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6630B1 - Prefabricated factory structure - Google Patents

Prefabricated factory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6630B1
KR101916630B1 KR1020180060400A KR20180060400A KR101916630B1 KR 101916630 B1 KR101916630 B1 KR 101916630B1 KR 1020180060400 A KR1020180060400 A KR 1020180060400A KR 20180060400 A KR20180060400 A KR 20180060400A KR 101916630 B1 KR101916630 B1 KR 1019166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panel
opening
roof panel
magnetic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040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장장석
Original Assignee
장장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장석 filed Critical 장장석
Priority to KR10201800604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663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66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663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5/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industrial or agricultural purposes
    • E04H5/02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industrial purposes, e.g. for power-plants or facto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0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telescopic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0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telescopic
    • E04B1/34312Vertical telescopic structures
    • E04B2001/34394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factory structure, constructed by assembling a panel to a steel frame. The prefabricated factory structure comprises: a frame unit (100) coupled to vertical H-beams (110); an outer panel (200) assembled by being inserted between the vertical H-beams of the frame unit; and a roof panel (300) assembled to the frame unit in the upper portion of the outer panel.

Description

조립식 공장 구조물{Prefabricated factory structure}{Prefabricated factory structure}

본 발명은 철근이 적용된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철골조에 패널을 조립하여 건축되는 조립식 공장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ucture to which a reinforcing bar is applied, and more particularly to a prefabricated factory structure constructed by assembling a panel to a steel frame.

일반적으로 조립식 공장 구조물은 철재로 이루어진 프레임을 결합 구성하여 육면체 형태의 철골조를 세우고 상기 철골조의 외면에 패널을 조립하여 외벽과 지붕을 만들어 완성되는 것으로서, 제작이 간단하고 비용이 저렴하여 널리 적용되고 있다.Generally, the prefabricated factory structure is constructed by assembling a frame made of steel to form a steel frame having a hexahedral shape, assembling a panel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teel frame to form an outer wall and a roof, and is widely applied since it is simple in manufacturing and low in cost .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조립식 공장 구조물은 외벽을 구성하기 위하여 다수의 패널(20)을 구비해야 하므로 패널(20)의 운반과 보관이 번거롭고, 철골조(10)의 외면에 다수의 패널(20)을 일일이 볼트(30)를 이용하여 고정시켜야 하므로 하므로 조립시간이 증가하게 되고 작업성이 크게 떨어질 뿐만 아니라 공장의 외관이 미려하지 못한 문제가 발생된다.As shown in FIG. 1, the conventional prefabricated factory structure requires a plurality of panels 20 to constitute an outer wall, so that the transportation and storage of the panel 20 is troublesome, (20) is fixed by bolts (30), so that the assembling time is increased, the workability is greatly reduced, and the appearance of the factory is not good.

아울러, 종래의 조립식 공장 구조물은 외벽에 창문을 형성시키고자 할 경우, 창문이 장착될 위치의 패널(20) 중앙을 현장에서 절단하여 창문 설치용 개구부(40)를 형성시켜야 하는데 이러한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정밀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다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prefabricated factory structure, when the window is to be formed on the outer wall, the center of the panel 20 at the position where the window is to be mounted must be cut in the field to form the window opening 40, There is a problem that it can not be done.

또한, 종래의 조립식 공장 구조물은 외벽에 설치된 출입도어(50)만을 통해 물류의 반입과 반출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작업속도가 느리고 사용상의 큰 불편한 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공장 내부에 장비 위치 선정, 자재 및 완성된 제품의 보관장소 설정 및 물류의 이동경로와 같은 다양한 사항들이 오로지 상기 출입도어(50)를 최우선적으로 하여 고려될 수 밖에 없는 실정이므로 공장 내부의 공간활용 및 공정설계에 있어서 큰 제약이 뒤따른다는 문제를 가진다.In addition, since the conventional prefabricated factory structure carries out the carry-in and carry-out of the goods only through the access door 50 installed on the outer wall, the operation speed is slow and there is a great inconvenience in use. In addition, Various items such as the storage place setting of the product and the movement path of the logistics can only be considered with the access door 50 as the first priority, so that there is a great restriction on the space utilization and the process design in the factory I have a problem.

KRKR 10-140442010-1404420 B1B1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 및 제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외관이 미려하고 창문의 설치가 용이하며 물류의 반입과 반출이 신속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공장내부의 공간활용과 공정설계가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조립식 공장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disadvantages of the prior art.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an air conditioner, And to provide a prefabricated factory structure in which process designing is very easy.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조립식 공장 구조물은 수직에이치빔을 결합하여 이루어진 골조부와, 상기 골조부의 수직에이치빔 사이로 끼워져 조립되는 외벽패널과, 상기 외벽패널의 상부에 위치하는 골조부에 조립되는 지붕패널을 포함한다.In order to attain the above object, the prefabricated factory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rame part formed by combining vertical H-beams, an outer wall panel sandwiched and assembled between the vertical H beam of the frame part, and a frame assembly Lt; / RTI >

또한, 상기 외벽패널은 지면에 고정되는 하부몸체부와 상기 하부몸체부의 상부에 고정된 신축가능한 상부몸체부를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uter wall panel may include a lower body portion fixed to the ground and an upper and lower body portion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body portion.

