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6304B1 - 콘크리트 이송관의 시험 평가 장치 및 그 시험 평가 장치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이송관의 시험 평가 장치 및 그 시험 평가 장치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6304B1
KR101916304B1 KR1020170051602A KR20170051602A KR101916304B1 KR 101916304 B1 KR101916304 B1 KR 101916304B1 KR 1020170051602 A KR1020170051602 A KR 1020170051602A KR 20170051602 A KR20170051602 A KR 20170051602A KR 101916304 B1 KR101916304 B1 KR 1019163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ncrete
pipe
conveyance pipe
convey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1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8376A (ko
Inventor
유영철
정동헌
신슬기
김재범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건설기계부품연구원
주식회사 티엠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건설기계부품연구원, 주식회사 티엠시 filed Critical 재단법인 건설기계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051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6304B1/ko
Publication of KR20180118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83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63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63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02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21/08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for measuring thickne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08Rigid pipes of concrete, cement, or asbestos cement,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56Investigating resistance to wear or abra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n-Site Construction Work That Accompanies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oncret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이송관의 시험 평가 장치는, 스퀴즈 방식으로 모르타르를 시공 부위에 타설하는 타설 장치 본체, 상기 모르타르가 상기 시공 부위에 설정 패턴으로 분사되도록 상기 타설 장치 본체의 모르타르 배출부에 연결된 분사 노즐, 및 상기 모르타르 배출부에서 상기 분사 노즐로 유동되는 상기 모르타르를 교반시키도록 상기 분사 노즐과 상기 모르타르 배출부의 사이에 연통되게 연결된 모르타르 교반기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이송관의 시험 평가 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모르타르가 상기 모르타르 교반기에 의해 교반된 이후에 상기 분사 노즐로 유입되는 구조이므로, 상기 분사 노즐에 유입되는 상기 모르타르를 다시 섞어서 혼합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서 상기 모르타르의 장시간 유동시 발생되는 상기 모르타르의 재료 분리 현상을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

Description

콘크리트 이송관의 시험 평가 장치 및 그 시험 평가 장치의 제어 방법 {APPARATUS FOR TESTING AND EVALUATING CONCRETE FEED PIP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콘크리트 이송관의 시험 평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콘크리트를 장시간 송출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송관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서 이송관의 교체 시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콘크리트 이송관의 시험 평가 장치 및 그 시험 평가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펌프카는 콘크리트의 타설 위치까지 콘크리트를 압송하기 위한 장치를 탑재한 차량이다. 건축 공사 또는 건설 현장에서 콘크리트의 타설은 콘크리트 펌프카에 의해 대부분 이루어지고 있다. 이때, 콘크리트 펌프카는 콘크리트를 공급해 주는 믹서 차량과 함께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와 같은 콘크리트 펌프카는 이송관을 통해서 콘크리트를 타설 위치로 압송한다. 이송관은 콘크리트 펌프카에 구비된 붐(boom)에 의해서 매달아 지지되는 구조이며, 고층 건물의 타설에도 사용하기 위하여 매우 길게 형성된다.
한편, 콘크리트 펌프카를 장시간 사용하면, 이송관의 일부분이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하지만, 현장에서는 콘크리트 펌프카의 사용시 이송관의 파손을 미리 예측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따라서, 이송관의 파손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이송관의 성능을 높이는 방향으로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면, 한국등록특허 제10-0930733호(발명의 명칭: 콘크리트 펌프카용 콘크리트 슬러리 이송 파이프, 등록일: 2009.12.01)에는, 콘크리트 펌프카에서 콘크리트 슬러리를 이송함에 따라 발생하는 자갈 및 모래와의 마찰과 그리고 부식에 강한 내마모특성을 갖도록 하며, 또한 내충격성도 우수한 콘크리트 펌프카용 콘크리트 슬러리 이송 파이프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10- 0563623호(발명의 명칭: 내마모성이 우수한 콘크리트 펌프카용 이중 이송관, 등록일: 2006.03.16)에는, 충격마모, 연삭마모에 강할 뿐만 아니라 내구성이 우수하여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내마모성이 우수한 콘크리트 펌프카용 이중 이송관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내마모특성이나 내충격성을 높인 이송관을 사용하는 경우라도 이송관의 수명은 연장되지만 시간이 지나면 결국에 이송관이 파손될 수밖에 없으며, 이를 현장에서 미리 예측하여 이송관을 적기에 교체하는 것은 여전히 불가능한 실정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콘크리트 펌프카의 콘크리트 송출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콘크리트를 장시간 송출하면서 이송관의 교체 시점을 파악하기 위한 정보를 정확하게 확보할 수 있는 콘크리트 이송관의 시험 평가 장치 및 그 시험 평가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콘크리트의 송출 상태 및 콘크리트의 조성비에 따른 이송관의 두께 변화를 분석하여 이송관의 교체 시점에 대한 데이터 베이스를 간편하게 구축할 수 있는 콘크리트 이송관의 시험 평가 장치 및 그 시험 평가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콘크리트의 송출 상태 및 조성비를 변경하면서 이송관의 교체 시점에 대한 데이터 베이스를 폭넓게 구축하여 그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이송관의 교체 시점을 현장 상황에 적합하게 예측할 수 있는 콘크리트 이송관의 시험 평가 장치 및 그 시험 평가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콘크리트 