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4486B1 - 터보압축기 흡입필터용 세척장치 - Google Patents

터보압축기 흡입필터용 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4486B1
KR101914486B1 KR1020180055200A KR20180055200A KR101914486B1 KR 101914486 B1 KR101914486 B1 KR 101914486B1 KR 1020180055200 A KR1020180055200 A KR 1020180055200A KR 20180055200 A KR20180055200 A KR 20180055200A KR 101914486 B1 KR101914486 B1 KR 1019144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filter
casing
filter
suction
d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5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수덕
Original Assignee
서수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수덕 filed Critical 서수덕
Priority to KR10201800552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44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4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44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70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 F04D29/701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4Cleaning by suction, with or without auxiliary 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7/00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 B08B7/02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by distortion, beating, or vibration of the surface to be clean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7/00Radial-flow pumps, e.g. centrifugal pumps;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17/08Centrifugal pumps
    • F04D17/10Centrifugal pumps for compressing or evacuating

Abstract

본 발명은 터보압축기 흡입필터용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흡입필터 전, 후단의 압력차를 측정하여, 상기 압력차에 의해 흡입필터의 세척시기를 확인하고, 흡입필터에는 바이브레이터를 설치하여 세척시 진동에 의해 흔들리며 포집된 먼지가 하단으로 낙하되며 세척이 되는 구조를 가지도록 하거나, 흡입필터를 세제가 풀어진 물에 흔들어 세척한 후, 드레인 홀이 하단을 향하도록 세워 건조시키는 구조도 가능하도록 하여, 흡입필터의 세척이 가능하고, 세척시기를 확인하여 세척함에 따라 터보압축기의 수명 또한 증가될 수 있도록 한 터보압축기 흡입필터용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터보압축기 흡입필터용 세척장치{Cleaning device for turbo compressor suction filter}
본 발명은 터보압축기에서 사용되는 흡입필터의 세척이 용이토록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보압축기는 공기나 냉매 가스 등의 유체를 압축하는 기계이다 상기 터보압축기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전동기구부와 그 전동기구부에서 전달된 구동력에 의해 기체를 흡입하여 압축하는 압축기구부로 구성된다.
상기 터보압축기는 전동기구부에서 발생되는 운동에너지를 정압으로 변환시키면서 가스를 고압 상태로 토출시키게 된다 상기 터보압축기는 보통 1개 또는 1개 이상의 임펠러를 회전시켜 가스를 압축하게 되는데, 보통 2개의 임펠러가 장착될 경우 전동기구부에 회전축이 결합되고 그 회전축의 양단에 임펠러가 각각 결합된 형태로 이루어져 전동기구부의 구동력이 회전축을 통해 임펠러에 전달되어 임펠러가 고속으로 회전하게 되며 그 임펠러의 회전에 의해 가스가 두 개의 임펠러가 각각 위치하는 압축실을 연속적으로 거치면서 2단 압축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터보압축기의 경우, 기본적으로 유입되는 외부공기의 이물질 및 먼지를 필터링하기 위해, 흡입필터를 사용하게 되는데, 다수의 필터들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등의 구조를 가지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필터들 중 사용되는 일부필터들은 고가의 제품이거나, 세척을 사용하여 재사용할 수 있는 제품이 아닌 경우도 많아서, 유지보수 비용이 높고, 교체시기를 놓칠경우 터보압축기의 수명이 단축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339581(2002.05.23.