온 유체 배출관과 연결된 제8유로를 포함하는 마사지기.
  2. 전원 공급부에서 공급받는 전압의 극성에 따라 방열부와 냉각부가 전환되는 열전 소자부와;
    상기 열전 소자부에 유체를 공급하여, 상기 열전 소자부와 상기 유체의 열교환을 통해 냉 유체와 온 유체 중 하나를 생성하는 냉/온 유체 생성유로와;
    유방에서 유두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덮도록 형성되고, 상기 냉/온 유체가 일측으로 유입되어 적어도 일부분에서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을 그리면서 유동하도록 유동경로가 형성되며, 상기 냉/온 유체가 공급되면 팽창하고 상기 냉/온 유체가 배출되면 수축하면서 상기 유방을 마사지하도록 형성된 커프식 유방 패드와;
    상기 냉/온 유체 생성유로와 상기 커프식 유방 패드를 연결하여, 상기 냉/온 유체를 상기 커프식 유방 패드에 공급하는 냉/온 유체 공급관과;
    상기 커프식 유방 패드와 상기 냉/온 유체 생성유로를 연결하여, 상기 커프식 유방 패드에서 배출된 상기 냉/온 유체를 다시 상기 냉/온 유체 생성유로로 배출하는 냉/온 유체 배출관과;
    상기 냉/온 유체를 펌핑하는 펌프와;
    사용자가 수유시에는 온 마사지 모드를 선택하고, 단유시에는 냉 마사지 모드를 선택하도록 구비된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에서 상기 온 마사지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냉/온 유체 생성유로에서 상기 온 유체를 생성하고, 상기 냉 마사지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냉 유체를 생성하도록 상기 전원 공급부에서 상기 열전 소자부로 인가되는 전압의 극성을 제어하고, 상기 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과;
    상기 냉/온 유체 공급관에 설치되어, 상기 커프식 유방 패드로 유입되는 냉/온 유체의 유량을 단속하는 유량제어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커프식 유방 패드가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팽창과 수축을 반복할 수 있도록 상기 유량제어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냉/온 유체의 공급유량을 제어하고,
    상기 커프식 유방 패드는, 좌측 유방을 덮도록 형성된 좌측 유방 패드와, 상기 좌측 유방 패드와 연결되고 우측 유방을 덮도록 형성된 우측 유방 패드와, 상기 좌,우측 유방 패드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유두가 노출되도록 형성된 유두 관통부와, 상기 좌,우측 유방 패드에서 상기 유두 관통부와 연통되게 형성된 절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냉/온 유체 공급관은 상기 좌,우측 유방 패드에 각각 냉/온 유체를 공급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냉/온 유체 배출관은 상기 좌,우측 유방 패드를 통과한 냉/온 유체를 각각 배출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유동경로는, 상기 냉/온 유체 공급관으로부터 상기 냉/온 유체 배출관까지 연결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냉/온 유체가 일부 유로에서는 반시계 방향으로 흐르고 나머지 유로에서는 시계 방향으로 흐르도록 곡선 형태의 유로를 형성하며,
    상기 좌측 유방 패드에 형성된 좌측 유동경로와, 상기 우측 유방 패드에 형성된 우측 유동경로를 포함하고,
    상기 우측 유동경로는,
    상기 냉/온 유체 공급관으로 유입된 냉/온 유체를 상기 우측 유방 패드의 중심에 형성된 우측 유두 관통홀의 외주를 따라 시계 방향으로 흐르도록 안내하는 제1유로와, 상기 제1유로에서 나온 냉/온 유체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유로의 외주를 따라 반시계 방향으로 흐르도록 안내하는 제2유로와, 상기 제1유로에서 나온 냉/온 유체 중 나머지가 상기 제2유로의 외주를 따라 반시계 방향으로 흐르도록 안내하는 제3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좌측 유동경로는,
    상기 냉/온 유체 공급관으로 유입된 냉/온 유체를 상기 좌측 유방 패드의 중심에 형성된 좌측 유두 관통홀의 외주를 따라 반시계 방향으로 흐르도록 안내하는 제4유로와, 상기 제4유로에서 나온 냉/온 유체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4유로의 외주를 따라 시계 방향으로 흐르도록 안내하는 제5유로와, 상기 제4유로에서 나온 냉/온 유체 중 나머지가 상기 제5유로의 외주를 따라 시계 방향으로 흐르도록 안내하는 제6유로를 포함하는 마사지기.
