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6280B1 - 논슬립 면 위생패드 - Google Patents

논슬립 면 위생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6280B1
KR101916280B1 KR1020180023075A KR20180023075A KR101916280B1 KR 101916280 B1 KR101916280 B1 KR 101916280B1 KR 1020180023075 A KR1020180023075 A KR 1020180023075A KR 20180023075 A KR20180023075 A KR 20180023075A KR 101916280 B1 KR101916280 B1 KR 1019162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tton
pad
sanitary
waterproof cover
sanitary nap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3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영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앤이바이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433000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916280(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앤이바이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앤이바이오텍
Priority to KR10201800230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62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6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6280B1/ko
Priority to AU2018274891A priority patent/AU2018274891A1/en
Priority to TW108102739A priority patent/TWI726277B/zh
Priority to CN201910085210.8A priority patent/CN110192952A/zh
Priority to EP19157984.6A priority patent/EP353024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5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203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 A61F13/15268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reus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6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ncircling the crotch region of the undergar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0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separable parts, e.g. combination of disposable and reus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4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4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 A61F13/51474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structure
    • A61F13/51476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structure being three-dimensional, e.g. embossed, textured, pleated, or with three-dimensional features, like gathers or loo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605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anitary napkins or the like
    • A61F13/561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anitary napkins or the like using flaps, e.g. adhesive, for attachment to the undergar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62Mechanical fastening means, ; Fabric strip fastener elements, e.g. hook and loo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203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 A61F2013/15276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wash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2013/5109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with high friction coefficient for fixation of the band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2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61F2013/51139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being woven or knitted fabric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면 내피, 흡수패드 및 방수커버가 순차로 적층되어 있는 본체와 본체로부터 양 측면으로 돌출된 한 쌍의 날개를 구비하는 면 위생패드에 있어서, 상기 양 측면으로 돌출된 한 쌍의 날개는 동일한 면으로 접힌 상태로 상호 체결되도록 체결 수단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면 위생패드는 방수커버가 속옷에 맞닿도록 배치되며, 상기 방수커버는 속옷과 맞닿는 면에 논슬립(Non-slip)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슬립(Non-slip) 면 위생패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논슬립 면 위생패드{Non-slip Cotton Sanitary Pad}
본 발명은 면 내피, 흡수패드 및 방수커버가 순차로 적층되어 있는 본체와 본체로부터 양 측면으로 돌출된 한 쌍의 날개를 구비하는 면 위생패드에 있어서, 상기 양 측면으로 돌출된 한 쌍의 날개는 동일한 면으로 접힌 상태로 상호 체결되도록 체결 수단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면 위생패드는 방수커버가 속옷에 맞닿도록 배치되며, 상기 방수커버는 속옷과 맞닿는 면에 논슬립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슬립(Non-slip) 면 위생패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일회용 생리대에 사용되는 화학물질인 고분자 흡수제의 인체에 대한 유해성 논란이 제기됨에 따라, 고분자 흡수제나 방수시트 등과 같은 화학제품을 사용하지 않고, 일회용품의 사용을 줄일 수 있는 면 생리대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기존의 일회용 생리대는 생리혈을 과량으로 흡수할 수 있고, 생리혈이 새지 않도록 하는 편의성에 포커스를 맞춰오면서, 화학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불가피하였다. 생리대는 생리혈을 흡수하는 흡수성분, 흡수성분을 감싸는 방수시트 및 인체에 직접 닿는 안감으로 구성되어 있다. 인체에 직접 닿는 안감은 인체 피부에 해를 입히지 않도록 부드럽고 촉감이 좋게 구성되었으나, 제조비용과 가공비용 측면에서 유리한 화학섬유를 사용함에 따라 유해한 휘발성 유기물질을 방출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일회용 생리대 안감은 일회용품의 특성 상 그 품질을 향상시키는데 한계가 있었으며, 이에 따라, 잘 풀어지는 내구성이 약한 소재를 사용하거나, 화학섬유 소재를 사용하여 이와 직접 접촉하는 피부부위에 발진을 일으키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일반적으로 생리대를 사용할 때, 짧게는 4일에서 길게는 10일 가량 생리대를 착용하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교체주기를 고려하더라도 피부에 계속적인 접촉에 의한 피부 발진이나 상처가 발생하는 문제도 있었다.
더욱이, 생리대를 속옷에 고정하기 위해 일회용품의 특성 상 가격대비 고정력이 우수하면서도 탈착이 우수한 유기화학물질로 이루어진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어서, 기존의 일회용 생리대의 유해성은 심각한 수준에 이르렀다.
이에 대한 반증으로, 다년간 일회용 생리대를 꾸준히 사용해온 많은 사용자들에게서 생리불순이나 아토피, 피부민감증 등의 다양한 증상들이 나타났다.
다양한 논문들과 실험 및 실제 사용자들의 의견을 통해, 일회용 생리대의 유해성은 계속 제기되어 왔으나, 일회용 생리대 자체의 품질을 개선을 기대하기 보다는 사용자 스스로 새로운 차선책으로서, 면 생리대에 주목하기 시작했다.
실제로 일회용 생리대를 사용하여 생리불순이나 피부민감증 등의 증상을 호소하던 사용자들은 면 생리대를 사용한 후에는 이러한 증상들이 현저히 감소됨을 느꼈다는 의견들이 사용자들의 사이에 퍼짐에 따라, 면 생리대의 인기는 더욱 급증하고 있는 상황이다.
면 생리대는 한번의 사용 후에 버리는 것이 아니고, 세탁에 의해 재사용이 가능한 생리대로서, 일회용 생리대의 안감을 면으로 대체하고, 특히, 생리혈의 흡수성분을 고분자 흡수제와 같은 유기물질이 아닌, 목화솜 등과 같은 인체에 무해한 천연성분으로 대체한 후, 여기에 천 소재의 방수커버로 구성된다. 따라서, 면 생리대는 생리대 안감, 흡수성분으로부터 유래되는 휘발성 유기물질의 발생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면 안감을 사용할 수 있어 피부를 손상시키지 않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함께, 면 안감을 사용하면, 사용자는 면 속옷과 동일한 촉감을 느낄 수 있으므로 사용감에 있어서도 시트소재를 포함하는 일회용 생리대에 비해 탁월한 장점이 있다.
