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6182B1 - Logical block - Google Patents

Logical blo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6182B1
KR101916182B1 KR1020170083214A KR20170083214A KR101916182B1 KR 101916182 B1 KR101916182 B1 KR 101916182B1 KR 1020170083214 A KR1020170083214 A KR 1020170083214A KR 20170083214 A KR20170083214 A KR 20170083214A KR 101916182 B1 KR101916182 B1 KR 1019161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output
port
logic
log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32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종태
Original Assignee
김종태
(주)토포보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태, (주)토포보코리아 filed Critical 김종태
Priority to KR1020170083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618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6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618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06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 G09B23/1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for electricity or magnetism
    • G09B23/183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for electricity or magnetism for circuits
    • G09B23/185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for electricity or magnetism for circuits for building block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42Mechanical, electrical, optical, pneumatic or hydraulic arrangements; Mo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317Testing of digital circuits
    • G01R31/3177Testing of logic operation, e.g. by logic analys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200/00Computerized interactive toys, e.g. doll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gic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physical sensors and operating devices are simply connected to the logic block, which has the same shape as a toy block, to create an application device, thereby allowing young students to interestingly learn about a logic circuit. The logic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input connection ports; a plurality of output connection ports; a processor performing a logical operation using a value input through the plurality of input connection ports and outputting the logical operation result value to the plurality of output connection ports; and a case covering the input connection ports, the output connection ports, and the processor while exposing the input connection ports and the output connection ports to the outside.

Description

논리블록{Logical block}Logical block

본 발명은 논리블록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완구용 블록과 같은 형태의 논리블록에 다양한 물리센서와 동작장치를 간편하게 접속시켜 응용 장치를 만들 수 있도록 함으로써, 논리 회로를 흥미롭게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gic block,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lication device by connecting various physical sensors and an operation device to a logical block of the same type as a toy block, Technology.

한 가지 이상의 논리값에서 새로운 논리값을 얻는 것을 논리연산이라 하며, 논리연산을 하는 전자회로를 논리회로, 논리연산의 기본이 되는 소자를 논리소자라 한다. 이러한 논리소자는 트랜지스터나 다이오드 등을 이용한 반도체 칩 형태로 제작되며 다양한 디지털 기기에 필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Obtaining a new logical value from more than one logical value is called a logical operation. An electronic circuit that performs logical operation is called a logic circuit, and a device that is the basis of logical operation is called a logic circuit. These logic devices are fabricated in the form of semiconductor chips using transistors or diodes and are used in various digital devices.

또한 대학 실험실에서도 반도체 칩 형태의 논리소자를 이용하여 기초적인 실험을 진행함으로써, 논리회로의 이해를 돕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기판에 반도체 칩 형태의 논리소자를 직접 조립하는 방식으로 실험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기판의 배선 연결을 이해하고, 노드의 개념도 알아야하기 때문에 어린 초등학생들이 학습하기에는 무리가 있다.Also, in university laboratories, basic experiments are carried out using logic chips in the form of semiconductor chips to help understand logic circuits. However, in order to carry out the experiment by directly assembling logic elements in the form of a semiconductor chip on a substrate, it is difficult for you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learn becaus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wiring of the substrate and the concept of the node.

즉 프로그램의 기본이 되는 논리회로를 어린 학생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학습 방법이 필요한데, 기존의 반도체 칩 형태의 논리소자는 어린 학생들이 다루기에는 어려운 문제가 있다.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have a learning method that makes it easy for younger students to understand the logic circuit that is the basis of the program. The conventional semiconductor chip type logic device has a problem that is difficult for young students to handle.

한편, 논리소자를 이용한 학습 및 실습에 관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291573호(2001.03.13. '프로그램 가능한 논리소자를 이용한 통신실습 장치') 등이 있다.On the other hand, Korean Patent No. 10-0291573 (Mar. 13, 2001 'Communication Practice Device Using Programmable Logic Device') is known as a conventional technology related to learning and practice using logic devices.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완구용 블록과 같은 형태의 논리블록에 다양한 물리센서와 동작장치를 간편하게 접속시켜 응용 장치를 만들 수 있도록 함으로써, 논리 회로를 흥미롭게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art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ogic circuit capable of easily connecting various physical sensors and operation devices to a logic block, The goal is to provide a technique that allows students to learn in an interesting wa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논리블록은, 하나 이상의 입력접속구; 하나 이상의 출력접속구; 상기 입력접속구를 통해 입력되는 값을 이용해 논리 연산을 수행하여 상기 출력접속구로 상기 논리 연산 결과 값을 출력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입력접속구 및 상기 출력접속구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입력접속구, 출력접속구 및 프로세서를 덮어 보호하는 케이스;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logic block comprising: at least one input port; At least one output connection port; A processor for performing a logical operation using a value input through the input port and outputting the logical operation result to the output port; And a case that covers and protects the input connection port, the output connection port, and the processor so that the input connection port and the output connection port are exposed to the outside.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입력접속구를 통해 입력되는 값에 따라 기 설정된 논리 연산을 수행하여 결과 값을 출력하는 연산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processor may include arithmetic means for performing a predetermined logic operation according to a value input through the input port and outputting a result value.

또한,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논리선택버튼;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논리선택버튼의 입력에 따라 상기 연산수단의 논리 연산 기준을 설정하는 논리설정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 logic selection button provided so as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wherein the processor further comprises logical setting means for setting a logical operation reference of the calculation means in accordance with an input of the logical selection button .

또, 상기 연산수단의 논리 연산 기준이 무엇인지 알리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논리선택버튼의 입력에 따라 상기 연산수단의 논리 연산 기준이 무엇인지 알릴 수 있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표시부제어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unit for informing what the logic operation standard of the operation unit is, and the processor controls the display unit to inform the logic operation standard of the operation unit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logic select button And display unit control means.

또, 상기 출력접속구 인근에 설치되는 출력반전버튼;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연산수단에서 출력되는 결과 값을 상기 출력접속구를 통해 출력되도록 처리하되, 상기 출력반전버튼의 입력이 있을 경우 상기 출력반전버튼의 입력이 발생한 출력접속구의 출력값은 반전시켜 출력 처리하는 출력제어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rocessor further includes an output inversion button provided in the vicinity of the output connection port, wherein the processor processes the output value output from the calculation unit to output through the output connection port, and when the output inversion button is input And output control means for inverting and outputting an output value of an output connection port where an input of the output inversion button is generated.

또,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입력접속구를 통해 입력되는 값을 상기 연산수단으로 입력시키되, 상기 입력접속구를 통한 연결 유무를 확인하는 입력제어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산수단은 상기 입력제어수단에서 연결이 없는 입력접속구를 확인하였을 경우, 연결이 없는 입력접속구의 값은 제외하고 논리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The processor may further include input control means for inputting a value input through the input connection port to the calculation means and confirming whether or not the connection is made through the input connection port, If an input port without a connection is identified, the logic operation can be performed except for the value of the input port without a connection.

