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5142B1 - Sewing machine for sleeve placket - Google Patents

Sewing machine for sleeve plack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5142B1
KR101915142B1 KR1020170077174A KR20170077174A KR101915142B1 KR 101915142 B1 KR101915142 B1 KR 101915142B1 KR 1020170077174 A KR1020170077174 A KR 1020170077174A KR 20170077174 A KR20170077174 A KR 20170077174A KR 101915142 B1 KR101915142 B1 KR 1019151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ing
setting
sleeve
cloth
sew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71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동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에스엠글로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에스엠글로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에스엠글로벌
Priority to KR1020170077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514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5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514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3/00Sewing apparatus or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5/00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5B35/02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cilitating seaming; Hem-turning elements; Hemmer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75/00Frames, stands, tables, or other furniture adapted to carry sewing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wing machine for a sleeve placket. The sewing machine includes a sewing frame fixedly installed on the main body of the machine, a work die movably installed in the front and rear,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main body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ewing machine and having a controlled position relative to the sewing machine; a contact-setting unit which touches a plaque cloth placed on the work die and is set a placket form, and a sewing line setting unit which sets a sewing line by press-fixing the plaque cloth and the sleeve cloth when the sleeve cloth is placed on the set plaque clo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utomate the sewing process of the sleeve placket and greatly improve workability, and to perform sewing work efficiently and quickly even without skilled techniques.

Description

슬리브 플래킷 재봉장치 {Sewing machine for sleeve placket}[0001] Sewing machine for sleeve placket [0002]

본 발명은 재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셔츠 소매의 슬리브 플래킷을 효율적으로 재봉할 수 있는 슬리브 플래킷 재봉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wing machi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leeve placket sewing machine capable of efficiently sewing a sleeve placket of a shirt sleeve.

일반적으로 플래킷(placket)은 셔츠, 스커트 등의 의복에 있어, 입거나 벗을 때 편리하면서 편안하게 동작을 할 수 있도록 의복의 일부분에 만들어진 ‘트여있는 부분’을 말하며, 특히 도 1에 일 예시된 것과 같이, 셔츠의 소매부분에 만들어진 트여 있는 부분을 슬리브 플래킷(S.P, sleeve placket) 또는 테일러드 플래킷(tailored placket)이라고 한다.Generally, a placket refers to a portion of a garment such as a shirt, a skirt, or the like, which is convenient and comfortable to wear when put on or taken off. In particular, As such, the portion of the sleeve that is made in the sleeve is referred to as a sleeve (SP) or a tailored placket.

슬리브 플래킷(S.P)은 재단된 플래킷천을 플래킷 형태로 시접한 후 그 위에 트임부가 형성된 슬리브천을 놓은 상태에서 재봉라인을 따라 박음질함으로써 재봉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종래에는 이러한 슬리브 플래킷의 모든 재봉작업 과정이 순수하게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서만 이루어졌기 때문에, 작업효율성이 좋지 못하며, 숙련도가 떨어지는 작업자의 경우 재봉작업이 쉽지 않아 재봉불량이 많이 발생하거나 작업시간이 상당히 지연되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The sleeve plate (SP) is sewn by sewing along a sewing line in a state in which a trimmed plaque cloth is in contact with a placket, and then a sleeve cloth having a trim is placed on the sleeve. Since the work process is purely performed by manual work of the worker, the work efficiency is not good, and in the case of a worker having a low proficiency, the sewing work is not easy and there are many problems such as a lot of sewing defects or a considerable time delay.

등록특허 제10-1741040호 : 옆고리 단추용 자동 재봉장치Registration No. 10-1741040: Automatic sewing machine for side loop button 등록특허 제10-1491977호 : 카페트용 재봉장치Registration No. 10-1491977: Carpet sewing machine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슬리브 플래킷의 재봉과정을 자동화하여 작업성을 크게 향상시키며, 숙련된 기술이 없어도 효율적이고 신속하게 재봉작업이 가능한 슬리브 플래킷 재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leeve flap which can automate the sewing process of the sleeve placket to greatly improve workability, And to provide a kit sewing apparatus.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해결수단으로서,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장치본체에 고정 설치되는 재봉틀과, 상기 재봉틀의 하부에서 장치본체에 전후 및 좌우 양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재봉틀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가 제어되는 작업다이와, 상기 작업다이 위에 놓여진 플래킷천을 시접하여 플래킷 형태로 세팅하는 시접세팅유닛과, 상기 세팅된 플래킷천 위에 슬리브천이 놓이면, 플래킷천과 슬리브천을 가압 고정시켜 재봉라인을 세팅하는 재봉라인세팅유닛을 포함하는 슬리브 플래킷 재봉장치가 개시된다.A work die mounted to the apparatus main body at a lower portion of the sewing machine so as to be movable in both forward and backward and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controlled in relative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sewing machine; And a sewing line setting unit for setting the sewing line by pressing and fixing the plaque cloth and the sleeve cloth when the sleeve cloth is placed on the set plaque cloth.

여기서, 상기 작업다이에는 후단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플래킷 형상으로 연장되면서 일정깊이 요입된 세팅홈이 형성되며, 상기 시접세팅유닛은, 상기 세팅홈으로 인입 가능한 형상을 가지며, 세팅홈 위에 놓여진 플래킷천의 심부 위로 선택적으로 안착되는 랜딩바와, 상기 랜딩바가 플래킷천의 심부 위에 안착되면, 랜딩바를 하향 가압하여 플래킷천의 심부를 세팅홈으로 인입시키는 가압봉과, 상기 세팅홈으로 인입되지 않은 플래킷천의 시접부를 랜딩바 위로 접어 시접시키는 폴딩부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work die is provided with a setting groove extending in a plate shape from the rear end to a predetermined depth and recessed to a predetermined depth, and the contactless setting unit has a shape capable of being inserted into the setting groove, A landing bar that is selectively seated above the deep portion, a pressing rod that presses the landing bar downward to draw the deep portion of the platform stream into the setting groove when the landing bar is seated on the deep portion of the placetian stream, And a folding unit for folding and landing the landing bar on the landing bar.

또한, 상기 랜딩바는 작업다이의 후방쪽에 상하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회동실린더에 결합되어, 회동실린더에 의해 세팅홈의 위치로 전후진됨과 함께, 회동실린더의 회동에 의해 승강되면서 세팅홈에 선택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anding bar is coupled to a rotating cylinder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working die so as to be vertically rotatable. The landing bar moves back and forth to the position of the setting groove by the rotating cylinder, .

또한, 상기 폴딩부는, 상기 세팅홈의 좌우 양쪽에 대칭으로 구비되어, 세팅홈을 향해 전진됨으로써 플래킷천의 측단 시접부를 밀어 나란하게 접어주는 한쌍의 측방폴더와, 상기 세팅홈의 선단쪽에 대칭을 이루면서 비스듬한 방향으로 구비되어, 세팅홈을 향해 전진됨으로써 플래킷천의 선단 시접부를 첨단형으로 접어주는 한쌍의 전방폴더를 포함할 수 있다.The folding unit may include a pair of side folders symmetrically provid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etting groove and folded in parallel to push the side end facing portion of the placard rolling by being advanced toward the setting groove, And a pair of front folders which are provided in an oblique direction and which are advanced toward the setting grooves to fold the leading end facing portion of the placket cloth into an apex shape.