한편, 일회용 생리대는 방수시트의 외면, 즉, 속옷과 맞닿는 부분에 접착 수단을 부착하여, 손쉽게 속옷에 착용하는 것이 용이하고, 특히, 생리대를 착용하고 움직이거나 활동하더라도 안정적으로 생리혈을 흡수할 수 있었으며, 생리혈이 새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었으나, 면 생리대는 소재의 특성 상 세탁을 통한 반복 사용을 전제로 하는 것이어서, 접착제 또는 양면테이프 등과 같이 일회용품에 적용할 수 있었던 접착 수단을 부가하는 것이 불가능한 한계가 있었다. 이에 면 생리대는 양 측면에 스냅 단추가 부착된 한 쌍의 날개를 구비하여 생리대가 대면하는 속옷 면의 타면에 날개가 위치하도록 접어 스냅 단추로 고정하였다.
다만, 상기 스냅단추를 구비한 날개로 생리대를 고정하는 경우, 날개가 돌출된 방향으로의 생리대의 유동은 어느정도 방지할 수 있으나, 날개가 돌출된 방향에 수직한 방향, 즉, 생리대를 착용한 상태에서 인체의 전면과 후면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단이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입식과 좌식활동이 잦은 현대 여성들은 생리혈이 후면부 즉, 엉덩이 쪽으로 새는 경우가 많으므로, 생리대가 전면방향으로 유동되는 경우에는 생리혈이 새는 문제가 더 자주 발생할 수 있다는 점에서, 면 생리대의 전후방향으로의 유동을 방지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
그럼에도 이를 해결하기 위한 면 생리대의 개발은 획기적이라 할만한 수준에 이르지는 못한 실정이어서, 면 생리대 사용자들로부터 걷기 등의 일상생활에서 또는 잠잘 때 뒤척이는 동작에서 패드가 전후로 유동하여 자주 생리혈이 새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0-0006783호는 탈부착 가능한 생리대로서, 생리혈을 흡수하는 흡수 패드와 흡수 패드의 하면에 결합되는 접착 부재를 구비하되, 접착 부재가 속옷의 내측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된 생리대를 제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접착부재는 한 쌍의 찍찍이거나, 양면테이프인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찍찍이의 경우, 또 다른 접착수단이나 재봉에 의해 속옷에 설치되어야 하는 것이므로, 특정 속옷(찍찍이가 설치된 속옷)과 특정 생리대를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일반 속옷에 부착 또는 고정함으로써 착용하는 것이 가능한 생리대의 편의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실용신안공보 제1995-0003985호는 밀착대를 형성한 생리대로서, 신체와 당접되는 흡수면의 양측에 밀착대를 유연하고 밀착성이 좋은 실리콘 등의 수지를 길이방향으로 도착경화 형성한 생리대에 관한 것으로서, 실리콘 소재의 밀착대가 신체에 맞닿게 함으로써, 생리대의 움직임을 고정시키는 생리대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고안은 기존의 일회용 생리대에 있어서 생리대의 고정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능성 생리대에 관한 것으로, 생리대의 밀착대가 인체(허벅지 등)와 맞닿아 생리대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면 생리대에 있어서는 인체에 유해물질이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신체와 맞닿는 부분이 면으로 이루어져 피부자극을 최소화하는 것에 면 생리대를 사용하는 의미가 있는 것이므로, 상기 고안은 면 생리대의 목적과 효과에 반하는 면이 있다. 특히, 면 생리대가 세탁하여 반복사용해야 하고, 세탁을 위해 수거 및 소지하는 것이 매우 불편함에도 불구하고, 여성들 사이에서 그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는 것은, 인체와 맞닿는 부분이 면 소재로 구성되고, 방수기능을 위한 방수시트 조차도 인체에 닿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에 있으므로, 실리콘 소재의 밀착대가 신체에 맞닿는 이상, 면 생리대에 적용하기에는 부적합한 면이 있다.
또한, 상기 고안에서는 생리대가 신체와 마찰을 일으킴에 따라 발생되는 피부 발진이나 상해를 방지하는 것을 발명의 특징으로 하고 있는 것이기는 하나, 생리대를 착용하는 내내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밀착대가 신체에 접촉되어 있는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므로, 최소한의 마찰은 발생된다는 점과 특히 실리콘은 마찰력이 높아 피부와 맞닿아 쓸림이 더욱 심하게 발생될 수 있다는 점 등의 문제점이 있다. 아무리 부드러운 소재의 실리콘이라고 할지라도, 3일 내지 10일 간 쉼없이 생리대를 착용하는 동안 신체에 접촉하고 있다면, 피부 손상이 발생할 수 밖에 없다.
더욱이, 면 생리대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은 면 생리대의 세탁의 번거로움 등의 일부 수고로움을 감수하고도 인체에 무해하고, 피부에 자극이 없으며, 면 속옷을 착용한 것과 동일한 사용감을 위해서 면 생리대를 선택하는 것이라는 점에서, 실리콘으로 구성된 밀착대과 피부의 당접에 의한 이물감이 수반되는 상기 밀착대를 면 생리대에 적용하는 것은 더욱 무리가 있다.
