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3620B1 - 와이어가 관통되는 폴더블 힌지 구조 - Google Patents

와이어가 관통되는 폴더블 힌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3620B1
KR101913620B1 KR1020170066729A KR20170066729A KR101913620B1 KR 101913620 B1 KR101913620 B1 KR 101913620B1 KR 1020170066729 A KR1020170066729 A KR 1020170066729A KR 20170066729 A KR20170066729 A KR 20170066729A KR 101913620 B1 KR101913620 B1 KR 1019136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main hinge
main
wire
b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6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현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블루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블루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블루콤
Priority to KR1020170066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36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3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36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더블 힌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와이어가 폴더블 힌지의 내부에 위치함으로써, 힌지의 접힘 동작에 의해 와이어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폴더블 힌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와이어가 관통되는 폴더블 힌지 구조{FOLDABLE HINGE STRUCTURE}
본 발명은 폴더블 힌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와이어가 폴더블 힌지의 내부에 위치함으로써, 힌지의 접힘 동작에 의해 와이어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폴더블 힌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힌지 구조는 예를 들면, 노트북 컴퓨터나 핸드폰 등에 사용되는 것으로, 본체부에 대해 힌지부가 전후 및 좌우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힌지를 채용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체부(1)는 그 내부에 전자기기를 구성하는 각종 부품이 설치되는 부분이다.
상기 본체부(1)는 납작한 판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본체부(1)의 상면에는 입력장치인 키보드(3)와 터치패드(5)가 구비된다.
상기 본체부(1)의 후단에는 힌지(7)가 설치되는데, 상기 힌지(7)에는 디스플레이부(9)가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부(9)는 상기 힌지(7)에 의해 본체부(1)에 대해 화살표 A 방향(전후방향) 및 B 방향(좌우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9) 역시 납작한 판상으로 형성되는데, 그 전면에는 표시화면(10)이 구비된다.
상기 표시화면(10)은 각종 정보가 표시되는 부분이다.
상기 표시화면(10)으로는 일반적으로 액정패널이 사용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휴대용 전자기기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9)가 상기 본체부(1)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그리고 좌우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본체부(1)와 디스플레이부(9)사이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적 신호가 전달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본체부(1)와 디스플레이부(9)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구성이 필요한다.
일반적으로 본체부(1)와 디스플레이부(9)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상기 힌지를 관통하는 전선(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이루어진다.
하지만, 상기 디스플레이부(9)가 힌지(7)를 기준으로 전후 좌우로 회전되기 때문에, 상기 디스플레이부(9)와 본체부(1)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선 중 상기 힌지(7)를 빠져나와 상기 디스플레이부(9)에 구비되는 부품으로 연결되는 부분은 반복적으로 하중을 받게 된다.
즉, 상기 전선이 상기 힌지(7)를 통과함에 있어 각각 전후회전 및 좌우회전의 중심에 정확하게 위치하지 않게 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9)의 회전에 의해 전선이 회전되는 정도가 심하게 되면서 전선이 쉽게 손상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상기 힌지(7)를 관통하여 나온 전선을 안내하기 위한 구조가 없으면, 힌지(7)를 본체부(1) 및 디스플레이부(9)와 조립하는 과정에서 전선이 특정 위치에 안착되어 있지 않게 되어 조립작업의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도 있다.
한편, 종래의 힌지장치에 와이어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와이어와 힌지장치를 각각 병렬 구조로 결합하여야 하기 때문에 와이어가 포함된 힌지장치는 두께가 두꺼워질 수밖에 없으며, 폴더블 힌지 동작시에 와이어 정리가 되지 않은 상태에서 외부에 노출되기 때문에 이에 따른 와이어의 손상이 발생할 수 밖에 없었다.