또,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입력접속구를 통해 입력되는 값을 상기 연산수단으로 입력시키되, 상기 입력접속구를 통한 연결 유무를 확인하여 연결이 없는 입력접속구가 확인되면, 상기 연산수단의 현재 설정된 논리 연산 기준에 따라 상기 연결이 없는 입력접속구의 입력값을 특정값으로 고정시키는 입력제어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rocessor may be configured to input a value input through the input port to the calculation unit and to check whether the port is connected through the input port, And input control means for fixing the input value of the input port without connection according to a specific value.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다양한 물리센서와 동작장치를 본 발명에 따른 논리블록과 연결 사용함으로써, 흥미롭게 논리회로의 기본 개념을 이해할 수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understand the basic concept of the logic circuit by connecting various physical sensors and operation devices to the logic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즉 기존에도 사용자는 물리센서 및 동작장치들의 조합으로 다양한 응용 기기를 만들 수 있었지만, 물리센서와 동작장치의 일대일 연결이 아닌, 여러 물리센서의 조건과 동작장치들의 동작 조건을 특정하게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고난도의 프로그래밍 지식을 통한 설계가 필요하였다.In other words, in the past, the user could make various application devices by a combination of the physical sensors and the operation devices. However, in order to specifically satisfy the conditions of the various physical sensors and the operation conditions of the operation devices other than the one- It was necessary to design through the programming knowledge of.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논리블록을 이용한다면, 사용자 의도에 따라 논리블록에 다양한 물리센서와 동작장치를 연결하고, 논리선택버튼을 통해 AND, OR, NOT, NAND, NOR, XAND(exclusive And), XOR(exclusive OR) 등의 연산 기준을 설정함으로써, 간단하게 조건문을 만족시킨 응용기기를 완성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논리회로의 개념을 쉽고 재미있게 학습할 수가 있는 것이다.However, if the logical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various physical sensors and operation devices may be connected to the logical block according to the user's intention, and logical AND operation may be performed through the logical select button to select AND, OR, NOT, NAND, By setting an operation standard such as XOR (exclusive OR), it is possible to complete an application device that satisfies a conditional statement simply, and thereby, the concept of the logic circuit can be learned easily and amusingl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논리블록은 단순히 물리센서나 동작장치의 접속을 간편하게 하는 것 뿐만 아니라, 사용자 명령에 따라 연산 기준이 재설정될 수 있어서, 수많은 논리소자들을 구입하지 않더라도 몇 개의 논리블록만으로도 복잡한 논리회로를 완성시킬 수 있으며, 특히 출력반전버튼을 통해 하나의 논리블록이 AND와 NAND 연산을 동시에 수행(또는 OR와 NOR 연산을 동시 수행)토록 할 수도 있어서, 응용 범위가 더욱 광범위하다.The logical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simplifies the connection of the physical sensor or the operation device but also allows the operation standard to be reset according to the user command so that even if a large number of logic elements are not purchased, The circuit can be completed, and in particular, one logical block can simultaneously perform AND and NAND operations (or perform both OR and NOR operations simultaneously) through the output reversal button, and thus the application range is broader.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논리블록은 입력제어수단이 입력접속구에 입력되는 장치, 즉 물리센서들의 연결 유무를 확인하고, 연결이 되지 않거나, 특정 물리센서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고 있다면, 연산수단에서 연결이 없는 해당 입력접속구의 값을 사용하지 않도록 처리하거나, 연산수단의 설정 기준에 따라 특정 입력값이 고정되도록(AND 연산일 경우 1의 입력값으로 고정, OR 연산일 경우 0의 입력값으로 고정)함으로써, 연결이 없는 입력접속구가 연산 결과에 영향을 끼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기존의 반도체 칩이 탑재된 형태로 논리블록을 제작한다면, 반드시 입력접속구 모두를 활용해야 했겠지만, 본 발명에서는 논리블록이 소프트웨어적으로 작동하는 것이기 때문에, 특정 입력접속구의 연결이 없더라도 자동으로 논리 연산이 올바르게 수행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logic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hecks whether or not the input control unit inputs the input device, that is, the physical sensors, and if the physical sensor is not operating normally or the connection is not established, (Or fixed to an input value of 1 in the case of an AND operation and fixed to an input value of 0 in the case of an OR operation) in accordance with the setting reference of the computing means ,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input connection without connection from affecting the calculation result. In other words, if a logic block is manufactured in a form in which an existing semiconductor chip is mounted, it is necessary to utilize all of the input connection ports. However, since the logic block operates in software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one correctly.

도1 및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논리블록을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3은 도1 및 도2에 도시된 논리블록의 기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4는 도1 및 도2에 도시된 논리블록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5 및 도6은 도1 및 도2에 도시된 논리블록의 적용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7 및 도8은 도1 및 도2에 도시된 논리블록의 다른 적용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logical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ubstrate of the logic block shown in Figs. 1 and 2. Fig.
4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logical block shown in Figs. 1 and 2. Fig.
5 and 6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pplication examples of the logical block shown in Figs. 1 and 2. Fig.
Figs. 7 and 8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other application example of the logical block shown in Figs. 1 and 2. Fig.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일부 구성은 생략 또는 압축할 것이나, 생략된 구성이라고 하여 반드시 본 발명에서 필요가 없는 구성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some configurations which are not related to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omitted or compressed, but the configurations omitted are not necessarily those not necessary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y may be combined by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논리블록을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2는 도1에 도시된 논리블록을 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3은 도1 및 도2에 도시된 논리블록에서 케이스 내에 설치된 기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4는 도1 및 도2에 도시된 논리블록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logic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ogic block shown in FIG. 1, and FIG. Fig. 4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logical block shown in Figs. 1 and 2. Fig.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논리블록(10)은 케이스(11,12), 논리선택버튼(13), 표시부(14), 기판(17), 입력접속구(15a,15b,15c), 출력접속구(16a,16b,16c), 출력반전버튼(16ai,16bi,16ci) 및 프로세서(18)를 포함한다.1 to 4, a logic block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11, a logic select button 13, a display 14, a substrate 17, Output connection ports 16a, 16b, and 16c, output inversion buttons 16ai, 16bi, and 16ci, and a processor 18, as shown in FIG.

논리블록(10)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11,12)는 대략 완구용 블록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나, 그 형태에 제약이 따르지는 않는다. 전면케이스(11)와 후면케이스(12)로 이루어진 케이스(11,12) 내부에는 논리블록(10)의 다른 구성품들이 실장되며, 외부로 입력접속구(15a,15b,15c), 출력접속구(16a,16b,16c), 출력반전버튼(16ai,16bi,16ci) 및 표시부(14)가 노출되어 있다.The cases 11 and 12 forming the outer appearance of the logic block 10 may be made in the form of a toy block, but the form thereof is not limited. Other components of the logic block 10 are mounted inside the cases 11 and 12 including the front case 11 and the rear case 12 and the input connection ports 15a, 15b and 15c and the output connection ports 16a, 16b, and 16c, output inversion buttons 16ai, 16bi, and 16ci, and the display unit 14 are exposed.

논리선택버튼(13)은 논리블록(10)이 어떠한 논리 연산을 수행토록 하는지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입력수단이다. 이러한 논리선택버튼(13)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으며, 스위치나 다이얼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다. 즉 사용자는 논리선택버튼(13)의 조작을 통해 논리블록(10)이 AND 게이트, OR 게이트, NOT 게이트, NAND 게이트, NOR 게이트, XAND 게이트, XOR 게이트 중 어느 하나로 작동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The logical selection button 13 is an input means for allowing the user to input what logical operation the logical block 10 is to perform. The logic selection button 13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button as shown in the figure, or may be fabricated in the form of a switch or a dial. That is, the user can set the logic block 10 to operate as any one of AND gate, OR gate, NOT gate, NAND gate, NOR gate, XAND gate and XOR gate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logic selection button 13. [

표시부(14)는 논리선택버튼(13)의 입력에 따라 현재 설정된 연산 기준이 무엇인지, 즉 논리블록(10)이 다양한 논리소자 중 어떤 논리소자의 기능을 수행하는지 표시하기 위한 수단이다. 이러한 표시부(14)는 케이스(11,12) 일부분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형태로 제작될 수 있고, 논리선택버튼(13) 내에 탑재된 LED램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즉, 논리선택버튼(13)을 한번 누르면 논리선택버튼(13)에 붉은색 램프가 들어와 AND 게이트 상태임을 알리고, 한번 더 누르면 푸른색 램프가 들어와 OR 게이트 상태임을 알려 표시부(14)의 기능을 수행토록 하는 것이다.The display unit 14 is a means for indicating what sorting criterion is currently set in accordance with the input of the logical selection button 13, that is, which logic device 10 performs the function of which of the various logic devices. The display unit 14 may be formed as a display mounted on a part of the case 11 or 12 and may be implemented as an LED lamp mounted in the logic selection button 13. [ That is, when the logic selection button 13 is pressed once, a red color lamp is inputted to the logic selection button 13 to inform that it is an AND gate state, and when it is pressed again, a blue color lamp is inputted, It is.

기판(17)은 입력접속구(15a,15b,15c), 출력접속구(16a,16b,16c) 및 프로세서(18)를 탑재하기 위해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논리블록(10)을 전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전면케이스(11)의 왼쪽으로 입력접속구(15a,15b,15c)가 노출되고, 오른쪽으로 출력접속구(16a,16b,16c)가 노출되도록 각 접속구(15a,15b,15c,16a,16b,16c)가 기판(17)에 설치되어 있다.The board 17 is provided for mounting the input connection ports 15a, 15b and 15c, the output connection ports 16a, 16b and 16c and the processor 18. The input connection ports 15a, 15b and 15c are exposed on the left side of the front case 11 and the output connection ports 16a, 16b and 16c are exposed on the right side when the logic block 10 is viewed from the front. The connection ports 15a, 15b, 15c, 16a, 16b, and 16c are provided on the substrate 17. [

입력접속구(15a,15b,15c)에는 특정 물리적 조건에 도달하면 정해진 신호를 출력하는 물리센서가 연결되고, 출력접속구(16a,16b,16c)에는 다양한 동작장치들이 연결된다. 예컨대 입력접속구(15a,15b,15c)에 연결되는 물리센서는 음압센서, 거리센서, 조도센서, 습도센서, 온도센서 등이 있을 수 있고, 동작장치로는 발광램프, 주행모터, 오디오, LED촛불, 디스플레이 등이 있을 수 있다. 이 외에도 물리센서 및 동작장치의 응용예는 매우 다양하다.A physical sensor for outputting a predetermined signal is connected to the input connection ports 15a, 15b and 15c when a specific physical condition is reached, and various operation devices are connected to the output connection ports 16a, 16b and 16c. For example, the physical sensors connected to the input connection ports 15a, 15b and 15c may be a sound pressure sensor, a distance sensor, a lightness sensor, a humidity sensor, a temperature sensor, , A display, and the like. In addition, there are many applications of physical sensors and operation devices.