펌프카에 사용되는 이송관을 시험 평가하기 위한 콘크리트 이송관의 시험 평가 장치를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이송관의 시험 평가 장치는, 상기 이송관의 시험 평가에 사용하기 위한 콘크리트가 저장된 호퍼 유닛, 상기 호퍼 유닛에 저장된 상기 콘크리트를 상기 이송관으로 펌핑하도록 상기 호퍼 유닛과 상기 이송관에 연결되고 상기 콘크리트 펌프카와 동일한 방식으로 상기 콘크리트를 펌핑하도록 형성된 펌프 유닛, 상기 펌프 유닛에 의해 펌핑된 상기 콘크리트를 상기 호퍼 유닛으로 다시 회수하도록 상기 펌프 유닛과 상기 호퍼 유닛의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이송관을 구비한 이송관 유닛, 상기 이송관을 통해 유동되는 상기 콘크리트의 송출 상태 및 상기 이송관의 두께를 감지하도록 상기 이송관에 배치된 감지 유닛, 및 상기 호퍼 유닛과 상기 펌프 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상기 호퍼 유닛과 상기 펌프 유닛에 연결되고 상기 감지 유닛의 감지값을 전송 받도록 상기 감지 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콘크리트의 송출 상태에 따른 상기 이송관의 두께 변화를 분석하도록 형성된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콘크리트를 상기 콘크리트 펌프카와 동일한 방식으로 상기 이송관에 송출할 수 있으며, 그 상태에서 상기 콘크리트의 송출 상태 및 상기 이송관의 두께를 감지하여 상기 콘크리트의 송출 상태에 따른 상기 이송관의 두께 변화를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다. 이를 기반으로, 상기 이송관의 수명 및 교체 시점을 판단하기 위한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감지 유닛은, 상기 이송관을 통해 유동되는 상기 콘크리트의 송출량, 송출압력, 또는 송출속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하도록 상기 이송관의 일측에 배치되는 송출 감지부, 및 상기 콘크리트의 송출시 상기 이송관의 두께를 감지하도록 상기 이송관의 타측에 배치되는 배관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출 감지부는 유량 센서, 유압 센서, 또는 유속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배관 감지부는 스트레인 게이지, 초음파 센서, 전자기파 센서, 또는 방사선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비할 수 있다.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호퍼 유닛 또는 상기 펌프 유닛의 작동을 조작함과 아울러 상기 이송관의 시험 평가를 위한 각종 정보를 입력하도록 형성된 조작부, 상기 호퍼 유닛과 상기 펌프 유닛의 작동을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감지 유닛의 감지값을 전송 받아 상기 콘크리트의 송출 상태에 따른 상기 이송관의 두께 변화를 분석하도록 상기 호퍼 유닛과 상기 펌프 유닛 및 상기 감지 유닛에 연결된 제어부, 및 상기 콘크리트의 송출시 상기 콘크리트의 송출 시간을 측정하도록 상기 제어부의 일측에 배치된 타이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조작부를 통해 입력된 각종 정보, 상기 감지 유닛에 감지된 상기 콘크리트의 송출 상태와 상기 이송관의 두께, 및 상기 제어부의 분석 결과를 저장하도록 상기 제어부의 타측에 배치된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저장부는 네트워크 통신 또는 별도의 저장 매체를 이용하여 상기의 저장 내용을 외부로 인출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조작부, 상기 제어부, 및 상기 타이머를 수용하는 박스 형상으로 형성된 제어 유닛 박스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제어 유닛 박스는 상기 호퍼 유닛 또는 상기 펌프 유닛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를 통해 입력된 각종 정보 및 상기 감지 유닛에 의해 감지된 상기 콘크리트의 송출 상태와 상기 이송관의 두께를 분석할 수 있고, 상기 이송관의 두께 변화를 유발시키는 항목 별로 영향도를 평가하여 상기 이송관의 교체 시점을 판단하기 위한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이송관 유닛은, 상기 이송관을 다수 절곡시켜 겹치게 배치한 상태로 지지하도록 상기 이송관이 거치되기 위한 복수개의 거치부가 형성된 이송관 지지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이송관 지지대는 상기 이송관의 길이에 대응하여 단수개 또는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설정 조합비에 따라 콘크리트를 배합하여 호퍼 유닛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호퍼 유닛에 연결된 펌프 유닛을 작동시켜 상기 호퍼 유닛, 상기 펌프 유닛, 상기 펌프 유닛에 일단부가 연결된 이송관, 상기 이송관의 타단부가 배치된 호퍼 유닛 순으로 상기 콘크리트를 계속적으로 순환시키는 단계, 상기 이송관에 배치된 감지 유닛의 송출 감지부가 상기 이송관을 따라 송출되는 상기 콘크리트의 송출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 유닛의 배관 감지부가 상기 이송관의 두께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 유닛의 감지값을 제어 유닛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이송관의 현재 두께가 설정 두께 미만으로 감지되면 상기 펌프 유닛의 작동을 정지하는 단계, 상기 제어 유닛이 상기 콘크리트의 송출 상태에 따른 상기 이송관의 두께 변화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제어 유닛의 분석 결과를 데이터 베이스 형태로 구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이송관의 시험 평가 장치의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콘크리트의 송출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콘크리트의 송출량, 송출압력, 또는 송출속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이송관의 두께를 감지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이송관의 두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상기 이송관의 두께를 설정 시간 간격으로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이송관의 두께 변화를 분석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콘크리트의 송출량과 송출압력 및 송출속도에 따른 상기 이송관의 두께 변화에 대한 영향도를 산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이송관의 시험 평가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콘크리트를 계속적으로 순환시키는 단계 이전에 실시되고 상기 콘크리트의 설정 조합비 및 상기 이송관의 설정 두께를 상기 제어 유닛에 입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로 인해서, 상기 이송관의 두께 변화를 분석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콘크리트의 조합비에 따른 상기 이송관의 두께 변화에 대한 영향도를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이송관의 시험 평가 장치 및 그 시험 평가 장치의 제어 방법은, 호퍼 유닛과 펌프 유닛 및 이송 유닛에 의해서 콘크리트가 콘크리트 펌프카의 콘크리트 송출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송출되는 구조이므로, 콘크리트 펌프카의 이송관과 동일한 조건에서 이송관의 시험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로 인해서 이송관의 교체 시점을 파악하기 위한 정보를 실제 현장에 바로 적용 가능한 수준으로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이송관의 시험 평가 장치 및 그 시험 평가 장치의 제어 방법은, 감지 유닛을 이용하여 콘크리트의 송출 