한편, 생리대와 유사한 기능을 갖는 요실금 패드와 기저귀에 있어서도 동일한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는 바, 사용 연령이 다소 높은 요실금 패드는 고연령자의 피부에서 각종 화학물질이 더욱 큰 손상을 입히는 심각한 문제들이 있어 면 소재로 구성된 위생패드의 사용량은 날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기존의 일회용 위생패드를 대체하여, 인체에 무해하며 반복 사용이 가능한 면 위생패드로서, 일회용 위생패드가 갖는 고정력 및 생리혈과 같은 피흡수물의 샘 방지 등을 위한 면 위생패드에 대한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다.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0-0006783호 실용신안공보 제1995-000398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인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수많은 실험과 연구를 반복한 끝에, 기존의 면 위생패드와 같이 면 내피, 흡수패브 및 방수커버가 순차로 적층되어 있고, 양 측면으로 돌출된 한 쌍의 날개가 형성되어 있는 형상의 면 위생패드에 있어서, 한 쌍의 날개에 의해 면 위생패드를 속옷에 고정함으로써, 상하 방향과 좌우방향의 유동을 방지하되, 속옷과 맞닿는 방수커버의 외면에는 논슬립 부재를 포함함으로써, 전후방향으로의 유동을 방지하여, 더욱 효과적으로 피흡수물이 새는 것을 방지하고, 인체 활동성을 확보할 수 있으면서도 신체에는 피부손상이나 발진 등과 같은 문제가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 하는,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논슬립 면 위생패드는, 면 내피, 흡수패드 및 방수커버가 순차로 적층되어 있는 본체와 본체로부터 양 측면으로 돌출된 한 쌍의 날개를 구비하는 면 위생패드에 있어서, 상기 양 측면으로 돌출된 한 쌍의 날개는 동일한 면으로 접힌 상태로 상호 체결되도록 체결 수단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면 위생패드는 방수커버가 속옷에 맞닿도록 배치되며, 상기 방수커버는 속옷과 맞닿는 면에 논슬립(Non-slip)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논슬립 부재는 실리콘 소재로 이루어지고 방수커버에 열융착된 것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상기 실리콘이 방수커버의 표면에, 연속된 하나의 층, 불연속적인 패턴층 또는 구획에 따라 연속된 층과 불연속적인 패턴층이 혼합된 층으로 열융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논슬립 부재는 방수커버 전면, 방수커버 중 본체부분 또는 방수커버 중 날개부분에 포함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논슬립 면 위생패드에 있어서, 양 측면으로 돌출된 한 쌍의 날개가 구비하는 체결 수단은 단추 또는 밸크로일 수 있으며, 상기 방수커버는 폴리우레탄 방수 코팅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논슬립 면 위생패드는 구체적으로 면 생리대 또는 면 요실금 패드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논슬립 면 위생패드는 면 소재의 내피를 사용하여, 위생패드 착용시 위생패드와 접촉되는 피부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천연소재의 생리혈(소변) 흡수패드를 포함함으로써, 유해물질을 방출하는 화학물질 위생패드를 대체할 수 있고, 세탁에 의한 재사용이 가능하여 일회용품 소비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면 위생패드를 고정하기 위한 한 쌍의 날개와 날개에 구비된 체결 수단으로 면 위생패드의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방수커버의 속옷과 맞닿는 면에 형성된 논슬립 부재를 추가로 구비함으로써, 신체에 접착이나 접촉없이도 면 위생패드의 전후방향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면 위생패드의 가능한 모든 방향의 유동성을 제한함으로써, 여성들이 착용하고 작은 동작 내지 큰 동작을 수반하는 움직임이 있거나 일상생활의 동작이 있더라도 생리혈이 새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과 본 발명에 따른 면 위생패드의 안쪽 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논슬립 면 위생패드의 바깥쪽 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논슬립 면 위생패드를 속옷에 착용한 전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서 A-A'을 따라 절단한 본 발명에 따른 논슬립 면 위생패드의 전후방향 수직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서 B-B'을 따라 절단한 논슬립 면 위생패드의 좌우방향 수직단면도이다;
도 7은 종래의 면 위생패드와 본 발명에 따른 논슬립 면 위생패드를 속옷에 착용한 상태에서의 좌우방향 유동성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8은 도 4에서 C-C'을 따라 절단한 논슬립 면 위생패드의 전후방향 수직단면도이다;
도 9는 종래의 면 위생패드와 본 발명에 따른 논슬립 면 위생패드를 속옷에 착용한 상태에서의 전후방향 유동성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0은 종래의 면 위생패드를 착용한 상태에서 좌우방향 유동성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논슬립 면 위생패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이하에서, 각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나, 이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다음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은 면 내피, 흡수패드 및 방수커버가 순차로 적층되어 있는 본체와 본체로부터 양 측면으로 돌출된 한 쌍의 날개를 구비하는 면 위생패드에 있어서, 상기 양 측면으로 돌출된 한 쌍의 날개는 동일한 면으로 접힌 상태로 상호 체결되도록 체결 수단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면 위생패드는 방수커버가 속옷에 맞닿도록 배치되며, 상기 방수커버는 속옷과 맞닿는 면에 논슬립(Non-slip)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슬립(Non-slip) 면 위생패드를 제공한다.
상기 면 내피, 흡수패드 및 방수커버는 순차로 적층된 상태에서 재봉이나 접착에 의해 적층된 상태로 고정된다. 본 발명과 면 위생패드의 사용 목적을 고려하여 재봉에 의해 각 구성이 적층된 상태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흡수패드는 천연소재의 흡수성분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솜이나 소정의 두께를 갖는 면 섬유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방수커버의 소재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시트나 직물 천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생리혈 또는 소변(피흡수물)을 흡수한 후의 흡수패드로부터 피흡수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방수성을 갖는 소재이면 무방하다.
바람직하게는, 직물 천에 방수 코팅된 것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폴리우레탄 방수 코팅된 것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논슬립 면 위생패드에 있어서, 상기 본체로부터 양 측면으로 돌출된 한 쌍의 날개는 날개가 동일한 방향으로 접힌 상태로 상호 체결되도록 체결 수단이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상세하게는, 한 쌍의 날개의 각각의 단부에 체결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면 위생패드가 속옷에 대면된 상태로 면 위생패드와 속옷이 대면한 면의 타면에 한 쌍의 날개가 접힌 후 체결 수단이 상호 체결됨에 따라 면 위생패드가 속옷에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의 유동이 제한된 상태로 고정되게 된다.
상기 체결 수단은 단추 또는 밸크로일 수 있고, 한 쌍의 날개 일부가 겹쳐진 상태에서 체결될 수 있도록 면 위생패드를 기준으로 한 쌍의 날개의 각각의 일면에 단추의 암수가 배치되도록 단추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체결 수단이 밸크로인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한 쌍의 날개의 각각의 일면에 밸크로 한 쌍을 각각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논슬립 면 위생패드는, 면 위생패드를 구성하는 방수커버가 속옷에 맞닿도록 배치되고, 상기 방수커버는 속옷과 맞닿는 면에 논슬립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방수커버가 속옷과 맞닿는 면에만 논슬립 부재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체결 수단에 의해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으로의 유동이 제한된 면 위생패드를 전후방향의 유동까지 제한함으로써, 면 위생패드 착용의 안정성과 착용하는 사람의 활동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입식 및 좌식 활동이 많은 현대 여성들에 있어서는, 후방으로 피흡수물이 새는 현상이 빈번하게 나타나는 바, 전후방향의 유동을 효과정으로 방지함으로써, 피흡수물이 새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논슬립 부재는 방수커버가 속옷과 맞닿는 면에 구비되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방수커버의 전면, 방수커버 중 본체부분 또는 방수커버 중 날개부분에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방수커버중 본체부분에 논슬립 부재를 구비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논슬립 부재는 면 위생패드가 속옷에 배치된 상태에서 전후방향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실리콘 소재로 이루어지고, 방수커버에 열융착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논슬립 부재는 연속된 하나의 층, 불연속적인 패턴층 또는 구획에 따라 연속된 층과 불연속적인 배턴층이 혼합된 층으로 열융착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논슬립 면 위생패드는 면 생리대 또는 면 요실금 패드일 수 있다.