따라서, 와이어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폴더블 동작할 수 있는 힌지 장치가 필요하게 되었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0980388호(2010.09.07.)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힌지의 접힘 동작에 의해 와이어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폴더블 힌지 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몸체(100)와, 상호 결합되는 제1메인힌지(200R) 및 제2메인힌지(200L)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일측이 상기 몸체(100)의 일단부에 힌지 결합되는 메인힌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폴더블 힌지 구조에 있어서,
일측에 형성되는 힌지결합부(120)와, 상기 힌지결합부(120)의 어느 한 곳에 돌출 형성되는 힌지결합돌기(130)를 포함하고,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와이어(600)가 관통되는 몸체(100)와;
상기 힌지결합돌기(130)와 끼움결합되는 힌지결합홈(210)과, 와이어(600)가 관통되는 와이어관통로(230)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결합부(120)와 결합되어 상기 힌지결합부(120)를 회전축으로 회전하고,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와이어(600)가 관통되는 메인힌지와;
상기 메인힌지의 외측에 결합되어, 상기 메인힌지의 외측 길이방향을 따라 유동하는 유동후크(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힌지의 접힘 동작에 의해 와이어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폴더블 힌지 구조를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힌지를 채용한 전자기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가 관통되는 폴더블 힌지 구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가 관통되는 폴더블 힌지 구조의 몸체(100)에 유동후크(300)를 결합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가 관통되는 폴더블 힌지 구조의 몸체(100)로부터 유동후크(300)를 분리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가 관통되는 폴더블 힌지 구조의 몸체(100)와 메인힌지를 힌지 회전할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가 관통되는 폴더블 힌지 구조의 몸체(100)의 힌지결합부(120) 내부에 볼락커(140) 및 볼락커탄성부재(150)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하부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가 관통되는 폴더블 힌지 구조의 볼락커(140) 및 볼락커탄성부재(150)의 결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가 관통되는 폴더블 힌지 구조의 힌지 회전 동작 과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가 관통되는 폴더블 힌지 구조가 적용된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실시 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몸체(100)와, 상호 결합되는 제1메인힌지(200R) 및 제2메인힌지(200L)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일측이 상기 몸체(100)의 일단부에 힌지 결합되는 메인힌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폴더블 힌지 구조에 있어서,
일측에 형성되는 힌지결합부(120)와, 상기 힌지결합부(120)의 어느 한 곳에 돌출 형성되는 힌지결합돌기(130)를 포함하고,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와이어(600)가 관통되는 몸체(100)와,
상기 힌지결합돌기(130)와 끼움결합되는 힌지결합홈(210)과, 와이어(600)가 관통되는 와이어관통로(230)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결합부(120)와 결합되어 상기 힌지결합부(120)를 회전축으로 회전하고,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와이어(600)가 관통되는 메인힌지와,
상기 메인힌지의 외측에 결합되어, 상기 메인힌지의 외측 길이방향을 따라 유동하는 유동후크(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몸체(100)의 상기 힌지결합부(120)는, 걸림부(142)와, 상기 걸림부(142)의 일측에 형성되는 엇갈림바(143)와, 상기 걸림부(142)의 타측에 형성되는 락킹돌기(14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한 쌍의 볼락커(1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100)의 상기 힌지결합부(120)는, 일측에 상기 한 쌍의 볼락커(14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볼락커(140)의 엇갈림바(143)가 인입되고, 타측에 나머지 하나의 볼락커(140)의 엇갈림바(143)가 인입되며, 양측이 상기 한 쌍의 볼락커(140)의 걸림부(142)와 접함으로써, 상기 한 쌍의 볼락커(140)에 탄성을 제공하는 볼락커탄성부재(150)를 내부에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100)의 상기 힌지결합부(120)는, 상기 락킹돌기(141)가 상기 힌지결합부(120)의 내측에서 외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상기 힌지결합부(120)의 상기 락킹돌기(141)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볼락커삽입공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100)는,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라운드부(11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힌지결합부(120)는, 상기 라운드부(110)의 일측에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힌지는, 상기 제1메인힌지(200R) 및 상기 제2메인힌지(200L)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일측에 형성되는 지지플레이트(2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유동후크(300)는, 스토퍼(400)가 삽입되는 스토퍼삽입부(32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100)는,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와이어(600)가 관통된다.