또한, 상기 작업다이는, 상면의 좌우 중간위치에 상기 세팅홈이 형성되는 다이프레임과, 상기 다이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세팅홈의 주변에는 세팅홈을 향해 하향 경사진 경사단이 형성되면서 경사단의 중심에는 세팅홈이 노출되도록 절개슬릿이 형성된 다이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The work die may include a die frame having the setting grooves formed at left and right intermediate positions of the upper surface thereof, and a lower frame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die frame, wherein a tapered end portion is formed in the periphery of the setting groove, And a die cover having an incision slit formed therein to expose a setting groove at the center of the inclined end.

또한, 상기 재봉라인세팅유닛은, 상기 작업다이의 후단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블록과, 상기 승강블록에 결합되어 플래킷 형상으로 연장되며, 승강블록의 하강에 따라 플래킷천과 슬리브천을 하향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프레싱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wing line sett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lift block mounted on a rear end of the work die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and a flange extending in a form of a plate coupled with the lift block, To thereby fix the pressing rod.

또한, 상기 프레싱로드는, 상기 승강블록에 결합되어 수평하게 일정길이 연장되는 직선형의 로드몸체와, 상기 로드몸체에서 전방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면서 선단이 첨단형으로 형성된 헤드와, 상기 로드몸체와 헤드 사이에 결합되되, 좌우 양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하여, 재봉시 재봉라인과 간섭되지 않도록 회동되는 조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essing rod includes a linear rod body coupled to the elevating block and extending horizontally by a predetermined length, a head having a distal end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rod body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rod body, And a joint which is rotatable in both right and left directions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sewing line at the time of sewing.

본 발명에 따른 슬리브 플래킷 재봉장치에 의하면,According to the sleeve placket sew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플래킷천과 슬리브천을 자동으로 시접 및 재봉라인을 세팅하여 재봉이 이루어지므로, 재봉작업이 쉬우면서 재봉작업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어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숙련된 재봉기술이 없어도 누구든지 재봉작업을 쉽고 신속하게 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Sewing is done by setting sewing line and sewing line automatically, so sewing work is easy, sewing work time can be greatly shortened, productivity can be improved greatly, and anyone who does not have skilled sewing technique can sew There is a technical effect that the work can be performed easily and quickly.

아울러, 상기한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명시한 효과 이외에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으로부터 용이하게 도출되고 기대될 수 있는 특유한 효과 또한 본 발명의 효과에 포함될 수 있음을 첨언한다.It is to be noted that, in addition to the effect specifically described above, a specific effect that can be easily derived and expected from the characteristic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included in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슬리브 플래킷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재봉장치의 대상물인 플래킷천과 슬리브천의 일 예를 예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재봉장치의 전체적인 외관구성을 일 예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작업다이 부분을 분해하여 일 예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접세팅유닛을 일 예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재봉라인세팅유닛을 일 예시한 도면,
도 7 내지 도 8은 플래킷천의 시접세팅과정을 순서대로 일 예시한 도면,
도 9 내지 도 10은 재봉라인 세팅과정을 순서대로 일 예시한 도면,
도 11 내지 도 12는 세팅된 재봉라인을 따라 재봉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순서대로 일 예시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leeve placket,
2 is a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plaque cloth and a sleeve cloth which are objects of the sew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illustrat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sew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illustration of an exploded view of a work die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ontact sett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illustrating a sewing line sett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S. 7 to 8 illustrate sequential setting procedures of the placichon in order;
FIGS. 9 to 10 illustrate a sewing line setting process in order;
FIGS. 11 to 12 illustrate a process of sewing along a set sewing line in order.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슬리브 플래킷 재봉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sleeve placket sew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으로서, 첨부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크기, 요소간의 간격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축소되거나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t should be not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duced or exaggerated for the sake of simplicity.

또한,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구비되어”, “형성되어”, “설치되어”,“결합되어”, “연결되어”있다고 기재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구비, 형성, 설치, 결합,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t will als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described as being "equipped", "formed", "install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Formed, installed, coupled, or connected to each other, bu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present in the middle

아울러,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원칙적으로 관련된 공지의 기능이나 공지의 구성과 같이 이미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In addition, when describing the embodiments, in the case where it is judged that technic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nnecessarily blurred as a matter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such as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well known in the ar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슬리브 플래킷 재봉장치(이하, “재봉장치(100)”라 약칭함.)는 플래킷천과 슬리브천을 재봉하는 장치로서, 본 발명의 재봉장치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 따른 재봉장치(100)의 재봉 대상물에 대하여 먼저 간략하게 살펴본다.(Hereinafter abbreviated as "the sewing machin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for sewing a plaque cloth and a sleeve cloth. Before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tructure of the sew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bject to be sewed of the sewing machine 100 will be briefly described first.

도 2에는 본 발명의 재봉대상이 되는 플래킷천(P)과 슬리브천(S)이 일 예시되어 있는 바, 플래킷천(P)은 상기 도면에 예시된 것과 같은 형상으로 재단되는데,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이 심부(P1)이며 그 외부의 나머지 부분은 심부(P1) 위로 접히게 되는 시접부(P2)가 된다.2, a plaquette cloth P and a sleeve cloth S to be sewn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exemplified, and the plaquette cloth P is cut into a shape as illustrated in the drawing, And the rest of the outer portion P1 is a contact portion P2 that is folded over the deep portion P1.

슬리브천(S)은 셔츠의 소매가 되는 천으로서, 도면에는 편의상 일부분만을 예시하였으며, 슬리브천(S)에는 트임부(S1)가 형성된다.The sleeve S is a sleeve which is a sleeve of a shirt. For the sake of convenience, only a part of the sleeve S is illustrated, and the sleeve S is formed with a twist portion S1.

이러한 플래킷천(P)과 슬리브천(S)은, 플래킷천(P)의 시접부(P2)가 심부(P1) 위로 접혀 시접된 상태에서 슬리천(S)의 트임부(S1)가 심부(P1)와 시접부(P2) 사이로 끼워져 포개진 상태에서 재봉라인(S.L)을 따라 재봉됨으로써, 도 1에 일 예시된 것과 같은 슬리브 플래킷(S.P)으로 만들어진다.The plaque cloth P and the sleeve cloth S are formed such that the twisting portion S1 of the slit S is in contact with the deep portion P1 of the plaque pit P, P1 and the contact portion P2 and is sewn along the sewing line SL in a collapsed state so as to be made into a sleeve plaque SP as exemplified in Fig.

본 발명에 따른 재봉장치(100)는 상기한 플래킷천(P)과 슬리브천(S)으로 슬리브 플래킷을 재봉하는 장치로서, 도 3 내지 도 6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봉장치(100)의 구성이 일 예시되어 있다.The sew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pparatus for sewing a sleeve plaque with the placket cloth P and the sleeve cloth S described above, and FIGS. 3 to 6 show a sew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is exemplified.

