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4543B1 - Guide device for discern of hi-pass road - Google Patents

Guide device for discern of hi-pass roa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4543B1
KR101914543B1 KR1020170109228A KR20170109228A KR101914543B1 KR 101914543 B1 KR101914543 B1 KR 101914543B1 KR 1020170109228 A KR1020170109228 A KR 1020170109228A KR 20170109228 A KR20170109228 A KR 20170109228A KR 101914543 B1 KR101914543 B1 KR 1019145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light emitting
lane
main body
col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92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92799A (en
Inventor
김성기
Original Assignee
(주)에스하이웨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하이웨이 filed Critical (주)에스하이웨이
Priority to KR10201701092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4543B1/en
Publication of KR201800927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279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4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454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53Low discrete bodies, e.g. marking blocks, studs or flexible vehicle-striking members
    • E01F9/559Low discrete bodies, e.g. marking blocks, studs or flexible vehicle-striking members illumin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76Traffic lines
    • E01F9/582Traffic lines illuminated

Abstract

개시된 하이패스차로 식별용 유도장치는: 본체의 공간부에 구비되고, 제1,제2,제3,제4설치면을 갖는 장착부와, 장착부에 구비되어 본체에서 사방으로 빛을 조사하여 차로 폐쇄를 표시하거나, 진입측으로만 빛을 조사하여 차로 진행을 표시하도록 제어되는 차로개폐표시부;를 포함하고, 장착부는, 차로개폐표시부를 장착하도록 제1,제2,제3,제4설치면에 각각 구비되는 고정브라켓;을 포함하며, 차로개폐표시부는, 고정브라켓에 나사 결합되는 안착부재; 안착부재에 안착되고,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설치기판와, 설치기판에 각각 장착되어 본체의 외측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는 발광부와, 본체에서 빛을 조사하여 차로 폐쇄를 표시하거나 진입측으로만 빛을 조사하여 차로 진행을 표시하도록 제1,제2,제3,제4설치면에 구비된 발광부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발광부는, 제1설치면에 구비되고, 제1색상의 엘이디와 제2색상의 엘이디를 구비하는 제1발광부와, 제2설치면에 구비되고, 제1색상의 엘이디와 제2색상의 엘이디를 구비하는 제2발광부와, 제3설치면에 구비되고, 제2색상의 엘이디를 구비하는 제3발광부와, 제4설치면에 구비되고, 제2색상의 엘이디를 구비하는 제4발광부;를 포함하고, 제1,제2,제3,제4발광부는 설치기판, 고정브라켓, 제1,제2,제3,제4설치면이 수직면에 대하여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므로 그에 해당하는 각도만큼 기울어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isclosed high-pass lane discriminating apparatus comprises: a mounting portion provided in a space portion of a main body and having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mounting surfaces; and a mounting portion provided in the mounting portion, And a lane opening / closing display unit which is controlled so as to display the progress of the lane by irradiating light only to the entering side, and the mounting portion is provided on each of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mounting surfaces so as to mount the lane opening / The display unit includes a seating member that is screwed to the fixing bracket; A mounting substrate mounted on the mounting member and fixed by a fastening member; a light emitting unit mounted on the mounting substrate for irradiating light in an outward direction of the main body; And a control unit for selectively controlling the light emitting units provided on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mounting surfaces to illuminate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mounting surfaces to illuminate the vehicle. The light emitting unit is provided on the first mounting surface, A second light emitting unit provided on the second mounting surface, the second light emitting unit including an LED of a first color and an LED of a second color; and a second light emitting unit provided on the third mounting surface, And a fourth light emitting portion provided on the fourth mounting surface and having an LED of a second color, wherein the first, second, third, The fourth light emitting portion has a mounting substrate, a fixing bracket, and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mounting surfaces, Therefore it is disposed and is arranged inclined by an angle corresponding thereto.

Description

하이패스차로 식별용 유도장치{GUIDE DEVICE FOR DISCERN OF HI-PASS ROAD}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uidance device for high-

본 발명은 하이패스차로 식별용 유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이패스차로의 정상운영시 진입방향을 발광표시하여 차량의 진입을 유도하거나, 하이패스차로의 폐쇄시 진입제한 상태를 발광표시하여 차량의 진입을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고, 제1,제2,제3,제4발광부를 수직면에 대하여 설정 각도범위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하므로 하이패스차로로 주행하는 운전자의 눈부심으로 방지할 수 있는 하이패스차로 식별용 유도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igh-pass lane discriminat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high-pass lane discriminating apparatus which is capable of inducing entry of a vehicle by illuminating an entry direction of a high-pass lane during normal operation, And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light emitting units are arranged to be inclined downward to the set angle range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plane, thereby preventing the driver's glare traveling in the high-pass lane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igh-pass lane discriminating device.

일반적으로, 톨게이트의 요금장산소에는 하이패스 차량과 일반 차량이 통과하는 차로가 각각 구비되어 있다. 하이패스차로는 무선빙식으로 구성되어 차량이 통과하는 경우, 요금 정산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편의성 증대로 인해 점차 이용이 증가하는 추세이다.Generally, tollgate tariffs are equipped with high-pass vehicles and lanes through which ordinary vehicles pass. The high-pass lane is composed of a wireless ice type, and when the vehicle passes, the fare settlement is automatically performed. This increase in convenience is increasingly used.

하이패스차로는 차량이 멈추는 것 없이 연속적으로 이동하므로 차량이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차로 바닥에 차량 유도표시가 도색되어 있거나 차로의 양측에 스탠드타입으로 유도등이 설치되어 차량을 안내하고 있다.The high-pass lanes are driven continuously without stopping the vehicle, so that the vehicle guidance symbol is painted on the floor of the vehicle so that the vehicle can move safely, or a stand type guide light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lane to guide the vehicle.

그런데, 기존에는 하이패스차로에 도색된 유도 표시부는 장시간 사용시 차량 바퀴와 마찰되어 도색이 지워지므로 차량 운전자가 야간에 식별하지 못하여 안전사고를 유발할 우려가 있으며, 하이패스차로 양측에 세워진 유도등의 경우 차량 운전자가 좌우 살피는 과정에서 시야를 놓쳐 전방 차량과 추돌하는 등 여러가지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Conventionally, the induction display portion painted on the high-pass lane rubs against the wheels of the vehicle during long-time use, thereby erasing the paint color. Therefore, there is a fear that the driver of the vehicle can not identify at night and cause safety accidents. There are various problems such as a collision with a vehicle ahead of the driver in the process of looking in the driver's right and left eyes.

또한, 기존에는 다수개의 하이패스 차로 중 적어도 어는 하나를 보수하는 경우, 이동형 진입금지표지판을 설치하여 차량진입을 금지시키고 있으나, 야간, 안개낀 날, 흐린 날 등에는 차량 운전자가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여 보수 중인 하이패스차로로 진입하여 안전사고를 유발할 우려가 있다.In the past, when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high-pass lanes is to be repaired, a mobile type entry prohibition sign is installed to prohibit vehicle entry. However, in the nighttime, on a misty day, on a cloudy day, There is a possibility of causing a safety accident.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improve this.