이하, 도면을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자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종래기술과 본 발명에 따른 면 위생패드의 안쪽 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면 위생패드의 안쪽 면에는 면 소재의 면 내피(1)가 위치하며, 길이방향의 정중앙 부분인 본체와 본체로부터 양 측면으로 돌출된 한 쌍의 날개가 도시되어 있다.
한 쌍의 날개의 단부에는 암수 한 쌍의 단추(4, 4')가 구비되어 있고, 안쪽 면의 이면으로 접힌 상태에서 체결될 수 있도록 각 날개의 상이한 면에 암수 단추가 설치되어 있다. 편의상 도면에는 단추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밸크로 한쌍이 각 날개의 상이한 면에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 본체의 중앙 부분에는 면 내피 아래에 적층된 흡수패드(2)와 그 아래에 적층된 방수커버를 일체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봉제처리되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면 위생패드와 동일한 구성의 면 위생패드의 안쪽 면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고, 본 발명에 있어서도 도 1과 동일한 안쪽 면의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논슬립 면 위생패드의 바깥쪽 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도 1의 안쪽 면에는 면 내피(1), 도 2에 도시된 바깥쪽 면에는 방수커버(3)가 위치한다. 면 내피와 방수커버 사이에는 흡수패드(2)가 순차로 적층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깥쪽 면을 구성하는 방수커버(3)는 면 내피(1)와 동일한 사이즈로 형성되어, 흡수패드(2)에 흡수된 피흡수물 뿐만 아니라, 면 위생패드의 안쪽 면에서 흡수된 피흡수물이 속옷에 흐르거나, 외부로 새는 것을 방지한다.
도 2에 도시된 방수커버(3)는 속옷과 맞닿게 되며, 면 위생패드가 속옷으로부터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방수커버의 전면(3a+ 3b)에 논슬립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다만, 방수커버 중 본체부분(3a) 또는 방수커버의 날개부분(3b)에 논슬립 부재를 구비하는 경우에도 전후방향의 유동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논슬립 면 위생패드가 속옷에 착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논슬립 면 위생패드의 바깥쪽 면, 즉, 방수커버(3)가 위치하는 면은 속옷(5)과 맞닿도록 배치된다. 한 쌍의 날개가 속옷의 면 위생패드와 속옷이 맞닿는 면의 이면에서 체결됨으로써, 면 위생패드가 1차로 고정되어,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으로의 유동이 방지되고, 방수커버 외면에 구비된 논슬립 부재에 의해 전후방향의 유동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물론, 논슬립 부재가 전후방향의 유동만을 방지하는 것으로 기술되었으나, 좌우방향으로의 유동 또한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5는 도 1에서 A-A'을 따라 절단한 본 발명에 따른 논슬립 면 위생패드의 전후방향 수직단면도이다.
도 1과 도 5를 참조하면, 위로부터 면 내피, 흡수패드, 방수커버가 순차 적층된 상태로 재봉되어 있으며, 면 위생패드의 외주면은 마감재로 추가 재봉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흡수패드는 피흡수물이 가장 먼저 접촉되는 중앙부위에 위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면 내피와 방수커버와 동일한 사이즈로 구성하는 것도 무방하다.
방수커버가 흡수패드와 접촉하는 면의 이면에는 논슬립 부재가 위치되며, 도면에는 불연속적인 층으로 도시되었으나, 연속적인 하나의 층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은 도 4에서 B-B'을 따라 절단한 논슬립 면 위생패드의 좌우방향 수직단면도이다.
도 4와 도 6을 참조하면, 속옷이 인체와 맞닿는 부분에는 면 위생패드의 방수커버(3) 및 논슬립 부재(6)가 대면되도록 면 위생패드를 설치하고, 이의 타면에는 면 위생패드의 한 쌍의 날개가 접힌 상태로 체결 수단(4)에 의해 고정된다.
이에 따라, 면 위생패드가 속옷(5)에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고, 상하방향의 유동이 방지된다. 즉, 인체와 속옷면 사이에서 면 위생패드가 속옷면에 밀착되도록 유지된다.
도 7은 종래의 면 위생패드와 본 발명에 따른 논슬립 면 위생패드를 속옷에 착용한 상태에서의 좌우방향 유동성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면 위생패드가 구비하고 있는 한 쌍의 날개와 체결 수단에 의해 면 위생패드가 속옷에 고정될 뿐만 아니라, 본체의 좌우방향의 유동 또한 방지된다. 한 쌍의 날개와 체결 수단은 종래의 면 위생패드에도 구비된 구성으로서, 이로 인해 면 위생패드의 좌우방향의 유동과 상하방향의 유동이 방지되기는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면 위생패드는 방수커버의 외면, 즉, 면 위생패드가 속옷과 맞닿는 면에 논슬립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어, 좌우방향의 유동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위생패드는 피흡수물의 양과 사용자의 체구에 따라 크기나 모양을 달리하여 제작할 수 있기는 하지만, 휴대성과 피흡수물의 흡수 효율성 및 제조 용이성 측면에서 일반적인 면 위생패드의 크기와 모양를 그대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본 발명에 따른 면 위생패드는 기존의 면 위생패드의 크기와 모양을 유지하면서도 면 위생패드의 유동을 방지하여 피흡수물의 샘 문제를 개선하였다.
도 7에서는 종래의 면 위생패드와 본 발명에 따른 면 위생패드의 좌우방향의 유동성을 나타낸 모식도로서, 각각의 면 위생패드의 좌우방향의 유동성을 화살표로 나타내었다.