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터보송풍기에 사용되는 흡입필터의 세척이 가능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세척이 가능한 흡입필터를 사용하도록 하면서, 사용되는 흡입필터 전, 후의 압력차를 통해 세척시기를 확인하여, 진동에 의해 먼지가 털어지거나 또는 별도의 탈거하여 물세척을 손쉽게 할 수 있는 구조를 제시한 것으로, 결과적으로 터보송풍기의 빈번한 필터교체가 필요없이 세척이 가능하기에 유지보수비용이 절감되고, 터보송풍기의 수명연장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터보압축기 흡입필터용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터보압축기에서 흡입공기가 유입되어지는 덕트(D) 내에 설치되며, 내부에는 설치공간을 형성하고, 하단은 개구되어 낙하구(11)를 형성하는 케이싱(10); 상기 케이싱(10)의 전, 후면에 설치되는 여과철망(20); 상기 케이싱(10) 내부에 설치되어, 흡입공기 내 이물질을 여과시키는 흡입필터(30); 상기 흡입필터(30)가 케이싱(10) 내부에서 매달려 위치가 부동되도록, 케이싱(10)의 다수 모서리에서부터 흡입필터(30)까지 연결되어지는 탄성라인(40); 상기 흡입필터(30)에 장착되는 바이브레이터(50); 상기 케이싱(10) 전, 후단에 각각 설치되어, 케이싱(10) 전, 후단의 압력차를 제어부(80)로 전달하여, 제어부(80)에서 사전설정압력차와 측정압력차를 비교한 후, 비교차에 따라 상기 바이브레이터(50)의 작동유무가 결정되도록 하며, 바이브레이터(50)가 작동시에는 흡입필터(30)가 진동되면서, 흡입필터(30)의 먼지가 케이싱(10) 하단부로 낙하되도록 하는 제 1, 2압력센서(61, 62); 상기 케이싱(10)의 하단부에 연통연결되어, 낙하되는 먼지를 집진처리하는 집진수단(7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터보송풍기에 사용되는 흡입필터의 세척이 가능하여, 필터교체에 따른 비용절감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진동에 의해 세척하거나 물세척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흡입필터의 세척시기를 흡입필터 전, 후단의 압력차를 통해 확인함으로써, 터보압축기의 수명을 연장시킬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첫번째 실시예(진동에 의한 세척)에 따른 터보압축기 흡입필터용 세척장치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설치 단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두번째 실시예(물에 의한 세척)에 따른 터보압축기 흡입필터용 세척장치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사시도.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의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살펴보면,
터보압축기에서 흡입공기가 유입되어지는 덕트(D) 내에 설치되며, 내부에는 설치공간을 형성하고, 하단은 개구되어 낙하구(11)를 형성하는 케이싱(10); 상기 케이싱(10)의 전, 후면에 설치되는 여과철망(20); 상기 케이싱(10) 내부에 설치되어, 흡입공기 내 이물질을 여과시키는 흡입필터(30); 상기 흡입필터(30)가 케이싱(10) 내부에서 매달려 위치가 부동되도록, 케이싱(10)의 다수 모서리에서부터 흡입필터(30)까지 연결되어지는 탄성라인(40); 상기 흡입필터(30)에 장착되는 바이브레이터(50); 상기 케이싱(10) 전, 후단에 각각 설치되어, 케이싱(10) 전, 후단의 압력차를 제어부(80)로 전달하여, 제어부(80)에서 사전설정압력차와 측정압력차를 비교한 후, 비교차에 따라 상기 바이브레이터(50)의 작동유무가 결정되도록 하며, 바이브레이터(50)가 작동시에는 흡입필터(30)가 진동되면서, 흡입필터(30)의 먼지가 케이싱(10) 하단부로 낙하되도록 하는 제 1, 2압력센서(61, 62); 상기 케이싱(10)의 하단부에 연통연결되어, 낙하되는 먼지를 집진처리하는 집진수단(7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터보압축기에서 흡입공기가 유입되어지는 덕트(D) 내에 설치되며, 내부에는 설치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싱(10); 상기 케이싱(10)의 전, 후면에 설치되는 여과철망(20); 상기 케이싱(10) 내부에 위치가 부동되도록 고정설치되며, 전, 후면이 여과철망(20)과 연통되는 위치가 되어, 흡입공기 내 이물질이 여과되도록 하는 흡입필터(30); 상기 흡입필터(30)를 물세척시 케이싱(10) 내부의 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싱(10)의 모서리 중 하나에 개구형성되는 드레인 홀(90); 상기 케이싱(10) 전, 후단에 각각 설치되어, 케이싱(10) 전, 후단의 압력차가 사전설정압력차와 비교된 후, 비교차에 따라 케이싱(10) 내 흡입필터(30)의 물세척 여부가 결정될 수 있도록 하는 제 1, 2압력센서(61, 62);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입필터(30)는 실과 같은 형상을 가지는 고무재질의 다수의 필터선(31)이, 상호간 불규칙적으로 얽히면서 사전설정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입필터(30)는 세척시, 세제가 풀어진 세척통에 담겨져 세척된 후, 드레인 홀(90)이 하단을 향하도록 세워져 물기가 제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터보압축기 흡입필터용 세척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터보압축기 흡입필터용 세척장치는 진동에 의한 세척 및 물에 의한 세척, 총 2가지의 실시예를 가진다.