상기한 도면들에 예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봉장치(100)는 장치본체(10)와, 재봉틀(20)과, 작업다이(30)와, 시접세팅유닛(40)과, 재봉라인세팅유닛(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As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 sew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 a sewing machine 20, a work die 30, a contactless setting unit 40, , And a sewing line setting unit (40).

먼저, 상기 장치본체(10)는 도 3에 일 예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재봉장치(100)의 전체적인 외관 및 골조를 이루면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요소들이 설치되는 장치의 본체(Main body)이다.3, the apparatus body 10 is a main body of the apparatus in which the compon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installed while forming the overall appearance and framework of the sew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또한, 상기 재봉틀(20)은 상기 플래킷천(P)과 슬리브천(S)을 박음질하여 재봉하는 기기로서, 도 3에 예시된 것처럼, 상기 장치본체(10)의 전단쪽 일측에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다.The sewing machine 20 is a device for sewing and sewing the plaquette cloth P and the sleeve cloth S and is fixed to one side of the front end side of the apparatus body 10, .

이러한 재봉틀(20)은 특별한 구성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종래의 다양한 구성이 널리 채용될 수 있다.Such a sewing machine 20 is not limited to a special configuration, and various conventional configurations known in the art can be widely employed.

다음으로, 상기 작업다이(30)는 상기 재봉틀(20)에 의한 플래킷천(P)과 슬리브천(S)의 재봉작업이 이루어지는 부분으로, 도 4에 일 예시된 것처럼, 다이프레임(31)과, 다이커버(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work die 30 is a part for sewing the plaque cloth P and the sleeve cloth S by the sewing machine 20 and includes a die frame 31, , And a die cover (32).

상기 다이프레임(31)은 대략 사각형상을 갖는 프레임으로서, 그 상면에는 세팅홈(33)이 형성된다.The die frame 31 is a frame having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and on its upper surface, a setting groove 33 is formed.

상기 세팅홈(33)은 후술하는 시접세팅유닛(40)과 연계하여 플래킷천(P)이 플래킷 형태로 시접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The setting grooves 33 serve to enable the plaque pile P to be seen in a plaque form in conjunction with the visual contact setting unit 40 to be described later.

이러한 세팅홈(33)은 다이프레임(31)의 좌우 중간위치에 형성되는데, 후단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플래킷 형상에 대응된 형상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면서, 또한 플래킷천(P)의 심부(P1)가 내측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일정깊이 요입되어 형성된다.The setting grooves 33 are formed at left and right intermediate positions of the die frame 31. The setting grooves 33 are extended from the rear end toward the front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placket, So that it can be drawn inward.

상기 다이커버(32)는 다이프레임(31)의 상측을 커버하도록 다이프레임(31)의 상부에 결합되는데, 다이커버(32)의 내부에는 후술하는 시접세팅유닛(40)의 측방폴더(43)와 전방폴더(44)가 수용 설치된다.The die cover 32 is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die frame 31 so as to cover the upper side of the die frame 31. A side folder 43 of the contact setting unit 40, And a front folder 44 are accommodated and installed.

이러한 다이커버(32)에는 경사단(32a)과 절개슬릿(32b)이 형성되는데, 상기 경사단(32a)은 상기 세팅홈(33)을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세팅홈(33)의 주변 위치에 형성이 되고, 상기 절개슬릿(32b)은 세팅홈(33)이 다이커버(32)에 가리지 않고 노출이 되도록 세팅홈(33)의 위치에 대응하여 경사단(32a)의 중심부분에 형성된다.The inclined end 32a is formed at a peripheral position of the setting groove 33 so as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setting groove 33. [ And the cutting slit 32b is formed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inclined step 32a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setting groove 33 so that the setting groove 33 is exposed without covering the die cover 32. [

여기서, 다이커버(32)의 내부에는 시접세팅유닛의 측방폴더(43)와 전방폴더(44)가 수용되는데, 후술하는 것처럼 측방폴더(43)와 전방폴더(44) 각각의 푸싱대(43a, 44a)가 세팅홈(33)으로 전후진되므로, 상기 푸싱대(43a, 44a)가 다이커버(32)와 간섭되지 않고 전후진이 가능하도록 상기 절개슬릿(32b)과 다이프레임(31)의 상면 사이에는 푸싱대(43a, 44a)의 통과가 가능하도록 간극이 형성된다.The side folder 43 and the front folder 44 of the contact setting unit are accommodated in the die cover 32. The pushing pieces 43a and 43b of the side folder 43 and the front folder 44, 44a are shifted back and forth by the setting grooves 33 so that the cutting slits 32b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die frame 31 can be moved forward and backward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die cover 32 A gap is formed so as to allow the pushing bushes 43a and 44a to pass therethrough.

상기한 구성의 작업다이(30)는 상기 재봉틀(20)의 하부 위치에서 장치본체(10)에 설치되는데, 고정 설치된 재봉틀(20)에 대하여 재봉시에 상대적인 위치가 제어됨으로써 재봉라인을 따라 재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양방향, 즉 전후방향과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치본체(10)에 설치된다.The work die 30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is installed in the apparatus main body 10 at a lower position of the sewing machine 20. The sewing machine 20 has a fixed position relative to the sewing machine 20 during sewing, And is installed in the apparatus main body 10 so as to be movable in both directions, that is,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n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이를 위하여, 작업다이(30)의 후방쪽 장치본체(10)에는 작업다이(30)에 양방향 이동력을 제공하는 다이 이동수단(도면 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apparatus body 10 on the rear side of the work die 30 may be provided with die moving means (not shown) for providing a bi-directional moving force to the work die 30.

다음으로, 상기 시접세팅유닛(40)은 상기 작업다이(30) 위에 플래킷천(P)이 놓여지면, 놓여진 플래킷천(P)을 시접하여 재봉이 가능한 플래킷 형태로 세팅하는 기능을 수행한다.Next, when the plaquette cloth P is placed on the work die 30, the visual contact setting unit 40 sets the plaquette cloth P in a placket shape in which the placed placket cloth P is visible and sewn.

이를 위한 시접세팅유닛(40)은 도 5에 예시된 것과 같이, 랜딩바(41)와, 가압봉(42)과, 폴딩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contact setting unit 40 for this purpose may include a landing bar 41, a pressing rod 42, and a folding unit, as illustrated in FIG.

상기 랜딩바(41)와 가압봉(42)은 작업다이(30)에 형성된 세팅홈(33)으로 플래킷천(P)의 심부(P1)를 인입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landing bar 41 and the pressing rod 42 function to draw the deep portion P1 of the platform pit P into the setting grooves 33 formed in the work die 30.

상기 랜딩바(41)는 세팅홈(33)으로 인입 가능하도록 세팅홈(33)에 대응하여 길게 연장된 형상의 얇은 판재로 이루어진다.The landing bar 41 is formed of a thin plate having a shape elongated corresponding to the setting grooves 33 so as to be drawn into the setting groove 33.