이 경우, 상기 상부몸체부는 내측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중첩 연결된 단위패널들로 구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upper body part may be composed of unit panels which are coupled to each other so as to be slidable inward.

또한, 상기 단위패널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는 상기 창문조립용 개구부를 이루는 절개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t least one of the unit panels may be formed with a cut-away groove forming an opening for assembling the window.

한편, 상기 지붕패널에는 개폐가능한 보조출입구가 구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roof panel may be provided with an auxiliary opening / closing opening / closing part.

이 경우, 상기 보조출입구는 지붕패널에 형성된 개구부와, 상기 지붕패널에 설치되어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부와, 상기 도어부의 전방에 일정거리를 두고 상기 지붕패널에 고정된 전방자성체와, 상기 도어부의 후방에 일정거리를 두고 상기 지붕패널에 고정된 후방자성체와, 상기 도어부의 전단에 고정되어 도어부가 개방되는 경우 상기 후방자성체에 부착되어 도어부의 개방상태를 유지시키고 도어부가 폐쇄되는 경우 상기 전방자성체에 부착되어 도어부의 폐쇄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마그네트를 구비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auxiliary entrance includes an opening formed in the roof panel, a door portion provided on the roof panel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a front magnetic body fixed to the roof panel at a predetermined distance in front of the door portion, A rear magnetic body fixed to the roof panel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rear of the door, a rear magnetic body fixed to a front end of the door part to be attached to the rear magnetic body when the door is opened to maintain an open state of the door, And a magnet for attaching and holding the door portion in a closed state.

또한, 상기 도어부는 상기 개구부를 따라 돌출되게 결합된 방수턱과, 상기 방수턱의 상부로 전후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방수포를 구비할 수 있다.The door portion may include a waterproof protrusion protruded along the opening, and a waterproof foam which slides alo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waterproof protrusion and opens and closes the opening.

이 경우, 상기 개구부의 외측에는 양단이 지붕패널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방수포를 차례로 관통하는 가이드 레일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a guide rail i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opening to penetrate the waterproofing film sequentially in a state where both ends thereof are fixed to the roof panel.

한편, 상기 방수포의 양측단에는 지붕패널에 밀착되는 레이스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a lace part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roof panel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waterproof film.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본 발명은 외벽패널이 골조부의 수직에이치빔 사이로 끼워져 조립되므로 외벽패널과 골조부와의 볼트체결 작업이 요구되지 않아 작업속도 및 작업성이 현저하게 향상되고 외부에서 볼 때 다수의 볼트가 드러나지 않아 미관이 매우 미려해지는 효과가 있다.First, since the outer wall panel is assembled by being inserted between the vertical H beam of the frame part, the bolt fastening operation between the outer wall panel and the frame part is not required, so that the working speed and workability are remarkably improved and a large number of bolts are exposed There is an effect that the beauty aesthetic is very beautiful.

둘째, 본 발명은 상기 외벽패널이 하부몸체부와 상기 하부몸체부의 상부에 고정된 신축가능한 상부몸체부로 구성되므로 외벽패널의 설치가 매우 신속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지게 되며 외벽패널의 보관 및 운반 면적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Secondly, since the outer wall panel is composed of the lower body part and the upper and lower body parts which are stretchable and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lower body part, the outer wall panel can be installed very quickly and easily and the storage and transportation area of the outer wall panel can be minimized .

셋째, 본 발명은 외벽패널에 창문조립용 개구부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와 달리 창문이 장착될 위치의 패널의 중앙을 현장에서 절단하여 창문 설치용 개구부를 형성시키는 작업이 요구되지 않아 창문의 설치가 매우 용이하고 정밀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Thirdly, since an opening for assembling a window is provided on the outer wall panel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necessary to cut the center of the panel at the position where the window is to be mounted to form an opening for installing the window, There is an effect that it is easy and precise.

