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6420B1 - 유아 체력 측정방법 - Google Patents

유아 체력 측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6420B1
KR101916420B1 KR1020170072773A KR20170072773A KR101916420B1 KR 101916420 B1 KR101916420 B1 KR 101916420B1 KR 1020170072773 A KR1020170072773 A KR 1020170072773A KR 20170072773 A KR20170072773 A KR 20170072773A KR 101916420 B1 KR101916420 B1 KR 1019164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ant
measurement
measuring
hole
bal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2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리아인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리아인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리아인성
Priority to KR10201700727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64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64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64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03/00Evaluating a particular growth phase or type of persons or animals
    • A61B2503/04Babies, e.g. for SIDS dete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발명은 유아 체력 측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유아들의 평형성을 측정하기 위해, 평판모양의 측정대(100)에 한 발을 들고 서 있는 시간을 시계로 측정하는 것으로,
본발명은 성장 급등기의 유아들의 성장발달을 위한 모니터링으로 주기적인 테스트를 통해 유아의 형태발육상태를 체크하고 평형성 등 체력요소를 세부적으로 분석하여 그에 따른 즉각적인 피드백을 제공하며, 유아들이 체력과 체격발달의 밸런스를 유지하는데 필요한 개인형 맞춤형 프로그램을 구성할 수도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유아 체력 측정방법{Infant health measurement method}
본발명은 유아 체력측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평형성, 전신지구력, 근력(악력), 순발력, 유연성(좌전굴), 민첩성 등을 측정하되 특히 평형성을 측정하는 유아 체력 측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요즘 우리나라 유아들은 체격은 좋아지는데 비해 체력은 매우 떨어져 있다. 체력은 활기찬 일상생활을 영위하는데 필요한 종합적인 능력으로 유아기의 체력발달은 신체성장의 원동력이 된다.
체력은 크게 건강관련체력과 기능관련체력으로 분류되는데 건강관련체력은 건강한 삶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체력이고 기능관련체력은 운동기능 즉 운동신경 발달에 도움을 주는 체력요소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만3세~만5세 시기는 두뇌가 현저히 발달되는 시기로 지능발달의 결정적인 시기이며 신체 활동은 지능발달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다. 신체 발달은 지적인 능력을 빠르게 향상시키며 신체 발달이 느려지면 지적 발달도 느려진다.
상기 체력은 주기적으로 측정되어야 관리가 되므로 이를 위한 측정장치로서 종래기술은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959756호에는 건강 체력 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스텝 테스트 시스템에 있어서, 스텝 테스트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입력 스위치와 시스템의 상태 및 운동 능력 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무선 통신 장치를 가지는 제어판넬과, 스텝 테스트를 하기 위한 높이가 조절 가능한 상부 발판과, 발판의 높이를 자동 조절하기 위한 모터 및 모터 구동부와, 사용자가 발판에 발을 올려 놓았는지를 측정하기 위한 터치 센서와, 상기 상부 구조물들을 지지하여 주기 위한 하부 고정 발판과, 현재의 발판 높이를 보여주기 위한 높이 조절 눈금자를 가지며 상부구조물과 하부 고정 발판을 연결해주는 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스텝테스트 장치와; 상기의 스텝테스트 장치와 연동하여 사용자의 심박수값을 측정하는 심박수 측정부와, 측정된 심박수값을 무선 통신 방식으로 스텝 테스트 장치에 전송시켜주는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무선 심박측정 장치와; 상기의 스텝 테스트 장치의 측정값들을 무선으로 수신하여 저장, 분석, 표시하여 주는 컴퓨터, 노트북, PDA와 같은 단말기 중 하나로 구성되는 수신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텝 테스트 시스템이 공개되어 있다.
