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5970B1 - 모바일 전단지를 서비스하는 시스템. - Google Patents

모바일 전단지를 서비스하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5970B1
KR101915970B1 KR1020170014197A KR20170014197A KR101915970B1 KR 101915970 B1 KR101915970 B1 KR 101915970B1 KR 1020170014197 A KR1020170014197 A KR 1020170014197A KR 20170014197 A KR20170014197 A KR 20170014197A KR 101915970 B1 KR101915970 B1 KR 1019159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wspaper
button
information
mobile
sh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4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9618A (ko
Inventor
강성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앤피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앤피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앤피디
Priority to KR10201700141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5970B1/ko
Publication of KR20180089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96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59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59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7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26Incentive systems for frequent usage, e.g. frequent flyer miles programs or point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42Determining effectiveness of advertis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1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lo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3Determination of fees for advertising
    • G06Q30/0274Split fe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78Product apprais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전단지를 서비스하는 서비스서버와, 일반독자와 업소독자의 스마트단말과, 신문지국의 관리단말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모바일 전단지를 통해 신문사와 일반독자와, 업소독자 간의 상호 이득을 꾀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모바일 전단지를 서비스하는 시스템.{A Mobile flyer system}
본 발명은 특정 신문을 판매하는 신문사와, 신문사의 신문을 구독하는 일반독자와, 업소독자 간의 상호 이득을 꾀할 수 있는 모바일 전단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문사는 전국 각 지역에 배급소를 설치하고, 각각의 배급소를 통해 해당 지역의 구독자에 신문을 배달한다.
이때 배급소는 신문을 배달할 뿐만 아니라, 해당 지역에서 소재하고 있는 특정업체의 상품을 광고하거나 할인 광고하는 전단지들을 각각의 신문 안쪽에 끼워넣은 상태로 각각의 구독자에게 배달함으로써,
신문을 받아볼 때 전단지에 기재된 내용이나 쿠폰 혹은 할인 정보 등을 통해 저렴한 비용을 필요한 물품을 구매하고, 배급소(이하, 신문지국이라고도 함)는 배포된 전단지의 숫자에 따라 대응하는 광고 수익을 얻으면서 상호이득을 꾀하는 판매사이클을 형성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현대 사회가 고도로 발달하게 되면서, 사람들이 컴퓨터나 모바일을 통해 언제 어디서나 쉽게 소식을 접할 수 있게 되면서,
종래 인쇄물로 소식을 접했던 구독자들이, 점점 온라인으로 이동하면서 신문 구독자의 수가 점차 줄어들게 되었고,
이렇게 구독자의 수가 줄어들게 됨에 따라, 발행되는 신문의 수도 점점 줄어들게 되면서
신문 사이에 끼워지는 전단지의 수도 줄어들게 되어 배급소의 수익 역시 줄어들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전단지를 통해 골목 상권들이 기대할 수 있는 판매 수익도 점점 줄어들게 되었던 것이다.
즉, 신문을 받아보는 구독자를 중심으로 신문사와 배급소와 업소들이 형성하였던 판매사이클이 구독자 수가 점점 줄어들게 되면서 그 크기가 점차 축소되게 되면서 전체적으로 이익이 줄어 들게 된 것이다.