본 실시예에서 입력접속구(15a,15b,15c) 및 출력접속구(16a,16b,16c)는 C-type USB가 접속될 수 있는 형태를 도시하였지만, 접속구(15a,15b,15c,16a,16b,16c)의 형태 및 접속 인터페이스는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더불어 물리센서 및 동작장치들은 입력접속구(15a,15b,15c) 및 출력접속구(16a,16b,16c)에 반드시 케이블과 접속단자를 이용하여 유선 연결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근거리통신수단을 이용하여 무선 방식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예컨대 입력접속구(15a,15b,15c) 및 출력접속구(16a,16b,16c)에 블루투스 동글(미도시)만 접속되고, 동글을 통해 물리센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값이 입력되도록 하거나, 출력값이 동글을 통해 동작장치로 무선 전송될 수도 있는 것이다.15b, 15c, 16a, 16b, and 16c, the C-type USB can be connected to the input connection ports 15a, 15b, 15c and the output connection ports 16a, 16b, 16c may be variously modified. In addition, the physical sensors and the operation devices are not necessarily connected to the input connection ports 15a, 15b, and 15c and the output connection ports 16a, 16b, and 16c using cables and connection terminals, Lt; / RTI > Only a Bluetooth dongle (not shown) is connected to the input connection ports 15a, 15b and 15c and the output connection ports 16a, 16b and 16c and receives a signal from the physical sensor via the dongle to input a value, Lt; / RTI > to the operating device.

출력반전버튼(16ai,16bi,16ci)은 출력접속구(16a,16b,16c) 인근에 설치되며, 해당 출력접속구(16a,16b,16c)의 출력값을 반전시켜 출력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 즉, 논리블록(10)이 기본적으로 AND 게이트로 작동하고 있을 때, 입력접속구(15a,15b,15c)의 입력이 모두 1(High, 즉 임계치 이상의 전압, 또는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펄스 신호)일 경우 출력접속구(16a,16b,16c)에서 출력되는 값은 모두 1(설정된 높은 전압 또는 정해진 펄스 신호)인 것이 정상이지만, 특정 출력접속구(16a,16b,16c)에서는 반전된 값, 즉 0(low, 설정된 낮은 전압 또는 역변환된 펄스 신호)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The output reversal buttons 16ai, 16bi and 16ci are provided near the output connection ports 16a, 16b and 16c and are provided for inverting output values of the output connection ports 16a, 16b and 16c. That is, when the inputs of the input ports 15a, 15b and 15c are all 1 (High, that is, a voltage exceeding a threshold value or a pulse signal satisfying a specific condition) when the logic block 10 is basically operated as an AND gate It is normal that all the values output from the output connection ports 16a, 16b and 16c are 1 (a set high voltage or a predetermined pulse signal). However, in the specific output connection ports 16a, 16b and 16c, , A set low voltage or inverted pulse signal) can be output.

예컨대 사용자가 제2출력반전버튼(16bi)을 누른다면, 제1출력접속구(16a)와 제3출력접속구(16c)에서는 1이 출력되고, 제2출력접속구(16b)에서는 0이 출력되는 것이다. 이 경우 실질적으로 제1출력접속구(16a)와 제3출력접속구(16c)만 AND 게이트로 사용되는 것이고, 제2출력접속구(16b)는 NAND 게이트로 사용되는 것이다.For example, if the user presses the second output reversal button 16bi, 1 is output in the first output connection port 16a and the third output connection port 16c, and 0 is output in the second output connection port 16b. In this case, substantially only the first output connection port 16a and the third output connection port 16c are used as the AND gate, and the second output connection port 16b is used as the NAND gate.

프로세서(18)는 입력접속구(15a,15b,15c)를 통해 입력되는 값을 이용해 논리 연산을 수행하여 출력접속구(16a,16b,16c)로 논리 연산 결과 값(기본적으로 1 또는 0이라고 표현 하지만, 설정된 높은 전압, 설정된 낮은 전압, 설정된 펄스 신호 또는 역변환 펄스 신호를 말한다)을 출력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러한 프로세서(18)는 표시부제어수단(18a), 논리설정수단(18b), 연산수단(18c), 입력제어수단(18d) 및 출력제어수단(18e)을 포함한다.The processor 18 performs a logic operation using the values input through the input connection ports 15a, 15b and 15c to output logical operation result values (basically, 1 or 0) to the output connection ports 16a, 16b and 16c, A set high voltage, a set low voltage, a set pulse signal, or an inverted pulse signal). The processor 18 includes a display unit control means 18a, a logic setting means 18b, an arithmetic means 18c, an input control means 18d and an output control means 18e.

표시부제어수단(18a)은 논리선택버튼(13)의 입력에 따라 연산수단(18c)의 논리 연산 기준이 무엇인지 알릴 수 있도록 표시부(14)를 제어하기 위해 마련된다. 예컨대 논리선택버튼(13)을 한번 눌러 연산수단(18c)이 AND 게이트의 기능을 수행토록 설정되었다면, 표시부제어수단(18a)은 논리선택버튼(13)에 붉은색 램프가 발광되도록 하여 AND 게이트임을 알리도록 하거나, 디스플레이 형태의 표시부(14)에 AND라는 문자가 출력되도록 처리한다.The display unit control means 18a is provided for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14 so as to inform the logical operation standard of the calculation means 18c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logical selection button 13. [ For example, if the logic selecting button 13 is pressed once and the calculating means 18c is set to perform the function of the AND gate, the display controlling means 18a causes the red selecting lamp 13 to emit a red lamp, Or to display the character "AND" on the display unit 14 in display form.

논리설정수단(18b)은 논리선택버튼(13)의 입력에 따라 연산수단(18c)의 논리 연산 기준을 설정 또는 재설정하기 위해 마련된다. 예컨대 사용자가 논리블록(10)을 AND 게이트로 사용하기 위해 논리선택버튼(13)을 한번 눌렀다면, 논리설정수단(18b)은 연산수단(18c)이 AND 연산을 수행하도록 세팅하고, 사용자가 OR 게이트로 사용하기 위해 논리선택버튼(13)을 한번 더 눌렀다면, 논리설정수단(18b)은 연산수단(18c)이 OR 연산을 수행하도록 재설정하는 것이다.The logic setting means 18b is provided for setting or resetting the logical operation standard of the calculation means 18c in accordance with the input of the logical selection button 13. [ For example, if the user has pressed the logical select button 13 once to use the logical block 10 as an AND gate, the logic setting means 18b sets the operation means 18c to perform an AND operation, If the logic select button 13 is pressed once more for use as a gate, the logic setting means 18b is to reset the arithmetic means 18c to perform an OR operation.

연산수단(18c)은 입력접속구(15a,15b,15c)를 통해 입력되는 값을 이용하여 논리설정수단(18b)에 의해 설정된 기준에 따라 연산을 수행하여 결과값을 출력하기 위해 마련된다. 즉 연산수단(18c)이 실질적인 논리소자 역할을 수행하는 것인데, 이는 기존의 반도체 칩 형태로 특정 기능이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미리 세팅된 프로그램에 따라 동작하는 것이며, 논리선택버튼(13)의 조작에 의해 연산 기능이 바뀌는 것이다.The calculation means 18c is provided for performing the calculation according to the reference set by the logic setting means 18b using the values inputted through the input ports 15a, 15b and 15c and outputting the resultant value. That is, the calculation means 18c serves as a practical logic element. This means that the specific function is not fixed in the form of an existing semiconductor chip but operates according to a preset program. The calculation function is changed.

입력제어수단(18d)은 입력접속구(15a,15b,15c)를 통해 입력되는 각각의 입력값을 연산수단(18c)으로 입력시키기 위해 마련된다. 이때 입력제어수단(18d)은 입력접속구(15a,15b,15c)의 물리센서 연결 유무를 확인한 후 연결이 없을 경우 해당 입력접속구(15a,15b,15c)의 값은 연산수단(18c)에 입력되지 않도록 하거나, 연산수단(18c)이 현재 설정된 논리 기준에 따라 특정 입력값이 자동 입력되도록 처리한다. 입력제어수단(18d)에 대한 설명은 이하에서 다시 다루도록 한다.The input control means 18d is provided for inputting the respective input values inputted through the input connection ports 15a, 15b and 15c to the calculation means 18c. At this time, the input control means 18d checks whether the physical connection of the input connection ports 15a, 15b and 15c is connected. If there is no connection, the values of the input connection ports 15a, 15b and 15c are inputted to the calculation means 18c Or the calculation means 18c processes the specific input value to be automatically inputted according to the currently set logic reference. The description of the input control means 18d will be described later.

출력제어수단(18e)은 연산수단(18c)에서 출력되는 결과 값을 출력접속구(16a,16b,16c)를 통해 출력되도록 처리하되, 출력반전버튼(16ai,16bi,16ci)의 입력이 있을 경우, 출력반전버튼(16ai,16bi,16ci)의 입력이 발생한 출력접속구(16a,16b,16c)의 출력값은 반전시켜 출력 처리한다.The output control means 18e processes the resultant value output from the calculation means 18c so as to be output through the output connection ports 16a, 16b and 16c. When there is input of the output inversion buttons 16ai, 16bi and 16ci, The output values of the output connection ports 16a, 16b, and 16c where the inputs of the output inversion buttons 16ai, 16bi, and 16ci are generated are inverted and processed.