상기 몸체(100)는,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라운드부(11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몸체(100)의 상기 라운드부(110)는, 일측이 상기 유동후크(300)의 후크라운드부(310)와 접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유동후크(300)의 유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몸체(100)의 상기 라운드부(110)는, 상기 유동후크(300)의 후크라운드부(310)와 접하는 면에 형성되는 후크삽입홈(111)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후크삽입홈(111)은, 상기 유동후크(300)의 후크라운드부(310)의 후크삽입돌기(311)가 삽입되도록, 후크삽입돌기(311)와 대응하는 위치에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100)는, 일측에 형성되는 힌지결합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몸체(100)의 상기 힌지결합부(120)는, 상기 몸체(100)의 상기 라운드부(110)의 일측에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100)는, 상기 힌지결합부(120)의 어느 한 곳 이상에 돌출 형성되는 힌지결합돌기(1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몸체(100)의 상기 힌지결합돌기(130)는, 상기 힌지결합부(120)를 기준으로 대칭한 형상을 이루는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100)의 상기 힌지결합부(120)는, 상기 메인힌지의 힌지 회전 시, 회전되는 상기 메인힌지를 걸림 체결하도록 상기 메인힌지의 일면을 향해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락커(1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100)의 상기 힌지결합부(120)는, 한 쌍의 볼락커(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100)의 상기 힌지결합부(120)는, 상기 볼락커(140)의 가압 시, 눌림을 받고, 가압 해제 시, 탄력적으로 눌림이 복원되도록, 상기 볼락커(14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볼락커탄성부재(1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100)의 상기 힌지결합부(120)는, 볼락커탄성부재(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볼락커(140) 및 상기 볼락커탄성부재(150)는, 상기 몸체(100)의 상기 힌지결합부(120) 내측에 결합된다.
상기 몸체(100)의 상기 힌지결합부(120)는, 상기 볼락커(140)의 어느 한 곳이 상기 힌지결합부(120)의 내측에서 외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상기 힌지결합부(120)의 상기 볼락커(140)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볼락커삽입공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볼락커(140)는, 락킹돌기(141), 걸림부(142), 엇갈림바(143)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이때, 상기 한 쌍의 볼락커(140)는, 락킹돌기(141)가 외측을 향하고, 엇갈림바(143)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엇갈림바(143)가 상기 볼락커탄성부재(150)의 양측으로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볼락커탄성부재(150)를 중앙에 위치시키고, 상기 한 쌍의 엇갈림바(143)를 상기 볼락커탄성부재(150)의 양측에 각각 삽입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엇갈림바(143)의 일측에 형성된 상기 걸림부(142)의 일측면과 상기 볼락커탄성부재(150)의 일측이 서로 접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볼락커탄성부재(150)의 탄성력을 상기 볼락커(140)가 전달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엇갈림바(143)는, 서로 만나지 않고, 상기 볼락커탄성부재(150) 내에서 엇갈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100)의 상기 힌지결합부(120)는, 상기 락킹돌기(141)가 상기 힌지결합부(120)의 내측에서 외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상기 힌지결합부(120)의 상기 락킹돌기(141)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볼락커삽입공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힌지결합부(120)는, 상기 한 쌍의 볼락커(140)의 상기 락킹돌기(141)와 대응하는 위치에 한 쌍의 볼락커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볼락커삽입공에, 상기 한 쌍의 볼락커(140)의 상기 락킹돌기(141)가 내부에서 외부를 향해 돌출되는 형태로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의 상기 볼락커(140)는 상기 볼락커탄성부재(150)와 결합된 상태가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볼락커삽입공으로부터 상기 락킹돌기(141)가 돌출되고, 돌출된 상기 한 쌍의 락킹돌기(141)를 가압하면, 상기 볼락커탄성부재(150)의 탄성에 의해 상기 락킹돌기(141)가 상기 볼락커삽입공으로 눌려 들어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힌지는,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와이어(600)가 관통된다.