상태 및 이송관의 두께를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구조이므로, 콘크리트의 송출 상태에 따른 이송관의 두께 변화를 보다 정확하고 신속하게 분석할 수 있으며, 그 분석 결과를 통해서 이송관의 교체 시점에 대한 데이터 베이스를 간편하게 구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이송관의 시험 평가 장치 및 그 시험 평가 장치의 제어 방법은, 콘크리트의 조성비를 변경하면서 이송관의 두께 변화를 분석하는 것도 가능한 구조이므로, 콘크리트의 조성비에 따른 이송관의 교체 시점에 대한 데이터 베이스를 간편하게 구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이송관의 시험 평가 장치 및 그 시험 평가 장치의 제어 방법은, 콘크리트의 송출 상태와 조성비를 다양하게 변경하면서 이송관의 교체 시점을 판단하기 위한 데이터 베이스를 다양한 상황과 조건에 따라 폭넓게 구축할 수 있으며, 현장의 다양한 상황 및 타설 조건에 맞는 이송관의 교체 시점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이송관의 시험 평가 장치 및 그 시험 평가 장치의 제어 방법은, 콘크리트의 송출 상태 및 조성비에 따라 구축된 이송관의 교체 시점에 대한 데이터 베이스를 활용하여 이송관을 적기에 교체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이송관의 파손으로 인한 공사 중단 및 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이송관의 시험 평가 장치 및 그 시험 평가 장치의 제어 방법은, 이송관의 두께 변화를 측정하여 콘크리트에 의한 이송관의 마모 현상을 간단하고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특히 콘크리트의 송출 상태 및 조성비 중에서 이송관의 마모 현상에 크게 영향을 주는 항목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이송관의 내구성과 수명을 높이기 위한 대책 마련이 용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이송관의 시험 평가 장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호퍼 유닛 및 펌프 유닛의 주요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이송관 유닛의 주요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시험 평가 장치의 제어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이송관의 시험 평가 장치의 제어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이송관(132)의 시험 평가 장치(100)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호퍼 유닛(110) 및 펌프 유닛(120)의 주요부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이송관 유닛(130)의 주요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시험 평가 장치(100)의 제어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이송관(132)의 시험 평가 장치(100)는 호퍼 유닛(110), 펌프 유닛(120), 이송관 유닛(130), 감지 유닛(140), 및 제어 유닛(15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이송관(132)의 시험 평가 장치(100)는 콘크리트 펌프카(미도시)에 사용되는 이송관을 시험 평가하기 위한 장치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콘크리트 펌프카의 이송관과 동일한 송출 조건 및 사용 환경에서 이송관(132)의 시험 평가를 실시하도록 호퍼 유닛(110)과 펌프 유닛(120) 및 이송관 유닛(130)이 콘크리트 펌프카를 모사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이송관(132)의 시험 평가 장치(100)는, 콘크리트(C)를 외부로 배출시키지 않고 다시 회수하여 사용하는 콘크리트(C)의 순환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콘크리트(C)의 사용량을 크게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이송관(132)의 시험 평가를 장시간 실시할 수 있다.
도 1과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호퍼 유닛(110)은 이송관(132)의 시험 평가에 사용되기 위한 콘크리트(C)를 외부로부터 공급 받아 저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콘크리트(C)는 공사 현장에서 실제 사용되는 조합비로 배합될 수 있으며, 그 콘크리트(C)의 조합비는 시험 평가 장치(100)의 작동 이전에 미리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시험 평가 장치(100)는 콘크리트(C)를 순환시키는 구조로 형성되므로, 호퍼 유닛(110)에는 호퍼 유닛(110)과 펌프 유닛(120) 및 이송관 유닛(130)의 내부를 채울 수 있는 수준으로 콘크리트(C)가 공급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호퍼 유닛(110)은 호퍼 본체(112) 및 호퍼 교반기(114)를 포함할 수 있다.
호퍼 본체(112)는 콘크리트(C)를 수용하는 통 형상의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호퍼 본체(112)의 상면부는 개구되거나 개폐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호퍼 본체(112)의 상면부를 통해서 콘크리트(C)가 외부로부터 공급될 수 있다.
호퍼 교반기(114)는 호퍼 본체(112)에 저장된 콘크리트(C)를 교반시키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호퍼 교반기(114)는 콘크리트(C)를 교반시켜 잘 섞어주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서 호퍼 본체(112)의 내부에 저장된 콘크리트(C)의 재료 분리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일례로, 호퍼 교반기(114)는 교반 날개(116) 및 교반 펌프(118)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교반 날개(116)는 호퍼 본체(112)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교반 날개(116)의 회전축은 호퍼 본체(112)의 내부 중앙부를 가로지르도록 호퍼 본체(112)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교반 날개(116)의 회전축의 양단부는 호퍼 본체(112)의 양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교반 펌프(118)는 교반 날개(116)를 회전시키도록 교반 날개(116)의 회전축의 양단부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될 수 있다. 즉, 교반 펌프(118)는 호퍼 본체(112)의 양측면 중 어느 한면에 장착될 수 있으며, 교반 날개(116)에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교반 날개(116)의 회전축의 단부에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도 1과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펌프 유닛(120)은 호퍼 유닛(110)에 저장된 콘크리트(C)를 이송관(132)으로 펌핑할 수 있다. 펌프 유닛(120)은 호퍼 유닛(110)과 이송관(132)에 연통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펌프 유닛(120)은 콘크리트 펌프카와 동일한 방식으로 콘크리트(C)를 펌핑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펌프 유닛(120)은 펌프 하우징 프레임(121), 송출 펌프(122), 및 펌프 밸브(125)를 포함할 수 있다.
펌프 하우징 프레임(121)은 시험 평가 장치(100)의 메인 프레임에 해당하는 구성으로서, 펌프 하우징 프레임(121)의 전방부에는 호퍼 유닛(110)이 장착되어 지지될 수 있고, 펌프 하우징 프레임(121)의 후방부에는 제어 유닛(15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펌프 하우징 프레임(121)에는 송출 펌프(122) 및 펌프 밸브(125)가 장착될 수 있다.