면 위생패드의 한 쌍의 날개와 체결 수단에 의한 면 위생패드 상면과 하면 압력 및 속옷과 방수커버 간의 마찰력은 종전의 면 위생패드와 동일 내지 유사한 수준인 반면, 본 발명에 따른 면 위생패드는 방수커버 표면에 논슬립 부재를 더 포함함으로써 논슬립 부재와 속옷과의 마찰력이 부가되어, 좌우방향의 유동이 크게 저감된다.
상기 논슬립 부재는 방수커버보다 속옷과의 마찰력이 높은 소재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고무, 실리콘 또는 폴리머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면 위생패드가 화학물질을 최대한 배제하여 인체에 유해성을 저감시키기 위한 것이라는 점을 고려한다면, 실리콘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논슬립 부재는 방수커버와 속옷 사이에 위치하여, 속옷과 논슬립 부재 간의 마찰력에 의해 면 위생패드의 유동성을 저감시킬 수 있는 것이면 무방하나, 일회용 위생패드와는 달리 화학성분으로 이루어진 접착제 또는 양면테이프 등의 사용을 배제하기 위한 면 위생패드의 사용 목적을 고려한다면, 접착수단의 부가 없이, 실리콘 부재를 방수커버 표면에 열융착하여 논슬립 부재를 부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수커버는 피흡수물의 재방출을 방지하기 위해 방수코팅된 소재를 사용하므로, 실리콘 부재가 방수커버 표면에 열융착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방수커버의 방수코팅은 수분을 포함하는 생리혈 또는 소변이 흡수패드로부터 재방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소재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폴리우레탄 방수 코팅된 것일 수 있다.
도 8은 도 4에서 C-C'을 따라 절단한 논슬립 면 위생패드의 전후방향 수직단면도이다.
면 위생패드를 구성하는 한 쌍의 날개와 체결 수단은 면 위생패드의 본체의 가운데 부분만이 속옷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을 뿐이어서, 면 위생패드의 전후방향의 유동성이 큰 문제가 있다.
종래의 면 위생패드와 본 발명에 따른 면 위생패드의 전후방향 유동성을 도 9에 나타냈다. 도 9는 종래의 면 위생패드와 본 발명에 따른 논슬립 면 위생패드를 속옷에 착용한 상태에서의 전후방향 유동성을 나타낸 모식도로서, 면 위생패드의 본체 가운데 부분만을 고정하는 한 쌍의 날개와 체결 수단은 본체의 앞부분과 뒷부분을 간접적으로 속옷에 고정할 뿐이므로 한 쌍의 날개와 체결 수단에 의한 면 생리대의 상면과 하면에 작용하는 압력이 거의 없다.
결국,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면 위생패드의 전후방향의 유동성은 더욱 크게 나타난다. 활동성이 크지 않은 앉거나 서는 동작, 가볍게 걷는 동작으로도 면 위생패드가 전후방향으로 유동하게 되어, 피흡수물이 면 위생패드가 아닌 속옷으로 흘러나오는 문제가 쉽게 발생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면 위생패드는 논슬립 부재를 구비함으로써, 논슬립 부재와 속옷의 마찰력이 부가됨에 따라 전후방향의 유동성이 크게 저감되는 효과가 있다.
도 10은 종래의 면 위생패드를 착용한 상태에서 좌우방향 유동성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의 면 위생패드에도 구비된 한 쌍의 날개와 체결 수단은 면 위생패드를 속옷에 고정하여, 상하방향의 유동과 좌우방향의 유동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면 위생패드의 한 쌍의 날개와 체결 수단은 면 위생패드의 가운데 부분만을 속옷에 직접 고정하는 수단이어서, 면 위생패드의 앞부분과 뒷부분을 직접 고정하지 못하고 간접적으로 고정하고 있을 뿐이어서, 면 위생패드의 앞부분과 뒷부분에서의 좌우방향의 유동성이 가운데 부분의 유동성에 비해 매우 큰 단점이 있었다.
주로 위생패드의 피흡수물이 새는 현상이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에서 나타났기 때문에 상기의 단점으로 인해 피흡수물이 새는 현상이 더욱 빈번하게 발생되었고, 이는 사용자가 면 위생패드의 사용을 꺼리는 가장 주된 원인으로 지적되었다.
일반적인 속옷의 형태 상으로, 면 위생패드의 앞부분과 뒷부분에 직접 고정수단을 구비하기는 어렵고, 일회용 위생패드가 접착제나 양면테이프를 이용하여 직접 고정수단을 구비할 수 있었던 것과는 달리, 면 위생패드는 일시적이고 단기적인 고정수단이자 인체에 유해한 접착제와 양면테이프를 채용하는 것이 불가능하였기 때문에 면 위생패드의 앞부분과 뒷부분의 유동성을 제한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면 위생패드는 논슬립 부재를 방수커버의 외면에 구비함으로써 면 위생패드와 속옷과의 마찰력을 더욱 증가시킴으로써 면 위생패드의 앞부분과 뒷부분의 유동성을 더욱 제한할 수 있어 피흡수물이 새는 현상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사용자의 면 위생패드 사용시의 이물감과 면 위생패드가 속옷과 일체되어 유동됨에 따라 착용감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논슬립 면 위생패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면 위생패드에 있어서 논슬립 부재는 방수커버의 표면에 부가되어 있는 것이면 그 형태나 면적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논슬립 부재의 부가에 의해 속옷과의 마찰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이면 무방하다.
예를 들면, 논슬립 부재는 방수커버의 전면에 연속된 하나의 층, 불연속적인 패턴층, 구획에 따라 연속된 층과 불연속적인 패턴층이 혼합된 층으로 열융착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1은 방수커버의 전면에 불연속적인 패턴층이 형성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논슬립 면 위생패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에서는 불연속적인 패턴으로 논슬립 부재가 방수커버 전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것으로 표현되어 있으나, 면 위생패드의 특정부위에만 위치하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욱 상세하게는, 방수커버 중 본체부분 또는 방수커버 중 날개부분에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방수커버 중 본체부분의 일부 또는 방수커버 중 날개부분의 일부에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자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면 생리대의 제조
<비교예>
다공성 순면(면 내피), 면 소재의 흡수체 시트(흡수패드), 폴리 우레탄 코팅처리된 순면(방수커버)로 구성된 생리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폴리 우레탄 코팅처리된 순면의 폴리 우레탄 코팅처리된 면의 전면에 실리콘 소재의 논슬립 부재를 열융착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와 동일한 구성과 방법으로 면 생리대를 제조하였다.