또한, 랜딩바(41)는 작업다이(30)의 후방쪽에 상하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회동실린더(41a)에 결합된다.The landing bar 41 is coupled to a rotating cylinder 41a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work die 30 so as to be vertically rotatable.

이러한 랜딩바(41)는 회동실린더(41a)에 의해 세팅홈(33) 위치로 전진된 상태에서, 세팅홈(33) 위에 플래킷천(P)이 놓여지면 회동실린더(41a)의 하향 회동에 의해 하강되면서 플래킷천(P)의 심부(P1) 위로 안착이 된다.The landing bar 41 is advanced to the setting groove 33 position by the pivoting cylinder 41a and is pivoted downward by the pivoting cylinder 41a when the platform pit P is placed on the setting groove 33 And is seated on the deep portion P1 of the placket pile P while being lowered.

그리고, 플래킷천(P)의 세팅 후, 후술하는 재봉라인 세팅유닛이 작동할 때에는 회동실린더(41a)에 의해 후진되면서 세팅된 플래킷천(P)으로부터 후방으로 이탈되고, 재봉이 완료된 후에는 다시 회동실린더(41a)의 상향 회동과 전진 작동에 따라 세팅홈(33)의 상측에 위치하여 안착 가능한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When the sewing line setting unit,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operated after setting the platform pitch P, the sewing line setting unit is retracted by the pivoting cylinder 41a to move backward from the set platform pitch P, And is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tting groove 33 in accordance with the upward rotation and forward operation of the cylinder 41a, and is returned to a state in which the seat 41a is seated.

상기 가압봉(42)은 상기 랜딩바(41)가 플래킷천(P)의 심부(P1) 위로 안착되면 랜딩바(41)를 하향 가압하여 플래킷천(P)의 심부(P1)를 세팅홈(33)으로 인입시킨다. When the landing bar 41 is seated on the deep portion P1 of the platform pool P, the pressing rod 42 presses the landing bar 41 downward to press the deep portion P1 of the platform chain P into the setting groove 33).

이러한 가압봉(42)은, 세팅홈(33)을 향해 가압봉(42)을 승강시킴으로써 하향 가압력을 제공하는 가압실린더(42a)에 결합되며, 상기 가압실린더(42a)는 상기 재봉틀(20)의 일측에 수직으로 고정 설치될 수 있다.The pressing rod 42 is coupled to a pressurizing cylinder 42a that provides a downward pressing force by moving the pressing rod 42 up and down toward the setting groove 33. The pressing cylinder 42a presses the pressing cylinder 42a, And can be vertically fixed to one side.

여기서, 상기 가압봉(42)은 상술한 것처럼 플래킷천(P)의 시접 세팅시 랜딩바(41)를 눌러 플래킷천(P)의 심부(P1)를 세팅홈(33)으로 인입시키는 기능과 함께, 후술하는 재봉라인 세팅유닛(50)의 작동시 먼저 하강하여 플래킷천(P)과 슬리브천(S)을 눌러줌으로써 재봉라인세팅유닛(50)에 의한 가압 고정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The pressing rod 42 has a function of drawing the deep portion P1 of the plaque pear spring P into the setting groove 33 by pressing the landing bar 41 when setting the platform pitch P as described above , The function of pushing the placket pile P and the sleeve cloth S by lowering first in operation of the sewing line setting unit 5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so that the sewing line setting unit 50 can press- Can be performed.

상기 폴딩부는 상기 랜딩바(41)와 가압봉(42)에 의해 플래킷천(P)의 심부(P1)가 세팅홈(33)으로 인입된 상태에서, 세팅홈(33)으로 인입되지 않은 플래킷천(P)의 시접부(P2)를 랜딩바(41) 위로 접어 시접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folding part is formed in the folding part 33 in a state in which the deep part P1 of the platform pit P is drawn into the setting groove 33 by the landing bar 41 and the pressing rod 42, (P2) on the landing bar (41) to perform a function of bringing the contact portion (P2) of the landing pad (P) into contact with the landing bar (41).

이를 위한 폴딩부는 한쌍의 측방폴더(43)와, 한쌍의 전방폴더(4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folding unit for this purpose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pair of side folders 43 and a pair of front folders 44. [

상기 한쌍의 측방폴더(43)는 세팅홈(33)의 좌우 양쪽에 상호간에 마주보도록 대칭으로 설치되고, 한쌍의 전방폴더(44)는 세팅홈(33)의 선단쪽에 대칭을 이루면서 비스듬한 방향으로 설치된다.The pair of side folders 43 are symmetrically arrang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etting groove 33 so as to face each other. The pair of front folders 44 are installed symmetrically in the direction of the tip of the setting groove 33, do.

이러한 한쌍의 측방폴더(43)와 한쌍의 전방폴더(44)는 모두 다이프레임(31)의 상면에 설치되면서 다이커버(32)의 내부에 수용된다.The pair of side folders 43 and the pair of front folders 44 are both housed inside the die cover 32 while being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ie frame 31. [

또한, 한쌍의 측방폴더(43)와 한쌍의 전방폴더(44)는 모두 다이프레임(31)에 밀착되어 세팅홈(33)을 향해 전후진되는 푸싱대(43a, 44a)와, 상기 푸싱대(43a, 44a)를 전후진 이동시키는 푸싱실린더(43b, 44b)로 구성된다.The pair of side folders 43 and the pair of front folders 44 both include pushing belts 43a and 44a which come in close contact with the die frame 31 to be turned back and forth toward the setting groove 33, And pushing cylinders 43b and 44b for moving the movable members 43a and 44a forward and backward.

이에, 한쌍의 측방폴더(43)는 플래킷천(P)의 심부(P1)가 세팅홈(33)으로 인입된 상태에서, 푸싱실린더(43b)에 의해 푸싱대(43a)가 양쪽에서 각각 세팅홈(33)을 향해 전진되고, 그에 따라 인입되지 않은 플래킷천(P)의 측단 시접부(P2)는 푸싱대(43a)에 의해 밀리면서 랜딩바(41) 위로 나란하게 접히게 된다.The pair of side folders 43 are configured such that the pushing cylinder 43b pushes the pushing pedestal 43a from both sides of the setting groove 33 in the state in which the deep portion P1 of the placket pile P is drawn into the setting groove 33, So that the side end facing portion P2 of the platform belt P that has not been drawn is folded side by side on the landing bar 41 while being pushed by the pushing pedestal 43a.

또한, 한쌍의 전방폴더(44)는 푸싱실린더(44b)에 의해 푸싱대(44a)가 상호 대칭인 비스듬한 방향에서 각각 세팅홈(33)을 향해 전진되고, 그에 따라 인입되지 않은 플래킷천(P)의 선단 시접부(P2)는 푸싱대(44a)에 의해 비스듬하게 밀리면서 랜딩바(41) 위에 첨단형으로 접히게 된다.The pair of front folders 44 are advanced by the pushing cylinder 44b toward the setting groove 33 in the oblique direction in which the pushing pedals 44a are mutually symmetrical, The leading end contacting portion P2 of the first folding bar 42 is folded in an end-like fashion on the landing bar 41 while being pushed obliquely by the pushing bar 44a.

