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5113B1 - 케이블 그랜드 - Google Patents

케이블 그랜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5113B1
KR101915113B1 KR1020160104793A KR20160104793A KR101915113B1 KR 101915113 B1 KR101915113 B1 KR 101915113B1 KR 1020160104793 A KR1020160104793 A KR 1020160104793A KR 20160104793 A KR20160104793 A KR 20160104793A KR 101915113 B1 KR101915113 B1 KR 1019151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fastening piece
piece
free end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4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0468A (ko
Inventor
박윤섭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047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5113B1/ko
Publication of KR201800204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04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51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51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H02G3/083Inl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6Connections with the terrestrial mass, e.g. earth plate, earth pi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케이블 그랜드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길이 방향으로 케이블이 관통하여 고정되고, 길이 방향의 일단에 체결부가 형성되는 메인바디; 상기 체결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수나사에 나사 결합되는 고정너트; 상기 체결부의 외주면에서 돌출되는 플랜지와 상기 고정너트 사이에 배치되는 기밀와셔; 및 상기 체결부의 원주를 따라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체결편, 상기 체결부의 원주를 따라 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체결편 및 상기 제1 체결편의 고정단과 상기 제2 체결편의 고정단에 동시에 결합되고 접지선을 연결하기 위한 접지 홀이 형성되는 접지편을 구비하는 어스태그를 포함하는 케이블 그랜드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케이블 그랜드{CABLE GLANDS}
본 발명은 케이블 그랜드에 관한 것이다.
케이블 그랜드는 선박에 탑재되는 각종 전장장비, 예를 들어 정션박스(junction box)에 인입되는 케이블을 고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케이블 그랜드는 예를 들어 정션박스가 비금속으로 이루어진 경우 등에 있어서 케이블 아머(cable armour)의 접지 등을 위한 어스태그(earth tag)를 구비할 수 있다. 종래 케이블 그랜드는 작업자가 어스태그가 필요하지 않은 것으로 잘못 판단하여 어스태그가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케이블 인입 및 결선 작업을 수행한 경우에 케이블을 분리한 후에 어스태그를 결합할 수 밖에 없으므로 케이블의 분리 및 재 결선 과정에서 케이블이 손상되거나 공정 지연 및 다수의 인력 투입으로 인한 비용 증가의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0182호(2013.12.02, 수동 경보기의 케이블 그랜드용 접지 태그)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케이블 결선 등이 완료된 상태에서도 케이블을 분리할 필요 없이 어스태그가 결합될 수 있는 케이블 그랜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길이 방향으로 케이블이 관통하여 고정되고, 길이 방향의 일단에 체결부가 형성되는 메인바디; 상기 체결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수나사에 나사 결합되는 고정너트; 상기 체결부의 외주면에서 돌출되는 플랜지와 상기 고정너트 사이에 배치되는 기밀와셔; 및 상기 체결부의 원주를 따라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체결편, 상기 체결부의 원주를 따라 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체결편 및 상기 제1 체결편의 고정단과 상기 제2 체결편의 고정단에 동시에 결합되고 접지선을 연결하기 위한 접지 홀이 형성되는 접지편을 구비하는 어스태그를 포함하는 케이블 그랜드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체결편의 자유단과 상기 제2 체결편의 자유단은 서로 맞닿게 배치되고, 상기 제1 체결편 및 상기 제2 체결편은 상기 제1 체결편의 자유단과 상기 제2 체결편의 자유단이 상기 체결부의 직경 이상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제1 체결편의 자유단과 상기 제2 체결편의 자유단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어스태그는, 상기 체결부의 원주를 따라 상기 제1 체결편의 자유단에서 상기 제2 체결편의 자유단까지 연장되는 삽입편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삽입편은 상기 제1 체결편의 자유단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체결편의 자유단과 상기 제2 체결편의 자유단은 상기 제1 체결편 및 상기 제2 체결편이 변형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체결부의 직경 이상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케이블 그랜드가 고정너트에 의해 정션박스 등에 결합된 상태에서도 기밀와셔와 플랜지 사이에 제1 체결편 및 제2 체결편을 삽입함으로써 어스태그를 결합할 수 있다. 그 결과, 어스태그를 결합하기 위하여 케이블 그랜드를 정션박스 등으로부터 분리하거나 케이블 그랜드에 의해 고정된 케이블의 결선을 해체할 필요가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그랜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그랜드를 분해된 상태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메인바디를 분해된 상태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어스태그의 일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어스태그를 체결부에 결합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어스태그의 다른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어스태그를 체결부에 결합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6의 어스태그의 변형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가 각 구성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요소에 각 구성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요소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그랜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그랜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그랜드를 분해된 상태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그랜드(10)는 선박에 탑재되는 각종 전장장비, 예를 들어 정션박스(20)에 인입되는 케이블(30)을 고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메인바디(100), 고정너트(200), 기밀와셔(300) 및 어스태그(400)를 포함할 수 있다.