예컨대 논리선택버튼(13)의 입력에 의해 연산수단(18c)이 OR 게이트로 설정되었고, 제3출력반전버튼(16ci)이 눌러진 상태라면, 입력접속구(15a,15b,15c) 중 어느 하나에서 1이 입력될 경우 연산수단(18c)의 연산 결과인 1의 결과 값을 출력제어수단(18e)이 출력접속구(16a,16b,16c)로 출력시키되, 제1출력접속구(16a)와 제2출력접속구(16b)에만 1의 결과 값이 출력되도록 하고, 제3출력반전버튼(16ci)이 눌러진 제3출력접속구(16c)에는 0의 결과 값이 출력되도록 처리한다. 이 경우 즉 제1출력접속구(16a)와, 제2출력접속구(16b)는 OR 게이트로 작동하는 것이고, 제3출력접속구(16c)는 NOR 게이트로 작동하는 것이다.For example, if the calculation means 18c is set to the OR gate by the input of the logic selection button 13 and the third output inversion button 16ci is in the depressed state, any one of the input connection ports 15a, 15b and 15c 1 is input, the output control means 18e outputs the result of 1, which is the calculation result of the calculation means 18c, to the output connection ports 16a, 16b and 16c, and the first output connection port 16a and the second output A result value of 1 is output only to the connection port 16b and a result value of 0 is output to the third output connection port 16c to which the third output inversion button 16ci is pushed. In this case, the first output connection port 16a and the second output connection port 16b operate as an OR gate, and the third output connection port 16c operates as a NOR gate.

또한 출력제어수단(18e)은 입력제어수단(18d)과 마찬가지로 출력접속구(16a,16b,16c)의 동작장치 연결 유무를 확인하여 연결된 동작 장치를 인식하고, 연결이 없을 경우 해당 출력접속구(16a,16b,16c) 측으로는 결과값이 출력되지 않도록 처리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다시 다루도록 한다.The output control means 18e recognizes the operation devices connected to the output connection ports 16a, 16b and 16c in the same manner as the input control means 18d and recognizes the connected operation devices. If there is no connection, 16b, and 16c side, the result value may not be output. This will be discussed later.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논리블록(10)은 도5 내지 도6에 도시된 적용 예시를 통해 더욱 구체화될 것이다.The logic block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ll be further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pplication examples shown in Figs.

도5는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논리블록(10)의 제1 적용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도5의 적용예시는 논리블록(10)이 로봇 완구에 적용된 것을 나타낸 것인데, 제1입력접속구(15a)에는 음압센서(21)가 연결되어 있고, 제2입력접속구(15b)에는 거리센서(22)가 연결되어 있으며, 제1출력접속구(16a)에는 발광램프(31)가 연결되어 있고, 제2출력접속구(16b)에는 주행모터(32)가 연결되어 있다.FIG.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first application example of the logic block 10 shown in FIG. 1 to FIG. 5 shows that the logic block 10 is applied to the robot toy. The sound-pressure sensor 21 is connected to the first input connection port 15a and the sound-pressure sensor 21 is connected to the second input connection port 15b. A sensor 22 is connected to the first output port 16a and a light emitting lamp 31 is connected to the first output port 16a and a driving motor 32 is connected to the second output port 16b.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논리선택버튼(13)을 눌러 연산수단(18c)이 AND 게이트로 작동하도록 설정하였다면, 논리설정수단(18b)은 연산수단(18c)의 논리 연산 기준을 AND 연산으로 설정하고, 표시부제어수단(18a)은 표시부(14)를 통해 AND 게이트로 작동하고 있음을 표시토록 한다.In this state, if the user presses the logical selection button 13 to set the calculation means 18c to operate as an AND gate, the logic setting means 18b sets the logical calculation basis of the calculation means 18c to an AND operation, The display unit control means 18a causes the display unit 14 to indicate that it is operating as an AND gate.

이후 사용자가 음성 명령으로 '전진'을 외쳤다고 가정하자. 이 경우 음압센서(21)가 일정 음압 이상의 소리를 인식하였다면, 설정된 High 신호를 출력할 것이고, 이에 따라 제1입력접속구(15a)에 1이 입력될 것이다. 하지만 논리블록(10)의 연산수단(18c)은 AND 연산을 수행하기 때문에 제1입력접속구(15a)의 High 신호 입력만으로 별도의 출력값을 내지는 않는다. 즉, 제2입력접속구(15b)를 통한 입력값이 확인되어야 연산을 수행할 수 있는데, 제2입력접속구(15b)에는 거리센서(22)가 연결되어 있다. 거리센서(22)는 일정 거리 이내에 장애물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한 것이며, 장애물이 없을 경우(일정 거리 이상일 경우) High 신호를 출력하고, 장애물이 있을 경우(일정 거리 이내일 경우) low 신호를 출력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Let's assume that the user shouted 'forward' by voice command. In this case, if the sound pressure sensor 21 recognizes a sound of a certain sound pressure or more, it will output a set High signal, so that 1 will be inputted to the first input connection port 15a. However, since the operation unit 18c of the logic block 10 performs the AND operation, it does not output a separate output value only by inputting the High signal of the first input port 15a. That is, the input value through the second input port 15b must be confirmed before the calculation can be performed, and the distance sensor 22 is connected to the second input port 15b. The distance sensor 22 is designed to check whether there is an obstacle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to output a high signal when there is no obstacle (a certain distance or more), or to output a low signal when there is an obstacle .

따라서 장애물이 없어서 거리센서(22)의 출력이 High일 경우 제2입력접속구(15b)에 1이 입력될 것이며, 비로소 연산수단(18c)은 제1입력접속구(15a)의 1과 제2입력접속구(15b)의 1을 AND 연산하여 결과값 1을 출력할 것이고, 출력제어수단(18e)은 별도의 출력반전버튼(16ai,16bi,16ci)의 입력이 없는 이상 모든 출력접속구(16a,16b,16c)에 1의 출력값(일정 수준 이상의 전압, 또는 펄스 신호)이 출력되도록 하여 발광램프(31) 및 주행모터(32)가 작동되도록 한다.Therefore, when the output of the distance sensor 22 is high because there is no obstacle, 1 will be inputted to the second input terminal 15b, so that the calculation means 18c can calculate the output current of the first input terminal 15a, The output control means 18e outputs all of the output connection ports 16a, 16b, 16c (16a, 16b, 16c) as long as there is no input of another output inversion button (A voltage or a pulse signal of a predetermined level or higher) is outputted to the light emitting lamp 31 and the traveling motor 32 so that the light emitting lamp 31 and the traveling motor 32 are operated.

즉 발광램프(31)의 작동으로 로봇 완구가 주행중임을 알리는 것이고, 주행모터(32)의 작동으로 장애물 없는 곳에서 로봇 완구가 주행을 시작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the robot toy is informed that the robot toy is running by the operation of the light emission lamp 31, and the robot toy can start traveling without obstacle by the operation of the travel motor 32.

도5에 도시된 제1 적용 예시에서는 사용자의 음성 명령에 따라 로봇 완구가 작동되도록 하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논리블록(10)이 AND 게이트의 역할을 수행토록 함으로써, 음성 명령이 인식되었을 때에 바로 작동하는 것이 아니라, 주변에 장애물이 없는 조건까지 만족하였을 때에만 작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the first application example shown in FIG. 5, the robot toy is operated according to a voice command of the user. By allowing the logic block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erform the role of the AND gate, This is because it is possible to operate only when the condition of no obstacle is satisfied.

여기서 제3입력접속구(15c)에는 아무런 물리센서의 연결도 이루어지지 않았는데, 이 경우 연산수단(18c)은 제3입력접속구(15c)의 입력을 0(low)으로 인식하여서는 안된다. 즉, 연산수단(18c)이 AND 연산을 수행하고 있을 시 제3입력접속구(15c)의 입력을 0으로 인식한다면, 제1 및 제2입력접속구(15a,15b)를 통해 1이 입력되더라도 출력은 0이 되기 때문이다. 이렇게 특정 입력접속구(15a,15b,15c)의 연결이 없을 경우를 위해 입력제어수단(18d)의 역할이 필요하다.Here, no physical sensor is connected to the third input connection port 15c. In this case, the calculation means 18c should not recognize the input of the third input connection port 15c as 0 (low). That is, if the calculation means 18c recognizes the input of the third input port 15c as 0 while performing the AND operation, even if 1 is input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input ports 15a and 15b, 0 < / RTI > The role of the input control means 18d is needed for the case where there is no connection of the specific input connection ports 15a, 15b, 15c.

도4를 다시 참조하면, 입력제어수단(18d)은 입력접속구(15a,15b,15c)를 통해 입력된 값을 연산수단(18c)으로 각각 입력시켜 논리 연산이 수행되도록 하되, 입력접속구(15a,15b,15c)에 물리센서가 연결되었는지, 그리고 어떠한 물리센서가 연결되었는지 확인하고, 연결이 없을 경우 논리 연산에 오류가 없도록 특정한 제어 작업을 수행한다.4, the input control means 18d inputs the values input through the input connection ports 15a, 15b and 15c to the arithmetic means 18c, respectively, so that the logic operation is performed. The input ports 15a, 15b, and 15c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physical sensor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f there is no connection, specific control operations are performed so that there is no error in the logic operation.