삭제
이에 본 발명에서는 종래 신문 사이에 끼워졌던 전단지를 온라인으로 확장하여 골목 상권들이 기대할 수 있는 판매 수익을 확장하는 한편, 구독자들은 모바일 전단지의 뷰잉을 통한 포인트 확보로 신문사의 신문 구독을 할 수 있게 하고, 신문사는 모바일 전단지에 종속된 새로운 구독자 확보로 신문 구독수를 증대시켜, 판매사이클을 형성하는 구독자와, 신문사와, 업소들이 상호 이득을 꾀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등록된 업소를 광고하기 위한 모바일 전단지를 제공하는 서비스서버;
어플리케이션 재생시 서비스서버가 제공하는 모바일 전단지를 뷰잉하면서 상기 서비스서버로부터 포인트를 지급받는 일반독자의 스마트단말;
상기 서비스서버에 접속하여 등록된 업소의 정보와 구독자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관할하는 영역의 일반독자의 스마트단말이 모바일 전단지를 뷰잉할 때 일정한 비율로 포인트 지급받으며, 등록된 일반독자 혹은 업소독자의 정보를 기반으로 한 순로장을 서비스받는 신문지국의 관리단말;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서비스서버와 스마트단말과 관리단말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신문 사이에 끼워졌던 전단지를, 온라인으로 확장하여 업소들이 기대할 수 있는 판매 수익을 확대할 수 있게 되었고,
일반독자들은 모바일 전단지의 뷰잉을 통해 지급되는 포인트 확보로 신문사의 신문 또는 특정업소의 물품을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게 되었으며,
신문지사는 관할 역역의 독자들이 모바일 전단지를 뷰잉할 때마다 일정한 비율로 광고포인트를 지급받아 확대된 수익을 얻게 되었고,
신문사는 모바일 전단지에 종속된 새로운 구독자의 확보로 신문판매로 보다더 확대된 수익을 확보할 수 있게 되면서,
신문사, 신문지사, 일반독자, 업소독자 간의 상호 이득을 꾀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의 개념도
도 2 내지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의 일반독자의 스마트단말 화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의 관리단말의 화면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은 첨부된 도면을 통해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전단지 서비스 시스템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인쇄물 형태의 신문을 발행하는 신문사(1) 혹은 이의 지국(2)과, 상기 신문사 혹은 신문지국의 신문을 받아보는 업소(이하 업소 혹은 업체라고 함)독자 혹은 일반독자(일반독자 혹은 일반 구독자라고 함)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신문사(1)와 업소 사이에 혹은 신문지국(2)과 일반 구독자 사이에 서비스센터(3)를 설치하고, 상기 서비스센터(3)에는 업소독자 혹은 일반독자에게 모바일 전단지(50)를 서비스하는 서비스서버(10)를 설치하는 한편,
상기 신문지국(2) 혹은 신문사(1)에는 서비스서버(10)에 접속할 수 있는 관리단말(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각각의 업소독자 혹은 일반독자들에게는 서비스서버(10)가 제공하는 모바일 전단지(50)를 뷰잉할 수 있는 스마트단말(30,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신문지국(2)이 지역업소를 유치하고 광고를 수주하게 되면, 해당 지역의 업소독자는 스마트단말(30)을 통해 모바일 전단지 광고를 신청하게 되고,
상기 서비스센터(3)는 신문지국의 관리단말(20) 또는 업소독자의 스마트단말(30)로부터 해당 업소를 소개하는 정보와 해당 업소에서 판매하는 물품의 정보를 전송받아 일정한 플렛폼에 따라 모바일 전단지(50)를 제작하고,
일반독자들은 스마트단말의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켜 서비스센터가 제공하는 모바일 전단지(50)를 오픈하여 특정 업체/업소의 광고를 뷰잉하게 되면, 이에 따른 포인트를 지급받는다.