진동에 의해 세척을 하는 첫번째 실시예의 터보압축기 흡입필터용 세척장치는 케이싱(10), 여과철망(20), 흡입필터(30), 탄성라인(40), 바이브레이터(50), 제 1, 2압력센서(61, 62), 집진수단(70)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싱(10)은 터보압축기에서 흡입공기가 유입되어지는 덕트(D) 내에 설치되는 것이며, 내부가 비어있는 사각관체 형상이며, 하단은 개구되어 낙하구(11)를 형성하되, 이러한 낙하구(11) 중단에는 차단봉(12)이 설치되어, 후술될 흡입필터(30)가 케이싱(10) 내부에 설치된 이후, 낙하구(11)를 통해 하단으로 빠져 나가지 않도록 하면서, 상기 흡입필터(30)에서 떨어지는 먼지(W)가 이러한 낙하구(11)를 통해 케이싱(10) 외부로 낙하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여과철망(20)은 전술된 케이싱(10)의 전, 후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케이싱(10)의 전, 후면이 철망으로 형성되어 공기가 통과되면서, 흡입필터(30)를 손상시킬 수 있는 비교적 큰 크기의 이물질 또는 먼지를 사전에 차단하여, 흡입필터를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흡입필터(30)는 케이싱(10) 내부에 고정설치되어, 케이싱(10)의 일면에서 타면으로 이동되는 흡입공기 내 이물질을 여과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흡입필터(30)의 크기는 전술된 케이싱(10)의 내부에서 여과철망(20)와 동일하거나 또는 여과철망(20)보다 상대적으로 좀 더 큰 크기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그 형상은 본 발명에서 케이싱(10)이 사각형태이므로, 이러한 흡입필터(30) 또한 사각단면의 형태로 제작하였으나, 이러한 형상은 사용자의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이 가능함은 당연할 것이다.
더불어, 이러한 흡입필터(30)는 실과 같은 형상을 가지는 고무재질의 다수의 필터선(31)이, 상호간 불규칙적으로 얽히면서 사전설정 형상을 이루면서, 이렇게 얽혀있는 필터선(31) 사이에 공기가 흐르면서 먼지가 여과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탄성라인(40)은 전술된 흡입필터(30)가 케이싱(10) 내부에 부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흡입필터(30)는 케이싱(10)보다 작은 사이즈를 가지기 때문에, 이러한 케이싱(10) 내부에서 흡입필터(30)의 전, 후면이 케이싱(10)의 전, 후면 여과철망(20)에 대응되는 위치로 매달려 위치가 부동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케이싱(10)의 다수 모서리(상측 양단 및 하측 양단)에서부터 흡입필터(30)(흡입필터(30)의 상측 양단 및 하단 양단)까지 각각 스프링으로 연결되어지도록 한 것이다.