본 발명의 효과들은 상기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종래의 조립식 공장 구조물의 외관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공장 구조물의 외관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외벽패널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외벽패널의 외관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외벽패널의 설치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공장 구조물의 외관사시도;
도 7은 도 6의 Ⅶ-Ⅶ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도어부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도 6의 Ⅶ-Ⅶ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도어부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장 구조물을 이루는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의 이음부 요부를 나타낸 도면;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장 구조물에 있어서,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의 이음부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prefabricated factory structure;
FIG. 2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 prefabricated factory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ssembled state of the outer wall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n outer wall panel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installation process of an outer wall panel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 prefabricated factory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I-VII in FIG. 6,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oor is closed;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I-VII in FIG. 6,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oor is opened;
FIG. 9 is a view showing a joint portion between a horizontal frame and a vertical frame forming a factory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And
10 is a view illustrating an internal structure of a joint between a horizontal frame and a vertical frame in a factory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embodiment, the same designations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nd further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First,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공장 구조물의 외관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외벽패널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공장 구조물은 골조부(100)와 외벽패널(200)과 지붕패널(300)로 크게 구성된다.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ssembled state of an outer wall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 The structure is largely composed of the frame part 100, the outer wall panel 200, and the roof panel 300.

상기 골조부(100)는 전면과 후면이 각각 실외와 실내를 향하도록 지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세워져 고정된 철제의 수직에이치빔(110)들을 상호 결합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수직에이치빔(110) 상부를 각각 연결하는 수평에이치빔(150)이 별도로 구비된다.The frame unit 100 is constructed by vertically fixing the vertical H-beams 110 of steel with the front surface and the rear surface facing each other outdoors and indoors at regular intervals on the ground. Here, the horizontal H Beam 150 connecting the upper portion of the vertical H Beam 110 is separately provided.

그리고 상기 수직에이치빔(110) 사이로 외벽패널(200)이 끼워져 조립된다. 상기 외벽패널(200)은 양측부가 수직에이치빔(110)에 의해 지지되므로 고정볼트와 같은 별도의 고정수단 없이도 상기 골조부(100)와 견고한 결합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수직에이치빔(110) 사이로 외벽패널(200)이 끼워져 조립되면 외벽의 구축이 완료된다.And the outer wall panel 200 is sandwiched between the vertical HUB beams 110. Since the both side portions of the outer wall panel 200 are supported by the vertical H Beam 110, it is possible to stably maintain a firmly coupled state with the frame 100 without a separate fixing means such as a fixing bolt. When the outer wall panel 200 is inserted and assembled between the vertical HUB beams 110, the construction of the outer wall is completed.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공장 구조물은 외벽을 구축할 때 외벽패널(200)과 골조부(100)와의 볼트체결 작업이 배제되므로 작업속도 및 작업성이 현저하게 향상되고 외부에서 볼 때 다수의 볼트가 드러나지 않아 미관이 매우 미려하다.Since the assembled factory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excludes the bolt fastening operation between the outer wall panel 200 and the frame part 100 when the outer wall is constructed, the working speed and workability are remarkably improved, and a large number The bolt is not exposed and the beauty is very beautiful.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벽패널(200)은 하부몸체부(210)와 상기 하부몸체부(210)의 상부에 고정된 신축가능한 상부몸체부(220)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상부몸체부(220)는 내측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중첩 연결된 단위패널들(221,222,223)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4, the outer wall panel 200 may include a lower body portion 210 and an upper and lower body portion 220 which is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body portion 210. Referring to FIG.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body 220 includes unit panels 221, 222, and 223 that are slidably coupled to each other inwardly.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구성의 외벽패널(200)은 수직에이치빔(110) 사이로 외벽패널(200)을 끼운 다음 상부몸체부(220)의 최외곽 단위패널(221)을 상부로 이동시키면 내부에 중첩된 단위패널들(222,223)이 순차적으로 펼쳐지면서 신장되며, 모든 단위패널들(221,222,223)이 완전하게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최외곽 단위패널(221)이 하강하지 않도록 고정볼트를 이용하여 최외곽 단위패널(221)의 양측단을 수직에이치빔(110)에 단단히 고정시키면 설치가 완료된다.5, the outer wall panel 200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is formed by inserting the outer wall panel 200 between the vertical HUB beams 110 and then connecting the outermost unit panel 221 of the upper body part 220 to the upper The unit panels 222 and 223 are sequentially extended and extended while the unit panels 221 and 222 are fully extended and the fixing bolts are used to prevent the outermost unit panel 221 from falling down And the both ends of the outermost unit panel 221 are firmly fixed to the vertical H Beam 110, the installation is completed.

상기 최외곽 단위패널(221)의 상단에는 상부로 이동시키기 용이하도록 견인고리(221a)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trailing hook 221a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outermost unit panel 221 so as to be easily moved upward.

이와 같이, 상기 외벽패널(200)이 하부몸체부(210)와 상기 하부몸체부(210)의 상부에 고정된 신축가능한 상부몸체부(220)로 구성되면 외벽패널(200)의 설치가 매우 신속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지게 되며 외벽패널(200)의 보관 및 운반 면적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If the outer wall panel 200 is composed of the lower body portion 210 and the upper and lower body portions 220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body portion 210, And the storage and transportation area of the outer wall panel 200 can be minimized.