즉, 입력제어수단(18d)은 특정 신호를 연결된 물리센서 측으로 전송하고, 응답을 받아 물리센서의 연결 유무와 종류를 파악한다. 예컨대 물리센서와 논리블록(10)이 연결되어 특정 프로토콜이 설정되어 있을 경우 PING(Packet Internet Grouper)을 이용하여 연결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입력제어수단(18d)에서 주기적으로 각 입력접속구(15a,15b,15c)에 연결된 물리센서 측으로 특정 요청 신호(request)를 전송하고, 응답 신호(reply)를 수신하면, 수신된 응답 신호가 무엇인지에 따라 어떠한 물리센서가 연결되어 있고 정상 작동중인지 확인할 수가 있다. 물론 아무런 응답 신호가 없다면 해당 입력접속구(15a,15b,15c)에는 아무런 물리센서의 연결도 없거나, 연결 되어 있더라도 정상 작동이 아닌 것임을 알 수 있는 것이다.That is, the input control unit 18d transmits the specific signal to the connected physical sensor side, receives the response, and determines whether the physical sensor is connected or not. For example, when the physical sensor and the logical block 10 are connected and a specific protocol is set, the connection can be confirmed using a PING (Packet Internet Grouper). That is, the input control means 18d periodically transmits a specific request signal (request) to the physical sensors connected to the input connection ports 15a, 15b and 15c, and when the response signal (reply) is received, Depending on what you have, you can check which physical sensors are connected and are operating normally. Of course, if there is no response signal, it can be understood that no physical sensor is connected to the input connection ports 15a, 15b, 15c, or even if it is connected, it is not normal operation.

만약 입력제어수단(18d)의 요청/응답 신호에 의해 특정 입력접속구(15a,15b,15c)에 물리센서가 연결되지 않은 것이 확인되었다면, 연산수단(18c)은 입력제어수단(18d)에서 확인한 물리센서 연결 상태 정보에 따라, 연결이 없는 입력접속구(15a,15b,15c)의 입력값은 제외하고 논리 연산이 이루어지도록 처리한다. 예컨대 도5와 같이 제1입력접속구(15a)와 제2입력접속구(15b)에는 물리센서가 연결되었지만, 제3입력접속구(15c)에는 아무런 연결이 없는 것을 입력제어수단(18d)이 확인하였다면, 연산수단(18c)은 제3입력접속구(15c)의 값은 제외를 하고 제1입력접속구(15a)와 제2입력접속구(15b)의 입력값만 이용하여 논리 연산을 수행하는 것이다.If it is confirmed that the physical sensors are not connected to the specific input connection ports 15a, 15b and 15c by the request / response signal of the input control means 18d, the calculation means 18c calculates the physical According to the sensor connection state information, the input values of the input connection ports 15a, 15b, and 15c without connection are excluded, and logic processing is performed. For example, if the input control means 18d confirms that the physical sensor is connected to the first input port 15a and the second input port 15b as shown in FIG. 5 but no connection is made to the third input port 15c, The calculation means 18c performs logical operation using only the input values of the first input port 15a and the second input port 15b without the value of the third input port 15c.

물론 입력제어수단(18d)에 회로적으로 Pull-up, 또는 Pull-down 구조를 적용시켜, 연산수단(18c)이 현재 설정된 논리 연산 기준이 무엇인지에 따라 연결이 없는 입력접속구(15a,15b,15c)의 입력값을 고정시킬 수도 있다. 예컨대 도5와 같이 제1,2입력접속구(15a,15b)에는 물리센서가 연결되어 있음이 확인되었다면, 입력제어수단(18d)은 제1,2입력접속구(15a,15b)의 입력은 물리센서 측에서 보내어 오는 입력값 그대로 연산수단(18c)에 전달되도록 한다. 반면 아무런 물리센서의 연결도 없는 제3입력접속구(15c)에 대해서는 연산수단(18c)이 현재 설정된 논리 연산 기준이 무엇이냐에 따라 1(Hight) 또는 0(low)이 고정으로 입력되도록 하는 것이다.Of course, a pull-up or a pull-down structure may be applied to the input control means 18d in a circuit so that the input connection ports 15a, 15b, 15c may be fixed. For example, if it is confirmed that the physical sensors are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input ports 15a and 15b as shown in FIG. 5, the input control unit 18d determines that the inputs of the first and second input ports 15a and 15b are physical sensors So that the input value sent from the input side is transmitted to the calculation means 18c as it is. On the other hand, with respect to the third input port 15c having no physical sensor connection, 1 (Hight) or 0 (low) is fixedly input depending on what logic operation standard is set by the calculation means 18c.

만약 연산수단(18c)의 논리 연산 기준이 AND 연산이라면, 입력제어수단(18d)은 아무런 연결이 없는 제3입력접속구(15c)의 입력이 항상 1(Hight)이 되도록 Pull-up 시켜, 제3입력접속구(15c)의 입력값이 연산수단(18c)의 연산에 있어서 아무런 영향도 끼치지 못하도록 한다.If the logic operation basis of the calculation means 18c is an AND operation, the input control means 18d pulls up the input of the third input port 15c, which has no connection, so that it always becomes 1 (Hight) So that the input value of the input connection port 15c has no influence on the calculation of the calculation means 18c.

반면 연산수단(18c)의 논리 연산 기준이 OR 연산이라면, 입력제어수단(18d)은 아무런 연결이 없는 제3입력접속구(15c)의 입력이 항상 0(low)이 되도록 Pull-down 시켜, 제3입력접속구(15c)의 입력값이 연산수단(18c)의 연산에 아무런 영향을 끼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if the logic operation basis of the calculation means 18c is an OR operation, the input control means 18d pulls-down the input of the third input port 15c, which has no connection, So that the input value of the input connection port 15c does not have any influence on the calculation of the calculation means 18c.

한편, 출력제어수단(18e) 역시 앞서 서술한 기능 수행과 더불어, 입력제어수단(18d)과 유사한 방식으로 PING을 이용하여 각 출력접속구(16a,16b,16c)에 연결된 동작장치의 종류와 연결 유무를 확인할 수 있으며, 만약 아무런 동작장치도 연결되지 않은 출력접속구(16a,16b,16c)를 확인하였다면, 출력제어수단(18e)은 연결이 없는 출력접속구(16a,16b,16c) 측으로는 별도 결과값이 출력되지 않도록 처리할 수 있다.The output control means 18e also performs the functions described above and controls the types of operation devices connected to the output connection ports 16a, 16b and 16c by using the ping in a similar manner to the input control means 18d, 16b and 16c which are not connected to any operation device, the output control means 18e can output the resultant output values 16a, 16b and 16c to the output connection ports 16a, 16b and 16c without connection, Can not be output.

도6은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논리블록(10)의 제2 적용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도6의 적용예시는 논리블록(10)을 생일 이벤트에 활용하기 위한 예시인데, 제1입력접속구(15a)에는 거리센서(41)가 연결되어 있고, 제2입력접속구(15b)에는 음압센서(42)가 연결되어 있으며, 제3입력접속구(15c)에는 조도센서(43)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1출력접속구(16a)에는 오디오(51)가 연결되어 있고, 제2출력접속구(16b)에는 LED촛불(52)이 연결되어 있으며, 제3출력접속구(16c)에는 TV 등의 디스플레이(53)가 연결되어 있다.FIG.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second application example of the logic block 10 shown in FIG. 1 to FIG. 6 is an example of utilizing the logic block 10 for a birthday event. The distance sensor 41 is connected to the first input connection port 15a and the distance sensor 41 is connected to the second input connection port 15b. A sound pressure sensor 42 is connected to the first input connection port 15a and an illuminance sensor 43 is connected to the third input connection port 15c. An LED 51 is connected to the first output connection port 16a and an LED candle 52 is connected to the second output connection port 16b and a display 53 such as a TV is connected to the third output connection port 16c ) Are connected.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논리선택버튼(13)을 눌러 연산수단(18c)이 OR 게이트로 작동하도록 설정하였다면, 논리설정수단(18b)은 연산수단(18c)의 논리 연산 기준을 OR 연산으로 설정하고, 표시부제어수단(18a)은 표시부(14)를 통해 OR 게이트로 작동하고 있음을 표시토록 한다.In this state, if the user presses the logical selection button 13 to set the calculation means 18c to operate as an OR gate, the logic setting means 18b sets the logical calculation basis of the calculation means 18c to an OR operation, The display unit control means 18a causes the display unit 14 to indicate that it is operating as an OR gate.