상기 메인힌지는, 제1메인힌지(200R)와 제2메인힌지(200L)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메인힌지(200R)는, 상기 힌지결합돌기(130)와 끼움결합되는 힌지결합홈(21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메인힌지(200R)는, 체결볼트(270)가 결합되는 체결홈(2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메인힌지(200R)는, 와이어(600)가 관통되는 와이어관통로(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메인힌지(200R)는, 힌지 회전 시, 상기 힌지결합부(120)의 볼락커삽입공으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볼락커(140)의 상기 락킹돌기(141)가 걸림 체결되는 볼락커걸림홈(2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메인힌지(200R)는, 힌지 회전 시, 상기 힌지결합부(120)의 볼락커삽입공으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볼락커(140)의 상기 락킹돌기(141)를 가압하여, 상기 볼락커삽입공으로 밀어넣는 가압돌기(24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메인힌지(200R)는, 일측에 와이어(600)가 관통되는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지지플레이트(2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플레이트(250)는 스프링의 일측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메인힌지(200R)의 상기 지지플레이트(250)는, 중앙에 상기 와이어(600)가 관통되는 와이어관통공(25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메인힌지(200R)의 상기 지지플레이트(250)는, 일측에 상기 제2메인힌지(200L)의 걸림돌기삽입공(261)에 삽입되어 걸림돌기지지부(262)에 걸림 결합되는 걸림돌기(2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메인힌지(200L)는, 상기 힌지결합돌기(130)와 끼움결합되는 힌지결합홈(21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메인힌지(200L)는, 체결볼트(270)가 결합되는 체결홈(2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메인힌지(200L)는, 와이어(600)가 관통되는 와이어관통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메인힌지(200L)는, 힌지 회전 시, 상기 힌지결합부(120)의 볼락커삽입공으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볼락커(140)의 상기 락킹돌기(141)가 걸림 체결되는 볼락커걸림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메인힌지(200L)는, 힌지 회전 시, 상기 힌지결합부(120)의 볼락커삽입공으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볼락커(140)의 상기 락킹돌기(141)를 가압하여, 상기 볼락커삽입공으로 밀어넣는 가압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메인힌지(200L)는, 상기 제1메인힌지(200R)의 상기 지지플레이트(250)의 상기 걸림돌기(260)가 삽입되는 걸림돌기삽입공(26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메인힌지(200L)는, 상기 걸림돌기삽입공(261)에 삽입된 상기 걸림돌기(260)가 걸림 고정되도록 상기 걸림돌기(260)를 지지하는 걸림돌기지지부(26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메인힌지(200L)는, 상기 걸림돌기(260)를 상기 걸림돌기삽입공(261)에 삽입 시, 삽입된 상기 걸림돌기(260)를 지지하는 상기 걸림돌기지지부(262)의 지지를 더욱 견고히 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250)와 밀착되어 상기 지지플레이트(250)의 지지를 받도록 구성되는 밀착지지부(25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유동후크(300)는, 상기 메인힌지의 외측에 결합되어, 상기 메인힌지의 외측 길이방향을 따라 유동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유동후크(300)는,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후크라운드부(31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동후크(300)의 상기 후크라운드부(310)는, 일측이 상기 몸체(100)의 라운드부(110)와 접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유동후크(300)의 유동폭을 제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동후크(300)의 상기 후크라운드부(310)는, 상기 몸체(100)의 라운드부(110)와 접하는 면에 형성되는 후크삽입돌기(311)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후크삽입돌기(311)는, 상기 몸체(100)의 라운드부(110)의 후크삽입홈(111)에 삽입되도록, 후크삽입홈(111)과 대응하는 위치에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동후크(300)는, 스프링(500)의 일측을 고정하는 스토퍼(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유동후크(300)는, 스토퍼(400)가 삽입되는 스토퍼삽입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토퍼(400)는, 스프링(500)의 일측에 결합되어, 스프링(500)의 탄성을 제공받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스토퍼(400)는, 중앙에 와이어(600)가 관통되는 스토퍼와이어관통공(41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토퍼(400)는, 상기 유동후크(300)에 상기 스토퍼(400)를 삽입 시, 삽입이 용이하도록 돌출형성되는 스토퍼삽입부재(4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유동후크(300)는, 스토퍼(400)가 삽입되는 스토퍼삽입부(32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2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0)에 상기 와이어(600)를 관통시키고,