한편, 상기 외벽패널(200)에는 창문조립용 개구부(230)가 구비된다. 상기 창문조립용 개구부(230)는 상부몸체부(220)를 이루는 단위패널들(221,222,22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형성된 절개홈(231,232)으로 이루어진다.Meanwhile, the outer wall panel 200 is provided with an opening 230 for window assembly. The window assembly opening 230 is formed by cutting grooves 231 and 232 formed in at least one of the unit panels 221, 222 and 223 forming the upper body 220.

즉, 상기 절개홈은 일측의 단위패널의 중앙에 형성된 것일 수도 있고,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한 쌍의 단위패널들(221,222,223) 중 상부에 위치하는 단위패널(221)의 하부에 개방형성된 상부절개홈(231)과 하부에 위치하는 단위패널(222)의 상부에 개방형성된 하부절개홈(232)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That is, the cut-out groove may be formed at the center of one unit panel. As shown in the drawing, the cut-out groove may be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unit panel 221 located at the upper one of the adjacent pair of unit panels 221, 222, And a lower cutout groove 232 open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unit panel 222 located at the lower portion.

이와 같이, 외벽패널(200)에 창문조립용 개구부(230)가 미리 형성되면, 현장에서 창문조립용 개구부(410)를 형성시키기 위한 작업이 배제되므로 창문의 설치가 매우 신속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지게 된다.When the window assembly opening 230 is formed in advance in the outer wall panel 200, the operation for forming the window assembly opening 410 in the field is eliminated, so that the installation of the window can be performed very quickly and easily.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붕패널(300)에는 개폐 가능한 보조출입구(400)가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6, the roof panel 300 may be provided with an auxiliary access opening 400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상기 보조출입구(400)는 지붕패널(300)에 형성된 개구부(410)와 상기 지붕패널(300)에 설치되어 개구부(410)를 개폐하는 도어부(420)로 구성될 수 있다.The auxiliary entrance 400 may include an opening 410 formed in the roof panel 300 and a door 420 installed in the roof panel 300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410.

그리고 보조출입구(400)는 상기 도어부(420)의 전방에는 전방자성체(430)가 상기 지붕패널(300)에 고정되고, 상기 도어부(420)의 후방에는 후방자성체(440)가 상기 지붕패널(300)에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도어부(420)의 전단에는 도어부(420)가 개방될 때 상기 후방자성체(440)에 부착되어 도어부(420)의 개방상태를 유지시키고 도어부(420)가 폐쇄될 때 상기 전방자성체(430)에 부착되어 도어부(420)의 폐쇄상태를 유지시키는 마그네트(450)가 구비된다. In the auxiliary entrance 400, a front magnetic body 430 is fixed to the roof panel 300 in front of the door part 420 and a rear magnetic body 440 is fixed to the roof panel 300 at the rear of the door part 420. [ (Not shown). In this case, a front end of the door part 420 is attached to the rear magnetic body 440 when the door part 420 is opened to maintain the opened state of the door part 420, and when the door part 420 is closed And a magnet 450 attached to the front magnetic body 430 to maintain a closed state of the door part 420.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이 보조출입구(400)가 구성되면, 작업자는 자성체 소재의 장봉(A)을 이용하여 매우 용이하게 개폐시킬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FIGS. 7 and 8, when the auxiliary entrance 400 is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the worker can very easily open and close using the long rod A of the magnetic material.

즉, 작업자가 공장 내부에서 장봉(A)의 상단을 마그네트(450)에 접촉시켜 자력에 의해 장봉(A)의 단부와 마그네트(450)가 부착되도록 한 후에 도어부(420)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장봉(A)을 이동시키면 마그네트(450)가 장봉(A)을 따라 이동하게 되므로 매우 용이하게 도어부(420)를 개방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어부(420)가 개방되면 마그네트(450)는 도어부(420) 후방에 위치한 후방자성체(440)에 부착되므로 개방상태가 매우 안정적으로 유지된다.That is, when the worker contacts the magnet 450 with the upper end of the long rod A in the factory and the end of the long rod A and the magnet 450 are attached by the magnetic force, the door 420 is opened When the long rod A is moved, the magnet 450 moves along the long rod A, so that the door portion 420 can be opened very easily. When the door part 420 is opened, the magnet 450 is attached to the rear magnetic body 440 located behind the door part 420, so that the opened state is kept very stable.