상기 바이브레이터(50)는 전술된 흡입필터(30)의 외측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흡입필터(30)의 양측 또는 일측에 설치되어, 흡입필터(30)의 먼지를 터는 세척을 해야하는 경우, 이러한 바이브레이터(50)가 작동되면서, 바이브레이터(50)의 진동으로 흡입필터(30)를 흔들어, 흡입필터(30)가 여과한 먼지들을 흡입필터(30) 하단으로 낙하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제 1, 2압력센서(61, 62)는 전술된 케이싱(10) 전, 후단에 각각 설치되어(케이싱(10)에 설치되거나, 또는 케이싱(10)이 설치된 덕트(D) 내 케이싱(10) 전, 후단에 설치되거나), 케이싱(10) 전, 후단의 압력차를 측정하는 것이다.
측정된 측정압력차는 별도의 제어부(80)로 전달되고, 사전설정압력차보다 측정된 케이싱(10) 전, 후단의 압력차가 큰 경우, 흡입필터(30)가 막혀 공기의 흐름이 어려움으로 간주하여, 제어부(80)에서는 상기 바이브레이터(50)를 작동시켜 흡입필터(30)가 진동되면서, 흡입필터(30)의 먼지가 케이싱(10) 하단부로 낙하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물론, 이러한 제어부(80)는 외부로 식별가능한 디스플레이로 설치되어, 케이싱(10) 전, 후압력차에 따른 알람 경고나 수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음이다.
상기 집진수단(70)은 케이싱(10)의 하단부에 연통연결되어지는 장치로써, 흡입모터(71)와 집진장치(72)로 이루어져, 케이싱(10)의 하단으로 낙하되는 먼지를 포집하여 처리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러한 집진수단(70)으로는 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용도라면 다양한 장치 및 형태가 사용되어질 수 있음이다.
물론, 이러한 집진수단(70)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집진수단(70)이 케이싱(10)이 설치된 덕트(D)를 관통하여 집진수단(70)의 케이싱(10)과 연통연결되어져야 함은 당연할 것이다.
물에 의해 세척을 하는 두번째 실시예의 터보압축기 흡입필터(30)용 세척장치는 케이싱(10), 여과철망(20), 흡입필터(30), 드레인 홀(90), 제 1, 2압력센서(61, 62)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싱(10)은 전술된 첫번째 실시예의 케이싱(10)과 동일한 구조를 가지되, 케이싱(10)의 하단으로 먼지를 흔들어 터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하단에 낙하구(11)가 형성되지 않고, 사방이 막혀있는 사각 관체를 형성하는 형태를 가진다.
상기 여과철망(20)은 전술된 케이싱(10)의 전, 후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케이싱(10)의 전, 후면이 철망으로 형성되어 공기가 통과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흡입필터(30)는 전술된 첫번재 실이예의 흡입필터(30)와 동일한 것으로, 케이싱(10) 내부에 고정설치되어, 케이싱(10)의 일면에서 타면으로 이동되는 흡입공기 내 이물질을 여과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흡입필터(30)의 크기는 전술된 케이싱(10)의 내부에서 여과철망(20)와 동일하거나 또는 여과철망(20)보다 상대적으로 좀 더 큰 크기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그 형상은 본 발명에서 케이싱(10)이 사각형태이므로, 이러한 흡입필터(30) 또한 사각단면의 형태로 제작하였으나, 이러한 형상은 사용자의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이 가능함은 당연할 것이다.
더불어, 이러한 흡입필터(30)는 실과 같은 형상을 가지는 고무재질의 다수의 필터선(31)이, 상호간 불규칙적으로 얽히면서 사전설정 형상을 이루면서, 이렇게 얽혀있는 필터선(31) 사이에 공기가 흐르면서 먼지가 여과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드레인 홀(90)은 전술된 케이싱(10)의 모서리 중 하나에 개구되는 홀로써, 상기 흡입필터(30)를 물세척시 케이싱(10) 내부의 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형성한 것이다.