송출 펌프(122)는 호퍼 유닛(110)의 호퍼 본체(112)에 저장된 콘크리트(C)를 이송관(132)으로 펌핑하는 장치이다. 송출 펌프(122)는 펌프 하우징 프레임(121)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호퍼 본체(112)와 이송관(132)에 연통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송출 펌프(122)는 두 개의 피스톤 펌프를 나란하게 배치시킨 구조로서, 두 개의 피스톤 펌프가 서로 번갈아가며 콘크리트(C)를 송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송출 펌프(122)는 제1 송출 펌프(123) 및 제2 송출 펌프(124)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송출 펌프(123)는, 호퍼 본체(112)의 후방부 일측에 형성된 제1 후방홀부에 일단부가 연통되게 연결된 제1 실린더부(123a), 제1 실린더부(123a)의 개구된 타단부를 통해 제1 실린더부(123a)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일단부가 배치된 제1 피스톤부(123b), 및 제1 피스톤부(123b)에 콘크리트(C)를 펌핑하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도록 제1 피스톤부(123b)의 타단부에 연결된 제1 펌프부(123c)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송출 펌프(124)는, 제1 실린더부(123a)와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호퍼 본체(112)의 후방부 타측에 형성된 제2 후방홀부에 일단부가 연통되게 연결된 제2 실린더부(124a), 제2 실린더부(124a)의 개구된 타단부를 통해 제2 실린더부(124a)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일단부가 배치된 제2 피스톤부(124b), 및 제2 피스톤부(124b)에 콘크리트(C)를 펌핑하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도록 제2 피스톤부(124b)의 타단부에 연결된 제2 펌프부(124c)를 구비할 수 있다.
펌프 밸브(125)는 호퍼 본체(112)와 이송관(132) 및 송출 펌프(122)의 사이에서 콘크리트(C)의 유동 통로를 전환시키도록 호퍼 본체(112)와 이송관(132) 및 송출 펌프(12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펌프 밸브(125)는 제1 밸브 모드 및 제2 밸브 모드로 작동될 수 있다. 제1 밸브 모드는 제1 송출 펌프(123)의 콘크리트(C)를 이송관(132)으로 안내함과 동시에 호퍼 본체(112)의 콘크리트(C)를 제2 송출 펌프(124)로 안내하는 동작 모드이고, 제2 밸브 모드는 제2 송출 펌프(124)의 콘크리트(C)를 이송관(132)으로 안내함과 동시에 호퍼 본체(112)의 콘크리트(C)를 제1 송출 펌프(123)로 안내하는 동작 모드이다.
예를 들면, 펌프 밸브(125)는 밸브 파이프(126) 및 밸브 모듈(127)을 구비할 수 있다.
밸브 파이프(126)는 교반 날개(116)와 간섭되지 않도록 호퍼 본체(112)의 내부 하측에 전후 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밸브 파이프(126)의 일단부는 이송관(132)으로 콘크리트(C)를 송출하는 배출부(126a)로서, 호퍼 본체(112)의 전방부에 형성된 전방홀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통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호퍼 본체(112)의 전방홀부에는 이송관(132)의 일단부가 연통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밸브 파이프(126)의 타단부는 송출 펌프(122)로부터 콘크리트(C)를 유입 받는 유입부(126b)로서, 밸브 파이프(126)가 전방홀부에 연결된 배출부(126a)를 중심으로 회전됨에 따라 호퍼 본체(112)의 후방부에 형성된 제1,2 후방홀부에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밸브 파이프(126)는 'S' 형상으로 절곡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밸브 모듈(127)은 펌프 밸브(125)의 제1 밸브 모드 또는 제2 밸브 모드에 따라 밸브 파이프(126)의 유입부(126b)의 위치를 변경하도록 밸브 파이프(126)의 유입부(126b)에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밸브 모듈(127)의 일측부는 밸브 파이프(126)의 유입부(126b)에 연결될 수 있고, 밸브 모듈(127)의 타측부는 펌프 하우징 프레임(121)이나 호퍼 본체(112)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밸브 모듈(127)은 타측부를 중심으로 일측부를 선택적으로 회전시켜 밸브 파이프(126)의 유입부(126b)의 위치를 가변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이송관 유닛(130)은 펌프 유닛(120)에 의해 펌핑된 콘크리트(C)를 호퍼 유닛(110)에 다시 회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콘크리트(C)는 호퍼 유닛(110)의 호퍼 본체(112)에 저장된 상태에서 펌프 유닛(120)의 송출 펌프(122)로 유입된 후 송출 펌프(122)에 의해 펌핑되어 펌프 밸브(125)를 통해 이송관(132)으로 유입될 수 있으며, 그 이송관(132)를 따라 이동된 후 호퍼 본체(112)의 내부로 다시 복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송관 유닛(130)은 이송관(132) 및 이송관 지지대(134)를 포함할 수 있다.
이송관(132)은 콘크리트(C)의 압송시 콘크리트(C)를 이동시키는 통로로서, 콘크리트(C)와의 마모에 견딜 수 있도록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송관(132)의 일단부는 호퍼 본체(112)의 전방홀부에 연통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이송관(132)의 타단부는 호퍼 본체(112)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이송관(132)의 타단부에는 이송관(132)에서 배출되는 콘크리트(C)를 안내하기 위한 이송 호스(133)가 연결될 수 있다. 이송 호스(133)는 콘크리트(C)의 배출 위치를 금속 재질의 이송관(132)보다 자유롭게 조절하도록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이송관(132)은 복수개의 단위 파이프를 길이 방향으로 연결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송관(132)은 보관과 이송의 편의성 등을 위하여 다수의 부위가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절곡부를 중심으로 서로 평행하게 겹쳐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송관 지지대(134)는 이송관(132)의 절곡부를 중심으로 다수 절곡시킨 이송관(132)을 겹치게 배치시킨 상태로 지지할 수 있다. 이송관 지지대(134)는 펌프 하우징 프레임(121)에 설치될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호퍼 유닛(110)이나 펌프 유닛(120)과 이격된 위치에 개별적으로 설치된 것으로 설명한다.