정션박스(20)에는 케이블 그랜드(10)가 결합되는 제1 관통 홀(21)이 형성될 수 있다.
메인바디(100)에는 메인바디(10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관통 홀이 형성됨으로써, 케이블(30)은 제2 관통 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메인바디(100)에 고정될 수 있다.
도 3은 메인바디를 분해된 상태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메인바디(100)는 메인바디(100)의 내부에서 케이블(30)을 압착하여 외부로부터 유해가스 또는 먼지의 유입을 차단하는 제1 패킹(110) 및 제2 패킹(120)을 구비할 수 있다. 즉, 메인바디(100)는 이중 압착 방식(double compression type)으로 외부로부터 유해가스 또는 먼지의 유입을 차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인바디(100)의 길이 방향의 일단에는 체결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130)는 수나사(131) 및 플랜지(133)를 구비할 수 있다. 수나사(131)는 체결부(130)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고, 플랜지(133)는 체결부(130)의 외주면에서 돌출된 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수나사(131)는 체결부(130)의 자유단과 플랜지(133)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130)에서 수나사(131)가 형성된 부분은 외경이 제1 관통 홀(21)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됨으로써 정션박스(20)의 외부에서 제1 관통 홀(21)을 통해 정션박스(20)의 내부까지 연장될 수 있는 반면에, 플랜지(133)의 외경은 제1 관통 홀(2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고정너트(200)는 정션박스(20)의 내부에서 수나사(131)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기밀와셔(300)는 체결부(130)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밀와셔(300)는 체결부(130)의 자유단을 통해 체결부(130)에 결합되어 정션박스(20)의 외부에서 플랜지(133)와 고정너트(2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기밀와셔(300)는 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기밀와셔(300)의 내경은 플랜지(133)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기밀와셔(300)는 외부로부터 유해가스 또는 먼지가 제1 관통 홀(21)을 통해 정션박스(2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서, 테프론(Teflon)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는 어스태그의 일 예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4의 어스태그를 체결부에 결합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예시에 따른 어스태그(400)는 제1 체결편(410), 제2 체결편(420) 및 접지편(430)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체결편(410)은 제1 고정단(410a)이 제2 체결편(420)의 제2 고정단(420a) 및 접지편(430)에 결합될 수 있고, 제1 고정단(410a)에서 제1 자유단(410b)까지 체결부(130)의 원주를 따라 일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체결편(420)은 제2 고정단(420a)이 제1 체결편(410)의 제1 고정단(410a) 및 접지편(430)에 결합될 수 있고, 제2 고정단(420a)에서 제2 자유단(420b)까지 체결부(130)의 원주를 따라 타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체결편(410)의 제1 자유단(410b)과 제2 체결편(420)의 제2 자유단(420b)은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외력이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서로 맞닿게 배치될 수 있지만,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제1 체결편(410) 및 제2 체결편(420)이 외력에 의해 탄성적으로 변형되면 체결부(130), 구체적으로는 체결부(130)에서 수나사(131)가 형성된 부분의 직경 이상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 결과, 어스태그(400)는 체결부(130)에 고정너트(200) 및 기밀와셔(300)가 결합된 상태에서도 기밀와셔(300)와 플랜지(133)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고, 제1 체결편(410) 및 제2 체결편(420)은 체결부(130)에 고정된 상태에서 완전한 고리 형상을 형성함으로써 접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밀와셔(300)가 원주를 따라 고르게 압착되게 할 수 있다.