여기서, 한쌍의 측방폴더(43) 각각의 푸싱대(43a)는 측단 시접부(P2)를 밀어주므로 측단 시접부(P2)의 폭에 대응하여 상대적으로 넓은 폭을 갖고, 한쌍의 전방폴더(44) 각각의 푸싱대(44a)는 선단 시접부(P2)를 밀어주므로 선단 시접부(P2)의 폭에 대응하여 상대적으로 좁은 폭을 갖는다.The pushing pedestal 43a of each of the pair of side folders 43 pushes the side end facing portion P2 so that it has a relatively wide width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side end facing portion P2 and has a pair of front folders 44 Each pushing base 44a pushes the tip end facing portion P2 and has a relatively narrow width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tip end facing portion P2.

다음으로, 상기 재봉라인세팅유닛(50)은 전술한 시접세팅유닛(40)에 의해 플래킷천(P)이 재봉 가능한 플래킷 형태로 세팅된 후, 플래킷천(P)과 슬리브천(S)을 고정시켜 재봉라인(S.L)을 세팅하는 기능을 수행한다.Next, the sewing line setting unit 50 is set in the placket pile P in the form of a sewable plaque by the above-mentioned contact setting unit 40, and then the placket pile P and the sleeve cloth S And performs a function of setting the sewing line SL.

이를 위한 재봉라인세팅유닛(50)은 도 6에 일 예시된 것과 같이, 승강블록(51)과, 프레싱로드(5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sewing line setting unit 50 for this purpose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lifting block 51 and a pressing rod 52, as illustrated in Fig.

상기 승강블록(51)은 상기 작업다이(30)의 후단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다.The lifting block 51 is mounted to the rear end of the work die 30 to be movable up and down.

이러한 승강블록(51)은 좌우 양측에 구비된 승강실린더(51a)에 결합되며, 승강실린더(51a)의 작동에 따라 작업다이(30)에 대한 상대적인 승강이 이루어진다.The elevating block 51 is coupled to the elevating cylinder 51a provided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is moved up and down relative to the work die 30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elevating cylinder 51a.

상기 프레싱로드(52)는 전체적으로는 플래킷 형상을 가지면서, 상기 승강블록(51)에 결합되어 세팅홈(33) 위쪽으로 연장된다.The pressing rod 52 has a flake shape as a whole and is coupled to the lifting block 51 and extends above the setting groove 33.

이러한 프레싱로드(52)는 승강블록(51)의 승강에 따라 세팅홈(33) 위에서 승강 동작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상기 시접세팅유닛(40)의 작동시에는 상승되어 작업다이(30)로부터 상향 이격되어 있다가, 시접세팅유닛(40)에 의해 플래킷천(P)의 시접 세팅이 완료되고 작업다이(30)에 슬리브천(S)이 놓이게 되면, 승강블록(51)의 하강에 따라 플래킷천(P)과 슬리브천(S)을 하향 가압하여 고정시킴으로써, 프레싱로드(52) 외곽을 따라 재봉라인(S.L)을 세팅하게 된다.The pressing rod 52 is lifted and lowered from the setting groove 33 as the elevating block 51 moves up and down. When the pressure setting rod 40 is operated, the pressing rod 52 is lifted upward from the work die 30 When the sewing setting unit 40 completes the setting of the placard pile P and the sleeve cloth S is placed on the work die 30, P and the sleeve cloth S are pressed down and fixed to set the sewing line SL along the periphery of the pressing rod 52. [

여기서, 도 1에 일 예시된 것과 같은 슬리브 플래킷의 재봉라인을 고려하여, 상기 프레싱로드(52)는 도 6에 예시된 것과 같이, 로드몸체(53)와, 헤드(54)와, 조인트(5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Here, considering the sewing line of the sleeve plate as exemplified in Fig. 1, the pressing rod 52 has a rod body 53, a head 54, a joint (not shown) 55).

상기 로드몸체(53)는 직선형태를 가지면서, 상기 승강블록(51)에 결합되어 수평하게 일정길이 연장된다.The rod body 53 has a linear shape and is coupled to the lifting block 51 and extends horizontally by a predetermined length.

상기 헤드(54)는 상기 로드몸체(53)에서 전방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며, 그 선단은 첨단형으로 형성된다.The head 54 is spaced forward from the rod body 53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its tip is formed in a tip shape.

이렇게 헤드(54)가 로드몸체(53)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됨으로써 로드몸체(53)와 헤드(54)의 사이에 재봉라인(S.L)이 형성될 수 있다.The head 54 is spaced apart from the rod body 53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o that a sewing line S.L between the rod body 53 and the head 54 can be formed.

그리고 상기 조인트(55)는 로드몸체(53)와 헤드(54) 사이에 결합되어 분리된 로드몸체(53)와 헤드(54)를 상호 연결시킨다.The joint 55 is coupled between the rod body 53 and the head 54 to interconnect the separated rod body 53 and the head 54.

이러한 조인트(55)는 재봉시에 재봉라인(S.L)과 간섭되지 않도록 좌우 양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며, 이를 위하여 상기 승강블록(51)에는 조인트모터(55a)가 설치되고, 상기 조인트(55)에는 회동축(55b)이 연결되면서, 상기 회동축(55b)이 조인트모터(55a)와 기어(55c)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joint 55 is constructed to be rotatable in both right and left directions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sewing line SL at the time of sewing. To this end, the elevating block 51 is provided with a joint motor 55a, The coupling shaft 55b may be connected to the joint motor 55a and the gear 55c while the coupling shaft 55b is connected to the coupling shaft 55b.

이러한 구성에 따라 조인트모터(55a)의 작동에 의해 기어(55c) 결합된 회동축(55b)이 회동됨으로써 조인트(55)는 양방향으로 회동이 이루어지게 된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joint shaft 55b is rotated by the action of the joint motor 55a, so that the joint 55 is rotated in both directions.

한편,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재봉장치(100)는 작업자가 세팅홈(33) 위에 플래킷천(P)을 놓을 때 위치를 보다 용이하게 맞추어 놓을 수 있도록, 상기 도면들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플래킷천(P)의 안착 위치를 표시해주는 위치표시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ewing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is not shown in the figures so that the operator can more easily align the position when the placket pile P is placed on the setting groove 33 And a position display means for displaying a seating position of the platform pitch P.

이러한 상기 위치표시수단은 일 예로는, 상기 재봉틀(20)의 일측에 라인광을 조사하는 발광체를 다수 설치하여, 작업다이(30) 위로 상기 발광체가 전후방향의 라인광과 좌우방향의 라인광을 조사함으로써 플래킷천(P)의 안착위치를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position indicating means may include a plurality of luminous bodies for irradiating line light to one side of the sewing machine 20, and the luminous body may be provided with line light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line light in the left- And may be configured to indicate the seating position of the placket pile P by inspection.