관련 배경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6-0128610호(2016.11.08, 명의 명칭: 옆차로 유도용 통행차단기)가 있다.Related Background Art There is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6-0128610 entitled " Circuit breaker for induction on side carriage "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하이패스차로의 정상운영시 진입방향을 발광표시하여 차량의 진입을 유도하거나, 하이패스차로의 폐쇄시 진입제한 상태를 발광표시하여 차량의 진입을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고, 제1,제2,제3,제4발광부를 수직면에 대하여 설정 각도범위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하므로 하이패스차로로 주행하는 운전자의 눈부심으로 방지할 수 있는 하이패스차로 식별용 유도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need,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ehicle control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light emitting units are arranged to be inclined downward to the set angle range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plane, so that the high-pass lane identification induction that can be prevented by the glare of the driver traveling in the high- The purpose is to provide a devic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하이패스차로 식별용 유도장치는, 공간부를 갖는 본체; 상기 공간부에 구비되고, 제1,제2,제3,제4설치면을 갖는 장착부; 및 상기 장착부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에서 사방으로 빛을 조사하여 차로 폐쇄를 표시하거나, 진입측으로만 빛을 조사하여 차로 진행을 표시하도록 제어되는 차로개폐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는, 상기 차로개폐표시부를 장착하도록 상기 제1,제2,제3,제4설치면에 각각 구비되는 고정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차로개폐표시부는, 상기 고정브라켓에 나사 결합되는 안착부재; 상기 안착부재에 안착되고,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설치기판; 상기 설치기판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본체의 외측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는 발광부; 및 상기 본체에서 빛을 조사하여 차로 폐쇄를 표시하거나 진입측으로만 빛을 조사하여 차로 진행을 표시하도록 상기 제1,제2,제3,제4설치면에 구비된 상기 발광부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발광부는, 상기 제1설치면에 구비되고, 제1색상의 엘이디와 제2색상의 엘이디를 구비하는 제1발광부; 상기 제2설치면에 구비되고, 제1색상의 엘이디와 제2색상의 엘이디를 구비하는 제2발광부; 상기 제3설치면에 구비되고, 제2색상의 엘이디를 구비하는 제3발광부; 및 상기 제4설치면에 구비되고, 제2색상의 엘이디를 구비하는 제4발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제2,제3,제4발광부는 상기 설치기판, 상기 고정브라켓 및 상기 제1,제2,제3,제4설치면이 수직면에 대하여 5 내지 15도 각도범위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므로 그에 해당하는 각도만큼 기울어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high-pass lane identification apparatus comprising: a body having a space; A mounting portion provided in the space portion and having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mounting surfaces; And a lane opening / closing display portion provided in the mounting portion, the lane opening / closing display portion being controlled to display a lane closing by irradiating light from the main body in four directions, or to illuminate the entering side only with light to indicate progress by the lane, And a fixing bracket provided on each of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mounting surfaces to mount the display unit, wherein the lane opening / closing display unit includes: a seating member screwed to the fixing bracket; A mounting substrate that is seated on the seating member and fixed by a fastening member; A light emitting unit mounted on the mounting substrate and irradiating light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And a control unit for selectively controlling the light emitting units provided on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mounting surfaces to illuminate light on the main body so as to display a traffic lane, Wherein the light emitting unit comprises: a first light emitting unit provided on the first mounting surface, the first light emitting unit including an LED of a first color and an LED of a second color; A second light emitting unit provided on the second mounting surface and including an LED of a first color and an LED of a second color; A third light emitting unit provided on the third mounting surface and having LEDs of a second color; And a fourth light emitting unit provided on the fourth mounting surface and having LEDs of a second color, wherein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light emitting units are mounted on the mounting substrate, the fixing bracket,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mounting surfaces are arranged to be inclined downward by an angle of 5 to 15 degrees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plane, and are arranged to be inclined by an angle corresponding thereto.

또한, 상기 본체는, 하부본체와, 상부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본체에는 상기 차로개폐표시부에서 조사되는 빛을 안내하는 함몰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본체와 상기 상부본체 사이에는 상기 차로개폐표시부를 보호하는 투명재질의 보호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ain body includes a lower main body and an upper main body. The lower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depressed portion for guiding light emitted from the lane opening / closing display portion, and between the lower main body and the upper main body, And a protective member made of transparent material is further provided.

또한, 상기 보호부재는, 상기 하부본체에 형성된 제1안착홈와, 상기 상부본체에 형성된 제2안착홈에 각각 삽입되어 견고하게 위치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otective member is inserted and fixed in a first seating groove formed in the lower main body and a second seating groove formed in the upper body, respectively.

또한, 상기 장착부는, 상기 본체의 바닥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안착되고, 제1,제2,제3,제4설치면을 갖는 설치브라켓; 및 상기 설치브라켓을 결합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ounting por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supports mounted on the bottom of the main body; A mounting bracket that is seated on the support and has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mounting surfaces; And an engaging member for engaging the mounting bracket.

또한, 상기 고정브라켓은 상기 설치면에 체결되고 외측으로 돌출되는 나사부재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나사부재의 단부에서 상기 설치면에 대해 설정간격을 갖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xing bracket is fixed to the mounting surface by a screw member protruding outward, and is coupled to the mounting surfac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t the end of the screw member.

또한, 상기 나사부재에 구비되는 완충부재는 상기 제1,제2,제3,제4설치면과 상기 고정브라켓을 상호 밀어주므로 상기 고정브라켓을 견고하게 고정하면서 상기 나사부재의 조립 또는 분해를 용이하게 하고, 상기 나사부재는 상기 제1,제2,제3,제4설치면에 각각 체결되어 설정길이 돌출되고 둘레에 코일스프링인 상기 완충부재를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브라켓에 체결하여 조여줌에 따라 상기 완충부재를 압축시키는 상태로 상기 고정브라켓에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lso, since the cushioning member provided on the screw member pushes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mounting surfaces and the fixing bracket to each other, the fixing bracket can be firmly fixed and the screw member can be easily assembled or disassembled The screw member is fastened to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mounting surfaces, respectively, and is fastened to the fixing bracket in a state where the predetermined length is protruded and the buffer member, which is a coil spring, And the shock absorber is assembled to the fixing bracket in a state of compressing the buffer member according to the state.

또한, 상기 고정브라켓은 상기 제1,제2,제3,제4설치면의 각 면에 대하여 2개씩 모두 8개 구비되고, 상기 고정브라켓 각각에는 엘이디가 2개씩 설치되는 상기 설치기판이 구비되고, 어느 엘이디가 손상된 경우, 그에 해당하는 상기 고정브라켓에 설치된 상기 설치기판을 교체하므로 전체 부품을 모두 교체하지 않고 손상된 엘이디만을 교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ounting bracket is provided with eight mounting holes for each of two surfaces of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mounting surfaces, and each of the mounting brackets includes two mounting substrates each having two LEDs If any of the LEDs is damaged, the mounting board installed in the corresponding fixing bracket is replaced, so that only damaged LEDs are replaced without replacing all the components.