그리고 도어부(420)가 개방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장봉(A)의 상단을 마그네트(450)에 접촉시킨 다음 도어부(420)가 폐쇄되는 방향으로 장봉(A)을 이동시키면 마그네트(450)가 장봉(A)을 따라 이동하게 되므로 매우 용이하게 도어부(420)를 폐쇄시킬 수 있게 된다. 도어부(420)가 폐쇄되면 마그네트(450)는 도어부(420) 전방에 위치한 전방자성체(430)에 부착되면서 폐쇄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된다.When the worker moves the long bar A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door portion 420 is closed after the operator touches the upper end of the long bar A with the magnet 450 in the state where the door portion 420 is opened, It is possible to close the door part 420 very easily because the door is moved along the long bar. When the door part 420 is closed, the magnet 450 is attached to the front magnetic body 430 located in front of the door part 420, and the closed state is stably maintained.

이 경우, 상기 장봉(A)의 단부에 마그네트(B)를 부착하면, 전방자성체(430)와 후방자성체(440) 보다 강한 자력이 장봉(A)에 작용하게 되므로 장봉(A)을 이용한 도어부(420)의 개폐동작을 보다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In this case, when the magnet B is attached to the end of the long rod A, a magnetic force stronger than the front magnetic body 430 and the rear magnetic body 440 acts on the long rod A, It is possible to smoothly perform the opening / closing operation of the door 420.

아울러, 상기 마그네트(450)의 저부에 도어부(420)가 개구부(410)를 개방하거나 폐쇄한 상태에서 항상 상기 개구부(410)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하부로 돌출되어 돌출단(455)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작업자는 상기 장봉(A)을 마그네트(450)에 매우 용이하게 접촉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door portion 420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magnet 450 with the protruding end 455 protruding downward so as to always be positioned inside the opening portion 410 when the opening portion 410 is opened or closed . In this case, the operator can very easily contact the long rod A with the magnet 450.

한편, 상기 도어부(420)는 지붕패널(300)을 따라 흐르는 우수가 개구부(410)를 통해 실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개구부(410)를 따라 돌출되게 결합되어 지붕패널(300)을 타고 흐르는 우수가 개구부(410)로 유입되는 것을 막아주는 방수턱(421)과, 상기 방수턱(421)의 상부로 전후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상기 개구부(410)를 개폐하는 방수포(422)로 구성될 수 있다.The door part 420 is protruded along the opening part 410 so as to prevent the rainwater flowing along the roof panel 300 from flowing into the room through the opening part 410, And a waterproofing paddle 422 that opens and closes the opening 410 while sliding alo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to the upper portion of the waterproofing jaw 421. [ have.

상기 방수포(422)는 방수포(422)를 타고 흐르는 우수가 개구부(410)로 유입되지 않도록 방수턱(421)까지 커버할 수 있도록 여유있는 크기로 제작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이 경우, 상기 마그네트(450)는 방수포(422)의 전단에 부착된다.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waterproofing film 422 should be formed to have a size enough to cover the waterproofing jaw 421 so that the rainwater flowing through the waterproofing film 422 does not flow into the opening 410. In this case, the magnet 450 is attached to the front end of the waterproof film 422.

아울러, 상기 개구부(410)의 외측에는 방수포(422)가 개폐방향으로 보다 원활하게 접철되도록 전후방향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46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460)은 양단이 지붕패널(300)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방수포(422)를 차례로 관통하도록 설치된다.In addition, a pair of guide rails 460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opening 410 so as to be smoothly folded in the opening / closing direction. The guide rail 460 is installed so as to pass through the waterproof film 422 in a state where both ends of the guide rail 460 are fixed to the roof panel 300.

따라서, 도어부(420)를 개방시키면 상기 방수포(422)가 가이드레일(46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매우 원활하게 접혀지게 되며, 도어부(420)를 폐쇄시키면 상기 방수포(422)가 가이드레일(46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매우 원활하게 펼쳐지게 된다.Therefore, when the door portion 420 is opened, the waterproof film 422 is folded very smoothly while sliding along the guide rail 460. When the door portion 420 is closed, the waterproof film 422 is guided by the guide rail 460, and smoothly unfolds.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방수포(422)의 양측단에는 유연재질의 레이스부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레이스부는 방수포(422)를 타고 흐르는 우수가 개구부(410)의 유입되지 않고 지붕패널(300)로 자연스럽게 흘러내리도록 지붕패널(300)에 여유있게 접촉될 수 있는 충분한 길이로 형성되어야 한다.Although not shown, a flexible lace part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waterproof film 422. The race portion should be formed to have a sufficient length to allow the rainwater flowing through the tarpaulin 422 to smoothly flow into the roof panel 300 without flowing into the opening portion 410.