상기 제 1, 2압력센서(61, 62)는 전술된 첫번째 실시예의 제 1, 2압력센서(61, 62)와 동일한 것으로, 상기 케이싱(10) 전, 후단에 각각 설치되어, 케이싱(10) 전, 후단의 압력차가 사전설정압력차가 제어부(80)에서 비교된 후, 제어부(80)에서는 이러한 비교차에 따라 케이싱(10) 내 흡입필터(30)의 세척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한 것이다.(외부로 식별가능한 디스플레이가 설치되어, 케이싱(10) 전, 후압력차에 따른 경고알람이나 수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등)
즉, 제 1, 2압력센서(61, 62)를 통한 케이싱(10) 전, 후단 압력차가 점차 커지면서, 사전설정이상압력차를 넘어서게 되면, 흡입필터(30)가 막혀 공기의 유동이 어려운 것으로 판단하며, 이에, 상기 흡입필터(30)는 세척시, 세제가 풀어진 세척통에 담겨져 세척된 후, 드레인 홀(90)이 하단을 향하도록 별도의 거치대에 세워져 물기가 제거되도록 건조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케이싱 11: 낙하구
12: 차단봉 20: 여과철망
30: 흡입필터 31: 필터선
40: 탄성라인 50: 바이브레이터
61: 제 1압력센서 62: 제 2압력센서
70: 집진수단 71: 흡입모터
72: 집진장치 80: 제어부
90: 드레인 홀

Claims (4)

  1. 터보압축기에서 흡입공기가 유입되어지는 덕트(D) 내에 설치되며, 내부에는 설치공간을 형성하고, 하단은 개구되어 낙하구(11)를 형성하는 케이싱(10);
    상기 케이싱(10)의 전, 후면에 설치되는 여과철망(20);
    상기 케이싱(10) 내부에 설치되어, 흡입공기 내 이물질을 여과시키는 흡입필터(30);
    상기 흡입필터(30)가 케이싱(10) 내부에서 매달려 위치가 부동되도록, 케이싱(10)의 다수 모서리에서부터 흡입필터(30)까지 연결되어지는 탄성라인(40);
    상기 흡입필터(30)에 장착되는 바이브레이터(50);
    상기 케이싱(10) 전, 후단에 각각 설치되어, 케이싱(10) 전, 후단의 압력차를 제어부(80)로 전달하여, 제어부(80)에서 사전설정압력차와 측정압력차를 비교한 후, 비교차에 따라 상기 바이브레이터(50)의 작동유무가 결정되도록 하며, 바이브레이터(50)가 작동시에는 흡입필터(30)가 진동되면서, 흡입필터(30)의 먼지가 케이싱(10) 하단부로 낙하되도록 하는 제 1, 2압력센서(61, 62);
    상기 케이싱(10)의 하단부에 연통연결되어, 낙하되는 먼지를 집진처리하는 집진수단(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낙하구(11) 중단에는 차단봉(12)이 설치되어, 흡입필터(30)가 케이싱(10) 내부에 설치된 이후, 낙하구(11)를 통해 하단으로 빠져 나가지 않도록 하며,
    상기 여과철망(20)은 흡입필터(30)를 손상시킬 수 있는 크기의 이물질 또는 먼지를 사전에 차단하여, 흡입필터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흡입필터(30)는 실과 같은 형상을 가지는 고무재질의 다수의 필터선(31)이, 상호간 불규칙적으로 얽히면서 사전설정 형상을 이루면서, 얽혀있는 필터선(31) 사이에 공기가 흐르면서 먼지가 여과되도록 하며,
    상기 흡입필터(30)는 고무재질의 유연한 특성으로 인하여, 흡입필터(30)에 장착되는 바이브레이터(50)의 진동에도 효과적으로 흔들리는 작동이 가능함에 따라, 얽혀있는 필터선(31) 사이에 여과된 먼지가 잘 떨어져 낙하되며,
    상기 제어부(80)는 외부로 식별가능한 디스플레이로 설치되어, 케이싱(10) 전, 후압력차에 따른 알람 경고나 수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보압축기 흡입필터용 세척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80055200A 2018-05-15 2018-05-15 터보압축기 흡입필터용 세척장치 KR1019144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5200A KR101914486B1 (ko) 2018-05-15 2018-05-15 터보압축기 흡입필터용 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5200A KR101914486B1 (ko) 2018-05-15 2018-05-15 터보압축기 흡입필터용 세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4486B1 true KR101914486B1 (ko) 2018-11-02