또한, 상기 제1색상은 녹색이고, 상기 제2색상은 적색이며, 상기 제1,제2,제3,제4발광부는 90도 각도로 배치되되, 차량진행에 방향에 대해 45도 각도로 배치되며, 상기 제1,제2발광부는 상기 하이패스차로에서 차량 진입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3,제4발광부는 상기 하이패스차로에서 차량진출측에 구비되고, 상기 하이패스차로를 폐쇄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제1,제2,제3,제4발광부 중 적색인 상기 제2색상만을 작동하므로 차량의 진행을 정지시키기 위한 ×를 표시하고, 상기 하이패스차로를 진행 가능하게 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제3,제4발광부의 작동을 정지하고, 상기 제1,제2발광부 중 녹색인 제1색상만을 작동하므로 차량의 진행을 유도하기 위한 ∧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lso, the first color is green, the second color is red, and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light emitting units are arranged at an angle of 90 degrees, And the first and second light emitting units are provided on the vehicle entry side in the high pass lane and the third and fourth light emitting units are provided on the vehicle advance side in the high pass lane and when the high pass lane is closed , The control unit operates only the second color of red among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light emitting units, thereby displaying " x " for stopping the progress of the vehicle, The control unit stops the operations of the third and fourth light emitting units and displays only the first color of the first and second light emitting units, do.

본 발명에 따른 하이패스차로 식별용 유도장치는, 본체에 4개의 설치면을 구비하고, 각 설치면에 다수개의 엘이디를 구비하여 하이패스차로의 정상운영시 진입방향을 발광표시하여 차량의 진입을 유도하거나, 하이패스차로의 폐쇄시 진입제한 상태를 발광표시하여 차량의 진입을 제한함으로써, 차량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유도장치의 개수룰 최소하여 설치 및 보수비용을 줄일 수 있다.The high-pass lane identification in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four mounting surfaces on a main body and a plurality of LEDs on each mounting surface to illuminate the entering direction of the high-pass lane in normal operation, Or by limiting the entry of the vehicle by illuminating the entry-restricted state when the high-pass lane is closed, thereby preventing vehicle safety accidents, reducing the number of induction devices and reducing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costs.

또한, 본 발명은, 나사부재를 이용하여 제1,제2,제3,제4설치면에 고정브라켓을 설치할 때 나사부재의 둘레에 완충부재를 구비함으로써, 나사부재를 견고하게 고정하여 이탈을 방지하고, 나사부재의 조립과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fixing bracket is provided on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mounting surfaces using a screw member, a buffer member is provided around the screw member so that the screw member is firmly fixed, And the assembling and separating of the screw member can be facilitated.

또한, 본 발명은 제1,제2,제3,제4발광부를 수직면에 대하여 설정 각도범위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하므로 하이패스차로로 주행하는 운전자의 눈부심으로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light emitting units are disposed downwardly inclined to the set angle range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plane,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light emitting units by the glare of a driver traveling on a high-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패스차로 식별용 유도장치가 하이패스차로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패스차로 식별용 유도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패스차로 식별용 유도장치의 외관 사시도로서, 차로에서 분리된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패스차로 식별용 유도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착부와 차로개폐표시부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패스차로 식별용 유도장치 조립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착부와 차로개폐표시부의 조립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패스차로 식별용 유도장치의 절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패스차로에서 차량이 진행 가능한 유도 상태를 순차적으로 표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패스차로 식별용 유도장치에서 제어부와 발광부의 연결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high-pass lane ident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high-pass lane.
2 is a plan view of a high-pass lane ident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 high-pass lane ident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state diagram separated from a lan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high-pass lane ident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ounting portion and a lid opening / closing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ssembling a high-pass lane ident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assembled side view of a mounting portion and a lid opening and closing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induction device for high-pass lan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diagram sequentially showing an induction state in which a vehicle can proceed in a high-pass l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diagram showing a connection state between a control unit and a light emitting unit in a high-pass lane ident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패스차로 식별용 유도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n induction apparatus for high pass lane identif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this process, the thicknesses of the lines and the siz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패스차로 식별용 유도장치가 하이패스 차로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패스차로 식별용 유도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패스차로 식별용 유도장치의 외관 사시도로서, 차로에서 분리된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패스차로 식별용 유도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착부와 차로개폐표시부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FIG. 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high-pass lane discrimin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high-pass lane, FIG. 2 is a plan view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high-pass lane discrimin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separated from a lane, and FIG. 4 is a cross- Fig. 5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ounting portion and a lid opening / closing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패스차로 식별용 유도장치 조립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착부와 차로개폐표시부의 조립 측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패스차로 식별용 유도장치의 절개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패스차로에서 차량이 진행 가능한 유도 상태를 순차적으로 표시한 도면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패스차로 식별용 유도장치에서 제어부와 발광부의 연결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7 is a side view of assembling a mounting portion and a lid opening and closing displa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side view of assembling the high-pass lane ident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diagram sequentially showing an induction state in which a vehicle can proceed in a high-pass l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In the high-pass lane ident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and the light emitting unit are connected.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패스차로 식별용 유도장치는, 공간부(130)를 갖는 본체(100)와, 공간부(130)에 구비되고, 제1,제2,제3,제4설치면(222,224,226,228)을 갖는 장착부(200)와, 장착부(200)에 구비되어 본체(100)에서 사방으로 빛을 조사하여 차로 폐쇄를 표시하거나, 진입측으로만 빛을 조사하여 차로 진행을 표시하도록 제어되는 차로개폐표시부(300)를 포함한다.1 to 10, a high-pass lane ident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0 having a space 130, A mounting portion 200 having second, third, and fourth mounting surfaces 222, 224, 226, and 228; and a mounting portion 200 that is provided in the mounting portion 200 to illuminate the vehicle body 100 in four directions, And a lane-opening / closing display unit 300 controlled to display progress by lane.

본 발명의 명칭은 하이패스차로 식별용 유도장치로 기술하지만, 하이패스차로에만 한정하지 않고, 일반도로, 고속도로 등 모든 차로에 본 유도장치를 적용할 수 있다.Although the nam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as a high-pass lane discriminating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ll lanes such as an ordinary road, a highway, and the like, without limitation to a high-pass lane.

본체(100)는 설정 높이를 갖고 원형 또는 사각형으로 형성된다. 본체(100)는 공간부(130)에 장착부(200)와 차로개폐표시부(300)를 수용하여 차량 주행으로 부터 보호한다.The main body 100 has a predetermined height and is formed in a circular or square shape. The main body 100 accommodates the mounting portion 200 and the lid opening and closing display portion 300 in the space portion 130 to protect the vehicle from running.