상기와 같은 이송관 지지대(134)에는 이송관(132)이 거치되기 위한 복수개의 거치부(135)가 형성될 수 있다. 거치부(135)들은 이송관(132)의 거치시 이송관(132)이 서로 간섭되지 않는 범위에서 이송관 지지대(134)에 최대한 많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거치부(135)의 개수가 증가되면, 하나의 이송관 지지대(134)에 거치되는 이송관(132)의 길이도 증가될 수 있다. 다만, 이송관(132)의 길이가 하나의 이송관 지지대(134)로 지지 가능한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면, 다른 이송관 지지대(134)를 더 추가하여 이송관(132)을 지지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의 시험 평가 장치(100)에서는, 콘크리트(C)를 특정 타설 위치에 타설시키지 않고 계속적으로 순환시키면서 이송관(132)을 시험 평가하므로, 이송관(132)을 이송관 지지대(134)에 거치한 상태에서 콘크리트 이송관(132)의 시험 평가 장치(100)를 작동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감지 유닛(140)은 이송관(132)을 통해 유동되는 콘크리트(C)의 송출 상태 및 이송관(132)의 두께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감지 유닛(140)은 이송관(132)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감지 유닛(140)은 송출 감지부(142) 및 배관 감지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
송출 감지부(142)는 이송관(132)을 통해 유동되는 콘크리트(C)의 송출량, 송출압력, 또는 송출속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하도록 이송관(132)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송출 감지부(142)는 유량 센서, 유압 센서, 또는 유속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송출 감지부(142)는 이송관(132)의 여러 위치에 이송관(132)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송출 감지부(142)는 콘크리트(C)의 송출시 이송관(132)의 위치에 따른 콘크리트(C)의 송출량, 송출압력, 송출속도를 감지할 수 있으며, 그 감지값들을 이용하여 이송관(132)의 위치에 따라 파손의 위험이 높은 부위를 도출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배관 감지부(144)는 콘크리트(C)의 송출시 이송관(132)의 두께를 감지하도록 이송관(132)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배관 감지부(144)는 스트레인 게이지, 초음파 센서, 전자기파 센서, 또는 방사선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스트레인 게이지는 이송관(132)의 적어도 한 부위에 부착될 수 있다. 스트레인 게이지는 콘크리트(C)의 송출에 따른 이송관(132)의 변형율로부터 이송관(132)의 두께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초음파 센서와 전자기파 센서 및 방사선 센서는 비파괴 검사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센서로서, 이송관(132)의 외측에서 이송관(132)의 특정 부위에 제공되는 초음파, 전자기파, 또는 방사선을 이용하여 이송관(132)의 두께 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어 유닛(150)은 호퍼 유닛(110)과 펌프 유닛(120)의 작동을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감지 유닛의 감지값을 전송 받도록 호퍼 유닛(110)과 펌프 유닛(120) 및 감지 유닛(140)에 신호 전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어 유닛(150)은 콘크리트(C)의 송출 상태에 따른 이송관(132)의 두께 변화를 분석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어 유닛(150)은 호퍼 유닛(110) 또는 펌프 유닛(120)에 배치되거나 또는 호퍼 유닛(110)과 펌프 유닛(120)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 유닛(150)이 펌프 유닛(120)의 펌프 하우징 프레임(121)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예를 들면, 제어 유닛(150)은 제어 유닛 박스(151), 조작부(152), 제어부(153), 타이머(154), 및 저장부(155)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유닛 박스(151)는 조작부(152), 제어부(153), 타이머(154), 및 저장부(155)를 수용하는 박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어 유닛 박스(151)는 펌프 유닛(120)의 펌프 하우징 프레임(121)의 후방부에 고정될 수 있다.
조작부(152)는 호퍼 유닛(110) 또는 펌프 유닛(120)의 작동을 조작함과 아울러 이송관(132)의 시험 평가를 위한 각종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즉, 조작부(152)를 통해서 사용자가 시험 평가 장치(100)의 작동을 직접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조작부(152)를 통해서 사용자가 시험 평가 장치(100)의 분석에 필요한 각종 정보을 입력할 수 있다. 일례로, 조작부(152)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로는 콘크리트(C)의 조합비 또는 이송관(132)의 설정 두께 등이 있다.
제어부(153)는 호퍼 유닛(110)과 펌프 유닛(120)의 작동을 제어함과 아울러 감지 유닛(140)의 감지값을 전송 받아 콘크리트(C)의 송출 상태에 따른 이송관(132)의 두께 변화를 분석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153)는 호퍼 유닛(110)과 펌프 유닛(120) 및 감지 유닛(140)에 신호 전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즉, 제어부(153)는 조작부(152)를 통해 입력된 각종 정보, 감지 유닛(140)의 송출 감지부(142)에 의해 감지된 콘크리트(C)의 송출 상태, 및 감지 유닛(140)의 배관 감지부(144)에 의해 감지된 이송관(132)의 두께를 분석할 수 있다. 일례로, 감지 유닛(140)은 이송관(132)의 위치에 따라 콘크리트(C)의 송출량, 송출압력, 송출속도 및 이송관(132)의 두께를 지속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3)는 이송관(132)의 두께 변화를 유발시키는 항목 별로 영향도를 평가하여 이송관(132)의 교체 시점을 판단하기 위한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 즉, 이송관(132)의 두께가 가장 빨리 설정 두께에 도달하는 부위를 분석하여 이송관(132)의 교체 시점 및 교체 부위를 예측할 수 있다. 특히, 콘크리트(C)의 조합비, 송출량, 송출압력, 송출속도를 개별적으로 변경하면서 이송관(132)의 두께 변화를 분석하면, 이송관(132)의 마모 현상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항목을 간단히 파악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서 가장 큰 영향을 주는 항목을 중심으로 이송관(132)의 교체 시점 및 교체 부위를 더 간편하고 안전하게 예측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감지 유닛(140)이 이송관(132)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위치를 감지하면, 제어부(153)는 이송관(132)의 위치에 따른 콘크리트(C)의 송출 상태 및 이송관(132)의 두께 변화를 분석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53)는 이송관(132)의 위치 중에서 마모 현상이 가장 심각한 위치를 파악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이송관(132)의 최초 파손 부위를 미리 예측할 수 있다. 