상기 몸체(100)의 상기 힌지결합부(120) 내부에는, 볼락커삽입공으로부터 락킹돌기(141)가 돌출되도록 한 쌍의 볼락커(140)와 볼락커탄성부재(150)가 결합되며,
상기 몸체(100)의 힌지결합돌기(130)에 상기 제1메인힌지(200R) 및 상기 제2메인힌지(200L)의 힌지결합홈(210)이 결합되고,
상기 제1메인힌지(200R) 및 상기 제2메인힌지(200L)의 체결홈(220)에 체결볼트(270)를 체결하여 상기 제1메인힌지(200R)와 상기 제2메인힌지(200L)를 결합하고,
상기 제1메인힌지(200R) 및 상기 제2메인힌지(200L)의 내부에 스프링(500)을 배치한 상태에서, 와이어관통로(230)와 스프링(500)에 와이어(600)를 관통시키고,
상기 제1메인힌지(200R)의 상기 지지플레이트(250)의 상기 와이어관통공(251)을 통해 관통된 와이어(600)를 메인힌지의 외부로 배출시키고,
상기 제1메인힌지(200R)의 상기 지지플레이트(250)의 상기 걸림돌기(260)를 상기 제2메인힌지(200L)의 상기 걸림돌기삽입공(261)에 삽입하여 상기 걸림돌기지지부(262)에 걸림결합되도록 하여, 상기 제1메인힌지(200R)와 상기 제2메인힌지(200L)의 일측을 결합하고,
상기 유동후크(300)를 상기 제1메인힌지(200R)와 상기 제2메인힌지(200L)를 결합하여 형성된 상기 메인힌지의 외측 길이방향을 따라 유동하도록 결합한 뒤,
상기 유동후크(300)의 상기 스토퍼삽입부(320)에 상기 스토퍼(400)를 삽입하고,
도 3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상기 스프링(500)이 상기 스토퍼(400)의 우측에 위치하고, 상기 스프링(500)이 상기 지지플레이트(250)의 좌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스프링(500)의 좌측부를 상기 스토퍼(400)와 결합하고, 상기 스프링(500)이 상기 지지플레이트(250)의 좌측면으로부터 지지받도록 결합함으로써,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후크(300)를 몸체(100) 쪽으로 이동시켜 상호 결합시키면, 힌지가 형성된 힌지결합부(120)와 메인몸체의 일측부를 감싸게 됨으로써, 힌지 회전하지 않고 고정되며,
유동후크(300)를 몸체(100)의 반대쪽으로 이동시키면, 스프링(500)이 압축되면서 힌지결합부(120)와 메인힌지의 힌지결합홈(210)이 형성된 일측이 노출됨으로써, 상기 힌지결합돌기(130)와 상기 힌지결합홈(210)의 힌지 작용에 의해, 상기 몸체(100)의 힌지결합돌기(130)를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메인힌지를 회전시켜, 상기 몸체(100)와 상기 메인힌지를 접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몸체(100)와 상기 메인힌지를 힌지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몸체(100)에 결합된 상기 볼락커(140)의 상기 락킹돌기(141)가 상기 볼락커탄성부재(15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메인힌지의 내부에 형성된 가압돌기(241)의 가압을 받아 눌리다가, 볼락커걸림홈(240)이 형성된 위치에 도달하면, 볼락커탄성부재(150)의 탄성에 의해 상기 락킹돌기(141)가 재차 돌출되면서, 상기 볼락커걸림홈(240)에 상기 락킹돌기(141)가 걸림 체결되고, 이에 따라, 상기 몸체(100)와 상기 메인힌지를 힌지 회전시킨 이후에 상기 몸체(100)와 상기 메인힌지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되며, 과도한 힌지 회전에 의해 힌지 회전 가능한 각도를 초과하여 힌지가 고장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따라서, 본 발명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루투스 헤드셋 등에 적용하여 접힘 기능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힌지의 접힘 동작에 의해 와이어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폴더블 힌지 구조를 제공하는 효과를 갖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바를 바탕으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 예 및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00 : 몸체
200R : 제1메인힌지
200L : 제2메인힌지
300 : 유동후크

Claims (7)

  1. 몸체(100)와, 상호 결합되는 제1메인힌지(200R) 및 제2메인힌지(200L)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폴더블 힌지 구조에 있어서,
    일측에 라운드부(110)가 돌출 형성되고, 후크삽입홈(111)이 형성되며, 어느 한 곳에 돌출 형성되는 힌지결합돌기(130)를 포함하고,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와이어(600)가 관통되는 몸체(100);
    상기 몸체(100)의 힌지결합돌기(130)에 상기 제1메인힌지(200R) 및 제2메인힌지(200L)의 힌지결합홈(210)이 결합되고,
    상기 제1메인힌지(200R) 및 제2메인힌지(200L)의 체결홈(220)에 체결볼트(270)를 체결하여 상기 제1메인힌지(200R)와 제2메인힌지(200L)를 결합하고,
    상기 제1메인힌지(200R) 및 제2메인힌지(200L)의 내부에 스프링(500)을 배치한 상태에서, 와이어관통로(230)와 스프링(500)에 와이어(600)를 관통시키고,
    상기 제1메인힌지(200R)의 지지플레이트(250)의 와이어관통공(251)을 통해 관통된 와이어(600)를 외부로 배출시키고,