이때 일반독자들은 모바일 전단지(50)의 새로운 광고를 뷰잉할 때마다 포인트를 적립받게 되고, 일정량 이상의 포인트를 확보하게 되면 일반구독자가 구독하고 있는 신문 대금을 결제하거나 혹은 적립된 금액만큼 할인받고,
신문지국(2)은 일반독자가 광고를 뷰잉하게 되면서 혹은 등록된 해당 업소의 물품을 구매하면서 포인트의 일부분을 서비스센터로부터 지급받게 됨에 따라,
신문지국(2)은 모바일 전단지(50)로 인한 광고포인트 확보로 새로운 이익을 확보해 나갈 수 있는 것이고, 업소독자들은 모바일 전단지 광고로 판매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것이며, 일반독자는 모바일 전단지의 광고 뷰잉을 통해 저렴한 비용으로 물품을 구매하거나 혹은 신문대금을 결제할 수 있고, 신문사는 모바일 전단지에 종속된 새로운 구독자 유입으로,
신문사와, 신문지국과, 업소독자와, 일반독자들이 상호 이득을 꾀할 수 있는 사이클(시장)을 형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서비스센터(3)는, 신문사(1) 혹은 신문지국(2)과 계약을 체결하고 모바일 전단지(50) 제작 및 관리하는 업체로써,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서비스센터는 신문사 혹은 신문지국과 일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스마트단말(30,40)은 업소독자 혹은 일반독자들이 소지한 단말로써, 대표적으로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단말기 등이 있으며, 실시 예에 따라서는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POS(Point of sales) 시스템 중 어느 하나일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스마트단말(30,40)은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 업소독자와 일반독자의 스마트단말일 수도 있지만,
서비스서버(10)가 제공하는 모바일 전단지(50)를 서비스받는 일반독자의 스마트단말(40)과, 해당 업소 정보(예, 업체이름, 연락처, 위치 등등)를 등록하고, 광고 템플릿에 따라 할당된 모바일 웹페이지 상에 제작된 동영상이나 사진 혹은 광고 글을 업 로드하는 업소독자의 스마트단말(30)로 나누어져 있을 수도 있다.
참고로 상기 업소독자의 스마트단말(30)은, 일반독자에게 모바일 전단지가 노출될 지역과 시간을 설정할 수 있고, 실시 예에 따라서는 마감세일 혹은 번개세일 등의 이벤트를 통해 해당 업체에서 판매하는 물품을 홍보할 수 있으며,
실시 예에 따라서는 일반독자들이 모바일 전단지를 통해 광고되는 물품을 구매할 경우, 서비스센터(3)에서 ARS 혹은 예약문자 또는 푸쉬문자로 알림 받을 수 있으며,
실시 예에 따라서는 타업체의 모바일 전단지를 뷰잉할 경우 광고포인트를 적립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일반독자의 스마트단말(4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전단지(50)를 뷰잉하거나 혹은 특정 업체의 상품을 구매하고 포인트를 적립 받을 수 있고, 메뉴버튼(52)의 포인트버튼(52a) 터치시 오픈된 포인트창(51)을 통해 적립된 포인트의 이력을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선물하기 버튼(51b) 동작시 적립된 포인트의 일부를 혹은 전부를 타인에게 선물하거나 양도할 수 있다.
또한,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독자의 스마트단말(40)은, 구독료내기 버튼(51c)을 통해 적립된 포인트로 신문구독료를 설정된 포인트만큼 대납하거나 혹은 쇼핑하기 버튼(51a)을 통해 특정 업체의 상품을 구매할 수도 있다. 이때의 일반독자의 스마트단말(40)은 신문구독신청버튼(51e)을 통해 등록된 가입자 정보를 토대로 신문구독을 신청하여 신문 구독자을 추가 유입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한편,
도 2b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전하기 버튼(51f)을 통해 포인트를 지정된 루트를 통해 현금으로 환전하거나 혹은 반대로 충전하기버튼(51d)을 통해 결제한 만큼의 포인트를 충전하여 등록된 업체의 물품이나 신문구독료를 납부할 수도 있는 것이다.
참고로, 도 3과 도 3a는 일반독자의 스마트단말을 통해 표출되는 모바일 전단지의 모습을 보여주는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디, 패스워드, 이메일, 연락처 등의 개인정보를 입력받아 등록하고, 이용약관 및 SNS수신과 이메일, 푸쉬메시지 위치정보를 선택적으로 수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더불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바일 전단지(50)는 일정한 플렛폼에 따라 상단에 포인트(52a), 쇼핑(52b), 이벤트(52c), 주변지역(52d)의 상점을 확인할 수 있는 메뉴버튼(52)을 형성하고, 상기 메뉴버튼(52) 하단에는 업소독자가 서비스하는 할인 이벤트 정보를 표출하는 이벤트창(53)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이벤트창(53) 하단에는 각각의 업소독자들이 등록한 혹은 신문지사에 의해 등록된 광고창(54)을 나란히 형성하고 있다.