도6의 예시에서는 생일을 맞은 주인공이 집안에 들어왔을 경우, 생일 축하 이벤트가 자동 진행되도록 한 것인데, 집에 들어오는 것을 파악하기 위해 세가지 조건 중 어느 하나만 만족하면 되도록 설계한 것이다.In the example of Fig. 6, the birthday celebration event is automatically progressed when the hero having arrived on the birthday enters the house. In order to grasp the incoming house, only one of the three conditions is satisfied.

즉, 현관 인근에 설치된 거리센서(41)를 통해 주인공이 문을 열었다는 사실이 확인되거나, 또는 음압센서(42)를 통해 현관문이 열리거나 닫히는 소리를 인식하였다거나, 또는 조도센서(43)를 통해 주인공이 실내 조명을 밝힌 것을 확인하였다면, 출력접속구(16a,16b,16c)를 통해 High 신호가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오디오(51)를 작동시켜 생일 축하곡이 재생되도록 하고, LED촛불(52)을 발광시켜 케익이 밝혀지도록 하며, 디스플레이(53)를 작동시켜 미리 준비된 축하 영상이 재생되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도6의 실시예에서는 각 출력접속구(16a,16b,16c)에 오디오(51), LED촛불(52) 및 디스플레이(53) 등의 동작장치가 직접 연결된 것을 도시하였지만, 실제 적용시에는 각 동작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스위치나 리모컨, 또는 각 동작장치를 일괄작동시킬 수 있는 앱이 설치된 스마트폰등과 연결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That is, it is confirmed that the main character opens the door through the distance sensor 41 provided near the entrance, or the sound of the door is opened or closed through the sound pressure sensor 42, A high signal is output through the output connection ports 16a, 16b, and 16c so that the audio 51 is reproduced to reproduce the birthday song, and the LED candle 52 is reproduced So that the cake is illuminated, and the display 53 is operated to reproduce a celebration image prepared in advance. Although the operation device such as the audio 51, the LED candle light 52, and the display 53 are directly connected to the output connection ports 16a, 16b, and 16c in the embodiment of FIG. 6, A switch for operating the device, a remote control, or a smart phone equipped with an app capable of operating each device in a batch.

이상 도5 및 도6의 예시에서는 하나의 논리블록(10)을 이용하여 AND 연산 및 OR 연산을 통해 특정 조건을 만족할 경우 특정 동작이 재생되도록 하는 응용 기기의 예시를 설명하였지만, 실시하기에 따라 복수의 논리블록(10)과 복수의 물리센서 및 동작장치를 연결하여 실제 프로그래밍에서 사용하는 조건문들을 육안 확인이 가능토록 설계할 수도 있다.In the examples of FIGS. 5 and 6, an example of an application device that allows a specific operation to be reproduced when a specific condition is satisfied through an AND operation and an OR operation using one logical block 10 has been described. However, It is also possible to design the conditional statements used in actual programming to be visually confirmed by connecting the logical block 10 of the physical block 10 with a plurality of physical sensors and operation devices.

예컨대 도5의 예시에서 물리센서나 동작장치와 연결되지 않고 남아 있는 제3입력접속구(15c) 및 제3출력접속구(16c) 사이에 카운터(미도시)를 연결해 놓을 수 있다. 이 카운터는 항상 High의 신호를 출력하여 제3입력접속구(15c)로 입력시키되, 만약 제3출력접속구(16c)로부터 High 신호가 출력되기 시작하면 카운트를 시작하여, 10초가 도래하였을 경우 low 신호가 출력되도록 설계된 것일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example of FIG. 5, a counter (not shown)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third input connection port 15c and the third output connection port 16c which are not connected to the physical sensor or the operation device. This counter always outputs a high signal and inputs it to the third input connection port 15c. If a high signal starts to be output from the third output connection port 16c, the counter starts counting. If 10 seconds have elapsed, Output.

즉 사용자의 음성 명령이 입력되고 장애물이 없음이 확인되어 로봇 완구가 주행을 시작하면, 카운터가 10초를 카운트 한 후 low 신호를 제3입력접속구(15c)로 입력시킴으로써, 10초 후에는 전체 동작이 멈추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카운터의 입출력 신호 종류 및 카운팅 시간 등에 대해서는 사용자가 설계 변경할 수 있다. 카운터는 하나의 예시이지만, 이러한 동작장치까지 응용한다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논리블록은 IF나 WHILE 등의 조건문을 실제 사례에 응용시켜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user's voice command is inputted and there is no obstacle and the robot toy starts running, the counter counts 10 seconds and inputs a low signal to the third input port 15c, To stop it. Of course, the types of input / output signals of the counter and the counting time can be changed by the user. The counter is an example, but if such an operation device is applied, the logical bloc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visually express conditional statements such as IF and WHILE by applying it to actual cases.

도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논리블록의 제3 적용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즉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논리블록을 여러개 이용하여 응용 기기를 설계한 예시이다.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third application example of a logical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it is an example of designing an application device using several logic blocks shown in FIG. 1 to FIG.

도7에 도시된 예시에서는 3개의 논리블록(61,62,63)과 4개의 물리센서(64,65,66,67) 및 1개의 동작장치(68)를 이용하여 응용기기를 설계하였다. 또한 제1논리블록(61)과 제3논리블록(63)은 AND 연산을 수행하도록 설정되었으며, 제2논리블록(62)은 OR 연산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상태이다.In the example shown in FIG. 7, the application apparatus is designed using three logical blocks 61, 62, 63, four physical sensors 64, 65, 66, 67 and one operation device 68. The first logical block 61 and the third logical block 63 are set to perform an AND operation and the second logical block 62 is set to perform an OR operation.

제1논리블록(61)에는 제1물리센서(64) 및 제2물리센서(65)가 입력 측에 연결되어 있고, 제2논리블록(62)에는 제3물리센서(66)와 제4물리센서(67)가 입력 측에 연결되어 있으며, 제3논리블록(63)의 출력 측에는 제1동작장치(68)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1논리블록(61)의 출력과 제2논리블록(62)의 출력이 제3논리블록(63)의 입력 측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The first physical block 64 and the second physical block 65 are connected to the input side of the first logical block 61 and the third physical block 66 and the fourth physical block 65 are connected to the input side. A sensor 67 is connected to the input side and a first operating device 68 is connected to the output side of the third logic block 63. It can also be confirmed that the output of the first logic block 61 and the output of the second logic block 62 are connected to the input side of the third logic block 63.

도7에 도시된 제3 적용예시는 하나의 논리블록에 연결된 물리센서의 신호에 의한 논리 연산만을 이용하여 동작장치를 작동시키는 것이 아니라, 여러 물리센서와 여러 논리블록의 복합적인 논리 연산을 통해 최종 동작이 작동되도록 한 것이다.In the third application example shown in FIG. 7, instead of operating the operation device using only the logical operation by the signal of the physical sensor connected to one logical block, So that the operation is activated.

예를 들어 제1물리센서(64)는 온도센서이고, 제2물리센서(65)는 창문의 닫힘 여부를 확인하는 센서이며, 제3물리센서(66)는 에어컨을 가동시키는 리모콘이고, 제4물리센서(67)는 사용자의 음성명령을 인식 받는 음압센서이며, 제1동작장치(68)는 에어컨이라고 가정토록 하자.For example, the first physical sensor 64 is a temperature sensor, the second physical sensor 65 is a sensor for confirming whether the window is closed, the third physical sensor 66 is a remote controller for activating the air conditioner, Let the physical sensor 67 be a sound pressure sensor that is recognized by the voice command of the user, and the first operating device 68 is assumed to be an air conditioner.

기본적으로 에어컨은 리모콘의 명령 입력이나, 사용자의 음성 명령이 입력되면 가동한다. 하지만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복수의 논리블록(61,62,63)을 이용하여 소정의 논리 회로를 이루는 응용 기기를 설계하였다면, 복합적인 요소에 의해 에어컨이 가동된다.Basically, the air conditioner operates when the command input of the remote controller or the voice command of the user is inputted. However, if an application device constituting a predetermined logic circuit is designed using a plurality of logic blocks 61, 62, and 63 as shown in FIG. 7, the air conditioner is operated by a complex element.

즉 제3물리센서(66)를 통해 리모콘의 가동 명령이 입력되거나, 또는 제4물리센서(67)를 통해 음성명령이 입력되면 제2논리블록(62)에서 High 신호가 출력된다. 하지만 제2논리블록(62)의 High 신호는 제3논리블록(63)의 하나의 입력에 불과하다. 따라서 제3논리블록(63)은 제1동작장치(68)인 에어컨을 바로 작동시키기 위해 High 신호를 출력시키지 아니하고, 제1논리블록(61)으로부터 High 신호를 입력 받아야만 비로소 에어컨을 작동시킬 수 있다.That is, when the operation command of the remote controller is inputted through the third physical sensor 66 or the voice command is inputted through the fourth physical sensor 67, the second logic block 62 outputs the High signal. However, the High signal of the second logic block 62 is only one input of the third logic block 63. [ Accordingly, the third logic block 63 can not operate the air conditioner until it receives the High signal from the first logic block 61, without outputting the High signal to immediately activate the air conditioner as the first operating device 68 .