이런 예측 결과를 이용하면, 현장에서 이송관(132)을 실제 사용하는 경우에, 그 이송관(132)의 최초로 파손이 예상되는 부위에만 센서를 설치하여 보다 정확하고 신속하게 대응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153)는 이송관(132)의 시험 평가에 의한 분석 결과 및 분석 조건 등을 데이터 베이스 형태로 구축할 수 있다. 따라서, 콘크리트 이송관(132)의 시험 평가 장치(100)는 이송관(132)의 시험 평가를 완료한 후 그 시험 평가의 분석 조건 및 분석 결과를 데이터 베이스 형태로 제공하므로, 그 데이터 베이스를 활용하여 현장에서 이송관(132)의 교체 시점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타이머(154)는 콘크리트(C)의 송출시 콘크리트(C)의 송출 시간을 측정하도록 제어부(153)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타이머(154)는 콘크리트(C)의 송출 상태 또는 조합비 등에 따른 이송관(132)의 교체 시점을 시간 함수로 산출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저장부(155)는 조작부(152)를 통해 입력된 각종 정보, 감지 유닛(140)에 감지된 감지값, 제어부(153)의 분석 결과, 및 타이머(154)의 시간 등을 저장하도록 제어부(153)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저장부(155)에는, 조작부(152)를 통해 입력된 설정 두께, 콘크리트(C)의 조합비가 저장될 수 있고, 감지 유닛(140)에 감지된 콘크리트(C)의 송출량, 송출압력, 송출속도 및 이송관(132)의 두께가 저장될 수 있으며, 제어부(153)가 분석한 콘크리트(C)의 송출 상태에 따른 이송관(132)의 두께 변화에 대한 분석 결과가 저장될 수 있고, 타이머(154)가 측정한 콘크리트(C)의 송출시간 및 이송관(132)의 교체 시점이 저장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저장부(155)에 저장되는 내용은, 제어부(153)에 의해 데이터 베이스 형태로 정리된 후 저장될 수 있으며, 추후에 이송관(132)의 교체 시점을 판단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저장부(155)는 네트워크 통신 또는 별도의 저장 매체를 이용하여 저장부(155)에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를 외부로 인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저장부(155)의 데이터 베이스는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메인 서버에 저장될 수 있으며, 현장에서는 메인 서버에 접속해서 메인 서버로부터 데이터 베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또는, 저장부(155)의 데이터 베이스는 외장하드, 외장메모리, 노트북, 휴대용 단말기 등을 이용해서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이송관(132)의 시험 평가 장치(100)의 작동 및 작용 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이송관(132)의 시험 평가 장치(100)의 제어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험 평가 장치(100)의 제어 방법은, 설정 조합비에 따라 콘크리트(C)를 배합하여 호퍼 유닛(110)에 저장하는 단계(S100), 호퍼 유닛(110)에 연결된 펌프 유닛(120)을 작동시켜 호퍼 유닛(110), 펌프 유닛(120), 펌프 유닛(120)에 일단부가 연결된 이송관(132), 이송관(132)의 타단부가 배치된 호퍼 유닛(110) 순으로 콘크리트(C)를 계속적으로 순환시키는 단계(S102, S103), 이송관(132)에 배치된 감지 유닛(140)의 송출 감지부(142)가 이송관(132)을 따라 송출되는 콘크리트(C)의 송출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S104), 감지 유닛(140)의 배관 감지부(144)가 이송관(132)의 두께를 감지하는 단계(S105), 감지 유닛(140)의 감지값을 제어 유닛(150)으로 전송하는 단계(S106), 이송관(132)의 현재 두께가 설정 두께 미만으로 감지되면 펌프 유닛(120)의 작동을 정지하는 단계(S107, S108), 제어 유닛(150)이 콘크리트(C)의 송출 상태에 따른 이송관(132)의 두께 변화를 분석하는 단계(S109), 제어 유닛(150)의 분석 결과를 데이터 베이스 형태로 구축하는 단계(S110)를 포함하는 제공된다.
콘크리트(C)를 호퍼 유닛(110)에 저장하는 단계(S100)에서는, 적당량의 콘크리트(C)를 설정 조합비로 배합할 수 있다. 이때, 콘크리트(C)의 설정 조합비는 제어 유닛(150)의 조작부(152)를 통해서 제어부(153)에 입력될 수 있다.
콘크리트(C)를 계속적으로 순환시키는 단계(S102, S103)에서는, 호퍼 유닛(110)에 저장된 콘크리트(C)가 펌프 유닛(120)에 의해서 소정의 압력으로 이송관(132)에 송출되고, 그 이송관(132)을 따라 압송되는 콘크리트(C)는 이송관(132)을 모두 거친 이후에 호퍼 유닛(110)의 내부로 다시 회수된다. 따라서, 콘크리트 이송관(132)의 시험 평가 장치(100)는 일정량의 콘크리트(C)만을 가지고서 장시간 작동할 수 있다.
콘크리트(C)의 송출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S104)에서는, 이송관(132)에 배치된 감지 유닛(140)의 송출 감지부(142)가 이송관(132)의 내부를 통과하는 콘크리트(C)의 송출량, 송출압력, 또는 송출속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한다. 상기와 같은 송출 감지부(142)는 유량 센서, 유속 센서, 또는 유압 센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송출 감지부(142)는 이송관(132)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위치에 이격되게 배치시켜 이송관(132)의 복수 위치에서의 송출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이송관(132)의 두께를 감지하는 단계(S105)에서는, 감지 유닛(140)의 배관 감지부(144)가 이송관(132)의 두께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이송관(132)의 두께 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 배관 감지부(144)는 스트레인 게이지, 초음파 센서, 방사선 센서, 또는 전자기파 센서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배관 감지부(144)는 송출 감지부(142)가 배치된 이송관(132)의 복수 위치에 각각 배치시켜 이송관(132)의 복수 위치에 대한 두께 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
감지 유닛(140)의 감지값을 제어 유닛(150)으로 전송하는 단계(S106)에서는, 이송관(132)의 복수 위치에서 감지된 송출 감지부(142)와 배관 감지부(144)의 감지값을 제어 유닛(150)의 제어부(153)에 실시간으로 전송한다.
펌프 유닛(120)의 작동을 정지하는 단계(S107, S108)에서는, 이송관(132)의 현재 두께가 설정 두께 미만으로 감지되면, 콘크리트(C)에 의한 마모 현상에 의해서 이송관(132)이 크게 손상되어 이송관(132)의 교체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송관(132)의 두께 변화를 분석하는 단계(S109)에서는, 제어 유닛(150)이 콘크리트(C)의 송출량과 송출압력 및 송출속도에 따른 이송관(132)의 두께 변화를 분석하여 콘크리트(C)의 송출량과 송출압력 및 송출속도가 이송관(132)의 두께 변화에 끼치는 영향도를 상대적으로 산출할 수 있다.