또한,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033198호에는 학생 건강 체력 평가 스템용 일체형 측정 장치에 있어서, 캘리브레이션 도형이 표시된 스크린; 상기 스크린을 향하여 상하 방향으로 정렬되며, 상기 스크린 전면에 위치한 사용자를 촬영하는 한 대 이상의 카메라; 상호 대칭적으로 배열되는 적어도 두 개의 로드 셀을 포함하여 사용자 체중 및 로드 셀별 체중의 분포를 측정하기 위한 밸런스미터(balancemeter); 및 상기 캘리브레이션 도형으로부터 가로 및 세로 기준선을 결정하고, 카메라가 여러 대일 경우 상기 카메라들로부터 수신된 영상을 스티치(stitch)하며, 스티치된 영상을 상기 가로 및 세로 기준선들을 참조하여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장 및 자세를 결정하는 중앙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 제어부는, 상기 밸런스미터로부터 출력된 체중의 분포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압력 중심(center of pressure, COP)을 연산하고, 상기 압력 중심(COP)을 더욱 참조하여 상기 자세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생 건강 체력 평가 시스템용 일체형 측정 장치가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들은 측정방법이 복잡하고 안전사고의 위험이 높은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발명은 성장 급등기의 유아기능관련체력이 골고루 발달하도록 즉각적인 피드백을 제공하여 우리 아이들이 체력과 체격발달의 밸런스를 유지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발명은 성장 급등기의 유아들의 성장발달을 위한 모니터링으로 주기적인 테스트를 통해 유아의 형태발육상태를 체크하고 평형성 등 체력요소를 세부적으로 분석하여 그에 따른 즉각적인 피드백을 제공하며, 유아들이 체력과 체격발달의 밸런스를 유지하는데 필요한 개인형 맞춤형 프로그램을 구성할 수도 있는 유아 체력 측정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발명은 유아 체력 측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유아들의 평형성을 측정하기 위해, 평판모양의 측정대(100)에 한 발을 들고 서 있는 시간을 시계로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발명은 성장 급등기의 유아들의 성장발달을 위한 모니터링으로 주기적인 테스트를 통해 유아의 형태발육상태를 체크하고 평형성 등 체력요소를 세부적으로 분석하여 그에 따른 즉각적인 피드백을 제공하며, 유아들이 체력과 체격발달의 밸런스를 유지하는데 필요한 개인형 맞춤형 프로그램을 구성할 수도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유아 체력 측정방법에 사용되는 측정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유아 체력 측정방법에 사용되는 측정대의 평면사진
도 3은 본 발명 측정대와 보조대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유아 체력 측정방법에 사용되는 난이도가 조절된 측정대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4의 단면도
본발명은 유아 체력 측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유아들의 평형성을 측정하기 위해, 평판모양의 측정대(100)에 한 발을 들고 서 있는 시간을 시계로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측정대(100) 상면에는 발모양이 인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측정대(100) 옆에는 보조대가(200) 설치되되, 보조대(200) 상면에는 무게감지센서가 설치되어 있어서, 유아가 먼저 왼 발을 보조대(200) 상면에 두고 오른 발은 측정대(100) 위에 둔채, 왼발을 드는 순간, 시계가 측정을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유아가 왼발을 들고 있다가 다시 보조대(200)에 닿거나 짚게 되면 무게감지센서가 인지하여 측정대(100)의 평형성 측정을 위한 동작이 멈추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조대(200)에는 수직봉(210)이 부착되고 상기 수직봉(210) 끝단에는 수평봉(220)이 결합되고 상기 수평봉(220) 끝단에는 줄(230)이 연결되고 줄(230)에는 보조끈(240)이 연결되어 상기 보조끈(240)이 유아의 몸을 묶게 되어 유아가 측정중 넘어지거나 할 시 안전띠 역할을 하여 넘어지지 않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측정대(100)는 상자모양으로서 상판은 측정판(110)이 되며, 상기 측정판(110)의 전후방향으로 중심축(120)이 관통되며, 상기 중심축(120)양단은 측정대의 전후방가로대에 결합되어 있어서, 상기 중심축(120)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측정판(110)이 좌우로 회동하게 되어 아동의 평형성 측정의 난이도를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후방가로대의 벽면에 구멍(150)이 형성되되, 상기 구멍은 바깥은 사각구멍(151)이며 내부에는 원형구멍(152)이 형성되되 사각구멍이 크게 형성되어 상기 구멍(150)에 원형의 중심축(120)의 양단이 통과하여 결합되는 것이며, 상기 중심축(120)은 몸체는 단면이 원형(122)이며 양단이 단면이 사각형(121)이되, 양단 사각형 단면의 크기가 원형단면의 크기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후방가로대의 벽면에 형성된 사각구멍에 사각구멍(141)을 가진 사각기둥형상의 고정구(140)를 각각 삽입한후, 상기 사각구멍(141)에 중심축(120)의 사각형 양단이 통과하여 결합되는 것으로 측정판이 수평상태에서 좌우로 움직이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조대(200) 내부에는 모터가 설치되고, 상기 측정판은 하부에 수직축이 연결되어 상기 모터의 축이 상기 수직축과 기어결합되어서 모터가 회전하며 수직축이 같이 회전하며 측정판이 회전되는 것으로 유아의 평형성 측정의 난이도를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유아 체력 측정방법에 사용되는 측정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유아 체력 측정방법에 사용되는 측정대의 평면사진, 도 3은 본 발명 측정대와 보조대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유아 체력 측정방법에 사용되는 난이도가 조절된 측정대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4의 단면도이다.