접지편(430)은 제1 체결편(410)의 제1 고정단(410a)과 제2 체결편(420)의 제2 고정단(420a)에 동시에 결합될 수 있고, 접지편(430)에는 접지선(40)을 연결하기 위한 접지 홀(431)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체결편(410), 제2 체결편(420) 및 접지편(430)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어스태그의 다른 예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6의 어스태그를 체결부에 결합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6의 어스태그의 변형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예시에 따른 어스태그(400´)에서 제1 체결편(410)의 제1 자유단(410b)과 제2 체결편(420)의 제2 자유단(420b)은 외력이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도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고, 어스태그(400´)는 삽입편(440)을 더 구비하는 점에서 본 발명의 일 예시에 따른 어스태그(400)와 차이가 있다. 특히, 제1 체결편(410)의 제1 자유단(410b)과 제2 체결편(420)의 제2 자유단(420b)은 외력이 존재하지 않는 상태, 즉 제1 체결편(410) 및 제2 체결편(420)이 변형되지 않은 상태에서 체결부(130), 구체적으로는 체결부(130)에서 수나사(131)가 형성된 부분의 직경 이상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삽입편(440)은 체결부(130)의 원주를 따라 제1 체결편(410)의 제1 자유단(410b)에서 제2 체결편(420)의 제2 자유단(420b)까지 연장될 수 있다. 그 결과, 어스태그(400´)는 체결부(130)에 고정너트(200) 및 기밀와셔(300)가 결합된 상태에서도 기밀와셔(300)와 플랜지(133)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고, 제1 체결편(410), 제2 체결편(420) 및 삽입편(440)은 체결부(130)에 고정된 상태에서 완전한 고리 형상을 형성함으로써 접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밀와셔(300)가 원주를 따라 고르게 압착되게 할 수 있다. 한편, 삽입편(440)은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제1 체결편(410)의 제1 자유단(410b)에 힌지 결합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케이블 그랜드 20: 정션박스
21: 제1 관통 홀 30: 케이블
100: 메인바디 110: 제1 패킹
120: 제2 패킹 130: 체결부
131: 수나사 133: 플랜지
200: 고정너트 300: 기밀와셔
400, 400´: 어스태그 410: 제1 체결편
410a: 제1 고정단 410b: 제1 자유단
420: 제2 체결편 420a: 제2 고정단
420b: 제2 자유단 430: 접지편
431: 접지 홀 440: 삽입편

Claims (6)

  1. 길이 방향으로 케이블이 관통하여 고정되고, 길이 방향의 일단에 체결부가 형성되는 메인바디;
    상기 체결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수나사에 나사 결합되는 고정너트;
    상기 체결부의 외주면에서 돌출되는 플랜지와 상기 고정너트 사이에 배치되는 기밀와셔; 및
    상기 체결부의 원주를 따라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체결편, 상기 체결부의 원주를 따라 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체결편 및 상기 제1 체결편의 고정단과 상기 제2 체결편의 고정단에 동시에 결합되고 접지선을 연결하기 위한 접지 홀이 형성되는 접지편을 구비하는 어스태그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체결편의 자유단과 상기 제2 체결편의 자유단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되, 상기 제1 체결편 및 상기 제2 체결편이 변형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체결부의 수나사가 형성된 부분의 직경 이상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어스태그는,
    상기 체결부의 원주를 따라 상기 제1 체결편의 자유단에서 상기 제2 체결편의 자유단까지 연장되는 삽입편을 더 구비하는 케이블 그랜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편은 상기 제1 체결편의 자유단에 힌지 결합되는 케이블 그랜드.