데이터 베이스 형태로 구축하는 단계(S110)에서는, 제어부(153)가 이송관(132)의 교체 시점 및 그 교체 시점에 영향을 주는 항목들을 정리하여 데이터 베이스 형태로 구축할 수 있다. 제어부(153)에 의해 구축되는 데이터 베이스는 저장부(155)에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저장부(155)의 데이터 베이스를 활용하면, 실제 현장에서 이송관(132)의 송출 조건 및 송출 시간 등에 따라서 이송관(132)의 교체 시점을 예측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이송관(132)의 파열로 인한 공사 중단 및 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이송관(132)의 시험 평가 장치(100)의 제어 방법은, 콘크리트(C)의 설정 조합비 및 이송관(132)의 설정 두께를 제어 유닛(150)의 제어부(153)에 입력하는 단계(S10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콘크리트(C)의 설정 조합비 및 이송관(132)의 설정 두께를 입력하는 단계(S101)는, 콘크리트(C)를 계속적으로 순환시키는 단계(S102, S103) 이전에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어 유닛(150)의 조작부(152)를 통해서 사용자가 직접 입력할 수 있다.
따라서, 이송관(132)의 두께 변화를 분석하는 단계(S109)에서는, 콘크리트(C)의 조합비에 따른 이송관(132)의 두께 변화를 분석할 수 있으며,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C)의 조합비에 따른 이송관(132)의 두께 변화에 대한 영향도를 산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콘크리트 이송관의 시험 평가 장치
110: 호퍼 유닛
120: 펌프 유닛
130: 이송관 유닛
132: 이송관
140: 감지 유닛
142: 송출 감지부
144: 배관 감지부
150: 제어 유닛
152: 조작부
153: 제어부
154: 타이머
155: 저장부
C: 콘크리트

Claims (11)

  1. 콘크리트 펌프카에 사용되는 이송관을 시험 평가하기 위한 콘크리트 이송관의 시험 평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관의 시험 평가에 사용하기 위한 콘크리트가 저장된 호퍼 유닛;
    상기 호퍼 유닛에 저장된 상기 콘크리트를 상기 이송관으로 펌핑하도록 상기 호퍼 유닛과 상기 이송관에 연결되고, 상기 콘크리트 펌프카와 동일한 방식으로 상기 콘크리트를 펌핑하도록 형성된 펌프 유닛;
    상기 펌프 유닛에 의해 펌핑된 상기 콘크리트를 상기 호퍼 유닛으로 다시 회수하도록 상기 펌프 유닛과 상기 호퍼 유닛의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이송관을 구비한 이송관 유닛;
    상기 이송관을 통해 유동되는 상기 콘크리트의 송출 상태 및 상기 이송관의 두께를 감지하도록 상기 이송관에 배치된 감지 유닛; 및
    상기 호퍼 유닛과 상기 펌프 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상기 호퍼 유닛과 상기 펌프 유닛에 연결되고, 상기 감지 유닛의 감지값을 전송 받도록 상기 감지 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콘크리트의 송출 상태에 따른 상기 이송관의 두께 변화를 분석하도록 형성된 제어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이송관 유닛은 상기 이송관이 거치되기 위한 복수개의 거치부가 형성된 이송관 지지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이송관 지지대는 상기 이송관의 길이에 대응하여 단수개 또는 복수개가 배치되며,
    상기 이송관은, 복수개의 단위 파이프를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결한 구조로 형성되고, 다수의 부위에 형성된 절곡부를 중심으로 절곡시켜 겹쳐진 상태로 상기 이송관 지지대에 배치되며,
    상기 감지 유닛은, 상기 이송관을 통해 유동되는 상기 콘크리트의 송출량, 송출압력, 또는 송출속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하도록 상기 이송관의 일측에 배치되는 송출 감지부; 및 상기 콘크리트의 송출시 상기 이송관의 두께를 감지하도록 상기 이송관의 타측에 배치되는 배관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송출 감지부 및 상기 배관 감지부는 상기 이송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이송관의 복수 위치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이송관의 복수 위치에 배치된 상기 송출 감지부와 상기 배관 감지부에 감지되는 감지값을 이용하여 상기 이송관의 두께 변화를 유발시키는 항목 별로 영향도를 평가하여 상기 이송관의 교체 부위와 교체 시점을 판단하기 위한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이송관의 시험 평가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출 감지부는 유량 센서, 유압 센서, 또는 유속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비하고,
    상기 배관 감지부는 스트레인 게이지, 초음파 센서, 전자기파 센서, 또는 방사선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이송관의 시험 평가 장치.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호퍼 유닛 또는 상기 펌프 유닛의 작동을 조작함과 아울러 상기 이송관의 시험 평가를 위한 각종 정보를 입력하도록 형성된 조작부;
    상기 호퍼 유닛과 상기 펌프 유닛의 작동을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감지 유닛의 감지값을 전송 받아 상기 콘크리트의 송출 상태에 따른 상기 이송관의 두께 변화를 분석하도록 상기 호퍼 유닛과 상기 펌프 유닛 및 상기 감지 유닛에 연결된 제어부; 및
    상기 콘크리트의 송출시 상기 콘크리트의 송출 시간을 측정하도록 상기 제어부의 일측에 배치된 타이머;
    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이송관의 시험 평가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조작부를 통해 입력된 각종 정보, 상기 감지 유닛에 감지된 상기 콘크리트의 송출 상태와 상기 이송관의 두께, 및 상기 제어부의 분석 결과를 저장하도록 상기 제어부의 타측에 배치된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저장부는 네트워크 통신 또는 별도의 저장 매체를 이용하여 상기의 저장 내용을 외부로 인출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이송관의 시험 평가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조작부, 상기 제어부, 및 상기 타이머를 수용하는 박스 형상으로 형성된 제어 유닛 박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 박스는 상기 호퍼 유닛 또는 상기 펌프 유닛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이송관의 시험 평가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를 통해 입력된 각종 정보 및 상기 감지 유닛에 의해 감지된 상기 콘크리트의 송출 상태와 상기 이송관의 두께를 분석하고, 상기 이송관의 두께 변화를 유발시키는 항목 별로 영향도를 평가하여 상기 이송관의 교체 시점을 판단하기 위한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이송관의 시험 평가 장치.