패널 테스트
1년간 비슷한 정도의 생리주기(평균 생리기간이 4~5일, 생리불순없이 연속적으로 생리한 경우 생리 첫 날과 다음 생리 첫 날 사이의 기간이 평균 27~29일)를 나타낸 것으로 조사된 20~50대의 여성 200 명 중 i) 면 생리대를 사용해 본 적이 없고, ii) 지난 1년 간 적어도 5회 이상 생리불순을 겪었으며 매 생리마다 생리통을 겪으며, iii) 생리기간 중의 생리량이 일회용 생리대(중형) 4~6개를 사용하는 여성 124명을 대상으로 다음과 같은 실험을 진행하였다.
3개월의 기간 동안 비교예의 면 생리대를 사용하게 한 후, 1차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이후 3개월의 기간동안 실시예의 면 생리대를 사용하게 한 후, 2차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각 설문조사 결과를 다음과 같이 나타내었다. 각 실험은 취침할 때를 제외하고, 모든 피실험자가 3시간(오차범위 30분 내외) 마다 중형크기의 생리대를 교체하는 조건을 준수하도록 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1차 설문조사>
1) 종래의 일회용 생리대를 사용하던 것과 비교하여, 비교예의 면 생리대를 사용한 후의 생리불순, 생리통, 피부증상 및 착용감의 차이를 평가하여 다음과 같이 1 ~ 5 점의 점수를 주도록 하고 이의 평균을 다음과 같이 나타내었다.
생리불순 개선여부 생리통 개선여부 피부증상 개선여부 착용감 편안함
평균점수 2.25 4.45 3.75 4.68 2.61
다수의견 생리주기와 생리기간이 일정해진 것으로 느껴짐(34 명) 첫 달에 생리통이 현저히 저감되었고, 3개월 사용 후 통증 거의 없음(55 명) 피부 가려움 없어짐(39 명) 속옷 착용한 느낌과 비슷함(88 명) 면 생리대의 뒷부분이 움직여서 신경쓰임(108 명)
(1: 차이없음 ~ 5: 확연한 차이를 느낌)
생리불순의 개선여부에 관해서는 비교예의 면 생리대의 사용기간이 3개월로 다소 짧아 개선여부의 차이를 크게 느끼지 못했으나 생리주기(생리기간의 첫 날과 다음 생리기간의 첫 날까지의 기간)와 생리기간이 과거에 생리불순이 없었을 때와 비슷한 수준으로 일정해진 것으로 느꼈다는 의견이 다수 의견으로 조사되었다.
생리통 개선여부는 첫 달 사용 시에 확연히 느꼈다는 의견이 많았는 바, 생리통 개선효과를 대부분의 사용자가 느꼈으며, 개선정도의 차이만이 있었다. 특히, 생리통 개선여부에 관한 질문에 대해서는 비교예의 면 생리대를 3개월 사용한 후 일회용 생리대를 사용한 경우와 대비하여 아무런 효과도 느끼지 못했다는 피실험자는 아무도 없었다.
피부증상 개선여부와 관련하여서는, 본 실험의 진행 전에 진행된 사전 조사에서 124명의 여성 모두가 가볍게는 가려움 증상, 심하게는 피부 발진과 짖무름까지 겪은 바 있다고 응답하였으나, 1차 설문조사 시에는 가려움 증상이 즉시 개선되었다는 다수의견을 비롯하여, 모든 피실험자가 피부증상의 개선이 있었다고 답변하였다.
착용감 개선여부에 관해서는, 면 내피로 이루어져 있어 속옷과 비슷한 촉감이라는 의견이 다수의견이었으나, 속옷과 비슷한 착용감에도 불구하고, 활동 시 면 생리대가 유동됨에 따라 동작에 불편함이 있었다는 의견이 있어 착용시의 편안함은 다소 떨어진다는 의견이 다수있었다.
그 외에, 기타 의견으로 종래 일회용 생리대를 사용하던 것과 비교하여, 생리 중 냄새 개선효과가 있었다는 의견이 대부분의 사용자들의 의견으로 있었다.
따라서, 비교예의 면 생리대가 기존의 일회용 생리대에 비해서 생리통, 피부증상 개선, 착용감 및 냄새 개선 등의 확연한 개선 효과를 가짐에도, 움직일 때 마다 면 생리대가 유동하는 문제점으로 인해 편안한 착용이 불가능하고, 나아가서는 생리혈이 새는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2) 종래의 일회용 생리대를 사용하던 것과 비교하여, 비교예의 면 생리대를 사용할 때 생리기간 중 생리혈이 새는 빈도와 생리혈이 새는 부분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이 나타내었다.
1회의 생리기간 중 생리혈의 샘 현상 평균 발생 횟수(/1일) 생리혈이 주로 새는 부분 생리혈 샘 현상이 발생되는 활동(중복응답있음)
종래 일회용 생리대 사용 시 비교예의 면 생리대 사용 시
0.4 회 2회 면 생리대 뒷부분(124 명) 앉아 있을 때(55명)
걸을 때(35 명)
잘 때(100 명)
다수의견 총 생리기간 중 평균적으로 약 2회 정도 샘 현상 있음 취침 시 생리혈 샘 현상 발생함(120 명)
상기 조사 결과를 참조하면, 종래의 일회용 생리대에 비해서 비교예의 면 생리대는 생리혈이 새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였으며, 이는 앞서 1)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면 생리대의 편안한 착용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취침 시의 자세와 무관하게, 취침 시 생리혈의 샘 현상이 대부분의 피실험자에게서 발생되었으며, 구체적으로는 면 생리대 뒷부분에서 생리혈이 새는 현상이 관찰되었는 바, 한 쌍의 날개와 체결 수단에 의한 직접 고정수단이 없는 면 생리대의 앞부분과 뒷부분은 전후방향의 유동성과 좌우방향의 유동성이 매우 크기 때문에 생리혈이 유출되는 부분에서 면 생리대가 벗어남에 따라 나타나는 현상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취침 시 이외에도 걷거나, 앉아있는 일상생활에서도 쉽게 생리혈이 새는 문제가 있었다.