    상기 제1메인힌지(200R)의 상기 지지플레이트(250)의 걸림돌기(260)를 상기 제2메인힌지(200L)의 걸림돌기삽입공(261)에 삽입하여 걸림돌기지지부(262)에 걸림 결합되도록 하여, 상기 제1메인힌지(200R)와 상기 제2메인힌지(200L)의 일측을 결합하고, 상기 힌지결합돌기(130)와 끼움 결합되는 힌지결합홈(210)과, 와이어(600)가 관통되는 와이어관통로(230)를 포함하고,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와이어(600)가 관통되는 제1메인힌지(200R) 및 제2메인힌지(200L);
    상기 제1메인힌지(200R) 및 제2메인힌지(200L)의 외측에 결합되어, 스톱퍼(400)가 삽입되는 스토퍼삽입부(320)을 형성하고, 후크라운드부(310)에는 상기 몸체(100)의 라운드부(110)의 후크삽입홈(111)에 삽입되도록 후크삽입돌기(311)가 형성되며, 상기 제1메인힌지(200R) 및 제2메인힌지(200L)의 외측 길이방향을 따라 유동하는 유동후크(300);
    상기 제1메인힌지(200R) 및 제2메인힌지(200L)의 힌지 회전 시, 회전되는 힌지를 걸림 체결하도록 상기 힌지의 일면을 향해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볼락커(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600)가 관통되는 폴더블 힌지 구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볼락커(140)는,
    상기 볼락커(140)의 가압 시, 눌림을 받고, 가압 해제 시, 탄력적으로 눌림이 복원되도록, 상기 볼락커(14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볼락커탄성부재(1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600)가 관통되는 폴더블 힌지 구조.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70066729A 2017-05-30 2017-05-30 와이어가 관통되는 폴더블 힌지 구조 KR1019136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6729A KR101913620B1 (ko) 2017-05-30 2017-05-30 와이어가 관통되는 폴더블 힌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6729A KR101913620B1 (ko) 2017-05-30 2017-05-30 와이어가 관통되는 폴더블 힌지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3620B1 true KR101913620B1 (ko) 2018-12-28

Family

ID=65008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6729A KR101913620B1 (ko) 2017-05-30 2017-05-30 와이어가 관통되는 폴더블 힌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362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71342A (ja) 2008-01-17 2009-07-30 Sony Corp ヘッドホン
JP2015136021A (ja) * 2014-01-16 2015-07-27 株式会社フェニックス エンジニアリング 肩乗せ式イヤホン
KR101687623B1 (ko) * 2015-06-15 2016-1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음향기기
KR101713808B1 (ko) 2016-01-29 2017-03-22 주식회사 블루콤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넥밴드 타입 블루투스 헤드셋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71342A (ja) 2008-01-17 2009-07-30 Sony Corp ヘッドホン
JP2015136021A (ja) * 2014-01-16 2015-07-27 株式会社フェニックス エンジニアリング 肩乗せ式イヤホン
KR101687623B1 (ko) * 2015-06-15 2016-1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음향기기
KR101713808B1 (ko) 2016-01-29 2017-03-22 주식회사 블루콤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넥밴드 타입 블루투스 헤드셋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6982B1 (ko) 입력 디바이스 부착
KR940001663B1 (ko) 소형 전자기기의 증설장치
US9538676B2 (en) Protective cover
US7929317B2 (en) Mounting apparatus for expansion card
US6803904B2 (en) Keyboard input device to be reliably connected to portable device
US8068334B2 (en) Electronic device
US9074724B2 (en) Docking station for electronic device
US7515409B2 (en) Fastenable docking device with fastening device
KR102062845B1 (ko) 포터블 전자기기 락 장치
US10116076B2 (en) CPU retainer mounted upon PCB
US9335792B2 (en) Docking device
US20140063700A1 (en) Electronic device
CN111561513A (zh) 枢轴模块及电子装置
US20130127318A1 (en) Clamshell device
KR20150110692A (ko) 전기 컨택 및 커넥터
KR101913620B1 (ko) 와이어가 관통되는 폴더블 힌지 구조
JP6125605B1 (ja) 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の拡張装置
US20040137779A1 (en) Connector
JP2003077585A (ja) ケーブルコネクタ
CN107665010B (zh) 连接座
CN218448666U (zh) 电子设备
KR101893976B1 (ko) 와이어가 내부를 통과하는 버튼형 폴더블 힌지장치
JP4522821B2 (ja) 携帯型電子機器
TWI528148B (zh) 具有電池脫落偵測功能之電子裝置
CN113589887B (zh) 电子装置组及扩充座