이와 같이, 지붕패널(300)에 보조출입구(400)가 구비되면 주출입구(50)와 함께 보조출입구(400)를 통해서도 물류의 반입과 반출이 가능해지므로 물류의 반입과 반출이 신속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것은 물론 공장내부의 공간활용과 공정설계 또한 매우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auxiliary door 400 is provided in the roof panel 300, it is possible to carry in and out the goods through the auxiliary door 400 together with the main door 50, so that the carrying and unloading of the goods can be carried out quickly and easily Of course, space utilization and process design inside the plant can also be performed very easily.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장 구조물을 이루는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의 이음부 요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장 구조물에 있어서,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의 이음부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FIG. 9 is a view showing a joint portion between a horizontal frame and a vertical frame forming a factory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factory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a joint of a vertical frame.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공장 구조물은 수평프레임(500)과 수직프레임(600)이 용접에 의하여 공장 구조물의 기본 골격을 이루도록 결합된 구조를 이룰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평프레임(500)은 H빔 형태로 형성되며, 제1수평플랜지(510)와, 상기 제1수평플랜지(510)와 이격된 제2수평플랜지(520)와, 상기 제1수평플랜지(510) 및 제2수평플랜지(520) 사이를 연결하는 수평웹(530)을 포함하는 H빔 형태로 형성된다.9 and 10, the prefabricated factory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horizontal frame 500 and the vertical frame 600 are combined to form a basic structure of a factory structure by welding, In this embodiment, the horizontal frame 500 is formed in the form of an H beam and includes a first horizontal flange 510, a second horizontal flange 520 spaced apart from the first horizontal flange 510, And a horizontal web 530 connecting between the horizontal flange 510 and the second horizontal flange 520. [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수평프레임(500)은 길이 방향을 따라서 통과공(582)이 형성된 돌출부(580)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580)는 상기 제1수평플랜지(510) 중앙부에서 상부로 돌출되고, 상기 제1수평플랜지(5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돌출부(580)의 횡단면은 반원 형태를 가지며, 그 내부에는 전력 케이블 등이 내설될 수 있는 통과공(582)이 형성된다. 상기 통과공(582)를 따라서는 케이블 등이 설치될 수 있다.Meanwhile, the horizontal frame 5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protrusion 580 formed with a through hole 582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The protrusion 580 protrudes upward from a central portion of the first horizontal flange 510 and is elongat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horizontal flange 500. In this embodiment, the cross-section of the protrusion 580 has a semicircular shape, and a through hole 582 through which a power cable or the like can be inserted is formed therein. A cable or the like may be provided along the through hole 582.

또한, 상기 돌출부(580)는, 소정 이격된 간격마다 상기 통과공(582)에 수직방향으로 연결되어 외부와 연통되는 측부관통홀(584)을 포함할 수 있다.The protrusions 580 may include side through holes 584 that are vertically connected to the through holes 582 at predetermined intervals to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직프레임(600)은 시공 면적 내에 서로 이격되어 기립된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수평프레임(500) 측으로 면을 형성하는 제1수직플랜지(610)와, 상기 제1수직플랜지(610)와 이격된 제2수직플랜지(620)와, 상기 제1수직플랜지(610) 및 제2수직플랜지(620) 사이를 연결하는 수직웹(630)을 포함하는 H빔 형태로 형성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vertical frames 600 are installed standing apart from each other within a construction area and include a first vertical flange 610 forming a surface toward the horizontal frame 500, Beam form including a second vertical flange 620 spaced apart from the flange 610 and a vertical web 630 connecting between the first vertical flange 610 and the second vertical flange 620 .

그리고 상기 수평프레임(500)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제1수직플랜지(510)와의 면 접촉을 위한 연결브래킷(540)이 구비될 수 있다.At one end of the horizontal frame 500, a connection bracket 540 for surface contact with the first vertical flange 510 may be provided.

즉 상기 수평프레임(500)과 상기 수직프레임(600)은 상기 제1수직플랜지(610)와 상기 연결브래킷(540)을 서로 용접함으로써 서로 안정적으로 이음부를 형성할 수 있다.That is, the horizontal frame 500 and the vertical frame 600 can form a stable joint with each other by welding the first vertical flange 610 and the connection bracket 540 to each other.

이때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수직플랜지(6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홈 형태의 가이드홈(616)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브래킷(540)에는 상기 가이드홈(616), 그리고 상기 수평프레임(500)의 상기 통과공(582)과 각각 연통되는 연통홀(542)이 형성된다.6, the first vertical flange 610 is formed with an elongated guide groove 616, which is elong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connection bracket 540 is provided with the guide groove 616, and a communication hole 542 communicating with the through hole 582 of the horizontal frame 500, respectively.

그리고 본 실시예는 상기와 같이 서로 연통된 상기 가이드홈(616), 상기 연통홀(542) 및 상기 통과공(582)에 걸쳐 삽입되는 내구성 진단모듈(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durability diagnostic module 50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616, the communication hole 542, and the through hole 582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as described above.

상기 내구성 진단모듈(50)은 상대적으로 강도가 약한 금속 재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진단액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내부에 형성된 외피부(52)를 포함한다.The durability diagnostic module 50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having a relatively low strength and includes an outer skin 52 having a receiving space in which the diagnostic liquid is received.