본체(100)는 공간부(130)에 장착부(200)와 차로개폐표시부(300)를 수용하는 하부본체(110)와, 하부본체(110)의 상측에 덮여지고, 장착부(200)와 차로개폐표시부(300)를 보호하는 상부본체(120)를 포함한다.The main body 100 includes a lower main body 110 which houses a mounting portion 200 and a lid opening and closing display portion 300 in a space 130 and a lower main body 110 which is covered on the upper side of the lower main body 110, And an upper body 120 for protecting the display unit 300.

하부본체(110)의 중심에는 전선이 출입되는 출입공(140)이 형성된다.An inlet / outlet hole 140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lower main body 110 to allow electric wires to enter and exit.

출입공(140)에는 전선을 씰링하기 위한 탄성재질의 보호캡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The access hole 140 may be provided with a protective cap member made of an elastic material for sealing the electric wire.

하부본체(110)에는 차로개폐표시부(300)에서 조사되는 빛을 안내하는 함몰부가 형성된다.The lower body 110 is formed with a depression for guiding light emitted from the lid opening and closing display unit 300.

하부본체(110)와 상부본체(120) 사이에는 차로개폐표시부(300)를 보호하는 투명재질의 보호부재(160)가 더 구비될 수 있다.A protective member 160 of transparent material may be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lower body 110 and the upper body 120 to protect the lid opening and closing display unit 300.

보호부재(160)는 투명 플라스틱재질 또는 투명 강화유리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호부재(160)는 본체(100)의 4개 면에 각각 구비된다.The protection member 160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plastic material or a transparent tempered glass material. The protection members 160 are provided on four sides of the main body 100, respectively.

보호부재(160)는 하부본체(110)에 형성된 제1안착홈(170)과, 상부본체(120)에 형성된 제2안착홈(180)에 삽입되어 견고하게 위치 고정될 수 있다.The protective member 160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seating groove 170 formed in the lower main body 110 and the second seating groove 180 formed in the upper main body 120 to be firmly fixed.

제1안착홈(170)은 하부본체(110)의 함몰부(150)의 바닥면과 양측면에 형성되어 보호부재(160)의 하측면과 좌우 양측면 각각이 삽입되어 기밀될 수 있다.The first seating groove 170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and both side surfaces of the depressed portion 150 of the lower body 110 so that the lower surface and both the left and right side surfaces of the protection member 160 can be inserted and hermetically sealed.

제2안착홈(180)은 상부본체(120)의 저면에 상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이로써, 보호부재(160)는 상하좌우 4개면 모두가 삽입 설치되어 본체(100)에 견고하게 조립되므로 후술하는 제1,제2,제3,제4발광부(350,360,370,380)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The second seating groove 180 is recessed up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body 120. Accordingly, since the four sides of the protection member 160 are inserted into the main body 100 and are firmly assembled to the main body 100,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light emitting units 350, 360, .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패스차로 식별용 유도장치는, 하부본체(110)와 상부본체(120)를 결합한 본체(100)를 설정 위치의 하이패스차로(20)의 바닥을 굴착하여 형성된 설치홈(22)에 매립 시공하고, 본체(100)의 둘레와 설치홈(22)의 가장자리를 접착제로 도포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하이패스차로 식별용 유도장치의 설치를 완료한다.2, a high-pass lane ident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0 having a lower main body 110 and an upper main body 120 coupled to a high pass lane 20 at a set position, The installation of the high pass lane ident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arried out by applying the periphery of the main body 100 and the edge of the installation groove 22 with an adhesive agent Complet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패스차로 식별용 유도장치를 하이패스차로(20)에 차로당 3개씩 설치하여 작동시키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하이패스차로(20) 중 폐쇄차로의 경우에는 제1,제2,제3,제4설치면(222,224,226,228)에 설치된 제1,제2,제3,제4발광부(350,360,370,380)의 적색(R) 엘이디를 모두 작동하여 엑스(×)를 표시하므로 차량이 진행할 수 없는 폐쇄 상태를 표시하도록 한다.As shown in FIG. 1, a high-pass lane discrimin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nd operated in the high-pass lane 20 by three cars, The red LEDs of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light emitting units 350, 360, 370 and 380 installed on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mounting surfaces 222, 224, 226, and 228 are all operated X (x) is displayed so that the vehicle can not proceed.

또한, 하이패스차로(20) 중 진행 가능차로의 경우에는 제1,제2,제3,제4설치면(222,224,226,228)에 설치된 제1,제2,제3,제4발광부(350,360,370,380)중 진입측에 설치된 제1,제2발광부(350,360)의 녹색(G) 엘이디만 제어부(390)를 통해 작동하여 갈매기(∧)를 표시하므로 차량이 진행할 수 있는 유도 상태를 표시하도록 한다. 이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패스차로 식별용 유도장치는 차로 폐쇄상태와, 차도 진행가능 상태를 모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함으로써, 하이패스차로 식별용 유도장치의 설치개수룰 최소화하여 제조단가 및 보수비용을 줄일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progressive lane of the high pass lane 20, among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light emitting units 350, 360, 370, 380 installed on the first, second, third, Only the green (G) LEDs of the first and second light emitting units 350 and 360 installed on the entrance side are operated through the control unit 390 to display the gull () Thus, the high-pass lane discrimin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display both the lane-closing state and the lane departure-possible state, thereby minimizing the number of installed devices of the high-pass lane discriminating device, And the maintenance cost can be reduced.

장착부(200)는, 본체(100)의 바닥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지지대(210)와, 지지대(210)의 상측에 안착되고, 제1,제2,제3,제4설치면(222,224,226,228)을 갖는 설치브라켓(220)과, 설치브라켓(220)을 결합하는 결합부재(230)와, 차로개폐표시부(300)를 장착하도록 제1,제2,제3,제4설치면(222,224,226,228)에 각각 구비되는 고정브라켓(240)을 포함한다.The mounting portion 200 includes a plurality of supports 210 mounted on the bottom of the main body 100 and a plurality of second mounting surfaces 222, 224, 226, 228 which are mou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210, Second, third, and fourth mounting surfaces 222, 224, 226, and 228 for mounting the lid opening and closing display unit 300, respectively, to the mounting bracket 220, the mounting bracket 220, And includes a fixing bracket 240.

지지대(210)의 하단에는 나사부(212)가 형성되어 본체(100)의 바닥에 체결되된다. 지지대(210)는 4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지만, 지지대(210)의 개수는 증감 가능하다.A threaded portion 212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base 210 and is fastened to the bottom of the main body 100. Although four support rods 210 are shown, the number of support rods 210 can be increased or reduced.