제1논리블록(61)의 경우 AND 연산을 수행 중이다. 즉 제1논리블록(61)에 연결된 제1물리센서(64)를 통해 실내 온도가 일정 온도 이상인 조건이 만족되고, 제2물리센서(65)를 통해 창문이 닫혀 있음이 확인되었다는 조건까지 모두 만족되면, 비로소 제1논리블록(61)에서 High 신호가 출력되어 에어컨을 작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In the first logical block 61, an AND operation is being performed. The condition that the room temperature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predetermined temperature is satisfied through the first physical sensor 64 connected to the first logical block 61 and the window is confirmed to be closed through the second physical sensor 65 The first logic block 61 outputs a high signal to operate the air conditioner.

도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논리블록의 제4 적용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즉 복수의 논리블록(71,72,73,74)을 이용한 코딩 응용의 예시를 나타낸 것인데,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fourth application example of a logical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an example of a coding application using a plurality of logical blocks 71, 72, 73, and 74 is described below.

제4논리블록(71), 제5논리블록(72), 제6논리블록(73) 및 제7논리블록(74)은 모두 AND 연산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상태이고, 제4 내지 제6논리블록(71,72,73)에는 각각 2개의 물리센서들이 입력 측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제4 내지 제6논리블록(71,72,73)에서 나머지 입력단에는 제7논리블록(74)의 출력단이 연결되어 있다.The fourth logical block 71, the fifth logical block 72, the sixth logical block 73 and the seventh logical block 74 are all set to perform the AND operation and the fourth through sixth logical blocks 71, 72 and 73, two physical sensors are connected to the input side, respectively. The output terminals of the seventh logic block 74 are connected to the remaining input terminals of the fourth to sixth logic blocks 71, 72, and 73.

이 경우 제4 내지 제6논리블록(71,72,73)은 기본적으로 각 논리블록(71,72,73)에 연결된 물리센서들의 신호에 의해 동작을 하지만, 전체적인 작동이 제7논리블록(74)의 출력값에 종속되어 있다.In this case, the fourth to sixth logical blocks 71, 72 and 73 basically operate by the signals of the physical sensors connected to the respective logical blocks 71, 72 and 73, ). ≪ / RTI >

즉, 제7논리블록(74)의 출력값이 1(High)일 경우 제4 내지 제6논리블록(71,72,73)은 독자적으로 연결된 물리센서들의 신호 출력들을 논리 연산하여 출력 단에 연결된 동작 장치들을 재생시킬 수 있다.That is, when the output value of the seventh logical block 74 is 1 (High), the fourth to sixth logical blocks 71, 72 and 73 logically operate the signal outputs of the independently connected physical sensors, Devices can be played back.

반면 제7논리블록(74)의 출력값이 0(low)이라면, 제4 내지 제6논리블록(71,72,73)은 각각 연결된 물리센서들의 신호가 무엇이든지 관계없이 항상 0(low)의 결과값이 출력된다. 즉 도8에 도시된 제4 적용예시에서는 제4 내지 제6논리블록(71,72,73)의 동작, 또는 제4 내지 제6논리블록(71,72,73)에 연결된 동작장치들을 제7논리블록(74)을 통해 일괄적으로 On/off 시킬 수 있도록 코딩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if the output value of the seventh logic block 74 is 0 (low), the fourth through sixth logic blocks 71, 72, and 73 always output 0 (low) Value is output. That is, in the fourth application example shown in Fig. 8, the operation of the fourth to sixth logic blocks 71, 72, 73, or the operation devices connected to the fourth to sixth logic blocks 71, And can be collectively turned on / off through the logic block 74. [

이상 도7 내지 도8을 통해 설명한 적용 예시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논리블록을 서로 연결함으로써, 복잡한 조건의 코딩을 손쉽게 구현할 수 있다. 즉, 프로그램 언어로 구현되거나 반도체 칩과 기판을 이용한 코딩 작업이 아니라, 블록 형태의 연결을 통해 코딩 과정을 실제 응용 기기로 설계할 수 있어서, 논리 회로를 시각적으로 흥미롭게 학습할 수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in the application exampl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to 8, in the present invention, coding of complex conditions can be easily implement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logical blocks to each other. That is, the coding process can be designed as a practical application device through a block-type connection, rather than being implemented in a programming language or using a semiconductor chip and a substrate, so that the logic circuit can be visually and interestingly learned.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다양한 물리센서와 동작장치를 본 발명에 따른 논리블록(10)과 연결 사용함으로써, 흥미롭게 논리회로의 기본 개념을 이해할 수가 있다.As described above in deta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can understand various basic physical circuit concepts and logic circuits by connecting various physical sensors and operation devices to the logic block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즉 기존에도 사용자는 물리센서 및 동작장치들의 조합으로 다양한 응용 기기를 만들 수 있었지만, 물리센서와 동작장치의 일대일 연결이 아닌, 여러 물리센서의 조건과 동작장치들의 동작 조건을 특정하게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고난도의 프로그래밍 지식을 통한 설계가 필요하였다.In other words, in the past, the user could make various application devices by a combination of the physical sensors and the operation devices. However, in order to specifically satisfy the conditions of the various physical sensors and the operation conditions of the operation devices other than the one- It was necessary to design through the programming knowledge of.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논리블록(10)을 이용한다면, 사용자 의도에 따라 논리블록(10)에 다양한 물리센서와 동작장치를 연결하고, 논리선택버튼(13)을 통해 AND, OR, NOT, NAND, NOR, XAND, XOR 등의 연산 기준을 설정함으로써, 간단하게 조건문을 만족시킨 응용기기를 완성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논리회로의 개념을 쉽고 재미있게 학습할 수가 있는 것이다.However, if the logic block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various physical sensors and operation devices may be connected to the logical block 10 according to the user's intention, and logical AND selection buttons 13, , NOR, XAND, XOR, and the like, it is possible to complete an application device that satisfies conditional statements simply and thereby, the concept of the logic circuit can be learned easily and in an interesting mann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논리블록(10)은 단순히 물리센서나 동작장치의 접속을 간편하게 하는 것 뿐만 아니라, 사용자 명령에 따라 연산 기준이 재설정될 수 있어서, 수많은 논리소자들을 구입하지 않더라도 몇 개의 논리블록(10)만으로도 복잡한 논리회로를 완성시킬 수 있으며, 특히 출력반전버튼을 통해 하나의 논리블록(10)이 AND와 NAND 연산을 동시에 수행(또는 OR와 NOR 연산을 동시 수행)토록 할 수도 있어서, 응용 범위가 더욱 광범위하다.The logical block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simplifies the connection of the physical sensor or the operation device but also allows the calculation standard to be reset according to the user command so that even if a large number of logical elements are not purchased, It is possible to complete a complicated logic circuit by using the output inverting button 10, and in particular, one logical block 10 can perform AND and NAND operations simultaneously (or simultaneously perform an OR operation and a NOR operation) The range is broader.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논리블록(10)은 입력제어수단(18d)이 입력접속구(15a,15b,15c)에 입력되는 장치, 즉 물리센서들의 연결 유무를 확인하고, 연결이 되지 않거나, 특정 물리센서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고 있다면, 연산수단(18c)에서 연결이 없는 해당 입력접속구(15a,15b,15c)의 값을 사용하지 않도록 처리하거나, 연산수단(18c)의 설정 기준에 따라 특정 입력값이 고정되도록(AND 연산일 경우 1의 입력값으로 고정, OR 연산일 경우 0의 입력값으로 고정)함으로써, 연결이 없는 입력접속구(15a,15b,15c)가 연산 결과에 영향을 끼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기존의 반도체 칩이 탑재된 형태로 논리블록을 제작한다면, 반드시 입력접속구 모두를 활용해야 했겠지만, 본 발명에서는 논리블록(10)이 소프트웨어적으로 작동하는 것이기 때문에, 특정 입력접속구(15a,15b,15c)의 연결이 없더라도 자동으로 논리 연산이 올바르게 수행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logic block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rms whether the input control means 18d is connected to the input ports 15a, 15b and 15c, that is, the physical sensors, If the sensor is not operating normally, the calculation means 18c may be configured not to use the values of the corresponding input connection ports 15a, 15b and 15c without connec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nput connection ports 15a, 15b, 15c having no connection from affecting the operation result by fixing the input values to be fixed (fixed to an input value of 1 in the case of the AND operation and fixed to 0 in the case of the OR operation) have. In other words, if a logic block is manufactured by mounting an existing semiconductor chip, it is necessary to use all of the input connection ports. However, since the logic block 10 operates in softwa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pecific input connection ports 15a, 15b, So that the logic operation can be automatically performed even if there is no connection between the memory cells 15a and 15c.