  6. 삭제
KR1020160104793A 2016-08-18 2016-08-18 케이블 그랜드 KR1019151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4793A KR101915113B1 (ko) 2016-08-18 2016-08-18 케이블 그랜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4793A KR101915113B1 (ko) 2016-08-18 2016-08-18 케이블 그랜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0468A KR20180020468A (ko) 2018-02-28
KR101915113B1 true KR101915113B1 (ko) 2018-11-05

Family

ID=61401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4793A KR101915113B1 (ko) 2016-08-18 2016-08-18 케이블 그랜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51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4976B1 (ko) 2021-11-19 2022-04-11 주식회사 세기하이텍 에어벤트 구조를 가진 led 조명용 케이블 그랜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5118B1 (ko) * 2021-12-29 2022-06-03 엠에스인터내셔널 주식회사 선박의 전동기 모터용 정션박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1377Y1 (ko) * 2002-07-19 2002-10-09 장용덕 접지단자
KR200431199Y1 (ko) 2006-08-15 2006-11-23 왕기형 튜시와샤 기능과 절곡이 간편한 어스단자
KR200470182Y1 (ko) * 2012-08-21 2013-12-0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수동 경보기의 케이블 그랜드용 접지 태그
KR101602457B1 (ko) 2015-04-22 2016-03-25 이문재 개방형 접속단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1377Y1 (ko) * 2002-07-19 2002-10-09 장용덕 접지단자
KR200431199Y1 (ko) 2006-08-15 2006-11-23 왕기형 튜시와샤 기능과 절곡이 간편한 어스단자
KR200470182Y1 (ko) * 2012-08-21 2013-12-0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수동 경보기의 케이블 그랜드용 접지 태그
KR101602457B1 (ko) 2015-04-22 2016-03-25 이문재 개방형 접속단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4976B1 (ko) 2021-11-19 2022-04-11 주식회사 세기하이텍 에어벤트 구조를 가진 led 조명용 케이블 그랜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0468A (ko) 2018-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24700B2 (en) Sealing cover boot and cover and interconnection junctions protected thereby
RU2637809C2 (ru) Непроницаемый для окружающей среды корпус штекерного соединителя
KR102298899B1 (ko) 전기 장치
US9312672B2 (en) Threaded sleeve compressed split cable gland
US20160135560A1 (en) Protection cover
US8485062B2 (en) Double-lock cable and flexible conduit gland
US9231397B2 (en) Cable gland assembly
US9570838B2 (en) Structure of highly waterproof connector for easy conduction between ground pin and body
US9755412B2 (en) Grommet for mounting cable gland or the like
KR101915113B1 (ko) 케이블 그랜드
US9650813B2 (en) Anti-theft cable and adaptor ring sets
KR20170127545A (ko) 밀봉부
CN104118639A (zh) 可锁紧的环形箍圈及其应用
US9385442B2 (en) Integral grounding hub
US9698588B2 (en) Universal bushing
US9960528B2 (en) Electric device
KR101593841B1 (ko) 전선관용 조인트
US20160050904A1 (en) Utility conduit cover
CN104078792B (zh) 电缆接头组件以及包括电缆接头组件的电气设备
JP2007179931A (ja) ジョイントボックス
US20200083683A1 (en) Cable-holding device with sealing assembly
EP3537548A3 (en) Vibration limiting compression protrusions
US20200287368A1 (en) Cable Connector
US10958052B2 (en) Enclosure for protecting electrical components, cables and the like
KR101634375B1 (ko) 볼체인 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