결합부재(230)는 볼트로서, 육각머리가 상측으로 길게 형성되어 제어부(390)가 구비되는 메인기판(270)이 안착될 수 있다. 메인기판(270)은 다수개의 나사가 관통하여 결합부재(230)의 상측 나사공에 체결됨으로써, 설치브라켓(220) 내에 구비될 수 있다.The coupling member 230 may be a bolt, and a hexagon head may be formed on the upper side so that the main board 270 having the control unit 390 may be seated. The main board 270 can be installed in the mounting bracket 220 by passing a plurality of screws through the screws and fastening the screws to the upper side or the lower side of the coupling member 230.

고정브라켓(240)은 제1,제2,제3,제4설치면(222,224,226,228)에 각각 체결되어 외측으로 돌출되는 나사부재(250)에 의해 고정된다.The fixing bracket 240 is fixed to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mounting surfaces 222, 224, 226, 228 by screw members 250 projecting outwardly.

고정브라켓(240)은 제1,제2,제3,제4설치면(222,224,226,228)의 각 면에 대하여 2개씩 모두 8개 구비된 것으로 도시하지만, 고정브라켓(240)의 설치 개수는 변경 가능하다. 고정브라켓(240)은 나사부재(250)의 단부에서 제1,제2,제3,제4설치면(222,224,226,228)에 대해 설정간격을 갖도록 결합될 수 있다.Although eight fixing brackets 240 are provided on each of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mounting surfaces 222, 224, 226, 228, the number of fixing brackets 240 can be changed . The fixing bracket 240 may be coupled to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mounting surfaces 222, 224, 226, 228 at the end of the screw member 250 with a set spacing.

나사부재(250)에는 완충부재(260)가 구비될 수 있다.The screw member 250 may be provided with a buffer member 260.

완충부재(260)는 제1,제2,제3,제4설치면(222,224,226,228)과 고정브라켓(240)을 상호 밀어주므로 고정브라켓(240)을 견고하게 고정하면서 나사부재(250)의 조립 또는 분해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The cushioning member 260 pushes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mounting surfaces 222, 224, 226, 228 and the fixing bracket 240 against each other, Decomposition can be easily carried out.

완충부재(260)는 코일스프링이다.The buffer member 260 is a coil spring.

나사부재(250)와 완충부재(260)는 각각의 고정브라켓(240)에 대해 3개씩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지만, 나사부재(250)와 롼충부재(260)의 개수와 설치 위치는 변경가능 가능하다,Three screw members 250 and cushioning members 260 are provided for each of the fixing brackets 240 but the number and positions of the screw members 250 and the insulator members 260 can be changed ,

고정브라켓(240)의 조립 과정을 살펴보면, 나사부재(250)를 제1,제2,제3,제4설치면(222,224,226,228)에 체결하여 설정 길이 돌출 시키고, 나사부재(250)의 단부의 둘레에 완충부재(260)를 삽입한 상태에서 고정브라켓(240)에 체결하게 되면, 나사부재(250)를 조여줌에 따라 완충부재(260)가 압축되는 상태로 고정브라켓(240)의 조립이 완료된다. The screw member 250 is fastened to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mounting surfaces 222, 224, 226, and 228 to protrude the predetermined length, and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end portion of the screw member 250 When the cushion member 260 is inserted into the fixing bracket 240 and the cushion member 260 is tightened by tightening the screw member 250, do.

이때, 압축된 완충부재(260)는 제1,제2,제3,제4설치면(222,224,226,228)과 고정브라켓(240)을 상호 벌려주려는 힘을 가함에 따라 나사부재(250)의 나사산이 제1,제2,제3,제4설치면(222,224,226,228)과 고정브라켓(240)의 나사공에 측방향 밀착력을 가하므로 나사부재(250)의 분리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고정브라켓(240)의 진동을 흡수하여 완충하고, 나사부재(250)의 분해시 나사부재(240)의 분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as the compressed buffer member 260 applies a force to open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mounting surfaces 222, 224, 226, 228 and the fixing bracket 240, 224, 226, 228 and the fixing bracket 240, so that the screw member 25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irst mounting surface 222, the second mounting surface 222, the second mounting surface 222, The vibration of the fixing bracket 240 can be absorbed and buffered and the separability of the screw member 240 can be improved when the screw member 250 is disassembled.

고정브라켓(240)에는 적색 또는 녹색의 엘이디 2개씩 설치되는 후술하는 설치기판(320)이 구비되는 것으로서, 어느 엘이디가 손상된 경우, 그에 해당하는 고정브라켓(240)에 설치된 설치기판(320)을 교체하므로 전체 부품을 모두 교체하지 않고 손상된 엘이디만을 용이하게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fixing bracket 240 is provided with a mounting substrate 320 to be described later on which two red or green LEDs are installed. When the LEDs are damaged, the mounting bracket 240 mounted on the fixing bracket 240 is replaced It is possible to replace only damaged LEDs easily without replacing all the parts.

차로개폐표시부(300)는, 고정브라켓(240)에 나사 결합되는 안착부재(310)와, 안착부재(310)에 안착되고, 체결부재(330)에 의해 고정되는 설치기판(320)과, 설치기판(320)에 각각 장착되어 본체(100)의 외측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는 발광부(340)와, 본체(100)의 사방으로 빛을 조사하여 차로 폐쇄를 표시하거나 진입측으로만 빛을 조사하여 차로 진행을 표시하도록 제1,제2,제3,제4설치면(222,224,226,226)에 구비된 발광부(340)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390)를 포함한다.The lid opening and closing display unit 300 includes a seating member 310 screwed to the fixing bracket 240, a mounting substrate 320 mounted on the seating member 310 and fixed by the coupling member 330, A light emitting unit 340 mounted on the substrate 320 and irradiating light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0, a light emitting unit 340 emitting light to all directions of the main body 100, And a controller 390 for selectively controlling the light emitting units 340 provided on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mounting surfaces 222, 224, 226, and 226 so as to display progress with the vehicle.

발광부(340)는, 제1설치면(222)에 구비되고, 제1색상의 엘이디와 제2색상의 엘이디를 하나 이상씩 구비하는 제1발광부(350)와, 제2설치면(224)에 구비되고, 제1색상의 엘이디와 제2색상의 엘이디를 하나 이상씩 구비하는 제2발광부(360)와, 제3설치면(226)에 구비되고, 제2색상의 엘이디를 구비하는 제3발광부(370)와, 제4설치면(228)에 구비되고, 제2색상의 엘이디를 구비하는 제4발광부(380)를 포함한다.The light emitting portion 340 includes a first light emitting portion 350 provided on the first mounting surface 222 and including one or more LEDs of a first color and LEDs of a second color, A second light emitting unit 360 provided on the third mounting surface 226 and having at least one LED of the first color and at least one LED of the second color; A third light emitting portion 370 and a fourth light emitting portion 380 provided on the fourth mounting surface 228 and having an LED of a second color.

제1색상은 녹색(G)이고, 제2색상은 적색(R)이다. 제1색상과 제2색상은 서로 다른 색상이라면 어떠한 색상을 적용하여도 무방하다.The first color is green (G) and the second color is red (R). If the first color and the second color are different colors, any color may be applied.