<2차 설문조사>
1) 종래의 일회용 생리대를 사용하던 것과 비교하여, 비교예의 면 생리대 3개월, 실시예의 면 생리대 3개월, 총 6개월간 면 생리대를 사용한 후의 생리불순, 생리통, 피부증상 및 착용감의 차이를 평가하여 다음과 같이 1 ~ 5 점의 점수를 주도록 하고 이의 평균을 다음과 같이 나타내었다.
생리불순 개선여부 생리통 개선여부 피부증상 개선여부 착용감 편안함
평균점수 4.00 4.68 4.25 4.83 4.83
다수의견 생리주기와 생리기간이 일정해진 것으로 느껴짐(81 명) 첫 달에 생리통이 현저히 저감되었고, 6개월 사용 후 통증 거의 없음(93 명) 피부 가려움 없어짐(89 명) 속옷 착용한 느낌과 비슷함(92 명) 면 생리대의 뒷부분이 움직임이 현저히 감소됨(112 명)
(1: 차이없음 ~ 5: 확연한 차이를 느낌)
2) 비교예의 면 생리대를 사용하던 것과 비교하여, 실시예의 면 생리대를 사용할 때 생리기간 중 생리혈이 새는 빈도와 생리혈이 새는 부분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이 나타내었다.
1회의 생리기간 중 생리혈의 샘 현상 평균 발생 횟수(/1일) 생리혈이 주로 새는 부분 생리혈 샘 현상이 발생되는 활동(중복응답있음)
비교예의 면 생리대의 사용 시 실시예의 면 생리대의 사용 시
2회 0.5 회 면 생리대 뒷부분(68 명) 잘 때(62 명)
앉아 있을 때(24명)
다수의견 취침 시 생리혈 샘 현상 발생함(120 명) 총 생리기간 중 평균적으로 약 2~3회정도 샘 현상 있음
2차 설문조사에서 생리불순, 생리통, 피부증상, 착용감 및 편안함은 모두 종래의 일회용 생리대를 사용하던 때보다 개선된 것으로 느낀 피실험자가 증가하였으며, 각 평균점수 또한 전반적으로 증가된 것으로 평가되었다.
특히, 생리불순, 생리통 및 피부증상의 개선효과는 면 생리대를 사용하는 주된 이점으로서, 장기간 면 생리대를 사용함에 따라 얻어지는 효과라고 예상해 볼 수 있겠으나, 착용감과 편안함에 있어서는 비교예의 면 생리대에 비해서 현저히 개선된 효과를 느꼈다고 답변한 경우가 많았다. 이는 실시예의 면 생리대의 사용에 앞서, 실리콘 소재의 논슬립 부재가 없는 비교예의 면 생리대의 사용시의 불편함을 느낀 직후에 실시예의 면 생리대를 사용해서 더욱 높은 점수로 평가받은 것으로 파악된다.
이러한 사용 순서에 따른 상대적인 효과를 감안하더라도, 대부분의 피실험자들이 실시예의 면 생리대가 속옷과 분리되어 별도로 유동되는 일이 극히 드물었고, 이에 따라 착용감이 매우 좋아졌다는 의견과 함께 높은 개선 점수를 주었는 바, 논슬립 부재의 부가에 따른 면 생리대의 유동성 억제 효과는 착용감과 착용시의 편안함을 현저히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상기 2차 설문조사의 2)에서도 일 평균 생리혈의 샘 현상이 발생되는 횟수가 거의 1/4회 수준으로 현저히 감소되어, 종래의 일회용 생리대를 사용하는 것과 동일한 수준으로 생리혈의 샘 현상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비교예의 면 생리대를 사용할 때 생리혈이 새는 부분이 주로 면 생리대의 뒷부분, 즉, 엉덩이 부분에서 발생되었고, 취침 중, 앉아 있을 때, 걸을 때 등의 모든 활동에서 생리혈의 샘 현상이 관찰되었다는 1차 설문조사 결과에 비해, 걸을 때의 샘 현상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앉아 있을 때와 취침 시의 샘 현상이 관찰되었다는 피실험자의 수도 크게 감소되었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면 생리대와 같이 속옷과 대면하는 방수커버의 외면에 논슬립 부재를 포함함으로써, 면 생리대의 전후방향의 유동이 방지되고, 면 생리대의 앞부분과 뒷부분의 좌우방향의 유동이 방지되어 생리혈의 샘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착용시의 착용감과 편안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면 내피, 흡수패드 및 방수커버가 순차로 적층되어 있는 본체와 본체로부터 양 측면으로 돌출된 한 쌍의 날개를 구비하는 면 위생패드에 있어서,
    상기 양 측면으로 돌출된 한 쌍의 날개는 동일한 면으로 접힌 상태로 상호 체결되도록 체결 수단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면 위생패드는 방수커버가 속옷에 맞닿도록 배치되며,
    상기 방수커버는 속옷과 맞닿는 면에 논슬립(Non-slip)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논슬립 부재는 실리콘 소재로 이루어지고, 방수커버에 열융착된 것이며,
    상기 체결 수단은 단추 또는 밸크로이고,
    상기 방수커버는 폴리우레탄 방수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슬립(Non-slip) 면 위생패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논슬립 부재는 방수커버 전면, 방수커버 중 본체부분 또는 방수커버 중 날개부분에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슬립 면 위생패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논슬립 부재는 방수커버의 표면에,
    연속된 하나의 층, 불연속적인 패턴층 또는 구획에 따라 연속된 층과 불연속적인 패턴층이 혼합된 층으로 열융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슬립 면 위생패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면 위생패드는 면 생리대 또는 면 요실금 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슬립 면 위생패드.