이때 상기 메뉴버튼(52) 중 주변상점버튼(52d)을 터치할 경우, GPS를 통해 일정범위 안쪽에 위치한 주변지역의 업소를 안내하거나 혹은 일반독자가 업소에 접근할 경우 GPS을 통해 확보된 위치정보를 토대로 자동으로 해당 업소를 광고하기 위한 모바일 전단지(50)를 서비스 받을 수 있다.
또한, 일반독자의 스마트단말(40)은 실시 예에 따라 회원이 구매하길 원하는 상품을 역경매 신청하고, 서비스서버는 관련 업소에 문자, 푸시 메시지, ARS 방식으로 역경매발생 사실을 통보할 수 있으며, 각각의 업소가 응찰할 가격을 확인하고 최저가 상품을 낙착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서비스센터의 서비스서버(10)는 모바일 전단지(50)를 서비스하는 서버로써, 업소독자의 스마트단말(30)로부터 전송받은 업체 정보와 일반독자의 스마트단말(40)이 가입시 전송된 가입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있으며, 발급된 포인트 이력을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있다.
또한, 서비스서버(10)는 일반독자의 스마트단말 혹은 업소독자의 스마트단말(30)로 문자, 푸시 메시지, ARS 방식으로 물품구매사실을 혹은 역경매 발생사실을 안내해 줄 뿐만 아니라,
모바일 전단지(50)의 이벤트창을 통해 신문지국이나 신문사가 추천하는 업소를 안내해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 5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고창(54) 터치시 특정 업체의 광고정보를 기재한 정보창(55)이 오픈되면서 하단에 형성된 공유버튼(55a) 터치시 신문 구독업소 간의 커뮤니티를 형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상기 정보창(55)의 문의/후기 버튼(55b)을 통해 리뷰 및 추천수에 따라 광고되고 있는 업체의 신뢰지수를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관리단말(2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서버에 접속하여 일정한 플렛폼에 따라 등록된 업소의 정보나 일반 독자 혹은 업소독자의 정보를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는 관리창(60)을 오픈할 수 있는 단말기로써, 대표적으로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단말기 등이 있으며, 실시 예에 따라서는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POS(Point of sales) 시스템 중 어느 하나이다.
그리고 이러한 관리단말(20)은 신문지국(2)이 관할하는 지역의 일반독자들이 모바일 전단지(50)를 뷰일할 때마다 혹은 특정 물품을 구매할 때마다 일정한 비율로 발급받은 광고포인트의 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단말(20)은, 도 6a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서버(10)에 접속하여 데이터베이스화된 정보를 토대로 순로장(70)을 서비스받거나 독자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의 순로장(60)은, 해당 신문지국(2)이 관할하는 영역의 맵화면(71) 위로 업소독자와 일반독자의 위치가 마킹된 상태로 표시되고, 상기 마킹(72)을 선택할 경우 업소독자 혹은 일반독자의 이름과 함께 연락처와, 구독료 납부현황을 확인할 수 있는 태그(73)가 디스플레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서비스서버와 스마트단말과 관리단말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서비스센터에서 일반독자들에게 모바일 전단지를 서비스하면서 업소들은 판매 수익을 기대할 수 있고,
일반독자들은 모바일 전단지의 뷰잉을 통해 지급되는 포인트 확보로 신문사의 신문이나 등록 업체의 물품을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으며,
신문지사는 관할 영역의 독자들이 모바일 전단지를 뷰잉할 때마다 일정한 비율로 광고포인트를 지급받아 신문판매 수익 및 광고포인트로 확대된 수익을 기대할 수 있고,
신문사는 모바일 전단지에 종속된 구독자와 이를 통해 신규로 유입된 구독자로 인해 보다 더 확대된 신문판매 수익을 확보할 수 있게 되면서,
신문사, 신문지사, 일반독자, 업소독자 간의 상호 이득을 꾀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이하, 모바일 전단지를 이용해 신문사와 신문지사와 업소독자와 일반독자을 통해 형성된 사이클로 상호이득을 얻는 과정을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먼저, 신문지국(2)이 지역업소를 유치하고 광고를 수주하게 되면, 해당 지역의 업소독자는 스마트단말(30)의 광고 플렛폼에 따라 동영상이나 이미지 혹은 텍스트 정보를 업로드하고,
상기 서비스센터(3)는 업소독자의 스마트단말(30)를 통해 업로드된 정보를 토대로 모바일 전단지를 생성하여 일반독자들의 스마트단말로 서비스한다.