제1,제2,제3,제4발광부(350,360,370,380)는 90도 각도로 배치되되, 차량진행에 방향에 대해 45도 각도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하이패스차로(20) 진행 방향에 대하여 엑스(×, 차로 폐쇄) 또는 갈매기(∧, 차로 진행가능)를 표시할 수 있다.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light emitting units 350, 360, 370, and 380 are preferably disposed at an angle of 9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vehicle traveling direction. Thereby, it is possible to display X (x, lane closing) or gull (∧, lane-progressible) with respect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high-pass lane 20.

제1,제2발광부(350,360)는 하이패스차로(20)에서 차량 진입측에 구비되고, 제3,제4발광부(370,380)는 하이패스차로(20)에서 차량 진출측에 구비된다.The first and second light emitting units 350 and 360 are provided on the vehicle entry side in the high pass lane 20 and the third and fourth light emitting units 370 and 380 are provided on the vehicle advance side in the high pass lane 20.

제1,제2,제3,제4발광부(350,360,370,380)는 눈부심을 방지하도록 수직면에 대하여 5 내지 15도 각도범위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제1,제2,제3,제4발광부(350,360,370,380)는 수직면에 대하여 10도 경사각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1,제2,제3,제4발광부(350,360,370,380)는 설치기판(320), 고정브라켓(240) 및 제1,제2,제3,제4설치면(222,224,226,226)이 수직면에 대하여 5 내지 15도 각도범위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므로 그에 해당하는 각도만큼 기울어지게 배치되는 것이다.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light emitting portions 350, 360, 370, and 380 may be disposed at an angle of 5 to 15 degrees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plane so as to prevent glare. In particular,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light emitting units 350, 360, 370, and 380 preferably have a tilt angle of 10 degrees with respect to a vertical plane.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light emitting units 350, 360, 370, and 380 are mounted on the mounting substrate 320, the fixing bracket 240, and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mounting surfaces 222, 224, Is arranged to be inclined downward to an angle range of 5 to 15 degrees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display screen.

이로써, 제1,제2,제3,제4발광부(350,360,370,380)는 하이패스차로(20) 바닥으로 빛을 비춤으로써, 운전자의 눈부심을 방지할 수 있다.Thus,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light emitting units 350, 360, 370, and 380 illuminate the bottom of the high pass lane 20 to prevent the driver from glare.

도 1을 참조하면, 하이패스차로(20)를 폐쇄하는 경우, 제어부(390)에 의해 제1,제2,제3,제4발광부(350,360,370,380) 중 적색인 제2색상의 엘이디만을 작동하므로 차량의 진행을 정지시키기 위한 ×를 표시할 수 있다.1, when the high pass lane 20 is closed, only the red LED of the second color among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light emitting units 350, 360, 370 and 380 is operated by the control unit 390 And X for stopping the progress of the vehicle can be displayed.

하이패스차로(20)를 진행 가능하게 하는 경우, 제어부(390)에 의해 제3,제4발광부(370,380)의 작동을 정지하고, 제1,제2발광부(350,360) 중 녹색인 제1색상의 엘이디만을 작동하므로 차량의 진행을 유도하기 위한 ∧를 표시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390 stops the operation of the third and fourth light emitting units 370 and 380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light emitting units 350 and 360, Since only LED of color is operated, ∧ can be displayed for driving the vehicle.

제1,제2,제3,제4발광부(350,360,370,380)는 4개씩의 엘이디가 구비된다.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light emitting units 350, 360, 370, and 380 are provided with four LEDs.

제1발광부(350)는 녹색엘이디, 적색엘이디, 녹색엘이디, 적색엘이디 등으로 배치되는 G,R,G,R 순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녹색 광과 적색 광을 선택하여 조사할 수 있다.The first light emitting unit 350 includes G, R, G, and R arranged in a green LED, red LED, green LED, red LED, and the like, and can selectively emit green light and red light.

제2발광부(360)는 녹색엘이디, 적색엘이디, 녹색엘이디, 적색엘이디 등으로 배치되는 G,R,G,R 순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녹색 광과 적색 광을 선택하여 조사할 수 있다. The second light emitting unit 360 includes G, R, G and R arranged in the order of green LED, red LED, green LED, red LED, and the like, and can selectively irradiate green light and red light.

제3발광부(370)는 적섹엘이디, 적색엘이디, 적색엘이디, 적색엘이디 등으로 배치되는 R,R,R,R 순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적색 광만을 조사할 수 있다. The third light emitting portion 370 is formed of R, R, R, and R arranged in the order of red LED, red LED, red LED, red LED, or the like, and can emit only red light.

제4발광부(380)는 적색엘이디, 적색엘이디, 적색엘이디, 적색엘이디 등으로 배치되는 R,R,R,R 순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적색 광만을 조사할 수 있다.The fourth light emitting unit 380 includes red, green, and blue LEDs arranged in the order of R, R, R arranged with red LED, red LED, red LED, red LED, or the like.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차량 진행 가능 상태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9 and 10, a vehicle progressing state will be schematically described.

하이패스차로(20)에 유도장치가 3개 설치된 경우, 첫 번째 유도장치에서, 제1,제2발광부(350,360)의 녹색 엘이디는 온(on)시키고, 제1,제2,제3,제4발광부(350,360,370,380)의 적색 엘이디는 오프(off)시켜 진행 가능하다는 갈매기(∧) 표시를 표시한다.  When three induction devices are installed in the high pass lane 20, the green LEDs of the first and second light emitting portions 350 and 360 are turned on in the first induction device, and the first, second, The red LEDs of the fourth light emitting units 350, 360, 370 and 380 are turned off to display a gull (?

연이어, 두 번째 유도장치에서, 제1,제2발광부(350,360)의 녹색 엘이디는 온(on)시키고, 제1,제2,제3,제4발광부(350,360,370,380)의 적색 엘이디는 오프(off)시켜 진행 가능하다는 갈매기(∧) 표시를 표시한다. 이때, 첫 번째 유도장치는 전체 오프시키거나 녹색 엘이디만 온 시킨 상태를 유지할 수도 있다.In the second induction device, the green LEDs of the first and second light emitting units 350 and 360 are turned on and the red LEDs of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light emitting units 350, 360, off) to indicate the progressive gull (∧) mark. At this time, the first induction device may be turned off entirely or only the green LED may be turned on.