또한, 본 발명의 재봉장치(100)는 작업자가 장치의 가동이나 정지 등 수동조작 입력이 가능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작동버튼 등이 상기 장치본체(10)에 당연히 구비될 수 있음과 함께, 프로그램된 제어로직에 따라 상기한 재봉틀(20), 작업다이(30), 시접세팅유닛(40), 재봉라인세팅유닛(50) 각각의 작동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제어유닛이 당연히 포함될 수 있다.In the sewing machin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peration button or the like for a user interface may be provided in the apparatus main body 10 so that an operator can input a manual operation such as operation or stop of the apparatu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each of the sewing machine 20, the working die 30, the contactless setting unit 40, and the sewing line setting unit 50 according to the control logic can be included naturally.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재봉장치(100)의 구성을 전체적으로 설명하였는 바,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재봉장치(100)의 작동 및 재봉과정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and the sewing process of the sewing machine 1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to 12. FIG.

재봉대상이 되는 플래킷천(P)과 슬리브천(S)이 준비된 상태에서, 먼저 사용자는 플래킷천(P)을 작업다이(30)의 세팅홈(33) 위에 올려놓는다.The user places the placket pile P on the setting groove 33 of the work die 30 in a state in which the placket pile P and the sleeve cloth S to be sewn are prepared.

이 때, 초기상태의 시접세팅유닛(40)의 랜딩바(41) 및 재봉라인세팅유닛(50)의 프레싱로드(52)는 모두 세팅홈(33) 위쪽으로 상승되어 이격된 상태이고, 또한 측방폴더(43)와 전방폴더(44)의 푸싱대(43a, 44a)도 모두 후진되어 있는 상태이다.At this time, both the landing bar 41 of the initial setting contact setting unit 40 and the pressing rod 52 of the sewing line setting unit 50 are both raised and spaced above the setting groove 33, The pushing rests 43a and 44a of the folder 43 and the front folder 44 are both backward.

이 상태에서 작동버튼을 눌러 재봉장치(100)를 가동시키면, 시접세팅유닛(40)이 작동되는 바, 먼저 회동실린더(41a)가 하향 회동되면서 랜딩바(41)가 하강하여 세팅홈(33) 위에 놓여진 플래킷천(P) 위로 안착된다.When the sewing machine 100 is operated by pressing the operation button in this state, the contact setting unit 40 is operated. First, the rotating cylinder 41a is rotated downward, and the landing bar 41 is lowered, (P) which is placed on top of the platform.

바로 이어서, 도 7에 일 예시된 것과 같이, 가압실린더(42a)의 작동에 의해 가압봉(42)이 하강하여 안착된 랜딩바(41)를 눌러 가압하며, 그에 따라 랜딩바(41)에 눌려진 플래킷천(P)의 심부(P1)가 세팅홈(33)으로 인입된다.7, the pressing rod 42 is lowered by the operation of the pressurizing cylinder 42a to press the landing bar 41 which is seated, so that the landing bar 41 is pressed by the landing bar 41. As a result, The deep portion P1 of the placket pile P is drawn into the setting groove 33. [

이어서, 도 8에 일 예시된 것과 같이, 세팅홈(33) 양쪽의 측방폴더(43) 각각의 푸싱실린더(43b)가 작동되어 푸싱대(43a)를 세팅홈(33) 쪽으로 전진시키며, 양쪽에서 전진되는 푸싱대(43a)는 세팅홈(33)으로 인입되지 않은 플래킷천(P)의 측단 시접부(P2)를 랜딩바(41) 위로 접어 시접시키게 된다.8, the pushing cylinder 43b of each of the side folders 43 on both sides of the setting groove 33 is actuated to advance the pushing pedestal 43a toward the setting groove 33. On the other hand, The forward pushing base 43a folds the landing bar 41 on the side end contacting portion P2 of the platform belt P that has not been drawn into the setting groove 33,

바로 이어서, 세팅홈(33) 전방쪽의 전방폴더(44) 각각의 푸싱실린더(44b)도 작동되어 푸싱대(44a)를 세팅홈(33) 쪽으로 전진시키며, 동일하게 전진되는 푸싱대(44a)에 의해 세팅홈(33)으로 인입되지 않은 플래킷천(P)의 선단 시접부(P2) 또한 랜딩바(41) 위로 접혀 시접이 이루어진다.The pushing cylinder 44b of each front folder 44 on the front side of the setting groove 33 is also actuated to advance the pushing pedestal 44a toward the setting groove 33 and the pushing pedestal 44a, The leading end contacting portion P2 of the platform sheath P that has not been drawn into the setting groove 33 is also folded over the landing bar 41 to make a seam.

이렇게 측방폴더(43)와 전방폴더(44)에 의한 플래킷천(P)의 시접이 완료되면, 다시 가압실린더(42a)의 작동에 의해 가압봉(42)은 상승하여 원위치된다.When the viewing of the platform pile P by the side folder 43 and the front folder 44 is completed, the pressing rod 42 is moved upward by the operation of the pressurizing cylinder 42a.

위와 같은 시접세팅유닛(40)의 순차적인 작동은 제어유닛(11)에 의해 자동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시접세팅유닛(40)에 의한 플래킷천(P)의 시접 세팅이 완료되면 작동이 일시 정지된다.The sequential operation of the above-mentioned seascape setting unit 40 is automatically performed by the control unit 11. When the seascape setting of the platform seats P by this seascape setting unit 40 is completed, the operation is suspended .

그러면, 작업자는 시접 세팅된 플래킷천(P) 위에 준비된 슬리브천(S)을 놓아주는데, 이 때, 도 9에 일 예시된 것과 같이, 슬리브천(S)의 트임부(S1) 일측이 플래킷천(P)의 시접부(P2) 사이로 진입되도록 슬리브천(S)을 놓아준다.Then, the worker places the prepared sleeve S on the placard pile P set in the seated state.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9, one side of the sleeve S1 of the sleeve S is pulled out (S) so as to enter between the contact portions (P2) of the pawls (P).

이렇게 슬리브천(S)을 놓은 후, 이어서 다시 작동버튼을 눌러주면, 재봉라인(S.L)의 세팅 및 재봉을 위한 작동이 이루어진다.After the sleeve S is thus placed and then the operation button is pressed again, an operation for setting and sewing the sewing line S.L is made.

먼저, 재봉라인세팅유닛(50)의 승강블록(51)이 승강실린더(51a)의 작동에 의해 하강되고, 그에 따라 도 10에 일 예시된 것과 같이, 프레싱로드(52)가 세팅홈(33) 위로 하강되면서 플래킷천(P)과 슬리브천(S)을 가압 고정한다.The pushing rod 52 of the sewing line setting unit 50 is lowered by the operation of the lifting cylinder 51a so that the pressing rod 52 is lifted by the operation of the lifting cylinder 51a, So that the plaque cloth P and the sleeve cloth S are pressed and fixed.

이 때, 프레싱로드(52)의 가압 시점과 비슷하게 회동실린더(41a)의 작동에 의해 랜딩바(41)가 후진되면서 플래킷천(P)으로부터 이탈되고, 측방폴더(43)와 전방폴더(44) 각각의 푸싱대(43a, 44a) 또한 푸싱실린더(43b, 44b)의 작동에 의해 원위치로 후진되면서 플래킷천(P)으로부터 이탈이 이루어진다.At this time, the landing bar 41 is moved backward by the operation of the pivoting cylinder 41a in a manner similar to the pressing time of the pressing rod 52, Each of the pushing bushes 43a and 44a is also retracted from the plateau P while being retracted to the original position by the operation of the pushing cylinders 43b and 44b.