이에 따라 지진, 진동 등에 의해 상기 수직프레임(200)과 상기 수평프레임(100) 사이에 어긋남이 발생할 경우, 상기 내구성 진단모듈(50)의 외피부(52)가 파괴되며 내부에 수용되며 소정 색상을 가지는 진단액이 흘러나옴에 따라 외부에서 상기 진단액을 육안으로 확인하도록 하여 이음부에 손상이 발생하였음을 신속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a deviation occurs between the vertical frame 200 and the horizontal frame 100 due to an earthquake, vibration, or the like, the outer skin 52 of the durability diagnostic module 50 is destroyed, The diagnosis solution can be visually confirmed from the outside, so that it is possible to quickly recognize that the damage has occurred in the joint portion.

특히 상기 내구성 진단모듈(50)은 주입공(53)을 통해 상기 수용공간 내에 진단액을 주입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주입공(53)은 이후 납땜 등과 같은 후속 공정을 통해 폐쇄시킬 수 있다.Particularly, the durability diagnostic module 50 allows the diagnostic fluid to be inject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through the injection hole 53, and the injection hole 53 can be closed through a subsequent process such as soldering or the like.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홈(616)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홈 형태를 가지며, 특히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홈(616)은 상기 연결브래킷(540)의 하단보다 더 하측으로 연장된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내구성 진단모듈(50)로부터 진단액이 흘러나오게 될 경우, 상기 진단액은 상기 가이드홈(216)을 따라 하부로 흘러내리게 되며, 상기 연결브래킷(140)보다 하측으로 연장된 상기 가이드홈(216)의 하단부를 통해 외측으로 유출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guide groove 616 has an elongated shape elong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guide groove 616 has a length longer than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on bracket 540 And the diagnostic liquid flows downward along the guide groove 216 when the diagnosis liquid flows out from the durability diagnostic module 50. The diagnostic liquid flows downward along the guide groove 216, And may flow out through the lower end of the groove 216.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에는 상기 진단액의 유출을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하게 되며, 현재 철골 하우징의 이음부에 결함이 발생하였음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in such a case, the outflow of the diagnostic liquid can be visually confirmed from the outside, and it is possible to quickly and easily judge that a defect has occurred in the joint of the steel frame housing.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s described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골조부 110...수직에이치빔
200...외벽패널 210...하부몸체부
220...상부몸체부 221,222,223...단위패널들
230...창문조립용 개구부 231,232...절개홈
300...지붕패널
100 ... frame part 110 ... vertical H beam
200 ... outer wall panel 210 ... lower body portion
220 ... upper body portions 221, 222, 223 ... unit panels
230 ... window assembly opening 231,232 ... incision groove
300 ... roof panel

Claims (4)

수직에이치빔을 결합하여 이루어진 골조부와, 상기 골조부의 수직에이치빔 사이로 끼워져 조립되며 하부몸체부와 상기 하부몸체부의 상부에 고정되며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중첩 연결된 단위패널들을 통해 신축가능하도록 구성된 상부몸체부를 구비한 외벽패널과, 상기 외벽패널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골조부에 조립되는 지붕패널을 구비하며;
상기 외벽패널에는 창문조립용 개구부가 구비되며;
상기 창문조립용 개구부는 상기 상부몸체부를 이루는 단위패널들 중 인접한 한 쌍의 단위패널들 중 상부에 위치하는 단위패널의 하부에 개방형성된 상부절개홈과 하부에 위치하는 단위패널의 상부에 개방형성된 하부절개홈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붕패널에는 개폐가능한 보조출입구가 구비되고;
상기 보조출입구는 지붕패널에 형성된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지붕패널에 설치된 도어부와, 상기 도어부의 전방에 일정거리를 두고 상기 지붕패널에 고정된 전방자성체와, 상기 도어부의 후방에 일정거리를 두고 상기 지붕패널에 고정된 후방자성체와, 상기 도어부의 전단에 고정되어 상기 도어부가 개방되는 경우 상기 후방자성체에 부착되어 도어부의 개방상태를 유지시키고 상기 도어부가 폐쇄되는 경우 상기 전방자성체에 부착되어 상기 도어부의 폐쇄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마그네트를 구비하며;
상기 마그네트는 상기 도어부가 상기 개구부를 개방하거나 폐쇄한 상태에서 항상 상기 개구부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하부로 돌출된 돌출단을 가지며;
상기 도어부는 상기 돌출단에 부착되도록 단부에 마그네트가 부착된 장봉을 통해 개폐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한 조립식 공장 구조물.
An upper body part which is assembled to be sandwiched between the vertical H beam of the frame part and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lower body part and extendable and contractible through the unit panels which are slidab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 roof panel which is assembled to the frame part located at the upper part of the outer wall panel;
Wherein the outer wall panel is provided with an opening for assembling a window;
The window assembly opening may include an upper cutout groove formed in an upper portion of a pair of adjacent unit panels of the upper body unit, the upper cutout groove being open at a lower portion of the unit panel, An incision groove;
Wherein the roof panel is provided with an openable and closable auxiliary opening;
The auxiliary entrance includes a door formed in the roof panel, a door disposed in the roof panel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a front magnetic body fixed to the roof panel at a predetermined distance in front of the door, A rear magnetic body fixed to the roof panel with a predetermined distance therebetween; a rear magnetic body fixed to a front end of the door part so as to be attached to the rear magnetic body when the door is opened to maintain an open state of the door part, And a magnet for maintaining the closed state of the door part;
Wherein the magnet has a protruding end protruding downward so that the door is always positioned inside the opening when the door is opened or closed;
Wherein the door portion is opened and closed through a long bar having a magnet attached to the end portion so as to be attached to the protruding end.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패널 중, 최외곽 단위패널의 상단에는 견인고리가 형성된 조립식 공장 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refabricated factory structure having a pulling ring at the top of the outermost unit panel of the unit panels.
KR1020180060400A 2018-05-28 2018-05-28 Prefabricated factory structure KR10191663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0400A KR101916630B1 (en) 2018-05-28 2018-05-28 Prefabricated factory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0400A KR101916630B1 (en) 2018-05-28 2018-05-28 Prefabricated factory struct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6630B1 true KR101916630B1 (en) 2018-11-08