이때 일반독자가 스마트단말(40)을 통해 모바일 전단지(50)를 오픈하여 해당 업소의 정보 혹은 상품을 뷰잉하게 되면,
서비스서버(10)는 일정량이 포인트를 해당 일반독자의 스마트단말(30)과 해당 업소를 관할하는 신문지사의 관리단말(20)로 지정된 양만큼의 포인트를 지급하는 것이다.
이때 신문지국의 배달지원은 관리단말(20)을 통해 서비스서버에 접속하여 등록된 정보를 토대로 맵화면 위로 업소독자와 일반독자의 위치를 표시한 마킹하고, 상기 마킹을 선택할 경우 구독자의 이름과 함께 연락처와 구독료 납부현황을 기록한 태그를 디스플레이하는 순로장을 통해 신문지국의 배달지원이 용이하게 신문구독료를 수금할 수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일반독자들은 모바일 전단지(50)의 광고를 뷰잉할 때마다 포인트를 적립받게 되고, 이의 포인트를 이용해 신문 대금을 결제하거나 혹은 신문을 구독하고,
신문지국(2)은 서비스센터로부터 지급받은 포인트로 광고 수익을 얻으며,
신문사는 모바일 전단지에 종속된 새로운 구독자 확보로 보다 더 확대된 수익을 꾀하면서
신문사, 신문지국, 일반독자, 업소독자들이 상호 이득을 얻을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신문사 2:신문지국
3:서비스센터 10:서비스센터
20:관리단말 30:업소독자의 스마트단말
40:일반독자의 스마트단말 50:모바일 전단지
60:관리창 70:순로장

Claims (9)

  1. 등록된 업소를 광고하기 위한 모바일 전단지(50)를 제공하는 서비스서버(10);
    어플리케이션 재생시 서비스서버가 제공하는 모바일 전단지를 뷰잉하면서 상기 서비스서버로부터 포인트를 지급받는 일반독자의 스마트단말(40);
    상기 서비스서버에 접속하여 업소 정보를 등록하고, 광고 템플릿에 따라 할당된 모바일 웹페이지 상에 제작된 동영상이나 사진 혹은 광고 글을 업 로드하는 업소독자의 스마트단말(30);
    상기 서비스서버에 데이터베이스화된 정보를 토대로 순로장(60)을 서비스받아 관할하는 영역 내에 등록된 업소독자의 정보와 일반독자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신문지국의 관리단말(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순로장(60)은 해당 신문지국(2)이 관할하는 영역의 맵화면(71)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맵화면(71) 위로 업소독자와 일반독자의 위치를 표시하는 마킹(72)이 매쉬업된 상태로 디스플레이되는 한편, 상기 마킹(72)을 터치하였을 때에는 업소독자 혹은 일반독자의 이름과 함께 연락처와 신문 구독료 납부현황을 확인할 수 있는 태그(73)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신문지국(2)이 지역업소를 유치하고 광고를 수주하게 되면, 해당 지역의 업소독자는 스마트단말(30)의 광고 플렛폼에 따라 동영상이나 이미지 혹은 텍스트 정보를 업로드하고, 서비스센터(3)는 업소독자의 스마트단말(30)를 통해 업로드된 정보를 토대로 모바일 전단지를 생성하여 일반독자들의 스마트단말로 서비스하는 한편, 일반독자의 스마트단말(40)이 모바일 전단지(50)를 오픈하여 해당 업소의 정보 혹은 상품을 뷰잉하게 되면 서비스서버(10)는 일정량이 포인트를 해당 일반독자의 스마트단말(30)로 지정된 양만큼의 포인트를 지급하고, 상기 신문지국의 관리단말(20)은 서비스서버에 접속하여 해당 신문지국이 관할하는 영역 내에서 맵화면 위로 표시된 마킹과 상기 마킹 선택시 태그가 디스플레이되는 순로장을 통해 해당 신문지국의 배달지원이 용이하게 신문구독료를 수금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일반독자들은 모바일 전단지(50)의 광고를 뷰잉할 때마다 포인트를 적립받게 되고 이의 포인트를 이용해 신문 대금을 결제하거나 혹은 신문을 구독하고, 동시에 신문지국(2)은 서비스센터로부터 지급받은 포인트로 광고 수익을 얻고, 신문사는 모바일 전단지에 종속된 새로운 구독자 확보함으로써 보다 더 확대된 수익을 꾀하면서 신문사, 신문지국, 일반독자, 업소독자들이 상호 이득을 얻을 수 있도록 구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전단지를 서비스하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전단지는 일정한 플렛폼에 따라 포인트(52a), 쇼핑(52b), 이벤트(52c), 주변상점(52d)을 확인할 수 있는 메뉴버튼(52)을 형성하고,