이렇게 프레싱로드(52)에 가압 고정에 의해 플래킷천(P)과 슬리브천(S)의 재봉라인(S.L)이 세팅되면, 바로 이어서 작업다이(30)가 위치 이동을 하게 된다.When the sewing line S.L of the placket pile P and the sleeve cloth S is set by pressing the pressing rod 52 in this manner, the work die 30 is moved immediately after the setting.

이 때, 작업다이(30)는 재봉틀(20)에 의하여 재봉라인(S.L)을 따라 재봉이 이루어지도록 재봉틀(20)에 대한 위치이동이 제어된다.At this time, the position of the work die 30 relative to the sewing machine 20 is controlled so that the sewing machine 20 performs sewing along the sewing line S.L.

먼저, 작업다이(30)는 프레싱로드(52)를 구성하는 로드몸체(53)와 헤드(54) 사이가 재봉틀(20)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위치이동되며, 그에 따라 도 11에 일 예시된 것과 같이, 로드몸체(53)와 헤드(54) 사이에 재봉이 이루어지고, 이어서, 작업다이(30)는 조인트(55)가 위치된 반대쪽 방향으로 재봉라인(S.L)이 이어지면서 헤드(54)의 둘레를 따라 재봉이 이루어지도록 위치이동된다.First, the work die 30 is moved such that the position between the head 53 and the rod body 53 constituting the pressing rod 52 is locat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sewing machine 20, The workpiece die 30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sewing line SL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position where the joint 55 is located, So that the sewing is per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그리고, 헤드(54)를 둘레를 따라 재봉이 된 후는, 도 12에 일 예시된 것처럼, 계속적으로 로드몸체(53)의 일측 둘레의 직선 재봉라인(S.L)을 따라 재봉이 이루어지도록 위치이동이 제어되며, 그에 따라 플래킷천(P)과 슬리브천(S)은 재봉이 완료되면서 도 1과 같은 슬래브 플래킷(S.P)으로 만들어진다.After the head 54 is sewn around the periphery of the head 54, as shown in Fig. 12, the positional movement is continuously performed so as to sew along the straight sewing line SL around one side of the rod body 53 So that the placket pile P and the sleeve cloth S are made of the slab plate SP as shown in Fig. 1 while the sewing is completed.

이 때, 재봉틀(20)에 의해 헤드(54)의 둘레를 따라 재봉이 이루어지는 동안, 도 12에 예시된 것처럼, 조인트(55)는 조인트모터(55a)의 작동에 의해 반대쪽으로 180도 회동이 이루어지게 되며, 그에 따라 헤드(54)의 둘레를 따라 재봉된 후에 연속하여 로드몸체(53)의 일측을 따라 연속적으로 재봉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while sewing is perform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head 54 by the sewing machine 20, as shown in Fig. 12, the joint 55 is rotated 180 degrees in the opposite direction by the operation of the joint motor 55a So that the sewing can be continuously performed along one side of the rod body 53 successively after sewing along the periphery of the head 54.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재봉장치의 구성 및 작동에 대해 살펴보았는 바, 본 발명의 재봉장치에 의하면, 플래킷천과 슬리브천을 자동으로 시접 및 재봉라인을 세팅하여 재봉이 이루어지므로, 재봉작업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작업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으며, 특히 재봉과 관련된 숙련된 기술이 없어도 누구든지 재봉작업을 쉽고 신속하게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sew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sewing is performed by automatically setting the see-through and sewing lines on the plaque cloth and the sleeve cloth, And greatly shorten the working time, and it can be understood that anyone can easily and quickly perform the sewing work even if there is no skill related to sewing.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 및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chnical scope of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and drawings,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modified equivalent structure is not limited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면들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0: 장치본체 20: 재봉틀
30: 작업다이 31: 다이프레임
32: 다이커버 40: 시접세팅유닛
41: 랜딩바 42: 가압봉
43: 측방폴더 44: 전방폴더
50: 재봉라인세팅유닛 51: 승강블록
52: 프레싱로드 53: 로드몸체
54: 헤드 55: 조인트
The main parts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as follows.
10: device body 20: sewing machine
30: work die 31: die frame
32: die cover 40: visual contact setting unit
41: landing bar 42: pressure rod
43: side folder 44: front folder
50: sewing line setting unit 51:
52: pressing rod 53: rod body
54: head 55: joint

Claims (7)