  3. 전원 공급부에서 공급받는 전압의 극성에 따라 방열부와 냉각부가 전환되는 열전 소자부와;
    상기 열전 소자부에 유체를 공급하여, 상기 열전 소자부와 상기 유체의 열교환을 통해 냉 유체와 온 유체 중 하나를 생성하는 냉/온 유체 생성유로와;
    유방에서 유두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덮도록 형성되고, 상기 냉/온 유체가 일측으로 유입되어 적어도 일부분에서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을 그리면서 유동하도록 유동경로가 형성되며, 상기 냉/온 유체가 공급되면 팽창하고 상기 냉/온 유체가 배출되면 수축하면서 상기 유방을 마사지하도록 형성된 커프식 유방 패드와;
    상기 냉/온 유체 생성유로와 상기 커프식 유방 패드를 연결하여, 상기 냉/온 유체를 상기 커프식 유방 패드에 공급하는 냉/온 유체 공급관과;
    상기 커프식 유방 패드와 상기 냉/온 유체 생성유로를 연결하여, 상기 커프식 유방 패드에서 배출된 상기 냉/온 유체를 다시 상기 냉/온 유체 생성유로로 배출하는 냉/온 유체 배출관과;
    상기 냉/온 유체를 펌핑하는 펌프와;
    사용자가 수유시에는 온 마사지 모드를 선택하고, 단유시에는 냉 마사지 모드를 선택하도록 구비된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에서 상기 온 마사지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냉/온 유체 생성유로에서 상기 온 유체를 생성하고, 상기 냉 마사지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냉 유체를 생성하도록 상기 전원 공급부에서 상기 열전 소자부로 인가되는 전압의 극성을 제어하고, 상기 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과;
    상기 냉/온 유체 공급관에 설치되어, 상기 커프식 유방 패드로 유입되는 냉/온 유체의 유량을 단속하는 유량제어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커프식 유방 패드가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팽창과 수축을 반복할 수 있도록 상기 유량제어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냉/온 유체의 공급유량을 제어하고,
    상기 커프식 유방 패드는, 좌측 유방을 덮도록 형성된 좌측 유방 패드와, 상기 좌측 유방 패드와 연결되고 우측 유방을 덮도록 형성된 우측 유방 패드와, 상기 좌,우측 유방 패드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유두가 노출되도록 형성된 유두 관통부와, 상기 좌,우측 유방 패드에서 상기 유두 관통부와 연통되게 형성된 절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냉/온 유체 공급관은 상기 좌측 유방 패드에 냉/온 유체를 공급하는 좌측 공급관과, 상기 우측 유방 패드에 냉/온 유체를 공급하는 우측 공급관을 포함하고,
    상기 냉/온 유체 배출관은, 상기 좌측 유방 패드에서 나온 냉/온 유체를 배출하는 좌측 배출관과, 상기 우측 유방 패드에서 나온 냉/온 유체를 배출하는 우측 배출관을 포함하고,
    상기 유동경로는, 상기 좌측 유방 패드에 형성되고 상기 냉/온 유체가 상기 좌측 유방의 중심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흐르도록 나선 형상으로 형성된 좌측 유동경로와, 상기 좌측 유동경로와 연통되지 않고 상기 우측 유방 패드에 형성되며 상기 냉/온 유체가 상기 우측 유방의 중심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흐르도록 나선 형상으로 형성된 우측 유동경로를 포함하는 마사지기.
  4. 삭제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프식 유방 패드는,
    상기 냉/온 유체 공급관이 연결되어, 상기 냉/온 유체 공급관으로부터 유입된 냉/온 유체를 상기 유동경로로 안내하는 유입부와,
    상기 유동경로를 통과한 냉/온 유체를 상기 냉/온 유체 배출관으로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마사지기.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프식 유방 패드는,
    사용자의 흉부와 어깨 중 적어도 하나에 매기 위한 끈이 결합되는 끈 결합부가 형성된 마사지기.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170104277A 2017-08-17 2017-08-17 마사지기 KR1019168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4277A KR101916817B1 (ko) 2017-08-17 2017-08-17 마사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4277A KR101916817B1 (ko) 2017-08-17 2017-08-17 마사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6817B1 true KR101916817B1 (ko) 2018-11-08

Family

ID=64329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4277A KR101916817B1 (ko) 2017-08-17 2017-08-17 마사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68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98248A (zh) * 2018-12-11 2019-03-22 邓琴 一种催乳辅助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1031B1 (ko) * 2002-12-06 2005-04-07 이명희 여성용 가슴 찜질팩
JP2016159120A (ja) 2015-03-05 2016-09-05 京セラメディカル株式会社 体温調節用パッドおよび体温調節装置
WO2017109081A1 (en) 2015-12-23 2017-06-29 Koninklijke Philips N.V. Device for treatment of a user's breast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1031B1 (ko) * 2002-12-06 2005-04-07 이명희 여성용 가슴 찜질팩
JP2016159120A (ja) 2015-03-05 2016-09-05 京セラメディカル株式会社 体温調節用パッドおよび体温調節装置
WO2017109081A1 (en) 2015-12-23 2017-06-29 Koninklijke Philips N.V. Device for treatment of a user's breast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98248A (zh) * 2018-12-11 2019-03-22 邓琴 一种催乳辅助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11104B2 (en) Contrast therapy system and method
US10478637B2 (en) System and method for limiting chemotherapy-induced alopecia
US10959877B2 (en) Device and method for reducing the body core temperature of a patient for hypothermia treatment by cooling at least two body parts of the patient
US10350108B1 (en) Heating/cooling therapy system
US4338944A (en) Therapeutic device
US20130245508A1 (en) Thermal compression therapy apparatus and system
JP2013517897A (ja) 熱を皮下多脂質細胞から相変化冷却剤を介して非侵襲的に除去するための家庭用アプリケータ及びそれと関連した装置、システム及び方法
JP2011087967A (ja) 哺乳動物の体温調節持続状態を操作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11622881B2 (en) Cooling cap assembly and cooling unit
US20130172966A1 (en) System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a person
KR101916817B1 (ko) 마사지기
US11266523B2 (en) Thermal contrast therapy device
US11910847B2 (en) Nursing brassieres
CA3099240A1 (en) Accelerated transition thermal contrast therapy device
JP6201649B2 (ja) エアー駆動式人体冷却システム
JP2015139493A (ja) 体温制御装置
EP2514394A1 (en) Temperature regulation system
CN211213469U (zh) 一种探头及采用该探头的治疗装置
KR20210001468U (ko) 산모용 젖가슴 마사지 장치
RU151537U1 (ru) Терапевтический прибор
US20230381006A1 (en) Temperature regulating pump system and attachment mechanisms thereof
CN209749878U (zh) 一种具有温度调节的工作服
KR20230102069A (ko) Ai 기반의 스마트 바이오 냉온 교차 찜질 슈트
ES1207912U (es) Dispositivo para vibrar y calentar mamas
CN117942215A (zh) 便携式恒温冷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