    상기 메뉴버튼(52) 중에서 포인트버튼(52a)이 터치되었을 때에는, 오픈된 포인트창(51)을 통해 적립된 포인트의 이력을 확인할 수 있고, 특히 특정 업체의 상품을 구매할 수도 있는 쇼핑하기 버튼(51a)과, 적립된 포인트의 일부를 혹은 전부를 타인에게 선물하거나 양도할 수 있는 선물하기 버튼(51b)과, 적립된 포인트로 신문구독료를 납부하기 위한 구독료내기 버튼(51c)과, 현금 결제한 만큼의 포인트를 충전하여 등록된 업체의 물품이나 신문구독료를 납부하기 위한 충전하기버튼(51d) 또는 포인트를 지정된 루트를 통해 현금으로 환전하기 위한 환전하기 버튼(51f)을 형성하는 한편,
    상기 구독료내기 버튼(51c)이 터치되었을 때에는 등록된 가입자 정보를 토대로 새로운 신문 구독자가 추가 유입되게 구성하는 신문구독신청버튼(51e)과, 신문 구독료를 납부하기 위한 납부하기 버튼을 형성하고,
    상기 메뉴버튼(52) 중에서 쇼핑버튼(52b)이 터치되었을 때에는, 업소독자가 서비스하는 할인 이벤트 정보를 표출하는 이벤트창(53)과, 상기 이벤트창 하단에 각각의 업소독자들이 등록한 혹은 신문지사에 의해 등록된 광고창(54)을 나란히 디스플레이되게 형성하는 한편,
    상기 광고창(54) 터치시에는 특정 업체의 광고정보를 기재한 정보창(55)이 오픈되면서 하단에 형성된 공유버튼(55a)을 통해 해당 정보창의 광고물품을 통해 커뮤니티를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정보창(55)의 문의/후기 버튼(55b)을 통해 리뷰 및 추천수에 따라 광고되고 있는 업체의 신뢰지수를 확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메뉴버튼(52) 중 주변상점버튼(52d)이 터치되었을 때에는, GPS를 통해 일정범위 안쪽에 위치한 주변지역의 등록된 업소를 안내하거나, 혹은 일반독자가 등록된 업소에 접근할 경우 스마트단말의 GPS을 통해 확보된 위치정보를 토대로 자동으로 해당 업소를 광고하기 위한 모바일 전단지를 수신받을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전단지를 서비스하는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일반독자의 스마트단말은 회원이 구매하길 원하는 상품을 등록된 업체들에게 역경매 신청하고, 서비스서버는 관련 업소에 문자, 푸시 메시지, ARS 방식으로 역경매발생 사실을 통보히여 각각의 업소가 응찰할 경우 응찰한 가격을 해당 일반독자의 스마트단말로 안내하여 최저가 상품을 낙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전단지를 서비스하는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70014197A 2017-02-01 2017-02-01 모바일 전단지를 서비스하는 시스템. KR1019159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4197A KR101915970B1 (ko) 2017-02-01 2017-02-01 모바일 전단지를 서비스하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4197A KR101915970B1 (ko) 2017-02-01 2017-02-01 모바일 전단지를 서비스하는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9618A KR20180089618A (ko) 2018-08-09
KR101915970B1 true KR101915970B1 (ko) 2019-01-30

Family

ID=63251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4197A KR101915970B1 (ko) 2017-02-01 2017-02-01 모바일 전단지를 서비스하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5970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5938A (ko) * 2000-04-12 2001-11-07 유완상 마일리지를 이용한 선결제 시스템
KR20080102539A (ko) * 2007-05-21 2008-11-26 (주) 인터넷세상 웹 전단지 검색 서비스와 이를 이용한 문자 주문 시스템 및그 방법