  8. 삭제
  9. 제1항 또는 제3항에 따른 콘크리트 이송관의 시험 평가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설정 조합비에 따라 콘크리트를 배합하여 호퍼 유닛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호퍼 유닛에 연결된 펌프 유닛을 작동시켜 상기 호퍼 유닛, 상기 펌프 유닛, 상기 펌프 유닛에 일단부가 연결된 이송관, 상기 이송관의 타단부가 배치된 호퍼 유닛 순으로 상기 콘크리트를 계속적으로 순환시키는 단계;
    상기 이송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이송관의 복수 위치에 배치된 감지 유닛의 송출 감지부가 상기 이송관을 통해 송출되는 상기 콘크리트의 송출 상태를 상기 이송관의 위치별로 감지하는 단계;
    상기 이송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이송관의 복수 위치에 배치된 상기 감지 유닛의 배관 감지부가 상기 이송관의 복수 위치에 대한 두께 변화를 각각 감지하는 단계;
    상기 송출 감지부 및 상기 배관 감지부에 감지된 감지값을 제어 유닛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이송관의 현재 두께가 설정 두께 미만으로 감지되면 상기 펌프 유닛의 작동을 정지하는 단계;
    상기 제어 유닛이 상기 콘크리트의 송출 상태에 따른 상기 이송관의 두께 변화를 상기 이송관의 복수 위치에 따라 분석하는 단계;
    상기 이송관의 복수 위치 중에서 교체 부위와 교체 시점을 판단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 유닛의 분석 결과를 데이터 베이스 형태로 구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이송관의 시험 평가 장치의 제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의 송출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콘크리트의 송출량, 송출압력, 또는 송출속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하고,
    상기 이송관의 두께를 감지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이송관의 두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상기 이송관의 두께를 설정 시간 간격으로 감지하며,
    상기 이송관의 두께 변화를 분석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콘크리트의 송출량과 송출압력 및 송출속도에 따른 상기 이송관의 두께 변화에 대한 영향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이송관의 시험 평가 장치의 제어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를 계속적으로 순환시키는 단계 이전에 실시되고 상기 콘크리트의 설정 조합비 및 상기 이송관의 설정 두께를 상기 제어 유닛에 입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송관의 두께 변화를 분석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콘크리트의 조합비에 따른 상기 이송관의 두께 변화에 대한 영향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이송관의 시험 평가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170051602A 2017-04-21 2017-04-21 콘크리트 이송관의 시험 평가 장치 및 그 시험 평가 장치의 제어 방법 KR1019163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1602A KR101916304B1 (ko) 2017-04-21 2017-04-21 콘크리트 이송관의 시험 평가 장치 및 그 시험 평가 장치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1602A KR101916304B1 (ko) 2017-04-21 2017-04-21 콘크리트 이송관의 시험 평가 장치 및 그 시험 평가 장치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8376A KR20180118376A (ko) 2018-10-31
KR101916304B1 true KR101916304B1 (ko) 2018-11-08

Family

ID=64099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1602A KR101916304B1 (ko) 2017-04-21 2017-04-21 콘크리트 이송관의 시험 평가 장치 및 그 시험 평가 장치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63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51440A (zh) * 2020-05-14 2020-08-18 谷城大成机械有限公司 一种混凝土输送管耐磨、耐压的试验机及其操作方法
CN111998811B (zh) * 2020-07-07 2021-09-21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检测工装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17186A (ja) * 2005-07-05 2007-01-25 Babcock Hitachi Kk 流れ加速腐食減肉速度の算出方法及び余寿命診断法
KR101081402B1 (ko) * 2011-06-10 2011-11-08 케이티엠지 주식회사 콘크리트 압송 성능평가 시험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17186A (ja) * 2005-07-05 2007-01-25 Babcock Hitachi Kk 流れ加速腐食減肉速度の算出方法及び余寿命診断法
KR101081402B1 (ko) * 2011-06-10 2011-11-08 케이티엠지 주식회사 콘크리트 압송 성능평가 시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8376A (ko) 2018-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12989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slurry sand concentration and continuous calibration of metering mechanisms for transferring same
US20200307017A1 (en) Additive manufacturing printhead
CA2691689C (en) Method and system for calculating and reporting slump in delivery vehicles
EP2977163B1 (en) Concrete mixture measurement sensor and method
KR101916304B1 (ko) 콘크리트 이송관의 시험 평가 장치 및 그 시험 평가 장치의 제어 방법
US8444312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integral blending and storage of materials
JP2015510065A (ja) 流動性の媒体を調量する方法
JPH0642452A (ja) スラッジポンプ
CN114902021A (zh) 振动测量系统
CN115265726A (zh) 一种用于煤矿钻屑法的煤粉质量测量装置及测量方法
CN110094636A (zh) 一种装船或卸船流量计量系统
KR101976266B1 (ko) 가압 하 점성 슬러리류의 유동특성 변화 측정 실험장치 및 실험방법
CN110186531B (zh) 分析用液体监视装置
CN108716421B (zh) 一种井下可移动式注浆方法
JP2007055040A (ja) コンクリートホッパ
KR101188866B1 (ko) 유량 및 압력측정 기능을 갖는 우레탄 약액 주입기용 유량계
JP3183649U (ja) 可搬式給水装置
KR101969755B1 (ko) 콘크리트 펌프 압송량 측정장치
JP2017529982A (ja) 消防システムをテストするためのシステムと方法
KR20110000977A (ko) 사이로장치
JP7504824B2 (ja) フレッシュコンクリートの材料分離リスク評価装置及び評価方法
KR101195146B1 (ko) 오일 공급 장치
CN214191484U (zh) 一种木质纤维素投放装置
JP7499213B2 (ja) 粘性密度測定装置
CN216826062U (zh) 一种独立添加涂料助剂的涂料加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