KR1020180023075A 2018-02-26 2018-02-26 논슬립 면 위생패드 KR1019162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3075A KR101916280B1 (ko) 2018-02-26 2018-02-26 논슬립 면 위생패드
AU2018274891A AU2018274891A1 (en) 2018-02-26 2018-12-05 Non-slip cotton sanitary pad
TW108102739A TWI726277B (zh) 2018-02-26 2019-01-24 防滑棉布衛生墊
CN201910085210.8A CN110192952A (zh) 2018-02-26 2019-01-29 防滑棉布卫生垫
EP19157984.6A EP3530244B1 (en) 2018-02-26 2019-02-19 Non-slip cotton sanitary pa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3075A KR101916280B1 (ko) 2018-02-26 2018-02-26 논슬립 면 위생패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6280B1 true KR101916280B1 (ko) 2018-11-08

Family

ID=64330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3075A KR101916280B1 (ko) 2018-02-26 2018-02-26 논슬립 면 위생패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3530244B1 (ko)
KR (1) KR101916280B1 (ko)
CN (1) CN110192952A (ko)
AU (1) AU2018274891A1 (ko)
TW (1) TWI726277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1921B1 (ko) * 2020-05-22 2020-11-23 주식회사 제일포리텍 논슬립 필름이 부착된 위생 패드
KR20210020346A (ko) * 2019-08-14 2021-02-24 마마나스협동조합 면 생리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05751U1 (ru) * 2020-11-30 2021-08-06 Андрей Александрович Кулешов Многоразовая гигиеническая прокладка
TWI752817B (zh) * 2021-02-04 2022-01-11 三雨國際股份有限公司 可重複使用的環保衛生棉
WO2022218820A1 (en) * 2021-04-15 2022-10-20 Lastobject Aps Reusable menstrual pa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05081A (ja) * 2002-04-15 2003-10-28 Creative Kamiya Kk 使い捨て衛生物品
KR200360798Y1 (ko) 2004-06-10 2004-09-01 박옥자 생리대
KR200399579Y1 (ko) 2005-06-02 2005-10-26 정유진 사상체질에 맞는 색상으로 염색한 염색층과 한약재를 내장한 생리대
KR101722340B1 (ko) 2015-12-04 2017-04-11 이영주 다회용 여성 생리대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73987A (en) * 1985-03-27 1986-03-04 Kw Marketing Incorporated Reusable multi-layered diaper with wicking action
KR870008000A (ko) * 1986-02-05 1987-09-23 하루히사 혼조 미끄럼 방지재
JPH0831223B2 (ja) 1986-06-13 1996-03-27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のモード処理回路
MY100464A (en) * 1986-09-17 1990-10-15 Kao Corp Absorbent article.
US7976525B2 (en) * 2008-02-13 2011-07-1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ompound absorbent article with improved body contact
KR200462367Y1 (ko) 2008-12-24 2012-09-10 박희목 탈부착 가능한 생리대
CN201642584U (zh) * 2010-03-11 2010-11-24 尧鹏 可机洗卫生防护垫
CN201920402U (zh) * 2010-11-10 2011-08-10 刘家陈 布垫的改良结构
JP6172885B2 (ja) * 2011-12-28 2017-08-0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褥瘡予防の手段を有する使い捨ておむつ
CN202751511U (zh) * 2012-08-10 2013-02-27 肖传 一种可重复使用的卫生巾
CN203749708U (zh) * 2014-01-23 2014-08-06 康娜 嵌入式可循环使用卫生巾
CN105581870A (zh) * 2014-10-20 2016-05-18 利发卫生用品(天津)有限公司 一种纯棉卫生巾
JP6186424B2 (ja) * 2015-12-28 2017-08-2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及び、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CN105748206A (zh) * 2016-04-29 2016-07-13 欧阳年沣 一种可重复使用的吸收性护理用品
CN205849630U (zh) * 2016-06-19 2017-01-04 中国人民解放军第四军医大学 一种妇科用防滑防渗漏垫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05081A (ja) * 2002-04-15 2003-10-28 Creative Kamiya Kk 使い捨て衛生物品
KR200360798Y1 (ko) 2004-06-10 2004-09-01 박옥자 생리대
KR200399579Y1 (ko) 2005-06-02 2005-10-26 정유진 사상체질에 맞는 색상으로 염색한 염색층과 한약재를 내장한 생리대
KR101722340B1 (ko) 2015-12-04 2017-04-11 이영주 다회용 여성 생리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0346A (ko) * 2019-08-14 2021-02-24 마마나스협동조합 면 생리대
KR102255916B1 (ko) 2019-08-14 2021-05-25 마마나스협동조합 면 생리대
KR102181921B1 (ko) * 2020-05-22 2020-11-23 주식회사 제일포리텍 논슬립 필름이 부착된 위생 패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30244A1 (en) 2019-08-28
CN110192952A (zh) 2019-09-03
EP3530244B1 (en) 2023-04-05
TW201936140A (zh) 2019-09-16
TWI726277B (zh) 2021-05-01
AU2018274891A1 (en) 2019-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6280B1 (ko) 논슬립 면 위생패드
US6753455B2 (en) Absorbent core attachment
US11382802B2 (en) Non-slip cotton sanitary pad
US5464402A (en) Absorbent garment with conformable pads
US20130226125A1 (en) Flexible reusable outer covers for disposable absorbent inserts
MX2007014001A (es) Laminado elastico.
KR20010053447A (ko) 편재된 흡수 코어를 포함하는 일회용 언더팬츠
TW201306811A (zh) 具有非對稱吸收量的吸收墊及包括該吸收墊的吸收性物品
KR101292763B1 (ko) 요실금 팬티
WO2011102428A1 (ja) 使い捨て着用物品
US20230051812A1 (en) Anti-stain absorption pad for underpants and underpants comprising the same
KR20040033628A (ko) 분비물 흡수용 팬티
JP7298059B2 (ja) 吸収性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80028370A1 (en) Washable Reusable Catamenial Napkin Pad
KR20200109691A (ko) 흡수재 교체가 가능한 재사용 가능 위생용품
US20240065902A1 (en) Undergarment having removable absorbent liner
CN219049173U (zh) 一种内裤式卫生巾
CN220309298U (zh) 吸收性防污裤
KR20100098020A (ko) 생리대
KR200323823Y1 (ko) 엠보싱 흡수재부를 구비한 일회용 기저귀
Hidayah et al. Underpants for hemorrhoid patients: Comfort tests based on fabric touch and moisture management properties
KR200381910Y1 (ko) 벨크로식 라이너 교체형 우유단백질 섬유 생리대
JP2005137587A (ja) おむつ
KR20210121896A (ko) 흡수재 교환이 가능한 실리콘 생리대
KR200469112Y1 (ko) 남성용 기능성 내복 하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00002681;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10907

Effective date: 20220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