Family

ID=64328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5200A KR101914486B1 (ko) 2018-05-15 2018-05-15 터보압축기 흡입필터용 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448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6688B1 (ko) * 2022-07-28 2023-01-10 주식회사 세진이씨에스 탈진부를 포함하는 여과집진기
CN116147085A (zh) * 2022-10-11 2023-05-23 广东百奥电气有限公司 一种防尘工业除湿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1778B1 (ko) * 2007-08-24 2008-10-08 권영현 에어필터의 자동세정 시스템이 구비된 공기조화기 및 그제어방법
KR101059510B1 (ko) * 2008-06-30 2011-08-25 최용준 세라믹필터용 집진기
KR101825033B1 (ko) * 2017-10-16 2018-02-02 주식회사 에코이엔지 필터재생기, 필터재생 공기순환기 및 공기순환기의 필터재생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1778B1 (ko) * 2007-08-24 2008-10-08 권영현 에어필터의 자동세정 시스템이 구비된 공기조화기 및 그제어방법
KR101059510B1 (ko) * 2008-06-30 2011-08-25 최용준 세라믹필터용 집진기
KR101825033B1 (ko) * 2017-10-16 2018-02-02 주식회사 에코이엔지 필터재생기, 필터재생 공기순환기 및 공기순환기의 필터재생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6688B1 (ko) * 2022-07-28 2023-01-10 주식회사 세진이씨에스 탈진부를 포함하는 여과집진기
CN116147085A (zh) * 2022-10-11 2023-05-23 广东百奥电气有限公司 一种防尘工业除湿机
CN116147085B (zh) * 2022-10-11 2023-09-08 广东百奥电气有限公司 一种防尘工业除湿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50987B1 (en) Gas concrete saw filtration system
KR101914486B1 (ko) 터보압축기 흡입필터용 세척장치
CN107158843A (zh) 一种滤筒式除尘设备
CN215138301U (zh) 一种无尘室用中效空气过滤装置
KR101562926B1 (ko) 백필터의 탈진 및 건조를 위한 집진기
CN109847507A (zh) 一种用于磁体加工车间的粉尘的除尘装置
CN109011981A (zh) 一种去除磁体加工车间粉尘的除尘方法
CN208115355U (zh) 布袋除尘器
KR101450304B1 (ko) 집진기
KR20140010243A (ko) 먼지제거장치
KR102064953B1 (ko) 습식 공기 청정기
CN204637834U (zh) 布袋除尘器
JP2010240531A (ja) スクリーンメッシュ式塵埃除去装置
WO2012147050A1 (en) Self-cleaning device and method for air cleaner
CN113685957B (zh) 一种具有异物除去的空气除菌设备
CN112090175A (zh) 空气滤清器
CN109364591A (zh) 一种用于纺织车间的除尘设备
JP2015150524A (ja) フィルタユニット及び集塵機
CN103252139B (zh) 除尘装置
CN209952459U (zh) 在线自清灰过滤器
JP4810116B2 (ja) 粉塵除去装置
KR200464591Y1 (ko) 진공청소기의 필터 교환시기 표시장치
EP0144470B1 (en) Vacuum cleaners
KR102042851B1 (ko) 집진기
EP1038567A1 (en) Filtering device for separating dust from aeriform fluids and in particular for separating textile dus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