그 다음, 세 번째 유도장치에서, 제1,제2발광부(350,360)의 녹색 엘이디는 온(on)시키고, 제1,제2,제3,제4발광부(350,360,370,380)의 적색 엘이디는 오프(off)시켜 진행 가능하다는 갈매기(∧) 표시를 표시한다. 이때, 첫 번째 및 두 번째 유도장치는 전체 오프시키거나 녹색 엘이디만 온 시킨 상태를 유지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상태를 반복하여 작동함으로써, 차량진행을 유도할 수 있는 것이다. Next, in the third induction device, the green LEDs of the first and second light emitting units 350 and 360 are turned on and the red LEDs of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light emitting units 350, 360, (∧) indication that it is possible to proceed. At this time, the first and second induction devices may be turned off entirely, or the green LEDs may be kept on. By repeating the above operation, it is possible to drive the vehicle.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패스차로 식별용 유도장치는, 본체에 4개의 설치면을 구비하고, 각 설치면에 다수개의 엘이디를 구비하여 하이패스차로의 정상운영시 진입방향을 발광표시하여 차량의 진입을 유도하거나, 하이패스차로의 폐쇄시 진입제한 상태를 발광표시하여 차량의 진입을 제한함으로써, 차량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유도장치의 개수룰 최소하여 보수비용을 줄일 수 있다. Therefore, the high-pass lane ident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four mounting surfaces on the main body, and a plurality of LEDs on each mounting surface, Thereby preventing the vehicle safety accident and reducing the number of guiding devices and minimizing the maintenance cost of the vehicle. have.

또한, 본 발명은, 나사부재를 이용하여 제1,제2,제3,제4설치면에 고정브라켓을 설치할 때 나사부재의 둘레에 완충부재를 구비함으로써, 나사부재를 견고하게 고정하여 이탈을 방지하고, 나사부재의 조립과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제2,제3,제4발광부를 수직면에 대하여 설정 각도범위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하므로 하이패스차로로 주행하는 운전자의 눈부심으로 방지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fixing bracket is provided on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mounting surfaces using a screw member, a buffer member is provided around the screw member so that the screw member is firmly fixed, And the assembling and separating of the screw member can be facilitated. In addition, since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light emitting units are disposed downwardly inclined to the set angle range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plane,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light emitting units by the glare of a driver traveling on a high-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 will understand.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20 : 차로 100 : 본체
110 : 하부본체 120 : 상부본체
130 : 공간부 140 : 출입공
150 : 함몰부 170 : 제1안척홈
180 : 제2안착홈 200 : 장착부
210 : 지지대 212 : 나사부
220 : 설치브라켓 222 : 제1설치면
224 : 제2설치면 226 : 제3설치면
228 : 제4설치면 230 : 결합부재
240 : 고정브라켓 250 : 나사부재
260 : 완충부재 300 : 차로개폐표시부
310 : 안착부재 320 : 설치기판
330 : 체결부재 340 : 발광부
350,360,370,380 : 제1,제2,재,재4발광부
390 : 제어부 R : 적색 엘이디
G : 녹색 엘이디
20: car 100: body
110: lower body 120: upper body
130: space part 140:
150: depression 170: first inner chuck
180: second seating groove 200: mounting portion
210: support member 212:
220: mounting bracket 222: first mounting surface
224: second mounting surface 226: third mounting surface
228: fourth mounting surface 230: coupling member
240: Fixing bracket 250: Screw member
260: Buffer member 300:
310: mounting member 320: mounting substrate
330: fastening member 340:
350, 360, 370, 380: first, second,
390: Control unit R: Red LED
G: Green LED

Claims (8)