장치본체(10)에 고정 설치되는 재봉틀(20);
상기 재봉틀(20)의 하부에서 장치본체(10)에 전후 및 좌우 양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재봉틀(20)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가 제어되는 작업다이(30);
상기 작업다이(30) 위에 놓여진 플래킷천(P)을 시접하여 플래킷 형태로 세팅하는 시접세팅유닛(40);
상기 세팅된 플래킷천(P) 위에 슬리브천(S)이 놓여지면, 플래킷천(P)과 슬리브천(S)을 가압 고정시켜 재봉라인(S.L)을 세팅하는 재봉라인세팅유닛(50);
상기 플래킷천(P)이 놓여질 안착위치를 표시하는 위치표시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작업다이(30)는, 후단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플래킷 형상으로 연장되면서 플래킷천(P)의 심부(P1)가 인입 가능하도록 일정깊이 요입된 세팅홈(33)이 상면의 좌우 중간위치에 형성되는 다이프레임(31)과, 다이프레임(31)의 상부에 결합되면서, 세팅홈(33)의 주변에는 세팅홈(33)을 향해 하향 경사진 경사단(32a)이 형성되면서 경사단(32a)의 중심에는 세팅홈(33)이 노출되도록 절개슬릿(32b)이 형성된 다이커버(32)를 포함하고,
상기 시접세팅유닛(40)은, 세팅홈(33)으로 인입 가능한 형상을 가지며, 작업다이(30)의 후방쪽에 상하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회동실린더(41a)에 결합되어, 회동실린더(41a)에 의해 세팅홈(33)의 위치로 전후진됨과 함께, 회동실린더(41a)의 회동에 의해 승강되면서 세팅홈(33) 위에 놓여진 플래킷천(P)의 심부(P1) 위로 선택적으로 안착되는 랜딩바(41)와, 재봉틀(20)의 일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랜딩바(41)를 하향 가압하여 플래킷천(P)의 심부(P1)를 세팅홈(33)으로 인입시키는 가압봉(42)과, 작업다이(30)의 다이커버(32) 내부에 수용 설치되되, 세팅홈(33)의 좌우 양쪽에 대칭으로 구비되어, 세팅홈(33)을 향해 전진됨으로써 플래킷천(P)의 측단 시접부(P2)를 밀어 나란하게 접어주는 한쌍의 측방폴더(43)와 세팅홈(33)의 선단쪽에 대칭을 이루면서 비스듬한 방향으로 구비되어, 세팅홈(33)을 향해 전진됨으로써 플래킷천(P)의 선단 시접부(P2)를 첨단형으로 접어주는 한쌍의 전방폴더(44)로 구성됨으로써, 세팅홈(33)으로 인입되지 않은 플래킷천(P)의 시접부(P2)를 랜딩바(41) 위로 접어 시접시키는 폴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재봉라인세팅유닛(50)은, 작업다이(30)의 후단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블록(51)과, 승강블록(51)에 결합되어 승강블록(51)의 하강에 따라 플래킷천(P)과 슬리브천(S)을 하향 가압하여 고정시키되, 수평하게 일정길이 연장되는 직선형의 로드몸체(53)와, 로드몸체(53)에서 전방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면서 선단이 첨단형으로 형성된 헤드(54)와, 로드몸체(53)와 헤드(54) 사이에 결합되되, 좌우 양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하여, 재봉시 재봉라인(S.L)과 간섭되지 않도록 회동되는 조인트(55)로 구성된 프레싱로드(52)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표시수단은, 재봉틀(20)의 일측에 설치되며, 작업다이(30) 위로 전후방향의 라인광과 좌우방향의 라인광을 조사함으로써 플래킷천(P)의 안착위치를 표시하는 다수의 발광체를 포함하는 슬리브 플래킷 재봉장치.
A sewing machine 20 fixedly installed on the apparatus main body 10;
A working die 30 which is installed in the apparatus main body 10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n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ewing machine 20 so as to control the relative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sewing machine 20;
A contact-setting unit (40) for setting a plaque stream (P) placed on the work die (30) in a plaque form;
A sewing line setting unit 50 for setting the sewing line SL by press-fixing the plaque cloth P and the sleeve cloth S when the sleeve cloth S is placed on the set placket cloth P;
And position indicating means for indicating a seating position where the platform rain P is to be placed,
The working die 30 is provided with a setting groove 33 recessed to a certain depth so as to allow the deep portion P1 of the platform sheath P to be drawn in a plate shape extending forward from the rear end, And the inclined end 32a is formed on the periphery of the setting groove 33 while being inclined downwardly inclined toward the setting groove 33. The inclined end 32a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ie frame 31, And a die cover (32) having a cutting slit (32b) formed therein so as to expose a setting groove (33)
The contact setting unit 40 has a shape capable of being drawn into the setting groove 33 and is coupled to a rotating cylinder 41a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working die 30 so as to be vertically rotatable, The landing bar 41 is selectively moved up and down to the position of the setting groove 33 and is lifted up by the rotation of the pivoting cylinder 41a and is seated over the core P1 of the platform pool P placed on the setting groove 33 A pressing rod 42 vertically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ewing machine 20 and pressing the landing bar 41 downward to draw the deep portion P1 of the plaque pit P into the setting groove 33, And is symmetrically provid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etting groove 33 so as to be advanced toward the setting groove 33 to thereby allow the side edge facing portion P2 and the setting grooves 33 are symmetric with respect to the front ends of the pair of side folders 43 and the setting grooves 33 and are provided in an oblique direction And a pair of front folders 44 that are advanced toward the setting groove 33 to fold the leading end contacting portion P2 of the platform chain P in a tip end manner, (P2) of the landing bar (P) on the landing bar (41)
The sewing line setting unit 50 includes a lifting block 51 which is installed at a rear end of the work die 30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and a lifting block 51 which is coupled to the lifting block 51, P and the sleeve S by a downward pressure and fixed to the head body 53. The rod body 53 has a linear rod body 53 extending horizontally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head body 53, And a joint 55 which is coupled between the rod body 53 and the head 54 and is rotatable in both left and right directions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sewing line SL at the time of sewing, ),
The position indicating means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ewing machine 20 and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bodies 30 for displaying the placing position of the platform P by irradiating the line light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and the line light in the left- And a sleeve plate sewing devi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70077174A 2017-06-19 2017-06-19 Sewing machine for sleeve placket KR10191514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7174A KR101915142B1 (en) 2017-06-19 2017-06-19 Sewing machine for sleeve plack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7174A KR101915142B1 (en) 2017-06-19 2017-06-19 Sewing machine for sleeve placke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5142B1 true KR101915142B1 (en) 2018-11-05

Family

ID=64329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7174A KR101915142B1 (en) 2017-06-19 2017-06-19 Sewing machine for sleeve plack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5142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3456B1 (en) 2020-07-17 2021-02-05 한제헌 Apparatus for continuous production of band member for clothes with built-in core material
CN115262104A (en) * 2022-08-10 2022-11-01 海宁金永和家纺织造有限公司 Bandage processingequipment
KR102562127B1 (en) * 2023-03-19 2023-08-01 주식회사 켈리도나휴 Making method of half-hidden button garm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91881A (en) * 2000-12-27 2002-07-10 Juki Corp Sewing machin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91881A (en) * 2000-12-27 2002-07-10 Juki Corp Sewing machin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3456B1 (en) 2020-07-17 2021-02-05 한제헌 Apparatus for continuous production of band member for clothes with built-in core material
CN115262104A (en) * 2022-08-10 2022-11-01 海宁金永和家纺织造有限公司 Bandage processingequipment
CN115262104B (en) * 2022-08-10 2023-09-08 海宁金永和家纺织造有限公司 Bandage processingequipment
KR102562127B1 (en) * 2023-03-19 2023-08-01 주식회사 켈리도나휴 Making method of half-hidden button gar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5142B1 (en) Sewing machine for sleeve placket
CN106192236A (en) Automatically sleeve slit of shirt machine
CN105420942B (en) The opened mouth device of flat seam machine
CN211394883U (en) Laser bag opening device
CN205999606U (en) A kind of flanging assembly for automatic sleeve slit of shirt machine and presser foot component
CN205974983U (en) Automatic shirt sleeve fork machine
CN105887338A (en) Sewing thread compressing machine with automatic thread trimming device
CN210596535U (en) A turn-ups mechanism for sewing up line pressing machine
JPH02269805A (en) Method for fixing piece of fabric stripe with slide fastener part on front of trousers and sewing apparatus for performing this method
JPH0574477U (en) Towel fabric positioning device
CN106319779A (en) Binding tape mechanism for automobile floor mat
JP3781183B2 (en) Sewing sewing machine
US4079681A (en) Device for the insertion of the pocket strip applied to sewing machines for making welted pockets
US6283054B1 (en) Textile-edge binding assembly
CN217922768U (en) Collar overturning and cutting device
CN103015054B (en) Irregular-curve fabric stitching device
US356889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garment parts
US1965968A (en) Means and method of forming pointed corners
CN205088415U (en) Presser foot subassembly
CN211713369U (en) Double-needle wide lower-swinging device
JP6508535B2 (en) sewing machine
CN220013002U (en) Template machine with automatic sleeve fork sewing device
CN214882208U (en) Thread cutter mechanism of automatic edge folding flat seaming machine
CN220034855U (en) Auxiliary device is bound to decoration ox horn knot
CN201103037Y (en) Illuminating device of sew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