KR20130021035A (ko) * 2011-08-22 2013-03-05 주식회사 컴투스 이동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에서 실행되는 광고 제공 장치 및 방법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네이버블로그, "[스마트마케팅] 스마트슈머를 겨냥하다" (2013.11.06.) <URL: http://blog.daum.net/mocie/15613480>*
네이버블로그, "OK캐쉬백 샵인으로 모바일전단지 마케팅을!" (2013.08.07.) <URL: https://blog.naver.com/ohjogoodn/60197236316>*
네이버블로그, "모바일 전단지 만드는 전단지존 리얼후기" (2015.09.08.) <URL: https://blog.naver.com/tmvlflt0203/22047530820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9618A (ko) 2018-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244223A1 (en) Generation Online E Commerce and Networking System for Transforming a Traditional Email Application into a Virtual Mail Application to Significantly Improve Email Marketing Results
US10949897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ceiving promotional sample product
US20170053340A1 (en) Electric commerce support system
JP2012145983A (ja) アフィリエイト管理システム、及びアフィリエイトサーバー
KR20150018737A (ko) 광고주와 가맹점을 매칭하여 소비자에게 이벤트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JP2008305112A (ja) 会員制Web電子マネーサイト管理システム
WO2020262801A1 (ko) 딱지 기반 광고 서비스 시스템
WO2012099302A1 (ko) 가상 동네 서비스 제공 방법
US20200334711A1 (en) Online E Commerce and Networking System with an Instant Payment and Settlement Digital Currency Application for Realizing Internet of Values
KR20040001065A (ko) 유료 디지털 컨텐츠 판매촉진을 위한 디지털 컨텐츠쿠폰의 운영시스템 및 그의 운영방법
US20190147481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cure delivery and payment of a product or a service
KR101915970B1 (ko) 모바일 전단지를 서비스하는 시스템.
JP2011248838A (ja) Snsを用いた会員制デジタルコンテンツ及びショッピングモール管理システム
KR20020068945A (ko) 휴대폰의 전자쿠폰을 이용한 결제시스템
US20140100917A1 (en) Consumer preference aggregation via an item information system
KR100839979B1 (ko) 문자메시지를 이용한 고객 관리 시스템
KR102099892B1 (ko) 딱지 기반의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576269B1 (ko) 온라인을 통한 오프라인 광고의 중개 시스템 및 방법
KR102171291B1 (ko) 메신저 단체 대화방에서 표계산 서비스 방법
JP7351946B2 (ja) サーバ装置及び取引対象紹介方法
JP7189980B2 (ja) 情報通信システム、及び情報通信方法
KR102175496B1 (ko)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624162B1 (ko) 유료 메시지 송신, 수신 및 중개 방법과 그 중개장치
KR100842859B1 (ko) 유료 메시지 송신, 수신 및 중개 방법과 그 중개장치
KR20210074885A (ko) 기부 중개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