한편, 이상의 설명에서는 완구용 블록 형태의 논리블록(10)에 대해서만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에 따른 논리블록(10)은 반드시 학습용 완구 블록에만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물리센서 및 동작장치가 접속될 수 있고 설정된 논리 연산을 수행하는 본 발명에 따른 논리블록(10)을 다양한 형태로 모듈화하여 산업용 로봇이나 가정용 로봇에 탑재할 수 있다면, 전문적인 프로그래밍 지식이 없는 사용자도 다양한 물리센서와 동작장치를 연결하여 필요에 따른 동작 기준을 설정하는 등, 그 사용 범위를 더욱 넓힐 수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only the logic block 10 in the toy block form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but the logic block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applied to the learning toy block. For example, if the logic block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which a physical sensor and an operation device can be connected and performs a set logical operation, can be modularized into various forms and mounted on an industrial robot or a domestic robot, The user can connect the various physical sensors and the operation device to set the operation standard according to the need, and the use range can be further expanded.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And additions should be consider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논리블록
11 : 전면케이스
12 : 후면케이스
13 : 논리선택버튼
14 : 표시부
15a,15b,15c : 제1,2,3입력접속구
16a,16b,16c : 제1,2,3출력접속구
16ai,16bi,16ci : 제1,2,3출력반전버튼
17 : 기판
18 : 프로세서
18a : 표시부제어수단
18b : 논리설정수단
18c : 연산수단
18d : 입력제어수단
18e : 출력제어수단
<제1적용예시>
21 : 음압센서
22 : 거리센서
31 : 발광램프
32 : 주행모터
<제2적용예시>
41 : 거리센서
42 : 음압센서
43 : 조도센서
51 : 오디오
52 : LED촛불
53 : 디스플레이
<제3적용예시>
61 : 제1논리블록
62 : 제2논리블록
63 : 제3논리블록
64 : 제1물리센서
65 : 제2물리센서
66 : 제3물리센서
67 : 제4물리센서
68 : 제1동작장치
<제4적용예시>
71 : 제4논리블록
72 : 제5논리블록
73 : 제6논리블록
74 : 제7논리블록
10: Logical block
11: Front case
12: Rear Case
13: Logic selection button
14:
15a, 15b, 15c: first, second and third input connecting ports
16a, 16b, 16c: first, second and third output connection ports
16ai, 16bi, 16ci: 1st, 2nd and 3rd output reversal buttons
17: substrate
18: Processor
18a: display unit control means
18b: logic setting means
18c:
18d: input control means
18e: output control means
&Lt; First application example >
21: Sound pressure sensor
22: Distance sensor
31: Luminescent lamp
32: Traveling motor
&Lt; Second application example >
41: Distance sensor
42: Sound pressure sensor
43: Light sensor
51: Audio
52: LED candle light
53: Display
&Lt; Third Application Example >
61: first logical block
62: second logical block
63: third logical block
64: first physical sensor
65: second physical sensor
66: Third physical sensor
67: Fourth physical sensor
68: first operating device
&Lt; Fourth application example >
71: fourth logical block
72: fifth logical block
73: Sixth logical block
74: seventh logical block

Claims (7)

복수의 입력접속구;
복수의 출력접속구;
상기 복수의 입력접속구를 통해 입력되는 값을 이용해 논리 연산을 수행하여 상기 복수의 출력접속구로 상기 논리 연산 결과 값을 출력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입력접속구 및 상기 출력접속구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입력접속구, 출력접속구 및 프로세서를 덮어 보호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입력접속구를 통해 입력되는 값에 따라 기 설정된 논리 연산을 수행하여 결과 값을 출력하는 연산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논리선택버튼;
상기 연산수단의 논리 연산 기준이 무엇인지 알리는 표시부; 및
상기 출력접속구 인근에 설치되는 출력반전버튼;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논리선택버튼의 입력에 따라 상기 연산수단의 논리 연산 기준을 설정하는 논리설정수단;
상기 논리선택버튼의 입력에 따라 상기 연산수단의 논리 연산 기준이 무엇인지 알릴 수 있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표시부제어수단; 및
상기 연산수단에서 출력되는 결과 값을 상기 출력접속구를 통해 출력되도록 처리하되, 상기 출력반전버튼의 입력이 있을 경우 상기 출력반전버튼의 입력이 발생한 출력접속구의 출력값은 반전시켜 출력 처리하는 출력제어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리블록.
A plurality of input connection ports;
A plurality of output connection ports;
A processor for performing a logical operation using a value input through the plurality of input ports and outputting the logical operation result to the plurality of output ports; And
And a case covering and protecting the input connection port, the output connection port, and the processor so that the input connection port and the output connection port are exposed to the outside,
The processor comprising:
And a calculation means for performing a predetermined logical operation according to a value input through the input port and outputting a result value,
A logic selection button install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A display unit for informing the logic operation standard of the operation unit; And
And an output reversal button provided near the output connection port,
The processor comprising:
Logical setting means for setting a logical operation reference of the calculation means in accordance with the input of the logical selection button;
Display unit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so as to inform the logic operation standard of the operation means in accordance with the input of the logical selection button; And
Output control means for processing the result output from the calculation means so as to be output through the output connection port and inverting the output value of the output port at which the input of the output inversion button occurs when the output inversion button is input; Further comprising: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입력접속구를 통해 입력되는 값을 상기 연산수단으로 입력시키되, 상기 입력접속구를 통한 연결 유무를 확인하는 입력제어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산수단은 상기 입력제어수단에서 연결이 없는 입력접속구를 확인하였을 경우, 연결이 없는 입력접속구의 값은 제외하고 논리 연산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리블록.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rocessor comprising:
And input control means for inputting a value input through the input port to the calculation means and confirming whether or not the port is connected through the input port,
Wherein when the input control unit confirms an input connection port that is not connected by the input control unit, the calculation unit performs a logical operation except for the value of the input connection port without conn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입력접속구를 통해 입력되는 값을 상기 연산수단으로 입력시키되, 상기 입력접속구를 통한 연결 유무를 확인하여 연결이 없는 입력접속구가 확인되면, 상기 연산수단의 현재 설정된 논리 연산 기준에 따라 상기 연결이 없는 입력접속구의 입력값을 특정값으로 고정시키는 입력제어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리블록.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rocessor comprising:
A value input through the input port is inputted into the calculation means, and if an input port without connection is confirmed by confirming whether or not the port is connected through the input port, And input control means for fixing the input value of the input connection port to a specific value.
KR1020170083214A 2017-06-30 2017-06-30 Logical block KR10191618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3214A KR101916182B1 (en) 2017-06-30 2017-06-30 Logical blo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3214A KR101916182B1 (en) 2017-06-30 2017-06-30 Logical bloc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6182B1 true KR101916182B1 (en) 2018-11-08

Family

ID=64329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3214A KR101916182B1 (en) 2017-06-30 2017-06-30 Logical bloc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6182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8604B1 (en) * 2019-06-13 2020-10-21 정 석 윤 Apparatus for motion programming of coding robot for children
KR20210000771A (en) * 2019-06-25 2021-01-06 김종태 Smart Coding Block for setting up operating reference and output informa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6964Y1 (en) 2001-11-27 2002-03-06 임동균 Study Tools Using Digital Logic Gates
KR200306981Y1 (en) * 2002-12-06 2003-03-15 (주)에스디 로보테크 Logic Learning Tools Using Digital Logic Gates of Block Assembling Typ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6964Y1 (en) 2001-11-27 2002-03-06 임동균 Study Tools Using Digital Logic Gates
KR200306981Y1 (en) * 2002-12-06 2003-03-15 (주)에스디 로보테크 Logic Learning Tools Using Digital Logic Gates of Block Assembling Typ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8604B1 (en) * 2019-06-13 2020-10-21 정 석 윤 Apparatus for motion programming of coding robot for children
KR20210000771A (en) * 2019-06-25 2021-01-06 김종태 Smart Coding Block for setting up operating reference and output information
KR102296385B1 (en) 2019-06-25 2021-09-01 김종태 Smart Coding Block for setting up operating reference and output inform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6182B1 (en) Logical block
US7695338B2 (en) Remote controlled toy
CN105511260B (en) Humanoid robot and its exchange method and system are accompanied in a kind of children education
US20160374180A1 (en) Led lamp strip,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thereof
WO1999040522A3 (en) Digital signal processor using a reconfigurable array of macrocells
US20100095035A1 (en) Polyhedral assembly, master-slave based electronic system using the same and addressing method thereof
US10456910B2 (en) Educational systems comprising programmable controllers and methods of teaching therewith
KR20170085667A (en) A module-type robot toy using magnets and a robot toy system
KR101551462B1 (en) Modular learning block
US20160227318A1 (en) Method and system for audio broadcast using lighting devices
KR101362748B1 (en) Device control method
JP6562422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lighting units
US10166681B2 (en) Bluetooth speaker and robot interaction system
CN209917265U (en) Intelligent building block system
CN105654977B (en) Shadow and KTV combination type processing equipments
JP6192753B2 (en) Remote control device
CN210229131U (en) Programmable toy robot
US20180192197A1 (en) Multi-function remote controller
JP2019087927A (en) Infrared operation system
CN205486721U (en) Intelligence electronic toy wireless control system
CN210348958U (en) Programming system for intelligent teaching aid
KR20150086690A (en) Terminal circuit in inverter
CN106157579A (en) A kind of remote control equipment and mode switching method
JPH0432861Y2 (en)
JPS62253298A (en) Air conditio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