Family

ID=64329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0400A KR101916630B1 (en) 2018-05-28 2018-05-28 Prefabricated factory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6630B1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53787A (en) * 2019-08-27 2019-11-15 南雄市诚昌钢构有限公司 A kind of across door steel frame construction of combined and spliced formula
CN110469161A (en) * 2019-08-14 2019-11-19 安徽巢湖路桥建设集团有限公司 For the prefabricated factory of bridge construction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2089226B1 (en) 2019-10-24 2020-03-16 부길종합건설(주) prefabricated factory structure
KR102105278B1 (en) 2019-12-12 2020-04-27 안순용 prefabricated factory structure
CN112900633A (en) * 2021-01-21 2021-06-04 台州学院 Fabricated building structure
CN114109097A (en) * 2021-11-22 2022-03-01 安徽富煌钢构股份有限公司 Environment-friendly energy-saving assembly type steel structure factory building structur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69161A (en) * 2019-08-14 2019-11-19 安徽巢湖路桥建设集团有限公司 For the prefabricated factory of bridge construction and its construction method
CN110453787A (en) * 2019-08-27 2019-11-15 南雄市诚昌钢构有限公司 A kind of across door steel frame construction of combined and spliced formula
KR102089226B1 (en) 2019-10-24 2020-03-16 부길종합건설(주) prefabricated factory structure
KR102105278B1 (en) 2019-12-12 2020-04-27 안순용 prefabricated factory structure
CN112900633A (en) * 2021-01-21 2021-06-04 台州学院 Fabricated building structure
CN114109097A (en) * 2021-11-22 2022-03-01 安徽富煌钢构股份有限公司 Environment-friendly energy-saving assembly type steel structure factory building struc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6630B1 (en) Prefabricated factory structure
US20110050052A1 (en) Telecommunications Enclosures
USRE34053E (en) Mine door system
US9681560B2 (en) Cabinet and cabinet group including the same
US20190176591A1 (en) Door for vehicle
CN101298823B (en) Door assembly and van-type vehicle and box body with the door assembly structure
KR20190071846A (en) Door for vehicle
KR101591862B1 (en) Connecting structure of curtain wall and swing door
US11230172B2 (en) Roof assembly for a vehicle and a method of assembling
KR20190068656A (en) Door for vehicle
US4838607A (en) Arrangements for forming roof structures of vehicle bodies
KR100720957B1 (en) Structure of window frame having security ability of building
KR101769180B1 (en) Structure reinforcement assembly for fittings
JPH0224222A (en) Door cartridge
WO2007091812A2 (en) Cover structure for construction equipment cas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494426B1 (en) Weight reduced door frame for cargo truck
AU2016262747A1 (en) Magnetic Insect Screen Assembly for Recreational and Commercial Vehicles
EP3564461A2 (en) Roof window with improved covering arrangement and method of providing a roof window with improved covering arrangement
KR20210138430A (en) Gutter and windowsill unit
JPS63222923A (en) Guide rail structure for sun roof
KR100499801B1 (en) Collapsible container house
KR200162672Y1 (en) Upper hinge fixing device of a refrigerator door
JP7463167B2 (en) Switchgear frame material
JP6996691B2 (en) Seal structure between joinery frame and outer wall material
CN209993892U (en) Outer cage power cabinet of integral typ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