본발명에서 근력은 근육이 수축 할 때 발생하는 힘으로 근육의 기본적인 능력을 말한다.
꾸준한 근력운동은 신장 발육에 도움을 주고 운동신경 발달과 두뇌 발달에 영향을 미친다.
전신운동을 장시간 계속 할 수 있는 능력으로 건강한 삶을 영위하는데 필수적인 체력요소이다. 지구력 운동은 유아의 인내심 발달에 도움을 준다.
평형성은 동적 상태에서 균형 유지능력으로 신체의 균형 안정의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평형성은 바른 자세유지와 신체의 안정감 유지에 도움을 준다.
평형성은 동적 상태에서 균형 유지능력으로 신체의 균형 안정의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평형성은 바른 자세유지와 신체의 안정감 유지에 도움을 준다.
유연성은 정적 동적 상태에서 관절의 가동범위와 근육이나 관절 주변 조직 인대 힘줄등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 정확하고 부드러운 움직임을 일으키는 능력을 말한다.
유연성은 상해예방에 도움을 준다. 유아는 성인에 비해 유연하여 과신전에 의한 상해의 가능성도 높으므로 과도한 유연성을 독려해서는 안된다.
순발력이란 최단 시간에 최대의 힘을 낼 수 있는 능력으로 운동 수행에 관여하는 매우 중요한 체력요소이다.
키와 몸무게를 근거로 하는 형태발육검사와 기초체력요소 중 건강 체력과 기술체력요소를 검사하여 전국 시, 군, 구 단위의 도입, 월령대의 어린이와 비교 분석하여 운동발달 건강지수를 제공한다.
"건강관련체력"은 일상생활에서 적극적으로 활동할 수 있는 신체적 능력으로 건강한 일상생활을 유지하기 위해 필수적인 체력요소이다.
"기술관련체력"은 운동기술을 발휘하는데 필요한 민첩성 평형성 순발력 등을 말하며 이는 운동신경과 관련된 체력요소이다.
"형태발육지수"는 연령과 성별, 키와 몸무게를 고려하여 국제적 학술지에서 검증된 회기다항식를 적용하여 도출되는 점수로 아이들의 비만 정도를 알 수 있는 수치이다.
유아 체력테스트는 성장 급등기의 유아들의 성장발달을 위한 모니터링으로 주기적인 테스트를 통해 유아의 형태발육상태를 체크하고 체력요소를 세부적으로 분석하여 그에 따른 즉각적인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평가를 통해 우리 아이들이 체력과 체격발달의 밸런스를 유지하는데 필요한 개인형 맞춤형프로그램을 구성하는 것이다.
체력테스트는 평형성, 전신지구력, 근력(악력계), 순발력, 유연성(좌전굴) 민첩성을 포함한다.
특히 본발명에서 평형성을 측정하는 방법에 대해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발명은 유아들의 평형성을 측정하기 위해, 평판모양의 측정대(100)에 한 발을 들고 서 있는 시간을 시계로 측정하는 것을 특성으로 하는 유아 체력테스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측정대(100)는 발을 올려놓는 세로대와 상기 세로대의 전후방에 일체로 결합되는 전방가로대와 후방가로대로 이루어지며 상기 세로대의 상면에는 발모양이 인쇄되어 있어 발을 올려놓는데 정확성을 기한다.
한편, 상기 측정대(100) 옆에는 보조대가(200) 설치되되, 보조대(200) 상면에는 무게감지센서가 설치되어 있어서, 유아가 먼저 왼 발을 보조대(200) 상면에 두고 오른 발은 측정대(100) 위에 둔채, 왼발을 드는 순간, 시계가 측정을 시작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유아가 왼발을 들고 있다가 다시 보조대(200)에 닿거나 짚게 되면 무게감지센서가 인지하여 제어부에 신호를 전달하면 제어부는 측정대(100)의 평형성 측정을 위한 모터 등의 동작을 멈추게 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한다.