공간부를 갖는 본체;
상기 공간부에 구비되고, 제1,제2,제3,제4설치면을 갖는 장착부; 및
상기 장착부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에서 사방으로 빛을 조사하여 차로 폐쇄를 표시하거나, 진입측으로만 빛을 조사하여 차로 진행을 표시하도록 제어되는 차로개폐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는, 상기 차로개폐표시부를 장착하도록 상기 제1,제2,제3,제4설치면에 각각 구비되는 고정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차로개폐표시부는, 상기 고정브라켓에 나사 결합되는 안착부재;
상기 안착부재에 안착되고,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설치기판;
상기 설치기판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본체의 외측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는 발광부; 및
상기 본체에서 빛을 조사하여 차로 폐쇄를 표시하거나 진입측으로만 빛을 조사하여 차로 진행을 표시하도록 상기 제1,제2,제3,제4설치면에 구비된 상기 발광부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발광부는, 상기 제1설치면에 구비되고, 제1색상의 엘이디와 제2색상의 엘이디를 구비하는 제1발광부;
상기 제2설치면에 구비되고, 제1색상의 엘이디와 제2색상의 엘이디를 구비하는 제2발광부;
상기 제3설치면에 구비되고, 제2색상의 엘이디를 구비하는 제3발광부; 및
상기 제4설치면에 구비되고, 제2색상의 엘이디를 구비하는 제4발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제2,제3,제4발광부는 상기 설치기판, 상기 고정브라켓 및 상기 제1,제2,제3,제4설치면이 수직면에 대하여 5 내지 15도 각도범위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므로 그에 해당하는 각도만큼 기울어지게 배치되고,
상기 장착부는,
상기 본체의 바닥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안착되고, 제1,제2,제3,제4설치면을 갖는 설치브라켓; 및
상기 설치브라켓을 결합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패스차로 식별용 유도장치.
A body having a space portion;
A mounting portion provided in the space portion and having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mounting surfaces; And
And a lane opening / closing display unit provided in the mounting unit, the lane opening / closing display unit being controlled to display a lane closing by irradiating lights from the main body in four directions,
And the mounting portion includes a fixing bracket provided on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mounting surfaces to mount the lid opening / closing display portion,
Wherein the lane opening / closing display unit includes: a seating member screwed to the fixing bracket;
A mounting substrate that is seated on the seating member and fixed by a fastening member;
A light emitting unit mounted on the mounting substrate and irradiating light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And
A control unit for selectively controlling the light emitting units provided on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mounting surfaces to illuminate light on the main body so as to display a traffic light on the vehicle, / RTI >
Wherein the light emitting unit includes: a first light emitting unit provided on the first mounting surface, the first light emitting unit including an LED of a first color and an LED of a second color;
A second light emitting unit provided on the second mounting surface and including an LED of a first color and an LED of a second color;
A third light emitting unit provided on the third mounting surface and having LEDs of a second color; And
And a fourth light emitting unit provided on the fourth mounting surface and having an LED of a second color,
The mounting board, the fixing bracket, and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mounting surfaces are inclined downward to an angle range of 5 to 15 degrees with respect to a vertical plane of the first, second, third, And is arranged so as to be inclined by an angle corresponding thereto,
Wherein,
A plurality of supports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main body;
A mounting bracket that is seated on the support and has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mounting surfaces; And
An engaging member for engaging the mounting bracket;
Wherein the high-pass lane discriminating device comprise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하부본체와, 상부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본체에는 상기 차로개폐표시부에서 조사되는 빛을 안내하는 함몰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본체와 상기 상부본체 사이에는 상기 차로개폐표시부를 보호하는 투명재질의 보호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패스차로 식별용 유도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ain body includes a lower main body and an upper main body,
Wherein the lower body is provided with a depression for guiding light emitted from the lid opening /
And a transparent member for protecting the lane opening / closing display unit is provided between the lower main body and the upper main body.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재는,
상기 하부본체에 형성된 제1안착홈와, 상기 상부본체에 형성된 제2안착홈에 각각 삽입되어 견고하게 위치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패스차로 식별용 유도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Wherein the first fastening groove formed in the lower body and the second fastening groove formed in the upper body are firmly fixed in position.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은 상기 설치면에 체결되고 외측으로 돌출되는 나사부재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나사부재의 단부에서 상기 설치면에 대해 설정간격을 갖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패스차로 식별용 유도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xing bracket is fixed by a screw member that is fastened to the mounting surface and protrudes outward, and is coupled at an end of the screw member so as to have a predetermined gap with respect to the mounting surface.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부재에 구비되는 완충부재는 상기 제1,제2,제3,제4설치면과 상기 고정브라켓을 상호 밀어주므로 상기 고정브라켓을 견고하게 고정하면서 상기 나사부재의 조립 또는 분해를 용이하게 하고,
상기 나사부재는 상기 제1,제2,제3,제4설치면에 각각 체결되어 설정길이 돌출되고 둘레에 코일스프링인 상기 완충부재를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브라켓에 체결하여 조여줌에 따라 상기 완충부재를 압축시키는 상태로 상기 고정브라켓에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패스차로 식별용 유도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cushioning member provided on the screw member pushes the first, second, third, fourth mounting surfaces and the fixing bracket to each other, thereby firmly fixing the fixing bracket and facilitating assembly or disassembly of the screw member ,
The screw member is fastened to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mounting surfaces, and is inserted into the fixing bracket while the cushion member, which is a coil spring, is inserted into the fixing bracket, Wherein the fastening member is assembled to the fixing bracket in a state of compressing the buffer member.
제 1항 내지 제 3항, 제 5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은 상기 제1,제2,제3,제4설치면의 각 면에 대하여 2개씩 모두 8개 구비되고,
상기 고정브라켓 각각에는 엘이디가 2개씩 설치되는 상기 설치기판이 구비되고, 어느 엘이디가 손상된 경우, 그에 해당하는 상기 고정브라켓에 설치된 상기 설치기판을 교체하므로 전체 부품을 모두 교체하지 않고 손상된 엘이디만을 교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패스차로 식별용 유도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5 to 6,
The fixing bracket is provided with eight fixing holes for each of two surfaces of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mounting surfaces,
In the case where any of the LEDs is damaged, since the mounting substrate provided on the corresponding fixing bracket is replaced, only the damaged LED is replaced without replacing all the components. Wherein the high-pass lane discriminating device comprises:
제 1항 내지 제 3항, 제 5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색상은 녹색이고, 상기 제2색상은 적색이며,
상기 제1,제2,제3,제4발광부는 90도 각도로 배치되되, 차량진행에 방향에 대해 45도 각도로 배치되며,
상기 제1,제2발광부는 상기 하이패스차로에서 차량 진입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3,제4발광부는 상기 하이패스차로에서 차량진출측에 구비되고,
상기 하이패스차로를 폐쇄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제1,제2,제3,제4발광부 중 적색인 상기 제2색상만을 작동하므로 차량의 진행을 정지시키기 위한 ×를 표시하고,
상기 하이패스차로를 진행 가능하게 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제3,제4발광부의 작동을 정지하고, 상기 제1,제2발광부 중 녹색인 제1색상만을 작동하므로 차량의 진행을 유도하기 위한 ∧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패스차로 식별용 유도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5 to 6,
The first color is green, the second color is red,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light emitting units are disposed at an angle of 9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vehicle traveling direction,
The first and second light emitting units are provided on the vehicle entry side in the high pass lane and the third and fourth light emitting units are provided on the vehicle entry side in the high pass lane,
Pass road is turned off, only the second color of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light emitting units is turned on by the control unit, so that the symbol x for stopping the progress of the vehicle is displayed,
When the high pass lane is allowed to proceed, the control unit stops the operation of the third and fourth light emitting units and only the first hue of the first and second light emitting units is activated, And the symbol for indicating the high-pass lane is displayed.
KR1020170109228A 2017-08-29 2017-08-29 Guide device for discern of hi-pass road KR10191454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9228A KR101914543B1 (en) 2017-08-29 2017-08-29 Guide device for discern of hi-pass roa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9228A KR101914543B1 (en) 2017-08-29 2017-08-29 Guide device for discern of hi-pass road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8569A Division KR101787743B1 (en) 2017-02-10 2017-02-10 Guide device for discern of hi-pass roa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2799A KR20180092799A (en) 2018-08-20
KR101914543B1 true KR101914543B1 (en) 2018-11-02

Family

ID=63443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9228A KR101914543B1 (en) 2017-08-29 2017-08-29 Guide device for discern of hi-pass roa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4543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4134Y1 (en) * 2005-02-22 2005-05-11 조성훈 Road stud for tunnels and underpasses
KR101464104B1 (en) * 2014-04-02 2014-11-21 강정한 Kerb fence with indirect illumina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4134Y1 (en) * 2005-02-22 2005-05-11 조성훈 Road stud for tunnels and underpasses
KR101464104B1 (en) * 2014-04-02 2014-11-21 강정한 Kerb fence with indirect illumin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2799A (en) 2018-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7743B1 (en) Guide device for discern of hi-pass road
EP2477929B1 (en) Vehicle lift systems with lighting
US20140300463A1 (en) Multiple Color Hazard Warning/Signaling Device for Trailing End of Trunk Lid
KR20130066794A (en) Accident prevention apparatus of intelligent for crosswalk
KR101708423B1 (en) crosswalk lighting equipment
KR101914543B1 (en) Guide device for discern of hi-pass road
US20130141926A1 (en) Auxiliary lighting for a military vehicle
KR100819688B1 (en) A road stud
JP6778128B2 (en) Line-of-sight guide device and speed guidance system
KR102070133B1 (en) Emergency LED Indicators for Vehicle Installation
CN108717795B (en) Multi-working-mode traffic signal lamp
KR20130128831A (en) Safe signal lamp for foot passenger
KR100995337B1 (en) The center crisis unit which has a vehicle induction system
KR20160000237U (en) A LED Safety Signal Device of the Traffic Road
KR200265874Y1 (en) Device for emitting light using pedestrian crossing footpath of road
KR101710561B1 (en) three dimensional traffic sign for tunnel
KR101728493B1 (en) Road indicator board discern device for motors
KR101662283B1 (en) Rectangle patrol light
CN214175299U (en) Movable supporting device and signal lamp
KR200379180Y1 (en) A signpost
ITMI990807A1 (en) STREET LIGHTING DEVICE
KR20170003878U (en) Light bar device
KR101583319B1 (en) Delineator for Curved Zone of Roadway
KR102619901B1 (en) Pedestrian traffic light to prevent pedestrian accidents caused by vehicles turning right
KR102442010B1 (en) Crosswalk safety device with proj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