한편 기계적 안전장치로서 상기 보조대(200)에는 수직봉(210)이 부착되고 상기 수직봉(210) 끝단에는 수평봉(220)이 결합되고 상기 수평봉(220) 끝단에는 줄(230)이 연결되고 줄(230)에는 보조끈(240)이 연결되어 상기 보조끈(240)이 유아의 몸을 묶게 되어 유아가 측정중 넘어지거나 할 시 안전띠 역할을 하여 넘어지지 않게 한다.
그리고 다른 실시례로서 상기 측정대(100)는 상자모양으로서 상판은 측정판(110)이 되며, 상기 측정판(110)의 전후방향으로 중심축(120)이 관통되며, 상기 중심축(120)양단은 측정대의 전후방가로대가로대 구멍에 결합되어 있어서, 상기 중심축(120)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측정판(110)이 좌우로 회동하게 되어 아동의 평형성 측정의 난이도를 높이게 된다.
그리고 본발명은 상기 전후방가로대의 벽면에 구멍(150)이 형성되되, 상기 구멍은 바깥은 사각구멍(151)이며 내부에는 원형구멍(152)이 형성되되 사각구멍이 크게 형성되어 상기 구멍(150)에 원형의 중심축(120)의 양단이 통과하여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중심축(120)은 몸체는 단면이 원형(122)이며 양단이 단면이 사각형(121)이되, 양단 사각형 단면의 크기가 원형단면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한다.
전후방가로대의 벽면에 형성된 사각구멍에 사각구멍(141)을 가진 사각기둥형상의 고정구(140)를 각각 삽입한후, 상기 사각구멍(141)에 중심축(120)의 사각형 양단이 통과하여 결합되는 것으로 측정판이 수평상태에서 좌우로 움직이지 않게 되어 유아가 중심축을 중심으로 좌우양발을 각각 올려놓고 평형성 테스트를 하며 상판이 기울어지지 않게 균형을 잡는 시간을 측정한다.
한편, 다른 실시례로서 상기 보조대(200) 내부에는 모터가 설치되고, 상기 측정판은 하부에 수직축이 연결되어 상기 모터의 축이 상기 수직축과 기어결합되어서 모터가 회전하며 수직축이 같이 회전하며 측정판이 회전되는 것으로 유아의 평형성 측정의 난이도를 높이는 것이다.
따라서 본발명은 성장 급등기의 유아들의 성장발달을 위한 모니터링으로 주기적인 테스트를 통해 유아의 형태발육상태를 체크하고 평형성 등 체력요소를 세부적으로 분석하여 그에 따른 즉각적인 피드백을 제공하며, 유아들이 체력과 체격발달의 밸런스를 유지하는데 필요한 개인형 맞춤형 프로그램을 구성할 수도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100 : 측정대 101 : 전방가로대
102 : 후방가로대 103 : 세로대
110 : 측정판 120 : 중심축
121 : 사각형 122 : 원형
140 : 고정구 150 : 구멍
141 , 151 : 사각구멍
152 : 원형구멍

Claims (3)

  1. 유아들의 평형성을 측정하기 위해, 평판모양의 측정대(100)에 한 발을 들고 서 있는 시간을 시계로 측정하는 것이며,
    상기 측정대(100) 상면에는 발모양이 인쇄되어 있는 것이며,
    상기 측정대(100)는 발을 올려놓는 세로대(103)와, 상기 세로대(103)의 전후방에 일체로 결합되는 전방가로대(101)와 후방가로대(102)로 이루어지는 유아 체력 측정방법에 있어서,
    상기 측정대(100) 옆에는 보조대가(200) 설치되되, 보조대(200) 상면에는 무게감지센서가 설치되어, 유아가 먼저 왼 발을 보조대(200) 상면에 두고 오른 발은 측정대(100) 위에 둔채, 왼발을 드는 순간, 시계가 측정을 시작하는 것으로, 유아가 왼발을 들고 있다가 다시 보조대(200)에 닿거나 짚게 되면 무게감지센서가 인지하여 제어부에 신호를 전달하면, 상기 제어부는 측정대(100)의 평형성 측정을 위한 모터의 동작을 멈추게 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것이며,
    상기 보조대(200)에는 수직봉(210)이 부착되고, 상기 수직봉(210) 끝단에는 수평봉(220)이 결합되고, 상기 수평봉(220) 끝단에는 줄(230)이 연결되고 줄(230)에는 보조끈(240)이 연결되어, 상기 보조끈(240)이 유아의 몸을 묶게 됨에 따라 유아가 측정중 넘어지거나 할 시 안전띠 역할을 하여 넘어지지 않는 것이며,
    상기 측정대(100)는 상자모양으로서 상판은 측정판(110)이 되며, 상기 측정판(110)의 전후방향으로 중심축(120)이 관통되며, 상기 중심축(120)양단은 측정대(100)의 전,후방가로대(101, 102) 가로대 구멍에 결합되어 있어서, 상기 중심축(120)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측정판(110)이 좌우로 회동하게 되어 아동의 평형성 측정의 난이도를 높이는 것이며,
    상기 전,후방가로대(101, 102)의 벽면에 구멍(150)이 형성되되, 상기 구멍(150)은 바깥은 사각구멍(151)이며 내부에는 원형구멍(152)이 형성되되, 사각구멍이 크게 형성되어 구멍(150)에 원형의 중심축(120)의 양단이 통과하여 결합되는 것이며,
    상기 중심축(120)은 단면이 원형(122)이며 양단이 단면이 사각형(121)이되, 양단 사각형(121) 단면의 크기가 원형(122) 단면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전,후방가로대(101, 102)의 벽면에 형성된 사각구멍에 사각구멍(141)을 가진 사각기둥형상의 고정구(140)를 각각 삽입한후, 상기 사각구멍(141)에 중심축(120)의 사각형(121) 양단이 통과하여 결합되는 것으로, 측정판(110)이 수평상태에서 좌우로 움직이지 않게 되어 유아가 중심축(120)을 중심으로 좌우양발을 각각 올려놓고 평형성 테스트를 하되, 상판이 기울어지지 않게 균형을 잡는 시간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 체력 측정방법

  2. 삭제
  3. 삭제
KR1020170072773A 2017-06-09 2017-06-09 유아 체력 측정방법 KR1019164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2773A KR101916420B1 (ko) 2017-06-09 2017-06-09 유아 체력 측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2773A KR101916420B1 (ko) 2017-06-09 2017-06-09 유아 체력 측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6420B1 true KR101916420B1 (ko) 2018-11-28

Family

ID=64561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2773A KR101916420B1 (ko) 2017-06-09 2017-06-09 유아 체력 측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6420B1 (ko)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비특허1 : PST유아운동발달능력검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48262B2 (ja) 脚部トレーニング装置
US9162106B1 (en) Ankle and foot exercise apparatus
RU2740885C2 (ru) Тренаже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мышц брюшного пресса и корпуса
JP4990719B2 (ja) 健康測定装置
KR101673212B1 (ko) 바른 스쿼트 운동을 위한 트레이닝 시스템 및 방법
JPS63500916A (ja) 人体の平衡異常を検知し矯正する装置
US20190088160A1 (en) Dance training device
KR20140132322A (ko) 발목 운동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발목 운동 장치
CN103537070A (zh) 站立式平衡训练器及站立式平衡训练方法
US20110054364A1 (en) Exercise system
KR102116336B1 (ko) 탄성운동을 이용한 스마트 헬스케어시스템
JP2013075126A (ja) 動作訓練装置、動作訓練システム
JP2009082428A (ja) 運動処方提案装置
KR101648044B1 (ko) 스쿼트 트레이닝 시스템
KR20160026373A (ko) 스쿼트 운동기구
CN109045712A (zh) 一种可前进的健身木马及健身木马的健身方法
KR101916420B1 (ko) 유아 체력 측정방법
KR20160137698A (ko) 3d센서를 이용한 재활운동 분석시스템
KR100787040B1 (ko)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서 진동 자극을 제공하는 장치및 방법
JP4840509B2 (ja) 他動運動システム
CN218106681U (zh) 一种重心调整及视觉反馈训练装置
JP2006149415A (ja) 揺動型運動装置
KR101262876B1 (ko) 하체 재활훈련 장치
WO2020170001A1 (en) Device and method for patient exercising in aquatic conditions
KR20200080959A (ko) 기울기 측정을 이용한 바벨용 자세 교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운동 자세 교정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